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470A -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 Google Patents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470A
KR20170033470A KR1020150130863A KR20150130863A KR20170033470A KR 20170033470 A KR20170033470 A KR 20170033470A KR 1020150130863 A KR1020150130863 A KR 1020150130863A KR 20150130863 A KR20150130863 A KR 20150130863A KR 20170033470 A KR20170033470 A KR 20170033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leek
chive
chives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143B1 (ko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주)황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황샘바이오 filed Critical (주)황샘바이오
Priority to KR102015013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1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01G1/001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장속도 향상 및 영양분의 함유량이 많은 부추 재배방법 및 이로 인해 재배된 부추에 관한 것으로, 부추 씨앗을 육묘 트레이에 파종하는 부추 파종단계와,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하여 pH 6.0 ∼ 7.0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하고, 밭 1,000㎡당 퇴비 1,500 ∼ 2,000㎏, 유기질 비료 250 ∼ 400㎏,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1 유황 비료 30kg을 살포하는 부추 밭 준비단계와,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 파종하여 35 ∼ 45일 자란 부추 육묘를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밭에 정식하고, 밭 1,000㎡에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2 유황 비료 2 ∼ 3㎏을 물 1,000㎏에 희석하여 관주하는 부추 정식단계와, 상기 부추 정식단계에서 부추의 정식 후 12 ∼ 16일 이후부터 1주일 간격으로 3 ∼ 4회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2 유황 비료 0.15 ∼ 0.30㎏을 물 150㎏에 희석하여 정식된 부추에 엽면살포하는 엽면살포단계와, 상기 엽면살포단계 이후 전체 부추 중 75 ∼ 85%의 부추의 잎 길이가 23 ∼ 27cm 자랐을 때에 수확하는 부추 수확단계로 이루어져 있어, 부추의 생장속도가 빠르고 병해충 예방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인체에 유용한 영양분 및 유황 함량이 높은 부추 재배를 통해 일반인들이 유황의 섭취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는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chive cultivation method and chive}
본 발명은 생장속도 향상 및 영양분의 함유량이 많은 부추 재배방법 및 이로 인해 재배된 부추에 관한 것이다.
유황은 인간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다량의 생체 원소인 수소, 산소, 질소, 나트륨 등을 포함한 여러 종류 중에서 8번째의 많은 량으로 인체를 구성하고 있다. 특히, 뼈나 피부, 머리카락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유황의 결핍은 대머리, 손톱 발톱의 각질화, 피부의 노화 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황은 인체건강의 최대의 적이 되는 중금속, 화공약품, 각종 농약 등의 공해물질의 오염에서 해방될 수 있는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어 인체의 필수 영양제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황은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이 있어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의 일반적인 유황의 섭취 방법은 마늘, 생강, 파, 양파, 무, 달래, 부추, 된장 등 천연적 유황성분이 소량 함유되어 있는 식품을 섭취하는 방법 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어, 인체에 필수적인 유황의 섭취량이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한편, 부추(Allium tuberosum Rottl)는 달래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영양가가 높고, 독특한 향미가 있으며 소화작용을 돕는 채소로서 동남아시아 중국 서부, 한국, 일본의 산에 야생하며, 근래에는 약리적 효능이 뛰어나 재배를 많이 하고 있다. 부추의 생김 형태는 비닐줄기가 작고 단갈색의 섬유로 싸여졌으며 봄철에 선상 육질의 잎이 비닐줄기에서 여러 가닥 나온다. 지방에 따라 부추, 부초, 솔, 정구지, 졸 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한자명으로는 구채, 난총이라고 한다. 한방에 의하면 부추는 더운 성질이 있고, 몸의 기를 돋우며 위와 장, 간과 신장 등 우리 몸속의 각종 장기들을 튼튼하게 해주는 좋은 식품으로서 간에 좋은 효능을 많이 갖고 있어 간의 채소라고도 불린다. 또한 부추는 숙취에도 좋고 간의 피로 회복에 좋은 효능들을 많이 갖고 있어 술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좋다고 알려져 있다.
부추의 성분으로는 다른 파의 종류에 비해 단백질, 지방, 당질, 회분, 비타민 A가 월등히 높고, 잎의 당질은 대부분이 포도당, 과당으로 구성되는 단당류이며, 부추의 냄새는 유황화합물이 주체인데 마늘과 비슷해서 강장 효과가 인정되어 식품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부추는 1회 파종으로 5, 6년간 계속 수확할 수 있고 연 7 ∼ 8회 수확이 가능한 경제작물로서 인기가 높아 최근 재배면적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른 식용식물과는 달리 풍부한 영양가를 가진 보건식품인 동시에 다양한 약리 작용이 있는 채소인 부추를 재배하는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25957호는 질소, 수용성 인산, 수용성 칼리, 수용성 칼슘, 수용성 마그네슘, 미량 원소 및 수용성 색소로 이루어진 부추 관리 재배용 양액 조성물을 적당한 배합비율로 배합 및 포장해 관수장치를 이용해 공급하여 고품질의 부추를 다량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칼슘 성분만 분리하여 포장하기 때문에 불용성 칼슘염의 침강을 방지해 부추 생장에 나쁜 영향이 미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2489호는 부추를 파종한 후 암상태에서 지배하여 부추의 생장, 영양성분 및 제초활성이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부추 재배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1) KR10-2001-0025957(2001.04.06.) A, 부추 관비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조성물 처리방법
(특허문헌 2) KR101-1352489(2014.01.10.) A, 황아재배를 이용한 부추의 재배방법
하지만, 상술한 부추의 재배방법들은 모두 부추의 생장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뿐 그 이상의 상승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는 생장속도 및 병해충 예방효과와 더불어 다량의 유황을 일반인들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황을 이용하여 부추를 재배함으로써 부추의 생장속도가 빠르고 병해충 예방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인체에 유용한 영양분 및 유황 함량이 높은 부추 재배를 통해 일반인들이 유황의 섭취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부추 씨앗을 육묘 트레이에 파종하는 부추 파종단계와,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하여 pH 6.0 ∼ 7.0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하고, 밭 1,000㎡당 퇴비 1,500 ∼ 2,000㎏, 유기질 비료 250 ∼ 400㎏,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1 유황 비료 30kg을 살포하는 부추 밭 준비단계와,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 파종하여 35 ∼ 45일 자란 부추 육묘를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밭에 정식하고, 밭 1,000㎡에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2 유황 비료 2 ∼ 3㎏을 물 1,000㎏에 희석하여 관주하는 부추 정식단계와, 상기 부추 정식단계에서 부추의 정식 후 12 ∼ 16일 이후부터 1주일 간격으로 3 ∼ 4회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2 유황 비료 0.15 ∼ 0.30㎏을 물 150㎏에 희석하여 정식된 부추에 엽면살포하는 엽면살포단계와, 상기 엽면살포단계 이후 전체 부추 중 75 ∼ 85%의 부추의 잎 길이가 23 ∼ 27cm 자랐을 때에 수확하는 부추 수확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부추 파종단계는 파종을 위한 육묘 트레이에 부추씨를 뿌려 파종하기 위한 일반적인 단계로서 통상 발아온도는 11 ∼ 24℃내로 20℃이며 10℃이하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거나 불안전하고, 25℃이상에서는 발아일수가 짧아지거나 발아율이 낮다.
따라서, 발아온도는 11 ∼ 24℃이내로 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 20℃ 내에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부추 밭 준비단계는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의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로서 pH 6.0 ∼ 7.0인 보수성이 약하고 투수성이 커서 통기성이 좋아 유기물의 분해가 빠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한 후, 밭의 면적 1,000㎡당 퇴비 1,500 ∼ 2,000㎏, 유기질 비료 250 ∼ 400㎏,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1 유황 비료 30㎏을 살포하여 부추를 재배할 밭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부추는 건조한 조건하에서는 잘 자라지만 습한 조건, 특히 배수가 안되는 조건에서는 잎의 엽선고사할 수 있기 때문에 양질의 사질토양으로 선별하도록 하며, pH농도가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는 영양분의 흡수가 낮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토양의 산성이 높아 잎의 마름증이 발생할 수 있어 상술한 범위 내의 토양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부추밭 준비단계에서는 퇴비 및 유기질 비료,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유황 비료를 살포하여 밭을 비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퇴비 및 유기질 비료는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는 부추의 생육이 부진하게 되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영양분 과다로 인한 토양의 염류장애가 발생하여 부추의 생육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의 유황 비료는 부추에 유황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타 다른 영양분의 흡수율을 높여 생장 속도를 향상시키면서 병해충으로 부터 부추를 보호하기 위해 살포하게 된다.
상기 제1 유황 비료는 제독된 유황분말 25 ∼ 75중량%, 천연 미네랄 분말 25 ∼ 75중량%를 고르게 교반하여 제조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황은 주기율표 제6B족에 속하는 산소족 원소의 하나로, 옛 동의보감에 의하면 「열이 많고 독성이 강하나 몸 안의 냉기를 몰아내어 양기 부족을 돕는 한편, 심장의 적취와 사기를 다스리며, 단독을 풀어준다고」라고 쓰여 있다. 또한, 중국의 고전 문헌에 의하면 유황은 만병을 물리친다는 천하의 명약으로 알려진 금단의 주원료로서 불로장생의 선약이요 늙은 노인도 젊을을 되찾게 된다는 "회춘의 묘약"으로 전해 내려올 만큼 그에 대한 약성의 평가는 대단하다.
특히, 유황은 보양작용 뿐만 아니라 암과 각종 난치병의 원으로 대두되고 있는 중금속, 농약, 기타 화공독 등의 공해 해독작용으로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술한 유황은 광물질로서 열독성이 매우 강하여 법제과정이 선행되지 않고서는 내복할 수 없음은 물론, 법제하지 않은 유황을 가축류나 가금류에 급여하는 경우 거의 100% 사멸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유황분말은 종래에 공지된 기술들에 의해 독성을 제거한 제독된 유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천연 미네랄 분말은 Ca, Mg, B, Cl, Cu, Zn, Mn, Co, Fe, Mo, S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무기 영양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부추 정식단계는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의 부추를 파종한 후 35 ∼ 45일 자란 부추 육묘를 상기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밭에 정식하고, 제2 유황 비료 2 ∼ 3㎏을 1,000㎏의 물에 희석하여 관주하여 부추를 정식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하였던 부추 밭 준비단계는 부추를 정식하기 이전에 토양을 비옥하게 한 상태에서 정식된 부추에 영양분을 공급하게 되지만 본 단계에서는 희석된 제2 유황 비료를 관주함으로써 부추의 뿌리털에 삼투현상으로 유황 비료가 흡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양 내에 존재하는 영양분의 흡수력을 향상시키도록 하여 부추의 생장 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유황 비료는 제독된 유황분말과 액상 유용미생물군(EM : Effective Microoganism)을 1 : 1 내지 99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액상 유용미생물군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을 수십종을 조합, 배양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의 액상 유용미생물군은 효모 유산균 및 광합성 세균이 주요 균종이다.
상기와 같은 액상 유용미생물군은 미생물이 항산화물질을 생성하여 부패를 막고 유기물을 저분자화하여 흡수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부추 내에 유황을 공급함은 물론, 밭에 뿌려진 퇴비, 유기질 비료, 제1 유황 비료의 제독된 유황 및 천연 미네랄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분을 부추가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추의 생장능력 향상 및 영양분의 고른 흡수는 물론, 살균 및 살충효과도 얻을 수 있어 부추의 생리장애 원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독된 유황 분말은 분말형태일 경우 입자 크기에 따라 흡수가 보장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제2 유황 비료는 물과 희석하여 액상화된 상태여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단계에서의 제2 유황 비료는 부추에 관주하는 만큼 제2 유황 비료를 희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제2 유황 비료를 희석하는 물의 비율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 부추가 산성화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물의 비율이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엽면살포단계는 상기 부추 정식단계 이후 부추의 잎에 영양분을 살포하는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부추 정식단계에서 부추의 정식 후 12 ∼ 16일 이후부터 1주일 간격으로 3 ∼ 4회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2 유황 비료 0.15 ∼ 0.30㎏을 물 150㎏에 희석하여 부추에 엽면살포하게 된다.
이러한, 엽면살포를 통한 제2 유황 비료를 공급하는 방법은 제2 유황 비료를 관주하는 것보다 밭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가 적고 생육기간 내에 영양분이 떨어질때 또는 뿌리가 썩거나 산성장애를 받을 때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부추 정식단계에서 희석된 유황 비료를 관주하는 한편, 엽면살포단계에서 희석된 유황 비료를 엽면살포하여 부추 내에 유황 성분을 포함시킴은 물론, 부추의 생장속도 향상, 유황으로 인한 병해충 예방 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부추 수확단계는 엽면살포단계 이후에 전체 부추 중 75 ∼ 85%의 부추 잎 길이가 23 ∼ 27㎝ 자랐을 때에 수확하여 재배를 완료하게 된다.
□ 실 험
1. 시료
가. 시료 제조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해 pH 6.0인 사질토양의 밭 1,000㎡당 퇴비 1,700㎏, 유기질 비료 300㎏,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1 유황 비료 30kg을 살포한 밭에 40일 자란 부추 육묘를 정식하고, 밭에 정식된 부추에 제2 유황 비료 2㎏에 물1,000㎏을 희석하여 관주한 후, 14일 이후부터 1주일 간격으로 3회 동안 제2 유황 비료 0.15㎏을 물 150㎏에 희석시켜 부추에 엽면살포하여 부추의 잎 길이가 23 ∼ 27cm 자란 유황 솔부추를 재배하였다.
이렇게 재배한 유황 솔부추는 상단과 하단으로 잘라 시료1(유황 솔부추 상단)과 시료 2(유황 솔부추 하단)를 만들었다.
나. 비교 시료 제조
통상의 방법을 통해 솔부추를 재배하여 비교 시료 1(솔부추)를 만들었고, 이 중 일부는 상, 하단으로 잘라 비교 시료 2(솔부추 상단)과 비교 시료 3(솔부추 하단)를 만들었다.
또한, 상기 유황 솔부추 재배시 토양의 배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밭에 비닐막을 한 비교 시료 4(유황솔부추 비배수)를 만들었다.
2. 분석
가. 분석방법 : EA분석(Elemenatal analyzer) : C, H, N, S 분석용
나. 분석기기 : Thermofinningan사(社) EA1110
다. 온도조건 : 1,000℃
라. 촉매 : Tugstic Anhydride, Copper Wire
마. 분석원소 : N(질소), C(탄소), H(수소), S(황)
바. 표준물질 : BBOT(C26H25N2OS)
3. 분석결과
결과값
시료 N(%) C(%) H(%) S(%)
시료 1(유황 솔부추 상단 - 배수) 5.68 43.98 6.80 1.24
시료 2(유황 솔부추 하단 - 배수) 4.08 28.91 4.87 1.71
비교 시료 1(솔부추) 3.88 41.37 6.91 0.60
비교 시료 2(솔부추 상단) 5.60 43.15 7.02 0.46
비교 시료 3(솔부추 하단) 2.82 13.55 7.85 0.45
비교 시료 4(유황 솔부추 - 비배수) 4.76 43.09 6.85 0.70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토양을 배수시킨 유황 솔부추는 상단과 하단에서의 영양분이 편차가 크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반 솔부추의 경우에는 상단과 하단의 영양분 편차가 컸으며, 이는 영양분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아 편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영양소 중 황(S)의 비율은 약 2 ∼ 2.8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비교 시료 4의 경우 비교 시료 1, 2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토양의 배수를 시키지 않았을 때의 결과 값인데, 질소(N), 탄소(C), 수소(H)의 영양분은 시료 1, 2와 많은 편차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황(S)의 경우에는 많은 편차가 발생하였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할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Claims (5)

  1. 부추 씨앗을 육묘 트레이에 파종하는 부추 파종단계;
    부추 육묘를 정식하기 위하여 pH 6.0 ∼ 7.0인 사질토양의 밭을 선별하고, 밭 1,000㎡당 퇴비 1,500 ∼ 2,000㎏, 유기질 비료 250 ∼ 400㎏,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1 유황 비료 30kg을 살포하는 부추 밭 준비단계;
    상기 부추 파종단계에서 파종하여 35 ∼ 45일 자란 부추 육묘를 부추 밭 준비단계에서 준비한 밭에 정식하고, 밭 1,000㎡에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2 유황 비료 2 ∼ 3㎏을 물 1,000㎏에 희석하여 관주하는 부추 정식단계;
    상기 부추 정식단계에서 부추의 정식 후 12 ∼ 16일 이후부터 1주일 간격으로 3 ∼ 4회 유황이 포함되어 있는 제2 유황 비료 0.15 ∼ 0.30㎏을 물 150㎏에 희석하여 정식된 부추에 엽면살포하는 엽면살포단계;
    상기 엽면살포단계 이후 전체 부추 중 75 ∼ 85%의 부추의 잎 길이가 23 ∼ 27cm 자랐을 때에 수확하는 부추 수확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추 정식단계에서의 제1 유황 비료는 제독된 유황 분말 25 ∼ 75중량%와 천연 미네랄 분말 25 ∼ 75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황 비료의 천연 미네랄 분말은 Ca, Mg, B, Cl, Cu, Zn, Mn, Co, Fe, Mo, S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무기 영양소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추 정식단계 및 엽면살포단계에서의 제2 유황비료는 제독된 유황분말과 액상 유용미생물군(EM : Effective Micro-organism)을 1 : 1 내지 99 : 1의 부피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을 통해 재배된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KR1020150130863A 2015-09-16 2015-09-16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KR10178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63A KR101784143B1 (ko) 2015-09-16 2015-09-16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63A KR101784143B1 (ko) 2015-09-16 2015-09-16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470A true KR20170033470A (ko) 2017-03-27
KR101784143B1 KR101784143B1 (ko) 2017-10-12

Family

ID=5849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863A KR101784143B1 (ko) 2015-09-16 2015-09-16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1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7362A (zh) * 2018-05-03 2018-10-09 梁秀芳 一种抑制绿色木霉对牛大力影响的栽培方法
CN113924960A (zh) * 2021-10-11 2022-01-14 石家庄市农林科学研究院 一种韭菜水培工艺
KR102369975B1 (ko) * 2020-11-12 2022-03-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법흥농원 유황 배추 재배 방법
KR102649073B1 (ko) * 2023-01-31 2024-03-18 황성모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193B1 (ko) * 2018-08-22 2020-04-08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유황 양파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면역증진 기능성 식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61B1 (ko) * 2012-05-02 2013-04-29 안상표 입상 유황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433561B1 (ko) * 2014-05-09 2014-08-27 최병갑 산부추의 재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7362A (zh) * 2018-05-03 2018-10-09 梁秀芳 一种抑制绿色木霉对牛大力影响的栽培方法
KR102369975B1 (ko) * 2020-11-12 2022-03-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법흥농원 유황 배추 재배 방법
CN113924960A (zh) * 2021-10-11 2022-01-14 石家庄市农林科学研究院 一种韭菜水培工艺
CN113924960B (zh) * 2021-10-11 2022-09-06 石家庄市农林科学研究院 一种韭菜水培工艺
KR102649073B1 (ko) * 2023-01-31 2024-03-18 황성모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143B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9751B (zh) 有机富硒稻的种植方法
Olaniyi et al. The effect of organo-mineral and inorganic fertilizers on the growth, fruit yield,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okra
CN107455224A (zh) 一种油茶的种植方法
KR101431787B1 (ko) 유기농 인삼 및 그의 재배방법
CN107047224A (zh) 一种葡萄的高产种植方法
CN106508589A (zh) 一种沙糖桔与花生套种的种植方法
KR101784143B1 (ko)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CN105123216A (zh) 一种有机韭菜种植方法
CN105580701A (zh) 一种茶叶的种植方法
CN102265767A (zh) 欧李的种植技术
CN105941070A (zh) 一种石榴果树的栽培方法
CN104982286A (zh) 一种核桃种植方法
KR101132712B1 (ko) 토양 병해충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CN106258646A (zh) 一种百香果茎基腐病综合治理方法
KR101075877B1 (ko) 자연농법
CN105993727A (zh) 一种防治砂糖橘病虫害的方法
KR20060047555A (ko) 셀레늄을 함유하는 과수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셀레늄을함유하는 과수의 재배방법
CN106718732A (zh) 一种梅菜育苗的专用基质
CN106069549A (zh) 美国红毛桃的育苗及种植方法
KR100612641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채소의 재배방법
CN107912238A (zh) 香蕉优质高产有机种植方法
Kumawat et al. Growth and development of groundnut (Arachis hypogaea) under foliar application of panchgavya and leaf extracts of endemic plants
CN107484601A (zh) 一种提高核桃增产的种植方法
Adeyeye et al. Comparative effect of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s on the growth and yield of onion (Allium cepa L)
CN107188657A (zh) 一种小麦的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