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562B1 -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562B1
KR102588562B1 KR1020200176860A KR20200176860A KR102588562B1 KR 102588562 B1 KR102588562 B1 KR 102588562B1 KR 1020200176860 A KR1020200176860 A KR 1020200176860A KR 20200176860 A KR20200176860 A KR 20200176860A KR 102588562 B1 KR102588562 B1 KR 102588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ring
parts
heating
weigh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422A (ko
Inventor
서광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에프
Priority to KR102020017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5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23L2/082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by membrane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원재료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차가열하여, 제1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가열물을, 제1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 상기 방치가 완료된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차가열하여, 제2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제2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 상기 방치된 제2가열물로부터 추출수를 여과하는 단계; 제2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원재료를 상기 추출수에 투입하여 제2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차가열하여, 제3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건조된 으름잎과 건조된 으름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및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으름액을 제조하는 단계; 노니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갈조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곡물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으름 및 노니를 이용하여, 출산후 산후조리 여성의 보양, 성인병 예방 및 다이어트를 위한 체중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Health Functional bevera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으름 원액과 노니 숙성액을 포함하여 제조된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오염된 대기질 및 서구화된 식생활, 음주,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식사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암, 면역력약화, 성인병, 위장질환, 고혈압, 당뇨, 심혈관 질환, 피로누적 등 다양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위 질병의 예방,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위한 건강 기능 식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타민, 미네랄 제제 뿐 아니라,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을 가공한 식품이나, 천연물질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 건강 기능성 음료는 시중에 많이 판매되고 있으나, 으름 및 노니를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조한 사례는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으름 및 노니를 이용한, 출산후 산후조리 여성의 보양, 성인병 예방 및 다이어트를 위한 체중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는 전무한 상태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03994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으름을 이용하여, 출산후 산후조리 여성의 보양, 성인병 예방 및 다이어트를 위한 체중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원재료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차가열하여, 제1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가열물을, 제1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 상기 방치가 완료된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차가열하여, 제2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제2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 상기 방치된 제2가열물로부터 추출수를 여과하는 단계; 제2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원재료를 상기 추출수에 투입하여 제2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차가열하여, 제3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건조된 으름잎과 건조된 으름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및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으름액을 제조하는 단계; 노니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갈조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곡물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원재료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으름잎과 상기 건조된 으름껍질은,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4.2 내지 7.1 중량부로 포함되며, 또한, 상기 한약재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2.8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원재료를 상기 추출수에 투입하여 제2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으름액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1.4 중량부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되고, 또한, 상기 노니 숙성액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7.1 중량부 내지 11.4 중량부로 포함되며, 또한, 상기 갈조류 분말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7.1 중량부 내지 14.2 중량부로 포함되고, 또한, 상기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2.8 중량부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되고, 또한, 상기 곡물 분말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12.8 중량부 내지 15.7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차가열하여, 제1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온도를 유지하며 제1시간동안 제1차가열하는 것이며, 상기 제1온도는 45 내지 55℃의 온도이고, 상기 제1시간은 50분 내지 70분이며, 상기 제1가열물을, 제1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가열물을 상온에서 방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일정시간은 50분 내지 70분이며, 상기 방치가 완료된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차가열하여, 제2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온도를 유지하며 제2시간동안 제2차가열하는 것이며, 상기 제2온도는 100 내지 105℃의 온도이고, 상기 제2시간은 1시간 내지 2시간이며,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제2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상온에서 방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2일정시간은 23시간 내지 25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차가열하여, 제3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온도를 유지하며 제3시간동안 제3차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제3온도는 100 내지 105℃의 온도이고, 상기 제2시간은 15분 내지 3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갈조류 분말은, 건조된 미역 및 건조된 다시마를 1:0.5 내지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곡물은, 찹쌀, 찰현미, 현미, 찰흑미, 메흑미, 할맥, 압맥, 쌀보리쌀, 찰보리쌀, 늘보리쌀, 귀리쌀, 밀쌀, 기장쌀, 수수쌀, 완두콩, 렌틸콩, 동부콩, 백태, 적두, 차좁쌀, 강낭콩 및 울타리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으름 및 노니를 이용하여, 출산후 산후조리 여성의 보양, 성인병 예방 및 다이어트를 위한 체중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원재료인 으름껍질 및 으름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이후, 제2원재료인 으름액과 노니액을 혼합함으로써, 으름과 노니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원재료인 으름껍질 및 으름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함에 있어서, 제1차가열, 제1차가열물 방치, 제2차가열 및 제2차가열물 방치의 4단계를 거쳐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더욱 진하게 우러나옴과 동시에,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은, 제1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0); 상기 제1원재료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110);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차가열하여, 제1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S120); 상기 제1가열물을, 제1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S130); 상기 방치가 완료된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차가열하여, 제2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S140);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제2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S150); 및 상기 방치된 제2가열물로부터 추출수를 여과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0)는, 건조된 으름잎과 건조된 으름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및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된 으름잎과 건조된 으름껍질을 준비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으름은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목 으름덩굴과 으름속에 속하는 만목으로 우리나라 전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학명은 akebia quinata이고 임하부인(林下婦人), 목통(木通), 통초(通草)라고도 하며, 으름열매는 연복자 (燕覆子)라고 부르기도 하며, 골짜기나 계곡에 주로 서식하며 이웃나무에 감아 올라가거나 바위에 기대어 자란다.
잎과 열매의 모양이 특이해 조경용으로도 이용되며 뿌리와 줄기, 열매 모두 식용 가능하다. 열매는 9 월이나 10 월에 열리며 과육은 굽어진 타원형이고 길이는 6 내지 10 ㎝ 정도로 매우 두꺼운 껍질을 가지고 있다.
완전히 익은 경우 열매 껍질이 갈라져 하얗고 무른 속과 검은 씨앗들이 나오는 특징이 있다. 줄기와 뿌리는 가을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 후 차를 끓여서 마시기도 하며, 열매는 가을에 성숙한 것을 채취하여 생으로 쓰거나 그늘에 말려서 차를 끓여 마시기도 했다. 또한, 어린잎은 데쳐서 나물로 먹고, 익은 열매는 과실로 먹기도 하였다.
한편, 으름 줄기와 뿌리는 한의학에서 약재로 쓰이기도 했으며 이뇨작용, 항균작용, 항염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으름 열매에는 사포닌,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과 같은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된 으름잎과 상기 건조된 으름껍질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으름잎과 으름껍질을 함수율이 5 내지 30%가 되도록 그늘에서 건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는 익모초와 감초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익모초(Leonurus japonicus Houttuyn)는 익모초의 지상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익모초의 꽃이 피기 전 채취한 지상부를 사용하며, 이 때 줄기 및 잎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초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한약재는 상기 익모초와 상기 감초를 함수율이 5 내지 30%가 되도록 그늘에서 건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 및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1원재료를 준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원재료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110)는, 상기 제1원재료 및 상기 정제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제1혼합물을 준비하며, 상기 제1원재료와 상기 정제수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제1원재료는, 건조된 으름잎과 건조된 으름껍질; 및 한약재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된 으름잎과 건조된 으름껍질은,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4.2 내지 7.1 중량부로 포함되며, 또한, 상기 한약재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2.8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된다. 이때, 상기 중량부는 중량(Kg)을 기준으로 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차가열하여, 제1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S120)는,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온도를 유지하며 제1시간동안 제1차가열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온도는 45 내지 55℃의 온도에 해당하며, 상기 제1시간은 50분 내지 70분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가열물을, 제1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S130)는, 상기 제1가열물을 상온, 예를 들어, 22 내지 26℃에서 방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일정시간은 50분 내지 70분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제1가열물을 상온에서 제1일정시간동안 방치함으로써,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상기 정제수에 우러나올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열물을 방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가열물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방치가 완료된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차가열하여, 제2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S140)는,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온도를 유지하며 제2시간동안 제2차가열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온도는 100 내지 105℃의 온도에 해당하며, 상기 제2시간은 1시간 내지 2시간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제2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S150)는,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상온, 예를 들어, 22 내지 26℃에서 방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2일정시간은 23시간 내지 25시간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제2가열물을 상온에서 제2일정시간동안 방치함으로써,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상기 정제수에 우러나올 수 있으며, 상기 제2가열물을 방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가열물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가열물은 밀봉되어 있어, 밀봉하지 않고 상온에 방치하는 경우보다 제2가열물의 온도가 낮아지는 속도가 늦으며, 따라서, 상기 원재료의 성분이 상기 정제수에 더욱 진하게 우러나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차가열하고, 상기 제1차가열된 제1가열물을 방치한 후, 상기 방치된 제1차가열물을 제2차가열하고, 이후, 상기 제2차가열물을 방치하는 공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제1차가열, 제1차가열물 방치, 제2차가열 및 제2차가열물 방치의 4단계를 거쳐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는 것은,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더욱 진하게 우러나옴과 동시에,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차가열의 경우, 상기 제2차가열과 비교하여 다소 낮은 온도에서 가열을 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제1원재료에 예비적인 가열이 가해지고, 이러한 예비적인 가열은 상기 원재료가 다소 낮은 온도에서 정제수를 함수함으로써, 이후의 제2차가열시,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더욱 진하게 우러나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가열물을 방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원재료는 더욱더 많은 정제수를 함수하게 되며, 이를 통해, 이후의 제2차가열시,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더욱 진하게 우러나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차가열의 단계와 상기 제1차가열물의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소 낮은 온도에서 단계가 진행되므로,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파괴되는 정도가 낮은 상태에서,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우러나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방치된 제2가열물로부터 추출수를 여과하는 단계(S160)는, 상기 방치된 제2가열물로부터 잔유 부산물을 제거하고, 거름망 등의 여과기를 통해 액상의 추출수를 여과하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여과기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수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본 S160 단계를 통해, 상기 제1원재료인, 건조된 으름잎과 건조된 으름껍질 및 한약재 등과 먼지 등의 부산물이 제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은, 제2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70); 상기 제2원재료를 상기 추출수에 투입하여 제2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180); 및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차가열하여, 제3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70)는, 으름액을 제조하는 단계; 노니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갈조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곡물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으름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으름액은 상술한 바와 같은 으름 과육을 압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으름 과육을 압축하는 것은 공지된 압축기를 통해 으름액을 제조할 수 있고,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으름 과육을 압축하는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노니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노니(Morinda citrifolia)는 꼭두서니과의 다년생 상록관목 식물로서 동의보감에 해파극, 파극천이라는 생약명으로 수재되어 있다.
노니는 식물성 화학 물질을 비롯하여 영양성분을 포함한 약 200여 종 이상의 다양한 성분들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루틴(rutin), 우르솔산(ursolic acid), 프로제로닌(proxeronine), 담나칸탈(damnacanthal) 및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항균, 항바이러스, 항고혈압,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노니 열매는 소염진통, 혈당억제, 변비해소, 지혈, 염증해소 등의 효능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니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노니 숙성액은, 노니를 발효후 숙성하여 숙성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니의 발효 및 숙성 방법은,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10-2020-0039940을 참조할 수 있고,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노니 숙성액의 발효 및 숙성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갈조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상기 갈조류 분말은, 건조된 미역 및 건조된 다시마를 1:0.5 내지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상기 갈조류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을 준비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상기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은, 일반적으로, 전통 고령토 장작가마에서 1300℃로 구워낸 도자기에, 국내산 천일염을 담아 800℃의 고온에서 가열함으로써 제조된 것으로, 이는 유해성분이 제거된 미네랄 알카리성 소금으로 잘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곡물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은 22종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물은, 찹쌀, 찰현미, 현미, 찰흑미, 메흑미, 할맥, 압맥, 쌀보리쌀, 찰보리쌀, 늘보리쌀, 귀리쌀, 밀쌀, 기장쌀, 수수쌀, 완두콩, 렌틸콩, 동부콩, 백태, 적두, 차좁쌀, 강낭콩, 울타리콩을 포함하며, 상기 곡물을 하기 표 1에 따른 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준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 및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2원재료를 준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원재료를 상기 추출수에 투입하여 제2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S180)는, 상기 제2원재료 및 상기 추출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제2혼합물을 준비하며, 상기 제2원재료와 상기 추출수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제2원재료는, 으름액; 노니 숙성액; 갈조류 분말;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 및 곡물 분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으름액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1.4 중량부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되고, 또한, 상기 노니 숙성액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7.1 중량부 내지 11.4 중량부로 포함되며, 또한, 상기 갈조류 분말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7.1 중량부 내지 14.2 중량부로 포함되고, 또한, 상기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2.8 중량부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되고, 또한, 상기 곡물 분말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12.8 중량부 내지 15.7 중량부로 포함된다. 이때, 상기 중량부는 중량(Kg)을 기준으로 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차가열하여, 제3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S190)는,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온도를 유지하며 제3시간동안 제3차가열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온도는 100 내지 105℃의 온도에 해당하며, 상기 제2시간은 15분 내지 30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제3차가열을 통해, 제3가열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제3가열물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가열물은 상기 제3차가열의 과정에서, 상기 추출수에 함유된 물이 증발하면서, 일정 점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일정 점도를 포함하는 상기 제3가열물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가열물을 추가적으로 가열하는 경우, 상기 제3가열물은 죽과 같은 상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제3가열물을 계속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추출수에 함유된 물이 모두 증발하는 경우, 상기 제3가열물은 고형화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형화된 제3가열물을 분쇄하여 분말화 한 후, 상기 분말화된 제3가열물을 다시 물에 혼합하여 음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건강 기능성 음료의 범주는, 상기 분말화된 제3가열물을 다시 물에 혼합하여 음료화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S190 단계를 거친 제3가열물을 건강 기능성 음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S190 단계를 거친 제3가열물을 추가적으로 가열하여 고형화한 후, 상기 고형화된 제3가열물을 분말화하여 활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분말화된 제3가열물을 물에 혼합하여 음료화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 건강 기능성 음료는 시중에 많이 판매되고 있으나, 으름 및 노니를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조한 사례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으름 및 노니를 이용하여, 출산후 산후조리 여성의 보양, 성인병 예방 및 다이어트를 위한 체중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원재료인 으름껍질 및 으름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이후, 제2원재료인 으름액과 노니액을 혼합함으로써, 으름과 노니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원재료인 으름껍질 및 으름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함에 있어서, 제1차가열, 제1차가열물 방치, 제2차가열 및 제2차가열물 방치의 4단계를 거쳐 건강 기능성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더욱 진하게 우러나옴과 동시에, 상기 제1원재료의 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은,
    제1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원재료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차가열하여, 제1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가열물을, 제1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
    상기 방치가 완료된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차가열하여, 제2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제2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
    상기 방치된 제2가열물로부터 추출수를 여과하는 단계;
    제2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원재료를 상기 추출수에 투입하여 제2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차가열하여, 제3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건조된 으름잎과 건조된 으름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및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으름액을 제조하는 단계; 노니 숙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갈조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곡물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원재료는, 건조된 으름잎, 건조된 으름껍질 및 한약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원재료는 으름액, 노니 숙성액, 갈조류 분말,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 및 곡물 분말을 곡물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차가열하여, 제1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혼합물을, 제1온도를 유지하며 제1시간동안 제1차가열하는 것이며, 상기 제1온도는 45 내지 55℃의 온도이고, 상기 제1시간은 50분 내지 70분이며,
    상기 제1가열물을, 제1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가열물을 상온에서 방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일정시간은 50분 내지 70분이며,
    상기 방치가 완료된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차가열하여, 제2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가열물을, 제2온도를 유지하며 제2시간동안 제2차가열하는 것이며, 상기 제2온도는 100 내지 105℃의 온도이고, 상기 제2시간은 1시간 내지 2시간이며,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제2일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2가열물을 밀봉하여 상온에서 방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2일정시간은 23시간 내지 25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차가열하여, 제3가열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혼합물을, 제3온도를 유지하며 제3시간동안 제3차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제3온도는 100 내지 105℃의 온도이고, 상기 제2시간은 15분 내지 3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차가열, 상기 제1가열물의 방치, 상기 제2차가열 및 상기 제2가열물의 방치의 4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방치된 제2가열물을 제조하며,
    상기 제1차가열의 경우, 상기 제2차가열과 비교하여 낮은 온도에서 가열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재료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으름잎과 상기 건조된 으름껍질은,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4.2 내지 7.1 중량부로 포함되며, 또한, 상기 한약재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2.8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재료를 상기 추출수에 투입하여 제2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으름액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1.4 중량부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되고, 또한, 상기 노니 숙성액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7.1 중량부 내지 11.4 중량부로 포함되며, 또한, 상기 갈조류 분말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7.1 중량부 내지 14.2 중량부로 포함되고, 또한, 상기 도자기에서 구운 소금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2.8 중량부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되고, 또한, 상기 곡물 분말은, 상기 추출수 100 중량부 대비 12.8 중량부 내지 15.7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 분말은, 건조된 미역 및 건조된 다시마를 1:0.5 내지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곡물은, 찹쌀, 찰현미, 현미, 찰흑미, 메흑미, 할맥, 압맥, 쌀보리쌀, 찰보리쌀, 늘보리쌀, 귀리쌀, 밀쌀, 기장쌀, 수수쌀, 완두콩, 렌틸콩, 동부콩, 백태, 적두, 차좁쌀, 강낭콩 및 울타리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200176860A 2020-12-16 2020-12-16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860A KR102588562B1 (ko) 2020-12-16 2020-12-16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860A KR102588562B1 (ko) 2020-12-16 2020-12-16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422A KR20220086422A (ko) 2022-06-23
KR102588562B1 true KR102588562B1 (ko) 2023-10-12

Family

ID=8222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860A KR102588562B1 (ko) 2020-12-16 2020-12-16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5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144A (ko) * 2000-04-08 2000-07-05 김도현 혼합곡물 및 한약재 혼합음료
KR100574236B1 (ko) * 2003-11-22 2006-04-26 황재복 노니열매를 이용한 노니액기스 제조방법
KR101303306B1 (ko) * 2011-05-23 2013-09-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53177B1 (ko) 2018-10-08 2020-09-07 박은영 발효 및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노니 음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422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5121A (zh) 一种海苔紫薯条及其制备方法
KR101973386B1 (ko)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능이버섯 세갈비 양념소스를 이용한 양념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6616109A (zh) 一种灵芝饮品的制作方法
KR102340831B1 (ko)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190031084A (ko) 감 시럽의 제조 방법
KR102084859B1 (ko) 울금꽃 모링가 발효효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31787A (zh) 一种水果大米粉
KR102588562B1 (ko) 건강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9993B1 (ko)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
KR101796674B1 (ko) 하수오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하수오 발효식품
KR101802789B1 (ko) 꾸지뽕 부위별 산물을 이용한 꾸지뽕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29064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전통한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KR102175589B1 (ko) 귤과 사과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CN104304880A (zh) 一种生肌除烦木耳香蜂蜜及其制备方法
CN104068338A (zh) 一种拔丝海带紫米饼及其制备方法
KR102163202B1 (ko) 숙취해소용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환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304878A (zh) 一种糯米鱼浆开胃蜜及其制备方法
CN104856140A (zh) 一种香菇鸡鲜汤料及其加工方法
KR102492573B1 (ko) 우동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720927B1 (ko) 도라지 및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음료
KR102340850B1 (ko) 석류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9717375A (zh) 一种具有红橙口感的年糕及其制备方法
Mandave et al. Jackfruit seed flour: Process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