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896B1 -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896B1
KR102595896B1 KR1020160100884A KR20160100884A KR102595896B1 KR 102595896 B1 KR102595896 B1 KR 102595896B1 KR 1020160100884 A KR1020160100884 A KR 1020160100884A KR 20160100884 A KR20160100884 A KR 20160100884A KR 102595896 B1 KR102595896 B1 KR 102595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chip
interposer
clearance groove
receiving cavity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890A (ko
Inventor
심종보
김지황
최윤석
한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896B1/ko
Priority to US15/485,794 priority patent/US10199319B2/en
Priority to TW106120497A priority patent/TWI711351B/zh
Priority to CN201710470178.6A priority patent/CN107708303B/zh
Publication of KR2018001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3Multilayer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97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having cavities, e.g. for mounting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22Multilayer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1Crossover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1Crossover interconnections, e.g. bridge step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2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and on each other, i.e. mixed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12Auxiliary members for layer connectors, e.g. spacers
    • H01L2224/26152Auxiliary members for layer connectors, e.g. spacers being formed on an item to be connected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01L2224/26175Flow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e.g. polyester, phenolic based polymer, epo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2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 H01L23/31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the substrate having spherical bumps for extern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5Assembly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4/10, H01L24/18, H01L24/26, H01L24/34, H01L24/42, H01L24/50, H01L24/63, H01L24/7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17Multilayer substrate
    • H01L2924/15172Fan-out arrangement of the internal vias
    • H01L2924/15174Fan-out arrangement of the internal vias in different layers of the multilayer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17Multilayer substrate
    • H01L2924/15192Resurf arrangement of the internal vi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727Leadless chip carrier [LCC], e.g. chip-modules for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Geometry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복수의 반도체 칩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및 복수의 반도체 칩을 가지며, 이들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칩 부착 영역을 가지는 기판 베이스, 기판 베이스의 상면의 칩 부착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면 패드, 2개의 칩 부착 영역 각각의 일부분과 중첩되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수용 캐비티부, 및 수용 캐비티부와 연통되도록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며, 2개의 칩 부착 영역 사이의 영역 내를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Printed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반도체 칩을 장착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및 복수의 반도체 칩 및 인쇄회로기판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기기는 더욱 더 소형화, 다기능화 및 대용량화되고 있다. 대용량을 가지는 반도체 칩 및 다기능을 가지는 반도체 칩이 요구되며, 이들 사이의 연결(interconnection)의 신뢰성을 위하여, 복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반도체 칩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며, 이들 사이의 연결의 신뢰성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칩 부착 영역을 가지는 기판 베이스,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의 상기 칩 부착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면 패드, 2개의 상기 칩 부착 영역 각각의 일부분과 중첩되며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수용 캐비티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며, 2개의 상기 칩 부착 영역 사이의 영역 내를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베이스,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의 배치되는 복수의 상면 패드,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며 상기 수용 캐비티부와 연통되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수용 캐비티부에 수용되며, 인터포저 기판 및 상기 인터포저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패드를 가지는 배선 인터포저;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및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와 접속하는 연결 단자를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부착되는 제1 반도체 칩, 및 제2 반도체 칩; 및 상기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의 적어도 일부분를 채우며, 상기 배선 인터포저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는 접착 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도체 칩 및 상기 제2 반도체 칩 각각의 하측에서,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 상기 인터포저 기판의 상면, 및 상기 접착 물질층의 상면은 동일 레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베이스,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의 배치되는 복수의 상면 패드,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복수의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며 상기 수용 캐비티부와 연통되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수용 캐비티부에 각각 수용되며, 인터포저 기판 및 상기 인터포저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패드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및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와 접속하는 연결 단자를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부착되는 제1 반도체 칩, 및 복수의 제2 반도체 칩; 및 상기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의 적어도 일부분를 채우며, 상기 배선 인터포저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는 접착 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도체 칩 및 상기 제2 반도체 칩 각각의 하측에서,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 상기 인터포저 기판의 상면, 및 상기 접착 물질층의 상면은 동일 레벨이며, 상기 복수의 제2 반도체 칩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인쇄회로기판의 수용 캐비티부에 수용된 배선 인터포저 및 복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의 패드와 배선 인터포저의 패드가 동일한 레벨의 상면을 가지므로,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은 인쇄회로기판 및 배선 인터포저와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인터포터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반도체 칩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 또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칩의 하면의 공간이 균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해당 공간을 언더필층으로 원활히 채울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들 및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 및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1b 및 도 1c는 각각 도 1a의 X-X' 선 및 Y-Y' 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c는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부분의 단면만을 도시하였다.
도 1a 내지 도 1c를 함께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0)은 기판 베이스(110), 및 배선 패턴(120) 및 도전 비아(1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인쇄회로기판(100)은 복수의 베이스층(112, 114, 116)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기판 베이스(110)를 가지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기판 베이스(110)를 이루는 복수의 베이스층(112, 114, 116) 각각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 베이스(110)를 이루는 복수의 베이스층(112, 114, 116) 각각은 FR4(Frame Retardant 4), 사관능성 에폭시(Tetrafunctional epoxy), 폴리페닐렌 에테르(Polyphenylene ether), 에폭시/폴리페닐렌 옥사이드(Epoxy/polyphenylene oxide), BT(Bismaleimide triazine), 써마운트(Thermount), 시아네이트 에스터(Cyanate ester), 폴리이미드(Polyimide) 및 액정 고분자(Liquid crystal polymer)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기판 베이스(110)를 이루는 복수의 베이스층(112, 114, 116)은 코어 베이스층(112) 및 코어 베이스층(11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베이스층(114, 1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 베이스층(112)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서브 베이스층(114)이 적층될 수 있고, 코어 베이스층(114)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서브 베이스층(116)이 적층될 수 있다. 도 1b에는 1개의 코어층(112)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 베이스(110)는 복수의 코어층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코어층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베이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선 패턴(120)은 복수의 베이스층(112, 114, 116) 각각의 상면과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선 패턴(120)은 예를 들면, 예를 들면, ED(electrolytically deposited) 구리 호일(copper foil), RA(rolled-annealed) 구리 호일, 스테인리스 스틸 호일(stainless steel foil),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 최극박 구리 호일(ultra-thin copper foils), 스퍼터된 구리(sputtered copper), 구리 합금(copper alloys)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 비아(130)는 도전 비아(130)는 배선 패턴(1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전 비아(130)는 복수의 베이스층(112, 114, 116)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전 비아(130)는 구리, 니켈,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베릴륨구리(beryllium copp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 및 하면 솔더 레지스트층(144)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 및 하면 솔더 레지스트층(144) 각각은 예를 들면, 솔더 마스크(solder mask) 절연 잉크를 스크린 인쇄 방법 또는 잉크젯 인쇄에 의하여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및 하면 상에 도포한 후 열, UV 또는 IR로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 및 하면 솔더 레지스트층(144) 각각은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및 하면 상에 감광성 솔더 레지스트(Photo-Imageable Solder Resist)를 스크린 인쇄 방법 또는 스프레이 코팅 방법으로 전체 도포하거나 필름형 솔더 레지스트 물질을 라미네이팅(laminating) 방법으로 접착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노광 및 현상으로 제거하고, 열, UV 또는 IR로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복수의 상면 패드(122) 및 복수의 하면 패드(124)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배선 패턴(120) 중,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 및 하면 솔더 레지스트층(144) 각각에 의하여 덮이지 않고 노출되는 부분은 각각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패드(122) 및 하면 패드(124)일 수 있다. 상면 패드(122) 및 하면 패드(124) 각각의 상에는 금속층(도시 생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상면 패드(122) 및 하면 패드(124) 각각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층은 H.A.S.L.(Hot Air Solder Leveling), Ni/Au 도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중 반도체 칩이 부착될 영역인 복수의 칩 부착 영역(CR1, CR2)에는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칩 부착 영역(CR1, CR2)은 제1 방향(X-X'선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제1 칩 부착 영역(CR1) 및 제2 칩 부착 영역(C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칩 부착 영역(CR1) 및 제2 칩 부착 영역(CR2)에는 각각 제1 반도체 칩 및 제2 반도체 칩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칩 부착 영역(CR1) 및 제2 칩 부착 영역(CR2)은 제1 방향(X-X'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Y-Y' 선 방향)으로 제1 폭(W1) 및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반도체 칩 및 상기 제2 반도체 칩은 각각 제1 폭(W1) 및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폭(W1)과 제2 폭(W2)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폭(W1)은 제2 폭(W2)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은 칩 부착 영역(CR1, CR2)에 인접하는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의 일부 영역 상에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의 칩 부착 영역(CR1, CR2)에는 복수의 상면 패드(122)가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의 칩 부착 영역(CR1, CR2) 및 이에 인접하는 일부 영역에는 상면 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패턴(120)의 일부분(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의 칩 부착 영역(CR1, CR2) 및 이에 인접하는 일부 영역에는 복수의 상면 패드(122) 이외의 배선 패턴(12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상면 패드(122)는 배선 패턴(120)의 다른 부분과 도전 비아(13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측 일부분에는 기판 베이스(110)의 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리세스된 수용 캐비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는 제1 칩 부착 영역(CR1)의 일부분 및 제2 칩 부착 영역(CR2)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첩된다는 것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중첩(overlap)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용 캐비티부(150)는 제2 방향(Y-Y' 선 방향)을 따라서 제3 폭(W3)을 가질 수 있다. 제3 폭(W3)은 제1 폭(W1) 및 제2 폭(W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는 제1 칩 부착 영역(CR1)의 일부분 및 제2 칩 부착 영역(CR2)의 일부분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 캐비티부(15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각각의 일변에 접하는 일부분들과 제1 칩 부착 영역(CR1)의 일부분과 제2 칩 부착 영역(CR2)의 일부분 사이의 이격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 내에는 인터포저 부착 영역(IR)을 가질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 내의 인터포저 부착 영역(IR)에는 배선 인터포저가 부착될 수 있다. 인터포저 부착 영역(IR)은 제1 칩 부착 영역(CR1)의 일부분 및 제2 칩 부착 영역(CR2)의 일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칩 부착 영역(CR1, CR2)에 부착되는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제2 반도체 칩은 상기 배선 인터포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용 캐비티부(150)의 저면까지의 깊이는 상기 배선 인터포저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인터포저 부착 영역(IR)은 제2 방향(Y-Y' 선 방향)을 따라서 제4 폭(W4)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배선 인터포저는 제4 폭(W4)을 가질 수 있다. 제4 폭(W4)은 제3 폭(W3)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4 폭(W4)은 제1 폭(W1) 및 제2 폭(W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방향(Y-Y' 선 방향)으로의 상기 배선 인터포저의 폭은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폭 및 상기 제2 반도체 칩의 폭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의 제2 방향(Y-Y' 선 방향)으로의 적어도 일측에는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 170)가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 170)는 기판 베이스(110)의 상측 일부분에서 기판 베이스(110)의 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리세스되며,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 170)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제2 방향(Y-Y' 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수용 캐비티부(150)와 유격홈부(160, 170)는 기판 베이스(110)의 최상면으로부터 동일한 깊이를 가지며 리세스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 170)는 기판 베이스(110)에서,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유격홈부(160, 170)는 제1 칩 부착 영역(CR1) 및 제2 칩 부착 영역(CR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 170)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제2 방향(Y-Y' 선 방향)으로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제2 방향(Y-Y' 선 방향)으로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는 각각,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 내를 벗어나지 않는 길이를 가지며, 수용 캐비티부(150)로부터 제2 방향(Y-Y' 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 각각의 저면에는 식각 정지 패턴(126)이 배치될 수 있다. 식각 정지 패턴(126)은 배선 패턴(1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식각 정지 패턴(126)은 배선 패턴(120)의 나머지 부분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0)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 베이스(110), 및 배선 패턴(120) 및 도전 비아(130)를 포함하며, 수용 캐비티부(150),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가 형성되지 않은 예비 인쇄회로기판을 준비한다. 이후, 식각 정지 패턴(126)을 식각 정지막으로 기판 베이스(110)를 상측으로부터 일부분을 제거하여 수용 캐비티부(150),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를 형성한다. 또한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과 하면의 일부분에 각각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 및 하면 솔더 레지스트층(144)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서는 기판 베이스(110)를 이루는 복수의 베이스층(112, 114, 116) 중 하나의 상부 서브 베이스층(114)의 부분을 제거하여, 수용 캐비티부(150),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에서, 수용 캐비티부(150)에 수용하고자 하는 상기 배선 인터포저의 두께를 고려하여, 2개 이상의 상부 서브 베이스층(114)의 부분을 제거하여, 수용 캐비티부(150),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수용 캐비티부(150),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을 형성한 후, 그 저면에 배치된 식각 정지 패턴(126)을 제거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는 예를 들면, 레이저 드릴링 방법 또는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에 대한 내용 중 도 1a 내지 도 1c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0a)은 기판 베이스(110), 및 배선 패턴(120) 및 도전 비아(130)를 포함한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측 일부분에는 기판 베이스(110)의 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리세스된 수용 캐비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의 적어도 일측에는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a, 170a)가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a, 170a)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유격홈부(160a) 및 제2 유격홈부(170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a) 및 제2 유격홈부(170a)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a) 및 제2 유격홈부(170a)는 각각,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 내를 거쳐서, 그 외측으로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2a에 보인 인쇄회로기판(100a)은 도 1a 내지 도 1c에 보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보다 연장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제1 유격홈부(160a) 및 제2 유격홈부(170a)를 가질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a) 및 제2 유격홈부(170a)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며 연장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0b)은 기판 베이스(110), 및 배선 패턴(120) 및 도전 비아(130)를 포함한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측 일부분에는 기판 베이스(110)의 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리세스된 수용 캐비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의 적어도 일측에는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b, 170b)가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b, 170b)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유격홈부(160b) 및 제2 유격홈부(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b) 및 제2 유격홈부(170b)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b) 및 제2 유격홈부(170b)는 각각,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 내를 거쳐서, 그 외측으로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b) 및 제2 유격홈부(170b)는 각각,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고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62b) 및 제2 연장부(172b), 그리고 제1 유격홈부(160b) 및 제2 유격홈부(170b)의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말단부(164b) 및 제2 말단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말단부(164b) 및 제2 말단부(174b)는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말단부(164b) 및 제2 말단부(174b)는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에서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유격홈부(160b) 및 제2 유격홈부(170b)는 각각,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부분인 제1 연장부(162b) 및 제2 연장부(172b), 그리고 제1 연장부(162b) 및 제2 연장부(172b)로부터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단부인 제1 말단부(164b) 및 제2 말단부(17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0c)은 기판 베이스(110), 및 배선 패턴(120) 및 도전 비아(130)를 포함한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측 일부분에는 기판 베이스(110)의 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리세스된 수용 캐비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의 적어도 일측에는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c, 170c)가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c, 170c)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유격홈부(160c) 및 제2 유격홈부(170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c) 및 제2 유격홈부(170c)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c) 및 제2 유격홈부(170c)는 각각,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 내를 거쳐서, 그 외측으로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c) 및 제2 유격홈부(170c)는 각각,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고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62c) 및 제2 연장부(172c), 그리고 제1 유격홈부(160c) 및 제2 유격홈부(170c)의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말단부(164c) 및 제2 말단부(174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말단부(164c) 및 제2 말단부(174c)는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에서 각각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0d)은 기판 베이스(110), 및 배선 패턴(120) 및 도전 비아(130)를 포함한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측 일부분에는 기판 베이스(110)의 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리세스된 수용 캐비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의 적어도 일측에는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d, 170d)가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d, 170d)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유격홈부(160d) 및 제2 유격홈부(170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d) 및 제2 유격홈부(170d)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d) 및 제2 유격홈부(170d)는 각각,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 내를 거쳐서, 그 외측으로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d) 및 제2 유격홈부(170d)는 각각,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고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62d) 및 제2 연장부(172d), 그리고 제1 유격홈부(160d) 및 제2 유격홈부(170d)의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제1 말단부(164d) 및 제2 말단부(17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말단부(164d) 및 제2 말단부(174d)는 제1 연장부(162b) 및 제2 연장부(172b)로부터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말단부(164d) 및 제2 말단부(174d)는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에서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에 보인 인쇄회로기판(100a, 100b, 100c, 100d) 각각의 단면은, 제1 유격홈부(160a, 160b, 160c, 160d) 및 제2 유격홈부(170a, 170b, 170c, 170d)의 연장 길이가, 도 1b 및 도 1c에 보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보다 상대적으로 길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바, 별도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3a 및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대한 내용 중 도 1a 내지 도 2d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0e)은 기판 베이스(110), 및 배선 패턴(120) 및 도전 비아(130)를 포함한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측 일부분에는 기판 베이스(110)의 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리세스된 수용 캐비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의 적어도 일측에는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e, 170e)가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e, 170e)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는 각각,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 내를 거쳐서, 그 외측으로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는 각각,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62e) 및 제2 연장부(172e), 그리고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의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제1 말단부(164e) 및 제2 말단부(174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말단부(164b) 및 제2 말단부(174b)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는 각각,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부분인 제1 연장부(162e) 및 제2 연장부(172e), 그리고 제1 연장부(162e) 및 제2 연장부(172e)로부터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단부인 제1 말단부(164e) 및 제2 말단부(174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0f)은 기판 베이스(110), 및 배선 패턴(120) 및 도전 비아(130)를 포함한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측 일부분에는 기판 베이스(110)의 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리세스된 수용 캐비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의 적어도 일측에는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f, 170f)가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f, 170f)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유격홈부(160f) 및 제2 유격홈부(170f)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f) 및 제2 유격홈부(170f)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유격홈부(160f) 및 제2 유격홈부(170f)는 각각, 제1 칩 부착 영역(CR1)과 제2 칩 부착 영역(CR2) 사이의 영역 내를 거쳐서, 그 외측으로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f) 및 제2 유격홈부(170f)는 각각,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62f) 및 제2 연장부(172f), 그리고 제1 유격홈부(160f) 및 제2 유격홈부(170f)의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복수의 제1 말단부(164f) 및 복수의 제2 말단부(174f)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유격홈부(160f) 및 제2 유격홈부(170f)는 각각,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부분인 제1 연장부(162f) 및 제2 연장부(172f), 그리고 제1 연장부(162f) 및 제2 연장부(172f)로부터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고 분기되어 연장되는 단부인 복수의 제1 말단부(164f) 및 제2 말단부(174f)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서 복수의 제1 말단부(164f) 및 복수의 제2 말단부(174f)는 각각 2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3b에서 복수의 제1 말단부(164f) 및 복수의 제2 말단부(174f)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제1 말단부(164f) 중 일부는 분기되어 나머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모두가 분기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말단부(174f) 중 일부는 분기되어 나머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모두가 분기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대한 내용 중 도 1a 내지 도 1c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도 1a 내지 도 1c와 함께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1)는 인쇄회로기판(100), 복수의 반도체 칩(200) 및 배선 인터포저(3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반도체 칩(200)은 인쇄회로기판(100)의 복수의 칩 부착 영역(CR1, CR2)에 부착될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는 인쇄회로기판(100)의 수용 캐비티부(150) 내의 인터포저 부착 영역(IR)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칩(200)은 예를 들면,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칩(210) 및 제2 반도체 칩(220)은 각각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 칩 부착 영역(CR1) 및 제2 칩 부착 영역(CR2)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칩(200)은 예를 들면, 메모리 반도체 칩일 수 있다. 메모리 반도체 칩은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반도체 칩이거나,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RRAM(Resistive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 칩일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칩(200)은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M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과 같은 로직 반도체 칩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복수의 반도체 칩(200) 중 적어도 하나는 로직 반도체 칩이고, 나머지는 메모리 반도체 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반도체 칩(210)은 로직 반도체 칩이고, 제2 반도체 칩(220)은 메모리 반도체 칩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2 반도체 칩(220)은 복수의 메모리 반도체 칩의 스택(Stack : All memory chips in the memory system taken together in one assembly, JEDEC Standard Definition)일 수 있다. 즉, 제2 반도체 칩(220)은 복수의 슬라이스(Slice : One memory chip in the stack of memory chips, JEDEC Standard Definition)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슬라이스는 TSV(Through-Silicon Via)와 같은 관통 전극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2 반도체 칩(220)은 HBM(High Bandwidth Memory) DRAM일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는 인터포저 기판(310), 인터포저 기판(3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패드(320) 및 복수의 연결 패드(3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인터포저 기판(310)에 형성된 연결 배선(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포저 기판(310)은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포저 기판(310)은 실리콘(Si, silico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패드(320) 및 연결 배선(330)은 인터포저 기판(310)에 통상의 반도체 소자의 배선 공정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배선(330)은 라인 배선 및 비아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 배선 및 상기 비아 플러그 사이에는 배선간 절연층(IMD, inter-metal dielectrics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선 인터포저(300)는 반도체 기판에 개별 전자 소자를 형성하지 않고, 배선 공정만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와 인쇄회로기판(100)은 동일한 레벨의 상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면과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면 패드(122)의 상면까지 높이와,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면으로부터 연결 패드(320)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패드(122)의 상면과 배선 인터포저(300)의 연결 패드(320)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는 접착 물질층(400)에 의하여 수용 캐비티부(150)에 수용될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는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면이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과 동일 레벨을 가지며, 상면 패드(122) 만이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수용 캐비티부(150)에 수용될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 이외의 수용 캐비티부(150)의 공간들은 접착 물질층(40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접착 물질층(400)은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 170)도 함께 채울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접착 물질층(400)은 유격홈부(160, 170)의 일부분만을 채울 수 있다.
제1 칩 부착 영역(CR1) 및 제2 칩 부착 영역(CR2)에서, 즉 제1 반도체 칩(210) 및 제2 반도체 칩(220)의 하측에서, 기판 베이스(110), 인터포저 기판(310) 및 접착 물질층(400)은 동일 레벨의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수용 캐비티부(150)를 채우는 접착 물질층(400)의 상면은,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및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면과 동일 레벨을 가지고, 유격홈부(160, 170)를 채우는 접착 물질층(400)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면은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및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면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를 수용 캐비티부(150)에 수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배선 인터포저(300)의 하면에 접착 필름을 부착한 후, 배선 인터포저(300)를 수용 캐비티부(150)에 배치시킨다. 또는 수용 캐비티부(150)의 일부분에 접착 물질을 주입한 후, 배선 인터포저(300)를 수용 캐비티부(150)에 배치시킨다. 이 단계에서,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측 일부분은 기판 베이스(100)의 상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후, 완충 필름이 부착된 압력 플레이트에 의하여 가압하여, 배선 인터포저(300)를 수용 캐비티부(150)에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압력 플레이트에 의한 가압 과정에서 가열을 하여 수용 캐비티부(150)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 중, 배선 인터포저(300)가 수용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상기 접착 필름 또는 상기 접착 물질이 모두 채워서 접착 물질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 필름 내에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패드(122)와 배선 인터포저(300)의 연결 패드(320)가 매립될 수 있으므로,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면 및 수용 캐비티부(150)를 채우는 접착 물질층(400)의 상면은 동일 레벨을 가질 수 있다.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용 캐비티부(150)의 저면까지의 깊이는 인터포저 기판(310)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용 캐비티부(150)의 면적은 배선 인터포저(300)의 면적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 캐비티부(150)의 측벽 및 저면과 배선 인터포저(300)는 이격될 수 있으며, 수용 캐비티부(150)의 측벽 및 저면과 배선 인터포저(300) 사이의 이격되는 공간은 접착 물질층(40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즉, 접착 물질층(400)은 배선 인터포저(300)의 저면 및 측면을 완전히 감쌀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인터포저(300)는 접착 물질층(400)을 사이에 두고 수용 캐비티부(150)의 측벽 및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식각 정지 패턴(126)과 배선 인터포저(300)의 저면 사이에는 접착 물질층(400)의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 또는 상기 접착 물질 중 수용 캐비티부(150)를 완전히 채우고 남는 부분은 유격홈부(160, 170)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물질층(400)은 수용 캐비티부(150)와 함께 유격홈부(160, 170)도 채울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는 각각,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 사이의 영역 내를 벗어나지 않는 길이를 가지므로, 접착 물질층(400)은 제1 반도체 칩(210)의 하측, 제2 반도체 칩(220)의 하측, 및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 사이의 영역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인터포저 기판(310)의 부피 및 상기 접착 필름 또는 상기 접착 물질의 부피가 수용 캐비티부(150) 및 유격 홈부(160, 170)가 한정하는 공간의 부피와 동일할 경우, 접착 물질층(400)은 수용 캐비티부(150) 및 유격홈부(160, 170) 모두에서 기판 베이스(110)와 동일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접착 필름 또는 상기 접착 물질이 접착 물질층(4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피의 변화를 고려하여, 수용 캐비티부(150) 및 유격홈부(160, 170)가 한정하는 공간의 부피를 인터포저 기판(310)의 부피 및 상기 접착 필름 또는 상기 접착 물질의 부피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물질층(400)은 수용 캐비티부(150)를 모두 채울 수 있으나, 유격홈부(160, 170)는 일부분만 채울 수 있다.
수용 캐비티부(150)에 배선 인터포저(300)가 수용된 후, 인쇄회로기판(100) 상에 제1 반도체 칩(210) 및 제2 반도체 칩(220)을 부착한다. 제1 반도체 칩(210) 및 제2 반도체 칩(220)은 각각 제1 연결 단자(212, 214) 및 제2 연결 단자(222, 224)를 가진다. 제1 연결 단자(212, 214)는 제1 PCB 연결 단자(212) 및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222, 224)는 제2 PCB 연결 단자(222) 및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2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반도체 칩(210)은 제1 PCB 연결 단자(212)가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패드(122)와 접속하고,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214)가 배선 인터포저(300)의 연결 패드(320)와 접속하도록 인쇄회로기판(1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반도체 칩(220)은 제2 PCB 연결 단자(222)가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패드(122)와 접속하고,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224)가 배선 인터포저(300)의 연결 패드(320)와 접속하도록 인쇄회로기판(1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도체 칩(210) 및 제2 반도체 칩(220) 각각의 일부분은 배선 인터포저(300)와 중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1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칩(210)은 제1 PCB 연결 단자(212)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214)를 통하여 제2 반도체 칩(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반도체 칩(220)은 제2 PCB 연결 단자(222)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224)를 통하여 제1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은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214),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214)가 접속된 연결 패드(320), 연결 배선(330),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224)가 접속된 연결 패드(320), 및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214)를 통하여 서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PCB 연결 단자(212) 및 제2 PCB 연결 단자(222) 중 적어도 일부는 전원 또는 그라운드가 전달될 수 있다.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214) 및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224) 중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반도체 칩(210)이 로직 반도체 칩이고, 제2 반도체 칩(220)이 메모리 반도체 칩인 경우, 제1 PCB 연결 단자(212)는 전원, 그라운드,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모두 전달될 수 있고,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214) 및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224)는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제2 PCB 연결 단자(214)는 전원 및 그라운드가 전달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칩(210) 및 제2 반도체 칩(220)과 배선 인터포저(300)가 수용된 인쇄회로기판(100)의 사이에는 언더필층(500)이 형성될 수 있다. 언더필층(500)은 예를 들면, 모세관 언더필(capillary under-fill)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언더필층(500)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언더필층(500)은 제1 연결 단자(212, 214) 및 제2 연결 단자(222, 224)를 감쌀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언더필층(500)은 상면 솔더 레지스트층(142)이 형성되지 않아서 노출되는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을 함께 덮을 수 있다.
이후,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및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을 덮는 몰딩층(600)을 형성하고, 인쇄회로기판(100)의 하면 패드(124) 상에 외부 연결 단자(700)를 부착하여, 반도체 패키지(1)를 형성할 수 있다. 몰딩층(600)은 예를 들면, EMC(Epoxy Mold Compoun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몰딩층(600)은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및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 각각의 측면을 덮되,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의 상면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패키지(1)는 제1 반도체 칩(210) 및 제2 반도체 칩(220)의 상면을 덮는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는 히트 슬러그(heat slug) 또는 히트 싱크(heat sink)와 같은 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방열판과 제1 반도체 칩(210) 및 제2 반도체 칩(220)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 소재(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소재는 페이스트 또는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는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패드(122)의 상면과 배선 인터포저(300)의 연결 패드(320)의 상면이 동일한 레벨을 가지므로, 제1 반도체 칩(210)과 배선 인터포저(300)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제2 반도체 칩(220)과 배선 인터포저(3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인터포저(300)를 통한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 또한 확보될 수 있다.
유격홈부(160, 170)를 가지므로,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면, 및 수용 캐비티부(150)를 채우는 접착 물질층(400)의 부분의 상면이 동일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 베이스(110), 인터포저 기판(310), 및 수용 캐비티부(150)를 채우는 접착 물질층(400)과 제1 반도체 칩(220)과의 사이 공간 및 제2 반도체 칩(220)과의 사이 공간이 균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언더필층(500)이 해당 공간을 원활하게 채울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패키지(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이다. 도 5에 대한 내용 중 도 2a, 및 도 4a 내지 도 4c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도 2a와 함께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1a)는 인쇄회로기판(100), 복수의 반도체 칩(200) 및 배선 인터포저(300)를 포함한다. 배선 인터포저(300)와 인쇄회로기판(100)은 동일한 레벨의 상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포저 기판(310)의 상면과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패드(122)의 상면과 배선 인터포저(300)의 연결 패드(320)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는 접착 물질층(400a)에 의하여 수용 캐비티부(150)에 수용될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 이외의 수용 캐비티부(150)의 공간들은 접착 물질층(400a)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접착 물질층(400a)은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a, 170a)도 함께 채울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접착 물질층(400)은 유격홈부(160a, 170a)의 일부분만을 채울 수 있다. 제1 반도체 칩(210) 및 제2 반도체 칩(220)의 하측에서, 기판 베이스(110), 인터포저 기판(310) 및 접착 물질층(400a)은 동일 레벨의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는 각각,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 사이의 영역 내를 거쳐서, 그 외측으로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므로, 접착 물질층(400a)은 제1 반도체 칩(210)의 하측, 제2 반도체 칩(220)의 하측, 그리고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 사이의 영역의 일부 및 그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접착 물질층(400a)은 수용 캐비티부(150)를 모두 채울 수 있으나, 유격홈부(160a, 170a)는 일부분만 채울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들 및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Y-Y' 선 또는 도 6b의 Y-Y' 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대한 내용 중 도 2a, 도 2b 및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c를 도 2a와 함께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1b)는 인쇄회로기판(100a), 복수의 반도체 칩(200) 및 배선 인터포저(300)를 포함한다.
배선 인터포저(300)는 접착 물질층(400b)에 의하여 수용 캐비티부(150)에 수용될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 이외의 수용 캐비티부(150)의 공간들은 접착 물질층(400b)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접착 물질층(400b)은 수용 캐비티부(150)을 모두 채우고, 유격홈부(160a, 170a)의 일부분만을 채울 수 있다. 유격홈부(160a, 170a) 중 접착 물질층(400b)이 채워지지 않은 공간(166a, 176a)은 몰딩층(60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도 6b 및 도 6c를 도 2b와 함께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1c)는 인쇄회로기판(100b), 복수의 반도체 칩(200) 및 배선 인터포저(300)를 포함한다.
배선 인터포저(300)는 접착 물질층(400c)에 의하여 수용 캐비티부(150)에 수용될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 이외의 수용 캐비티부(150)의 공간들은 접착 물질층(400c)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접착 물질층(400c)은 수용 캐비티부(150)을 모두 채우고, 유격홈부(160b, 170b)의 일부분만을 채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물질층(400c)은 제1 연장부(162b) 및 제2 연장부(172b)를 모두 채우고, 제1 말단부(164b) 및 제2 말단부(174b)의 일부분만을 채울 수 있다. 제1 말단부(164b) 및 제2 말단부(174b) 중 접착 물질층(400c)이 채워지지 않은 공간(166b, 176b)은 몰딩층(60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보인 반도체 패키지(1b, 1c)는 수용 캐비티부(150) 및 유격홈부(160a, 170a 또는 160b, 170b)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의 부피가 접착 물질층(400b, 400c)의 부피보다 크기 때문에, 유격홈부(160a, 170a 또는 160b, 170b)에 접착 물질층(400b, 400c)이 채워지지 않는 공간(166a, 176a 또는 166b, 176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물질층(400b, 400c)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접착 물질층(400b, 400c)의 일부분이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위로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물질층(400b, 400c)에 의하여 제1 반도체 칩(210)과 배선 인터포저(300) 사이의 전기적 연결 또는 제2 반도체 칩(220)과 배선 인터포저(3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언더필층(500)이 원활하게 형성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도체 패키지(1b, 1c)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a 또는 도 2b에 보인 인쇄회로기판(100a, 100b) 대신에 도 2c 또는 도 2d에 보인 인쇄회로기판(100c, 100d)을 채용하여 반도체 패키지를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 별도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 및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Y-Y'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대한 내용 중 도 4a 내지 도 6c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도 3a와 함께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1d)는 인쇄회로기판(100a), 복수의 반도체 칩(200) 및 배선 인터포저(300)를 포함한다.
배선 인터포저(300)는 접착 물질층(400d)에 의하여 수용 캐비티부(150)에 수용될 수 있다. 배선 인터포저(300) 이외의 수용 캐비티부(150)의 공간들은 접착 물질층(400d)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접착 물질층(400d)은 수용 캐비티부(150)와 연통되는 유격홈부(160e, 170e)도 함께 채울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는 각각, 수용 캐비티부(15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62e) 및 제2 연장부(172e), 그리고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의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제1 말단부(164e) 및 제2 말단부(174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말단부(164e) 및 제2 말단부(174e)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므로, 접착 물질층(400d)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제1 말단부(164e) 및 제2 말단부(174e)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물질층(400d)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접착 물질층(400d)이 제1 말단부(164e) 및 제2 말단부(174e)로 빠르게 이동하므로, 접착 물질층(400d)의 일부분이 기판 베이스(110)의 상면 위로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접착 물질층(400d)은 제1 말단부(164e) 및 제2 말단부(174e) 각각의 하측 일부분만을 채울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접착 물질층(400d)은 제1 연장부(162e) 및 제2 연장부(172e)로부터 제1 말단부(164e) 및 제2 말단부(174e) 각각의 단부로 연장되며 상면이 점차로 낮아질 수 있다. 제1 말단부(164e)의 단부 및 제2 말단부(174e) 중 접착 물질층(400d)이 채워지지 않은 상측 공간(166e, 176e)은 몰딩층(60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이다. 도 8 내지 도 14에 대한 내용 중 도 1a 내지 도 7b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는 인쇄회로기판(102), 제1 반도체 칩(230), 복수의 제2 반도체 칩(240) 및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302)를 포함한다.
제2 반도체 칩(240)은 제1 반도체 칩(230)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인접하여 각각 2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2 반도체 칩(240)은 제1 반도체 칩(230)의 일측에 인접하여 2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2 반도체 칩(240)은 제1 반도체 칩(230)의 네 측에 인접하여 각각 2개씩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일부 실시 예에서, 제2 반도체 칩(240)은 제1 반도체 칩(230)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인접하여 3개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반도체 칩(230)의 일측은 적어도 2개의 배선 인터포저(302)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반도체 칩(240)은 각 배선 인터포저(302)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2) 중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을 포함하는 부분은 도 4a 내지 도 4c에 보인 반도체 패키지(1)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반도체 패키지(2)의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및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 배치되는 배선 인터포저(302)는 도 4a 내지 도 4c에 보인 반도체 패키지(1)의 제1 반도체 칩(210)과 제2 반도체 칩(220), 배선 인터포저(30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 물질층(410)은 도 4a 내지 도 4c에 보인 접착 물질층(400)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반도체 패키지(2)가 가지는 배선 인터포저(302)의 개수와 제2 반도체 칩(24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반도체 칩(230)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제2 반도체 칩(240)의 사이에 1개의 배선 인터포저(302)가 배치되거나, 제1 반도체 칩(230)과 1개의 제2 반도체 칩(240)의 사이에 2개 이상의 배선 인터포저(302)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접착 물질층(410)은 수용 캐비티부(150)를 채우며, 배선 인터포저(302)의 저면 및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제1 반도체 칩(230)의 일부분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의 일부분은 대응되는 하나의 배선 인터포저(302)와 중첩될 수 있다. 접착 물질층(410) 중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의 영역을 따라서 배선 인터포저(30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1 연장 접착층(412)과 제2 연장 접착층(414)은 배선 인터포저(302)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장 접착층(412) 및 제2 연장 접착층(414)은 각각 제1 유격홈부(160) 및 제2 유격홈부(170)에 형성된 접착 물질층(410)의 부분일 수 있다. 제1 연장 접착층(412)은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제2 연장 접착층(414)은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a)는 인쇄회로기판(102a), 제1 반도체 칩(230), 복수의 제2 반도체 칩(240) 및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302)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는 접착 물질층(4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 물질층(410a)은 제1 유격홈부(160a)에 형성된 부분인 제1 연장 접착층(412a)과 제2 유격홈부(170)에 형성된 부분인 제2 연장 접착층(41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a)와 제2 유격홈부(170)는 수용 캐비티부(150)를 중심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유격홈부(160a)는 제2 유격홈부(170)보다 상대적으로 긴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패키지(2a)에 형성된 접착 물질층(410a) 중 제1 연장 접착층(412a)과 제2 연장 접착층(414a)은 배선 인터포저(302)를 중심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연장 접착층(412a)은 제2 연장 접착층(414a)보다 배선 인터포저(302)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연장 접착층(412a)의 연장 길이는,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 접착층(414a)의 연장 길이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b)는 인쇄회로기판(102b), 제1 반도체 칩(230), 복수의 제2 반도체 칩(240) 및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302)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는 접착 물질층(410b)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 물질층(410b)은 제1 유격홈부(160a)에 형성된 부분인 제1 연장 접착층(412b)과 제2 유격홈부(170a)에 형성된 부분인 제2 연장 접착층(4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칩(230)의 일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제2 반도체 칩(240) 각각과 중첩되는 2개의 배선 인터포저(302)이 수용된 수용 캐비티부(150)로부터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유격홈부(170a)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연장 접착층(412a)은 단부를 가지나,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 접착층(414a)은 제1 반도체 칩(230)과 다른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 배치된 다른 제2 연장 접착층(414a)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c)는 인쇄회로기판(102c), 제1 반도체 칩(230), 복수의 제2 반도체 칩(240) 및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302)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는 접착 물질층(410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a)에 형성된 접착 물질층(410c)의 부분인 제1 연장 접착층(412c)은 제1 유격홈부(160a)를 모두 채우지 않을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a) 중 제1 연장 접착층(412c)이 채워지지 않은 공간(166c)은 도 6c에 보인 것과 같이 몰딩층(60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d)는 인쇄회로기판(102d), 제1 반도체 칩(230), 복수의 제2 반도체 칩(240) 및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302)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는 접착 물질층(410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b)에 형성된 접착 물질층(410d)의 부분인 제1 연장 접착층(412d)은 제1 유격홈부(160b)를 모두 채우지 않을 수 있다. 제1 유격홈부(160b) 중 제1 연장 접착층(412d)이 채워지지 않은 공간(166d)은 도 6c에 보인 것과 같이 몰딩층(60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e)는 인쇄회로기판(102e), 제1 반도체 칩(230), 복수의 제2 반도체 칩(240) 및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302)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는 접착 물질층(410e)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 물질층(410e)은 제1 유격홈부(160e)에 형성된 부분인 제1 연장 접착층(412e)과 제2 유격홈부(170)에 형성된 부분인 제2 연장 접착층(414e)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2e)에 형성된 접착 물질층(410e) 중 제1 연장 접착층(412e)과 제2 연장 접착층(414e)은 배선 인터포저(302)를 중심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장 접착층(412e)은 제2 연장 접착층(414e)보다 배선 인터포저(302)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연장 접착층(412e)의 연장 길이는,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 접착층(414e)의 연장 길이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장 접착층(412e)은 배선 인터포저(302)에 인접한 부분보다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제1 연장 접착층(412e)의 단부는 제1 유격홈부(160e)의 하측 일부분만을 채울 수 있다. 도 7b에 보인 상측 공간(166e)과 유사하게, 제1 유격홈부(160e) 중 제1 연장 접착층(412e)이 채워지지 않은 상측 공간은 도 7b에 보인 것과 같이 몰딩층(60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f)는 인쇄회로기판(102f), 제1 반도체 칩(230), 복수의 제2 반도체 칩(240) 및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302)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칩(230)과 하나의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는 접착 물질층(410f)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 물질층(410f)은 제1 유격홈부(160e)에 형성된 부분인 제1 연장 접착층(412f)과 제2 유격홈부(170e)에 형성된 부분인 제2 연장 접착층(414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접착층(412f) 및 제2 연장 접착층(414f)은 각각 배선 인터포저(302)에 인접한 부분보다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연장 접착층(412f)은 단부를 가지나, 다른 제2 반도체 칩(24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 접착층(414f)은 제1 반도체 칩(230)과 다른 제2 반도체 칩(240) 사이에 배치된 다른 제2 연장 접착층(414f)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제1 연장 접착층(412f) 및 제2 연장 접착층(414f)의 부분은 각각,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의 하측 일부분만을 채울 수 있다. 도 7b에 보인 상측 공간(166e, 176e)과 유사하게, 제1 유격홈부(160e) 및 제2 유격홈부(170e) 중 제1 연장 접착층(412f) 및 제2 연장 접착층(414f)이 채워지지 않은 상측 공간은 도 7b에 보인 것과 같이 몰딩층(600)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1100)는 마이크로 처리 유닛(1110), 메모리(1120), 인터페이스(1130), 그래픽 처리 유닛(1140), 기능 블록들(1150) 및 이를 연결하는 버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1100)는 마이크로 처리 유닛(1110) 및 그래픽 처리 유닛(1140)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으나, 그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처리 유닛(1110)은 코어(core) 및 L2 캐시(cach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처리 유닛(1110)은 멀티-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코어의 각 코어는 성능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멀티-코어의 각 코어는 동시에 활성화되거나 서로 활성화되는 시점을 달리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마이크로 처리 유닛(1110)의 제어에 의해 기능 블록들(1150)에서 처리한 결과 등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처리 유닛(1110)은 의 L2 캐시에 저장된 내용이 플러시(flush)됨에 따라 메모리(1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30)는 외부의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130)는 카메라, LCD 및 스피커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유닛(1140)은 그래픽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래픽 처리 유닛(1140)은 비디오 코덱을 수행하거나, 3D 그래픽을 처리할 수 있다.
기능 블록들(1150)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패키지(1100)가 모바일 장치에 사용되는 AP인 경우, 기능 블록들(1150) 중 일부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1100)는 도 1a 내지 도 14를 통하여 예시한 반도체 패키지(1, 1a, 1b, 1c, 1d, 2, 2a, 2b, 2c, 2d, 2e, 2f)일 수 있다. 마이크로 처리 유닛(1110) 및/또는 그래픽 처리 유닛(1140)은 도 1a 내지 도 14에 예시한 제1 반도체 칩(210, 230)일 수 있다. 메모리(1120)는 도 1a 내지 도 14에서 예시한 제1 반도체 칩(220, 240)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130) 및 기능 블록들(1150)은 도 1a 내지 도 14에 예시한 제1 반도체 칩(210, 230)의 일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1100)는 마이크로 처리 유닛(1110) 및/또는 그래픽 처리 유닛(1140)과 메모리(1120)를 함께 포함하며, 마이크로 처리 유닛(1110) 및/또는 그래픽 처리 유닛(1140)과 메모리(1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반도체 패키지(1100)는 고용량, 고성능 및 고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1a, 1b, 1c, 1d, 2, 2a, 2b, 2c, 2d, 2e, 2f : 반도체 패키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기판 베이스,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의 배치되는 복수의 상면 패드,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며 상기 수용 캐비티부와 연통되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수용 캐비티부에 수용되며, 인터포저 기판 및 상기 인터포저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패드를 가지는 배선 인터포저;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및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와 접속하는 복수의 연결 단자를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부착되는 제1 반도체 칩, 및 제2 반도체 칩; 및
    상기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의 적어도 일부분를 채우며, 상기 배선 인터포저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는 접착 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도체 칩 및 상기 제2 반도체 칩 각각의 하측에서,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 상기 인터포저 기판의 상면, 및 상기 접착 물질층의 상면은 동일 레벨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는,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중 일부개와 접속하여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PCB 연결 단자,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 중 일부개와 접속하여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배선 인터포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중 다른 일부개와 접속하여 상기 제2 반도체 칩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PCB 연결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 중 다른 일부개와 접속하여 상기 제2 반도체 칩과 상기 배선 인터포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PCB 연결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PCB 연결 단자가 접속하는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각각의 상면, 및 상기 복수의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가 접속하는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 각각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레벨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칩 및 상기 제2 반도체 칩은 제1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는, 상기 수용 캐비티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유격홈부 및 제2 유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캐비티부와 상기 제1 유격홈부 및 상기 제2 유격홈부는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동일한 깊이로 리세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격홈부와 상기 제2 유격홈부는 상기 수용 캐비티부를 중심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및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제2 반도체 칩을 덮는 몰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의 단부의 일부분은 상기 몰딩층에 의하여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식각 정지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선 인터포저의 저면과 상기 식각 정지 패턴은, 상기 접착 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는 상기 수용 캐비티부로부터 동일한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는 다른 폭을 가지는 말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제2 반도체 칩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제2 반도체 칩의 사이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18. 기판 베이스,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의 배치되는 복수의 상면 패드,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복수의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며 상기 수용 캐비티부와 연통되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수용 캐비티부에 각각 수용되며, 인터포저 기판 및 상기 인터포저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패드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및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와 접속하는 복수의 연결 단자를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부착되는 제1 반도체 칩, 및 복수의 제2 반도체 칩; 및
    상기 수용 캐비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격홈부의 적어도 일부분를 채우며, 상기 배선 인터포저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는 접착 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도체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반도체 칩 각각의 하측에서, 상기 기판 베이스의 상면, 상기 인터포저 기판의 상면, 및 상기 접착 물질층의 상면은 동일 레벨이며,
    상기 복수의 제2 반도체 칩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는,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중 일부개와 접속하여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PCB 연결 단자,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 중 일부개와 접속하여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배선 인터포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중 다른 일부개와 접속하여 상기 제2 반도체 칩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PCB 연결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 중 다른 일부개와 접속하여 상기 제2 반도체 칩과 상기 배선 인터포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PCB 연결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PCB 연결 단자가 접속하는 상기 복수의 상면 패드 각각의 상면, 및 상기 복수의 제1 인터포저 연결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인터포저 연결 단자가 접속하는 상기 복수의 연결 패드 각각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레벨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 인터포저 각각은,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일부분 및 상기 복수의 제2 반도체 칩 중 하나의 일부분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2 반도체 칩 각각과 중첩되는 상기 배선 인터포저가 수용된 2개의 상기 수용 캐비티부로부터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도 유격홈부들은 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KR1020160100884A 2016-08-08 2016-08-08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KR102595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84A KR102595896B1 (ko) 2016-08-08 2016-08-08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US15/485,794 US10199319B2 (en) 2016-08-08 2017-04-12 Printed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same
TW106120497A TWI711351B (zh) 2016-08-08 2017-06-20 印刷電路板以及包含該電路板的半導體封裝
CN201710470178.6A CN107708303B (zh) 2016-08-08 2017-06-20 印刷电路板和包括印刷电路板的半导体封装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84A KR102595896B1 (ko) 2016-08-08 2016-08-08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890A KR20180016890A (ko) 2018-02-20
KR102595896B1 true KR102595896B1 (ko) 2023-10-30

Family

ID=6106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84A KR102595896B1 (ko) 2016-08-08 2016-08-08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99319B2 (ko)
KR (1) KR102595896B1 (ko)
CN (1) CN107708303B (ko)
TW (1) TWI7113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896B1 (ko) * 2016-08-08 2023-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KR20180086804A (ko) * 2017-01-23 2018-08-01 앰코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US10340253B2 (en) * 2017-09-26 2019-07-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670824B (zh) * 2018-03-09 2019-09-01 欣興電子股份有限公司 封裝結構
KR102519001B1 (ko) * 2018-05-28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모듈
US11784108B2 (en) * 2019-08-06 2023-10-10 Intel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in integrated circuit packages
US11830787B2 (en) 2019-08-06 2023-11-28 Intel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in integrated circuit packages
US20210043573A1 (en) * 2019-08-06 2021-02-11 Intel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in integrated circuit packages
KR20210152255A (ko) * 2020-06-08 2021-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KR20220008168A (ko)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KR20220084677A (ko) 2020-12-14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KR20220092690A (ko) 2020-12-24 202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US11908764B2 (en) * 2021-08-31 2024-02-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a circuit substrate having a cavity and a floor plate embedded in a dielectric material and a semiconductor die disposed in the cav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1311A (ja) * 2005-03-16 2006-09-28 Sony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78405A (ja) * 2011-02-25 2012-09-13 Teramikros Inc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1073B1 (en) * 1990-02-09 1998-09-16 Toyo Communication Equipment Co. Ltd. Packaged piezoelectric resonator
US6707163B2 (en) * 2001-04-13 2004-03-16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of eliminating uncontrolled voids in sheet adhesive layer
JP2003318311A (ja) * 2002-04-22 2003-11-07 Nec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s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233193B (en) * 2002-11-29 2005-05-21 Via Tech Inc High-density multi-chip module structure and the forming method thereof
JP3709882B2 (ja) * 2003-07-22 2005-10-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路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KR100650707B1 (ko) 2006-01-25 2006-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임베디드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작 방법
US7892882B2 (en) * 2006-06-09 2011-02-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with improved thermal performance
KR100891330B1 (ko) * 2007-02-21 2009-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장치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과,반도체 패키지 장치를 갖는 카드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장치를 갖는 카드 장치의 제조 방법
US9894771B2 (en) * 2007-05-08 2018-02-13 Joseph Charles Fjelstad Occam process for components having variations in part dimensions
US8064224B2 (en) * 2008-03-31 2011-11-22 Intel Corporation Microelectronic package containing silicon patches for high density interconne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1276766B (zh) * 2008-05-16 2010-09-08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覆晶封装方法
TWM354174U (en) * 2008-11-27 2009-04-01 Chipsip Technology Co Ltd Package structure with cavity
US8274165B2 (en) * 2009-02-10 2012-09-25 Headway Technologies, Inc. Semiconductor substrate, laminated chip package, semiconductor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515621B (zh) * 2009-02-19 2011-03-30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发光二极管芯片、制法及封装方法
CN101853835B (zh) * 2009-04-03 2012-10-03 南茂科技股份有限公司 倒装芯片封装的制造方法
JP5442424B2 (ja) * 2009-12-25 2014-03-12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8288854B2 (en) * 2010-05-19 2012-10-16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598695B2 (en) * 2010-07-23 2013-12-03 Tessera, Inc. Active chip on carrier or laminated chip having microelectronic element embedded therein
KR20120034410A (ko) * 2010-10-01 201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30075251A (ko) * 2011-12-27 201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DE102012105677B4 (de) * 2012-06-28 2016-06-0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euchtdiodenmodul und Kfz-Scheinwerfer
US8872349B2 (en) * 2012-09-11 2014-10-28 Intel Corporation Bridge interconnect with air gap in package assembly
JP2013051432A (ja) 2012-10-25 2013-03-14 Toshiba Corp 電子機器、電子部品、および基板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9190380B2 (en) * 2012-12-06 2015-11-17 Intel Corporation High density substrate routing in BBUL package
US9236366B2 (en) * 2012-12-20 2016-01-12 Intel Corporation High density organic bridge device and method
CN103021877B (zh) * 2012-12-22 2016-03-0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九研究所 一种采用双路径传热的高密度芯片散热方法
US9349703B2 (en) * 2013-09-25 2016-05-24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high density substrate interconnect using inkjet printing
JP2016051726A (ja) 2014-08-28 2016-04-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US9666559B2 (en) * 2014-09-05 2017-05-30 Invensas Corporation Multichip modul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9653407B2 (en) * 2015-07-02 2017-05-16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device packages
KR102632563B1 (ko) * 2016-08-05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KR102595896B1 (ko) * 2016-08-08 2023-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1311A (ja) * 2005-03-16 2006-09-28 Sony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78405A (ja) * 2011-02-25 2012-09-13 Teramikros Inc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11351B (zh) 2020-11-21
TW201824965A (zh) 2018-07-01
CN107708303B (zh) 2021-05-07
CN107708303A (zh) 2018-02-16
US20180040549A1 (en) 2018-02-08
KR20180016890A (ko) 2018-02-20
US10199319B2 (en)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5896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US10665571B2 (en) Semiconductor package
US9142473B2 (en) Stacked type power device module
US20140251658A1 (en) Thermally enhanced wiring board with built-in heat sink and build-up circuitry
US7656015B2 (en) Packaging substrate having heat-dissipating structure
KR102134133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71128B2 (en) Semiconductor package
JP2015106615A (ja) プリント配線板、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101069499B1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3375B1 (ko) 반도체 패키지
KR100907508B1 (ko)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4964A (ko) 반도체 패키지
JP4839471B2 (ja) 電子素子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70576B2 (en) Wiring board and electronic device module
US1066741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WO2007147366A1 (en) Ic packages with internal heat dissipation structures
TWI525787B (zh) 晶片立體堆疊體之散熱封裝構造
US9633923B2 (en) Electronic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482507B2 (en)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molding member and heat dissipation member
KR101027984B1 (ko) 히트싱크를 갖는 기판보드 어셈블리
KR101089647B1 (ko) 단층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4286A (ko) 고방열 pcb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방열 pcb
US20220375822A1 (en) Electronic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77811B1 (ko) 전자 소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13439A (ja) 半導体素子実装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