KR102652751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751B1
KR102652751B1 KR1020180158154A KR20180158154A KR102652751B1 KR 102652751 B1 KR102652751 B1 KR 102652751B1 KR 1020180158154 A KR1020180158154 A KR 1020180158154A KR 20180158154 A KR20180158154 A KR 20180158154A KR 102652751 B1 KR102652751 B1 KR 10265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ate
operating
lock portion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792A (ko
Inventor
게이스케 사시마
마코토 미야자키
유타카 요네다
마나부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21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1359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26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703475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9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6Cleaning; Combating corr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2Filtering, cooling, or silencing cooling-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6Cleaning; Combating corrosion
    • F01P2011/063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복수의 작동 장치에 각각의 작동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케이블을 통해 연동 연결되고, 복수의 작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적절한 타이밍에 전환하는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장비하면서 기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는, 탈곡 장치(8)의 후방부와 곡립 저류부(9)의 후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조작 케이블은,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로부터 기체 전방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진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의 설치 작업이나 떼어내기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방진망에 의해 진애의 통과를 저지함과 함께 냉각 팬에 의해 흡입된 외기의 통기를 허용하는 방진부와, 방진망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기구가 구비되고, 원동부에 제진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1041)가 구비되고, 구동 장치(1041)의 전방부를 로크 가능한 커버측 로크부(1051)가 구비됨과 함께, 구동 장치(1041)의 전방부에 피로크부(1052)가 구비되고, 구동 장치(1041)의 후방부를 원동부 커버에 연결하는 연결 기구(1053)가 구비되고, 연결 기구(1053)는 피로크부(1052)가 커버측 로크부(1051)에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연결 기구(1053)가 비연결 상태로 전환되면, 커버측 로크부(1051)와 피로크부(1052)를 비로크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운전부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원동부에, 엔진과, 엔진 냉각용 라디에이터와, 방진망을 통해 라디에이터를 냉각하기 위한 외기를 흡입하는 냉각 팬과, 방진망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기구와, 제진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에 있어서, 복수의 작동 장치에 각각의 작동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케이블을 통해 연동 연결되고, 복수의 작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적절한 타이밍에 전환하는 작동 상태 전환 장치가 구비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콤바인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콤바인에서는, 복수의 작동 장치로서,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로서, 제1 암, 제1 캠 플레이트, 제2 암, 제2 캠 플레이트, 클러치 모터가 구비되어 있다.
즉, 탈곡 클러치의 텐션 암에 제1 조작 와이어를 통해 제1 암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제1 캠 플레이트가 클러치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조작되어 제1 암이 제1 캠 플레이트에 의해 요동 조작되고, 제1 조작 와이어가 제1 암에 의해 조작되어 탈곡 클러치가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된다.
예취 클러치의 텐션 암에 제2 조작 와이어를 통해 제2 암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제2 캠 플레이트가 클러치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조작되어 제2 암이 제2 캠 플레이트에 의해 요동 조작되고, 제2 조작 와이어가 제2 암에 의해 조작되어 예취 클러치가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된다.
제1 암이 제1 캠 플레이트에 의해 온 측으로 조작된 후에 제2 암이 제2 캠 플레이트에 의해 온 측으로 조작되고,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 중 탈곡 클러치만이 온으로 조작되는 상태와,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가 모두 온으로 조작되는 상태가 현출된다.
또한, 종래에는, 제진 기구로서, 냉각 팬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 전달 벨트에 대해, 정회전용 풀리 대신에 역회전용 풀리가 작용하여 냉각 팬을 역회전 상태로 전환하여, 방진망에 부착된 진애를 바람에 의해 날리도록 한 것이 있었다. 그리고 구동 기구는, 전동 모터를 구비한 전환 조작부와, 그 전환 조작부에 의해 조작되는 풀리 지지부를 구비하고, 전환 조작부가, 원동부의 상측을 덮는 원동부 커버의 하면에, 전후 양측의 각각에 있어서 볼트로 연결하여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제579789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57809호 공보
상기한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장비하는 데에,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배치 스페이스를 마련하여 장비한 경우, 배치 스페이스를 위해 기체의 횡폭이 넓어지거나, 기체의 전후 길이가 길어지는 등, 기체가 커진다.
본 발명은,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장비하면서 기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위해, 구동 기구를 원동부 커버로부터 떼어내거나, 다시 설치하거나 하는 경우, 그 떼어내기 작업이나 설치 작업이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설명을 부가하면, 원동부에 있어서의 상부측 및 기체 전방부측은, 원동부 커버에 의해 덮여 있고, 원동부 커버의 상면에는 운전 좌석이나 그 밖의 부재(예를 들어, 에어 클리너 등)가 지지되고, 원동부 커버의 전방면은, 운전부의 내부 공간과 구획하는 벽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 결과, 원동부에 있어서의 상부측 개소 및 기체 전방부측 개소로부터, 구동 기구의 떼어내기 작업이나 설치 작업을 행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원동부의 기체 좌측은 기체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체 횡외측으로부터의 작업은 어렵고, 원동부의 기체 우측은, 라디에이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은 행하기 어렵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 기구의 떼어내기 작업 등은, 원동부의 기체 후방측으로부터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구동 기구에 있어서의 전환 조작부가, 원동부 커버의 하면에 전후 양측의 각각에 있어서 볼트로 연결하여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원동부의 기체 후방측으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작업하는 경우, 전방부측으로 들어간 개소에서 볼트를 풀 필요가 있어, 작업이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제진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의 설치 작업이나 떼어내기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와 횡배열로 설치됨과 함께 탈곡 처리 후의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부와,
복수의 작동 장치에 각각의 상기 작동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케이블을 통해 연동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작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적절한 타이밍에 전환하는 작동 상태 전환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 상태 전환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부와 상기 곡립 저류부의 후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조작 케이블은, 상기 작동 상태 전환 장치로부터 기체 전방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콤바인에 있어서는, 탈곡 처리 후의 곡립을 곡립 저류부를 향해 상방으로 반송하는 양곡 장치가 탈곡 장치와 곡립 저류부 사이에 기립 설치되는 등, 탈곡 장치의 후방부와 곡립 저류부의 후방부 사이에 빈 스페이스가 생기는 것에 착안하여, 그리고 복수의 조작 케이블을 작동 상태 전환 장치로부터 기체 전방 방향으로 연장 돌출됨으로써, 복수의 조작 케이블이 작동 상태 전환 장치의 전방측에 합쳐져서 위치하여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빈 스페이스에 배치하기 쉬운 것에 착안하여, 복수의 조작 케이블이 작동 상태 전환 장치로부터 기체 전방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탈곡 장치의 후방부와 곡립 저류부의 후방부 사이의 빈 스페이스를 작동 상태 전환 장치의 배치 스페이스로 활용하여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장비한 것이면서,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배치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기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에 기립 설치되고, 탈곡 처리 후의 곡립을 상기 곡립 저류부를 향해 상방으로 반송하는 양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 상태 전환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양곡 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 저류부를 메인터넌스 등을 위해 떼어내거나, 개방하거나 한 경우, 작동 상태 전환 장치에 대한 가드 부재에 양곡 장치를 활용하여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작동 상태 전환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의 측벽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작동 상태 전환 장치가 탈곡 장치에 확실히 지지되기 때문에 작동 상태 전환 장치가 요동하여 양곡 장치에 접촉하거나 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작동 상태 전환 장치는, 상기 복수의 조작 케이블을 조작하는 캠 기구와, 상기 캠 기구를 조작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복수의 조작 케이블의 단부를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를 갖는 상태에서, 상기 양곡 장치보다 전방측의 개소와, 상기 양곡 장치보다 후방측의 개소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양곡 장치보다 전방측의 개소와 양곡 장치보다 후방측의 개소에 걸친 넓은 범위에 걸쳐 액추에이터, 캠 기구 및 케이블 지지부를 설치하여, 작동 상태 전환 장치의 횡폭(기체 횡방향에서의 크기)을 그다지 커지지 않도록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탈곡 장치와 양곡 장치 사이에 배치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를 기체 전후 방향으로 통과시켜, 엔진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 상태 전환 장치는, 상기 배기관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기관의 배치에 기인하여 탈곡 장치와 곡립 저류부 사이에 있어서의 배기관의 하방에 생기는 빈 스페이스를 작동 상태 전환 장치의 배치 스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스페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가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부와 상기 곡립 저류부의 전방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치에 기인하여 탈곡 장치의 후방부와 곡립 저류부의 후방부 사이에 생기는 빈 스페이스를 작동 상태 전환 장치의 배치 스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특별한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엔진, 엔진 냉각용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를 냉각하기 위한 외기를 흡입하는 냉각 팬을 갖고, 또한 원동부 커버에 의해 덮인 원동부와,
상기 원동부 커버의 상부에 적재 지지된 운전 좌석을 갖고, 또한 상기 원동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운전부와,
상기 원동부의 기체 횡외측을 덮도록 설치되고, 방진망에 의해, 진애의 통과를 저지함과 함께 상기 냉각 팬에 의해 흡입된 외기의 통기를 허용하는 방진부와,
상기 방진망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원동부에, 상기 원동부 커버의 내면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진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내면부에, 상기 구동 장치의 전방부를 로크 가능한 커버측 로크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구동 장치의 전방부에, 상기 커버측 로크부에 로크 가능한 피로크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장치의 후방부를 상기 원동부 커버에 연결하는 연결 상태와 연결을 해제하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피로크부가 상기 커버측 로크부에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연결 기구가 상기 비연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피로크부를 비로크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원동부 커버의 하면측에 있어서, 구동 장치를 원동부의 기체 후방부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집어넣어, 먼저 피로크부를 커버측 로크부에 수용하여 로크시킨다. 피로크부가 커버측 로크부에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 기구를 연결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구동 기구를 원동부 커버의 하면측에 설치할 수 있다. 구동 장치를 원동부 커버의 하면측으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연결 장치를 비연결 상태로 전환한 후, 커버측 로크부와 피로크부를 비로크 상태로 전환하면, 구동 기구를 떼어낼 수 있다.
원동부의 기체 후방부측으로부터 연결 기구의 연결 작업이나 연결 해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연결 기구는 구동 기구의 후방부에 구비되므로, 손을 안쪽까지 집어넣을 필요가 없어,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진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의 설치 작업이나 떼어내기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로크부를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내면부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전방부가 상기 원동부 커버에 로크되도록, 상기 커버측 로크부는, 상기 내면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둔 상태에서 상기 원동부 커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원동부의 기체측으로부터 구동 장치를 원동부 커버의 하면측에서 전방측으로 집어넣을 때, 피로크부를 간극에 삽입함으로써, 피로크부가 커버측 로크부에 로크된다.
따라서, 구동 장치를, 원동부 커버의 하면측을 따라 기체 후방부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커버측 로크부에 로크시킬 수 있으므로, 로크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 장치에, 상기 제진 기구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피로크부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설치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원동부 커버 중, 상기 구동 장치가 설치되는 개소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 부재는, 상기 피로크부가 상기 간극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부와 상기 커버측 로크부의 로크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원동부 커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태와, 상기 개구로부터 빼내어진 상태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설치 부재의 후방부를 상기 원동부 커버에 연결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 장치의 설치 부재가 원동부 커버의 하면측에 설치되면, 원동부 커버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액추에이터가 상방으로 돌출된다. 액추에이터가 원동부 내의 고온의 공기에 노출될 우려가 적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구동 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피로크부를 간극에 삽입하여 커버측 로크부에 로크시켜 전방부측을 수용하여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개구를 통해 상면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어, 설치 작업이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운전부의 후방에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는, 후방부측의 종축심 주위로,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저류 자세와,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자세에 걸쳐 요동 가능하고,
상기 원동부 커버에, 상기 원동부를 후방측으로부터 덮는 후방부측 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측 벽부는, 상기 원동부를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원동부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 탱크를 돌출 자세로 자세 변경시킴으로써, 원동부의 후방부측에 작업용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구동 장치의 떼어내기 작업이나 설치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구동 장치의 떼어내기 작업이나 설치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원동부 커버 중 후방부측 벽부를 개방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작업이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한, 원동부 이외의 다른 개소에서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행할 때에는, 후방부측 벽부를 장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행함으로써, 작업자가 원동부의 장치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 전체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도시하는 후방면도이다.
도 4는 작동 상태 전환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팬 제어 및 탈곡 제어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7은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8은 원동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9는 회전 상태 전환 기구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회전 상태 전환 기구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1은 정회전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상태 전환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역회전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상태 전환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구동 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운전부 구조체의 자세 전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운전부 구조체의 프레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운전부 구조체의 자세 전환에 수반되는 안내 부재의 분리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의 구성에 대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의 기체(1)에 관하여, 도 1, 도 2에 나타난 화살표 F의 방향을 「기체 전방」, 화살표 B의 방향을 「기체 후방」,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L의 방향을 「기체 좌측」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R의 방향을 「기체 우측」으로 한다.
콤바인은,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의 프레임 부재 등을 조합하여 구성된 기체(1) 및 기체(1)의 양 횡측부에 장비된 크롤러식 주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1)의 전방부의 횡 일단부측 부분에 운전부(3)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3)에 조종 공간을 덮는 캐빈(4)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3)의 하방에, 디젤형 엔진(5)을 갖는 원동부(6)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1)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운전부측과 반대측의 횡측 부분에 예취부(7)가 연결되어 있다. 예취부(7)는, 하강 작업 상태와 상승 비작업 상태에 걸쳐 요동 승강 조작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기체(1)의 후방부에 탈곡 장치(8)와 곡립 저류부(9)가 횡배열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8)와 곡립 저류부(9)는, 곡립 저류부(9)가 운전부(3)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기체 횡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저류부(9)로서, 곡립 탱크가 채용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주머니 포장용 곡립 저류부를 채용해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곡립 저류부를 곡립 탱크(9)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곡립 탱크(9)의 기체 횡외측에 탱크 커버(9a)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8)와 곡립 탱크(9) 사이에 있어서, 탈곡 장치(8)의 곡립 배출부(8a)(도 3 참조)로부터 양곡 장치(10)가 상방으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양곡 장치(10)는, 곡립 탱크(9)의 탈곡 장치(8)를 향하는 측벽에 형성된 요입부(9b)에 들어가 있다. 곡립 탱크(9)의 후단부(9c)에 곡립 배출 장치(11)가 접속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예취부(7)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강시키고, 이 상태에서 기체(1)를 주행시킴으로써, 벼, 보리, 대두 등의 수확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예취부(7)에 있어서, 기체(1)의 전방에 위치하는 식립 곡간이 바리캉형 예취 장치(7a)에 의해 예취되고, 예취 곡간이 공급 반송 장치(7b)에 의해 탈곡 장치(8)의 전방부로 반송된다. 탈곡 장치(8)에 있어서, 공급 반송 장치(7b)로부터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이 탈곡 피드 체인(8b)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탈곡 장치(8)의 후방을 향해 반송되고,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이 급실(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급동(8c)에 의해 탈곡 처리되고, 탈곡 배출 짚이 탈곡 피드 체인(8b)에 의해 급실로부터 배출된다. 탈곡 처리 후의 곡립이 진애와 선별되고, 선별 후의 곡립이 양곡 장치(10)의 반송 시단부에 반송되어 양곡 장치(10)에 의해 곡립 탱크(9)를 향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양곡 장치(10)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곡립 탱크(9)에 공급되어 저류된다. 곡립 탱크(9)에 저류된 곡립이 곡립 배출 장치(11)에 의해 배출된다.
〔엔진(5)의 배기 가스 정화의 구성에 대해〕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6)의 엔진 룸 내에 있어서의 엔진(5)의 상방 개소에 제1 배기 가스 정화 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룸의 후방 외측에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는, 탈곡 장치(8)의 전방부와 곡립 탱크(9)의 전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는, 곡립 탱크(9)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기체 횡내측 부분에 형성된 요입부에 들어가 있다.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의 토출부로부터 배기관(14)이 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배기관(14)은,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의 토출부로부터 탈곡 장치(8)와 곡립 탱크(9) 사이를 후방 상향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의 상방에 이르고, 양곡 장치(10)의 부근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기체 횡외측(탈곡 장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개구되는 상태로 배관되어 있다. 배기관(14)은,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로부터 양곡 장치(10)의 부근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탈곡 장치(8)와 곡립 탱크(9)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다.
엔진(5)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가 제1 배기 가스 정화 장치(12)에 흡입된다. 제1 배기 가스 정화 장치(12)에 있어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디젤 미립자가 포집 필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포집되고, 디젤 미립자를 감소시키는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가 행해진다. 제1 배기 가스 정화 장치(12)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가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에 흡입된다.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에 있어서, 배기 가스에 요소수가 분사되고,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을 감소시키도록 정화 처리가 행해진다.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가 배기관(14)에 의해 기체(1)의 후방부 상방 개소로부터 배출된다.
〔엔진 냉각의 구성에 대해〕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동부(6)에, 엔진 냉각용 회전 팬(15) 및 엔진 냉각용 라디에이터(16)가 설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16)는, 회전 팬(15)보다 기체 횡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팬(15)이 엔진(5)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송풍 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냉각풍이 원동부(6)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흡인되어 흡인된 냉각풍이 라디에이터(16)에 라디에이터(16)의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공급되어, 엔진 냉각수가 라디에이터(16)에 의해 냉각된다.
〔회전 팬(15)의 제어 및 탈곡 장치(8)의 제어의 구성에 대해〕
엔진(5)의 동력을 회전 팬(15)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에, 정회전 클러치(17)(도시하지 않음) 및 역회전 클러치(18)(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정회전 클러치(17)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이 정회전 클러치(17)에 의해 정회전 방향의 동력으로서 회전 팬(15)에 전달되어 회전 팬(15)이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고, 라디에이터(16)에 라디에이터(16)의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송풍된다. 즉, 회전 팬(15)에 의해 냉각풍이 라디에이터(16)에 공급된다. 역회전 클러치(18)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이 역회전 클러치(18)에 의해 역회전 방향의 동력으로서 회전 팬(15)에 전달되어 회전 팬(15)이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되고, 라디에이터(16)에 라디에이터(16)의 기체 횡내측으로부터 송풍된다. 즉, 회전 팬(15)에 의해 청소풍이 라디에이터에 공급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회전 클러치(17)의 조작부 및 역회전 클러치(18)의 조작부가 각각의 조작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조작 케이블(19, 20)을 통해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엔진(5)의 동력을 탈곡 장치(8)에 전달하는 탈곡 동력 전달계에 설치되고, 탈곡 장치(8) 중 급동(8c) 및 선별부에 대한 동력 전달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탈곡 클러치(22)의 조작부가 조작 케이블(23)을 통해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탈곡 동력 전달계에 설치되고, 탈곡 장치(8) 중 탈곡 피드 체인(8b)에 대한 동력 전달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체인 클러치(24)의 조작부가 조작 케이블(25)을 통해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는, 제어 장치(26)가 연계되어 있다. 제어 장치(26)에는, 탈곡 레버(27)에 검출 작용하는 조작 위치 검출 센서(28)가 연계되어 있다.
탈곡 레버(27)는, 온 위치[온]와 오프 위치[오프]로 전환 조작 가능한 상태로 운전부(3)에 설치되어 있다. 탈곡 레버(27)의 조작 위치가 조작 위치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되고, 조작 위치 검출 센서(28)에 의한 검출 결과가 제어 장치(26)에 입력된다.
제어 장치(26)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26)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제어부(29), 엔진 구동 시간 계측부(29a) 및 탈곡 제어부(30)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 구동 시간 계측부(29a)에 있어서는, 엔진 시동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엔진(5)이 구동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계측된다. 엔진 구동 시간 계측부(29a)에 의한 경과 시간의 계측은, 엔진(5)이 정지될 때마다 리셋되어 처음부터 다시 행해진다. 엔진 구동 시간 계측부(29a)에 의한 엔진 구동 시간의 계측은, 엔진 구동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팬 제어부(29)에 있어서는, 엔진 구동 시간 계측부(29a)에 의한 계측 결과를 기초로, 엔진(5)의 구동 계속 시간이 설정 계속 시간이 될 때마다, 회전 팬(15)을 설정 역회전 시간 동안만큼 역회전 구동시켜야 할 팬 지령이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출력된다. 탈곡 제어부(30)에 있어서는, 조작 위치 검출 센서(28)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탈곡 클러치(22) 및 체인 클러치(24)를 온 상태나 오프 상태로 조작시켜야 할 탈곡 지령이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출력된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의 구성에 대해〕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캠 기구(31), 제1 액추에이터로서의 제1 전동 모터(M1), 제2 캠 기구(32), 제2 액추에이터로서의 제2 전동 모터(M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캠 기구(31)는, 정회전 클러치(17)의 조작 케이블(19)에 있어서의 이너 케이블이 헐거운 단부에 연동 연결된 요동 링크(도시하지 않음), 역회전 클러치(18)의 조작 케이블(20)에 있어서의 이너 케이블이 헐거운 단부에 연동 연결된 요동 링크(도시하지 않음), 정회전 클러치(17)의 요동 링크에 대응하는 회전 캠부와, 역회전 클러치(18)의 요동 링크에 대응하는 회전 캠부를 갖고 양쪽의 요동 링크를 순차적으로 조작하는 회전 캠(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캠 기구(32)는, 탈곡 클러치(22)의 조작 케이블(23)에 있어서의 이너 케이블이 헐거운 단부에 연동 연결된 요동 링크(도시하지 않음), 체인 클러치(24)의 조작 케이블(25)에 있어서의 이너 케이블이 헐거운 단부에 연동 연결된 요동 링크(도시하지 않음), 탈곡 클러치(22)의 요동 링크에 대응하는 회전 캠부와, 체인 클러치(24)의 요동 링크에 대응하는 회전 캠부를 갖고 양쪽의 요동 링크를 순차적으로 조작하는 회전 캠(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있어서는, 팬 제어부(29)로부터 회전 팬(15)을 역회전시켜야 할 지령이 입력되면, 이 지령을 기초로, 제1 전동 모터(M1)가 구동되어 제1 캠 기구(31)가 제1 전동 모터(M1)의 동력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 케이블(19)을 오프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제1 캠 기구(31)가 먼저 작동 장치로서의 정회전 클러치(17)를 한쪽의 작동 상태로서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정회전 클러치(17)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제1 캠 기구(31)가 제1 전동 모터(M1)에 의해 다시 조작되어 조작 케이블(20)을 온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제1 캠 기구(31)가 다음으로 작동 장치로서의 역회전 클러치(18)를 한쪽의 작동 상태로서의 온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역회전 클러치(18)가 온 상태가 되고 나서 설정 역회전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전동 모터(M1)가 이전과는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1 캠 기구(31)가 제1 전동 모터(M1)의 동력에 의해 조작되어 먼저 조작 케이블(20)을 오프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제1 캠 기구(31)가 먼저 역회전 클러치(18)를 다른 쪽의 작동 상태로서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역회전 클러치(18)가 오프 상태로 복귀되면, 제1 캠 기구(31)가 제1 전동 모터(M1)에 의해 다시 조작되어 조작 케이블(19)을 온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제1 캠 기구(31)가 다음으로 정회전 클러치(17)를 다른 쪽의 작동 상태로서의 온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있어서는, 탈곡 제어부(30)로부터 탈곡 장치(8)를 구동시켜야 할 지령이 입력되면, 이 지령을 기초로, 제2 전동 모터(M2)가 구동되어 제2 캠 기구(32)가 제2 전동 모터(M2)의 동력에 의해 조작되어 먼저 조작 케이블(23)을 온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제2 캠 기구(32)가 작동 장치로서의 탈곡 클러치(22)를 한쪽의 작동 상태로서의 온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탈곡 클러치(22)가 온 상태가 되면, 제2 캠 기구(32)가 제2 전동 모터(M2)에 의해 다시 조작되어 조작 케이블(25)을 온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제2 캠 기구(32)가 작동 장치로서의 체인 클러치(24)를 한쪽의 작동 상태로서의 온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있어서는, 탈곡 제어부(30)로부터 탈곡 장치(8)를 정지시켜야 할 지령이 입력되면, 이 지령을 기초로, 제2 전동 모터(M2)가 구동되어 제2 캠 기구(32)가 제2 전동 모터(M2)의 동력에 의해 조작되어 먼저 조작 케이블(25)을 오프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제2 캠 기구(32)가 체인 클러치(24)를 다른 쪽의 작동 상태로서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체인 클러치(24)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제2 캠 기구(32)가 제2 전동 모터(M2)의 동력에 의해 다시 구동되어 조작 케이블(23)을 오프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제2 캠 기구(32)가 탈곡 클러치(22)를 다른 쪽의 작동 상태로서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한다.
즉, 엔진(5)을 구동한 경우, 엔진(5)의 구동 계속 시간이 설정 계속 시간이 될 때마다, 제1 전동 모터(M1)가 팬 제어부(29)에 의해 팬 역회전 조작측으로 구동 제어되어 제1 캠 기구(31)가 제1 전동 모터(M1)의 동력에 의해 조작되고, 정회전 클러치(17) 및 역회전 클러치(18)가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의해 제1 캠 기구(31)에 의해 설정되는 적절한 타이밍에 전환 조작되고, 정회전 클러치(17)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나서 역회전 클러치(18)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 회전 팬(15)이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역회전 클러치(18)가 온 상태로 전환되고 나서 설정 역회전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전동 모터(M1)가 팬 제어부(29)에 의해 팬 정회전 조작측으로 구동 제어되어 제1 캠 기구(31)가 제1 전동 모터(M1)의 동력에 의해 조작되고, 정회전 클러치(17) 및 역회전 클러치(18)가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의해 제1 캠 기구(31)에 의해 설정되는 적절한 타이밍에 전환 조작되고, 역회전 클러치(18)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나서 정회전 클러치(17)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 회전 팬(15)이 정회전 방향의 구동 상태로 복귀된다. 즉, 엔진(5)의 구동 계속 시간이 설정 계속 시간이 될 때마다, 회전 팬(15)에 정회전 동력과 역회전 동력이 동시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회전 팬(15)이 설정 역회전 시간 동안만큼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되고, 라디에이터(16)에 청소풍이 공급된다.
탈곡 레버(27)를 온 위치[온]로 조작하면, 제2 전동 모터(M2)가 탈곡 제어부(30)에 의해 탈곡 구동 조작측으로 구동 제어되어 제2 캠 기구(32)가 제2 전동 모터(M2)의 동력에 의해 조작되고, 탈곡 클러치(22) 및 체인 클러치(24)가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의해 제2 캠 기구(32)에 의해 설정되는 적절한 타이밍에 전환 조작되고, 탈곡 클러치(22)가 온 상태로 전환되고 나서 체인 클러치(24)가 온 상태로 전환된다. 즉, 탈곡 클러치(22)가 온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급동(8c) 및 선별부가 구동되어 탈곡부의 훑기 처리가 가능해지고, 또한 선별부의 선별 처리가 가능해지고 나서, 체인 클러치(24)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 탈곡 피드 체인(8b)이 구동되고, 예취 곡간이 급실에 공급된다.
탈곡 레버(27)를 오프 위치[오프]로 조작하면, 제2 전동 모터(M2)가 탈곡 제어부(30)에 의해 탈곡 정지 조작측으로 구동 제어되어 제2 캠 기구(32)가 제2 전동 모터(M2)의 동력에 의해 조작되고, 탈곡 클러치(22) 및 체인 클러치(24)가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에 의해 제2 캠 기구(32)에 의해 설정되는 적절한 타이밍에 전환 조작되고, 체인 클러치(24)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나서 탈곡 클러치(22)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즉, 피드 체인 클러치(24)가 오프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탈곡 피드 체인(8b)이 정지하여 탈곡 배출 짚의 급실로부터의 배출이 종료되고 나서, 탈곡 클러치(22)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 급동(8c) 및 선별부가 정지된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33)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 프레임(33)은, 기체 상하 방향의 프레임 부재 및 기체 전후 방향의 프레임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3)의 상부에 제1 캠 기구(31) 및 제1 전동 모터(M1)가 지지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3)의 후방 하부에 제2 캠 기구(32) 및 제2 전동 모터(M2)가 지지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3)에 있어서의 전방부의 상하 3개소에 케이블 지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3) 중 제2 캠 기구(32)를 지지하는 부분에 케이블 지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는,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8)의 후방부와 곡립 탱크(9)의 후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는, 탈곡 장치(8)의 후방부와 곡립 탱크(9)의 후방부 사이 중 탈곡 장치(8)와 양곡 장치(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곡 장치(10)보다 전방측의 개소와, 양곡 장치(10)보다 후방측의 개소에 걸쳐 위치하는 상태이며, 또한 배기관(14)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탈곡 장치(8)와 양곡 장치(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3)이 기체(1)의 프레임에 기립 설치되고, 또한 장치 프레임(33)의 상부에 구비된 연결부(33a)가 탈곡 장치(8)의 측벽(8d)에 연결되어 있고,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는 기체(1)와, 탈곡 장치(8)의 측벽(8d)에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의 3개소의 케이블 지지부(34) 중 제1 케이블 지지부(34a)와 제2 케이블 지지부(34b)에, 정회전 클러치(17)의 조작 케이블(19)에 있어서의 아우터 케이블의 단부와, 역회전 클러치(18)의 조작 케이블(20)에 있어서의 아우터 케이블의 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전방부의 3개소의 케이블 지지부(34) 중 제3 케이블 지지부(34c)와, 후방부의 케이블 지지부(35)에, 탈곡 클러치(22)의 조작 케이블(23)에 있어서의 아우터 케이블의 단부와, 체인 클러치(24)의 조작 케이블(25)에 있어서의 아우터 케이블의 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4개의 조작 케이블(19, 20, 23, 25)은,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로부터 기체 전방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캠 기구(31) 및 제1 액추에이터로서의 제1 전동 모터(M1)를 갖는 제1 조작 유닛과, 제2 캠 기구(32), 제2 액추에이터로서의 제2 전동 모터(M2)를 갖는 제2 조작 유닛의 2개의 조작 유닛에 의해 복수의 조작 대상의 작동 장치를 조작하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조작 대상의 작동 장치에 의해서는, 복수의 작동 장치를 1개의 조작 유닛에 의해 조작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작동 장치를 3개 이상의 조작 유닛에 의해 조작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클러치가 조작 대상의 작동 장치로 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3개 이하 혹은 5개 쌍 이상의 클러치를 조작 대상의 작동 장치로 해도 된다. 또한, 변속 장치 등 클러치 이외를 조작 대상의 작동 장치로 해도 된다.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가 탈곡 장치(8)와 양곡 장치(10) 사이에 배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탈곡 장치(8)와 곡립 저류부(9) 사이 중, 탈곡 장치(8)와 양곡 장치(10) 사이로부터 벗어난 개소에 배치해도 된다.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가 양곡 장치(10)보다 전방측의 개소와, 양곡 장치(10)보다 후방측의 개소에 걸쳐 배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양곡 장치(10)보다 후방측만의 개소, 혹은 양곡 장치(10)보다 전방측만의 개소에 배치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동 상태 전환 장치(21)가 탈곡 장치(8)의 측벽(8d)에 지지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기체(1)에 지지될 뿐이며, 탈곡 장치(8)의 측벽(8d)에 지지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로서 전동 모터(M1, M2)가 채용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전동 솔레노이드 등 어떠한 액추에이터를 채용해도 된다.
(6)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배기 가스 정화 장치(12)가 엔진 룸에 설치되고,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가 탈곡 장치(8)의 전방부와 곡립 저류부로서의 곡립 탱크(9)의 전방부 사이에 설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제1 배기 가스 정화 장치(12) 및 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13) 중 어느 한쪽만을 탈곡 장치(8)의 전방부와 곡립 저류부의 전방부 사이에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1, 1001)를 구비한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1002)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의 전방부 우측에 캐빈(1003)으로 주위가 덮인 운전부(1004)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후방부에는, 예취부(1002)에서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1005)와, 탈곡 처리로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006)가 횡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의 운전부(1004)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007)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원동부(1008)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에는, 곡립 탱크(1006)에 저류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00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의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기체 진행 방향을 따라 정의하고, 기체의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기체 진행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즉, 도 6 및 도 7에 부호 (F)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전방측, 도 6 및 도 7에 부호 (B)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후방측이다. 도 7에 부호 (L)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좌측, 도 7에 부호 (R)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우측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04)에는, 운전 좌석(1007), 운전 좌석(1007)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론트 패널(1010), 이 프론트 패널(1010)과 운전 좌석(1007)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부(1011), 운전 좌석(1007)의 예취부(1002)측의 횡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1012)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도 6, 도 7,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1008)의 상측을 덮는 원동부 커버(1014)는, 엔진(1013)의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벽부(1014a)와, 엔진(1013)의 기체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측 벽부(1014b)와,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부측 벽부(1014c)를 구비하고 있고, 기체 횡방향으로 개구된 엔진 룸을 형성하고 있다. 전방측 벽부(1014a)와 상측 벽부(1014b)는 일련으로 연속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기체 프레임(1015)에 고정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후방부측 벽부(1014c)는 상측 벽부(1014b)의 후단부 에지에 볼트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볼트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떼어내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후방부측 벽부(1014c)는 원동부(1008)를 덮는 폐쇄 상태와, 원동부(1008)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상측 벽부(1014b)의 상방측이며 운전 좌석(1007)의 후방측에는 급기실이 형성되고, 급기실의 내부에는, 외기를 정화하여 엔진(1013)에 대한 연소용 공기로서 공급하는 에어 클리너(1017)가 구비되어 있다. 급기실의 상부 개소에 외기를 예비적으로 정화하여 에어 클리너(1017)에 공급하는 프리 클리너(1018)가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1008)에는, 엔진(1013)과, 그 엔진(1013)의 냉각용 라디에이터(1019)와, 엔진(1013)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라디에이터(1019)에 냉각풍을 통풍하는 냉각 팬으로서의 팬(1020)이 구비되어 있다. 라디에이터(1019)는, 원동부 커버(1014)의 우측 횡측 하방측에 구비되어 있다. 라디에이터(1019)의 횡측방에는, 방진망(1021a)에 의해 진애의 통과를 저지함과 함께 팬(1020)에 의해 흡입된 외기의 통기를 허용하는 방진부(1021)가 구비되어 있다. 방진망(1021a)은, 외기를 흡기하는 개소의 전체면을 덮는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1022)에 대해 후방부 종축심 주위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022)은, 기체 프레임(1015)에 지지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 커버(1014), 프론트 패널(1010), 사이드 패널(1012), 바닥부(1011), 운전 좌석(1007), 캐빈(1003) 등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운전부 구조체(10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운전부 구조체(102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1007)의 좌측 후방부측의 상하 축심(Y1)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015)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부 구조체(1024)는,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통상 사용 자세(도 7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횡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자세(도 7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1019)의 횡외측의 외주부에는, 방진망(1021a)을 통과한 외기를 도입하는 도입 경로를 구성하는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안내 부재(1025)가 구비되어 있다. 도 6,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안내 부재(1025)는 급기량을 많게 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광폭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8,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1025)는 좌우 중간에서 내측 안내 부재(1025A)와 외측 안내 부재(1025B)로 분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측 안내 부재(1025A)는, 기체 프레임(1015)에 위치 고정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외측 안내 부재(1025B)는, 운전부 구조체(1024)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02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안내 부재(1025A)와 외측 안내 부재(1025B)는, 평면에서 보아 상하 축심(Y1)의 주위 방향을 대략 따르도록 대략 원호 형상의 분할선을 따라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할 구성으로 함으로써, 안내 부재(1025)가 전후 방향으로 광폭으로 설치되는 것이라도,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운전부 구조체(1024)의 자세 전환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곡립 탱크(1006)도 운전부 구조체(1024)와 마찬가지로, 후방부측의 종축 중심(Y2)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015)에 지지되어 있고,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통상 사용 자세(도 7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횡외측으로 돌출된 메인터넌스 자세(도 7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곡립 탱크(1006)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전환한 상태에서, 운전부 구조체(1024)를 돌출 자세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상태 전환 기구〕
(제진 기구)
원동부(1008) 내에는, 방진망(1021a)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기구로서, 팬(1020)을 냉각용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정회전 상태와 제진용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역회전 상태로 전환 가능한 회전 상태 전환 기구(1026)가 구비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상태 전환 기구(1026)에는, 엔진(1013)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측의 무단 회동체로서의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와,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내주면에 접하는 정회전용 풀리(1028)와,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외주면에 접하는 역회전용 풀리(1029)와, 정회전용 풀리(1028), 역회전용 풀리(1029) 및 팬 구동용 풀리(1030)의 각각에 걸쳐 권회되는 제2 동력 전달 벨트(1031)와, 정회전용 풀리(1028) 및 역회전용 풀리(1029)를 지지하는 전환 부재(1032)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는, 엔진(1013)의 측면에 지지된 회전축(10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공회전 풀리(1034)와, 엔진(1013)의 출력 풀리(1035)와, 얼터네이터(1036)의 입력 풀리(1037)에 걸쳐 권회되어 있다. 얼터네이터(1036)의 케이스 상부의 횡축심(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텐션 암(1038a)의 선단에, 텐션 풀리(1038b)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텐션 암(1038a)을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텐션 풀리(1038b)가 항시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외면으로 압박되어,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동력 전달 벨트(1031)가 권회되는 팬 구동용 풀리(1030)는, 회전축(103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지지되어 있다. 이 팬 구동용 풀리(1030)의 보스부에 팬(1020)의 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팬(1020)은 팬 구동용 풀리(103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전환 부재(1032)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전환 부재(1032)의 하나의 코너부 개소가 보스부를 통해 회전축(103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부재(1032)의 다른 2개의 코너부 개소 각각에 위치하는 지지 축(1039, 1040)에, 정회전용 풀리(1028)와 역회전용 풀리(102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회전용 풀리(1028) 및 역회전용 풀리(1029)는 각각,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에 접촉하는 제1 접촉부(1028a, 1029a)와, 제2 동력 전달 벨트(1031)에 접촉하는 제2 접촉부(1028b, 1029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13)의 출력 풀리(1035)가 엔진(1013)의 작동에 수반하여 회전하여,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가 도면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상시 회동하는 상태로 구동되고 있다. 그리고 전환 부재(1032)를 도 11에 도시한 정회전 위치(A1)로 요동 조작하면, 팬(1020)을 냉각용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정회전 상태가 된다. 즉, 정회전용 풀리(1028)의 제1 접촉부(1028a)가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내주면으로 압박되어,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동력이 정회전용 풀리(1028)의 제2 접촉부(1028b) 및 제2 동력 전달 벨트(1031)를 통해, 팬 구동용 풀리(1030)에 정회전용 동력으로서 전달되고, 팬(1020)이 도 11에 도시한 시계 방향으로 정회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팬(1020)이 정회전 구동되면, 팬(1020)의 흡인 작용에 의해 외기가 냉각풍으로서, 방진망(1021a)으로부터 라디에이터(1019)를 통해 엔진(1013)측으로 흐르는 통상의 통풍 상태가 된다.
전환 부재(1032)를 도 12에 도시한 역회전 위치(A2)로 요동 조작하면, 팬(1020)을 제진용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역회전 상태가 된다. 즉, 역회전용 풀리(1029)의 제1 접촉부(1029a)가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외주면으로 압박되어,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동력이 역회전용 풀리(1029)의 제2 접촉부(1029b) 및 제2 동력 전달 벨트(1031)를 통해, 팬 구동용 풀리(1030)에 역회전용 동력으로서 전달되고, 팬(1020)이 도 12에 도시한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팬(1020)이 역회전 구동되면, 팬(1020)의 분출 작용에 의해 공기가 통상의 통풍 상태와는 반대로 흘러, 라디에이터(1019)의 표면 및 방진망(1021a)에 부착된 티끌 등이 날려간다.
〔구동 장치〕
전환 부재(1032)를 이동 조작하여 정회전용 풀리(1028) 및 역회전용 풀리(1029)를 일체적으로 위치 변경 조작 가능한 구동 장치(1041)가 구비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1041)는, 전환 부재(1032)의 상방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액추에이터로서의 전동 모터(1042)와, 이 전동 모터(1042)에 의해 구동되는 소직경의 출력 기어(1043)가 맞물려 구동되는 대직경의 종동 기어(1044)와, 종동 기어(1044)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회동 조작 부재(1045)와, 그것들을 지지함과 함께, 원동부 커버(1014)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1046)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장치(1041)는, 원동부 커버(1014)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부재(1046)는, 상부측에 위치하는 수평 자세의 상부 설치부(1047)와, 상부 설치부(1047)의 좌우 중간부의 하측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종판부(1048)와, 그것들에 걸쳐 설치된 비스듬한 자세의 보강판(1049)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 모터(1042)의 기어 케이스부(1042a)가 종판부(1048)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전동 모터(1042)의 회전축(1042b)이 종판부(1048)를 삽입 관통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회전축(1042b)의 돌출부에 출력 기어(1043)가 구비되어 있다. 출력 기어(1043)가 맞물리는 대직경의 종동 기어(1044)가 좌우 방향의 고정축(1050)에 횡축심(P2)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축(1050)은 설치 부재(1046)의 종판부(1048)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 배치측과는 반대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 기어(1044)의 횡측면에는, 그 종동 기어(1044)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회동 조작 부재(1045)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1041)를 떼어내거나, 설치하거나 하는 작업은, 곡립 탱크(1006)를 메인터넌스 자세로 전환한 후에, 원동부(1008)의 후방측으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원동부 커버(1014)의 후방부측 벽부(1014c)를 떼어내어 둘 필요가 있다.
원동부 커버(1014)에 대한 구동 장치(1041)의 설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장치(1041)는, 원동부 커버(1014)의 내면부의 일례로서의 상측 벽부(1014b)의 하측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원동부 커버(1014)에 있어서의 상측 벽부(1014b)의 하측에, 구동 장치(1041)의 전방부를 로크 가능한 커버측 로크부(1051)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 장치(1041)의 전방부에는, 커버측 로크부(1051)에 로크 가능한 피로크부(105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1041)의 후방부를 원동부 커버(1014)에 연결하는 연결 상태와 연결을 해제하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연결 기구(1053)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 기구(1053)는, 피로크부(1052)가 커버측 로크부(1051)에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연결 기구(1053)가 비연결 상태로 전환되면, 커버측 로크부(1051)와 피로크부(1052)를 비로크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설명을 부가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 커버(1014)의 내면부(상측 벽부(1014b)의 하측)에 있어서, 설치 부재(1046)의 전방부측이 위치하는 개소에, 커버측 로크부(1051)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측 로크부(1051)는, 봉재를 정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부린 형상이며, 설치 부재(1046)의 횡폭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 방향 양 측단부가 원동부 커버(1014)의 하면측에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커버측 로크부(1051)와 원동부 커버(1014)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부재(1046)에 있어서의 상부 설치부(1047)는, 평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 각각에 폭이 넓은 직사각 형상이며 좌우 양 측단부가 정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로크용 지지체(1047A)와, 로크용 지지체(1047A)의 상측의 전방부측 개소에 연결된 정면에서 보아 역U자형의 연결용 지지체(1047B)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용 지지체(1047A)의 전방부의 좌우 양 측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피로크부(105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피로크부(1052)는 커버측 로크부(1051)에 수용하여 로크된다. 연결용 지지체(1047B)는, 로크용 지지체(1047A)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로크용 지지체(1047A)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용 지지체(1047B)의 전방 돌출부에 좌우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1054)이 형성되어 있다. 원동부 커버(1014)에는, 삽입 관통 구멍(1054)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 한 쌍의 용접 볼트(1055)가 구비되어 있다. 용접 볼트(1055)가 삽입 관통 구멍(1054)을 삽입 관통하도록 하여, 연결용 지지체(1047B)를 원동부 커버(1014)에 하면측으로부터 대고, 너트(1056)로 체결함으로써, 구동 장치(1041)의 후방부를 원동부 커버(1014)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1055)·너트(1056)에 의해 연결 기구(1053)가 구성되고, 이 연결 기구(1053)는 볼트(1055)·너트(1056)를 체결함으로써 구동 장치(1041)를 원동부 커버(1014)에 연결하는 연결 상태로 되고, 너트(1056)를 풂으로써 연결을 해제하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피로크부(1052)를 커버측 로크부(1051)와 원동부 커버(1014)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구동 장치(1041)의 전방부가 원동부 커버(1014)에 로크되도록, 커버측 로크부(1051)는 내면부와의 사이에 삽입용 간극(S)을 둔 상태에서 원동부 커버(1014)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1041)는, 원동부 커버(1014)의 상측 벽부(1014b)에 하측으로부터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 모터(1042)의 모터 본체부(1042c)가 원동부 커버(1014)에 형성된 개구(1057)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구동 장치(1041)를 원동부 커버(1014)에 설치할 때에는, 피로크부(1052)를 커버측 로크부(1051)에 로크하여 연결 기구(1053)를 연결 상태로 전환함(볼트·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고정한다. 이때, 피로크부(1052)는, 커버측 로크부(1051)와 내면부 사이의 간극(S)을 통해 후방부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로크 상태로 전환한다. 이 로크 상태에서는, 설치 부재(1046)는 후방부측이 하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가 된다.
설치 부재(1046)는, 피로크부(1052)가 간극(S)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피로크부(1052)와 커버측 로크부(1051)의 로크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동 모터(1042)가 개구(1057)를 통해 원동부 커버(1014)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도록 요동 조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용접 볼트(1055)가 삽입 관통 구멍(1054)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가 되어, 볼트(1055)·너트(1056)를 체결할 수 있다.
구동 장치(1041)를 떼어낼 때에는, 연결 기구(1053)를 비연결 상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볼트(1055)·너트(1056)의 체결을 해제한다. 비연결 상태로 전환되면, 커버측 로크부(1051)와 피로크부(1052)를 비로크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전동 모터(1042)를 원동부 커버(1014)의 개구(1057)를 통해 하방으로 빼면서, 피로크부(1052)를 커버측 로크부(1051)로부터 풀어서, 구동 장치(1041) 전체를 후방측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덧붙여, 운전부 구조체(1024)를 통상 작업 자세로부터 돌출 자세로 전환할 때에는, 구동 장치(1041)를 장착한 채 그대로이면, 구동 장치(1041)가 라디에이터(1019)에 간섭하기 때문에, 구동 장치(1041)를 미리 떼어내어 둘 필요가 있다.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3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대략 부채 형상의 권취 부재(1058)와, 이 권취 부재(1058)와 회동 조작 부재(1045)를 접속하는 와이어(1059)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1059)는, 일단부측이 회동 조작 부재(1045)에 설치한 핀(1045a)에 접속되고, 타단부측이 권취 부재(1058)에 설치한 핀(1058a)에 접속되어 있다.
권취 부재(1058)에는, 전환 부재(1032)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와이어(1059)가 회전축(1033)의 외주부를 원호 형상으로 우회하도록 권취 상태로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부(1058b)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조작 부재(1045)의 와이어 접속용 핀(1045a)과는 주위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핀(1045b)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1045b)과 전환 부재(1032)의 요동 단부측에 설치한 핀(1032a)에 걸쳐 스트로크 흡수용 스프링을 갖는 연계 로드(1060)가 접속되어 있다.
전동 모터(1042)를 구동하여, 회동 조작 부재(1045)를 정회전 위치측, 즉, 도 9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연계 로드(1060)를 통해 전환 부재(1032)가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32)가 정회전 위치(A1)에 대응하는 각도에 위치하여,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에 대한 장력이 적정한 정회전 상태가 되면, 핀(1045b)이 데드 포인트를 넘어,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장력에 의한 연계 로드(1060)를 통해 가해지는 인장력이 그때까지와는 역방향, 즉, 전동 모터(1042)에 의한 회동 조작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태로 전환되어, 전동 모터(1042)가 작동 정지하여, 그 상태가 유지된다.
전동 모터(1042)는, 내부에 웜 기어 감속 기구를 내장하고 있어, 전동 모터(1042)의 구동력이 없어도, 출력측으로부터의 구동 반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전동 모터(1042)의 회전 작동을 정지시킨 후에,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장력에 의해 종동 기어(1044)측으로부터 회전력이 작용해도, 그 회전이 저지된다.
다음으로, 전동 모터(1042)에 의해 회동 조작 부재(1045)를 반시계 방향으로 약 180°회전 구동하면, 와이어(1059)가 당김 조작되어, 전환 부재(1032)도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전환 부재(1032)가 역회전 위치(A2)로 요동 조작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32)가 역회전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에 위치하여,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에 대한 장력이 적정한 역회전 상태가 되면, 핀(1045a)이 데드 포인트를 넘어, 제1 동력 전달 벨트(1027)의 장력에 의한 와이어(1059)를 통해 가해지는 인장력이 그때까지와는 역방향, 즉, 전동 모터(1042)에 의한 회동 조작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태로 전환되어, 전동 모터(1042)가 작동 정지하여 그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 경우에, 전환 부재(1032)를 정회전 위치(A1)로부터 역회전 위치(A2)로 요동 조작하면, 전환 부재(1032)의 요동에 수반하여 연계 로드(1060)가 전환 부재(1032)측으로 당김 조작되게 되지만, 이와 동시에 연계 로드(1060)가 접속되는 회동 조작 부재(1045)의 핀(1045a)도 전환 부재(1032)측으로 이동하므로, 전환 부재(1032)의 정회전 위치(A1)로부터 역회전 위치(A2)로의 요동 조작에 대해 연계 로드(1060)가 큰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전동 모터(1042)를 정역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정회전 상태와 역회전 상태를 교대로 전환할 수 있다.
얼터네이터(1036)의 하방측에 위치시켜, 전환 부재(1032)의 요동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형 조작 위치 센서(10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위치 센서(1061)는, 센서 본체(1061a)에 횡축심(P3)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암(1061b)의 요동 단부측 개소와 전환 부재(1032)의 요동 단부측 개소의 사이를 링크(1062)로 연동 연계시켜 전환 부재(1032)의 요동 조작 위치에 따른 검출값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전동 모터(1042)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 이용의 제어부가 설치되고, 제어부는, 조작 위치 센서(1061)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1042)의 작동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장치(1041)의 액추에이터로서 전동 모터(1042)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전동 모터(1042) 대신에, 유압 모터, 전자기 솔레노이드 등, 다양한 구성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진 기구로서, 냉각 팬(1020)을 역회전 상태로 전환하여, 방진망(1021a)에 부착된 진애를 바람에 의해 날리도록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방진망(1021a)에 작용하는 브러시를 구비하여, 브러시를 회동 조작 혹은 슬라이드 조작하여, 방진망(1021a)에 부착된 진애를 긁어내는 구성, 혹은 다른 구성이어도 되고, 요컨대 방진망(1021a)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구성이면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원동부 커버(1014)에, 원동부를 후방측으로부터 덮는 후방부측 벽부(1014c)가 구비되고, 후방부측 벽부(1014c)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함으로써,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요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이러한 후방부측 벽부를 설치하는 일 없이, 원동부의 후방측을 항시 개방 상태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장치(1041)가 원동부 커버(1014)의 내면부로서, 원동부 커버(1014)의 상측 벽부(1014b)의 하측 개소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원동부 커버(1014)의 후방부면이나 횡측 개소 등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통형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차륜식 주행 장치, 차륜과 미니 크롤러를 조합한 주행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5 : 엔진
7 : 예취부
8 : 탈곡 장치
8d : 측벽
9 : 곡립 저류부(곡립 탱크)
10 : 양곡 장치
13 : 배기 가스 정화 장치(제2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4 : 배기관
17 : 작동 장치(정회전 클러치)
18 : 작동 장치(역회전 클러치)
19 : 조작 케이블
20 : 조작 케이블
21 : 작동 상태 전환 장치
22 : 작동 장치(탈곡 클러치)
23 : 조작 케이블
24 : 작동 장치(체인 클러치)
25 : 조작 케이블
31 : 캠 기구(제1 캠 기구)
32 : 캠 기구(제2 캠 기구)
34 : 케이블 지지부
35 : 케이블 지지부
M1 : 액추에이터(제1 전동 모터)
M2 : 액추에이터(제2 전동 모터)
1004 : 운전부
1006 : 곡립 탱크
1007 : 운전 좌석
1008 : 원동부
1014 : 원동부 커버
1014c : 후방부측 벽부
1020 : 팬
1021 : 방진부
1021a : 방진망
1026 : 제진 기구
1042 : 액추에이터
1046 : 설치 부재
1051 : 커버측 로크부
1052 : 피로크부
1053 : 연결 기구
1057 : 개구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엔진, 엔진 냉각용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를 냉각하기 위한 외기를 흡입하는 냉각 팬을 갖고, 또한 원동부 커버에 의해 덮인 원동부와,
    상기 원동부 커버의 상부에 적재 지지된 운전 좌석을 갖고, 또한 상기 원동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운전부와,
    상기 원동부의 기체 횡외측을 덮도록 설치되고, 방진망에 의해, 진애의 통과를 저지함과 함께 상기 냉각 팬에 의해 흡입된 외기의 통기를 허용하는 방진부와,
    상기 방진망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원동부에, 상기 원동부 커버의 내면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진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원동부 커버에, 상기 원동부를 후방측으로부터 덮는 후방부측 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측 벽부는, 상기 원동부를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원동부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내면부에, 상기 구동 장치의 전방부를 로크 가능한 커버측 로크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구동 장치의 전방부에, 상기 커버측 로크부에 로크 가능한 피로크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측 로크부 및 상기 피로크부보다 기체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부측 벽부가 상기 개방 상태일 때, 상기 구동 장치의 후방부를 상기 원동부 커버에 연결하는 연결 상태와 연결을 해제하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피로크부가 상기 커버측 로크부에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연결 기구가 상기 비연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피로크부를 비로크 상태로 전환 가능한, 콤바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부를 상기 커버측 로크부와 상기 내면부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전방부가 상기 원동부 커버에 로크되도록, 상기 커버측 로크부는, 상기 내면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둔 상태에서 상기 원동부 커버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에, 상기 제진 기구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피로크부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설치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원동부 커버 중, 상기 구동 장치가 설치되는 개소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 부재는, 상기 피로크부가 상기 간극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부와 상기 커버측 로크부의 로크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원동부 커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태와, 상기 개구로부터 빼내어진 상태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설치 부재의 후방부를 상기 원동부 커버에 연결 가능한, 콤바인.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의 후방에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는, 후방부측의 종축심 주위로,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저류 자세와,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자세에 걸쳐 요동 가능하고,
    상기 곡립 탱크가 상기 돌출 자세일 때, 상기 원동부 커버의 상기 후방부측 벽부가 상기 폐쇄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80158154A 2018-02-09 2018-12-10 콤바인 KR102652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1726A JP2019135970A (ja) 2018-02-09 2018-02-09 コンバイン
JPJP-P-2018-021726 2018-02-09
JP2018026873A JP7034754B2 (ja) 2018-02-19 2018-02-19 コンバイン
JPJP-P-2018-026873 2018-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792A KR20190096792A (ko) 2019-08-20
KR102652751B1 true KR102652751B1 (ko) 2024-04-01

Family

ID=6756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154A KR102652751B1 (ko) 2018-02-09 2018-12-10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2751B1 (ko)
CN (1) CN1101220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1380A (zh) * 2020-05-22 2020-08-21 江苏沃得农业机械股份有限公司 收割机散热器风扇正反转装置
CN113187595B (zh) * 2021-05-24 2022-11-11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工程机械散热系统和工程机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1262A (ja) 2007-07-06 2009-01-22 Kubota Corp 脱穀処理装置
JP2014045672A (ja) 2012-08-29 2014-03-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6043904A (ja) * 2014-08-27 2016-04-0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
JP2016117391A (ja)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クボタ トウモロコシ収穫機
JP2017057809A (ja) * 2015-09-17 2017-03-2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7890U (ko) 1980-12-08 1982-06-16
JP3754163B2 (ja) * 1997-02-24 2006-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水冷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における水ポンプ収納構造
CN2410862Y (zh) * 2000-03-08 2000-12-20 东方企业资产托管经营有限公司 联合收割机的发动机防尘罩
JP4758854B2 (ja) * 2006-09-06 2011-08-3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5921086B2 (ja) * 2011-05-19 2016-05-2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04024610B (zh) * 2013-09-19 2016-03-0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JP6355947B2 (ja) * 2014-03-20 2018-07-11 株式会社内山産業 野縁保持具
JP6238814B2 (ja) * 2014-03-28 2017-11-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205033768U (zh) * 2015-10-12 2016-02-17 黄静 多用税务账本悬挂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1262A (ja) 2007-07-06 2009-01-22 Kubota Corp 脱穀処理装置
JP2014045672A (ja) 2012-08-29 2014-03-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6043904A (ja) * 2014-08-27 2016-04-0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
JP2016117391A (ja)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クボタ トウモロコシ収穫機
JP2017057809A (ja) * 2015-09-17 2017-03-2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22051B (zh) 2023-02-28
CN110122051A (zh) 2019-08-16
KR20190096792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1499B2 (ja) 収穫機
KR102652751B1 (ko) 콤바인
JP6983516B2 (ja) 作業車
JP2016168975A (ja) コンバイン
JPH11113349A (ja) コンバイン
JP6245758B2 (ja) コンバイン
JP6226299B2 (ja) コンバイン
WO2014148123A1 (ja) コンバイン
JP6230245B2 (ja) コンバイン
JP6898067B2 (ja) コンバイン
JP4488414B2 (ja) キャビン付き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CN111918546B (zh) 收割机及作业机
JP2016021966A (ja) コンバイン
JP2019135970A (ja) コンバイン
JP6921887B2 (ja) コンバイン
CN110278764B (zh) 收获机及全喂入式联合收获机
JP5984724B2 (ja) コンバイン
JP2014183817A5 (ko)
JP7042725B2 (ja) 作業機
JP2014183820A (ja) コンバイン
JP6817093B2 (ja) 作業車
JP7262171B2 (ja) コンバイン
JP6041725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回収装置
JP3580419B2 (ja) コンバインの除塵装置
JP7133934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