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073B1 -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 Google Patents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073B1
KR102649073B1 KR1020230012849A KR20230012849A KR102649073B1 KR 102649073 B1 KR102649073 B1 KR 102649073B1 KR 1020230012849 A KR1020230012849 A KR 1020230012849A KR 20230012849 A KR20230012849 A KR 20230012849A KR 102649073 B1 KR102649073 B1 KR 102649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ve
fertilizer
chives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모
Original Assignee
황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모 filed Critical 황성모
Priority to KR102023001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01C21/005Following a specific plan, e.g.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추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추 씨앗을 육묘 트레이에 파종하는 부추 파종단계;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하여 pH 6.0 ∼ 7.0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하고, 제1 비료를 살포하는 부추 밭 준비단계;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 파종하여 30~40일 자란 부추 육묘를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밭에 정식하고, 제2 비료를 관주하는 부추 정식단계; 상기 정식단계 이후 2~4주 간격으로 4~8회에 걸쳐 액비 및 살충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 및 전체 부추 중 75 ∼ 85%의 부추의 잎 길이가 23 ∼ 27cm 자랐을 때에 수확하는 부추 수확단계;를 포함하는, 부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LEEK CULTIVATION METHOD AND LEEK GROWN THEREBY}
본 발명은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에 관한 것이다.
부추(Allium tuberosum Rottl)는 달래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영양가가 높고, 독특한 향미가 있으며 소화작용을 돕는 채소로서 동남아시아 중국 서부, 한국, 일본의 산에 야생하며, 근래에는 약리적 효능이 뛰어나 재배를 많이 하고 있다. 부추의 생김 형태는 비닐줄기가 작고 단갈색의 섬유로 싸여졌으며 봄철에 선상 육질의 잎이 비닐줄기에서 여러 가닥 나온다. 지방에 따라 부추, 부초, 솔, 정구지, 졸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한자명 으로는 구채, 난총이라고 한다. 한방에 의하면 부추는 더운 성질이 있고, 몸의 기를 돋우며 위와 장, 간과 신장 등 우리 몸속의 각종 장기들을 튼튼하게 해주는 좋은 식품으로서 간에 좋은 효능을 많이 갖고 있어 간의 채소라 고도 불린다. 또한 부추는 숙취에도 좋고 간의 피로 회복에 좋은 효능들을 많이 갖고 있어 술을 즐기는 사람들 에게 좋다고 알려져 있다.
부추의 성분으로는 다른 파의 종류에 비해 단백질, 지방, 당질, 회분, 비타민 A가 월등히 높고, 잎의 당질은 대부분이 포도당, 과당으로 구성되는 단당류이며, 부추의 냄새는 유황화합물이 주체인데 마늘과 비슷해서 강장 효과가 인정되어 식품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부추는 1회 파종으로 5, 6년간 계속 수확할 수 있고 연 7 ∼ 8회 수확이 가능한 경제작물로서 인기가 높아 최근 재배면적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부추를 재배하는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25957호는 질소, 수용성 인산, 수용성 칼리, 수용성 칼슘, 수용성 마그네슘, 미량 원소 및 수용성 색소로 이루어진 부추 관리 재배용 양액 조성물을 적당한 배합비율로 배합 및 포장해 관수장치를 이용해 공급하여 고품질의 부추를 다량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칼슘 성분만 분리하여 포장하기 때 문에 불용성 칼슘염의 침강을 방지해 부추 생장에 나쁜 영향이 미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2489호는 부추를 파종한 후 암상태에서 지배하여 부추의 생장, 영양성분 및 제초활성이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부추 재배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씨앗의 발아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생장을 촉진하고, 병충해를 예방 및 진드기를 방제할 수 있는 부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부추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추 씨앗을 육묘 트레이에 파종하는 부추 파종단계;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하여 pH 6.0 ∼ 7.0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하고, 제1 비료를 살포하는 부추 밭 준비단계;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 파종하여 30~40일 자란 부추 육묘를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밭에 정식하고, 제2 비료를 관주하는 부추 정식단계; 상기 정식단계 이후 2~4주 간격으로 4~8회에 걸쳐 액비 및 살충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 및 전체 부추 중 75 ∼ 85%의 부추의 잎 길이가 23 ∼ 27cm 자랐을 때에 수확하는 부추 수확단계;를 포함하는, 부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부추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는, 부추 씨앗을 10일 이상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한 씨앗을 15~25℃의 항균성 수용액에서 적어도 35~45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항균성 수용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비료는 퇴비 및 유기질 비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비료는 질소질 비료, 인산질 비료 및 칼리질 비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살충 조성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씨앗의 발아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생장을 촉진하고, 병충해를 예방 및 진드기를 방제할 수 있는 부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추의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부추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부추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추 씨앗을 육묘 트레이에 파종하는 부추 파종단계;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하여 pH 6.0 ∼ 7.0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하고, 제1 비료를 살포하는 부추 밭 준비단계;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 파종하여 30~40일 자란 부추 육묘를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밭에 정식하고, 제2 비료를 관주하는 부추 정식단계; 상기 정식단계 이후 2~4주 간격으로 4~8회에 걸쳐 액비 및 살충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 및 전체 부추 중 75 ∼ 85%의 부추의 잎 길이가 23 ∼ 27cm 자랐을 때에 수확하는 부추 수확단계;를 포함하는, 부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부추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는 부추 씨앗을 10일 이상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한 씨앗을 15~25℃의 항균성 수용액에서 적어도 35~45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항균성 수용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은, 금은화를 건조하고, 에탄올로 가열하여 3시간 추출하고, 용매를 모두 증발시킨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은, 복숭아꽃을 건조하고, 에탄올로 가열하여 3시간 추출하고, 용매를 모두 증발시킨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항균성 수용액에서 건조한 부추 씨앗을 침지시켜 준비함으로써, 부추 씨앗으로부터 부추가 발아되는 확률이 증가한다. 상기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을 상기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부추 발아 확률이 낮아지며, 상기 상한값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씨앗이 변형되어 부추 발아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부추 파종단계는 파종을 위한 육묘 트레이에 부추 씨앗을 뿌려 파종하기 위한 일반적인 단계로서 통상 발아 온도는 11 ∼ 24℃내로 20℃이며 10℃이하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거나 불안전하고, 25℃ 이상에서는 발아일수가 짧아지거나 발아율이 낮다. 따라서, 발아온도는 11 ∼ 24℃이내로 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 20℃ 내에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부추 밭 준비단계는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의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로서 pH 6.0 ∼ 7.0인 보수성이 약하고 투수성이 커서 통기성이 좋아 유기물의 분해가 빠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한 후, 제1 비료를 살포하여 부추를 재배할 밭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비료는 퇴비 및 유기질 비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퇴비 및 유기질 비료를 사용할 수 있다.
부추 정식단계는 부추 파종단계에서 파종하여 30~40일 자란 부추 육묘를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밭에 정식하고, 제2 비료를 관주하여 부추를 정식한다. 제2 비료는 물에 희석하여 관주할 수 있다. 제2 비료는 질소질 비료, 인산질 비료 및 칼리질 비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로 제2 비료는 액상 유용미생물군(E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식단계 이후 2~4주 간격으로 4~8회에 걸쳐 액비 및 살충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액비는 알칼리수 100 중량부에 세리사이트 3 내지 5 중량부 및 첨가제 1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첨가제는 목초액, 붕소, 수용성 규산, 황산아연 및 황산망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상기 살충 조성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진딧물을 방제할 수 있다. 상기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을 상기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진딧물 방제 효과가 낮아지며, 상기 상한값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추 재배에 이로운 미생물들까지 방제하게 되어 부추 재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어서, 전체 부추 중 75 ∼ 85%의 부추의 잎 길이가 23 ∼ 27cm 자랐을 때에 수확하는 부추 수확단계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정식 이후 부추 수확까지 5~7개월 정도 소요되며, 봄에 정식하여 가을에 수확할 수 있다.
이하 본원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발아율 실험
본 발명의 항균성 수용액에 의한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우선, 시중에서 판매하는 부추 씨앗을 10일간 건조한 이후, 15~25℃의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2중량부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2중량부를 포함하는 항균성 수용액에서 적어도 40시간 정도 발아시켜 발아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대비를 위해,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4중량부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1),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4중량부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2), 항균성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3)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낸다. 발아율은 전체 씨앗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가능한 수준으로 발아한 것을 계수하고, 전체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발아율 96% 91% 90% 8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부추 씨앗의 발아율이 우수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진딧물 방제 실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의 진딧물 방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부추 잎에 복숭아혹진딧물 또는 목화진딧물 유충을 20마리씩 접종한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액체를 분무 살포하였다. 살포 3일 후 방제율을 계산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중량%) 2 3 - -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중량%) 2 3 4 -
물(중량%)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100
복숭아흑진딧물 87% 90% 81% 22%
목화진딧물 85% 88% 79% 1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진딧물 방제 효과가 우수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부추 재배
실시예 4
울산의 한 농가에서 부추 재배를 하였다. 우선, 시중에서 판매하는 부추 씨앗을 10일간 건조한 이후, 15~25℃의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2중량부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2중량부를 포함하는 항균성 수용액에서 적어도 40시간 정도 발아시켰다. 상기 부추 씨앗을 육묘 트레이에 심어 부추 파종한다. 한편,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하여 pH 6.0 ∼ 7.0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하고, 퇴비 및 유기질 비료를 살포하는 부추 밭을 준비한다. 상기 부추 파종하여 30~40일 정도 자란 부추 육묘를 밭에 정식하고, 질소질 비료, 인산질 비료 및 칼리질 비료를 포함하는 제2 비료를 물에 희석하여 관주한다. 이어서, 2~4주 간격으로 액비와 살충 조성물을 살포한다. 여기서 사용한 살충 조성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를 첨가한 것이다. 부추 잎 길이가 23~27cm 정도 자랐을 때에 수확하여 재배하였다. 수확 직전의 부추를 도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실시예 4와 동일하게 부추를 재배하되, 살충 조성물을 살포하지 않은 채 부추를 재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4에 비해 진드기가 더 생겼으며, 부추 잎 길이가 23~27cm 정도까지 자라는데 시간이 20일 더 소요되었다.

Claims (5)

  1. 부추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추 씨앗을 육묘 트레이에 파종하는 부추 파종단계;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하여 pH 6.0 ∼ 7.0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하고, 제1 비료를 살포하는 부추 밭 준비단계;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 파종하여 30~40일 자란 부추 육묘를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밭에 정식하고, 제2 비료를 관주하는 부추 정식단계;
    상기 정식단계 이후 2~4주 간격으로 4~8회에 걸쳐 액비 및 살충 조성물을 살포하는 단계; 및
    전체 부추 중 75 ∼ 85%의 부추의 잎 길이가 23 ∼ 27cm 자랐을 때에 수확하는 부추 수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추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는,
    부추 씨앗을 10일 이상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한 씨앗을 15~25℃의 항균성 수용액에서 적어도 35~45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항균성 수용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부추의 재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료는 퇴비 및 유기질 비료를 포함하는 것인, 부추의 재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료는 질소질 비료, 인산질 비료 및 칼리질 비료를 포함하는 것인, 부추의 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 조성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 및 산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 1~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부추의 재배방법.
KR1020230012849A 2023-01-31 2023-01-31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KR10264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849A KR102649073B1 (ko) 2023-01-31 2023-01-31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849A KR102649073B1 (ko) 2023-01-31 2023-01-31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073B1 true KR102649073B1 (ko) 2024-03-18

Family

ID=9047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849A KR102649073B1 (ko) 2023-01-31 2023-01-31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07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808A (ja) * 1993-02-24 1994-09-06 Sankyo Co Ltd 種子消毒剤組成物
JP2000191416A (ja) * 1998-10-23 2000-07-11 Hokko Chem Ind Co Ltd 農園芸用種子消毒剤および種子の消毒方法
KR20010025957A (ko) * 1999-09-02 2001-04-06 문병우 부추 관비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조성물 처리방법
KR20120124905A (ko) * 2011-05-06 2012-11-14 동부생약 영농조합법인 하수오 재배방법
KR20170033470A (ko) * 2015-09-16 2017-03-27 (주)황샘바이오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WO2018048864A1 (en) * 2016-09-07 2018-03-15 Isp Investments Llc Aqueous extract of prunus persica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190077764A (ko) * 2017-12-26 2019-07-04 곽성근 까시구지뽕을 이용한 상황버섯 재배방법 및 그에 따른 상황버섯
CN113099998A (zh) * 2021-04-03 2021-07-13 江苏康润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反季节韭菜培育方法
US20220305071A1 (en) * 2021-03-25 2022-09-29 Okchundang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prunus persica extrac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808A (ja) * 1993-02-24 1994-09-06 Sankyo Co Ltd 種子消毒剤組成物
JP2000191416A (ja) * 1998-10-23 2000-07-11 Hokko Chem Ind Co Ltd 農園芸用種子消毒剤および種子の消毒方法
KR20010025957A (ko) * 1999-09-02 2001-04-06 문병우 부추 관비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조성물 처리방법
KR20120124905A (ko) * 2011-05-06 2012-11-14 동부생약 영농조합법인 하수오 재배방법
KR20170033470A (ko) * 2015-09-16 2017-03-27 (주)황샘바이오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WO2018048864A1 (en) * 2016-09-07 2018-03-15 Isp Investments Llc Aqueous extract of prunus persica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190077764A (ko) * 2017-12-26 2019-07-04 곽성근 까시구지뽕을 이용한 상황버섯 재배방법 및 그에 따른 상황버섯
US20220305071A1 (en) * 2021-03-25 2022-09-29 Okchundang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prunus persica extract
CN113099998A (zh) * 2021-04-03 2021-07-13 江苏康润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反季节韭菜培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8530B (zh) 一种豇豆高产种植方法
WO2017211006A1 (zh) 一种有机高产西红柿的种植方法
CN104855231A (zh) 一种银杏的栽培方法
CN104094749A (zh) 绿色食品芹菜栽培方法
CN107439217B (zh) 一种水果型甘薯无公害栽培方法
CN103703983B (zh) 一种黄皮果树的培育方法
CN103404342B (zh) 西洋南瓜与中国南瓜嫁接、壮苗培植方法
CN106134906A (zh) 一种百香果的种植管理方法
CN105706681A (zh) 一种秋葵的高产种植方法
CN106717742A (zh) 一种大棚香椿高产种植方法
CN105766327A (zh) 一种油茶栽培方法
CN105660119A (zh) 一种番茄种植方法
CN105309169A (zh) 高产玉米种植方法
CN107624585A (zh) 一种生姜栽培方法
CN108925390A (zh) 一种枇杷林下套种魔芋的栽培方法
CN110178676B (zh) 一种生姜和香蕉套种的方法
CN112219635A (zh) 一种菠萝蜜套种黄秋葵的方法
CN111727832A (zh) 一种紫云红芯红薯双季栽培方法
CN104429430A (zh) 一种红豆杉茶在园林的种植方法
CN110612868A (zh) 一种有机草莓的种植方法
CN106034619A (zh) 一种冬瓜的种植方法
CN106106005A (zh) 一种龙眼幼苗的栽培方法
CN106171442A (zh) 番茄高产栽培方法
KR20070115155A (ko) 홍경천 재배방법
CN110140608A (zh) 一种玫瑰茄一年两熟的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