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192B1 -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192B1
KR100973192B1 KR1020090065991A KR20090065991A KR100973192B1 KR 100973192 B1 KR100973192 B1 KR 100973192B1 KR 1020090065991 A KR1020090065991 A KR 1020090065991A KR 20090065991 A KR20090065991 A KR 20090065991A KR 100973192 B1 KR100973192 B1 KR 100973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hritis
functional feed
feed composition
acaran
sulf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충석
윤충서
조태희
김영식
신은명
Original Assignee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과 추출물에서 정제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류(GAG)류의 한 종류인 아카란황산을 함유하여 관절장애 예방 및 치료, 혈류장애 및 고지혈증 예방 효과를 가지는 반려견, 특히 노령견을 위한 보조사료 및 치료 보조제를 제공하기 위한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을 함유한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아카란황산을 함유한 왕달팽이 추출물 30mg/kg/일 내지 5g/kg/일 또는 왕달팽이에서 추출한 아카란황산 0.1mg/kg/일 내지 500mg/kg/일을 함유하는 관절장애 예방 및 치료, 혈류장애 및 고지혈증 예방을 위한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을 함유한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달팽이, 아카란황산, 사료

Description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A composition of the functional feed for aged pets}
본 발명은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을 함유한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과 추출물에서 정제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류(GAG)류의 한 종류인 아카란황산을 함유하여 관절장애 예방 및 치료, 혈류장애 및 고지혈증 예방 효과를 가지는 반려견, 특히 노령견을 위한 보조사료 및 치료 보조제를 제공하기 위한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을 함유한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가족의 개념이 다양화되면서 애완동물의 개념을 넘어 반려 동물로서 또 가족의 일원으로 질병 없이 오래도록 생활하기를 원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개의 평균 수명은 견종과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10년에서 15년 정도이며 이러한 노환에 의한 사망이나 자연사의 경우에도 견주에게 심리적인 상실감이 매우 크며 합병증에 의한 질병을 동반하는 경우 정서적 경제적 손실 비용 또한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포유동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노령에 동반하는 질병으로는 관절장애와 혈관계 이상, 각종 암 발생 등이 대표적인 질환이며 복합적인 병증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견주는 치료와 치료비용, 안락사 처리, 유기 등의 처리에 따른 심리적, 경제적 갈등이 큰 것이 주지된 사실이다. 개에서 발생하는 관절염의 경우 일반적으로 포유류와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 관절염, 과도한 운동에 의한 관절염, 관절 주위염, 변형성 관절증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노령견에 경우 골관절염, 관절 주위염이 주요 질병으로 많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 좋은 치료를 통한 완치는 차선책이고 가장 좋은 선택은 병증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고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노화에 의한 3대 질병의 치료제와 치료 보조제로 사용되는 대표적 약품으로는, 포유동물의 관절장애 치료 및 완화의 치료는 글루코사민이나 콘드로이친황산이 이용되고, 혈류장애 및 고지혈증 예방치료는 헤파린, 헤파린 황산 등이 쓰이며, 신규혈관 생성 억제를 통한 암 발생 억제는 히아루론산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이들 물질 모두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류라는 것이다. 기본적인 골격이 우론산과 글루코사민의 반복적이면서 부분적으로 황산기가 치환되어 있는 복잡한 화학 구조에 의해 여러 종류의 생물 활성을 나타내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류는 생체내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내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임상에서 의약품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은 헤파린으로, 헤파린은 항혈액응 고제로서 혈전 치료제, 수술 후, 신장투석, 인공혈관, 체외순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항혈액응고작용 이외에 면역계의 보체활성, 말초혈관형성(angiogenesis)저해, 염기성 섬유모세포(fibroblast) 성장인자와의 상호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 여러 생물 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물론 글리코사미노글리칸류의 약용 임상효과는 범용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효능이 입증된 약제를 이용한 일부 외국산 처방 사료의 경우 단일 증상의 예방과 치료, 병세 완화를 위한 특수 처방식이나 사료가 있고 노령견을 위한 복합 처방식, 처방 사료가 있다. 그러나 견주가 부담하여야 하는 경제적 큰 것이 문제이며, 단일 원료로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이러한 병증을 예방하고 완화시키는 복합 효능의 치료 보조제는 신규한 것이며, 식용으로 용이하며 지속적으로 섭취하여도 안전하고 쉽게 수득할 수 있으며 경제성 또한 우수한 치료 보조용 사료가 개발된 경우도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Achatina fulica)는 세계도처에 분포되어 고급 식품원료로서 사용되어왔고 강정 또는 강장식품으로 널리 애용되어 왔다. 이러한 왕달팽이에는 점액성분이 있으며 이 점액에 피부를 유지시켜 주는데 필수적인 알란토인(allantoin),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항균펩타이드, 비타민, 글리콜(glycolic)산 등 천연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에서 물질을 분리하여 이에 대한 구조 및 기능을 확인하였고 국내 및 미국특허도 등록(국내특허 170064호, 미국특허 6028061호)한 아카란황산에 주목하였다. 아카란황산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류의 일종으로서 생체 내에서 윤활작용, 조직의 유연성, 세포의 신호전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카란황산은 추출물 내에 2-4% (건조물) 포함하고 있으며 혈관 신생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아카란황산은 상기에서 언급된 생물활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생물활성을 나타내는데, 아카란황산을 구조적으로 변형시켰을 때(예, 탈아세틸화, 황산화, 새로운 올리고 GAG류화) 부작용이 적은 항혈액응고제의 사용이 가능하며, 아카란황산의 황산화된 올리고당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와의 결합에 필요한 구조적 특징을 제공하므로 세포 성장 및 분화와 관련된 중요한 역할에도 관여한다. 실제적으로 탈아세틸 후 -NH2에 황산화가 이루어진 화합물은 세포성장이 대조군에 비해 6배 정도 증가하는 점으로 보아 상처 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카란황산은 반복적인 이당류의 단순한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설페이트기 전이효소를 이용한 반응의 모델 화합물로서도 이상적이다. 이 외에 아카란황산은 골다공증을 포함하여 간 기능효과 및 갱년기 장애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과 추출물에서 정제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류(GAG)류의 한 종류인 아카란황산을 함유하여 관절장애 예방 및 치료, 혈류장애 및 고지혈증 예방 효과를 가지는 반려견, 특히 노령견을 위한 보조사료 및 치료 보조제를 제공하기 위한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을 함유한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아카란황산을 함유한 왕달팽이 추출물 30mg/kg/일 내지 5g/kg/일 또는 왕달팽이에서 추출한 아카란황산 0.1mg/kg/일 내지 500mg/kg/일을 함유하는 관절장애 예방 및 치료, 혈류장애 및 고지혈증 예방을 위한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을 함유한 노령견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에서 추출한 아카란황산을 함유한 관절장애 예방 및 치료 혈류 장애 개선 및 고지혈증 억제 효과를 가지는 반려견 및 노령견용 사료 조성물로서, 관절염을 예방하고 완화시키는 완 전히 새로운 사료 및 치료 보조제를 제공하며, 식용으로 용이하며 지속적으로 섭취하여도 안전하고 쉽게 수득할 수 있고 경제성 또한 우수한 치료 보조제이다.
또한 노견이나 치료가 요구되는 반려견용 처방 사료나 처방제의 국산화 비율이 매우 작은 실정에서 신규한 본 발명은 수입 대체 효과가 크며, 칼슘제, 비타민류의 복합 처방으로 시너지 효과가 더욱 큰 사료, 사료 보조제를 완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과 추출물에서 정제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류(GAG)류의 한 종류인 아카란황산을 함유하여 관절장애 예방 및 치료, 혈류장애 및 고지혈증 예방 효과를 가지는 반려견 및 노령견을 위한 보조사료 및 치료 보조제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달팽이 추출물과 아카란황산은 공개특허(특1997-0042581)의 방법으로 추출 후 정제한 것으로 사용하였으며 아카란황산을 함유한 왕달팽이 추출물 30mg/kg/일 내지 5g/kg/일 또는 왕달팽이에서 추출한 아카란황산 0.1mg/kg/일 내지 500mg/kg/일을 함유하는 관절장애 예방 및 치료, 혈류장애 및 고지혈증 예방 효과를 가지는 반려견 및 노령견용 사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건식, 습식, 반습식 사료와 보조 사료, 보조 치료제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성분을 더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임의의 다른 성분이 첨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토산, 콜라겐, 젤라틴,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빅 산, 달맞이꽃 종자유, 칼슘, 마그네슘, 셀레늄, 실리콘, 아연 등이 있다. 개의 경구 투여 가능한 사료, 보조 사료, 보조 치료제로서 통상적으로 사료제조에 필요한 곡류, 육류, 어류, 조류, 지방, 비타민, 무기질, 해초, 결합제, 계면활성제, 물, 천연 오일, 풍미제, 향미제, 부패방지제, 천연추출 방부제 등을 배합하여 수분 20% 미만의 건식사료를 제조하고 분쇄, 팰릿, 사출, 분산 등의 과정을 거처 건조, 동결 건조, 베이킹 등의 과정으로 소분 급여 가능하도록 형태화하고 포장함으로써 완성할 수 있다.
수분 20% ~ 65%의 반습식 사료의 경우 그 구성은 건식의 경우와 같으며 개의 경구 투여에 적당한 점도로 건조하고 페이스트, 도포제, 연질 캡슐화 등으로 소분하여 포장함으로써 완성한다.
습식 사료에 경우 분쇄 곡류, 곡류 추출물, 육류, 육즙, 어류분, 조류 육분, 지방, 비타민, 무기질, 해초분, 결합제, 계면활성제, 물, 천연 오일, 풍미제, 향미제, 부패방지제, 천연추출 방부제 등을 배합하여 수분 65%이상의 액상으로 교반 혼합하여 제조하고 액제, 스프레이, 연질 캡슐화 등을 통하여 급여 가능한 형태로 완성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적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의 종류와 형태에 왕달팽이 추출물을 상기와 같이 첨가하여 관절장애 예방 및 치료, 혈류장애 및 고지혈증 예방 효과를 가지는 반려견 및 노령견용 사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실시예 1
아카란황산의 관절염 치료 효과
본 실시예 1에 사용된 개는 수의사가 관절염 또는 관절 이상이 확진된 소형견(말티스, 요크셔테리어, 시츄, 치와와, 코키스파니엘, 슈나우저, 푸들) 23두를 선정하여 표 1의 구성으로 제조된 사료를 1주간 개체의 몸무게에 따라 표 2와 같이 급여하고 사료 안정성을 확보한 후 선정된 18개체를 3개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표 3과 같이 대조군에는 표 1의 사료만 급여하고, 실험예 1은 아카란황산을 함유한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을 일일 급여하는 사료의 양을 기준으로 대상견의 몸무게 1kg당 300mg을, 실험예 2는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에서 추출한 아카란황산을 일일 급여하는 사료의 양을 기준으로 대상견의 몸무게 1kg당 10mg이 첨가된 사료를 7주간 급여하고 섭취 여부를 확인하였다.
시료 첨가량
사료 구성물 함량(%)
옥수수 분말 36
소맥분말 14
감자 1
대두박 10
계육 및 계육 부산물 16
계란 1
시금치 건조 분말 1
유지 8
염화콜린 1
해초분 0.4
염분 0.5
0.1
오메가3 0.8
녹차추출물 0.1
안식향산나트륨 0.1
10
체중에 따른 사료 급여량
체충 1∼3kg 3∼10kg 10∼25kg
급여량 35~70g 70~165g 165~300g
시료 첨가량
첨가 물질 대조군 실험예 1 실험예 2
달팽이 추출물 - 300mg/kg/일 -
아카란 황산 - - 10mg/kg/일

상기 시료 첨가량을 표 2와 표 3을 기준으로 중량%로 환산하면 체중에 따른 일일 사료 급여량 35g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달팽이 추출물은 0.857중량%가 아카란 황산은 0.029중량%를 첨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7주간 급여 후 관절염 평가는 무증상인 경우 0점, 이동 범위 제한, 이동성, 관절부위의 부기감소, 관절부위 통증, 마찰음 감소 여부를 평가 항목으로 관절염 증상에 대해 육안 및 물리적으로 평가로 1에서 4점으로 스코어링하여 총 20점으로 평가하였다.
즉 스코어가 클수록 관절염 증상이 심한 것이고 스코어의 감소는 관절염 증상이 완화된 것을 의미한다. 소형견을 대상으로 한 것은 실험의 안전성과 환경 변화 요인을 최소화한 것으로, 중, 대형견의 경우도 같은 결과를 유추할 수 있다.
관절염 스코어 감소율은 최초 진단 후 표 1의 사료를 1주일 급여한 시점에 평가한 것을 초기 값으로 설정하고, 실험예 1, 실험예 2와 같이 7주간 달팽이 추출물과 아카란 황산이 첨가된 사료를 급여 후 상태를 평가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또 각 개체의 감소율 정도는 표 4에 백분율로 표기하였다.
실험군별 관절염 스코어 감소율
대조군 실험예 1 실험예 2
초기 관절염 스코어 합계 60 74 61
7주후 관절염 스코어 합계 59 53 35
관절염 스코어 감소율 2% 27% 23%
관절염 스코어 감소 개체 수
관절염 스코어 감소율 대조군 실험예 1 실험예 2
10% 이상 ~ 20% 미만 감소 개체 1 3 2
20% 이상 ~ 40% 미만 감소 개체 0 1 3
40% 이상 감소 개체 0 2 1
표 4는 달팽이 추출물과 아카란 황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두 관절염의 증상 완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음을 증명한 결과이다. 약물로서 혈관이나 경구 투여한 관절염 약제의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관절염이라는 질병의 특성상 완치가 어렵고 매일 사료로서 혼합되어 섭취 함으로서 병증의 치료와 완화의 기능, 예방 효과를 얻기에는 충분한 결과이다.
그러나 표 4의 결과는 관절염 증상이 초기에 발견된 경우에는 감소 폭이 작아도 감소율이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개체의 관절염 스코어 감소 폭을 표 5에 표시하였다. 왕달팽이 추출물과 아카란 황산을 급여한 실험예 1과 실험예 2의 모든 개체에서 관절염이 호전된 결과를 보이며 경구 투여된 사료 보조제로서 상당한 감소율을 보이는 개체도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실험예 1과 2에서 왕달팽이 추출물에 함유된 아카란 황산의 함량은 거의 동일한데 실험예 1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은 달팽이 추출물의 콘드로이친황산, 콜라겐, 단백질 등의 다른 성분들이 보조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표 6의 5개 관절염 스코어 평가항목 중 통증의 감소와 마찰음 항목에서 감소 폭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노환에 의한 관절염 증상에서 나타나는 대표적 증상이므로, 노령견을 위한 골관절염에 효과적인 치료 보조제로서의 본 발명이 유용하다 할 수 있다.
관절염 스코어 별 감소율
항목 이동범위 이동성 동통 부기 마찰음
실험예 1 37% 24% 18% 14% 57%
실험예 2 23% 19% 35% -13% 42%
실시예 2
실시예 1의 대조군에 포함된 관절염 증상의 개 6개체에 몸무게에 따라 왕달팽이 추출물 5g/kg/일을 7주간 급여하고 실시예 1의 관절염 스코어 평가 항목에 따라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아카란황산 왕달팽이 추출물에는 아카란황산이 건조중량 기준 2~4%가 함유되어 있음으로 환산하면 대략 150mg/kg/일을 섭취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실험예 3에서의 관절염 스코어 감소율은 27%로 실험예 1의 감소율과 비슷하며 항복 별 감소율도 비슷한 유형을 보였으며, 세부적으로 각 개체의 감소율은 표 7과 같다.
왕달팽이 추출물 양에 따른 관절염 스코어 감소 개체 수
감소율 대조군 실험예 1 실험예 3
10% 이상 ~ 20% 미만 감소 개체 1 3 3
20% 이상 ~ 40% 미만 감소 개체 0 1
40% 이상 감소 개체 0 2
이는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아카란항산이 효과적으로 개체의 소화기관에 흡수되는 양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너무 적을 경우 효과 발현이 없고 많을 경우 원료의 손실과 시료의 양과 효능의 기울기가 감소한다. 그래서 왕달팽이 추출물 30mg/kg/일 내지 5g/kg/일 또는 아카란황산 0.1mg/kg/일 내지 500mg/kg/일이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왕달팽이 추출물 300mg/kg/일 또는 아카란황산 10mg/kg/일이 적합하다.
상기 왕달팽이 추출물과 아카란 황산의 첨가량을 중량%로 환산하면 일일 사료 급여량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왕달팽이 추출물은 0.086∼14.3중량%를 아카란 황산은 0.0003∼1.43중량%를 첨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아카란황산의 콜레스테롤 억제
본 발명자들은 콜레스테롤 함유 혼합물에 의해 유도되는 고지혈증 래트(rat)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아카란 황산이 전체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TG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에는 약 220 g의 수컷 SD(Sprague-Dawley) 래트를 사용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실험동물 사육장에서 분양받아 최소 일주일간 실험 사육장 환경에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사육장은 인공 조명에 의하여 조명시간을 아침 8시부터 저녁 8시까지 12시간으로 조절하였으며 실내온도는 18℃ 내지 23℃로 유지하였다. 사료는 조단백 21.0%, 조지방 3.5%, 조셀룰로우즈 5.0% 및 무기질 8.0% 등의 조성을 가지는 고형사료를 사용하였으며, 급수는 정수된 물을 사용하였고 사료와 급수는 제한하지 않았다.
먼저, 1% 콜레스테롤과 1% 나트륨 콜레이트(sodium cholate)가 함유된 옥수수유 혼액(cholesterol-rich mixture)을 5일간 연속으로 수컷 SD 래트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콜레스테롤 함유 혼액 투여 5일째부터 본 발명의 아카란 황산(100 ㎎/㎏)을 1일 1회씩 5일간 경구투여하였다. 아카란 황산을 투여하지 않은 동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최종시료 투여 12시간 후 동물로부터 혈액을 취하여 혈청 중의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TG 농도를 측정하여 정상군 및 대조군들과 비교하였다. 이때, 비교약물로는 100 ㎎/㎏/일 농도의 키토산 올리고당(chitosan oligosaccharide)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의 도시와 같이 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혼액을 투여했을 때 혈청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수치가 상당히 증가하여 정상군과 비교해 상대적인 고지혈이 유발되었음을 관찰하였고, 반면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다. 혈청 콜레스테롤의 경우 비교약물로 사용한 키토산 올리고당과 아카란 황산 투여군 모두 유의한(p< 0.01) 감소를 나타내었고 상승된 TG 수치 또한 상당한 감소효과(p< 0.01, p< 0.001)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콜레스테롤 함유 혼액의 투여로 감소한 HDL-콜레스테롤의 경우에는 아카란 황산의 투여로 수치가 증가하였다.
실시예 4
아카란 황산이 폴록사머(poloxamer)-407에 의해 유도되는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측정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폴록사머-407(Pluronic F-127) 용액에 의해 유도되는 고지혈증 래트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아카란 황산이 전체 콜레스테롤 및 TG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된 수컷 SD 래트(380ㅁ20 g)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100 ㎎/㎏ 및 300 ㎎/㎏ 농도의 아카란 황산을 1일 1회씩 3일간 경구투여 하였고, 4일째에 냉장법(cold method)에 따라 제조하여(Schmollka IR., Polymers and Controlled Drug Delivery,1991, 189, CRC press) 미리 2차 증류수에 용해시켜 하룻밤동안 냉장보관해 놓은 폴록사머-407 용액을 각각 1 ㎖씩 복강투여하였다. 비교 약물로 사용한 로바스타틴(lovastatin, 중외제약)은 투여전 0.4%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arboxymethylcellulose)(w/v) 및 3.3%의 글리세린(glycerin)(v/v)과 함께 2차 증류수에서 잘 혼합하여 현탁시켜 사용하였다. 시료를 다시 2일간 연속 투여하고 실험 12시간 전부터 절식시킨 래트를 에테르(ether) 마취하에 복부대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청을 얻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도 3의 도시와 같이 폴록사머-407 투여로 혈청 콜레스테롤과 TG 수치가 각각 15배 및 50배 정도 상승되었다. 이에 대해 비교약물인 로바스타틴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콜레스테롤과 TG 수치를 각각 36.9% 및 35.1% 낮추어 우수한 저지혈(hypolipidemic) 효과를 보였다. 한편, 아카란 황산 투여군의 경우에도 콜레스테롤 및 TG 수치에서 각각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아카란황산의 콜레스테롤 억제작용을 측정한 도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아카란 황산이 폴록사머(poloxamer)-407에 의해 유도되는 고지혈증에서 총콜레스테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도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아카란 황산이 폴록사머(poloxamer)-407에 의해 유도되는 고지혈증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TG)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도표

Claims (3)

  1.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에서 추출한 아카란황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에서 추출한 아카란황산이 상기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0.01∼1.43중량%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2. 아카란황산을 함유한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카란황산을 함유한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이 상기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0.1∼14.3중량%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에서 추출한 아카란황산 또는 아카란황산을 함유한 아프리카 산 왕달팽이 추출물이 함유되어 분쇄, 혼합, 건조과정을 거쳐서 팰릿, 액상, 패이스트,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로 가공된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20090065991A 2009-07-20 2009-07-20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0973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91A KR100973192B1 (ko) 2009-07-20 2009-07-20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91A KR100973192B1 (ko) 2009-07-20 2009-07-20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192B1 true KR100973192B1 (ko) 2010-07-30

Family

ID=4264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991A KR100973192B1 (ko) 2009-07-20 2009-07-20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19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62B1 (ko) * 2017-01-25 2017-09-19 주식회사 구펍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8398A (ko) 2018-10-03 2020-04-13 윤선빈 지능형 사료 추천 및 평가 시스템과 연동된 사료 공급 장치
KR20200038396A (ko) 2018-10-03 2020-04-13 윤선빈 머신 러닝과 웹 크롤링 기반의 지능형 사료 추천 및 평가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KR20200139119A (ko) * 2020-12-03 2020-12-11 박덕섭 농축산물을 활용한 고품질 반려견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5311B1 (ko) 2021-11-12 2022-02-23 이하양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령견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2684B1 (ko) 2022-06-13 2023-04-14 김태곤 약 흡수 기능을 가진 애완견 신발
KR102582313B1 (ko) * 2022-11-28 2023-09-22 김태윤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0959A (ja) * 1989-11-18 1991-07-10 Honen Corp エスカルゴ用飼料
US5538740A (en) 1991-03-01 1996-07-23 Atherton Investments, Ltd. Therapeutic and cosmetic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sk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0959A (ja) * 1989-11-18 1991-07-10 Honen Corp エスカルゴ用飼料
US5538740A (en) 1991-03-01 1996-07-23 Atherton Investments, Ltd. Therapeutic and cosmetic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ski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lycobiology, 15(1), pp.1-9(2005.01.)
Skin Pharmacology and Physiology, vol 21, p15~22, 2008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62B1 (ko) * 2017-01-25 2017-09-19 주식회사 구펍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8398A (ko) 2018-10-03 2020-04-13 윤선빈 지능형 사료 추천 및 평가 시스템과 연동된 사료 공급 장치
KR20200038396A (ko) 2018-10-03 2020-04-13 윤선빈 머신 러닝과 웹 크롤링 기반의 지능형 사료 추천 및 평가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KR20200139119A (ko) * 2020-12-03 2020-12-11 박덕섭 농축산물을 활용한 고품질 반려견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3957B1 (ko) 2020-12-03 2021-03-29 박덕섭 농축산물을 활용한 고품질 반려견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5311B1 (ko) 2021-11-12 2022-02-23 이하양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령견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2684B1 (ko) 2022-06-13 2023-04-14 김태곤 약 흡수 기능을 가진 애완견 신발
KR102582313B1 (ko) * 2022-11-28 2023-09-22 김태윤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192B1 (ko) 노령견의 관절염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US9393253B2 (en) Food composition comprising glucosamine
JP2667351B2 (ja) 食餌脂質消化吸収阻害剤および飲食品
WO2013133783A1 (en) Composition and methods to enhance anti-oxidation, gut flora and immunity in pets
US6428817B1 (en) Companion animal therapeutic treat
JP5204578B2 (ja) 関節痛改善用組成物、関節痛改善剤、あるいは食品
KR101706598B1 (ko) 수용성 이온화칼슘 및 프락토올리고당 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및 관절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2336602C (en) Companion animal therapeutic treat
TWI830696B (zh) 抑制肌纖維變性用組成物
JP6127545B2 (ja) ガレート型カテキンとタンパク質との複合体およびカフェインを含む抗肥満組成物の製造方法
US9717764B2 (en) Egg preparation with regenerating, analgesic and/or anti-inflammatory properties
KR20080009695A (ko) 연골대사 이상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및 의약품 조성물
JP5436895B2 (ja) 水抽出コンドロイチンおよびミルク香料を含む経口製剤
JP5099812B2 (ja) 血糖値上昇抑制剤
JP2003335698A (ja) 高尿酸血症治療又は予防用組成物
JP2003313131A (ja) 医薬または化粧料
EP4102988A1 (en) Undenatured type ii collagen in animal food and treats
WO2007116980A1 (ja) 血糖値上昇抑制剤
KR20010068226A (ko) 키토산 올리고당 및 타우린이 함유된 사료 및 음수첨가용영양제 조성물
RU2770470C1 (ru) Геропротекторная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KR102582313B1 (ko)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367604B1 (ko) 항산화, 염증개선 및 면역증진 효과가 우수한 반려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609864B1 (ko) 반려견의 관절과 간을 보호하는 천연 껌 영양제
JP4493736B2 (ja) キチンを含有するミネラル吸収促進性組成物およびミネラル吸収促進用添加剤
Baqer et al. Effect of Adding Aqueos Extract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Peel and Moringa (Moringa Oleifera) Dried Leaves Powder and their Mixture to Drinking Water i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ome Immunological Tarits of Broiler Chick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