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734B1 -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 Google Patents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734B1
KR102611734B1 KR1020200150016A KR20200150016A KR102611734B1 KR 102611734 B1 KR102611734 B1 KR 102611734B1 KR 1020200150016 A KR1020200150016 A KR 1020200150016A KR 20200150016 A KR20200150016 A KR 20200150016A KR 102611734 B1 KR102611734 B1 KR 10261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apple
fermentation
vitamin
fermented
soy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000A (ko
Inventor
박노흥
조재현
Original Assignee
박노흥
조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흥, 조재현 filed Critical 박노흥
Priority to KR102020015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7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비타민C를 이용하여 파인애플의 자체효소를 활성화한 발효액을 제조하여 콩의 항산화 활성을 증대시키고 저분자 펩타이드의 제조와 아미노산을 만드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Production method of fermented Soybean using Pineapple}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이용한 파인애플 효소 발효물로 콩을 발효하여 간장이나 아미노산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콩은 두부, 간장, 된장, 식품의 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대표적인 콩 발효식품은 간장이라고 볼 수 있다. 보통 간장이라 함은 콩을 증자하여 메주를 쑤어서 2-3개월 발효시켜 20%의 소금물에 6개월 이상을 숙성 시킨 후에 용액을 취하는 발효간장과 대두박을 염산으로 분해하여 만드는 아미노산 간장이 있다.
전통적으로 간장을 제조할 때는 메주를 만드는 과정을 거치는데 메주는 여러 가지 종류의 미생물과 곰팡이가 번식하여 좋지 않은 맛과 불쾌한 냄새가 나는 단점이 있고, 표준화된 정형의 간장을 만들기가 쉽지 않아 일관공정으로 제조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조선간장에서의 문제점은 메주나 청국장을 숙성 시킬 때 고초균(Bacillus subtilis )이라는 부패균을 이용함으로 맛은 진하나, 암모니아냄새, 메주 띄우는 냄새 등이 나타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콩에는 떫은맛을 내는 분해하기가 어려운 사슬형태로 구성된 피틴(Pytin)이 약12% 포함되어 있는데, 이 피틴은 철, 칼슘, 마그네슘이 결합한 킬레이트염으로 구성되어 있어 분해하기 어렵고 분해를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고 또한 오랜 시간 분해를 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부패방지를 위해 다량의 소금을 이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콩은 단백질의 구조가 단단하여 고초균의 도움이 없이는 완전 분해가 어려우므로 콩을 볶거나 증자한 것, 뻥튀기 한 것을 파쇄하여 사용하면 발효가 빨라진다.
콩의 성분에 물이 8.6%, 탄수화물이 30%가있는데 뻥튀기를 하면 높은 온도와 압력을 순간적으로 대기압으로 만들면서 물분자가 1200배이상의 체적을 가지며 만든 이것이 콩이 가진 치밀한 미셀(micelle)을 분해하는 것으로 이때에 단백질결합에 틈을 만드는 팽윤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대두박은 콩에서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로 단백질이 45%로 많이 함유하고 있어 저렴한 간장 제조에 사용한다.
등록특허 10-1755789 는 숙성중에 황화수소의 구린내의 문제점이 있고 청국장에 비타민C를 사용하나, 본발명은 파인애플효소 발효물을 뻥튀기한 콩가루에 사용하여 속성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다르다.
신현재박사의 춤추는 효소에서 보면 효소는 식물의 외부와 내부, 세포질, 핵속에 60종류 이상이 존재한다고 기술하였다.
돈피와 생선간장, 콩 같은 단백질은 발효에 긴 시간이 걸리며 고용량의 소금을 사용하나 발효에 대한 기전 설명이 부족 한 것을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제목인 오토파지가 국내 연구진에 의하여 생선간장이 오토파지에 의한 결과물로 밝혀졌으므로 본 발명도 같은 것으로 추측된다.
파인애플은 다년생 초목으로 남미 북부와 중미가 원산지이며, 산도와 당도가 적당하고 과즙이 풍부하여 매우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도 가치를 갖춘 팔방미인 과일이라고 불리며 고기를 파인애플과 함께 재우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파인애플에 함유된 브로멜라인과 파파인이라는 복합효소때문이며 육류의 이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파파야, 파인애플, 키위, 무화과즙, 배즙 등을 이용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그 중 가장 효과가 좋은 파인애플을 사용하여 동물, 식물, 해조류를 파인애플 발효물과 비타민C를 추가하여 발효하면 담체가 속성으로 발효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기존의 등록특허 10-1541007 단백질 분해용 발효액의 제조방법 에서는 과육을 착즙하고, 과즙에 펙틴나제(pectinase)를 처리하여 파인애플에 존재하는 프로테아제(cysteineprotesase)인 브로멜라인(bromelain)이라는 단백질분해효소를 투입하는 것이 본 발명의 자체효소를 이용하는 것과 다르며 등록특허 10-1394230저분자 콜라겐의 제조방법에서는 펩신과 균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과 다르다.
또한 비타민C외에 별도의 약품을 사용하지 않아 부생성물들이 생성되지 않아 수득률이 높으며 최종적으로 열분해 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하며, 복잡한 장비가 필요 없어 매우 경제적이다.
파인애플 발효는 똑같은 방법을 두 번 사용하는 이유로 일단계 발효는 효소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이며 이단계 발효는 대량 생산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재료는 파인애플의 과육, 꼭지, 껍질, 잎, 뿌리, 줄기, 속심으로 항산화, 항염, 항암활성 등의 생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졌으나 맛이 없고 소화의 문제점이 있어 인간이 먹지 않는 파인애플의 껍질을 재료로 사용하여 원료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비타민 C는 강력한 환원 작용을 하는 물질로 많이 먹어도 몸에 이상이 없는 물질로 음식료에 사용하면 색을 변하게 하거나, 찌린내를 내게 하여 식품제조에서는 부정적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공기를 차단하고 파인애플 발효물과 비타민 C로 단백질을 발효하면 이취가 나지 않는 발효액을 만든다.
비타민은 효소의 활성화를 돕는 보조인자로 이용되는데 비타민 C도 그 한 종류로 알려져 있다. 효소는 그것을 생산하는 조직을 그 효소 자체에 의한 자기 소화에서 막기 위해 이러한 활성 중심을 봉쇄된 비활성 전구체로 생산되며 그 활성화는 이 봉쇄를 벗어남으로써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특히 비타민 C를 고농도로 사용하면 외부효소와 자체효소간의 방어벽이 무너져 수평적으로 작용하며 작용이 빨라진다고 추측된다.
또한 비타민 C로 발효를 하면 비타민 C의 항산화효과가 식물의 플라보노이드로 이전되어 높은 항산화력이 만들어 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자체 효소발효법과 외부효소를 이용한 발효법으로 동물, 식물, 균류, 해조류를 발효할 수 있는 발명으로 기존의 자체효소발효에서 생체가 아닐 때의 문제점과 여러 가지 복합 한약재료에서 재료에 따른 발효의 시간차를 파인애플이 가진 강력한 효소로 단시간에 해결하였으며 전 공정을 공기 중의 산소를 차단하고 비금속 용기를 사용하여 고농도의 비타민 C와 파인애플 발효액으로 발효하면 이취가 없으며 공정시간을 짧게 하는 특징이 있다.
등록특허 10-1755789 등록특허 10-1541007 등록특허 10-1394230
2016년 노벨생리의학상 제목 오토파지 네이버지식백과, 전효소 (holoenzyme),두산백과 효소(enzyme), 화학대사전, 2001, 세화 춤추는 효소, 신현재, 2012
비타민C와 파인애플 발효물로 콩을 이취가 없게 속성으로 발효하고자 하는 것이 과제이다.
콩발효물의 제조방법은 파인애플 발효물 제조단계와 콩을 복합 발효하는 제조단계로 이루어지는데
파인애플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1)파인애플 발효와 재발효 단계로(1) 파인애플 발효와 재발효 단계는 (1a) 파인애플 발효물 제조 단계와 (1b) 파인애플 재발효물 제조 단계로 구성되되,
(1a) 파인애플 발효물 제조 단계는,
생파인애플, 물, 비타민 C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 공정:
생파인애플을 분쇄기로 곱게 파쇄하는 파쇄 공정:
상기의 파쇄물을 용기에 넣고 물과 비타민 C를 잘 혼합 후에 공기를 제거하는 혼합 공정:
상기의 혼합물을 넣은 용기를 밀봉 정치를 한 후에 생기는 가스를 제거하는 발효공정: 으로 이루어지고,
(1b) 파인애플 재발효물 제조 단계는,
생파인애플, 물, 비타민 C와 상기 (1a) 파인애플 발효물을 준비하는 재료준비 공정:
생파인애플을 분쇄기로 곱게 파쇄하는 파쇄 공정:
상기의 파쇄물을 용기에 넣고 물과 비타민 C와 상기 (1a) 파인애플 발효물을 잘 혼합 후에 공기를 제거하는 혼합 공정:
상기의 혼합물을 넣은 용기를 밀봉 정치를 한 후에 생기는 가스를 제거하는 발효공정: 으로 이루어지고
(2) 콩의 복합발효 제조단계는,
콩, 비타민 C, 물, 상기 (1b) 파인애플 재발효물을 준비하는 재료준비 공정:
콩을 고온으로 뻥튀기는 가열 공정:
상기의 뻥튀긴 콩을 곱게 파쇄하는 파쇄 공정:
상기의 파쇄물을 용기에 넣고 비타민 C와 물과 상기 (1b) 파인애플 재 발효물을 잘 혼합 후에 공기를 제거하는 혼합 공정:
상기의 혼합물을 넣은 용기를 밀봉 정치를 한 후에 생기는 가스를 제거하는 발효공정:
상기의 발효가 끝난 혼합물을 가열하여 남아있는 고형물을 분해하는 가열공정;
상기의 혼합물을 면포로 압착 추출하여 용액만 취하는 압착추출공정;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2) 콩의 복합발효 제조단계에 투입되는 콩, 비타민 C, 물, 상기 (1b) 파인애플 발효물의 중량비율은 100 : 1~100:1~1000: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재료는 콩과 대두박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콩을 가열하는 방법은 콩을 볶는 방법, 증자하는 방법과 뻥튀기를 만드는 방법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인애플 발효물로 콩을 아미노산으로 만들어 음료, 간장, 의약품 , 화장품의 기초 재료를 만드는 발명품이다.
도 1은 대표도이다.
도 2는 파인애플 발효와 재발효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콩의 복합발효 제조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콩(Glycine max)은 학명이 Fabaceae로 원산지가 한국이며 식품과 조미료로 이용하며 콩과에 속하는 식물의 종류로서 한해살이식물이며 대두, 녹두, 완두, 강낭콩, 동부, 팥, 잠두, 피전피, 리마콩, 이집트콩, 그린콩, 렌즈콩, 작두콩, 병아리콩 등이 알려졌으며 미국 암연구소가 추천하는 십대 항암식품으로 그 가치가 재인식 되고 있다. 콩은 8대 아미노산 등 좋은 영양성분이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피부미용, 당뇨의 치료, 변비의 치료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 졌고 콩으로 만든 간장은 아미노산의 맛이다.
대두박은 콩에서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로 단백질이 45%로 많이 함유하고 있어 저렴한 간장 제조에 사용한다.
pineapple은 벼목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한국, 미국, 영국, 일본에서는 파인애플이라고 부르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아나나스 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열매를 날로 먹거나 요리의 재료로 사용한다. 브로멜라인과 파파인이라는 효소가 있어 고기를 부드럽게 하며 고기의 잡냄새를 없애는데 이용한다.
비타민 C는 아스코르브산에 칼슘이나 소디움, 마그네슘을 가하여 휴대하기 좋게 만든 물질로 비타민 C(L-Ascorbic acid), L-아스코르빈산나트륨(SodiumL-Ascorbate),L-아스코르빈산스테아레이트 (L-Ascorbyl Stearate), 아스코르빈산칼슘(Calcium Ascorbate), 아스코르빈산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와 별도로 에스테르화한 것이 있으며 식품원료로 사용하여 비타민 C를 보충할 수 있도록 제조·가공한 것으로 수십 가지의 화합물과 유도체가 있으나 L-Ascorbic acid가 가장 효과가 좋으며 Sodium L-Ascorbate 가 휴대하기 좋으므로 널리 사용된다.
비타민C는 강력한 환원 작용을 하며 많이 먹어도 몸에 이상이 없는 물질로 음식료에 사용하면 색을 변하게 하거나, 이취를 내게 하여 식품제조에서는 부정적으로 표현하고 가열 후에 방부제의 역할로 사용하나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발효 촉진제로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1. 파인애플 발효와 재발효
(1a) 파인애플 발효물 제조단계
1. 재료 준비공정: 생파인애플 100g, 물 100g, 비타민 C 10g과 용기를 준비한다.
2. 파쇄공정: 생파인애플을 분쇄기로 곱게 파쇄한다.
3. 혼합 공정: 파쇄물을 용기에 넣고 물과 비타민 C를 혼합 후에 공기를 제거한다. 이때 금속제 용기 사용을 피하며 용기의 70%만 재료를 채운다.
4. 발효공정: 혼합물을 넣은 용기를 밀봉 정치를 한 후에 생기는 가스를 제거하며 이때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주의한다.
(1b) 파인애플 재발효물 제조 단계는,
1.재료 준비공정: 생파인애플 1000g, 물 1000g, 비타민 C 70g, (1a)의 파인애플 발효물 100g을 준비한다. 이때 금속제의 용기 사용을 피한다.
2. 파쇄공정: 생파인애플을 분쇄기로 곱게 파쇄한다.
3.혼합공정: 파쇄물을 용기에 넣고 물과 비타민 C와 (1a)의 파인애플 발효물을 잘 혼합 후에 공기를 제거한다.
4. 발효공정: 혼합물을 넣은 용기를 밀봉 정치를 한 후에 생기는 가스를 제거하며 이때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주의한다. 이때에 폭팔과 급격한 가스 배출시 주의해야 한다.
(2) 콩의 복합발효 제조단계는,
1.재료준비공정: 콩1000g, 비타민C70, 물 2000g (1a)의 파인애플 발효물 100g을 준비한다. 이때 금속제의 용기 사용을 피한다.
2. 가열공정: 뻥튀기 콩을 만든다. 이때에 볶은콩을 사용해도 같은 효과가 있다.
3. 파쇄공정: 상기의 뻥튀기 콩을 꺼내어 분쇄기로 곱게 파쇄 한다.
4. 혼합공정: 상기의 파쇄물을 용기에 넣고 물과 비타민 C와 (1b)의 파인애플 발효물을 잘 혼합 후에 공기를 제거한다. 이때에 용기에 50%만 채운다.
5. 발효공정: 혼합물을 넣은 용기를 밀봉 정치를 한 후에 생기는 가스를 제거한다. 이때에 온도가 섭씨 20도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폭팔에 주의한다.
6. 가열공정: 상기 혼합물을 압력가열기에 넣고 끓인다. 섭씨 110도에서 30분 가열한다.
7.압착추출공정; 상기 혼합물을 면포로 압착추출하여 용액만 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시험을 하였다.
(시험 1) 비타민 C를 이용한 파인애플 발효 시험
파인애플 발효에 관한 시험을 하였다. (1a) 파인애플의 발효물 제조 단계는 상기 설명한 방법대로 시행하였다.
이때 (1a)파인애플 의 발효물 제조 단계에 투입되는 생파인애플, 비타민 C의 중량은 각각 100g, 2g 과, 100g, 5g의 두종류를 얻었다. 이로써 파인애플 발효물을 얻었다.
(표1)은 상기 시험과정 중 (1a) 파인애플의 발효물 제조 단계에서 발효의 표식인 첫 번째 가스제거에 걸린 시간을 비타민C를 다르게 넣은 대조그룹과 비교한 것이다.
비타민C를 2% 첨가하여 발효를 유도한 파인애플는 3일 만에 가스가 발생하여 압력이 높아져 가스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비타민를 C를 5% 첨가한것은 2일 만에 발효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했다. 시험으로 비타민C의 농도가 진하면 월등히 빨리 진행되는 것을 확인했다.
(시험 2) 비타민C의 양에 따른 파인애플 재발효 시간 비교시험
파인애플발효와 재발효 단계에 관한 시험을 하였다. (1a) 파인애플의 발효물 제조 단계와 (1b) 파인애플의 재발효물 제조 단계는 상기 설명한 방법대로 시행하였다.
이때 (1a) 파인애플의 발효액 제조 단계에 투입되는 생파인애플, 비타민 C, 물의 중량은 각각 100g, 5g, 100g으로 하였다. 이로써 파인애플 반제품 발효물을 얻었으며 (1b) 파인애플 재발효물 제조 단계에 투입되는 생파인애플, 비타민 C, 물, (1a) 파인애플 발효물 제조 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의 중량은, 파인애플을 100g으로 하고 나머지 2개는 아래 (표 2)에 따라 변화를 주었으며 발효온도는 섭씨 20도로 (표 2)은 위 시험 과정 중, (1b) 파인애플재발효물 제조 단계에서 발효의 표식인 첫 번째 가스제거에 걸린 시간을 비교한 것이다.
상기 (표 2)과 같이 반제품 발효물 10g과 비타민 5g을 넣은 경우 재발효 시간이 가장 빨랐다
또한 반제품 발효액과 비타민 C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 비타민 C의 사용량이 동일하더라도 반제품 발효물을 많이 사용할 경우 발효 시간이 덜 걸렸으며, 반제품 발효물을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적은 비타민C의 양으로 발효 시간을 단축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시험을 통해 추출한 발효물을 이용하여 재발효를 하면 비타민 C의 사용량을 줄여 신맛을 감소되며 이취도 없어지며 발효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3) 비타민 C를 이용한 파인애플의 과육, 꼭지, 껍질, 잎, 뿌리 몸통, 줄기의 발효 시험
비타민C를 이용하여 파인애플의 과육과 속심, 꼭지와 잎, 껍질, 뿌리, 줄기의 발효에 관한 시험을 하였다. (1a) 파인애플의 발효물 제조 단계는 상기 설명한 방법대로 시행하였으며 이때 (1a) 파인애플의 발효물 제조 단계에 투입되는 생파인애플의 과육과 속심, 꼭지와 잎, 껍질, 뿌리, 줄기는 각각 100g으로 하고, 이에 각각 비타민 C, 물의 중량은 각각 5g, 100g으로 하였다. 이로써 과육과 속심, 꼭지와 잎, 껍질, 뿌리, 줄기의 발효물(반제품 발효물)을 얻었다.
상기 표 3과 같이 과육과 속심 2일, 껍질은 3일로 가장 빨리 가스가 발생하며 뿌리, 줄기는 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 시험을 통해 전체의 어느 부분에서도 파인애플의 자체 발효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 4) 항산화효과 시험
파인애플의 발효 및 비발효물에 대한 항산화활성을 DPPH법으로 측정하였다. 항산화활성 측정을 위한 대조구로는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VitaminC를 사용하였으며, vitaminC의 농도는 16.8㎍/㎖의 농도로 조정하여 실험하였다. 파인애플발효 혼합물의 경우 vitaminC와 비교하여 2배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비발효제품의 경우 대조구로 사용한 vitaminC와 비교하여 낮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종파인애플발효 혼합물의 경우 100배 희석한 시료에서 대조구와 대비하여 5배의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 5) 파인애플 발효물을 이용한 볶은콩과 증자한 콩, 뻥튀기한 콩의 발효시험
파인애플 발효에 관한 시험을 하였다. (1b) 파인애플의 발효물 제조 단계는 상기 설명한 방법대로 시행하여 각각 200g 씩 얻었다.
여기에 (2)의 가열공정과 파쇄공정이 끝난 볶은콩가루 과 증자한 콩, 뻥튀기한 콩가루를 각각 1000g에 공통적으로 파인애플의 발효물을 200g, 물 2000g(증자는 원콩의 무게로 계산) 비타민C 100g를 투여하여 시간별로 녹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위의 시험으로 균질하게 팽윤된 뻥튀기 콩이 발효가 빨리 진행되고 증자한 콩은 덩어리의 문제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시험 6) 성분분석표
뻥튀기 콩가루 발효에 관한 시험을 하였다. (2)뻥튀기 콩가루의 발효액 제조 단계는 상기 설명한 방법대로 시행하여 뻥튀기 콩가루가 79% 분해된 것을 확인하고 고압 가열기로 가열을 한 후에 압착추출을 하고 분리한 후에 한국식품연구원에서 HPLC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이 분석되었다.
시판간장보다 높은 아미노산이 확인 되었다.
비타민C를 이용하여 파인애플의 자체효소를 활성화한 발효액을 조효소로 사용하여 콩을 저염 간장제조, 무향으로 화장품개발에 응용하고자 한다.

Claims (4)

  1. 콩발효물의 제조방법은 파인애플 발효물 제조단계와 콩을 복합 발효하는 제조단계로 이루어지는데
    파인애플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1)파인애플 발효와 재발효 단계로(1) 파인애플 발효와 재발효 단계는 (1a) 파인애플 발효물 제조 단계와 (1b) 파인애플 재발효물 제조 단계로 구성되되,
    (1a) 파인애플 발효물 제조 단계는,
    생파인애플, 물, 비타민 C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 공정:
    생파인애플을 분쇄기로 곱게 파쇄하는 파쇄 공정:
    상기의 파쇄물을 용기에 넣고 물과 비타민 C를 잘 혼합 후에 공기를 제거하는 혼합 공정:
    상기의 혼합물을 넣은 용기를 밀봉 정치를 한 후에 생기는 가스를 제거하는 발효공정: 으로 이루어지고,
    (1b) 파인애플 재발효물 제조 단계는,
    생파인애플, 물, 비타민 C와 상기 (1a) 파인애플 발효물을 준비하는 재료준비 공정:
    생파인애플을 분쇄기로 곱게 파쇄하는 파쇄 공정:
    상기의 파쇄물을 용기에 넣고 물과 비타민 C와 상기 (1a) 파인애플 발효물을 잘 혼합 후에 공기를 제거하는 혼합 공정:
    상기의 혼합물을 넣은 용기를 밀봉 정치를 한 후에 생기는 가스를 제거하는 발효공정: 으로 이루어지고
    (2) 콩의 복합발효 제조단계는,
    콩, 비타민 C, 물, 상기 (1b) 파인애플 재발효물을 준비하는 재료준비 공정:
    콩에 물을 넣고 증자하는 가열 공정:
    상기의 증자된 콩을 곱게 파쇄하는 파쇄 공정:
    상기의 파쇄물을 용기에 넣고 비타민 C와 물과 상기 (1b) 파인애플 재 발효물을 잘 혼합 후에 공기를 제거하는 혼합 공정:
    상기의 혼합물을 넣은 용기를 밀봉 정치를 한 후에 생기는 가스를 제거하는 발효공정:
    상기의 발효가 끝난 혼합물을 가열하여 남아있는 고형물을 분해하는 가열공정;
    상기의 혼합물을 면포로 압착 추출하여 용액만 취하는 압착추출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2. 제1항에 있어서,
    (2) 콩의 복합발효 제조단계에 투입되는 콩, 비타민 C, 물, 상기 (1b) 파인애플 발효물의 중량비율은 100 : 1~100:1~1000: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타민 C는 아스코르브산( L-Ascorbic acid)과 그의 유도체인 L-아스코르빈산나트륨(SodiumL-Ascorbate)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KR1020200150016A 2020-11-11 2020-11-11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KR10261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016A KR102611734B1 (ko) 2020-11-11 2020-11-11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016A KR102611734B1 (ko) 2020-11-11 2020-11-11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000A KR20220064000A (ko) 2022-05-18
KR102611734B1 true KR102611734B1 (ko) 2023-12-08

Family

ID=8180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016A KR102611734B1 (ko) 2020-11-11 2020-11-11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355A (ko) 2022-05-25 2023-12-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216B1 (ko) * 1998-12-04 2001-12-17 진홍승 혼합곡분을이용한젖산발효음료의제조방법
KR20140067721A (ko) * 2012-11-27 2014-06-05 김영욱 야채, 과일, 해조류, 곡물 및 씨앗을 이용한 발효조미료의 제조방법
KR101394230B1 (ko) 2013-01-24 2014-05-14 주식회사 뷰티콜라겐 저분자 콜라겐의 제조방법
KR20160063659A (ko) * 2014-11-27 2016-06-07 (주)해나눔 효소 전처리를 이용한 유산균의 곡물 이용성 및 보존성을 높여주는 유산균 발효곡물의 제조방법
KR101541007B1 (ko) 2015-03-19 2015-08-03 이성민 단백질 분해용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755789B1 (ko) * 2015-05-12 2017-07-10 박노흥 비타민 c를 이용한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90138910A (ko) * 2018-06-07 2019-12-17 지인학 비타민 c를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높이는 파인애플 발효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000A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756B1 (ko) 양념 소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소갈비
CN105166888A (zh) 一种人参鹿茸茶叶籽多肽含片及其制备方法
CN104256737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2611734B1 (ko)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KR101651735B1 (ko) 호두를 이용한 약.탁주 제조 방법
KR102109733B1 (ko) 돼지머리 편육 제조방법
KR20160097721A (ko) 스마트팜을 이용한 새싹마늘 재배방법
CN107114629A (zh) 猕猴桃复合饮料的加工方法
KR100286382B1 (ko) 가압 전이에 의한 무가당 홍삼 침출차의 제조방법
KR101935302B1 (ko) 탱자 발효액을 이용한 속성 블루베리발효즙 제조방법과 그 블루베리발효즙
KR102154397B1 (ko) 비타민 c를 이용한 돈피 발효물 제조법
KR102510719B1 (ko) 능이버섯을 이용한 갈비용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갈비용 양념소스
KR100658948B1 (ko) 영양함량을 높인 묵의 제조방법
KR20190138910A (ko) 비타민 c를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높이는 파인애플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210123691A (ko)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9420A (ko) 토마토 순댓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토마토 순댓국
KR102470191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KR20180065991A (ko) 발효과실액을 함유하는 두유의 제조방법
KR102397024B1 (ko) 김치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KR102527508B1 (ko) 철갑상어 엑기스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 완화용 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CN108477538A (zh) 牡蛎活性小分子复配营养素餐粉及其制备方法
KR102599866B1 (ko) 율피차의 제조방법
KR20030095921A (ko) 양파껍질환의 제조방법
KR102437148B1 (ko) 산양삼 원재료 가공 방법
KR100977066B1 (ko) 홍삼청국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