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50B1 -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50B1
KR101970250B1 KR1020170084375A KR20170084375A KR101970250B1 KR 101970250 B1 KR101970250 B1 KR 101970250B1 KR 1020170084375 A KR1020170084375 A KR 1020170084375A KR 20170084375 A KR20170084375 A KR 20170084375A KR 101970250 B1 KR101970250 B1 KR 101970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bus bar
electrode terminal
snap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150A (ko
Inventor
김광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50B1/ko
Priority to CN201810266644.3A priority patent/CN109244288A/zh
Priority to US16/018,916 priority patent/US20190006652A1/en
Publication of KR2019000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2/206
    • H01M2/3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1Arrangement i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1M50/287Fixing of circuit boards to 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이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호 적층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과, 절곡되어 상기 전극단자와 평행한 버스바 접촉면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버스바를 접촉시키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Battery Module in which battery cell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엔진에서 구동력을 생성하는 차량은 대기오염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동력원으로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기술이 대두되었다.
배터리 만으로 운행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배터리와 기존 엔진을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등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EV,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의 이차전지는 니켈 금속수소(Ni-MH) 전지나 리튬 이온전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EV, HEV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고출력 대용량이 요구되므로, 다수의 소형 이차전지(단위전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한 구조의 중대형 배터리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소형 이차전지(단위전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으로써 레이져 용접, 초음파 용접기술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 이차전지들을 용접하여 연결한 배터리 모듈의 경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다수의 소형 이차전지 중에 어느 하나에 문제가 생기면 그 하나의 소형 이차전지만 분리할 수 없어 해당 배터리 모듈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7163호(2016.7.2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 1 과제는, 배터리 셀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배터리 모듈 제작 공정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접공구의 마모로 인해 용접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배터리 모듈을 용접할 때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배터리 셀이 손상될 위험이 있었다. 본 별명의 제 3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과제는, 배터리 셀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각각이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호 적층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과, 절곡되어 상기 전극단자와 평행한 버스바 접촉면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버스바를 접촉시키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또한, 클립은 제1 부재에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제2 부재가 스냅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스냅핏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클립은 제2 부재가 제1 부재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클립은, 전극단자와 버스바의 접촉부의 테두리 중 상기 접촉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의 양쪽 테두리를 감싸고, 버스바의 절곡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클립은 전극단자와 버스바의 접촉부의 테두리 중 배터리 셀로부터 먼쪽 테두리를 감싸도록, 테두리 상에 상기 접촉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립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가 서로 교차되는 형상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상호 결합되어 전극단자와 버스바를 접촉시키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은 제1 부재에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제2 부재가 스냅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스냅핏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클립은 제2 부재가 제1 부재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됨으로써,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있을 시, 클립을 전극단자 및 버스바로부터 분리한 후 문제가 있는 배터리 셀을 배터리 모듈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클립 제1 부재와 클립 제2 부재가 상호 결합되며 복수의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써, 종래 기술의 배터리 모듈 제작 공정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접공구의 마모로 인해 용접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전극단자와 버스바가 균일하게 접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클립과 전극단자 및 버스바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써, 용접 공정과 달리 고온의 열이 발생하여 배터리 셀의 손상될 우려가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은, 전극단자와 버스바의 접촉부의 테두리 중 상기 접촉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의 양쪽 테두리를 감싸고, 버스바의 절곡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전극단자와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립은 전극단자와 버스바의 접촉부의 테두리 중 배터리 셀로부터 먼쪽 테두리를 감싸도록, 테두리 상에 상기 접촉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함으로써, 전극단자와 버스바를 외부 충격 및 이물질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립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가 서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전극단자와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을 포함하는 차량(1)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모듈(100)에서 회로기판 커버(115)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배터리 모듈(100)에서 클립(160)이 결합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16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클립(160)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16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클립(160)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16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16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16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B'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에서 클립(260)이 결합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클립(260)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360)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460)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클립(460)이 결합된 전극단자(433) 및 버스바(450)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차량(1)을 구동하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는 배터리 팩(10)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작동되며,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차량(1)은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배터리 팩(1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차체 바닥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차량(1)의 전방 회전축과 후방 회전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체바닥은 차실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실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센터 콘솔박스 및 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차실의 외부에 배치되며 차체 바닥의 하부에는 배터리 팩(10)이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내연기관을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탱크에 해당하고,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키는 충전과 배터리 용량을 감소시키는 방전을 반복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충전 및 방전 시 열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0)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0)은 트레이(22)와 결합되어 배터리 모듈(100)을 덮는 커버(2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0)은 배터리 모듈(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트레이(2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0)은 트레이(22)의 강성을 보강하고, 히트싱크(40)의 하중을 트레이(22)에 고르게 분배하는 지지패널(25)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모듈(100)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히트싱크(4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싱크(40)는 열전달계수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모듈(100)의 열 에너지를 히트싱크(40)로 전달하는 써멀패드(60)(thermal pad)를 포함할 수 있다. 써멀패드(60)는 열전도 패드일 수 있다. 써멀패드(60)는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모듈(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커버(21)를 지지하는 브라켓(8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팩(10)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100)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100)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 모듈(100)은 각각이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133)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1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셀(130)은 복수개가 상호 적층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인접하는 배터리 셀(130)의 전극단자(13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150)는 절곡되어 전극단자(133)와 평행한 버스바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상호 결합되어 전극단자와 버스바를 접촉시키는 클립(16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160)은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팩(10) 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팩(10) 내에 복수개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팩(10) 내에 복수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은 적층된 복수의 셀 카트리지(120)의 적어도 일측을 커버하는 카트리지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110)는 적층된 복수의 셀 카트리지(12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을 커버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110)는 적층된 복수의 셀 카트리지(120)가 적층되는 방향인 양측을 커버할 수 있다.
한 쌍의 카트리지 커버(110)는 복수의 적층된 셀 카트리지(120)를 적층된 방향의 양쪽에서 커버할 수 있다. 한 쌍의 카트리지 커버(110)는 복수의 적층된 셀 카트리지(120)를 전후 양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카트리지 커버(110)는 셀 카트리지(12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110)는 셀 카트리지(12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카트리지 커버(110)는 셀 카트리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110)는 셀 카트리지(120)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어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110)는 셀 카트리지(120)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110)는 복수의 적층된 셀 카트리지(120)에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버(110) 및 셀 카트리지(120) 중 어느 하나에 돌출부가 생성되고 다른 하나에 돌출부와 대응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결합됨으로써, 카트리지 커버(110) 및 셀 카트리지(12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모듈(100)의 일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140)을 커버하는 회로기판 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는 카트리지 커버(110)로 커버되지 않는 배터리 모듈(100)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는 적층된 복수의 셀 카트리지(120)의 적어도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는 적층된 복수의 셀 카트리지(12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을 커버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는 셀 카트리지(12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는 셀 카트리지(12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는 셀 카트리지(120)와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는 셀 카트리지(120)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어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는 셀 카트리지(120)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 및 셀 카트리지(120)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생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와 대응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회로기판 커버(115) 및 셀 카트리지(12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115)는 복수의 적층된 셀 카트리지(120)에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로기판(140)의 돌출 형상에 대응되게 함몰부가 형성되어 회로기판(140)이 회로기판 커버(115)에 일부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인 형상일 수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셀 카트리지(120)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배터리 셀(130)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30)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셀 카트리지(120)는 두 개의 배터리 셀(130)을 수용하나, 이와 달리 두 개 이상의 배터리 셀(130)을 수용할 수도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열전달소재(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를 배터리 셀(130)과의 접촉면에 구비할 수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셀 카트리지(120)는 양측이 개방된 형상이나, 이와 달리 일측이 개방된 형상일 수도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복수의 셀 카트리지(120)가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셀 카트리지(120)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구비하여 서로 맞물리며 적층될 수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카트리지 커버(110)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카트리지 커버(110)에 의해 적어도 일측이 커버될 수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카트리지 커버(110)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양측이 커버될 수 있다. 셀 카트리지(120)는 카트리지 커버(110)에 의해 복수의 셀 카트리지(120)가 적층되는 방향인 양측이 커버되어 지지될 수 있다.
배터리 셀(130)은 화학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배터리 셀(130)은 파우치 타입의 셀일 수 있다.
배터리 셀(130)은 셀 카트리지(120)에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30)이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130)은 셀 카트리지(120)에 두개의 배터리 셀(130)이 수용되나, 이와 달리 두 개 이상의 배터리 셀(130)이 수용될 수도 있다.
배터리 셀(130)은 복수의 배터리 셀(130)이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셀(1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셀(130)은 내부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셀 바디(131)를 포함할 수 있다. 셀 바디(131)는 셀 카트리지(12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셀 바디(131)는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해당 셀 바디(131) 외부로 제공하는 전극단자(133)를 구비할 수 있다. 셀 바디(131)는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133)를 구비할 수 있다. 셀 바디(131)는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13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셀 바디(131)는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133)를 구비하나, 이와 달리 셀 바디(131)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133)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극단자(133)는 인접한 배터리 셀(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극단자(133)는 배터리 셀(130)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배터리 셀(130)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셀 바디(131)의 전극단자(133)는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극단자(133)는 인접한 복수의 셀 바디(131)의 전극단자(133)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직렬 연결되어 전력을 구성할 수 있다. 전극단자(133)는 인접한 복수의 셀 바디(131)의 전극단자(133)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병렬 연결되어 전력을 구성할 수 있다.
전극단자(133)는 버스바(150)와 일정 넓이의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전극단자(133)의 돌출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단자(133)의 돌출 길이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극단자(133)는 회로기판(140)에 형성된 전극단자 관통홀(142)을 관통하며 돌출될 수 있다. 전극단자(133)는 회로기판(140)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극단자(133)가 회로기판(140)을 관통하며 회로기판(140)이 배터리 모듈(10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극단자(133)는 전극단자 관통홀(142)을 관통하며 배터리 모듈(10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전극단자(133)는 배터리 모듈(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버스바(150)가 배터리 모듈(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버스바(150)와 효율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전극단자(133)는 버스바(150)와 일정 넓이의 전극단자-버스바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단자-버스바 접촉면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4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 판형인 회로기판 바디(141)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회로기판(140)은 전극단자(133)가 관통되기 위한 전극단자 관통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단자 관통홀(142)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극단자 관통홀(142)은 복수의 전극단자(133)에 대응되게 복수의 전극단자 관통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단자 관통홀(142)은 회로기판(140) 상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전극단자 관통홀(142)은 전극단자 관통홀(142)을 관통하는 전극단자(133)가 회로기판(14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여, 조립 시 전극단자(133)가 용이하게 회로기판(140)을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전극단자 관통홀(142)은 전극단자(133)가 회로기판(140)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홀의 크기가 형성되어, 전극단자(133)와 회로기판(140)이 접촉되며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단자 관통홀(142)은 전후로 나란히 배열되어 복수의 전극단자(133)가 관통될 수 있다. 전극단자(133)는 전극단자 관통홀(142)을 관통하며 배터리 모듈(10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40)은 복수의 버스바 단자(15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각각의 배터리 셀(130)의 전압을 측정하는 서브회로기판(143)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회로기판(143)은 전체적으로 직사각 판형일 수 있다.
서브회로기판(143)은 회로기판(140) 상에 버스바 단자(156)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회로기판(143)은 전후로 길게 연장되어, 복수의 버스바 단자(156)와 접촉될 수 있다.
서브회로기판(143)은 버스바 단자(156)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서브회로기판(143)은 버스바 단자(15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각의 배터리 셀(13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서브회로기판(143)은 측정된 배터리 셀(130)의 전압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40)은 셀 카트리지(120)와 회로기판 결합부(144)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140)은 셀 카트리지(120)와 회로기판 결합부(144)로 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140)은 결합고리를 구비하고, 셀 카트리지(120)는 상기 돌출고리와 결합가능한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회로기판(140)과 셀 카트리지(12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40)은 배터리 모듈(100)에서 전압의 출력되고 배터리 모듈(100)로 전압이 입력되는 전압단자(147)를 구비할 수 있다. 전압단자(147)는 회로기판(140)의 상측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버스바(15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판형인 버스바 바디(151)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버스바 바디(151)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버스바(150)는 회로기판(140)에 좌우로 배치된 전극단자 관통홀(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일면이 회로기판(140)과 접촉되며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회로기판(140)에 열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복수의 배터리 셀(130)이 적층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버스바(150)가 회로기판(140)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각각이 배터리 셀(1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회로기판(140)과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51)는 직사각 판형인 형상일 수 있다. 버스바 바디(151)는 일면이 회로기판(140)과 접촉된 채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51)는 버스바(150)에 열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51)는 버스바(15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133)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게 전후방향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51)는 전극단자(133)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게 버스바 바디(151)의 전후방향 길이가 형성되어, 버스바 바디(15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버스바 절곡부(152)가 전극단자(133)와 접촉될 수 있다.
버스바 바디(151)는 버스바(15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133)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게 상하방향 길이가 형성되어, 버스바 바디(15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버스바 절곡부(152)와 전극단자(133)의 접촉면이 효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8을 참조하면, 버스바(150)는 버스바 바디(151)의 적어도 일단에 버스바 절곡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버스바 바디(151)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 버스바 절곡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 절곡부(152)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버스바 레그(153)가 버스바 바디(151)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버스바 절곡부(152)는 제작공정상 정확히 90도로 절곡되기 어렵고, 일정한 곡률을 가진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클립(160)은 버스바의 절곡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버스바 절곡부(152)의 곡률로 인해 클립(160)과 버스바(150)가 이격되며 접촉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클립(160)은 버스바 바디(151)로부터 gap 1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버스바 절곡부(152)의 곡률로 인해 클립(160)과 버스바(150)의 접촉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gap 1은 버스바 절곡부(152)의 곡률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5 및 8을 참조하면, 버스바(150)는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인 버스바 레그(153)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150)는 버스바 바디(151)의 적어도 일단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버스바 레그(153)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레그(153)는 버스바 바디(151)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버스바 레그(153)는 상하로 긴 직사각 판형일 수 있다. 버스바 레그(153)는 버스바 바디(151)의 전후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버스바 레그(153)는 버스바 바디(151)의 일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 레그(153)는 배터리 모듈(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전극단자(133)가 배터리 모듈(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전극단자(133)와 효율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버스바 레그(153)는 전극단자(133)와 접촉하며 전극단자-버스바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단자-버스바 접촉면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버스바 레그(153)는 전극단자(133)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전극단자(133)와의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버스바(150)는 회로기판(140)과 버스바(150)를 결합하는 버스바 결합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결합부(155)는 회로기판(140)과 버스바(150)를 관통하며 회로기판(140) 및 버스바(15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버스바 결합부(155)는 버스바(150)와 회로기판(140)이 열융착되어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버스바 결합부(155)는 버스바(15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버스바 결합부(155)가 구비되어, 버스바(150)와 회로기판(14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버스바(150)는 일단에서 돌출되어 서브회로기판(143)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버스바 단자(156)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단자(156)는 서브회로기판(143)과 접촉되며 버스바(150)와 서브회로기판(14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버스바 단자(156)는 끝단에 서브회로기판(143)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서브회로기판(143)과 결합되며, 버스바(150)와 서브회로기판(143)이 안정적으로 전기적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클립(160)은 상호 결합되어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클립(160)은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160)은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접촉부의 테두리 중 상기 접촉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의 양쪽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접촉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클립(160)은 버스바(150)의 절곡부(152)에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클립(160)은 버스바 바디(151)로부터 gap1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버스바 절곡부(152)의 곡률로 인해 클립(160)과 버스바(150)가 이격되며 접촉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클립(160)은 일정 정도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복수의 클립 부재(161, 163)가 상호 스냅핏 결합될 수 있다. 클립(16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스냅핏 결합시 휘어졌다가 복원 가능하게 변형될 수 있다.
클립(160)은 전극단자(133) 및 버스바(150)가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부를 커버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립(160)은 전극단자(133) 및 버스바(150)보다 회로기판(140)으로부터 gap2만큼 더 돌출되게 구비되어, 전극단자(133) 및 버스바(150)를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립(160)은 클립 제1 부재(161)가 전극단자(133)와 일면이 접촉되고 클립 제2 부재(163)가 버스바(150)와 일면이 접촉되나, 이와 달리 클립 제1 부재(161)는 버스바(150)와 접촉되고 클립 제2 부재(163)는 전극단자(133)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클립(160)은 상호 스냅핏 결합되는 복수의 클립 부재(161, 163)로 구성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스냅돌기(167-1)가 형성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는 스냅돌기(167-1)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가 스냅핏(snap-fit)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립(160)은 일단에 스냅돌기부(167)가 구비될 수 있다. 스냅돌기부(167)는 클립 제1 부재(161)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스냅돌기부(167)는 클립 제2 부재(163)의 일단과 스냅핏 결합되는 스냅돌기(167-1)를 구비할 수 있다.
스냅돌기부(167)는 클립 제2 부재(163)의 두께를 고려하여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스냅돌기부(167)는 복수의 클립 부재(161, 163) 사이에 배치되는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두께를 고려하여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냅돌기부(167)는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 사이에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가 위치된 상태에서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가 스냅핏 결합되도록 스냅돌기부(167)의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스냅돌기(167-1)는 스냅돌기부(167)의 일단에서 클립 제1 접촉면(161-1)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스냅돌기(167-1)는 스냅돌기부(167)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스냅돌기부(167)는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의 결합 및 분리 시 휘어질 수 있도록, 재질의 탄성력을 고려해 두께가 형성될 수 있다. 스냅돌기부(167)는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가 결합될 때, 하측으로 휘어졌다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며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가 스냅핏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스냅돌기부(167)는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가 분리될 때, 하측으로 휘어졌다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며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클립(160)은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가 이격없이 결합되며, 결합 및 분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전극단자(133)와 클립 제1 접촉면(161-1)에서 접촉하며 전극단자(133)를 지지할 수 있다.
클립(160)은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하좌우로 배열되는 복수의 돌기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립 제1 부재(161)는 클립 제1 접촉면(161-1) 상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클립 제1 접촉면(161-1) 상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클립 제1 접촉면(161-1)에 제조공차로 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제조공차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키며 전극단자(133)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볼록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버스바(15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기는 돌출되는 반구형상으로 구비되지만, 이와 다른 돌출형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는, 클립(160)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돌기선일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돌기선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클립 제1 접촉면(161-1) 상에 돌기선을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돌기선을 포함하여, 클립 제1 접촉면(161-1)에 제조공차로 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제조공차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키며 전극단자(133)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복수의 돌기선이 나란하게 구비되어 전극단자(133)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클립(160)은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전기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전기전도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클립 제1 부재(161)는 클립 제1 접촉면(161-1) 상에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를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는 클립 제1 접촉면(161-1) 상에 형성된 홈에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는 클립(160)보다 전기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는 전극단자(133)와 접촉되는 면에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는 전극단자(133)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는 전극단자(133)와 접촉되는 면에 돌기선(162-1)을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는 복수의 돌기선(162-1)이 나란히 구비되어 전극단자(133)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 제1 부재(161)는 돌기선(162-1)이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 상에 구비되나, 이와 달리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가 구비되지 않고 클립 제1 접촉면(161-1) 상에 돌기선(162-1)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클립(160)은 클립 제1 부재(161)와 상기 클립 제2 부재(163)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완충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클립 제1 접촉면(161-1) 상에 완충부(168)를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클립 제1 접촉면(161-1)의 테두리를 따라 완충부(168)를 구비하여, 전극단자(133)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는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와 클립 제1 접촉면(161-1)의 테두리 사이에 완충부(168)를 구비할 수 있다.
완충부(168)는 클립 제2 부재(163)가 분리된 상태에서,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전극단자(133)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완충부(168)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완충부(168)는 고무 패킹일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는 스냅돌기(167-1)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가 스냅핏(snap-fit) 결합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는 일단이 스냅돌기(167-1)와 스냅핏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클립 제2 부재(163)는 스냅돌기(167-1)가 스냅핏 결합되는 일단에 스냅홈이 형성되어, 클립 제1 부재(161)의 스냅돌기(167-1)와 클립 제2 부재(163)의 결합위치를 안내하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는 버스바(150)와 클립 제2 접촉면(163-1)에서 접촉하며 버스바(150)를 지지할 수 있다.
클립(160)은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하좌우로 배열되는 복수의 돌기일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는 클립 제2 접촉면(163-1) 상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는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클립 제2 접촉면(163-1)에 제조공차로 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제조공차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키며 전극단자(133)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클립 제2 부재(163)는 클립 제1 돌출부(161-2)와 서로 교차되는 형상인 클립 제2 돌출부(163-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에 구비되는 복수의 돌기(163-2)는 클립 제1 부재(161)에 구비되는 복수의 돌기(161-2)와 서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의 (3)을 참조하면, 클립 제2 부재(163)의 복수의 돌기(163-2)는,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 결합시, 클립 제1 부재(161)의 복수의 돌기(161-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의 복수의 돌기(163-2)는 클립 제1 부재(161)의 복수의 돌기(161-2)와 돌출 높이가 같게 형성되어, 클립(160)이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를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61-2, 163-2)는 볼록한 반구형상으로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버스바(15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기(161-2, 163-2)는 돌출되는 반구형상으로 구비되지만, 이와 다른 돌출형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클립 제2 부재(163)는 클립 제1 돌출부와 서로 교차되는 형상인 클립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 제2 부재(163)는, 클립 제1 부재(161)의 돌기선과 대응되는 형상인 홈선을 포함하여, 클립(160)이 결합될 때 버스바(150)의 적어도 일부가 홈선으로 인입되며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홈선은 클립 제1 부재(161)의 복수의 돌기선의 수에 대응되게 복수의 홈선이 구비될 수 있다. 홈선은 나란히 구비되는 복수의 돌기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홈선이 나란히 구비되어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160)은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전기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전기전도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는 클립 제2 접촉면(163-1) 상에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를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는 클립(160)보다 전기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는 클립 제2 접촉면(163-1) 상에 형성된 홈에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는 버스바(150)와 접촉되는 면에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는 버스바(150)와 접촉되는 면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는, 버스바(150)와 접촉되는 면에 클립 제1 전기전도체(162)의 돌기선(162-1)에 대응되는 형상인 홈선(164-1)을 구비하여,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는 복수의 돌기선(16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홈선(164-1)이 나란히 구비되어 버스바(15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 제2 부재(163)는 홈선(164-1)이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 상에 구비되나, 이와 달리 클립 제2 전기전도체(164)가 구비되지 않고 클립 제2 접촉면(163-1) 상에 홈선(164-1)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 제1 부재(161)는 돌기선(162-1)을 구비하고 클립 제2 부재(163)는 홈선(164-1)을 구비하나, 이와 달리 클립 제1 부재(161)는 홈선을 구비하고 클립 제2 부재(163)는 돌기선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클립 제2 부재(163)는 클립 제1 부재(16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161)의 일단과 클립 제2 부재(163)의 일단은 클립 힌지(165)로 상호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클립 부재(161, 163)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클립 부재(161, 163)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163)는 클립 힌지(165)를 회전축으로 회전되며 클립 제1 부재(161)와 스냅핏 결합되게 구비되어, 클립(160)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클립(160)은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 및 클립 힌지(165)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제작공정이 간소해질 수 있다.
클립 힌지(165)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부러지지 않으면서 접히고 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클립 힌지(165)는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의 두께를 고려하여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클립 힌지(165)는 클립 제1 부재(161)와 클립 제2 부재(163) 사이에 전극단자(133)와 버스바(150)가 위치된 상태에서 클립 제2 부재(163)가 스냅핏 결합되도록, 클립 힌지(165)의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및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을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230)의 전극단자(233)는 스냅돌기(261-3)가 관통되는 전극단자 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단자 홀(235)은 스냅돌기(261-3)의 크기에 대응되어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전극단자 홀(235)은 스냅돌기(261-3)의 모양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스(261-3)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전극단자 홀(235)도 이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와 다른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스냅돌기(261-3)에 대응되게 복수의 전극단자 홀(235)이 상하로 형성되어, 버스바(250)와 전극단자(233)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극단자 홀(235)은 스냅돌기(261-3)가 관통되며 전극단자(233)와 버스바(25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250)는 스냅돌기(261-3)가 관통되는 버스바 홀(253)이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 홀(253)은 스냅돌기(261-3)의 크기에 대응되어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 홀(253)은 스냅돌기(261-3)의 모양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냅돌기(261-3)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버스바 홀(253)은 이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와 다른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버스바 홀(253)은 복수의 스냅돌기(261-3)에 대응되게 복수의 버스바 홀(253)이 상하로 형성되어, 버스바(250)와 전극단자(233)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버스바 홀(253)은 스냅돌기(261-3)가 관통되며 버스바(250)와 전극단자(233)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버스바(250)는 복수의 스냅돌기(261-3)에 대응되게 복수의 버스바 홀(253)을 구비하여, 클립(260)과 버스바(25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260)의 클립 제1 부재(261)는 스냅돌기(261-3)가 구비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261)는 보스 형상인 스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263)는 보스(261-3)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261)와 클립 제2 부재(263)가 스냅핏(snap-fit) 결합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261)는 중앙에 보스 형상인 하나 이상의 스냅돌기(261-3)를 구비하여, 보스 형상인 하나 이상의 스냅돌기(261-3)가 클립 제2 부재(263)에 구비되는 스냅홀(263-3)을 관통하며 클립 제1 부재(261)와 클립 제2 부재(263)가 결합될 수 있다.
스냅돌기(261-3)는 원통형상의 보스의 끝단에 스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스냅돌기(261-3)는 클립 제1 접촉면(261-1)과 평행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클립 제2 부재(263)에 원형인 스냅돌기(261-3)에 대응되게 원형인 스냅홀(263-3)이 구비되어, 스냅홀(263-3)이 다각형인 경우보다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스냅돌기(261-3)는 클립 제2 부재(263)의 폭에 비례하여 스냅돌기(261-3)의 지름이 형성되어, 스냅돌기(261-3)가 통과되게 형성되는 스냅홀(263-3)때문에 클립 제2 부재(263)의 폭이 좁아지는 부분에 응력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 제2 부재(263)가 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263)는 클립 제1 부재(26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261)와 클립 제2 부재(263)는 클립 힌지(265)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클립(260)은 보스(261-3)가 구비된 클립(260)이 전극단자(233) 및 버스바(250)와 결합될 때, 인접한 전극단자(233)나 버스바(250) 또는 또다른 클립(260)과 접촉되어 클립 부재(261, 263) 상호간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스냅돌기(261-3)는 전극단자(233) 및 버스바(250)와 결합시 복수의 클립 부재(261, 263)가 상호 회전가능한 범위를 고려하여 스냅돌기(261-3)의 높이가 형성되어, 클립(260)이 전극단자(233) 및 버스바(250)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냅돌기(261-3)는 전극단자(233) 및 버스바(250)와 결합시 복수의 클립 부재(261, 263)가 상호 회전가능한 범위를 고려하여 스냅돌기(261-3)의 위치가 형성되어, 클립(260)이 전극단자(233) 및 버스바(250)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냅돌기 (261-3)는 끝단이 벌어진 구조로 스냅부가 형성되어, 힘을 가하면 모아졌다가 탄성에 의해 벌어지며 클립 제1 부재(261)와 클립 제2 부재(263)를 스냅핏 결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스냅돌기(261-3)는 끝단의 스냅부가 스냅돌기(261-3)의 원통형상인 부분 외측면과 경사를 이루며 연결되게 형성되어, 스냅돌기(261-3)가 스냅홀(263-3)과 결합될 때 스냅홀(263-3)이 상기 경사를 타고 스냅돌기(261-3) 내측으로 더 인입되도록 하여 스냅핏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클립 제1 부재(261)는 클립 제1 접촉면(261-1) 상에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하좌우로 배열되는 복수의 돌기일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261)는 스냅돌기(261-3)보다 낮은 높이의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전극단자(233)와 버스바(250)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출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돌기선일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261)는 돌기선을 구비하여, 클립 제1 접촉면(261-1)에 제조공차로 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제조공차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키며 전극단자(233)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260)의 클립 제2 부재(263)는 중간에 스냅돌기(261-3)가 관통되는 스냅홀(263-3)이 형성되어, 클립 제1 부재(261)와 스냅핏 결합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263)는 하나 이상의 스냅홀(263-3)이 형성되어, 스냅돌기(261-3)가 스냅홀(263-3)을 관통하며 클립 제1 부재(261)와 클립 제2 부재(263)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스냅홀(263-3)은 클립 제2 부재(263)의 폭에 비례하여 스냅홀(263-3)의 지름이 형성되어, 스냅돌기(261-3)가 통과되게 형성되는 스냅홀(263-3)때문에 클립 제2 부재(263)의 폭이 좁아지는 부분에 응력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 제2 부재(263)가 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261)는 전극단자(233)와 버스바(250)가 적층되는 두께를 고려하여 스냅돌기(261-3)의 길이가 형성되어, 보스(261-3)가 전극단자(233)와 버스바(250) 및 스냅홀(263-3)을 관통하며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클립(260)은 스냅돌기(261-3) 및 스냅홀(263-3)이 열융착되며, 전극단자(233)와 버스바(250)가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열융착된 클립(260)은 이후 다시 열을 가하여 분리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263)는 클립 제1 부재(26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260)은 클립 제1 부재(261)와 클립 제2 부재(263)가 클립 힌지(265)로 상호 연결되나, 이와 달리 클립 제1 부재(261)와 클립 제2 부재(263)가 별도의 부재로서 스냅핏 결합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300)을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360)은, 일단이 클립 제1 부재(361)와 각각 상호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스냅핏 결합되는 복수의 클립 제2 부재(36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361)는 양단이 복수의 클립 제2 부재(363)와 각각 클립 힌지(365)로 연결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361)는 보스 형상인 복수의 스냅돌기(361-3)가 형성되어 복수의 클립 제2 부재(363)에 구비되는 스냅홀(363-3)을 각각 관통하며, 클립 제1 부재(361)와 각각의 클립 제2 부재(363)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클립 제1 부재(361)는 클립 제1 접촉면(361-1) 상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전극단자(333)와 버스바(350)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출부는 복수의 돌기가 상하좌우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돌출부는 클립(360)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선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클립 제2 부재(363)는 상측 클립 제2 부재(363a) 및 하측 클립 제2 부재(363b) 각각에 스냅홀(363-3b)이 형성되어, 클립 제1 부재(361)와 복수의 클립 제2 부재(363) 각각이 스냅핏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클립(360)은 스냅돌기(361-3)가 구비된 클립(360)이 전극단자(333) 및 버스바(350)와 결합될 때, 인접한 전극단자(333)나 버스바(350) 또는 다른 클립(360)과 접촉되어 복수의 클립 부재(361, 363) 상호간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스냅돌기(361-3)는 전극단자(333) 및 버스바(350)와 결합시 복수의 클립 부재(361, 363)가 상호 회전가능한 범위를 고려하여 스냅돌기(361-3)의 높이가 형성되어, 클립(360)이 전극단자(333) 및 버스바(350)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복수의 클립 제2 부재(363)는, 복수의 클립 제2 부재(363) 각각이 회전될 때 클립 제1 부재(361)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하나의 클립 제2 부재로 구성된 경우보다 짧으므로, 전극단자(333) 및 버스바(350)와 결합할 때 하나의 클립 제2 부재인 경우보다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클립 제2 부재(363)는 각각이 클립 제1 부재(361)와 상호 결합되나, 이와 달리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클립 제2 부재(363)와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클립 제2 부재(363)가 상호 결합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클립 제2 부재(363)는 상측 클립 제2 부재(363a)의 일단에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하측 클립 제2 부재(363b)의 일단에 상측 클립 제2 부재(363a)와 교차 결합되는 스냅돌기가 형성되어 복수의 클립 제2 부재(363) 상호간에 스냅핏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 및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400)을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450)의 버스바 레그(453)는 일단이 전극단자(433)를 향하여 절곡되어, 전극단자(433)와 버스바(450)의 접촉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버스바 레그(453)는 버스바(450) 바디에서 먼 쪽 일단이 전극단자(433)를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될 수 있다.
버스바 레그(453)는 일단의 절곡된 부분(453-1)이 배터리 셀(430)로부터 연장되는 전극단자(433)의 끝단과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버스바(450)와 전극단자(433) 접촉시 접촉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버스바 레그(453)는 일단이 절곡되어, 전극단자-버스바 접촉면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460)은, 클립 제1 부재(461)와 클립 제2 부재(463) 중 전극단자(433)와 접촉되는 부재가, 버스바(450)와 접촉되는 부재보다 배터리 셀(430)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어, 버스바(450) 및 전극단자(433)와 클립(460)의 접촉을 향상시키며, 버스바(450) 및 전극단자(433)를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461)는 클립 제2 부재(463)보다 회로기판(440)을 향해 더 연장되게 길이가 형성되어, 클립 제1 접촉면(461-1)과 전극단자(433)의 접촉면적이 확장되게하여 전극단자(433)를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 제1 부재(461)가 전극단자(433)와 접촉되고 클립 제2 부재(463)가 버스바(450)와 접촉되게 구비되나, 이와 달리 클립 제1 부재(461)가 버스바(450)와 접촉되고 클립 제2 부재(463)가 전극단자(433)와 접촉되는 경우에는 클립 제2 부재(463)가 클립 제1 부재(461)보다 회로기판(440)을 향해 더 연장되게 길이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클립(460)은 전극단자(433)와 버스바(450)의 접촉부의 테두리 중 배터리 셀(430)로부터 먼 쪽 테두리를 감싸도록, 테두리 상에 상기 접촉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여, 전극단자(433) 및 버스바(450)를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클립 제1 부재(461)는 클립 제1 접촉면(461-1) 상에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클립벽(461-4)이 구비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461)는 클립 제1 접촉면(461-1)의 길이방향과 폭 방향 중 폭방향인 일측 가장자리에 클립벽(461-4)이 구비될 수 있다. 클립 제1 부재(461)는 일단이 클립 힌지(465)와 인접하고 타단이 스냅돌기부(467)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클립벽(461-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클립(460)은 전극단자(433) 및 버스바(450)에 클립(460)이 결합될 때, 클립 제1 접촉면(461-1)에 구비되는 벽에 의해 결합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 제1 부재(461)의 클립 제1 접촉면(461-1)에 클립벽(461-4)이 구비되나, 이와 달리 클립 제2 부재(463)에 구비되거나 클립 제1 부재(461) 및 클립 제2 부재(463) 모두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 제2 부재(463)가 클립벽(461-4)을 커버하게 구비되나, 이와 달리 클립 제2 부재(463)가 클립벽(461-4)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클립 제1 접촉면(461-1)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클립벽(461-4)은 클립 제1 부재(461)와 클립 제2 부재(463)가 결합되었을 때 클립 제2 부재(463)의 일측면을 커버하도록 클립 제1 접촉면(461-1)으로부터 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클립 제2 부재(463)는 버스바(450)의 절곡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버스바 절곡부(452)의 곡률로 인해 클립 제1 부재(461)와 버스바 레그(453)가 이격되어 접촉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463)는 버스바 바디(451)로부터 gap 1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버스바 절곡부(452)의 곡률로 인해 클립 제1 부재(461)와 버스바(450)의 접촉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gap 1은 버스바 절곡부(152)의 곡률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클립 제2 부재(463)는 버스바(450) 바디로부터 gap 1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클립 제1 부재(461)는 클립 제2 부재(463)보다 회로기판(440)을 향하여 더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클립(460)과 버스바(450)의 접촉이 향상되도록 하되 전극단자(433) 및/또는 버스바(450)를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립 제1 부재(461)는 전극단자(433)와 접촉되고 클립 제2 부재(463)는 버스바(450)와 접촉되나, 이와 달리 클립 제1 부재(461)는 버스바(450)와 접촉되고 클립 제2 부재(463)는 전극단자(433)와 접촉되는 경우에 클립 제2 부재(463)가 클립 제1 부재(461)보다 회로기판(440)을 향해 더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110 : 카트리지 커버
115 : 회로기판 커버 120 : 셀 카트리지
130 : 배터리 셀 140 : 회로기판
150 : 버스바 160 : 클립
200 :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230 : 배터리 셀
250 : 버스바 260 : 클립
300 :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360 : 클립
400 :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440 : 회로기판
450 : 버스바 460 : 클립

Claims (19)

  1. 각각이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호 적층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절곡되어 상기 전극단자와 평행한 버스바 접촉면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및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버스바를 접촉시키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상기 전극단자와 접촉되는 부재가, 상기 버스바와 접촉되는 부재보다 상기 배터리 셀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버스바의 접촉부의 테두리 중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먼 쪽 테두리를 감싸도록, 테두리 상에 상기 접촉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이 향상되도록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재질과 다른 재질의 제3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제1 부재는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제2 부재는 상기 스냅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스냅핏(snap-fit) 결합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일단이 상기 제1 부재와 각각 상호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스냅핏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2 부재의 중간에 상기 스냅돌기가 관통되는 스냅홀이 형성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전극단자에 상기 스냅돌기가 관통되는 전극단자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스냅돌기가 관통되는 버스바 홀이 형성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스냅돌기 및 상기 스냅홀이 열융착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버스바의 접촉부의 테두리 중 상기 접촉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의 양쪽 테두리를 감싸고,
    상기 버스바의 절곡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인 버스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레그는 일단이 상기 전극단자를 향하여 절곡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하좌우로 배열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부재에 상기 제1 돌출부와 서로 교차되는 형상인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립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돌기선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돌기선과, 상기 제2 부재에 상기 돌기선과 대응되는 형상인 홈선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전기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전도체 상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완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19. 제 1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170084375A 2017-07-03 2017-07-03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KR10197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375A KR101970250B1 (ko) 2017-07-03 2017-07-03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CN201810266644.3A CN109244288A (zh) 2017-07-03 2018-03-28 电池模块
US16/018,916 US20190006652A1 (en) 2017-07-03 2018-06-26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375A KR101970250B1 (ko) 2017-07-03 2017-07-03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150A KR20190004150A (ko) 2019-01-11
KR101970250B1 true KR101970250B1 (ko) 2019-04-18

Family

ID=6473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375A KR101970250B1 (ko) 2017-07-03 2017-07-03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06652A1 (ko)
KR (1) KR101970250B1 (ko)
CN (1) CN1092442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198A (ko)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리드와 버스바의 기계적 연결구조를 갖는 전지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0000459T5 (de) 2019-01-21 2021-11-25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Stromverteilungsanordnung mit schraubenlosem sammelschienensystem
CN114788112A (zh) 2019-09-09 2022-07-22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电气汇流排及其制造方法
KR20210041845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물리적 결합으로 전극리드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스택
JP7322731B2 (ja) 2020-01-31 2023-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EP4111527A4 (en) * 2020-02-25 2024-04-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BATTERY P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964A (ja) 2004-10-29 2006-05-18 Nec Lamilion Energy Ltd 接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デバイス集合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3341A (ja) * 1999-06-04 2000-12-12 Yazaki Corp ユニットの誤組付防止構造
JP3977964B2 (ja) * 1999-09-21 2007-09-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の接続構造
US6391489B1 (en) * 2000-03-29 2002-05-21 Powerware Corporation Battery terminal jumper clip
JP3671007B2 (ja) * 2002-01-31 2005-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US20060127964A1 (en) * 2004-07-30 2006-06-15 Russell Ford Microprocessors, devices, and methods for use in monitoring of physiological analytes
JP5285997B2 (ja) * 2008-08-27 2013-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
JP2010257750A (ja) * 2009-04-24 2010-11-11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モジュール、バッテリ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JP5919090B2 (ja) * 2011-06-08 2016-05-18 日東電工株式会社 クリップおよび弾性体取付部品
CN102903881B (zh) * 2011-07-29 2016-02-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池模块之间的连接件及电池系统
US8808031B2 (en) * 2011-12-14 2014-08-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attery connector system
JP5606480B2 (ja) * 2012-03-22 2014-10-15 株式会社東芝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KR101999403B1 (ko) * 2013-01-17 2019-07-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998084B2 (ja) * 2013-03-15 2016-09-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US9478788B2 (en) * 2013-10-22 2016-10-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 bar locating feature and method
KR101725911B1 (ko) * 2015-01-13 2017-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 없이 전극단자의 연결이 가능한 구조의 단위모듈
CN106275782A (zh) * 2015-05-13 2017-01-04 常娟 带有新型卡口的封口夹
KR102473767B1 (ko) * 2015-10-08 2022-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964A (ja) 2004-10-29 2006-05-18 Nec Lamilion Energy Ltd 接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デバイス集合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198A (ko)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리드와 버스바의 기계적 연결구조를 갖는 전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06652A1 (en) 2019-01-03
CN109244288A (zh) 2019-01-18
KR20190004150A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250B1 (ko) 배터리 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KR101916433B1 (ko) 배터리 모듈
KR101935013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6681987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US11069930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KR101281811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KR20170053429A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KR102324868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317639B1 (ko) 인서트 사출된 버스바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EP3828983A1 (en) Battery module utilizing space-saving icb assembly
EP2509135B1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improved durability against external shock and vibration
AU2018308076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30110943A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7453376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JP7439134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電力貯蔵装置
KR102412403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30068971A (ko) 배터리 모듈 제조장치
US11502361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KR100853620B1 (ko) 전지모듈 제조용 스페이서
JP7154382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JP7137020B2 (ja) 接続プレートを備える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電子デバイス並びに自動車
KR102216115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70050443A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608658B1 (ko) 전지 카트리지
JP6866260B2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