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127B1 -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및 탄소 섬유 전구체 - Google Patents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및 탄소 섬유 전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127B1
KR102620127B1 KR1020237030925A KR20237030925A KR102620127B1 KR 102620127 B1 KR102620127 B1 KR 102620127B1 KR 1020237030925 A KR1020237030925 A KR 1020237030925A KR 20237030925 A KR20237030925 A KR 20237030925A KR 102620127 B1 KR102620127 B1 KR 10262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fiber precursor
mass
modified silicone
treatm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6223A (ko
Inventor
준 이토
케이이치로 오시마
요헤이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65Ethers
    • D06M13/17Polyoxyalkyleneglycol 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06M15/643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amino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06M15/64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40Fibres of carb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40Reduced friction resistance, lubricant properties; Sizing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을 억제함과 함께, 탄소 섬유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는, 소정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와, 평활제(B)를 함유한다. 평활제(B)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디메틸실리콘, 및 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는,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 및 평활제(B)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면,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를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및 평활제(B)를 2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한다.

Description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및 탄소 섬유 전구체
본 발명은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및 탄소 섬유 전구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탄소 섬유는, 아크릴 수지 등을 방사하여 탄소 섬유 전구체를 제작하는 방사 공정, 및 탄소 섬유 전구체를 소성하는 소성 공정을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탄소 섬유 전구체의 제전성이나 집속성 등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사 공정에 있어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베이스 성분, 양이온 계면 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로서의 탄소 섬유 전구체용 유제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8/100786호
그런데,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에는, 탄소 섬유 전구체 품질의 더한층의 향상을 위하여,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에는, 탄소 섬유 전구체를 소성하여 얻어지는 탄소 섬유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도 요망되고 있다. 탄소 섬유의 품질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의 억제나, 탄소 섬유의 강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와, 평활제(B)를 함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평활제(B)는 예를 들어 아미노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디메틸실리콘, 및 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메틸기를 3개 이상 가진 탄소수 4 이상 24 이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이며,
AO는,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킬렌옥시기(단, 당해 알킬렌옥시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음)이며,
n은 1 이상 30 이하의 정수이다.
상기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의 R1이, 메틸기를 3개 이상 가진 탄소수 8 이상 11 이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에 대하여, 상기 알킬렌옥시기가 에틸렌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에 대하여, 상기 알킬렌옥시기가 에틸렌옥시기 및 프로필렌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에 대하여, 상기 평활제(B)가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에 대하여, 상기 평활제(B)가 상기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 및 상기 평활제(B)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면,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를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및 상기 평활제(B)를 2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탄소 섬유 전구체는, 상기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이 향상된다. 또한,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탄소 섬유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이하, 단순히 처리제라고도 함.) 를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처리제는,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와, 평활제(B)를 함유한다.
[화학식 2]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메틸기를 3개 이상 가진 탄소수 4 이상 24 이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이며,
AO는,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킬렌옥시기(단, 당해 알킬렌옥시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음)이며,
n은 1 이상 30 이하의 정수이다.
처리제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를 함유함으로써,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이 향상된다. 또한,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탄소 섬유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수 4 이상 24 이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구성하는 지방족 탄화 수소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포화 지방족 탄화 수소이어도, 불포화 지방족 탄화 수소이어도 된다.
상기 지방족 탄화 수소기는, 탄소수가 6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8 이상 1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8 이상 11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탄화 수소기의 탄소수가 8 이상 11 이하임으로써, 처리제를 부착시킨 탄소 섬유 전구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을 보다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메틸기에는, 메틸기 이외의 치환기가 가진 CH3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지방족 탄화 수소기가, 분지쇄로서 에틸기를 가질 경우, 이 에틸기의 말단에 위치하는 CH3도, 메틸기로서 카운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킬렌옥시기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시기, 프로필렌옥시기, 부틸렌옥시기를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에틸렌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옥시기, 및 프로필렌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가 상기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킬렌옥시기로서 에틸렌옥시기 및 프로필렌옥시기를 함유함으로써,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는 메틸기를 3개 이상 가진 탄소수 4 이상 24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에 대하여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킬렌옥사이드를 합계 1몰 이상 30몰 이하의 비율로 부가시킨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로 구성되어 있다.
알킬렌옥사이드의 중합 서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랜덤 부가물이어도, 블록 부가물이어도 된다.
상기의 알킬렌옥사이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3,5,5-트리메틸-1-헥산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8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2몰 부가시킨 화합물, 3,5,5-트리메틸-1-헥산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12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12몰 부가시킨 화합물, 3,5-디메틸-1-헥산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5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5몰 부가시킨 화합물, β-시트로넬롤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7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3몰 부가시킨 화합물, 3,7,7-트리메틸-1-옥탄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3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3몰 부가시킨 화합물, 3,5,5-트리메틸-1-헥산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6몰 부가시킨 화합물, 3,7,9-트리메틸-1-데칸올에 대하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5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5몰 부가시킨 화합물, 2-(4-메틸헥실)-8-메틸-1-도데칸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5몰 부가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평활제(B)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처리제에 사용되는 공지된 평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공지된 평활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 광물유, 폴리올레핀,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평활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평활제(B)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오일로서는, 예를 들어 디메틸실리콘, 페닐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아미드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알킬아랄킬 변성 실리콘, 알킬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카르비놀 변성 실리콘, 머캅토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활제(B)가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 탄소 섬유의 강도, 및 탄소 섬유의 융착성의 억제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평활제(B)가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함으로써, 탄소 섬유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을 보다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평활제(B)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25℃에서의 동점도가 650mm2/s이며 아미노 당량이 1800g/mol인 아미노 변성 실리콘, 25℃에서의 동점도가 90mm2/s이며 아미노 당량이 5000g/mol인 아미노 변성 실리콘, 25℃에서의 동점도가 4500mm2/s이며 아미노 당량이 1200g/mol인 아미노 변성 실리콘, 25℃에서의 동점도가 8000mm2/s이며 아미노 당량이 1000g/mol인 아미노 변성 실리콘, 25℃에서의 동점도가 600mm2/s이며 실리콘 주쇄/폴리에테르 측쇄=30/70(질량비)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20/80(몰비)인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25℃에서의 동점도가 1700mm2/s이며 실리콘 주쇄/폴리에테르 측쇄=50/50(질량비)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50/50(몰비)인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25℃에서의 동점도가 1000mm2/s인 디메틸실리콘,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의 디도데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실리콘 오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평활제(B)의 동점도는, 캐논 펜스케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의 조건 하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처리제 중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 및 평활제(B)의 함유 비율에 제한은 없다. 처리제 중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 및 평활제(B)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면, 처리제는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를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및 평활제(B)를 2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를 2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 및 평활제(B)를 5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전구체를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탄소 섬유 전구체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처리제가 부착되어 있다. 탄소 섬유 전구체의 구체예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2)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3) 폴리아크릴, 모다아크릴 등의 폴리아크릴계 섬유, (4)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5) 셀룰로오스계 섬유, (6) 리그닌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탄소 섬유 전구체로서는, 후술하는 탄소화 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탄소 섬유가 되는 수지제의 합성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섬유 전구체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페놀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리그닌 수지, 피치 등을 들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처리제를 탄소 섬유 전구체에 부착시키는 비율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처리제(용매를 포함하지 않음)를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하여 0.1질량% 이상 2질량% 이하가 되도록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 1.2질량% 이하가 되도록 부착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실시 형태의 처리제를 탄소 섬유 전구체에 부착시킬 때의 처리제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용매 용액, 수성액 등을 들 수 있다.
처리제를 탄소 섬유 전구체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처리제, 및 물을 함유하는 수성액 또는 추가로 희석한 수용액을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침지법, 스프레이법, 롤러법, 계량 펌프를 사용한 가이드 급유법 등에 의해 부착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탄소 섬유 전구체를 사용한 탄소 섬유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탄소 섬유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공정 1 내지 3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1: 탄소 섬유 전구체가 되는 합성 섬유를 방사함과 함께, 제1 실시 형태의 처리제를 부착시키는 방사 공정.
공정 2: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탄소 섬유 전구체를 200℃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30℃ 이상 270℃ 이하의 산화성 분위기 중에서 내염화 섬유로 전환하는 내염화 처리 공정.
공정 3: 상기 공정 2에서 얻어진 내염화 섬유를 추가로 300℃ 이상 2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1300℃ 이하의 불활성 분위기 중에서 탄화시키는 탄소화 처리 공정.
또한, 상기 공정 2와 공정 3에 의해 소성 공정이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방사 공정은, 추가로, 수지를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하는 습식 방사 공정, 습식 방사된 합성 섬유를 건조하여 치밀화하는 건조 치밀화 공정, 및 건조 치밀화한 합성 섬유를 연신하는 연신 공정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 형태의 처리제는, 습식 방사 공정과 건조 치밀화 공정의 사이에서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치밀화 공정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습식 방사 공정을 거친 합성 섬유를, 예를 들어 70℃ 이상 200℃ 이하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제를 합성 섬유에 부착시키는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습식 방사 공정과 건조 치밀화 공정의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염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산화성 분위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공기 분위기를 채용할 수 있다.
탄소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불활성 분위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진공 분위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처리제, 및 탄소 섬유 전구체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실시 형태의 처리제는, 상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와, 평활제(B)를 함유한다. 따라서,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이 향상된다. 또한,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탄소 섬유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의 탄소수가 8 이상 11 이하임으로써, 처리제를 부착시킨 탄소 섬유 전구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을 보다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3)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가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킬렌옥시기로서 에틸렌옥시기 및 프로필렌옥시기를 함유함으로써,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4) 평활제(B)가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 탄소 섬유의 강도, 및 탄소 섬유의 융착성의 억제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5) 평활제(B)가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함으로써, 처리제가 부착된 탄소 섬유 전구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을 보다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탄소 섬유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습식 방사 공정과 건조 치밀화 공정의 사이에 있어서, 처리제를 탄소 섬유 전구체에 부착시키고 있었지만, 이 양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건조 치밀화 공정과 연신 공정의 사이에 있어서 처리제를 탄소 섬유 전구체에 부착시켜도 되고, 연신 공정과 내염화 처리 공정의 사이에 있어서 처리제를 탄소 섬유 전구체에 부착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처리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처리제의 품질 유지를 위한 안정화제나 제전제, 대전 방지제, 연결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포제(실리콘계 화합물) 등의 통상 처리제에 사용되는 성분을 추가로 배합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된다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또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시험 구분 1(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의 조제)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사용하여,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1)가 25부, 평활제(B-4)가 65부, 평활제(B-5)가 10부의 배합 비율이 되도록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이것들을 교반하여 잘 혼합하였다. 교반을 계속하면서 고형분 농도가 25%가 되도록 이온 교환수를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실시예 1의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의 25% 수성액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 내지 21 및 비교예 1, 2)
실시예 2 내지 21 및 비교예 1, 2의 각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는,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또한, 각 예의 처리제 중에 있어서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의 종류와 함유량, 및 평활제(B)의 종류와 함유량은, 표 1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란, 및 "평활제(B)"란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1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 및 평활제(B)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
A-1: 3,5,5-트리메틸-1-헥산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8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2몰 부가시킨 화합물
A-2: 3,5,5-트리메틸-1-헥산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12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12몰 부가시킨 화합물
A-3: 3,5-디메틸-1-헥산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5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5몰 부가시킨 화합물
A-4: β-시트로넬롤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7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3몰 부가시킨 화합물
A-5: 3,7,7-트리메틸-1-옥탄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3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3몰 부가시킨 화합물
A-6: 3,5,5-트리메틸-1-헥산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6몰 부가시킨 화합물
A-7: 3,7,9-트리메틸-1-데칸올에 대하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5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5몰 부가시킨 화합물
A-8: 2-(4-메틸헥실)-8-메틸-1-도데칸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5몰 부가시킨 화합물
a-1: 1-데칸올 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9몰, 프로필렌옥사이드를 1몰 부가시킨 화합물
a-2: 1-도데실알코올1몰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5몰 부가시킨 화합물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의 탄소수, 메틸기의 수, 알킬렌옥시기의 종류, 알킬렌옥시기의 부가 몰수에 대하여, 표 2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의 탄소수"란, "메틸기의 수"란, "알킬렌옥시기의 종류"란, "알킬렌옥시기의 부가 몰수"란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표 2에 있어서, EO는 에틸렌옥시기를 의미하고, PO는 프로필렌옥시기를 의미한다. 괄호 안의 숫자는, 부가 몰수를 의미한다.
(평활제(B))
B-1: 25℃에서의 동점도가 650mm2/s이며 아미노 당량이 1800g/mol인 아미노 변성 실리콘
B-2: 25℃에서의 동점도가 90mm2/s이며 아미노 당량이 5000g/mol인 아미노 변성 실리콘
B-3: 25℃에서의 동점도가 4500mm2/s이며 아미노 당량이 1200g/mol인 아미노 변성 실리콘
B-4: 25℃에서의 동점도가 8000mm2/s이며 아미노 당량이 1000g/mol인 아미노 변성 실리콘
B-5: 25℃에서의 동점도가 600mm2/s이며 실리콘 주쇄/폴리에테르 측쇄=30/70(질량비)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20/80(몰비)인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B-6: 25℃에서의 동점도가 1700mm2/s이며 실리콘 주쇄/폴리에테르 측쇄=50/50(질량비)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50/50(몰비)인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B-7: 25℃에서의 동점도가 1000mm2/s인 디메틸실리콘
B-8: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 2몰 부가물의 디도데실에스테르
시험 구분 2(탄소 섬유 전구체, 및 탄소 섬유의 제조)
시험 구분 1에서 조제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의 수성액을 사용하여, 탄소 섬유 전구체 및 탄소 섬유를 제조하였다.
먼저, 공정 1로서, 아크릴 수지를 습식 방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95질량%, 아크릴산 메틸 3.5질량%, 메타크릴산 1.5질량%로 이루어지는 극한 점도 1.80의 공중합체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에 용해하여 폴리머 농도가 21.0질량%, 60℃에서의 점도가 500포이즈인 방사 원액을 작성하였다. 방사 원액은, 방사욕 온도 35℃로 유지된 DMAC의 70질량% 수용액의 응고욕 중에 공경(내경) 0.075mm, 홀 수 12,000의 방사 구금으로부터 드래프트비 0.8로 토출하였다.
응고사를 수세조 안에서 탈용매와 동시에 5배로 연신하여 수팽윤 상태의 아크릴 섬유 스트랜드(원료 섬유)를 제작하였다. 이 아크릴 섬유 스트랜드에 대하여 고형분 부착량이 1질량%(용매를 포함하지 않음)가 되도록, 시험 구분 1에서 조제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를 급유하였다.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의 급유는,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의 4% 이온 교환수 용액을 사용한 침지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후, 아크릴 섬유 스트랜드에 대하여 130℃의 가열 롤러로 건조 치밀화 처리를 행하고, 추가로 170℃의 가열 롤러 사이에서 1.7배의 연신을 실시한 후에 권취 장치를 사용하여 사관에 권취하였다.
이어서, 공정 2로서, 권취된 탄소 섬유 전구체로부터 실을 해서하고, 230℃ 이상 270℃ 이하의 온도 구배를 가진 내염화로에서 공기 분위기 하 1시간, 내염화 처리한 후에 사관에 권취함으로써 내염화사(내염화 섬유)를 얻었다.
이어서, 공정 3으로서, 권취된 내염화사로부터 실을 해서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0℃ 이상 1300℃ 이하의 온도 구배를 가진 탄소화로에서 소성하여 탄소 섬유로 전환 후, 사관에 권취함으로써 탄소 섬유를 얻었다.
시험 구분 3(평가)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2의 처리제에 대하여, 처리제의 습윤성, 탄소 섬유의 강도, 및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성을 각각 이하에 설명하는 순서로 평가하였다.
(습윤성)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의 유효 성분 4% 이온 교환수 용액(이온 교환수 이외를 유효 성분으로 함)을 제작하고, 그 0.1g을 아크릴판에 적하하였다. 1분 후의 최대 직경(mm)을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의 결과를 표 1의 "습윤성"란에 나타낸다.
·습윤성의 평가 기준
◎◎(우수함): 최대 직경이 12mm 이상
◎(양호): 최대 직경이 11mm 이상, 12mm 미만
○(가능): 최대 직경이 10mm 이상, 11mm 미만
×(불가): 최대 직경이 10mm 미만
(강도)
시험 구분 2의 공정 3에서 얻어진 탄소 섬유를 사용하고, JIS R 7606(대응 국제 규격 ISO 11566:1996)에 준하여 탄소 섬유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의 결과를 표 1의 "강도"란에 나타낸다.
·강도의 평가 기준
◎(양호): 강도가 4.5GPa 이상
○(가능): 강도가 4.0GPa 이상, 4.5GPa 미만
×(불가): 강도가 4.0GPa 미만
(융착성)
시험 구분 3의 공정 3에서 얻어진 탄소 섬유로부터 무작위로 10군데 선택하고, 1cm의 단섬유를 잘라냈다. 융착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1군데당의 융착수를 세었다.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의 결과를 표 1의 "융착"란에 나타낸다.
·융착의 평가 기준
◎◎(우수함): 융착수가 0 이상, 2 미만
◎(양호): 융착수가 2 이상, 5 미만
○(가능): 융착수가 5 이상, 7 미만
×(불가): 융착수가 7 이상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 섬유 전구체에 대한 습윤성이 향상된다. 또한, 탄소 섬유끼리의 융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소 섬유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도 포함한다.
(부기 1)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와, 평활제(B)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이며,
[화학식 3]
(화학식 3에 있어서,
R1은, 메틸기를 3개 이상 가진 탄소수 4 이상 24 이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이며,
AO는,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킬렌옥시기(단, 당해 알킬렌옥시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음)이며,
n은 1 이상 30 이하의 정수인,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부기 2)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의 R1이, 메틸기를 3개 이상 가진 탄소수 8 이상 11 이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인 부기 1에 기재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부기 3)
상기 알킬렌옥시기가, 에틸렌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인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부기 4)
상기 알킬렌옥시기가, 에틸렌옥시기 및 프로필렌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인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부기 5)
상기 평활제(B)가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부기 6)
상기 평활제(B)가 상기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인 부기 5에 기재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부기 7)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 및 상기 평활제(B)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면,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를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및 상기 평활제(B)를 2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부기 8)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가 부착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전구체.

Claims (7)

  1.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와, 평활제(B)를 함유하고,
    상기 평활제(B)가 아미노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디메틸실리콘, 및 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 및 상기 평활제(B)의 함유 비율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면,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A)를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및 상기 평활제(B)를 2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화학식 1]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메틸기를 3개 이상 가진 탄소수 4 이상 24 이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AO: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알킬렌옥시기(단, 당해 알킬렌옥시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할 수 있음).
    n: 1 이상 30 이하의 정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의 R1이, 메틸기를 3개 이상 가진 탄소수 8 이상 11 이하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인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옥시기가, 에틸렌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인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옥시기가, 에틸렌옥시기, 및 프로필렌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인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제(B)가,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제(B)가, 상기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인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전구체.
KR1020237030925A 2021-06-04 2022-06-02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및 탄소 섬유 전구체 KR102620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4515 2021-06-04
JP2021094515A JP6973837B1 (ja) 2021-06-04 2021-06-04 炭素繊維前駆体用処理剤、及び炭素繊維前駆体
PCT/JP2022/022416 WO2022255434A1 (ja) 2021-06-04 2022-06-02 炭素繊維前駆体用処理剤、及び炭素繊維前駆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223A KR20230136223A (ko) 2023-09-26
KR102620127B1 true KR102620127B1 (ko) 2024-01-02

Family

ID=7876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925A KR102620127B1 (ko) 2021-06-04 2022-06-02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및 탄소 섬유 전구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73837B1 (ko)
KR (1) KR102620127B1 (ko)
CN (1) CN117222790A (ko)
DE (1) DE112022001762T5 (ko)
WO (1) WO2022255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8886B1 (ja) 2023-09-12 2024-01-22 竹本油脂株式会社 炭素繊維前駆体用処理剤及び炭素繊維前駆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6496A (ja) 2014-09-11 2016-04-2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炭素繊維前駆体アクリル繊維束
JP2019007097A (ja) 2017-06-22 2019-01-17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アクリル繊維処理剤及びその用途
WO2021070796A1 (ja) 2019-10-07 2021-04-15 竹本油脂株式会社 炭素繊維前駆体用処理剤の水性液及び炭素繊維前駆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322A (ja) * 1984-02-22 1985-09-17 Mitsubishi Rayon Co Ltd 炭素繊維の製造方法
PT2208821E (pt) * 2007-11-07 2014-07-04 Mitsubishi Rayon Co Composição de agente oleoso para fibras acrílicas precursoras de fibras de carbono, feixe de fibras acrílicas precursoras de fibras de carbono e método para a sua produção
US10072359B2 (en) * 2011-06-06 2018-09-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Oil agent for carbon fiber precursor acrylic fiber, oil composition for carbon fiber precursor acrylic fiber, processed-oil solution for carbon-fiber precursor acrylic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fiber precursor acrylic fiber bundle, and carbon-fiber bundle using carbon-fiber precursor acrylic fiber bundle
WO2018100786A1 (ja) 2016-12-02 2018-06-07 竹本油脂株式会社 炭素繊維前駆体用油剤及び炭素繊維前駆体
JP6535149B2 (ja) * 2017-03-09 2019-06-26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アクリル繊維処理剤及びその用途
JP6632016B1 (ja) * 2019-07-05 2020-01-15 竹本油脂株式会社 炭素繊維前駆体用処理剤、及び炭素繊維前駆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6496A (ja) 2014-09-11 2016-04-2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炭素繊維前駆体アクリル繊維束
JP2019007097A (ja) 2017-06-22 2019-01-17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アクリル繊維処理剤及びその用途
WO2021070796A1 (ja) 2019-10-07 2021-04-15 竹本油脂株式会社 炭素繊維前駆体用処理剤の水性液及び炭素繊維前駆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3837B1 (ja) 2021-12-01
CN117222790A (zh) 2023-12-12
DE112022001762T5 (de) 2024-01-25
JP2022186348A (ja) 2022-12-15
WO2022255434A1 (ja) 2022-12-08
KR20230136223A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127B1 (ko) 탄소 섬유 전구체용 처리제, 및 탄소 섬유 전구체
EP2208821A1 (en) Oil agent composition for carbon fiber precursor acrylic fiber, carbon fiber precursor acrylic fiber bund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957070B1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
KR102606808B1 (ko) 합성 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 섬유
KR102509916B1 (ko) 합성 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 섬유
KR102509917B1 (ko) 합성 섬유용 처리제의 제조 방법, 합성 섬유용 처리제, 합성 섬유 및 합성 섬유의 제조 방법
KR20240011159A (ko) 합성 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 섬유
JP6865984B1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炭素繊維前駆体
JP3479576B2 (ja) 炭素繊維前駆体アクリル繊維
JP2004149937A (ja) 炭素繊維用前駆体繊維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123827A (ja) 処理剤、耐炎化繊維不織布、炭素繊維不織布、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7289469B1 (ja) 炭素繊維前駆体用処理剤及び炭素繊維前駆体
KR102672205B1 (ko) 합성 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 섬유
JP7199123B1 (ja) 炭素繊維前駆体用処理剤及び炭素繊維前駆体
KR100616180B1 (ko) 고무와의 접착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CN114269983A (zh) 处理剂、耐燃化纤维无纺布、碳纤维无纺布以及它们的制造方法
KR20240034749A (ko) 염색 보조제로서의 신규의 개질된 폴리알킬렌이민
JPS5936727A (ja) 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2004143644A (ja) 炭素繊維前駆体アクリル繊維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