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119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119B1
KR102233119B1 KR1020140126961A KR20140126961A KR102233119B1 KR 102233119 B1 KR102233119 B1 KR 102233119B1 KR 1020140126961 A KR1020140126961 A KR 1020140126961A KR 20140126961 A KR20140126961 A KR 20140126961A KR 102233119 B1 KR102233119 B1 KR 10223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gear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681A (ko
Inventor
박창민
이상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119B1/ko
Priority to US14/806,899 priority patent/US9600035B2/en
Priority to CN201510609320.1A priority patent/CN105448194B/zh
Publication of KR2016003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681A/ko
Priority to US15/407,885 priority patent/US101333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만곡부가 과도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대한 것으로, 제 1 바텀부 및 제 2 바텀부를 갖는 바텀 케이스; 제 1 바텀부에 수납된 제 1 프레임부 및 제 2 바텀부에 수납된 제 2 프레임부를 갖는 몰드 프레임;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를 결합하는 힌지부; 몰드 프레임 및 힌지부 상에 위치한 가요성 표시패널; 힌지부의 일측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프레임부에 결합된 제 1 곡률 조절부; 힌지부의 타측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프레임부에 결합된 제 2 곡률 조절부; 힌지부에 결합되어 제 1 곡률 조절부를 지지하는 제 1 받침부; 및 힌지부에 결합되어 제 2 곡률 조절부를 지지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패널의 만곡부가 과도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
접이식 표시장치는 휘어지는 가요성 패널을 포함한다. 접이식 표시장치는 휴대가 간편하면서 펼쳤을 때 큰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모바일 폰, 울트라 모바일 피시(ultra mobile PC), 전자 책, 전자 신문과 같은 모바일 장비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모니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한편, 접이식 표시장치가 접히는 만곡부에는 많은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이로 인해, 만곡부가 과도하게 접힐 경우, 그 만곡부 부분에 위치한 소자들이 손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장치의 만곡부의 곡률을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만곡부가 과도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 1 바텀부 및 제 2 바텀부를 갖는 바텀 케이스; 제 1 바텀부에 수납된 제 1 프레임부 및 제 2 바텀부에 수납된 제 2 프레임부를 갖는 몰드 프레임;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를 결합하는 힌지부; 몰드 프레임 및 힌지부 상에 위치한 가요성 표시패널; 힌지부의 일측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프레임부에 결합된 제 1 곡률 조절부; 힌지부의 타측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프레임부에 결합된 제 2 곡률 조절부; 힌지부에 결합되어 제 1 곡률 조절부를 지지하는 제 1 받침부; 및 힌지부에 결합되어 제 2 곡률 조절부를 지지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한다.
제 1 곡률 조절부 및 제 2 곡률 조절부는 각각, 복수의 조절부들; 및 복수의 조절부들을 서로 힌지 결합하는 복수의 연결축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조절부들 중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회동 범위를 갖는다.
복수의 조절부들은 힌지부에 더 근접할수록 더 큰 회동 범위를 갖는다.
복수의 조절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다.
복수의 조절부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조절부는, 연결축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돌기 및 홈이 배치된 일면을 포함한다.
복수의 조절부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조절부를 제외한 나머지 조절부들은, 연결축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일면; 연결축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타면을 포함한다.
제 1 돌기의 대응 위치에 제 2 홈이 위치하고, 제 1 홈의 대응 위치에 제 2 돌기가 위치한다.
나머지 조절부들은 힌지부에 더 근접할수록 더 작은 제 1 홈 및 제 2 홈을 갖는다.
복수의 조절부들은, 기준 조절부; 제 1 프레임부 및 제 2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기준 조절부의 일단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곡선형 조절부; 및 기준 조절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조절부를 포함한다.
곡선형 조절부는, 기준 조절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기준 면과 교차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동하며; 직선형 조절부는, 가상의 기준 면과 교차하는 범위 내에서 회동한다.
힌지부는, 축 수납부와, 축 수납부의 양측에 위치한 제 1 및 제 2 기어 수납부를 갖는 힌지 케이스; 축 수납부에 수납된 제 1 및 제 2 힌지 축들; 제 1 기어 수납부에 수납되며, 서로 맞물린 제 1 및 제 2 기어들; 제 2 기어 수납부에 수납되며, 서로 맞물린 제 3 및 제 4 기어들; 제 1 기어 수납부의 개구부를 덮으며, 제 1 및 제 2 기어들의 축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삽입홀들을 갖는 제 1 기어 커버; 제 2 기어 수납부의 개구부를 덮으며, 제 3 및 제 4 기어들의 축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삽입홀들을 갖는 제 2 기어 커버; 제 1 기어의 축과 제 1 프레임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제 3 기어의 축과 제 1 프레임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 제 2 기어의 축과 제 2 프레임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3 연결부; 및 제 4 기어의 축과 제 2 프레임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4 연결부를 포함한다.
힌지부는, 제 1 기어 커버의 일측과 제 1 연결부 사이, 제 1 기어 커버의 타측과 상기 제 3 연결부 사이, 제 2 기어 커버의 일측과 제 2 연결부 사이, 그리고 제 2 기어 커버의 타측과 제 4 연결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를 더 포함한다.
제 1 기어 수납부는 제 1 기어 및 제 2 기어의 축들이 삽입되는 삽입홀들을 가지며; 제 2 기어 수납부는 제 3 기어 및 제 4 기어의 축들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다.
축 수납부는, 제 1 힌지 축의 양측이 삽입되는 제 1 고정홈들; 제 2 힌지 축의 양측이 삽입되는 제 2 고정홈들; 제 1 힌지 축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홈; 및 제 2 힌지 축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홈을 갖는다.
제 1 받침부는 제 1 힌지 축에 결합되고, 제 2 받침부는 제 2 힌지 축에 결합된다.
제 1 받침부는, 제 1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 회전부에서 제 1 곡률 조절부의 일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판; 및 회전부에서 제 1 곡률 조절부의 타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제 1 힌지 축에 결합되고, 일측이 제 1 지지판에 접하고 타측이 축 수납부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제 2 받침부는, 제 2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 회전부에서 제 2 곡률 조절부의 일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판; 및 회전부에서 제 2 곡률 조절부의 타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판을 포함한다.
제 2 힌지 축에 결합되고, 일측이 제 1 지지판에 접하고 타측이 축 수납부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구비된 곡률 조절부는 표시패널의 만곡부가 과도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만곡부에 위치한 소자들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몰드 프레임와 힌지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힌지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힌지부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 1 곡률 조절부와 제 1 프레임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 1 곡률 조절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프레임부와 제 1 곡률 조절부가 결합된 구조의 평면도 및 이 구조의 I-I' 및 II-II'의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1 곡률 조절부의 단면도 및 일부 조절부들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제 1 곡률 조절부의 형태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곡률 조절부, 제 2 곡률 조절부, 제 1 받침부 및 제 2 받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제 1 곡률 조절부, 제 2 곡률 조절부, 제 1 받침부 및 제 2 받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몰드 프레임와 힌지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케이스(100), 몰드 프레임(200), 힌지부(400), 받침부(도 3의 500), 곡률 조절부(600), 표시패널(700) 및 탑 케이스(800)를 포함한다. 이하, 위 열거된 구성 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텀 케이스
바텀 케이스(100)는 한 쌍의 제 1 바텀부(100a)와 제 2 바텀부(100b)로 구성된다. 제 1 바텀부(100a)와 제 2 바텀부(100b)는 분리되어 있다. 제 1 바텀부(100a)와 제 2 바텀부(100b)는 Y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다.
제 1 바텀부(100a)는 기저(基底; base)부(101a)와 복수의 측부(102a)들을 포함한다. 측부(102a)들은 기저부(101a)의 4개의 가장자리들 각각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한편, 4개의 측부(102a)들 중 바텀 케이스(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측부는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다.
여기서, 가장 낮은 측부(102a)를 제 1 측부로 정의하고, 이 제 1 측부와 마주보는 측부를 제 2 측부로 정의할 때, 제 1 바텀부(100a)는 제 1 측부에서 제 2 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둥글게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기저부(101a)의 내측면은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갖는 3개의 면들(1a, 2a, 3a)로 이루어진다. 3개의 면들(1a, 2a, 3a)은 제 1 측부에서 제 2 측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3개의 면들(1a, 2a, 3a)을 낮은 높이의 면부터 차례로 제 1 면(1a), 제 2 면(2a) 및 제 3 면(3a)으로 정의한다.
제 1 바텀부(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텀부(100b)는 기저부(101b)와 복수의 측부(102b)들을 포함한다. 측부(102b)들은 기저부(101b)의 4개의 가장자리들 각각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한편, 4개의 측부(102b)들 중 바텀 케이스(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측부는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다.
여기서, 가장 낮은 측부를 제 1 측부로 정의하고, 이 제 1 측부와 마주보는 측부를 제 2 측부로 정의할 때, 제 2 바텀부(100b)는 제 1 측부에서 제 2 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둥글게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기저부(101b)의 내측면은 서로 다른 높낮이차를 갖는 3개의 면들(1b, 2b, 3b)로 이루어진다. 3개의 면들(1b, 2b, 3b)은 제 1 측부에서 제 2 측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3개의 면들(1b, 2b, 3b)을 낮은 높이의 면부터 차례로 제 1 면(1b), 제 2 면(2b) 및 제 3 면(3b)으로 정의한다.
몰드 프레임
몰드 프레임(200)은 한 쌍의 제 1 프레임부(200a)와 제 2 프레임부(200b)로 구성된다. 제 1 프레임부(200a)와 제 2 프레임부(200b)는 분리되어 있다. 제 1 프레임부(200a)와 제 2 프레임부(200b)는 Y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다.
제 1 프레임부(200a)는 전술된 제 1 바텀부(100a)와 닮은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프레임부(200a)는 제 1 바텀부(100a)의 제 1 측부에서 제 2 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둥글게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제 1 프레임부(200a)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측벽(202a1)과 제 2 측벽(202a2), 그리고 제 1 측벽(202a1)과 제 2 측벽(202a2) 사이에 위치한 스테이지(201a)를 포함한다. 제 1 측벽(202a1) 및 제 2 측벽(202a2)은 스테이지(201a)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다. 즉, 제 1 측벽(202a1)의 일부 및 제 2 측벽(202a2)의 일부가 이 스테이지(201a)의 가장자리보다 힌지부(400) 쪽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측벽(202a1)의 일부 및 제 2 측벽(202a2)의 일부를 각각 제 1 측벽 돌출부(211a1) 및 제 2 측벽 돌출부(211a2)로 정의한다.
제 1 측벽(202a1)은 제 2 측벽(202a2)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또한, 제 1 및 제 2 측벽(202a1, 202a2)은 스테이지(201a)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다.
제 1 프레임부(200a)는 제 1 바텀부(100a)에 수납된다. 이를 구체적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 1 프레임부(200a)에 구비된 제 1 측벽(202a1), 제 2 측벽(202a2) 및 스테이지(201a)는 제 1 바텀부(100a)의 제 3 면(3a) 상에 놓인다. 이때, 제 1 측벽 돌출부(211a1)는 제 1 면(1a)의 일측 가장자리 및 제 2 면(2a)의 일측 가장자리 상에 놓인다. 이때, 제 1 면(1a)의 일측 가장자리 및 제 2 면(2a)의 일측 가장자리는 실질적으로 제 3 면(3a)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또한, 제 2 측벽 돌출부(211a2)는 제 1 면(1a)의 타측 가장자리 및 제 2 면(2a)의 타측 가장자리 상에 놓인다. 이때, 제 1 면(1a)의 타측 가장자리 및 제 2 면(2a)의 타측 가장자리는 실질적으로 제 3 면(3a)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제 1 프레임부(200a)는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제 1 바텀부(100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프레임부(200a)의 제 1 및 제 2 측벽(202a1, 202a2)은, 내부에 홈을 갖는 복수의 돌기(27)들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바텀부(100b)의 측부(102a)들은 그 돌기(27)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홀(96)들을 가질 수 있다. 체결 수단은 제 1 바텀부(100a)의 홀(96)들을 관통하여 제 1 프레임부(200a)의 돌기(27)들에 구비된 홈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프레임부(200b)는 전술된 제 2 바텀부(100b)와 닮은 형상을 갖는다. 즉, 제 2 프레임부(200b)는 제 2 바텀부(100b)의 제 1 측부에서 제 2 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둥글게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제 2 프레임부(200b)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측벽(202b1)과 제 2 측벽(202b2), 그리고 제 1 측벽(202b1)과 제 2 측벽(202b2) 사이에 위치한 스테이지(201b)를 포함한다. 제 1 측벽(202b1) 및 제 2 측벽(202b2)은 스테이지(201b)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다. 즉, 제 1 측벽(202b1)의 일부 및 제 2 측벽(202b2)의 일부가 이 스테이지(201b)의 가장자리보다 힌지부(400) 쪽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측벽(202b1)의 일부 및 제 2 측벽(202b2)의 일부를 각각 제 1 측벽 돌출부(211b1) 및 제 2 측벽 돌출부(211b2)로 정의한다.
제 1 측벽(202b1)은 제 2 측벽(202b2)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또한, 제 1 및 제 2 측벽(202b1, 202b2)은 스테이지(201b)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다.
제 2 프레임부(200b)는 제 2 바텀부(100b)에 수납된다. 이를 구체적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 2 프레임부(200b)에 구비된 제 1 측벽(202b1), 제 2 측벽(202b2) 및 스테이지(201b)는 제 2 바텀부(100b)의 제 3 면(3b) 상에 놓인다. 이때, 제 1 측벽 돌출부(211b1)는 제 1 면(1b)의 일측 가장자리 및 제 2 면(2b)의 일측 가장자리 상에 놓인다. 이때, 제 1 면(1b)의 일측 가장자리 및 제 2 면(2b)의 일측 가장자리는 실질적으로 제 3 면(3b)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또한, 제 2 측벽 돌출부(211b2)는 제 1 면(1b)의 타측 가장자리 및 제 2 면(2b)의 타측 가장자리 상에 놓인다. 이때, 제 1 면(1b)의 타측 가장자리 및 제 2 면(2b)의 타측 가장자리는 실질적으로 제 3 면(3b)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제 2 프레임부(200b)는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제 2 바텀부(100b)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프레임부(200b)의 제 1 및 제 2 측벽(202b1, 202b2)은, 내부에 홈을 갖는 복수의 돌기(27)들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바텀부(100b)의 측부(102b)들은 그 돌기(27)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홀(96)들을 가질 수 있다. 체결 수단은 제 2 바텀부(100b)의 홀(96)들을 관통하여 제 2 프레임부(200b)의 돌기(27)들에 구비된 홈에 결합된다.
힌지부
힌지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부(200a)와 제 2 프레임부(200b)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프레임부(200a)는 힌지부(4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프레임부(200a)는 힌지부(400)의 제 1 연결부(401) 및 제 2 연결부(402)를 통해 힌지부(4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부(200a)에 구비된 제 1 측벽(202a1)의 외측면에 홈(20)이 형성되는 바, 이 홈(20)에 제 1 연결부(401)의 일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프레임부(200a)에 구비된 제 2 측벽(202a2)의 외측면에 홈(20)이 형성되는 바, 이 홈(20)에 제 2 연결부(402)의 일부가 삽입된다.
제 1 및 제 2 연결부(401, 402)는 각각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홀(25)들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프레임부(200a)에 구비된 제 1 측벽(202a1) 및 제 2 측벽(202a2)은 각각 체결홀(25)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홈(24)들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이 체결홀(25)을 통해 체결홈(24)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연결부(401)가 제 1 프레임부(200a)의 제 1 측벽(202a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 2 연결부(402)가 제 1 프레임부(200a)의 제 2 측벽(202a2)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프레임부(200b)는 힌지부(40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 2 프레임부(200b)는 힌지부(400)의 제 3 연결부(403) 및 제 4 연결부(404)를 통해 힌지부(4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 2 프레임부(200b)에 구비된 제 1 측벽(202b1)에 홈(20)이 형성되는 바, 이 홈(20)에 제 3 연결부(403)의 일부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부(200b)에 구비된 제 2 측벽(202b2)의 외측면에 홈(20)이 형성되는 바, 이 홈(20)에 제 4 연결부(404)의 일부가 삽입된다.
제 3 및 제 4 연결부(403, 404)는 각각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홀(25)들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프레임부(200b)에 구비된 제 1 측벽(202b1) 및 제 2 측벽(202b2)은 각각 체결홀(25)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홈(24)들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이 체결홀(25)을 통해 체결홈(24)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3 연결부(403)가 제 2 프레임부(200b)의 제 1 측벽(202b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 4 연결부(404)가 제 2 프레임부(200b)의 제 2 측벽(202b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힌지부(4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힌지부(4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힌지부(400)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힌지부(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케이스(499), 제 1 힌지 축(471), 제 2 힌지 축(472), 제 1 기어(451), 제 2 기어(452), 제 3 기어(453), 제 4 기어(454), 제 1 기어 커버(461), 제 2 기어 커버(462), 제 1 와셔(481), 제 2 와셔(482), 제 3 와셔(483), 제 4 와셔(484), 제 1 연결부(401), 제 2 연결부(402), 제 3 연결부(403), 제 4 연결부(404)를 포함한다.
힌지 케이스(499)는 축 수납부(490)와, 이 축 수납부(490)의 양측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기어 수납부들(411, 412)을 포함한다. 힌지 케이스(499)는 반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축 수납부(490)는 바닥부(460)와, 바닥부(46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 1 축고정부(421), 복수의 제 1 지지부들(441, 442, 431, 443, 444), 복수의 제 1 보조 지지부들(451, 452), 제 2 축고정부(422)와, 그리고 바닥부(460)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 3 축고정부(423), 복수의 제 2 지지부들(445, 446, 432, 447, 448), 복수의 제 2 보조 지지부들(453, 454), 제 4 축고정부(424)를 포함한다.
제 1 축고정부(421)와 제 2 축고정부(422)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 1 축고정부(421)와 제 2 축고정부(422) 간의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소정 깊이의 삽입홈(48)이 위치한다.
복수의 제 1 지지부들(441, 442, 431, 443, 444)은, 제 1 축고정부(421)와 제 2 축고정부(422)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 1 중심 지지부(431), 제 1 중심 지지부(431)와 제 1 축고정부(421) 사이에 위치한 제 1 측면 지지부(441) 및 제 2 측면 지지부(442), 그리고 제 1 중심 지지부(431)와 제 2 축고정부(422) 사이에 위치한 제 3 측면 지지부(443) 및 제 4 측면 지지부(44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보조 지지부들(451, 452)은, 제 1 중심 지지부(431)의 일측에 위치한 제 1 보조 지지부(451)와, 제 1 중심 지지부(431)의 타측에 위치한 제 2 보조 지지부(452)를 포함한다.
제 1 중심 지지부(451)의 내측면, 제 1 측면 지지부(441)의 내측면, 제 2 측면 지지부(442)의 내측면, 제 3 측면 지지부(443)의 내측면 및 제 4 측면 지지부(444)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홈이 구비된다. 또한, 제 1 중심 지지부(451)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제 1 보조 지지부(451)의 내측면과, 제 1 중심 지지부(451)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제 2 보조 지지부(452)의 내측면 각각에 보조 지지홈이 구비된다.
제 1 힌지 축(471)의 일측 단부는 제 1 축고정부(421)의 삽입홈(48)에 삽입되고, 그리고 제 2 힌지 축(472)의 타측 단부는 제 2 축고정부(422)의 삽입홈(48)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힌지 축(471)의 중심부는 제 1 중심 지지부(431)의 지지홈 및 2개의 보조 지지부들(451, 452)의 지지홈들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제 1 힌지 축(471)의 일측은 제 1 측면 지지부(441) 및 제 2 측면 지지부(442)의 지지홈들에 의해서 지지되고, 제 1 힌지 축(471)의 타측은 제 3 측면 지지부(443) 및 제 4 측면 지지부(444)의 지지홈들에 의해서 지지된다.
제 1 축고정부(421), 제 1 측면 지지부(441), 제 2 측면 지지부(442), 제 1 중심 지지부(431), 제 3 측면 지지부(443), 제 4 측면 지지부(444) 및 제 2 축고정부(422)는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축고정부(421)와 제 1 측면 지지부(441) 사이, 제 1 측면 지지부(441)와 제 2 측면 지지부(442) 사이, 제 2 측면 지지부(442)와 제 1 중심 지지부(431) 사이, 제 1 중심 지지부(431)와 제 3 측면 지지부(443) 사이, 제 3 측면 지지부(443)와 제 4 측면 지지부(444) 사이, 그리고 제 4 측면 지지부(444)와 제 2 축고정부(422) 사이에 각각 공간이 존재한다.
제 3 축고정부(423)와 제 4 축고정부(424)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 3 축고정부(423)와 제 4 축고정부(424) 간의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소정 깊이의 삽입홈(48)이 위치한다.
복수의 제 2 지지부들(445, 446, 432, 447, 448)은, 제 3 축고정부(423)와 제 4 축고정부(424)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 2 중심 지지부(432), 제 2 중심 지지부(432)와 제 3 축고정부(423) 사이에 위치한 제 5 측면 지지부(445) 및 제 6 측면 지지부(446), 그리고 제 2 중심 지지부(432)와 제 4 축고정부(424) 사이에 위치한 제 7 측면 지지부(447) 및 제 8 측면 지지부(448)를 포함한다.
제 2 중심 지지부(432)의 내측면, 제 5 측면 지지부(445)의 내측면, 제 6 측면 지지부(446)의 내측면, 제 7 측면 지지부(447)의 내측면 및 제 8 측면 지지부(448)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홈이 위치한다. 또한, 제 2 중심 지지부(432)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제 3 보조 지지부(453)의 내측면과, 제 2 중심 지지부(432)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제 4 보조 지지부(454)의 내측면 각각에 보조 지지홈이 위치한다.
제 2 힌지 축(472)의 일측 단부는 제 3 축고정부(423)의 삽입홈(48)에 삽입되고, 그리고 제 2 힌지 축(472)의 타측 단부는 제 4 축고정부(424)의 삽입홈(48)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 2 힌지 축(472)의 중심부는 제 2 중심 지지부(432)의 지지홈 및 2개의 보조 지지부들(453, 454)의 지지홈들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제 2 힌지 축(472)의 일측은 제 5 측면 지지부(445) 및 제 6 측면 지지부(446)의 지지홈들에 의해서 지지되고, 제 2 힌지 축(472)의 타측은 제 7 측면 지지부(447) 및 제 8 측면 지지부(448)의 지지홈들에 의해서 지지된다.
제 3 축고정부(423), 제 5 측면 지지부(445), 제 6 측면 지지부(446), 제 2 중심 지지부(432), 제 7 측면 지지부(447), 제 8 측면 지지부(448) 및 제 4 축고정부(424)는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제 3 축고정부(423)와 제 5 측면 지지부(445) 사이, 제 5 측면 지지부(445)와 제 6 측면 지지부(446) 사이, 제 6 측면 지지부(446)와 제 2 중심 지지부(432) 사이, 제 2 중심 지지부(432)와 제 7 측면 지지부(447) 사이, 제 7 측면 지지부(447)와 제 8 측면 지지부(448) 사이, 그리고 제 8 측면 지지부(448)와 제 2 축고정부(422) 사이에 각각 공간이 존재한다.
제 1 기어 수납부(41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자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 1 기어 수납부(411)의 일측은 개구되어 있다. 이 개구된 부분(430)을 통해 내부의 빈 공간이 노출된다. 제 1 기어 수납부(411)의 일면에 이 면을 관통하는 2개의 제 1 관통홀(41)들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기어 수납부(411)의 일면은 제 2 기어 수납부(412)를 마주보는 면이다.
제 1 기어 커버(461)는 제 1 기어 수납부(411)의 개구부(430)에 끼워짐으로써 그 개구부(430)를 덮는다. 제 1 기어 커버(461)는 이를 관통하는 2개의 제 2 관통홀(43)들을 갖는다. 제 2 관통홀(43)들 각각은 제 1 관통홀들(4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다.
제 1 기어(451)는 복수의 톱니들을 갖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포함한다. 결합부와 중심축은 일체로 구성된다. 복수의 톱니들은 결합부의 외주면 중 일부에 구비된다.
제 1 기어(451)는 제 1 기어 수납부(411)의 일측 공간에 수납된다. 이때, 제 1 기어(451)는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어(451)에 구비된 중심축의 일측 단부는 어느 하나의 제 1 관통홀(41)에 삽입되고, 제 1 기어(451)에 구비된 중심축의 타측 단부는 그 어느 하나의 제 1 관통홀(4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제 2 관통홀(43)에 삽입된다. 여기서, 중심축의 타측 단부는 제 2 관통홀(4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바, 이 타측 단부는 사각 형상을 이룬다.
제 2 기어(452)는 제 1 기어 수납부(411)의 타측 공간에 수납된다. 제 2 기어(452)는 복수의 톱니들을 갖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포함한다. 결합부와 중심축은 일체로 구성된다. 복수의 톱니들은 결합부의 외주면 중 일부에 구비된다.
제 2 기어(452)는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제 1 관통홀(41) 및 제 2 관통홀(43)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제 2 기어(452)에 구비된 중심축의 일측 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 1 관통홀(41)에 삽입되고, 제 2 기어(452)에 구비된 중심축의 타측 단부는 그 다른 하나의 제 1 관통홀(4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다른 하나의 제 2 관통홀(43)에 삽입된다. 여기서, 중심축의 타측 단부는 제 2 관통홀(4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바, 이 타측 단부는 사각 형상을 이룬다.
제 1 기어(451)와 제 2 기어(452)는 서로 결합된다. 즉, 제 1 기어(451)의 톱니들 중 일부가 제 2 기어(452)의 톱니들 중 일부와 맞물려 있다.
제 2 기어 수납부(41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자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 2 기어 수납부(412)의 일측은 개구되어 있다. 이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내부의 빈 공간이 노출된다. 제 2 기어 수납부(412)의 일면에 이 면을 관통하는 2개의 제 1 관통홀(41)들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 2 기어 수납부(412)의 일면은 제 1 기어 수납부(411)를 마주보는 면이다.
제 2 기어 커버(462)는 제 2 기어 수납부(412)의 개구부에 끼워짐으로써 그 개구부를 덮는다. 제 2 기어 커버(462)는 이를 관통하는 2개의 제 2 관통홀들을 갖는다. 제 2 관통홀들 각각은 제 1 관통홀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다.
제 3 기어(453)는 복수의 톱니들을 갖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포함한다. 결합부와 중심축은 일체로 구성된다. 복수의 톱니들은 결합부의 외주면 중 일부에 구비된다.
제 3 기어(453)는 제 2 기어 수납부(412)의 일측 공간에 수납된다. 이때, 제 3 기어(453)는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제 1 관통홀(42) 및 제 2 관통홀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제 3 기어(453)에 구비된 중심축의 일측 단부는 어느 하나의 제 1 관통홀(42)에 삽입되고, 제 3 기어(453)에 구비된 중심축의 타측 단부는 그 어느 하나의 제 1 관통홀(4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제 2 관통홀에 삽입된다. 여기서, 중심축의 타측 단부는 제 2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바, 이 타측 단부는 사각 형상을 이룬다.
제 4 기어(454)는 제 2 기어 수납부(412)의 타측 공간에 수납된다. 제 4 기어(454)는 복수의 톱니들을 갖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포함한다. 결합부와 중심축은 일체로 구성된다. 복수의 톱니들은 결합부의 외주면 중 일부에 구비된다.
제 4 기어(454)는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제 1 관통홀(42) 및 제 2 관통홀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제 4 기어(454)에 구비된 중심축의 일측 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 1 관통홀(42)에 삽입되고, 제 4 기어(454)에 구비된 중심축의 타측 단부는 그 다른 하나의 제 1 관통홀(4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다른 하나의 제 2 관통홀에 삽입된다. 여기서, 중심축의 타측 단부는 제 2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바, 이 타측 단부는 사각 형상을 이룬다.
제 3 기어(453)와 제 4 기어(454)는 서로 결합된다. 즉, 제 3 기어(453)의 톱니들 중 일부가 제 4 기어(454)의 톱니들 중 일부와 맞물려 있다.
제 1 와셔(washer; 481)는 제 1 기어 커버(461)의 일측과 제 1 연결부(401)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와셔(481)는 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홀을 갖는다. 제 1 기어 커버(461)의 외부로 노출된 제 1 기어(451)의 중심축은 제 1 와셔(481)를 관통하여 제 1 연결부(401)의 결합홀(49)에 삽입된다. 즉, 제 1 기어(451)의 타측 단부가 제 1 연결부(401)의 결합홀(49)에 끼워진다. 이때, 제 1 기어(451)에 구비된 중심축의 타측 단부 및 제 1 연결부(401)의 결합홀(49)은 사각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기어(451)가 겉도는 것이 방지된다.
제 2 와셔(482)는 제 1 기어 커버(461)의 타측과 제 3 연결부(403)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와셔(481)는 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홀을 갖는다. 제 1 기어 커버(461)의 외부로 노출된 제 2 기어(452)의 중심축은 제 2 와셔(482)를 관통하여 제 3 연결부(403)의 결합홀(49)에 삽입된다. 즉, 제 2 기어(452)의 타측 단부가 제 3 연결부(403)의 결합홀(49)에 끼워진다. 이때, 제 2 기어(452)에 구비된 중심축의 타측 단부 및 제 3 연결부(403)의 결합홀(49)은 사각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기어(452)가 겉도는 것이 방지된다.
제 3 와셔(483)는 제 2 기어 커버(462)의 일측과 제 2 연결부(402) 사이에 위치한다. 제 3 와셔(483)는 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홀을 갖는다. 제 2 기어 커버(462)의 외부로 노출된 제 3 기어(453)의 중심축은 제 3 와셔(483)를 관통하여 제 2 연결부(402)의 결합홀에 삽입된다. 즉, 제 3 기어(453)의 타측 단부가 제 2 연결부(402)의 결합홀에 끼워진다. 이때, 제 3 기어(453)에 구비된 중심축의 타측 단부 및 제 2 연결부(402)의 결합홀은 사각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3 기어(453)가 겉도는 것이 방지된다.
제 4 와셔(484)는 제 2 기어 커버(462)의 타측과 제 4 연결부(404) 사이에 위치한다. 제 4 와셔(484)는 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홀을 갖는다. 제 2 기어 커버(462)의 외부로 노출된 제 4 기어(454)의 중심축은 제 4 와셔(484)를 관통하여 제 4 연결부(404)의 결합홀에 삽입된다. 즉, 제 4 기어(454)의 타측 단부가 제 4 연결부(404)의 결합홀에 끼워진다. 이때, 제 4 기어(454)에 구비된 중심축의 타측 단부 및 제 4 연결부(404)의 결합홀은 사각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4 기어(454)가 겉도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연결부(401)는 긴 바(bar) 형태를 갖는다. 제 1 연결부(401)의 일측은 제 1 기어(451)의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 연결부(401)의 타측은 제 1 프레임부(200a)의 제 1 측벽(202a1)에 고정된다. 제 1 연결부(401)의 일측에 이를 관통하는 결합홀(49)이 마련되고, 제 1 연결부(401)의 타측에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홀(25)들이 마련된다. 제 1 연결부(401)의 일측은 타측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는다. 제 1 연결부(401)의 중심부의 양측에 오목한 홈(29)들이 마련된다. 이 홈들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제 1 프레임부(200a)의 제 1 측벽(202a1)에 위치한 돌기(27)가 삽입된다.
제 2 연결부(402)는 긴 바 형태를 갖는다. 제 2 연결부(402)의 일측은 제 2 기어(452)의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연결부(402)의 타측은 제 1 프레임부(200a)의 제 2 측벽(202a2)에 고정된다. 제 2 연결부(402)의 일측에 이를 관통하는 결합홀이 마련되고, 제 2 연결부(402)의 타측에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홀들이 마련된다. 제 2 연결부(402)의 일측은 타측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는다. 제 2 연결부(402)의 중심부의 양측에 오목한 홈들이 마련된다. 이 홈들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제 1 프레임부(200a)의 제 2 측벽(202a2)에 위치한 돌기(27)가 삽입된다.
제 3 연결부(403)는 긴 바 형태를 갖는다. 제 3 연결부(403)의 일측은 제 3 기어(453)의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3 연결부(403)의 타측은 제 2 프레임부(200b)의 제 1 측벽(202b1)에 고정된다. 제 3 연결부(403)의 일측에 이를 관통하는 결합홀이 마련되고, 제 3 연결부(403)의 타측에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홀들이 마련된다. 제 3 연결부(403)의 일측은 타측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는다. 제 3 연결부(403)의 중심부의 양측에 오목한 홈들이 마련된다. 이 홈들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제 2 프레임부(200b)의 제 1 측벽(202b1)에 위치한 돌기가 삽입된다.
제 4 연결부(404)는 긴 바 형태를 갖는다. 제 4 연결부(404)의 일측은 제 4 기어(454)의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4 연결부(404)의 타측은 제 2 프레임부(200b)의 제 2 측벽(202b2)에 고정된다. 제 4 연결부(404)의 일측에 이를 관통하는 결합홀이 마련되고, 제 4 연결부(404)의 타측에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홀들이 마련된다. 제 4 연결부(404)의 일측은 타측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는다. 제 4 연결부(404)의 중심부의 양측에 오목한 홈들이 마련된다. 이 홈들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제 2 프레임부(200b)의 제 2 측벽(202b2)에 위치한 돌기가 삽입된다.
제 1 내지 제 4 연결부(401, 402, 403 404)는 각각 2개의 홈(29)을 구비하는 바, 이로 인해 각 연결부(401, 402, 403 404)가 서로 다른 위치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부(401)가 제 3 연결부(403) 대신 사용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제 3 연결부(403)가 제 1 연결부(401)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받침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500)는 한 쌍의 제 1 받침부(501) 및 제 2 받침부(502)로 구성된다. 제 1 받침부(501)와 제 2 받침부(502)는 분리되어 있다. 제 1 받침부(501)와 제 2 받침부(502)는 Y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다.
제 1 받침부(501) 및 제 2 받침부(502) 각각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는 바, 도 3에는 이들 각각이 2개씩 구비된 것이 하나의 예로서 나타나 있다.
제 1 받침부(501)는 제 1 힌지 축(47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받침부(501)는 제 1 회전부(511a), 제 2 회전부(512a), 제 1 지지판(588a), 제 2 지지판(561a), 제 3 지지판(562a) 및 힌지 스프링(571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회전부(511a) 및 제 2 회전부(512a) 중 어느 하나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회전부(511a) 및 제 2 회전부(512a)가 각각 2개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판(588a) 및 제 2 지지판(561a)은 각각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 스프링(571a)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 1 회전부(511a)는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제 1 회전부(511a)는 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다. 제 1 회전부(511a)는 관통홀을 통해 제 1 힌지 축(4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회전부(511a)는 제 1 축고정부(421)와 제 1 측면 지지부(44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제 2 회전부(512a)는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제 2 회전부(512a)는 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다. 제 2 회전부(512a)는 관통홀을 통해 제 1 힌지 축(4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회전부(512a)는 제 2 측면 지지부(442)와 제 1 중심 지지부(43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제 1 지지판(588a)은 긴 바(bar) 형태를 이룬다. 제 1 지지판(588a)의 일측은 제 1 회전부(511a)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 1 지지판(588a)의 타측은 제 2 회전부(512a)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 1 지지판(588a)은 제 1 및 제 2 회전부(511a, 512a)에서 제 1 받침부(501)의 일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제 2 지지판(561a)은 제 1 지지판(588a)보다 작은 바 형태를 이룬다. 제 2 지지판(561a)은 제 1 회전부(511a)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 2 지지판(561a)은 제 1 회전부(511a)에서 제 1 받침부(501)의 타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제 2 지지판(561a)은 제 1 지지판(588a)보다 더 작은 길이 및 더 작은 폭을 갖는다.
제 3 지지판(562a)은 제 1 지지판(588a)보다 작은 바 형태를 이룬다. 제 3 지지판(562a)은 제 2 회전부(512a)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 3 지지판(562a)은 제 2 회전부(512a)에서 제 1 받침부(501)의 타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제 3 지지판(562a)은 제 1 지지판(588a)보다 더 작은 길이 및 더 작은 폭을 갖는다. 제 3 지지판(562a)은 제 2 지지판(561a)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 1 지지판(588a)과 제 2 지지판(561a) 간의 각도는 45도 보다 큰 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판(588a)과 제 2 지지판(561a) 간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제 1 지지판(588a)과 제 3 지지판(562a) 간의 각도는 45도 보다 큰 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판(588a)과 제 3 지지판(562a) 간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힌지 스프링(571a)은 제 1 측면 지지부(441)와 제 2 측면 지지부(44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힌지 스프링(571a)은 제 1 힌지 축(471)에 감겨진 형상을 갖는다. 이때, 힌지 스프링(571a)의 일측 단부는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힌지 케이스(499)의 바닥부(460) 상에 위치하며, 그리고 힌지 스프링(571a)의 타측 단부는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제 1 지지판(588a) 상에 위치한다. 힌지 스프링(571a)에 의해 제 1 지지판(588a)과 바닥부(460) 간의 각도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힌지 스프링(571a)의 복원력보다 더 큰 힘이 제 1 지지판(588a)에 가해지면 제 1 지지판(588a)이 힌지 스프링(571a)을 타측 단부를 누르게 되고, 이때 힌지 스프링(571a)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간의 각도가 줄어들면서 힌지 스프링(571a)에 에너지가 축척된다.
한편, 제 1 힌지 축(471)에 결합된 다른 하나의 제 1 받침부(501)는 전술된 제 1 받침부(501)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다만, 다른 하나의 제 1 받침부의 제 1 회전부는 제 1 중심 지지부(431)와 제 3 측면 지지부(44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이 다른 하나의 제 1 받침부의 제 2 회전부는 제 4 측면 지지부(444)와 제 2 축고정부(42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 1 받침부의 힌지 스프링은 제 3 측면 지지부(443)와 제 4 측면 지지부(44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제 2 받침부(502)는 제 2 힌지 축(4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받침부(502)는 제 1 회전부(511b), 제 2 회전부(512b), 제 1 지지판(588b), 제 2 지지판(561b), 제 3 지지판(562b) 및 힌지 스프링(57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회전부(511b) 및 제 2 회전부(512b) 중 어느 하나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회전부(511b) 및 제 2 회전부(512b)가 각각 2개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판(588b) 및 제 2 지지판(561b)은 각각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 스프링(571b)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 1 회전부(511b)는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제 1 회전부(511b)는 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다. 제 1 회전부(511b)는 관통홀을 통해 제 2 힌지 축(4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회전부(511b)는 제 3 축고정부(423)와 제 5 측면 지지부(445)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제 2 회전부(512b)는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제 2 회전부(512b)는 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다. 제 2 회전부(512b)는 관통홀을 통해 제 2 힌지 축(4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회전부(512b)는 제 6 측면 지지부(446)와 제 2 중심 지지부(43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제 1 지지판(588a)은 긴 바 형태를 이룬다. 제 1 지지판(588a)의 일측은 제 1 회전부(511b)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 1 지지판(588a)의 타측은 제 2 회전부(512b)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 1 지지판(588a)은 제 1 및 제 2 회전부(511b, 512b)에서 제 2 받침부(502)의 일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제 2 지지판(561b)은 제 1 지지판(588b)보다 작은 바 형태를 이룬다. 제 2 지지판(561b)은 제 1 회전부(511b)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 2 지지판(561b)은 제 1 회전부(511b)에서 제 2 받침부(502)의 타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제 2 지지판(561b)은 제 1 지지판(588b)보다 더 작은 길이 및 더 작은 폭을 갖는다.
제 3 지지판(562b)은 제 1 지지판(588b)보다 작은 바 형태를 이룬다. 제 3 지지판(562b)은 제 2 회전부(512b)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 3 지지판(562a)은 제 2 회전부(512b)에서 제 2 받침부(502)의 타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제 3 지지판(562b)은 제 1 지지판(588b)보다 더 작은 길이 및 더 작은 폭을 갖는다. 제 3 지지판(562b)은 제 2 지지판(561b)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 1 지지판(588b)과 제 2 지지판(561b) 간의 각도는 45도 보다 큰 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판(588b)과 제 2 지지판(561b) 간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제 1 지지판(588b)과 제 3 지지판(562b) 간의 각도는 45도 보다 큰 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판(588b)과 제 3 지지판(562b) 간의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힌지 스프링(571b)은 제 5 측면 지지부(445)와 제 6 측면 지지부(446)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힌지 스프링(571b)은 제 2 힌지 축(472)에 감겨진 형상을 갖는다. 이때, 힌지 스프링(571b)의 일측 단부는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힌지 케이스(499)의 바닥부(460) 상에 위치하며, 그리고 힌지 스프링(571a)의 타측 단부는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제 1 지지판(588b) 상에 위치한다. 힌지 스프링(571b)에 의해 제 1 지지판(588b)과 바닥부(460) 간의 각도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의 복원력보다 더 큰 힘이 제 1 지지판(588b)에 가해지면 제 1 지지판(588b)이 힌지 스프링(571b)을 타측 단부를 누르게 되고, 이때 힌지 스프링(571b)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간의 각도가 줄어들면서 힌지 스프링(571b)에 에너지가 축척된다.
한편, 제 2 힌지 축(472)에 결합된 다른 하나의 제 2 받침부는 전술된 제 2 받침부(502)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다만, 다른 하나의 제 2 받침부의 제 1 회전부는 제 2 중심 지지부(432)와 제 7 측면 지지부(447)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이 다른 하나의 제 2 받침부의 제 2 회전부는 제 8 측면 지지부(448)와 제 4 축고정부(42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 2 받침부의 힌지 스프링(571b)은 제 7 측면 지지부(447)와 제 8 측면 지지부(448)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곡률 조절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 조절부(600)는 한 쌍의 제 1 곡률 조절부(600a) 및 제 2 곡률 조절부(600b)로 구성된다. 제 1 곡률 조절부(600a)와 제 2 곡률 조절부(600b)는 분리되어 있다. 제 1 곡률 조절부(600a)와 제 2 곡률 조절부(600b)는 Y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다.
제 1 곡률 조절부(600a)는 표시패널(700)의 만곡부 중 제 1 만곡부(A1)의 곡률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여, 제 1 곡률 조절부(600a)는 제 1 만곡부(A1)가 완만한 곡률을 이루도록 제 1 만곡부(A1)의 구부러진 정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 1 만곡부(A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A1, A2)의 중심부와 제 1 경계부 사이에 위치한 표시패널(700) 부분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제 1 경계부는 제 1 프레임부(200a)의 스테이지(201a)와 제 1 곡률 조절부(600a) 간의 계면을 의미한다.
제 1 곡률 조절부(600a)는 힌지부(400)의 일측과 표시패널(700)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 1 곡률 조절부(600a)는, 힌지부(400)의 제 1 힌지 축(471)에 결합된 제 1 받침부(501)와 표시패널(700) 사이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 1 곡률 조절부(600a)의 일측은 제 1 프레임부(200a)의 제 1 측벽 돌출부(211a1)와 제 2 측벽 돌출부(211a2)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곡률 조절부(600a)는 제 1 프레임부(200a)의 스테이지(201a)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곡률 조절부(600a)와 제 1 프레임부(200a) 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제 1 곡률 조절부(600a)와 제 1 프레임부(200a)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부(200b)를 마주보는 제 1 프레임부(200a)의 스테이지(201a) 면에 복수의 돌기(22)들 및 복수의 홈(23)들이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돌기(22)들 각각은 내부가 빈 원기둥 형태를 이룬다. 제 1 곡률 조절부(600a)의 일측에도 내부가 빈 원기둥 형태를 갖는 복수의 돌기 및 복수의 홈들이 구비된다. 스테이지(201a)의 돌기(22)들이 제 1 곡률 조절부(600a)의 홈들에 삽입되고, 제 1 곡률 조절부(600a)의 돌기들이 스테이지(201a)의 홈(23)들에 삽입된다. 제 1 프레임부(200a)의 스테이지(201a)와 제 1 곡률 조절부(600a)의 돌기와 홈들이 결합된 후 그 결합된 돌기들의 홀들에 연결축(666)이 삽입됨으로써, 제 1 곡률 조절부(600a)가 제 1 프레임부(200a)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연결축(666)은 제 2 측벽 돌출부(211a2)를 관통하는 관통홀(66)을 통해 제 1 프레임부(200a)의 스테이지(201a)에 결합된다.
도 6은 도 5의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1 프레임부(200a)와 제 1 곡률 조절부(600a)가 결합된 구조의 평면도 및 이 구조의 I-I' 및 II-II'의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즉, 도 7의 (a)는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를 I-I'의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7의 (c)는 도 7의 (a)를 II-II'의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 1 곡률 조절부(600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과 복수의 연결축(667)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은 복수의 연결축(667)들을 통해 서로 힌지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에는, 제 1 곡률 조절부(600a)가 서로 힌지 방식으로 결합된 6개의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을 갖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곡률 조절부(600a)는 이보다 적은 수로, 또는 더 많은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보다 길이가 큰 바(bar) 형태를 이룬다.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 모두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고, 또한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내지 제 5 조절부(605)(601, 602, 603, 604, 605)의 각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6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62)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제 1 내지 제 5 조절부(605)(601, 602, 603, 604, 605, 606)의 각 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기(63)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64)이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 1 돌기(61)에 대응되는 곳에 제 2 홈(64)이 위치하고, 제 1 홈(62)에 대응되는 곳에 제 2 돌기(63)가 위치한다.
힌지부(40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제 6 조절부(606)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기(63)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64)이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61, 63)는 각각 이들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홀들을 갖는다.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61, 63)는 각각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홈(62, 64)은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서로 인접한 조절부들의 마주보는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제 1 돌기(61)는, 다른 면에 구비된 제 2 홈(64)을 마주본다. 이 제 1 돌기(61)는 제 2 홈(64)에 삽입된다. 서로 인접한 조절부들의 돌기들(61, 63)과 홈들(62, 64)이 결합된 후, 그 돌기들(61, 63)의 홀들에 연결축(667)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 인접한 조절부들이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조절부(604)의 제 1 돌기(61)는 제 5 조절부(605)의 제 2 홈(64)에 삽입되고, 제 4 조절부(604)의 제 2 돌기(63)는 제 3 조절부(603)의 제 1 홈(6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 3 내지 제 5 조절부(603, 604, 605)의 돌기들 및 홈들이 서로 결합된 후, 돌기들의 홀들에 연결축(667)들이 삽입된다.
도 8은 제 1 곡률 조절부(600a)의 단면도 및 일부 조절부들에 대한 확대도이다.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구비된 조절부들 중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회동(回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조절부들은 힌지부(400)에 더 근접할수록 더 큰 회동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0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제 1 조절부(601)가 가장 작은 회전 가능 범위(0도)를 갖고, 힌지부(400)에 가장 근접한 제 6 조절부(606)가 가장 큰 회전 가능 범위(θ5)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조절부(602)는 제 1 조절부(601)보다 더 큰 회전 가능 범위(θ1)를 가지며, 제 3 조절부(603)는 제 2 조절부(602)보다 더 큰 회전 가능 범위(θ2)를 가지며, 제 4 조절부(604)는 제 3 조절부(603)보다 더 큰 회전 가능 범위(θ3)를 가지며, 제 5 조절부(605)는 제 4 조절부(604)보다 더 큰 회전 가능 범위(θ4)를 가지며, 그리고 제 6 조절부(606)는 제 5 조절부(605)보다 더 큰 회전 가능 범위(θ5)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조절부(601)의 회전 가능 범위는 실질적으로 0도이다.
제 1 내지 제 5 조절부(601, 603, 604, 605)들은 힌지부(400)에 근접할수록 더 작은 크기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절부(601)가 가장 큰 홈을 가지며, 제 5 조절부(605)가 가장 작은 홈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조절부(602)는 제 1 조절부(601)보다 작은 홈을 가지며, 제 3 조절부(603)는 제 2 조절부(602)보다 더 작은 홈을 가지며, 제 4 조절부(604)는 제 3 조절부(603)보다 더 작은 홈을 가지며, 제 5 조절부(605)는 제 4 조절부(604)보다 더 작은 홈을 가지며, 그리고 제 6 조절부(606)는 제 5 조절부(605)보다 더 작은 홈을 갖는다. 한편, 제 6 조절부(606)는 제 1 조절부(601)보다 더 큰 홈을 갖는다. 다시 말하여, 제 6 조절부(606)는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 중 가장 큰 홈을 갖는다.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상부면(82)과 하부면(8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조절부(602)는 이의 상부면(82)보다 더 작은 하부면(81)을 갖는다. 한편, 제 6 조절부(606)는 이의 상부면(82)보다 더 큰 하부면(81)을 갖는다.
다른 예로서, 제 1 조절부(601)는 동일한 크기의 상부면(82)과 하부면(81)을 가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조절부(601, 602, 603, 604)는 모두 동일한 크기의 상부면(82)을 가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5 조절부(601, 602, 603, 604, 605)들은 힌지부(400)에 근접할수록 더 작은 크기의 하부면(8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절부(601)가 가장 큰 하부면(81)을 가지며, 제 5 조절부(605)가 가장 작은 하부면(81)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조절부(602)는 제 1 조절부(601)보다 작은 하부면(81)을 가지며, 제 3 조절부(603)는 제 2 조절부(602)보다 더 작은 하부면(81)을 가지며, 제 4 조절부(604)는 제 3 조절부(603)보다 더 작은 하부면(81)을 가지며, 제 5 조절부(605)는 제 4 조절부(604)보다 더 작은 하부면(81)을 가지며, 그리고 제 6 조절부(606)는 제 5 조절부(605)보다 더 작은 하부면(81)을 갖는다. 한편, 제 6 조절부(606)는 제 1 조절부(601)보다 더 큰 하부면(81)을 갖는다. 다시 말하여, 제 6 조절부(606)는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 중 가장 큰 하부면을 갖는다.
연결축들(666, 667)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 5 조절부(605)의 양측에 연결된 2개의 연결축(667)들의 간격은 다른 연결축들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즉, 제 5 조절부(605)의 일측으로부터 제 6 조절부(606)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615)로 인해, 제 5 조절부(605)의 양측에 위치한 연결축(667)들의 간격이 다른 연결축들의 간격보다 더 크다.
한편,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 어느 2개의 조절부들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조절부는 기준 조절부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5 조절부(605)가 기준 조절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프레임부(200a)와 기준 조절부(605) 사이에 위치한 제 1 내지 제 4 조절부들(601, 602, 603, 604) 각각은 곡선형 조절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기준 조절부(605)와 힌지부(400) 사이에 위치한 제 6 조절부(606)는 직선형 조절부로 정의될 수 있다. 곡선형 조절부들(601, 602, 603, 604)은 기준 조절부(605)의 일단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며, 직선형 조절부는 기준 조절부(605)의 타단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기준 조절부(605)의 상부면(82)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면을 기준 면(888)으로 정의할 때, 제 1 프레임부(200a)와 기준 조절부(605) 사이에 위치한 제 1 내지 제 4 곡선형 조절부들(601, 602, 603, 604)은 기준 면(888)과 교차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반면, 기준 조절부(605)와 힌지부(400) 사이에 위치한 직선형 조절부(606)는 기준 면(888)과 교차하는 범위 내에서 회동한다. 이를 도 9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기준 조절부, 제 1 내지 제 4 곡선형 조절부, 그리고 직선형 조절부라는 용어 대신 기존의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9는 제 1 곡률 조절부(600a)의 형태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700)의 만곡 면을 따라 제 1 곡률 조절부(600a)가 변형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이 그 만곡 면에 맞춰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5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의 각 상부면(82)은 기준 면(888)과 교차하지 않는 반면, 제 6 조절부(606)의 상부면(82)은 기준 면(888)과 교차한다.
한편, 제 2 곡률 조절부(600b)는 표시패널(700)의 만곡부(A1, A2) 중 제 2 만곡부(A2)의 곡률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여, 제 2 곡률 조절부(600b)는 제 2 만곡부(A2)가 완만한 곡률을 이루도록 제 2 만곡부(A2)의 구부러진 정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 2 만곡부(A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A1, A2)의 중심부와 제 2 경계부 사이에 위치한 표시패널(700) 부분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제 2 경계부는 제 2 프레임부(200b)의 스테이지(201a)와 제 2 곡률 조절부(600b) 간의 계면을 의미한다.
제 2 곡률 조절부(600b)는 힌지부(400)의 일측과 표시패널(700)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 2 곡률 조절부(600b)는, 힌지부(400)의 제 2 힌지 축(472)에 결합된 제 2 받침부(502)와 표시패널(700) 사이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 2 곡률 조절부(600b)의 일측은 제 2 프레임부(200b)의 제 1 측벽 돌출부(211b1)와 제 2 측벽 돌출부(211b2)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곡률 조절부(600b)는 제 2 프레임부(200b)의 스테이지(201b)에 힌지 결합된다.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대한 상세 구조는, 전술된 제 1 곡률 조절부(6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9, 그리고 이와 관련된 내용을 참조한다.
표시패널
표시패널(7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200) 및 곡률 조절부(600) 상에 위치한다. 이때, 표시패널(700)의 일측은 제 1 프레임부(200a)의 스테이지(201a) 상에 놓이고, 표시패널(700)의 타측은 제 2 프레임부(200b)의 스테이지(201b) 상에 놓이고, 표시패널(700)의 제 1 만곡부(A1)는 제 1 곡률 조절부(600a) 상에 놓이고, 그리고 표시패널(700)의 제 2 만곡부(A2)는 제 2 곡률 조절부(600b) 상에 놓인다.
이 표시패널(700)은 크게 표시부(700a)와 비표시부(700b)로 구분된다. 표시부(700a)에 영상이 표시되고, 비표시부(700b)에 그 영상의 표시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 각종 제어신호들 및 각종 전원신호들을 전송하는 신호배선들이 설치된다. 또한, 위의 영상 데이터, 각종 제어신호들 및 각종 전원신호들을 제공하는 구동 회로부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그 비표시부(700b) 또는 전술된 구동 회로 보드에 더 설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700)은 액정 표시패널(70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700), 플라즈마 표시패널(700), 전기영동 표시패널(700)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700)은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는 가요성 표시패널(700)이다.
탑 케이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케이스(800)는 표시패널(700)의 표시부(700a) 및 힌지부(40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다. 즉, 탑 케이스(800)는 중심부가 개구된 사각 틀 형태를 이룬다. 탑 케이스(800)는 한 쌍의 제 1 탑부(800a)와 제 2 탑부(800b)로 구성된다. 제 1 탑부(800a)와 제 2 탑부(800b)는 분리되어 있다. 제 1 탑부(800a)와 제 2 탑부(800b)는 Y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다.
제 1 탑부(800a)의 일부는 제 1 프레임부(200a)의 제 1 측벽(202a1) 및 제 2 측벽(202a2) 상에 놓인다. 그리고, 제 1 탑부(800a)의 다른 일부는 이후 설명할 사이드 케이스(900)의 제 1 사이드부(900a) 상에 놓인다. 제 1 탑부(800a)는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제 1 측벽(202a1), 제 2 측벽(202a2) 및 제 1 사이드부(900a)에 고정된다.
제 2 탑부(800b)의 일부는 제 2 프레임부(200b)의 제 1 측벽(202b1) 및 제 2 측벽(202b2) 상에 놓인다. 그리고, 제 2 탑부(800b)의 다른 일부는 이후 설명할 사이드 케이스(900)의 제 2 사이드부(900b) 상에 놓인다. 제 2 탑부(800b)는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제 1 측벽(202b1), 제 2 측벽(202b2) 및 제 2 사이드부(900b)에 고정된다.
사이드 케이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케이스(900)는 한 쌍의 제 1 사이드부(900a)와 제 2 사이드부(900b)로 구성된다. 제 1 사이드부(900a)와 제 2 사이드부(900b)는 분리되어 있다. 제 1 사이드부(900a)와 제 2 사이드부(900b)는 Y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다.
제 1 사이드부(900a)는 제 1 바텀부(100a)의 가장자리 상에 위치한다. 제 1 사이드부(900a)는 제 1 탑부(800a)의 하부면에 부착된다. 이때, 제 1 사이드부(900a)는 체결 수단을 통해 제 1 탑부(800a)에 고정된다.
제 2 사이드부(900b)는 제 2 바텀부(100b)의 가장자리 상에 위치한다. 제 2 사이드부(900b)는 제 2 탑부(800b)의 하부면에 부착된다. 이때, 제 2 사이드부(900b)는 체결 수단을 통해 제 2 탑부(800b)에 고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곡률 조절부(600a), 제 2 곡률 조절부(600b), 제 1 받침부(501) 및 제 2 받침부(50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가 펼쳐진 상태일 때 이에 구비된 표시패널(700)도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 1 곡률 조절부(600a)의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과 제 2 곡률 조절부(600b)의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이 기준 면(888)을 따라 정렬된다.
이에 따라,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의 각 상면이 표시패널(700)의 일면과 접촉하고,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의 각 상면이 표시패널(700)의 타면과 접촉한다.
제 1 받침부(501)의 제 1 지지판(588a)은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구비된 제 6 조절부(606)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 1 받침부(501)의 제 2 및 제 3 지지판(561a, 562a)은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구비된 제 6 조절부(606)의 타측을 지지한다.
제 2 받침부(502)의 제 1 지지판(588b)은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구비된 제 6 조절부(606)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 2 받침부(502)의 제 2 및 제 3 지지판(561b, 562b)은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구비된 제 6 조절부(606)의 타측을 지지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 1 곡률 조절부(600a), 제 2 곡률 조절부(600b), 제 1 받침부(501) 및 제 2 받침부(50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가 접힌 상태일 때 이에 구비된 표시패널(700)도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표시패널(700)이 접혀짐에 따라 제 1 만곡부(A1)가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이 제 1 바텀부(100a)를 향해 이동함과 동시에 연결축(667)들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5 조절부(601, 602, 603, 604, 605)의 상부면(82)들이 만곡된 형태를 취한다. 이때,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구비된 제 5 조절부(605)와 제 6 조절부(606) 간의 연결부가 제 1 바텀부(100a)의 제 2 면(2a) 상에 놓인다. 그리고, 제 1 받침부(501)에 구비된 제 1 지지판(588a)이 제 1 바텀부(100a)를 향해 회전하는 바, 이 회전에 의해 제 1 지지판(588a)의 일측이 제 1 바텀부(100a)의 제 1 면(1a) 상에 놓인다. 그리고,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구비된 제 6 조절부(606)의 일측이 제 1 지지판(588a)과 제 2 지지판(561a)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의 회전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제 1 만곡부(A1)의 곡률이 일정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제 1 곡률 조절부(600a)에 의해, 제 1 만곡부(A1) 중 제 1 경계부 근처에 위치한 부분(B1)이 상당히 큰 값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곡률 조절부(600a)는, 표시장치가 접혀질 때 제 1 만곡부(A1)의 B1부분이 과도하게 접히지 않도록 그 B1부분에서의 곡률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제한한다.
마찬가지로, 표시패널(700)이 접혀짐에 따라 제 2 만곡부(A2)가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러면,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이 제 2 바텀부(100b)를 향해 이동함과 동시에 연결축(667)들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5 조절부(601, 602, 603, 604, 605)의 상부면(82)들이 만곡된 형태를 취한다. 이때,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구비된 제 5 조절부(605)와 제 6 조절부(606) 간의 연결부가 제 2 바텀부(100b)의 제 2 면(2b) 상에 놓인다. 그리고, 제 2 받침부(502)에 구비된 제 1 지지판(588b)이 제 2 바텀부(100b)를 향해 회전하는 바, 이 회전에 의해 제 1 지지판(588b)의 일측이 제 2 바텀부(100b)의 제 2 면(2b) 상에 놓인다. 그리고,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구비된 제 6 조절부(606)의 일측이 제 1 지지판(588b)과 제 2 지지판(561b)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6 조절부들(601, 602, 603, 604, 605, 606)의 회전 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만곡부(A2)의 곡률이 일정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제 2 곡률 조절부(600b)에 의해, 제 2 만곡부(A2) 중 제 2 경계부 근처에 위치한 부분(B2)이 상당히 큰 값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곡률 조절부(600a)는, 표시장치가 접혀질 때 제 1 만곡부(A1)의 B2부분이 과도하게 접히지 않도록 그 B2부분에서의 곡률 값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제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666, 667: 연결축 601: 제 1 조절부
602: 제 2 조절부 603: 제 3 조절부
604: 제 4 조절부 605: 제 5 조절부
606: 제 6 조절부 61: 제 1 돌기
62: 제 1 홈 63: 제 2 돌기
64: 제 2 홈 60: 홀

Claims (20)

  1. 제 1 바텀부 및 제 2 바텀부를 갖는 바텀 케이스;
    상기 제 1 바텀부에 수납된 제 1 프레임부 및 상기 제 2 바텀부에 수납된 제 2 프레임부를 갖는 몰드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를 결합하는 힌지부;
    상기 몰드 프레임 및 상기 힌지부 상에 위치한 가요성 표시패널;
    상기 힌지부의 일측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에 결합된 제 1 곡률 조절부;
    상기 힌지부의 타측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프레임부에 결합된 제 2 곡률 조절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곡률 조절부를 지지하는 제 1 받침부; 및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곡률 조절부를 지지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률 조절부 및 제 2 곡률 조절부는 각각,
    복수의 조절부들; 및
    상기 복수의 조절부들을 서로 힌지 결합하는 복수의 연결축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부들 중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회동 범위를 갖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부들은 상기 힌지부에 더 근접할수록 더 큰 회동 범위를 갖는 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부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조절부는, 연결축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돌기 및 홈이 배치된 일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부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조절부를 제외한 나머지 조절부들은,
    연결축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일면;
    연결축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돌기의 대응 위치에 제 2 홈이 위치하고, 제 1 홈의 대응 위치에 제 2 돌기가 위치한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조절부들은 상기 힌지부에 더 근접할수록 더 작은 제 1 홈 및 제 2 홈을 갖는 표시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부들은,
    기준 조절부;
    제 1 프레임부 및 제 2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기준 조절부의 일단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곡선형 조절부; 및
    상기 기준 조절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조절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조절부는, 상기 기준 조절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기준 면과 교차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동하며;
    상기 직선형 조절부는, 상기 가상의 기준 면과 교차하는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축 수납부와, 상기 축 수납부의 양측에 위치한 제 1 및 제 2 기어 수납부를 갖는 힌지 케이스;
    상기 축 수납부에 수납된 제 1 및 제 2 힌지 축들;
    상기 제 1 기어 수납부에 수납되며, 서로 맞물린 제 1 및 제 2 기어들;
    상기 제 2 기어 수납부에 수납되며, 서로 맞물린 제 3 및 제 4 기어들;
    상기 제 1 기어 수납부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어들의 축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삽입홀들을 갖는 제 1 기어 커버;
    상기 제 2 기어 수납부의 개구부를 덮으며, 제 3 및 제 4 기어들의 축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삽입홀들을 갖는 제 2 기어 커버;
    상기 제 1 기어의 축과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3 기어의 축과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
    상기 제 2 기어의 축과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3 연결부; 및
    상기 제 4 기어의 축과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4 연결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 기어 커버의 일측과 제 1 연결부 사이, 상기 제 1 기어 커버의 타측과 상기 제 3 연결부 사이, 상기 제 2 기어 커버의 일측과 상기 제 2 연결부 사이,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 커버의 타측과 상기 제 4 연결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 수납부는 제 1 기어 및 제 2 기어의 축들이 삽입되는 삽입홀들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어 수납부는 제 3 기어 및 제 4 기어의 축들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표시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축 수납부는,
    상기 제 1 힌지 축의 양측이 삽입되는 제 1 고정홈들;
    상기 제 2 힌지 축의 양측이 삽입되는 제 2 고정홈들;
    상기 제 1 힌지 축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홈; 및
    상기 제 2 힌지 축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홈을 갖는 표시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부는 상기 제 1 힌지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받침부는 상기 제 2 힌지 축에 결합된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부는,
    상기 제 1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제 1 곡률 조절부의 일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판; 및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제 1 곡률 조절부의 타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축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 1 지지판에 접하고 타측이 상기 축 수납부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받침부는,
    상기 제 2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제 2 곡률 조절부의 일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판; 및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제 2 곡률 조절부의 타측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 축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 1 지지판에 접하고 타측이 상기 축 수납부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26961A 2014-09-23 2014-09-23 표시장치 KR10223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61A KR102233119B1 (ko) 2014-09-23 2014-09-23 표시장치
US14/806,899 US9600035B2 (en) 2014-09-23 2015-07-23 Display device
CN201510609320.1A CN105448194B (zh) 2014-09-23 2015-09-22 显示装置
US15/407,885 US10133303B2 (en) 2014-09-23 2017-01-1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61A KR102233119B1 (ko) 2014-09-23 2014-09-23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681A KR20160035681A (ko) 2016-04-01
KR102233119B1 true KR102233119B1 (ko) 2021-03-30

Family

ID=5552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961A KR102233119B1 (ko) 2014-09-23 2014-09-23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600035B2 (ko)
KR (1) KR102233119B1 (ko)
CN (1) CN1054481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7782B (en) * 2013-09-02 2020-08-19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US9798359B2 (en) 2014-02-21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D819628S1 (en) * 2014-02-22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6233362B (zh) * 2014-04-24 2019-04-0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233119B1 (ko) * 2014-09-23 2021-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70015B1 (ko) * 2014-11-25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1500B1 (ko) * 2015-01-22 2021-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551880B1 (en) * 2015-09-11 2020-02-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and hinges
CN107484426B (zh) * 2016-03-30 2020-12-25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触控显示屏
CN105812509B (zh) * 2016-03-31 2018-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移动终端
KR102460466B1 (ko) * 2016-07-06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접철식 전자 장치
JP1566227S (ko) * 2016-07-22 2016-12-26
JP1583195S (ko) * 2016-07-27 2017-08-07
KR102603654B1 (ko) * 2016-08-24 2023-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0422A (ko) * 2016-09-15 2018-03-23 노완동 2단 폴더블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KR102628024B1 (ko) * 2016-10-07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1930533B1 (ko) * 2017-01-06 2019-03-11 주식회사 이랜텍 힌지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US10481634B2 (en) 2017-01-10 2019-11-19 Lenovo (Singapore) Pte.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6429909B2 (ja) * 2017-01-10 2018-11-2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10409332B2 (en) * 2017-01-10 2019-09-10 Lenovo (Singapore) Pte.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10416710B2 (en) * 2017-01-10 2019-09-17 Lenovo (Singapore) Pte.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6535353B2 (ja) * 2017-01-10 2019-06-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CN206559732U (zh) * 2017-01-24 2017-10-13 深圳视爵光旭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弯曲板材的装置及led模组
US10754377B2 (en) * 2017-04-05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JP6513732B2 (ja) * 2017-04-27 2019-05-1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WO2018210191A1 (zh)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WO2018210182A1 (zh)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EP3627803B1 (en) * 2017-05-17 2023-08-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mobile terminal
WO2018210194A1 (zh)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EP3637741B1 (en) 2017-05-17 2021-03-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mobile terminal
WO2018210187A1 (zh)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折叠机构组件及可折叠移动终端
US10778822B2 (en) * 2017-07-12 2020-09-15 Hangzhou Amphenol Phoenix Telecom Parts Co., Ltd. Hinge of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and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KR102393344B1 (ko) * 2017-07-28 2022-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9212B1 (ko) * 2017-07-28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65692B2 (en) * 2017-08-07 2019-07-30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402183B1 (ko) * 2017-09-29 2022-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8965B1 (ko) * 2017-10-25 2019-06-13 알티전자 주식회사 링크 타입 폴더블 힌지 구조
CN107833522B (zh) * 2017-10-27 2019-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器
WO2019107854A1 (en) * 2017-11-28 2019-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29148B1 (ko) * 2017-12-27 2023-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7977988U (zh) * 2018-01-08 2018-10-1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110022386B (zh) * 2018-01-09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终端设备
CN108520701B (zh) * 2018-01-22 2020-03-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屏的支撑保护机构及移动终端
US10564681B2 (en) * 2018-03-09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N112041808A (zh) * 2018-03-12 2020-12-04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铰链装置及柔性显示装置
US11392179B2 (en) 2018-03-28 2022-07-19 Auflex Co., Ltd In-folding type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installed therein
KR102277928B1 (ko) * 2018-04-25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190127074A (ko) 2018-05-03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하우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2238B1 (ko) * 2018-05-11 2022-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449710A (zh) * 2018-05-18 2021-03-05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铰链防护结构及柔性显示装置
US10485115B1 (en) 2018-06-22 2019-11-1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defining an asymmetrical service loop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915149B2 (en) 2018-09-10 2021-02-09 Motorola Mobility Llc Dual spring and driver assembly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s
US10491725B1 (en) * 2018-09-14 2019-11-26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moving support plates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CN208967363U (zh) * 2018-09-19 2019-06-1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折叠柔性显示屏的装置
TWI687795B (zh) * 2018-09-27 2020-03-1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裝置的轉軸模組
KR102650633B1 (ko) * 2018-11-19 2024-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5456A (ko) * 2018-11-30 2020-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61383B (zh) * 2018-12-13 2020-08-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设备
TWI709025B (zh) * 2018-12-25 2020-1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09654113B (zh) * 2018-12-29 2020-06-23 兆利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式装置的转轴模块
TWI791137B (zh) * 2019-01-18 2023-02-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577249B1 (ko) * 2019-01-21 202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석 및 자석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780403B (zh) * 2019-01-29 2020-08-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转动连接组件及折叠式终端设备
KR20200101201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Fpcb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0761572B1 (en) 2019-03-25 2020-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0564682B1 (en) * 2019-03-29 2020-02-18 Fositek Corporation Hinge mechanism and flexi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9981850B (zh) * 2019-03-29 2021-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0005695B (zh) * 2019-04-26 2023-11-28 深圳市富世达通讯有限公司 可弯折式支撑架
CN109949707B (zh) * 2019-05-06 2021-05-0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KR20200130574A (ko) * 2019-05-10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39292A (ko) * 2019-06-03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20024846A (ko) * 2019-06-20 2022-03-03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동적으로 굽힘가능한 자동차 내부 커버 재료들을 위한 지지체들
TWI695666B (zh) * 2019-07-09 2020-06-0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樞轉機構及可撓式電子裝置
JP6868064B2 (ja) * 2019-07-12 2021-05-1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CN113366927A (zh) 2019-07-15 2021-09-0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20210014243A (ko) * 2019-07-29 2021-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25743A (ko) * 2019-08-27 2021-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0580854B (zh) * 2019-09-12 2021-11-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屏支撑结构和折叠屏
KR20210042214A (ko) * 2019-10-08 2021-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211239890U (zh) * 2019-10-12 2020-08-11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内折柔性屏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终端
KR20210044337A (ko) * 2019-10-14 2021-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792042B1 (ja) * 2019-10-18 2020-11-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KR20210047139A (ko) * 2019-10-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827691B (zh) * 2019-11-27 2021-11-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支撑架及显示装置
CN110910767B (zh) * 2019-11-29 2020-12-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屏及显示装置
CN110958337B (zh) * 2019-11-30 2021-08-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折叠屏的转轴机构、折叠屏组件及可折叠移动终端
CN110958338B (zh) * 2019-12-05 2021-05-0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转轴机构及电子装置
US11044825B1 (en) * 2019-12-18 2021-06-2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WO2021206190A1 (ko) * 2020-04-07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202382B2 (en) * 2020-04-09 2021-12-14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CN113551105B (zh) * 2020-04-23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支架结构、屏幕组件和电子设备
US11009921B1 (en) * 2020-05-14 2021-05-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hinges
KR20220001038A (ko) * 2020-06-26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269379B2 (en) * 2020-07-29 2022-03-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assembly and display device
US11940851B2 (en) * 2020-09-26 2024-03-26 Intel Corporatio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JP2022067198A (ja) * 2020-10-20 2022-05-0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及び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
US11416040B1 (en) * 2021-03-12 2022-08-16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heat spreader
JP7170086B2 (ja) * 2021-04-22 2022-11-1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CN113241011B (zh) * 2021-06-02 2022-05-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13299195B (zh) * 2021-06-02 2022-10-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13707016B (zh) * 2021-08-18 2023-03-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电子装置
US11935438B2 (en) * 2021-09-29 2024-03-19 Huizhou China Star Optoelectronics Display Co., Ltd. Bend limiting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30097763A (ko) * 2021-12-24 2023-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126A (en) * 1988-07-04 1990-10-02 Casio Computer Co., Ltd. Structure of a device casing
AU2002218550A1 (en) * 2000-11-22 2002-06-03 Si Han Kim Folder type multi display device
US20030043095A1 (en) 2001-08-31 2003-03-06 Kia Silverbrook Scanning electronic book
JP2010218102A (ja) * 2009-03-16 2010-09-30 Sony Corp 電子機器
KR101170480B1 (ko) * 2010-11-09 2012-08-02 (주) 유원컴텍 접철식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1839615B1 (ko) * 2011-04-14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US8804324B2 (en) * 2011-06-03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overcenter assembly
US9176535B2 (en)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EP3428774A1 (en) 2011-07-11 2019-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EP3826278A1 (en) * 2011-07-11 202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guided plates to support the display in the open position
US9711752B2 (en) *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1386220B1 (ko) * 2012-06-26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804349B2 (en) * 2012-10-19 2014-08-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CN112185259B (zh) * 2013-08-30 2023-02-2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
GB2517782B (en) * 2013-09-02 2020-08-19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KR101875855B1 (ko) * 2014-02-17 2018-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915041B (zh) * 2014-03-14 2016-03-02 河海大学常州校区 柔性显示屏曲面自动调节装置和方法
KR102233119B1 (ko) * 2014-09-23 2021-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681A (ko) 2016-04-01
US10133303B2 (en) 2018-11-20
US20170123455A1 (en) 2017-05-04
CN105448194B (zh) 2019-10-15
CN105448194A (zh) 2016-03-30
US9600035B2 (en) 2017-03-21
US20160085265A1 (en)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119B1 (ko) 표시장치
US10503210B2 (en) Folding device of foldable displa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073863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32237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3233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CN107799010B (zh) 可卷曲的显示装置
US10037058B2 (en) Multiaxial hing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6507183B2 (ja) 携帯用情報機器
US9603271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015398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8724B1 (ko)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TWM562989U (zh) 連動定位結構及可撓式電子裝置
WO2018042602A1 (ja) 情報処理装置
US20190155344A1 (en) Dual-axle hinge and electronic device
KR20190080014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60083318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27625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081229A1 (en) Hinge device
KR20210031041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138494A (ko) 교차힌지 및 이를 이용한 폴딩장치
KR20210022189A (ko) 표시 장치
JP6639313B2 (ja) 携帯端末
KR20200089783A (ko) 표시 장치
WO2014017122A1 (en) Electronic device
US2023020975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