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923B1 - 소금 우유를 첨가하여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소금 우유를 첨가하여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923B1
KR102599923B1 KR1020230004025A KR20230004025A KR102599923B1 KR 102599923 B1 KR102599923 B1 KR 102599923B1 KR 1020230004025 A KR1020230004025 A KR 1020230004025A KR 20230004025 A KR20230004025 A KR 20230004025A KR 102599923 B1 KR102599923 B1 KR 10259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milk
rpm
mix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모어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모어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모어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23000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1Pizza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2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in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2Inorganic additives, e.g. minerals, trace elements; Chlorination or fluoridation of milk; Organic salts or complexes of metals other than natrium or kalium; Calcium enrichment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6Homogenis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 제조 방법은: 거름망에 천일염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단계; 물을 투하하며 거름망을 흔들어 천일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천일염 세척 단계를 1번 내지 3번 추가로 실시하는 단계; 세척된 천일염을 볶는 단계; 상기 천일염의 수분 함량이 20% 이하가 될 때까지 4)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우유에 간수 제거 소금을 10 내지 20회로 나누어 교반하며 투여하는 단계; 상기 간수 제거 소금을 첨가한 우유를 교반하며, 실온에서 숙성하여 소금우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소금우유, 상기 간수 제거 소금, 밀가루, 이스트, 정제수 및 올리브 오일을 혼합하여 도우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금 우유를 첨가하여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Pizza dough with improved texture by adding salt mil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금 우유를 첨가하여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자는 밀가루 반죽을 넓게 펴서 만든 도우 위에 토핑, 치즈 또는 소스 등을 올려 구운 요리이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요리로서 본격적인 레시피가 탄생한 것은 19세기 말이며, 이후 다양한 문화권으로 퍼져 널리 섭취되고 있다.
피자의 반죽인 도우는 밀가루의 비율이나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성질이 상이해지는 특징이 있어, 특정한 성질이나 맛을 갖는 도우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다양한 맛이 첨가된 피자 도우를 만들고자 하는 기술적 연구(KR 10-1910138 B1)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다양한 맛이 첨가된 피자 도우의 개발을 위하여, 강황 피자 도우, 야채 피자 도우 등의 다양한 도우를 개발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우의 촉촉함과 바삭함을 동시에 살리는 본질적인 식감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것이 실태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간수 제거 소금과, 상기 간수 제거 소금을 첨가한 소금 우유를 사용하여,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질적인 도우의 식감 개선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 제조 방법은 1) 거름망에 천일염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단계; 2) 물을 투하하며 거름망을 흔들어 천일염을 세척하는 단계; 3) 상기 천일염 세척 단계를 1번 내지 3번 추가로 실시하는 단계; 4) 세척된 천일염을 볶는 단계; 5) 상기 천일염의 중량 중 포함된 수분의 중량이 20% 이하가 될 때까지 4)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6) 우유에 간수 제거 소금을 10 내지 20회로 나누어 교반하며 투여하는 단계; 7) 상기 간수 제거 소금을 첨가한 우유를 교반하며, 실온에서 숙성하여 소금우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8) 상기 소금우유, 상기 간수 제거 소금, 밀가루, 이스트, 정제수 및 올리브 오일을 혼합하여 도우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는 상기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는 밀가루 50 내지 70중량부, 이스트 0.3 내지 0.5 중량부, 간수 제거 소금 0.5 내지 2중량부, 소금우유 30 내지 40중량부, 정제수 1 내지 3중량부, 올리브 오일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조리 이후에 겉은 바삭하고, 안은 촉촉하고 부드러워 기존 피자 도우보다 식감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우의 저장성 및 변형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 제조방법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간수 제거 소금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간수 제거 소금과 천일염의 성질 차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를 사용하여 제조된 피자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의 제조과정을 간단히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 제조 방법은 1) 거름망에 천일염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단계; 2) 물을 투하하며 거름망을 흔들어 천일염을 세척하는 단계; 3) 상기 천일염 세척 단계를 1번 내지 3번 추가로 실시하는 단계; 4) 세척된 천일염을 볶는 단계; 5) 상기 천일염의 수분 함량이 20% 이하가 될 때까지 4)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6) 우유에 간수 제거 소금을 10 내지 20회로 나누어 교반하며 투여하는 단계; 7) 상기 간수 제거 소금을 첨가한 우유를 교반하며, 실온에서 숙성하여 소금우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8) 상기 소금우유, 상기 간수 제거 소금, 밀가루, 이스트, 정제수 및 올리브 오일을 혼합하여 도우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2) 단계는 0℃내지 10℃의 물을 투하하는 것일 수 있다. 물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0℃내지 8℃, 0℃내지 6℃, 또는 0℃내지 4℃일 수 있다.
상기 3) 단계는 2) 단계의 천일염 세척을 1번 내지 3번 추가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번 내지 2번, 또는 2번일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를 추가로 실시함으로써, 천일염 내의 수용성 불순물이 제거되고 쓴 맛이 감소하며 약간의 단 맛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4) 단계는 세척된 천일염을 80℃내지 140℃로 5분 내지 25분동안 볶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0℃내지 130℃, 80℃내지 120℃, 또는 80℃내지 110℃일 수 있으며, 150℃를 초과한 온도에서 볶을 시, 소금이 갈변하며 쓴 맛이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25분, 5분 내지 20분, 또는 10분 내지 20분동안 볶는 것일 수 있다.
상기 5) 단계는 천일염의 수분 함량이 20%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일염의 중량 중 포함된 수분의 중량량이 18%, 15%, 13%, 또는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6) 단계는 1℃내지 3℃인 우유에, 전체 소금 우유 100중량부의 1 내지 8중량부에 해당하는 간수 제거 소금을 10 내지 20회로 나누어 교반하며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소금 우유 100중량부의 1 내지 7중량부, 2 내지 7 중량부, 3 내지 7중량부, 3 내지 6중량부, 또는 3 내지 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7) 단계는 간수 제거 소금을 첨가한 우유를 5분 내지 40분 간격으로 교반하며, 실온에서 4 내지 8시간동안 숙성하여 소금우유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4 내지 7시간, 5 내지 7시간일 수 있다. 간수 제거 소금이 첨가되어 염도가 상승한 우유는 세균의 성장이 억제되기 때문에 실온에서도 신선한 상태를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금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우의 저장성이 증가되는 효과도 부여한다.
상기 8) 단계는 소금우유, 상기 간수 제거 소금, 밀가루, 이스트, 정제수 및 올리브 오일을 혼합하여 도우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도우를 제조하는 단계는, a) 밀가루 50 내지 70중량부, 이스트 0.3 내지 0.5 중량부, 상기 간수 제거 소금 0.5 내지 2중량부를 100 내지 150rpm에서 1분 내지 3분동안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소금우유 30 내지 40중량부를 첨가하여 200 내지 300rpm에서 1분 내지 3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c) 정제수 1 내지 3중량부를 첨가하여 400 내지 700rpm에서 3분 내지 6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및 d) 올리브 오일 1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여 100 내지 700rpm에서 1분 내지 7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밀가루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8중량부, 58 내지 68중량부, 55 내지 68중량부, 또는 55 내지 6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간수 제거 소금은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2중량부, 0.07 내지 1.3중량부, 또는 0.09 내지 1.1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소금우유는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40중량부 또는 33 내지 37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의 정제수를 첨가하는 단계는 200 내지 300rpm, 220 내지 280rpm 또는 240 내지 260rpm으로 1분동안 혼합하는 단계; 400 내지 500rpm, 420 내지 480rpm, 또는 440 내지 460rpm으로 2분동안 혼합하는 단계; 및 600 내지 700rpm, 620 내지 680rpm, 또는 640 내지 660rpm으로 2분동안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단계적으로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가 있음에 따라, 반죽의 찰기가 더해지고 쫄깃함이 더해져 점성이 증가한다.
상기 d) 단계의 올리브 오일을 혼합하는 단계는 100 내지 150rpm, 110 내지 140rpm, 또는 115 내지 135rpm으로 1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200 내지 300rpm, 210 내지 290rpm, 220 내지 280rpm, 230 내지 270rpm 또는 230 내지 260rpm으로 1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400 내지 500rpm, 410 내지 490rpm, 420 내지 480rpm, 430 내지 470rpm, 또는 440 내지 460rpm으로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및 600 내지 700rpm, 610 내지 690rpm, 620 내지 680rpm, 630 내지 670rpm, 또는 640 내지 660rpm으로 3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브 오일은 1 내지 4중량부 또는 2 내지 4중량부일 수 있다. 올리브 오일을 마지막 단계에 순차적으로 포함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올리브 오일은 발열점이 낮기 때문에 처음부터 투여될 시 반죽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되어 그 산미와 풍미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반죽에 첨가하는 것이 좋고, 혼합시 높은 rpm으로 지속하기보다는, 낮은 rpm에서 차차 속도를 올려 반죽 과정에서 최대한 열에 덜 노출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는 밀가루 50 내지 70중량부, 이스트 0.3 내지 0.5 중량부, 간수 제거 소금 0.5 내지 2중량부, 소금우유 30 내지 40중량부, 정제수 1 내지 3중량부, 올리브 오일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물질인 밀가루, 이스트, 간수 제거 소금, 소금우유, 정제수, 올리브 오일 등의 함량은 전술한 제조방법에서의 함량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적정한 구성물질 중량부의 조화로 인하여, 변형성이 낮고 저장성이 우수하며,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간수 제거 소금의 제조
간수를 제거한 소금을 제조하기 위하여, 천일염 20kg을 준비한다. 준비된 천일염에 이물질이 없는지 1차 거름 작업을 진행한 후 거름망에 천일염을 골고루 흩뿌린다. 5℃의 찬 물을 부어주면서 동시에 거름망을 흔들어 천일염을 세척하고 물기를 털어준다. 찬 물은 간수 제거 소금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빨리 부어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천일염 세척 과정을 2번 반복한다. 예열 된 냄비에 세척된 천일염을 붓고 110℃에서 15분동안 볶아준다. 아지랑이 같은 연기가 날 시엔 천일염이 탈 수도 있으므로, 최소 80℃까지 온도를 내려 볶는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덜 볶아진 천일염은 도 3 왼편 그림과 같이 새하얀 흰색을 띠며, 충분히 볶아진 천일염은 도 3 오른편 그림과 같이 적절히 누런 색을 띤다. 충분히 세척되고 볶아져서 간수가 제거된 소금은 10% 이하로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수 제거 소금은 수분기가 적어 천일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에 덜 달라붙는 현상을 보인다.
실시예 2: 소금우유의 제조
우유 3.6kg,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간수 제거 소금 180g을 준비한다. 우유 1L당 간수 제거 소금 1 티스푼(5g) 정도가 적절하다. 우유를 2℃로 차갑게 유지하고, 간수 제거 소금 180g을 10g씩 나누어 18회 천천히 투여한다. 유청 단백질이 분리되지 않도록 천천히 우유를 저어준다. 상온에서 우유의 온도가 4 내지 6℃정도가 될 때까지 6시간 숙성한다.
실시예 3: 도우의 제조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를 제조하기 위해 반죽기 내부를 깨끗이 세척하고 알코올로 소독한다. 밀가루 강력분 6kg, 간수 제거 소금 120g, 드라이이스트 40g을 반죽기에 넣은 후 125rpm으로 1분 동안 혼합한다. 소금우유를 900g씩 천천히 30초동안 반죽기에 투입한다. 위 소금우유 투입을 4회 반복하여 소금우유 총 3.6kg을 넣는다. 반죽기를 잠시 정지한 후 정제수 200g을 반죽기에 넣고, 250rpm으로 1분 동안 혼합한다. 위 과정이 끝나면 2분 동안 450rpm, 2분 동안 650rpm으로 총 4분 내지 5분 동안 혼합한다. 반죽이 어느 정도 완료되면 올리브 오일 300g을 넣고 125rpm에서 1분, 250rpm에서 1분, 450rpm에서 2분, 650rpm에서 3분간 혼합한다. 혼합 과정이 완료된 도우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끄러운 촉감과 원활한 변형성을 갖는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도우로 조리한 피자는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바람직한 식감을 나타낸다.
비교예 1 내지 5
구분 소금우유 사용여부 도우 내 소금우유의 중량 정제수 및 올리브 오일 첨가 후 믹싱 과정
비교예 1 일반우유 - -
비교예 2 천일염우유 35중량부 정제수 믹싱 단계별로 5분 / 올리브 오일 믹싱 단계별로 7분
비교예 3 소금우유 35중량부 650rpm에서 12분
비교예 4 소금우유 15중량부 정제수 믹싱 단계별로 5분 / 올리브 오일 믹싱 단계별로 7분
비교예 5 소금우유 50중량부 정제수 믹싱 단계별로 5분 / 올리브 오일 믹싱 단계별로 7분
비교예 1은 소금우유 대신 일반우유를 포함하는 도우다. 비교예 2는 간수 제거 소금이 아닌, 천일염을 첨가한 천일염우유를 포함하는 도우다. 비교예 3은 소금우유를 적정량인 35중량부 첨가하였으나, 올리브 오일 첨가후 믹싱 과정의 rpm을 650으로 통일하였다. 비교예 4는 소금우유를 15중량부 사용하여, 적정량보다 적게 소금우유를 첨가하였다. 비교예 5는 소금우유를 50중량부 사용하여, 적정량보다 과도하게 소금우유를 첨가하였다.
[실험예]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우(실시예 3)와, 비교예 1 내지 5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예 1: 우유의 종류 및 올리브 오일 믹싱 방법에 따른 도우의 관능 평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선된 식감을 갖는 도우(실시예 3)과 비교예 1 내지 3의 피자 도우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는 20대 내지 50대의 성인남녀 20명을 선정하였으며, 토핑 없이 250℃의 오븐에서 조리한 도우를 제공하여 식감의 중요 요소인 부드러움, 쫄깃함, 향,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5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점수에 대한 평균값으로 표기하였다.
구분 부드러움 쫄깃함 전체적인 선호도
실시예 3 4.7 4.8 4.5 4.8
비교예 1 4.6 3.9 4.3 4.3
비교예 2 4.5 4.3 4.0 4.1
비교예 3 4.7 4.1 4.1 4.5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우(실시예 3)가 가장 개선된 식감 및 선호도를 나타냈다. 간수를 제거한 소금을 첨가한 우유의 유지방과 수분의 비율이 적절하고, 올리브 오일 믹싱과정이 최적화되어 특유한 향과 풍미가 그대로 보존되었기 때문이다. 비교예 1(일반우유를 첨가한 도우)는 부드러움은 실시예 3과 흡사했으나, 정제수 및 올리브 오일의 순차적인 믹싱 단계를 생략했기 때문에 쫄깃함과 향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하여 전체적인 선호도는 4.3점에 불과했다. 비교예 2(천일염우유를 첨가한 도우)는 천일염의 쓴 맛과 향이 미처 제거되지 않아 부드러움과 향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비교예 3(올리브오일 믹싱 단계별 분리 생략)의 경우 정제수 및 올리브 오일의 순차적인 믹싱 단계를 생략하였기에 풍미가 감소하여 향이 현저히 낮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쫄깃함 또한 낮게 나타났다.
실험예 2: 소금 우유의 첨가량에 따른 도우의 변형성 및 저장성 평가
도우는 적절한 수분 및 유지방을 가져야, 굽는 과정에서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원하는 두께와 넓이로 원활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저장성이 과도하게 낮은 도우일 경우, 일괄적으로 도우를 대량 제조 해놓고 하나하나 차례로 사용하는 피자 제조 방법의 특성상 사용하기가 어렵다. 상기 도우의 변형성 및 저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1, 4 및 5의 도우를 준비하고, 변형에 따른 크랙 발생여부 및 상온 보관에 따른 상태를 확인하였다. 상온 보관은 24시간 동안 진행되었고, 5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구분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4 비교예 5
변형성(크랙 여부) X O O X
*상온 보관 상태 3.8 2.2 3.7 3.1
*1점: 물기가 많이 생기고 흐물흐물해지며 냄새가 심함, 2점: 물기가 조금 생기고 냄새가 조금 남, 3점: 물기가 조금 생기고, 형태가 조금 변형됨, 4점: 물기가 조금 생김, 5점: 변화가 거의 없음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우(실시예 3)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도 크랙없이 매끄러운 표면과 점성을 유지하였다. 비교예 1(일반 우유 첨가)은 크랙이 발생했으며, 염도가 낮은 우유를 쓴 도우여서 세균 증식이 가장 활발했기에 상온 보관시 저장성이 가장 떨어졌다. 비교예 4(소금우유 15중량부 첨가)의 경우 수분이 부족한 상태여서 상온 보관시 저장성은 나쁘지 않았으나, 변형 중 다수의 크랙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5(소금우유 50중량부 첨가)의 경우 수분이 많아 크랙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점성이 지나쳐 변형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저장성이 떨어졌다.

Claims (5)

  1. 도우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거름망에 천일염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단계;
    2) 물을 투하하며 거름망을 흔들어 천일염을 세척하는 단계;
    3) 상기 천일염 세척 단계를 1번 내지 3번 추가로 실시하는 단계;
    4) 세척된 천일염을 볶는 단계;
    5) 상기 천일염의 수분 함량이 20% 이하가 될 때까지 4) 단계를 반복하여 간수 제거 소금을 제조하는 단계;
    6) 우유에 간수 제거 소금을 10 내지 20회로 나누어 교반하며 투여하는 단계;
    7) 상기 간수 제거 소금을 첨가한 우유를 교반하며, 실온에서 숙성하여 소금우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8) 상기 소금우유, 상기 간수 제거 소금, 밀가루, 이스트, 정제수 및 올리브 오일을 혼합하여 도우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2) 단계는 0℃내지 10℃의 물을 투하하며 거름망을 흔들어 천일염을 세척하는 단계이고,
    상기 4) 단계는 세척된 천일염을 80℃내지 140℃로 5분 내지 25분동안 볶는 단계이고,
    상기 6) 단계는, 1℃내지 3℃인 우유에 전체 소금 우유 100중량부의 1 내지 8중량부에 해당하는 간수 제거 소금을 10 내지 20회로 나누어 교반하며 투여하는 단계이고,
    상기 7) 단계는, 상기 간수 제거 소금을 첨가한 우유를 5분 내지 40분 간격으로 교반하며, 실온에서 4 내지 8시간동안 숙성하여 소금우유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8) 단계는:
    a) 밀가루 50 내지 70중량부, 이스트 0.3 내지 0.5 중량부, 상기 간수 제거 소금 0.5 내지 2중량부를 100 내지 150rpm에서 1분 내지 3분동안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소금우유 30 내지 40중량부를 첨가하여 200 내지 300rpm에서 1분 내지 3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c) 정제수 1 내지 3중량부를 첨가하여 400 내지 700rpm에서 3분 내지 6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및
    d) 올리브 오일 1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여 100 내지 700rpm에서 1분 내지 7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우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100 내지 150rpm으로 1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200 내지 300rpm으로 1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400 내지 500rpm으로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및
    600 내지 700rpm으로 3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200 내지 300rpm으로 1분동안 혼합하는 단계;
    400 내지 500rpm으로 2분동안 혼합하는 단계; 및
    600 내지 700rpm으로 2분동안 혼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우.
  5. 삭제
KR1020230004025A 2023-01-11 2023-01-11 소금 우유를 첨가하여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025A KR102599923B1 (ko) 2023-01-11 2023-01-11 소금 우유를 첨가하여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025A KR102599923B1 (ko) 2023-01-11 2023-01-11 소금 우유를 첨가하여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923B1 true KR102599923B1 (ko) 2023-11-08

Family

ID=8874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4025A KR102599923B1 (ko) 2023-01-11 2023-01-11 소금 우유를 첨가하여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9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67A (ko) * 2003-06-10 2003-07-10 채진숙 피자 도우 제조방법
KR20080094995A (ko) * 2007-04-23 2008-10-2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0671A (ko) * 2016-01-29 2017-08-08 주식회사 블루에프앤비 피자 도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67A (ko) * 2003-06-10 2003-07-10 채진숙 피자 도우 제조방법
KR20080094995A (ko) * 2007-04-23 2008-10-2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0671A (ko) * 2016-01-29 2017-08-08 주식회사 블루에프앤비 피자 도우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내가 우유에 소금을 넣은 이유, 코코네(2022.5.17), 인터넷(https://kokone.co.kr/2728) 1부.* *
담백하고 맛있는 수제 피자 만들기 - Part 1(도우 만들기), 티스토리 블로그(2015.12.6), 인터넷(https://thetruenorth.tistory.com/35) 1부.* *
천일염으로 볶은소금 만들기:: 하나미짱, 네이버 블로그(2017.8.16), 인터넷(https://blog.naver.com/ardour/221075404423)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0910B2 (ja) 小麦粉製品
KR101672799B1 (ko) 죽순을 포함하는 어묵과 이의 제조방법
RU255672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безглютенового мучного изделия
JP2000262205A (ja) パン類の製造方法
JP5420493B2 (ja) 電子レンジ加熱に適したパン類およびそのためのパン類用穀粉組成物
KR102464185B1 (ko) 열풍건조 쪽파를 이용한 쪽파 바게트의 제조방법
KR102095995B1 (ko) 쌀 카스텔라 제조방법
KR101979993B1 (ko) 바삭한 도넛의 제조방법
KR102162273B1 (ko) 인삼 쌀 찐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찐빵
KR102599923B1 (ko) 소금 우유를 첨가하여 개선된 식감을 나타내는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6124B1 (ko) 두부과자 제조방법
KR102584329B1 (ko) 와플형 쿠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플형 쿠키
KR102076623B1 (ko) 저장안정성이 향상된 카스테라의 제조방법
KR102082311B1 (ko) 콩고물 빵의 제조방법
KR102591232B1 (ko) 붕어빵 및 이의 제조방법
JP6022338B2 (ja) パン類または焼き菓子類の製造方法
KR101255634B1 (ko) 도넛 떡의 제조방법
KR20240030218A (ko) 매생이크림 크로와상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생이크림 크로와상
CN108283207A (zh) 一种馅饼的制备方法
JP4183897B2 (ja) ホットケーキ類
KR102347133B1 (ko) 김치를 이용한 빵의 제조 방법
KR102363877B1 (ko) 에그타르트 및 그 제조방법
JPH08149943A (ja) 高いヨーグルト含有量を有するベーカリー製品
KR101981620B1 (ko) 청삼을 이용한 구운 찰떡의 제조방법
JP2010227038A (ja) シュー生地及びシュー皮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