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621B1 -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621B1
KR102601621B1 KR1020210038616A KR20210038616A KR102601621B1 KR 102601621 B1 KR102601621 B1 KR 102601621B1 KR 1020210038616 A KR1020210038616 A KR 1020210038616A KR 20210038616 A KR20210038616 A KR 20210038616A KR 102601621 B1 KR102601621 B1 KR 102601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lete delete
skin
tre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476A (ko
Inventor
정철종
박석만
백경연
유영은
Original Assignee
(주)옥천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천당 filed Critical (주)옥천당
Priority to KR102021003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621B1/ko
Priority to US17/699,348 priority patent/US20220305071A1/en
Publication of KR2022013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Abstract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 또는 창상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사나무 추출물은 높은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및 미백효과와 창상 치료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을 위한 화장료 또는 창상 치료를 위한 의료용 외용제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Prunus persica extract}
본 발명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 또는 창상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사나무의 용매 조추출물 또는 이의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 또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사나무 추출물은 피부의 주름개선, 항산화를 통한 노화방지, 미백,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다양한 창상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피부는 체내 수분을 보유하고 외부 침입 인자(항원, 감염원 등)의 내부 침입을 보호하는 필수적인 장벽 기능을 수행하면서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대표적 장기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변화의 요인에는 체내 호르몬 분비감소 및 면역 세포 기능의 저하 등의 내적 요인이나, 자외선 또는 대기 중 환경오염, 유해물질 접촉에 의한 외부의 요인이 있을 수 있다.
이중, 외부요인에 의해 피부는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데, 피부 손상이 그 중 하나이다. 피부 손상 유도 인자에 의한 피부 손상은 각질층과 지질층의 손상을 일으키고, 이는 경피 수분손실과 함께, 피부건조, 주름생성, 가려움증, 세균감염에 따른 염증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피부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각질형성세포는 외부의 자극에 의해 IL-1a를 시작으로 IL-6, IL-8, TNF-a등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만들어 방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이토카인은 피부의 자극유발이나 국소적인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만약, 지속적인 자외선 등에 의한 외부자극으로 각질층의 복원이 지연되면, 피부 노화가 가속화되고 여러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 및 증식 유도를 통해 피부재생을 촉진시키면, 피부건조, 피부노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는 체내 항산화 방어막을 파괴하고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을 산화시켜 세포 및 조직의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특히, 단백질이 산화되면 피부의 결합 조직인 콜라겐 (collagen),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엘라스틴 (elastin), 프로테오글리칸 (proteoglycan), 피브로넥틴 (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 저하를 초래하고, 이것이 더 심해지면 DNA의 변이에 의한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 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 라디칼을 소거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이미 손상된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한 재생 및 증식으로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사람의 피부색은 주로 피부 세포 속에 함유된 멜라닌(melanin) 색소의 양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멜라닌 색소가 많게 되면 피부의 색이 검은색을 띄게 되며, 반대로 극히 적게 되면 백반증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멜라닌 색소는 피부의 기저막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라는 색소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에 의해 티로신 (tyrosine)으로부터 생성된다. 멜라닌 색소는 과도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함으로써 관선에 의한 피부손상, 피부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노화에 의한 호르몬 변화 등으로 멜라닌이 과다하게 생성되는 경우 피부의 색소 침착과 함께 이로 인한 미용상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의 과색소 질환인 기미나 주근깨 등은 멜라닌 색소의 양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이는 멜라닌 색소의 생성과정이 촉진되거나 멜라닌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피부 노화는 여러 변화와 병변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병변을 늦추거나 회복시키기 위한 다양한 외용제 및 의약품이 개발되고,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외피 및 진피가 물리 화학적 상처 또는 세균감염에 의하여 정상조직의 연속체가 파괴되는 것이 창상이라고 한다. 손상된 조직의 회복은 조직의 성장과 재생을 유도하는 체계적인 생화학적 세포적 과정으로 혈액세포, 사이토카인 (cytokines), 성장인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손상된 피부나 조직을 정상적인 상태로의 복원을 유도하는 복잡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발생초기에 치료가 굉장히 중요하며, 상처부위가 오래 노출될수록 2차적인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손상된 부위가 닫히도록 해야 한다. 창상치유에 있어서도 부작용이 적고 우수한 효과를 지닌 천연물을 의약품이나 화장품 소재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 중이다. 최근 일부 논문에서 야관문 추출물의 창상치유, 피부 재생 효과에 대한 효능을 검증하였고, 연교 (Forsythia suspensa),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Jacq.), 꼭두서니 (Canthium parviflorum), 지근(Lithospermi radix)과 치자(Gardeniae fructus) 복합제제 등도 창상치유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창상치유 과정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 원인물질 발생으로 인해 염증관련 사이토카인들이 발현되어 염증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를 치료하기 위한 천연물질에서 항염증 효과가 보고되고 있기도 하다
이와같이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류 중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항균, 항돌연변이, 항염증, 항암효과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는 실정이나, 창상에 대한 효능 평가는 미미하다.
복숭아 (Prunus persica L. Batsch)는 장미과 (Rosaceae), 자두속 (Prunus), 복숭아과속 (Amygdalus)에 속하는 과수로 여름의 대표적인 과일이다.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이며 타타르산 (tartaric acid),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이 1% 가량 들어있고, 비타민 A와 아세트산, 발레르산 등의 에스터화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펙틴 등이 풍부하고, 목질부에는 고무질, 안식향산 등을 함유하고 있어 민간에서는 치통에 사용되어 왔으며, 잎에는 글리코사이드, 나링게닌, 퀴닉산, 라이코펜 및 탄닌과 소량의 니트릴 글리코사이드가 함유되어, 항산화, 항균, 항염증반응 등의 활성이 있어 건조잎을 물로 달이거나 생잎을 짓찧어 외용으로 바르거나 내복을 하면 땀띠나 습진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작은 종기를 없애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의 송나라 시대에는 천행병 (전염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복숭아 잎을 이용한 훈증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동의보감에서는 부인이 음부가 헐어서 벌레가 무는 것처럼 가렵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고, 중약대사전에는 하제, 구충제 및 백일해, 말라리아의 치료, 트리코모나스증의 치료에 쓰인다고 각각 기록되어 있다. 복숭아 잎에 대한 연구로는 복숭아 잎, 줄기의 화학적 성분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항산화작용과 남성피부에 복숭아 잎 추출물이 혼합된 비누와 팩을 사용하여 피부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천연화장품의 재료로서 복숭아 잎 추출물의 기능성 평가에 대한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 도인이나 과육에 대한 것이나 잎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창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의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 효과 및 창상 치료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 또는 창상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사나무 추출물은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 재생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높은 창상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복사나무 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 효과 및 창상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복사나무 (Prunus persica)”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나무로, 원산지는 중국 화북의 산시성과 간쑤성의 해방 600~2000m의 고원지대이며, 일반적으로 복사나무는 복숭아 나무라고도 부르며, 갈잎 작은키나무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용매 조추출물, 특정 용매 가용 추출물 (용매 분획물), 및 용매 조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며, 복사나무 추출물은 용액, 농축물 또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나무 추출물에 있어서 추출물은 복사나무의 잎, 줄기, 열매 및 뿌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사나무의 잎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사나무 추출물은 복사나무의 잎, 줄기, 열매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및 프레타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프레타놀 (Prethanol)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복사나무 추출물은 복사나무의 잎, 줄기, 열매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10%이상 내지 100%(v/v)미만, 20%이상 내지 100%(v/v)미만, 30%이상 내지 100%(v/v)미만, 40%이상 내지 100%(v/v)미만, 50%이상 내지 100%(v/v)미만, 60%이상 내지 100%(v/v)미만, 또는 70%이상 내지 100%(v/v)미만, 10% 내지 60%(v/v), 20% 내지 60%(v/v), 10% 내지 50%(v/v), 10% 내지 40%(v/v), 20%이상 내지 50%(v/v), 20% 내지 45%(v/v) 또는 25% 내지 35%(v/v) 알코올 함량의 프레타놀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복사나무의 조추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한 용매에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이상 내지 100%(v/v)미만, 20%이상 내지 100%(v/v)미만, 30%이상 내지 100%(v/v)미만, 40%이상 내지 100%(v/v)미만, 50%이상 내지 100%(v/v)미만, 60%이상 내지 100%(v/v)미만, 또는 70%이상 내지 100%(v/v)미만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알코올 수용액은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수용액, 프로판올 수용액, 및 부탄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나무 추출물은 용매 조추출물을 추가의 용매로 분획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물,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또는 헥산 (Hexane),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클로로포름 (Chloroform),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비극성 용매를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나무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사나무 잎을 세척한 후 완전히 건조시킨 후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쇄한다. 분쇄된 복사나무 잎의 중량에 대하여 약 5 내지 20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부피배의 추출용매로 추출한다. 추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 한 후에 동결건조한다. 추출 온도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용매로 물을 사용할 경우 40 내지 110℃, 또는, 55 내지 90℃, 용매로 프레타놀을 사용할 경우 10 내지 40℃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공정은 1회 또는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1차 추출 후 다시 재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는데, 이는 생약추출물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여과를 한다 하더라도 생약 자체의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1차 추출만으로는 추출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단계별 추출효율을 검증한 결과 2차 추출에 의해 전체 추출량의 80 내지 90% 정도가 추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복사나무 추출물 제조 시에 사용되는 용매의 양이 너무 적으면 교반이 어렵게 되고 추출물의 용해도가 낮아져 추출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지나치게 많은 경우는 다음의 정제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의 사용량이 많아져 경제적이지 못하여 취급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일 수 있으며, 예컨대,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복사나무 추출물은 복사나무 용매 조추출물, 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다.
창상은 화상, 열상, 표피 창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 (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 (chronic wound), 피부염 (dermatitis)에 의한 손상, 각막 궤양, 각막 상피 박리, 각막염 및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또는 0.1 내지 99.9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50 중량%, 또는 0.1 내지 4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부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고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또는 경피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연고제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리포좀 막에 의해 캡슐화된 연고제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혼합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연고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경피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제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간에게 적용하는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 내 또는 혀 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0.1 내지 500 ㎎/k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0 ㎎/kg일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 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창상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하게 복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둘 간의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두피, 피부, 구강, 치아 및 치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유탁액, 현탁액, 유액, 크림, 페이스트, 겔, 화장수, 팩,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비누,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에센스, 영양 오일, 보습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클렌징, 샴푸, 로션 및 연고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모발 또는 두피에 적용되는 경우, 헤어 제품의 예로는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비누,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복사나무 추출물을 전체 중량 중 0.001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창상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과 동일하게 복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이들 간의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항산화”는,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는 산화촉진물질과 산화억제물질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이러한 균형 상태를 잃고 산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생체 내에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유발되어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DNA,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과 같은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할 수 있으며, 생체 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 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암 등을 초래하게 되고, 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얻어 노화를 방지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창상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과 동일하게 복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이들 간의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복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미백”은 피부의 톤을 밝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멜라닌의 과도한 합성이나,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활성, 멜라닌의 생성 등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 등의 다양한 색소 침착을 완화 또는 개선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미백효과를 통해 피부톤 또는 안색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창상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과 동일하게 복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이들 간의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 또는 창상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사나무 추출물은 높은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및 미백효과와 창상 치료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개선, 항산화, 피부재생, 미백을 위한 화장료 또는 창상 치료를 위한 의료용 외용제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물 추출물 및 프레타놀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별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별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별 콜라게나제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별 티로시나제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별 대식세포 (Raw 264.7)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별 일산화 질소 (Nitric oxide) 저해활성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창상 치료효과 및 피부재생 효과를 상처 치유 시험 (Wound healing assay)을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Con: 미처리, Cta: 병풀 추출물, PFE: 복사나무 잎 추출물)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창상 치료효과 및 피부재생 효과를 상처 치유 시험 (Wound healing assay)을 통해 확인한 사진이다.(Con: 미처리, Cta: 병풀 추출물, PPL: 복사나무 잎 추출물)
도 11은 창상이 유발된 래트의 창상부위에 비처리 (NO), 마데카솔 (MC),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 μL (PFE1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0 μL (PFE100)을 처리하였을 때, 0일 후, 3일 후 및 7일 후에 창상 부위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는 창상이 유발된 래트의 창상부위에 비처리 (NO), 마데카솔 (MC),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 μL (PFE1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0 μL (PFE100)을 처리하였을 때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재생된 표피의 염색정도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13은 창상이 유발된 래트의 창상부위에 비처리 (Normal; NO), 마데카솔 (MC),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 μL (PFE1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0 μL (PFE100)을 처리하였을 때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재생된 표피의 염색정도 정량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p<0.05, **p<0.01 and #p<0.001)
도 14는 창상이 유발된 래트의 창상부위에 비처리 (NO), 마데카솔 (MC),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 μL (PFE1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0 μL (PFE100)을 처리하였을 때 마손 3차 염색 (Masson's trichrome stain)을 통해 재생된 표피의 염색정도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15는 창상이 유발된 래트의 창상부위에 비처리 (NO), 마데카솔 (MC),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 μL (PFE1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 100 μL (PFE100)을 처리하였을 때 마손 3차 염색을 통해 재생된 표피의 염색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p<0.05, **p<0.01 및 #p<0.001)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사나무 추출물의 제조
1-1. 물추출물 (PWE)의 제조
복사나무 잎은 2018년 8월에 경상북도 경산군 자인면의 과수원에서 천도복숭아 열매를 수확한 후 잎의 생장이 정지되기 전에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다. 채취한 복숭아 잎은 선별하여 세척한 후 그늘에서 완전히 건조하고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물 추출물은 도 1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환류 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분쇄한 복숭아 잎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열수를 넣고 100 ℃에서 8시간 이상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필터지 (filter paper) (Whatman No.2)로 여과한 다음 진공회전증발농축기 (rotary vacuum evaporator) (R-100, BUCHI, Germany)로 감압농축 한 후에 동결 건조기 (TFD5505, ilShin BioBase, Korea)에 넣어 건조하여 이하의 실험에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프레타놀 (Prethanol) 추출물 (PFE)의 제조
복사나무 잎은 2018년 8월에 경상북도 경산군 자인면의 과수원에서 천도복숭아 열매를 수확한 후 잎의 생장이 정지되기 전에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다. 채취한 복숭아 잎은 선별하여 세척한 후 그늘에서 완전히 건조하고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프레타놀 추출물은 도 1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환류 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분쇄한 복숭아 잎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30%의 프레타놀을 넣고 25℃에서 8시간 이상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필터지 (filter paper) (Whatman No.2)로 여과한 다음 진공회전증발농축기 (rotary vacuum evaporator) (R-100, BUCHI, Germany)로 감압농축 한 후에 동결 건조기(TFD5505, ilShin BioBase, Korea)에 넣어 건조하여 이하의 실험에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폴리페놀 및 플라보이드 함량 측정
3-1.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
폴리페놀 함량은 각 시료추출액 100 μL에 2% 탄산나트륨 2 mL와 50 % Folin-Ciocalteu reagent 100 μL를 가한 후 7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갈릭산 (gallic acid)을 표준물질로 한 표준검량선에 의하여 산출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mg GAE/g)
복사나무 물 추출물 34.50±0.20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 46.70±0.23
실험결과,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총 폴리페놀 함량은 34.50~ 46.70 mg GAE/g 범위로 나타났으며, 복사나무 잎 물추출물 (PWE)보다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 (PFE)이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복숭아 품종별 과육에서의 총 폴리페놀함량이 기존연구에서는 7.24 ~ 9.95 mg GAE/g 범위로 보고하고 있어, 복숭아 과육보다 복사나무 잎에서의 함량이 3~6배 더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플라보이드 함량 측정
각 시료 용액 100 μL를 80% 에탄올에 900 μL에 희석한 후 100 μL를 취하고 10% 질산 알루미늄과 1M 아세트산 칼륨 (potassium acetate)을 함유하는 80% 에탄올 4.3 mL에 혼합하여 실온에서 40 분 방치한 뒤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갈릭산 (gallic acid)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구하여 하기 표 2에 gallic acid equivalents (mg GAE/g extract)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이드 함량 (mg GAE/g)
복사나무 물 추출물 545.82±0.55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 995.42±0.78
실험결과,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복사나무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45.82~995.42 mg GAE/g 범위로 나타났는데 이 또한 폴리페놀 함량과 같이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이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보다 낮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전자공여활성 측정
각 추출액의 전자공여능 (elactron donating ability; EDA)은 각 추출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희석한 용액 0.2 mL에 0.4 mM DPPH (1,1 diphenyl-2-piery-hydrazyl) 용액 0.8 mL를 가하여 10초간 진탕한 후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한 다음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전자공여능력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력은 아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이 결과를 도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Electron donating ability (%)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 /무첨가군의 흡광도)}× 100
비타민 C 1% 복사나무 물 추출물 (mg/ml)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 (mg/ml)
0.5 1 2.5 5 10 20 0.5 1 2.5 5 10 20
DDPH 라디칼 소거능 (%) 91.28 63.25 62.02 59.97 57.21 45.07 17.69 64.14 59.98 53.14 42.95 19.23 -25.67
실험결과, 표 3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0.5 mg/mL농도에서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 및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에서 각각 63.25%, 64.14%의 EDA 활성을 보였으며,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의 활성이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 활성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6: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과황산칼륨 (potassium persulfate)과 반응을 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청록색 ABTS 라디칼이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추출물과 반응 후 청록색의 라디칼이 연한녹색으로 변하는 원리를 적용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7.4 mM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 nium salt와 2.4 mM 과황산칼륨을 혼합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 · cation radical를 형성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02가 되도록 50% 에탄올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50 μL에 ABTS 용액을 1 mL 혼합한 후 3 분 후에 ELISA reader (ECNSPIREMD, PerkinElmer, Germany)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L-아스코르빈산 (L-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시료 무첨가군과 비교 후 계산한 값을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를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100
복사나무 물 추출물 (mg/ml)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 (mg/ml)
0.5 1 2.5 5 7.5 10 0.5 1 2.5 5 7.5 10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도 (%) 41.25 67.48 76.55 84.16 69.69 57.97 53.86 68.03 87.18 90.31 72.07 66.32
실험결과, 표 4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복사나무 추출물에서 5 mg/mL 농도까지 PWE 및 PFE 모두 급격하게 활성이 증가하다가 그 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유의적으로 활성이 감소하였다. 5 mg/mL 농도에서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은 84.16%, 30% 프레타놀로 추출한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에서는 90.3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7: 환원력 측정
환원력 측정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일정 농도로 조정한 추출액 1 mL에 0.2 M 인산완충액 (phosphate buffer) (pH 6.6) 2.5 mL와 1% 페리시안화칼륨 (potassium ferri cyanide) 용액 2.5 mL를 가한 후 50 ℃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10%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 (trichloroacetic acid) 용액 2.5 mL 가한 다음 1,650 ×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한 상징액 2.5 mL에 증류수 2.5 mL와 0.1% FeCl3 용액 0.5 mL를 가한 후 ELISA reader (ECNSPIREMD, PerkinElmer, Germany)를 이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환원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복사나무 물 추출물 (mg/ml)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 (mg/ml)
0.5 1 2.5 5 10 20 0.5 1 2.5 5 10 20
환원력(OD) 0.20 0.33 0.72 0.93 0.96 1.02 0.28 0.46 0.90 0.94 0.94 0.94
실험결과, 표 5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 추출물의 환원력은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1 mg/mL 첨가 시에 비하여 2.5 mg/mL 농도에서는 약 2~3배 정도 증가하였고, 흡광도값은 0.72~0.90 였다. 복사나무 추출물의 환원력은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에서 0.2~1.02,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에서 0.28 ~0.94으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실시예 8: 콜라게나제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반응구는 0.1M Tris-HCl buffer (pH 7.5)에 4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 lazobenzyl oxycarbonyl pro-Leu-Gly-Pro-D-Arg (0.3 mg/ml)를 녹인 기질액 0.25 ml와 시료 0.1 ml의 혼합용액에 0.2 mg/ml 콜라게나제 (Sigma-Aldrich Co.) 0.15 ml를 첨가하고, 대조구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 0.1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시트르산 (citric acid) 0.5 ml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아세트산 에틸 2 ml를 첨가하고 320 nm에서 흡광도를 하기 계산식 3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를 표 6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3>
Collagenase 저해율(%) ={1-(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100
비타민 C 1% 복사나무 물 추출물 (mg/ml)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 (mg/ml)
0.05 0.1 0.5 1 5 7.5 0.05 0.1 0.5 1 5 7.5
콜라게나제 억제율(%) 57.66 66.32 59.04 57.31 56.91 52.55 50.66 65.17 57.06 56.91 55.88 44.52 41.08
실험결과, 표 6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복숭아잎 각 용매별 0.05, 0.1, 0.5, 1, 5, 7.5 mg/ml의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0.05 mg/ml 농도에서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은 66.32%,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은 65.17%으로 양성대조군인 1% 비타민 C 57.66% 보다 높은 저해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티로시나제 (Tyrosinase) 저해활성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은 0.1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0) 0.4 mL에 1.5 mM의 L-tyrosine 0.4 mL를 가하고 일정농도를 희석한 시료 0.2 mL를 혼합한 용액에 mushroom tyrosinase (100 U/mL) 0.1 mL 첨가하여 30 ℃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생성된 DOPA chrome을 ELISA reader (ECNSPIREMD, PerkinElmer, Germany)를 사용하여 475 nm에서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첨가구와 효소액 대신에 증류수를 첨가구와 시료액 대한 증류수 첨가구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래 계산식에 의하여 표 7 및 도 6에 티로시나제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4>
Tyrosinase 저해율(%)={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복사나무 물 추출물 (mg/ml)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 (mg/ml)
0.5 1 2.5 5 7.5 10 0.5 1 2.5 5 7.5 10
티로시나제 억제율(%) 48.23 51.25 54.51 56.08 57.65 52.94 51.18 51.96 56.86 55.49 56.39 27.84
실험결과, 표 7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복사나무 물 추출물 및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 모두 2.5 mg/ml 농도까지는 급격하게 저해율이 증가하다가 그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완만한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보였다. 특히, 2.5 mg/ml 농도에서는 PWE 54.51%, PFE 56.86%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이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보다 약간 높은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보였다.
천연물에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물질로 알려진 것으로는 페놀 화합물 (phenolic compound),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아르부틴 (arbutin), 글리콜산 (glycolic acid), 코직산 (kojic acid), 이소플라보노이드 (isoflavonoids) 등이 있으며, 식물에서의 티로시네이저 활성 저해율은 함초 42.00%, 상백피 63.00%, 감초 13.00-52.00%, 작약 44.00 %, 천궁 28.00%, 복령 4.00%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복숭아 잎의 각 추출물은 PWE 48.23- 57.65%, PFE 27.84-56.86%으로 이들 식물체보다는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대식세포 (Raw 264.7)의 생존율 확인
Raw 264.7 세포와 섬유아 세포 (Fibrablast cell) (Human Derma Fibrablast cell)은 한국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10% FBS 및 페니실린 (100 μL/mL), 스트렙토마이신 (100 U/mL)이 포함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Co, USA) 배지에서 37℃5% CO2 조건을 유지하여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에 시료 용액이 여러 농도별로 1시간 전 처리한 후 LPS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Raw 264.7를 96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s/mL이 되게 분주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조제하여 0.5mL 첨가한 후 37℃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여기에 5 mg/mL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0.02 mL를 첨가하여 4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웰당 DMSO:ethanol (1:1) 0.15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뒤 ELISA reader로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은 하기 수학식 5에 따라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표 8 및 도 7에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5>
Cell 생존율(%) = [ 1 - (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 × 100
LPS- LPS+ 복사나무 물 추출물 (mg/ml)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mg/ml)
0.1 0.5 1 1.5 2 0.1 0.5 1 1.5 2
세포 생존율(%) 100.00 97.84 97.91 96.88 96.62 97.97 99.49 90.55 94.43 100.00 100.00 100.00
실험결과, 표 8 및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 및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의 각 농도 (0.1, 0.5, 1, 1.5, 2 mg/mL)에서 80% 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각각 추출물의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11: 일산화 질소 (Nitric oxide) 저해활성 측정
96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s/mL로 대식세포 (macrophage)를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일정 농도의 시료를 처리하여 1시간 반응시키고 LPS 1 ㎍/mL을 첨가하여 37℃, 5% CO2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Cell culture medium (DMEM) 100 μL와 Griess reagent [1% sulfanalamide+0.1% naph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in 5% H3PO4(1:1 mixture)] 100 μL를 96 웰 플레이트에서 혼합한 후 1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광학밀도 (optical density)를 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 측정하여 NO를 정량하여 표 9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LPS- LPS+ 복사나무 물 추출물 (mg/ml) 복사나무 프레타놀 추출물 (mg/ml)
0.1 0.5 1 1.5 2 0.1 0.5 1 1.5 2
NO 생성량
(㎍/ml)
0.03 0.27 0.30 0.21 0.17 0.14 0.13 0.28 0.19 0.12 0.11 0.12
실험결과, 표 9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복사나무 추출물의 LPS 군에서는 대조군 (LPS-)에 비교하여 NO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 및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의 농도별로 처치한 군에서 NO 생성량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특히 복사나무 잎 물 추출물 처치군보다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 처치군에서 NO 생성량이 억제되었다.
실시예 12: 상처 치유 시험 (Wound healing assay)
HDF cell을 12 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 웰당 2×105 개의 세포를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고, FBS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로 교체한 후 웰에 200p 팁으로 스크래치를 내고 미처리 (Con), 병풀 추출물 (Cta),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 (PFE)을 100 ㎍/ml, 500 ㎍/ml을 각각 처리하였다. 물질처리 후 24-72시간 동안 추가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고정액 (4% paraformaldehyde)을 넣고 15분간 상온에서 배양하고 PBS로 3번 세척하여 고정하였다. 상처 치유가 된 정도를 현미경으로 사진을 찍어 Image J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결과를 표 10 및 도 9 내지 10에 나타내었다.
Con Cta
(100 μg/ml)
PFE
(100μg/ml)
Cta
(500 μg/ml)
PFE
(500 μg/ml)
Wound closure rate (%) 24h 54.38 53.05 64.00 53.65 57.25
48h 66.07 58.05 79.48 65.46 77.36
72h 73.40 67.49 88.74 74.48 86.22
실험 결과, 표 10 및 도 9 내지 10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사나무 잎 추출물을 100 μg/ml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서 치유 영역 (healing area)이 9.62 ~ 15.34%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병풀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보다 치유 영역이 약 10.95~21.25% 정도 더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창상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사나무 잎 추출물의 창상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13-1. 실험군 분류 및 창상유발
실험동물은 8주령 수컷 Sprague-Dawley를 분양받아 온도 21±2 ℃상대습도 55±10%를 유지하고 밤과 낮의 길이를 12시간씩 인공조명으로 조절하여 사육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충분히 공급하였다. 일주일간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체중 250g의 래트를 사용하여 각군 5마리씩 무작위를 배치하고, 에테르 (ether) 마취하에 등의 털을 면도한 다음 요오드팅크를 사용하여 표피를 소독한 뒤 피혁용 펀치(biopsy punch: 8 mm)를 이용하여 좌우대칭의 원령 절제 창을 4개소 만들어 창상을 유발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동물실험윤리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은 후 하기의 실험을 진행하였다(YUMC-AEC2019-005)
실험군은 비처리군 (Normal control, NO), 창상 후 마데카솔 (madecasol) (DongKuk Pham, Seoul, Korea)을 도포한 양성대조군(MC), 창상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을 10 μL 도포한 도포군 (PFE10), 창상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 복사나무 잎 프레타놀 추출물을 100 μL 도포한 도포군 (PFE100)으로 나눴으며, 각 군당 5마리씩 실험하였다. 도포액은 가피가 탈각될 때까지 매일 1회씩 창상 입은 부위가 덮일 정도로 충분히 도포하여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였다.
13-2. 육안을 통한 상처 변화 관찰
상처 치료의 진행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창상유발 당일에서 창상 유발 후 3일, 7일 창상유발군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개체의 마취하여 창상부위와 정상조직부위를 포함하여 채취한 후 카메라로 촬영하여 창상부위의 피부표면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창상유발 당일에는 모든 창상 유발군에서 염증과 삼출액이 분비되고 이러한 급성 염증성 변화는 창상 유발 후 7일까지 지속되었다. 특히 창상 유발 3일 경과 후 PFE10, PFE100 실험군에서 다른 군에 비하여 염증반응이 억제되어 딱지가 생기고 NO 군과 양성대조군인 MC 군에 비하여 현저히 상처반경이 감소하면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심한 상처는 인한 흉터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실험에서도 창상 유발 3일 후 상처 부위의 약간의 반흔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NO 군, MC 군에 비해 PFE10, PFE100군에서 반흔이 거의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창상유발 7일째에서는 NO 군에서 아직 아물지 않은 상처가 보이는 반면 나머지 실험군에서는 거의 반흔의 흔적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PFE100 군에서는 창상 유발 부위가 정상표피의 형태로 구축되었고, 정상조직과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을 정도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13-3. 조직병리학적 변화 관찰
면역조직화학염색
창상 유도 후 표피의 재생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8 mm펀치 생검으로 창상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물질이 도포된 NO 군, MC 군, PFE10 군 및 PFE100 군에서 3일째 래트를 마취하여 창상 부위와 정상피부가 포함된 조직 절편을 채취하여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24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조직을 육안검사 후, 자동침투기에서 파라핀을 침투시키고 포매 4 ㎛ 두께로 절편제작하여 60 ℃에서 건조한 후 탈파라핀, 함수과정을 거쳤다. 창상부위의 표피재생 정도를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anti-rabbit pan-cytokeratin poly clonal antibody (dilution ratio 1:100, Bioss, Denmark)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내인성과 산화효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메탄올에 3% 과산화수소를 섞어 10분간 처리하였다. 항원 부활을 위해 Citric acid buffer pH 6.0 용액에 슬라이드를 넣고 120 ℃10분간 오토클레이브 한 후 실온에 20분간 냉각하였다. 수세 후 1차 항체 pan-cytokeratin 항체를 60분간 반응시킨 후 TBS buffer에 5분간 수세 3회, 2차 항체인 Dako EnVision + System-HRP Labelled polymer anti-rabbit kit를 사용하여 30분간 반응시킨 후 TBS buffer에 5분간 3회 수세 하였다. DAB (3,3'-Diaminobenzidine)로 발색 시킨 후 Mayer hematoxylin으로 대조염색을 하여 수세, 탈수, 투명, 봉입하였다. Aperio CS2 digital slide scanner (Leica Bio systems, USA) 사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 후 Aperio Image Scope (v 12.3.2.8013) (Leica Biosystems,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재생된 표피의 염색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를 표 11 및 도 12 내지 도 13에 나타내었다.
NO MC PFE10 PFE100
Reepithelialization
(μm)
213.30 322.20 416.60 784.50
표 11 및 도 12 내지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면역조직학적 염색결과 양성대조군인 MC 군에 비해 PFE10, PFE100 도포군에서 표피재생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마손 3차 염색 (Masson's trichrome stain)
콜라겐 생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물질이 도포된 NO 군, MC 군, PFE10 및 PFE100 군의 래트를 3일째 마취하여 창상 부위와 정상피부가 포함된 조직을 절편을 채취하여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24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조직을 육안검사 후, 자동침투기에서 파라핀을 침투시킨 후 포매 4 ㎛ 두께로 절편제작 하고, 60 ℃에서 건조한 후 탈파라핀, 함수과정을 거쳤다. 콜라겐 섬유 (collagen fiber)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weight iron hematoxylin 용액에 10분 염색 후 수세, Biebrich scarlet red 용액에 15분간 염색, phospho molybdic acid/phosphotungstic acid 용액에 15분간 감별하였다. 이 후, aniline blue 용액에 15분간 염색 후 1% 아세트산 용액에 3분간 탈색 후 탈수, 투명, 봉입하였다. DP71 microscope digital camera (Olympus, Japan) 현미경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 이미지를 획득한 후 Lepard (zootos, kore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콜라겐 섬유의 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2 및 도 14 내지 도 15에 나타내었다.
NO MC PFE10 PFE100
Collagenesis (%) 9.40 10.10 17.50 27.50
표 12 및 도 14 내지 도 1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Masson's Trichrome 염색 결과 양성대조군인 MC 군에 비하여 PFE10 군 및 PFE100 도포군에서 콜라겐 생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통계처리
상기 실시예는 모두 SPSS 17.0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 IL, US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Claims (29)

  1. 복사나무 잎을 세척,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 및 분쇄된 복사나무 잎을 10 내지 40℃의 온도에서 추출용매로 저온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용매는 20 내지 40% 알코올 함량의 프레타놀 (Prethanol) 수용액인 것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이드 함량이 증가된 복사나무 잎 추출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30% 알코올 함량의 프레타놀 (Prethanol) 수용액을 사용하여 저온추출하는 단계인 것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이드 함량이 증가된 복사나무 잎 추출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분쇄된 복사나무 잎의 중량에 대하여 7 내지 15 부피배로 사용하여 저온추출하는 단계인 것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이드 함량이 증가된 복사나무 잎 추출물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210038616A 2021-03-25 2021-03-25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601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16A KR102601621B1 (ko) 2021-03-25 2021-03-25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US17/699,348 US20220305071A1 (en) 2021-03-25 2022-03-21 Composition comprising prunus persica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16A KR102601621B1 (ko) 2021-03-25 2021-03-25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476A KR20220133476A (ko) 2022-10-05
KR102601621B1 true KR102601621B1 (ko) 2023-11-14

Family

ID=8336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616A KR102601621B1 (ko) 2021-03-25 2021-03-25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05071A1 (ko)
KR (1) KR102601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737B1 (ko) * 2022-12-20 2024-02-02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도복숭아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성 창상 치유 외용제 조성물
KR102649073B1 (ko) * 2023-01-31 2024-03-18 황성모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2509U1 (de) * 1993-08-20 1993-10-28 Euro Celtique Sa Präparate zur äußeren Verabreichung von antiseptischen und/oder die Wundheilung fördernden Wirkstoffen
JP2006008646A (ja) * 2004-06-24 2006-01-12 Eiji Yoda 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JRPC, 4(1), 233-236쪽(201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476A (ko) 2022-10-05
US20220305071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7487A (ko) 베어바스코사이드 및 루테오린을 포함하는 조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 및 색소침착 조절을 위한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US2022030507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prunus persica extract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90036388A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1137A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53810B1 (ko) 질경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68482B1 (ko) 아보카도 및 상백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90201B1 (ko) 소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1679A (ko) 황기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7960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 방법
KR100561781B1 (ko) 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EP2811977B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feuille de pommier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raffermissement de la peau
KR102067698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20081291A (ko) 마테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7165293B2 (ja) 美容組成物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55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37935B1 (ko)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Garg et al. ANTIAGING AND ANTIWRINKLE POTENTIAL OF GLYCYRRHIZA GLAB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