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561B1 - 산부추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산부추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561B1
KR101433561B1 KR1020140055416A KR20140055416A KR101433561B1 KR 101433561 B1 KR101433561 B1 KR 101433561B1 KR 1020140055416 A KR1020140055416 A KR 1020140055416A KR 20140055416 A KR20140055416 A KR 20140055416A KR 101433561 B1 KR101433561 B1 KR 10143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ain
leek
seeds
liters
cultiv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갑
Original Assignee
최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갑 filed Critical 최병갑
Priority to KR102014005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부추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우스에서 미리 산부추를 모를 육묘한 후, 노지에 아주심기하는 두 단계의 육성법을 통해 파종에서 성체에 이르기까지 4년의 재배기간을 2년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노지로 아주심기 하기 전 하우스에서 육묘된 산부추 모의 인경을 잘라주고 생장점을 제거함으로써, 생장 효율을 높이고 구근 개체의 수량을 늘릴 수 있는 산부추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부추의 재배방법{Cultivation method of allium sacculiferum}
본 발명은 산부추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우스에서 미리 산부추를 모를 육묘한 후, 노지에 아주심기하는 두 단계의 육성법을 통해 파종에서 성체에 이르기까지 4년의 재배기간을 2년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노지로 아주심기 하기 전 하우스에서 육묘된 산부추 모의 인경을 잘라주고 생장점을 제거함으로써, 생장 효율을 높이고 구근 개체의 수량을 늘릴 수 있는 산부추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부추는 토종식물 부추과의 식물로서, 국내에는 재배농가 내지 육종농가(종묘회사 포함)가 없는 실정이며 일단의 야생화 애호가들이 취미로 화단에 소량재배하여 산채로 이용 중인 것으로 실태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산부추는 여러해살이풀로 땅 속에 계란 모양의 작은 알뿌리를 가지고 있다.온몸에서 부추와 흡사한 냄새를 풍기며 줄기를 가지지 않는다.알뿌리로부터 2~3장의 길쭉한 줄 모양의 잎이 자란다. 잎의 길이는 40~50cm 정도이고 단면이 둥글면서도 약간 편평하다. 잎 사이에서 길이 60cm쯤 되는 꽃줄기가 자라 올라와 그 끝에 많은 꽃이 파의 꽃과 같은 모양으로 둥글게 뭉쳐 피어난다. 뭉친 꽃의 지름은 3~4cm이다. 꽃은 6장의 꽃잎을 가지며 빛깔은 분홍빛을 띤 보라색이다.
잎은 지름 2~5mm로 2~3개가 위로 퍼지고 약간의 육질이며 백색을 띤 녹색이고 단면은 삼각형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화경(花莖)끝에 산형으로 많이 달린다. 포는 갑자기 끝이 뾰족해지며 넓은 난형이고 소화경은 길이 1~1.5cm이다. 화피열편은 길이 4~5mm로서 타원형 둔두이며 내화피는 약간 길다. 수술은 6개로서 길고 밑부분이 넓게 퍼지며 그 사이에 톱니가 있고 꽃밥은 자주색이다. 삭과로 종자가 맺히며, 높이는 30~60cm이다.
구근식물로서 인경은 길이가 2cm정도 되고 난상 피침형이며 줄기 밑부분과 더불어 말라 버린 엽초로 싸여 있고 외피는 엽초로 싸여 약간 두꺼우며 갈색이며, 인경(鱗梗) 밑 부분에서 잔뿌리가 내린다.
산부추 꽃의 개화기는 8월~10월이며, 결실기는 10~11월이고, 열매는 삭과(튀는 열매)-익으면 과피가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여러 개의 씨방으로 이루어진다.
산부추의 알뿌리(구근)는 약재로 사용하며, 잎과 뿌리를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리거나 생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뿌리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며 진통, 거담 등의 효능을 가지며, 천식, 소화불량, 늑간(肋間) 신경통, 가슴앓이, 협심증에 이용된다.
그리고 산부추의 잎은 어린잎을 알뿌리와 함께 캐어 생채로 해서 먹는다. 달래와 흡사한 맛으로 입맛을 돋우어 준다. 또한 달래와 함께 지짐이에 넣는 재료로 애용된다.
한편, 산부추의 재배방법은 씨앗을 통한 육성법과 분주를 통한 육성법 2가지가 있다.
씨앗을 노천 매장하여 육성 번식하는 방법은 대량의 산부추를 재배하는데 용이하며, 산부추 성체를 분주하여 번식하는 방법은 빠른 시일 내에 모체의 특성을 가진 개체 확보에 용이하다.
다만, 두 가지 번식법 모두 산부추의 재배에 용이하나 실생번식은 재배기간의 장기화(4년 육성시 상품성을 갖춘 성체로 육성됨)되는 문제가 있다. 성체의 분주방법은 모체의 특성을 지닌 개체를 쉽게 발현할 수 있지만 제한적 수량의 한계에 놓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산부추를 대량 생산하고 재배기간을 단축함으로써, 산채, 건강식품, 약재, 화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할 수 있는 특화된 재배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씨앗의 발아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하우스에서 미리 산부추를 모를 육묘한 후, 노지에 아주심기하는 두 단계의 육성법을 통해 파종에서 성체에 이르기까지 4년의 재배기간을 2년으로 단축할 수 있는 산부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주심기 하기 전 하우스에서 육묘된 산부추 모의 인경을 잘라주고 생장점을 제거함으로써, 생장 효율을 높이고 구근 개체의 수량을 늘릴 수 있는 산부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EM과 바실러스 균을 포함하는 액비를 정기적으로 살포함으로써, 생장을 돕고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산부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EM과 바실러스 균을 포함하는 액비를 정기적으로 살포하고, 멀칭비닐과 발효된 유기 볏짚으로 멀칭함으로써, 생장을 촉진, 병충해를 예방 및 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산부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은 씨앗을 준비하는 S1단계와; 상기 씨앗을 1월 내지 3월에 하우스 내에서 파종하여 산부추 모를 가온 육묘하는 S2단계와; 상기 육묘한 산부추 모를 노지에 옮겨 심는 S3단계와; 상기 산부추 모를 생육하여 파종 후 이듬해 가을에 개화하여 성체가 되면 산부추를 수확하는 S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1 내지 S2단계를 통해 씨앗의 파종에서 성체에 이르는 생육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의 S1단계는 파종 전(前)해에 채종한 씨앗을 적어도 10일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한 씨앗을 15~25℃의 물에서 적어도 35~45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채종된 씨앗을 휴면타파하고 발아억제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의 S2단계는 상기 씨앗을 18~22℃ 온도로 유지되는 하우스에서 2~3개월 동안 육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의 S3단계는 상기 육묘한 산부추 모의 인경부위를 0.5~1cm를 남기고 잘라주고, 잎과 줄기생장점을 제거하며, 상기 노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검정색 유공 비닐을 멀칭하여 상기 구멍에 상기 산부추 모를 옮겨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의 S4단계에서 파종 후 이듬해 봄부터 개화할 때까지 액비를 4~8회에 걸쳐 살포하며, 상기 유공 비닐 위에 발효된 볏짚을 추가로 멀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의 액비는 총중량 600리터를 기준으로, 친환경 액비 5~15리터와, 바실러스 균 3~6리터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1회 살포시 1,000㎡ 당 400~600리터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의 S4단계는 파종한 해의 가을 내지 이듬해 봄까지는 잎을 절단하여 수확하고, 이듬해 가을 개화하면 뿌리째 뽑아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은 씨앗의 발아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하우스에서 미리 산부추를 모를 육묘한 후, 노지에 아주심기하는 두 단계의 육성법을 통해 파종에서 성체에 이르기까지 4년의 재배기간을 2년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은 아주심기 하기 전 하우스에서 육묘된 산부추 모의 인경을 잘라주고 생장점을 제거함으로써, 생장 효율을 높이고 구근 개체의 수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은 EM과 바실러스 균을 포함하는 액비를 정기적으로 살포함으로써, 생장을 돕고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은 EM과 바실러스 균을 포함하는 액비를 정기적으로 살포하고, 멀칭비닐과 발효된 유기 볏짚으로 멀칭함으로써, 생장을 촉진, 병충해를 예방 및 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a는 하우스에서 육묘한 산부추 모를 노지에 아주심기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b는 산부추가 개화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2c 및 도 2d는 수확한 산부추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은 크게 씨앗을 준비하는 S1단계와, 상기 씨앗을 1월 내지 3월에 하우스 내에서 파종하여 산부추 모를 가온 육묘하는 S2단계와, 상기 육묘한 산부추 모를 노지에 옮겨 심는 S3단계와, 상기 산부추 모를 생육하여 파종 후 이듬해 가을에 개화하여 성체가 되면 산부추를 수확하는 S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S1단계는 씨앗의 발아억제물질을 제거하여 발아율 및 생육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산부추의 씨앗에는 발아억제물질, 예를 들어 암모니아, 시안화수소산, 에틸렌, 불포화산과 같은 성분 등이 코팅되어 있어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발아 확률이 극히 낮기 때문에 발아억제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S1단계는 씨앗을 적어도 10일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한 씨앗을 15~25℃의 물에서 적어도 35~45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채종된 씨앗을 휴면타파하고 발아억제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산부추 씨앗은 수명이 짧으므로 파종 전(前)해에 채종한 씨앗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S2단계는 씨앗을 파종하여 소정기간 동안 육묘함으로써, 전체적인 생장기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산부추는 파종에서 성체를 수확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4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산부추 잎을 활용한 산채나물, 구근을 활용한 건강보조 식품, 꽃을 활용한 화훼 용도 등으로 이용하는 데 많은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1단계를 통해 전처리한 씨앗을 파종하고, S2단계를 통해 하우스에서 씨앗을 발아하고 육묘함으로써, 생장기간을 4년에서 2년으로 단축시키게 된다.
상기 S2단계는 씨앗을 파종하여 산부추 모를 기르는 것으로서, 18~20℃의 온도로 유지되는 하우스에서 2~3개월 동안 육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종은 간이 모판에 씨앗을 줄뿌림할 수도 있고, 105공 플러그 트레이에 씨앗을 4~5립씩 뿌려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3단계는 하우스에서 육묘된 산부추 모를 노지에 정식(아주심기)하여 생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S3단계는 밑거름 주기, 이랑만들기, 아주심기로 구성될 수 있다.
1) 밑거름 주기
아주심기 10~20일 전에 이랑을 만들어 밑거름을 준다. 상기 밑거름은 퇴비와 석회와 요소와 용과린과 염화가리 등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2) 이랑만들기
아주심기 5~7일 전에 너비 80~120cm의 이랑을 만든다.
3) 아주심기
산부추 모를 10~15cm 간격, 3cm 깊이로 정식한다.
한편, 상기 S3단계에서 아주심기할 때, 상기 육묘한 산부추 모의 인경부위를 0.5~1cm를 남기고 잘라주고, 잎과 줄기생장점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인경부위와 잎과 줄기의 생장점을 제거함으로써, 산부추의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식물 생장 조절 호르몬인 옥신(auxin), 즉 인돌아세트산(indoleacetic acid)의 분비를 촉진하여 구근 개체를 확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검정색 유공 멀칭비닐을 멀칭함으로써,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S4단계는 상기 산부추 모를 생육하는 것으로서, 물주기(관수)와, 비료주기와, 잡초 억제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물주기의 경우, 자동 관수시설을 통해 주기적으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료주기(추비)의 경우, 산부추는 타 작물에 비해 적정한 다비를 좋아하기 때문에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생육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완숙한 퇴비를 1년 동안 10a당 퇴비 3,000kg 이상 공급하고, 산성 비료는 피하고 중성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육기간 동안 비료를 공급하는 추비의 경우, 저온기(겨울)와, 산부추 뿌리가 비료 장애를 받는 고온기(여름)를 제외한 봄, 가을철에 각각 1회씩 시비할 수 있다. 이때, 추비는 이랑에 주고 반드시 중경을 실시하여 비료의 노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봄, 가을의 추비 대신 친환경 액비를 4~8회에 걸쳐 살포함으로써, 산부추 뿌리와, 옆경부분을 강화하고 결실기에 꽃의 추대의 수량을 증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액비는 총중량 600리터를 기준으로, 친환경 액비 5~15리터와, 바실러스 균 3~6리터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액비는 1회 살포시 1,000㎡ 당 400~600리터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공 멀칭비닐 위에 발효된 볏짚을 추가로 멀칭함으로써, 7~8월에 발병하는 잎 마름병과 고자리 선충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부추를 수확할 경우, 잎은 파종한 해의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는 산부추 잎을 수확하고, 이듬해 가을 개화하면 성체를 뿌리째 뽑아 수확할 수 있다.
이때, 개화한 성체에서 채종을 하거나, 꽃을 이용한 화훼로 이용하거나, 뿌리(구근)를 약재로 이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참고로 '본초비요'에는 산부추는 위를 보호하고 위의 열을 없애주며, 신에 양기를 보하고 아울로 어혈을 없애며 담을 제거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S1단계
경기도 양평군 소재의 노지에서 2011년 11월경 수확한 산부추 씨앗을 노천에서 20일간 건조하여 채종된 씨앗을 휴면타파하고 18℃의 온도의 물에 48시간 동안 씨앗 담그기를 한다.
(2)S2단계
그리고 2012년 3월 중순경 가온 하우스 내의 플러그 묘에 씨앗을 파종한다.
가온 하우스 내 온도를 18~20℃로 유지한 상태에서 산부추 모를 2012년 5월 하순경까지 육묘한다.
상기 육묘한 산부추 모의 인경부위를 0.5~1cm 정도로 짧게 잘라주고, 산부추 잎과 줄기 생장점을 제거한다.
(3)S3단계
2012년 5월 중순경 밭(노지)에 밑거름을 준 후, 이랑을 만든 후, 산부추 모를 상기 밭에 정식한다.
여기서 밑거름은 3.3㎡당 퇴비 13kg, 석회 330g, 요소 174g, 용과린 400g, 염화가리 111g으로 구성한다.
이랑 너비는 100cm로 하고 10~12cm간격으로 5줄로 아주심기를 하되, 검정색 유공 비닐을 멀칭한다. 그리고 발효된 유기 볏짚을 멀칭 비닐 위에 재차 멀칭한다.
참고로, 도 2a는 하우스에서 육묘한 산부추 모를 노지에 아주심기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4)S4단계
일주일 간격으로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300평 기준으로 600리터의 액비를 '2012년 4월부터 그해 10월까지' 및 '2013년 3월부터 그해 9월까지' 매달 1회씩 살포한다. 이때, 상기 액비는 EM 10리터와, 바실러스균 4.5리터와 잔량의 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2012년 9월 초순부터 그해 10월 중순까지 및 2013년 4월 중순부터 그해 10월 중순까지 산부추 잎을 수확하고, 10월 말 내지 11월 초순경에 추대 및 개화 된 후 채종을 하고 산부추를 뿌리째 수확한다.
참고로, 도 2b는 산부추가 개화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c 및 도 2d는 수확한 산부추를 촬영한 사진이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S1단계에서 물에 침지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S2단계를 생략하고 2012년 3월 중순경 밭에 직접 파종을 하였으며, S4단계의 액비를 살포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산부추를 생육하였다.
아래 표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수확한 구근(뿌리)의 중량과 분얼수량과 발아율을 정리한 것이다.
구분 각 개체당 평균 구근 중량(g) 분얼수량 발아율(%)
실시예 1 30 3.1 90
비교예 1 14 0.7 1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S1단계, S2단계 및 S4단계의 액비살포 유무에 따라 동일한 기간 동안 재배한 산부추의 구근의 중량이 2배 이상 차이가 나고, 분얼 수량에서도 4배 이상 차이가 있으며, 발아율에서는 6배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발아율의 경우, 본 발명의 S1단계, 구체적으로 채종한 씨앗을 소정 온도의 물에서 소정 시간 동안 침지하는 과정을 통해 발아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가온 하우스에서 파종하여 2~3개월 동안 산부추 모를 육묘하고, 액비를 주기적으로 살포한 경우에 수확량이 2~3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의 경우, 개화를 하지 않아 산부추 성체로 이르지 못한 반면, 실시예 1의 경우 대략 2년 내에 개화된 산부추 성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성체에서만 얻을 수 있는 씨앗과 꽃을 4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여 수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부추의 재배방법을 통해 야생 내지 노지에서 재배하는 산부추의 재배기간을 4년에서 2년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수확량도 크게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산부추의 재배기간을 단축하고 수확량을 늘림으로써, 농가에서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이용할 수 있고, 산부추를 산채, 건강식품, 약재 및 화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산부추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씨앗을 준비하는 S1단계와;
    상기 씨앗을 1월 내지 3월에 하우스 내에서 파종하여 산부추 모를 가온 육묘하는 S2단계와;
    상기 육묘한 산부추 모를 노지에 옮겨 심는 S3단계와;
    상기 산부추 모를 생육하여 파종 후 이듬해 가을에 개화하여 성체가 되면 산부추를 수확하는 S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S1 내지 S2단계를 통해 씨앗의 파종에서 성체에 이르는 생육기간을 단축시키되,
    상기 S3단계는,
    상기 육묘한 산부추 모의 인경부위를 0.5~1cm를 남기고 잘라주고, 잎과 줄기생장점을 제거하며, 상기 노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검정색 유공 비닐을 멀칭하여 상기 구멍에 상기 산부추 모를 옮겨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부추의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는,
    파종 전(前)해에 채종한 씨앗을 적어도 10일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한 씨앗을 15~25℃의 물에서 적어도 35~45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채종된 씨앗을 휴면타파하고 발아억제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부추의 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는,
    상기 씨앗을 18~20℃ 온도로 유지되는 하우스에서 2~3개월 동안 육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부추의 재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에서는 파종 후 이듬해 봄부터 개화할 때까지 액비를 4~8회에 걸쳐 살포하며, 상기 유공 비닐 위에 발효된 볏짚을 추가로 멀칭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액비는 총중량 600리터를 기준으로, 친환경 액비 5~15리터와, 바실러스 균 3~6리터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1회 살포시 1,000㎡ 당 400~600리터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부추의 재배방법.
KR1020140055416A 2014-05-09 2014-05-09 산부추의 재배방법 KR10143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16A KR101433561B1 (ko) 2014-05-09 2014-05-09 산부추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16A KR101433561B1 (ko) 2014-05-09 2014-05-09 산부추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561B1 true KR101433561B1 (ko) 2014-08-27

Family

ID=5175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416A KR101433561B1 (ko) 2014-05-09 2014-05-09 산부추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5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2438A (zh) * 2015-04-03 2015-07-22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东北红豆杉容器苗的渗灌培育方法
CN106105988A (zh) * 2016-07-07 2016-11-16 德宏州林业局中心苗圃 一种滇藏榄的育苗方法
KR101784143B1 (ko) * 2015-09-16 2017-10-12 (주)황샘바이오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KR102251845B1 (ko) * 2020-12-23 2021-05-14 심재석 유효성분이 강화된 엉겅퀴의 재배방법
CN115136882A (zh) * 2022-02-25 2022-10-04 包头市农牧科学技术研究所 一种红葱集约化育苗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195B1 (ko) * 1991-04-05 1999-06-15 바바 고오따로 대파의 육묘이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195B1 (ko) * 1991-04-05 1999-06-15 바바 고오따로 대파의 육묘이식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2438A (zh) * 2015-04-03 2015-07-22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东北红豆杉容器苗的渗灌培育方法
KR101784143B1 (ko) * 2015-09-16 2017-10-12 (주)황샘바이오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재배방법 및 유황 함유량이 높은 부추
CN106105988A (zh) * 2016-07-07 2016-11-16 德宏州林业局中心苗圃 一种滇藏榄的育苗方法
KR102251845B1 (ko) * 2020-12-23 2021-05-14 심재석 유효성분이 강화된 엉겅퀴의 재배방법
CN115136882A (zh) * 2022-02-25 2022-10-04 包头市农牧科学技术研究所 一种红葱集约化育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5775B (zh) 酿酒有机高粱的栽培方法
KR101433561B1 (ko) 산부추의 재배방법
CN103703983B (zh) 一种黄皮果树的培育方法
CN103299791A (zh) 一种有机水果玉米的种植方法
CN106538188A (zh) 一种玉米的种植方法
CN102986437A (zh) 一种两面针的人工栽培方法
CN104303797A (zh) 一种无公害羽衣甘蓝的大棚栽培方法
CN104303796A (zh) 一种无公害早春甜瓜的大棚栽培方法
CN103355092A (zh) 基于病虫和污染防控的豇豆健身栽培方法
CN105230300A (zh) 一种甜瓜的种植方法
CN104303813A (zh) 一种紫苏的种植方法
CN105724008A (zh) 一种利用烤烟秆作支架套种蔓生型鲜食秋豌豆的方法
CN105191625A (zh) 一种甜玉米无公害高产栽培方法
CN107223511A (zh) 一种促进樱桃高产的栽培方法
CN110800562A (zh) 一种有机凉粉草的种植方法
CN104472069A (zh) 一种大顶苦瓜的种植方法
CN105474905A (zh) 一种有机谷子的种植培方法
CN104488519B (zh) 一种酿酒用高粱的种植方法
CN103190265A (zh) 一种七叶树的种植方法
KR20160136196A (ko) 강이나 호수 인근 산간벽지에서 재배되는 고추의 대체작물로서의 삼백초 재배기법
CN108283111A (zh) 一种秋茬鲜食玉米间作芹菜的栽培方法
CN108293769A (zh) 一种绿宝小南瓜的保护地栽培方法
Chakoma et al. The agronomy and use of Mucuna pruriens in smallholder farming systems in southern Africa
CN110612867A (zh) 一种黄瓜种植方法
CN108812259A (zh) 提高温室有机基质型无土栽培厚皮甜瓜品质和产量的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