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626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626A
KR20170033626A KR1020150131608A KR20150131608A KR20170033626A KR 20170033626 A KR20170033626 A KR 20170033626A KR 1020150131608 A KR1020150131608 A KR 1020150131608A KR 20150131608 A KR20150131608 A KR 20150131608A KR 20170033626 A KR20170033626 A KR 2017003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gion
display
rotation axis
hing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근
김성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3626A/ko
Publication of KR2017003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일면 전체에 구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영역을 확보하고 보호하기 위해, 플렉서블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제2 영역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제3 영역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과 제1 회전축으로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과 제2 회전축으로 힌지결합하는 힌지링크 및 상기 힌지링크의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는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또는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는 형상 및 기능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외력에 의해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경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 전체의 형상의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두 영역의 하우징이 펼쳐졌다 접혔다를 반복할 수 있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펼친 폴더블 이동 단말기의 일면 전체 영역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는 경우, 폴더블 이동 단말기를 펼쳤을 때에는 넓은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폴더블 이동 단말기를 접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도 함께 접혀 이동 단말기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져 공간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는 그 재질의 특성상 완전히 꺾이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손상 또는 내구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접히는 경계가 꺾이지 않고 완만하게 휘어져 접어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동 단말기의 하우징에 고정이 되어 있으면서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경우 완만하게 휘어져 접어지는 영역이 위치할 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러한 접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호할 외관을 형성할 부분 또는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폴더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영역을 확보하고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제2 영역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제3 영역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과 제1 회전축으로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과 제2 회전축으로 힌지결합하는 힌지링크 및 상기 힌지링크의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는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힌지링크의 결합은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2 자유도로 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제1 영역은 만곡부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링크의 내측면은 상기 만곡부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회전축 또는 상기 제2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은 물방울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제1 영역은 만곡부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링크의 외측면은 상기 만곡부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을 잇는 면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 면에 대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회전축 또는 상기 제2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은 일부가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 및 상기 곡률 중심 축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 면에 대해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 경계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 경계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회전축 지점에 구비된 제1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회전축 지점에 구비된 제2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링크는, 양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함몰부 및 상기 제2 함몰부 각각에 회전 결합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양 측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힌지링크의 상하단 양쪽에 각각 치우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힌지링크는, 탄성소재의 판을 포함하고, 상기 양 연결부에 이어져,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에는 외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펼쳐진 경우에는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제1 영역의 배면에 맞닿는 탄성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중 접히는 영역을 방해 받지 않고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중 접히는 영역을 방해 받지 않고 확보하면서 동시에 외측으로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아 보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접힌 경우에는 접힌 영역을 방해 받지 않고 확보가능하며, 펼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배면을 안정적으로 받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펼쳤을 때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접었을 때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펼쳤을 때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11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10)는 외력에 의해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110)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한 영역은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영역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전체 영역이 플렉서블하게 구비될 수 있다.
최소한 디스플레이(110)의 중앙 제1 영역(111)은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11)은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110)가 접히는 기준 선 또는 기준 영역이 될 수 있다.
다른 의미로,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은 후술할 제1 하우징(120) 또는 제2 하우징(130)과 직접적으로 결합하지 않은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제2 영역(112) 및 제3 영역(113)은 디스플레이에서 제1 영역(111)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111), 제2 영역(112) 및 제3 영역(113)으로 가상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은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112)을 고정하고, 제2 하우징(130)은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113)을 고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1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윈도우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110)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110)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조작유닛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은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 중 어느 하나는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메인 기판을 실장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전원 공급부를 실장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 또는 제2 하우징(130)에는 음향 출력부,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광 출력부, 카메라, 조작유닛,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접었을 때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의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은 힌지링크(140)를 통해 도 2의 접힌 상태, 즉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이 중첩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힌지링크(140)의 일 지점은 제1 하우징(120)의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이 위치한 방향의 일단(121)과 제1 회전축(150)으로 힌지결합할 수 있다. 힌지링크의 또 다른 일 지점은 제2 하우징(130)의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이 위치한 방향의 일단(131)과 제2 회전축(160)으로 힌지결합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의 일단 좌우 측면에는 각각 제1 회전축(150) 및 제2 회전축(160)이 대응되는 지점에 힌지링크(140)가 결합할 수 있는 제1 함몰부(122) 및 제2 함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링크(140)의 좌우 측면부(141) 내측에는 제1 함몰부(122) 및 제2 함몰부(132)에 회전 결합하는 제1 돌출부(148) 및 제2 돌출부(149)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44)는 강성의 소재를 포함하고 양 측면부(141)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링크(140)의 좌우에 구비된 양 측면부(141)의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20), 힌지링크(140) 및 제2 하우징(130)은 세 개의 링크 역할을 수행하고, 제1 회전축(150) 및 제2 회전축(160)은 두 개의 조인트 역할을 수행하여 전체 구조는 링크-메커니즘(Link-Mechanism)으로 거동한다.
따라서 제1 하우징(120), 힌지링크 및 제2 하우징(130)은 링크-메커니즘에 있어서 자유도(Degree Of Freedom)의 공식 M = 3*(L-1) - 2*J1 - J2 (M: 자유도, L:링크수 J1:자유도가 1인 접점 수, J2:자유도가 2인 접점 수) 에 따라, 3*(3-1)-2*2 = 2, 즉 자유도 2의 링크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도 4은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111)의 폴딩 또는 감김에 의해 디스플레이(110)는 접힐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111)의 폴딩 또는 감김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112) 및 제3 영역(113)이 맞닿고,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이 중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이 완전히 접히는 경우에는 제1 영역(111)은 면이 아닌 선이 될 것이나, 이렇게 완전히 접히는 디스플레이는 구현하기 어렵고, 구현한다 하더라도 물성의 특성상 충분한 내구성을 갖기 어렵다.
따라서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이 중첩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은 접히지 않고 휘어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영역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이 휘어진 경우 만곡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이 중첩된 경우 제1 영역(111)의 A-A' 방향 단면은 물방울 모양을 띨 수 있다.
제1 하우징(120), 제2 하우징(130) 및 힌지링크(140)는 사이에 중공부(17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20)의 일단, 제2 하우징(130)의 일단 및 힌지링크(140)의 내측면(142)을 통해 중공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70)는 디스플레이(110)가 접힌 상태 및 펼쳐진 상태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특히 중공부(170)는 힌지링크(140)의 내측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이 접히지 않고 감길 수 있도록 충분한 중공부(170)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힌지링크(140)는 힌지링크(140)의 외측면(143)은 볼록한 곡면 형상을, 내측면(142)은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힌지링크(140)는 충분한 길이를 가져 중공부(170)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힌지링크(140)가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는 것은 제1 회전축(150)이 되는 지점과 제2 회전축(160)이 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 D가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회전축(150) 및 제2 회전축(160) 사이의 거리 D가 충분해야 디스플레이(110)를 펼쳤을 때 디스플레이(110)가 휘어짐 없이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고, 동시에 도 4와 같이 접힘 없이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유도 2의 링크 메커니즘 구동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10)가 펼쳐졌을 때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이 중첩된 경우, 특히 디스플레이 제2 영역(112) 및 제3 영역(113)이 맞닿은 경우에도 제1 회전축(150) 및 제2 회전축(160) 사이의 거리 D를 유지해야 하므로,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 회전축(150) 및 제2 회전축(160)을 잇는 면 P1은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이 중첩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제2 영역(112)의 면 또는 제3 영역(113)의 면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110)가 접힌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를 도시한 것이다.
이전 실시 예와는 달리, 힌지링크(140)는 전체가 고정된 강성 물질로 이루어 진 것이 아닌, 적어도 일부 영역이 변형 가능한 탄성 물질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부(144)는 힌지링크(140)의 중앙부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라 중앙부의 상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받침부(145)는 힌지링크(140)의 상하단에 구비된 양측 연결부(144)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탄성힌지부(145)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받침부(145)와 양측 연결부(144)는 홀(146)을 통해 구분되어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 탄성받침부(145)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도 양측 연결부(144)는 기존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탄성받침부(145)는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이 중첩된 경우에는 외측면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져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을 보호하고 내부에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이 감기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110)가 펼쳐진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를 도시한 것이다.
탄성받침부(145)는 디스플레이(110)를 펼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의 배면을 받치도록 이동 단말기(100)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이 중첩되지 않고 펼쳐진 경우에 배면이 강성으로 받쳐지는 제2 영역(112) 및 제3 영역(113)과 달리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는 제1 영역(111)의 배면을 탄성받침부가 안정적으로 받침으로써 내구성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제1 영역(111)이 터치 가능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적인 터치가 가능하여 터치 입력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디스플레이
111: 디스플레이 제1 영역 112: 디스플레이 제2 영역
113: 디스플레이 제3 영역 120: 제1 하우징
122: 제1 하우징 제1 함몰부 130: 제2 하우징
132: 제2 하우징 제2 함몰부 140: 힌지링크
141: 힌지링크 측면부 142: 힌지링크 내측면
143: 힌지링크 외측면 144: 힌지링크 연결부
145: 힌지링크 탄성받침부 146: 힌지링크 홀
148: 힌지링크 제1 돌출부 149: 힌지링크 제2 돌출부
150: 제1 회전축 160: 제2 회전축
170: 중공부

Claims (10)

  1. 플렉서블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제2 영역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제3 영역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과 제1 회전축으로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과 제2 회전축으로 힌지결합하는 힌지링크; 및
    상기 힌지링크의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는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힌지링크의 결합은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2 자유도로 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제1 영역은 만곡부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링크의 내측면은 상기 만곡부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회전축 또는 상기 제2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은 물방울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제1 영역은 만곡부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링크의 외측면은 상기 만곡부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을 잇는 면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 면에 대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회전축 또는 상기 제2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은 일부가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 및 상기 곡률 중심 축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 또는 제3 영역 면에 대해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 경계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 경계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회전축 지점에 구비된 제1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회전축 지점에 구비된 제2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링크는,
    양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함몰부 및 상기 제2 함몰부 각각에 회전 결합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양 측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힌지링크의 상하단 양쪽에 각각 치우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힌지링크는,
    탄성소재의 판을 포함하고, 상기 양 연결부에 이어져,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중첩된 경우에는 외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펼쳐진 경우에는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제1 영역의 배면에 맞닿는 탄성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131608A 2015-09-17 2015-09-17 이동 단말기 KR20170033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608A KR20170033626A (ko) 2015-09-17 2015-09-17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608A KR20170033626A (ko) 2015-09-17 2015-09-1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626A true KR20170033626A (ko) 2017-03-27

Family

ID=5849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608A KR20170033626A (ko) 2015-09-17 2015-09-1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362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80A1 (en) * 2019-06-03 2020-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CN112309250A (zh) * 2019-07-23 2021-02-02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设备
US11340663B2 (en) 2017-11-28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599156B2 (en) 2019-12-09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4010143A1 (ko) * 2022-07-06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0663B2 (en) 2017-11-28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747867B2 (en) 2017-11-28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WO2020246780A1 (en) * 2019-06-03 2020-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US11259428B2 (en) 2019-06-03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CN112309250A (zh) * 2019-07-23 2021-02-02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设备
US11073863B2 (en) 2019-07-23 2021-07-27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112309250B (zh) * 2019-07-23 2024-04-19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设备
US11599156B2 (en) 2019-12-09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4010143A1 (ko) * 2022-07-06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23402B (zh) 可折叠显示装置
JP6507183B2 (ja) 携帯用情報機器
KR20170033626A (ko) 이동 단말기
JP6578064B2 (ja) 折り畳み可能な端末
CN107003693B (zh) 铰链装置
WO2017051788A1 (ja)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US9846454B2 (en) Electronic device
JP2019067279A (ja) 携帯用情報機器
JP6255113B2 (ja) 表示装置
US20220353355A1 (en) Foldable mobile terminal
JP6715359B1 (ja) 携帯用情報機器及び該携帯用情報機器の製造方法
JP2012065044A (ja) 携帯端末装置
TWI692791B (zh) 轉樞組件、具有該轉樞組件的可拆卸式鍵盤及組裝該可拆卸式鍵盤的方法
US10281952B2 (en) Cover
KR20180097225A (ko) 폴더블 이동 단말기
WO2020177708A1 (zh) 链节、铰链以及移动终端
JP6532972B2 (ja) 携帯用情報機器
TWI789562B (zh) 電子裝置
TWM600063U (zh) 電子裝置
US8700099B2 (en) Hinge unit and portable terminal
CN117882026A (zh) 包括显示器支撑结构的电子装置
CN114079679B (zh) 可折叠电子设备
CN107305407B (zh) 保护壳及保护壳制造方法
JP2009100139A (ja) 携帯電子機器
TWI773122B (zh) 可攜式電子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