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272B1 -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272B1
KR102585272B1 KR1020217029391A KR20217029391A KR102585272B1 KR 102585272 B1 KR102585272 B1 KR 102585272B1 KR 1020217029391 A KR1020217029391 A KR 1020217029391A KR 20217029391 A KR20217029391 A KR 20217029391A KR 102585272 B1 KR102585272 B1 KR 102585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cover
side panel
cushion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080A (ko
Inventor
카즈끼 모리따
카즈히로 아베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12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팽창 전개 시의 안전면을 배려하면서 승차인을 완전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는 스티어링 휠(106)과 에어백 모듈(105)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106)은 중앙 허브(108)와 림(114)을 가진다. 림(114)은 허브(108)의 상방 범위가 일부 생략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허브(108)는 에어백 모듈(105)을 수용하는 모듈 수용부(109)와, 모듈 수용부(109)를 덮는 쿠션(104)의 팽창압으로 개열 가능한 커버(110)를 가진다. 커버(110)는 쿠션(104)의 팽창압으로 열리는 커버 도어(162a, 162b)를 포함한다. 커버(110)가 개열했을 때, 커버 도어(162a, 162b)는 허브(108)의 중앙(P3)으로부터 보아 좌우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열리고, 허브(108)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직상 방향에는 커버 도어가 없는 공간부(S1)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긴급 시에 승차인을 구속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가 대부분 표준 장비되어 있다.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은 주로 스티어링 휠의 중앙 허브(Hub)에 수용되어 있고, 수지제의 커버 부재 등을 그 팽창압으로 개열(開裂)하여 승차인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한다. 통상 스티어링 휠은 상측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에어백(1)의 상부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경사진 스티어링 휠로부터 팽창 전개할 때에도 프론트면(1f)(승차인 구속면)이 연직이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 제3991739호 공보
최근 전기적인 신호를 개재하여 조타력을 휠에 전달하는 새로운 스티어링 휠이 개발되고 있으며, 스티어링 휠의 디자인이 다용화하고 있다. 특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새로운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샤프트를 개재하여 조타력을 물리적으로 전달하는 종래의 스티어링 휠과 달리 크게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는, 새로운 스티어링 휠의 림은 종래의 림과 같이 좌우의 손으로 바꿔 잡으면서 180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고리 형상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새로운 스티어링 휠은 예를 들어 중앙 허브에 대하여 좌우에만 림이 존재하거나 림의 상부가 허브에 가까운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등, 원형 이외의 이형의 디자인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이하, 고리 형상 이외의 림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을 '이형 스티어링 휠'이라고 호칭함).
통상의 에어백 쿠션은 스티어링 휠의 허브 커버를 개열하여 팽창 전개하는데, 상기 이형 스티어링 휠과 조합하여 실시하려면 개열했을 때의 커버의 구성에도 고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이형 스티어링 휠은 허브의 상측에 림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커버를 직상(直上)을 향하여 개열시키면 주위에 다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커버의 개열한 부분과 승차인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커버의 개열한 부분이 림이나 스위치류에 접촉하는 것도 회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에어백(1)이라면 리어 패널(7)이 프론트 패널(8)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4)로부터 반력을 효율 좋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이형 스티어링 휠은 종래의 원형 스티어링 휠에 비해 소형이면서 기울어진 형상으로서, 에어백 쿠션과의 접촉 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의 전개 거동이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팽창 전개 시의 안전면을 배려하면서 승차인을 완전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 쿠션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에 수용되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로서, 스티어링 휠은 중앙의 허브와, 승차인이 파지하는 림을 가지고, 림은 허브의 상방 범위가 일부 생략된 형상 또는 허브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가 허브의 좌우에 위치하는 부위에 비해 허브측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고, 허브는 에어백 모듈을 수용하는 모듈 수용부와, 모듈 수용부를 덮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으로 개열 가능한 커버를 가지고, 커버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을 받으면 열리는 복수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개열한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커버 도어는 허브의 중앙에서 보아 좌우 경사진 상측 방향 각각을 향하여 열려 있고, 허브의 중앙에서 보아 직상 방향에는 커버 도어가 없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스티어링 휠에는 종래와 같은 원형이 아닌 것도 많고, 허브의 좌우에만 림이 존재하거나 림 중 허브의 상측 부위가 상기 허브측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는 등, 다양한 디자인이 존재한다. 이들 원형 이외의 이형 스티어링 휠은 허브의 직상 방향으로 커버 도어를 열도록 하면 주위에 커버 도어와 승차인의 접촉을 회피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서는 커버 도어가 허브의 중앙에서 보아 직상이 아니고 주로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승차인의 상반신이 전방으로 넘어지도록 이동해 왔을 때, 커버 도어가 바로 위에서 열리는 경우에 비해 커버 도어와 승차인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이면 이형 스티어링 휠에 대하여 커버 도어가 허브의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림으로써 커버 도어를 에어백 쿠션의 지지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커버 도어가 에어백 쿠션의 전방부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에어백 쿠션은 후방 하측을 향하는 거동을 얻어 승차인을 적합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리는 커버 도어라면 허브의 좌우나 하방에 존재하는 림이나 스위치류와의 접촉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커버 도어는 적어도 두 장이며, 두 장의 커버 도어는 커버를 좌우로 이분하고 있어도 된다. 이 두 장의 커버 도어가 허브의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림으로써 커버 도어와 승차인과의 접촉을 적합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개열 가능하며 복수의 커버 도어의 형상을 규정하는 홈부와, 허브의 중앙으로부터 좌우 경사진 상부 방향으로 떨어진 각각의 장소에 형성되는 홈부의 단부점들 사이를 개열시키지 않는 힌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허브의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리는 커버 도어를 적합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허브의 중앙을 원점으로 하여 상기 중앙을 통하는 수평선에 대하여 45도 ±15도의 각도 영역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각도 영역에 설치한 힌지에 의해 열리는 커버 도어라면 승차인의 머리부나 그립 등의 구조물을 효율 좋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홈부 중 허브의 중앙 하측 범위는, 허브의 중앙 상측 범위보다도 깊게 파여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홈부는 상측보다도 하측 쪽이 빠르게 개열하기 때문에 커버 도어에 좌우 경사진 상방을 향하는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홈부 중 허브 중앙 하측 범위는, 허브 중앙 상측 범위보다도 얇게 형성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홈부는 상측보다도 하측 쪽이 빠르게 개열하기 때문에 커버 도어에 좌우 경사진 상방을 향하는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측이 하측에 비해 차량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의 커버여도 커버 도어가 허브의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림으로써 커버 도어를 이용하여 에어백 쿠션의 전방부 상측을 지지하고, 에어백 쿠션을 후방 하측을 향하여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의 일부는 에어백 쿠션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일부에는 소정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 내에 설치되어 있어 인플레이터의 일부를 덮는 정류포(整流布)를 더 구비하고, 정류포는 인플레이터 일부의 하방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정류포라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흐르게 할 수 있고, 에어백 쿠션을 하부측으로부터 팽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은 이형 스티어링 휠과 승차인의 복부 사이로 신속하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에어백 쿠션이 이형 스티어링 휠과 승차인의 복부 사이에 끼우면 에어백 쿠션의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에 의한 승차인의 머리부에 대한 구속 성능도 향상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은 스티어링 휠측에 위치하는 스티어링측 패널과, 승차인측에 위치하는 승차인측 패널과, 스티어링측 패널의 가장자리와 승차인측 패널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고 에어백 쿠션의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과, 사이드 패널 중 허브 중앙에 대하여 좌우 경사진 상방 각각의 장소에 설치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제1 벤트홀을 포함해도 된다. 사이드 패널의 좌우 경사진 상측에 설치한 제1 벤트홀이면 승차인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에어백 쿠션은 스티어링 휠측에 위치하는 스티어링측 패널과, 승차인측에 위치하는 승차인측 패널과, 스티어링측 패널의 가장자리와 승차인측 패널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어 에어백 쿠션의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과, 스티어링측 패널 중 스티어링 휠 및 커버 도어가 겹치지 않는 장소에 설치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제2 벤트홀을 포함해도 된다. 제2 벤트홀에 의하면 승차인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에어백 쿠션은 스티어링 휠측에 위치하는 스티어링측 패널과, 승차인측에 위치하는 승차인측 패널과, 스티어링측 패널의 가장자리와 승차인측 패널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어 에어백 쿠션의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과, 사이드 패널과 스티어링측 패널의 경계 중 허브 중앙에 대하여 좌우 경사진 상방 각각의 장소를 개방한 상태로 되어 있어 가스를 배출하는 제3 벤트홀을 포함해도 된다. 제3 벤트홀에 의해서도 승차인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팽창 전개 시의 안전면을 배려하면서 승차인을 완전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의 개요를 예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b)의 팽창 전개 시의 쿠션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b)의 쿠션과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예시한 도이다.
도 4는 도 1(a)의 이형 스티어링 휠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도 4(a)의 커버가 개열했을 때의 모습을 예시한 도이다.
도 6은 도 4(a)의 이형 스티어링 휠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a)의 쿠션의 내부 구조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8은 도 2(c)의 벤트홀의 각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낸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명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1(a)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의 가동 전 차량을 예시한 도이다. 이후, 도 1 기타 도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을 각각 화살표F(Forward), B(Back), 차량 폭 방향의 좌우를 각각 화살표L(Left), R(Right), 차량 상하 방향을 각각 화살표U(up), D(down)로 예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를 좌측 핸들 차량에 있어서의 운전석용(전열 좌측의 좌석(102))의 것으로 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전열 우측 좌석(102)을 상정하여 설명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차량 폭 방향 차량 외측(이하, 차량 외측)이란 차량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 폭 방향 내측(이하, 차량 내측)이란 차량 우측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해서는 좌석(102)에 정규로 착석한 승차인으로부터 보아 정면 방향을 '전'으로 하고, 등측 방향을 '후'로서 기재한다. 동일하게 정규로 착석한 승차인의 우측 방향을 '우'로 하고, 좌측 방향을 '좌'로서 기재한다. 또한 이때의 승차인의 신체 중심에 대하여 머리부를 향하는 방향을 '상'으로 하고, 다리부를 향하는 방향을 '하'라고 한다.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이하, 쿠션(104)(도 1(b) 참조))은 접거나 권회 등이 된 상태에서, 좌석(102)의 좌석 위치의 전방에서, 스티어링 휠(후술하는 이형 스티어링 휠(106))의 중앙 허브(108)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허브(108)는 쿠션(104) 및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112)(도 4(b) 참조)를 수용하는 모듈 수용부(109) 및 커버(1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쿠션(104)은 인플레이터(112)와 함께 에어백 모듈(105)을 구성하여 모듈 수용부(109)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쿠션(104)을 설치하는 이형 스티어링 휠(106)은 승차인의 조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휠에 전달하는 구성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형 스티어링 휠(106)은 고리 이외의 형상인 림(114)을 구비하고 있고, 종래의 고리 형상의 림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과는 형상이 상이하다. 림(114)은 승차인이 파지하는 부위로서, 중앙 허브(108)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조작을 접수하지만, 종래의 고리 형상의 림과는 달리, 큰 각도로 회전시키는 조작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좌우의 손으로 바꿔잡을 필요가 없다. 때문에 림(114)은 허브(108)의 좌우 및 하방에만 존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허브(108)의 상방 범위가 일부 생략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형 스티어링 휠(106)은 허브(108)의 상측 일부 범위가 생략된 형상을 가지는 것의 일례이다. 이형 스티어링 휠(106)의 다른 예로서는 허브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가 허브 좌우에 위치하는 부위에 비해 허브측에 가까운 형상인 것이나 허브 좌우에만 림(그립)이 존재하는 것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의 쿠션(104)의 팽창 전개 후의 차량을 예시한 도이다. 쿠션(104)은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커버(110)를 개열하면서 팽창을 개시하고, 좌석(102)의 착석 위치 전방에 주머니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고, 전방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승차인의 상반신이나 머리부를 구속한다. 쿠션(104)은 착석 위치측으로부터 보아 원형이고, 그 표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을 겹쳐서 봉제 또는 접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b)의 팽창 전개 시의 쿠션(104)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2(a)는 도 1(b)의 쿠션(104)을 차량 외측의 조금 상방에서 보아 예시하고 있다. 도 2(a)에서는 쿠션(104)을 구성하는 패널 일부를 잘라서 내부 인플레이터(112)를 노출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쿠션(104)은 특징적인 형상으로서, 이형 스티어링 휠(106)측(도 1(a) 참조)으로부터 승차인측(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지름이 넓어진 원추대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b)는 도 2(a)의 쿠션(104)을 차량 폭 방향 좌측에서 예시한 도이다. 쿠션(104)은 복수의 패널로 형성되어 있고, 승차인측에 위치하는 승차인측 패널(120)(승차인으로부터 보아 바로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론트 패널이라고도 호칭된다), 이형 스티어링 휠(106)측(도 1(a) 참조)에 위치하는 스티어링측 패널(122)(승차인측으로부터 보아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리어 패널이라고도 호칭된다) 및 이들 승차인측 패널(120)과 스티어링측 패널(122)을 연결하여 쿠션(104)의 측부를 구성하고 있는 사이드 패널(124)을 포함하고 있다.
승차인측 패널(120)은 원형으로서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는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면으로서 기능한다. 스티어링측 패널(122)은 원형으로서 쿠션(104)(도 1(b) 참조)의 팽창 전개 시에는 이형 스티어링 휠(106)(도 1(a) 참조)로부터 반력을 얻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한다. 사이드 패널(124)은 스티어링측 패널(122)의 가장자리 전 둘레와 승차인측 패널(120)의 가장자리 전 둘레에 접합된다.
쿠션(104) 중 승차인측 패널(120)과 스티어링측 패널(122) 사이에는 전체에 걸쳐 사이드 패널(124)이 개재하고 있고, 스티어링측 패널(122)과 승차인측 패널(120)이 직접 봉제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쿠션(104)에는 합계 세 장의 패널이 겹쳐져 동시에 봉제되는 부분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 구성에 의해 쿠션(104)을 주머니 형상으로 효율 좋게 봉제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쿠션(104)은 승차인측으로 넓어지는 원추대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기 때문에 스티어링측 패널(122)은 승차인측 패널(120)보다도 면적이 좁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티어링측 패널(122) 중앙은 인플레이터(112)의 일부가 삽입되고, 인플레이터(122)에 구비된 스터드 볼트(118)가 관통하고 허브(108) 내부에 고정된다.
인플레이터(112)는 가스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형상(원반 형상)인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인플레이터(112)는 가스 배출구(116)가 형성된 일부가 스티어링측 패널(122)로부터 쿠션(104) 내에 삽입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센서로부터 보내지는 충격의 검지 신호에 기인하여 가동하고, 쿠션(104)에 가스를 공급한다. 인플레이터(112)는 복수의 스터드 볼트(118)가 설치되어 있다. 스터드 볼트(118)는 쿠션(104)의 스티어링측 패널(122)을 관통하고, 상술한 이형 스티어링 휠(106)(도 1(a) 참조)의 허브(108) 내부에 체결된다. 이 스터드 볼트(118)의 체결에 의해 쿠션(104)도 허브(108)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현재 보급하고 있는 인플레이터에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어 이것을 연소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이나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어 열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스를 공급하는 타입 또는 연소 가스와 압축 가스 양방 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인 것 등이 있다. 인플레이터(112)로서는 어느 타입의 것도 이용 가능하다.
팽창 전개한 쿠션(104)은 원추대를 따른 형상이면서도 전체적으로 조금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차인측 패널(120)의 높이 방향의 중앙(P1)이, 스티어링측 패널(122)의 높이 방향 중앙(P2)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한 가상선(L1)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쿠션(104)이 팽창 전개했을 때 승차인측 패널(120)은 거의 연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스티어링측 패널(122)은 상부가 차량 전방측(도 2(b) 중 우측)으로 넘어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팽창 전개한 에어백 쿠션(104)의 상부(104a)의 폭(W1)은 에어백 쿠션(104)의 하부(104b)의 폭(W2)에 비해 두꺼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c)는 도 2(a)의 쿠션(104)을 상방에서 예시한 도이다. 쿠션(104)은 상방에서 보면 대략 좌우 대칭인 원추대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24)에는 가스를 배출하는 두 개의 제1 벤트홀(126a, 126b)이 설치되어 있다. 벤트홀(126a, 126b)은 사이드 패널(124) 중 상측 좌우 두 곳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에 설치된 벤트홀(126a, 126b)에 의하면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 승차인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b)의 쿠션(104)과 좌석(102)에 착석한 승차인(138)을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쿠션(104) 및 승차인(138)을 차량 폭 방향 좌측으로부터 보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팽창 전개한 쿠션(104)의 상부(104a)는 쿠션(104)의 하부(104b)에 비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두꺼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팽창 전개한 쿠션(104)은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이드 패널(124)과 승차인측 패널(120)의 경계(L2)가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긴급 시에 있어서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승차인(138)은 쿠션(104)의 상부(104a)로부터 조기에 접촉한다. 그리고 쿠션(104)의 상부(104a)는 그 두께를 가지고 승차인(138)의 머리부(140)로부터의 하중을 흡수한다.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쿠션(104)의 하부(104b)의 차량 전후 방향의 폭(W2)은 상부(104a)의 폭(W1)에 비해 조금 작다. 일반적인 차량에서는, 스티어링 휠은 차량 전방측으로 약 20도 내지 25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고, 스티어링 휠과 승차인(138) 사이의 공간은 하방 복부(142)측을 향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약 20도 내지 25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고, 스티어링 휠과 승차인(138) 사이의 공간은 하방의 복부(142)측을 향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좁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쿠션(104)이라면 하부(104b)를 향할수록 차량 전후 방향의 폭은 감소해 가기 때문에 하부(104b)가 이형 스티어링 휠(106)과 복부(142)의 좁은 공간에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쿠션(104)의 하부(104b)가 이형 스티어링 휠(106)과 복부(142)에 의해 끼워져 있음으로써 쿠션(104)의 자세가 무너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쿠션(104) 상부(104a)의, 승차인(138) 머리부(140)에 대한 구속 성능도 향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쿠션(104)의 자세가 안정됨으로써 승차인(138)의 머리부(140)의 전굴(前屈)이나 후굴(後屈) 등, 상해값이 높아지기 쉬운 머리부(140)의 움직임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쿠션(104)은 승차인 구속면이 되는 승차인측 패널(120)의 면적이 넓고, 이형 스티어링 휠(106)로부터 반력을 얻는 스티어링측 패널(122)의 면적이 좁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형 스티어링 휠(106)은 종래의 원형의 스티어링 휠에 비해 에어백 쿠션과의 접촉 범위가 좁다. 스티어링측 패널(122)은 이형 스티어링 휠(106)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생략하도록 이형 스티어링 휠(106)에 따른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티어링측 패널(122)을 구성하는 재료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쿠션(104)의 가스 용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비용 삭감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쿠션(104)은 작은 지름의 스티어링측 패널(122)을 채용함으로써 가스 용량을 50리터 내지 60리터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쿠션(104)을 구성하는 패널의 양이 억제되기 때문에 쿠션(104)은 더욱 작은 수용 형태로 접는 등을 할 수 있고, 수용 공간이 한정된 이형 스티어링 휠(106)에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범위 내의 가스 용량이라면 고출력 인플레이터는 불필요하고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로서 되도록 소형이면서 저렴한 것을 채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112)에는 출력이 200 kPa 내지 230 kPa의 범위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출력의 인플레이터라면 소형이면서 저렴하고, 경량화나 비용 삭감의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쿠션(104)의 가스 용량을 억제하는 것은 쿠션(104)의 팽창이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앞당길 수 있기 때문에 승차인 구속 성능의 향상으로도 이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한 쿠션(104)의 승차인측 패널(120)의 상단(120a)은 성인 남성의 머리부 중심의 ±100 mm 범위 내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승차인(138)은 평균적인 미국 성인 남성의 50%에 적합한 체격을 모방한 시험용 더미 인형 AM50(50th percentile 남성, 신체 175 cm, 체중 78 kg)을 상정한 것이다. 쿠션(104)의 승차인측 패널(120)의 상단부(120a)는 이 AM50의 머리부 중심(P3)의 ±100 mm의 범위 내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승차인(138)의 머리부(140)는 승차인측 패널(120)에 대하여 턱이나 이마 등으로부터 접촉하면 전굴이나 후굴 등의 회전 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부(140)의 전굴이나 후굴은 인체의 구조 상 상해값이 높아지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쿠션(104)은 머리부 중심(P3)의 위치에서 프론트 패널(120)을 접촉시키고, 머리부(140)를 과도하게 움직이는 일 없이 구속하고, 상해값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4는 도 1(a)의 이형 스티어링 휠(106)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4(a)는 도 1(a)의 이형 스티어링 휠(106)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쿠션(104)(도 3 참조)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안전면에 대한 배려와, 승차인 구속 성능의 한층 더 높은 향상을 위하여 허브(108)의 커버(110)에 대한 고안을 실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형 스티어링 휠(106)에 관한 상하 좌우 방향에 대하여, 허브(108)의 상측 등의 표현이 등장한다. 이 경우, 허브(108)의 상측이란 이형 스티어링 휠(106)을 시계로 가정하여 허브(108)의 중심에 시계 바늘 축이 있다고 한 경우의 3시와 9시를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측이라고 하는 의미이다. 이형 스티어링 휠(106)의 상부는 차량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이형 스티어링 휠(106)의 상하 방향은 이형 스티어링 휠(106)을 시계로 가정했을 때의 12시와 6시를 연결하는 방향이며, 현실의 연직 방향과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형 스티어링 휠(106)의 좌우 방향은 이형 스티어링 휠(106)을 시계로 가정했을 때의 3시 또는 9시 방향이다.
도 4(b)는 도 4(a)의 이형 스티어링 휠(106)의 허브(108)의 A-A 단면도이다. 도 4(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허브(108)는 에어백 모듈(105)을 수용하는 모듈 수용부(109)와, 모듈 수용부(109)를 덮는 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커버(110)는 쿠션(104)의 팽창압으로 개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때문에 커버(110)의 모듈 수용부(109)측의 면에는 개열을 유발하는 홈부(160)가 파여 있다.
다시 도 4(a)를 참조한다. 커버(110)는 개열 시에 복수의 커버 도어(162a, 162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홈부(160)는 커버 도어(162a)의 형상을 규정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110)에는 두 장의 커버 도어(162a, 162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커버 도어(162a, 162b)는 우측 커버 도어(162a)에 엠블럼(164)이 포함되도록 하고, 커버(110)를 좌우로 이분하여 형성된다. 또한 커버(110)에는 커버 도어(162a)가 비산하지 않도록 커버(110)의 본체와 커버 도어(162a, 162b)를 연결하는 힌지(166a, 166b)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4(a)의 커버(110)가 개열했을 때의 모습을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쿠션(104)의 스티어링측 패널(122)을 투과하여 이형 스티어링 휠(106)의 허브(108) 부근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110)는 홈부(160)(도 4(a) 참조)가 쿠션(104)의 팽창압에 의해 개열하면 두 장의 커버 도어(162a, 162b)가 허브(108)의 중앙(P4)으로부터 보아 좌우 경사진 상측 방향 각각을 향하여 열린다.
힌지(166a, 166b)는 허브(108)의 중앙(P4)으로부터 좌우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떨어진 각각의 장소에서, 홈부(160)의 단부점들 사이가 개열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166a, 166b)는 허브(108)의 중앙(P4)을 원점으로 하고, 상기 중앙(P4)을 지나는 수평선에 대하여 45도 ±15도 각도의 영역, 즉 30도 내지 60도 사이의 각도(α1) 및 각도(α2)의 범위 내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의 힌지(166a, 166b)에 의해 이형 스티어링 휠(106)을 시계로 가정했을 때, 좌측 커버 도어(162a)는 10시와 11시 사이의 범위 방향을 향하여 열리고, 우측 커버 도어(162b)는 1시와 2시 사이의 범위 방향을 향하여 열린다.
이형 스티어링 휠(106)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최근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스티어링 휠에는 종래와 같은 원형이 아닌 것도 많다. 예를 들어 허브의 좌우에만 림이 존재하고 있거나 림 중 허브의 상측 부위가 상기 허브측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는 등, 다양한 디자인이 존재한다. 이들 원형 이외의 이형 스티어링 휠(106)은 허브(108)의 직상 방향으로 커버 도어를 열리도록 하면 주위에 커버 도어와 승차인의 접촉을 회피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형 스티어링 휠(106)을 시계로 가정했을 때, 허브(108)의 중심을 지나는 3시와 9시를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측의 범위에서, 림이 생략되어 있거나 림이 허브에 가까워진 디자인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경사진 상방에 커버 도어(162a, 162b)가 열리는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브(108)의 중앙(P4)으로부터 보아 직상 방향(12시 방향)으로 열리는 커버 도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린 커버 도어(162a, 162b)라면 차량의 긴급 시에 있어서 승차인(138)(도 3 참조)의 상반신이 전방으로 넘어지도록 이동해 왔을 때, 직상으로 열린 커버 도어에 비해 승차인(138)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특히 이형 스티어링 휠(106)은 종래의 원형 스티어링 휠에 비해 허브(108)의 상측(12시측)에 림(114)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승차인(138)(도 3 참조)이 차량 전방으로 몸을 내밀기 쉽다. 예를 들어 승차인(138)의 머리부(140)가 허브(108)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이 승차인(138)이 좌석(102)으로부터 몸을 내미는 등, 좌석(102)에 대하여 비정규 착석 위치(통칭 아웃 오브 포지션)에 있는 경우, 커버 도어를 직상을 향하여 열도록 하면 승차인(138)의 머리부(140)와 커버 도어가 접촉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이와 같은 아웃 오브 포지션의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형태라면 커버(110)가 개열한 상태에 있어서 커버 도어(162a, 162b)가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리기 때문에 허브(108)의 중앙(P4)으로부터 보아 직상 방향에는 커버 도어(162a, 162b)가 없는 공간부(S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라면 커버 도어(162a, 162b)가 공간부(S1)를 형성하도록 좌우로 열리기 때문에 커버(110)와 머리부(140)의 접촉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리는 커버 도어(162a, 162b)라면 허브(108)의 좌우나 하방에 존재하는 림(114)이나 스위치류와의 접촉도 회피할 수 있다. 커버 도어(162a, 162b)가 림 등의 구조물에 접촉할 기회를 줄임으로써 커버 도어(162a, 162b)가 충격으로 탈락하는 일 등을 방지 가능하고,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이형 스티어링 휠(106)에 대하여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리는 커버 도어(162a)는 쿠션(104)의 지지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커버(110)는 홈부(160)만으로 개열하고 그리고 힌지(166a, 166b)만으로 움직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버 도어(162a, 162b)에 소정 강성이 확보 가능하다. 커버 도어(162a, 162b)가 에어백 쿠션(104)의 전방부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쿠션(104)은 후방 하측을 향하는 거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쿠션(104)을 후방 하측을 향하여 팽창 전개시킴으로써 쿠션(104)을 이형 스티어링 휠(106)과 승차인(138)의 복부(142) 사이에 들어가게 하고 그리고 쿠션(104)을 이형 스티어링 휠(106)과 승차인(138)의 복부(142) 사이에 끼움으로써 쿠션(104)의 자세를 무너지기 어렵게 하며, 쿠션(104)의, 승차인(138)의 머리부(140)에 대한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쿠션(104)의 후방 하측을 향하는 거동이라면 후방 상측을 향하는 거동에 비해 승차인(138)의 머리부(140)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승차인(138)의 머리부(140)의 후굴 등 상해값이 높아지기 쉬운 머리부(14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아웃 오브 포지션의 승차인(138)의 머리부(140)에 대해서는 쿠션(104)이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기 쉽기 때문에 쿠션(104)에 후방 하측을 향하는 거동을 발생시키는 것은 지극히 유효하다.
다시 도 4(a)를 참조한다. 홈부 중 허브(108)의 중앙(P4)의 하측 범위(E1)는 허브(108)의 중앙(P4) 상측 범위(E2)보다도 깊게 파여 있어도 된다. 환언하자면 홈부 중 허브(108) 중앙(P4)의 하측 범위(E1)는 허브(108) 중앙(P4)의 상측 범위(E2)보다도 엷게 되어 있으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홈부(160)는 상측 범위(E1)보다도 하측 범위(E2) 쪽이 먼저 개열을 유발하고 그리고 개열하는 속도도 빨라지기 때문에 커버 도어(162a, 162b)에 좌우 경사진 상방을 향하는 움직임을 효율 좋게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c)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벤트홀(126a, 126b)은 사이드 패널(124)의 좌우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벤트홀(126a, 126b)은 사이드 패널(124) 중 허브(108) 중앙(P4)(도 4(a) 참조)에 대하여 좌우 경사진 상방 각각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 벤트홀(126a, 126b)이라면 승차인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도 4(a)의 이형 스티어링 휠(106)의 B-B 단면도이다. 커버(110)는 상측이 하측에 비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커버(110)는 승차인측의 의장면이 연직선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각도(α3)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의 커버(110)를 가지는 이형 스티어링 휠(106)이어도 종래라면 쿠션(104)에 대하여 후방 상측을 향하는 반력을 부여하는 바, 상술한 커버 도어(162a, 162b)(도 5 참조)가 허브(108)의 좌우 경사진 상방으로 열림으로써 이 커버 도어(162a)를 이용하여 쿠션(104)의 전방부 상측을 지지하고, 쿠션(104)을 후방 하측을 향하게 하도록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팽창 전개 시의 안전면에 배려하면서 승차인(138)(도 3 참조)을 완전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100)를 실현할 수 있다.
(변형예)
이하, 상술한 각 구성 요소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명칭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이한 부호를 붙이고 있어도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도 2(a)의 쿠션(104)의 내부 구조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7(a)는 도 2(a)의 쿠션(104)의 각 패널을 투과하여 내부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쿠션(104)에는 새로운 내부 구조로서 정류포(360)가 구비되어 있다.
정류포(360)는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의 가스를 특정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부재로서, 쿠션(104)의 내부에서 삽입된 인플레이터(112)의 가스 배출구(116)를 가지는 부분을 덮은 상태에서, 스티어링측 패널(122)에 접속되어 있다. 정류포(360)는 인플레이터(112)의 하방에 가스를 배출하는 개구부(364)를 가지고, 측부에도 가스를 배출하는 작은 지름의 배기구(366a, 366b)(도 7(c) 참조)를 가지고 있다.
도 7(b)는 도 7(a)의 정류포(360)를 측방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정류포(360)는 봉제에 의해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방측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개구부(364)가 형성되어 있다.
도 7(c)는 도 7(b)의 정류포(360)의 봉제를 풀어 평면 상에 펼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정류포(360)는 중앙에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구(368)가 설치되어 있고, 인플레이터(112)의 스터드 볼트(118)에 의해 스티어링측 패널(122)과 함께 허브(108)(도 1(a) 참조)의 내부에 고정된다. 배기구(366a, 366b)는 좌우의 두 곳에 설치되어 있고, 가스를 쿠션(104)의 중앙 부근으로 공급한다. 개구부(364)는 배기구(366a, 366b)보다도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배기구(366a, 366b)보다도 가스의 통과량이 많다.
상기 정류포(360)에 의해 인플레이터(112)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개구부(364)를 지나서 쿠션(104)(도 7(a))의 하부(104b)로 우선적으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쿠션(104)은 하부(104b)측으로부터 우선적으로 팽창 전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쿠션(104)은 하부(104b)를 조기에 이형 스티어링 휠(106)(도 4 참조)과 승차인(138)의 복부(142) 사이에 들어가게 하여 이형 스티어링 휠(106)과 복부(142) 사이에 끼워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도 2(c)의 벤트홀의 각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8(a)는 도 2(c)의 벤트홀의 제1 변형예(제2 벤트홀(270a, 270b))를 예시하고 있다. 이 벤트홀(270a, 270b)은 스티어링측 패널(122)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스티어링측 패널(122) 중 이형 스티어링 휠(106)(도 4 등 참조)과는 접촉하지 않는 곳에 벤트홀(300a, 300b)을 설치함으로써도 승차인(138)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벤트홀(270a, 270b)은 스티어링측 패널(122) 중 이형 스티어링 휠(106) 및 커버 도어(162)가 겹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 벤트홀(270a, 270b)에 의해서도 승차인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b)는 도 2(c)의 벤트홀(126a, 126b)의 제2 변형예(제3 벤트홀(280a, 280b))를 예시하고 있다. 이 벤트홀(280a, 280b)은 사이드 패널(124)과 스티어링측 패널(122)의 경계(282) 일부를 개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24)과 스티어링측 패널(122)의 경계는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특히 상측이라면 주위에 승차인(138)(도 3 참조)의 신체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사이드 패널(124)과 스티어링측 패널(122)의 경계(282)의 상측 일부를 개방하여 벤트홀(280a, 280b)로 함으로써 승차인(138)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제1 벤트홀(126a, 126b), 제2 벤트홀(270a, 270b) 및 제3 벤트홀(280a, 280b)은 하나의 에어백 쿠션에 대하여 동시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어백 쿠션은 승차인과의 위치 관계나 주위의 구조물 배치에 따라서 이들 각 벤트홀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별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기재한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으로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면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 또는 수정예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긴급 시에 승차인을 구속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0…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102…좌석,
104…쿠션, 104a…쿠션의 상부,
104b…쿠션의 하부, 106…이형 스티어링 휠,
108…허브
110…커버, 112…인플레이터,
116…가스 배출구, 118…스터드 볼트,
120…승차인측 패널, 120a…승차인측 패널의 상단,
122…스티어링 휠측 패널, 124…사이드 패널,
126a, 126b…제1 벤트홀, 138…승차인,
140…머리부, 142…복부,
160…홈부, 162a, 162b…좌우의 커버 도어,
164…엠블럼, 166a, 166b…좌우의 힌지,
270a, 270b…제2 벤트홀,
280a, 280b…제3 벤트홀,
360…정류포, 364…개구부,
366a, 366b…배기구, 368…삽입구,
L1…스티어링측 패널 중앙으로부터 연장한 가상선,
L2…사이드 패널과 승차인측 패널의 경계,
P1…승차인측 패널의 중앙,
P2…스티어링측 패널의 높이 방향 중앙,
P3…머리부 중심, P4…허브의 중앙,
S1…공간부, W1…쿠션의 상부 폭,
W2…쿠션 하부의 폭

Claims (11)

  1.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 쿠션을 포함하는 상기 스티어링 휠에 수용되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중앙의 허브와,
    승차인이 파지하는 림을 가지고,
    상기 림은 상기 허브의 상방 범위가 일부 생략된 형상 또는 상기 허브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허브의 좌우에 위치하는 부위에 비해 상기 허브측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허브는,
    상기 에어백 모듈을 수용하는 모듈 수용부와,
    상기 모듈 수용부를 덮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으로 개열 가능한 커버를 가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을 받으면 열리는 복수의 커버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버 도어는 적어도 두 장 있고, 상기 두 장의 커버 도어는 상기 커버를 좌우로 이분하고 있으며,
    상기 커버가 개열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 도어는 상기 허브의 중앙에서 보아 좌우 경사진 상측 방향 각각을 향하여 열려 있고 상기 허브의 하방에 존재하는 림에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허브의 중앙에서 보아 직상 방향에는 상기 복수의 커버 도어가 없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 쿠션은,
    상기 스티어링 휠측에 위치하는 스티어링측 패널과,
    상기 승차인측에 위치하는 승차인측 패널과,
    상기 스티어링측 패널의 가장자리와 상기 승차인측 패널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개열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차인측 패널의 상단은 상기 승차인측 패널의 하단보다 상기 승차인측으로 돌출되어 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가 개열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의 상측 부분은, 상기 승차인측 패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는 단부가, 상기 스티어링측 패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는 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개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커버 도어의 형상을 규정하는 홈부와,
    상기 허브의 중앙으로부터 좌우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떨어진 각각의 장소에 형성되는 상기 홈부의 단부점들 사이의 개열하지 않는 힌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허브의 중앙을 원점으로 하여 상기 중앙을 지나는 수평선에 대하여 45도 ±15도의 각도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중 상기 허브의 중앙 하측 범위는 상기 허브 중앙의 상측 범위보다도 깊게 파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중 상기 허브 중앙의 하측 범위는 상기 허브 중앙의 상측 범위보다도 엷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측이 하측에 비해 차량 전방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일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일부에는 소정의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는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일부를 덮는 정류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류포는 상기 인플레이터 일부의 하방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상기 사이드 패널 중 상기 허브 중앙에 대한 좌우 경사진 상방 각각의 장소에 설치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제1 벤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상기 스티어링측 패널 중 상기 스티어링 휠 및 상기 복수의 커버 도어가 겹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제2 벤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상기 사이드 패널과 상기 스티어링측 패널의 경계 중 상기 허브 중앙에 대한 좌우 경사진 상방 각각의 장소를 개방한 상태로 되어 있어 가스를 배출하는 제3 벤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KR1020217029391A 2019-02-19 2020-02-07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KR102585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7905 2019-02-19
JP2019027905 2019-02-19
PCT/JP2020/004892 WO2020170864A1 (ja) 2019-02-19 2020-02-07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080A KR20210125080A (ko) 2021-10-15
KR102585272B1 true KR102585272B1 (ko) 2023-10-05

Family

ID=7214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391A KR102585272B1 (ko) 2019-02-19 2020-02-07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44201A1 (ko)
EP (1) EP3929039A4 (ko)
JP (1) JP7142141B2 (ko)
KR (1) KR102585272B1 (ko)
CN (1) CN113329916B (ko)
WO (1) WO2020170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5993B2 (en) * 2019-06-18 2024-01-09 Autoliv Development Ab Driver's seat airbag device
DE202019103552U1 (de) * 2019-06-27 2020-10-08 ZF Automotive Safety Germany GmbH Fahrergassackmodul sowie Lenk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Fahrergassackmodul
WO2021111746A1 (ja) * 2019-12-05 2021-06-1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DE102020102866A1 (de) * 2020-02-05 2021-08-05 Zf Automotive Germany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mit Frontgassack und Seitengassack
US20230415691A1 (en) * 2020-12-03 2023-12-28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546A (ja) * 2002-03-26 2003-10-02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
JP2007076619A (ja) * 2005-09-16 2007-03-29 Toyota Motor Corp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173994A (ja) * 2007-01-16 2008-07-31 Toyota Motor Corp 車両のエアバック装置
DE102013011579A1 (de) * 2013-07-11 2015-01-15 Audi Ag Fahrzeuglenkrad mit einer Airbag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641A (ja) * 1993-04-30 1994-11-08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用カバー
US5730460A (en) * 1996-11-22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cover
JP3478974B2 (ja) 1998-07-22 2003-12-1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129758B2 (ja) * 1998-08-10 2008-08-06 俊毅 内田 エアバッグ装置
KR100510359B1 (ko) * 2003-03-10 2005-08-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운전석 에어백
JP4715136B2 (ja) 2004-09-08 2011-07-06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7445238B2 (en) * 2005-05-06 2008-11-04 Tk Holdings Inc.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JP2008037141A (ja) * 2006-08-01 2008-02-21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カバー、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エアバッグ装置
JP4241799B2 (ja) 2006-10-16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105521A (ja) 2006-10-25 2008-05-08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操作装置
DE102007013469B4 (de) * 2007-03-21 2012-05-31 Autoliv Development Ab Abdeckelement für ein Gassackmodul
JP5594772B2 (ja) 2010-09-29 2014-09-2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962602B2 (ja) * 2013-07-03 2016-08-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前席エアバッグシステム
US9505369B2 (en) * 2014-09-12 2016-11-29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apparatus
JP2018020737A (ja) * 2016-08-05 2018-02-08 タカタ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10144383B2 (en) * 2016-09-29 2018-12-0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video screen and airbag
JP6895324B2 (ja) * 2017-06-27 2021-06-30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546A (ja) * 2002-03-26 2003-10-02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
JP2007076619A (ja) * 2005-09-16 2007-03-29 Toyota Motor Corp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173994A (ja) * 2007-01-16 2008-07-31 Toyota Motor Corp 車両のエアバック装置
DE102013011579A1 (de) * 2013-07-11 2015-01-15 Audi Ag Fahrzeuglenkrad mit einer Airbag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29916A (zh) 2021-08-31
EP3929039A4 (en) 2022-12-14
KR20210125080A (ko) 2021-10-15
CN113329916B (zh) 2023-08-15
WO2020170864A1 (ja) 2020-08-27
EP3929039A1 (en) 2021-12-29
JP7142141B2 (ja) 2022-09-26
JPWO2020170864A1 (ja) 2021-10-14
US20220144201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272B1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JP5831634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0261389B1 (ko) 측면충돌용 에어백
JP3430835B2 (ja) エアバック装置
US7350807B2 (en) Divided airbag system
US7625008B2 (en) Air bag with groove or recess, open or partially covered
JP7148647B2 (ja) 運転席エアバッグ
WO2017177236A1 (en) Rear seat airbag module
US11752965B2 (en)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JP7316364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647824B1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JP5881375B2 (ja) エアバッグ
JP2020142607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7365507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4355153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4847258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10723307B2 (en) Airbag module
WO2023145244A1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7412582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WO2023145289A1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CN110871765B (zh) 气囊装置
WO2024116628A1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
KR20040025166A (ko) 헤드레스트의 에어백시스템
KR100305926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쿠션
JP5725046B2 (ja) 膝側面拘束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