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096B1 - 자동 주차 설비 - Google Patents

자동 주차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096B1
KR102639096B1 KR1020210192170A KR20210192170A KR102639096B1 KR 102639096 B1 KR102639096 B1 KR 102639096B1 KR 1020210192170 A KR1020210192170 A KR 1020210192170A KR 20210192170 A KR20210192170 A KR 20210192170A KR 102639096 B1 KR102639096 B1 KR 10263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lift
transfer device
platform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219A (ko
Inventor
갈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096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주차 설비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차 입고 및 출고 과정이 별도의 안전 승강장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차 설비 구조물 내부의 각종 기계 장치 및 골조 프레임 등이 운전자에게 노출되지 않아 불안감 및 위화감 조성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승강장 내부 공간에 대한 이물질 낙하 및 먼지 비산 등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 환경을 갖는 자동 주차 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주차 설비{AUTO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 주차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차 입고 및 출고 과정이 별도의 안전 승강장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차 설비 구조물 내부의 각종 기계 장치 및 골조 프레임 등이 운전자에게 노출되지 않아 불안감 및 위화감 조성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승강장 내부 공간에 대한 이물질 낙하 및 먼지 비산 등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 환경을 갖는 자동 주차 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마다 차량이 폭발적으로 증가되는 반면에 이를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주차시설 확충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대도시, 그 중에서도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 한복판의 사업용 고층 건물의 경우에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도심의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책으로서, 한정된 공간에 가능한 한 많은 차량을 주차시키고 이를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한 승강기식 자동 주차 설비를 채용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방식의 자동 주차 설비는 건물의 일부나 또는 전용 건물에 수직 방향으로 주차 공간을 확보한 후 차량용 승강 리프트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 주차 공간에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식 자동 주차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승강기식 주차 설비는 차량(M)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팔레트(10)와, 팔레트(10)를 승하강 및 횡행 이동시키는 승강 리프트(20)와, 승강로(40)와 주차실(41)를 갖도록 형성되는 골조 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조 프레임(30)의 외측에는 골조 프레임(30)이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전체 외벽을 이루는 별도의 주차 설비 구조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로(40)는 승강 리프트(20)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골조 프레임(30)의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주차실(41)은 승강로(4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하 적층되는 방식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팔레트(10)가 횡행 이동하여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주차실(41)에는 팔레트(10)의 횡행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별도의 가이드 프레임(31)이 장착된다.
승강 리프트(20)는 골조 프레임(30)의 상부에 구비된 별도의 구동부(22)에 의해 승강로(40)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승강 리프트(20)에는 별도의 횡행 이송 장치(21)가 구비되어 팔레트(10)를 횡행 이동시킨다. 즉, 횡행 이송 장치(21)는 팔레트(10)를 승강 리프트(20)로부터 주차실(41)로 횡행 이동시키거나 또는 주차실(41)로부터 승강 리프트(20)로 횡행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차량(M)이 출입구로 입고되어 팔레트(10)에 적재되면, 승강 리프트(20)는 차량(M)이 적재된 팔레트(10)를 주차 대상 주차실(41) 높이까지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해당 높이에서 정지한 후, 횡행 이송 장치(21)를 통해 팔레트(10)를 해당 주차실(41) 측으로 횡행 이동시키며, 이 상태로 차량(M)은 팔레트(10)에 적재된 상태로 특정 주차실(41)에 격납 주차된다. 이후, 승강 리프트(20)는 또 다른 주차실(41)의 빈 팔레트(10)를 싣고 하강 이동하여 출입구 측으로 하강 이동한다. 차량 출고 작업은 이와 반대 순서로 진행된다.
이러한 자동 주차 설비에서는 별도의 승강장이 존재하지 않고 승강로(40) 내부에 있는 승강 리프트(20)가 승강장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주차 과정에서 운전자가 승강로에 존재하는 승강 리프트(20)까지 주차할 차량을 이동시켜 팔레트(10)에 적재시킨 후 승강장에서 하차하여 외부로 나와 주차기를 조작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출차 과정에서도 운전자가 승강 리프트(20)에 적재된 차량에 직접 탑승하고 차량을 운전하여 출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입출고 과정에서 운전자가 승강로 내의 승강 리프트(20)까지 직접 이동하여 차량을 운전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승강 리프트(20)가 추락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각종 기계 장치 및 골조 프레임 등이 운전자에게 노출되므로 이에 따른 위화감이 조성되며, 시야가 제한되어 운전이 어렵다는 점 등 여러가지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승강장과 격납 주차실 등이 하나의 주차 설비 구조물 내부의 동일한 공간에 형성되므로, 이물질 낙하 및 먼지 비산 우려가 있고, 환기가 어려운 구조로 인해 쾌적한 승강장 구성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72583호 국내등록특허 제10-201521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기계 장치 및 골조 프레임 등이 존재하는 주차 설비 구조물과는 별도의 외부 공간에 안전 승강장을 설치하고, 안전 승강장으로부터 주차 설비 구조물 내부로 차량을 이송시킬 수 있는 별도의 횡행 이송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주차 입고 및 출고 과정이 안전 승강장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주차 설비 구조물 내부의 각종 기계 장치 및 골조 프레임 등이 운전자에게 노출되지 않아 불안감 및 위화감 조성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승강장 내부 공간에 대한 이물질 낙하 및 먼지 비산 등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 환경을 갖는 자동 주차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 승강장의 전방 및 후방에 별도의 개폐 도어를 설치하여 안전 승강장의 내부 공간을 주차 설비 구조물과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더욱 쾌적하고 안전한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주차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 승강장의 횡행 이송 장치와 승강 리프트의 횡행 이송 장치가 임시 주차실을 매개로 하여 팔레트를 상호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주차 설비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여 안전 승강장을 추가 설치할 수 있어 새로운 주차 설비의 구축과는 별개로 기존 주차 설비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구조 변경이 가능한 자동 주차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로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의 적어도 일측에는 차량을 팔레트에 적재된 상태로 격납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실이 형성되는 주차 설비 구조물; 상기 팔레트가 탑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일측에는 차량 입출고를 위해 상기 팔레트를 횡행 이동시키는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가 구비되는 승강 리프트; 차량이 주행에 의해 출입 가능한 형태로 상기 주차 설비 구조물의 외부 공간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는 차량이 진입 적재되거나 또는 이미 적재된 차량이 진출 가능하도록 상기 팔레트가 배치되는 안전 승강장 구조물; 및 상기 승강 리프트의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부터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으로 상기 팔레트를 이송시키거나 또는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승강 리프트의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 상기 팔레트를 이송시키는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의 입출고 과정에서 상기 팔레트에 대한 차량의 진입 및 진출 과정이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장이 구비된 자동 주차 설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의 전방면에는 차량이 진출입할 수 있도록 전방 도어가 장착되고 후방면에는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팔레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후방 도어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도어는 상기 후방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개방 작동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팔레트의 배치 방향을 상기 주차실에 주차된 팔레트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이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 장치는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부터 전달된 팔레트가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에 의해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으로 이송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실에 주차된 팔레트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상기 팔레트의 배치 방향을 전환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가 상기 팔레트를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는 상기 팔레트가 상기 방향 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주차실에 주차된 팔레트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를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 이송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와 상기 승강로 사이에는 상기 임시 주차실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와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는 상기 임시 주차실을 매개로하여 상기 팔레트를 서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는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의 내부 공간과 상기 임시 주차실 상호 간에 상기 팔레트를 횡행 이송하고,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는 상기 승강 리프트와 상기 임시 주차실 상호 간에 상기 팔레트를 횡행 이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와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가 상기 팔레트를 서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기계 장치 및 골조 프레임 등이 존재하는 주차 설비 구조물과는 별도의 외부 공간에 안전 승강장을 설치하고, 안전 승강장으로부터 주차 설비 구조물 내부로 차량을 이송시킬 수 있는 별도의 횡행 이송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주차 입고 및 출고 과정이 안전 승강장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주차 설비 구조물 내부의 각종 기계 장치 및 골조 프레임 등이 운전자에게 노출되지 않아 불안감 및 위화감 조성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승강장 내부 공간에 대한 이물질 낙하 및 먼지 비산 등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정 승강장의 전방 및 후방에 별도의 개폐 도어를 설치하여 안전 승강장의 내부 공간을 주차 설비 구조물과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더욱 쾌적하고 안전한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 승강장의 횡행 이송 장치와 승강 리프트의 횡행 이송 장치가 임시 주차실을 매개로 하여 팔레트를 상호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주차 설비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여 안전 승강장을 추가 설치할 수 있어 새로운 주차 설비의 구축과는 별개로 기존 주차 설비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구조 변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식 자동 주차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의 안전 승강장 내부에서 차량의 방향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의 안전 승강장으로부터 승강 리프트 측으로 차량을 이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의 승강 리프트에 의한 차량 입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의 안전 승강장 내부에서 차량의 방향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의 안전 승강장으로부터 승강 리프트 측으로 차량을 이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의 승강 리프트에 의한 차량 입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는 승강로와 주차실이 형성된 주차 설비 구조물과는 별도의 외부 공간에 안전 승강장이 형성되어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 환경을 제공하는 자동 주차 설비로서, 주차 설비 구조물(100)과, 승강 리프트(20)와,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과,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차 설비 구조물(100)은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주차 설비 구조물로서,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로(40)가 형성되고, 승강로(40)의 적어도 일측에는 차량(M)을 팔레트(10)에 적재된 상태로 격납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실(41)이 형성되는 골조 프레임(30)을 포함한다. 각 주차실(41)에는 팔레트(10)의 횡행 이동을 가이드하며 팔레트(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 프레임(31)이 장착된다. 골조 프레임(30)의 외측에는 골조 프레임(30)의 외부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외벽 패널(50)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승강 리프트(20)는 팔레트(10)가 탑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골조 프레임(30)의 상부에 위치한 승강 구동부(22)를 통해 승강로(40)를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 리프트(20)에는 차량(M) 입출고를 위해 팔레트(10)를 횡행 이동시키는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가 구비된다.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는 체인을 회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체인의 회전 이동 과정에서 체인의 일측에 결합된 걸림 로드가 팔레트(10)의 걸림 후크에 맞물림되며 팔레트(10)를 횡행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외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횡행 이동 장치는 승강 리프트(20)에 탑재된 팔레트(10)를 승강 리프트(20)로부터 주차실(41)로 횡행 이동시키거나 또는 주차실(41)에 안착된 팔레트(10)를 주차실(41)로부터 승강 리프트(20)로 횡행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은 차량(M)이 주행에 의해 출입 가능한 형태로 주차 설비 구조물(100)의 외부 공간에 설치되며 안전 승강장 외벽 패널(301)에 의해 내부 공간이 차단된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 공간에는 차량(M)이 진입 적재되거나 또는 이미 적재된 차량(M)이 진출 가능하도록 팔레트(10)가 배치된다.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는 승강 리프트(20)의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로부터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 팔레트(10)를 이송시키거나 또는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부터 승강 리프트(20)의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로 팔레트(10)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 또한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와 마찬가지로 체인을 회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체인의 회전 이동 과정에서 체인의 일측에 결합된 걸림 로드가 팔레트(10)의 걸림 후크에 맞물림되며 팔레트(10)를 횡행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이 주차 설비 구조물(100)의 외부 공간에 별도로 설치됨으로써, 차량(M)의 입출고시 팔레트(10)에 차량을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과정이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차량 주차 입고시, 운전자는 차량(M)을 운전하여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내부로 진입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한 팔레트(10)에 차량을 적재시킨 후, 차량(M)에서 내려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외부로 나와 조작반(미도시)을 조작하여 주차 설비를 작동시키면,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팔레트(10)에 차량(M)이 적재된 상태로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의해 팔레트(10)가 승강 리프트(20)로 이동하고, 빈 공간의 주차실(41)에 차량을 팔레트(10)와 함께 입고하는 방식으로 주차 입고 과정이 진행된다.
차량의 출고시에는, 승강 리프트(20)의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가 해당 차량(M)이 주차된 주차실(41)의 팔레트(10)를 주차실(41)로부터 승강 리프트(20)로 이동시키고, 이후,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전달하게 되는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는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로부터 전달받은 팔레트(10)를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켜 이송을 완료한다. 이때, 운전자는 출차를 위해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여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내부 공간에 팔레트(10)와 함께 위치한 차량(M)에 탑승하여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로부터 외부로 차량을 출차하는 방식으로 차량 출고 과정이 진행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차 입고 및 출고 과정에서 주차 설비 구조물(100)의 승강 리프트(20)까지 운전자가 직접 이동할 필요가 없고,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내부 공간까지만 이동하면 충분하고, 이에 따라 주차 입고 및 출고 과정에서 주차 설비 구조물(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기계 장치나 골조 등에 노출되지 않고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의 안전 승강장 공간에서 차량을 주차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다.
이때,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전방면에는 차량(M)이 진출입할 수 있도록 전방 도어(310)가 장착되고 후방면에는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팔레트(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후방 도어(3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도어(310)는 후방 도어(320)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개방 작동하도록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차량 주차 과정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도어(320)는 폐쇄되고 전방 도어(310)가 개방된 상태로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 차량(M) 진입이 이루어지고, 차량이 진입하여 내부의 팔레트(10)에 차량 적재가 완료되고 운전자가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외부 공간으로 나와 조작반을 조작하면, 전방 도어(310)가 폐쇄 작동하고, 차량의 주차 입고 과정이 진행된다. 전방 도어(310)가 개방되어 차량이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후방 도어(320)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주차 설비 구조물(100) 내부 공간은 후방 도어(320)에 의해 차단되어 운전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차량의 출차 과정에서도 후방 도어(3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방 도어(310)가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여 차량을 출차하게 되므로, 이러한 차량 출차 과정에서도 주차 설비 구조물(100) 내부 공간은 후방 도어(320)에 의해 차단되어 운전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의 주차 입고 및 출고 과정에서 후방 도어(320)에 의해 주차 설비 구조물(100) 내부 공간이 완벽하게 차단되므로,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 환경이 제공된다.
한편,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에 대한 차량의 진입 방향이 주차실(41)에 주차된 차량(M)의 배치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에는 별도의 방향 전환 장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방향 전환 장치(500)는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팔레트(10)의 배치 방향을 주차실(41)에 주차된 팔레트(10)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이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향 전환 장치(500)는,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가 팔레트(10)를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부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로 이송하는 과정(차량 주차 입고 과정)에서,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의 이송 작동 이전에 팔레트(10)의 배치 방향을 주차실(41)에 주차된 팔레트(10)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키도록 작동한다.
다시 말하면,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는 팔레트(10)가 방향 전환 장치(500)에 의해 주차실(41)에 주차된 팔레트(10)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된 상태에서 팔레트(10)를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로 이송시키도록 작동한다.
또한, 차량 출고 과정에서, 방향 전환 장치(500)는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로부터 전달된 팔레트(10)가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의해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 이송 완료된 상태에서 주차실(41)에 주차된 팔레트(10)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팔레트(10)의 배치 방향을 전환하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이 차량 출고 과정에서 팔레트(10)가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 이동 완료한 상태에서 팔레트(10)의 방향이 주차실(41)에 주차된 팔레트(10)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에 대한 방향 전환 없이 그대로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로부터 외부로 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전환 장치(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안착된 팔레트(10)를 상부로 들어올려 방향 전환되게 회전시키고, 방향 전환이 완료되면, 팔레트(10)를 하강 이동시켜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와 승강로(40) 사이에는 별도의 임시 주차실(42)이 형성되고,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와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주차실(42)을 매개로하여 팔레트(10)를 서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는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내부 공간과 임시 주차실(42) 상호 간에 팔레트(10)를 횡행 이송하고,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는 승강 리프트(20)와 임시 주차실(42) 상호 간에 팔레트(10)를 횡행 이송하는 방식으로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와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가 팔레트(10)를 서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주차 입고 과정시,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의 팔레트(10)에 운전자가 차량(M)을 적재하면,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 전환 장치(500)에 의해 팔레트(10) 방향이 전환되고, 방향 전환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의해 팔레트(10)가 차량 적재된 상태로 임시 주차실(42)로 이송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10)가 임시 주차실(42)에 이송 완료된 상태에서 승강 리프트(20)의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가 작동하여 임시 주차실(42)의 팔레트(10)가 승강 리프트(20) 측으로 이송된다.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는 다른 주차실(41)로부터 팔레트(10)을 이송시키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임시 주차실(42)로부터 팔레트(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로부터 승강 리프트(20)로 팔레트(10)가 이송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공간의 주차실(41)로 승강 리프트(20)가 상승 이동하고,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에 의해 승강 리프트(20)로부터 주차실(41)로 팔레트(10)가 이송되어 차량의 주차 과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주차 과정이 완료되면, 승강 리프트(20)는 다른 빈 공간의 주차실(41)로 이동하고,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에 의해 해당 주차실(41)에 안착된 빈 팔레트(10)를 승강 리프트(20)로 이송시킨 후, 하강 이동하여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의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빈 팔레트(10)를 전달 공급하고,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의해 빈 팔레트(10)가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에 새롭게 배치되어 새로운 차량의 주차 입고 과정을 위해 대기한다. 이때, 팔레트(10)는 방향 전환 장치(50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주차실(41)의 팔레트(10)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설비에 대한 작동 과정을 정리하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의 팔레트(10)는 방향 전환 장치(500)에 의해 주차실(41)의 팔레트(10) 배치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며, 후방 도어(320)가 폐쇄된 상태로 전방 도어(310)가 개방되어 차량이 진입하여 팔레트(10)에 차량이 적재된다. 이후, 운전자가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외부 공간으로 나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주차 설비를 작동시키면, 전방 도어(310)가 폐쇄되고 후방 도어(320)가 개방된다. 이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 장치(500)에 의해 팔레트(10)가 주차실(41)의 팔레트(10)와 평행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고, 방향 전환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400)에 의해 팔레트(10)가 임시 주차실(42)로 이송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주차실(42)에 이송 완료된 팔레트(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리프트(20)의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에 의해 승강 리프트(20)로 이송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리프트(20)가 상승 이동하여 빈 주차실(41)로 이동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21)에 의해 팔레트(10)가 승강 리프트(20)로부터 주차실(41)로 이동하며, 이러한 과정으로 주차 입고 과정이 완료된다. 주차 출고 과정과, 빈 팔레트(10)를 안전 승강장 구조물(300)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과정은 주차 입고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팔레트
20: 승강 리프트 21: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
41: 주차실 42: 임시 주차실
100: 주차 설비 구조물
300: 안전 승강장 구조물
310: 전방 도어
320: 후방 도어
400: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
500: 방향 전환 장치

Claims (8)

  1.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로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로의 적어도 일측에는 차량을 팔레트에 적재된 상태로 격납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실이 형성되는 주차 설비 구조물;
    상기 팔레트가 탑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일측에는 차량 입출고를 위해 상기 팔레트를 횡행 이동시키는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가 구비되는 승강 리프트;
    차량이 주행에 의해 출입 가능한 형태로 상기 주차 설비 구조물의 외부 공간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는 차량이 진입 적재되거나 또는 이미 적재된 차량이 진출 가능하도록 상기 팔레트가 배치되는 안전 승강장 구조물; 및
    상기 승강 리프트의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부터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으로 상기 팔레트를 이송시키거나 또는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승강 리프트의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 상기 팔레트를 이송시키는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
    를 포함하고, 차량의 입출고 과정에서 상기 팔레트에 대한 차량의 진입 및 진출 과정이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와 상기 승강로 사이에는 상기 임시 주차실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는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의 내부 공간과 상기 임시 주차실 상호 간에 상기 팔레트를 횡행 이송하고,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는 상기 승강 리프트와 상기 임시 주차실 상호 간에 상기 팔레트를 횡행 이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와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가 상기 임시 주차실을 매개로 하여 상기 팔레트를 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장이 구비된 자동 주차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의 전방면에는 차량이 진출입할 수 있도록 전방 도어가 장착되고 후방면에는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팔레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후방 도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장이 구비된 자동 주차 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도어는 상기 후방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개방 작동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장이 구비된 자동 주차 설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팔레트의 배치 방향을 상기 주차실에 주차된 팔레트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이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장이 구비된 자동 주차 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장치는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부터 전달된 팔레트가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에 의해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으로 이송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실에 주차된 팔레트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상기 팔레트의 배치 방향을 전환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장이 구비된 자동 주차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가 상기 팔레트를 상기 안전 승강장 구조물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승강장 횡행 이송 장치는 상기 팔레트가 상기 방향 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주차실에 주차된 팔레트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를 상기 리프트 횡행 이송 장치로 이송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장이 구비된 자동 주차 설비.
  7. 삭제
  8. 삭제
KR1020210192170A 2021-12-30 2021-12-30 자동 주차 설비 KR10263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70A KR102639096B1 (ko) 2021-12-30 2021-12-30 자동 주차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70A KR102639096B1 (ko) 2021-12-30 2021-12-30 자동 주차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19A KR20230102219A (ko) 2023-07-07
KR102639096B1 true KR102639096B1 (ko) 2024-02-22

Family

ID=8715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170A KR102639096B1 (ko) 2021-12-30 2021-12-30 자동 주차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0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2211A (ja) * 2010-12-07 2012-06-28 Ihi Transport Machinery Co Ltd 地上式と地下式の混合型駐車装置とその入出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7038Y2 (ja) * 1993-10-01 1999-06-2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200272583Y1 (ko) 2001-12-28 2002-04-18 동양기전 주식회사 주차설비의 승강기 구동장치
KR102015211B1 (ko) 2018-01-26 2019-08-2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기식 주차 설비용 전기차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2211A (ja) * 2010-12-07 2012-06-28 Ihi Transport Machinery Co Ltd 地上式と地下式の混合型駐車装置とその入出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19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515A (en) Passenger transport installation, vehicle for use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said installation
JP6393155B2 (ja) 機械式駐車設備
KR102639096B1 (ko) 자동 주차 설비
JP2528994B2 (ja) 建築構造物及び乗客輸送設備用乗り物並びに乗客輸送設備の蓮行方法
KR101342098B1 (ko) 보조 주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주차 시스템
JP6867934B2 (ja) 機械式駐車装置リプレース方法およびリプレース機械式駐車装置
JP2006207359A (ja) 乗込口の横行装置
JPH05179832A (ja) 駐車装置
RU2322560C2 (ru) Многоэтажный гараж-стоянка с энергоэкономным подъемником
JP7214193B2 (ja) 自動運転車用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4329099B2 (ja) 駐車装置
JP2013231342A (ja) 乗込口のガイドレール
CN112408158B (zh) 电梯轿厢及建造时电梯设备和方法
JP3426978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3011804B2 (ja) 中間乗入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RU2324040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многоэтажный гараж-пенал
JPH06264638A (ja) 立体駐車場
JP2001123690A (ja) 昇降機能付きエレベータパーキング
JPH11200653A (ja) 複合型エレベータパーキング
JP2859811B2 (ja) 設備機器運搬方法及び運搬用カゴ付エレベータ
JP4028119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3240490B2 (ja) 立体駐車装置の車両入出庫装置
JP4308401B2 (ja) 立体駐車装置
JP279001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等
CN112408158A (zh) 电梯轿厢及建造时电梯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