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091B1 -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 - Google Patents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091B1
KR102603091B1 KR1020210175844A KR20210175844A KR102603091B1 KR 102603091 B1 KR102603091 B1 KR 102603091B1 KR 1020210175844 A KR1020210175844 A KR 1020210175844A KR 20210175844 A KR20210175844 A KR 20210175844A KR 102603091 B1 KR102603091 B1 KR 10260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horn
mounting frame
flang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150A (ko
Inventor
임동찬
Original Assignee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0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3/00Cones, diaphragms, or the like, for emitting or receiving sound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5Special conditions, e.g. pedestrians,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소리가 외부로 발산하는 경음발산부와, 상기 경음발산부에 형성된 개구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판 구조를 경음장치(horn)에 적용하여 별도의 금형 설계나 경음장치의 위치 변경 없이도 음압을 상승시켜 경고음을 증폭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REFLECTIVE MEMBER AND HORN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판 구조를 경음장치(horn)에 적용하여 음압을 상승시켜 경고음을 증폭시킬 수 있는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음기는 챠량 운행 중이나 주차된 상태에서 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주의를 주고자 경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로, 그 사용 목적에 따라 경적용 경음기(horn)와 부저용 경음기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차량에는 위급상황 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적용 경음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경음기와는 별개로 주차 중 강제로 문열림 발생시 경보음을 울려주는 도난경보용 경음기가 있으며, 각각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개의 부저음 발생용 부저가 구비되어 있다. 부저는 차량의 문이 닫히고 열리거나, 스마트키를 가지고 있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차량에서 멀어질 때 부저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경음기는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어 주행 중에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경보음(경적)을 발생시켜 주위를 환기시킴으로써 보행자와의 접촉사고 등 돌발적인 사고를 미연해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차량 주행 중 전방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경음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음기에서 소리가 발산되는 개구부는 차량 후방, 즉 트렁크 방향을 향해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장착 상태에서 경음기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엔진룸에 갖혀 충분한 크기의 소리를 내지 못한다면 실차법규음압 불만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에는 경음기에서 소리가 발산되는 개구부의 각도를 변경하거나 또는 경음기의 장착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신규 금형을 제작하거나 개발일정내 개발을 완료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판 구조를 경음장치(horn)에 적용하여 별도의 금형 설계나 경음장치의 위치 변경 없이도 음압을 상승시켜 경고음을 증폭시킬 수 있는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음장치의 경음발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경음발산부에서 발산되는 소리는 상기 반사판에서 증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경음발산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과 연통되는 센터개구부; 및 상기 장착프레임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장착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블록;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장착프레임에서 상기 센터개구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피스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플랜지의 타측면 일부를 고정할 때, 상기 지지피스는 상기 플랜지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링크빔은 복수개가 제공되고, 상기 링크빔은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며 사이드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빔은 상기 장착프레임에서 상기 경음장치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되, 상기 경음발산부에서 발산되는 소리가 상가 반사판에 충돌하여 증폭되며 상기 사이드개구부로 발산되도록, 상기 반사판의 면적은 상기 센터개구부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소리가 외부로 발산하는 경음발산부; 상기 경음발산부에 형성된 개구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경음발산부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증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판 구조를 경음장치(horn)의 경음발산부에 적용함으로써, 경음발산부에서 발산되는 소리가 반사판에 충돌하며 음압을 상승시켜 경고음을 증폭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실차법규음압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으며, 차량 운행 중 안정된 크기의 경고음으로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반사부재가 결합된 경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반사부재와 경음장치간의 일측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개시된 반사부재와 경음장치간의 타측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반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개시된 반사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4에 개시된 반사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4에 개시된 반사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실시예들은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중복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경음장치(100) 및 반사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음장치(100)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경음장치(100)는 케이스(210) 및 경음발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는 경음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종래 경음장치(100)의 내부 구조의 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에는 브라켓(230)의 일측부가 볼트(230a)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30)은 상기 케이스(210)를 차량에 장착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230)의 타단부에는 체결홀(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231)에 볼트를 결합하여 차량에 경음장치(100)를 장착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경음발산부(220)는 상기 케이스(210)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소리가 외부로 발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경음발산부(220)는 상기 케이스(2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감싸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경음발산부(220)의 단부에는 개구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개구홀(223)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음발산부(220)의 단면적은 점차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소리는 상기 경음발산부(220)를 통과하면서 점차 커지며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홀(223)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개구홀(2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300)는 상기 플랜지(2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경음발산부(220)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반사부재(300)는 결합부(310) 및 반사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10)는 장착프레임(320), 센터개구부(324), 링크빔(322), 체결블록(331), 지지피스(334) 및 사이드개구부(3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프레임(320)은 상기 경음발산부(220)에 형성된 플랜지(221)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221)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프레임(320)은 사각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터개구부(324)는 상기 장착프레임(3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터개구부(324)는 상기 개구홀(223)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링크빔(322)은 상기 장착프레임(320)의 외측 둘레에 하나 이상이 배치되고 상기 장착프레임(320)과 상기 반사판(340)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빔(322)은 상기 장착프레임(320)의 각 모서리에 4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방사방향으로 신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빔(322)이 복수개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장착프레임(320)과 상기 반사판(340) 사이에는 사이드개구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3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각 판 형상, 구체적으로는 사각 판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3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반사판(340)은 원형, 육각형, 함몰형 등 그 밖에 소리를 증폭할 수 있는 형상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합부(310)와 상기 반사판(340)은 상기 링크빔(3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링크빔(322)은 상기 장착프레임(320)에 대해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θ)은 상기 경음장치(100)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판(340)의 면적은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프레임(320)과 상기 반사판(340)간의 거리는 대략 20~30mm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 구조에 따른 장착조건 또는 음압 상승 효과 최대화를 고려한 범위일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340)의 크기는 상기 개구홀(223)의 크기에 대해 대략 1.5배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음압 상승 효과를 최대화하는 값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판(340)의 면적은 85.9mm×138,4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340)에는 제품 양산성을 고려하여 제작금형 개수를 줄이기 위해 제작을 위한 금형 장착홀(3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형 장착홀(350)은 크기가 작아 음압값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경음발산부(220)에서 발산되는 소리는 상기 반사판(340)에 충돌하며 음압이 상승하여 소리의 크기는 증폭되고, 상기 사이드개구부(326)를 통해 주위로 발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블록(331)은 상기 장착프레임(320)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이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221)에 결합되는 돌기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프레임(320)상에서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제1 체결블록(331a)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체결블록(331a)의 하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3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프레임(320)상에서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양측 단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제2 체결블록(331b)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체결블록(331b)의 측단부에는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332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둘레를 따라 4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랜지(221)를 상기 센터개구부(324)에 삽입하면 상기 제1,2 체결블록(331a,331b)에 각각 형성된 제1,2 돌기부(332a,332b)가 상기 플랜지(221)에 걸리며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내측에서 상기 플랜지(221)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피스(334)는 상기 장착프레임(320)에서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내측면을 따라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피스(334)는 상기 돌기부(332)가 상기 플랜지(221)의 타측면 일부를 고정할 때, 상기 지지피스(334)는 상기 플랜지(221)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상단면에는 제1 지지피스(334a)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측단면에는 제2 지지피스(334b)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센터개구부(324)의 하단면에는 제3 지지피스(334c)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개구부(324)에 상기 플랜지(221)가 삽입되면, 상기 돌기부(332)가 상기 플랜지(221)의 타측면, 즉 후면부에 접촉되며 고정하고, 이때 상기 플랜지(221)의 일측면, 즉 전면부는 상기 지지피스(334)에 접촉되며 지지되게 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상기 경음발산부(220)는 상기 장착프레임(3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한 작동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상기 경음발산부(220)를 통해 상기 센터개구부(324)로 발산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개구부(324)에서 발산되는 소리는 상기 반사판(340)에 충돌하며 음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리는 증폭되게 된다. 증폭된 소리는 상기 반사판(340)과 상기 장착프레임(320)이 형성하는 복수개의 상기 사이드개구부(326)를 통해 주위로 발산되게 된다.
기존 반사판이 없는 경음장치보다 반사판을 적용한 경우 평균적으로 6~7dB 정도의 음압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음압이 상승한 상태에서 소리가 발산되므로, 차량의 경고음은 실차법규음압을 충분히 만족할 만한 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차량 운행 중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경음장치
210:케이스 220:경음발산부
221:플랜지 223:개구홀
230:브라켓
300:반사부재 310:결합부
320:장착프레임 322:링크빔
324:센터개구부 326:사이드개구부
331:체결블록 332:돌기부
334:지지피스 340:반사판

Claims (8)

  1. 경음장치에 형성된 경음발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경음발산부에서 발산되는 소리는 상기 반사판에서 증폭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경음발산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경음발산부에 형성된 개구홀과 연통되는 센터개구부;
    상기 장착프레임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링크빔; 및
    상기 복수개의 링크빔이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기 반사판을 연결하며,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기 반사판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사이드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빔은 상기 장착프레임에서 상기 경음장치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되, 상기 복수개의 링크빔은 상기 장착프레임에서 방사방향으로 확장되며 상기 반사판에 연결되고,
    상기 경음발산부에서 발산되는 소리가 상기 반사판에 충돌하여 증폭되며 상기 사이드개구부로 발산되도록, 상기 반사판의 면적은 상기 센터개구부보다 크고,
    상기 반사판은 사각 판 형상이고,
    상기 반사판에서 증폭된 소리는 상기 반사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개구부를 통과하며 상기 반사판의 방사방향으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장착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블록;를 더 포함하는 반사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장착프레임에서 상기 센터개구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피스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플랜지의 타측면 일부를 고정할 때, 상기 지지피스는 상기 플랜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부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소리가 외부로 발산하는 경음발산부;
    상기 경음발산부에 형성된 개구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1항의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경음발산부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음장치.

KR1020210175844A 2021-12-09 2021-12-09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 KR10260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844A KR102603091B1 (ko) 2021-12-09 2021-12-09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844A KR102603091B1 (ko) 2021-12-09 2021-12-09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150A KR20230087150A (ko) 2023-06-16
KR102603091B1 true KR102603091B1 (ko) 2023-11-16

Family

ID=8694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844A KR102603091B1 (ko) 2021-12-09 2021-12-09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0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235A (ja) 2008-05-21 2009-12-03 Maruko Keihoki Co Ltd 車両用ホーン
JP2012118555A (ja) 2012-01-17 2012-06-21 Mitsuba Corp 車両用ホーン
JP2017207633A (ja) * 2016-05-19 2017-11-24 衆智達技研株式会社 電子式警音器
JP2020118844A (ja) 2019-01-23 2020-08-06 浜名湖電装株式会社 警報音発生装置
US10867591B1 (en) * 2019-09-30 2020-12-15 Honda Motor Co., Ltd. Vehicle horn assembly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235A (ja) 2008-05-21 2009-12-03 Maruko Keihoki Co Ltd 車両用ホーン
JP2012118555A (ja) 2012-01-17 2012-06-21 Mitsuba Corp 車両用ホーン
JP2017207633A (ja) * 2016-05-19 2017-11-24 衆智達技研株式会社 電子式警音器
JP2020118844A (ja) 2019-01-23 2020-08-06 浜名湖電装株式会社 警報音発生装置
US10867591B1 (en) * 2019-09-30 2020-12-15 Honda Motor Co., Ltd. Vehicle horn assembly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150A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0658B2 (en) Vehicle lamp device supporting structure
KR100501037B1 (ko) 작업차용 헤드라이트 어셈블리
US11535174B2 (en) External sensor attachment portion structure
JP2002211337A (ja) フロントグリル構造
KR102603091B1 (ko)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경음장치
JP3613128B2 (ja) 警光灯
JP2000103283A (ja) レーダシステムのリフレクタ装置
JP2007145228A (ja) 車両用のホーン
JP2000103303A (ja) 自動車のホーン取付構造
CN113508057B (zh) 车辆前部构造
KR101518216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마커 램프
CN216401097U (zh) 一种后拖车钩盖板、后保险杠及车辆
RU46461U1 (ru) Наружная панель бампе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3747384B2 (ja) タイヤケース
JP3168926B2 (ja) 散光式警光灯
CN217170620U (zh) 一种车载雷达布置安装结构及汽车
KR100517701B1 (ko) 래치커버 일체형 캐리어구조
JP5625795B2 (ja) 車両用カバー部材の取付構造
JPH06247340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6183196B2 (ja) 車両用灯具
JP2001180377A (ja) ランプ付きドアミラーカバー
JPH067976Y2 (ja) 自動車のランプ取付構造
JP2022086898A (ja) 車両用センサ/ランプ一体ユニット及び車両用センサ/ランプ制御システム
JPH061473Y2 (ja) 耕耘機等における前照灯装置
KR20050114027A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