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124B1 -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124B1
KR102596124B1 KR1020187020981A KR20187020981A KR102596124B1 KR 102596124 B1 KR102596124 B1 KR 102596124B1 KR 1020187020981 A KR1020187020981 A KR 1020187020981A KR 20187020981 A KR20187020981 A KR 20187020981A KR 102596124 B1 KR102596124 B1 KR 10259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intermediate transfer
transfer sheet
therma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003A (ko
Inventor
신야 요다
에미 마츠바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05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where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receives the ink before transferring it on the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characterised by the light-to-heat convert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 heat or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6Intermedi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81Polyurethanes or polyu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2Thermal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1Base lay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6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metals, metal salts, metal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36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tural gums, of proteins, e.g. gelatins, or of macromolecular carbohydrates, e.g. cellul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72Polyesters; Polycarbon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의 전사성이 양호한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피전사체 상에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열 전사 시트(10)와 중간 전사 매체(60)의 조합에 있어서, 승화 열 전사 방식의 전사 시트(10)가, 기재(1)의 한쪽의 면 상에, 프라이머층(2), 색재층(3)이 이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프라이머층(2)이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열 전사 시트(10)이고, 중간 전사 매체(60)가, 다른 기재(51)의 한쪽의 면 상에, 보호층(52), 수용층(5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간 전사 매체(60)이다.

Description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은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간편한 인쇄 방법으로서 열 전사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열 전사 방법은 기재 상에 색재층이 마련된 열 전사 시트와, 별도의 기재 상에 수용층이 마련된 열 전사 수상 시트를 중첩시키고, 서멀 헤드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열 전사 시트의 배면을 가열하여, 색재층에 포함되는 색재를 선택적으로 이행시킴으로써, 열 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열 전사 방법은 용융 전사 방식과 승화 전사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용융 전사 방식은 안료 등의 색재를 열 용융성의 왁스나 수지 등의 바인더에 분산시킨 열 용융 잉크층을 기재 시트에 담지시킨 열 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서멀 헤드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른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종이나 플라스틱 시트 등의 열 전사 수상 시트 상에, 색재를 바인더와 함께 전사하는 화상 형성 방법이다. 용융 전사 방식에 따른 화상은 고농도이며 선예성이 우수하여, 문자 등의 2치 화상의 기록에 적합하다.
한편, 승화 전사 방식은 승화에 의해 열 이행하는 색재를 수지 바인더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색재층을 기재 상에 담지시킨 열 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서멀 헤드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른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종이나 플라스틱 등의 기재 상에, 또는 필요에 따라 수용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열 전사 수상 시트 상에, 색재만을 전사 이행(확산 이행)시키는 화상 형성 방법이다. 승화 전사 방식은, 인가되는 에너지량에 따라 색재의 이행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농도를 제어한 계조 화상의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색재가 염료이기 때문에, 형성되는 화상에는 투명성이 있어, 상이한 색의 염료를 중첩한 경우의 중간색의 재현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등의 상이한 색의 열 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열 전사 수상 시트 상에 각 색 염료를 중첩하여 전사할 때에도, 중간색의 재현성이 우수한 고획질의 사진 색조 풀컬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하다.
멀티미디어에 관련된 여러 가지 하드 및 소프트의 발달에 의해, 이 열 전사 방법은 컴퓨터 그래픽스, 위성 통신에 의한 정지 화상, 그리고 CD-ROM 그 외에 대표되는 디지털 화상 및 비디오 등의 아날로그 화상의 풀 컬러 하드 카피 시스템으로서, 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이 열 전사 방법에 따른 열 전사 수상 시트의 구체적인 용도는 다방면에 걸쳐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인쇄의 교정 인쇄, 화상의 출력, CAD/CAM 등의 설계 및 디자인 등의 출력, CT 스캔이나 내시경 카메라 등의 각종 의료용 분석 기기, 측정 기기의 출력 용도 그리고 인스턴트 사진의 대체로서, 또한 신분 증명서나 ID 카드, 신용 카드, 그 외의 카드류에의 얼굴 사진 등의 출력, 또한 유원지, 게임 센터, 박물관, 수족관 등의 오락 시설에 있어서의 합성 사진, 기념 사진으로서의 용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 전사 수상 시트의 용도의 다양화에 따라, 임의의 대상물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통상은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대상물로서, 기재 상에 수용층을 마련한 전용의 열 전사 수상 시트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기재 등에 제약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층이 기재 상에 박리 가능하게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매체에 따르면, 색재층을 갖는 열 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수용층에 색재를 이행하여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하고, 그 후에 중간 전사 매체를 가열하여, 수용층을 임의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수 있으므로, 피전사체에 제약을 받는 일없이 열 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최근,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을 갖는 인화물에 대한 요구는 높고, 이 요구에 대해서는, 열 전사 시트의 색재층으로부터 수용층 상에 이행시키는 색재의 이행량을 많게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열 전사 시트의 색재층으로부터 수용층 상에 이행되는 색재의 이행량은, 열 전사 화상의 형성 시에 열 전사 시트의 배면측에 인가되는 에너지량에 따라 변동하며, 에너지가 높을수록, 수용층 상에 이행되는 색재의 이행량도 많아진다. 따라서, 상기 요구에 대하여, 수용층 상에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열 전사 시트의 배면측에 인가되는 에너지를 높게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그런데, 수용층 상에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하도록, 열 전사 시트의 배면측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에는, 수용층이 열 손상을 받게 된다.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한 인화물의 형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층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한 후에, 피전사체 상에, 상기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전사할 필요가 있는 바, 열 전사 화상 형성 시에, 수용층이 열 손상을 받은 경우에는, 피전사체 상에,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이 낮아지는, 바꾸어 말하면, 피전사체와,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의 밀착성이 낮아지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피전사체와,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의 밀착성이 낮아짐으로써, 용제 등이, 피전사체와 열 전사 화상의 계면으로부터 들어가기 쉬워져, 형성된 인화물의 내구성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도 생기기 쉬워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화62-238791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는 일없이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의 전사성이나, 피전사체 상에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이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으로서, 상기 열 전사 시트가,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프라이머층, 색재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프라이머층이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열 전사 시트이고, 상기 중간 전사 매체가, 다른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간 전사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이, 수평균 분자량(Mn)이 6000 이상 35000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이상 100℃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이, 그 수용층의 총질량에 대하여, 이형제를 15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화물의 형성 방법으로서,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프라이머층, 색재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열 전사 시트와, 다른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간 전사 매체와,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수용층 상에, 상기 열 전사 시트의 상기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를 이행시켜, 상기 수용층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열 전사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상기 보호층과 함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인화물 형성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열 전사 화상의 형성에 이용되는 상기 열 전사 시트의 상기 프라이머층이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이, 수평균 분자량(Mn)이 6000 이상 35000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이상 100℃ 이하인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이, 그 수용층의 총질량에 대하여, 이형제를 15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이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따르면,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는 일없이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의 전사성이나, 피전사체 상에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이하, 일실시형태의 조합이라고 함)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열 전사 시트>
먼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이하, 단순히 열 전사 시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기재(1)의 한쪽의 면 상에, 프라이머층(2), 색재층(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기재(1)의 다른쪽의 면 상에 배면층(5)이 마련되어 있다. 기재(1), 프라이머층(2), 색재층(3)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배면층(5)은 임의의 구성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기재(1)의 한쪽의 면 상에, 프라이머층(2)을 통해, 하나의 색재층(3)이 마련되어 있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의 면 상에, 프라이머층(2)을 통해, 복수의 색재층(3)(도시하는 형태에서는, 3M, 3C, 3Y)을 면순차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도 2는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재)
기재(1)는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그 기재(1)의 한쪽의 면 상에 마련되는 프라이머층(2)이나, 그 기재(1)의 다른쪽의 면 상에 임의로 마련되는 배면층(5)을 유지한다. 기재(1)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에텔이미드,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나일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의 각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기재(1)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 2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이다.
기재(1)로서, 프라이머층(2)이 위치하는 면측에 접착 처리가 실시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접착 처리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방사선 처리, 조면화 처리, 화학 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그라프트화 처리 등 공지의 수지 표면 개질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처리를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의 면 상[도시하는 형태에서는, 기재(1)의 상면측]에는 프라이머층(2)이 마련되어 있다. 프라이머층(2)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다.
일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는, 후술하는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그 열 전사 시트(10)를 이용하여,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한 후에, 이 중간 전사 매체(60)를 피전사체(100)와 조합하여, 그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보호층(52)과 함께, 피전사체(100) 상에 전사함으로써 인화물(200)이 얻어진다. 따라서,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60)에 있어서는, 피전사체(100) 상에, 보호층(52)과 함께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이 양호한 것, 바꾸어 말하면, 피전사체(100) 상에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보호층(52)과 함께 전사하였을 때에, 그 피전사체(100)와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의 밀착성이 양호한 것이 필요로 된다.
피전사체(100)와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의 밀착성은, 열 전사 화상의 형성 시에, 바꾸어 말하면, 열 전사 시트의 색재층(3)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를 이행할 때에,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이 받는 손상에 영향을 받아, 열 전사 화상의 형성 시에 수용층(53)이 받는 손상이 클수록, 피전사체(100)와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의 밀착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 상에, 농도가 높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열 전사 화상의 형성 시에, 열 전사 시트(10)의 배면측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농도가 높은 화상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폐해로서, 피전사체(100)와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의 밀착성의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즉,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 상에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것과, 그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과 피전사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일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는, 그 열 전사 시트(10)를 구성하며, 기재(1)와 색재층(3) 사이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2)이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총칭하여, 「일군의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 특징을 갖는 프라이머층(2)을 구비하는 열 전사 시트(10)에 의하면, 열 전사 화상의 형성 시에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는 일없이, 후술하는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 상에, 농도가 높은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요컨대,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이 열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하면서, 그 수용층(53) 상에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농도가 높은 화상 형성 시에 있어서, 수용층(53)이 받는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피전사체(100) 상에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 바꾸어 말하면, 피전사체(100)와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의 밀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피전사체(100) 상에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는 일없이, 후술하는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 상에, 농도가 높은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열 전사 시트에 의하면, 농도가 높은 화상을 형성할 때에, 그 에너지에 의해, 수용층(53)과 색재층(3)이 열 융착 등을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사 화상 형성 후, 수용층(53)으로부터 색재층(3)을 박리할 때에, 본래라면, 중간 전사 매체의 기재측에 잔존해야 하는 수용층이, 열 전사 시트측에 이행하여 버리는 이상 전사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일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에 의하면, 열 융착 등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농도가 높은 화상을 형성한 후에, 수용층(53)으로부터 색재층(3)을 박리할 때의 이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일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로서, 기재(1)와 색재층(3) 사이에, 「일군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프라이머층(2)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여러 가지의 효과가 발휘되는 메커니즘은 현재 시점에서 반드시 명확하게 되어 있지는 않지만, 「일군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프라이머층(2)은, 전사 감도가 양호하며, 바꾸어 말하면, 에너지의 전달 효율이 양호하며, 이 양호한 전사 감도에 의해, 열 전사 시트(10)의 배면측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하는 일없이,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기재(1)와 색재층(3) 사이에, 「일군의 성분」을 함유하는 프라이머층(2)을 위치시키지 않는 경우나, 「일군의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프라이머층을 위치시킨 경우에는,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을 얻기 위해, 열 전사 시트의 배면측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하지 않으면 안 되어, 인화 주름, 인화 얼룩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기재(1)와 색재층(3) 사이에, 「일군의 성분」을 함유하는 프라이머층(2)을 위치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기재(1)와 색재층(3)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져, 열 전사 화상의 형성 시에, 색재층(3)이 수용층(53)측에 취해져 버리는 이상 전사가 생기기 쉬워진다.
프라이머층(2)은 「일군의 성분」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있으면 좋지만, 「일군의 성분」 중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프라이머층(2)이 함유하고 있는 「일군의 성분」의 함유량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그 함유량에 관계없이, 「일군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만큼, 수용층(53)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의 전사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프라이머층(2)은, 그 프라이머층(2)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일군의 성분」을 고형분 총질량으로 30 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또한, 프라이머층(2)이, 「일군의 성분」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를 고형분 총질량으로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경우, 바람직한 형태의 프라이머층(2)은, 프라이머층(2)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를 포함하는 「일군의 성분」을 60 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를 포함하는 「일군의 성분」을 81 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프라이머층(2)을 갖는 열 전사 시트(10)에 의하면, 수용층(53)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의 전사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열 전사 시트(10)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보다 낮게 한 상태로, 수용층(53) 상에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한값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100 질량%이다.
「일군의 성분」에 포함되는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로서는, 예컨대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등의 규산금속염;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등의 금속 산화물류; 탄산마그네슘 등의 탄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루미나 입자나, 실리카 입자,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나졸(또는 콜로이드성 알루미나) 유래의 알루미나 입자, 실리카졸(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유래의 실리카 입자는, 프라이머층(2)의 내열성이나, 전사 감도의 추가적인 향상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입자이다.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의 평균 입경은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의 수직 단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일차 입자의 크기를 직접 계측하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개의 일차 입자의 단축 직경과 장축 직경을 계측하여, 그 평균을 그 입자의 입경으로 하고, 다음에, 100개 이상의 입자에 대해서, 각각의 입자의 체적(중량)을, 구한 입경의 직방체와 근사하여 구하고, 체적 평균 입경을 구하여, 그것을 평균 입경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자 현미경은 투과형(TEM) 또는 주사형(SEM)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는 수계 용매에 졸형으로 분산하기 쉽게 할 목적으로, 염산, 초산 등의 분산 안정제를 배합하여 산성 타입으로 처리한 것이나, 입자 전하를 플러스로 한 것이나, 표면 처리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란, 그 구성 요소에 비닐알코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의미하고, 비닐알코올의 단독중합체여도 좋고, 다른 중합 성분과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 비닐알코올과, 다른 중합 성분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비닐알코올의 공중합 비율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부분적으로 변성한 변성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란, 비닐피롤리돈 모노머의 단독중합체, 또는 비닐피롤리돈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는, N-비닐-2-피롤리돈, N-비닐-4-피롤리돈 등의 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피롤리돈 모노머의 단독중합체, 즉 폴리비닐피롤리돈이어도 좋고, 비닐피롤리돈과,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비닐 모노머가 적합하다. 비닐 모노머로서는,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초산비닐, 젖산비닐 등의 지방산비닐에스테르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히드록시부틸알릴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등의 알릴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비닐피롤리돈과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비닐피롤리돈과 초산비닐의 공중합체의 시판품으로서는, BASF사의 루비스콜 VA28이나, 루비스콜 VA7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이외에도,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로서, N-비닐-3-메틸피롤리돈, N-비닐-5-메틸피롤리돈, N-비닐-3,3,5-트리메틸피롤리돈, N-비닐-3-벤질피롤리돈 등의 피롤리돈 고리에 치환기를 갖는 것 같은 유도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란, 폴리올(다가 알코올)을 주제로 하고, 이소시아네이트를 가교제(경화제)로 하는 수지를 의미한다. 폴리올로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것으로,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알키드 변성 아크릴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물,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수용성 알코올, 물과 수용성 알코올의 혼합액 등의 수성 매체 중에서 안정된 분산액이 될 수 있는 수계 폴리우레탄계 수지여도 좋고, 유기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용제계 폴리우레탄계 수지여도 좋다.
또한, 「일군의 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경화제의 경화물,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와 경화제의 경화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경화제로서는,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티탄 킬레이트제, 지르코늄 킬레이트제, 알루미늄 킬레이트제 등의 금속 킬레이트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화물을 프라이머층에 함유시킴으로써, 내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전사 감도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일군의 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다른 수지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와 다른 수지의 공중합체, 폴리우레탄계 수지와 다른 수지의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공중합체란, 「일군의 성분」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40% 이상인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프라이머층(2)은 「일군의 성분」과 함께,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일군의 성분」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이외의 다른 수지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이나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등의 수지 성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다른 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예시한 수지 성분을 경화제에 의해 경화시킨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 이외의 다른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입자로서는, 예컨대 탈크, 카올린 등의 점토 광물, 그래파이트, 초석, 질화 붕소 등의 무기 입자나, 아크릴 수지, 테플론(등록 상표) 수지, 실리콘 수지, 라우로일 수지, 페놀 수지, 아세탈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의 유기 입자, 또는 이들을 가교제와 반응시킨 가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일실시형태의 열 전사 시트(10)는, 프라이머층(2)이 상기 「일군의 성분」으로서, 알루미나졸 유래의 알루미나 입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경화제의 경화물,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열 전사 시트(10)에 의하면, 보다 낮은 에너지에 의해, 농도가 높은 화상의 형성을 행할 수 있어, 수용층(53)이 받는 열 손상의 추가적인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2)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02 ㎛ 이상 2 ㎛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기재(1)와 색재층(3)의 밀착성의 향상과, 열 전사 화상 형성 시에 있어서의 전사 감도의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2)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일군의 성분」이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인 경우에는, 예컨대 실리카 입자나, 알루미나 입자를 수계의 용매 등에 졸형으로 분산된 프라이머층용 코팅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용 코팅액의 도포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 공지의 도포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어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의 도포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각종 코팅액의 도포 방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건조 방법에서는, 열풍 건조 등에 의해 수계 용매를 비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으로, 「일군의 성분」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의 수지 성분인 경우에는, 이들 수지 성분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한 프라이머층용 코팅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리카 입자나, 알루미나 입자를 수계의 용매 등에 졸형으로 분산한 것과, 수지 성분을 조합하여 프라이머층(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색재층)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라이머층(2) 상[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프라이머층(2)의 상면측]에는 색재층(3)이 마련되어 있다. 색재층(3)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바인더 수지와, 색재를 함유하고 있다.
색재층(3)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가지며, 광, 열, 온도 등에 의해 변퇴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색재로서는, 예컨대 디아릴메탄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티아졸계 염료, 메로시아닌 염료, 피라졸론 염료, 메틴계 염료, 인도아닐린계 염료, 피라졸로메틴계 염료, 아세토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피리돈아조메틴 등의 아조메틴계 염료, 크산텐계 염료, 옥사진계 염료, 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 등의 시아노스티렌계 염료, 티아진계 염료, 아진계 염료, 아크리딘계 염료, 벤젠아조계 염료, 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피라졸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디스아조 등의 아조계 염료, 스피로피란계 염료, 인돌린스피로피란계 염료, 풀루오란계 염료, 로다민락탐계 염료, 나프토퀴논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SRedG(미츠이도아츠가가쿠(주)), Macrolex Red Violet R(바이엘사), CeresRed 7B(바이엘사), Samaron Red F3BS(미츠비시가가쿠(주)) 등의 적색 염료, 포론 브릴리언트 옐로우 6GL(클라리언트사), PTY-52(미츠비시가가쿠(주)), 마크로렉스 옐로우 6G(바이엘사) 등의 황색 염료, 카야셋트(등록 상표) 블루 714(니혼가야쿠(주)), 포론 브릴리언트 블루 S-R(클라리언트사), MS 블루 100(미츠이도아츠가가쿠(주)), C.I.솔벤트 블루 63 등의 청색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메틸셀룰로오스, 초산셀룰로오스, 부티르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초산비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페녹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색재층(3)에 함유시킴으로써,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이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라도, 수용층(53)으로부터 색재층(3)을 박리할 때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색재나,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한 형태의 색재층(3)은, 바인더 수지의 총질량에 대하여, 색재를 50 질량% 이상 350 질량% 이하, 특히는 80 질량% 이상 300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색재층(3)에 의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프라이머층(2)과 더불어, 보다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색재층(3)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색재,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 함유되는 다른 성분을,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시클로헥산,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코팅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프라이머층(2)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색재층(3)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1 ㎛ 이상 3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에 의하면,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는 일없이, 농도가 높은 화상의 형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용층(53)으로부터 색재층(3)을 박리할 때의 이형성을 만족시킬 수 있지만, 추가적인 이형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색재층(3)에, 각종 이형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이형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이형제,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아미드 왁스, 테플론(등록 상표) 파우더 등의 고형 왁스, 불소계, 인산에스테르계의 계면활성제, 실리콘 수지,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성 실리콘 오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성 실리콘 오일로서는, 측쇄형 변성 실리콘 오일, 양말단형 변성 실리콘 오일, 편말단형 변성 실리콘 오일, 측쇄 양말단형 변성 실리콘 오일, 실리콘 그라프트 아크릴 수지, 메틸페닐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실리콘 오일은 반응성 실리콘 오일과 비반응성 실리콘 오일로 나누어진다. 반응성 실리콘 오일로서는, 아미노 변성, 에폭시 변성, 카르복실 변성, 카르비놀 변성, 메타크릴 변성, 머캅토 변성, 페놀 변성, 편말단 반응성, 이종 작용기 변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비반응성 실리콘 오일로서는, 폴리에테르 변성, 메틸스티릴 변성, 알킬 변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친수성 특수 변성, 고급 알콕시 변성, 고급 지방산 변성, 불소 변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제의 함유량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후술하는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과의 관계에 있어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측에서,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행하는 경우에는, 색재층(3)에 이형제를 함유시키는 일없이,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과, 열 전사 시트의 색재층(3)의 이형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측에서, 이형성의 대책을 행하지 않는 경우, 요컨대, 수용층(53)이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나, 그 함유량이 미소한 경우에는, 색재층(3)은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색재층(3)의 총질량에 대하여, 이형제를 0.3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형태의 색재층(3)에 의하면,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과의 이형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색재층(3)의 총질량에 대한 이형제의 함유량(질량%)과, 수용층(53)의 총질량에 대한 이형제의 함유량(질량%)의 합계량이, 0.3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색재층(3), 수용층(53)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층이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수용층(53)은 이형제를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배면층)
도 1,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기재(1)의 다른쪽의 면 상[도 1,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기재(1)의 하면측]에는, 배면층(5)이 마련되어 있다. 배면층(5)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성이다.
배면층(5)이 함유하고 있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초산셀룰로오스, 초낙산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초산 비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톨루엔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변성 또는 불소 변성 우레탄 등의 천연 또는 합성 수지의 단체 또는 혼합물이 이용된다. 배면층의 내열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상기 수지 중, 수산기계의 반응성기를 가지고 있는 수지를 사용하고, 가교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병용하여, 가교 수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부재와의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키도록, 배면층(5)에 이형제나 윤활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형제 또는 윤활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의 각종 왁스류, 고급 지방족 알코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유기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탈크, 실리카 등의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배면층에 함유되는 윤활제의 양은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배면층(5)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수지에 필요에 따라 이형제나 윤활제 등을,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배면층용 코팅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의 다른쪽의 면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5)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이다.
<중간 전사 매체>
다음에,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60)(이하, 단순히 중간 전사 매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다른 기재(51)의 한쪽의 면 상에, 보호층(52), 수용층(5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다른 기재(51)의 다른쪽의 면 상에 배면층(55)이 마련되어 있다. 다른 기재(51), 보호층(52), 수용층(53)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6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배면층(55)은 임의의 구성이다. 또한, 도 3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6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6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기재)
다른 기재(51)는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6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다른 기재(51)의 한쪽의 면 상에 마련되는 보호층(52) 및 다른 기재(51)의 다른쪽의 면 상에 임의로 마련되는 배면층(55)을 유지한다. 다른 기재(51)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기재(51) 상에 마련되어 있는 보호층(52)을, 수용층(53)과 함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가해지는 열에 견디며, 취급상 지장이 없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기재(51)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초산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펜텐 등의 플라스틱의 연신 또는 미연신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2종 이상 적층한 복합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기재(51)의 두께는, 그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적절해지도록 재료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1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전사층)
다른 기재(51) 상에 마련되어 있는 보호층(52) 및 수용층(53)은, 열 전사 시에 있어서, 다른 기재(51)로부터 박리되어,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는 층이다. 따라서, 본원 명세서에서는, 보호층(52) 및 수용층(53)과의 적층체를, 전사층(50)이라고 칭하고 있다.
(보호층)
다른 기재(51) 상에는, 보호층(52)이 마련되어 있다. 보호층(52)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6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화물에 내구성을 부여하는 층이다.
보호층(52)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자외선 흡수성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이들 각 수지를 실리콘 변성시킨 수지,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자외선 흡수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보호층(52)은, 내가소제성이나 내찰과성이 특히 우수한 점에서 보호층(52)의 수지 성분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으며, 종래 공지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라디칼 중합성의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를 전리 방사선 조사에 의해 가교, 경화시키고, 필요에 따라 광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전자선이나 자외선에 의해 중합 가교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보호층(52)에 의하면, 그 보호층(52)을 갖는 중간 전사 매체(60)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인화물에 높은 내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반응성 자외선 흡수제를 열 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에 반응, 결합시켜 얻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살리실레이트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치환 아크릴로니트릴계, 니켈 킬레이트계, 힌더드 아민계와 같은 종래 공지의 비반응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부가 중합성 이중 결합(예컨대 비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등), 알코올성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같은 반응성기를 도입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예컨대 윤활제, 가소제, 충전재, 대전 방지제, 안티 블로킹제, 가교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그 외의 첨가재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보호층(52)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에 예시되는 수지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된 보호층용 코팅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다른 기재(51)[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기재(51) 상에 임의로 마련되는 박리층(도시하지 않음)]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52)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 0.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20 ㎛ 이하의 범위이다.
(수용층)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층(52) 상에는 수용층(53)이 마련되어 있다. 이 수용층(53) 상에는, 열 전사에 의해, 상기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를 구성하는 색재층(3)의 색재가 이행되어,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다. 수용층(53) 상에의 열 전사 화상의 형성 후, 중간 전사 매체(60)의 전사층(50)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고, 그 결과,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50)이 마련된 인화물(200)이 얻어진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조합에서는, 그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가, 「일군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프라이머층(2)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열 전사 화상의 형성 시에, 수용층(53)이 받는 손상을 억제한 상태로, 그 수용층(53) 상에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층(53)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수용층(53)은 상기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를 구성하는 색재층(3)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를 수용하기 쉬운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혹은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초산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계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또는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다른 비닐 폴리머의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또는 셀룰로오스디아스타아제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스티렌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층(53)이 함유하고 있는 수지 성분의 함유량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수지 성분의 함유량은, 수용층(53)의 총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3)은, 수지 성분으로서, 수평균 분자량(Mn)이 6000 이상 35000 이하, 특히 6000 이상 30000 이하의 수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3)에 의하면,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화물(200)의 내구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평균 분자량(Mn)이 35000 이하, 특히는 30000 이하인 수지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전사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전사시에 있어서의 테일링 등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수평균 분자량(Mn)이란, JIS-K-7252-1(2008)에 준거하여, GPC(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에 따른 분자량을 의미한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3)은, 수지 성분으로서,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이상 100℃ 이하인 수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3)에 의하면,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화물(200)의 내구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이상인 수지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내블로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하인 수지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전사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전사 시에 있어서의 테일링 등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유리 전이 온도(Tg)란, JIS-K-7121(2012)에 준거하여,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따른 열량 변화의 측정(DSC법)에 기초하여 구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3)은, 수지 성분으로서, 수평균 분자량(Mn)이 6000 이상 35000 이하로서, 또한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이상 100℃ 이하인 수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수용층(53)은 각종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형제를 함유하는 수용층(53)에 의하면, 상기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와의 조합, 수용층(53)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의, 색재층(3)과 수용층(53)의 열 융착이나, 열 전사 화상 형성 후, 수용층(53)으로부터 색재층(3)을 박리할 때에, 본래라면, 중간 전사 매체의 기재측에 잔존되어야 하는 수용층이, 열 전사 시트측에 이행하여 버리는 이상 전사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요컨대,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53)과, 열 전사 시트의 색재층(3)의 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형제로서는, 상기 열 전사 시트의 색재층(3)에서 설명한 이형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 전사 시트의 색재층(3)측에서 이형성을 향상시키는 대책을 행하는 경우에는, 수용층(53)에 이형제를 함유시키는 일없이, 이형제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지만, 열 전사 시트의 색재층(3)이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그 함유량이 미소한 경우에는, 수용층(53)은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수용층(53)의 총질량에 대하여, 이형제를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3)에 의하면, 열 전사 시트(10)의 색재층(3)과의 이형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하면서도,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포함하는 전사층(5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의 전사성, 요컨대 전사층(50)과 피전사체의 밀착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이형제는 열 전사 시트(10)의 색재층(3)과의 이형성의 향상을 달성하는 역할을 갖는 한편,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50)을 전사할 때에, 피전사체(100)와 전사층(50)의 밀착성을 저해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53)은, 이형제와, 수평균 분자량(Mn)이 6000 이상 35000 이하인 수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이 이형제의 함유량이 상기 바람직한 형태의 수용층에서 설명한 함유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용층(53)의 총질량에 대한 이형제의 함유량이 2.5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용층(53)은, 수평균 분자량(Mn)이 13000 이상인 수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평균 분자량(Mn)이 25000 이상인 수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층(53)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수지 성분,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이형제 등의 각종 성분을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된 수용층용 코팅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보호층(52) 상[보호층(52) 상에 임의의 층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그 임의의 층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층(53)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기재(51)로부터의 전사층(50)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기재(51)와 보호층(52) 사이에 박리층(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할 수도 있다. 박리층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왁스류, 실리콘 왁스,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불소 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수지, 열 가교성 에폭시-아미노 수지 및 열 가교성 알키드-아미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층은 1종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박리층은 이형성 수지에 더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 주석계 촉매, 알루미늄계 촉매 등의 촉매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박리층은 전사층(50)을 구성하는 층이며, 열 전사 시에, 보호층(52), 수용층(53)과 함께, 피전사체(100)측에 전사되는 층이다.
박리층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통상, 0.5 이상 5 ㎛ 이하의 범위이다. 박리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 성분을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킨 박리층용 코팅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다른 기재(51)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내가소제성층)
또한, 일실시형태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인화물의 내가소제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전사층(50)을 구성하는 층으로서, 적절한 위치에, 예컨대 보호층과 수용층 사이나 박리층과 보호층 사이 등에 내가소제성층(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하여도 좋다. 내가소제성층은 전사층(50)을 구성하는 임의의 층이다. 내가소제성층의 성분으로서는, 가소제 성분을 튀기는 성분이나, 가소제 성분이 화상에 도달하기 어려운 재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 성분을 튀기는 성분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 성분이 화상에 도달하기 어려운 재료로서는, 양이온성의 우레탄 에멀젼 등의 양이온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가소제 성분을 튀기는 재료로서 예시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비누화도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누화도가 이 범위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내가소제성층에 함유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인화물의 내가소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비누화도란, 폴리머 중의 비닐알코올 구조의 몰수를, 폴리머 중의 전체 모노머의 몰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가소제 성분을 튀기는 성분이나, 가소제 성분이 화상에 도달하기 어려운 성분은, 내가소제성층의 총질량에 대하여 2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가소제성층에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윤활제, 가소제, 충전재, 대전 방지제, 안티 블로킹제, 가교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형광 증백제, 그 외의 첨가재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필요에 따라 마련되는 내가소제성층은, 상기에서 예시한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각종 재료를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된 내가소제성층용 코팅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보호층(52), 또는 필요에 따라 마련되는 박리층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내가소제성층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2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배면층)
또한, 다른 기재(51)의 다른쪽의 면 상에 배면층(55)을 마련하여도 좋다. 배면층(55)은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중간 전사 매체(60)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성이다. 배면층(55)으로서는, 상기 일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에서 설명한 배면층(5)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화물의 형성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하, 일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라고 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의 면 상에, 프라이머층(2), 색재층(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열 전사 시트(10)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기재(51)의 한쪽의 면 상에, 보호층(52), 수용층(5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간 전사 매체(60)와, 피전사체(100)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 상에, 열 전사 시트(10)의 색재층(3)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를 이행시켜, 상기 수용층(53) 상에 열 전사 화상(X)을 형성하는 열 전사 화상 형성 공정과,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보호층(52)과 함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인화물 형성 공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열 전사 화상(X)의 형성에 이용되는 열 전사 시트(10)의 프라이머층(2)이,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을 갖는 일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따르면, 열 전사 화상 형성 시에 있어서 수용층(53)이 받는 손상을 억제하면서도, 농도가 높은 열 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하고, 또한, 수용층(53)이 받는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포함하는 전사층(50)을, 피전사체(100) 상에 전사하여 인화물(200)을 형성할 때의 전사성, 바꾸어 말하면, 전사층(50)과 피전사체(100)의 밀착성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준비 공정>
본 공정은 열 전사 시트(10), 중간 전사 매체(60) 및 피전사체(100)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 준비되는 열 전사 시트(10) 및 중간 전사 매체(60)는, 상기 일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설명한 열 전사 시트(10)(도 1, 도 2 참조), 중간 전사 매체(60)(도 3 참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전사체)
피전사체(100)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ID 카드나, IC 카드의 분야에서 이용되는 카드 기재, 천연 섬유지, 코트지, 트레이싱 페이퍼, 유리, 금속, 세라믹스, 목재, 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카드 기재로서는, 예컨대 폴리염화비닐 수지나, 염화비닐-초산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부터 성형한 수지 시트나, 금속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카드 기재의 두께는,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인화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하면 좋다. 특히, 본 발명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서는, 종래에서는 중간 전사 매체의 전사층의 전사성을 만족시키기 어렵다고 되어 있는 카드 기재를 피전사체로서 이용한 경우라도, 전사층의 전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열 전사 화상 형성 공정>
본 공정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 상에, 열 전사 시트(10)의 색재층(3)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를 이행시켜, 상기 수용층(53) 상에 열 전사 화상(X)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수용층(53) 상에의 열 전사 화상의 형성은, 열 전사 시트(10)의 색재층(3)과, 중간 전사 매체(60)의 수용층(53)을 대향시키고,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부재에 의해, 열 전사 시트(10)의 배면측으로부터, 열 전사 화상 정보에 따른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인화물 형성 공정>
본 공정은,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보호층(52)과 함께, 피전사체(100) 상에 전사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을 거침으로써, 피전사체(100) 상에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포함하는 전사층(50)이 마련된 인화물(200)이 얻어진다. 피전사체(100) 상에의,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포함하는 전사층(50)의 전사는, 피전사체(100)와,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53)을 갖는 중간 전사 매체(60)를 중첩시키고, 중간 전사 매체(60)의 배면측으로부터, 서멀 헤드, 열판, 핫 스탬퍼, 열 롤, 라인 히터, 아이론 등의 종래 공지의 가열 수단에 의해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부는 질량 기준이다.
(중간 전사 매체(1)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 12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루미러(등록 상표) 도레이(주))을 이용하여, 그 기재 시트 상에 하기 조성의 박리층용 코팅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박리층 상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코팅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더욱 상기 보호층 위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코팅액 1을 건조 후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수용층을 형성하여,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 1을 얻었다. 또한, 상기 박리층용 코팅액, 보호층용 코팅액, 수용층용 코팅액은, 전부 그라비어 코터로 도포하였다.
<박리층용 코팅액>
·아크릴 수지 95부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폴리에스테르 수지 5부
(바이론(등록 상표) 200 도요보(주))
·톨루엔 200부
·메틸에틸케톤 200부
<보호층용 코팅액>
·폴리에스테르 수지 20부
(바이론(등록 상표) 200 도요보(주))
·톨루엔 40부
·메틸에틸케톤 40부
<수용층용 코팅액 1>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Mn: 12000, Tg: 76℃) 19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4부
·메틸에틸케톤 20부
·톨루엔 20부
(중간 전사 매체(2)의 작성)
수용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코팅액 2를 이용하여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중간 전사 매체(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2)를 작성하였다.
<수용층용 코팅액 2>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Mn: 12000, Tg: 76℃) 19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1부
(X22-3000T 신에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중간 전사 매체(3)의 작성)
수용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코팅액 3을 이용하여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중간 전사 매체(1)와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3)를 작성하였다.
<수용층용 코팅액 3>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Mn: 12000, Tg: 76℃) 19.6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0.4부
(X22-3000T 신에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중간 전사 매체(4)의 작성)
수용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코팅액 4를 이용하여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중간 전사 매체(1)와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4)를 작성하였다.
<수용층용 코팅액 4>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Mn: 12000, Tg: 76℃) 16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4부
(X22-3000T 신에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중간 전사 매체(5)의 작성)
수용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코팅액 5를 이용하여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중간 전사 매체(1)와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5)를 작성하였다.
<수용층용 코팅액 5>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Mn: 31000, Tg: 70℃) 19부
(솔바인(등록 상표) C 닛신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1부
(X22-3000T 신에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중간 전사 매체(6)의 작성)
수용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코팅액 6을 이용하여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중간 전사 매체(1)와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6)를 작성하였다.
<수용층용 코팅액 6>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Mn: 31000, Tg: 70℃) 19.6부
(솔바인(등록 상표) C 닛신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0.4부
(X22-3000T 신에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중간 전사 매체(7)의 작성)
수용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코팅액 7을 이용하여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중간 전사 매체(1)와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7)를 작성하였다.
<수용층용 코팅액 7>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Mn: 42000, Tg: 75℃) 19.6부
(솔바인(등록 상표) CN 닛신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0.4부
(X22-3000T 신에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중간 전사 매체(8)의 작성)
수용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코팅액 8을 이용하여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중간 전사 매체(1)와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8)를 작성하였다.
<수용층용 코팅액 8>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Mn: 12000, Tg: 76℃) 20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중간 전사 매체(9)의 작성)
수용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코팅액 9를 이용하여 수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중간 전사 매체(1)와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된 중간 전사 매체(9)를 작성하였다.
<수용층용 코팅액 9>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Mn: 31000, Tg: 70℃) 19부
(솔바인(등록 상표) C 닛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열 전사 시트(1)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 4.5 ㎛의 이접착 처리가 끝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여, 기재의 한쪽의 면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코팅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0.8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기재의 다른쪽의 면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을 건조 후의 두께가 0.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이 프라이머층 상에,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1,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1,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1을 각각, 건조 후의 두께가 0.6 ㎛가 되도록 면순차로 도포·건조하여 열 전사 시트(1)를 얻었다.
<배면층용 코팅액>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2부
(에스렉(등록 상표) BX-1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9.2부
(버녹(등록 상표) D750 DIC(주))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1.3부
(플라이서프(등록 상표) A208N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주))
·탈크 0.3부
(미크로에이스(등록 상표) P-3 니폰탈크고교(주))
·톨루엔 43.6부
·메틸에틸케톤 43.6부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알루미나졸(고형분 10.5%) 50부(고형분 5.25부)
(알루미나졸 AL-200 닛산가가쿠고교(주))
·물 2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25부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1>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옐로우 염료 7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4.5부
·톨루엔 44.5부
Figure 112018071808962-pct00001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1>
·하기 식 (2)로 나타내는 마젠타 염료 3부
·마젠타 염료(Disperse Violet 26) 5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4부
·톨루엔 44부
Figure 112018071808962-pct00002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1>
·시안 염료(Disperse Blue 354) 2.5부
·하기 식 (3)으로 나타내는 시안 색재 5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4.25부
·톨루엔 44.25부
Figure 112018071808962-pct00003
(열 전사 시트(2)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2를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2)를 작성하였다.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2>
·알루미나졸(고형분 10.5%) 50부(고형분 5.25부)
(알루미나졸 AL-200 닛산가가쿠고교(주))
·폴리에스테르 수지(고형분 25%) 10.5부(고형분 2.7부)
(플라스코트 Z-561 고오가가쿠고교(주))
·물 32.2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2.25부
(열 전사 시트(3)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3을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3)를 작성하였다.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3>
·콜로이드성 실리카(고형분 20.5%) 20.5부(고형분 4.2025부)
(스노우텍스 N 닛산가가쿠고교(주))
·폴리에스테르 수지(고형분 25%) 4.2부(고형분 1.05부)
(플라스코트 Z-561 고오가가쿠고교(주))
·물 37.6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7.65부
(열 전사 시트(4)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4를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4)를 작성하였다.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4>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4.2부(고세놀 GH-17 니폰고세이가가쿠(주))
·폴리에스테르 수지(고형분 25%) 4.2부(고형분 1.05부)
(플라스코트 Z-561 고오가가쿠고교(주))
·물 45.8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5.8부
(열 전사 시트(5)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5를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5)를 작성하였다.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5>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4.2부
(고세놀 GH-17 니폰고세이가가쿠(주))
·수분산 이소시아네이트 1부(WB40-100 아사히가세이케미컬(주))
·물 47.4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7.4부
(열 전사 시트(6)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6을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6)를 작성하였다.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6>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5.2부
(PVP K-90 아이에스피재팬(주))
·물 47.4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7.4부
(열 전사 시트(7)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7을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7)를 작성하였다.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7>
·우레탄 수지(고형분 25%) 21부(고형분 5.25부)
(슈퍼플렉스(등록 상표) SF600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주))
·물 39.5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9.5부
(열 전사 시트(8)의 작성)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1,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1,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2,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2,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2를 이용하여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8)를 작성하였다.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2>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옐로우 염료 7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에틸셀룰로오스 수지 0.6부
(에토셀 STD45 닛신가세이(주))
·메틸에틸케톤 44.5부
·톨루엔 44.5부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2>
·상기 식 (2)로 나타내는 마젠타 염료 3부
·마젠타 염료(Disperse Violet 26) 5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에틸셀룰로오스 수지 0.6부
(에토셀 STD45 닛신가세이(주))
·메틸에틸케톤 44부
·톨루엔 44부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2>
·시안 염료(Disperse Blue 354) 2.5부
·상기 식 (3)으로 나타내는 시안 염료 5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에틸셀룰로오스 수지 0.6부
(에토셀 STD45 닛신가세이(주))
·메틸에틸케톤 44.25부
·톨루엔 44.25부
(열 전사 시트(9)의 작성)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1,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1,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3,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3,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3을 이용하여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9)를 작성하였다.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3>
·상기 식 (1)로 나타내는 옐로우 염료 7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0.06부
(X-22-3939 신에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4.5부
·톨루엔 44.5부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3>
·상기 식 (2)로 나타내는 마젠타 염료 3부
·마젠타 염료(Disperse Violet 26) 5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0.06부
(X-22-3939 신에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4부
·톨루엔 44부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3>
·시안 염료(Disperse Blue 354) 2.5부
·상기 식 (3)으로 나타내는 시안 염료 5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0.06부
(X-22-3939 신에츠가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44.25부
·톨루엔 44.25부
(열 전사 시트(10)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8을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10)를 작성하였다.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8>
·폴리에스테르 수지(고형분 34%) 15.4부(고형분 5.236부)
(바이로날 MF-1200 도요보(주))
·물 42.3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2.3부
(열 전사 시트(11)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대신에, 상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8을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1,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1,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1 대신에, 상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2,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2,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2를 이용하여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11)를 작성하였다.
(열 전사 시트(12)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1 대신에, 상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코팅액 8을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1,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1,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1 대신에, 상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코팅액 3, 마젠타 색재층용 코팅액 3, 시안 색재층용 코팅액 3을 이용하여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 전사 시트(1)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12)를 작성하였다.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와의 조합 )
상기로 작성한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하고, 이 조합을 각 실시예 및 비교예로 하였다.
Figure 112018071808962-pct00004
(수용층 상에의 열 전사 화상의 형성)
위의 표 1에 나타내는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를 조합하여 이용하여, 각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에, 하기 테스트 프린터를 이용하여, 라인 주기 3 msec./line으로, 흑베타 농도가 1.8 부근이 되는 흑베타 화상(옐로우 화상, 마젠타 화상, 시안 화상의 중첩 화상)을 형성하였다. 하기 표 2에, 흑베타 농도가 1.8 부근이 되었을 때의 인화 전압을 나타낸다. 또한, 흑베타 농도가 1.8 부근이 될 때의 인화 전압이 낮을수록, 화상 형성 시에 있어서,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이 받는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테스트 프린터)
서멀 헤드: KEE-57-12GAN2-STA(교세라(주))
발열체 평균 저항값: 3303(Ω)
주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라인 주기: 3.0(msec./line)
인자 개시 온도: 35(℃)
펄스 Duty비: 85(%)
(이형성 평가)
상기 흑베타 농도가 1.8 부근이 되도록 수용층 상에 흑베타 화상을 형성하였을 때의, 색재층(시안 색재층)의 이형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더불어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색재층을 박리하였을 때의 박리흔을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없다.
B: 색재층을 박리하였을 때의 박리흔이 약간 발생하고 있지만 눈으로 보아 거의 확인할 수 없다.
NG: 색재층을 박리하였을 때의 박리흔을 눈으로 보아 많이 확인할 수 있다.
(인화물의 형성)
폴리염화비닐제 카드(PVC 카드 다이니폰인사츠(주))와, 카드용 라미네이터(SIP사)를 이용하여, PVC 카드 상에, 상기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기재측으로부터, 박리층, 보호층,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을, 180℃, 2 sec./inch의 조건으로 전사하여, PVC 카드 상에 전사층이 전사되어 이루어지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형성하였다.
(전사층의 전사성 평가)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PVC 카드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의 전사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전사 불량부(%)란, 본래 전사되어야 하는 전사층을 100%로 하였을 때에 전사가 행해지지 않은 영역의 비율이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더불어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전사층이 완전히 전사되어 있다(전사 불량부 0%).
B: 카드의 단부에만 약간 전사 불량이 생겨 있다(전사 불량부 1% 미만).
C: 전사 불량이 조금 발생되어 있다(전사 불량부 1% 이상 25% 미만).
NG(1): 전사 불량이 많이 발생되어 있다(전사 불량 부25% 이상 50% 미만).
NG(2): 전사 불량이 현저히 발생되어 있다(전사 불량부 50% 이상).
(내구성 평가)
상기에서 형성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ANSI-INCITS322-2002, 5.9 Surface Abrasion에 준거하는 테이버 시험법에 따라, 테이버 시험기를 이용하여, 마모륜 CS-10F, 하중 500 gf, 60 사이클/min으로, 250 사이클 마모 시험을 실시하였다. 마모 시험 후의 인화물의 상태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인화물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더불어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화상에 마모 상처가 전혀 없다.
B: 화상에 마모 상처가 조금 발생되어 있지만 눈으로 보아 거의 확인할 수 없다.
C: 화상에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는 마모 상처가 발생되어 있지만 사용상 문제없는 레벨이다.
NG(1): 화상에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는 마모 상처가 꽤 발생되어 있다.
NG(2): 화상에 마모 상처가 현저히 발생되어 있다.
Figure 112018071808962-pct00005
1: 기재
2: 프라이머층
3: 색재층
5, 55: 배면층
10: 열 전사 시트
51: 다른 기재
52: 박리층
53: 수용층
50: 전사층
60: 중간 전사 매체
100: 피전사체
200: 인화물

Claims (9)

  1. 승화형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으로서,
    상기 승화형 열 전사 시트가,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프라이머층, 색재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프라이머층이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승화형 열 전사 시트이고,
    상기 중간 전사 매체가, 다른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간 전사 매체이고,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이 수지 성분 및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층이 함유하고 있는 상기 수지 성분이, 수평균 분자량(Mn)이 13000 이상 35000 이하인 수지 성분이고,
    상기 수용층의 총 질량에 대한 상기 이형제의 함유량이 2.5 질량% 미만이며,
    상기 수용층의 상기 수지 성분이 염화비닐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3. 인화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프라이머층, 색재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승화형 열 전사 시트와, 다른 기재의 한쪽의 면 상에,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간 전사 매체와,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상기 수용층 상에, 상기 승화형 열 전사 시트의 상기 색재층이 함유하고 있는 색재를 이행시켜, 그 수용층 상에 열 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열 전사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열 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상기 보호층과 함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인화물 형성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열 전사 화상의 형성에 이용되는 상기 승화형 열 전사 시트가, 상기 기재와 상기 색재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승화형 열 전사 시트이며, 상기 프라이머층이 콜로이드형 무기 입자 유래의 입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열전사 화상의 형성에 이용되는 상기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이, 수지 성분 및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수용층이 함유하고 있는 상기 수지 성분이, 수평균 분자량(Mn)이 13000 이상 35000 이하인 수지 성분이고, 상기 수용층의 총 질량에 대한 상기 이형제의 함유량이 2.5 질량% 미만이며,
    상기 수용층의 상기 수지 성분이 염화비닐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6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7020981A 2016-02-25 2017-02-23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KR102596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4793 2016-02-25
JPJP-P-2016-034793 2016-02-25
PCT/JP2017/006843 WO2017146151A1 (ja) 2016-02-25 2017-02-23 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の組合せ、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003A KR20180114003A (ko) 2018-10-17
KR102596124B1 true KR102596124B1 (ko) 2023-10-30

Family

ID=5968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981A KR102596124B1 (ko) 2016-02-25 2017-02-23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00883B2 (ko)
JP (1) JP6315162B2 (ko)
KR (1) KR102596124B1 (ko)
GB (1) GB2562015B (ko)
WO (1) WO2017146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1676B (zh) * 2018-09-14 2020-12-15 赵忠祥 一种光铝热转印膜的制造方法以及一种吊顶或墙板的制造方法
WO2020195611A1 (ja) * 2019-03-26 2020-10-0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樹脂層形成用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
US20220194110A1 (en) * 2019-09-13 2022-06-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Combination of thermal transfer sheet and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material using combination
US20240075764A1 (en) * 2022-09-01 2024-03-07 Entrust Corporation Personalized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8804A (ja) * 2004-03-31 2005-10-20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受像シートの受容層形成用樹脂及びそれを用いた熱転写受像シート
JP2006150956A (ja) * 2004-11-02 2006-06-15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
JP2012071545A (ja) 2010-09-29 2012-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媒体
JP2013035192A (ja) * 2011-08-05 2013-0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6195A1 (en) 1986-04-11 1987-10-22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on object
JP2655538B2 (ja) 1986-04-11 1997-09-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物品の装飾方法
JPH1142864A (ja) * 1997-07-25 1999-0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容層転写シート用熱転写シート
JP2000238439A (ja) * 1999-02-19 2000-09-05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記録媒体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1080224A (ja) * 1999-09-14 2001-03-27 Konica Corp 熱転写用受像シート及び画像形成方法
EP1829698B1 (en) 2004-11-02 2008-1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JP2010234733A (ja) * 2009-03-31 2010-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
EP3409496B1 (en) 2010-08-31 2020-03-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JP5640847B2 (ja) * 2011-03-22 2014-12-17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JP5648975B2 (ja) * 2011-03-29 2015-01-07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JP6011181B2 (ja) * 2012-09-12 2016-10-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と熱転写受像シートとの組合せ、及び画像形成方法
JP6273964B2 (ja) * 2014-03-27 2018-02-07 凸版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1233B2 (ja) * 2014-03-31 2018-07-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
EP3284608B1 (en) * 2015-04-15 2020-07-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method for forming printed product, and printed produ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8804A (ja) * 2004-03-31 2005-10-20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受像シートの受容層形成用樹脂及びそれを用いた熱転写受像シート
JP2006150956A (ja) * 2004-11-02 2006-06-15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
JP2012071545A (ja) 2010-09-29 2012-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媒体
JP2013035192A (ja) * 2011-08-05 2013-0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62015B (en) 2021-03-03
GB201813805D0 (en) 2018-10-10
KR20180114003A (ko) 2018-10-17
JPWO2017146151A1 (ja) 2018-06-21
GB2562015A (en) 2018-10-31
WO2017146151A1 (ja) 2017-08-31
US20190160846A1 (en) 2019-05-30
JP6315162B2 (ja) 2018-04-25
US10500883B2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6424B2 (en) Thermal transfer sheet
KR102596124B1 (ko) 열 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US10336115B2 (en) Transfer sheet
KR20140009963A (ko) 중간 전사 매체
TWI727954B (zh) 熱轉印薄片
JP2020175671A (ja) 転写シート
JP6075491B2 (ja) 熱転写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印画物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
KR102478352B1 (ko) 승화형 열전사 시트
WO2016043236A1 (ja) 転写シート
JP6690159B2 (ja) 転写シート
JP2011104971A (ja) 熱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熱転写シート、並びに熱転写シートと熱転写受像シートとの組合せ
JP5043737B2 (ja) 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記録材料
JP6677919B2 (ja) 転写シート
JP6828848B2 (ja) 熱転写シート、中間転写媒体と熱転写シートの組合せ、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6709521B2 (ja) 転写シート
JP6677918B2 (ja) 転写シート
JP7255727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6795110B2 (ja) 転写シート
JP2018171840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7068608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6645082B2 (ja) 転写シート
JP2019177665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2021037729A (ja) 熱転写シート、該熱転写シートを用いて製造した印画物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