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303B1 - 소성으로 신장된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를 갖는 판금의 전기 콘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소성으로 신장된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를 갖는 판금의 전기 콘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303B1
KR102635303B1 KR1020180103921A KR20180103921A KR102635303B1 KR 102635303 B1 KR102635303 B1 KR 102635303B1 KR 1020180103921 A KR1020180103921 A KR 1020180103921A KR 20180103921 A KR20180103921 A KR 20180103921A KR 102635303 B1 KR102635303 B1 KR 10263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tongue
limit stop
electrical contact
emboss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525A (ko
Inventor
자비에르 루이야르
리벤 도스치
비나야쿠마르 셰타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벨지움 이씨 비브이비에이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벨지움 이씨 비브이비에이,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25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콘택(1) 및 이러한 전기 콘택(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콘택(1)에는 래칭 설부(8)가 제공된다. 래칭 설부(8)는 포지티브 또는 폼-피트를 사용함으로써 커넥터(2)에 전기 콘택(1)을 고정(anchor) 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래칭 설부(8)는 베이스(10)를 통해 전기 콘택(1)의 바디(12)에 부착된다. 너무 높은 힘(29)이 래칭 설부(8)에 인가되는 경우, 래칭 설부(8)가 소성으로 변형되고,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2) 내에 전기 콘택(1)을 더 이상 안전하게 고정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편향된 포지션(40)에서 래칭 설부(8)가 놓이는 한계 정지부(38)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칭 설부(8) 및 한계 정지부(38)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48)에 의해 소성으로 신장된다. 이는 중첩부(42)를 생성하고, 전기 콘택(1)이 제조되는 판금의 피스(6)를 단순히 절단함으로써 한계 정지부(38) 및 래칭 설부(8)의 형성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소성으로 신장된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를 갖는 판금의 전기 콘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Electric Contact of Sheet Metal having a Plastically Elongated Latching Tongue and/or Limit Stop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대한 전기 콘택 및 이러한 전기 콘택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전기 콘택은 전기 콘택과 메이팅(mating) 전기 콘택 사이의 전기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전기 콘택은 보통 커넥터, 특히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삽입되고 래칭(latching)에 의해 거기서 고정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검사 및/또는 교체를 위해 전기 콘택이 제거될 수 있다. 하우징에 전기 콘택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전기 콘택에는 커넥터에서 상보적인 메이팅 패스너와 결합되는 래칭 설부(latching tongue)가 제공된다. 전기 콘택은 수형 또는 암형일 수 있다. 전기 콘택은 스탬핑되고 굽혀진 판금의 단일 피스(piece)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래칭 설부는 예를 들어, 스탬핑 또는 절단에 의해 3개의 측들에서 자유롭게 절단될 수 있지만, 베이스에서 바디와 연결된 채로 유지된다. 베이스는, 래칭 설부가 래칭 동작을 허용하고 전기 콘택이 전기 커넥터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때 비키게(out of the way) 이동되도록 소성으로 편향될 수 있는 힌지(hinge)를 형성할 수 있다.
콘택의 설치 또는 제거 동안 전기 콘택이 변형되는 소정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소성 변형은 래칭 력(latching force)을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하우징 내의 전기 콘택의 포지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결국, 전기 커넥터 내의 전기 콘택의 느슨한 고정 또는 너무 약한 고정을 초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콘택 및 메이팅 전기 콘택의 연결 또는 연결 해제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콘택이 여전히 저비용으로 매우 다량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 소성 변형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전기 콘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전기 커넥터에 대한 전기 콘택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되며, 이 전기 콘택은 스탬핑되고 굽혀진 판금(sheet metal)의 피스로 제조되고, 전기 콘택은 래칭 설부 및 바디를 포함하고, 래칭 설부는 베이스에서 바디에 연결되고 베이스에 대향하는 그의 측에 자유 단부를 갖고, 전기 콘택은, 한계 정지부를 더 포함하며, 래칭 설부는 휴지 포지션에서 한계 정지부로부터 이격되고, 편향된 포지션에서, 한계 정지부 상에 놓인다.
목적은 또한, 판금으로부터 전기 콘택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충족되며, 판금의 피스로부터 래칭 설부를 형성하는 단계 ― 래칭 설부는 베이스에 의해 피스의 바디에 부착된 채로 유지됨 ― ; 및 피스로부터 래칭 설부에 대한 한계 정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한계 정지부는 래칭 설부와 중첩된다 .
한계 정지부를 제공함으로써, 래칭 설부의 편향은 단지 탄성 편향이 있는 지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칭 설부의 임의의 남아있는 소성 편향은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콘택의 지오메트리는, 래칭 설부가 높은 힘들로 핸들링되는 경우 조차도, 이러한 힘들이 한계 정지부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보존된다. 판금 바디로부터 한계 정지부를 생성함으로써, 전기 콘택은 스탬핑 및 굽힘 동작들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낮은 비용에서 대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이 그 자체로 유리하고 다른 피처들과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다음의 피처들에 의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칭 설부는 예를 들어, 스탬핑 및/또는 절단에 의해, 바디 내에 형성된 개구 내로 돌출하고 그리고/또는 그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바디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바디에 대한 래칭 설부의 양호한 이동성이 보장된다. 개구는 적어도 3개의 측들에서 래칭 설부를 둘러쌀 수 있다.
한계 정지부는 베이스에 대향하는 개구의 측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래칭 설부는 자유 단부에서 한계 정지부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분리는 절단 또는 스탬핑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칭 설부 및 한계 정지부 둘 모두는 동일한 분리 프로세스 단계로부터 발생하는 단부 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표면들은 예를 들어, 유사한 절단 마크들 및 변형들을 공유한다.
유리한 레버리지(leverage)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한계 정지부 상에 작용하는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편향된 포지션에서, 래칭 설부의 자유 단부가 한계 정지부 상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칭 설부의 자유 단부가 절단 또는 스탬핑 동작에 의해 한계 정지부로부터 분리된 경우, 초기에 한계 정지부와 래칭 설부 사이에 어떠한 중첩부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가 소성 변형에 의해 신장된다는 점에서 중첩부가 생성된다. 이러한 소성 신장으로 인해, 래칭 설부 및 한계 정지부는 중첩하고 이에 따라 한계 정지부는 래칭 설부의 편향을 제한하는 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소성 신장은 예를 들어, 한계 정지부 및/또는 래칭 설부의 엠보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으로 인해, 판금의 재료가 엠보싱 밖으로 푸시된다. 이 재료의 일부는 래칭 설부가 엠보싱되는 경우, 한계 정지부를 향해 또는 한계 정지부가 엠보싱되는 경우 래칭 설부를 향해 푸시되고, 따라서, 엠보싱된 엘리먼트를 약간 신장시킨다. 신장이 달성되는 방향으로, 즉 래칭 설부의 자유 단부 또는 베이스를 향하는 한계 정지부의 단부를 향해 엠보싱이 테이퍼 아웃(taper out)되는 경우, 신장의 지향성(directivity)이 개선될 수 있다. 테이퍼 아웃은 예를 들어, 15° 내지 60°의 각도의 엠보싱된 표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진 측을 갖는 엠보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대향하는 측은 경사진 측보다 바람직하게 더 가파른 기울기를 가지며 엠보싱 표면에 수직일 수 있다.
엠보싱의 깊이는 재료 두께의 절반 미만, 특히, 재료 두께의 1/5 내지 1/3일 수 있다. 신장이 달성되는 방향에서 엠보싱의 폭은 전체 재료 두께 내지 재료 두께의 1/3일 수 있다. 이러한 치수들은 엠보싱에 대향하는 측이 변형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엠보싱이 재료를 관통(push through)하지 않는 것, 즉, 엠보싱에 대향하는 한계 정지부 및/또는 래칭 설부의 표면이 변형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삽입 및 제거 시에 커넥터의 부분들 위에서 미끄러질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래칭 설부에 대해 특히 중요하다. 슬라이딩 표면의 매끄러움은 전기 콘택이 걸리지 않고 커넥터의 내부로 그리고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엠보싱은 한계 정지부 쪽을 향한 래칭 설부의 측 상에 그리고/또는 래칭 설부를 등진 한계 정지부의 측 상에 안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각각의 엠보싱은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에 각각 단지 제한된 양의 길이만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엠보싱들이 래칭 설부 및 한계 정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유 단부의 폭에 걸쳐 신장을 균등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엠보싱들이 베이스와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엠보싱은 또한 베이스에 수직인 방향으로, 즉 베이스로부터 자유 단부로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그러나 이는 불균일한 자유 단부를 생성할 수 있다.
엠보싱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동일한 엠보싱 툴들이 그의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로부터 자유 단부로 진행되는 래칭 설부의 측들을 변형시키지 않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이 한계 정지부 및/또는 래칭 설부의 측들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된 래칭 설부의 에지들은 직선으로 유지된다.
편향 시에 래칭 설부의 탄성 변형을 회피하고 래칭 설부의 잘-정의된 강성도를 제공하기 위해, 래칭 설부에는 비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피처가 제공, 예를 들어, 압인 가공될 수 있다. 보강 피처는 신장될 수 있으며, 그의 더 긴 측은 베이스로부터 자유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강 비드는 한계 정지부를 향한 래칭 설부의 측 상의 볼록한 표면 및/또는 한계 정지부를 등진 래칭 설부의 측 상의 오목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재차, 커넥터의 엘리먼트들의 미끄러짐을 용이하게 한다. 보강 피처는 이들 영역들에서 소성 변형을 회피하기 위해 베이스 및 래칭 설부의 측들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엠보싱들은 비드 내로 그리고/또는 비드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제조 동안, 엠보싱들이 보강 피처 이전에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래칭 설부가 여전히 평면인 동안 엠보싱들이 생성될 수 있다. 그 후, 보강 피처는 스탬프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순서가 유지되는 경우, 엠보싱 툴들의 형상이 단순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계 정지부는 바디로부터 베이스를 향해, 특히, 래칭 설부를 둘러싸는 개구 내로 돌출할 수 있다.
한계 정지부는 일 실시예에서, 플랩(flap)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플랩은 예를 들어, 0 또는 1 T 밴드에서 래칭 설부를 향해 자체적으로 뒤로, 즉, 180 °만큼 굽혀지거나 접힐 수 있다. 플랩은 래칭 설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플랩, 특히, 그의 적어도 하나의 밴드 또는 폴드에는 비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피처가 제공될 수 있어서, 플랩은 부러지지 않고 편향된 포지션에서 래칭 설부 상에 작용하는 큰 힘들을 지지할 수 있다.
굽혀진 플랩에 의해 형성된 한계 정지부를 갖는 이점은, 제조 단계들 및 한계 정지부와 래칭 설부 사이의 중첩부의 양이 보다 쉽게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 엠보싱에 의한 소성 신장의 경우보다 플랩을 위해 더 많은 재료가 필요하다.
한계 정지부가 래칭 설부 상에 작용하는 매우 높은 힘들을 지지해야 하는 경우, 한계 정지부 자체가 래칭 설부를 등진 측에서 지지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이는 한계 정지부 아래, 즉 래칭 설부에 대향하는 한계 정지부의 측에 지지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지지 탭 그 자체가 이 포지션으로 굽혀질 수 있다. 특히, 지지부는 바디의 통합 부분일 수 있어서, 어떠한 부가적인 재료도 필요하지 않다. 지지부는 예를 들어, 전기 콘택의 측 벽 또는 그의 바디로부터, 또는 한계 정지부를 향해 180° 뒤로 굽혀진 플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는 래칭 설부를 등진 방향으로 베이스 및/또는 한계 정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평면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계 정지부는 래칭 설부 또는 그의 자유 단부를 등진 방향으로 평면 섹션 및/또는 베이스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이 변위는 예를 들어, 한계 정지부의 소성 변형, 예를 들어, 전단(shearing) 또는 굽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변위로 인해, 래칭 설부는 편향된 포지션에서 비키게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로의 전기 콘택의 더 용이한 삽입을 허용한다. 특히, 래칭 설부가 한계 정지부 상에 놓일 때 래칭 설부는 베이스 또는 바디의 평면 섹션과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한계 정지부 및 래칭 설부에는 각각 챔퍼(chamfer)가 제공될 수 있으며, 챔퍼들은 편향된 포지션에서 서로에 의존한다. 이는 또한 편향된 포지션에서 래칭 설부의 포지션을 추가로 낮추도록 허용한다.
전기 콘택의 바디는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수직인 적어도 2개의 측 벽들을 포함하는 장방형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래칭 설부는 이 섹션의 외측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특히, 래칭 설부는 이 섹션의 내부로부터 비스듬히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섹션은 특히, 탭 또는 핀 콘택을 위한 리셉터클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탭을 포함하는 전기 콘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둘 모두의 경우들에서, 장방형 형상은 커넥터에 전기 콘택을 강하게 고정(anchoring)시키도록 허용한다.
장방형 섹션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콘택 스프링이 배열될 수 있다. 암형 커넥터에서, 콘택 스프링은 탭 또는 핀 커넥터를 클램핑하고 단단한(tight) 전기 콘택을 보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 스프링은 자체적으로 뒤로 굽혀지고 바디의 모놀리식 부분일 수 있다.
콘택 스프링은 일 실시예에서, 설부 아래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기 콘택의 내부에 도달하고 그 후 콘택 스프링을 누르게 할 수 있는 과도하게 편향된 래칭 설부 간의 콘택을 한계 정지부가 금지하기 때문에, 한계 정지부의 제공이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는 스프링 콘택이 손상시키고 정의되지 않은 콘택 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추가로 설명된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택의 변형예들이 도시된다. 상이한 변형예들의 엘리먼트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먼트의 기술적 효과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경우, 다른 변형예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로부터의 하나의 변형예가 그 엘리먼트에 부가될 수 있다. 반대로, 엘리먼트의 기술적 효과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그 엘리먼트는 변형예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도면들 전체에 걸쳐, 설계 및/또는 기능과 관련하여 서로 대응하는 엘리먼트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택의 개략적인 절단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라 절단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세부사항 IV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소성으로 신장된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 없는 전기 콘택의 부분적 절개 섹션을 갖는 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전기 콘택의 변형예의 부분적 절개 섹션을 갖는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제 1 상태의 스탬핑된 판금 블랭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판금 블랭크의 VII-VII를 따라 절단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제 2 상태의 판금 블랭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도 8a의 판금 블랭크의 VIII-VIII를 따라 절단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a는 제 3 상태의 도 7a의 판금 블랭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도 9a의 판금 블랭크의 IX-IX를 따라 절단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전기 콘택의 다른 변형예의 개략적인 절단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라인 XI-XI를 따른 도 10의 전기 콘택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절단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9의 전기 콘택의 변형예의 도 10의 화살표 XII를 따른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0의 전기 콘택의 변형예의 도 10의 화살표 XIII를 따른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0의 전기 콘택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절단 측면도를 도시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설계가 도 1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의 절단도이다. 전기 콘택(1)은 특히, 삽입 방향(4)을 따라 전기 커넥터(2)의 하우징(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3)은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다.
전기 콘택(1)은 스탬핑되고 굽혀진 판금의 단일 피스(piece)(6)로 제조된다.
전기 콘택(1)을 하우징(3) 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피스(6)에 의해 형성된 래칭 설부(latching tongue)(8)가 제공된다. 래칭 설부(8)는 포지티브 록(positive lock) 또는 폼-피트(form-fit)로 하우징(3)과 결합될 수 있다.
래칭 설부(8)는 베이스(10)에서 전기 콘택(1)의 바디(12)에 연결된다. 래칭 설부(8)는 그의 휴지 포지션(13)에서, 바디(12)로부터 비스듬히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는 굽혀지거나 접힐 수 있다.
바디(12)는 적어도 하나의 측 벽(15)을 포함하는 박스-형 또는 장방형 섹션(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위 벽(16) 및 상위 벽(18)이 제공될 수 있다. 장방형 섹션(14)은 적어도 상위 벽(18) 및 하나의 측 벽(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2개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수직이다. 베이스(10)는 래칭 설부(8)를 상위 벽(18)에 연결할 수 있다.
래칭 설부(8)는 그의 언로딩된 휴지 포지션(13)에서 장방형 섹션(14) 또는 전기 콘택(1)의 내부(20)로부터 돌출한다. 래칭 설부(8)는 베이스(10)에 대향하여 안착되는 자유 단부(22)를 포함한다. 래칭 설부(8)에는 비드(bead)(26)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피처(24)가 제공될 수 있다. 보강 피처(24)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 및/또는 자유 단부(22)로부터 이격된다. 보강 피처(24)는 신장될 수 있고, 더 긴 치수가 베이스(10)로부터 자유 단부(22)로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래칭 설부(8)는 화살표(28)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하다. 보강 피처(24)가 제공되는 경우, 화살표(28)를 따라 베이스(10)에 대해 래칭 설부(8)를 편향시키는 힘(29)은 래칭 설부(8)를 구부리지 않을 것이고, 베이스(10)는 힌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피처(24)는 래칭 설부(8)를 강직하게 한다.
전기 콘택(1)을 하우징(3)에 삽입하거나 전기 콘택(1)을 하우징(3)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래칭 설부(8)는 하우징(3) 내의 임의의 래칭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편향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래칭 설부(8)는 바디(12)를 향해, 특히 만약 존재한다면, 장방형 섹션(14)을 향해 이동된다.
래칭 설부(8) 아래, 특히 내부(20)에, 내부(20)에 삽입될 수 있는, 콘택 탭(34)과 같은 메이팅 전기 콘택(32)과의 전기 콘택을 설정하기 위해 콘택 스프링(30)이 제공될 수 있다. 래칭 설부(8) 아래의 콘택 스프링(30)의 위치는, 래칭 설부(8)가 힘(29)에 의해 콘택 스프링(30)을 누르게 되는 위험을 지닌다. 이러한 경우에, 콘택 스프링(30)이 래칭 설부(8)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 콘택 스프링(30)과 메이팅 전기 콘택(32) 사이에 작용하는 콘택 힘(contact force)이 정의되지 않게 되고 임의의 미리 정해진 제한들의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한계 정지부(limit stop)(38)가 제공된다. 한계 정지부(38)는 피스(6)로부터 형성되고 래칭 설부(8), 특히 휴지 포지션(13)에서의 래칭 설부(8)의 자유 단부(22)로부터 이격된다. 참조 번호(40)로 도시된 래칭 설부(8)의 완전히 편향된 포지션에서, 래칭 설부(8), 특히 그의 자유 단부(22)는 한계 정지부(38) 상에 놓인다. 이를 위해, 한계 정지부(38)는 래칭 설부(8)와의 중첩부(42)를 갖는다.
자유 단부(22)가 래칭 설부(8)의 완전히 편향된 포지션(40)에서 한계 정지부(38) 상에 놓이는 것이 도 1에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자유 단부(22)에 추가로 또는 그 대신에, 래칭 설부(8)의 다른 부분들이 완전히 편향된 포지션(40)에서 한계 정지부(38) 상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계 정지부(38)는 래칭 설부(8)의 과도한 편향을 차단하기 위해 베이스(10)와 자유 단부(22) 사이에 로케이팅되는 래칭 설부(8)의 임의의 섹션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래칭 설부(8)를 한계 정지부(38)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모노리식 피스(monolithical piece)(6)가 단순히 절단되었다. 따라서, 래칭 설부(8) 및 한계 정지부(38)의 단부 면들(44, 46)은 각각, 한 때 모놀리식으로 연결되었지만 서로 절단되었다.
중첩부(42)를 생성하기 위해, 래칭 설부(8) 및 한계 정지부(38) 중 적어도 하나가 소성으로 신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성 신장은 래칭 설부 및 한계 정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엠보싱(embossing)(48)을 제공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엠보싱은 도 4에서 더 가까이 상세히 도시된다. 엠보싱(48)에서, 스탬프(도시되지 않음)가 래칭 설부(8) 및/또는 한계 정지부(38)의 재료 내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재료를 소성으로 변위시킨다. 엠보싱(48)에 의한 재료의 변위는 각각의 엠보싱된 래칭 설부(8) 및/또는 한계 정지부(38)의 신장을 생성한다. 신장은 결국 중첩부(42)로 이어지며, 이는 엠보싱(48) 없이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엠보싱(48)은, 엠보싱된 표면에 대해 보다 얕은 각도, 예를 들어 15° 내지 60°, 특히 30° 내지 50°로 경사질 수 있는 경사진, 예를 들어, 챔퍼된(chamfered) 또는 비스듬한 측(50)보다 엠보싱된 표면에 대해 더 가파르게 경사진, 특히 수직인 측(49)을 가질 수 있다. 측들(49, 50)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덜 경사진 측(50)은 각각의 단부 면(44, 46)에 더 근접하다. 경사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싱(48)의 바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엠보싱(48)은 바람직하게는, 한계 정지부(38) 및 내부(20)를 향하는 래칭 설부(8)의 측(51) 상에 로케이팅된다. 이는 한계 정지부(38)를 등진 래칭 설부(8)의 측(52)을 매끄러운 상태로 남겨두어서, 래칭 설부(8)가 전기 커넥터(2) 내부로 그리고 밖으로 더 쉽게 미끄러질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엠보싱(48)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대향하는 측(52)까지 관통하지 않는다. 신장 및 선택적인 보강 피처(24)를 제외하면, 바람직하게는, 어느 것이 엠보싱(48)을 피처링하든, 래칭 설부(8) 및/또는 한계 정지부(38)의 신장 방향에 수직으로 어떠한 다른 변형도 없다.
신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초과의 엠보싱들이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에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보강 피처(24) 및 엠보싱(48)에서 래칭 설부(8)의 단면 형상을 식별하게 허용하도록 라인 II-II을 따른 절단도를 도시한다.
보강 피처(24)는 한계 정지부(38)를 등진 자신의 측(52) 상에서 래칭 설부(8)의 볼록한 형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계 정지부(38) 쪽을 향하는 측(51)은 오목하다. 보강 피처(24), 예를 들어, 비드(26)는 바람직하게는, 측들(51, 52)을 연결하고 베이스(10)로부터 자유 단부(22)로 진행되는 에지들(54)로부터 이격된다. 에지들(54)은 결국, 래칭 설부(8)의 자유로운 이동성을 허용하도록 바디(12)로부터 이격된다. 원래, 에지들(54)은 바디(12)와 모놀리식으로 연결되지만, 래칭 설부(8)를 형성하기 위해 바디(12)로부터 절단되었다. 따라서, 래칭 설부(8)는, 베이스(10)를 제외하고 적어도 3개의 측들 상에서 래칭 설부(8)를 둘러싸는 개구(56) 내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도 2로부터 추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엠보싱(48)은 보강 피처(24)에 걸쳐 연장된다. 이는, 먼저 래칭 설부(8)에서 엠보싱(48)을 생성하고 그 후 보강 피처(24)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엠보싱(48)은 보강 피처(24)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에지들(54)로부터 이격된다. 엠보싱(48)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재료 두께의 절반 미만이고, 특히, 재료 두께의 1/5 내지 1/3일 수 있다. 신장이 발생하는 방향, 즉, 베이스와 한계 정지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 엠보싱(48)의 폭은 재료 두께의 전체 두께 내지 1/3일 수 있다. 이들 치수들은 엠보싱(48)이 래칭 설부(8)에 있는지 또는 한계 정지부(38)에 있는지와 무관하다.
도 1 및 도 2의 비교로부터, 엠보싱(48)은 신장된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더 긴 측(58)은 베이스(10)로부터 자유 단부(22)로의 방향에 수직으로 그리고 베이스(10)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한계 정지부(38)는 래칭 설부(8)를 등진, 즉, 장방형 섹션(14)의 내부(20)를 향하는 방향에서 베이스(10)에 대해 시프트될 수 있다. 내부(20)를 향한 한계 정지부(38)의 변위는 바디(12)를 향한 래칭 설부(8)의 추가의 편향 및 이에 따라, 래칭 설부(8)와 바디(12), 특히, 실질적으로 바디(12)의 평면 섹션(60)(도 1), 또는 각각 상위 벽(18)의 더 양호한 정렬을 허용한다. 평면 섹션(60)은 래칭 설부(8)에 대향하는 베이스(10)의 측 상에 그리고/또는 한계 정지부(38) 위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칭 설부(8)의 동일 평면 정렬(flush alignment)은 전기 콘택(1)의 삽입을 위해 전기 커넥터(2)에서 필요한 개구의 크기의 감소룰 허용한다.
도 3에서, 한계 정지부(38)의 엠보싱(48)이 도시된다. 엠보싱(48)은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의 신장된 인상일 수 있으며, 엠보싱(48)의 더 긴 측(58)은 각각 자유 단부(22) 또는 베이스(10)와 평행하게 배향된다. 한계 정지부(38)의 엠보싱(48)은, 보강 피처(24)가 생성될 때 래칭 설부(8)의 엠보싱(48)이 변형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엠보싱(48)의 효과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5에서, 래칭 설부(8)에 엠보싱(48)이 제공되지 않은 비교 예가 도시된다. 래칭 설부(8)는 편향된 포지션(40)에서 중첩부(42)가 존재하지 않도록 제한 정지부(38)로부터 절단되었다. 래칭 설부(8)가 힘(29)에 의해 바디(12)를 향해 편향되는 경우, 래칭 설부(8)는 이에 따라 제한 스톱(38)을 통과할 것이다.
비교하면, 예를 들어, 각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3개의 엠보싱들(48)이 래칭 설부(8) 내로 각인되었다. 엠보싱(48)의 결과로서, 베이스(10)로부터 자유 단부(22)까지의 래칭 설부(8)의 길이(62)는 도 5와 비해 증가된다. 이 증가는 자유 단부(22)와 한계 정지부(38) 사이의 중첩부(42)를 발생시킨다. 중첩부(42)로 인해, 래칭 설부(8)는, 힘(29) 하에서 바디(12)를 향해 편향되는 경우 한계 정지부(38)를 더 이상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한계 정지부(3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3개 초과 또는 3개 미만의 엠보싱들이 대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 콘택(1)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들이 도 7a 내지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a 및 도 7b는 시트 재료로 제조된 평면의 스탬핑된 블랭크로서 피스(6)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상태에서, 래칭 설부(8)는 단지, 분리 라인(64)에서 한계 정지부(38)로부터 분리된다. 2개의 단부 면들(44, 46)이 단지 분리에 의해 형성되었다.
또한, 분리 라인(64)을 포함하는 개구(56)가 보여질 수 있다. 래칭 설부(8)는 한계 정지부(38)를 향해 개구(56) 내로 돌출한다. 한계 정지부(38)는 또한 래칭 설부(8)를 향해 개구(56) 내로 돌출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 피스(6)는 아직 굽혀지지 않았다. 이는 다음의 프로세스 단계들 중 하나에서 행해지며, 그 결과는 도 8a 및 도 8b에서 도시된다. 설부(8)는 블랭크 피스(6)의 평면(66) 밖으로 소성으로 편향된다. 전기 콘택(1)의 바디(12)가 되는 것, 특히 그것의 상위 벽(18)과 래칭 설부(8) 사이의 예각(68)은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특히 약 5°일 수 있다. 블랭크의 평면(66)에 대한 래칭 설부(8)의 경사로 이어지는 소성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에 집중된다. 베이스(10)와 자유 단부(22) 사이에서, 래칭 설부(8)는 바람직하게는, 직선으로 유지된다.
다음 프로세스 단계들 중 하나에서, 그 결과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되며, 먼저 엠보싱(48)이 래칭 설부(8)에 각인된다. 그 후, 비드(26)와 같은 보강 피처(24)가 엠보싱된 래칭 설부(8) 내로 형성된다. 물론, 래칭 설부(8) 내로 보강 피처(24)를 먼저 형성하고, 그 후 엠보싱(48)에 의해 래칭 설부(8)를 신장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후자의 접근법은 보강 피처(24)의 형상이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엠보싱(48)을 형성하는 펀치들의 보다 복잡한 형상을 필요로 한다. 또한, 단지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48) 및/또는 보강 피처(24)가 형성된 후에 래칭 설부(8)가 평면(66) 밖으로 굽혀질 수 있다.
또한, 한계 정지부(38)는 바람직하게는, 래칭 설부(8)를 등진 방향에서 평면(66)을 밖으로 시프트된다. 한계 정지부(38)가 시프트 되는 양(70)은 바디(12)의 1/4 내지 전체 재료 두께(72)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계 정지부(38)는 또한 래칭 설부(8) 아래에서 특히, 래칭 설부(8)와 전기 콘택(1)의 내부(20) 사이 그리고/또는 래칭 설부(8)와 콘택 스프링(30) 사이에서 베이스(10)를 향해 돌출하는 플랩(7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플랩(74)은 상위 벽(18)의 아래, 즉, 상위 벽(18)의 측 상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상위 벽(18)과 평행하게 휴지 포지션(13)에서 래칭 설부(8)를 등진다. 그러한 플랩(74)은 한계 정지부(38) 및 래칭 설부(8) 중 적어도 하나를 신장시키는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제공될 수 있다. 플랩(74)은 예를 들어, 0 또는 1 T 밴드(T bend)로서 자체적으로 뒤로 굽혀지거나 접힐 수 있고, 즉 180°만큼 굽혀지거나 접힐 수 있다. 재차, 중첩부(42)는 플랩(74)의 자유 단부(75)에 의해 형성된다.
플랩(74)에는 특히, 밴드 또는 폴드(76)와 같은 취약한 영역들에 보강 피처(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피처(24)는 힘(29)이 높은 경우 한계 정지부(38)의 편향을 방지한다.
지지부(80)는 한계 정지부(38)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계 정지부(38)는 래칭 설부(8)와 지지부(80)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지지부의 예들이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다.
지지부(80)는 굽힘 또는 접힘에 의해 바디(12)로부터, 예를 들어, 측 벽(15)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측 벽(15)은 래칭 설부(8)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전기 콘택(1)의 장방형 섹션(14)의 부분일 수 있다. 지지부(8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딥 드로잉(deep drawing)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 벽(15)은 단순히 한계 정지부(38) 아래에서 굽혀진다. 지지부(80)는 한계 정지부(38) 쪽을 향하고 한계 정지부(38)를 등진 방향에서 측 벽(1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80)는 설부(8)와 마찬가지로 전단 프로세스(shearing process)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80)는 적어도 3개의 측들에서 측 벽(15)으로부터 분리되고 한계 정지부(38) 아래에서 굽혀진다. 지지부(80)의 자유 단부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계 정지부(38) 쪽을 향하거나, 또는 지지부(80)의 자유 단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계 정지부(38)를 향할 수 있다.
지지부(80)는 또한 도 1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계 정지부(38)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80)는 또한 래칭 설부(8)를 등진 한계 정지부(38)의 측 상에서 한계 정지부(38) 아래의 바디(12)에 180° 밴드 또는 폴드(76)에 의해 연결되거나 자체적으로 뒤로 굽혀지는 플랩(7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4에 도시된다. 재차, 플랩(74)을 보강하기 위해, 비드(26)와 같은 보강 피처(24)가 플랩(74) 및/또는 밴드 또는 폴드(76)에서 제공될 수 있다.
1 전기 콘택
2 전기 커넥터
3 하우징
4 삽입 방향
6 전기 콘택을 형성하는 판금의 피스
8 래칭 설부
10 래칭 설부를 바디에 연결하는 베이스
12 전기 콘택의 바디
13 래칭 설부의 휴지 포지션
14 전기 콘택의 장방형 섹션
15 전기 콘택의 측 벽
16 전기 콘택의 하위 벽
18 전기 콘택의 상위 벽
20 내부
22 래칭 설부의 자유 단부
24 래칭 설부의 보강 피처
26 비드
28 화살표
29 래칭 설부 상에 작용하는 힘
30 콘택 스프링
32 메이팅 전기 콘택
34 탭
38 한계 정지부
40 완전히 편향된 포지션
40 중첩부
44 래칭 설부의 단부 면
46 한계 정지부의 단부 면
48 엠보싱
49 엠보싱의 가파른 측
50 엠보싱의 경사진 측
51 한계 정지부 쪽을 향하는 래칭 설부의 측
52 한계 정지부를 등진 래칭 설부의 측
54 단부 면 및 측들을 연결하는 래칭 설부의 에지
56 래칭 설부를 둘러싸는 개구
58 엠보싱의 더 긴 측
60 바디의 평면 섹션
62 래칭 설부의 길이
64 분리 라인
66 전기 콘택의 블랭크의 평면
68 래칭 설부가 블랭크의 평면 밖으로 편향되는 각도
70 평면 밖으로 한계 정지부의 시프트의 양
72 바디 및/또는 피스의 재료 두께
74 플랩
75 플랩의 자유 단부
76 밴드
80 지지부

Claims (15)

  1. 스탬핑되고 굽혀진 판금의 피스(6)로 제조된,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으로서,
    상기 전기 콘택(1)은 래칭 설부(8) 및 바디(1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설부(8)는 베이스(10)에서 상기 바디(12)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0)에 대향하는 자유 단부(22)를 갖고, 상기 래칭 설부(8)는 상기 베이스(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래칭 설부(8)를 신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48)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콘택(1)은, 한계 정지부(3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래칭 설부(8)는 휴지 포지션(13)에서 상기 한계 정지부(38)로부터 이격되고, 편향된 포지션(40)에서, 상기 한계 정지부(38) 상에 놓이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2. 스탬핑되고 굽혀진 판금의 피스(6)로 제조된,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으로서,
    상기 전기 콘택(1)은 래칭 설부(8) 및 바디(1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설부(8)는 베이스(10)에서 상기 바디(12)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0)에 대향하는 자유 단부(22)를 갖고,
    상기 전기 콘택(1)은 한계 정지부(3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계 정지부(38)는 상기 베이스(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계 정지부(38)를 신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48)을 포함하고,
    상기 래칭 설부(8)는 휴지 포지션(13)에서 상기 한계 정지부(38)로부터 이격되고, 편향된 포지션(40)에서 상기 한계 정지부(38) 상에 놓이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정지부(38)는 상기 베이스(10)를 향해 소성으로(plastically) 상기 한계 정지부(38)를 신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48)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48)은 상기 베이스(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48)은 가파른 측(49) 및 경사진 측(50)을 갖고, 상기 경사진 측(50)은 엠보싱된 표면에 대해 상기 가파른 측(49)보다 작은 경사를 갖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설부(8)는 상기 래칭 설부(8)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48)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 피처(stiffening feature)(24)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정지부(38)는 상기 바디(12)로부터 상기 베이스(10)를 향해 돌출하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된 포지션(40)에서, 상기 래칭 설부(8)의 자유 단부(22)는 상기 한계 정지부(38) 상에 놓이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정지부(38)는 굽혀진 플랩(bent flap)(74)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콘택(1)은 상기 한계 정지부(38) 아래에서 굽혀진 지지부(80)를 포함하고, 상기 한계 정지부(38)는 상기 편향된 포지션(40)에서 상기 지지부(80)와 상기 래칭 설부(8) 사이에 배열되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정지부(38)는 상기 래칭 설부(8)를 등진 방향에서 상기 바디(12)에 대해 시프트되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2)는 장방형 섹션(cuboid section)(14)을 갖고, 상기 래칭 설부(8)는 상기 장방형 섹션(14)에 배열되고 상기 장방형 섹션(14)의 내부(20)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한계 정지부(38)는 상기 래칭 설부(8)와 상기 내부(20) 사이에 배열되는,
    전기 커넥터(2)에 대한 전기 콘택(1).
  13. 판금으로부터 전기 콘택(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판금의 피스(6)로부터 래칭 설부(8)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래칭 설부(8)는 베이스(10)에 의해 상기 피스(6)의 바디(12)에 부착된 채로 유지됨 ― ;
    상기 피스(6)로부터 상기 래칭 설부(8)에 대한 한계 정지부(38)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한계 정지부(38)는 상기 래칭 설부(8)와 중첩됨 ―; 및
    상기 래칭 설부(8) 및 상기 한계 정지부(38) 중 적어도 하나를 엠보싱(embossing)하고 이에 따라 신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금으로부터 전기 콘택(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6)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6)의 제1 절단면은 상기 래칭 설부(8)의 단면이고, 상기 피스(6)의 제2 절단면은 상기 한계 정지부(38)의 단면인,
    판금으로부터 전기 콘택(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80103921A 2017-09-01 2018-08-31 소성으로 신장된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를 갖는 판금의 전기 콘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635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741031018 2017-09-01
IN201741031018 2017-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525A KR20190025525A (ko) 2019-03-11
KR102635303B1 true KR102635303B1 (ko) 2024-02-07

Family

ID=6340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921A KR102635303B1 (ko) 2017-09-01 2018-08-31 소성으로 신장된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를 갖는 판금의 전기 콘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22745B2 (ko)
EP (1) EP3451467B1 (ko)
JP (1) JP7144782B2 (ko)
KR (1) KR102635303B1 (ko)
CN (1) CN1094281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0806A1 (de) * 2021-01-15 2022-07-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Kontakt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8167C3 (de) * 1976-06-23 1986-05-28 Harting Elektronik Gmbh, 4992 Espelkamp Kontaktelement aus Blechmaterial mit Rastzunge
JPS555465U (ko) * 1978-06-26 1980-01-14
DE3325259A1 (de) * 1983-07-13 1985-01-31 Stocko Metallwarenfabriken Henkels Und Sohn Gmbh & Co, 5600 Wuppertal Kontaktschuh fuer steckerverbindungen und verfahren seiner herstellung
US4781628A (en) * 1987-10-22 1988-1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Female electrical terminal
JPH0517951U (ja) * 1991-08-20 1993-03-05 株式会社カンセイ 電気接続子
GB9124572D0 (en) * 1991-11-20 1992-01-08 Amp Gmbh Electrical terminal having improved retention means
JP2603930Y2 (ja) * 1993-09-01 2000-04-04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
FR2711853B1 (fr) * 1993-10-26 1995-12-01 Cinch Connecteurs Sa Organe de contact électrique femelle.
JPH07296873A (ja) * 1994-04-21 1995-11-10 Amp Japan Ltd 雌型コンタクト
JP3533536B2 (ja) * 1994-07-11 2004-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5630738A (en) * 1994-07-21 1997-05-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emale terminal, metal fixture
DE4439105C1 (de) * 1994-11-02 1996-04-25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5980336A (en) * 1995-06-09 1999-11-09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Electrical terminal
US6183312B1 (en) * 1996-11-12 2001-02-0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JP3221557B2 (ja) * 1996-11-12 2001-10-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ンタクト
US5997363A (en) * 1996-12-18 1999-12-07 The Whitaker Corporation Single piece electrical terminal for sealed connectors
FR2765033B1 (fr) * 1997-06-24 1999-08-06 Framatome Connectors Int Contact electrique miniature
JP4278129B2 (ja) 2002-06-20 2009-06-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4362973A (ja) * 2003-06-05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US7303447B1 (en) * 2006-03-31 2007-12-0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terminal with anti-snag feature
EP2606539B1 (en) * 2010-08-17 2016-10-12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Electrical female terminal
DE102011080362A1 (de) * 2011-08-03 2013-02-07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Kontaktelement mit Rastlanze für ein Steckergehäuse
JP2013229222A (ja) * 2012-04-26 2013-11-0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DE102013223570B4 (de) * 2013-11-19 2021-06-2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iftkontakt mit einem als Stanzbiegeteil gefertigten Kontaktkörper und einem massiven Kontaktstift
EP4024617A1 (en) * 2014-04-24 2022-07-06 Molex, LLC Terminal fitting
JP2016024902A (ja) 2014-07-17 2016-02-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電気接触部及び雌型電気接触部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22745B2 (en) 2020-04-14
EP3451467A1 (en) 2019-03-06
JP7144782B2 (ja) 2022-09-30
KR20190025525A (ko) 2019-03-11
EP3451467B1 (en) 2022-02-23
JP2019050195A (ja) 2019-03-28
CN109428195A (zh) 2019-03-05
CN109428195B (zh) 2022-07-08
US20190074626A1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1850B2 (en) Movable connector
US8998656B2 (en) Terminal fitting having auxiliary spring with support
US7798871B2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creased connection object removal force
US8974256B2 (en) Terminal fitt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1001821A1 (ja) 雌端子
US6733346B2 (en)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a method for forming a terminal fitting
US20020077000A1 (en) Female terminal
US20140315417A1 (en) Terminal structure
EP1146597B1 (en) Contact spring
CN103811886A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装体
KR102635303B1 (ko) 소성으로 신장된 래칭 설부 및/또는 한계 정지부를 갖는 판금의 전기 콘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H09506995A (ja) 雌型電気端子
EP1689032A1 (en) A terminal fitting, a plate material therefor and a method of forming it
JP5761115B2 (ja) 端子金具
WO2007131537A1 (en) Connector of flat conductors
JP2006179209A (ja) 雌端子及びコネクタ
JPH0742004U (ja) 雌型端子
EP3246999A1 (en) Female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s
CN103208689A (zh) 压接型连接器
JP2008180337A (ja) スナップフィット構造および挿入荷重低減方法
JP4061545B2 (ja) 圧接コネクタ、圧接装置及び圧接方法
JP3590403B2 (ja) 接続端子の製造方法
JP2016207254A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JP3823206B2 (ja) コネクタ
JP2015013679A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