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238B1 -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238B1
KR101324238B1 KR1020110014861A KR20110014861A KR101324238B1 KR 101324238 B1 KR101324238 B1 KR 101324238B1 KR 1020110014861 A KR1020110014861 A KR 1020110014861A KR 20110014861 A KR20110014861 A KR 20110014861A KR 101324238 B1 KR101324238 B1 KR 101324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oot
seaweed
garlic
natur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505A (ko
Inventor
정세헌
Original Assignee
정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헌 filed Critical 정세헌
Priority to KR102011001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2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죽염 50g, 생지황 30g, 쑥 50g, 오미자 60g, 씀바귀 50g, 유근피 50g, 석류잎 30g, 미역 50g, 해파리 50g, 녹차 30g, 도토리 20g, 마늘 50g로 이루어진 천연약재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삼베보자기에 넣은 후 약탕기에 천연약재 전체중량의 3 ∼ 4배의 물과 함께 투입하여 100 ∼ 200℃의 온도로 3 ∼ 4시간 정도 가열해 우려낸 액과 사료를 0.1 : 2 ∼ 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구성함으로써, 가축의 면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만한 천연 약재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조하여, 사료와 일정한 비율로 섞어서 공급하는 행위만으로도 고열을 동반하는 증상을 가진 가축의 면역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feed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의 면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만한 천연 약재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조하여, 사료와 일정한 비율로 섞어서 공급하는 행위만으로도 고열을 동반하는 증상을 가진 가축의 면역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이란 발굽이 2개인 소·돼지 등의 입·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긴 뒤 치사율이 5∼55%에 달하는 가축의 제1종 바이러스성 법정전염병이다. 소의 경우 잠복기는 3∼8일이며, 초기에 고열(40∼41℃)이 있고, 사료를 잘 먹지 않고 거품 섞인 침을 흘린다. 잘 일어서지 못하고 통증을 수반하는 급성구내염과 제관(蹄冠)·지간(趾間)에 수포가 생기면서 앓다가 죽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제역은 별도의 치료법은 없으며, 특히 치료를 시도해서도 안된다.
이러한, 구제역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면역혈청을 주사하여 1 ∼ 2주일의 피동면역을 얻게 하는 방법 이외에는 농민들이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는 죽염 50g, 생지황 30g, 쑥 50g, 오미자 60g, 씀바귀 50g, 유근피 50g, 석류잎 30g, 미역 50g, 해파리 50g, 녹차 30g, 도토리 20g, 마늘 50g로 이루어진 천연약재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삼베보자기에 넣은 후 약탕기에 천연약재 전체중량의 3 ∼ 4배의 물과 함께 투입하여 100 ∼ 200℃의 온도로 3 ∼ 4시간 정도 가열해 우려낸 액과 사료를 0.1 : 2 ∼ 4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제조방법은 죽염 50g, 생지황 30g, 쑥 50g, 오미자 60g, 씀바귀 50g, 유근피 50g, 석류잎 30g, 미역 50g, 해파리 50g, 녹차 30g, 도토리 20g, 마늘 50g로 이루어진 천연약재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삼베보자기에 넣은 후 약탕기에 천연약재 전체중량의 3 ∼ 4배의 물과 함께 투입하여 100 ∼ 200℃의 온도로 3 ∼ 4시간 정도 가열해 우려낸 액과 사료를 0.1 : 2 ∼ 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은 가축의 면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만한 천연 약재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조하여, 사료와 일정한 비율로 섞어서 공급하는 행위만으로도 고열을 동반하는 증상을 가진 가축의 면역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죽염 50g, 생지황 30g, 쑥 50g, 오미자 60g, 씀바귀 50g, 유근피 50g, 석류잎 30g, 미역 50g, 해파리 50g, 녹차 30g, 도토리 20g, 마늘 50g로 이루어진 천연약재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삼베보자기에 넣은 후 약탕기에 천연약재 전체중량의 3 ∼ 4배의 물과 함께 투입하여 100 ∼ 200℃의 온도로 3 ∼ 4시간 정도 가열해 우려낸 액과 사료를 0.1 : 2 ∼ 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성분들의 효능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죽염
죽염은 위장 기능 강화, 해독작용, 백혈구 증강 및 병균 살균, 정혈작용, 소염작용, 해열작용, 채질개선, 노폐물 제거 및 악취제거, 식용 촉진 등의 작용을 한다.
이러한, 죽염은 가축에게 지속적으로 복용시키게 되면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2.생지황
생지황은 자양과 생진작용을 하며 고열 후에 진액이 소모되어 일어나는 증상에 적합하며, 세균 감염으로 일어나는 열병에 대해 세균을 억제하며 염증을 없애고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혈, 각종 빈혈치료 및 체력을 보강시키며, 만성염증을 치료하는데 탁월하다.
3.쑥
해열작용 및 향균작용, 복통 치료, 부인병치료, 지혈작용 및 수렴작용 노화방지, 비만예방, 심장병 치료에 효능이 있다.
4.오미자
오미자에 포함된 Gomisin A와 Schizandrin은 신경안정작용이 강하고 긴세포부활작용이 강하며, 간의 해당작용을 강화하고 간염으로 인한 sGOT, sGPT의 수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심근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심근의 운동능력을 강화하며 심장, 신장, 소동맥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당뇨나 고혈압과 같은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작용한다.
5.씀바귀
씀바귀는 봄철에 뿌리를 포함한 식물의 모든 부분이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건위 및 소염제로서, 소화불량이나 식욕증진 등에 치료약으로 사용되었고, 민간에서는 생즙으로 만들어 당뇨병이나 간장병과 같은 성인병의 치료에 사용돼 왔다. 신선한 씀바귀에는 80여종의 휘발성 풍미 정유성분이 있는데, 풋내음의 주성분은 핵세놀(hexenol)이며, 전초에 항산화 효과를 지닌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인 시나로사이드인(synaroside) 성분이 혈당강하 및 지질강하 등에 효과적이며, 매우 떫고 쓴 맛을 지닌 당류인 이눌린(inulin) 등이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씀바귀에는 면역증진과 함암효과가 뛰어난 알리파틱(aliphatics)과 면역 증진 물질로 알려진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 항암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세스퀴테르펜 배당체(sesquiterpene glicosides) 등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쓴맛을 나타내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는 신체의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를 증대시켜, 체내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죽이는 효능을 발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인체의 면역력을 증진시켜 질병에 대한 치유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6.유근피
유근피를 물에 담가두면 진액이 생기는데 그 진액을 모아 먹으면 배 속의 염증을 낳게 해주고 내장기관을 좋게하는 유근피의 효능이 있다.
유근피 뿌리는 여러 가지 궤양에 좋은 성분이 들어 있어, 직장암이나 위암치료에 사용되고 부작용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7.석류잎
석류잎에 포함된 구연산과 비타민C의 영향으로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고, 후두염, 편두선염에 효과가 있으며, 면역력을 높여 향균 항바이러스 역할을 수행한다.
8.미역
미역 속에 들어있는 히스타민을 비롯한 강압물질들은 혈압을 부작용 없이 뚜렷하게 낮추어주는 강압제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미역에 들어있는 여러 성분들은 여러 가지 암세포를 30%이하밖에 성장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항암 효과를 갖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졌으며, 또 미역은 우리 몸 속에서 들어가서 장의 운동을 원활하게 해주기 때문에 직장암을 예방해 주기도 한다.
그리고 미역에는 헤파린과 매우 비슷한 항응혈 작용이 있다. 미역 속에 있는 이 물질은 헤파린과 같은 방식으로 혈액 중의 지방질을 깨끗이 청소하여, 혈액 중의 눈에 보이는 지방이 빨리 사라지게 하고, 유해한 LDL 콜레스테롤이 줄어들게 하여, 유익한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킨다.
또한, 미역에 들어있는 점질물과 다당류는 콜레스테롤이나 공해성분인 중금속과 농약의 피해를 덜어 주는 효과가 있다. 이들은 콜레스테롤의 체내 흡수를 방해하며, 농약 등으로 오염된 식품 중의 중금속을 흡착 배설하는 효과가 매우 크다.
9.해파리
또한, 젤라틴 성분의 단백질에 의한 다이어트효과, 변비치료를 통한 피부미용 효과, 고혈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10.녹차
녹차에 들어있는 카테킨은 암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탁월하며, 암의 세포증식을 효과 적으로 억제하며 암의 발생과 전이까지 예방한다.
또한, 위궤양이나 위 점막 출혈을 비롯하여 각종 부종을 억제하고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또한 헬리코박터, 장티푸스, 이질 등 전염성 세균이나 장 속의 세균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녹차에 함유된 다당체 성분이 인슐린 합성을 촉진하고, 카테킨 성분은 당질의 소화 흡수를 지연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포도당이 혈액으로 흡수되는 것이 늦어져 급격한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한다.
또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노화를 억제시키며 레몬의 5배나 되는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막고 탄력성을 주며 보습성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중금속을 해독하고 다이옥신의 흡수를 억제하며 배출하며, 산성을 과다 섭취하여 몸이 산성화가 되면 피로감이 증가하고 동맥경화나 고혈압, 위퀘양들을 유발 하는데 녹차는 알카리성 식품으로 몸에 빠르게 흡수되고 혈액 속에 산성 물질을 중화 시키게 된다.
11.도토리
도토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아콘산은 인체 내부의 중금속 및 여러 유해물질을 흡수,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토리는 피로회복 및 숙취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소화기능을 촉진시키며 입맛을 돋구워 준다.
도토리는 장과 위를 강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강장 효험을 볼 수 있다.
도토리는 당뇨 및 암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잇몸염,인후두염,화상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뛰어난 중금속 정화효과(도토리 1g이 중금속폐수 3.5ton을 정화) 및 완전 무공해식품으로 열량이 적으며(100g당 70kcal) 성인병과 비만에 아주 좋은 식품 장과 위를 보호하며 설사를 멈추고 피를 맑게 하는 기능이 있다.
사람,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 몸이 자주 붓는 사람에게는 도토리 묵 한 가지만 섭취하더라도 원인치료가 쉽게 이루어진다.
12.마늘
마늘은 스테미너에 좋다. 체력향상에 도움을 주는 이유는 마늘에 함유된 성분인 비타민B1과 알리신 때문이다. 알리신은 마늘의 대표적인 성분으로 마늘의 특유의 향을 나게해주는 성분이다.
이러한, 알리신은 세포의 신진대사를 도와주고 페력, 스테미너 증강에 도움이 되며, 비타민B1인 티아민이라는 성분은 항피로비타민이라고 불릴 정도로 피로를 이기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마늘에는 피로 회복에 좋은 티아민이 파의 5배, 무의 3배가량 들어있으며 세포에게 포도당이라는 에너지를 잘 전달해주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얻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탄수화물의 대사를 도와 피로물질인 젖산의 생성을 억제해주어 체력과 피로회복에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열, 체력증진, 항바이러스, 유해물질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천연약재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이 구제역에 대한 면역이 생기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Claims (2)

  1. 죽염 50g, 생지황 30g, 쑥 50g, 오미자 60g, 씀바귀 50g, 유근피 50g, 석류잎 30g, 미역 50g, 해파리 50g, 녹차 30g, 도토리 20g, 마늘 50g로 이루어진 천연약재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삼베보자기에 넣은 후 약탕기에 천연약재 전체중량의 3 ∼ 4배의 물과 함께 투입하여 100 ∼ 200℃의 온도로 3 ∼ 4시간 정도 가열해 우려낸 액과 사료를 0.1 : 2 ∼ 4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사료.
  2. 죽염 50g, 생지황 30g, 쑥 50g, 오미자 60g, 씀바귀 50g, 유근피 50g, 석류잎 30g, 미역 50g, 해파리 50g, 녹차 30g, 도토리 20g, 마늘 50g로 이루어진 천연약재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삼베보자기에 넣은 후 약탕기에 천연약재 전체중량의 3 ∼ 4배의 물과 함께 투입하여 100 ∼ 200℃의 온도로 3 ∼ 4시간 정도 가열해 우려낸 액과 사료를 0.1 : 2 ∼ 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사료 제조방법.
KR1020110014861A 2011-02-21 2011-02-21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4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61A KR101324238B1 (ko) 2011-02-21 2011-02-21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61A KR101324238B1 (ko) 2011-02-21 2011-02-21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05A KR20120095505A (ko) 2012-08-29
KR101324238B1 true KR101324238B1 (ko) 2013-11-01

Family

ID=4688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861A KR101324238B1 (ko) 2011-02-21 2011-02-21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5506A (zh) * 2014-12-10 2016-08-24 刘中利 一种特种猪的养殖方法
KR20160134607A (ko) 2016-10-31 2016-11-23 문경시 오미자 당 발효물의 부산물을 함유하는 가축사료 첨가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035B1 (ko) * 2020-11-03 2021-03-15 농업회사법인 에버그린팜 주식회사 죽염 소금이 포함된 친환경 메추리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568460B1 (ko) * 2023-03-08 2023-08-25 주식회사 한국그린바이오 대마줄기를 활용한 동물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176A (ko) * 2002-01-30 2002-03-29 손영석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사료의 제조방법
KR20030045579A (ko) * 2001-12-04 2003-06-11 주식회사 씨ㆍ바이오 미역폐기물을 활용한 기능성 사료보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57277A (ko) * 2008-11-21 2010-05-31 곽천중 가축사육용 발효식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축사육 방법.
KR20100130265A (ko) * 2009-06-03 2010-12-13 정세헌 천연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건강식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579A (ko) * 2001-12-04 2003-06-11 주식회사 씨ㆍ바이오 미역폐기물을 활용한 기능성 사료보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4176A (ko) * 2002-01-30 2002-03-29 손영석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사료의 제조방법
KR20100057277A (ko) * 2008-11-21 2010-05-31 곽천중 가축사육용 발효식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축사육 방법.
KR20100130265A (ko) * 2009-06-03 2010-12-13 정세헌 천연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건강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5506A (zh) * 2014-12-10 2016-08-24 刘中利 一种特种猪的养殖方法
KR20160134607A (ko) 2016-10-31 2016-11-23 문경시 오미자 당 발효물의 부산물을 함유하는 가축사료 첨가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05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648B1 (ko) 장 청소 및 변비 해소 기능의 야채 효소 음료 조성물
CN106212338A (zh) 一种河虾的环保养殖方法
KR101594137B1 (ko)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244302B1 (ko) 탈모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445097B1 (ko) 민물고기 어죽(魚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민물고기 어죽
KR101324238B1 (ko)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40291B (zh) 改善畜禽肉质和鲜蛋品质的中草药饲料改良剂
CN104222680A (zh) 泥鳅专用复合免疫增强剂及其制备方法
KR20170142756A (ko) 굼벵이를 포함하는 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0474A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78475B1 (ko) 흰이빨참갯지렁이를 이용한 혈행 개선 및 통증 완화제의 제조방법
CN104799047A (zh) 一种黄沙鳖用中草药诱食剂及其制备方法
CN104187955B (zh) 一种玉米花粉保健饮料
CN106511675A (zh) 一种用于防治家禽疾病的药及其制备方法
KR100766808B1 (ko) 기능성 젓갈의 제조방법
CN103734413A (zh) 一种绿藻茶及其制备方法
CN106359203A (zh) 提高鱼品质的方法
CN111743141A (zh) 一种小米辣酱及其制备方法
KR20090022208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마늘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50035993A (ko) 삼백초를 이용한 육류 및 생선 연화제 소스 제조방법
CN104815135A (zh) 改善肠道菌群的口含片及其制备方法
CN107873960A (zh) 一种促生长改善肉鸡肉质风味的中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法
KR102446735B1 (ko) 해조류추출물을 활용한 Gel-Type 형태의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090099141A (ko) 보리순을 주재료로 하는 건강음료용 조성물
CN107510771B (zh) 一种治疗鸭嗜水气单胞菌病的中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