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776B1 - 전고체 전지 - Google Patents

전고체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776B1
KR102603776B1 KR1020210007231A KR20210007231A KR102603776B1 KR 102603776 B1 KR102603776 B1 KR 102603776B1 KR 1020210007231 A KR1020210007231 A KR 1020210007231A KR 20210007231 A KR20210007231 A KR 20210007231A KR 102603776 B1 KR102603776 B1 KR 10260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current collector
active material
material layer
ce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336A (ko
Inventor
사토미 야마모토
게이스케 오모리
하지메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09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9Bipola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과제] 본 개시는,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셀 유닛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 가능한 전고체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개시에 있어서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셀 유닛을 구비하는 전고체 전지로서,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를 구비하고, 상기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 AY와, 상기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 BX가, 제 1 절연부를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탭 AX, 탭 AY 및 탭 B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전고체 전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전고체 전지{ALL SOLID STATE BATTERY}
본 개시는, 전고체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고체 전지는, 정극 활물질층 및 부극 활물질층의 사이에 고체 전해질층을 가지는 전지이며, 가연성의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가지는 액계 전지에 비해, 안전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집전체의 일방의 면측에 정극 활물질층을 배치하고, 타방의 면측에 부극 활물질층을 배치한 바이폴라(bipolar) 전극을 가지는 전지(바이폴라형 전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전극 주변부의 일부에, 절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 집전체가 노출되고 있는 부분이 있는 바이폴라형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집전 탭을 클립으로 사이에 끼우고,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편평상으로 권회된 띠 형상의 전극에 있어서의 복수의 집전 탭을 사이에 끼우는 클립을 구비하는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금속박이 겹쳐 쌓여진 집전 탭을 클립판으로 사이에 끼우는 공정을 가지는, 전지의 초음파 접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단위 전지가 병렬 접속된 적층형 전지이지만, 특허 문헌 4에는, 복수의 탭을 적층 방향에 있어서 협지하는 클립을 구비하는 적층형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집전 탭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는, 인접하는 집전체 탭의 사이에 도전성 부재를 가지는 적층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에는, 금속 탭이, 카본, 니켈, 티탄 혹은 은으로 표면 처리된 스테인리스강인 케이블형 이차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7에는, 탭부의 표면에, 산화 칼슘층이 존재하고 있는 전고체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25315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05470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2-06926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9-194946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8-018600호 공보 일본공표특허 특표2015-50106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045594호 공보
집전체의 일방의 면측에 정극 활물질층을 배치하고, 타방의 면측에 부극 활물질층을 배치한 바이폴라 전극을 채용한 경우, 제조 시에 있어서 각 층을 치밀화하기 위한 프레스를 행할 때의 조건에 따라서는, 부극 활물질층과 정극 활물질층과의 신축성의 차이에 의해, 집전체에 변형이 생겨, 부극 활물질층 또는 정극 활물질층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무기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전고체 전지에서는, 제조 시에 매우 높은 압력으로 프레스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균열의 발생이 현저해진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후술하는 셀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부극 활물질층 또는 정극 활물질층에 균열이 생기기 어려운 전고체 전지가 얻어지는 것을 지견했다. 또한, 그 셀 유닛을 복수 준비하고, 그들을, 절연부를 개재하여 적층하고, 특정의 탭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복수의 셀 유닛이 직렬 접속된 전고체 전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지견했다.
한편, 이와 같은 전고체 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프레스 시(복수의 셀 유닛을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한 후의 프레스 시)에, 각각의 셀 유닛이 면내 방향(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쉽다. 셀 유닛의 위치 어긋남은, 단락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셀 유닛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 가능한 전고체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에 있어서는,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직렬 접속된 복수의 셀 유닛을 구비하는 전고체 전지로서, 상기 전고체 전지는, 상기 셀 유닛으로서,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를 구비하고,
상기 셀 유닛 A는,
제 1 집전체 1A와,
상기 제 1 집전체 1A의 제 1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2AX, 고체 전해질층 3AX, 제 2 활물질층 4AX 및 제 2 집전체 5AX와,
상기 제 1 집전체 1A의 상기 제 1 면과상 반대인 제 2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2AY, 고체 전해질층 3AY, 제 2 활물질층 4AY 및 제 2 집전체 5AY를 가지고,
상기 셀 유닛 B는,
제 1 집전체 1B와,
상기 제 1 집전체 1B의 제 1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2BX, 고체 전해질층 3BX, 제 2 활물질층 4BX 및 제 2 집전체 5BX와,
상기 제 1 집전체 1B의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인 제 2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2BY, 고체 전해질층 3BY, 제 2 활물질층 4BY 및 제 2 집전체 5BY를 가지고,
상기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집전체 5AY와, 상기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집전체 5BX가, 제 1 절연부(20)를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집전체 5AX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활물질층 4AX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 5TAX를 가지고,
상기 제 2 집전체 5AY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활물질층 4AY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 5TAY를 가지며,
상상기 제 1 집전체 1B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활물질층 2BX 및 상기 제 1 활물질층 2BY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 1TB를 가지고,
상기 탭 5TAX, 상기 탭 5TAY 및 상기 탭 1TB는, 고정 부재(3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30)는, 제 1 누름부(31)와, 제 2 누름부(32)와, 상기 제 1 누름부(31) 및 상기 제 2 누름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가지고,
상기 탭 5TAX, 상기 탭 5TAY 및 상기 탭 1TB는, 상기 고정 부재(30)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누름부(31) 및 상기 제 2 누름부(32)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전고체 전지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에 있어서, 탭 5TAX, 탭 5TAY 및 탭 1TB가 고정 부재(3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셀 유닛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 가능한 전고체 전지로 할 수 있다.
상기 개시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부재(30)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개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활물질층 2AX의 상기 탭 5TAX측의 단면, 및, 상기 제 1 활물질층 2AY의 상기 탭 5TAY측의 단면 중 적어도 일방에, 제 2 절연부(60)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개시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부재(30)가, 상기 제 1 누름부(31)의 외면측, 및, 상기 제 2 누름부(32)의 외면측 중 적어도 일방에, 절연성을 가지는 완충부(35)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개시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부재(30)가, 상기 제 1 누름부의 내면측(31), 및, 상기 제 2 누름부(32)의 내면측 중 적어도 일방에, 탄성을 가지는 충전부(36)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개시에 있어서는, 상기 탭 5TAX와 상기 탭 5TAY와의 사이, 및, 상기 탭 5TAY와 상기 탭 1TB와의 사이 중 적어도 일방에, 도전성 접착부(11a, 11b)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개시에 있어서는, 상기 탭 5TAX와 상기 탭 5TAY와의 사이, 및, 상기 탭 5TAY와 상기 탭 1TB와의 사이 중 적어도 일방에, 도금부(12a, 12b)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는,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셀 유닛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 유닛을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전고체 전지를 화살표 P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를 예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탭 및 고정 부재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하나의 부재의 「면측」에 다른 부재를 배치한다고 표현하는 경우, 기술적으로 모순이 없는 범위에 있어서, 하나의 부재의 면에 직접, 다른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 하나의 부재의 면에, 별도의 부재를 개재하여 다른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 및, 하나의 부재의 면으로부터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여 다른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각 도면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부(部)의 크기, 형상을 적절히 과장하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해칭 또는 부호를 적절히 생략하고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 유닛을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셀 유닛(10)은, 제 1 집전체(1)와, 제 1 집전체(1)의 제 1 면(1X)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2X), 고체 전해질층(3X), 제 2 활물질층(4X) 및 제 2 집전체(5X)와, 제 1 집전체(1)의 제 1 면(1X)과는 반대인 제 2 면(1Y)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2Y), 고체 전해질층(3Y), 제 2 활물질층(4Y) 및 제 2 집전체(5Y)를 가진다. 제 2 집전체(5X)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2 활물질층(4X)과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5TX)을 가진다. 제 2 집전체(5Y)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2 활물질층(4Y)과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5TY)을 가진다. 제 1 집전체(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활물질층(2X) 및 제 1 활물질층(2Y)과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1T)을 가진다.
도 2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전고체 전지(100)는, 셀 유닛 A~C를 구비한다.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5Y)(제 2 집전체 AY)와,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5X)(제 2 집전체 BX)는, 제 1 절연부(20)를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셀 유닛 B 및 셀 유닛 C의 사이에도, 제 1 절연부(2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5TX)(탭 AX),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5TY)(탭 AY), 및,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탭(1T)(탭 B)의 위치는, 고정 부재(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탭(5TX)(탭 BX),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탭(5TY)(탭 BY), 및, 셀 유닛 C에 있어서의 탭(1T)(탭C)의 위치는, 고정 부재(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셀 유닛 A~C는,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직렬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1T)(탭 A)은, 제 1 집전 단자(40)에 접속되고, 셀 유닛 C에 있어서의 탭(5TX)(탭 CX) 및 탭(5TY)(탭 CY)은, 제 2 집전 단자(5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전고체 전지를 화살표 P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전고체 전지(100)는, 제 1 집전 단자(40)와, 탭(1T)(탭 A)을 가지는 제 1 집전체(1)(제 1 집전체 A)와, 고체 전해질층(3X)(고체 전해질층 AX)과, 탭(5TX)(탭 AX)을 가지는 제 2 집전체(5X)(제 2 집전체 AX)와, 고정 부재(30)와, 제 2 집전 단자(50)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에 있어서, 탭 AX, 탭 AY 및 탭 B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셀 유닛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 가능한 전고체 전지로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집전체의 일방의 면측에 정극 활물질층을 배치하고, 타방의 면측에 부극 활물질층을 배치한 바이폴라 전극을 채용한 경우, 프레스 조건에 따라서는, 부극 활물질층과 정극 활물질층과의 신축성의 차이에 의해, 집전체에 변형이 생겨, 부극 활물질층 또는 정극 활물질층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 유닛에서는, 제 1 집전체의 양면에, 동극(同極)의 제 1 활물질층(X) 및 제 1 활물질층(Y)이 배치되는 점에서, 활물질층의 신축성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 유닛에서는, 제 1 집전체의 양면에, 2개의 셀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제 1 집전체가 2개의 셀의 집전체를 겸하고 있는 점에서), 에너지 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셀 유닛을 복수 준비하고, 그들을, 제 1 절연부를 개재하여 적층하여, 탭 AX, 탭 AY 및 탭 B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복수의 셀 유닛이 직렬 접속된 전고체 전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전고체 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프레스 시(복수의 셀 유닛을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한 후의 프레스 시)에, 각각의 셀 유닛이 면내 방향(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쉽다. 셀 유닛의 위치 어긋남은, 단락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무기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전고체 전지에서는, 양호한 이온 전도 패스를 형성하기 위해, 매우 높은 압력으로 프레스가 행해져,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단락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 상정된다. 매우 높은 압력으로 프레스를 행할 필요가 있는 것, 및, 그에 따라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단락이 발생하기 쉬운 것은, 전고체 전지에 특유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에 있어서, 탭 AX, 탭 AY 및 탭 B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매우 높은 압력으로 프레스를 행한 경우라도,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 전고체 전지의 구성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는,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직렬 접속된 복수의 셀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전고체 전지는, 상기 셀 유닛으로서,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를 적어도 구비한다.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 AX,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 AY, 및,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탭 B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30)는, 제 1 누름부(31)와, 제 2 누름부(32)와, 제 1 누름부(31) 및 제 2 누름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가진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30)는, 제 1 누름부(31), 제 2 누름부(32) 및 연결부(33)가, 동일한 재료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각각 별도의 부재여도 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30)는, 연결부(33)가 휨으로써, 탄성이 발현된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누름부(31)에 있어서의 단부(31a)와, 제 2 누름부(32)에 있어서의 단부(32a)를 멀어지도록 외력을 가하면,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33)가 휜다. 그 상태에서,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5TX)(탭 AX), 탭(5TY)(탭 AY), 탭(1T)(탭 B)을 삽입하면, 이들 탭이, 제 1 누름부(31) 및 제 2 누름부(32)의 사이에 끼워져,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압력이 인가된 상태로 고정된다.
고정 부재는, 금속이어도 되고, 수지여도 된다. 또한, 고정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클립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이란, 외력에 의해 변형된 부재가, 그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에,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을 말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있어서의 고정 부재(30)는, 연결부(33)가 휨으로써, 탄성이 발현된다. 탄성이 발현됨으로써, 탭(5TX)(탭 AX), 탭(5TY)(탭 AY), 탭(1T)(탭 B)에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압력이 인가된다.
제 1 누름부 및 제 2 누름부는, 각각, 탭에 대향하는 면이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탭 AX, 탭 AY 및 탭 B에 대하여, 균일한 면압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부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33)의 단면 형상은 굴곡 형상이어도 되고,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33)의 단면 형상은 만곡 형상이어도 되며,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33)의 단면 형상은 평면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고정 부재는, 탄성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33)가, 제 1 누름부(31)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된 부재와, 제 2 누름부(32)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된 부재를 접착한 것인 경우, 접착 시에 압착함으로써, 탭(5TX)(탭 AX), 탭(5TY)(탭 AY), 탭(1T)(탭 B)이,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압력이 인가된 상태로 고정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고정 부재가, 제 1 누름부의 외면측, 및, 제 2 누름부의 외면측 중 적어도 일방에, 완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고정 부재에, 진동, 충격 등의 기계적 부하가 가해지면, 고정 부재가, 집전 단자, 외장체 등의 다른 부재에 접촉하여, 다른 부재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하여, 완충부를 마련함으로써, 다른 부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a)에서는 고정 부재(30)가, 제 1 누름부(31), 제 2 누름부(32) 및 연결부(33)의 외면측에, 연속하여 형성된 완충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누름부의 외면」이란, 제 1 누름부의 제 2 누름부와는 반대측의 면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누름부의 외면」이란, 제 2 누름부의 제 1 누름부와는 반대측의 면을 말한다. 또한, 완충부는, 절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되지만, 전자가 바람직하다. 완충부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고무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고정 부재가, 제 1 누름부의 내면측, 및, 제 2 누름부의 내면측 중 적어도 일방에, 탄성을 가지는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충전부를 마련함으로써, 탭 AX, 탭 AY 및 탭 B에 대하여, 균일한 면압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b)에서는, 고정 부재(30)가, 제 1 누름부(31), 제 2 누름부(32) 및 연결부(33)의 내면측에, 연속하여 형성된 충전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누름부의 내면」이란, 제 1 누름부의 제 2 누름부측의 면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누름부의 내면」이란, 제 2 누름부의 제 1 누름부측의 면을 말한다. 또한, 충전부는, 절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충전부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고무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 AY와,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 BX가, 제 1 절연부를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서술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5Y)(제 2 집전체 AY)와,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5X)(제 2 집전체 BX)는, 제 1 절연부(20)를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절연부의 재료의 일례로서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를 들 수 있다. 제 1 절연부의 재료의 다른 예로서는,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전체의 표면을 산화시킴으로써, 금속 산화물의 피막을 형성하여, 제 1 절연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절연부에도 마찬가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 1 활물질층 AX의 탭 AX측의 단면, 및, 제 1 활물질층 AY의 탭 AY측의 단면 중 적어도 일방에, 제 2 절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에서는,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1 활물질층(2X)(제 1 활물질층 AX)의 탭(5TX)(탭 AX)의 단면 , 및,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1 활물질층(2Y)(제 1 활물질층 AY)의 탭(5TY)(탭 AY)의 단면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 2 절연부(60)가 배치되어 있다. 셀 유닛 B, C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 2 절연부(60)가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 2 활물질층 AX의 탭 A측의 단면, 및, 제 2 활물질층 AY의 탭 A측의 단면 중 적어도 일방에, 제 3 절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에서는,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활물질층(4X)(제 2 활물질층 AX)의 탭(1T)(탭 A)측의 단면, 및,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활물질층(4Y)(제 2 활물질층 AY)의 탭(1T)(탭 A)측의 단면에, 각각 제 3 절연부(70)가 배치되어 있다. 셀 유닛 B, C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 3 절연부(7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절연부(70)는,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5X)(제 2 집전체 AX)의 단면, 및,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집전체(5Y)(제 2 집전체 AY)의 단면을, 각각 덮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절연부(20)와,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활물질층(4Y)(제 2 활물질층 AY)의 단면을 덮는 제 3 절연부(70)는, 별도의 부재이지만, 이들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 8에 있어서,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절연부(20)와,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제 2 활물질층(4X)(제 2 활물질층 BX)의 단면을 덮는 제 3 절연부(70)는, 별도의 부재이지만, 이들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고정 부재와 중복되는 위치에, 제 4 절연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 4 절연부를 마련함으로써, 예를 들면, 고정 부재가 외면측에서 도전성을 가지고 있어도,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고정 부재(30)와 중복되는 위치에, 제 4 절연부(80)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고정 부재와 중복되는 위치에, 제 4 절연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가, 제 1 누름부의 외면측, 및, 제 2 누름부의 외면측 중 적어도 일방에, 절연부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제 4 절연부를 배치할 필요성은 낮다. 그 경우, 전고체 전지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절연부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완충부(절연성을 가지는 완충부)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 1 절연부의 단부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집전체 A에 있어서의 탭 A의 단부, 제 2 집전체 BX에 있어서의 탭 BX의 단부, 제 2 집전체 BY에 있어서의 탭 BY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에서는, 제 1 절연부(20)의 단부(20t)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집전체 A(제 1 집전체(1))에 있어서의 탭 A(탭(1T))의 단부(1t), 제 2 집전체 BX(제 2 집전체(5X))에 있어서의 탭 BX(탭(5TX))의 단부(5Xt), 및, 제 2 집전체 BY(제 2 집전체(5Y))에 있어서의 탭 BY(탭(5TY))의 단부(5Yt)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절연부(20)의 단부(20t)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고정 부재(30)의 단부(30t)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 3 절연부의 단부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집전체 A에 있어서의 탭 A의 단부, 제 2 집전체 BX에 있어서의 탭 BX의 단부, 제 2 집전체 BY에 있어서의 탭 BY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에서는,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제 2 활물질층(BY)(제 2 활물질층(4Y))의 단면을 덮는 제 3 절연부(70)의 단부(70t)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집전체 A(제 1 집전체(1))에 있어서의 탭 A(탭(1T))의 단부(1t), 제 2 집전체 BX(제 2 집전체(5X))에 있어서의 탭 BX(탭(5TX))의 단부(5Xt), 및, 제 2 집전체 BY(제 2 집전체(5Y))에 있어서의 탭 BY(탭(5TY))의 단부(5Yt)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절연부(70)의 단부(70t)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고정 부재(30)의 단부(30t)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제 1 집전체 A에 있어서의 탭 A가, 제 2 면측에, 제 5 절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1 집전체 B에 있어서의 탭 B이, 제 2 면측에, 제 5 절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1에서는, 제 1 집전체 A(제 1 집전체(1))의 탭 A(탭(1T))의 제 2 면측에, 제 5 절연부(90)를 가지고, 제 1 집전체 B(제 1 집전체(1))의 탭 A(탭(1T))의 제 2 면측에도, 제 5 절연부(90)를 가지고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제 1 절연부~제 5 절연부를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탭 AX와 탭 AY와의 사이, 및, 탭 AY와 탭 B와의 사이 중 적어도 일방에, 도전성 접착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에, 진동, 충격 등의 기계적 부하가 가해지면, 고정 부재의 무게에 의해, 탭 AX, 탭 AY 및 탭 B에 파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하여, 도전성 접착부를 배치함으로써, 이들의 탭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파손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복수의 셀 유닛을 직렬 접속한 경우, 복수의 셀 유닛을 병렬 접속한 경우에 비해, 각 셀 유닛에 흐르는 전류값이 작기 때문에, 도전성 접착부의 저항이 비교적 높아도(예를 들면, 금속 접합에 비해 높아도), 도전성 접착부에 있어서, 과잉한 발열은 생기기 어렵다.
예를 들면 도 12의 (a)에서는,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5TX)(탭 AX)과,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5TY)(탭 AY)과의 사이에 도전성 접착부(11a)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의 (a)에서는,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5TY)(탭 AY)과,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탭(1T)(탭 B)과의 사이에 도전성 접착부(11b)가 배치되어 있다.
도전성 접착부의 일례로서는, 도전 페이스트의 고화물 또는 소결물을 들 수 있다. 도전 페이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Ag 등의 금속 분말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들 수 있다. 도전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를, 제 1 절연부를 개재하여,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그 후, 도전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고화 또는 소결시킴으로써, 도전성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접착부의 다른 예로서는, 도전 테이프를 들 수 있다. 도전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의 기재와, 기재의 양면에 형성된 도전층을 가지는 테이프를 들 수 있다. 도전층의 표면에는, 박리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 먼저, 일방의 도전층의 박리층을 박리하고, 타방의 도전층의 박리층을 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전 테이프를 셀 유닛에 부착하고, 그 후,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를, 제 1 절연부를 개재하여,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그 후, 타방의 도전층의 박리층을 박리하여, 노출된 도전층에 프레스를 행함으로써, 도전성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는, 탭 AX와 탭 AY와의 사이, 및, 탭 AY와 탭 B와의 사이 중 적어도 일방에, 도금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탭 AX, 탭 AY 및 탭 B를,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하면, 탭의 표면 상태에 따라서는, 탭끼리의 접촉 저항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하여, 도금부를 배치함으로써, 탭의 표면 상태가 개질되어, 탭끼리의 접촉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b)에서는,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5TX)(탭 AX)과,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5TY)(탭 AY)과의 사이에 도금부(12a)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의 (b)에서는,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5TY)(탭 AY)과,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탭(1T)(탭 B)과의 사이에 도금부(12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의 (b)에서는 고정 부재(30)에 있어서의 제 1 누름부(31)와,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탭(5TX)(탭 AX)과의 사이에 도금부(12c)가 배치되어 있다. 도금부(12c)를 배치함으로써, 고정 부재(30) 및 탭(5TX)(탭 AX)의 계면의 친화성이 향상되어, 고정 부재(30)에 의한 고정이 균일화된다. 마찬가지로, 도 12의 (b)에서는, 고정 부재(30)에 있어서의 제 2 누름부(32)와,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탭(1T)(탭 B)과의 사이에 도금부(12d)가 배치되어 있다.
도금부에 있어서의 금속은, 탭에 있어서의 금속보다 경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경도는, 예를 들면 비커스 경도이다. 도금부에 있어서의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Au, Ni, Sn, 및 이들 원소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합금을 들 수 있다. 도금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탭 AX, 탭 AY 및 탭 B가 중복되는 중복 영역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전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는,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직렬 접속된 복수의 셀 유닛을 구비한다. 셀 유닛수는, 적어도 2 이상이며, 3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상이어도 되며, 20 이상이어도 된다. 한편, 셀 유닛수는, 예를 들면 1000 이하이며, 500 이하여도 된다. 셀 유닛수가 3 이상인 경우, 대향하는 2개의 셀 유닛이, 상기 서술한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의 관계와 마찬가지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고체 전지는, 통상, 복수의 셀 유닛을 수납하는 외장체를 구비한다. 외장체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전자의 일례로서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전고체 전지는, 일차 전지여도 되고, 이차 전지여도 되지만, 후자가 바람직하다. 반복 충방전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 전지로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2. 셀 유닛의 구성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고체 전지는,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직렬 접속된 복수의 셀 유닛을 구비한다.
셀 유닛은, 제 1 집전체와, 제 1 집전체의 제 1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X, 고체 전해질층 X, 제 2 활물질층 X 및 제 2 집전체 X와, 제 1 집전체의 제 1 면과는 반대인 제 2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Y, 고체 전해질층 Y, 제 2 활물질층 Y 및 제 2 집전체 Y를 가진다. 셀 유닛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리튬 이온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집전체는, 부극 집전체여도 되고, 정극 집전체여도 된다. 전자의 경우, 제 2 집전체는 정극 집전체가 되고, 후자의 경우, 제 2 집전체는 부극 집전체가 된다. 정극 집전체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SUS, 니켈, 카본을 들 수 있다. 부극 집전체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SUS, 니켈, 카본을 들 수 있다. 집전체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박 형상을 들 수 있다.
제 1 집전체는, 제 1 활물질층과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을 가진다. 여기서, 제 1 집전체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활물질층과 중복되는 부분을 중복부로 한 경우에, 탭의 재료는, 중복부의 재료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복부로부터 탭까지 연속적으로 제 1 집전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제 2 집전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1 활물질층은, 부극 활물질층이어도 되고, 정극 활물질층이어도 된다. 전자의 경우, 제 2 활물질층은 정극 활물질층이 되고, 후자의 경우, 제 2 집전체는 부극 활물질층이 된다. 또한, 부극 활물질층의 전극 면적은, 정극 활물질층의 전극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안전성이 높은 전고체 전지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활물질층은, 활물질을 적어도 함유하고, 고체 전해질, 도전재 및 바인더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정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물 활물질을 들 수 있다. 산화물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LiCoO2, LiMnO2, LiNiO2, LiVO2, LiNi1/3Co1/3Mn1/3O2 등의 암염층상형 활물질, LiMn2O4, Li(Ni0.5Mn1.5)O4, Li4Ti5O12, 등의 스피넬형 활물질, LiFePO4, LiMnPO4, LiNiPO4, LiCoPO4 등의 올리빈형 활물질을 들 수 있다. 정극 활물질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입자상(狀)을 들 수 있다.
부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활물질, 카본 활물질 및 산화물 활물질을 들 수 있다. 금속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Li, In, Al, Si, Sn, 및, 이들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합금을 들 수 있다. 카본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파이트, 하드 카본, 소프트 카본을 들 수 있다. 산화물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Li4Ti5O12, SiO, Nb2O5를 들 수 있다. 부극 활물질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입자상을 들 수 있다.
고체 전해질로서는, 예를 들면, 황화물 고체 전해질, 산화물 고체 전해질, 질화물 고체 전해질, 할로겐화물 고체 전해질 등의 무기 고체 전해질을 들 수 있다. 황화물 고체 전해질은, 예를 들면, Li 원소, X 원소(X는, P, As, Sb, Si, Ge, Sn, B, Al, Ga, In 중 적어도 일종임), 및, S 원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황화물 고체 전해질은, O 원소 및 할로겐 원소 중 적어도 일방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고체 전해질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입자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재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계 바인더, 불화물계 바인더를 들 수 있다.
고체 전해질층은, 고체 전해질을 적어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바인더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고체 전해질 및 바인더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본 개시에 있어서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지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제 1 집전체
2…제 1 활물질층
3…고체 전해질층
4… 제 2 활물질층
5… 제 2 집전체
10…셀 유닛
20…제 1 절연부
30…고정 부재
31…제 1 누름부
32…제 2 누름부
33…연결부
40…제 1 집전 단자
50…제 2 집전 단자
60…제 2 절연부
70…제 3 절연부
80…제 4 절연부
90…제 5 절연부
100…전고체 전지

Claims (7)

  1.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직렬 접속된 복수의 셀 유닛을 구비하는 전고체 전지로서,
    상기 전고체 전지는, 상기 셀 유닛으로서, 셀 유닛 A 및 셀 유닛 B를 구비하고,
    상기 셀 유닛 A는,
    제 1 집전체 1A와,
    상기 제 1 집전체 1A의 제 1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2AX, 고체 전해질층 3AX, 제 2 활물질층 4AX 및 제 2 집전체 5AX와,
    상기 제 1 집전체 1A의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인 제 2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2AY, 고체 전해질층 3AY, 제 2 활물질층 4AY 및 제 2 집전체 5AY를 가지고,
    상기 셀 유닛 B는,
    제 1 집전체 1B와,
    상기 제 1 집전체 1B의 제 1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2BX, 고체 전해질층 3BX, 제 2 활물질층 4BX 및 제 2 집전체 5BX와,
    상기 제 1 집전체 1B의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인 제 2 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활물질층 2BY, 고체 전해질층 3BY, 제 2 활물질층 4BY 및 제 2 집전체 5BY를 가지고,
    상기 셀 유닛 A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집전체 5AY와, 상기 셀 유닛 B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집전체 5BX가, 제 1 절연부(20)를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집전체 5AX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활물질층 4AX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 5TAX를 가지고,
    상기 제 2 집전체 5AY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활물질층 4AY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 5TAY를 가지며,
    상기 제 1 집전체 1B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활물질층 2BX 및 상기 제 1 활물질층 2BY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탭 1TB를 가지고,
    상기 탭 5TAX, 상기 탭 5TAY 및 상기 탭 1TB는, 고정 부재(3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30)는, 제 1 누름부(31)와, 제 2 누름부(32)와, 상기 제 1 누름부(31) 및 상기 제 2 누름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가지고,
    상기 탭 5TAX, 상기 탭 5TAY 및 상기 탭 1TB는, 상기 고정 부재(30)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누름부(31) 및 상기 제 2 누름부(32)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전고체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가, 탄성을 가지는, 전고체 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물질층 2AX의 상기 탭 5TAX측의 단면, 및, 상기 제 1 활물질층 2AY의 상기 탭 5TAY측의 단면 중 적어도 일방에, 제 2 절연부(60)가 배치되어 있는, 전고체 전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가, 상기 제 1 누름부(31)의 외면측, 및, 상기 제 2 누름부(32)의 외면측 중 적어도 일방에, 절연성을 가지는 완충부(35)를 구비하는, 전고체 전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가, 상기 제 1 누름부의 내면측(31), 및, 상기 제 2 누름부(32)의 내면측 중 적어도 일방에, 탄성을 가지는 충전부(36)를 구비하는, 전고체 전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 5TAX와 상기 탭 5TAY와의 사이, 및, 상기 탭 5TAY와 상기 탭 1TB와의 사이 중 적어도 일방에, 도전성 접착부(11a, 11b)가 배치되어 있는, 전고체 전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 5TAX와 상기 탭 5TAY와의 사이, 및, 상기 탭 5TAY와 상기 탭 1TB와의 사이 중 적어도 일방에, 도금부(12a, 12b)가 배치되어 있는, 전고체 전지.
KR1020210007231A 2020-01-31 2021-01-19 전고체 전지 KR102603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15560A JP7322731B2 (ja) 2020-01-31 2020-01-31 全固体電池
JPJP-P-2020-015560 2020-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336A KR20210098336A (ko) 2021-08-10
KR102603776B1 true KR102603776B1 (ko) 2023-11-20

Family

ID=7685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231A KR102603776B1 (ko) 2020-01-31 2021-01-19 전고체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764396B2 (ko)
JP (1) JP7322731B2 (ko)
KR (1) KR102603776B1 (ko)
CN (1) CN113206300A (ko)
DE (1) DE102021101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3665B2 (ja) * 2020-03-11 2023-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池
DE102022210096A1 (de) 2022-09-26 2024-03-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eststoffzel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7970A1 (ja) * 2016-11-08 2018-05-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固体電池、固体電池の製造方法、電池パック、車両、蓄電システム、電動工具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0188B2 (ja) 2003-02-18 2008-06-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
JP2004303535A (ja) * 2003-03-31 2004-10-28 Mitsubishi Materials Corp 平板状単電池の組電池
KR20060047039A (ko)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폴리머 이차전지
JP4599314B2 (ja) * 2006-02-22 2010-12-15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電池パック及び自動車
JP2007250319A (ja) 2006-03-15 2007-09-27 Nec Tokin Corp 積層型電池
JP2008186595A (ja) 2007-01-26 2008-08-14 Toyota Motor Corp 2次電池
EP2026403B1 (en) 2007-08-15 2017-05-24 Nissan Motor Co., Ltd. Cell and battery incorporating the cell
JP4563503B2 (ja) 2007-12-26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0238687A (ja) 2009-03-30 2010-10-21 Fdk Corp 蓄電デバイス
KR101101046B1 (ko) 2009-12-01 2011-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JP5214692B2 (ja) * 2010-09-21 2013-06-19 株式会社東芝 電池
WO2013002621A2 (ko) 2011-06-30 2013-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촉저항이 개선된 이차전지
KR101483686B1 (ko) 2011-11-02 2015-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JP5605348B2 (ja) * 2011-11-04 2014-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JP2013191389A (ja) 2012-03-13 2013-09-26 Nissan Motor Co Ltd 積層構造電池
JP6048396B2 (ja) * 2013-12-26 2016-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JP2015179601A (ja) *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JP2017045594A (ja) 2015-08-26 2017-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JP6466296B2 (ja) * 2015-09-10 2019-02-06 株式会社東芝 電池及び電池製造方法
KR101905956B1 (ko) * 2016-05-30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적층 구조의 전고체 전지
JP2018018600A (ja) * 2016-07-25 2018-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74074A (ja) 2017-03-31 2018-1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積層型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8195528A (ja) 2017-05-22 2018-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KR101970250B1 (ko) * 2017-07-03 2019-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KR20190024707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탭과 집전체 연결이 개선된 전극조립체, 여기에 이용되는 점착 탭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296316A1 (en) * 2018-03-26 2019-09-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tab having a localized welded joi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9194946A (ja) * 2018-05-01 2019-11-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型電池および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KR102601624B1 (ko) * 2018-06-20 2023-11-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전극 탭들 사이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CN112424975A (zh) * 2018-07-18 2021-02-2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固体电池用正极、固体电池用正极的制造方法、及固体电池
WO2020149019A1 (ja) * 2019-01-15 2020-07-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二次電池
JP7211165B2 (ja) 2019-03-01 2023-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7424839B2 (ja) * 2020-01-17 2024-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7970A1 (ja) * 2016-11-08 2018-05-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固体電池、固体電池の製造方法、電池パック、車両、蓄電システム、電動工具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06300A (zh) 2021-08-03
US11764396B2 (en) 2023-09-19
US20230275266A1 (en) 2023-08-31
JP7322731B2 (ja) 2023-08-08
DE102021101120A1 (de) 2021-08-05
KR20210098336A (ko) 2021-08-10
US20210242492A1 (en) 2021-08-05
JP2021125296A (ja)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9335B2 (ja)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US11114687B2 (en) Battery
JP5720779B2 (ja) バイポーラ全固体電池
US9240578B2 (en) Secondary battery
KR102603776B1 (ko) 전고체 전지
CN112424975A (zh) 固体电池用正极、固体电池用正极的制造方法、及固体电池
US20240063515A1 (en) Secondary battery
RU2753235C1 (ru) Полностью твердотельный аккумулятор
JP7469091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1029634A (zh) 固体电池的制造方法
JP5429304B2 (ja) 固体電池モジュール
CN113451637A (zh) 锂离子二次电池
CN108808096B (zh) 层叠电池
JP2021099949A (ja) 全固体電池
US20230147419A1 (en) All-solid-state battery
US20240178459A1 (en) Solid-stat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20231343A1 (en) Solid-state battery and solid-state battery unit
US20220294018A1 (en) Solid-state battery
US20240079751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22063685A (ja) 電池
JP2024062860A (ja) ラミネート型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