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341B1 -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포장체 및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포장체 및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341B1
KR102616341B1 KR1020217008762A KR20217008762A KR102616341B1 KR 102616341 B1 KR102616341 B1 KR 102616341B1 KR 1020217008762 A KR1020217008762 A KR 1020217008762A KR 20217008762 A KR20217008762 A KR 20217008762A KR 102616341 B1 KR102616341 B1 KR 102616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sheet
impregnated
wet
sheet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220A (ko
Inventor
쇼코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7Cloths; Pads; Sponges containing clean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9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e article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or to the container in a special way, e.g. for facilitating dispensing, without addition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2010/428Details of the folds or interfolds of the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Paper (AREA)

Abstract

접혀진 복수 장의 웨트 시트 (111) 가, 하나의 웨트 시트 (111) 의 단부가 다른 웨트 시트 (111) 의 되접힘 부분에 끼워 넣어지도록 적층된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로서, 웨트 시트 (111) 는, 기재 시트에 대해, 약액이 함침된 함침 부분 (W) 과, 약액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비함침 부분 (D) 이 발생하도록 약액이 함침되고,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은, 복수의 함침 부분 (W) 과 복수의 비함침 부분 (D) 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포장체 및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포장체 및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웨트 티슈, 토일렛 클리너, 키친 클리너 등의 가정용의 웨트 시트를 복수 적층하여 적층체로 하는 경우에, 이것을 사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 최상부의 시트가 인출됐을 때에 다음 시트가 들어 올려져, 연속해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소위 팝업식의 웨트 시트 적층체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팝업식의 웨트 시트 적층체로는, 예를 들어, Z 자상으로 접혀진 시트가, 일부가 겹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6188234호
팝업식의 웨트 시트 적층체는, 이것이 소정의 포장체에 수납되고, 당해 포장체에 형성된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1 장씩 취출하도록 하여 사용되지만, 종래의 웨트 시트 적층체에 있어서는, 1 장의 웨트 시트를 취출구로부터 취출했을 때에, 다음에 이어지는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이 점에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웨트 시트 적층체에 있어서는,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의 웨트 시트의 단부끼리가 겹치는 부분의 약액 함침률을 낮게 함으로써, 1 장의 웨트 시트를 취출구로부터 취출했을 때에, 다음 웨트 시트가 불필요하게 튀어나와 버리는 것의 억제를 의도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포장체 및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접혀진 복수 장의 웨트 시트가, 하나의 웨트 시트의 단부가 다른 웨트 시트의 되접힘 부분에 끼워 넣어지도록 적층된 웨트 시트 적층체로서,
상기 웨트 시트는, 기재 시트에 대해, 약액이 함침된 함침 부분과, 약액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비함침 부분이 발생하도록 약액이 함침되고,
상기 함침 부분과 상기 비함침 부분은, 복수의 상기 함침 부분과 복수의 상기 비함침 부분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웨트 시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웨트 시트 적층체로서,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와, 그 하나 위에 배치된 다른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분과 상기 비함침 부분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웨트 시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에 기재된 웨트 시트 적층체로서,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와, 그 하나 위에 배치된 다른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분과 상기 비함침 부분이,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웨트 시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시트 적층체로서,
상기 함침 부분과 상기 비함침 부분은, 상기 웨트 시트 적층체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웨트 시트의 접음선과 평행한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시트 적층체로서,
상기 웨트 시트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변과 대략 평행한 제 1 접음선에 있어서 당해 웨트 시트의 일면측으로 되접히고,
상기 제 1 접음선과 상기 한 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한 변과 대략 평행한 제 2 접음선에 있어서 당해 웨트 시트의 타면측으로 되접히고,
상기 제 2 접음선과 상기 한 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한 변과 대략 평행한 제 3 접음선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음선의 외주를 돌도록, 당해 웨트 시트의 상기 타면측으로 되접혀 있고,
복수의 상기 웨트 시트가,
상기 제 1 접음선과, 상기 한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타면측이 위를 향하고,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의 상기 한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이,
다른 상기 웨트 시트의 상기 제 1 접음선과 상기 제 2 접음선 사이의 부분과,
다른 상기 웨트 시트의 상기 제 1 접음선과 상기 한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 사이의 부분
사이에 끼이도록 하여,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 위에 다른 상기 웨트 시트가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웨트 시트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시트 적층체가, 취출구를 구비한 포장체에 수납된 웨트 시트 포장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웨트 시트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기재 시트를 접는 접기 공정과,
접혀진 상기 기재 시트에 약액을 함침시키고, 약액이 함침된 복수의 함침 부분과, 약액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함침 부분을, 이들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약액 함침 공정과,
약액이 함침된 복수의 상기 기재 시트를 적층하는 적층 공정을 포함하는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은,
기재 시트에 약액을 함침시키고, 약액이 함침된 복수의 함침 부분과, 약액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함침 부분을, 이들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약액 함침 공정과,
약액이 함침된 상기 기재 시트를 접는 접기 공정과,
접혀진 상기 기재 시트를 적층하는 적층 공정을 포함하는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웨트 시트를 취출할 때에,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포장체 및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의 대각선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B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의 대각선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트 시트가 접혀진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또한, 접혀진 시트 사이의 간격은 실제보다 확대되어 있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트 시트가 접혀진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A 의 IV-IV 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접혀진 시트 사이의 간격, 적층된 각 시트 사이의 간격은, 실제보다 확대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적층되는 시트의 장수는 실제보다 소수로 되어 있다.
도 5 는, 변형예에 관련된 웨트 시트 적층체의 측면도이다. 또한, 접혀진 시트 사이의 간격, 적층된 각 시트 사이의 간격은, 실제보다 확대되어 있다. 또, 적층되는 시트의 장수는 실제보다 소수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및 웨트 시트 적층체 (110) 가 포장체 (120) 에 수납된 웨트 시트 포장체 (100) 에 대해, 도 1A 내지 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그리고 X 축, Y 축 및 Z 축을 정하여 설명한다. 즉, 웨트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주머니 본체 (121) 에 취출구 (121a) 가 형성된 측을 상, 그 반대측을 하, 웨트 시트 포장체 (10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장변의 일방이 위치하고 있는 측을 후, 그 반대측을 전, 뒤를 향했을 때의 오른쪽을 우, 뒤를 향했을 때의 왼쪽을 좌로 하고, 전후 방향을 따른 축을 X 축, 좌우 방향을 따른 축을 Y 축, 상하 방향을 따른 축을 Z 축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구성]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 (100) 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트 시트 (111) 가 복수 적층되어 형성된 웨트 시트 적층체 (110) 가, 포장체 (120) 에 수납된 것이다.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는, 웨트 시트 (111) 가 소정의 접는 방법으로 접혀진 다음에 적층되고, 이들이 소위 팝업식으로, 최상부의 웨트 시트 (111) 가 들어 올려졌을 때에, 다음 웨트 시트 (111) 도 들어 올려지도록 하고, 이것을 연속해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웨트 시트의 구성)
웨트 시트 (111) 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일반적인 사각형상의 웨트 티슈, 토일렛 클리너, 키친 클리너 등, 기재 시트에 약액이 함침되어 형성된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시트는, 예를 들어, 웨트 티슈이면, 소정의 섬유를 섬유 소재로 하여, 스펀레이스, 에어스루, 에어레이드, 포인트 본드, 스펀 본드, 니들 펀치 등의 주지의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섬유로는, 예를 들어, 레이온, 리오셀, 텐셀,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기재 시트는, 예를 들어, 웨트 티슈이면, 겉보기 중량이 30 내지 100 gsm, 크기가, MD 방향 (초지기 상의 종이의 진행 방향) 으로 100 ㎜ 내지 200 ㎜, CD 방향 (초지기 상의 종이의 진행 방향과 직각인 방향) 으로 100 ㎜ 내지 200 ㎜ 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겉보기 중량은, JIS P 8124 : 2011 에 따라 측정한 평량을 말한다.
기재 시트에 함침되는 약액으로는, 웨트 시트 (111) 의 용도에 따라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웨트 티슈이면, 정제수, 방부제, pH 조정제 등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약액 함침률은 100 질량% 이상, 40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액 함침률이란, 약액 함침 전의 웨트 시트 (111) 의 기재 시트의 질량과, 함침시키는 약액의 질량을 측정하고, 약액 함침 전의 기재 시트의 질량에 대한 함침시키는 약액의 질량의 비율을 산출한 것을 말한다.
또한,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기재 시트에 대한 약액의 함침의 패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웨트 시트의 접는 방법)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는, 복수의 사각형상의 웨트 시트 (111) 각각이 접혀진 다음, 복수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먼저, 각 웨트 시트 (111) 의 접는 방법에 대해 도 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웨트 시트 (111) 는, 웨트 시트 (111) 의 한 변 (당해 변을 제 1 변부 (111a) 라고 하고, 제 1 변부 (111a) 와 대향하는 변을 제 2 변부 (111b) 라고 한다) 과 대략 평행한 제 1 접음선 (111e) 에 있어서, 웨트 시트 (111) 의 일면측 (당해 면을 제 1 면 (111c) 이라고 하고, 이것과 반대측의 면을 제 2 면 (111d) 이라고 한다) 으로 되접혀 있다.
또한, 웨트 시트 (111) 는, 제 1 접음선 (111e) 과 제 1 변부 (111a) 사이에 형성된, 제 1 변부 (111a) 및 제 2 변부 (111b) 와 대략 평행한 제 2 접음선 (111f) 에 있어서, 웨트 시트 (111) 의 제 2 면 (111d) 측으로 되접혀 있다.
또한, 웨트 시트 (111) 는, 제 2 접음선 (111f) 과 제 1 변부 (111a) 사이에 형성된, 제 1 변부 (111a) 및 제 2 변부 (111b) 와 대략 평행한 제 3 접음선 (111g) 에 있어서, 제 1 접음선 (111e) 의 외주를 돌도록, 제 2 면 (111d) 측으로 되접혀 있다.
또한, 웨트 시트 (111) 는, 제 3 접음선 (111g) 과 제 1 변부 (111a) 사이에 형성된, 제 1 변부 (111a) 및 제 2 변부 (111b) 와 대략 평행한 제 4 접음선 (111h) 에 있어서, 제 1 면 (111c) 측으로 되접혀 있다.
또한, 제 4 접음선 (111h) 은, 상기와 같이 제 1 면 (111c) 측으로 되접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과 반대로 제 2 면 (111d) 측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2 변부 (111b) 와 제 1 접음선 (111e) 사이의 부분을 주부 (主部) (111i) 라고 하고, 제 1 접음선 (111e) 과 제 2 접음선 (111f) 사이의 부분을 제 1 되접힘부 (111j) 라고 하고, 제 2 접음선 (111f) 과 제 3 접음선 (111g) 사이의 부분을 제 2 되접힘부 (111k) 라고 하고, 제 3 접음선 (111g) 과 제 4 접음선 (111h) 사이의 부분을 제 3 되접힘부 (111l) 라고 하고, 제 4 접음선 (111h) 과 제 1 변부 (111a) 사이의 부분을 제 4 되접힘부 (111m) 라고 한다.
이 경우, 주부 (111i) 의 폭 (제 1 변부 (111a) 및 제 2 변부 (111b) 와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이, 웨트 시트 (111) 전체의 폭의 40 % 내지 45 % 이고, 제 1 되접힘부 (111j) 의 폭이, 웨트 시트 (111) 전체의 폭의 14 % 내지 20 % 이고, 제 2 되접힘부 (111k) 의 폭이, 웨트 시트 (111) 전체의 폭의 14 % 내지 20 % 이고, 제 3 되접힘부 (111l) 의 폭이, 웨트 시트 (111) 전체의 폭의 17 % 내지 23 % 이고, 제 4 되접힘부 (111m) 의 폭이, 웨트 시트 (111) 전체의 폭의 1 % 내지 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접음선 (111g) 을, 제 1 접음선 (111e) 의 외주를 돌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제 2 되접힘부 (111k) 의 폭은, 제 1 되접힘부 (111j) 의 폭보다 크거나 동일할 필요가 있다.
또, 제 4 되접힘부 (111m) 는, 상하 방향으로 제 1 되접힘부 (111j) 및 제 2 되접힘부 (111k) 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제 4 접음선 (111h) 및 제 4 되접힘부 (111m) 는, 이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가 아니며, 이들을 구비하지 않고, 제 1 변부 (111a) 에 이를 때까지 제 3 되접힘부 (111l) 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 1 변부 (111a) 및 제 2 변부 (111b) 가, 사각형상의 웨트 시트 (111) 의 단변이고, 제 1 접음선 (111e), 제 2 접음선 (111f), 제 3 접음선 (111g) 및 제 4 접음선 (111h) 이, 웨트 시트 (111) 의 단변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고, 웨트 시트 (111) 가 길이 방향으로 되접힘으로써, 접혀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웨트 시트 (111) 의 길이 방향이, 웨트 시트 적층체 (11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폭 방향이 되도록, 웨트 시트 적층체 (110)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를 컴팩트하게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를 컴팩트하게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제 1 접음선 (111e), 제 2 접음선 (111f), 제 3 접음선 (111g) 및 제 4 접음선 (111h) 이, 웨트 시트 (111) 의 장변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고, 웨트 시트 (111) 가 폭 방향으로 되접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액의 함침 패턴)
웨트 시트 (111) 각각에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약액이 함침된 복수의 함침 부분 (W) 과, 약액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함침 부분 (D) 이 교대로 배치된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약액이 함침되어 있다.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을 합친 스트라이프의 개수는, 접혀진 상태의 웨트 시트 (111)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2 개 내지 20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4 개 내지 10 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웨트 시트 (111) 를 펼친 상태에 있어서, 4 개 내지 30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개 내지 20 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약액이 일절 함유되지 않은 부분뿐만 아니고, 적층 후에 주위의 웨트 시트 (111) 의 함침 부분 (W) 의 영향으로, 약간 약액이 함유되어 버린 부분도, 비함침 부분 (D) 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웨트 시트 (111)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트 시트 (111) 에 형성된 각 접음선과 평행한 스트라이프상이 되고, 웨트 시트 (111) 에 형성된 각 접음선과 직교하는 방향 (도 3 에 있어서의 X 방향) 에 있어서,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하여, 약액이 함침되어 있다.
또, 함침 부분 (W) 은, 기재 시트에 형성된 각 접음선과 직교하는 방향 (도 3 에 있어서의 X 방향) 으로, 2 ㎜ 내지 40 ㎜ 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 내지 20 ㎜ 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비함침 부분 (D) 은, 기재 시트에 형성된 각 접음선과 직교하는 방향 (도 3 에 있어서의 X 방향) 으로 2 ㎜ 내지 40 ㎜ 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 내지 20 ㎜ 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트의 신장}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를 구성하는 웨트 시트 (111) 는, 이하의 시험 방법에 의해, 1.5 N 의 힘을 가했을 때의 신장이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웨트 시트 (111) 의 신장은, 약액이 함침된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에 대해,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으로 형성되는 스트라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50 ㎜ 가 되도록 재단한 후, 이것을,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으로 형성되는 스트라이프를 따른 방향으로, 1.5 N 으로 인장했을 때의 신장을, 인장 시험기 (주식회사 A&D 제조 TENSILON RTG1210) 를 사용하여, 척간 거리 100 ㎜, 속도 100 ㎜/min 으로 계측한 값이다.
또한, 웨트 시트 (111) 의 신장은, 기재 시트에 대한 바인더의 첨가나, 기재 시트가 스펀레이스 부직포이면, 형성시의 수압을 높게 하여, 압축률을 높이는 것 등에 의해 작게 할 수 있다.
(시트의 적층 방법)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는, 상기와 같이 접혀지고, 약액이 함침된 웨트 시트 (111) 가, 주부 (111i) 에 있어서 제 2 면 (111d) 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복수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변부 (111a) 측과, 제 2 변부 (111b) 측이 반대를 향하도록 배치된 웨트 시트 (111) 가 교대로 겹쳐짐으로써, 웨트 시트 적층체 (110)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의 제 2 변부 (111b) 근방은, 최상부의 웨트 시트 (111) 를 제외하고, 하나 상부의 웨트 시트 (111) 의 제 1 되접힘부 (111j) 와 주부 (111i) 사이에 끼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하방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의 제 2 변부 (111b) 근방이, 하나 상부의 웨트 시트 (111) 의 제 1 되접힘부 (111j) 와 주부 (111i) 사이에 끼이는 폭은, 하방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의 폭의 5 % 내지 3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겹치지 않고,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웨트 시트 (111) 가 적층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적층할 수도 있고, 각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과 겹치는 부분과 겹치지 않는 부분의 양자가 발생하도록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웨트 시트 (111) 를 적층하는 장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40 장 내지 80 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
포장체 (120) 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에 웨트 시트 (111) 를 1 장씩 취출하는 취출구 (121a) 가 형성된 주머니 본체 (121) 와, 취출구 (121a) 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게 덮는 덮개재 (122) 로 구성되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웨트 시트 적층체 (110) 가 수납되어 사용된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4 에 있어서는,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를 형성하는 웨트 시트 (111) 의 제 1 변부 (111a) 및 제 2 변부 (111b) 가, 포장체 (12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주머니 본체)
주머니 본체 (121) 는, 시트재에 의해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 시트의 단재 혹은 복합재, 또는 이들 합성 수지 시트와 알루미늄 포일 혹은 종이 등을 첩합한 복합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시트재의 두께는, 40 ㎛ 내지 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주머니 본체 (121) 를 구성하는 시트재는, 주머니 본체 (121) 의 바닥면측에서 주머니 본체 (12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합되고, 센터 시일부 (121b) 를 구성함과 함께, 주머니 본체 (121) 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서 접속되고, 엔드 시일부 (121c, 121c) 를 구성하고 있다.
주머니 본체 (121) 의 크기는, 수납되는 웨트 시트 적층체 (110) 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지만, 포장체 (120) 를 불필요하게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사용 개시시에 있어서의 웨트 시트 (111) 의 취출이 곤란해지지 않도록,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를 약간의 여유를 갖고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취출구)
주머니 본체 (121) 의 상면에 형성된 취출구 (121a)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형이 바람직하고, 또한, 인출되는 웨트 시트 (111) 에 적절한 저항을 가하기 위해, 취출구 (121a) 의 크기는, 취출구 (121a) 의 길이 방향으로 30 ㎜ 내지 50 ㎜, 폭 방향으로 10 ㎜ 내지 3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 방향으로 35 ㎜ 내지 45 ㎜, 폭 방향으로 13 ㎜ 내지 18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길이 방향이, 내부에 수납된 웨트 시트 (111) 의 각 접음선의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121a)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내부의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를 구성하는 웨트 시트 (111) 의, 제 3 되접힘부 (111l) 및 제 4 되접힘부 (111m) 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취출구 (121a) 로부터,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만이 보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 3 되접힘부 (111l) 또는 제 4 되접힘부 (111m) 를 잡아 웨트 시트 (111) 를 인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재)
덮개재 (122) 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 (121) 와는 별체의 시트편에 의해, 취출구 (121a) 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게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재 (122) 를 구성하는 시트편의 재질로는, 주머니 본체 (121) 를 구성하는 시트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덮개재 (122) 를 구성하는 시트편의 두께는, 주머니 본체 (121) 를 구성하는 시트재보다 두껍고, 60 ㎛ 내지 8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재 (122) 의 형상은, 취출구 (121a) 를 완전히 덮을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사각형상, 타원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덮개재 (122) 의 이면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고무계 등의 감압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덮개재 (122) 는, 취출구 (121a) 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게 덮도록 주머니 본체 (121) 에 접착된다.
또, 덮개재 (122) 는, 일단부가 주머니 본체 (121) 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단부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부 (122a) 가 형성되고, 손잡이부 (122a) 의 하면에만 상기 감압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손잡이부 (122a) 를 이용하여 덮개재 (122) 를 개폐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조 방법}
다음으로,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 (100) 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1 : 접기 공정)
먼저, 각 웨트 시트의 기재 시트에 대해, 제 1 변부 (111a) 근방을, 제 1 면 (111c) 측으로 접어 제 4 접음선 (111h) 을 형성한 후, 제 4 접음선 (111h) 으로부터 제 2 변부 (111b)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있어서, 제 2 면 (111d) 측으로 접음으로써, 제 2 접음선 (111f) 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접음선 (111f) 에 있어서 접혀져 기재 시트가 이중으로 겹친 부분을, 겹친 상태인 채로, 제 4 접음선 (111h) 과 반대측으로 접음으로써, 제 1 접음선 (111e) 및 제 3 접음선 (111g) 을 한꺼번에 형성한다.
이로써, 각 웨트 시트 (111) 의 기재 시트에 대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다.
(스텝 2 : 약액 함침 공정)
계속해서, 스텝 1 에 있어서 접혀진 기재 시트에 약액을 함침시킨다.
이 때에는, 예를 들어 약액 도포 노즐을 사용하여, 기재 시트에 약액을 함침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시트에 형성된 접음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약액 도포 노즐 아래를, 약액 도포 노즐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기재 시트에 형성된 접음선과 평행한 방향) 으로 이동시키면서 통과시킴으로써, 기재 시트에 약액을 함침시킨다.
이 약액 도포 노즐에는, 하방으로 약액을 분출하기 위한 미세한 분출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분출공이 형성된 부분이, 기재 시트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웨트 시트 (111) 의 함침 부분 (W) 과 일치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약액 도포 노즐 아래를 통과한 기재 시트에 대해, 복수의 함침 부분 (W) 과 복수의 비함침 부분 (D) 을, 이들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약액의 함침 방법은, 상기와 같이 노즐로부터 약액을 분출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및 비함침 부분 (D) 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약액을 도포하는 롤을 사용하여, 롤 전사해도 된다.
(스텝 3 : 적층 공정)
계속해서, 기재 시트가 접혀진 후에, 약액이 함침되어 형성된 웨트 시트 (111) 에 대해, 주부 (111i) 에 있어서 제 2 면 (111d) 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복수 적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변부 (111a) 측과 제 2 변부 (111b) 측이 반대를 향하도록 배치된 웨트 시트 (111) 가 교대로 겹쳐지고, 또한, 각각의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의 제 2 변부 (111b) 근방이, 최상부의 웨트 시트 (111) 를 제외하고, 하나 상부의 웨트 시트 (111) 의 제 1 되접힘부 (111j) 와 주부 (111i) 사이에 끼이도록, 소정 장수의 웨트 시트 (111) 를 적층함으로써,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를 형성한다.
(스텝 4 : 포장 공정)
형성된 웨트 시트 적층체 (110) 에 대해, 포장체 (120) 의 주머니 본체 (121) 를 형성하는 시트재에 의해 감싼 다음, 당해 시트재를, 주머니 본체 (121) 의 바닥면측에서 주머니 본체 (12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합하여, 센터 시일부 (121b) 를 형성함과 함께, 주머니 본체 (121) 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서 접속시켜, 엔드 시일부 (121c, 121c) 를 형성함으로써, 주머니 본체 (121) 내에 수납한다.
이 후, 주머니 본체 (121) 의 취출구 (121a) 를 덮도록 하여, 덮개재 (122) 를 첩부한다.
[실시형태의 효과]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 (100) 에 의하면,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트 시트 적층체 (110) 를 형성하는 각 웨트 시트 (111) 에 대해, 웨트 시트 적층체 (11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복수의 함침 부분 (W) 과 복수의 비함침 부분 (D) 이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이것이 적층되어 있다.
웨트 시트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 상하의 웨트 시트 사이의 약액이 수소 결합함으로써, 웨트 시트끼리를 강하게 첩부시키고, 이것이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는 요인이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상하의 웨트 시트 사이의 첩부를 약하게 할 수 있어,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동일한 면적의 비함침 부분을 형성해도, 예를 들어, 웨트 시트를 이분하도록 하여, 함침 부분과 비함침 부분을 형성한 경우 등, 웨트 시트 적층체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단일한 함침 부분의 면적이 넓어지는 경우, 당해 함침 부분에 있어서 웨트 시트끼리가 강하게 첩부되어 버려, 충분히 연이어짐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웨트 시트 적층체 (11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복수의 함침 부분과 복수의 비함침 부분이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웨트 시트끼리의 첩부를, 그 전체면에 대해 균일에 가까운 형태로 약하게 할 수 있어, 웨트 시트의 연이어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웨트 시트의 연이어짐을 방지하는 효과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겹치지 않고, 엇갈리게 교대로 배치되도록 각 웨트 시트 (111) 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와, 함침 부분 (W) 끼리가 접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점에서, 가장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웨트 시트의 연이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엇갈리게 배치된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먼저, 각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겹치는 부분과 겹치지 않는 부분의 양자가 발생하도록 적층된 경우에 있어서는, 함침 부분 (W) 끼리가 접하는 부분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그 면적은 좁고, 동시에 비함침 부분 (D) 끼리가 접하는 부분 및 비함침 부분 (D) 과 함침 부분 (W) 이 접하는 부분도 형성되는 점에서, 웨트 시트 (111) 의 전체에 약액이 함침된 경우와 비교하여, 웨트 시트 (111) 끼리의 첩부를 약하게 할 수 있어,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이 엇갈리게 배치된 경우에는 떨어지기는 하지만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각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함침 부분 (W) 끼리가 접하는 부분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동시에 비함침 부분 (D) 끼리가 접하는 부분도 형성되는 점에서, 웨트 시트 (111) 의 전체에 약액이 함침된 경우와 비교하여, 웨트 시트 (111) 끼리의 첩부를 약하게 할 수 있어,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떨어지기는 하지만 일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 (100) 에 의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의 웨트 시트 (111) 가 겹친 부분에 있어서, 상측의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제 3 되접힘부 (111l) 및 제 4 되접힘부 (111m) 와, 제 1 되접힘부 (111j) 및 제 2 되접힘부 (111k) 사이에, 하측의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의 제 2 변부 (111b) 근방이 끼이는 형태가 되어, 6 층으로 시트가 겹치게 된다.
이로써, 웨트 시트 (111) 를, 주부 (111i) 를 잡아, 제 2 변부 (111b) 부근으로부터 포장체 (120) 의 취출구 (121a) 를 사용하여 인출할 때의 저항이 커져, 큰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웨트 시트 (111) 가 취출되지 않게 되는 점에서, 1 장의 웨트 시트 (111) 를 취출할 때에, 그 바로 아래의 웨트 시트 (111) 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효과는, 제 4 접음선 (111h) 및 제 4 되접힘부 (111m)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높아지지만, 이들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5 층의 시트재가 겹치는 점에서, 일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 장의 웨트 시트 (111) 를 포장체 (120) 의 취출구 (121a) 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상기의 겹친 부분에 큰 저항이 걸려, 제 1 접음선 (111e) 및 제 3 접음선 (111g) 이 벌어지고, 주부 (111i) 와 제 1 되접힘부 (111j) 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로써, 주부 (111i) 와 제 1 되접힘부 (111j) 사이에 끼여 있었던, 다음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의 제 2 변부 (111b) 근방이 개방되어, 다음 시트가 빠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1 장의 웨트 시트 (111) 를 취출할 때에, 그 바로 아래의 웨트 시트 (111) 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 (100) 에 의하면, 웨트 시트 (111) 를, 주부 (111i) 를 잡아 포장체 (120) 의 취출구 (121a) 로부터 인출할 때에, 제 2 접음선 (111f) 이 잘 펼쳐지지 않는 점에서, 제 1 변부 (111a) 부근이, 제 2 접음선 (111f) 에 있어서 접혀진 상태인 채로, 웨트 시트 (111) 가 취출되게 된다.
종래의 Z 자상으로 접혀진 것에 있어서는, 웨트 시트 (111) 전체가 신장된 상태에서 취출되는 점에서, 웨트 시트 (111) 의 취출시에 사용자가 잡은 것과 반대측의 단부 부근이, 취출시의 저항에 의해 신장되어 버리기 쉽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당해 단부 부근이 접혀진 상태인 채로 취출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우려도 저감시킬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 시트를 접은 후에, 이것에 약액을 함침시키고, 이 후에 웨트 시트를 적층시켜, 웨트 시트 적층체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기재 시트에 스트라이프상으로 약액을 함침시킨 후에, 이것을 도 2 에 나타내는 접는 방법으로 접고, 이 후에 도 4 에 나타내는 적층 방법으로 웨트 시트를 적층시켜, 웨트 시트 적층체로 해도 된다.
또, 기재 시트를 도 2 에 나타내는 접는 방법으로 접은 후에, 도 4 에 나타내는 적층 방법으로 적층시켜 적층체로 한 후에, 약액을 함침시켜 웨트 시트 적층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 경우, 각 웨트 시트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적층된 웨트 시트 적층체밖에 형성할 수 없고, 또한, 웨트 시트 적층체를 형성하는 웨트 시트의 수가 많아, 웨트 시트 적층체가 상하로 두꺼운 경우에, 약액이 도포되는 상면으로부터 떨어진 하방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에 있어서,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라이프상의 패턴이 명확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는 않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이, 접음선과 평행한 방향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Y 방향) 을 따른 스트라이프상이 되고, 접음선과 직교하는 방향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X 방향) 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반대로,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이, 접음선과 직교하는 방향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X 방향) 을 따른 스트라이프상이 되고, 접음선과 평행한 방향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Y 방향) 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웨트 시트의 접음선에 대해 비스듬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단, 제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이, 웨트 시트의 접음선과 평행한 방향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Y 방향) 을 따른 스트라이프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웨트 시트 (111) 가 도 2 에 나타내는 접는 방법으로 접혀지고, 이것이 도 4 에 나타내는 적층 방법으로 적층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웨트 시트의 접는 방법 및 그 적층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와 같이 Z 자상으로 접혀진 웨트 시트 (111A) 가, 일부가 겹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 웨트 시트 적층체 (110A) 에 있어서도,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을, 웨트 시트 적층체 (110A)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이들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웨트 시트 (111A)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A)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겹치지 않고, 엇갈리게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웨트 시트 (111A) 에 있어서의 접음선과 평행한 방향 (도 5 에 있어서의 Y 방향) 을 따른 스트라이프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 웨트 시트 (111) 가 연이어 취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각 웨트 시트 (111) 가 도 2 에 나타내는 접는 방법으로 접혀지고, 이것이 도 4 에 나타내는 적층 방법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에 대해, 웨트 시트끼리의 달라붙는 힘의 측정 및 취출시에 연이어 취출되어 버리는 확률에 관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웨트 시트 적층체)
<기재 시트의 구성>
크기 : MD 방향 135 ㎜, CD 방향 175 ㎜ 의 사각형상
섬유 재료 : 레이온 50 질량%,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0 질량%
제법 : 스펀레이스 부직포
겉보기 중량 : 30 gsm
<약액의 구성>
성분 : 정제수를 99 질량% 이상, 방부제 (벤조산, 페녹시에탄올 등) 를 1 질량% 미만
약액 함침률 : 230 %.
<적층·함침 방법>
기재 시트에 대해, MD 방향과 평행한 접음선에 의해, 제 1 접음선 (111e), 제 2 접음선 (111f), 제 3 접음선 (111g) 및 제 4 접음선 (111h) 을 형성하고, 주부 (111i) 가 CD 방향으로 75 ㎜ 의 폭, 제 1 되접힘부 (111j) 가 CD 방향으로 30 ㎜ 의 폭, 제 2 되접힘부 (111k) 가 CD 방향으로 30 ㎜ 의 폭, 제 3 되접힘부 (111l) 가 CD 방향으로 35 ㎜ 의 폭, 제 4 되접힘부 (111m) 가 CD 방향으로 5 ㎜ 의 폭이 되도록, 도 2 에 나타내는 접는 방법으로 접었다.
이와 같이 접혀진 기재 시트에 대해, MD 방향과 평행이 되고, CD 방향에 있어서 함침 부분 (W) 과 비함침 부분 (D) 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으로 약액을 함침시켰다.
구체적으로는, 접혀진 상태의 기재 시트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함침 부분 (W) 이 CD 방향으로 약 12.5 ㎜ (12 ∼ 13 ㎜) 의 폭으로 3 개, 비함침 부분 (D) 이 CD 방향으로 약 12.5 ㎜ (12 ∼ 13 ㎜) 의 폭으로 3 개 형성되는 스트라이프상이 되고, 제 2 변부 (111b) 가 형성된 측의 기재 시트의 단부가 함침 부분 (W) 이 되도록, 약액을 함침시켰다. 또한, 이 경우, 기재 시트를 펼친 상태로 하면, 함침 부분 (W) 이 CD 방향으로 7 개, 비함침 부분 (D) 이 CD 방향으로 7 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웨트 시트 (111) 를, 하방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의 주부 (111i) 의 제 2 변부 (111b) 근방이, 하나 상부의 웨트 시트 (111) 의 제 1 되접힘부 (111j) 와 주부 (111i) 사이에, CD 방향으로 20 ㎜ 의 폭으로 끼이도록 하여,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0 장 적층하였다.
또한, 각 웨트 시트 (111) 에 있어서의 함침 부분 (W) 이, 그 하나 위 및 하나 아래에 위치하는 웨트 시트 (111) 의 함침 부분 (W) 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함침 부분 (W) 끼리가 겹치는 부분과 겹치지 않는 부분의 양자가 발생하도록 적층하였다.
<시트의 신장>
단락 0030 에 기재된 방법으로 1.5 N 의 힘을 가했을 때의 웨트 시트의 신장이 71.6 ㎜ 였다.
(포장체)
<주머니 본체>
시트재 : 재료 PET/LLDPE, 두께 62 ㎛
형상 :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내는 필로 포장형.
크기 : 엔드 시일부 (121c, 121c) 를 제외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단면 (도 1A 및 도 1B 에 있어서의 YZ 면을 따른 단면) 에 있어서, 내면측의 둘레 길이가 360 ㎜ 가 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단면 (도 1A 및 도 1B 에 있어서의 XZ 면을 따른 단면) 에 있어서, 내면측의 둘레 길이가 260 ㎜
취출구 : 장경 35 ㎜, 단경 15 ㎜ 의 타원형. 주머니 본체의 상면의 중앙에 형성하였다. 또한, 덮개재를 벗겨, 취출구를 개방 상태로 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단락 0030 에 기재된 방법으로 1.5 N 의 힘을 가했을 때의 웨트 시트의 신장을 101.0 ㎜ 로 하였다.
또한, 웨트 시트의 신장은, 기재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 재료의 배합은 실시예 1 과 변함 없고, 스펀레이스 부직포 형성시의 수압을 약하게 하고, 기재 시트의 압축을 약하게 함으로써, 실시예 1 보다 크게 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비교예 1}
약액을 기재 시트의 전체에 대해, 균일하게 함침시킨 것이다. 또한, 함침의 패턴을 스트라이프상으로부터 전체에 균일한 것으로 변경했을 뿐으로, 약액 함침률은 실시예 1 와 마찬가지로 230 % 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시험 방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련된 웨트 시트 포장체를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트끼리의 달라붙는 힘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웨트 시트 포장체에 대해, 웨트 시트끼리의 달라붙는 힘에 대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웨트 시트 적층체를 포장체로부터 취출한 다음, 디지털 포스 게이지 (IMADA, DS2-200N) 를, 웨트 시트 (111) 의, 포장체에 포장되어 있었을 때에 취출구 (121a) 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겹쳐 있던 부분에 접속시키고, 당해 상태에서 웨트 시트 (111) 를 수직 방향으로 인장하여, 하나 아래의 시트로부터 떼어낼 때에 가해진 힘의 최대값을 1 ∼ 79 장째까지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취출시에 연이어 취출되어 버리는 확률에 관한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웨트 시트 포장체에 대해, 웨트 시트를 복수 장 연속해서 취출하고, 그 때에 연이어 취출되어 버리는 확률을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시트 포장체에 대해, 상면을 누르지 않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근방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한 손으로 누른 상태 (일측면에 엄지가 닿고, 이것과 대향하는 다른 측면에 중지 및 검지가 닿고, 이들로 끼워 넣는 상태) 에서, 1 장씩 웨트 시트를 인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웨트 시트가 80 장 수납된 상태로부터, 1 장씩, 80 장 전부를 인출하였다.
또한, 1 장 취출했을 때에 그 아래의 시트가 연이어 나와, 2 장째의 시트가, 포장체로부터 완전하게 취출되어 버린 경우에, 연이어 취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와 같은 시트의 수를 세었다.
또, 2 회의 시험을 실시하여, 그 평균을 연이어 취출된 장수로 하였다. 따라서, 예를 들어 1 회째가 1 장, 2 회째가 0 장이면, 연이어 취출된 장수는, 0.5 장이라는 것이 된다.
[시험 결과]
시험의 결과를 표 I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1034452926-pct00001
[평가]
실시예 1 과 비교예 1 의 비교로부터, 복수의 함침 부분 (W) 과 복수의 비함침 부분 (D) 이, 웨트 시트 적층체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약액이 함침된 웨트 시트에 의해 웨트 시트 적층체를 형성함으로써, 약액을 전체에 대해 균일하게 함침시킨 웨트 시트에 의해 웨트 시트 적층체를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시트끼리의 달라붙는 힘이 약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 장의 시트를 인출할 때에, 인출하는 시트에 의해, 그 아래의 시트가 달라붙어 인장되는 힘이 약해지는 점에서, 시트가 연이어 인출되기 어려워진다.
또, 실제의 인출 시험에 있어서도, 복수의 함침 부분 (W) 과 복수의 비함침 부분 (D) 이, 웨트 시트 적층체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약액이 함침된 웨트 시트에 의해 웨트 시트 적층체를 형성함으로써, 약액을 전체에 대해 균일하게 함침시킨 웨트 시트에 의해 웨트 시트 적층체를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연이어 취출되는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 과 실시예 2 의 비교로부터, 단락 0030 에 기재된 방법으로 1.5 N 의 힘을 가했을 때의 신장이 100 ㎜ 이하가 되는 웨트 시트에 의해 웨트 시트 적층체를 형성함으로써, 웨트 시트가 연이어 취출되는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웨트 시트 적층체 및 웨트 시트 포장체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0 : 웨트 시트 포장체
110, 110A : 웨트 시트 적층체
111, 111A : 웨트 시트
111a : 제 1 변부
111b : 제 2 변부
111c : 제 1 면
111d : 제 2 면
111e : 제 1 접음선
111f : 제 2 접음선
111g : 제 3 접음선
120 : 포장체
121a : 취출구
W : 함침 부분
D : 비함침 부분

Claims (8)

  1. 접혀진 복수 장의 웨트 시트가, 하나의 웨트 시트의 단부가 다른 웨트 시트의 되접힘 부분에 끼워 넣어지도록 적층된 웨트 시트 적층체로서,
    상기 웨트 시트는, 기재 시트에 대해, 약액이 함침된 함침 부분과, 약액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비함침 부분이 발생하도록 약액이 함침되고,
    상기 함침 부분과 상기 비함침 부분은,
    상기 기재 시트가 접혀진 상태로 복수의 상기 함침 부분과 복수의 상기 비함침 부분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분과, 그 하나 위에 배치된 다른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분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겹치지 않고,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비함침 부분과, 그 하나 위에 배치된 다른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비함침 부분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시트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분과 상기 비함침 부분은, 상기 웨트 시트 적층체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웨트 시트의 접음선과 평행한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시트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트 시트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변과 대략 평행한 제 1 접음선에 있어서 당해 웨트 시트의 일면측으로 되접히고,
    상기 제 1 접음선과 상기 한 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한 변과 대략 평행한 제 2 접음선에 있어서 당해 웨트 시트의 타면측으로 되접히고,
    상기 제 2 접음선과 상기 한 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한 변과 대략 평행한 제 3 접음선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음선의 외주를 돌도록, 당해 웨트 시트의 상기 타면측으로 되접혀 있고,
    복수의 상기 웨트 시트가,
    상기 제 1 접음선과, 상기 한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타면측이 위를 향하고,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의 상기 한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이,
    다른 상기 웨트 시트의 상기 제 1 접음선과 상기 제 2 접음선 사이의 부분과,
    다른 상기 웨트 시트의 상기 제 1 접음선과 상기 한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 사이의 부분
    사이에 끼이도록 하여,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 위에 다른 상기 웨트 시트가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시트 적층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트 시트 적층체가, 취출구를 구비한 포장체에 수납된, 웨트 시트 포장체.
  5. 기재 시트를 접는 접기 공정과,
    접혀진 상기 기재 시트에 약액을 함침시키고, 약액이 함침된 복수의 함침 부분과, 약액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함침 부분을, 상기 기재 시트가 접혀진 상태로 복수의 상기 함침 부분과 복수의 상기 비함침 부분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약액 함침 공정과,
    약액이 함침된 복수의 상기 기재 시트를, 하나의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분과, 그 하나 위에 배치된 다른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분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겹치지 않고,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비함침 부분과, 그 하나 위에 배치된 다른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비함침 부분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적층하는 적층 공정을 포함하는,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6. 기재 시트에 약액을 함침시키고, 약액이 함침된 복수의 함침 부분과, 약액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함침 부분을, 이들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약액 함침 공정과,
    약액이 함침된 상기 기재 시트를, 상기 기재 시트가 접혀진 상태로 복수의 상기 함침 부분과 복수의 상기 비함침 부분이 교대로 배치되는 스트라이프상으로 되도록 접는 접기 공정과,
    접혀진 상기 기재 시트를, 하나의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분과, 그 하나 위에 배치된 다른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분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겹치지 않고, 하나의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비함침 부분과, 그 하나 위에 배치된 다른 상기 웨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비함침 부분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적층하는 적층 공정을 포함하는,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217008762A 2018-09-28 2019-09-17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포장체 및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616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83631 2018-09-28
JP2018183631A JP6962890B2 (ja) 2018-09-28 2018-09-28 ウェットシート積層体、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及びウェット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PCT/JP2019/036302 WO2020066733A1 (ja) 2018-09-28 2019-09-17 ウェットシート積層体、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及びウェット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220A KR20210064220A (ko) 2021-06-02
KR102616341B1 true KR102616341B1 (ko) 2023-12-20

Family

ID=6995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762A KR102616341B1 (ko) 2018-09-28 2019-09-17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포장체 및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32688B2 (ko)
EP (1) EP3858206A4 (ko)
JP (1) JP6962890B2 (ko)
KR (1) KR102616341B1 (ko)
CN (1) CN112739243B (ko)
WO (1) WO202006673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0168A (ja) * 1999-05-27 2003-01-07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ワイパー及びその製造法
JP2005245862A (ja) * 2004-03-05 2005-09-15 Toa Kiko Kk ウエットシート積層体
JP2014068859A (ja) * 2012-09-28 2014-04-21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シュー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502148A (pt) * 1984-05-11 1986-01-07 Unilever Nv Artigo de limpeza substancialmente seco ao toque
JP3526161B2 (ja) * 1997-02-13 2004-05-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の収納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51954A (ja) * 1997-03-07 1998-09-22 Uni Charm Corp 拭き取り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363704A (en) * 2000-06-23 2002-01-09 Tracey Hannah Meadows Cleaning wipes for fabrics and the like
US7275658B2 (en) * 2004-03-26 2007-10-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er capable of dispensing sheet-like articles
US20070215629A1 (en) * 2006-03-16 2007-09-20 Arthur Wong Sheets having inverting dispensing pattern, dispenser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TW200925068A (en) * 2007-12-10 2009-06-16 Ya-Jing Yang Auxiliary device for controlling single sheet pop-up
JP5651315B2 (ja) * 2009-09-18 2015-01-07 ピジョン株式会社 衛生シート
JP5697360B2 (ja) * 2010-04-12 2015-04-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ワイプ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14199409A1 (ja) * 2013-06-10 2014-12-18 Yamada Kikuo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6188234B2 (ja) 2014-03-31 2017-08-30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シュー積層体入り容器の製造方法
US20160031632A1 (en) * 2014-07-30 2016-02-04 The Clorox Company Pop-up wipes dispensing system for substantially dry wipes
JP6917686B2 (ja) * 2016-08-30 2021-08-11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
GB2558580A (en) 2017-01-06 2018-07-18 Khattak Yasser Rolling pap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0168A (ja) * 1999-05-27 2003-01-07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ワイパー及びその製造法
JP2005245862A (ja) * 2004-03-05 2005-09-15 Toa Kiko Kk ウエットシート積層体
JP2014068859A (ja) * 2012-09-28 2014-04-21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シュー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93091A1 (en) 2021-12-23
EP3858206A1 (en) 2021-08-04
CN112739243A (zh) 2021-04-30
CN112739243B (zh) 2022-05-24
JP6962890B2 (ja) 2021-11-05
US11432688B2 (en) 2022-09-06
EP3858206A4 (en) 2022-06-22
KR20210064220A (ko) 2021-06-02
WO2020066733A1 (ja) 2020-04-02
JP2020049123A (ja)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152B2 (en) Wet tissue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of wet tissue package and manufacturing device of wet tissue package
KR100673358B1 (ko) 물티슈 적층체와 이것이 수납된 제품
JP6429664B2 (ja) 拭き取りシート
WO2020004025A1 (ja) 衛生薄葉紙包装体
JP2008202153A (ja) ウエットシート用シート基材
JP6917686B2 (ja)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
JP5841463B2 (ja) 汚れ拭きシート、汚れ拭きシート包装体、及び汚れ拭き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2105400A1 (ja) 折り畳みパックシート配列体及びパックシート包装体
KR102616341B1 (ko) 웨트 시트 적층체, 웨트 시트 포장체 및 웨트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H09234167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積層体
JP7248423B2 (ja) シート積層体及びシート包装体
RU2782836C2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блок влажных листов, пачка с влажными листам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блока влажных листов
JP7133369B2 (ja) シート積層体及びシート包装体
TW550060B (en) Sheet housing
JP7470582B2 (ja) ウェットティシュー製品
JP3241433U (ja) シートパック
JP4338955B2 (ja) シート及び包装体入りシート
EP4289763A1 (en) Wipe package with enlarged dispensing aperture
JP6150484B2 (ja) ウェットティシュー積層体入り容器
JP5394149B2 (ja) シート積層体及びシート包装体
JP2002211664A (ja) 積層シートの収納体
JP2005000399A (ja) 乾式拭き取り用シート及びフロア清掃用製品
JP5269561B2 (ja) 化粧用シート
JP2011212145A (ja) キッチンペー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