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538B1 - 쌀밥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쌀밥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538B1
KR102629538B1 KR1020170067864A KR20170067864A KR102629538B1 KR 102629538 B1 KR102629538 B1 KR 102629538B1 KR 1020170067864 A KR1020170067864 A KR 1020170067864A KR 20170067864 A KR20170067864 A KR 20170067864A KR 102629538 B1 KR102629538 B1 KR 10262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air
molding
roller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070A (ko
Inventor
사토시 고마츠
요코 나카히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8001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정지되어 있는 성형 롤러에 대기하는 쌀밥 성형물을 없애어 품질이 안정된 쌀밥 성형물을 성형 가능한 쌀밥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쌀밥 성형 장치로서, 복수의 쌀밥 성형물을 연속해서 성형하여 방출하는 성형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성형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고, 한 쌍의 롤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한 쌍의 롤러는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어 방출되지 않은 미방출 상태의 쌀밥 성형물을 방출하고, 쌀밥 성형물의 성형시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쌀밥 성형 장치{Cooked-ric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쌀밥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쌀밥 성형 장치는, 예를 들어 초밥을 취급하는 식품 소매점 등에서 쌀밥 성형물(쌀밥 덩어리)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쌀밥 성형 장치는, 예를 들어 호퍼와 압축부와 성형부와 반송부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호퍼는, 쌀밥 덩어리의 원료가 되는 쌀밥을 수납하여 쌀밥을 압축부에 공급한다. 압축부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쌀밥을 고르게 하여 밀도가 균일화된 쌀밥을 성형부에 공급한다. 성형부는, 밀도가 균일화된 쌀밥을 소정 형상의 쌀밥 덩어리로 성형한다. 반송부는, 성형부에서 성형된 쌀밥 덩어리를 수취하여 반송한다.
성형부는, 한 쌍의 회전축과, 회전축에 장착되는 한 쌍의 성형 롤러를 구비한다. 성형 롤러는, 외주면에 복수의 수납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성형 롤러는, 한 쌍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 쌍의 성형 롤러의 회전은, 성형 롤러의 회전에 따라 수납부끼리 서로 대향하도록 동조한다.
쌀밥은, 회전하는 성형 롤러의 수납부에 충전(수납)된다. 수납부끼리 대향되었을 때에, 수납부 내의 쌀밥은 소정 형상(예를 들어, 대략 가마니 형상)의 쌀밥 덩어리로 성형된다. 쌀밥 덩어리는, 성형 롤러의 회전에 따라 수납부로부터 반송부로 방출된다(낙하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6-197823호 공보
성형 롤러를 이용하여 쌀밥 덩어리를 성형하는 쌀밥 성형 장치에서는, 쌀밥 덩어리를 연속적으로 고속으로 성형하기 위해 하나의 쌀밥 덩어리의 방출과 거의 동시에 다음 쌀밥 덩어리가 성형된다. 그 때문에, 작업의 사이나 설정된 수의 쌀밥 덩어리의 방출이 종료되었을 때 등, 쌀밥 성형 장치가 쌀밥 덩어리의 성형·방출을 정지하면, 방출 직전 상태의 쌀밥 덩어리가 수납부 내에 보유지지된 채로 있다. 방출되지 않고 수납부 내에 보유지지된 채로 있는 쌀밥 덩어리는, 쌀밥 성형 장치가 쌀밥 덩어리의 성형을 재개하면 반송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방출 직전 상태의 쌀밥 덩어리를 보유지지하고 있는 수납부는, 한 쌍의 성형 롤러의 회전 방향에서의 전방측(하방측)끼리가 떨어져 간극이 있는 상태이다. 그 때문에, 수납부 내에 보유지지된 채로 있는 쌀밥 덩어리의 바닥면부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쌀밥 덩어리의 자중에 의해 수납부의 간극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 결과, 수납부 내에 보유지지된 채로 있는 쌀밥 덩어리는 변형된다. 또한, 수납부 내에 보유지지된 채로 있는 쌀밥 덩어리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수납부의 간극으로부터 접하는 외기의 영향으로 건조된다. 이와 같이, 수납부 내에 보유지지된 채로 있는 쌀밥 덩어리의 형상이나 식감 등의 품질은 보유지지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악화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정지되어 있는 성형 롤러로부터 방출되지 않고 성형 롤러에 보유지지된 채로 있는 쌀밥 성형물을 없애고 품질이 안정된 쌀밥 성형물을 성형 가능한 쌀밥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는, 복수의 쌀밥 성형물을 연속해서 성형하여 방출하는 성형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성형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고, 한 쌍의 롤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한 쌍의 롤러는,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어 방출되지 않은 미방출 상태의 쌀밥 성형물을 방출하며, 쌀밥 성형물의 성형시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지되어 있는 성형 롤러로부터 방출되지 않고 성형 롤러에 보유지지된 채로 있는 쌀밥 성형물을 없애어 품질이 안정된 쌀밥 성형물을 성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쌀밥 성형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쌀밥 성형 장치가 구비하는 패널을 분리한 상태의 쌀밥 성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쌀밥 성형 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쌀밥 성형 장치가 구비하는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성형 롤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성형 롤러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쌀밥 성형 장치가 구비하는 턴테이블을 상방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10의 (a)는 원점 복귀한 상태에서의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원점 복귀한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에 수납된 쌀밥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가 구비하는 수납부가 제2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수납부가 제2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에 수납된 쌀밥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1의 수납부가 제3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수납부가 제3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에 수납된 쌀밥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1의 수납부가 제4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수납부가 제4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로부터 방출된 쌀밥 성형물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도 11의 수납부가 제5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수납부가 제5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에 수납된 쌀밥과, 한 쌍의 성형 롤러로부터 방출된 쌀밥 성형물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로부터 방출된 직후의 쌀밥 성형물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쌀밥 성형물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쌀밥 성형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쌀밥 성형물이 방출되었을 때의 한 쌍의 성형 롤러와 쌀밥 성형물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상태로부터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가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하였을 때의 한 쌍의 성형 롤러와 쌀밥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에 나타나는 XYZ 좌표계는 X방향을 전후 방향, Y방향을 좌우 방향, Z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각각 나타낸다. 각 방향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방향이다. X방향에서, +X방향이 전방향, -X방향이 후방향이다. Y방향에서, +Y방향이 좌방향, -Y방향이 우방향이다. Z방향에서, +Z방향이 윗방향, -Z방향이 아랫방향이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표기는 지면(紙面)의 뒷면에서부터 겉면으로 향하는 화살표(+방향)를 나타낸다.
● 쌀밥 성형 장치 ●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쌀밥 성형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쌀밥 성형 장치(100)는, 예를 들어 초밥용 밥 등의 쌀밥(R)(도 3 참조. 이하 동일)을 초밥용 쌀밥 성형물(이하, 「쌀밥 덩어리」라고 함)(RB)로 성형한다. 쌀밥 성형 장치(100)에 의해 성형되는 쌀밥 덩어리(RB)는 소정의 형상(예를 들어, 대략 가마니 형상)이다. 쌀밥 성형 장치(100)는, 호퍼(1)와 하우징(2)과 압축부(3)와 성형부(4)와 반송부(5)와 검지부(6)와 제어부(7)와 구동부(8)와 패널(9)과 조작부(10)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 쌀밥 성형 장치의 구성
도 3은, 패널(9)이 분리된 상태의 쌀밥 성형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쌀밥 성형 장치(100)의 AA선 단면도이다.
호퍼(1)는 쌀밥(R)의 수납, 교반, 공급을 행한다. 호퍼(1)는, 수납부(11)와 교반부(12)와 공급부(13)와 쌀밥 검지부(14)를 구비한다. 수납부(11)는, 내부에 쌀밥(R)을 수납한다. 수납부(11)는, 하우징(2)의 상부에 장착된다. 수납부(11)는, 하우징(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다. 교반부(12)는, 예를 들어 복수의 교반 아암(도시생략)을 구비한다. 교반 아암은, 교반부(12) 내의 쌀밥(R)을 교반한다. 교반부(12)는, 수납부(11)의 하방에 배치된다. 교반부(12)는, 하우징(2)의 상측 전면(前面)에 장착된다. 공급부(13)는, 교반부(12)의 하방에 일체로 설치된다. 교반된 쌀밥(R)은,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부(13)의 하방으로 보내진다.
쌀밥 검지부(14)는, 공급부(13)의 쌀밥(R)의 존재 여부를 검지한다. 쌀밥 검지부(14)는, 예를 들어 발광부(14a)와 수광부(14b)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센서이다. 쌀밥 검지부(14)는, 공급부(13)에 배치된다. 쌀밥 검지부(14)는, 발광부(14a)로부터의 적외선이 수광부(14b)에 조사되는지 아닌지에 의해 공급부(13)의 쌀밥(R)의 존재 여부를 검지한다.
하우징(2)은 압축부(3)와 성형부(4)와 반송부(5)를 지지함과 동시에 구동부(8) 등을 수납한다. 하우징(2)은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예를 들어 압축부(3)와 성형부(4)를 지지한다.
압축부(3)는 성형부(4)에 의한 쌀밥 덩어리(RB)의 성형이 용이해지도록 호퍼(1)로부터 공급된 쌀밥(R)을 고르게 하여 성형부(4)에 공급한다. 즉, 압축부(3)로부터 성형부(4)에 공급되는 쌀밥(R)은 적당히 고르게 되어(압축되어) 밀도가 균일화된다. 압축부(3)는, 호퍼(1)의 하방으로서 하우징(2)의 전면에 배치된다. 압축부(3)는, 복수의 회전축(31)과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과 지지 플레이트 쌍(34)을 구비한다.
회전축(31)은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을 지지한다. 회전축(31)은, 하우징(2)의 지지부를 통해 하우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은, 호퍼(1)로부터 공급된 쌀밥(R)을 압축하여 균일하게 고르게 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은, 제1 압축 롤러(32a)와 제2 압축 롤러(32b)로 구성된다. 하단 압축 롤러 쌍(33)은, 상단 압축 롤러 쌍(32)에 의해 압축된 쌀밥(R)을 더욱 고르게 한다. 하단 압축 롤러 쌍(33)은, 제3 압축 롤러(33a)와 제4 압축 롤러(33b)로 구성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은 회전축(31)을 통해 하우징(2)에 장착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호퍼(1)의 공급부(13)의 하방에 배치된다. 하단 압축 롤러 쌍(33)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단 압축 롤러 쌍(32)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3 압축 롤러(33a)와 제4 압축 롤러(33b)의 간격은, 제1 압축 롤러(32a)와 제2 압축 롤러(32b)의 간격보다 좁다.
회전축(31)은 구동부(8)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축(31)에 지지된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의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은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의 회전 방향은, 압축부(3)에 공급된 쌀밥(R)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방향이다.
지지 플레이트 쌍(34)은 압축부(3)와 성형부(4)에 공급된 쌀밥(R)을 전후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 쌍(34)은 앞쪽 지지 플레이트(도시생략)와 뒤쪽 지지 플레이트(34a)로 구성된다. 뒤쪽 지지 플레이트(34a)는, 하우징(2)의 전면에 장착된다. 앞쪽 지지 플레이트는 패널(9)의 후면에 장착된다.
또, 압축부(3)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압축부(3)가 구비하는 롤러 쌍은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의 2단계이지만, 압축부가 구비하는 롤러 쌍은 1단계나 3단계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압축부는 롤러 방식이 아니라 벨트 방식이어도 된다.
성형부(4)는, 압축부(3)에 의해 밀도가 균일화된 쌀밥(R)으로부터 쌀밥 덩어리(RB)를 연속해서 성형하여 방출한다. 성형부(4)는, 압축부(3)의 하방에 배치된다. 성형부(4)는, 하우징(2)의 전면에 배치된다. 성형부(4)는,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과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를 구비한다.
제1 회전축(41)은, 제1 성형 롤러(43)를 지지한다. 제2 회전축(42)은, 제2 성형 롤러(44)를 지지한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 각각의 후반부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우징(2)의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 각각의 축방향은 전후 방향을 따른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 각각의 전반부는, 하우징(2)의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즉,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은 지지부에 일단 지지된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은, 구동부(8)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은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압축부(3)에 의해 밀도가 균일화된 쌀밥(R)을 쌀밥 덩어리(RB)로 성형한다. 제1 성형 롤러(43)는, 제1 회전축(41)의 전반부에 장착된다. 제2 성형 롤러(44)는, 제2 회전축(42)의 전반부에 장착된다.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은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과 대향된다.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는, 정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정방향이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압축부(3)로부터 공급된 쌀밥(R)을 성형하여,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를 하방으로 방출하는 회전 방향이다. 반대방향이란, 정방향의 반대 회전 방향이다. 즉, 제1 성형 롤러(43)의 정방향은 정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도 3의 시계 방향)이다. 제2 성형 롤러(44)의 정방향은,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도 3의 반시계 방향)이다. 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은, 제2 성형 롤러(44)의 회전과 동기한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41)(제2 회전축(42))의 축방향이 다른 위치에서의 축간 거리(L)는 다르다. 축간 거리(L)는, 제1 회전축(41)의 축심(축 중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거리이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후단측의 축간을 축간 거리(L1),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전단측의 축간을 축간 거리(L2)로 한다. 축간 거리(L1)는 축간 거리(L2)보다 길다. 즉,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은 비평행이다.
다음에, 제1 성형 롤러(43)의 구성과 제2 성형 롤러(4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구성과 제2 성형 롤러(44)의 구성은 후술하는 요철을 제외하고 좌우 대칭이다. 그래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구성에 대해 제1 성형 롤러(43)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사시도이다.
제1 성형 롤러(43)는,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이다. 제1 성형 롤러(43)는 원기둥 형상이다. 제1 성형 롤러(43)는, 축구멍(43h)과 복수의 수납부(43a-43f)를 구비한다.
도 6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를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절단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절단면을 나타낸다. 도면 중,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에 인접하는 흰 화살표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방향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이하, 도 7, 도 10-도 14도 동일).
축구멍(43h)은, 제1 회전축(41)이 삽입 통과되는 구멍이다. 축구멍(43h)은, 제1 성형 롤러(43)의 축심선(중심축선) 상에 제1 성형 롤러(43)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축구멍(43h)은, 정면에서 보아 육각형이다. 제1 회전축(41)의 전반부는 축구멍(43h)에 끼워맞춤된다.
각 수납부(43a-43f)는, 제2 성형 롤러(44)의 각 수납부(44a-44f)와 함께, 쌀밥(R)을 수납하여 쌀밥(R)을 쌀밥 덩어리(RB)로 성형한다. 각 수납부(43a-43f)는,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으로 향하여 대략 배 바닥 형상으로 움푹 패여 있다. 제1 성형 롤러(43)의 축방향에서의 각 수납부(43a-43f)의 길이는, 제1 성형 롤러(43)의 둘레방향에서의 각 수납부(43a-43f)의 길이보다 길다(도 5 참조). 각 수납부(43a-43f) 각각은, 제1 성형 롤러(43)의 둘레방향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의 6개소에 배치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성형 롤러나 제2 성형 롤러가 구비하는 수납부의 수는 「6」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제1 성형 롤러(43)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1 성형 롤러(43)의 BB선 단면도이다.
각 수납부(43a-43f)는, 측벽면(a11)과 상부 벽면(a12)과 바닥 벽면(a13)과 전방 벽면(a14)과 후방 벽면(a15)을 구비한다. 쌀밥(R)은, 각 수납부(43a-43f)에 수납됨으로써 쌀밥 덩어리(RB)의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측벽면(a11)은, 쌀밥 덩어리(RB)의 측면에 대응한다. 전방 벽면(a12)은,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에 대응한다. 바닥 벽면(a13)은,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에 대응한다. 전방 벽면(a14)과 후방 벽면(a15)은, 쌀밥 덩어리(RB)의 길이 방향의 단면(전단면, 후단면)에 대응한다. 각 수납부(43a-43f) 내의 공간(측벽면(a11)과 상부 벽면(a12)과 바닥 벽면(a13)과 전방 벽면(a14)과 후방 벽면(a15)에 둘러싸이는 공간)의 용적은, 쌀밥 덩어리(RB)의 대략 절반의 용적에 상당한다.
측벽면(a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6개의 측벽면(a11)끼리 다각형(육각형)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상부 벽면(a12)은, 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 방향(도 6의 시계 방향)에서 측벽면(a11)의 후방(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측벽면(a11)과 상부 벽면(a12)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내각)는 둔각이다.
바닥 벽면(a13)은, 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 방향에서 측벽면(a11)의 전방(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 방향)에 위치한다. 측벽면(a11)과 바닥 벽면(a13)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내각)는 예각이다. 즉, 측벽면(a11)과 바닥 벽면(a13)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는, 측벽면(a11)과 상부 벽면(a12)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보다 작다.
전방 벽면(a1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면(a11)의 전단측(도 8의 지면 하측)에 위치한다. 후방 벽면(a15)은, 측벽면(a11)의 후단측(도 8의 지면 상측)에 위치한다. 측벽면(a11)과 전방 벽면(a14)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내각)는 대략 직각이다. 측벽면(a11)과 후방 벽면(a15)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내각)는, 측벽면(a11)과 전방 벽면(a14)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와 동일하다.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 중에서 각 수납부(43a-43f)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면은, 측면에서 보아 요철을 갖는 파형(波形)이다.
다음에,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각 수납부(43a-43f)와 제2 성형 롤러(44)의 각 수납부(44a-44f)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에 따라 근접과 이간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가장 근접하였을 때, 두 수납부(43a, 44a)에 둘러싸인 공간(이하, 「쌀밥 성형 공간」이라고 함)(S)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닫힌 공간이 된다.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과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에 따라 접촉과 이간을 반복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과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이 접촉하였을 때,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의 요철은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의 요철에 끼워맞춤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피치원(C1)은, 제2 성형 롤러(44)의 피치원(C2)에 외접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피치원(C1)은, 제1 성형 롤러(43)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주면의 요철의 꼭대기부와 바닥부의 중간부를 제1 성형 롤러(43)의 둘레방향에 따라 연결한 가상원(C1)이다. 제2 성형 롤러(44)의 피치원(C2)은, 제2 성형 롤러(44)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주면의 요철의 꼭대기부와 바닥부의 중간부를 제2 성형 롤러(44)의 둘레방향에 따라 연결한 가상원(C2)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2개의 가상원(C1, C2) 각각의 반경을 피치원 반경이라고 한다. 즉, 제1 성형 롤러(43)의 피치원(C1)의 반경은 피치원 반경(r1)이며, 제2 성형 롤러(44)의 피치원(C2)의 반경은 피치원 반경(r2)이다. 제1 성형 롤러(43)의 피치원 반경(r1)은, 제2 성형 롤러(44)의 피치원 반경(r2)과 동일하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장착 전 상태에서,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전단측의 축간 거리(L2)는 피치원 반경(r1)과 피치원 반경(r2)의 합보다 짧다. 그 때문에,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외주면끼리 접촉하였을 때에,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으로부터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이하, 「축간의 응력」이라고 함)을 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전단측의 축간 거리(L2)는 후단측의 축간 거리(L1)보다 짧다. 그 때문에,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가 받는 축간의 응력의 영향은,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향함에 따라 커진다.
또,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장착 전 상태에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축간 거리가 제1 성형 롤러의 피치원 반경과 제2 성형 롤러의 피치원 반경의 합보다 짧으면 평행해도 된다.
반송부(5)는,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를 반송한다. 반송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4)의 하방에 배치된다. 반송부(5)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턴테이블(51)을 구비한다.
턴테이블(51)은,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를 턴테이블(51) 상에 놓은 채로, 그 쌀밥 덩어리(RB)가 쌀밥 성형 장치(100)를 조작하는 작업자 등에 의해 취출되는 위치로 반송한다. 턴테이블(51)은, 구동부(8)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간헐적으로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씩 회전한다. 턴테이블(51)의 회전각은, 예를 들어 90도로 설정된다. 턴테이블(51)의 회전(회전 방향, 회전각, 회전 속도, 회전의 개시나 정지 등)은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턴테이블(51)의 회전각 등의 설정된 정보는, 쌀밥 성형 장치(100) 내의 기억부(도시생략)에 기억된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7)에 의해 독출 가능하다.
또, 턴테이블(51)의 회전각은 90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턴테이블(51)의 회전각을 30도나 45도 등으로 줄여서 턴테이블(51)의 회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해도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51)의 회전각을 줄였다고 해도 쌀밥 덩어리(RB)의 턴테이블(51) 상에의 낙하 위치와 낙하 자세는 안정되기 때문에, 쌀밥 덩어리(RB)끼리는 턴테이블(51) 상에서 접촉하지 않는다.
도 9는, 턴테이블(51)을 상방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9는, 검지부(6)와 제어부(7)와 구동부(8)를 블록도로 나타낸다. 도면 중, 일점쇄선은 후술하는 검지부(6)로부터의 적외선 광로를 나타내고, 이점쇄선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위치를 나타낸다.
턴테이블(51)은, 정방향(도 9의 지면 시계 방향) 및 반대방향(도 9의 지면 반시계 방향)의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턴테이블(51)은, 예를 들어 4개의 안착부(P1-P4)를 구비한다. 각 안착부(P1-P4)는,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가 놓이는 턴테이블(51) 상의 부분(위치)이다. 각 안착부(P1-P4)는, 턴테이블(51)의 상면에 턴테이블(51)의 둘레방향에 따라 균등하게(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안착부의 수는 「4」로 한정되지 않는다. 안착부의 수는 턴테이블의 회전각에 의해 결정된다. 즉, 예를 들어 턴테이블의 회전각이 45도인 경우, 안착부의 수는 「8」이다.
각 안착부(P1-P4)는, 턴테이블(51)의 간헐적인 2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정지한다. 정지 위치는, 하나의 방출 위치(Pa)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대기 위치(Pb)를 포함한다. 즉, 각 안착부(P1-P4)는 턴테이블(51)의 2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방출 위치(Pa)나 대기 위치(Pb)로 이동한다.
여기서, 안착부(P1-P4)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한다는 것은, 안착부(P1-P4)가 방출 위치(Pa)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착부(P1-P4)가 대기 위치(Pb)로 이동한다는 것은, 안착부(P1-P4)가 대기 위치(Pb)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방출 위치(Pa)는, 성형부(4)가 성형한 쌀밥 덩어리(RB)가 방출되는 위치이다. 즉, 방출 위치(Pa)는 턴테이블(51)의 회전에 따라 쌀밥 덩어리(RB)가 각 안착부(P1-P4) 각각에 놓이는 위치이다. 방출 위치(Pa)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하방에 위치하는 정지 위치이다.
대기 위치(Pb)는, 방출 위치(Pa)에 쌀밥 덩어리(RB)가 방출된 후에, 각 안착부(P1-P4)가 다음 쌀밥 덩어리(RB)를 수취하기 위해 대기하는 정지 위치이다. 즉, 대기 위치(Pb)에 위치하는 각 안착부(P1-P4) 중 어느 하나는 다음 방출 위치(Pa)로 이동하여 쌀밥 덩어리(RB)를 수취할 가능성이 있다. 대기 위치(Pb)는, 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를 포함한다.
제1 대기 위치(Pb1)는,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에서 방출 위치(Pa)로부터 반대방향 측으로 90도 떨어진 정지 위치이다. 제2 대기 위치(Pb2)는,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에서 방출 위치(Pa)로부터 정방향 측으로 90도 떨어진 정지 위치이다. 즉, 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는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에서 방출 위치(Pa)로부터 정역(正逆) 방향으로 등거리 위치이다.
검지부(6)는, 턴테이블(51)의 복수의 안착부(P1-P4) 중에서 대기 위치(Pb)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한다. 검지부(6)는, 하우징(2)의 앞부분으로서 정면에서 보아 성형부(4)와 반송부(5)의 사이에 배치된다(도 3 참조). 검지부(6)는,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를 구비한다.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는, 예를 들어 조사한 적외선(도 9의 일점쇄선)이 반사되었는지에 따라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는, 이른바 회귀 반사형의 광전 센서이다.
제1 센서(61)는, 제1 대기 위치(Pb1)에 대응하여 하우징(2)의 앞부분 우측(도 3의 지면 좌측)에 배치된다. 제1 센서(61)는, 제1 대기 위치(Pb1)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항상 검지한다.
제2 센서(62)는, 제2 대기 위치(Pb2)에 대응하여 하우징(2)의 앞부분 좌측(도 3의 지면 우측)에 배치된다. 제2 센서(62)는, 제2 대기 위치(Pb2)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항상 검지한다.
제1 센서(61)의 검지 결과와 제2 센서(62)의 검지 결과는 검지 신호로서 제어부(7)에 보내진다. 제어부(7)는, 이들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 위치(Pb)에 위치하는 안착부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하도록 턴테이블(51)을 회전시킨다.
또, 검지부(6)의 구성은 대기 위치(Pb)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할 수 있으면 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검지부는 소정의 위치에서의 턴테이블의 중량 변화를 검지하는 중량 센서나, 턴테이블의 경사를 검지하는 경사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부(7)는, 성형부(4)나 반송부(5)의 회전 제어 등 쌀밥 성형 장치(100) 전체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7)는, 예를 들어 하우징(2)에 수납된다. 제어부(7)는, 후술하는 카운터(도시생략)를 구비한다.
구동부(8)는, 제어부(7)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예를 들어 교반부(12)와 압축부(3)와 성형부(4)와 반송부(5)에 회전 구동력을 공급한다. 구동부(8)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에 수납된다. 구동부(8)는, 예를 들어 복수의 모터로 구성된다. 구동부(8)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은, 기어(도시생략) 등을 통해 각 부재에 공급된다.
패널(9)은, 호퍼(1)의 교반부(12)와 공급부(13)와 압축부(3)와 성형부(4)를 쌀밥 성형 장치(100)의 주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패널(9)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전면에 장착된다.
조작부(10)는, 쌀밥(R)의 중량이나 쌀밥 덩어리(RB)의 성형수 등의 설정을 행한다. 조작부(10)는 표시부나 전원 스위치, 긴급정지 버튼, 모드 선택 버튼 등을 구비한다.
● 쌀밥 성형 장치의 동작
다음에,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 쌀밥 덩어리(RB)의 성형 준비
우선, 초밥용 밥 등의 쌀밥(R)이 작업자에 의해 호퍼(1)의 수납부(11)에 투입된다. 수납부(11)에 쌀밥(R)이 투입된 상태에서 쌀밥 성형 장치(100)의 전원 스위치가 작업자에 의해 넣어지면, 쌀밥(R)은 교반부(12)에 의해 교반되어 풀어진다.
다음으로, 제어부(7)는 구동부(8)를 제어하여 압축부(3)를 구동시킨다(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을 회전시킨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이 회전함으로써, 호퍼(1)의 공급부(13)로부터 공급된 쌀밥(R)은 밀도가 균일화된 상태로 성형부(4)로 보내진다. 쌀밥 검지부(14)는, 발광부(14a)와 수광부(14b)의 사이를 통과하는 쌀밥(R)의 존재 여부를 검지한다.
쌀밥(R)이 성형부(4)에 도달하면, 제어부(7)는 압축부(3)의 구동을 멈춘다. 이 때, 쌀밥 성형 장치(100)는 스탠바이 상태이다. 쌀밥 성형 장치(100)가 스탠바이 상태일 때,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는 원점 위치로 복귀(원점 복귀)한 상태이다. 이 때,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과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은 접촉한다.
● 쌀밥 덩어리(RB)의 성형
다음으로, 제어부(7)는 구동부(8)를 제어하여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과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를 회전시킨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과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회전함으로써, 성형부(4)는 쌀밥(R)의 수납, 쌀밥 덩어리(RB)의 성형, 쌀밥 덩어리(RB)의 방출을 반복한다.
도 10의 (a)는, 원점 복귀한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의 (b)는, 원점 복귀한 상태에서의 성형부(4)에 수납된 쌀밥(R)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원점 복귀한 상태일 때, 접촉하고 있는 외주면에 대해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수납부(43a, 44a)는 정면에서 보아 V자 형상으로 마주보는 상태(이하, 「제1 상태」라고 함)이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원점 복귀한 상태(제1 상태)일 때, 각 수납부(43a-43f)와 각 수납부(44a-44f)는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원점 복귀한 상태일 때,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에 의해 조밀한 상태이다.
수납부(43a, 44a)가 제1 상태일 때, 압축부(3)로부터 공급된 쌀밥(R)은 수납부(43a, 44a) 내에 수납된다.
다음으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수납부(43a)와 수납부(44a)는 수납부(43a, 44a)의 일부가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 진출한 상태(이하, 「제2 상태」라고 함)가 된다.
도 11의 (a)는, 수납부(43a, 44a)가 제2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의 (b)는, 수납부(43a, 44a)가 제2 상태에서의 성형부(4)에 수납된 쌀밥(R)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수납부(43a, 44a)가 제2 상태일 때, 수납부(43a, 44a)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수납부(43a, 44a)가 제2 상태일 때,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는 수납부(43a, 44a)에 의한 공간(공간 내에는 쌀밥(R)이 저장됨)이 존재한다.
수납부(43a, 44a)가 제2 상태일 때, 수납부(43a, 44a)에 수납된 쌀밥(R)은 쌀밥 덩어리(RB)로 성형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수납부(43a)와 수납부(44a)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마주본 상태(이하, 「제3 상태」라고 함)가 된다.
도 12의 (a)는, 수납부(43a, 44a)가 제3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의 (b)는, 수납부(43a, 44a)가 제3 상태에서의 성형부(4)에 수납된 쌀밥(R)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수납부(43a, 44a)가 제3 상태일 때, 수납부(43a)는 수납부(44a)와 대향한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수납부(43a)는 수납부(44a)에 가장 근접한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상부 벽면(a12, a22)끼리의 거리는 바닥 벽면(a13, a23)끼리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수납부(43a)의 상부 벽면(a12)과 수납부(44a)의 상부 벽면(a22)을 연결하는 선은, 정면에서 보아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성형시의 회전 방향의 후방(도 12의 지면 상방)으로 볼록한 돔 형상이다. 한편, 수납부(43a)의 바닥 벽면(a13)과 수납부(44a)의 바닥 벽면(a23)을 연결하는 선은, 정면에서 보아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성형시의 회전 방향의 후방으로 볼록한 산 형상이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수납부(43a, 44a)에 의해 형성되는 쌀밥 성형 공간(S)은 정면에서 보아 상부가 상방으로 볼록한 돔 형상, 바닥부가 상방으로 볼록한 산 형상이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쌀밥 성형 공간(S) 내의 쌀밥(R)은 수납부(43a, 44a)에 의해 쌀밥 덩어리(RB)로 성형된다. 이 때,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은 오목부(RBa)를 구비한다. 오목부(RBa)는, 쌀밥 덩어리(RB)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따라 쌀밥 덩어리(RB)의 중앙으로 향하여 움푹 패여 있다. 오목부(RBa)는, 정면에서 보아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의 후방으로 볼록한 산 형상이다.
다음으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수납부(43a)와 제2 수납부(44a)는 정면에서 보아 쌀밥 성형 공간(S)의 바닥부가 제3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넓어진 상태(이하, 「제4 상태」라고 함)가 된다.
도 13의 (a)는, 수납부(43a, 44a)가 제4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의 (b)는, 수납부(43a, 44a)가 제4 상태에서의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수납부(43a, 44a)가 제4 상태일 때,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에서 쌀밥 성형 공간(S)의 후방측(수납부(43a, 44a)와 수납부(43b, 44b)의 사이)의 외주면끼리는 축간의 응력에 의해 밀착된다. 즉,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의 요철은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의 요철에 밀착된다. 그 때문에, 쌀밥(R)은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과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잔존하지 않는다. 그 결과,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에는 성형 불량(버(burr))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쌀밥 덩어리(RB)는 버가 없는 양호한 성형 상태로 쌀밥(R)으로부터 분할된다.
수납부(43a, 44a)가 제3 상태로부터 제4 상태가 되도록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수납부(43a)의 바닥 벽면(a13)과 수납부(44a)의 바닥 벽면(a23)은 정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다. 수납부(43a, 44a)가 제4 상태일 때, 바닥 벽면(a13, a23)끼리를 연결하는 선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직선이다.
바닥 벽면(a13, a23)끼리가 좌우 방향으로 떨어지면,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은 바닥 벽면(a13, a23)의 이동에 맞추어 좌우 방향으로 넓어진다. 그 결과,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측 밀도는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측 밀도에 비해 작아진다. 즉,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측은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측보다 다수의 공기를 포함한 상태가 된다.
수납부(43a, 44a)가 제4 상태일 때, 쌀밥 덩어리(RB)는 상부 벽면(a12, a22)으로부터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의 전방으로 향하여 눌린다. 그 때문에,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의 오목부(RBa)는 수납부(43a, 44a)가 제3 상태일 때에 비해 작아진다.
이와 같이, 쌀밥 덩어리(RB)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에 따라 성형된다. 이 때,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쌀밥 덩어리(RB)의 성형시에 쌀밥(R)으로부터 탄력 등에 의한 힘(이하, 「반발력」이라고 함)을 받는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에 작용하는 반발력의 방향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떨어지는 방향(도 12의 지면 좌우 방향)이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은 일단 지지이기 때문에, 반발력의 영향은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자유단(전단)으로 향함에 따라 커진다. 한편, 축간의 응력의 영향도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자유단(전단)으로 향함에 따라 커진다. 여기서, 축간의 응력은 제1 회전축(41)의 전단과 제2 회전축(42)의 전단의 간격 조정에 의해 반발력보다 크게 설정된다. 그 때문에, 반발력에 의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이간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쌀밥 성형 장치(100)가 성형하는 쌀밥 덩어리(RB)에는 버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쌀밥 덩어리(RB)는 각 수납부(43a-43f, 44a-44f)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진다. 그 결과, 쌀밥 성형 장치(100)는 성형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고속으로 쌀밥 덩어리(RB)를 성형한다.
또, 축간의 응력 크기는 반발력 크기와 동일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축방향(전후 방향)에서 균등한 힘으로 접촉한다.
● 쌀밥 덩어리(RB)의 방출
다음으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수납부(43a)와 수납부(44a)는 정면에서 보아 쌀밥 성형 공간(S)의 바닥부가 쌀밥 덩어리(RB)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좌우 방향으로 넓어진 상태(이하, 「제5 상태」라고 함)가 된다.
도 14의 (a)는, 수납부(43a, 44a)가 제5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의 (b)는, 수납부(43a, 44a)가 제5 상태에서의 성형부(4)에 수납된 쌀밥(R)과, 성형부(4)로부터 방출된 쌀밥 덩어리(RB)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수납부(43a, 44a)가 제5 상태일 때, 수납부(43a)의 바닥 벽면(a13)과 수납부(44a)의 바닥 벽면(a23)은 정면에서 보아 쌀밥 덩어리(RB)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다. 그 결과, 쌀밥 덩어리(RB)는 수납부(43a, 44a)(쌀밥 성형 공간(S))로부터 하방의 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로 방출된다(낙하한다).
수납부(43a, 44a)가 제5 상태일 때,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에서 쌀밥 성형 공간(S)의 후방측의 수납부(이하, 「다음 수납부」라고 함)(43b, 44b)는 제2 상태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어떤 수납부가 제5 상태일 때, 다음 수납부의 상태는 제2 상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어떤 수납부가 제5 상태일 때, 다음 수납부의 상태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의 상태나 제2 상태와 제3 상태 사이의 상태 등이어도 된다.
수납부(43a, 44a)가 제5 상태일 때, 쌀밥(R)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에서 다음 수납부(43b, 44b)에 수납되어 다음 쌀밥 덩어리(RB)로 성형되기 시작한다. 즉, 수납부(43a, 44a)가 제5 상태일 때, 수납부(43a, 44a)에는 성형 완료된 쌀밥 덩어리(RB)는 존재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쌀밥 덩어리(RB)에는 버가 형성되지 않는다. 버가 없는 쌀밥 덩어리(RB)는, 버가 있는 쌀밥 덩어리에 비해 각 수납부(43a-43f, 44a-44f)로부터 떨어지기 쉽다. 즉, 버가 없는 쌀밥 덩어리(RB)는 버가 있는 쌀밥 덩어리에 비해 각 수납부(43a-43f, 44a-44f)로부터 빨리 떨어진다. 또한, 쌀밥 성형 공간(S)으로부터 방출되는 쌀밥 덩어리(RB)의 전도(顚倒)나 경사는 없다. 그 때문에, 쌀밥 덩어리(RB)의 턴테이블(51) 상에의 낙하 위치와 낙하 자세는 안정적이다.
이와 같이, 각 제1 수납부(43a-43f)와 각 제2 수납부(44a-44f)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차례대로 제1 상태부터 제5 상태까지의 이동을 반복한다.
여기서, 제어부(7)는, 각 수납부(43a-43f, 44a-44f)가 각 상태가 되기 위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을, 예를 들어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회전을 개시하고 나서(원점 위치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또, 제어부(7)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을,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각을 계측하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각에 기초하여 제어해도 된다.
● 턴테이블(51) 상의 쌀밥 덩어리(RB)의 상태
도 15는, 방출(성형)된 직후의 쌀밥 덩어리(RB)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턴테이블(51)에 방출된 직후의 쌀밥 덩어리(RB)의 상태는, 수납부(43a, 44a)가 제4 상태일 때의 쌀밥 덩어리(RB)의 상태와 대략 동일하다. 즉,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측은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측보다 다수의 공기가 포함된 상태이다.
도 16은, 성형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쌀밥 덩어리(RB)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성형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쌀밥 덩어리(RB)는, 상면측 쌀밥(R)이 자중에 의해 바닥면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성형 직후의 쌀밥 덩어리(RB)에 비해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측에도 공기가 포함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쌀밥 성형 장치(100)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의 식감은 종래의 쌀밥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의 식감에 비해 공기를 많이 포함하여 부드러워진다.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은, 턴테이블(51)의 표면을 따라 평탄해진다.
● 턴테이블(51)의 회전
다음에, 턴테이블(51)의 회전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턴테이블(51)의 회전은, 검지부(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센서(61)는,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2)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한다. 한편, 제2 센서(62)는,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4)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한다.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의 검지 결과는 제어부(7)로 보내진다.
제1 센서(61)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했을 때, 제어부(7)는 구동부(8)를 통해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2)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하도록 턴테이블(51)을 정방향(도 9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 후,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는 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P2)로 방출된다.
한편, 제2 센서(62)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했을 때, 제어부(7)는 구동부(8)를 통해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4)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하도록 턴테이블(51)을 반대방향(도 9의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 후,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는 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P4)로 방출된다.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 모두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했을 때, 제어부(7)는 예를 들어 제1 센서(61)의 검지 결과를 우선하여 턴테이블(51)을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또, 제1 센서와 제2 센서 모두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했을 때, 제어부는 제2 센서의 검지 결과를 우선하여 턴테이블을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도 된다.
또한,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 모두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였을 때,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 쌀밥 성형 장치의 제어 방법
다음으로, 제어부(7)에 의한 쌀밥 성형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쌀밥 성형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방향 회전과, 검지부(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한 턴테이블(51)의 2방향 회전을 반복하여 쌀밥 덩어리(RB)의 성형과 반송을 행한다. 이 때, 제어부(7)는 쌀밥 덩어리(RB)의 성형이나 반송과 평행하여 후술하는 정지 조건이 성립하는지를 판정한다. 제어부(7)는 정지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제어부(7)는 소정 시간 내에 후술하는 회복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을 재개시킨다. 제어부(7)는 소정 시간 내에 회복 조건이 성립되지 않을 때,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정지 조건과 회복 조건은 기억부에 기억된다. 기억부에 기억된 정지 조건과 회복 조건은, 제어부(7)에 의해 독출 가능하다.
정지 조건은, 쌀밥 덩어리(RB)를 연속적으로 성형하고 있는 쌀밥 성형 장치(100)가 어떠한 이유에 의해 쌀밥 덩어리(RB)를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없게 되는 조건이다. 정지 조건은, 예를 들어 제1 정지 조건과 제2 정지 조건을 포함한다.
제1 정지 조건은, 호퍼(1)의 공급부(13)에 쌀밥(R)이 없을 때, 즉 쌀밥 검지부(14)가 공급부(13)의 쌀밥(R)을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에 성립하는 조건이다. 공급부(13)에 쌀밥(R)이 존재하지 않을 때, 공급부(13)는 성형부(4)에 쌀밥 덩어리(RB)를 연속해서 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양의 쌀밥(R)을 공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제어부(7)는 공급부(13)에 쌀밥(R)이 공급될 때까지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2 정지 조건은, 턴테이블(51)의 2개의 대기 위치(Pb)(대기 위치(Pb)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가 취출되지 않을 때, 즉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였을 때에 성립하는 조건이다. 턴테이블(51)의 대기 위치(Pb)의 쌀밥 덩어리(RB)가 취출되지 않을 때,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을 회전시켜 쌀밥 덩어리(RB)를 방출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제어부(7)는 대기 위치(Pb)의 쌀밥 덩어리(RB)가 취출될 때까지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회복 조건은, 정지 조건이 성립하지 않게 되는 조건이다. 회복 조건은 정지 조건에 대응하고, 예를 들어 제1 회복 조건과 제2 회복 조건을 포함한다.
제1 회복 조건은, 공급부(13)에 쌀밥(R)이 있을 때, 즉 쌀밥 검지부(14)가 공급부(13)의 쌀밥(R)을 검지하였을 때에 성립하는 조건이다. 예를 들어, 호퍼(1)에 새로운 쌀밥(R)이 투입되어 공급부(13)에 쌀밥(R)이 공급되었을 때, 교반부(12)의 교반 아암의 교반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교반부(12)로부터 공급부(13)에 쌀밥(R)이 공급되었을 때에 제1 회복 조건은 성립한다.
제2 회복 조건은, 대기 위치(Pb)의 쌀밥 덩어리(RB)가 취출되었을 때, 즉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 중 적어도 한쪽이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에 성립하는 조건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대기 위치(Pb)의 쌀밥 덩어리(RB)가 취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한쪽의 대기 위치(Pb)의 쌀밥 덩어리(RB)가 취출되었을 때에 제2 회복 조건은 성립한다.
또, 정지 조건과 회복 조건은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은,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7)는, 제1 정지 조건과 제2 정지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의 정지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한(S1의 「아니오」), 쌀밥 덩어리(RB)의 성형 처리(S2)를 실행한다.
쌀밥 덩어리(RB)의 성형 처리(S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수납부(43a-43f, 44a-44f)에 의해 쌀밥 덩어리(RB)를 연속적으로 성형시키는 처리이다. 즉, 공급부(13)에 쌀밥(R)이 공급되고 대기 위치(Pb)의 쌀밥 덩어리(RB)가 취출되고 있는 한, 제어부(7)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쌀밥 덩어리(RB)를 연속적으로 성형시킨다.
한편, 제1 정지 조건과 제2 정지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의 정지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S1의 「네」), 제어부(7)는 일시정지 처리(S3)를 실행한다.
일시정지 처리(S3)는, 제어부(7)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방향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쌀밥 덩어리(RB)의 연속적인 성형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처리이다. 즉, 공급부(13)의 쌀밥(R)이 없어졌을 때, 또는 턴테이블(51)의 2개의 대기 위치(Pb)의 쌀밥 덩어리(RB)가 취출되지 않을 때, 제어부(7)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이 때, 수납부(43a-43f, 44a-44f) 중 어느 하나는 성형 완료된 쌀밥 덩어리(RB)를 보유지지하고 있다. 이하, 수납부(43a, 44a)가 성형 완료된 쌀밥 덩어리(RB)를 보유지지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다음으로, 제어부(7)의 카운터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방향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시간(이하, 「정지 시간」이라고 함)을 계측한다. 제어부(7)는, 정지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3초) 내에 회복 조건이 성립되었는지를 판정한다(S4).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소정 시간은 후술하는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의 품질이 열화되지 않는 시간으로 설정되면 되고, 3초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 시간 내에 회복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S4의 「네」), 제어부(7)는 성형 처리(S2)를 재개한다. 이 때, 수납부(43a, 44a)에 보유지지되어 있던 쌀밥 덩어리(RB)는 턴테이블(51)(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로 방출된다.
한편, 소정 시간 내에 회복 조건이 성립되지 않을 때(S4의 「아니오」), 제어부(7)는 방출 처리(S5)를 실행한다.
방출 처리(S5)는, 제어부(7)가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도 18 참조)을 턴테이블(51)로 방출시키는 처리이다.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는,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직전에 성형되어 방출되지 않은 미방출 상태의 쌀밥 덩어리(RB)이다(본 실시형태에서의 수납부(43a, 44a)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쌀밥 덩어리(RB)).
소정 시간 내에 회복 조건이 성립되지 않을 때, 제어부(7)는 수납부(43a, 44a)가 제5 상태가 되도록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는 턴테이블(51)로 방출된다.
도 18은, 수납부(43a, 44a)가 제5 상태일 때,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와 쌀밥(R)과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를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면 중,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에 인접하는 검은 화살표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반대방향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반대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43a, 44a)가 제5 상태일 때, 미방출 상태의 쌀밥 덩어리(RB)(마지막 쌀밥 덩어리(RBL))은 수납부(43a, 44a)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어부(7)는 역회전·정지 처리(S6)를 실행한다.
역회전·정지 처리(S6)는, 제어부(7)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를 반대방향(도 18의 검은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원점 복귀시키는 처리이다. 즉,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가 방출되었을 때(S5),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쌀밥 덩어리(RB) 성형시의 회전 방향(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한다(S6). 이 때, 다음 수납부(43b, 44b)는 제1 상태이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제5 상태에 위치하는 수납부(43a, 44a)의 다음 수납부(43b, 44b)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상태로 되돌아가기까지의 각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각도는 다음 수납부(43b, 44b)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되돌아가기까지의 각도이다. 다시 말하면, 소정의 각도는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를 방출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초의 원점 위치가 되기까지의 각도이다.
도 19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원점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와 쌀밥(R)을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어부(7)가 역회전·정지 처리를 실행하였을 때(S6),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는 수납부(43a, 44a)에 존재하지 않는다. 즉,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는 수납부(43a, 44a) 내에서 소정 시간을 넘게 보유지지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로부터 방출되는 쌀밥 덩어리(RB)의 품질은 안정된 품질로 유지된다.
한편, 제어부(7)가 역회전·정지 처리를 실행하였을 때(S6), 다음 수납부(43b, 44b) 내의 쌀밥(R)은 공급부(13) 측으로 밀려 되돌아가 공급부(13)(도 3 참조)의 쌀밥(R)과 일체가 된다. 이 때, 다음 수납부(43b, 44b) 내의 쌀밥(R)은 공급부(13)의 쌀밥(R)과 지지 플레이트 쌍(34)(도 3 참조)과 수납부(43b, 44b)에 둘러싸여 있고, 외기에 접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다음 수납부(43b, 44b) 내의 쌀밥(R)은 건조되기 어렵다.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 정지는, 회복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한(S7의 「아니오」) 유지된다. 한편, 회복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S7의 「네」), 제어부(7)는 성형 처리(S2)를 재개한다.
제어부(7)가 성형 처리(S2)를 재개하였을 때,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재개 후 최초의 쌀밥 덩어리(RB)의 성형을 개시한다. 이 때, 재개 후 최초의 쌀밥 덩어리(RB)가 놓이는 안착부는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가 놓인 안착부와는 다르다.
이와 같이, 제어부(7)는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검지부(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방출 처리(S5)를 실행하는지를 판정한다. 방출 처리(S5)에서 방출되는 쌀밥 덩어리(RB)는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이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7)는 검지부(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성형부(4)가 성형한 쌀밥 덩어리(RB)가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제어부는 정지 처리나 역회전·정지 처리에서 호퍼나 압축부를 정지시켜도 되고, 혹은 정지 처리에서만 호퍼나 압축부를 정지시켜도 된다.
● 정리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소정 시간 내에 회복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방출된다. 그 후,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한다. 정지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각 수납부(43a-43f, 44a-44f)에는, 성형 완료된(미방출 상태의) 쌀밥 덩어리(RB)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쌀밥 성형 장치(100)는, 정지되어 있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각 수납부(43a-43f, 44a-44f) 내에 쌀밥 덩어리(RB)를 소정 시간 넘게 보유지지하지 않는다. 그 결과, 쌀밥 성형 장치(100)는, 정지되어 있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에 방출되지 않고 보유지지된 채로 있는(미방출 상태의) 쌀밥 덩어리(RB)를 없애어 품질이 안정된 쌀밥 덩어리(RB)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는 검지부(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성형부(4)가 성형한 쌀밥 덩어리(RB)가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인지를 판정한다. 성형부(4)가 성형한 쌀밥 덩어리(RB)가 제어부(7)에 의해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라고 판정된 경우,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를 방출한 후에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한다. 그 때문에, 쌀밥 성형 장치(100)는, 정지되어 있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각 수납부(43a-43f, 44a-44f) 내에 쌀밥 덩어리(RB)를 소정 시간 넘게 보유지지하지 않는다. 그 결과, 쌀밥 성형 장치(100)는 미방출 상태의 쌀밥 덩어리(RB)를 없애어 품질이 안정된 쌀밥 덩어리(RB)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각 수납부(43a-43f)와 각 수납부(44a-44f)가 대향될 때, 바닥 벽면(a13)과 바닥 벽면(a23)으로 구성되는 면은 정면에서 보아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성형시의 회전 방향 후방으로 볼록하다. 이 바닥 벽면(a13, a23)에 의해, 쌀밥 덩어리(RB)의 성형 과정에서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에는 오목부(RBa)가 마련된다. 그 때문에, 턴테이블(51) 상에 낙하한 쌀밥 덩어리(RB)는 턴테이블(51) 상에서 전도되거나 경사지지 않는다. 즉, 턴테이블(51) 상에서 쌀밥 덩어리(RB)의 자세는 안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는 쌀밥 덩어리(RB)의 성형 불량 발생을 억제하면서 미방출 상태의 쌀밥 덩어리(RB)를 없애어 품질이 안정된 쌀밥 덩어리(RB)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쌀밥 덩어리(RB)의 성형 과정에서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이 좌우 방향으로 넓어짐으로써,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 측은 쌀밥 덩어리(RB)의 상면 측보다 다수의 공기를 포함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성형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쌀밥 덩어리(RB)는 상면 측의 쌀이 자중에 의해 바닥면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성형 직후의 쌀밥 덩어리(RB)에 비해 쌀밥 덩어리(RB)의 상면 측에도 공기가 포함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의 식감은 공기를 많이 포함하여 부드러운 식감이 된다.
또, 한 쌍의 성형 롤러가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하였을 때에 각 수납부에 성형 완료된 쌀밥 덩어리(RB)가 존재하지 않으면, 마지막 쌀밥 덩어리(RBL)를 방출할 때에 다음 쌀밥 덩어리(RB)가 성형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다음 쌀밥 덩어리(RB)는 한 쌍의 성형 롤러가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였을 때에, 압축부로부터 공급되는 쌀밥(R)과 일체가 된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성형 롤러가 정지하였을 때에는, 성형 완료된 쌀밥 덩어리(RB)는 각 수납부에 존재하지 않는다.
100 쌀밥 성형 장치
1 호퍼
2 하우징
3 압축부
4 성형부
41 제1 회전축
42 제2 회전축
43 제1 성형 롤러
43a-43f 수납부
a11 측벽면
a12 상부 벽면
a13 바닥 벽면
44 제2 성형 롤러
44a-44f 수납부
a21 측벽면
a22 상부 벽면
a23 바닥 벽면
5 반송부
51 턴테이블
6 검지부
61 제1 센서
62 제2 센서
7 제어부
8 구동부
9 패널
10 조작부
RB 쌀밥 성형물
RBL 마지막 쌀밥 성형물
Pa 방출 위치
Pb1 제1 대기 위치
Pb2 제2 대기 위치

Claims (9)

  1. 복수의 쌀밥 성형물을 연속해서 성형하여 방출하는 성형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어 방출되지 않은 미방출 상태의 쌀밥 성형물을 방출하고, 상기 쌀밥 성형물의 성형시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밥 성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쌀밥 성형물의 성형시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미방출 상태의 쌀밥 성형물을 방출하는 쌀밥 성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쌀밥 성형물의 성형시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상기 성형시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하는 쌀밥 성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로부터 방출된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성형부가 성형한 상기 쌀밥 성형물이 마지막 쌀밥 성형물인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쌀밥 성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은, 상기 쌀밥 성형물을 성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가 반대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하였을 때, 상기 미방출 상태의 쌀밥 성형물은 상기 수납부에 존재하지 않는 쌀밥 성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은 상기 수납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 각각은, 상기 롤러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쌀밥 성형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성형시의 회전 방향의 전방의 바닥 벽면과,
    상기 성형시의 회전 방향의 후방의 상부 벽면과,
    상기 바닥 벽면과 상기 상부 벽면을 연결하는 측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상기 수납부가 대향할 때,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의 상기 바닥 벽면을 연결하는 선은, 정면에서 보아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상기 성형시의 회전 방향의 후방으로 볼록한 쌀밥 성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벽면과 상기 바닥 벽면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는 예각인 쌀밥 성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벽면과 상기 바닥 벽면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는, 상기 측벽면과 상기 상부 벽면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보다 작은 쌀밥 성형 장치.
KR1020170067864A 2016-08-02 2017-05-31 쌀밥 성형 장치 KR102629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2310 2016-08-02
JP2016152310A JP6746131B2 (ja) 2016-08-02 2016-08-02 米飯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070A KR20180015070A (ko) 2018-02-12
KR102629538B1 true KR102629538B1 (ko) 2024-01-25

Family

ID=6113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864A KR102629538B1 (ko) 2016-08-02 2017-05-31 쌀밥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46131B2 (ko)
KR (1) KR102629538B1 (ko)
CN (1) CN1076687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5165B2 (ja) * 2019-06-28 2023-07-1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
CN117068792B (zh) * 2023-10-17 2023-12-19 福建中天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打饭机自动出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362B2 (ja) * 1997-08-21 2000-05-15 允 鈴木 食品成形装置
JP3400983B2 (ja) * 1999-11-22 2003-04-28 裕児 関 搬送成形装置
JP4109260B2 (ja) 2005-01-18 2008-07-02 株式会社トップ 米飯成形装置
JP5175693B2 (ja) * 2008-11-21 2013-04-03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および同米飯成形装置の制御方法
JP5171570B2 (ja) * 2008-11-21 2013-03-27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
JP2011010553A (ja) * 2009-06-30 2011-01-20 Yuji Seki 米飯成形装置
JP5606207B2 (ja) * 2010-07-30 2014-10-15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02536069U (zh) * 2012-02-27 2012-11-21 梁德新 对轮挤压丸子成型机
JP2016039783A (ja) * 2014-08-12 2016-03-24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及び米飯成形ローラ
CN205018277U (zh) * 2015-07-29 2016-02-10 重庆市凯福食品有限公司 食品转鼓成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6131B2 (ja) 2020-08-26
CN107668760B (zh) 2021-08-03
JP2018019626A (ja) 2018-02-08
KR20180015070A (ko) 2018-02-12
CN107668760A (zh)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538B1 (ko) 쌀밥 성형 장치
TWI489948B (zh) 米飯成型裝置
KR101537481B1 (ko) 플라스틱 컵 제조 장치
JPH11155464A (ja) 帯状の食品生地の生産システム及び帯状の食品生地の生産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102476382B1 (ko) 쌀밥 성형 장치
KR102437688B1 (ko) 쌀밥 성형 장치용 롤러와 쌀밥 성형 장치
KR102434422B1 (ko) 쌀밥 성형 장치
US20040130709A1 (en) Appearance inspection machine for flat tablet
JP5700830B2 (ja) 定量材料塊供給装置
CN107455653B (zh) 米饭成型装置
JP2018019626A5 (ko)
JP5992795B2 (ja) 丸棒の供給装置
JP2016039783A (ja) 米飯成形装置及び米飯成形ローラ
KR20110005305A (ko)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
KR102170507B1 (ko) 부품 이송 시스템
CN207551418U (zh) 一种装卸输送机用缓冲装置
WO2023048055A1 (ja) 搬送ベルトおよび搬送装置
CN218023876U (zh) 工件同步输送装置
JPH11216735A (ja) ゴムシート成形用ロールのプッシャー装置
KR100676282B1 (ko) 사일로용 교반기의 이송기구
KR20160116488A (ko) 다공질물질을 이용한 공기부상 이송장치
JP4501139B2 (ja) 被処理物冷却装置
JP2005204864A (ja) 遊技機用搬送装置
JPH07187352A (ja) 円形偏平物品の搬送装置
JPH10305259A (ja) 選果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5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825

Effective date: 2023100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