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702B1 -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702B1
KR102633702B1 KR1020180112280A KR20180112280A KR102633702B1 KR 102633702 B1 KR102633702 B1 KR 102633702B1 KR 1020180112280 A KR1020180112280 A KR 1020180112280A KR 20180112280 A KR20180112280 A KR 20180112280A KR 102633702 B1 KR102633702 B1 KR 10263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ing
respect
reel
connec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942A (ko
Inventor
코지 오치아이
케이고 키타지마
츠토무 타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7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a closed face
    • A01K89/01025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a closed face with line snubber shifted by a remote actuator
    • A01K89/01026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a closed face with line snubber shifted by a remote actuator with rotor and snubber shiftable axial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풀 링을 임의로 떼어내는 것.
[해결 수단] 낚시줄을 전방으로 풀어내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조합되는 것과 함께 핸들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스풀 축선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스풀에 있어서, 낚시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65), 줄 감기 몸통부의 전단부로부터 스풀 축선에 교차하는 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환상의 플랜지부(67), 및 플랜지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 통부(68)를 가지는 스풀 본체(60)와, 플랜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된 스풀 링(61)과, 연결 통부를 통하여 스풀 본체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고, 스풀 링을 플랜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누르는 고정 링(62)을 구비하고, 연결 통부에는, 스풀 본체에 대한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120)가 연결 통부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5)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SPOOL FOR FISHING REEL, AND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줄을 전방(前方)을 향하여 풀어내는 낚시용 릴의 하나로서 알려져 있는 스피닝 릴은, 일반적으로 핸들을 가지는 릴 본체와, 릴 본체의 전방 측에 배설(配設)되고,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 로터와, 로터의 전방 측에 배설되고, 낚시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를 가지는 스풀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낚시줄을 감을 때, 스풀은 핸들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로터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라인 롤러를 통하여 줄 감기 몸통부에 낚시줄을 치우침 없이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캐스팅 시에는, 베일 암을 줄 개방 자세로 넘어뜨려 낚싯대를 전방을 향하여 흔들어 뽑는 것으로, 줄 감기 몸통부에 감긴 낚시줄을 전방을 향하여 풀어내는(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은 낚시줄이 감기는 중요 부품이고, 내구성, 내식성, 내마모성, 강성, 감는 느낌 등을 고려하여, 그 재질이나 표면 처리 등이 날마다 개량되고 있다. 특히, 줄 감기 몸통부의 전방 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는, 캐스팅에 의하여 전방을 향하여 낚시줄이 방출될 때마다 낚시줄이 접촉하기 때문에, 낚시줄과의 접촉에 의한 부담이 걸리기 쉽다. 그 때문에, 근년(近年)에서는 플랜지부의 외주(外周) 가장자리부 측에, 내마모성 등이 뛰어난 경질재로 형성된 스풀 링을 장착한 스풀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플랜지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경질재로 형성된 스풀 링(경질재 링)이 강고하게 고정(예를 들어 빈틈없는 감합(嵌合), 접착 혹은 코킹(caulking) 등에 의한 고정)된 스풀이 알려져 있다. 이 스풀에 의하면, 스풀 링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낚시줄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 저항을 경감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낚시줄의 줄 끊김 방지나 낚시줄의 비거리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낚시줄과의 접촉에 의하여 스풀 링 자체에 흠집, 마모 등이 생기기 어려운 스풀로 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47561호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스풀이어도, 예를 들어 장기(長期) 사용에 의한 낚시줄과의 계속적인 접촉이나 외부와의 접촉 등에 의하여, 스풀 링에 흠집, 움푹 파임, 거칠어짐 등의 결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스풀에서는, 스풀 링이 플랜지부에 대하여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링을 단독으로 수리 혹은 교환할 수 없고, 스풀 전체를 떼어내어 수리할, 혹은 스풀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수리, 교환에 소비하는 유지비가 높아지기 쉽고,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풀 링을 임의로 떼어낼 수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은, 낚시줄을 전방으로 풀어내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조합되는 것과 함께, 상기 릴 본체에 취부(取付)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스풀 축선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스풀에 있어서, 낚시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전단부(前端部)로부터 상기 스풀 축선에 교차하는 경(徑)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환상(環狀)의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 통부를 가지는 스풀 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상기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된 스풀 링과, 상기 연결 통부를 통하여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고, 상기 스풀 링을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누르는 고정 링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통부에는,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가 상기 연결 통부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취부되고,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상기 스풀 축선의 축 방향 및 상기 스풀 축선 둘레를 주회(周回)하는 둘레 방향으로의 상기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풀에 의하면, 고정 링이 스풀 본체의 플랜지부에 대하여 스풀 링을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는 것과 함께, 제1 규제부가 스풀 본체에 대한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스풀 축선의 축 방향 및 스풀 축선 둘레를 주회(周回)하는 둘레 방향으로의 고정 링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로, 연결 통부를 통하여 스풀 본체에 고정 링을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링을 이용하여 스풀 링을 플랜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고, 고정 링과 플랜지부와의 사이에서 스풀 링을 협지(挾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링을 덜걱거림 적게 안정되게 보지(保持)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캐스팅 시에 있어서, 스풀 링으로 낚시줄을 안정되게 가이드하면서 전방을 향하여 낚시줄을 풀어낼 수 있다.
그런데, 제1 규제부는 연결 통부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통부로부터 제1 규제부를 떼어내는 것으로, 스풀 본체에 대한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의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로부터 고정 링을 전방 측으로 분리시켜 당해 고정 링을 스풀 본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고정 링에 의한 스풀 링의 누름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로부터 스풀 링을 전방 측으로 분리시켜 당해 스풀 링을 스풀 본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풀 링을 임의로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풀 링에 흠집 등이 생긴 경우에는, 스풀 링만을 수리 혹은 교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리, 교환에 소비하는 유지비를 억제할 수 있고, 유저에게 걸리는 부담의 경감화로 이어질 수 있다.
나아가, 낚시용 릴의 종류, 낚시줄의 종류, 루어(lure)의 종류 등에 따라, 예를 들어 재질이나 표면 처리가 다른 복수 종류의 스풀 링 중에서 최적인 스풀 링을 선택하여 갈아 끼울 수도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른 스풀 링의 구분 사용을 행할 수 있고, 사용하기 쉬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예를 들어 낚시줄의 비거리를 높이는 등의 릴 성능의 향상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
(2) 상기 고정 링에는, 상기 제1 규제부와 협동하여,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연결 통부를 상기 경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상기 연결 통부보다도 상기 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제1 규제부 중 상기 연결 통부보다도 상기 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과 협동하는 것으로,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 본체 측의 제1 규제부, 및 고정 링 측의 제2 규제부를 서로 협동시키는 것으로, 스풀 본체에 대한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규제부만으로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것보다도, 스풀 본체에 대한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하기 쉽다.
(3) 상기 연결 통부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링은, 상기 제1 나사부에 나합(螺合)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 통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 통부에 대한 상기 나사 통부의 나착(螺着)에 의하여 상기 스풀 본체에 조합되고,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제1 규제부 중 상기 연결 통부보다도 상기 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된 계지 돌기를 가지고, 상기 계지 돌기가, 상기 제1 규제부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으로부터 계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 링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 본체에 대하여 고정 링을 비틀어 박아 연결 통부에 대하여 나사 통부를 나착시키는 것으로, 스풀 본체에 대하여 고정 링을 조합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링의 비틀어 박음에 의하여, 스풀 링을 누르는 압압력을 조정하면서, 플랜지부에 대하여 스풀 링을 전방으로부터 서서히 누를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와 고정 링과의 사이에서 스풀 링을 안정되게 협지할 수 있고, 스풀 링을 한층 더 덜걱거림 적게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스풀 본체에 대하여 고정 링을 조합한 후에 제1 규제부를 취부하는 것으로, 제1 규제부 및 제2 규제부가 서로 둘레 방향으로 계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규제부 및 제2 규제부를 이용하여, 스풀 본체에 대한 고정 링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고정 링을 적절하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스풀 본체에 고정 링을 조합할 수 있다.
(4) 상기 제1 규제부 및 상기 계지 돌기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제1 규제부 및 제2 규제부를 이용하여, 스풀 본체에 대한 고정 링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고정 링을 보다 확실하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연결 통부에는, 당해 연결 통부를 상기 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나사 구멍에 비틀어 박음 가능하게 된 나사 부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규제부를 나사 구멍에 비틀어 박을 수 있기 때문에, 연결 통부로부터 제1 규제부가 의도하지 않고 이탈하여 버리는(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 본체에 대한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의 규제를, 예를 들어 장기에 걸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덧붙여, 나사 부재로서 예를 들어 멈춤 나사를 이용한 경우에는, 연결 통부의 내측으로 제1 규제부가 돌출하지 않도록, 제1 규제부를 나사 구멍의 내측에 숨어 들어가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결 통부의 내측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상기 고정 링에는, 상기 제1 규제부에 대한 상기 계지 돌기의 상대적인 둘레 방향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부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 본체에 대하여 고정 링을 비틀어 박을 때에, 지표부를 시인(視認)하면서 스풀 본체에 대한 고정 링의 둘레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연결 통부에 제1 규제부를 취부하였을 때에, 제1 규제부와 제2 규제부를 적절하게 또한 신속하게 둘레 방향으로 계지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 링의 취부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7)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상기 스풀 축선 둘레를 주회하는 둘레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 링의 상대 이동을 억제하는 회전 멈춤부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회전 멈춤부에 의하여 플랜지부에 대한 스풀 링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풀 링이 회전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고정 링과 플랜지부와의 사이에서 스풀 링을 협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 링을 한층 더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나아가, 예를 들어 스풀 본체에 대하여 고정 링을 단단히 조이도록 취부하는 경우에는, 스풀 링이 고정 링에 수반하여 함께 도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링의 조임을 적절하게 행하기 쉽다.
(8) 상기 회전 멈춤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전방 및 상기 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開口)한 제1 오목부와, 상기 스풀 링에 형성되고, 전방 및 상기 경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오목부에 대하여 상기 경방향에 대향 배치된 제2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의 내측에 전방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감합된 회전 멈춤 핀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플랜지부에 대하여 스풀 링을 조합한 후,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의 내측에 회전 멈춤 핀을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는 것만의 간편한 작업으로 플랜지부에 대한 스풀 링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 링의 취부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9) 상기 고정 링은, 상기 회전 멈춤 핀을 전방으로부터 눌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고정 링이 플랜지부에 대하여 스풀 링을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멈춤 핀도 누르고 있다. 그 때문에, 회전 멈춤 핀의 빠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핸들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낚시용 릴의 스풀과,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스풀 축선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조합되는 것과 함께, 상기 스풀의 전후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낚시줄을 상기 줄 감기 몸통부에 감는 로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에 의하면, 스풀 전체를 떼어내는 일 없이, 스풀 링만을 임의로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스풀 링 단품에서의 수리 혹은 교환이 가능한 데다, 스풀 링의 갈아 끼움을 행하여, 상황에 따른 스풀 링의 구분 사용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비를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사용하기 쉽고, 릴 성능이 향상된 낚시용 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풀 및 낚시용 릴에 의하면, 스풀 링을 임의로 떼어낼 수 있고, 스풀 링 단품에서의 수리 혹은 교환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리, 교환에 소비하는 유지비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스풀 링의 갈아 끼움을 행하여 상황에 따른 스풀 링의 구분 사용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쉬움을 향상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예를 들어 낚시줄의 비거리를 높이는 등의 릴 성능의 향상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스피닝 릴(낚시용 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의 부분 단면도를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을 화살표 A방향(후방(後方) 측)으로부터 본 스피닝 릴의 부분 단면도를 포함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풀 링의 주변을 확대한 스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스풀의 사시도(단면도를 포함한다)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스풀을 화살표 B방향(전방 측)으로부터 본 스풀의 정면도이다. 다만, 칼라 링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회전 멈춤 핀의 주변을 확대한 스풀의 사시도(단면도를 포함한다)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스풀 본체에 대하여, 스풀 링을 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스풀의 사시도(단면도를 포함한다)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스풀 본체에 대하여 스풀 링을 조합한 후,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의 내측에 회전 멈춤 핀을 끼운 상태를 도시하는 스풀의 사시도(단면도를 포함한다)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칼라 링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멈춤 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스풀 본체에 대하여, 스풀 링을 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스풀의 사시도(단면도를 포함한다)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스풀 본체에 대하여 스풀 링을 조합한 후,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의 내측에 회전 멈춤 핀을 끼워 넣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스풀의 사시도(단면도를 포함한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스풀의 단면도이며, 스풀 링의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스풀의 사시도(단면도를 포함한다)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풀 및 낚시용 릴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스피닝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適宜)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은,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 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 조립체(핸들)(3)와, 릴 본체(2)에 대하여 스풀 축선(O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 로터(4)와, 릴 본체(2)에 대하여 스풀 축선(O2)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고, 도시하지 않는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5)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축선(O1)을 따르는 방향을 좌우 방향(L1)으로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스풀 축선(O2)을 따르는 방향을 전후 방향(L2)으로서 정의한다. 또한,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스풀(5)로부터 낚시줄이 풀어내지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스피닝 릴(1)을 후방 측으로부터 본 시점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덧붙여, 도 3은, 스피닝 릴(1)을 후방 측(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 A방향)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나아가, 핸들 축선(O1)을 그 축선 방향(좌우 방향(L1))으로부터 본,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핸들 축선(O1)에 교차하는 방향을 경방향이라고 하고, 핸들 축선(O1) 둘레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스풀 축선(O2)을 그 축선 방향(전후 방향(L2))으로부터 본,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스풀 축선(O2)에 교차하는 방향을 경방향이라고 하고, 스풀 축선(O2) 둘레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핸들 축선(O1)의 경방향 중, 핸들 축선(O1)으로부터 낚싯대(R)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上方)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하방(下方)이라고 한다.
덧붙여, 핸들 축선(O1) 및 스풀 축선(O2)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離間)하여 배설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대략 직교하도록 교차하고 있다. 즉, 핸들 축선(O1)과 스풀 축선(O2)은, 입체적으로 교차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2)는, 본체부(보디부)(10), 덮개부(11) 및 가드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 혹은 고강도 수지의 성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각종의 릴 구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상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다리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14)의 상단부(上端部)에는, 낚싯대(R)에 장착되는 장착편(15)이 낚싯대(R)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낚싯대(R)는,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일반적으로 낚싯대(R)에 설치되는 릴 취부 대좌(臺座)(릴 시트) 등의 구성에 관하여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덮개부(11)는, 본체부(10)와 마찬가지로 경합금제 혹은 고강도 수지의 성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0)에 대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수용 공간(13)은, 덮개부(11)에 의하여 예를 들어 빈틈(액밀(液密), 기밀(氣密) 등)없이 막혀 있다. 본체부(10)에 대한 덮개부(11)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본체부(10) 중 로터(4)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고정 볼트(16)를 포함하는, 그 외의 복수의 고정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가드 부재(12)는, 본체부(10)의 후부 및 덮개부(11)의 후부를 후방 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가드 부재(12)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고 구비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우측면에는, 핸들 조립체(3) 혹은 캡(18)을 장착하기 위한 평탄한 제1 장착벽(20)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덮개부(11)의 좌측면에는, 핸들 조립체(3) 혹은 캡(18)을 장착하기 위한 평탄한 제2 장착벽(2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제1 장착벽(20) 측에 캡(18)이 장착되고, 제2 장착벽(21) 측에 핸들 조립체(3)가 장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은, 왼쪽 핸들의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장착벽(20) 측에 핸들 조립체(3)를 장착하는 것으로 오른쪽 핸들의 형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장착벽(21) 측에 캡(18)이 장착된다.
제1 장착벽(20)에는, 본체부(10)를 좌우 방향(L1)으로 관통하도록 제1 취부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장착벽(21)에는, 덮개부(11)를 좌우 방향(L1)으로 관통하도록 제2 취부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취부 구멍(22) 및 제2 취부 구멍(23)은, 핸들 축선(O1)과 동축(同軸) 상에 형성되고, 수용 공간(13)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1)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장착벽(20)에는, 수용 공간(1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그 내측이 제1 취부 구멍(22) 내에 연통하는 원통상(圓筒狀)의 제1 지지 통(24)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장착벽(21)에는, 수용 공간(1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그 내측이 제2 취부 구멍(23) 내에 연통하는 원통상의 제2 지지 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지지 통(24) 및 제2 지지 통(25)은, 핸들 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3)는,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 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 축(30)과, 핸들 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핸들 축(30)을 통하여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 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 암(31)과, 핸들 암(31)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 노브(32)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4)는,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스풀 축선(O2)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는 것과 함께, 스풀(5)의 왕복 이동(스풀 축선(O2)을 따르는 전후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낚시줄을 후술하는 스풀(5)의 줄 감기 몸통부(65)에 감는다.
로터(4)는, 릴 본체(2)의 전부(前部) 측에 스풀 축선(O2)과 동축에 배치되고, 전벽부(40a) 및 둘레 벽부(40b)를 가지는 유정 통상(有頂筒狀)으로 형성된 원통체(40)와, 둘레 벽부(40b)에 연결된 제1 암부(41) 및 제2 암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체(40)는, 후방으로 개구하고 있고, 릴 본체(2)의 전부 측을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릴 본체(2)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부터 조합되어 있다. 전벽부(40a)의 중앙 부분에는, 전벽부(40a)를 전후 방향(L2)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43)이 형성된 원통상의 보스부(44)가 후방을 향하여 돌설(突設)되어 있다. 관통 구멍(43)은, 스풀 축선(O2)과 동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44)의 내측에는, 관통 구멍(43)을 통하여 원통상의 피니언 축(45) 및 스풀 축(46)이 삽통(揷通)되어 있다.
덧붙여, 피니언 축(45)은 스풀 축선(O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그 전단부는 전벽부(40a)보다도 전방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벽부(40a)는, 피니언 축(45)의 전단부에 취부된 너트(47)를 통하여 피니언 축(45)에 대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4)는 릴 본체(2)에 대하여, 스풀 축선(O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제1 암부(41) 및 제2 암부(42)는, 둘레 벽부(40b)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것과 함께, 스풀 축선(O2)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암부(41) 및 제2 암부(42)는, 둘레 벽부(40b)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그 전단부(41a, 42a)는 전벽부(40a)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 암부(41)의 전단부(41a) 및 제2 암부(42)의 전단부(42a)에는, 베일 암(50)이 회동(回動) 가능(요동(搖動)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베일 암(50)은, 제1 암부(41)의 전단부(41a)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된 제1 베일 지지 부재(51)와, 제2 암부(42)의 전단부(42a)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된 제2 베일 지지 부재(52)와, 제1 베일 지지 부재(51)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라인 롤러(53)와, 대략 U형상으로 만곡 형성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5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52)와의 사이를 잇도록 배치된 베일(54)을 구비하고 있다.
베일(54)은, 그 일단부가 라인 롤러(53)를 통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51)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또한 그 타단부가 제2 베일 지지 부재(52)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라인 롤러(53)는, 낚시줄을 스풀(5)에 안내한다.
베일 암(50)은, 낚시줄을 라인 롤러(53)에 안내하는 줄 안내 자세(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와, 줄 안내 자세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일 암(50)이 줄 안내 자세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로터(4)가 스풀 축선(O2) 둘레로 회전하는 것으로, 라인 롤러(53)를 통하여 낚시줄을 스풀(5)에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5)은, 스풀 축(46)의 전단부에 대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된 통상의 스풀 본체(60)와,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된 스풀 링(61)과,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고,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스풀 링(61)을 전방으로부터 누르는 환상의 링 칼라(고정 링)(62)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46)은, 스풀 축선(O2)과 동축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오실레이팅 기구(81)에 의하여 스풀 축선(O2)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5)은, 스풀 축(46)을 통하여, 릴 본체(2)에 대하여 스풀 축선(O2)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전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풀 본체(60)는, 제1 베일 지지 부재(5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52)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원통상의 줄 감기 몸통부(65)와, 줄 감기 몸통부(65)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과 함께 줄 감기 몸통부(65)보다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고, 또한 로터(4)에 있어서의 원통체(40)의 둘레 벽부(40b)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원통상의 스커트부(66)와, 줄 감기 몸통부(65)의 전단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환상의 플랜지부(67)와, 플랜지부(67)로부터 한층 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결 통부(68)를 구비하고, 스풀 축선(O2)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스풀(5)의 구성에 관하여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5)에는, 주로 줄 감기 몸통부(65)의 내측에 설치되고, 스풀(5)의 회전을 제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제동 기구와, 스풀 축선(O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고, 제동기구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드래그 조정 노브(70)를 구비하는 드래그 조정 기구(71)가 취부되어 있다. 덧붙여, 드래그 조정 노브(70)는, 주로 연결 통부(68)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1 및 도 2 이외의 각 도면에서는, 드래그 조정 기구(7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스피닝 릴의 그 외의 구성)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수용 공간(13) 내에는, 핸들 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되는 것과 함께, 핸들 축(30)을 통하여 핸들 조립체(3)에 연결된 원통상의 드라이브 축(75)과, 드라이브 축(75)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76)와, 드라이브 기어(76)에 맞물리는 것과 함께 드라이브 축(75)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풀 축선(O2) 둘레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77)와, 드라이브 기어(76)와 릴 본체(2)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드라이브 축(75)을 핸들 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78)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릴 본체(2)의 수용 공간(13) 내에는,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로터(4)를 스풀 축선(O2) 둘레로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80)와,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스풀(5)을 스풀 축선(O2)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81)와, 로터(4)의 역전 방지 기구(82)가 더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
로터 구동 기구(80)는, 드라이브 축(75), 드라이브 기어(76) 및 피니언 기어(77)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축(75)의 내측에는 핸들 축(30)이 좌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드라이브 축(75)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라이브 축(75)은,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핸들 축선(O1) 둘레로 회전한다. 덧붙여, 드라이브 축(75)에는, 드라이브 기어(76)가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77)는, 스풀 축선(O2)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상의 피니언 축(4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축(45)은, 로터(4)의 보스부(44)에 형성된 관통 구멍(43) 내에 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그 전단부(45a)는 로터(4)의 전벽부(40a)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피니언 축(45)에 있어서의 전단부(45a)에는 너트(47)가 취부되고,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축(45)과 로터(4)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축(45)의 내측에는, 스풀 축(46)이 스풀 축선(O2)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77)는, 드라이브 기어(76)에 맞물리고 있고, 드라이브 축(75) 및 드라이브 기어(76)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풀 축선(O2) 둘레를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77) 및 피니언 축(45)을 통하여 로터(4)를 스풀 축선(O2)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로터 구동 기구(80)는,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으로 발생한 회전력을 로터(4)에 전달하고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실레이팅 기구(81)는, 피니언 기어(77)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85)와, 스풀 축(46)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螺軸)(86)과, 나축(86)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축(86)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87)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기어(85) 및 나축(86)은, 피니언 기어(77)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슬라이더(87)는, 스풀 축(46)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과 함께 나축(86)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축(86)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슬라이더(87)에 고정된 스풀 축(46)을 스풀 축선(O2)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실레이팅 기구(81)는, 핸들 조립체(3)의 회전 조작으로 발생한 회전력을 직선의 운동력으로 변환하여 스풀(5)에 전달하고 있다.
(스풀의 상세 구성)
다음으로, 스풀(5)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는, 줄 감기 몸통부(65)의 전단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외경(外徑)은 스커트부(66)의 외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67)의 전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것과 함께 플랜지부(67)의 전체 둘레에 걸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 홈(90)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90)은, 전방 및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환상 홈(90)을 획성(劃成)하는 벽면 중 경방향 외측을 향한 벽면은, 제1 주면(周面)(91)으로 되어 있다.
도 4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아가 플랜지부(67)의 전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제1 오목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92)는, 플랜지부(67) 중 환상 홈(90)보다도 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전방 및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오목부(92)는, 제1 주면(91)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92)는,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2 오목부(104)와 협동하여 경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그 깊이는 환상 홈(90)의 깊이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오목부(92)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목부(92)는 6개 형성되고, 스풀 축선(O2)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다만, 제1 오목부(92)의 형상이나 수는, 상술의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의 변경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제1 오목부(92)의 수로서는, 1개여도 상관없고, 6개 이외의 복수개여도 상관없다. 또한, 제1 오목부(92)의 형상으로서는,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2 오목부(104)와 협동하여 원형상(圓形狀), 혹은 다각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통부(68)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부(93)(예를 들어 암(雌)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부(93)는, 연결 통부(68) 중, 전후 방향(L2)의 중앙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연결 통부(68)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나사부(93)가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연결 통부(68)에는, 당해 연결 통부(68)를 경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나사 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94)은, 연결 통부(68) 중 제1 나사부(93)보다도 후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사 구멍(94)은, 스풀 축선(O2)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4개 형성되어 있다.
다만, 나사 구멍(94)의 수는, 상술의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3개 이하, 혹은 5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덧붙여, 나사 구멍(94)의 내주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랜지부(67) 및 연결 통부(68)를 가지는 스풀 본체(60)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 혹은 고강도 수지, 카본 소재 등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스풀 링)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링(61)은, 플랜지부(67)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스풀 링(61)은, 예를 들어 경질 세라믹스 등의 경질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소정의 코팅 처리(경질 표면 처리 등)가 행하여져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링(61)은, 예를 들어 일정한 경도, 내구성, 내마모성 등이 확보되어 있다. 다만, 스풀 링(61)의 재질은, 경질 재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티탄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여도 무방하다.
도 4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링(61)은, 플랜지부(67)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것과 함께, 외주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감합된 링 본체(100)와, 링 본체(100)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 링(101)을 구비하고, 스풀 축선(O2)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링 본체(100)에는,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플랜지부(67)에 형성된 환상 홈(90) 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연결편(102)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102)은, 환상 홈(90) 내에 전방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비집고 들어가고 있는 것과 함께, 플랜지부(67)의 전면에 대하여 접촉한 상태로 제1 주면(91)의 외측에 이탈 가능하게 감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링(61)의 전체는,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편(102)의 내단면(內端面)은, 제1 주면(91)에 대하여,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예를 들어 빈틈없이 접촉하는 제2 주면(103)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주면(91)과 제2 주면(103)과의 사이에는 실(seal)성이 확보되어 있다.
연결편(102)에는, 연결편(102)를 전후 방향(L2)으로 관통하는 제2 오목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104)는, 연결편(102) 중 플랜지부(67)에 형성된 제1 오목부(92)에 대하여 경방향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오목부(104)는, 제2 주면(103)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오목부(92) 내에 연통하고 있다.
덧붙여, 제2 오목부(104)는, 연결편(102)을 전후 방향(L2)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및 후방의 양방(兩方)에 개구하고 있다. 다만, 제2 오목부(104)는, 연결편(102)을 전후 방향(L2)으로 관통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전방 및 경방향 내측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오목부(104)는,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제1 오목부(92)와 협동하여 경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오목부(104)는, 제1 오목부(92)에 대응하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오목부(104)는, 스풀 축선(O2)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6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101)은,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링 본체(100)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을 향하여 점차 확경(擴徑)하는 단면 테이퍼상(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링(101)의 외주면은, 예를 들어 표면 처리 등에 의하여 소정의 평활도가 확보된 가이드면으로 되고, 캐스팅 시에 줄 감기 몸통부(65)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풀어내지는 낚시줄을 저항 적게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가이드 링(101)의 전단부는, 나사 구멍(94) 및 후술하는 나사 부재(120)보다도 후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 멈춤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풀 링(61)은, 회전 멈춤부(105)를 이용하여,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억제된 상태로 조합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멈춤부(105)는,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에 형성된 상기 제1 오목부(92)와, 스풀 링(61)의 연결편(102)에 형성된 상기 제2 오목부(104)와,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전방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감합된 회전 멈춤 핀(106)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멈춤 핀(106)은,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박형(薄型)의 버튼상(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멈춤 핀(106)은,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스풀 링(61)을 전방으로부터 조합한 후에,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복수의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각각의 내측에 각각 별도로 감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멈춤 핀(106)은, 제1 주면(91) 및 제2 주면(103)을 경방향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스풀 본체(60)와 스풀 링(61)을 둘레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링(61)은, 복수의 회전 멈춤 핀(106)에 의하여, 플랜지부(67)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억제된 상태로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조합되어 있다.
(링 칼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칼라(62)는, 연결 통부(68)에 나착되는 것으로, 연결 통부(68)를 통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고, 릴 본체(2)의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스풀 링(61)을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다.
도 4, 도 5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칼라(62)는, 릴 본체(2)의 연결 통부(68)를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나사 통부(110)와, 나사 통부(110)의 전단부 측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연결 통부(68)를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외곽 통부(111)와, 외곽 통부(111)의 후단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과 함께, 스풀 링(61)에 있어서의 가이드 링(101)의 전단부에 대하여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접촉하는 환상의 지지 벽부(112)와, 지지 벽부(112)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과 함께,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스풀 링(61)의 연결편(102)을 전방으로부터 누르는 압압편(113)을 구비하고, 스풀 축선(O2)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나사 통부(110)의 내주면에는, 연결 통부(68)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부(93)에 나합하는 제2 나사부(114)(예를 들어 수(雄)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통부(110)의 전단부에는,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나사 통부(1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환상의 테두리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115)는, 연결 통부(68)의 전단부보다도 전방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과 함께, 그 내경은 연결 통부(68)의 내경(內徑)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링 칼라(62)는, 테두리부(115)에 의하여 예를 들어 스풀 본체(60)에 대한 과도한 조임이 방지되어 있다.
외곽 통부(111)는,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나사 통부(110)의 전단부 측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을 향하여 점차 확경하는 단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외곽 통부(111)의 후단부는, 가이드 링(101)의 전단부 및 플랜지부(67)의 환상 홈(90)보다도 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압압편(113)은, 연결 통부(68)의 후단부 측을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연결 통부(68)에 대한 나사 통부(110)의 나착(조임)에 의하여,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연결편(102)을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다.
다만, 압압편(113)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상(圓弧狀)으로 압압편(113)을 형성한 후에, 이 압압편(113)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이어도, 복수의 압압편(113)을 이용하여,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연결편(102)을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전방으로부터 누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외곽 통부(111)의 후단부가 플랜지부(67)의 환상 홈(90)보다도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외곽 통부(111)를 형성한 후에, 압압편(113)을 외곽 통부(111)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압압편(113)은,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연결편(102)을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감합된 회전 멈춤 핀(106)을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멈춤 핀(106)은, 압압편(113)에 의하여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 내로부터의 탈락(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벽부(112)는, 가이드 링(101)의 전단부에 대하여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접촉하고, 가이드 링(101)을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가이드 링(101)에 대하여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가이드 링(101)이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넘어지도록 변위하는 것을, 지지 벽부(112)를 이용하여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101)을 이용하여, 낚시줄을 안정되게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곽 통부(111)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나사 부재(120)의 선단부(121a)가 접촉하는 스토퍼면(116)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면(116)은, 외곽 통부(111)의 내주면 중, 연결 통부(68)에 형성된 나사 구멍(94)의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외곽 통부(111)의 전체 둘레에 걸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스토퍼면(116)은 스풀 축선(O2)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규제부, 제2 규제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링 칼라(6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통부(68)에 취부된 복수의 나사 부재(제1 규제부)(120)와, 링 칼라(62)에 형성된 복수의 계지 돌기(제2 규제부)(125)와의 협동에 의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나사 부재(120)는, 연결 통부(68)에 형성된 나사 구멍(94)에 나착되는 것으로, 연결 통부(68)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120)로서, 나사 구멍(94)의 암나사부에 나합하는 수나사부가 나사축(12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그 헤드부가 나사축(121)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 멈춤 나사, 이른바 무두 나사(세트 스크류)로 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나사축(121)의 선단부(나사 끝)(121a)가 평평하게 형성된, 이른바 「끝이 평평함」의 나사 부재(120)로 하고 있지만, 선단부(121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나사축(121)의 헤드부 측에 있어서의 단면(端面)에는, 공구를 계합시켜 나사 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취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취부 구멍으로서는, 예를 들어 육각 구멍, 십자 구멍, 마이너스 구멍, 별 구멍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사 부재(120)는, 나사 구멍(94)의 내측에 숨어 들어가도록 취부되어 있고, 그 선단부(121a)는 링 칼라(62)의 스토퍼면(116)에 대하여 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부재(120)는, 나사 구멍(94) 내로의 그 이상의 비틀어 박음이 규제되어 있다. 덧붙여, 나사 부재(120)의 헤드부 측은, 연결 통부(68)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일 없이, 나사 구멍(94)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계지 돌기(125)는, 링 칼라(62)에 있어서의 나사 통부(110)의 후단부로부터 한층 더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지 돌기(125)는, 나사 부재(120)의 나사축(121)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간격을 두고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 부재(120)는,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계지 돌기(125)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그 선단부(121a)가 스토퍼면(116)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다.
복수의 계지 돌기(125) 중, 나사 부재(120)를 사이에 끼워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계지 돌기(125)는, 나사 부재(120)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부터 계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계지 돌기(125)는,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통부(68)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단단히 조일 때의 회전 방향을 둘레 방향의 일방향, 그 반대로 연결 통부(68)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느슨하게 할 때의 회전 방향을 둘레 방향의 타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예를 들어 링 칼라(62)를 조임 방향인 둘레 방향의 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나사 부재(120)보다도 둘레 방향의 타방향 측에 위치하는 계지 돌기(125)가 나사 부재(120)에 계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조임 방향 측으로의 링 칼라(62)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링 칼라(62)를 느슨하게 하는 방향인 둘레 방향의 타방향 측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나사 부재(120)보다도 둘레 방향의 일방향 측에 위치하는 계지 돌기(125)가 나사 부재(120)에 계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느슨하게 하는 방향 측으로의 링 칼라(62)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 부재(120) 및 복수의 계지 돌기(125)를 이용하는 것으로,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덧붙여, 복수의 계지 돌기(125)는, 나사 구멍(94) 및 나사 부재(120)에 대응한 수보다도 많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상대적인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나사 부재(120)에 대하여 계지시키는 계지 돌기(125)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링 칼라(62)에 있어서의 테두리부(115)에는, 나사 부재(120)에 대한 계지 돌기(125)의 상대적인 둘레 방향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 홈(지표부)(126)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표시 홈(126)을 이용하여, 나사 부재(120)에 대한 계지 돌기(125)의 상대적인 둘레 방향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표시 홈(126)은, 테두리부(115)의 내주면에 스풀 축선(O2)을 따라 라인상(狀)에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표시 홈(126)은,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계지 돌기(125)끼리의 사이를 스풀 축선(O2)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N)에 대하여, 둘레 방향 위치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홈(126)과 나사 구멍(94)의 중심이 스풀 축선(O2) 방향(전후 방향(L2))에 일치하도록,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조합하는 것으로,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계지 돌기(125)끼리의 사이에 나사 구멍(94)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피닝 릴의 작용)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피닝 릴(1)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캐스팅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베일 암(50)을 줄 개방 자세로 넘어뜨리고, 낚싯대(R)를 전방을 향하여 흔들어 뽑는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5)의 줄 감기 몸통부(65)에 감긴 낚시줄을 전방을 향하여 풀어낼 수 있다.
그 후, 낚시줄을 감아올리는 경우에는, 베일 암(50)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안내 자세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줄이 베일 암(50)에 의하여 라인 롤러(53)에 안내된다. 이 상태로, 핸들 노브(32)를 잡으면서, 핸들 조립체(3)를 핸들 축선(O1) 둘레로 적의 회전시켜 핸들 조작을 행한다.
핸들 조립체(3)의 회전력은, 로터 구동 기구(80)에 의하여 로터(4)에 전달되기 때문에, 당해 로터(4)를 스풀 축선(O2)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과 동시에, 핸들 조립체(3)의 회전력은, 오실레이팅 기구(81)에 의하여 스풀(5)에 전달되기 때문에, 당해 스풀(5)을 스풀 축선(O2)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스풀(5)을 전후 방향(L2)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로터(4)를 회전시킬 수 있고, 라인 롤러(53)를 통하여 낚시줄을 스풀(5)의 줄 감기 몸통부(65)에 치우침 없이 감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스풀(5)에 의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칼라(62)가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스풀 링(61)을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는 것과 함께, 나사 부재(120)와 계지 돌기(125)와의 협동에 의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둘레 방향으로의 링 칼라(62)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로, 연결 통부(68)를 통하여 스풀 본체(60)에 링 칼라(62)를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링 칼라(62)를 이용하여 스풀 링(61)을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고, 링 칼라(62)와 플랜지부(67)와의 사이에서 스풀 링(61)을 협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링(61)을 덜걱거림 적게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캐스팅 시에 있어서, 스풀 링(61)에 있어서의 가이드 링(101)으로 낚시줄을 안정되게 가이드하면서 전방을 향하여 낚시줄을 풀어낼 수 있다.
그런데, 나사 부재(120)는 연결 통부(68)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통부(68)의 나사 구멍(94)으로부터 나사 부재(120)를 떼어내는 것으로,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의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60)로부터 링 칼라(62)를 전방 측으로 분리시켜 당해 링 칼라(62)를 스풀 본체(60)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링 칼라(62)에 의한 스풀 링(61)의 누름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67)로부터 스풀 링(61)을 전방 측으로 분리시켜 당해 스풀 링(61)을 스풀 본체(6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풀 링(61)을 떼어내는 경우에는, 연결 통부(68)의 내측으로부터 드래그 조정 노브(70) 등을 떼어낸 후, 연결 통부(68)에 형성된 각 나사 구멍(94)으로부터 나사 부재(120)를 각각 떼어낸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부재(120)에 대한 계지 돌기(125)의 둘레 방향의 계지를 해제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나사 부재(120)를 떼어낸 후,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느슨하게 하는 방향 측인 둘레 방향의 타방향 측으로 회전시켜 링 칼라(62)를 스풀 본체(60)로부터 분리시키고, 링 칼라(62)를 전방으로 떼어낸다.
그 다음으로, 링 칼라(62)의 떼어냄 후,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 내로부터 회전 멈춤 핀(106)을 떼어내는 것으로, 스풀 링(61)을 스풀 본체(60)로부터 전방으로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풀 링(61)을 임의로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풀 링(61)에 흠집 등이 생겼을 경우에는, 스풀 링(61)만을 수리 혹은 교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리, 교환에 소비하는 유지비를 억제할 수 있고, 유저에게 걸리는 부담의 경감화로 이어질 수 있다.
나아가, 스피닝 릴(1)의 종류, 낚시줄의 종류, 루어의 종류 등에 따라, 예를 들어 재질이나 표면 처리가 다른 복수 종류의 스풀 링(61) 중에서 최적인 스풀 링(61)을 선택하여 갈아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른 스풀 링(61)의 구분 사용을 행할 수 있고, 사용하기 쉬움을 향상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예를 들어 낚시줄의 비거리를 높이는 등의 릴 성능의 향상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에 의하면, 스풀 링(61)만을 임의로 떼어낼 수 있는 스풀(5)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스풀 링(61) 단품에서의 수리 혹은 교환이 가능한 데다, 스풀 링(61)이 갈아 끼움을 행하여, 상황에 따른 스풀 링(61)의 구분 사용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비를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사용하기 쉽고, 릴 성능이 향상된 스피닝 릴(1)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풀 링(61)을 취부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스풀 링(61)을 전방으로부터 짜 넣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67)에 형성된 환상 홈(90) 내에 스풀 링(61)의 연결편(102)을 끼워 넣으면서, 플랜지부(67)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링 본체(100)를 감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스풀 링(61)을 전방으로부터 조합할 수 있다.
이 때, 플랜지부(67)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오목부(92)의 위치와, 연결편(102)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104)의 위치가 둘레 방향에서 일치하도록,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스풀 링(61)을 조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복수의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는 서로 연통한 상태가 된다.
그 다음으로, 복수의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 내의 각각에, 회전 멈춤 핀(106)을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고 감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멈춤 핀(106)에 의하여, 플랜지부(67)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조임 방향인 둘레 방향의 일방(一方) 측을 향하여 비틀어 박고, 연결 통부(68)에 대하여 나사 통부(110)를 나착시켜 간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전방으로부터 조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편(113)을 이용하여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스풀 링(61)의 연결편(102)을 전방으로부터 누를 수 있다.
특히, 링 칼라(62)의 조임에 의하여, 스풀 링(61)을 누르는 압압력을 조정하면서,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연결편(102)을 전방으로부터 서서히 누를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67)와 압압편(113)과의 사이에서 스풀 링(61)을 안정되게 협지할 수 있고, 스풀 링(61)을 덜걱거림 적게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나아가, 회전 멈춤 핀(106)에 의하여, 플랜지부(67)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링(61)이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 상태로, 플랜지부(67)와 압압편(113)과의 사이에서 스풀 링(61)을 협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 링(61)을 한층 더 덜걱거림 적게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다. 나아가, 링 칼라(62)를 단단히 조일 때, 스풀 링(61)이 링 칼라(62)의 회전에 수반하여 함께 도는 일이 없기 때문에, 링 칼라(62)의 조임 작업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하기 쉽다.
게다가, 링 칼라(62)의 압압편(113)은,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스풀 링(61)을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멈춤 핀(106)도 누르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 내로부터의 회전 멈춤 핀(106)의 빠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나사 구멍(94)으로의 나사 부재(120)의 취부를 행한다.
덧붙여, 나사 부재(120)를 취부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링 칼라(62)의 조임 시, 테두리부(115)에 형성된 표시 홈(126)을 시인하면서,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 위치를 조정하여 둔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통부(68)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구멍(94)의 위치에 대하여, 표시 홈(126)의 위치가 둘레 방향에서 일치하도록,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 위치를 조정하여 둔다.
그 후, 도시하지 않는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 통부(68)의 내측으로부터 나사 부재(120)를 나사 구멍(94)에 비틀어 박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부재(120)의 선단부(121a)를 링 칼라(62)의 스토퍼면(116)에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연결 통부(68)의 내측에 나사 부재(120)가 돌출하지 않도록, 나사 부재(120)를 나사 구멍(94)의 내측에 숨어 들어가게 한 상태로, 연결 통부(68)에 나사 부재(120)를 취부할 수 있다.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표시 홈(126)을 시인하면서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 위치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나사 구멍(94)에 나사 부재(120)를 취부하는 것으로,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계지 돌기(125)의 사이에 나사 부재(120)를 배치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나사 부재(120)와 계지 돌기(125)를 서로 둘레 방향으로 계지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부재(120) 및 계지 돌기(125)를 이용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링 칼라(62)를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조합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나사 부재(120)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 개소에서 나사 부재(120)와 계지 돌기(125)를 둘레 방향으로 계지시킬 수 있고,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링 칼라(62)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하여, 스풀 링(61)의 취부를 완료할 수 있다.
특히, 스풀 링(61)의 취부를 행하는데 있어서, 표시 홈(126)을 시인하면서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 통부(68)에 나사 부재(120)를 취부할 때에, 나사 구멍(94)을 계지 돌기(125)가 막아 버리는 일이 없는 데다가, 나사 부재(120)와 계지 돌기(125)를 적절하게 또한 신속하게 둘레 방향으로 계지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 링(61)의 취부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스풀 링(61)을 조합한 후,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으로 회전 멈춤 핀(106)을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는 것만의 간편한 작업으로 플랜지부(67)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점에 있어서도, 스풀 링(61)의 취부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 나사 구멍(94)의 내측에 나사 부재(120)를 비틀어 박고 있기 때문에, 연결 통부(68)로부터 나사 부재(120)가 의도하지 않고 이탈하여 버리는(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의 규제를, 예를 들어 장기에 걸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나사 부재(120)로서 멈춤 나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통부(68)의 내측에 나사 부재(120)의 일부가 돌출하지 않도록, 나사 부재(120)를 나사 구멍(94)의 내측에 숨어 들어가게 한 상태로 연결 통부(68)에 취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결 통부(68)의 내측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조정 노브(70) 등을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멈춤 핀(106)을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탄성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니트릴(nitrile) 고무,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회전 멈춤 핀(106)을 탄성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외형 사이즈보다도, 회전 멈춤 핀(106)을 약간 크게 형성하고,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회전 멈춤 핀(106)을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끼워 넣으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멈춤 핀(106)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면에 회전 멈춤 핀(106)을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와 회전 멈춤 핀(106)과의 사이에, 덜걱거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덜걱거림만큼,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스풀 링(61)이 둘레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버린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스풀 링(61)의 보다 안정된 보지로 이어질 수 있다.
나아가, 회전 멈춤 핀(106)을 탄성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멈춤 핀(106)의 외경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커지도록, 단면 테이퍼상으로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회전 멈춤 핀(106)을 끼워 넣을 때에, 끼워 넣기를 진행시키는 것에 따라서 탄성 변형량이 커지도록, 회전 멈춤 핀(106)을 서서히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회전 멈춤 핀(106)을 끼워 넣기 쉬워진다. 또한,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회전 멈춤 핀(106)을 끼워 넣은 후는, 상술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주효(奏效)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풀 및 낚시용 릴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92), 제2 오목부(104) 및 회전 멈춤 핀(106)으로 회전 멈춤부(105)를 구성하고,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O링을 이용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오목부(92), 제2 오목부(104) 및 회전 멈춤 핀(106)에 대신하여, 링 칼라(62)의 지지 벽부(112)와 스풀 링(61)의 링 본체(100)와의 사이에 O링(회전 멈춤부)(131)이 배설된 스풀(130)을 구비하고 있다.
O링(131)은, 링 칼라(62)의 압압편(113)을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압압편(113)에 대하여 외감(外嵌)되어 있다.
O링(131)은,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그 직경은, 스풀 링(61)에 있어서의 링 본체(100)와 링 칼라(62)의 지지 벽부(112)와의 사이의 전후 방향(L2)의 간격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O링(131)은, 전후 방향(L2)으로 찌부러지도록 탄성 변형한 상태로, 스풀 링(61)에 있어서의 링 본체(100)와 링 칼라(62)의 지지 벽부(112)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O링(131)은,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적어도 스풀 링(61)의 링 본체(100) 및 링 칼라(62)의 지지 벽부(112)에 대하여, 각각 빈틈없이 밀착하고 있다. 그 때문에, O링(131)과 스풀 링(61)과의 사이, 및 O링(131)과 링 칼라(62)와의 사이에는, 높은 실성이 확보되어 있다.
나아가 링 칼라(62)는, 압압편(113)을 통하여 스풀 링(61)의 연결편(102)을 스풀 본체(60)의 플랜지부(67)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는 것과 동시에, O링(131)을 스풀 링(61)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강하게 꽉 누르고 있다. 그 때문에, O링(131)과 스풀 링(61)과의 사이에, 높은 접동(摺動) 저항을 확보할 수 있고,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이어도, O링(131)을 이용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주효할 수 있다.
그것에 더하여, O링(131)을 이용하여 높은 실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링 칼라(62)와 스풀 링(61)과의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링 칼라(62)의 내측을 향하여 진애(塵埃), 액체 등이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높은 방수 성능을 구비한 스풀(130) 및 스피닝 릴(1)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회전 멈춤 핀(106)을 끼워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풀 링(61)의 교환, 갈아 끼움 등을 효율 좋게 행하기 쉽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링 칼라(62)를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나착시켰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스풀 축선(O2) 방향(전후 방향(L2))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조합시켜도 상관없다. 어쨌든, 연결 통부(68)를 통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스풀 링(61)을 조합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120) 및 계지 돌기(125)를 이용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였지만, 계지 돌기(125)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구비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링 칼라(62)의 스토퍼면(116)에, 나사 부재(120)의 선단부(121a)가 나착되는 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연결 통부(68)의 나사 구멍(94)에 비틀어 박은 나사 부재(120)의 선단부(121a)를, 한층 더 스토퍼면(116)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비틀어 박으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부재(120)를 통하여, 스풀 본체(60)와 링 칼라(62)를 경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계지 돌기(125)를 이용하는 일이 없이,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나아가, 나사 부재(120)의 선단부(121a)를 스토퍼면(116)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착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전방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조합하는 구성에 대하여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풀 본체(60)에 대하여 링 칼라(62)를 전방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조합한 후, 연결 통부(68)의 나사 구멍(94)에 비틀어 박은 나사 부재(120)의 선단부(121a)를, 한층 더 스토퍼면(116)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비틀어 박은 것으로, 스풀 본체(60)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의 링 칼라(62)의 상대 이동, 및 스풀 본체(60)에 대한 전후 방향(L2)으로의 링 칼라(62)의 상대 이동의 양방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각 실시 형태와 같이, 나사 부재(120) 및 계지 돌기(125)를 협동시킨 경우에는, 나사 부재(120)만으로 링 칼라(62)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경우보다도,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상대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하기 쉽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120)로서 멈춤 나사를 이용하였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멈춤 나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헤드부가 나사축(121)보다도 대경으로 된 일반적인 볼트, 스크류 등이어도 상관없다.
나아가서는, 나사 부재(1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로크 핀 등의 로드 부재를, 스풀 본체(60)에 대한 링 칼라(62)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로서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연결 통부(68)에 나사 구멍(94)에 대신하여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 내에 로드 부재를 끼워 넣도록 취부하는 것으로, 로드 부재와 계지 돌기(125)를 둘레 방향으로 계지 가능한 상태로 하면 된다. 이 경우이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주효할 수 있다.
다만, 제1 규제부를 나사 부재(120)로 하였을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고 나사 부재(120)가 나사 구멍(94)으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회전 멈춤 핀(106)을 감합시키는 것으로,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하였지만, 예를 들어 제1 오목부(92) 또는 제2 오목부(104) 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볼록부를, 스풀 본체(60) 또는 스풀 링(61)에 형성하는 것으로,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스풀 링(61)에 있어서의 연결편(102)에, 제2 오목부(104)에 대신하여,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제1 오목부(92)의 내측에 감합되는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이어도,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조합에 수반하여, 제1 오목부(92) 내에 볼록부를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을 수 있는 것과 함께, 제1 오목부(92) 및 볼록부의 감합을 이용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스풀 본체(60)에 있어서의 플랜지부(67)에, 제1 오목부(92)에 대신하여,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제2 오목부(104)의 내측에 감합되는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이어도,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조합에 수반하여, 제2 오목부(104) 내에 볼록부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것과 함께, 제2 오목부(104) 및 볼록부의 감합을 이용하여, 스풀 본체(60)에 대한 스풀 링(61)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O1…핸들 축선
O2…스풀 축선
1…스피닝 릴(낚시용 릴)
2…릴 본체
3…핸들 조립체(핸들)
4…로터
5, 130…스풀
60…스풀 본체
61…스풀 링
62…링 칼라(고정 링)
65…줄 감기 몸통부
67…플랜지부
68…연결 통부
92…제1 오목부
93…제1 나사부
94…나사 구멍
104…제2 오목부
105…회전 멈춤부
106…회전 멈춤 핀
110…나사 통부
114…제2 나사부
120…나사 부재(제1 규제부)
125…계지 돌기(제2 규제부)
126…표시 홈(지표부)
131…O링(회전 멈춤부)

Claims (10)

  1. 낚시줄을 전방(前方)으로 풀어내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조합되는 것과 함께, 상기 릴 본체에 취부(取付)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스풀 축선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스풀에 있어서,
    낚시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전단부(前端部)로부터 상기 스풀 축선에 교차하는 경(徑)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환상(環狀)의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 통부를 가지는 스풀 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外周) 가장자리부를 상기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된 스풀 링과,
    상기 연결 통부를 통하여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고, 상기 스풀 링을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누르는 고정 링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통부에는,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가 상기 연결 통부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취부되고,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상기 스풀 축선의 축 방향 및 상기 스풀 축선 둘레를 주회(周回)하는 둘레 방향으로의 상기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에는, 상기 제1 규제부와 협동하여,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연결 통부를 상기 경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상기 연결 통부보다도 상기 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제1 규제부 중 상기 연결 통부보다도 상기 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과 협동하는 것으로,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 링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통부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링은, 상기 제1 나사부에 나합(螺合)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 통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 통부에 대한 상기 나사 통부의 나착(螺着)에 의하여 상기 스풀 본체에 조합되고,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제1 규제부 중 상기 연결 통부보다도 상기 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된 계지 돌기를 가지고,
    상기 계지 돌기가, 상기 제1 규제부에 대하여 상기 둘레 방향으로부터 계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 링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부 및 상기 계지 돌기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통부에는, 당해 연결 통부를 상기 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나사 구멍에 비틀어 박음 가능하게 된 나사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에는, 상기 제1 규제부에 대한 상기 계지 돌기의 상대적인 둘레 방향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부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상기 스풀 축선 둘레를 주회하는 둘레 방향으로의 상기 스풀 링의 상대 이동을 억제하는 회전 멈춤부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전방 및 상기 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한 제1 오목부와,
    상기 스풀 링에 형성되고, 전방 및 상기 경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오목부에 대하여 상기 경방향에 대향 배치된 제2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의 내측에 전방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감합(嵌合)된 회전 멈춤 핀을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은, 상기 회전 멈춤 핀을 전방으로부터 누르고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10. 핸들을 가지는 릴 본체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시용 릴의 스풀과,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스풀 축선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조합되는 것과 함께, 상기 스풀의 전후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낚시줄을 상기 줄 감기 몸통부에 감는 로터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KR1020180112280A 2017-12-20 2018-09-19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 KR102633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4393 2017-12-20
JP2017244393A JP6968685B2 (ja) 2017-12-20 2017-12-20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942A KR20190074942A (ko) 2019-06-28
KR102633702B1 true KR102633702B1 (ko) 2024-02-02

Family

ID=6536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280A KR102633702B1 (ko) 2017-12-20 2018-09-19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77846B2 (ko)
JP (1) JP6968685B2 (ko)
KR (1) KR102633702B1 (ko)
CN (1) CN110012875B (ko)
DE (1) DE102018222154B4 (ko)
GB (1) GB2571188B (ko)
TW (1) TWI7605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0835B2 (ja) * 2018-07-20 2022-12-16 株式会社シマノ フックキーパーおよび魚釣り用リール
KR20230027519A (ko) 2021-08-19 2023-02-28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라인 매듭의 돌출 방지수단을 구비한 낚시 릴용 스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40A (ja) 2001-01-10 2002-07-2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4147561A (ja) 2002-10-30 2004-05-27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121279A (ja) * 2012-12-20 2014-07-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4973U (ja) * 1984-06-06 1985-12-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スプ−ル
JPS6336267U (ko) * 1986-08-25 1988-03-08
US4938433A (en) * 1987-05-23 1990-07-03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Spinning reel
JP3392237B2 (ja) * 1994-11-11 2003-03-3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AT503U1 (de) * 1994-12-01 1995-12-27 Davorin Sonenvald Vorrichtung zum abwickeln von schnur
JP3033414U (ja) * 1996-07-10 1997-0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3534548B2 (ja) * 1996-08-22 2004-06-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028981A (ja) * 1999-07-21 2001-02-0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TW461800B (en) * 1999-12-03 2001-11-01 Shimano Kk Spinning reel spool
JP2002000136A (ja) * 2000-06-26 2002-01-0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US6648258B2 (en) * 2000-10-25 2003-11-18 Shimano, Inc. Spinning reel spool and spinning reel
TW534795B (en) * 2001-05-18 2003-06-01 Shimano Kk Spinning-reel spool
US7275706B2 (en) * 2005-09-22 2007-10-02 Shimano Inc. Spool for spinning reel
JP4934420B2 (ja) * 2006-12-19 2012-05-1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863928B2 (ja) * 2007-05-21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963291B2 (ja) * 2007-12-27 2012-06-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JP5349348B2 (ja) * 2010-01-22 2013-11-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6039454B2 (ja) * 2013-02-18 2016-12-0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係止具及びそれを用いた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374643B2 (ja) * 2013-07-26 2018-08-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093844B1 (ja) * 2015-12-18 2017-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40A (ja) 2001-01-10 2002-07-2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4147561A (ja) 2002-10-30 2004-05-27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121279A (ja) * 2012-12-20 2014-07-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83104A1 (en) 2019-06-20
TW201927141A (zh) 2019-07-16
GB2571188B (en) 2021-04-14
US10477846B2 (en) 2019-11-19
GB201820817D0 (en) 2019-02-06
JP2019110761A (ja) 2019-07-11
CN110012875A (zh) 2019-07-16
JP6968685B2 (ja) 2021-11-17
DE102018222154B4 (de) 2023-06-01
GB2571188A (en) 2019-08-21
TWI760573B (zh) 2022-04-11
DE102018222154A1 (de) 2019-06-27
CN110012875B (zh) 2022-03-11
KR20190074942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7989B2 (en) Dual-bearing reel
KR102633702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및 낚시용 릴
US9363988B2 (en) Spinning reel
KR102235551B1 (ko) 라인 롤러, 및 이것을 사용한 낚싯줄 안내 기구
CN100521931C (zh) 旋转绕线轮的摇把组件和旋转绕线轮
JP2009044990A (ja) 両軸受リールのキャストコントロール機構
KR20140090082A (ko) 스피닝 릴
JP2009261367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09261367A5 (ko)
JP2016165255A (ja)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釣り用リール
KR100788101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20040068020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US7070137B2 (en) Handle assembly for a spinning reel
KR102605688B1 (ko)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
KR20150057942A (ko) 스피닝 릴
JP6829654B2 (ja) 釣用リール
KR100743515B1 (ko) 낚시질용 스피닝 릴
JP6775059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560007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1135847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40080408A (ko) 스피닝 릴
KR20190053767A (ko) 양 베어링 릴
JP2019062809A (ja) 魚釣用リール
JP201412128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