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815B1 -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815B1
KR102419815B1 KR1020210187657A KR20210187657A KR102419815B1 KR 102419815 B1 KR102419815 B1 KR 102419815B1 KR 1020210187657 A KR1020210187657 A KR 1020210187657A KR 20210187657 A KR20210187657 A KR 20210187657A KR 102419815 B1 KR102419815 B1 KR 10241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film
extract
dis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훈
한지숙
Original Assignee
(주)씨엘팜
주식회사 미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엘팜, 주식회사 미펫 filed Critical (주)씨엘팜
Priority to KR102021018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Rheu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지 상에 구강 용해성의 약제를 코팅하는 캐스팅 단계; 상기 약제를 경화시킴으로써 필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드라잉 단계; 및 상기 필름을 향하여 다수의 니들로 펀칭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필름에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가 다수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니들의 끝단 단면이 "+"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용해촉진부가 "+" 형태로 이루어지는 펀칭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는, 초록입홍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니들로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를 형성함으로써, 용해를 위한 표면적 확장과 수분 침투의 용이함으로 인해, 원활하면서 신속한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반려동물에게 사용시 이물감을 신속하게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초록입홍합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관절 건강(슬개골 탈구 염증, 관절염)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적인 유용 성분을 함유하여 반려동물에 이로운 건강상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Oral dissolving film for alleviating patellar dislocation inflammation or arthritis of companion anim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구강 용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록입홍합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관절 건강(슬개골 탈구 염증, 관절염)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니들 펀칭에 의해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를 형성함으로써, 용해를 위한 표면적 확장과 수분 침투의 용이함으로 인해, 원활하면서 신속한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용해 필름은 구강 내에 붙여 용해되게 함으로써 복용하는 제형을 말하는 것으로, 전분과 같이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물에 잘 녹는 원료에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혼합한 가식성 필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구강 용해 필름은 물 없이 복용 가능하고, 휴대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보통 습기에 약하다. 또한 구강 용해 필름은 얇은 필름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일정 크기로 절단된 구강 용해 필름을 낱장으로 포장되어 포장을 제거하여 사용하거나, 디스펜서에 보관하여 낱장으로 하나씩 뽑아서 사용하거나, 롤 형태의 구강 용해 필름을 디스펜서에 보관하여 일정 크기로 인출하여 사용한다.
종래 구강 용해 필름과 관련되는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718790호의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약제가 저장된 복수의 약제 공급통; 상기 약제가 코팅되는 필름 위쪽에 설치되고, 내부에 서로 구획되게 분리된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한쪽에는 상기 복수의 약제 공급통에서 공급되는 서로 다른 약제가 상기 각 유로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의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다른 쪽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각 주입구와 일대 일로 연속적으로 이어져서 서로 다른 약제가 개별적으로 토출되는 복수의 노즐이 구비된 슬롯다이; 및 상기 약제 공급통과 상기 주입구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약제가 이송되는 경로 상에 각각 설치되어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약제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밸브;로 이루어진 약제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구강 용해 필름은 구강 내에서 원활하거나, 신속한 용해를 요구할 경우, 이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반려동물용으로 사용되는 구강 용해 필름은 반려동물이 혀에 대한 이물감으로 인해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신속한 용해를 더욱 요구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강 용해 필름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구강 용해 필름은 반려동물에 대하여 건강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유용성을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이에 대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니들로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를 형성함으로써, 용해를 위한 표면적 확장과 수분 침투의 용이함으로 인해, 원활하면서 신속한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반려동물에게 사용시 이물감을 신속하게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초록입홍합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관절 건강(슬개골 탈구 염증, 관절염)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추가적인 유용 성분을 함유하여 반려동물에 이로운 건강상 이점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포장지 상에 구강 용해성의 약제를 코팅하는 캐스팅 단계; 상기 약제를 경화시킴으로써 필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드라잉 단계; 및 상기 필름을 향하여 다수의 니들로 펀칭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필름에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가 다수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니들의 끝단 단면이 "+"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용해촉진부가 "+" 형태로 이루어지는 펀칭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는, 초록입홍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약제는, 초록입홍합추출물 90 내지 110중량부, D-소르비톨 20 내지 30중량부, 글리세린 15 내지 20중량부, L-알기닌 5 내지 1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10중량부, 비타민 D3 1 내지 2중량부, 덱스트린 0.2 내지 0.6중량부, 말토오스 0.2 내지 0.6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2 내지 0.6중량부, 레시틴 0.2 내지 0.6중량부, 비타민 E 1 내지 2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 5 내지 10중량부, 변성전분 50 내지 70중량부, 풀루란 100 내지 120중량부 및 향미제 20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는, 초록잎홍합추출물 100중량부당 3 내지 8중량부의 염증 완화를 위한 추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염증 완화를 위한 추출물은, 찰피나무추출물, 용담추출물, 베롱나무추출물, 때죽나무추출물, 홍가시나무추출물, 백서향나무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꽈리추출물이 동일 양으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펀칭 단계는, 상기 드라잉 단계 이후, 상기 필름에 대한 비젼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비젼 인스펙션 단계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펀칭 단계는,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용해촉진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는, 상기 포장지가 이동하는 경로의 하측에 상기 포장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포장지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가이드축;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가압구동부; 및 상기 가압판의 저면에 상기 필름을 향하도록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가압구동부에 의해 하강하는 가압판에 의해 상기 필름을 펀칭하는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스팅 단계는, 상기 약제를 상기 포장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코팅하도록 하되, 상기 포장지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코팅하도록 하고, 상기 니들은, 상기 가압판의 저면에 수직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필름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집합이 상기 포장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필름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펀칭 단계는, 상기 니들의 끝단 단면이 "+"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용해촉진부가 "+"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니들로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를 형성함으로써, 용해를 위한 표면적 확장과 수분 침투의 용이함으로 인해, 원활하면서 신속한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반려동물에게 사용시 이물감을 신속하게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초록입홍합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관절 건강(슬개골 탈구 염증, 관절염)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적인 유용 성분을 함유하여 반려동물에 이로운 건강상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의 가압판 일부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에 마련된 니들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은 캐스팅 단계, 드라잉 단계 및 펀칭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캐스팅 단계에서는 구강 용해가 가능한 포장지(1) 상에 구강 용해성의 약제(11a)를 코팅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캐스팅 장치(22)를 사용하여, 가이드롤러(32)에 가이드되어 이송되는 포장지(1)에 약제(11a)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가 코팅되도록 하되, 포장지(1)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약제(11a)가 다수개 코팅되도록 하며, 이러한 약제(11a)가 정해진 두께로 얇게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캐스팅 장치(22)는 공지된 캐스팅 기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약제(11a)는 용해성을 가진 반려동물의 관절 건강(슬개골 탈구 염증, 관절염) 개선용 조성물로서, 초록입홍합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약제(11a)는 코팅시 액상물이되, 건조 과정에 의하여 경화되는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포장지(1)는 롤에 감겨진 상태에서 권취롤 등의 포장지 이송 장치에 의해 가이드롤러(31)에 가이드된 상태로 이송된다.
캐스팅 단계 이전에는 상기한 약제(11a)의 제조를 위하여, 정해진 조성물들을 정해진 비율대로 혼합하여 캐스팅 장치(22)에 공급하는 약제 제조기(21)가 사용될 수 있다. 약제 제조기(21)는 약제(11a)를 구성하는 조성물이 각각 공급되는 혼합탱크 내에 혼합기가 설치되고, 약제펌프 및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캐스팅 장치(22)에 정해진 양의 약제(11a)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캐스팅 단계에 의해 포장지(1)에 약제(11a)가 정해진 간격으로 도포되면, 이러한 약제(11a)를 경화시킴으로써 필름(11)이 형성되도록 하는 드라잉 단계를 수행한다. 드라잉 단계는 예컨대 포장지(1)을 히터나 열풍이 제공되는 건조기(22)를 통과시킴으로써 약제(11a)를 경화시키도록 하는데, 이 때 약제(11a)의 경화온도 및 건조기(22) 내에 머무는 시간은 약제(11a)의 온도에 따른 변성이나 약제(11a)의 점도, 수분이나 액상물 함량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약제(11a)에 대한 경화를 마치면, 포장지(1) 상에 경화된 필름(11)을 향하여 다수의 니들(160)로 펀칭을 수행함으로써, 필름(11)에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12; 도 5 참조)가 다수로 형성되도록 하는 펀칭 단계를 수행한다.
펀칭 단계는 다수의 니들(160)을 사용하는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100)를 사용하여 용해촉진부(12; 도 5 참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100)는 포장지(1)가 이동하는 경로의 하측에 포장지(1)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110)과, 지지판(1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120)와, 지지대(120)와 포장지(1)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판(130)과, 가압판(130)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지지대(110)에 설치되는 가이드축(140)과, 지지대(120)에 설치되고, 가압판(130)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가압구동부(150)와, 가압판(130)의 저면에 필름(11)을 향하도록 다수로 마련되고, 가압구동부(150)에 의해 하강하는 가압판(130)에 의해 필름(11)을 관통하도록 하는 니들(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100)는 동작시 포장지 이송 장치에 의한 포장지(1)의 이송이 중지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지지판(110)은 포장지(1)의 하측에 위치하여 필름(11)에 대한 펀칭시 포장지(1)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한다. 지지판(110)은 가압판(13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예컨대 지지판(110)을 비롯하여 장치의 일정 위치에 하단이 볼팅이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20)는 상부에 가이드축(140)의 원활한 승강을 위하여 베어링부재 등의 가이드(121)가 가이드축(140)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축(140)은 가압판(130)의 상면에 수직되게 고정되어 가압판(130)이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며, 이를 위해 적정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구동부(150)는 본 실시례에서는 공압이나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고, 지지대(120)의 상측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151)가 가압판(130)의 상측에 플랜지 결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압구동부(150)는 실린더를 대신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래크나 피니언 등을 사용하여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거나, 리니어모터를 사용하여 직선 운동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니들(160)이 필름(11)의 펀칭을 위하여, 정해진 깊이까지 펀칭할 수 있도록 가압판(130)의 하강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다양한 구동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니들(160)은 필름(11)의 관통 과정에서 포장지(1)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깊이까지 하강할 수 있다.
니들(160)은 가압판(130)의 저면에 수직되도록 마련되되, 필름(11)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집합이 포장지(1)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필름(11)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니들(160)은 예컨대 필름(11)의 기계적 특성이나 요구되는 용해 속도 또는 필름(11) 당 펀칭 개수 등에 따라 수 ㎛에서 수 mm의 직경이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마이크로니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펀칭 단계에서, 일례로 도 4에서와 같이, 니들(160)의 끝단 단면이 "+"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필름(11)에서 용해에 필요한 접촉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펀칭 단계는 드라잉 단계 이후, 필름(11)에 대한 비젼 검사 장비(24)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비젼 인스펙션(Vision Inspection) 단계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비젼 인스펙션 단계는, 필름(11)의 형태나 이물질 유입 등을 영상 획득 및 영상 처리가 가능한 비젼 검사 장비(24)에 의해 불량의 필름(11)를 파악하고, 이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펀칭 단계 이후에 디펙트 펀칭 장치(25)를 사용하여, 불량의 필름(11)에 대한 디펙트 펀칭(Defect Punching)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실링 장치(26)에 의해 포장지(1)의 상측과 하측을 상부 및 하부 포장재(2,3)의 접착에 의해 필름(11)을 개별적으로 실링(Sealing)되도록 하고, 프린팅 슬릿(Printing & Slitting) 장치에 의해 실링된 포장재(2,3)의 외측면에 대하여 정해진 문구 및 디자인의 프린팅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포장지(1)의 폭방향으로 필름(11) 각각이 포장재(1,2,3)와 함께 커팅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고, 후속의 커팅 장치(28)에 의해 포장지(1)의 길이방향으로 필름(11) 각각이 포장재(2,3)와 함께 커팅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필름(11) 각각이 포장재(2,3)에 의해 실링되어 분리되도록 한다. 이렇게 분리된 제품은 최종 팩킹(Pack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필름(11)의 형성에 사용되는 포장재(1)는 상부 및 하부 포장재(2,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데,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펀칭 과정 이후에도 두께나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실링이 가능한 상태라면, 하부 포장재(3)를 대신할 수도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1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됨으로써, 약제의 경화로 인해 형성되는 필름(11)에 대하여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12)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용해촉진부(12)는 사용되는 니들(160)의 끝단 단면이 "+"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용해촉진부(12)가 "+"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용해촉진부(12)는 필름(11)이 용해를 위한 표면적 확장을 통해 용해 촉진 작용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에서, 약제(11a)는 초록입홍합추출물을 포함한다. 초록입홍합추출물은 관절 건강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물질으로, 분말 또는 오일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중량부가 사용되게 된다. 또한, 약제(11a)는 섭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호성 및 부착력이 향상된 구강 용해 필름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D-소르비톨 20 내지 30중량부, 글리세린 15 내지 20중량부, L-알기닌 5 내지 1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10중량부, 비타민 D3 1 내지 2중량부, 덱스트린 0.2 내지 0.6중량부, 말토오스 0.2 내지 0.6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2 내지 0.6중량부, 레시틴 0.2 내지 0.6중량부, 비타민 E 1 내지 2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 5 내지 10중량부, 변성전분 50 내지 70중량부, 풀루란 100 내지 120중량부 및 향미제 20 내지 3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D-소르비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은 가소제로 필름의 유연성과 탄성을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L-알기닌, 폴리소르베이트80은 가용화제로 유성과 수성물질의 균질혼합작용을 수행하고, 비타민 D3은 뼈의 형성과 유지 및 골다공증 위험 감소 역할을 수행하며, 덱스트린, 말토오스,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레시틴은 소포제로 기포제거작용을 수행하고, 비타민 E는 혈행개선 및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작용을 수행하며, 변성전분 및 풀루란은 필름 베이스 기제의 역할을 수행하고, 향미제는 향과 맛을 내기 위한 물질로, 소고기 맛과 향을 내는 분말, 액상 형태의 향미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약제(11a)는 염증 완화를 위한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염증 완화를 위한 추출물은 초록입홍합추출물 100중량부당 3 내지 8중량부가 사용되며, 찰피나무추출물, 용담추출물, 베롱나무추출물, 때죽나무추출물, 홍가시나무추출물, 백서향나무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꽈리추출물이 동일 양으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찰피나무는 피나무과 피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이며, 용담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용담목 용담과의 여러해살이풀이고, 베롱나무는 부처꽃과의 낙엽 소교목이며, 때죽나무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감나무목 때죽나무과의 낙엽소교목이고, 홍가시나무는 장미과의 상록소교목이며, 백서향나무는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상록관목이고, 황금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꽈리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또 다른 실시례로서 약재(11a)의 제조방법은 초록입홍합추출물 90 내지 110중량부, D-소르비톨 20 내지 30중량부, 글리세린 15 내지 20중량부, L-알기닌 5 내지 1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10중량부, 비타민 D3 1 내지 2중량부, 덱스트린 0.2 내지 0.6중량부, 말토오스 0.2 내지 0.6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2 내지 0.6중량부, 레시틴 0.2 내지 0.6중량부, 비타민 E 1 내지 2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 5 내지 10중량부, 염증 완화를 위한 추출물 3 내지 8중량부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물제조단계와, 변성전분 50 내지 70중량부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호화시켜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물제조단계와, 제1, 2혼합물을 혼합한 후, 풀루란 100 내지 120중량부 및 향미제 20 내지 30중량부를 추가하여 혼합교반하는 재료혼합단계와, 재료혼합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에 탈기를 수행하는 탈기단계와, 탈기단계에서 탈기를 수행한 혼합물을 건조하고 필름 형태로 성형하는 건조및성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염증 완화를 위한 추출물은 앞서 설명한 염증 완화를 위한 추출물이 사용되게 된다.
이하, 실시례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례 1> 시료의 준비
1. 구강 용해 필름 1의 준비
초록입홍합추출물(오일) 100중량부, D-소르비톨 25중량부, 글리세린 17중량부, L-알기닌 8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7중량부, 비타민 D3 1.6중량부, 덱스트린 0.4중량부, 말토오스 0.4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4중량부, 레시틴 0.4중량부, 비타민 E 1.6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 7중량부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하였다. 변성전분 60중량부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호화시켜 혼합물 B를 제조하였다. 이후, 혼합물 A와 B를 혼합한 후, 풀루란 110중량부, 소고기맛분말 17중량부, 소고기향료 8중량부를 넣고 교반한 후, 음압을 걸어 탈기를 진행하였다(점도가 22000이고 지수분이 13%가 될 때까지 탈기를 진행함). 탈기를 수행해서 얻은 결과물을 구강 용해 필름 성형 장비에 주입하고, 두께 800um, 온도 90℃ 및 시간 15분의 건조 조건으로 건조하고, 필름 형태로 성형하여 구강 용해 필름 1을 제조하였다.
2. 구강 용해 필름 2의 준비
초록입홍합추출물(오일) 100중량부, D-소르비톨 25중량부, 글리세린 17중량부, L-알기닌 8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7중량부, 비타민 D3 1.6중량부, 덱스트린 0.4중량부, 말토오스 0.4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4중량부, 레시틴 0.4중량부, 비타민 E 1.6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 7중량부, 변성전분 60중량부, 풀루란 110중량부, 소고기맛분말 17중량부, 소고기향료 8중량부 및 정제수를 혼합교반한 후, 음압을 걸어 탈기를 진행하였다(점도가 22000이고 지수분이 13%가 될 때까지 탈기를 진행함). 탈기를 수행해서 얻은 결과물을 구강 용해 필름 성형 장비에 주입하고, 두께 800um, 온도 90℃ 및 시간 15분의 건조 조건으로 건조하고, 필름 형태로 성형하여 구강 용해 필름 2를 제조하였다.
3. 구강 용해 필름 3의 준비
초록입홍합추출물(오일) 100중량부, D-소르비톨 30중량부, 글리세린 12중량부, L-알기닌 4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1중량부, 비타민 D3 1.6중량부, 덱스트린 0.2중량부, 말토오스 0.6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2중량부, 레시틴 0.6중량부, 비타민 E 1.6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 4중량부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하였다. 변성전분 83중량부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호화시켜 혼합물 B를 제조하였다. 이후, 혼합물 A와 B를 혼합한 후, 풀루란 90중량부, 소고기맛분말 17중량부, 소고기향료 8중량부를 넣고 교반한 후, 음압을 걸어 탈기를 진행하였다(점도가 22000이고 지수분이 13%가 될 때까지 탈기를 진행함). 탈기를 수행해서 얻은 결과물을 구강 용해 필름 성형 장비에 주입하고, 두께 800um, 온도 90℃ 및 시간 15분의 건조 조건으로 건조하고 필름 형태로 성형하여 구강 용해 필름 3을 제조하였다.
4. 구강 용해 필름 4의 준비
초록입홍합추출물(오일) 100중량부, D-소르비톨 42중량부, L-알기닌 15중량부, 비타민 D3 1.6중량부, 덱스트린 1.6중량부, 비타민 E 1.6중량부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하였다. 변성전분 67중량부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호화시켜 혼합물 B를 제조하였다. 이후, 혼합물 A와 B를 혼합한 후, 풀루란 110중량부, 소고기맛분말 17중량부, 소고기향료 8중량부를 넣고 교반한 후, 음압을 걸어 탈기를 진행하였다(점도가 22000이고 지수분이 13%가 될 때까지 탈기를 진행함). 탈기를 수행해서 얻은 결과물을 구강 용해 필름 성형 장비에 주입하고, 두께 800um, 온도 90℃ 및 시간 15분의 건조 조건으로 건조하고 필름 형태로 성형하여 구강 용해 필름 4를 제조하였다.
5. 구강 용해 필름 5의 준비
초록입홍합추출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례 1과 동일하게 하여 구강 용해 필름 5를 제조하였다.
6. 구강 용해 필름 6의 준비
소고기맛분말 및 소고기향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례 1과 동일하게 하여 구강 용해 필름 6을 제조하였다.
7. 구강 용해 필름 7 및 8의 준비
(1) 세척하고 건조분쇄된 찰피나무(잎), 용담(잎), 베롱나무(잎), 때죽나무(잎), 홍가시나무(잎), 백서향나무(잎), 황금(잎), 꽈리(잎) 각각을 5배 중량의 에탄올에 첨가하고, 30℃에서 2일 동안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찰피나무추출물(추출물 1), 용담추출물(추출물 2), 베롱나무추출물(추출물 3), 때죽나무추출물(추출물 4), 홍가시나무추출물(추출물 5), 백서향나무추출물(추출물 6), 황금추출물(추출물 7), 꽈리추출물(추출물 8)을 얻었다. 추출물 1 내지 8을 동일량으로 혼합하여 추출물 9를 얻고, 추출물 1과 3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물 10을 얻고, 추출물 4 내지 6를 동일량으로 혼합하여 추출물 11을 얻고, 추출물 7과 8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물 12를 얻었다.
(2) 혼합물 A의 제조시 5중량부의 추출물 2가 추가로 혼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례 1과 동일하게 하여 구강 용해 필름 7을 제조하였다.
(3) 혼합물 A의 제조시 5중량부의 추출물 9가 추가로 혼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례 1과 동일하게 하여 구강 용해 필름 8을 제조하였다.
<실시례 2> 기호성 평가
1. 구강 용해 필름 1, 2 및 5 내지 8 각각을 2.2×3.3cm 크기로 절단한 후, 강아지 10마리를 대상으로 구강 용해 필름 각각을 입안에 투여한 후, 강아지 10마리중 구강 용해 필름을 뱉어내는 강아지의 수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2. 표 1을 보면, 구강 용해 필름 1, 5 및 8은 기호성이 좋으나, 구강 용해 필름 2, 6 및 7은 기호성이 나쁜 것을 알 수 있어, 구성 성분의 차이가 없더라도 혼합 방법에 차이가 있거나, 향미제가 들어가지 않거나, 용담과 같이 쓴맛을 가지는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기호성을 떨어뜨림을 알 수 있다.
구강 용해 필름 1 2 5 6 7 8
구강 용해 필름을 뱉어낸 강아지의 수 0 4 0 10 7 0
<실시례 3> 부착성 평가
1. 구강 용해 필름 1 내지 4 및 8 각각을 2.2×3.3cm 크기로 절단한 후, 강아지 10마리를 대상으로 구강 용해 필름 각각을 혀에 부착시킨 후, 10초 후 혀에서 구강 용해 필름이 떨어진 강아지의 수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2. 표 2를 보면, 구강 용해 필름 1 및 8은 부착성이 좋으나, 구강 용해 필름 2 내지 4는 부착성이 나쁜 것을 알 수 있어 구강 용해 필름의 제조시 성분, 성분비, 혼합방법이 부착력에 영향을 미치고, 추출물 9를 추가로 사용하여도 부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구강 용해 필름 1 2 3 4 8
구강 용해 필름이 떨어진 강아지의 수 0 7 4 6 0
<실시례4> 염증 완화 효과 평가
1. 실시례 1의 7의 (1)에서 준비된 추출물들에 대하여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2. RAW 264.7 세포를 배지(DMEM)에 추출물(추출물 1 내지 12 각각이 사용되고,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는 200ug/mL임)과 자극물질 LPS(1ug/mL)를 동시처리하여 하루 배양한 후, Pierce LDH cytotoxicity assay kit(ThermoFisher)를 이용하고,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LDH assay를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LDH assay 결과 추출물 1 내지 12는 모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3. RAW 264.7 세포를 배지(DMEM)에 추출물(추출물 1 내지 12 각각이 사용되고,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는 200ug/mL임)과 자극물질 LPS(1ug/mL)를 동시처리하고 하루 배양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얻어진 상측액에 대해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R&D Systems)를 이용하여 pro-inflammatory cytokines(IL-6, TNF-α)의 생성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을 보면, 추출물 1 내지 12가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추출물 9가 다른 추출물에 비해 수치가 낮음을 알 수 있어 찰피나무추출물, 용담추출물, 베롱나무추출물, 때죽나무추출물, 홍가시나무추출물, 백서향나무추출물, 황금추출물, 꽈리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항염증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처리
추출물
1 2 3 4 5 6 7 8 9 10 11 12
IL-6
생산(%)
100 85 74 87 91 86 85 86 82 68 85 85 84
TNF-α
생산(%)
100 91 87 92 93 91 90 89 93 85 91 89 88
4. RAW 264.7 세포를 배지(DMEM)에 추출물(추출물 1 내지 12 각각이 사용되고,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는 200ug/mL임)과 자극물질 LPS(1ug/mL)를 동시처리하고, 하루 배양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얻어진 상측액에 대해 PEG2 ELISA kit(R&D Systems)를 이용하여 prostaglandin E2의 생성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를 보면, 추출물 1 내지 12가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추출물 9가 다른 추출물에 비해 수치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무처리
추출물
1 2 3 4 5 6 7 8 9 10 11 12
PGE2
생산(%)
100 93 89 91 89 88 93 88 91 83 88 84 90
5. RAW 264.7 세포를 배지(DMEM)에 추출물(추출물 1 내지 12 각각이 사용되고,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는 200ug/mL임)과 자극물질 LPS(1ug/mL)를 동시처리하고, 하루 배양하였다.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NO 생성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를 보면, 추출물 1 내지 12가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추출물 9가 다른 추출물에 비해 수치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무처리
추출물
1 2 3 4 5 6 7 8 9 10 11 12
NO
생산(%)
100 70 67 72 73 75 77 74 75 60 70 68 72
<실시례 5> 관절 건강 증후 평가
1. 구강 용해 필름 1, 5, 8 각각을 2.2×3.3cm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관절염 초기에 있는 강아지 16마리(몸무게 5kg의 소형견)를 4그룹으로 나누고, 1그룹엔 구강 용해 필름을 제공하지 않고, 2그룹엔 구강 용해 필름 1을 매일 한개씩 투여하고, 3그룹엔 구강 용해 필름 5를 매일 한개씩 투여하고, 4그룹엔 구강 용해 필름 8을 매일 한개씩 투여한 후, 30일이 지난 시점의 운동성(걷기, 뛰기, 계단 오르기)을 개선 효과를 상대 평가하였다.
2. 30일이 지난 시점에서 운동성을 상대 평가한 결과, 4그룹의 운동성 개선효과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2그룹이 운동성 개선효과 컸으며, 1그룹 및 3그릅은 운동성 개선 효과는 거의 없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마이크로니들 등과 같은 니들로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를 형성함으로써, 용해를 위한 표면적 확장과 수분 침투의 용이함으로 인해, 원활하면서 신속한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종래의 구강 용해 필름에 대하여, 적용할 경우, 니들의 개수 및 직경이나 폭 등에 따라 10~50%의 용해 속도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에게 사용시 이물감을 신속하게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록입홍합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관절 건강(슬개골 탈구 염증, 관절염)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적인 유용 성분을 함유하여 반려동물에 이로운 건강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포장지 11a : 약제
11 : 필름 12 : 용해촉진부
21 : 약제 제조기 22 : 캐스팅 장치
23 : 건조기 24 : 비젼 검사기
100 :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 25 : 디펙트 펀칭 장치
26 : 실링 장치 27 : 프린팅 슬릿 장치
28 : 커팅 장치 29 : 패킹 장치
31 : 가이드롤러 100 :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
110 : 지지판 120 : 지지대
121 : 가이드 130 : 가압판
140 : 가이드축 150 : 가압구동부
151 : 피스톤로드 160 : 니들

Claims (7)

  1. 포장지 상에 구강 용해성의 약제를 코팅하는 캐스팅 단계;
    상기 약제를 경화시킴으로써 필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드라잉 단계; 및
    상기 필름을 향하여 다수의 니들로 펀칭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필름에 홀이나 홈 형태의 용해촉진부가 다수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니들의 끝단 단면이 "+"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용해촉진부가 "+" 형태로 이루어지는 펀칭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는,
    초록입홍합추출물 90 내지 110중량부, D-소르비톨 20 내지 30중량부, 글리세린 15 내지 20중량부, L-알기닌 5 내지 1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5 내지 10중량부, 비타민 D3 1 내지 2중량부, 덱스트린 0.2 내지 0.6중량부, 말토오스 0.2 내지 0.6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2 내지 0.6중량부, 레시틴 0.2 내지 0.6중량부, 비타민 E 1 내지 2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 5 내지 10중량부, 변성전분 50 내지 70중량부, 풀루란 100 내지 120중량부 및 향미제 20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고,
    초록잎홍합추출물 100중량부당 3 내지 8중량부의 염증 완화를 위한 추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염증 완화를 위한 추출물은,
    찰피나무추출물, 용담추출물, 베롱나무추출물, 때죽나무추출물, 홍가시나무추출물, 백서향나무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꽈리추출물이 동일 양으로 혼합되고,
    상기 펀칭 단계는,
    상기 드라잉 단계 이후, 상기 필름에 대한 비젼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비젼 인스펙션 단계 이후에 실시되는,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칭 단계는,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용해촉진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용해 촉진용 펀칭 장치는,
    상기 포장지가 이동하는 경로의 하측에 상기 포장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포장지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가이드축;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가압구동부; 및
    상기 가압판의 저면에 상기 필름을 향하도록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가압구동부에 의해 하강하는 가압판에 의해 상기 필름을 펀칭하는 니들;
    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단계는,
    상기 약제를 상기 포장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코팅하도록 하되, 상기 포장지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코팅하도록 하고,
    상기 니들은,
    상기 가압판의 저면에 수직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필름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집합이 상기 포장지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필름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이루어지는,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
  7. 청구항 1,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KR1020210187657A 2021-12-24 2021-12-24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657A KR102419815B1 (ko) 2021-12-24 2021-12-24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657A KR102419815B1 (ko) 2021-12-24 2021-12-24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815B1 true KR102419815B1 (ko) 2022-07-12

Family

ID=8241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657A KR102419815B1 (ko) 2021-12-24 2021-12-24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8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1696A (zh) * 2023-07-10 2023-08-29 上海欣峰制药有限公司 口溶膜剂涂布机
KR102582313B1 (ko) 2022-11-28 2023-09-22 김태윤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050A (ko) * 2014-09-30 2016-04-08 조정래 엔테카비르 함유 구강 붕해 필름제형
KR101928749B1 (ko) * 2018-05-23 2018-12-13 김경옥 기호성이 개선된 반려견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연질 캡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050A (ko) * 2014-09-30 2016-04-08 조정래 엔테카비르 함유 구강 붕해 필름제형
KR101928749B1 (ko) * 2018-05-23 2018-12-13 김경옥 기호성이 개선된 반려견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연질 캡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313B1 (ko) 2022-11-28 2023-09-22 김태윤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CN116651696A (zh) * 2023-07-10 2023-08-29 上海欣峰制药有限公司 口溶膜剂涂布机
CN116651696B (zh) * 2023-07-10 2024-04-09 上海欣峰制药有限公司 口溶膜剂涂布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815B1 (ko)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염증 또는 관절염의 개선용 구강 용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Montenegro-Nicolini et al. Overview and future potential of buccal mucoadhesive films as drug delivery systems for biologics
US10973759B2 (en) Manufacturing of semi-plastic pharmaceutical dosage units
CN104203214B (zh) 软咀嚼药用产品
JP5356235B2 (ja) フィルム−埋設包装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893770B (zh) 一种冻干赋型制剂及其制备方法
CN1124136A (zh) 用于使低密度的压缩剂量单位加固成型的装置和方法及其产品
EA021051B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й продукт
CN106852907A (zh) 一种可溶性冻干膜剂的生产方法及其产品
CN104000796B (zh) 用于中药提取物制剂的包衣辅料、制备方法及包衣方法
CN106963737A (zh) 一种易崩解的任意形态冻干成型制剂及其制备方法
CN101273960A (zh) 药物牙膏
JP2009521532A (ja) 活性物質を放出するための、pH調節されたフィルム
CN1742957A (zh) 桑菊感冒泡腾片
KR20110044763A (ko) 로페라마이드 염산염 함유 필름 제제
SI25783A (sl) Tridimenzionalno natisnjeni filmi kot dozirne oblike
WO1993013754A1 (de) Pflanzenextrakt(e) enthaltende formkörper, insbesondere pellets und ihre pharmazeutische oder kosmetische verwendung
DE3914170C1 (en) Pastille prepn. contg. vitamin(s) etc. - by dosing concave mould with liq. sol or gel mixt. contg. active ingredient, gelatin and water
CN104546793B (zh) 一种降糖鸡腿蘑胶囊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30047095A (ko) 치료용 친유성 활성물질의 개선된 전달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CA2745579C (en) Thick pine needle extract composition for capsulation
WO1994025002A1 (de) Lactulose-pastillen
KR102512267B1 (ko) 저분자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및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용해 필름 및 구강 점막 부착형 필름
RU2691936C1 (ru) Комплексное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в таблетированной форме для коррекции синдрома повышенной вязкости крови
KR102057333B1 (ko) 열용융 압출을 이용하는 당귀의 가공방법 및 이의 가공방법으로 제조된 당귀 콜로이드 분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