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313B1 -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313B1
KR102582313B1 KR1020220161749A KR20220161749A KR102582313B1 KR 102582313 B1 KR102582313 B1 KR 102582313B1 KR 1020220161749 A KR1020220161749 A KR 1020220161749A KR 20220161749 A KR20220161749 A KR 20220161749A KR 102582313 B1 KR102582313 B1 KR 10258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dogs
body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김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윤 filed Critical 김태윤
Priority to KR102022016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9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견의 체지방 감소 및 콜레스트레롤 감소를 도와 반려견의 지나친 체중증가에 따른 관절 과부하를 예방하고, 반려견의 관절을 강화할 수 있는 충분한 영양성분을 공급하여 관절 건강을 돕고 슬개골 탈구를 예방하여 반려견의 관절 질환을 개선하도록 한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joint health by reducing body fat in companion dogs}
본 발명은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견의 체지방 감소 및 콜레스트레롤 감소를 도와 반려견의 지나친 체중증가에 따른 관절 과부하를 예방하고, 반려견의 관절을 강화할 수 있는 충분한 영양성분을 공급하여 관절 건강을 돕고 슬개골 탈구를 예방하여 반려견의 관절 질환을 개선하도록 한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은 사람들이 좋아하여 가까이 두고 귀여워하며 기르는 동물을 말하며, 개, 고양이, 새, 금붕어 등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개와 고양이 등의 일부 애완동물은 개인화된 현대 사회에서 주인과 삶을 함께하며 감정적 교감을 나누는 반려동물로서 그 역할을 확장해 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개와 고양이뿐만 아니라 앵무새, 고슴도치, 토끼 및 햄스터 등까지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고, 그에 따른 관련 산업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특히 반려견의 사료나 간식이 단순히 영양 성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에서 벗어나 각종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여 반려견의 건강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기호도에 맞게 식감이나 향등이 개선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반려견은 인간과 점점 친밀성이 높아지면서 실내생활이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산책 등 적절한 운동이 수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반려견의 체지방이 증가하고, 콜레스트레롤도 증가하여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반려견의 지나친 체중증가에 따른 관절 과부하가 발생되어 관절염이 발생하는 등 상당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물론, 하기한 [선행기술문헌]과 같은 특허기술이 개시되기도 하였지만, 반려동물, 그 중에서도 특히 강아지(개)의 장 관리와 관련하여 조성물의 결과적, 생리학적 안전성을 높이고 사료나 건강식품 등에 저렴한 비용으로 편리하게 첨가하고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하고 우수한 제품 개발의 필요가 지속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168587호, 반려동물 관절 영양제 조성물 국내 등록특허 제10-2287247호, 반려동물 관절 영양제 조성물 국내 등록특허 제10-2432654호, 반려동물 관절질환 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용 조성물 국내 등록특허 제10-2167537호, 반려동물 전용 슬개골 탈구예방과 근육강화를 위한 조성물 국내 등록특허 제10-2419815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반려견의 체지방 감소 및 콜레스트레롤 감소를 도와 반려견의 지나친 체중증가에 따른 관절 과부하를 예방하고, 반려견의 관절을 강화할 수 있는 충분한 영양성분을 공급하여 관절 건강을 돕고 슬개골 탈구를 예방하여 반려견의 관절 질환을 개선하도록 한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닭가슴연골분말 20-30중량부, 연어이리분말 6-8중량부, 강황 추출분말 1.5-3.5중량부, 로즈힙 분말 8-10중량부, 핑거루트 추출분말 8-10중량부, 클로렐라분말 8-10중량부, 정어리정제어유 6-8중량부, 산양유 락토페린분말 8-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견의 체지방 감소 및 콜레스트레롤 감소를 도와 반려견의 지나친 체중증가에 따른 관절 과부하를 예방하고, 반려견의 관절을 강화할 수 있는 충분한 영양성분을 공급하여 관절 건강을 돕고 슬개골 탈구를 예방하여 반려견의 관절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은 닭가슴연골분말, 연어이리분말, 강황 추출분말, 로즈힙 분말, 핑거루트 추출분말, 클로렐라분말, 정어리정제어유, 산양유 락토페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관절 기능 향상, 콜레스테롤 및 체지방 감소에 영향을 미처 관절 건강을 개선하고, 슬개골 탈구를 예방하여 보다 건강한 반려견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 조성물을 반려견에 급여하는 방법은 정제수에 괴어 타블렛(Tablet) 형태로 만들어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닭가슴연골분말 20-30중량부, 연어이리분말 6-8중량부, 강황 추출분말 1.5-3.5중량부, 로즈힙 분말 8-10중량부, 핑거루트 추출분말 8-10중량부, 클로렐라분말 8-10중량부, 정어리정제어유 6-8중량부, 산양유 락토페린분말 8-10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때, 닭가슴연골분말은 닭가슴께 위치한 연골을 분말화한 것으로, 닭가슴뼈인 용골(Chkcken Keels)은 콘드로이친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반려견의 관절 퇴화에 기여하는 효소들을 억제하는 효능으로 관절 건강을 증진시키는 특성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특히, 콜라겐 성분까지 함유하고 있어 관절염을 감소시키는 특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연어이리분말은 아데노신을 함유하고 있는 핵산 성분으로서 강력한 혈관 확장작용, 혈관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제거하여 혈관을 청소하고, 빈혈을 개선함으로써 반려견의 비만을 막아 관절 퇴화, 슬개골 탈구를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황 추출분말은 대표적인 소염, 해열, 통증완화에 사용되는 약제로서, 관절염(류머티즘)을 완화하고, 반려견의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 어혈을 풀어주며, 혈당수치를 안정화하여 당료를 예방하고,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등 많은 장점이 있으나, 담낭 자극, 수면방해 등의 부작용도 있기 때문에 과량 첨가해서는 않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범주내에서 소량 첨가 사용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로즈힙 분말은 들장미의 열매를 분말화한 것으로, 비타민C의 함량이 가장 높은 성분이고, 칼슘, 마그네슘, 철분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고 올레산과 팔미트산, 감마리놀렌산과 같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반려견의 신체를 튼든하게 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폴리페놀 성분이 과량 함유되어 있어 지방을 연소시킴으로써 내장지방의 축적을 막아 비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핑거루트 추출분말은 판두라틴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반려견의 체내 흡수시 AMPK라는 단백질 성분이 활성화되면서 지방 분해를 촉진하기 때문에 지방 축적을 막고, 체지방 감소를 유도하여 비만을 억제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반려견의 관절 건강을 향상시키고, 슬개골 퇴화를 방지하는 효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클로렐라분말은 일종의 플랑크톤을 분말화시킨 것으로,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고 특히 아르기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조절에 탁월하다. 특히, 항산화 물질인 카르티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증진은 물론 장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정어리정제어유는 오메가3를 포함한 EPA와 DHA 함량이 높아 관절 근육을 강화하고, 염증을 줄이며, 콜레스테롤 감소에 영향을 미처 반려견의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산양유 락토페린분말은 항바이러스성과 항균성을 띈 락토페린을 주성분으로 한 분말로서 철분과의 결합성을 높여 감염억제, 근조직 손상을 방지하고, 눈 건강을 증진하며, 특히 체지방을 줄여 반려견의 다이어트에 기여하는 특징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닭가슴연골분말을 만들 때, 이 닭가슴연골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스테비아 3.0중량부, 글루타싸이온 8.5중량부, 에리소르빈산 4.5중량부, 시트르산 2.5중량부, 나린진 8.0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이때, 스테비아는 천연 감미식물로서 설탕과 달리 단맛만 내고 당이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반려견의 비만을 억제하면서 급여를 선호하게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글루타싸이온은 글루탐산, 시스테인, 글라이신 세개의 펩티드로 구성되어 산화와 환원의 순환이 반복되면서 독성 과산화물을 제거하고 항산화효과가 뛰어나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천연 항생제 기능을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에리소르빈산은 산화방지제로서의 기능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시트르산은 유기산으로서 산패억제와 보존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나린진(Naringin)은 세균의 외막을 분해하여 자살시켜 제거하는 독성없는 강력한 천연항균제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로즈힙 분말을 만들 때, 이 로즈힙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나토키나제분말 15중량부, 감마 아미노뷰티르산 8중량부, 브로콜리 스프라우트분말 10중량부, 아티초크 추출물 10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이때, 나토키나제분말은 혈전을 예방하고, 혈액점도를 낮춰 혈액순환을 개선함으로써 신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관절 근육의 근력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감마 아미노뷰티르산(γ-aminobutyric acid)은 일종의 발효액으로 반려견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신경흥분을 억제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브로콜리 스프라우트분말은 항산화 물질인 베타카로틴, 폴라보놀 배당체 루틴, 셀레늄, 결정성 폴리펩티드 글루타치온, 퀘르세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물질로 인해 소화기관의 염증성 질환을 예방한다.
뿐만 아니라, 아티초크 추출물은 시나린 성분과, 비타민 C,E가 풍부하여 혈관의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관의 중성지방 수치를 낮춰 혈관 건강을 증진하여 비만을 억제하고, 관절 기능 개선에 기여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핑거루트 추출분말을 만들 때, 이 핑거루트 추출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 10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0중량부, 뜨레할로스액 5중량부, 징코라이드 5중량부, 아스타잔틴 2.5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이때,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은 수용성인 셀룰로오스로서 섬유질을 통한 간장 질환 개선에 기여한다.
그리고,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Glycerin Esters of Fatty Acids)는 유화작용으로 반려견이 취식할 때 입안에서 부드러운 촉감을 형성하기 위해 첨가된다.
특히, 뜨레할로스(Trehalose)는 포도당 2분자로 구성된 이당류로서, 물에 녹인 액상으로 사용되며, 감미성을 향상시키고 pH를 안정화시킨다.
또한, 징코라이드는 피로인산게라닐게라닐(geranylgeranyl pyrophosphate)로부터 합성되는 20개의 탄소골격을 갖는 물질로서, 보통은 심혈관개선을 통해 혈류를 좋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낮추며, 반려견의 관절 기능 향상에 기여한다.
아울러, 아스타잔틴은 비타민C보다 무려 6000배나 항산화 능력이 있어 장 활동을 촉진하고, 항염, 소염 기능과 근력손실을 막고, 특히 관절 근력 회복에 기여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차즈기복합추출물 분말, 쇠무릎 분말, 피나물 분말, 개다래 분말, 강활, 홍국쌀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더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분들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차즈기복합추출물 분말 5-10중량부, 쇠무릎 분말 5-10중량부, 피나물 분말 4-8중량부, 개다래 분말 4-8중량부, 강활 1.0-2.0중량부, 홍국쌀 분말 2.5-4.5중량부로 첨가 조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즈기복합추출물 분말은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통해 추출한 뒤 관절염을 가진 쥐에게 4일 동안 투여한 결과 위약군 대비 관절염증을 가라앉히고 개선하는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2019년 국내 연구진에 의해 연구보고된 바 있다(Anti-Arthritic Activities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Derived from Radiation Mutant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in Collagen Antibody-Induced Arthritis; Published online 2019 Dec 4).
그리고, 쇠무릎 분말은 사포닌과 엑디스테론, 리놀릭산이 풍부하여 냄새가 없고, 관절 건강 및 골레스테롤 감소에 기여한다.
또한, 피나물 분말은 벤조펜안트리딘 계열의 알칼로이드가 풍부하여 항염증, 진정, 항균의 약효를 지속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류머티스성 관절염과 타박상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개다래 분말은 액티니딘 성분으로 인해 신장 노폐물 배출에 영향을 주어 통풍예방에 좋고, 관절염 및 염증완화, 진통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강활에는 쿠리나과 임페라토닌, 오스톨, 안겔리틴, 안겔리콜, 알켈리코레아놀, 움벨리톤 등이 있고 항균작용과 항염 작용을 하며, 해열작용과 진통 작용을 하면서 관절의 활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예로부터, 머리가 아프거나 팔다리가 쑤시고 저릴 때 뼈마디가 시큰거리고 아플 때 주로 복용해 왔으며, 피부나 관절의 질환을 주료 치료하는 한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홍국쌀 분말은 일반 백미를 완전멸균 시킨 후 붉은 누룩곰팡이의 한 종류인 홍국균사체를 5% 투여하여 멸균실에서 배양을 통해 3~4주간 발효시켜 만들어낸 붉은 쌀 분말이다. 이렇게 홍국균이 배양되어 발효가 이루어지면서 모나콜린K(Monacolin-K)라는 성분이 생성되는데 이는 콜레스테롤강하제인 스타틴과 유사한 로바스타틴으로서 콜레스테롤 억제를 통해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글루코만난 15중량부, 서목태 펩타이드 5중량부, 미강 10중량부, 분말한천 10중량부, 백화사설초 추출물 5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글루코만난은 곤약식물의 뿌리에서 추출한 천연 수용성 식이섬유로서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 체중감량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서목태 펩타이드는 글리시테인을 함유하고 있어 호르몬 조절을 통한 해독작용, 이뇨작용, 노폐물 제거, 콜레스테롤 억제 등의 효능으로 장건강에 기여하고 혈행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비만 억제에 기여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미강은 쌀눈과 쌀겨로 구성되며, 백미의 영양소에 비해 월등히 높고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균일한 영양 섭취를 돕는다.
뿐만 아니라, 분말한천은 잘 부패하지 않으면서 물과 친화성이 강하다. 단백질과 칼슘, 섬유소, 인 및 철분과 비타민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변비를 개선하고, 포만감을 유도하여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백화사설초(Hedyotis diffusa Wilid) 추출물은 장내 독소를 해독하고, 염증을 치료하며, 면역기능 증진을 위해 첨가된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강아지에 급여하여 FBMI(체지방율)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대상 강아지는 강아지1,2,3,4로 명명하였으며, 강아지1은 비숑프리제, 강아지2는 스피츠, 강아지3은 포메라니안, 강아지4는 푸들로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고 일반가정에서 많이 키우는 견종으로 선택했다.
그리고, 10주간 하루에 2번(오전 9시, 오후 2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급여하였고,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FBMI를 측정 기록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대조군 1,2,3,4(동일 견종으로 대조함)에 대해 일반사료를 동일하게 급여하고 동일하게 측정 기록한 후 비교하였고,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FBMI 측정기준에 따라 실험예 강아지1,2,3,4 및 대조군 반려견의 흉곽둘레(9번째 갈비뼈가 위치한 곳의 둘레)를 측정한다. 흉곽의 둘레는 반려견이 바르게 서 있는 자세에서 가슴부분 중 가장 넓은 부분을 측정하였다. 뒷다리의 길이는 무릎에서 시작해서 뒷발꿈치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뒷발꿈치는 땅에 닿는 부분이 아니라 꺾어지는 발꿈치까지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흉곽둘레/0.7062)-무릎에서 발뒤꿈치 까지의 길이}×0.9156] - 무릎에서 발꿈치까지 길이" 방법으로 FBMI 체질량지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FBMI수치 30이상을 과체중 10미만을 저체중으로 판단하였으며, 핑크색- 과체중, 파란색-정상체중, 회색-저체중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았으며, 대조군에 비해 체지방율 감소가 확연하게 드러났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급여한 강아지1-4와 대조를 위한 비교군1-4의 피하지방 수치 변화를 확인하였다.
급여는 실시예1과 같이 10주간 급여하면서 강아지1-4에 대해서 피부 두겹법에 의한 피하지방 수치를 확인하였고, 마찬가지로 대조군1-4에 대해서는 일반사료를 급여하면서 실시예1과 같은 방식으로 동일하게 확인하였다.
이때, 측정은 반려견의 흉곽둘레(9번째 갈비뼈가 위치한 곳의 둘레)를 특정하여 반려견이 바르게 서 있는 자세에서 가슴부분 중 가장넓은 부분의 살을 집어서 전용 캘리퍼스로 진행하였다
확인 결과, 표 2에서와 같이, 강아지1-4의 경우 피하지방 수치(mm)가 많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그래프화 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세포독성 유무를 분석키트인 LDH cytotoxicity assay로 검증하였다.
이는 세포독성을 판단하는 실험으로 세포집단에서 원형질막 손상수준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세포사멸/세포독성분석이다. 젖산 탈수효소 LDH는 모든 세포유형에 존재하는 안정한 효소로 원형질막 손상시 세포배양 배지로 빠르게 방출된다 LDH 분석 프로토콜은 효소 결합 반응을 기반으로 하며 세포에서 방출된 LDH는 젖산을 산화시켜 NADH를 생성한 다음 WST와 반응하여 노란색을 생성한다. 생성된 색상의 강도는 용해된 세포의 수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상기 실험에서 대식세포 RAW 264.7 세포를 배지(DMEM)DP 자극물질 LPS(1ug/ml)를 동시처리하여 하루 배양한 후 LDH분석키트 ab65393 wst를 사용하고 od450nm에서 분광광도계와 플레이트 판독기로 정량측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LDH assay를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판단하였다.
판단 결과, 키트의 색상 변화등이 일어나지 않았고 흡광도의 정량적 분석에서도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항염증 여부를 실험하였다.
항염증 시험이란 mouse 유래 대식세포(raw 264.7)에 인위적으로 염증반응을 유도한후 시료를 처리하여 염증과 관련된 물질들의 발현량을 측정 비교하여 염증억제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시험법이다. 염증 또는 염은 생체 조직의 유해한 자극원 예를 들어 병원균, 손상된 세포, 자극원에 대한 생제반응 중 하나로 면역세포, 혈관, 분자생물학적인 중간체들이 관여되어 있는 보호반응이다. 염증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 또는 상처,수술,화상,동상,전기자극,화학물질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사이토카인은 감염, 면역반응, 염증 및 외상에 대한 숙주반응의 조절자로서 일부 사이토카인은 질병을 악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면(전염증성) 다른 사이토카인은 염증을 줄이고 치유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항염증성) 인터루킨(IL)-1과 종양괴사인자(TNF)는 발열, 염증, 조직파괴등을 유발한다. IL-1 및 TNF의 생물학적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은 중화 항체로서 의의가 있으며 특히, IL-1 또는 TNF를 차단하는 것은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효과 확인 수단으로 의의가 있으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판단 결과, IL-1 및 TNF의 생물학적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어 항염증 개선기능의 존재를 유의미하게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라디컬소거율)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비타민C와 비교하여 ABTS assay를 통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는 Potassium persulfate에 의해 전자를 잃어 짙은 청녹색을 띄지만,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라디칼소거능)으로 색이 옅어지는 과정을 보고 항산화능을 관찰할 수 있다.
(1) PBS buffer에 용해된 7mM ABTS diammonium salt와 증류수에 용해된 2.45mM potassium persulfate를 섞어 1:1 반응시킨다.
(2) ABTS를 ABTS+로 만들기 위해 암실조건에서 16시간동안 상온 incubation 실시한다.
(3) incubation 완료한 ABTS+ 용액에 50% 메탄올을 섞어가며 WL 734nm에서 0.700(오차범위 0.02)가 되도록 맞춰준다.
(4) Absorbance를 0.700으로 맞춘 ABTS+ 용액 0.95ml 각각에에 비타민C(50% 에탄올수용액에 1mg/ml 농도별로 준비)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공시료(증류수)를 각각 첨가한다.
(5) 암실조건에서 10분간 두어 충분히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 후 734nm에서 다시 Absorbance 측정한다.
(6)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소거율을 백분율로 나타낸다.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1-Atest Acontrol)×100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라디컬소거율이 비타민에 버금가는 수치를 나타내었으므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급여한 강아지1-3과, 대조를 위한 비교군1-2의 골소주, 골부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슬개골 부위의 조직 소견 사진을 만든후 정량적 영상 분석체계(quantitative image analysis, wild leitz사 독일)을 이용하여 골소주 면적을 구하였다. 각각의 슬개골 근위부에서 가로변의 길이가 성장판 길이의 약 2/3정도 되는 길이로 하는 기준 면적 내부에 있는 각각의 골소주들의 평균 면적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하고 그 직사각형 내부의 골소주의 개수를 구한 다음 평균 면적에 개수를 곱하여 각 슬개골 표본의 골소주 부피율을 구하였고, 이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측정결과, 강아지 1-3의 골밀도가 실험군 모두 정상범위 안에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급여에 따른 골밀도율을 평가하였다.
골밀도율은 강아지 1과 대조군 1에 대하여 dexa system(Hologic QDR-4500 v1.0:Hologic Inc bedforD, MA, U.S.A)을 이용하여 자체내에 설정되어 있는 Small animal mode high-resolution 상태로 각각의 표번은 2번씩 촬영하여 bone mineral density(BMD)값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대조군 1에 비해 강아지 1의 골밀도가 증가되는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급여에 따른 체지방 감소, 관절질환 완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콜라겐 유도성 마우스모델(CIA:collagen induced arthritis)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 7주령의 수컷 DBA/1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동안의 적응기간을 거친후 8주령의 마우스를 대상으로 CIA를 유도하였다. 1마리당 150UG 의 제 2형 콜라겐을 동일한 양의 2mg/ml 농도의 complete freund's adjuvant와 1:1 비율로 혼합하여 마우스 꼬리 기저부 2cm 아래쪽의 피내에 천천히 주입하였다.
3주뒤 100UG 의 제2형 콜라겐과 incomplete freund's adjuvant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마우스 꼬리 기저 1cm 아래쪽의 피내에 천천히 주입하여 CIA를 유도하였다.
비교군에 대해서는 일반사료를 급여 하였으며 실험군에 대해서는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모든 실험군들은 CIA 유도 2주전부터 실험 식이를 시작하였고 CIA 유도후 9주동안 실험식이를 유지하였다.
(2) 2개의 앞발과 2개의 뒷발(총 80개의발)의 발적과 부종의 발생 유무를 관찰하여 각 시기별 관절염 발생율 및 관절염 위중도를 평가하였다. 관절염지수가 2점 이상인 경우 관절염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0점:발에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정상적 상태
-1점:발가락, 발등, 발목등에서 한곳이라도 최소한의 종창이나 홍조가 유발된 상태
-2점:발가락, 발등, 발목 중 두 군데 이상에서 확실한 부종과 홍조가 유발된 상태
-3점:발가락에서 발목 전 부위에 걸쳐 상당한 부종과 종창이 관찰되거나 강직으로 발을 자유로이 이용하지 못함
이와 같은 실험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두 그룹간의 발병률 차이를 평가하였으며, Mann-whitney U test를 시행하여 관절염 위중도등을 분석하였다. 그 외의 다른 실험결과들은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균+-표준오차로 평가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이 CIA에 유도된 관절모델에 대해 synovial proliferation 활액의 증식, cartilage damage 관절의 연골 손실, pannus formation 염증반응, bone erosion 골밀도 손실의 수치에서 모두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반려견의 체지방 감소 및 콜레스트레롤 감소를 도와 반려견의 지나친 체중증가에 따른 관절 과부하를 예방하고, 반려견의 관절을 강화할 수 있는 충분한 영양성분을 공급하여 관절 건강을 돕고 슬개골 탈구를 예방하여 반려견의 관절 질환을 개선하는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닭가슴연골분말 20-30중량부, 연어이리분말 6-8중량부, 강황 추출분말 1.5-3.5중량부, 로즈힙 분말 8-10중량부, 핑거루트 추출분말 8-10중량부, 클로렐라분말 8-10중량부, 정어리정제어유 6-8중량부, 산양유 락토페린분말 8-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차즈기복합추출물 분말 5-10중량부, 쇠무릎 분말 5-10중량부, 피나물 분말 4-8중량부, 개다래 분말 4-8중량부, 강활 1.0-2.0중량부, 홍국쌀 분말 2.5-4.5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닭가슴연골분말을 만들 때, 상기 닭가슴연골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스테비아 3.0중량부, 글루타싸이온 8.5중량부, 에리소르빈산 4.5중량부, 시트르산 2.5중량부, 나린진 8.0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즈힙 분말을 만들 때, 이 로즈힙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나토키나제분말 15중량부, 감마 아미노뷰티르산 8중량부, 브로콜리 스프라우트분말 10중량부, 아티초크 추출물 10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0220161749A 2022-11-28 2022-11-28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58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749A KR102582313B1 (ko) 2022-11-28 2022-11-28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749A KR102582313B1 (ko) 2022-11-28 2022-11-28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313B1 true KR102582313B1 (ko) 2023-09-22

Family

ID=8818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749A KR102582313B1 (ko) 2022-11-28 2022-11-28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313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79B1 (ko) * 2005-12-29 2008-10-28 대상팜스코(주) 클로렐라를 포함하는 개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3192B1 (ko) * 2009-07-20 2010-07-30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1115500B1 (ko) * 2009-06-25 2012-02-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2955A (ko) * 2015-01-28 2016-08-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KR101719436B1 (ko) * 2011-01-21 2017-03-23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지방 분해 촉진 조성물
KR101928749B1 (ko) * 2018-05-23 2018-12-13 김경옥 기호성이 개선된 반려견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연질 캡슐
KR102167537B1 (ko) 2018-12-21 2020-10-19 (주)에이앤바이오 반려동물 전용 슬개골 탈구 예방과 근육 강화를 위한 조성물
KR102168587B1 (ko) 2020-04-29 2020-10-21 지혜민 반려동물 관절 영양제 조성물
KR102287247B1 (ko) 2020-12-24 2021-08-06 양소현 반려동물 관절 영양제 조성물
KR20220026750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에스에프씨바이오 차조기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419815B1 (ko) 2021-12-24 2022-07-12 (주)씨엘팜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2654B1 (ko) 2021-08-31 2022-08-16 주식회사 캘러스 반려동물 관절질환 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용 조성물
KR102437362B1 (ko) * 2022-03-17 2022-08-29 박종호 반려 동물용 관절 건강 개선용 영양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79B1 (ko) * 2005-12-29 2008-10-28 대상팜스코(주) 클로렐라를 포함하는 개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5500B1 (ko) * 2009-06-25 2012-02-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3192B1 (ko) * 2009-07-20 2010-07-30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1719436B1 (ko) * 2011-01-21 2017-03-23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지방 분해 촉진 조성물
KR20160092955A (ko) * 2015-01-28 2016-08-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US20180027843A1 (en) * 2015-01-28 2018-02-01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mposition for drinking water agent and feed having pet urine odor removal function, comprising mixture of herb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KR101928749B1 (ko) * 2018-05-23 2018-12-13 김경옥 기호성이 개선된 반려견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연질 캡슐
KR102167537B1 (ko) 2018-12-21 2020-10-19 (주)에이앤바이오 반려동물 전용 슬개골 탈구 예방과 근육 강화를 위한 조성물
KR102168587B1 (ko) 2020-04-29 2020-10-21 지혜민 반려동물 관절 영양제 조성물
KR20220026750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에스에프씨바이오 차조기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287247B1 (ko) 2020-12-24 2021-08-06 양소현 반려동물 관절 영양제 조성물
KR102432654B1 (ko) 2021-08-31 2022-08-16 주식회사 캘러스 반려동물 관절질환 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용 조성물
KR102419815B1 (ko) 2021-12-24 2022-07-12 (주)씨엘팜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7362B1 (ko) * 2022-03-17 2022-08-29 박종호 반려 동물용 관절 건강 개선용 영양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56499A (zh) 用于调节脂质代谢的组合物
TWI407963B (zh) Contains the composition of riboflavin and sesamin
CN102665746A (zh) 用于改善或预防炎性病况的包含姜的组合物
CN108347987A (zh) 将多酚用于肌肉骨骼健康的组合物和方法
CN104222680B (zh) 泥鳅专用复合免疫增强剂及其制备方法
KR100725926B1 (ko) 마늘을 함유하는 닭 사료 조성물
MXPA05012050A (es) Complemento dietetico y metodo para el tratamiento y prevencion de ulceras del tracto digestivo en equinos y otros animales.
CN104542484A (zh) 一种富硒肉猪的饲养方法
TWI440458B (zh) Containing sesamin and arachidonic acid
CN107691794A (zh) 一种蝴蝶犬幼犬狗粮及其制备方法
CN101147527B (zh) 一种能使鸭蛋具有软化血管和降压作用的饲料及制备方法
CN105878397A (zh) 一种调节牛羊运输应激组合物
KR20110119305A (ko)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01324238B1 (ko)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2313B1 (ko)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Nworgu et al.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served heat-treated fluted pumpkin (Telfaria occidentalis) leaves extract supplement
CN103975896B (zh) 降低半散养传统黑猪肉质中重金属抗生素残留的饲养方法
CN105558435A (zh) 一种用于防治鲢鱼出血病的饲料添加剂
Yulianti et al. Effect of andrographis paniculata a phytobiotic on consumption, feed conversion and Mojosari duck egg Production
KR20190118720A (ko) 사철쑥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및 친환경성 돼지사료용 보조제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및 그 돈육
JP2011037811A (ja) 脂肪低減用組成物
WO2007114437A1 (ja) セサミン類含有動物用飲食物
CN106819223A (zh) 一种保健奶茶及其制备方法
KR102665874B1 (ko) 반려동물 관절, 피부 및 장 건강 개선용 사료 조성물
Totawar Critical review of the utilization of Panchagavya in the form of Nutraceutic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