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305A -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305A
KR20110119305A KR1020100038931A KR20100038931A KR20110119305A KR 20110119305 A KR20110119305 A KR 20110119305A KR 1020100038931 A KR1020100038931 A KR 1020100038931A KR 20100038931 A KR20100038931 A KR 20100038931A KR 20110119305 A KR20110119305 A KR 20110119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aurine
juice
acid
vitam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이원갑
박기주
Original Assignee
김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규 filed Critical 김원규
Priority to KR102010003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9305A/ko
Publication of KR2011011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42Lac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44M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56Tarta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4Taur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62Stevio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54Gell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6Gu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6Fru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Glucose, Dext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6Mal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28Saccharose, suc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2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4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6Vitamin B3 nia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2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6Vitamin B8 Fo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6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Vitamin 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2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2Biot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수에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엑기스, 구기자엑기스,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주성분이외에 감미제, 유기산, 점도조절제, 향료, 보존제, 식이섬유, 과일주스, l-카르니틴, 염화나트륨 및 글리세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조성물은 간장의 활동을 촉진시키고, 담즙 분비를 활발히 하여 간장의 고유 해독 작용을 높여주고, 심신안정, 스트레스 해소, 자연 치유력 및 면역 기능 증강, 항산화 작용, 피로 회복 등의 효능을 가진다.

Description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A functional beverage comprising taurine, royal jelly, red ginseng, lycii fructus, glumate and apple essence as main ingredients}
본 발명은 정제수에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타우린 (taurine; 2-amino-ethanesulfonic aicd)은 포유동물의 체내에서 생합성되는 유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 (sulfonic amino acid)의 하나로서 세포 내액에서 유리된 상태로 존재하고, 특히 뇌, 안구, 근육, 간 등의 골격근과 신경계의 유리 아미노산 집단에서 높은 농도로 발견되며, 해독과 항산화 작용을 통해 간 기능 강화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및 혈압조절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건강 소재로 오래 전부터 식품 및 음료에 사용되어 왔다. 타우린은 육식동물 체내에서 담즙산을 포합하여 타우로콜산 (taurocholic acid)의 형태로 담즙을 통해 배출되는데, 담즙으로 배출된 타우린은 계면활성 작용에 의해 장내에서 지방 또는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촉진시키고, 또한 이담작용에 의해 급성 간염시 황달의 경감 작용과 고지혈증 환자의 혈청 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외에도 뇌의 발육, 망막의 광수용체 활성, 생식 및 정상적인 성장 발달, 항산화 활성, 신경 전달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Jacobsen et al., Physiol. Rev . 48:424-511, 1968). 이와 같은 생리활성으로 인해 타우린은 유아용 이유식이나 껌, 음료 및 자양강장 드링크제 등의 각종 건강식품이나 의약품의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치료적 사용은 심장 질환의 치료에 대해서만 보고되어 있다.
포유류의 조직에서 타우린은 함황 아미노산인 시스테인 (cysteine)과 메티오닌 (methionine)으로부터 생합성되는데, 인체의 경우 타우린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시스테인 다이옥시게나제 (cysteine dioxygenase)와 시스테인 디카복실라제 (cysteine decarboxylase)의 활성이 매우 낮아 타우린의 생합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외부로부터 타우린을 공급받아야 한다 (Vinton et al ., Pediatr. Res . 21:399-403, 1987).한편, 타우린은 포유류 조직에서는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고농도를 유지하지만, 유즙내 타우린 함량은 동물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여러 종류의 포유류를 대상으로 상유 (mature milk)에 함유된 타우린 농도를 측정한 바 에 따르면 (Rassin et al ., Early Hum. Dev. 2(1):1-13, 1978; Sarwar et al.,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79:129-131, 1998), 얼룩말과 고양이의 경우 각각 595μ㏖/100 ㎖과 287μ㏖/100 ㎖의 타우린이 존재하여 유즙에 포함된 유리 아미노 산 중 가장 농도가 높으며, 모유에는 34μ㏖/100 ㎖의 타우린이 함유되어 글루탐산 (glutamate) 다음으로 농도가 높다. 한편, 쥐, 토끼 및 양의 상유에는 14-15μ㏖/100 ㎖의 타우린이 함유되어 있고, 소의 상유에는 1μ㏖/100 ㎖으로 포유류의 유즙중 타우린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모유의 경우 타우린이 총 유리 아미노산의 약 13 % 정도를 차지하는 주된 아미노산인 반면, 조제유의 주성분인 우유에는 상대적으로 타우린 함량이 매우 낮다.
타우린(β-amino ethane sulfonate, taurine)은 대부분의 동물조직 내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유리 아미노산으로 골격근과 심장근, 뇌하수체, 혈소판, 림프아세포, 신장 및 망막에 고농도로 분포한다. 타우린은 망막의 광수용체 활성, 담즙산 포합, 백혈구의 항산화 활성, 폐의 항산화 활성, 중추신경계의 억제적 신경조절, 혈소판 응집의 감소, 심장수축의 촉진, 정세포 운동력 촉진, 인슐린작용 촉진, 임파구의 세포분화, 삼투압 조절, 세포증식, 칼슘의 유입과 유출, 당대사 촉진, 해독작용 및 세포막 안전성과 망막색소 상피세포의 증식촉진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생물학적 기능을 담당한다.
타우린의 생체내 합성은 황 함유 아미노산인 메티오닌(methionine)과 시스테인(cysteine)의 대사로부터 유도되는 전이-황화(trans-sulfuration) 과정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며 함유 아미노산의 최종산물이다.
정상적인 영양 상태의 인체는 음식으로부터 과도하게 섭취된 타우린을 소변으로 배설시킨다(Paauw J. D. et al.,Am. J. Clin. Nutr., 52 : 657-660, 1990). 하지만, 타우린의 공급이 매우 제한적인 산태에서는 체내의 신장이 타우린의 재흡수는 증가시키고 타우린의 배설은 감소시킴으로써 타우린을 저장하여 체내 적정 타우린 함량을 유지하게 한다(Rozen R. et al.,Proc. Natl. Acad. Sci. USA,79 : 2101-2105, 1977).
임신기 태아는 태어나기 전 마지막 4주 동안에 거의 매일 50 내지 60 mmol(6 내지 8 mg)의 타우린을 축적하는데, 이와 같이 태아의 뇌에 타우린이 고농도로 축적된다는 것은 태아의 뇌세포 발달에 타우린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조산에 의한 미숙아의 경우에는 임신 후반기에 축적될 수 있는 타우린의 공급이 불충분하여 타우린 결핍으로 인한 뇌세포 발달 및 시각발달 장애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Zelikovic I. et al.,J. Pediatr.,116, 301-306, 1990). 또한, 태아가 모체에서 발생중이거나 생후 초기에는 생체내 타우린의 생합성 경로가 완벽하게 갖추어지지 않아 타우린의 공급이 제한적일 뿐 아니라(Sturman J. A. et al.,Adv. Nutr. Res., 3, 231-299, 1980) 소변으로 배설되는 타우린의 재흡수를 담당하는 신세뇨관 세포가 미성숙되어 소변으로 과잉의 타우린이 배설될 수도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타우린 공급이 대단히 중요하다(Zelikovic I. et al.,J. Pediatr.,116, 301-306, 1990).
일반적으로, 타우린은 모유와 우유의 초유에서 현저하게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데, 모유에서의 타우린 농도는 수유 전 기간을 통해 300 μmol/L 또는 40 ㎎/L 정도로 상당히 높은 농도가 유지되지만 우유에서는 수유 기간이 경과할수록 타우린 농도가 30 μmol/L 또는 4 ㎎/L로 감소하기 때문에 우유를 풍부한 타우린 급원이라고 할 수는 없다.
비타민류는 체외로부터 섭취하는 식품 중 주 영양소인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 무기염류 및 수분이외에 동물의 정상적인 발육과 영양을 보존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미량물질의 총칭이다.
비타민의 체내기능은 매우 광범위한데, 대부분은 효소나 또는 효소의 역할을 보조하는 조효소의 구성성분이 되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질의 대사에 관여한다. 생물체의 생명현상은 생체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연쇄적인 화학반응에 의하여 유지되며, 이 일련의 생화학반응들은 효소라고 하는 유기촉매가 존재할 때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 효소는 화학반응에 직접 참여하는 물질이 아니므로 자신이 도움을 주는 화학반응에 의하여 완전히 소모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비타민의 필요량은 매우 소량으로 충분하지만, 이 소량의 필요량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생명현상의 유지에 필요한 체내 영양소의 대사가 지장을 받게 된다.
비타민류에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비타민 B1(치아민), 비타민 B2(리보플라빈), 니코틴산 아미드, 비타민 M(엽산), 비타민 B6(피리독신), 비타민 B12(시아노코발라민), 비타민 H(비오틴), 비타민C(아스코르빈산) 등이 있으며, 지그용성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D(칼시페롤), 비타민 E(토코페롤), 비타민 K(피로키논), 비타민 F(리놀렌산) 등이 있다.
비타민 A(Retinol & Provitamin A)는 정상적 성장, 건강한 피부, 시력, 감염에 대한 예방, 비타민 D(Calciferol)는 치아, 골격 유지, 생체 내 칼슘, 인의 이용률 향상, 비타민 E(Tocopherol)는 적혈구, 근육, 조직세포의 형성과 그 기능에 보조 역할, 항산화제로 체내 불포화 지방산 보호, 비타민 K(Phylloquinone & Menadione)는 혈액응고에 관여, 비타민 B1(Thiamine)는 당과 지질의 적절한 대사 촉진, 심장과 신경조직의 정상화 기능에 관여, 비타민 B2(Riboflavin)는 건강한 피부 유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체내이용에 작용, Niacin(Vitamin B3)는 세포내 에너지 생성반응에 관여, 신경전달계 관여. Pantothenic acid(Vitamin B5)는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의 대사와 호르몬 형성에 요구되고 조직재생 기능 가지며, Vitamin B6(Pyridoxine)는 단백질 이용에 관여, 적혈구 형성에 보조역할, 신경전달계 기능 보조, Vitamin B12(Cyanocobalamin)는 빈혈예방, 적혈구 형성에 보조역할을 하며 Folic acid(Vitamin Bc)은 빈혈예방, Biotin(Vitamin H) 지방산 형성과 에너지 생성에 관여하며, Vitamin C(Ascorbic acid)는 골격, 치아, 혈관을 튼튼하게 하며 콜라겐 형성에 관여, 철분 흡수 조장, 인체 내 면역기전을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비타민의 기능은 실로 다양한데 뇌, 신경계와 관련되며 비타민은 비타민 B군, 특히 B1, B6, B12로 비타민 B1은 뇌세포 에너지원인 포도당 분해 시 필요하며 뇌세포의 흥분도와 활성을 일으키는 성분으로 글루타민산이라는 아미노산이 이용되는데 이 성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비타민 B1과 B12가 필요하다. 그리고 기억력과 관련이 있는 뇌세포내의 리보핵산은 비타민 B1과 B6와 관계있다.
또 다른 내용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있을 때 혈중 비타민 C가 저하된다고 한다. 기전은 명확하지 않지만 우울증 환자들에게서 엽산(foic acid)이 부족하다는 자료도 있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보면 꼭 비타민이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비타민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필수요소라 여기며 결핍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로얄젤리는 꿀벌 유충의 영양섭취에 사용되는 꿀벌의 분비물이며, 여왕벌의 주식이기도 하다. 꿀벌이 밀랑에 담아서 체내의 효소로 과당과 포도당으로 전환하여 농축해 저장한 일종의 벌꿀류이며 독특한 향기와 맛을 지니고 있으며 독일에서는 “여왕의 숲”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로얄젤리는 벌꿀의 성분과는 완전히 다르다. 벌꿀은 단맛이지만 로얄젤리는 닷맛을 느낄 수 없으며 혀와 입안을 찌르는 듯한 맛과 신맛, 매운맛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 이러한 맛은 로얄젤리의 성분이 다양함을 의미한다.
로얄젤리는 매우 복잡한 생화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로얄젤리는 매우 풍부한 단백질 공급원이며, 8가지 필수 아미노산, 중요한 지방산, 당분, 스테롤 및 아세틸콜린(혈압저하제) 뿐만 아니라 인화합물도 함유하고 있다. 아세틸콜린은 세포와 세포 사이의 신경 전달에 있어 필수적이다. 이 화합물이 너무 적으면 알츠하이머병(치매)에 걸리기 쉽다. 로얄젤리에는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감염균을 퇴치하는 것으로 알려진 감마 글로브린이 들어있다.
로얄젤리는 비타민A, B복합체, C, D, 그리고 E를 포함하고 있다. 로얄젤리는 특히 B1, B2, B6, B12, 비오틴, 엽산, 이노시톨이 들어 있는 비타민 B 복합 함유물로도 이용가치가 뛰어나다. 또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B 비타민 판토테닉산도 많이 들어있다. 로얄젤리에는 장수와 면역체계를 강화하고 노화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펜토텐산, 머리카락의 성장과 몸에 활력을 주는 이노시톨, 피부건강과 신경계통 및 소화기관을 돕는 나이신, 몸의 산도를 조절하는 리보플라빈, 세포조직에 관여하는 피리독신, 탄수화물을 에너지화 하는 티아민, 피부와 머리카락에 관여하는 바이오틴, 건강한 피를 만드는 폴릭산, 산화방지와 백혈구를 보호하는 비타민 E, 새로운 피를 생성시키는 B12, 병균의 침입과 희망찬 생각을 창출하는 비타민 A등 16종류의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다.
로얄젤리에는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트립토판등 18종류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체에 없어서는 안될 각종 미네럴 16종과 포도당을 기점으로 한 탄수화물과 각종 효소 18종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로얄젤리에는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10-HDA(하이드록시 데센산:로얄젤리 진품의 평가기준 물질임)가 상당량 포함되어 있으며, 항균력은 페니실린이나 테트라사이클린의 70%수준이다. 로얄젤리는 이러한 일백여 가지의 각종 성분들이 조합되어 서로 긴밀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몸속에서 작용하여 참으로 경이로운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네랄, 칼슘, 구리, 철, 인, 칼륨, 규소, 황도 포함하고 있다.
로얄젤리는 젊음을 연장하고 피부 미용에 도움을 준다고 예로부터 알려져 왔으며, 이 물질이 에너지를 증대시키고 불안과 불면증, 우울증, 기억력 감퇴를 완화시키며 면역체계까지 강화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증거도 있다. 뉴욕 Valhalla의 연구가들은, 로얄젤리는 분비선을 자극하여 남성과 여성의 생식 기관을 정상화시켜주는 복합적인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것이 자연 호르몬처럼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다른 연구에서도 병아리, 돼지, 수탉들이 로얄젤리를 먹은 후에는 더 크게 자라고 더 오래 살며, 생식력이 왕성해지고 성적으로 더욱 활발해짐을 보여주고 있다. 로얄젤리에는 핵산, RNA 그리고 DNA도 풍부하다. 또한 로얄젤리에는 콜라겐의 전신 중 하나인 젤라틴이 포함되어 있다. 콜라겐은 피부를 매끄럽고 젊어 보이게 해주는 노화방지 물질이다. 이 로얄젤리는 호르몬과 같은 성분이며, 벌꿀처럼 달지 않고 우유 빛을 띠고 혀끝을 찌르는 듯한 맛과 약간의 신맛, 매운맛 그리고 약간의 단맛을 느끼게 하는 필수 영양소의 집합체이다.
실온에서는 부패가 빨라 채취 즉시 -50℃에서 냉동시킨 후 -18℃에서 보관하면 3년 이상 활성이 유지되는 경이로운 물질이다. 일평생 꿀벌이 입에서 뿜어주는 로얄젤리만 먹고 산란만 하는 여왕벌, 이 로얄젤리는 인간의 생명을 연장하고 강력한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10-HDA와 항생물질, 항염물질, 혈류개선제, 세포재생제, 피부미용제등 백여가지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로얄젤리는 로마 교황 리오12세가 병중에서 로얄젤리를 투여받고 노환에서 회생됨으로써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주 기능으로는 인체의 면역력을 증강시켜주고 영양이 풍부하여 몸이 약한 사람은 회복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성질이 따뜻해 위장건강에도 좋으며 피부미용, 갱년기 장애, 피로회복에도 효과적이다. 또 한 로얄젤리는 널리 사용되는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어 누구나 섭취가 가능한 자연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홍삼은 한국의 대표적인 보양음식이자 한약재 중 하나이다. 밭에서 캐낸 수삼을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증기로 쪄서 익혀 건조시킨 인삼의 가공물이다. 보통 담황갈색 혹은 담 적갈색을 띄므로 홍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수분이 많은 수삼과는 달리 홍삼은 장기 보관이 용이하다. 홍삼은 인공으로 길러진 인삼만을 가공한다. 홍삼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자살을 유도하여 암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홍삼에는 페놀성 성분이 들어있어 노화와 피로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 물질을 없애 주어 노화예방과 피로회복에 좋다. 또 한 홍삼은 알코올 분해효소의 활성을 증대하고 아세트알데히드를 신속하게 제거해 주어 숙취제거에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홍삼의 사포닌 성분은 당뇨 유발물질인 알록산과 스트렙토조토신을 제거하여 당뇨에도 효능이 있다.
그 외 홍삼을 섭취하면 칼슘을 보강해주고 두뇌활동을 촉진시켜주어 수험생들에게 좋다.
홍삼의 항산화작용과 피부 보호 작용으로 인하여 피부를 매끈하게 해주어 피부미용에 좋으며, 저혈압인 사람은 혈압을 높여주고 고혈압인 사람은 혈압을 낮춰준다. 또 한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해주어 혈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해주어 동맥경화와 같은 각 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다.
구기자 나무(Lycium chinense Miller)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낙엽성활엽 관목으로, 생명력이 강하고 가지에는 잎이 변하여 생긴 가시가 있다. 가시는 탱자나무의 가시와 같고, 줄기는 고리버들과 비슷하므로 구기라 하였으며, 열매를 구기(Lycii fructus), 잎을 구기엽(Lycii folium), 근피를 지골피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봄에 뽕나무 배듯 지상부를 제거하고 새순을 3∼5개 키워 구기자를 수확하나, 중국의 대단위 재배지인 영하지역에서는 대추나무 키우듯 먼저 한 개의 줄기를 키우고, 거기에 가지를 3∼5개 정도 붙여 수확하고 있어 재배법이 많이 다르다.
구기자는 길이 2-3cm, 지름 5-10mm의 한쪽이 뾰족한 방추형의 열매이며 과피는 적색 또는 어두운 적색을 띠우고 있고, 바깥 면은 쭈글쭈글하며 속에는 황색의 씨가 들어 있다. 냄새는 별로 없고 맛은 약간 달고 수렴성이다.
구기자는 『신농본초경』에 의하면 “신을 보하고 폐를 윤택하게 하고, 체액을 생성하고, 정기를 점차 번창하게 하고, 내분비의 기능을 높이고, 피로에 의한 내열을 제거하고, 양분을 보충하고 노화를 막는다.” 라고 되어 있다. 특히 구기자의 풍부한 비타민, 미네랄은 간장의 작용을 높이고, 간세포의 보호나 재생에 도움이 되며 신진 대사를 높인다. 또한 혈당 강하 작용이나, 지방이 간장에 침착하는 것을 막는다.
특히 음주자 들이 섭취하는 경우 지방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 발행 식품분석표의 식품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방,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당질, 섬유소등 필수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어 보약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구기자에는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성분인 베타인, 비타민A, B1, B2, C, 칼슘, 인, 철, 니코틴산, 아연 등 영양분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고 고혈압, 저혈압 변비 간장병, 신경통, 류마티스, 발육촉진, 피로회복, 신체의 활력 등 이외에도 많은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었다. 피로회복, 노화방지, 노인성 백내장과 노안의 예방이 되며, 구기자의 함유성분 중 베타인은 간장에 지방질이 엉키는 것을 예방하며, 지방간을 치유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베타인, 제아산틴, 리놀렌산은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며 동맥경화와 고혈압에 유효하다.
최근, 식생활의 변화와 식품공업의 발달에 따라 유지제품의 수요와 생산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유지제품의 유통, 저장 중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품첨가물로서 주로 BHA, BHT 또는 토코페롤 등의 산화방지제를 첨가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산화방지제 중 합성 산화 방지제는 화학적 안전성이 불확실한 문제점이 있으며, 천연 토코페롤은 비싼 가격 때문에 광범위하게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탈지미강에서 추출되는 항산화성 물질은 우리나라에서 대량생산되어 사료 또는 퇴비로서만 사용되는 값싼 재료인 미강을 이용한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많은 천연물로서 인체에 대한 독성이 전혀 없는 안전한 물질이다.
현재 알려진 바에 따르면 미강속의 단일 항산화 성분으로서는 오리자놀 (oryzanol)과 피틴산 (phytic acid)이 알려져 있으나, 오리자놀의 경우 페룰산 (ferulic acid)과 트리테르펜 알콜의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유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미강에서 미강유를 추출하는 과정중에 대부분 유실된다. 또한, 피틴산은 타 항산화성 물질과 동시에 사용할 때만 효과가 있으며 그 자체로서의 항산화력은 미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되는 산화방지제는 페룰산을 비롯하여 폴리페놀성 물질 및 피틴산과 기타 단백질 변성물의 복합체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항산화성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종래의 추출방법은 생산 수율적인 측면에서 경제성이 떨어지고 항산화력이 약하며 무엇보다 추출된 항산화물질의 보존기간이 짧아 실용화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에 대한 사용 첨가량을 훨씬 감소시키면서도 항산화 효과가 더욱 우수한 산화방지제의 신규 추출방법을 제공하고 이물질의 보존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미강에서 수용성 항산화제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소 62-241985호에는 물을 용매로 하여 pH 4 및 온도 30℃의 조건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추출용매로 에탄올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 에탄올의 혼합비율이 커질수록 생성물의 항산화력이 떨어진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하여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때 에탄올의 혼합 비율이 20%가 될 때까지는 에탄올 함량이 증가할수록 생성물의 항산화력이 떨어지나 그 이상이 될 경우 오히려 항산화력이 강해져 에탄올 함량이 50% 전후일 때 가장 항산화력이 강해지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액에 의한 1차 추출액과 1차 추출 후 분리된 잔사를 순수한 nf로 2차 추출한 액을 혼합함으로써 생산수율이 배가 되면서도 항산화력도 오히려 좋아지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산화 물질은 그 자체로서 미생물 오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상용화되기에는 문제점이 있으나 에탄올을 10% 범위 내에서 첨가해줌으로써 현저히 보존안정성이 향상되는 것도 있다.
항산화력이 있는 물질이란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대한 소거능이 뛰어난 물질로서, 여기서 말하는 자유 라디칼은 여러가지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이 있는데, 특히 공기 중에서 섭취된 자유 라디칼은 인체 내에서 과산화기와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이라고 하는 해로운 물질을 만들기도 한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질병 중 약 80% 이상이 바로 자유 라디칼에 의한 산화 작용에 의한 것이며, 노화 또한 이 자유 라디칼의 산화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화는 주로 이러한 지질의 과산화에 의해 일어나게 되며, 과산화지질은 혈관에 작용하여 동맥경화나 혈전증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킨다. 최근에는 이러한 자유 라디칼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제 중 합성 항산화제의 안정성 문제로 그 사용에 있어 제약이 엄격해지면서 생리작용이 명확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지난 수십년간 널리 사용되어 오던 BHA, BHT, TBHQ 등의 합성 항산화제들의 안정성에 관한 우려로 미국, 일본 등 선진 각국에서는 법적으로 규제되는 추세이고, 천연소재인 토코페롤의 경우 비싼 가격과 안정성 때문에 광범위하게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보다 인체에 안전하고, 값도 저렴하며, 항산화력이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각종 향신료를 비롯하여 생약, 식용식물 및 식물종자 추출물 등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강은 우리나라에서 주식으로 사용되는 미곡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현미의 껍질과 쌀눈으로 된 가루 즉, 쌀겨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쌀 속의 인삼이라 불릴 정도로 쌀의 영양분 95%를 고스란히 함유하고 있어 탄수화물은 물론 양질의 단백질과 각종 비타민, 풍부한 무기염류 및 지방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밖에도 토코페롤, 식이섬유, 오리자놀(oryzanol), 토코트리엔올(tocotrienol), 시토트롤(sitotrol), 불포화 지방산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인체에 유효한 미량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콜레스테롤 상승억제효과를 비롯한 여러 가지 생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오래 전부터 미강을 빵, 쿠키, 스넥 등 구운 식품(baked product)에 적용시켜 건강식품을 제조하고 있고 안정화된 미강 자체가 건강 증진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미곡종합처리장이 급속하게 보급됨에 따라 대량 생산되고 있으나 그 중 특히 일부가 미강유 제조에 이용되고 있을 뿐 대부분이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풍부한 양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지만 지방 또한 존재하고 있어 리파제(lipase)에 의한 산패로 저장이 어렵기 때문에 식품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주로 사료로 사용되어 왔던 것이다. 또한, 식이섬유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의 강한 결합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자연 상태로 식품에 첨가할 때는 식품의 조직감에 큰 영향을 주는 것 외에도 리파제 등 저장 중 품질을 저하시키는 효소들과 미생물의 작용을 받게 된다.
미강의 일반적인 성분들은 하기 표와 같다.
성 분 단 위 함 량
조단백 (%N × 6.25) 12.0 - 15.6
조지방 % 15.0 - 19.7
조섬유 % 7.0 - 11.4
가용 탄수화물 % 34.1 - 52.3
조회분 % 6.6 - 9.9
칼슘 mg/g 0.3 - 1.2
마그네슘 mg/g 5 - 13
mg/g 11 - 25
피틴산 mg/g 9 - 22
실리카 mg/g 6 - 11
아연 ㎍/g 43 - 258
티아민 (B1) ㎍/g 12 - 24
리보플라빈(B2) ㎍/g 1.8 - 4.3
니아신 ㎍/g 267 - 499
산화 성분으로는 오리자놀(Oryzanol)과 피틴산이 있으나 오리자놀의 경우 페룰산과 트리테르펜 알콜의 에스테르 화합물로 미강유를 추출할 때 대부분 유실된다. 그리고 피틴산의 경우 타항산화성 물질과 동시에 사용할 때에만 효과가 있으며, 그 자체로서의 항산화성은 미약하다.
탈지미강으로부터 항산화제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일본 특허공개 소 62-241985 호에는 수용성 항산화제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pH 4 및 30℃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항산화제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한 바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3-0001378 호에는 40 내지 60%의 에탄올에서 1차 추출하고 물에서 2차 추출하여 항산화제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낮은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에는 항산화제의 수율이 낮으며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조비용의 과다와 공정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항암요법에 따른 부작용 억제 효과를 갖는 항산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활성을 갖는 저 분자화된 구성 성분 중 하나인 홍삼 사포닌과 활성산소 억제물질인 글루메이트 (Glumate, GMT)를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항암요법에 따른 부작용 억제 효과를 갖는 항산화 작용이 탁월하다.
글루메이트 (Glumate ,GMT)는 미당과 대두를 알칼리 발효법으로 추출한 액으로 특히 곡류, 종자류중에 피틴 (Phytin)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을 골라 원료로 하여 호알칼리성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켜 얻는 물질이다. 글루메이트는 1) Cyclodextrin과 Crown ether처럼, 알콜 분자를 포섭하는 것에 의해, 섭취된 알코올의 소장 내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알코올의 영향력을 줄인다. 2) 장내 Flora를 활성화하는 것에 의해 원활한 소화흡수기구를 만들어 낸다. 상기 작용에 의해 장내에서 이상발효를 제거해 분뇨취가 경감된다. 3) 위의 신경계는 부교감 신경 주도형으로 스트레스에 쌓여있을 때는 움직임이 둔해진다. 즉, 스트레스를 경감하게 하는 것에 의해 2의 이론에 연결할 수 있다. 4) Alcohol dehydrogenase를 활성화하여 간장의 부담을 덜어주며, 이는 항산화 작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글루메이트는 체내 유해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도 있다. 항산화작용과 직결되는 활성산소란 원래 인간을 비롯한 동, 식물의 체내에 있으면서 곰팡이, 바이러스, 이물질 등이 체내에 진입했을 때에 이를 죽이거나 용해시켜 살균하는 화학물질이다. 그러나 이 활성산소가 체내에 지나치게 증가되면 오히려 자기 몸의 조직을 공격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우리 몸안에는 체내에서 생성된 유해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벽(항산화 방어 메커니즘)이 존재 한다. 즉 인간의 체내에는 SOD(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같은 효소를 비롯해 각 종 항산화 물질이 존재해 활성산소의 공격으로부터 인체를 방어해 주고 있다. 더 자세하게 세포안에는 셀레늄과 글루타치온으로 만들어지는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와 아연, 구리, 망간 등을 필요로 하는 SOD라고 불리우는 수퍼옥시드디스뮤타아제, 카탈리아제 효소에 의해 활성산소가 제거한다. 통상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의 2-5% 정도는 활성산소로 바뀌어 지는데 문제가 되는 것을 인체내 항산화벽을 뛰어 넘을 정도로 생성되는 과잉현상이다. 이의 원인으로 1)스트레스 2)자외선 3)방사선 4)화학물질 (농약, 살충제, 의약품, 질소 화합물) 5)과격한 운동 (힘든 육체 노동), 과식, 음주, 흡연 6) 각종공해 등이다. 현대의 과도한 스트레스의 환경에서는 생체 내 활성 산소의 생성과 제거의 균형이 많이 깨어지고 있어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거나 또는 항상화 성분이나 항산화 성분 생성에 필요한 미네랄성분을 외부로부터 보급해주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한편, 신경을 안정시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주는 칼슘 등의 성분을 섭취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글루메이트는 기호성, 안정성이 좋으며, 모든 식품에 응용가능하며 드링크 등의 액체 중에 용이하게 혼합, 용해가 가능하므로, 어떤 제제에도 처방이 가능하다. 또 한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도 매일 섭취하면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입안을 깔끔하고 상쾌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노시톨의 화학식은 C6O6H12이며 원래 비타민 B와 관련된 물질도 알려져 있다. 이노시톨은 전핵생물의 필수 대사 물질로 막 인지질의 주요성분이며 신호전달 기능을 한다. 이노시톨의 한 형태인 이노시톨 6인산(inositol hexaniacinate)은 혈류 순환 건강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신체에서 나이아신과 유사하게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노시톨(inositol)은 거의 모든 동식물의 세포에 존재하면, 유리형 또는 복합형의 형태로 세포의 필수 구성성분이다.
머리털의 성장에 필요한 성분이다. 정신적으로 차분하게 하여 주며,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준다. 동맥혈관이 굳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레시틴의 구성성분으로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대사에 중요하다. 과잉의 지방은 간에서 대사 시켜서 제거 시킨다.
이노시톨은 의학적으로 중독성 간염, 간경변, 이타롬성 동맥경화, 특히지방, 콜레스테롤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항지방간 작용을 나타내며 콜레스테롤과 인지질의 비를 조절하므로 동맥경화증에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노시톨에는 아홉 개의 입체 이성체가 존재하지만, 그 중 메조 (또는 미오) 이노시톨만이 생물활성을 가지고 있다. 그 생합성은 효모의 경우 먼저 6인산 글루코오스 (glucose-6-phosphatase)가 효소에 의해 1인산 이노시톨 (inositol-1-phosphate)로 되고, 다시 더욱 특이적인 포스파타제의 작용으로 된 이노시톨은 메조이노시톨 옥시게나제 (mesoinositol oxygenase)에 의해 C-1과 C-6의 탄소사이가 산화적으로 개열되어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이 된다. 이러한 효소는 고등동물에서는 위장에 존재한다. 글루쿠론산은 동물체내에서 여러 가지 화합물 (내인성, 외인성 독소)과 글리코시드 결합을 하여 글루쿠론산 포합체를 형성함으로써 화합물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생리작용을 한다. 여기서, 글루쿠론산은 포합이란 생체 해독기구의 하나로 대개의 경우는 활성을 약화시켜 배설을 용이하게 쿠론산은 상대 물질이 수산기일 때는 클루코시드형 (에테르형) 포합 글루쿠론산이 되고, 카르복실기와 결합하면 에스테르형이 된다. 약리작용으로서 글루쿠론산과 포도당의 작용에 의해 해독, 영양, 간장기능 부활작용이 있으므로 유행성 간염, 약물중독, 식중독, 두드러기, 습진, 임신 입덧, 신경통, 영양장해 등의 증상에 효과가 인지된다.
이노시톨은 세포막의 기본 성분으로 뇌, 신경, 근육의 정상 기능에 필요하다. 세포간 교통(신호전달)에 필수 물질이며 호르몬과 신경 전달 물질에 대한 세포 반응에 관여한다. 또 한 간에서 지방을 빼내는 일을 돕고 일부 뇌 신경 전달 물질의 기능에 필요하며, 피트산 등 섬유 성분으로 존재하며 항암성질이 있다.
이노시톨이 결핍되면 혈소판 응집 이상, 알코올 중독, 심장 질환 (비타민 B결핍과 함께)이 나타나며 간 질환, 기억 소실, 공황 불안증, 습진, 모발 소실, 변비, 눈 이상, 콜레스테롤 상승 등의 결과를 초래한다.
많은 양의 카페인 섭취는 이노시톨 부족 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본 발명은 타우린, 각종비타민류, 로얄젤리, 구기자 엑기스,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홍삼엑기스,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성을 가지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은 현재까지 개발된 바 없다.
애플 에센스는 일보의 메이코사가 개발한 향료의 일종이며, 애플 후레바에 에탄올 및 프로필렌그리콜을 배합하여 제조된 것으로 애플 후레바 S-1000, S-1001, S-1470 및 S-1475의 종류가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 에플 에센스가 향료로서 기능함은 물론, 심신안정, 스트레스 해소 및 자연치유력과 면역기능의 증강등의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타우린, 각종 비타민류, 로얄젤리,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이노시톨과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로서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되기 쉬운 다양한 비타민과 영양원을 공급하므로서 심신안정, 간장활동 촉진, 담즙분비 증가로 간장 고유의 해독기능을 높여주고 스트레스 해소. 자연치유력 및 면역기능증강, 항산화작용, 피로회복 등 도움을 주는 지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주성분의 하나인 타우린은 해독, 항산화작용을 통해 간기능 강화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혈압조절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건강소재이며 특히 단백질, 풍부한 무기염류, 지방, 오리자놀 등이 이상적으로 배합된 천연 항산화제인 미강 (글루메이트) 외에 로얄젤리, 구기자, 이노시톨, 각종 비타민과 c을 보강하면서 독특한 효능을 발휘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정제수에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한 본 발명에서는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에플 에센스의 주성분 이외에, 보조성분으로서 감미제, 유기산, 점도조절제, 향료, 보존제, 식이섬유 및 과일주스 및 글리세린에서 선낵된 1종이상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타민류로 수용성 비타민 B1(치아민), 비타민 B2(리보플라빈), 니코틴산 아미드, 비타민 B6(피리독신), 비타민 B12(시아노코발라민), 비타민 H(비오틴), 비타민 C(아스코르빈산) 및 지용성비타민으로서 비타민 A, 비타민 D(칼시페롤), 비타민 E(토코페롤), 비타민 K(피로키논), 비타민 F(리놀렌산) 및 이노시톨에서 선택된 2종이상의 비타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미제로서 포도당, 과당, 말토스, 이성화당, 설탕, D-솔비톨, 자일리톨, 꿀, 아스파탐 및 스테비오사이드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기산으로서는 구연산 및 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 DL-사과산 및 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 주석산 및 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 젖산 및 그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유기산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과일주스는 오렌지 주스 또는 오렌지추출물, 레몬주스 또는 레몬추출물, 자몽주스 또는 자몽추출물, 사과주스 또는 사과추출물, 딸기주스 또는 딸기추출물, 복숭아주스 또는 복숭아추출물, 자두주스, 자두추출물, 망고주스 또는 망고추출물 및 파파야주스, 파파야 추출물에서 선택된 과일주스 또는 과일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250ml 중에 타우린 500-1500mg, 비타민류 2-100mg, 홍삼 엑기스40-150mg, 로얄젤리 20-150mg, 및 이노시톨 30-100mg을 함유하며, 그 외에 보조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주성분 이외에 보조성분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번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보조성분으로서는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글리세린, 점도조절제, 향료, 과일주스는 시판중인 성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 100ml당 감미제 5g~50g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 100ml당 유기산 또는 유기산 염 0~1,000mg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로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점도 조절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점도조절제는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염,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 조절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 100ml 당 과일쥬스 또는 과일추출물 적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부제 또는 보존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부제 또는 보존제로서는 안식향산 나트륨, p-메틸 안식향산, p-에틸 안식향산 나트륨, p-프로필안식향산 또는 이들의 알칼리금속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기능성 음료조성물 100ml당 1mg 내지 100mg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조성물은 간장의 활동을 촉진시키고, 담즙 분비를 활발히 하여 간장의 고유 해독 작용을 높여주고, 스트레스 해소, 자연 치유력 및 면역 기능 증강, 항산화 작용, 피로 회복 등의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정제수에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성분 이외에 감미제, 유기산, 점도조절제, 향료, 보존제, 식이섬유, 과일주스, l-카르니틴, 염화나트륨 및 글리세린에서 선낵된 1종이상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조성물은 간장의 활동을 촉진시키고, 담즙 분비를 활발히 하여 간장의 고유 해독 작용을 높여주고, 심신안정, 스트레스 해소, 자연 치유력 및 면역 기능 증강, 항산화 작용, 피로 회복 등의 효능을 가진다.
다음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원료명 함량
타우린 1000mg
글루메이트 150mg
무수카페인 80mg
염산피리독신 5mg
비타민B12 (0.1%) 5mg
이노시톨 50mg
애플에센스 (S-1475) 0.1ml
애플에센스 (S-1470) 0.05ml
액상과당 25mg
아세설팜칼륨 38mg
구연산 1g
Dl-사과산 1.05g
구연산나트륨 250mg
카라멜색소 12.5mg
안식향산나트륨 145mg
아스파탐 95mg
황색5호 0.4mg
정제수 적량을가하여
전체 250ml로 함
제조방법
1) 90℃ 정제수에 타우린, 글루메이트, 무수카페인, 이노시톨, 액상과당, 아세설팜칼륨, 구연산, Dl-사과산, 구연산나트륨, 카라멜색소,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황색5호를 넣고 교반, 용해한다.
2) 1)액을 40℃로 냉각시킨 다음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B12(0.1%), 비타민 B6(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2(인산리보플라빈), 판토텐산칼슘, 애플에센스 (S-1475), 애플에센스 (S-1470)을 넣고 교반, 용해한 후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2
원료명 함량
타우린 500mg
글루메이트 90mg
무수카페인 80mg
염산피리독신 2mg
비타민B12 (0.1%) 2mg
이노시톨 30mg
애플에센스 (S-1475) 0.1ml
애플에센스 (S-1470) 0.05ml
액상과당 25mg
아세설팜칼륨 38mg
구연산 1g
Dl-사과산 1.05g
구연산나트륨 250mg
카라멜색소 12.5mg
안식향산나트륨 145mg
아스파탐 95mg
황색5호 0.4mg
정제수 적량을가하여
전체 250ml로 함
제조방법
1) 90℃ 정제수에 타우린, 글루메이트, 무수카페인, 이노시톨, 액상과당, 아세설팜칼륨, 구연산, Dl-사과산, 구연산나트륨, 카라멜색소,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황색5호를 넣고 교반, 용해한다.
2) 1)액을 40℃로 냉각시킨 다음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B12(0.1%), 비타민 B6(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2(인산리보플라빈), 판토텐산칼슘, 애플에센스 (S-1475), 애플에센스 (S-1470)을 넣고 교반, 용해한 후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3
원료명 함량
타우린 1200mg
글루메이트 130mg
무수카페인 80mg
염산피리독신 8mg
비타민B12 (0.1%) 8mg
이노시톨 90mg
애플에센스 (S-1475) 0.1ml
애플에센스 (S-1470) 0.05ml
액상과당 25mg
아세설팜칼륨 38mg
구연산 1g
Dl-사과산 1.05g
구연산나트륨 250mg
카라멜색소 12.5mg
안식향산나트륨 145mg
아스파탐 95mg
황색5호 0.4mg
정제수 적량을가하여
전체 250ml로 함
제조방법
1) 90℃ 정제수에 타우린, 글루메이트, 무수카페인, 이노시톨, 액상과당, 아세설팜칼륨, 구연산, Dl-사과산, 구연산나트륨, 카라멜색소,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황색5호를 넣고 교반, 용해한다.
2) 1)액을 40℃로 냉각시킨 다음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B12(0.1%), 비타민 B6(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2(인산리보플라빈), 판토텐산칼슘, 애플에센스 (S-1475), 애플에센스 (S-1470)을 넣고 교반, 용해한 후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4
원료명 함량
타우린 1500mg
글루메이트 200mg
무수카페인 80mg
염산피리독신 10mg
비타민B12 (0.1%) 10mg
이노시톨 150mg
애플에센스 (S-1475) 0.1ml
애플에센스 (S-1470) 0.05ml
액상과당 25mg
아세설팜칼륨 38mg
구연산 1g
Dl-사과산 1.05g
구연산나트륨 250mg
카라멜색소 12.5mg
안식향산나트륨 145mg
아스파탐 95mg
황색5호 0.4mg
정제수 적량을가하여
전체 250ml로 함
제조방법
1) 90℃ 정제수에 타우린, 글루메이트, 무수카페인, 이노시톨, 액상과당, 아세설팜칼륨, 구연산, Dl-사과산, 구연산나트륨, 카라멜색소,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황색5호를 넣고 교반, 용해한다.
2) 1)액을 40℃로 냉각시킨 다음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B12(0.1%), 비타민 B6(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2(인산리보플라빈), 판토텐산칼슘, 애플에센스 (S-1475), 애플에센스 (S-1470)을 넣고 교반, 용해한 후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5
원료명 함량
타우린 800mg
구기자엑기스 20mg
홍삼 80mg
수크랄로스 5mg
니코틴산아미드 10mg
안식향산나트륨 145mg
무수카페인 150mg
피리독신염산염 5mg
인산리보플라빈 3mg
염화나트륨 100mg
말토덱스트린 100mg
백당 26g
포도당 100mg
구연산 750mg
구연산나트륨 185mg
l-카르니틴 10mg
로얄젤리 50mg
애플에센스 (S-147) 0.1ml
애플에센스 (S-1470) 0.05ml
정제수 적량을가하여
전체 250ml로 함
제조방법
1) 90℃ 정제수에 타우린, 구기자엑기스, 홍삼, 수크랄로스, 염화나트륨, 무수카페인, 이노시톨, 말토덱스트린, 백당, 아세설팜칼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l-카르니틴, 카라멜색소,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황색5호를 넣고 교반, 용해한다.
2) 1)액을 40℃로 냉각시킨 다음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B12(0.1%), 비타민 B6(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2(인산리보플라빈), 판토텐산칼슘, 애플에센스 (S-1475), 애플에센스 (S-1470)을 넣고 교반, 용해한 후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6
원료명 함량
타우린 500mg
구기자엑기스 10mg
홍삼 40mg
수크랄로스 5mg
니코틴산아미드 10mg
안식향산나트륨 145mg
무수카페인 150mg
피리독신염산염 3mg
인산리보플라빈 0.5mg
염화나트륨 100mg
말토덱스트린 100mg
백당 26g
포도당 100mg
구연산 750mg
구연산나트륨 185mg
l-카르니틴 10mg
로얄젤리 50mg
애플에센스 (S-1475) 0.1ml
애플에센스 (S-1470) 0.05ml
정제수 적량을가하여
전체 250ml로 함
제조방법
1) 90℃ 정제수에 타우린, 구기자엑기스, 홍삼, 수크랄로스, 염화나트륨, 무수카페인, 이노시톨, 말토덱스트린, 백당, 아세설팜칼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l-카르니틴, 카라멜색소,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황색5호를 넣고 교반, 용해한다.
2) 1)액을 40℃로 냉각시킨 다음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B12(0.1%), 비타민 B6(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2(인산리보플라빈), 판토텐산칼슘, 애플향 (S-1475), 애플향 (S-1470)을 넣고 교반, 용해한 후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7
원료명 함량
타우린 700mg
구기자엑기스 30mg
홍삼 90mg
수크랄로스 5mg
니코틴산아미드 10mg
안식향산나트륨 145mg
무수카페인 150mg
피리독신염산염 7mg
인산리보플라빈 3.5mg
염화나트륨 100mg
말토덱스트린 100mg
백당 26g
포도당 100mg
구연산 750mg
구연산나트륨 185mg
l-카르니틴 10mg
로얄젤리 50mg
애플에센스 (S-1475) 0.1ml
애플에센스 (S-1470) 0.05ml
정제수 적량을가하여
전체 250ml로 함
제조방법
1) 90℃ 정제수에 타우린, 구기자엑기스, 홍삼, 수크랄로스, 염화나트륨, 무수카페인, 이노시톨, 말토덱스트린, 백당, 아세설팜칼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l-카르니틴, 카라멜색소,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황색5호를 넣고 교반, 용해한다.
2) 1)액을 40℃로 냉각시킨 다음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B12(0.1%), 비타민 B6(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2(인산리보플라빈), 판토텐산칼슘, 애플에센스 (S-1475), 애플에센스 (S-1470)을 넣고 교반, 용해한 후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8
원료명 함량
타우린 900mg
구기자엑기스 50mg
홍삼 110mg
수크랄로스 5mg
니코틴산아미드 10mg
안식향산나트륨 145mg
무수카페인 150mg
피리독신염산염 9mg
인산리보플라빈 5.0mg
염화나트륨 100mg
말토덱스트린 100mg
백당 26g
포도당 100mg
구연산 750mg
구연산나트륨 185mg
l-카르니틴 10mg
로얄젤리 50mg
애플에센스 (S-1475) 0.1ml
애플에센스 (S-1470) 0.05ml
정제수 적량을가하여
전체 250ml로 함
제조방법
1) 90℃ 정제수에 타우린, 구기자엑기스, 홍삼, 수크랄로스, 염화나트륨, 무수카페인, 이노시톨, 말토덱스트린, 백당, 아세설팜칼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l-카르니틴, 카라멜색소,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황색5호를 넣고 교반, 용해한다.
2) 1)액을 40℃로 냉각시킨 다음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B12(0.1%), 비타민 B6(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2(인산리보플라빈), 판토텐산칼슘, 애플에센스 (S-1475), 애플에센스 (S-1470)을 넣고 교반, 용해한 후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Claims (5)

  1.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엑기스, 구기자엑기스,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배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엑기스, 구기자엑기스,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배아) 및 애플 에센스의 주성분이외에 감미제, 유기산, 점도조절제, 향료, 보존제, 식이섬유, 과일주스, l-카르니틴, 염화나트륨 및 글리세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기능성 음료 조상물 250ml 당 타우린 500~1500mg, 비타민류 0.5~50mg, 로얄젤리 3.0~100mg, 구기자엑기스 10~50mg, 홍삼엑기스 40~110mg,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90~200mg, 이노시톨 30~150mg, 애플에센스 0.1~1.5ml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비타민류로 수용성 비타민인 B1, B2, B3, M(엽산), B6, B12, H(비오틴)에 지용성 비타민 D, E, K, F(리놀렌산) 및 이노시톨에서 선택된 총 2종 이상의 비타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감미제로 포도당, 과당, 말토스, 이성화당, 설탕, D-솔비톨, 자일리톨, 꿀, 아스파탐 및 스테비오사이드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감미제, 유기산으로 구연산 및 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 DL-사과산 및 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 주석산 및 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 젖산 및 그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유기산, 과일주스로 오렌지 주스 또는 오렌지추출물, 레몬주스 또는 레몬추출물, 자몽주스 또는 자몽추출물, 사과주스 또는 사과추출물, 딸기주스 또는 딸기추출물, 복숭아주스 또는 복숭아추출물, 자두주스, 자두추출물, 망고주스 또는 망고추출물 및 파파야주스, 파파야 추출물에서 선택된 과일주스 또는 과일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 점도를 조절제로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염,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 조절제, 보존제로 안식향산 나트륨, p-메틸안식향산, p-에틸안식향산, p-프로필안식향산 또는 이들의 알칼리금속나트륨에서 선택된 보존제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020100038931A 2010-04-27 2010-04-27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20110119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31A KR20110119305A (ko) 2010-04-27 2010-04-27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31A KR20110119305A (ko) 2010-04-27 2010-04-27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305A true KR20110119305A (ko) 2011-11-02

Family

ID=4539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931A KR20110119305A (ko) 2010-04-27 2010-04-27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930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9985A (zh) * 2012-12-28 2013-04-17 杨石 一种具有缓解体力疲劳功能的保健食品
KR20130102307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심장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CN103829315A (zh) * 2014-02-11 2014-06-04 刘禾青 一种解酒饮料及其加工方法
CN104397788A (zh) * 2014-10-16 2015-03-11 黑龙江越邦食品有限公司 一种人参菌类保健饮料
CN105707621A (zh) * 2016-01-29 2016-06-29 谭昕 一种火麻饮料及其制备方法
CN110771901A (zh) * 2019-11-01 2020-02-11 中南粮油食品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抗疲劳耐饥饿食品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307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심장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CN103039985A (zh) * 2012-12-28 2013-04-17 杨石 一种具有缓解体力疲劳功能的保健食品
CN103829315A (zh) * 2014-02-11 2014-06-04 刘禾青 一种解酒饮料及其加工方法
CN104397788A (zh) * 2014-10-16 2015-03-11 黑龙江越邦食品有限公司 一种人参菌类保健饮料
CN105707621A (zh) * 2016-01-29 2016-06-29 谭昕 一种火麻饮料及其制备方法
CN110771901A (zh) * 2019-11-01 2020-02-11 中南粮油食品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抗疲劳耐饥饿食品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28483A (zh) 一种均衡营养的功能代餐粉及其制备方法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MXPA06012501A (es) Composicion nutricional que promueve la perdida de peso, quema calorias, aumenta la termogenesis, sustenta el metabolismo de la energia y/o suprime el apetito.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09377B1 (ko) 반려동물용 눈 건조 개선 및 눈물 착색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10119305A (ko)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00647067B1 (ko) 복분자를 함유한 양계 사료 조성물 및 이를 투여하여생산된 계란
KR101716766B1 (ko)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20100109697A (ko) 체중감량 및 고지혈증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
RU2411756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рнового продукта для каш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аш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KR20050110413A (ko) 건조효모, 천연물 추출분말 및 영양성분 혼합분말을함유하여 성장발육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CN101147527A (zh) 一种能使鸭蛋具有软化血管和降压作用的饲料及制备方法
CN105249440A (zh) 一种阿胶糕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KR101253342B1 (ko) 비타민을 함유하는 새로운 향미의 마른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90118720A (ko) 사철쑥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및 친환경성 돼지사료용 보조제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및 그 돈육
KR20160096307A (ko)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아르기닌 함유가 증진된 귀뚜라미
KR20090007512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블루베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7439866A (zh) 枸杞鹰嘴豆植物营养素饮料及其制备工艺
CN102763759A (zh) 一种黑大蒜口香糖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71152A (ko)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5628B1 (ko) 해삼을 주재로한 보건 식품의 제조방법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RU2579215C1 (ru) Сухая смес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029

Effective date: 201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