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399B1 -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399B1
KR102647399B1 KR1020230061431A KR20230061431A KR102647399B1 KR 102647399 B1 KR102647399 B1 KR 102647399B1 KR 1020230061431 A KR1020230061431 A KR 1020230061431A KR 20230061431 A KR20230061431 A KR 20230061431A KR 102647399 B1 KR102647399 B1 KR 10264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xis
flexible display
shaf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0427A (ko
Inventor
김종윤
김정진
박영선
유중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2300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3390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7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427A/ko
Priority to KR102024003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 구조물, 두 개의 하우징 구조물을 연결하는 힌지 구조물, 상기 하우징 구조물들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물은 제1 톱니형 스퍼 기어, 제2 톱니형 스퍼 기어, 상기 제1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3 톱니형 스퍼 기어, 상기 제2 톱니형 스퍼 기어 및 상기 제3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4 톱니형 스퍼 기어, 제1 하우징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들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가이드 구조물과, 제2 하우징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이거들에 의해 제1 가이드 구조물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가이드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구조물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축 주변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가이드 구조물은 상기 제1 가상의 축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가상의 축 주변으로 회전되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통화, 동영상 재생,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다양한 기능을 보다 넓은 화면을 통해 이용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나, 화면이 커질수록 휴대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휴대용 전자 장치는 도 23과 같은 접는 구조물을 활용하여 휴대성을 높이일 수 있는 접이식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도 23은 종래 접이식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종래 접이식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2360), 하우징들(2311, 2312) 및 힌지부들(2321, 2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360)는 중심부가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들(2311, 2312)은 상기 디스플레이(2360)의 외곽을 감싸도록 마련되면서, 디스플레이(2360) 구동과 관련한 전자 요소가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들(2321, 2322)은 상기 하우징들(2311, 2312)의 중심 측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2360)가 180도로 펴지거나 0도로 접히는 동안 제1 하우징(2311) 및 제2 하우징(2312)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접이식 전자 장치는 힌지부들(2321, 2322)이 제1 하우징(2311)과 제2 하우징(2312)의 중심부 이음새 중 측면 부분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힌지부들(2321, 2322)은 제1 하우징(2311)과 제2 하우징(2312)을 지지하면서, 회전 중심이 디스플레이보다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폴딩 시, 디스플레이가 하우징들 안쪽으로 들어오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힌지부들(2321, 2322)이 디스플레이 아래에 위치할 수 없어 디스플레이의 측면부에 일정 이상의 폭과 넓이를 가지며 배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360)의 외곽을 감싸는 일부 하우징(예: 베젤, Bezel) 영역이 불필요하게 커질 수 있다.
또한, 종래 접이식 전자 장치는 폴딩 시, 디스플레이의 연장된 길이 변화를 다관절로 감당할 경우 외관 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하부에 힌지 구조물을 배치하여 베젤 영역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힌지 하우징을 통해 외관을 미려하게 마련할 수 있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제2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대향된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서로 접힐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과 대면되고, 펼친 상태에서 제1 면 및 제3 면은 동일 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주변부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주변부와 연결하는 힌지 구조물 및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3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되고 상기 제1 주변부와 상기 제2 주변부에서 또는 상기 제1 주변부와 상기 제2 주변부의 인접 영역에서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레이어(layer);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면과 나란한 제1 축 주위에서 회전 하는 제1 톱니형 스퍼 기어를 포함하는 제1 샤프트(shaft), 상기 제1 축과 나란한 제2 축 주변으로 회전가능한 제2 톱니형 스퍼 기어를 포함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1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3 톱니형 스퍼 기어, 상기 제2 톱니형 스퍼 기어 및 상기 제3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4 톱니형 스퍼 기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지만 상기 제2 톱니형 스퍼 기어와 상기 제3 톱니형 스퍼 기어 및 상기 제4 톱니형 스퍼 기어와는 결합하지 않는 제1 톱니형 스퍼 이너(inner) 기어를 가진 제1 굴곡진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축과 나란한 제1 가상의 축 주변으로 회전되는 제1 가이드 구조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지만 상기 제1 톱니형 스퍼 기어와 상기 제3 톱니형 스퍼 기어 및 상기 제4 톱니형 스퍼 기어와는 결합되지 않는 제2 톱니형 스퍼 이너 기어를 가진 제2 곡면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상의 축으로부터 오프셋(offset) 되고 상기 제1 축과 나란한 제2 가상의 축 주변으로 회전되는 제2 가이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과 결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 상기 힌지 구조물을 감싸는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물은 반타원형의 브라켓 센터들, 상기 브라켓 센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제1 메인 기어를 통해 제1 곡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 상기 브라켓 센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제2 메인 기어를 통해 제2 곡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브라켓 이너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 및 중앙 일측 영역을 지지하는 제1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 및 중앙 타측 영역을 지지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제1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가상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가상의 제2 회전축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공간 상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힌지 구조물이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면서,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베젤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기 대비 디스플레이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련한 외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및 커버 사이의 결합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힌지 구조물의 일부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힌지 구조물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힌지 구조물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브라켓 센터들과 관련한 구성들의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 중 브라켓 센터들과 브라켓 이너 기어들의 동작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가상 회전 축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배치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리벳 결합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300)의 리벳 형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자석 부재 배치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과 힌지 하우징의 결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과 힌지 하우징 및 하우징들과의 결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과 힌지 하우징 및 하우징 일부의 결합 과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힌지 구조물의 제1 접힘 각도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와 하우징과의 결합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 및 커버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2200) 내의 전자 장치(1901)의 블럭도이다.
도 23은 종래 접이식 전자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타입 힌지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부와 관련한 다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정 각도별 펼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정 각도별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침 상태의 일정 각도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힘 상태의 일정 각도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3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제3 타입 힌지 하우징이 적용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제3 타입 힌지 하우징이 적용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부를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림막 구조를 가지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림막 구조를 가지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및 커버 사이의 결합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디스플레이(50) (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1 커버(130), 제2 커버(140), 힌지 구조물이 내측에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101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플랫 상태(또는 펼침 상태)에서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103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플랫 상태에서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105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플랫 상태에서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201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플랫 상태에서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203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플랫 상태에서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205 상태 및 207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폴딩 상태의 전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107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플랫 상태에서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109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플랫 상태에서 후면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110)은 배치에 따라 제2 하우징(120)과 연속되게 배치되거나(예: 디스플레이(50)가 평평하게 펴졌을 때), 제2 하우징(120)과 나란하게(또는, 마주보게) 배치될(예: 디스플레이(50)가 접혔을 때)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예컨대, 적어도 일부가 금속 재질이나 비금속 재질로 마련되되, 디스플레이(50)를 지지하기 위해 일정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의 전면의 일부에는 디스플레이(50)의 상부 영역(51) 및 중앙 영역(52)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내측의 적어도 일부는 속이 비어 있는 형태로 마련되거나 또는 제1 커버(130)와 결합되면서 속이 비어 있는 형태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50) 구동에 필요한 전자 요소(예: 인쇄회로기판, 배터리 등)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상단부는 디스플레이(50) 상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120)은 배치에 따라 제1 하우징(110)과 연속되게 배치되거나(예: 디스플레이(50)가 평평하게 펴졌을 때), 제1 하우징(110)과 나란하게 배치될(예: 디스플레이(50)가 접혔을 때)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과 동일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과 상하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전면에는 디스플레이(50) 중 하부 영역(53) 및 중앙 영역(52) 중 하부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 내측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하우징(110)과 유사하게 속이 비어 있는 형태로 마련되거나, 제2 커버(140)와 결합하면서 속이 비어 있는 형태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50) 구동에 필요한 전자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120)의 하단부는 디스플레이(50)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하우징(150)은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접힘 상태에 따라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일측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201 상태 및 203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연속되게 상하로 배치되는 경우, 힌지 하우징(15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205 상태 및 207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경우, 힌지 하우징(15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측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150)의 두께(예: 도 2의 Z축 두께)는 제1 커버(130)와 제1 하우징(110)이 형성하는 두께 또는 제2 커버(140)와 제2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두께와 유사하거나 작은 두께로 마련되어, 힌지 동작 동안 힌지 하우징(150)과 커버들(130, 140)과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또는 제1 하우징 구조물)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120) (또는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대향된 제4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서로 접힐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과 대면되고, 펼친 상태에서 제1 면 및 제3 면은 동일 방향을 향하며, 힌지 구조물은 상기 제1 하우징(110) 의 제1 주변부를 상기 제2 하우징(120) 의 제2 주변부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0)(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3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되고 상기 제1 주변부와 상기 제2 주변부에서 또는 상기 제1 주변부와 상기 제2 주변부의 인접 영역에서 접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연속되는 상부 영역(51), 중앙 영역(52) 및 하부 영역(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52)은 디스플레이(50)가 접히는 동안 내측 중심부에 위치하는 일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영역(51)은 제1 하우징(11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영역(53)은 제2 하우징(12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52)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고정되지 않도록 배치 (또는 부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50)가 접히거나 펴지는 동안 중앙 영역(52)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상에 부착되지 않아 유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1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배면에서 제1 하우징(110)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13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의 일부(예: 힌지 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130)는 모서리들이 라운딩될 수 있다. 제1 커버(130)는 내부가 빈 형태이거나 또는 제1 하우징(110)과 체결되면서 제1 하우징(110)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130)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중 상단 또는 좌우측에 측벽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커버(140)는 도 3의 301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130)의 하부에서 제2 하우징(120)의 배면에서 제2 하우징(120)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140)는 상기 제1 커버(130)에 의해 일부가 가려지는 힌지 하우징의 나머지 일부(예: 힌지 하우징의 하단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140)는 제1 커버(130)와 유사하게 모서리들이 라운딩될 수 있다. 제2 커버(140)는 내부가 빈 형태이거나 또는 제2 하우징(120)과 체결되면서 제2 하우징(120)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커버(140)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중 하단과 좌우측에 측벽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01 및 203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상하로 연속되게 배치되거나, 205 및 207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전면 및 제2 하우징(120)의 전면(디스플레이(50)가 배치된 면)이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면서, 디스플레이(50)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50)의 하부에 힌지 구조물이 배치됨으로써, 하우징들(110, 120)의 베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측면 베젤이 제거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50),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인쇄회로기판(170), 배터리(180), 힌지 구조물(300)(또는 힌지 장치, 힌지부, 힌지 모듈 등), 힌지 하우징(150),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50),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힌지 하우징(150),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14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힌지 하우징, 제1 커버 및 제2 커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 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제1 하우징(110)과 제1 커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인쇄회로기판(170)은 제2 하우징(120)과 제2 커버(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인쇄회로기판(170)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제1 하우징(110)과 제1 커버(130) 사이 및 제2 하우징(120)과 제2 커버(140)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전자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인쇄회로기판(17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회로, 안테나, 마이크, 스피커, 또는 카메라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180)는 상기 제2 하우징(120)과 제2 커버(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80)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다르면, 배터리(180)는 힌지 하우징(150) 일측에 마련된 배선을 통하여 제1 하우징(110) 및 제1 커버(130) 사이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구조물(300)은 적어도 하나가 힌지 하우징(150)에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하나의 힌지 구조물(300)이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따라 더 많은 힌지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물(300)은 중앙에 배치된 메인 기어들(예: 톱니형 스퍼 기어들 또는 톱니형 스퍼 이너 기어들)을 고정시키는 브라켓 센터들(또는 중심 바디)을 기준으로, 외부 압력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라켓 이너 기어들 및 브라켓 하우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힌지 구조물의 일부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의 한 예이며,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힌지 구조물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3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브라켓 하우징(310),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제1 플레이트 스프링(302),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제1 기어 워셔링(304), 제1 브라켓 센터(330), 제1 메인 기어(341)(예: 톱니형 스퍼 기어), 제1 축 기어(351)(예: 톱니형 스퍼 기어), 제2 축 기어(352)(예: 톱니형 스퍼 기어), 제2 메인 기어(342)(예: 톱니형 스퍼 기어), 제2 브라켓 센터(360), 제2 기어 워셔링(309),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 제2 플레이트 스프링(307),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은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에 인접되게 배치고,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의 우측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에 마련된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은 사잇각이 일정 각도(예: 직각)를 가지는 원호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의 상단은 예컨대, 제2 하우징(120)과 결합(예: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의 측부는 제1 하우징(110)과 결합(예: 자석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은 제2 하우징(120)의 힌지 동작 동안 회전하고,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안 제1 하우징(110)과 자석 결합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접히는 동안 제1 하우징(110)과 분리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의 곡면부는 힌지 하우징(150)의 내부와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은 일정 강성을 가지는 재질(예: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이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은 제1 브라켓 하우징(310)과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사이에는 제1 플레이트 스프링(30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및 제1 플레이트 스프링(302)은 리벳(rivet)에 의해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벳은 너트 또는 E자형 링 등 다른 고정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및 제1 플레이트 스프링(302)은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일측에 마련된 홈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홈 내측에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를 관통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제1 브라켓 센터(330) 및 제2 브라켓 센터(360)를 관통하는 제1 메인 기어(34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는 제1 측(예: 도 6 기준으로 좌측)에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이 고정되고, 제2 측(예: 도 6 기준으로 우측)에 제1 브라켓 센터(3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는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측면을 따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는 반 타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측에는 제1 메인 기어(341)와 맞물리는 내접 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내접 기어는 반 타원호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재질은 일정 강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는 제1 브라켓 하우징(310)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재질은 상술한 금속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어 워셔링(304)은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와 제1 브라켓 센터(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어 워셔링(304)은 제1 브라켓 센터(330)에 마련된 홈(또는 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기어 워셔링(304)에는 제1 브라켓 센터(330)와 제2 브라켓 센터(360)를 관통하는 제2 메인 기어(342)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 센터(330)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와 제2 브라켓 센터(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센터(330)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보다 큰 반 타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센터(330)에는 제1 메인 기어(341)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과, 제2 메인 기어(342)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중심(예: 반 타원형 형상에서 평평한 상단의 중심에서 하단까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하를 관통하는 홀에는 힌지 하우징(150)에 마련된 보스(Boss)가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메인 기어(341)(또는 제1 샤프트)는 제1 브라켓 센터(330)와 제2 브라켓 센터(360)를 관통하고, 일측이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에 마련된 내접 기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기어(341)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좌측부까지 돌출되고 상술한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및 제1 플레이트 스프링(302)을 관통하는 제1 좌측 관통부(341a), 제1 좌측 관통부(341a)에 연속되고 일측이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내접 기어에 일부가 결합하고 제1 축 기어(351)에 타측 일부가 기어 결합하는 제1 기어 패턴부(341b), 제2 브라켓 센터(360)에 마련된 홀을 관통하고 제2 기어 워셔링(309)이 삽입되는 제1 우측 관통부(34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좌측 관통부(341a), 제1 기어 패턴부(341b), 제1 우측 관통부(341c)는 제1 메인 기어(341)를 기능적으로 또는 위치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상기 제1 좌측 관통부(341a), 제1 기어 패턴부(341b), 제1 우측 관통부(341c)는 연속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축 기어(351)는 일측이 제1 메인 기어(341)에 마련된 기어 패턴부에 기어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축 기어(352)에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인 기어(341)가 회전하는 동안, 제1 축 기어(351)는 회전력을 제2 축 기어(352)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축 기어(351)는 제1 브라켓 센터(330) 및 제2 브라켓 센터(360)가 결합하면서 형성된 공동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축 기어(352)는 일측이 제2 메인 기어(342)에 마련된 기어 패턴부에 기어 결합되고, 타측이 제1 축 기어(351)에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축 기어(352)는 제2 메인 기어(342)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력을 제1 축 기어(351)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축 기어(352)는 제1 브라켓 센터(330) 및 제2 브라켓 센터(360)가 결합하면서 형성된 공동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트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아이들 기어(예: 상기 제1 축 기어(351) 및 제2 축 기어(352))의 크기 및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축 기억들의 개수 및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축 기어(351)와 제2 축 기어(35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트 두께 저감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하의 소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2개의 제1 축 기어 및 2개의 제2 축 기어를 포함하는 힌지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1 축 기어 또는 2개의 제2 축 기어의 크기는 1개의 제1 축 기어 또는 1개의 제2 축 기어에 비하여 절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 구조물은 3개의 제1 축 기어 및 3개의 제2 축 기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메인 기어(342)(또는 제2 샤프트)는 제1 메인 기어(34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 예컨대,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우측부에 관통되어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 및 제2 플레이트 스프링(307)이 삽입되는 제2 우측 관통부(342c)와,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내접 기어에 일측이 기어 결합하고 제2 축 기어에 타측 일부가 기어 결합하는 제2 기어 패턴부(342b), 제1 브라켓 센터(330)에 마련된 홀을 관통하고 제1 기어 워셔링(304)이 삽입되는 제2 좌측 관통부(34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관통부들의 좌측 또는 우측의 방향은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배치 방향의 변경에 따라 다르게 명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 센터(360)는 제1 브라켓 센터(330)와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센터(360)는 실질적으로 제1 브라켓 센터(330)와 동일한 형상(예: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보다 큰 반타원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센터(360)는 제1 메인 기어(341) 및 제2 메인 기어(342)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센터(360)는, 힌지 하우징(150)의 보스 결합을 위해 평평한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어 워셔링(309)은 제1 메인 기어의 제1 우측 관통부(341c)의 끝단과 결합하면서, 제2 브라켓 센터(360)에 마련된 홈에 안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는 제2 브라켓 센터(360) 및 제2 브라켓 하우징(3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형상 및 재질은 앞서 설명한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형상 및 재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는 제2 브라켓 센터(360)보다 작은 크기의 반 타원형으로 마련되고, 일정 영역에 제2 메인 기어(342)와 기어 결합하는 내접 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 및 제2 플레이트 스프링(307)은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일측에 마련된 홈(또는 홀)에 안착되고, 제2 메인 기어(342)의 제2 우측 관통부(342c)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 스프링(307)은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 사이에 배치되어, 제2 하우징 워셔링들(306, 308)에 대해 좌우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은 상술한 제1 브라켓 하우징(3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마련되고, 제1 브라켓 하우징(310)과 방향이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은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은 외주면이 일정 곡률을 가지며 마련되는 곡면부 및 곡면부를 형성하는 단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들 중 상단부는 제1 하우징(110)과 결합(예: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단부들 중 측부는 제2 하우징(120)과 결합(예: 자석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힌지 구조물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300)은 제1 브라켓 센터(330)와 제2 브라켓 센터(360)와 측면부들(예: 도면 기준으로,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우측부와 제2 브라켓 센터(360)의 좌측부)이 서로 마주보면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센터(330)와 제2 브라켓 센터(360)의 홀들 중 도면 기준으로 하측에 마련된 홀들에는 제1 메인 기어(341)가 관통하여 배치되며, 제1 메인 기어(341)의 제1 기어 패턴부(341b)의 일측은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내접 기어에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센터(330)와 제2 브라켓 센터(360)의 홀들 중 도면 기준으로 상측에 마련된 홀들에는 제2 메인 기어(342)가 관통하여 배치되며, 제2 메인 기어(342)의 제2 기어 패턴부(342b)의 일측은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내접 기어에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좌측에는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이 결합하고,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우측에는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이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이 제2 하우징(120)에 결합되고,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이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120)에 외부 압력이 가해져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힐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 하우징(310)과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는 제1 브라켓 센터(330)를 기준으로 최초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예: 90도)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브라켓 하우징(380)과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는 제2 브라켓 센터(360)를 기준으로 최초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예: 90도)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된 방향일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브라켓 센터들과 관련한 구성들의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3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 하우징(310),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제1 브라켓 센터(330), 제2 브라켓 센터(360),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801 상태는 브라켓 센터들(330, 360)과 메인 기어들(341, 342) 및 축 기어들(351, 352)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메인 기어(341) 및 제2 메인 기어(342)는 제1 브라켓 센터(330) 및 제2 브라켓 센터(360)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803 상태는, 801 상태에서 절단서 B-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센터들(330, 360)이 결합되면서 형성한 중앙에 공동에는 제1 메인 기어(341)와 기어 결합하는 제1 축 기어(351) 및 제2 메인 기어(342)와 제1 축 기어(351)에 기어 결합하는 제2 축 기어(3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서, 제1 메인 기어(341)가 제1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축 기어(351)는 제2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축 기어(351)와 기어 결합된 제2 축 기어(352)는 다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축 기어(352)와 기어 결합된 제2 메인 기어(342)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축 기어(351) 및 제2 축 기어(352)에 의해, 제1 메인 기어(341)와 제2 메인 기어(34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805 상태는, 제1 브라켓 센터(330) 및 제2 브라켓 센터(360)의 외곽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일측면(예: 좌측면)은 예컨대, 제1 좌측 레일(331) 및 제2 좌측 레일(3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좌측 레일(331)에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외주면의 일부가 안착되고, 제1 좌측 레일(331)은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가 회전하는 동안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외주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좌측 레일(332)에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반원형의 중심부에 마련된 돌기의 일부가 안착되고, 제2 좌측 레일(332)은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가 회전하는 동안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중심부 돌기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 센터(360)의 일측면(예: 우측면)은 예컨대, 제1 우측 레일(361) 및 제2 우측 레일(36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우측 레일(361)에는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외주면의 일부가 안착되고, 제1 우측 레일(361)은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가 회전하는 동안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외주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우측 레일(362)에는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반원형의 중심부에 마련된 돌기의 일부가 안착되고, 제2 우측 레일(362)은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가 회전하는 동안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중심부 돌기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 중 브라켓 센터들과 브라켓 이너 기어들의 동작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가상 회전 축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배치 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에서, 901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랫 상태에서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가 배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바라본 상태를 포함하며, 903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각도(예: 90도)로 접힌 상태에서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가 배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 구성들을 바라본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905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랫 상태에서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가 배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바라본 상태를 포함하며, 907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각도(예: 힌지구조물들이 서로 마주보는 각도)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가 배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바라본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에서 931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50)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50)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부착되지 않은 영역(W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에서 933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50)가 접혀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50)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부착되지 않은 영역(W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힌지 구조물 중 브라켓 센터들 브라켓 이너 기어들의 결합 형태는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901 상태에서와 같이,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측부에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가 배치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기어(341)의 기어 패턴부는 제1 브라켓 센터(330)를 관통하여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내접 기어(321)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접 기어(321)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일측에 마련된 굴곡진 홀(예: 원호의 일부분 형태로서, 끝단이 메인 기어가 삽입될 수 있는 둥근 형태의 홀)의 일측, 예를 들어 바닥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설명에서 내접 기어(321)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바닥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또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에 결합한 제1 브라켓 하우징(310)과 제1 하우징(110))에 제1 방향(예: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903 상태에서와 같이,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는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각도(예: 45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가 제1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경우, 동일한 회전이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에 전달되고,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는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중심선(또는 제2 브라켓 센터(36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또는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가 반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제1 브라켓 센터(330)(또는 제2 브라켓 센터(36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중심선(또는 제2 브라켓 센터(360)의 중심선)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지점에서 회전 운동함에 따라,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의 가상의 회전 중심축(911, 912)은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905 상태는, 제2 브라켓 센터(360)에 결합된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브라켓 센터(360)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제2 메인 기어(342)의 기어 패턴부 일부가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내접 기어(371)와 기어 결합되고, 외압에 의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예컨대, 903 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907 상태에서와 같이,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는 제2 브라켓 센터(360)의 세로 중심선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가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회전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및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평평한 면은 브라켓 센터들(330, 360)의 세로 중심선과 나란하게 배치(또는 브라켓 센터들(330, 360)의 가로 중심선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및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가 제1 메인 기어(341) 및 제2 메인 기어(342)를 통해 브라켓 센터들(330, 360)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예: 우측 가장자리 또는 좌측 가장자리에 치우친 위치)에 결합됨에 따라, 회전 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의 회전 축(911, 912)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 디스플레이(50)의 배면에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 디스플레이(50)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 또는 브라켓 센터들(330, 360)의 가로 중심선에 비하여 상측으로 일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가상의 회전 축(911, 912)은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50)의 바닥면 또는 최하단면보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및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의 내접 기어들(321, 371)의 형상과 크기(예: 원호의 일부분 형태로서, 끝단이 메인 기어가 삽입될 수 있는 둥근 형태의 굴곡진 홀 크기와 내접 기어들(321, 371)의 골과 산의 개수 및 크기 등)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및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가 브라켓 센터들(330, 36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와 브라켓 센터들(330, 360)과 90도 각도로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907 상태에서와 같이, 내접 기어의 형상이 브라켓 이너 기어들(320, 370)의 최대 회전폭을 제한하되, 브라켓 이너 기어들(320, 370)이 브라켓 센터들(330, 360)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 이너 기어들(320, 370)이 브라켓 센터들(330, 360)의 좌우측에 각각 치우쳐 배치됨으로써,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마주보도록 접히는 상태에서는, 브라켓 이너 기어들(320, 370) 사이에 일정 크기의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크기의 갭은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의 구부러짐 정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접힘 상태에서 “U”자 형상으로 굽혀질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50)는 “U”자 형상으로 굽혀짐에 따라, 중앙 영역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포인트(예: 변곡점)가 상대적으로 다른 형태(예: 물방울 형태 또는 항아리 형태로 접히는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적어서,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더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리벳 결합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300)의 리벳 형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힌지 구조물(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 하우징(310), 제1 브라켓 센터(330), 제2 브라켓 센터(360),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을 포함하고, 제1 브라켓 센터(330)와 제2 브라켓 센터(360)를 관통하는 제1 메인 기어(341) 및 제2 메인 기어(3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메인 기어(341)의 제1 좌측 관통부(341a)에는 제1 하우징 워셔링들(301, 303) 및 제1 플레이트 스프링이 배치되고, 제1 좌측 관통부(341a)의 끝단에는 제1 리벳(343)이 배치되어, 제1 메인 기어(341)를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메인 기어(342)의 제1 우측 관통부(341c)에는 제2 하우징 워셔링들 및 제2 플레이트 스프링(307)이 배치되고, 제1 우측 관통부(341c)의 끝단에는 제2 리벳(344)이 배치되어, 제2 메인 기어(342)를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 센터(330)의 제1 면(예: 도시된 도면에서 우측면)과 제2 브라켓 센터(360)의 제1 면(예: 도시된 도면에서 좌측면)이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1101 상태에서와 같이, 제1 브라켓 센터(330)와 제2 브라켓 센터(360) 사이에 제1 축 기어(351), 제2 축 기어(352)가 배치되고, 제1 메인 기어(341) 및 제2 메인 기어(342)가 제1 브라켓 센터(330) 및 제2 브라켓 센터(36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기어(341)는 제1 축 기어(351)에 기어 결합되고, 제2 메인 기어(342)는 제2 축 기어(352)에 기어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기어(341)의 제1 좌측 관통부(341a) 끝단에 제1 리벳 구조물(343_1)이 삽입되고, 제2 메인 기어(342)의 제2 우측 관통부(342c) 끝단에 제2 리벳 구조물(344_1)이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1103 상태에서와 같이, 제1 리벳 구조물(343_1)에 일정 압력이 가해져 제1 리벳(343)이 형성되고, 제2 리벳 구조물(344_1)에 일정 압력이 가해져 제2 리벳(34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기어들(341, 342)의 관통부 끝단에는, 하우징 워셔링들 사이에 플레이트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벳(343) 및 제2 리벳(344)이 메인 기어들(341, 342)의 관통부 끝단에 고정되면, 플레이트 스프링의 탄성력이 하우징 워셔링들에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105 상태에서와 같이, 브라켓 이너 기어들(320, 370)이 브라켓 센터들(330, 360)의 측면에 따라 유동하되, 플레이트 스프링의 압축에 의한 탄성력이 브라켓 이너 기어들(320, 370)에 작용하면서, 탄성력에 의한 마찰력(브라켓 이너 기어들(320, 370)과 브라켓 센터들(330, 360) 간의 마찰력)이 커질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점선의 폭은 플레이트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압력이 걸리면 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구조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힌지 동작하는 동안 헐겁지 않게 주변 구조물들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자석 부재 배치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힌지 구조물(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 하우징(310),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제1 브라켓 센터(330), 제2 브라켓 센터(360),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 및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을 포함하고,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및 제2 브라켓 이너 기어들(320, 370)의 회전을 위하여 메인 기어들과 축 기어들이 브라켓 센터들(330, 360)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의 일측에는 제1 자석 부재(311)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제1 브라켓 하우징(310) 중 제2 하우징(120)과 결합하는 결합홀들이 배치된 면이 상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곡면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부에는 제1 자석 부재(3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부는 제1 자석 부재(311)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안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자석 부재(311)는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의 측부 안착홈에 끼워 지거나(예: 억지 끼움), 별도의 접착 부재를 통하여 측부 안착홈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의 일측에는 제2 자석 부재(381)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제2 브라켓 하우징(380) 중 제1 하우징(110)과 결합하는 결합홀들이 배치된 면이 상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곡면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부에는 제2 자석 부재(38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부는 제2 자석 부재(381)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안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자석 부재(381)는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의 측부 안착홈에 끼워지거나(예: 억지 끼움), 별도의 접착 부재를 통하여 측부 안착홈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과 힌지 하우징의 결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과 힌지 하우징 및 하우징들과의 결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힌지 구조물(300_1) 및 제2 힌지 구조물(300_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2개의 힌지 구조물(300)이 배치된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힌지 구조물만을 채용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힌지 구조물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힌지 구조물의 개수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대응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힌지 구조물(300_1)에서 제1 브라켓 센터(330)에는 평평한 면의 중심에서 바닥면까지 관통하는 제1 관통홀(3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관통홀(331)에는 힌지 하우징(150)에 마련된 제1 보스(151)가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힌지 구조물(300_1)에서 제2 브라켓 센터(360)에는 평평한 면의 중심에서 바닥면까지 관통하는 제2 관통홀(36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관통홀(361)에는 힌지 하우징(150)에 마련된 제2 보스(152)가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하우징(150)은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제1 보스(151), 제2 보스(152), 제3 보스(153) 및 제4 보스(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는 예컨대, 좌우측 가장자리가 막혀 있고, 상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내측이 비어 있어, 세로축 단면이 반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바디의 내측면에는 상술한 힌지 구조물(300)의 곡면부가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스(151) 및 제2 보스(152)는 힌지 구조물(300)의 제1 브라켓 센터(330)에 마련된 제1 관통홀(331) 및 제2 브라켓 센터(360)에 마련된 제2 관통홀(361)과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힌지 구조물(300_2)은 앞서 설명한 제1 힌지 구조물(300_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힌지 구조물(300_2)에 포함된 브라켓 센터들은 힌지 하우징(150)에 안착되면, 브라켓 센터들에 형성된 관통홀들이 힌지 하우징(150)의 제3 보스(153) 및 제4 보스(154)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힌지 구조물이 2개가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150)의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힌지 구조물은 힌지 하우징(150)에 1개가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3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 구조물의 개수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따라 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과 힌지 하우징 및 하우징 일부의 결합 과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1501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힌지 구조물(300_1) 및 제2 힌지 구조물(300_2)는 힌지 하우징(150)의 보스(Boss)(155)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1503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은 예컨대, 힌지 구조물들(300_1, 300_2)이 삽입된 힌지 하우징(150)과 일측 끝단(예: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결합부(111) 및 스크류 결합부(112)를 기반으로 결합할 수 있다. 자석 결합부(111)는 예컨대, 브라켓 하우징(310, 380)에 배치된 힌지 구조물의 자석 부재들(예: 제1 힌지 구조물의 제1 자석 부재(311))와 결합할 수 있다. 스크류 결합부(112)는 예컨대, 힌지 구조물의 브라켓 하우징들(310, 380)에 마련된 결합홀과 정렬되고, 스크류에 의해 브라켓 하우징들(310, 380)과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20)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하우징(110)과 유사하게, 자석 결합부 및 스크류 결합부를 포함하고, 힌지 구조물의 자석부재(예: 제1 힌지 구조물의 제2 자석 부재(381)) 및 브라켓 하우징들(310, 380)과 결합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힌지 구조물의 제1 접힘 각도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180도로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 상측으로 제1 각도(예: 45도)로 접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이루는 각도는 제2 각도(예: 90도)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제2 각도를 이루는 상태에서, 제1 힌지 구조물(300_1) 및 제2 힌지 구조물(300_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각도를 이루기 위한 접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110)과 연결된 제2 브라켓 하우징(380)과,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는 제2 브라켓 센터(360)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힌지 구조물(300_2)에서, 제2 브라켓 하우징(380)과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가 시계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됨에 따라, 제2 하우징(120)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하우징(120)에 연결된 제1 브라켓 하우징(310) 및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는 제1 브라켓 센터 또는 제2 브라켓 센터(360)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20)과 연결된 제1 브라켓 하우징(310) 및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제1 브라켓 하우징(310)과 자석 결합으로 부착된 제1 하우징(110)은 제1 브라켓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평평한 상태가 되는 동안,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의 자석 부재와 제1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된 자석 결합부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온전하게 평평하게 펴기 위해 힘을 작용하지 않더라도, 일정 각도 이상(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잇각이 270도 이상 벌어지는 경우) 펼칠 경우, 자석부재와 자석 결합부의 인력에 의하여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자동으로 평평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하우징(110)의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자력 부재(119) 및 제2 하우징(120)의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자력 부재(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자력 부재(119) 및 제2 자력 부재(129)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일면이 거의 닿았을 때,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자력의 힘(예: 인력)에 의해 서로를 당기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력 부재(119) 및 제2 자력 부재(129)는 사용자에게 디텐트(detent) 감(추가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일정 소리(예: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자력에 의해 당겨진 후 부딪히면서 내는 소리)를 내며 들러붙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자력 부재(119) 및 제2 자력 부재(129)가 제공하는 인력은 접힘 상태에서 서로를 당기고 있으므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임의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힘(제1 자력 부재(119) 및 제2 자력 부재(129)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자력보다 큰 크기의 힘)이 가해질 때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자력 부재(119) 및 제2 자력 부재(129) 중 적어도 하나는 Hall IC의 일부 구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자력 부재(119) 및 제2 자력 부재(129)의 붙음 상태 또는 떨어짐 상태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50)의 펼침 상태 또는 폴딩 상태를 구분하고,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자력 부재(119) 및 제2 자력 부재(129)는 하우징들(110, 12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자력 부재(119) 및 제2 자력 부재(129)의 높이의 합은 제1 브라켓 하우징(310) 및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이 브라켓 센터들(330, 360)과 수직하게 배치될 때, 제1 브라켓 하우징(310) 및 제2 브라켓 하우징(380) 사이의 이격 거리(예: 도 9의 907 상태에서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의 중심에서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의 중심까지의 이격거리 또는, 제1 브라켓 하우징(310)의 상단 끝부분과 제2 브라켓 하우징(380)의 상단 끝부분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50)의 접힘 부분의 간격과 디스플레이(50)의 상단 및 하단이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의 간격이 유사 또는 동일하게 마련되어, 디스플레이(50)가 접힘 상태에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접힘 부분에 대한 스트레스가 물방울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와 하우징과의 결합 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1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0)는 1701 또는 1703 상태에서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전면에는 1701 상태에서와 같이 장치 운용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하고, 후면에는 1703 상태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50) 구동과 관련한 구동 회로(55)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50)는 1705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 일측에 마련된 회로 배치 홀(115)을 통하여 제1 하우징(110)의 후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의 후면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55)는 장치 운용과 관련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1705 상태에서와 같이 제1 커버(130)는 인쇄회로기판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제1 하우징(110)의 전면 중앙 영역(예: 도 1의 중앙영역(52)) 일부와 상부 영역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고, 제2 하우징(120)의 전면 중앙 일부 영역(예: 도 1의 중앙 영역(52))과 하부 영역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예: 도 1의 중앙 영역(52))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고정되지 않고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50)는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0)는 중앙 영역이 플렉서블 타입으로 마련되고, 이외의 영역은 리지드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50)는 전체가 플렉서블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 및 커버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치 형태에 따라 1801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1801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D-D` 절개선을 따라, 절개할 경우 그 단면은 1803 상태에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1801 상태에서는 하우징들(110 및 120) 상에 디스플레이(50)가 제거?? 상태를 나타내며, 1803 및 1805 상태의 도면은 디스플레이(50)를 추가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1803 및 1805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전면 및 후면 중심부는 평평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면 및 후면 가장자리에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측벽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측벽들은 디스플레이(50)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디스플레이(5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전면부 측벽들은 예컨대, 베젤이 될 수 있다. 후면부 측벽들은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140)가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는 가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과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140)는 결합 상태에서 1803 상태에서와 같이, 내부가 빈 공동(1800)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들(110, 120) 및 커버들(130, 140)에 의해 마련된 내부 공동(1800)에는 장치 운용에 필요한 전자 요소들 예컨대, 인쇄회로기판, 배터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공동(1800) 중 중앙 영역에는 힌지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300_1, 300_2)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이 접히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있어서, 힌지 구조물의 중심부를 반타원형의 브라켓 센터들(330, 360)로 구성하고, 반 타원형의 브라켓 센터들(330, 360)의 양쪽 가장자리에 치우친 영역에 각각 제1 메인 기어(341) 및 제2 메인 기어(342)를 배치함으로써, 브라켓 센터들(330, 360)과 메인 기어들(341, 342)이 회동하면서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의 접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 센터들과 메인 기어들 및 브라켓 하우징들이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어,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가 U자형상으로 접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서,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힌지 하우징(150)이 단일 부품의 형태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도 힌지 하우징(150) 외관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상대적으로 미려한 장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하우징 구조물(예: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예: 상기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대향된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은 서로 접힐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과 대면되고, 펼친 상태에서 제1 면 및 제3 면은 동일 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제1 주변부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제2 주변부와 연결하는 힌지 구조물(예: 상기 힌지 구조물 300) 및 상기 제1 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3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되고 상기 제1 주변부와 상기 제2 주변부에서 또는 상기 제1 주변부와 상기 제2 주변부의 인접 영역에서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레이어(layer)(예: 상기 디스플레이(5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면과 나란한 제1 축 주위에서 회전 하는 제1 톱니형 스퍼 기어를 포함하는 제1 샤프트(shaft)(예: 상기 제1 메인 기어(341)), 상기 제1 축과 나란한 제2 축 주변으로 회전가능한 제2 톱니형 스퍼 기어를 포함하는 제2 샤프트(예: 상기 제2 메인 기어(342)), 상기 제1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3 톱니형 스퍼 기어(예: 상기 제1 축 기어(351)), 상기 제2 톱니형 스퍼 기어 및 상기 제3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4 톱니형 스퍼 기어(예: 상기 제2 축 기어(352)),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지만 상기 제2 톱니형 스퍼 기어와 상기 제3 톱니형 스퍼 기어 및 상기 제4 톱니형 스퍼 기어와는 결합하지 않는 제1 톱니형 스퍼 이너(inner) 기어를 가진 제1 굴곡진 개구부(예: 브라켓 이너 기어의 굴곡진 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축과 나란한 제1 가상의 축 주변으로 회전되는 제1 가이드 구조물(예: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320)),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톱니형 스퍼 기어와 결합하지만 상기 제1 톱니형 스퍼 기어와 상기 제3 톱니형 스퍼 기어 및 상기 제4 톱니형 스퍼 기어와는 결합되지 않는 제2 톱니형 스퍼 이너 기어를 가진 제2 곡면 개구부(예: 브라켓 이너 기어의 굴곡진 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상의 축으로부터 오프셋(offset) 되고 상기 제1 축과 나란한 제2 가상의 축 주변으로 회전되는 제2 가이드 구조물(예: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기어(3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 구조물 및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있고, 상기 제2 가이드 구조물 및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상 축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오프셋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제2 가상 축은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오프셋만큼 떨어져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 및 중앙 일측 영역을 지지하는 제1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 및 중앙 타측 영역을 지지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 상기 힌지 구조물을 감싸는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물은 중심 바디, 상기 중심 바디의 일측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 메인 기어, 상기 중심 바디의 타측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 메인 기어, 내부에 굴곡진 홀이 마련되고, 상기 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메인 기어에 기어 결합하는 내접 기어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 내부에 굴곡진 홀이 마련되고, 상기 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메인 기어에 기어 결합하는 내접 기어를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이너 기어,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 브라켓 하우징,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기어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 브라켓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50), 제1 플레이트(1910),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앞서 도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영역(51), 중앙 영역(52), 하부 영역(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910)는 디스플레이(50)의 면품질 개선(예: 평탄도 향상, 반복적인 폴딩 동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52)에 발생하는 주름 억제)을 위해 일정 강도 이상의 리지드(Rigid) 타입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910)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상에 배치됨에 따라, 플렉서블한 성질의 디스플레이(50)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상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910)는 여러 가지 기구물이 놓이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상에서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단차를 줄여, 디스플레이(50)의 평탄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들(110, 120)의 홀 영역이나 홈 영역 등에 디스플레이(50)가 놓이는 경우 해당 영역(홈 또는 홀 또는 그들의 경계부)이 주변보다 낮아져 평탄도가 나빠질 수 있는데, 상기 제1 플레이트(1910)는 이러한 단차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1 플레이트(1910)는 상부 플레이트(1911), 하부 플레이트(19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911)는 제1 하우징(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911)와 제1 하우징(110) 사이의 적어도 일면에 일정 폭과 넓이를 가지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911) 상부에는 디스플레이(50)의 상부 영역(51) 및 중앙 영역(52)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상부 영역(51) 고정과 관련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911)와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상부 영역(51) 사이에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912)는 제2 하우징(1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1912)와 제2 하우징(120) 사이의 적어도 일면에 일정 폭과 넓이를 가지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912) 상부에는 디스플레이(50)의 하부 영역(53) 및 중앙 영역(52)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0)의 하부 영역(53) 고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1912)와 상기 디스플레이(50)의 하부 영역(53) 사이에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911)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912) 는 서로 분리된 형태로 마련되데, 거의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플레이트(1911) 및 하부 플레이트(1912)가 서로 나누어 배치되데, 전체 크기는 디스플레이(50)의 전체 크기(예: 상부 영역(51), 중앙 영역(52), 하부 영역(53))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911)의 하부 일부 영역이 힌지 영역(15)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하부 플레이트(1912)의 상부 일부 영역이 힌지 영역(15)의 나머지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힌지 영역(15)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911)의 하부 일부 영역과 힌지 영역(15)에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912)의 상부 일부 영역은 힌지 영역(15)에 접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가 폴딩되는 동안, 상부 플레이트(1911)는 제1 하우징(110)을 따라 회전하고, 하부 플레이트(1912)는 제2 하우징(120)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50), 제2 플레이트(2000) 및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는 힌지 구조물이 배치되는 힌지 영역(1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2000)는 일정 패턴(예: 격자 무늬)을 가지고, 디스플레이(50)의 전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2000)는 디스플레이(50)의 폴딩 상태를 지원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플레이트(2000)는 금속(예: SUS) 재질로 마련되며 일정 두께 이하로 얇게 마련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Lattice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폴딩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고, 폴딩 및 펼침 동작에 따른 스트레스에 강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2000)는 면품질 개선을 위하여 일정 폭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2000)는 예컨대 Lattice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Lattice plate가 디스플레이(50)와 제1 하우징(110), 힌지 영역(15), 제2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50) 전면과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50) 전면의 적어도 일부(디스플레이(50)의 테두리 영역 전체는 포함) 상에는 디스플레이(50)를 제2 플레이트(20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00)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00)와 힌지 영역(15)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고, 제2 플레이트(2000)가 고정되지 않도록 힌지 영역(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50), 제3 플레이트(2100),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는 힌지 영역(1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상부 영역(51), 중앙 영역(52), 하부 영역(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플레이트(2100)는 상부 플레이트(2101), 하부 플레이트(2103), 중부 플레이트(2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1) 및 하부 플레이트(2103)는 리지드 타입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는 도 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플렉서블 타입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는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52)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는 상기 힌지 영역(15)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플레이트(2100)의 상부 플레이트(2101)는 제1 하우징(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3)는 제2 하우징(1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3 플레이트(2100)의 상부 플레이트(2101)와 제1 하우징(110) 사이 및 상기 제3 플레이트(2100)의 하부 플레이트(2103)와 제2 하우징(120)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1)와 상기 디스플레이(50) 상부 영역(51) 사이에 접착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50) 상부 영역(51)은 상부 플레이트(210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3)와 디스플레이(50) 하부 영역(53) 사이에 접착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50) 하부 영역(53)은 하부 플레이트(210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는 상기 힌지 영역(15)에 접착 부재를 통하여 고정되고, 하우징들(110, 120)의 힌지 동작 시 연신될 수 있다.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와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52) 사이에 접착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52)이 중부 플레이트(210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의 연신력(늘어나는 정도)과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52)의 연신력의 크기는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와 상기 힌지 영역(15) 사이에 별도의 접착부재가 배치되지 않아서,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가 상기 힌지 영역(15) 상에 고정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와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52) 사이에 별도의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아,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중앙 영역(52)이 상기 중부 플레이트(2102)에 고정되지 않고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플레이트 내지 제3 플레이트들(2101, 2102, 2103)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채용하여,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표면의 단차 영역들을 평탄하게 하여, 디스플레이(50)의 면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폴딩(접힘) 및 플랫(펼쳐짐) 동작 동안 디스플레이(50)가 받는 스트레스(또는 압력)를 플레이트가 나누어 받음으로써, 디스플레이(50)의 파손이나 주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과 결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 상기 힌지 구조물을 감싸는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물은 반타원형의 브라켓 센터들, 상기 브라켓 센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제1 메인 기어를 통해 제1 곡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 상기 브라켓 센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제2 메인 기어를 통해 제2 곡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브라켓 이너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메인 기어와 상기 제2 메인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기어는 상기 제1 메인 기어 및 상기 제2 메인 기어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상기 제1 메인 기어에 접촉되는 제1 축 기어, 상기 제1 축 기어와 상기 제2 메인 기어에 접촉되는 제2 축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의 중심점은 상기 브라켓 센터들의 중앙점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1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기어의 중심점은 상기 브라켓 센터들의 중앙점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제1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하우징의 두께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 브라켓 하우징,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기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 브라켓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브라켓 하우징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 중앙 측부와 자력 기반으로 체결되는 제1 자석 부재, 상기 제2 브라켓 하우징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중앙 측부와 자력 기반으로 체결되는 제2 자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자력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자력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응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일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 및 중앙 일측 영역을 지지하는 제1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 및 중앙 타측 영역을 지지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제1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가상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가상의 제2 회전축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공간 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만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접힌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구조물은 중심 바디, 상기 중심 바디의 일측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 메인 기어, 상기 중심 바디의 타측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 메인 기어, 내부에 굴곡진 홀이 마련되고, 상기 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메인 기어에 기어 결합하는 내접 기어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이너 기어, 내부에 굴곡진 홀이 마련되고, 상기 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메인 기어에 기어 결합하는 내접 기어를 포함하는 제2 브라켓 이너 기어,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 브라켓 하우징,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기어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 브라켓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의 굴곡진 홀은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가 상기 중심 바디를 기준으로 제1 각도(예: 0~180도)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기어의 굴곡진 홀은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기어가 상기 중심 바디를 기준으로 제2 각도(예: 0~180도)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와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기어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자력 부재,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배치되데,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1 자력 부재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력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표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2 자력 부재는 상기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단표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1 자력 부재의 돌출 높이 및 상기 제2 자력 부재의 돌출 높이의 합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기어의 일면에서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기어 일면 사이의 이격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2200) 내의 전자 장치(2201)의 블럭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2200)에서 전자 장치(2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22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22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22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2204) 또는 서버(22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201)는 서버(2208)를 통하여 전자 장치(2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201)는 프로세서(2220), 메모리(2230), 입력 장치(2250), 음향 출력 장치(2255), 표시 장치(2260), 오디오 모듈(2270), 센서 모듈(2276), 인터페이스(2277), 햅틱 모듈(2279), 카메라 모듈(2280), 전력 관리 모듈(2288), 배터리(2289), 통신 모듈(2290), 가입자 식별 모듈(2296), 및 안테나 모듈(22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2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2260) 또는 카메라 모듈(22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22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22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2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2220)에 연결된 전자 장치(2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2276) 또는 통신 모듈(22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22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22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20)는 메인 프로세서(22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22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22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2223)는 메인 프로세서(22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2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22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2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22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221)와 함께, 전자 장치(22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2260), 센서 모듈(2276), 또는 통신 모듈(22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2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2280) 또는 통신 모듈(22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30)는, 전자 장치(2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220) 또는 센서모듈(22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2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30)는, 휘발성 메모리(22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22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2240)은 메모리(22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2242), 미들 웨어(2244) 또는 어플리케이션(224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250)는, 전자 장치(22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2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2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22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22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26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10))는 전자 장치(22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2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22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2270)은, 입력 장치(22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2255), 또는 전자 장치(22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2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276)은 전자 장치(22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2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2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2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2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2278)는 전자 장치(2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2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22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22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2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2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288)은 전자 장치(2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2289)는 전자 장치(2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290)은 전자 장치(2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202), 전자 장치(2204), 또는 서버(22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90)은 프로세서(22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290)은 무선 통신 모듈(22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22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22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22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22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2292)은 가입자 식별 모듈(22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2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2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290)(예: 무선 통신 모듈(22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2299)에 연결된 서버(2208)를 통해서 전자 장치(2201)와 외부의 전자 장치(22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2202, 2204) 각각은 전자 장치(22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2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2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22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22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2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타입 힌지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부와 관련한 다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정 각도별 펼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정 각도별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는 2410 상태 및 2430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힌지 구조물(300), 중심부(2415)에 배치된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전면(예: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하우징들(110, 120)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 타입으로 마련된 디스플레이(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상기 힌지 구조물(300)을 기반으로 접힐(예: 제1 하우징(110)의 상부면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상부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힘)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물(300)은 하프-파이프 타입의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물(300)은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 내측에 삽입되면서, 보스들(151, 152, 153, 154 등)과 결합하여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에 고정될 수 있다.
2410 상태 및 2430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은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의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측 끝단(예: 제2 하우징(120)과 마주보는 끝단) 내측에 삽입되고,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의 타측은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일측 끝단(예: 제1 하우징(110)과 마주보는 끝단)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은 도 25의 2510 상태 및 2530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접힘 상태(예: 제1 하우징(110)의 상부면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상부면이 마주보는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은 하프-파이프 형상의 힌지 하우징 바디(2401)를 포함하고, 내측에는 보스들(151, 152, 153, 15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은 힌지 하우징 바디(2401) 중 좌측 개구부를 막는 제1 측벽(2402)과, 힌지 하우징 바디(2401) 중 우측 개구부를 막는 제2 측벽(24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2402) 및 제2 측벽(2403)은 예컨대, 반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벽(2402) 및 제2 측벽(2403)은 상기 힌지 하우징 바디(24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은 제1 측벽(2402)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제1 가림막(2402a) 및 제2 측벽(2403)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제2 가림막(240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막(2402a)의 두께는 상기 제1 측벽(2402)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막(2402a)의 폭은 상기 제1 측벽(2402)의 지름보다 짧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림막(2402a)은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접힘 상태인 동안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형성된 틈의 길이보다 큰 길이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막(2402a)의 높이는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상에 놓이는 디스플레이(50)가 접힘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마주보는 영역의 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50)가 노출되는 영역을 가릴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가림막(2403a)은 상기 제1 가림막(2402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2510 상태 및 2530 상태에서와 같이, 제1 가림막(2402a) 및 제2 가림막(2403a)은 제1 하우징(110)의 상면 및 제2 하우징(120)의 상면이 서로 마주보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접힘부(59)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접힘부(59)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접힘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관측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막(2402a) 및 제2 가림막(2403a)이 사각 돌기 형상으로 측벽들(2402, 2403)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1 가림막(2402a) 및 제2 가림막(2403a)의 상단은 상측(예: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의 바닥면에서 디스플레이가 놓이는 면 방향)으로 볼록한 반월 모양, 하측(예: 디스플레이가 놓이는 면에서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의 바닥면 방향)으로 오목한 반월 모양, 요철 모양, 마름모 형상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6 및 27을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는 2610 상태, 2710 상태 내지 2790 상태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50)가 펼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펼침 상태를 가지고,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5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2610 상태 및 2730 상태에서와 같이, 제1 측면부(2611a), 제2 측면부(2611b), 제3 측면부(2611c), 제1 상면부(2614a) 및 제1 후면부(2611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2611a)는 예컨대,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좌측면에 위치하고, 펼침 상태에서 일측(예: 2610 상태 또는 2710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측면부(2611a)의 하부 끝단)은 제2 하우징(120)의 제4 측면부(2612a)의 일면(예: 2610 상태 또는 2710 상태를 기준으로 위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의 끝단)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부(2611a)의 타측(예: 2610 상태 또는 2710 상태를 기준으로 위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측면부(2611a)의 상부 끝단)은 제2 측면부(2611b)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2730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측면부(2611a)의 하측(예: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디스플레이(50)의 상부면에서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볼 때의 제1 측면부(2611a)의 하부면)은 제1 후면부(2611e)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2710 상태 내지 275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부(2611a)의 상측(예: 상기 제1 측면부(2611a)의 하측과 반대된 방향의 상단부)은 디스플레이(5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부(2611a)의 상측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보다 일정 높이만큼(예: 디스플레이(50)의 두께보다 큰 높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부(2611b)는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상단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2610 상태 또는 271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면부(2611b)는 예컨대, 제1 측면부(2611a)와 제3 측면부(261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측면부(2611b)의 좌우 끝단은 제1 측면부(2611a)와 제3 측면부(2611c)에 각각 일정 각도(예: 90도)를 가지며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면부(2611b)의 일측(예: 상부면)은 상기 제1 상면부(2614a)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부(2611b)의 타측(예: 하부면)은 상기 제1 후면부(2611e)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부(2611c)는 예컨대,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우측면에 위치하고, 펼침 상태에서 일측(예: 2610 상태 또는 2710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배치된 제3 측면부(2611c)의 하부 끝단)은 제2 하우징(120)의 제6 측면부(2612c)의 일면(예: 2610 상태 또는 2710 상태를 기준으로 위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의 끝단)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261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 측면부(2611c)는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가상의 세로 중심선(2691)을 기준으로 제1 측면부(2611a)와 좌우 대칭되는 위치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3 측면부(2611c)는 제1 후면부(2611e) 타측과 연결되고, 제3 측면부(2611c)의 상측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보다 일정 높이만큼(예: 디스플레이(50)의 두께 이상의 높이)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측면부(2611a) 상측과 제3 측면부(2611c)의 상측의 높이는 디스플레이(50)의 두께와 동일할 수도 있다.
2610 상태 또는 271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상면부(2614a)는 좌우측 일단이 상기 제1 측면부(2611a)의 상측 및 제3 측면부(2611c)의 상측과 연결되고, 상측은 제2 측면부(2611b)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면부(2614a)의 하측은 디스플레이(50)의 일면과 대면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면부(2614a)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보다 일정 높이(예: 디스플레이(50)의 두께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상면부(2614a)가 제1 하우징(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디스플레이(5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2710 상태 또는 273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후면부(2611e)는 좌우측 및 상측이 제1 측면부(2611a), 제2 측면부(2611b) 및 제3 측면부(2611c) 연결되고, 하측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침 상태에서 제2 하우징(120)의 제2 후면부(2612e) 상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2610 상태 또는 271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제4 측면부(2612a), 제5 측면부(2612b), 제6 측면부(2612c), 제2 상면부(2612d) 및 제2 후면부(2612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20)은 디스플레이(5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술한 제1 하우징(110)과 대칭되는 위치 및 크기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5 측면부(2612b)의 좌우측은 제4 측면부(2612a) 및 제6 측면부(2612c)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5 측면부(2612b)의 상측은 제2 상면부(2612d)의 일측과 연결되며, 제5 측면부의 하측은 제2 후면부(2612e)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2750 상태를 기준으로 전면에서 볼 때,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좌우측 가장자리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면부(2611a) 및 제3 측면부(2611c)와 연결되는 상면부 및 제4 측면부(2612a) 및 제6 측면부(2612c)가 매우 얇게(예: Bezel-less)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2630 상태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을 나타낸 것으로, 실질적으로 도 24에서 설명한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과 동일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상술한 265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중심부 일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측면부(2611a)와 제4 측면부(2612a) 사이에 일정 크기의 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가림막(2402a)은 상기 제1 측면부(2611a)와 제4 측면부(2612a) 사이에 형성된 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막(2402a)은 디스플레이(50)의 중심부 좌측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265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측면부(2611c)와 제6 측면부(2612c) 사이에 일정 크기의 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가림막(2403a)은 상기 제3 측면부(2611c)와 제6 측면부(2612c) 사이에 형성된 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림막(2403a)은 디스플레이(50)의 중심부 우측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2670 상태는 2650 상태의 A-A` 절단선에 따른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절단은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중심부에 다소 하단에 치우친 위에서 중심부를 가르도록 배치된 것이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일단면 구성은 제4 측면부(2612a), 제2 후면부(2612e), 및 제6 측면부(2612c)를 포함하고,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이 상기 제4 측면부(2612a), 제2 후면부(2612e) 및 제6 측면부(2612c)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의 중심부에는 힌지 구조물(300)이 배치될 수 있다.
2690 상태는 2670 상태 중 우측 일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는 상부에 디스플레이(50)가 배치되고, 우측에 제6 측면부(2612c)가 배치되며, 하부에 제2 후면부(2612e)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은 제6 측면부(2612c) 및 제2 후면부(2612e)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의 우측 끝단에는 제2 측벽(2403)과 제2 가림막(2403a)이 배치되고, 제2 가림막(2403a)은 디스플레이(50)의 중심부 우측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는 2810 상태에서와 같이 접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110)의 일면과 제2 하우징(120)의 일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하부에 배치되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400)의 펼침 상태에서,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들(110, 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림막(2402a) 또는 제2 가림막(2403a)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사이에 형성된 틈(2891)의 적어도 일부(예: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틈)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가림막(2402a) 또는 제2 가림막(2403a)은 내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의 접힘부(59)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2830 상태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접힘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이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제1 가림막(2402a)은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접힘부(예: 도 25의 접힘부(59))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2850 상태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접힘 상태에서의 제2 하우징(120)이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제2 가림막(2403a)은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접힘부(예: 도 25의 접힘부(59))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2870 상태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접힘 상태에서 제1 타입 힌지 하우징(2450)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침 상태의 일정 각도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는 2910 상태 내지 3090 상태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50)가 펼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291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펼침 상태 정면도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2930 상태는 제2 타입 힌지 하우징(2950)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2955 상태는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중심부(2951)를 확대한 도면이다. 2970 상태는 2955 상태에서 절단선 B-B`를 기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2990 상태는 2970 상태의 우측 가장자리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3010 상태는 펼침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제1 각도(예: 전면이 보이는 각도)의 사시도이다. 3030 상태는 펼침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제2 각도(예: 후면이 보이는 각도)의 사시도이다. 305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정면도이다. 307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후면도이다. 309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측면도이다.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도 29 또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펼침 상태를 가지고,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50)가 안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2910 상태 또는 3030 상태 내지 309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 바디(2911a) 및 제1 베젤(2901a)(또는 제1 서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젤(2901a)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젤(2901a)은 제1 상부 베젤(2911)(또는 제1 상부 서브 하우징), 제1 측면 베젤(2912) (또는 제1 측면 서브 하우징), 및 제1 후면 베젤(2913) (또는 제1 후면 서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베젤(2911)은 상기 제1 하우징(110) 바디 중 디스플레이(50)가 배치되는 상부면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상부 베젤(2911)은 상기 제1 하우징 바디(2911a) 중 상부면의 4개 가장자리 중 3개의 가장자리(예: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측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베젤(2912)은 상기 제1 상부 베젤(2911) 및 제1 후면 베젤(291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바디(2911a)의 측면 중 3개의 측면(예: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좌우측 측면 및 상부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제1 하우징 바디(2911a) 및 제2 하우징 바디(2921a)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는 제1 후면 베젤(2913)만이 배치되고, 제1 상부 베젤 또는 제1 측면 베젤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2910 상태 또는 3010 상태 내지 309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제2 하우징 바디(2921a) 및 제2 베젤(2901b)(또는 제2 서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젤(2901b)은 제2 상부 베젤(2921)(또는 제2 상부 서브 하우징), 제2 측면 베젤(2922) (또는 제2 측면 서브 하우징) 및 제2 후면 베젤(2923) (또는 제2 후면 서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상측에 놓이는 제1 하우징(110)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크기 및 모양이 유사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상부 베젤(2921), 제2 측면 베젤(2922) 및 제2 후면 베젤(2923)은 각각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중심부(2951)을 기준으로 제1 상부 베젤(2911), 제1 측면 베젤(2912) 및 제1 후면 베젤(2913)과 상하로 대칭되는 위치 및 동일 모양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2930 상태에서와 같이, 제2 타입 힌지 하우징(2950)은 하프-파이프 형태의 힌지 하우징 바디(2901)와, 힌지 하우징 바디(2901)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T1)만큼 좌우측으로 신장된 제1 가장자리(2902) 및 제2 가장자리(29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장자리(2902)는 예컨대, 제1 상부 베젤(2911)의 접힘 또는 펼침 동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홈(2903a) 및 힌지 하우징 바디(2901)의 단면보다 상측(예: 디스플레이(50)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가림막(290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2903a)은 가공(예: CNC 가동)과 관련하여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항아리 모양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막(2902a)은 상기 힌지 하우징 바디(2901)의 위치에서 힌지 하우징 바디(2901)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높이(예: 디스플레이(50)의 두께 이상의 높이)를 가지며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장자리(2903)는 제1 가장자리(2902)와 대칭되는 위치 및 크기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장자리(2903)는 제2 가이드 홈(2903b) 및 제2 가림막(290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홈(2903b) 및 제2 가림막(2903a)은 상기 제1 가이드 홈(2903a) 및 제1 가림막(2902a)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2955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0)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제1 측면 베젤(2912) 및 제2 측면 베젤(2922)이 배치되고, 가장자리 상부면에는 제1 상부 베젤(2911) 및 제2 상부 베젤(2921)이 일정 폭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베젤(2911) 및 제2 상부 베젤(2921)의 폭은 상기 제1 가장자리(2902) 또는 제2 가장자리(2903)의 폭(T1)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2955 상태 및 305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중심부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제1 가림막(2902a) 및 제2 가림막(2903a)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상부 베젤(2911)은 제1 가림막(2902a)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1 가림막 홈(2913a)과 제2 가림막(2903a) 일부가 배치되는 제2 가림막 홈(2913b)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막 홈(2913a) 및 상기 제2 가림막 홈(2913b)은 예컨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L”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부 베젤(2921)은 제1 가림막(2902a)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3 가림막 홈(2923a)과 제2 가림막(2903a) 일부가 배치되는 제4 가림막 홈(2923b)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가림막 홈(2923a) 및 상기 제4 가림막 홈(2923b)은 예컨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L”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2955 상태의 B-B` 절단선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중심부에 다소 아래를 절단함에 따라, 297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상부 베젤(2921)과 제2 측면 베젤(2922) 및 제2 후면 베젤(2923)이 나타날 수 있다. 양측 가장자리들(2902, 2903)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가림막(2902a) 및 제2 가림막(2903a)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299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상부 베젤(2921), 제2 측면 베젤(2922) 및 제2 후면 베젤(2923)이 제2 가장자리(2903)를 덮도록 배치되고, 제2 가림막(2903a)은 힌지 하우징 바디(2901)(또는 제2 가장자리(2903)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예: 디스플레이(50)의 두께)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힘 상태의 일정 각도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3110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50) 부분들이 서로 마주보는 동안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는 접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 바디(2911a)의 상부면 가장자리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상부 베젤(2911)과 제2 하우징 바디(2921a)의 상부면 가장자리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상부 베젤(2921)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제1 후면 베젤(2913)과 제2 후면 베젤(2923)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 베젤(2912) 및 제2 측면 베젤(2922)은 도시된 도면의 세로 방향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서로 마주봄에 따라, 제2 타입 힌지 하우징(2950)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림막(2902a) 또는 제2 가림막(2903a)은 디스플레이(50)의 접힘부(59)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제1 하우징 바디(2911a)와 제2 하우징 바디(2921a)가 측면에서 관측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 바디(2911a) 및 제2 하우징 바디(2921a)의 측면을 관측할 때, 제1 하우징 바디(2911a) 및 제2 하우징 바디(2921a)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측면 베젤(2912) 및 제2 측면 베젤(2922) 또는 제1 후면 베젤(2913) 또는 제2 후면 베젤(2923)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3130 상태는, 제1 하우징 바디(2911a)와 제1 후면 베젤(2913)이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접힘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림막(2902a)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측면에서 디스플레이(50)의 접힘부(59)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3150 상태는, 제2 하우징 바디(2921a)와 제2 후면 베젤(2923)이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접힘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림막(2903a)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측면에서 디스플레이(50)의 접힘부(59)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3170 상태는 제2 타입 힌지 하우징(2950)이 적용된 접힘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의 후면(예: 제2 타입 힌지 하우징(2950)의 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900)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접히는 동안 제2 타입 힌지 하우징(2950)의 외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3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힌지 하우징을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에서 3210 상태는 펼침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323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의 제3 타입 힌지 하우징(3250)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에서, 3310 상태는 3210 상태의 중심부(3251) 확대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330 상태는 3310 상태에서의 C-C` 절단선의 단면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350 상태는 3310 상태의 우측 가장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에서, 3410 상태는 펼침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의 제1 각도(예: 전면이 보이는 각도) 사시도이다. 343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의 정면도이다. 345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의 후면도이다.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는 3210 상태에서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펼쳐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도 3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 상에 놓인 디스플레이(50)의 일부와 제2 하우징(120) 상에 놓인 디스플레이(50)의 일부가 서로 마주보는 접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4의 3450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 바디(3211a) 및 제1 베젤(320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젤(3201a)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바디(3211a)는 도 29 또는 도 30에서 설명한 제1 하우징 바디(2911a)와 동일 또는 유사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3의 3330 상태 및 도 34의 3450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베젤(3201a)은 제1 상부 베젤(3211), 제1 측면 베젤(3212), 및 제1 후면 베젤(3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앞서 설명한 도 29 및 도 30에서 설명한 제1 베젤 구조와 유사 또는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베젤(3201a) 중 제1 상부 베젤(3211)을 제외한 나머지 베젤들(예: 제1 측면 베젤(3212) 및 제1 후면 베젤(3213))은 도 29 또는 도 30에서 설명한 제1 측면 베젤(2912) 및 제1 후면 베젤(2913)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베젤(3211)은 도 29 또는 도 30에서 설명한 제1 상부 베젤(29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3330 상태 또는 345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제2 하우징 바디(3221a) 및 제2 베젤(320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바디(3221a) 및 상기 제2 베젤(3201b) 중 제2 상부 베젤(3221)을 제외한 나머지 베젤들(예: 제2 측면 베젤(3222) 및 제2 후면 베젤(3223))은 앞서 도 29 또는 도 30에서 설명한 제2 하우징 바디(2921a), 제2 측면 베젤(2922) 및 제2 후면 베젤(2923)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3210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부 베젤(3221)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하우징(327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3273)은 예컨대, 일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270)의 주변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3273)은 상기 카메라(3270)에 가해지는 물리력 등을 방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3230 상태는 제3 타입 힌지 하우징(3250)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3 타입 힌지 하우징(3250)은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의 중심부(3251)에 배치되데, 디스플레이(5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타입 힌지 하우징(3250)은 하프-파이프 타입의 힌지 하우징 바디(3201)와, 상기 힌지 하우징 바디(3201)의 양측 끝단에 마련된 제1 측벽(3202) 및 제2 측벽(320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3202)의 내측에 배치된 제1 가림막(3202a), 제2 측벽(3203)의 내측에 배치된 제2 가림막(320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막(3202a) 및 상기 제2 가림막(3203a)은 상기 힌지 하우징 바디(3201)의 상부면보다 상측으로 일정 높이(예: 디스플레이의 두께 이상의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3202) 및 상기 제2 측벽(3203)에는 예컨대, 가이드 홈(3203b)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203b)은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 수행 동안 제1 베젤(3201a) 및 제2 베젤(3201b)의 일측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2 측벽(3203)에 가이드 홈(3203b)이 배치된 형상만을 도시하였으나, 제1 측벽(3202)에도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3310 상태에서와 같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가 펼침 상태에서, 제1 상부 베젤(3211) 중 제2 상부 베젤(3221)과 마주보는 제1 상부 베젤(3211) 양측에는 제1 가림막 홈(3213a)(예: 제1 상부 베젤(3211)의 끝단이 L자 형상으로 절개된 홈 중 좌측에 배치된 홈) 및 제2 가림막 홈(3213b)(역 L자형상의 홈으로 제1 상부 베젤(3211)의 우측 끝단에 마련된 홈)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상부 베젤(3221) 중 제1 상부 베젤(3211)과 마주보는 제2 상부 베젤(3221)의 양측에는 제3 가림막 홈(3223a) 및 제4 가림막 홈(3223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가림막 홈들(3213a, 3213b, 3223a, 3223b)은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접힘 또는 펼침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베젤과 가림막들(3202a, 3203a)이 겹치지 않게 하여 접힘 또는 펼침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330 상태는 3310 상태의 C-C` 절단선에 따른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3350 상태는 3330 상태에서 우측 가장자리 일측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5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 상부 베젤(3211)과 제2 상부 베젤(3221)이 위치하고,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의 측면에는 제1 측면 베젤(3212) 및 제2 측면 베젤(3222)이 위치할 수 있다.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의 후면에는 예컨대, 제1 하우징 바디(3211a) 및 제2 하우징 바디(3221a)가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바디(3211a)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제1 후면 베젤(3213)에 배치되며, 제2 하우징 바디(3221a)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제2 후면 베젤(32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림막(3203a)은 디스플레이(50)의 우측 가장자리와 제2 상부 베젤(32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림막(3203a)의 높이는 예컨대, 디스플레이(5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50)의 상부면과 제2 가림막(3203a)의 상부면은 가로 수평선을 기준으로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0)의 상부면과, 제2 가림막(3203a)의 상부면 및 제2 상부 베젤(3221)의 상부면은 실질적으로 연속되게(또는 별도의 구성의 돌출 없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배치되고,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상에 디스플레이(50)가 배치되며, 가상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인 접힘 또는 펼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 바디(3211a), 제1 상부 베젤(3211), 및 제1 측면 베젤(3212)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앞서 도 3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후면 베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2 하우징 바디(3221a), 제2 상부 베젤(3221), 및 제2 측면 베젤(3222)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앞서 도 3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후면 베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50)의 중심부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1 가림막(3202a) 및 제2 가림막(3203a)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의 일측에는 카메라 하우징(3273)이 배치되고, 카메라 하우징(3273) 내측에는 카메라(32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3273)은 상기 제2 하우징(120) 일측에서 디스플레이(5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5는 제3 타입 힌지 하우징이 적용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6은 제3 타입 힌지 하우징이 적용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35는 디스플레이 및 관련 구성이 제외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제1 후면 플레이트(3211c) 및 제2 후면 플레이트(3221c), 힌지 하우징(3250), 힌지 구조물(300), 힌지 덮개부들(3501, 35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예컨대, 제1 베젤(3201a) 및 제1 하우징 바디(321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제1 베젤(3201a)의 구성 없이 제1 하우징 바디(3211a)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예컨대, 제2 베젤(3201b) 및 제2 하우징 바디(3221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제2 베젤(3201b)의 구성 없이 제2 하우징 바디(3221a)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 바디(3211a) 및 제2 하우징 바디(3221a)는 힌지 구조물(30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물(300)은 힌지 하우징(3250)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덮개부들(3501, 3502)은 상기 힌지 하우징(3250)에 안착된 힌지 구조물(30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후면 플레이트(3211c)는 상기 제1 하우징 바디(3211a)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후면 플레이트(3221c)는 상기 제2 하우징 바디(3221a)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는 도 3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 구조물(300)이 안착된 힌지 하우징을 힌지 덮개부들(3501, 3502)이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덮개부들(3501, 3502)은 제1 하우징 바디(3211a)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1 힌지 덮개부(3501)와 제2 하우징 바디(3221a)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2 힌지 덮개부(35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패널(3604)이 디스플레이(50)와 하우징들(110, 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패널(3604)은 디스플레이(50)의 상부 영역과 제1 하우징 바디(3211a)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후면 패널(3604)과, 디스플레이(50)의 하부 영역과 제2 하우징 바디(3221a)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후면 패널(36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면 패널(3604) 및 제2 후면 패널(3604)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접힘 또는 펼침 상태를 가지도록 이동될 수 있도록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패널(3604)은 예컨대, 디스플레이(50)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 또는 분산시키는 충격 흡수층(또는 엠보층, 또는 쿠션층), 디스플레이(50)를 하우징들(110, 120) 상에 고정시키는 접착층, 디스플레이(50)에서 발생하는 광의 반사 효율을 증가시키는 반사층이나 또는 시인성 개선을 위한 블랙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패널(3604)은 스타일러스 팬의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기 유도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들(110, 120)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배치되고,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200)는 상기 카메라 보호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하우징(32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3273)은 상기 베젤 일측이 변형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 구조물(300)이 안착된 힌지 하우징 양측 가장자리에는 디스플레이(50)의 접힘부 노출을 가리기 위한 제1 가림막(3202a) 및 제2 가림막(3203a)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부를 포함한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70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중심부 가로선을 기준으로 3710 상태에서와 같이, 펼침 상태 또는 3730 상태에서와 같이 접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상부에는 디스플레이(5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중 적어도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770)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770)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하우징(377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는 힌지 하우징(37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하우징(3750)은 앞서 설명한 제1 타입 힌지 하우징(3750), 제2 타입 힌지 하우징(3750) 또는 제3 타입 힌지 하우징(3750)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일 수 있다. 상기 힌지 하우징(3750)의 양측 가장자리(또는 상기 디스플레이(50)의 중심부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가림막(3702a) 또는 제2 가림막(3703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림막(3702a) 또는 제2 가림막(3703a)은 상기 디스플레이(50)가 접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50)의 접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12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베젤(3711) 또는 제2 베젤(37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젤(3711)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쿠션부(3701)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부(3701)는 제2 베젤(3721) 일측(예: 제1 베젤(3711) 상에 위치한 쿠션부(370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베젤(3711) 및 제2 베젤(3721) 중 적어도 하나에 쿠션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쿠션부(3701)는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접히는 동안 제1 베젤(3711) 및 제2 베젤(3721)이 접촉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림막 구조를 가지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에서, 3810 상태는 펼침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383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의 우측 중심부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855 상태는 펼침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의 가리막(3880)이 배치된 영역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870 상태는 접힘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의 측면 사시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890 상태는 접힘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의 측면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110)은 제1 베젤(3811) 및 제2 베젤(38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젤(3811)은 예컨대, 제1 측면 베젤(3811a) 및 제1 상부 베젤(38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젤(3821)은 예컨대, 제2 측면 베젤(3821a) 및 제2 상부 베젤(3821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은 제1 후면부(3811d)를 더 포함하고, 제2 하우징(120)은 제2 후면부(382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연결하는 힌지 구조물(300)이 안착된 힌지 하우징(38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는 제1 베젤(3811) 및 제2 베젤(3821)을 연결하는 가림막(38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3880)의 일측은 상기 제1 상부 베젤(3811b)에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3880)의 타측은 상기 제2 상부 베젤(3821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3880)은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3810 상태 또는 3830 상태 또는 3855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가 접힘 상태에서, 가림막(3880)은 복수의 관절들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절 중 제1 관절은 제1 상부 베젤(3811b)의 일측에 고정되고 복수의 관절 중 다른 하나의 제2 관절은 제2 상부 베젤(3821b)의 일측에 고정되고, 나머지 관절들은 제1 관절과 제2 관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관절 및 제2 관절은 예컨대, 제1 측면 베젤(3811a) 및 제2 측면 베젤(3821a)에 각각 고정될 수도 있다.
3870 상태 또는 3890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가 접힘 상태에서, 상기 가림막(3880)은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다른 관절과 일정 각도(예: 90도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가림막(3880)은 4개의 휠이 연결된 다관절 구조(예: 4개의 휠 중 첫번째 제1 휠(또는 복수의 관절 중 첫번째에 위치한 제1 관절)은 제1 베젤에 연결되고, 마지막번째 제4 휠(또는 복수의 관절 중 마지막에 위치한 제4 관절)은 제2 베젤에 연결되고, 나머지 휠들은 적어도 하나의 링크(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를 통해 주변 휠들과 연결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림막(3880)은 휠의 크기에 따라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는 현재의 휠 수(또는 관절 수)보다 작은 개수(예: 3개)를 가지거나 더 많은 휠 수 또는 관절 개수(예: 5개 이상)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림막(3880)은 3870 상태 또는 3890 상태에서와 같이,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800)가 접힘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는 가림막(3880)은 디스플레이(50)의 접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림막 구조를 가지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에서, 3910 상태는 펼침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393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의 우측 중심부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955 상태는 펼침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의 가리막(3980)이 배치된 영역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970 상태는 접힘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의 측면 사시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990 상태는 접힘 상태의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의 측면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3910 상태에서와 같이,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300)이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39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각각 제1 베젤(3911) 및 제2 베젤(39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3930 상태에서와 같이, 제1 베젤(3911)은 제1 측면 베젤(3911a), 제1 상부 베젤(3911b)을 포함하고, 제2 베젤(3921)은 제2 측면 베젤(3921a) 및 제2 상부 베젤(39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는 제1 상부 베젤(3911b)의 일측 및 제2 상부 베젤(3921b)의 일측을 잇는 가림막(39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3980)은 예컨대, 제1 상부 베젤(3911b)이 힌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축(3980a), 제2 상부 베젤(3921b)이 힌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축(3980b), 상기 제1 축(3980a)과 제2 축(3980b)을 잇는 판넬(3980c)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막(3980)이 배치된 영역의 제1 상부 베젤(3911b) 일측에는 제1 가림막 홈(3911c)(예: L자형상으로 절개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가림막(3980)이 배치된 영역에 인접된 제2 상부 베젤(3921b) 일측에는 제2 가림막 홈(392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넬(3980c)의 높이는 상기 디스플레이(50)의 두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3980)은 디스플레이(5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3910 상태, 3930 상태 및 3955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의 펼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3970 상태 및 3990 상태는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900)의 접힘 상태에서 가림막(3980)은 디스플레이(50)의 접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 표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표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 -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제1 및 제2 끝단 각각은,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위에서 볼 때,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에 의해 전체가 가려짐-; 및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 접힘 또는 펼침 동안, 제1 축으로 회전하는 제1 샤프트;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 접힘 또는 펼침 동안,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2 축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샤프트;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아래 배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와 결합된 제1 기어;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아래 배치되고 상기 제2 샤프트와 결합된 제2 기어;
    상기 제1 샤프트가 상기 제1 축 기준 회전하는 동안 제3 축 기준 회전하는 제1 회전 부재;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제2 축 기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3 축과 평행한 제4 축 기준 회전하는 제2 회전 부재;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샤프트에 정렬되며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되는 제3 기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3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샤프트에 정렬되며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되는 제4 기어;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힌지 하우징 -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부면 적어도 일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접힐 때 노출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부면 적어도 일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가 펼칠 때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의해 전체가 가려지며,
    상기 제3 축 및 상기 제4 축 각각은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각각보다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1 샤프트 내부에 있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2 샤프트 내부에 있으며, 상기 제3 축은 상기 제1 회전 부재 외부에 있고, 상기 제4 축은 상기 제2 회전 부재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축 및 제4 축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부분들 사이의 접히는 부분에 인접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가 상기 제1 축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 샤프트의 내측에 있고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3 축과 평행한 제5 축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4 샤프트는,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제2 축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4 샤프트의 내측에 있고 상기 제5 축과 평행한 제6 축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축 및 상기 제4 축은 상기 제5 축 및 제6 축보다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축 및 제4 축 각각은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위에서 볼 때, 상기 힌지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에 하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접히는 영역을 지지하는 패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접힘 또는 펼침일 동안 상기 접히는 영역을 따라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결합하는 제1 전면 브라켓;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와 결합하는 제2 전면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1.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 표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표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제2 하우징;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구조물, -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하우징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회전 부재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하우징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축과 나란한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각각은 상기 제1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표시 부분의 사이의 접히는 부분에 인접되게 위치함 -;
    상기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는 힌지 하우징 -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부 표면의 일부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접힘 상태일 때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부 표면 전체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의해 가려짐 -;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접힘 또는 펼침 일 때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샤프트;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접힘 또는 펼침 일 때 상기 제1 축과 나란한 제4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샤프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 상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상기 제2 샤프트 상에 형성되는 제2 기어 -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는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 위치함 -;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샤프트에 정렬되고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되는 제3 기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및 제3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샤프트에 정렬되고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되는 제4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1 회전 부재 외부에 있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2 회전 부재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 내부에 있는 제3 축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고, 상기 제2 샤프트 내부에 있는 제4 축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축은 상기 제3 및 제4 축에 비하여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제1 최단 거리 및 상기 제2 축과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제2 최단 거리는, 상기 제3 축과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제3 최단 거리 및 상기 제4 축과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제4 최단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가 상기 제3 축 기준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3 샤프트 내측에 있고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3 축과 평행한 제5 축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4 샤프트는,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제4 축 기준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4 샤프트 내측에 있고 상기 제5 축과 평행한 제6 축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단 거리 및 상기 제2 최단 거리는 상기 제5 축과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사이의 제5 최단 거리 및 상기 제6 축과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사이의 제6 최단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9. 삭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최단 거리 및 상기 제4 최단 거리는 상기 제5 축과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사이의 제5 최단 거리 및 상기 제6 축과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 사이의 제6 최단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230061431A 2017-11-28 2023-05-12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3426A KR20240035979A (ko) 2017-11-28 2024-03-08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9793 2017-11-28
KR1020170159793 2017-11-28
KR1020180023001A KR102533904B1 (ko) 2017-11-28 2018-02-26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001A Division KR102533904B1 (ko) 2017-11-28 2018-02-26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3426A Division KR20240035979A (ko) 2017-11-28 2024-03-08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427A KR20230070427A (ko) 2023-05-23
KR102647399B1 true KR102647399B1 (ko) 2024-03-14

Family

ID=6455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431A KR102647399B1 (ko) 2017-11-28 2023-05-12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10775852B2 (ko)
EP (3) EP3910446A1 (ko)
KR (1) KR102647399B1 (ko)
CN (4) CN109841152B (ko)
WO (1) WO2019107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575B1 (ko) * 2017-12-01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12213B2 (en) * 2017-12-27 2021-02-02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maintaining a folding angle by magnetic force
CN208190691U (zh) * 2018-01-08 2018-12-04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半自动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110022386B (zh) * 2018-01-09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终端设备
CN110290235B (zh) * 2018-03-19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19194796A1 (en) * 2018-04-04 2019-10-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al-axis hinge assemblies
USD886819S1 (en) * 2018-04-19 2020-06-09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KR20190124110A (ko) * 2018-04-25 2019-11-04 (주)오라컴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CN108667967B (zh) * 2018-05-16 2020-01-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转动轴体及电子设备
CN108538208B (zh) * 2018-05-31 2021-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机构及折叠显示装置
KR102488408B1 (ko) * 2018-06-22 202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성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920306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2900S1 (en) 2018-08-01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5029S1 (en) 2018-08-01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2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8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5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2899S1 (en) * 2018-08-01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68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5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3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1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3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4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2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69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6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3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1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67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9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2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0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4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7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4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1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5670S1 (en) * 2018-08-01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0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5030S1 (en) 2018-08-01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2898S1 (en) 2018-08-01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KR20200026644A (ko) * 2018-08-29 2020-03-11 (주)에이유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JP6928153B2 (ja) * 2018-09-19 2021-09-0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D907614S1 (en) * 2018-10-19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7616S1 (en) * 2018-10-19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2878S1 (en) * 2018-10-19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10620S1 (en) * 2018-11-16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USD947844S1 (en) * 2018-11-16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USD910622S1 (en) * 2018-11-30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11016541B2 (en) * 2018-12-04 2021-05-25 Compal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I721687B (zh) * 2018-12-07 2021-03-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隱藏式鉸鏈及具有其的電子裝置
TWI691826B (zh) * 2019-01-08 2020-04-2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鉸鏈機構
CN210178745U (zh) * 2019-01-15 2020-03-24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的同步机构
KR102606484B1 (ko) * 2019-01-25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934239S1 (en) * 2019-01-25 2021-10-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2661194B1 (ko) 2019-02-15 2024-04-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1837B1 (ko) 2019-02-19 202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640610B1 (ko) * 2019-02-19 2024-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합된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00101224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587589B1 (ko) * 2019-02-19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934215S1 (en) * 2019-02-22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1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34217S1 (en) * 2019-02-22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0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5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6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8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80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34214S1 (en) * 2019-02-22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34847S1 (en) * 2019-02-22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9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3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16067S1 (en) 2019-02-22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2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34219S1 (en) * 2019-02-22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34216S1 (en) * 2019-02-22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69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7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174S1 (en) * 2019-02-2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34218S1 (en) * 2019-02-22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34213S1 (en) * 2019-02-22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6738S1 (en) * 2019-02-22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CN111613131B (zh) * 2019-02-25 2022-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转动装置、壳体及电子装置
US11337321B2 (en) * 2019-02-28 2022-05-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EP3944596B1 (en) * 2019-03-19 2024-05-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1816067B (zh) * 2019-04-12 2023-12-29 三星电子株式会社 可折叠电子装置
US10606318B1 (en) * 2019-05-23 2020-03-31 Google Llc Hinge mechanism and mode detector for foldable display device
CN110191211A (zh) * 2019-05-30 2019-08-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折叠路径控制机构、折叠显示装置及通讯设备
BR122023023789A2 (pt) 2019-05-31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dobrável incluindo estrutura de proteção de exibidor
KR20200138948A (ko) * 2019-06-03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힌지 구조물
US10480227B1 (en) * 2019-06-13 2019-11-19 Lianhong Art Co., Ltd. Hinge device with dual shaft
US10955880B2 (en) * 2019-06-28 2021-03-23 Apple Inc. Folding electronic devices with geared hinges
JP6868064B2 (ja) * 2019-07-12 2021-05-1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D951220S1 (en) 2019-07-17 2022-05-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951219S1 (en) * 2019-07-17 2022-05-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43854B2 (en) * 2019-07-22 2023-01-03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638277B1 (ko) * 2019-07-23 202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1169580B2 (en) * 2019-07-29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94431B2 (en) 2019-08-02 2022-04-05 Dell Products L.P.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US11243578B2 (en) * 2019-08-02 2022-02-08 Dell Products L.P. Gear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US10817082B1 (en) * 2019-08-02 2020-10-27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smart stylus
US11586243B2 (en) 2019-08-02 2023-02-2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rotational orien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US11024224B2 (en) 2019-08-02 2021-06-0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operating condi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TWI702350B (zh) * 2019-08-14 2020-08-2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依虛擬軸心運動之樞軸結構
KR20210022189A (ko) * 2019-08-19 2021-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951896S1 (en) * 2019-08-26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210047139A (ko) 2019-10-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49238A (ko) * 2019-10-24 2021-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769978B (zh) * 2019-11-01 2022-11-1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外柔性屏移动电子终端及其铰链组件
KR20210069182A (ko) * 2019-12-02 2021-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L3832992T3 (pl) * 2019-12-05 2023-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zenośne urządzenie komunikacyjne zawierające wyświetlacz
KR20210071177A (ko) * 2019-12-05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3883156A (zh) 2020-07-01 2022-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模组及折叠式电子设备
CN113090149B (zh) * 2019-12-23 2022-08-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铰链结构和折叠式电子设备
KR20210081045A (ko) * 2019-12-23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TWI764250B (zh) * 2019-12-26 2022-05-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20210086853A (ko) * 2019-12-31 2021-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016529B1 (en) * 2020-01-05 2021-05-2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device
KR102344644B1 (ko) * 2020-01-08 202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1381A (ko) 2020-01-13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022878A1 (en) * 2020-01-21 2022-07-06 Google LLC Double-axis soft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KR102641514B1 (ko) * 2020-02-10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1292623B (zh) * 2020-02-27 2022-04-01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设备
CN111462630B (zh) * 2020-04-17 2021-12-1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15059684B (zh) * 2020-04-30 2024-05-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转轴套件、电子设备
KR20210137286A (ko) * 2020-05-07 2021-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42053A (ko) 2020-05-15 2021-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09239B2 (en) 2020-05-27 202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rm structure, hinge structure including the arm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53260A (ko) * 2020-06-10 2021-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56893A (ko) * 2020-06-18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455008B2 (en) * 2020-06-29 2022-09-27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hinge assembly
CN111768707B (zh) * 2020-06-30 2022-03-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EP4155863A4 (en) 2020-07-13 2023-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JP6970794B1 (ja) * 2020-07-22 2021-11-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及びヒンジ装置
US11720151B2 (en) 2020-08-03 2023-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1190629B1 (en) * 2020-08-17 2021-11-30 Wei Hu Koh Sectioned wearable smartphone devices
JP7466191B2 (ja) 2020-08-25 2024-04-1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装置並びにこの開閉装置を用いた端末機器
US11940851B2 (en) * 2020-09-26 2024-03-26 Intel Corporatio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11567543B2 (en) 2020-09-29 2023-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assembly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11669132B2 (en) 2020-09-29 2023-06-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assembly for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299989B1 (ko) * 2020-10-16 2021-09-08 이경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구성된 폴더블 디바이스의 힌지구조
KR102317806B1 (ko) * 2020-10-16 2021-10-25 (주)케이에이치바텍 폴더블 힌지장치
TWI769560B (zh) * 2020-10-19 2022-07-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284053B1 (ko) * 2020-11-19 2021-08-02 (주)케이에이치바텍 폴더블 힌지장치
TWM612372U (zh) * 2020-11-23 2021-05-21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可調式攝影模組
EP4170998A4 (en) * 2020-12-24 2024-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INCLUDING AN INTERNAL GEA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20108846A (ko) * 2021-01-27 2022-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385687B1 (en) 2021-01-29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4057600A4 (en) 2021-01-29 2023-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U2021426185B2 (en) * 2021-02-08 2024-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capable of recognizing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module
EP4268047A1 (en) * 2021-02-19 2023-11-01 Google LLC Foldable device with bezel located camera
USD999184S1 (en) * 2021-03-15 2023-09-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3067926B (zh) * 2021-03-19 2023-1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支架结构和电子设备
USD1002568S1 (en) * 2021-03-30 2023-10-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E544744C2 (en) * 2021-04-01 2022-11-01 Skugga Tech Ab Hinge between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in an electrical device
US11892883B2 (en) 2021-04-19 2024-0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device with friction hinge
US20220343807A1 (en) * 2021-04-23 2022-10-27 E Ink Holding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USD986203S1 (en) * 2021-04-29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986845S1 (en) * 2021-04-29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WI764704B (zh) * 2021-05-03 2022-05-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折疊式電子裝置
JP2024520467A (ja) * 2021-05-27 2024-05-24 ポップソケッツ・エル・エル・シー 折り畳み可能な携帯電子機器用ケース
JP1725770S (ja) * 2021-06-29 2022-09-27 スマートフォン
JP1725607S (ja) * 2021-06-29 2022-09-26 モバイルフォン
US11983046B2 (en) * 2021-09-01 2024-05-14 Dell Products L.P. Translating pivot hinge
USD1023994S1 (en) * 2021-10-28 2024-04-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phone
CN114038337B (zh) * 2021-12-07 2023-01-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电子设备
US11656832B1 (en) 2022-01-06 2023-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directions for configuring mechanically adjustable display screen
USD1027889S1 (en) * 2022-04-18 2024-05-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3231241A1 (zh) * 2022-05-30 2023-12-07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窗式空调器
CN114754066B (zh) * 2022-06-15 2022-11-01 荣耀终端有限公司 阻尼机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07805A4 (en) 2000-08-09 2009-03-11 Si Han Kim BO TIER FOR PORTABLE DISPLAY DEVICE
TWM243864U (en) * 2003-09-26 2004-09-11 Hon Hai Prec Ind Co Ltd Rotary type hinge mechanism
KR101636077B1 (ko) * 2009-09-14 201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5801607B2 (ja) * 2011-05-31 2015-10-28 スタッフ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958185B1 (ko) * 2011-12-14 201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기어 힌지 장치
KR101986762B1 (ko) 2012-10-19 2019-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1452870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2867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2868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294597B2 (en) 2013-01-25 2016-03-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flexible display on a mobile device
US9442530B2 (en) * 2013-12-04 2016-09-13 Nokia Technologies Oy Foldable device
KR102178724B1 (ko) * 2014-02-17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727971B1 (ko) * 2014-02-21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9684343B2 (en) * 2014-06-12 2017-06-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us hinge
KR102015398B1 (ko) 2014-07-1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3917B1 (ko) 2014-08-06 2021-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TWI532930B (zh) 2014-08-15 2016-05-11 First Dome Corp Multi - joint synchronous shaft structure
KR20160024605A (ko) * 2014-08-26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2235171B1 (ko) 2014-09-01 2021-04-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6694B1 (ko) 2014-09-01 2021-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EP3174034A4 (en) 2014-09-02 2018-04-0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id display module
KR102209514B1 (ko) 2014-09-05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233119B1 (ko) * 2014-09-23 2021-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M498451U (zh) * 2014-10-06 2015-04-01 Jarllytec Co Ltd 轉軸裝置
US9683398B2 (en) * 2014-11-19 2017-06-20 Deda Metals Company Limited Multiple-stage positioning structure of synchronously rotatable dual shafts
US9442533B2 (en) 2014-12-30 2016-09-13 Shin Zu Shing Co., Ltd. Triaxial gear-typed hinge assembly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KR102333557B1 (ko) * 2014-12-30 2021-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2377B1 (ko)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204515586U (zh) * 2015-01-14 2015-07-29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341879B1 (ko) 2015-01-1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TWI547652B (zh) * 2015-01-30 2016-09-01 Can be synchronized to rotate the double pivot structure
KR20160108182A (ko) * 2015-03-05 2016-09-19 임경원 단일면 폴딩장치
KR101752708B1 (ko) * 2015-04-09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9983424B2 (en) *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106371499A (zh) * 2015-07-21 2017-02-01 联想(北京)有限公司 连接装置和电子设备
KR20170033626A (ko) 2015-09-1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14067B1 (ko) * 2015-11-06 2018-01-02 (주) 프렉코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0227808B2 (en) 2015-11-20 2019-03-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20170235337A1 (en) 2016-02-11 2017-08-1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wo casing coupled together with two-parallel-axis hinge
TWM523266U (zh) * 2016-03-07 2016-06-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之鉸接組件
CN107228119B (zh) * 2016-03-25 2020-02-28 加藤电机(香港)有限公司 双轴铰链及使用此双轴铰链的终端机器
JP6764181B2 (ja) * 2016-05-12 2020-09-30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3軸ヒンジ並びにこの3軸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KR102499448B1 (ko) * 2016-07-21 202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77308B1 (en) * 2016-08-18 2017-06-13 Lianhong Art Co., Ltd. Hinge having movable shaft
JP6838721B2 (ja) * 2016-09-01 2021-03-0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並びにこの多軸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CN206584255U (zh) * 2016-11-17 2017-10-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109527B (zh) * 2016-11-24 2020-05-19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承载结构
US10268237B2 (en) * 2017-01-26 2019-04-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9848502B1 (en) * 2017-03-24 2017-12-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assembl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12860018A (zh) 2017-05-19 2021-05-28 伊英克公司 包含数字化及触控感测的可折叠电光显示器
CN107170373A (zh) * 2017-06-29 2017-09-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07358874B (zh) * 2017-06-30 2020-02-1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1834793B1 (ko)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024991B2 (ja) 2017-09-21 2022-02-24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装置、及び端末装置
TWI728801B (zh) * 2019-06-27 2021-05-2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轉軸模組及使用該轉軸模組之折疊式裝置
US11416039B2 (en) * 2020-06-08 2022-08-16 Fositek Corp. Complex moving/rotating pivot shaft device
TWI767830B (zh) * 2021-08-30 2022-06-1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鉸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5672A1 (en) 2021-08-19
CN114783287A (zh) 2022-07-22
CN109841152A (zh) 2019-06-04
CN111899645B (zh) 2022-03-22
WO2019107854A1 (en) 2019-06-06
US11340663B2 (en) 2022-05-24
KR20230070427A (ko) 2023-05-23
US20200371564A1 (en) 2020-11-26
EP3489795B1 (en) 2020-12-30
CN111899645A (zh) 2020-11-06
US11061445B2 (en) 2021-07-13
EP3754456A1 (en) 2020-12-23
US20190166703A1 (en) 2019-05-30
CN109841152B (zh) 2022-04-26
US20220291724A1 (en) 2022-09-15
US20230409092A1 (en) 2023-12-21
US10775852B2 (en) 2020-09-15
EP3910446A1 (en) 2021-11-17
EP3489795A1 (en) 2019-05-29
CN113241009B (zh) 2022-04-05
US11747867B2 (en) 2023-09-05
CN113241009A (zh)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399B1 (ko)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35979A (ko)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EP4050455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190137433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042602A1 (ja) 情報処理装置
KR20210041380A (ko) 슬라이딩 타입의 전자 장치
KR10255665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7744A (ko) 히든 댐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EP3989040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US20230009765A1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17583A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004755A (ko) 폴더블 전자 장치의 케이스
US20210041910A1 (en) Portable device for process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sound, and video
KR102668472B1 (ko) 폴더블 전자 장치
US20230038719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230034746A (ko)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