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916B1 -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916B1
KR102633916B1 KR1020180132238A KR20180132238A KR102633916B1 KR 102633916 B1 KR102633916 B1 KR 102633916B1 KR 1020180132238 A KR1020180132238 A KR 1020180132238A KR 20180132238 A KR20180132238 A KR 20180132238A KR 102633916 B1 KR102633916 B1 KR 10263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dietary fiber
weight
granule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238A (ko
Inventor
서주연
정진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3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916B1/ko
Priority to SG10201909934QA priority patent/SG10201909934QA/en
Priority to US16/665,770 priority patent/US11412753B2/en
Priority to CN201911051076.6A priority patent/CN111109599A/zh
Publication of KR2020004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7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5Synthetic polymers, e.g. vinylic or acrylic polymers
    • A23L33/26Polyol polyesters, e.g. sucrose polyesters; Synthetic sugar polymers, e.g. polydext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5Agglomeration or granulation by extrusion or by pressing, e.g. through small holes, through sieves or betwee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2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 A23F3/423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by solvent extraction; Tea flavour from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8Fracti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과립 조성물은 식이섬유 함유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원료로 하여, 섭취가 용이한 크기 및 형태의 과립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과립의 흐름성이 좋아 가루 날림, 목 막힘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충진성이 좋아 정량이 용이하므로 제품화하기에도 유리하다.

Description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Granular Composition Comprising Dietary Fiber from Green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올리고당과 식이섬유는 식품 중에서 채소, 과일, 해조류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으로, 사람의 소화효소로는 소화되지 않고 몸 밖으로 배출되는 고분자 탄수화물이다. 이러한 식이섬유의 특성으로 인해, 최근 식이섬유는 장내의 세균에 영향을 끼쳐 유해균을 억제하고, 유익균의 증식을 돕는 프리바이오틱스로써의 기능이 매우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하면 소화와 흡수를 억제하면서 만복감을 주기 때문에 과식을 하지 않게 되고, 배변을 원활하게 하며 콜레스테롤 및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등의 인체 내 매우 유익한 기능이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올리고당과 식이섬유를 분말로 섭취하게 되면, 특유의 질기고 거친 입자의 성질로 인하여 텁텁함, 이끼임, 가루 날림 등의 좋지 않은 기호성 및 섭취 편의성을 가진다. 또한, 입자를 띄지 않는 분말의 경우에는 흐름성이 떨어져 제품을 포장, 충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고함량의 식이섬유를 섭취하기 편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원료를 이용하여, 섭취와 휴대의 편리성은 물론 기호도 역시 우수한 과립 형태의 식품 조성물 개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133050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16818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가공녹차와 함께 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을 원료로 하여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과립 조성물은 흐름성이 좋아 가루 날림이 적고, 섭취 시 치아에 달라붙지 않으며, 목 막힘 현상도 개선되며, 충진성이 좋아 제품화에 유리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흐름성이 좋은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이섬유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공녹차에 포함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9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과립 조성물은 가공녹차 30 내지 60 중량%; 올리고당 5 내지 30 중량%; 및 당알코올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당은 프락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및 대두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당알코올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이소말트, 말티톨, 솔비톨, 만니톨, 락티톨 및 마나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과립 조성물의 입자 크기는 0.5 내지 2 Φ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녹차를 주정 및 정제수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식이섬유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가공녹차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a) 단계는 하기 (a1) 내지 (a5)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a1) 녹차를 주정으로 1차 추출한 후 정제수로 2차 추출하는 단계;
(a2) 상기 (a1) 단계에서 1차 및 2차 추출한 후 남은 녹차 잔사를 알칼리로 추출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서 얻은 알칼리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알칼리 추출액을 제거한 후 잔여한 고형 알칼리 추출물에 산을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및
(a4) 상기 (a3) 단계에서 중화된 산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산 추출액을 제거한 후 잔여한 고형 산 추출물을 세정하는 단계; 및
(a5) 상기 (a4) 단계 후 얻은 고형 추출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가공녹차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하기 (b1) 내지 (b3)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b1) 상기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분쇄하여 80 mesh 이하의 분말원료를 형성하는 단계;
(b2) 상기 분말원료에 결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액은 정제수, 주정 및 하이드로콜로이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 조성물은, 흐름성이 좋아 가루 날림이 적고, 섭취 시 치아에 달라붙지 않으며, 목 막힘 현상도 개선되며, 충진성이 좋아 제품화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립 조성물에 포함된 올리고당은 유산균의 먹이가 될 수 있어 대장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립 조성물에 포함된 가공녹차는 적정량의 당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뭉침 없이 과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녹차는 녹차를 원료로 하여 추출 공정에 의해 특히,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70 중량% 이상이 되도록 제조될 수 있어, 녹차의 새로운 활용 방안 및 가공 기술을 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본 발명은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이섬유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공녹차는 녹차를 원료로 하여 추출 공정에 의해 상기 녹차에 포함된 카테킨, 수용성 식이섬유, 단백질, 카페인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을 증가시킨 것이다.
상기 가공녹차에 포함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과립 조성물에서 식이섬유 함량이 많은 과립 형성에 어려움이 있고, 녹차 특유의 쓰고 떫은 맛으로 인하여 감성품질이 좋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공녹차에 포함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수분 함량을 고려하여 9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녹차는 상기 과립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저하되어 섭취 시 식이섬유가 가지는 긍정적인 기능성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초과이면 과립 형태의 조성물이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당은 상기 가공녹차와 혼합되어 과립 형태의 조성물이 잘 형성되도록 하는 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당은 유산균의 먹이가 되어 대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올리고당은 프락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및 대두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락토올리고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당은 상기 과립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맛에 대한 기호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단맛이 과도하여 역시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가공녹차 및 올리고당과 혼합되어 과립 형태 조성물의 원료가 될 수 있으며, 단맛을 증진시켜 맛에 대한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당알코올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이소말트, 말티톨, 솔비톨, 만니톨, 락티톨 및 만니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당알코올은 상기 과립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44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과립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과립 조성물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과립 내 식이섬유 함량이 줄어들어 식이섬유가 가지는 건강 기능성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립 조성물의 입자 크기는 0.5 내지 2Φ,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8 Φ,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Φ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가루 날림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입자 크기가 커서 섭취 후 입안에서 잔여감, 치아 사이에 끼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립 조성물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과립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셀룰로즈,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녹차를 주정 및 정제수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식이섬유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가공녹차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공녹차와 당알코올을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식이섬유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가공녹차를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 (a1) 내지 (a5) 단계로 세분화된 공정을 포함한다:
(a1) 녹차를 주정으로 1차 추출한 후 남은 잔사를 정제수로 2차 추출하는 단계;
(a2) 상기 (a1) 단계에서 1차 및 2차 추출한 후 남은 녹차 잔사를 알칼리로 추출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서 얻은 알칼리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알칼리 추출액을 제거한 후 잔여한 고형 알칼리 추출물에 산을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및
(a4) 상기 (a3) 단계에서 중화된 산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산 추출액을 제거한 후 잔여한 고형 산 추출물을 세정하는 단계; 및
(a5) 상기 (a4) 단계 후 얻은 고형 추출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가공녹차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a1) 단계에서는, 녹차를 주정으로 1차 추출한 후 남은 녹차 잔사를 정제수로 2차 추출할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은 녹차로부터 카테킨을 제거하는 공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차는 녹차잎일 수 있고, 상기 주정은 70% 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은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0.5 내지 2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의 온도에서 0.5 내지 1.5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 시 온도 및 시간은 녹차로부터 카테킨만을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 및 시간으로서,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만큼 카테킨이 제거될 수 없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녹차에 포함된 유효 성분들이 변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킨과 함께, 엽록소, 카페인, 기타 불순물 등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상기 2차 추출은, 상기 1차 추출된 녹차로부터 수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성 물질은 수용성 식이섬유와 당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추출은 80 내지 10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에서 2.5 내지 3.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추출 시 온도 및 시간은 상기 1차 추출된 녹차로부터 수용성 물질만을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 및 시간으로서,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만큼 수용성 물질이 제거될 수 없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녹차에 포함된 유효 성분들이 변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1차 추출 및 2차 추출을 거친 후에는, 녹차로부터 카테킨 및 수용성 물질이 순차적으로 제거된 녹차 잔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a2) 단계에서는, 상기 (a1) 단계에서 1차 및 2차 추출한 후 남은 녹차 잔사를 알칼리 용액에 침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칼리를 이용한 추출 시 사용된 알칼리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및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칼리는 상기 녹차 잔사에 포함된 단백질의 선택적인 제거효율을 고려하여 0.5 내지 5% 알칼리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를 이용한 추출 시 온도 및 시간은,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에서 1.5 내지 2.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를 이용한 추출 시 온도 및 시간은 상기 녹차 잔사로부터 단백질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 및 시간으로서,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만큼 단백질이 제거될 수 없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녹차에 포함된 유효 성분들이 변성될 수 있다.
상기 (a3) 단계에서는, 상기 (a2) 단계에서 얻은 알칼리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알칼리 추출액을 제거한 후 잔여한 고형 알칼리 추출물에 산을 첨가하여 중화시킬 수 있다.
상기 고형 알칼리 추출물은 물을 이용하여 세정한 후 중화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중화는 상기 고형 알칼리 추출물에 산을 첨가하여 pH 7로 중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은 아세트산, L-글루탐산, 락트산, 염산,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EDTA(ethylenediamine-N, N, N', N'-tetraacetic acid: edetic acid), EDTA2Na, EDTA3Na 및 EDTA4N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은 고형 알칼리 추출물의 효율적으로 중화를 고려하여 고려하여 0.1 내지 1 M 산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a4) 단계에서는, 상기 (a3) 단계에서 중화된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추추액을 제거한 후, 고형 추출물을 세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거되는 용액은 중화시 사용된 산 용액일 수 있으며, 물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a5) 단계에서는, 상기 (a4) 단계 후 얻은 고형 추출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가공녹차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공녹차는, (a1) 내지 (a5) 단계를 포함하는 (a) 단계를 통해 카테킨, 수용성 물질 및 단백질이 순차적으로 제거되어 식이섬유의 함량이 60 중량% 이상으로 조절된 것일 수 있으며,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이섬유는 불용성 식이섬유일 수 있다. 특히,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식이섬유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과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 (b1) 내지 (b3) 단계로 세분화된 공정을 포함한다:
(b1) 상기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분쇄하여 80 mesh 이하의 분말원료를 형성하는 단계;
(b2) 상기 분말원료에 결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b1) 단계에서는, 상기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분쇄하여 80 mesh 이하의 분말원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의 중량 및 종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분말원료의 크기는 80 mesh 이하, 바람직하게는 75 mesh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mesh 이하일 수 있으며, 적어도 0 mesh 초과일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후술하는 (b2)의 혼합 공정 및 (b3)의 압출 성형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첨가제,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께 분쇄하여 분말원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b2) 단계에서는, 상기 분말원료에 결합액을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액은 정제수 일 수 있으며, 상기 분말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결합액을 0.5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부로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이면 압출 성형 공정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가지는 혼합물을 제조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혼합 시간은 10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분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균일한 혼합물 형성이 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혼합 시간이 증가에 따른 이익이 없다.
상기 (b3) 단계에서는, 상기 (b2)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과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출 성형 후 형성된 과립의 크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립 조성물의 크기와 동일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과립 조성물은 건조 및 정립될 수 있다. 이때, 건조 시간은 유통, 보관, 소화 및 흡수에 적합한 정도로 건조될 수 있도록 20분 내지 60분 동안 건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가공녹차 제조
녹차잎 100g을, 70% 주정 1500g을 이용하여 70℃ 에서 1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정제수 1500g를 이용하여 90℃ 에서 3시간 동안 2차 추출하였다.
상기 1차, 2차 추출 후 남은 녹차 잔사 70g을, 90℃ 에서 2시간 동안 0.2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490g에 침치하여 추출하여 알칼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알칼리 추출액을 제거한 후, 잔여한 고형 알칼리 추출물을 식용수로 수세하여 잔류 알칼리를 제거하였다. 상기 고형 알칼리 추출물 30g에 0.2 M 아세트산 수용액 210g을 첨가하여 중화시켰다.
상기 중화된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추출액을 제거한 후, 잔여한 고형 추출물을 식용수로 수세하여 잔류 산을 제거하였다.
그 후, 상기 고형 추출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가공녹차를 제조하였다.
(b)과립 제조
상기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혼합하고, 분쇄하여 70 mesh 크기의 분말원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원료에 결합액인 정제수를 혼합기(high shear mix,NARA)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되, 상기 분말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정제수 4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압출 성형기(Dalton)에 투입하여 크기가 1 Φ 인 과립 형상의 성형물을 제조사였다.
상기 과립 형상 성형물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건조시키고, 정립기(서원이엔지)에 투입하여 과립 크기를 균일하게 정립하여,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가공녹차
(중량%)
올리고당
(중량%)
당알코올
(중량%)
실시예1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 95 중량% 45 프락토올리고당 15 자일리톨 40
실시예2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 95 중량% 45 프락토올리고당 15 에리스리톨 40
실시예3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 95 중량% 45 프락토올리고당 15 자일리톨에리스리톨 20
20
비교예1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 95 중량% 60 프락토올리고당 40 - -
비교예2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 95 중량% 60 - - 자일리톨 40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당알코올로서 자일리톨 대신 에리스리톨을 사용하여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당알코롤로서 자일리톨 대신 자일리톨과 에리스리톨을 함께 사용하여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당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올리고당을 사용하지 않고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대해서 과립 형성 여부 및 과립이 형성되었다면 과립 조성물 내에 포함된 식이섬유의 함량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1)과립 형성 여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결과물들에 대해서 육안으로 과립 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2)식이섬유 함량 측정
건조된 시료 두 개를 준비하고 이를 내열성 α-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아밀로글루코시다제 효소로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전분과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이때 10% 이상의 지방을 함유한 식료는 건조 전에 지방을 제거하여 시험하였다.
총 식이섬유(TDF) 정량은 효소분해물에 녹아 있는 식이섬유를 에탄올로 처리하여 침전시켜 여과하고 에탄올과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그 무게를 확인 하였다.
불용성 식이섬유(IDF)는 효소분해물을 여과하여 잔사를 따뜻한 물로 세척하고 그 무게를 확인하여 정량 하였다.
수용성 식이섬유(SDF)는 IDF의 전처리 과정에서 얻은 여과액과 세척액을 합하여 에탄올로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잔류물을 건조하고 무게를 확인하여 정량 하였다. 총 식이섬유,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계산 시 잔사의 무게 중 단백질 및 회분량은 보정해주었다.
(3)흐름성
과립 분말을 수직으로 낙하시켰을 때 형성되는 원뿔형 더미의 각도를 안식각이라 하며, 이 값으로 과립 분말의 흐름성을 알 수 있다. 안식각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안식각용 깔때기의 끝이 원형 받침 바닥으로부터 7.5cm 높이에 설치 후, 테스트기 깔때기의 셔터를 닫았다. 100g의 시료테스트를 안식각용 테스트기 깔때기에 넣고, 셔터를 열어 분말이 흘러나오도록 하였다. 원형 받침대에 원뿔형 더미가 생기면, 높이 게이지를 이용하여 원뿔형 더비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아래 식 1을 이용하여 안식각을 측정하였.
<식 1>
Tan 안식각(θ°) = h/r
안식각(θ°) = actan(h/r)
h: 쌓인 분말의 높이
r: 받침 판 반지름
측정된 안식각과 흐름성의 관계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안식각(θ°) 흐름성
25~30 아주 좋음
31~35 좋음
36~40 보통
41~45 조금 나쁨
46~55 나쁨
56~65 아주 나쁨
66 이상 아주 아주 나쁨
과립 형성
여부
과립 조성물 내 식이섬유 함량
(중량%)
올리고당 함량
(중량%)
흐름성
실시예1 형성 57 15 좋음
실시예2 형성 57 15 좋음
실시예3 형성 57 15 좋음
비교예1 미형성 18 40 아주 아주 나쁨
비교예2 형성 57 0 좋음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당알코올을 함유하지 않고는 식이섬유와 올리고당이 함유된 과립을 만들 수 없었다. 과립이 형성되면, 과립이 형성되지 않은 조성물에 비하여 흐름성이 개선되어, 섭취 편의성 및 포장성이 좋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0)

  1. 식이섬유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녹차는 카테킨 및 수용성 물질이 제거된 녹차인 것인, 과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녹차에 포함된 식이섬유의 함량은 90 중량% 이상인, 과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 조성물은 가공녹차 30 내지 60 중량%; 올리고당 5 내지 30 중량%; 및 당알코올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당은 프락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및 대두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과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이소말트, 말티톨, 솔비톨, 만니톨, 락티톨 및 마나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과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 조성물의 입자 크기는 0.5 내지 2 mm 인, 과립 조성물.
  7. (a) 녹차를 주정 및 정제수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식이섬유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가공녹차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녹차는 카테킨 및 수용성 물질이 제거된 녹차인 것인,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하기 (a1) 내지 (a5)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a1) 녹차를 주정으로 1차 추출한 후 정제수로 2차 추출하는 단계;
    (a2) 상기 (a1) 단계에서 1차 및 2차 추출한 후 남은 녹차 잔사를 알칼리로 추출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서 얻은 알칼리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알칼리 추출액을 제거한 후 잔여한 고형 알칼리 추출물에 산을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및
    (a4) 상기 (a3) 단계에서 중화된 산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산 추출액을 제거한 후 잔여한 고형 산 추출물을 세정하는 단계; 및
    (a5) 상기 (a4) 단계 후 얻은 고형 추출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가공녹차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하기 (b1) 내지 (b3)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b1) 상기 가공녹차,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을 분쇄하여 80 mesh 이하의 분말원료를 형성하는 단계;
    (b2) 상기 분말원료에 결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b3) 상기 (b2)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액은 정제수, 주정 및 하이드로콜로이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32238A 2018-10-31 2018-10-31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238A KR102633916B1 (ko) 2018-10-31 2018-10-31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G10201909934QA SG10201909934QA (en) 2018-10-31 2019-10-24 Granular composition comprising dietary fibers derived from green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6/665,770 US11412753B2 (en) 2018-10-31 2019-10-28 Granular composition comprising dietary fibers derived from green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201911051076.6A CN111109599A (zh) 2018-10-31 2019-10-31 包含源自绿茶的膳食纤维的颗粒状组合物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238A KR102633916B1 (ko) 2018-10-31 2018-10-31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238A KR20200049238A (ko) 2020-05-08
KR102633916B1 true KR102633916B1 (ko) 2024-02-06

Family

ID=7032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238A KR102633916B1 (ko) 2018-10-31 2018-10-31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12753B2 (ko)
KR (1) KR102633916B1 (ko)
CN (1) CN111109599A (ko)
SG (1) SG10201909934Q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909966PA (en) 2018-10-31 2020-05-28 Amorepacific Corp Granular composition comprising dietary fibers derived from green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34B1 (ko) * 2005-02-11 2009-05-26 (주)아모레퍼시픽 과립녹차분말의 제조 방법
KR101311743B1 (ko) 2006-07-31 2013-09-26 (주)아모레퍼시픽 타블릿형의 녹차 및 그 제조방법
CN108606330A (zh) * 2018-04-04 2018-10-02 陕西科技大学 一种富含绿茶膳食纤维咀嚼片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7069B2 (ja) 2000-04-27 2006-12-13 株式会社 仁生堂 緑茶組成物の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33050A (ko) 2004-03-26 2006-12-22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섬유를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DE102004036187A1 (de) 2004-07-26 2006-03-23 Symrise Gmbh & Co. Kg Tee-Aromatisierung
US20060039973A1 (en) * 2004-08-19 2006-02-23 Mary Aldritt Effervescent composition including water soluble dietary fiber
WO2006035979A1 (ja) 2004-09-29 2006-04-06 Asama Chemical Co., Ltd. 乳清タンパク、乳由来の抗体または抗体を含む機能性組成物または食品
JP2006204149A (ja) 2005-01-26 2006-08-10 Seisuke Tanabe 食品原料の製造方法
JP4569965B2 (ja) * 2006-04-17 2010-10-27 花王株式会社 精製緑茶抽出物の製造法
JP4562682B2 (ja) * 2006-04-17 2010-10-13 花王株式会社 精製緑茶抽出物の製造法
WO2009047639A2 (en) * 2007-07-23 2009-04-16 Keimyung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Epicatechin deficient green tea
KR20090050282A (ko) * 2007-11-15 2009-05-20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식이섬유의 제조방법
KR100967227B1 (ko) 2008-05-23 2010-07-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삼 및 감국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JP2010068741A (ja) 2008-09-17 2010-04-02 Ito En Ltd 茶葉顆粒及び茶葉顆粒の製造方法
KR20100124519A (ko) * 2009-05-19 2010-11-29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5415837B2 (ja) 2009-06-12 2014-02-12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圧縮成形性に劣る粉末状の機能性物質から顆粒及び錠剤を製造する方法
KR101691919B1 (ko) 2009-11-30 2017-01-04 (주)아모레퍼시픽 과립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289042B1 (ko) 2011-04-11 2013-07-23 신행연 연자육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039688B (zh) 2012-01-20 2016-01-06 奥驰亚客户服务公司 口腔用产品
US9592199B2 (en) 2012-05-31 2017-03-14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Cellulose powder
JP5989492B2 (ja) 2012-10-01 2016-09-07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抹茶入り緑茶飲料
CN103099213A (zh) 2012-11-13 2013-05-15 苏州谷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茶渣提取水不溶性膳食纤维的制备工艺
US10105320B2 (en) 2013-10-03 2018-10-23 Altria Client Services Soluble fiber lozenge
CN103583950A (zh) * 2013-11-04 2014-02-19 济南海力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小麦纤维素颗粒及其制备方法
CN103709256B (zh) * 2013-12-17 2016-01-20 华南理工大学 一种将茶渣改性制备水凝胶的方法及该水凝胶的应用
CN105394758A (zh) 2015-12-02 2016-03-16 徐冰娜 一种改善酸性体质阻断人体毒素的青梅酵素粉及制备方法
KR20180016818A (ko) 2016-08-08 2018-02-20 기용 강 스테인리스 소구경 파이프 제조방법
CN106690331A (zh) * 2016-11-21 2017-05-24 北京世纪博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海带膳食纤维颗粒及其制备方法
CN107593997A (zh) 2017-10-23 2018-01-1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抗疟中草药保健速溶茶及其制备方法
SG10201909966PA (en) 2018-10-31 2020-05-28 Amorepacific Corp Granular composition comprising dietary fibers derived from green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34B1 (ko) * 2005-02-11 2009-05-26 (주)아모레퍼시픽 과립녹차분말의 제조 방법
KR101311743B1 (ko) 2006-07-31 2013-09-26 (주)아모레퍼시픽 타블릿형의 녹차 및 그 제조방법
CN108606330A (zh) * 2018-04-04 2018-10-02 陕西科技大学 一种富含绿茶膳食纤维咀嚼片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09599A (zh) 2020-05-08
US11412753B2 (en) 2022-08-16
SG10201909934QA (en) 2020-05-28
KR20200049238A (ko) 2020-05-08
US20200128842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46414B2 (en) Sweetener compositions
TWI386168B (zh) 番石榴葉萃取物粉末及其製造方法
KR101429272B1 (ko) 인삼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CN103445266A (zh) 一种魔芋高纤维固体饮料及制备方法
JP5442243B2 (ja) 腎障害抑制剤
US11337437B2 (en) Granular composition comprising dietary fibers derived from green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2021564A (zh) 一种用于养护胃肠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33916B1 (ko)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614783B (zh) 一种具有益生元功能的豆薯膳食纤维粉及其制备方法
KR100448009B1 (ko) 생약추출물 함유 기능성 젤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기능성 젤리
KR102673223B1 (ko) 녹차 유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706628B1 (ja) 麦若葉加工物を含有する造粒物
JP2007262400A (ja) ポリフェノール含有植物抽出物・キトサン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CN103750182A (zh) 蜜柚果粉口含片及其制备方法
KR101728153B1 (ko)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JP6872699B2 (ja) カルシウム吸収促進用組成物
JP7321480B2 (ja) 組成物
JP2006325491A (ja) 造粒物の製造方法
KR101565017B1 (ko) 은행 플레이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3397B1 (ko) 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인 스노우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783509A (zh) 一种鸡内金山药分散片及制备方法
CN113317540B (zh) 包含糖醇的颗粒组合物以及其制备方法
JP7236169B2 (ja) 組成物
KR102197952B1 (ko) 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인 스노우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9282A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설탕 초콜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