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027B1 - 메틸슬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음식조성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메틸슬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음식조성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027B1
KR900002027B1 KR1019860007852A KR860007852A KR900002027B1 KR 900002027 B1 KR900002027 B1 KR 900002027B1 KR 1019860007852 A KR1019860007852 A KR 1019860007852A KR 860007852 A KR860007852 A KR 860007852A KR 900002027 B1 KR900002027 B1 KR 90000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sulfonylmethane
food
animal
animals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618A (ko
Inventor
제이. 허슐러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제이. 허슐러 로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9249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202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허슐러 로버트 filed Critical 제이. 허슐러 로버트
Publication of KR88000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02Aliphatic compounds
    • A23L27/2022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5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61K31/10Sulfides; Sulfoxides; Sulf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the group >N—C(O)—N< or >N—C(S)—N<, e.g. urea, thiourea, car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61K9/1688Processes resulting in pure drug agglomerate optionally containing up to 5% of excip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틸슬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음식조성 및 그 이용방법
본 발명은 1979년 8월 6일 출원된 미국 출원 071068(미국특허 4296130)의 한 분야로써, 1981년 6월 26일 출원된 미국출원 277592(미국특허 4477469)의 일부 계속(continuation-in part)으로써 1982년 9월 14일 출원된 미국출원 418110(미국특허 4514421), 1984년 2월 28일 출원된 미국출원 584354, 1984년 4월 17일 출원된 미국출원 601771의 일부계속 출원이다. 출원중인 601771, 584354 및 418110의 내용이 참고로서 여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메틸술포닐메탄(MSM)을 포함하는 음식조성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4296130에 의하면, 인체조직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유연하고 부드럽게하며 매끄럽게하는 동시에 손톱 및 발톱이 갈라지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밝히고 있다. 또 이에 의하면, 메틸술포닐메탄은 본질적으로 인체화학에 불활성이며, 생존과정에서 일어나는 몇몇 화학반응에 불활성일 뿐만 아니라 독성이 거의 없기때문에 혈액에 대한 희석제로 사용될 수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 이에는 장(腸) 및 다른 기관의 유연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경구복용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4, 477,469는 메틸술포닐메탄 및 카바미드(carbamide)조성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4,514,421은 메틸술포닐메탄으로서 알레르기 스트레스 징후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4,296,104는 메틸술포닐메탄과 같은 단백질 조절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는 DMSO조성을 밝히고 있다.
미국특허 4,112,946은 삼투요인으로서, 물에서 사는 동물에 건강촉진제를 투여하는 과정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수용성 용매시스템을 밝히고 있다. 미국특허출원 584,354는 약학적으로 불안정한 활성제를 보존하기 위한 희석제나 케리어 (carrier)로써 메틸술포닐메탄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것이다. 미국특허출원 601771은 위장장해를 촉진하는 약제 및 이를 개선시키는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하는 경구 약제조성에 대한 것이다.
J.J. 콕시스와 그 공저자의 1975년 출판된 어닐 뉴욕과학 아카데미(Annals N.Y. Acad. sci) 243, 104-109에 의하면, 디메틸술폭사이드(dimethylsulfoxide)의 대사산물로 알려진 메틸술포닐메탄은 인체내에 피하주사후 3주동안 및 혈관 투약후 1주일까지는 지속한다고 되어있다. 이들 저자는 DMSO과 같이, 메틸술포닐메탄은 인체내에서 방향족 탄화수소에 의해 생성되는 요로타우린(urinary taurine)분비를 촉진하며, 파라옥손(paraoxon), 테트라에틸피로포스페이트(tetraethyl pyrophosphate) 및 옥타메틸피토포스포라미드(octamethyl pyrophosphoramide)같은 항콜린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anticholinesterases)의 치사효과에 길항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데, 이들은 5℃온도에 노출된 쥐의 체온을 떨어뜨리고 활동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피하주사시)]
클세스터(Knlshestha)와 공저자의 (C.A. 83-22910n(1975)에 의하면 메틸술포닐메탄은 많은 과일채소 및 식물성물질, 곡물에서 최소추적량(3.3ppm)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는 또한 정상적인 뇨(尿)내에도 소량으로 존재한다. 다음은 가축내에서 DMSO대사물질로서 메틸술포닐메탄의 생물학적면에 관한 화학초록집(Chemical Abstracts)이다.
83 : 183 a : 에세리히아족 대장(大腸)억제 (Escherichia coli inhibition)
83 : 72577 e : 신경시스템 강하(nervous system depression)
84 : 173608 a :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억제(salmonella typhimurium inhibi tion)
82 : 71 : 뇨(尿)
75 : 86025 v : 심장반응
74 : 2429 y : 폐협착활동
62 : 9634 f : X-선에 대한 조직배양보호
58 : 9391 e : 독성
64 : 7229 h : 복용후 뇨(尿)
65 : 17537 g : 인체의 뇨(尿)
64 : 10170 g : 메틸술포닐메탄대사물질로서 뇨에 있어서…
64 : 7213 a
65 : 17535 b
시겔(Sigel)은 암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 형태로 발생소질을 가진 생쥐에 대하여 메틸술포닐메탄을 평가하였다. 그 술폰은 경구투여되었다. 표준동물과 비교했을때 종양발생이 감소되었을뿐만 아니라 임파종의 전이에 있어서 현저한 지연을 가져왔다. 덧붙여서, 단지 육안으로 관찰하여, 치료받은 동물은 관절병발원의 괄목할만한 감소를 보였다. 1차 IgM 및 2차 IgG의 역가(力價)가 증가된 것이 측정되었다. 별도의 시험연구에서, 식수내에 있는 메틸술포닐메탄을 섭취할 때 DMBA를 복용(服用)한 암생쥐는 종양의 발육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반면 유방종양(mammary tumors)이 표준동물(control anmal)에서 보여졌다. Metcalf. L., L Equine Vet. : i.3(5) : 148-174(1983)에 의하면, 동물의 음식물에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하면 이익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말(馬)에 있어서 칼슘/인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하나의 질병인 에피피시티스(epiphysitis)는 메틸술포닐메탄을 구강복용시킴으로써 급속히 고쳐졌다. 생존과정에서 야기되는 여러가지 화학작용에 불활성이고, 독성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메틸술포닐메탄은 그 음식물내에 흡수가능한 황(sulfur)이 결핍된 인간 및 기타 척추동물에 요구되는 영양이되는 황을 공급하는데 충분할 정도로 신진대사가 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렇게 흡수한 황(sulfur)-결핍음식물의 빈도는 재배의 발전으로 가공된 음식이 많기 때문에 아주 높은 것이다. 인간이나 다른 동물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이 가지는 약리학적인 좋은효과이외에도, 메틸술포닐메탄은 수많은 다른 질병의 치료나 역약리학적조건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1983년 초이래, 메틸술포닐메탄은 타브렛(tablet)형태로 (250mgr)영양제로서 팔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틸술포닐메탄을 사용하여 신진대사 가능한 황 부족음식물을 고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메틸술포닐메탄으로서 사람 및 기타 동물에 있어서 생리학적 조건이 맞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이용방법의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메틸술포닐메탄을 0.01ppm정도이하까지 감소하는데 충분하게 가열내지 건조로서 수분율을 줄이는단계와, 이 단계후 음식물과 음식물내에 최소 약 0.01ppm으로 증가시키기에 충분한량의 유효한 메틸술포닐메탄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음식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하나의 이용방법의 후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동물에 있어서 최소 1ppm의 체위를 유지하는데 불충분한, 자연적으로 생성하는 메틸술포닐메탄을 공급하는 음식물에 의해 유지되는 동물의 질병에 대한 저항력 및 전체 건강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동물의 음식물에 최소 1ppm의 체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하나의 이용방법의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동물에 있어서 관절염에 관련한 통증 및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이 질병의 명백한 증상을 보이는 동물에게 통증을 경감시킬정도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참기 어려운 통증을 경감시키는 방법에 관한것이며, 이는 이러한 통증을 유발시키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그 통증을 경감시킬만큼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정맥주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다른 이용방법의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시험관내에서 메틸술포닐메탄이 독성을 나타내는 기생충에 감연된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며, 이는 환자내의 기생충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효과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환자에게 계통적으로(systematically) 투약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다른 이용방법의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야 간 및 운동에 의해 생기는 근육경련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근육경련을 방지하는데 효과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구강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다른 하나의 이용방법의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메틸술포닐메탄으로서 다른 불리한 생리학적 조건을 처치하는데 관한 것이다.
처리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음식물내에 존재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메틸술포닐메틴을 약 0.01ppm이 하수준까지 줄이기위하여 가열이나 건조함으로서 수분들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방법에 관한것이며, 이는 상기 단계후 음식물내에서 이의 농도를 최소 약 0.01ppm까지 높이는데 유효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혼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조성의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약 15×10-4%-3%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혼합하여 약 15ppm이하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하는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4514421 및 미국출원 60177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메틸술포닐메탄이 체액에서 절대적이고 또한 비독성이어서 혈액화학을 해치지 않고 혈액에 대한 희석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불구하고, 매일 최소 약 100mg의 복용에서 메틸술포닐메탄은 위장장해, 점막염증 및 알레르기반응과 같이 스트레스에 의한 생리학적반응의 징후를 보이는 사람에게 계통적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경구(經口) 투약될 때 여러가지 병리학적 조건에 대한 회복제이다. 메틸술포닐메탄 및 체내(體內)에서 쉽게 메틸술포닐메탄으로 전환되는 선구물질(先驅物質)은 인간 및 다른 동물에 의해 소비되는 자연식품 즉, 처리되지않은 식품에서 발견되는 표준 성분(normal ingredients)이다.
메틸술포닐메탄 및 그 선구물질은 육지생활 훨씬전에 척추동물 음식물에서 영양가가 높고 가능한 필수인자로 사용되었다. 메틸술포닐메탄은 체내에서 여러가지 기능을 한다. 낮은 수준의 섭취에서, 정상적인 음식요소 즉 식품이나 식품원료로서의 기능을 하며, 높은 수준의 섭취에서 약제로서의 기능을 한다. 활(Sulfur) 또한 인접조직의 분자를 함께 지지하는 "타이-바(tie-bars)" 이황화물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그밖에도 같지않은 생체분자의 윤곽(contour)을 결정하는 등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생존과정을 보호하고 유지시키는 많은 효소의 활성에 필수적이다. 이들 역할을 수행하기위하여, 동화(同化)가능한 황의 계속적인 섭취가 인체에는 필요한 것이다. 예전에는 균형잡힌 영양의 필요성을 위하여 섭취된 단백질이 충분한 대사황(metabolic sulfur)을 공급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는 옳지 않으며, 체내에 영양적으로 적당수준의 동화가능한 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메틸술포닐메탄섭취가 필요하다고 현재는 알려져 있다. 메틸술포닐메탄이 인체의 정규성분이라는 것이 수십년동안 알려져 있는 반면에, 이것이 동물의 영양 및 건강에 있어서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인식은 없었다.
현대의 요리된 음식물 및 다르게 처리되었거나 희석된 식품에 있어서, 인간의 대부분의 식품 및 보다 저급동물의 음식물에서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영양분인 이것이 결핍되어 있는 것이다. 메틸술포닐메탄은 지구의 역사가 시작한 이래로 모든 동식물의 생존에 의해 이용가능하고 동화된 주요 영양분이다. 이는 건강식품에 필수적이며, 또한 동물의 생존에 관련된 거의 모든 신선한 자연식품에서 발견되는 영양필수요소이다. 그러나 이것은 휘발성이 있기때문에 신선한 음식이 조리되거나 또는 저장될 때 쉽게 상실되는 것이다. 많은 식료품은 통상의 처리에 의해 변질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단백질은 수용성단백질이 불용화성으로 되고, 불용성단백질이 수용성으로 되는등 변질 또는 변화된다. 예를들어 요리에의한 흰 달걀의 불용성화 및 수용성제라틴으로의 콜라겐 (collagen)의 변화등이다. 지방은 조리되거나 저장된때 변질되며, 전분은 보다 소화가 잘되게 되거나 보다 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통의 음식물은 메틸술포닐메탄이 결핍되어있는바, 이는 통상의 음식처리 예를들어 조리, 건조나 탈수, 합성충진제로서 희석 및 영양가가 적은 첨가물, 방사선조사나 소독 및 장기간의 보존에의해 메틸술포닐메탄이 쉽게 손실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메틸술포닐메탄은 일반처리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손실되는 비타민이나 광물질과 비슷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어떠한 음식이라도 가열이나 건조등 그 처리에따라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황이 풍부한(황주량의 1/3)메틸술포닐메탄이 제거된다. 필요한 다량양소(多量養素)인 황은 성숙한 동물내에서 계속적으로 치환되어야하며 어린 동물에서는 성장 및 건강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관점은 메틸술포닐메탄은 황의 바람직한 음식원이라는 것이다. 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인 메치오닌(methionine)이 비록 메틸술포닐메탄이 부족한 음식에서 생체물질대사동안 일부 보충원으로서의 구성을 한다지만, 메치오닌은 바람직하지 못한 독성인자를 나타낸다. 오늘날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동물이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체중 1kgr당 0.5-1.0밀리그램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낮은 수준이라도 몇가지 잇점을 가진다. 보다 높은 수준은 축적 황으로서 체내에 저장되어 생체분자를 포함하는 필요황의 다량합성을 최적화시키는데 충분한 농도를 제공하거나, 피부 또는 요도를 통하여 배설된다. 손상을 받지 않은 분자(intact molecule)는 피부의 유연성 및 부드러움등을 개선하는등 조직에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 음식에 있어서 유용한 황을 포함한 교체음식원 예를들어 신선한 육류 및 생선은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구입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는것도 중요한 것이다. 신선하고 가공되지 않은 식물성음식 및 동물원은 메틸술포닐메탄의 가장 값비싼 천원원이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계절에따라 그 공급도 다른 것이다. 지리적, 정치적, 종교적, 문화 및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지금까지 사람 및 동물은 최적건강상태를 막는, 인식되지 않은 음식물결핍으로 고통을 받은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은 이 문제를 해결한다.
단지 소독되지않은 우유, 원상태로의 생선 및 육류 그리고 조리되지 않은 신선한 야채나 다른 식물성식품을 섭취하는것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메틸술포닐메탄을 충분히 공급하게 하여 음식물에 황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분명히 이는 통상의 식사준비, 음식처리 및 저장으로서는 얻기가 불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연발생 메틸술포닐메탄이 비교적 풍부한 식품인 우유의 경우, 미생물 분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살균될 때 이 물질뿐만 아니라 선구물질까지도 상당히 손실된다. 분무건조된 우유는 통상적으로 메틸술포닐메탄 전체를 잃는다. 가축은 그 필요영양분을 사람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가축의 음식원의 대부분은 가공식품이기 때문에 이들의 음식은 가공처리동안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한 여러가지 가치있는 영양소를 잃게되는 것이다. 이 경우 대부분의 사료는 사람들이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어떤 동물보다 메틸술포닐메탄의 결핍이 큰것이다. 신진대사 가능한 황의 기초 공급원으로서, 메틸술포닐메탄은 음식물일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음식물의 천연성분인 것이다. 영양적으로 개선되지 않은 음식물의 일부로서 사람 및 기타 동물이 섭취하는, 메틸술포닐메탄이 첨가된, 천연 및 합성약품은 거의 없는 것이다.
사람 및 저급동물은 식품처리과정에서 손실되고 있는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메틸술포닐메탄을 대체하기 위하여 하루에 체충 1kg당 약 1mg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공이 끝난 가공식품 및 식사준비직전 가열된 음식에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하는 것이 좋다. 비록 광물질이나 비타민과 같이 액체나, 고체로서 혹은 단독으로 섭취된 메틸술포닐메탄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최대의 잇점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과정은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섭취되었을 때, 하루에 체충 1kg당 약 1mg의 최소량을 공급하는 광범위한 조성물을 고려해야 한다.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메틸술포닐메탄은 소금, 음료수, 양념, 통상의 비타민 및 광물질과 과자나 껌같은 입으로 섭취하는 물에 넣을 수 있다. 수많은 시험으로, 메틸술포닐메탄은 음식, 음료수, 양념 및 껌, 방향제(breath sweeteners), 정제나 이와유사한 조성물을 포함한 많은 섭취물의 맛을 증강시키고 풍미를 증강시키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메틸술포닐메탄은 담배같은 비음식물에 포함시킬수도 있다. 이는 다가(多價) 알코올(poly hydric alcohol)같은 담배습윤제에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담배를 태우면 연기를 따라 승화된 메틸술포닐메탄이 제공될 것이다. 담배에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하면 그 풍미가 한층증가된다.
본 발명은 무기황화수소 및 황산염이 천연황 사이클을 평형시키는데 요구되는 황의 1차 원천이 아니라는 발견에 부분적으로 근거를 두고있다. 지구상에 최초의 단순생명체가 나타나기 전부터 존재한 메틸-S-메탄계(S는 슬페닐, 슬피닐 혹 슬포닐이다)와 같은 간단한 유기분자는 황을 포함하는 생체분자에 대한 황원자의 일차 원천이라는 학설이 있었다. 이 학설과 일치하는 것은, 메틸술포닐메탄은 대부분의 동식물에서 뿐만 아니라 지구위를 흐르는 모든 물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된다는 사실이다. 황은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물학적 정상상태를 위해 필요한 영양소(음식)이며, 메틸술포닐메탄은 인간 및 저급 척추동물에 자연적으로 유효한 황이 풍부한 음식으로서 주요 역할을 한다. 다음 방정식은 생명체에는 필수적이며 매일매일 섭취하는 음식물내에 있는 최소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은, 필수적은 아니더라도, 인간 및 저급척추동물의 최적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생존과정에서 메틸술포닐메탄의 역사적인 역할을 이해하는데는 처음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가장 단순한 육상생물이 출현하기 훨씬전, 태고의 바다에서 생명존재의 원시술(soup)으로부터, 조류 및 고대 광프랑크톤은 오늘날 하고있는 것과 같이 디메틸설파이드(dimethyl sulfide)를 대기에 방출시킨 유기분자를 만들었다. 이들 지구바다의 상부혹은 표면에 살고있는 단순 생명체는 무기황을 다양한 유기분자, 주로 3차(terniar y) 디메틸슬포니움염인, 로 동화 및 변화시켰다.
이들 3차염은, 효소적 및 물리적수단에 의해 메틸술파이드(methyl sulfide)로 파괴 되었다. 이들염의 예로서는 디메틸-베타-프로피오테틴(dimethyl-beta-propio thetin), (CH3)2S+CH2CH2COOH)이며 이는 수중식물생존에 있어서 분자를 포함하는 가장 통상적인 유기황인 것을 보인다(어떤 유기체의 건조중량의 10%이상, 해수(海水)로부터 탈염(脫鹽)되었을때에도 보다 덜 용해적인 사실상 비수용성 분자인 디메틸슬파이드는 모든 육상 생물체에 요구되는 황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대기로 보내진다.
휘발성이 있으며, 비극성인 디메틸슬파이드는 오존층이라고 불리는 대기층상단 까지 옮겨져서 태양광선을 촉매로하여 흡습 디메틸슬폭사이드(hydroscopic dimethyl sulfoxide(DMSO))와 메틸술포닐메탄으로 산화된다. 대기수분에 용해된 이들 극성화합물은 비(雨)에 의해 대지로 이송된다. 분광광도측정기술 및 방사선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한바에 의하면 식물뿌리는 이들 화합물을 신속히 흡수하여 놀라운 정도의 높은 수준으로 축전한다. 식물내의 이 안정된 최종물은 식물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다른 황포함 화합물뿐만 아니라 필수아미노산인 메틸술포닐메탄과 메티오닌 (methionine)이다. 최근의 여러 간행물에 의하면 대기중에는 이 황운반 메카니즘을 자원하고 최소순환요구를 충족할 정도의 황화수소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1954년 체린저(Challenger)와 해이워드(Hayward)는 디메틸슬포니움염의 존재하에서 많은 육지 및 해양식물에 있는 메틸-S-메탄의 모든 선구물질은 동물의 음식으로 사용되는 형태를 갖춘다고 보고했다.
그 이래로, 사실상 모든 채소, 견과로(堅果類), 과일, 육류, 생선 및 음료수 뿐만 아니라 커피, 맥주, 차 및 우유내의 가장 안정된 조직시리즈(메틸술포닐메탄) 및 자연발생의 메틸-S-메탄시리즈에 관한 많은 과학기사가 보고되었다. 신진대사(metabolic)황은 오늘날과 같이 수억년전에서도 생명체에는 중요했다. 생명체(life)가 복합 황 기증 메티오닌(혹은 시스테인 cysteine)을 창조하기이전에도, 원시생명체는 보다 간단한 메틸술포닐메탄 및 그 선구물질을 사용하였다. 고대 선 캄브리아 화석유물에서 원시 박테리아와 함께 발견되는 청록색 해초류는 오늘날도 여전히 지구표면 물속에서 광범위하게 자라고있으며 계속하여 생물의 황균형을 맞추는데 도움을 주는 DMS를 생성한다. 초기의 생명체가 메틸-S-메탄을 사용하게 되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보다 고등생명체가 황 공급자로서 왜 발생학적으로 메틸술포닐-메탄을 사용하게되어 있는가를 이해할 수가있다. 따라서 메틸술포닐메탄은 현대 생명체에 NaCl이나 물과 같이 받아들일 수 있으며 또한 동화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는 최소한 고등생명체에 대하여는 독성이 거의없는 것이다. 메틸술포닐메탄 및 그 전구물질은 적당한 인(P)만큼 음식에 필요한 것이다.
메틸-S-메탄계열은 하루 100mg까지의 음식물 수준에서 메리오닌 및 시스테린(cysterine)감소물질과 같이 건강하고 정상적인 조직에 황수준을 유지하게 한다. 몇몇 생명체는 메티오닌을 메틸술포닐메탄으로 변환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역합성연쇄(reverse synthesis sequence)을 할 수 있다는 것은 흥미롭다. 음식이나 이들의 조미성분과 같이 메틸술포닐메탄결합물을 계획적으로 섭취하는것과 같은 메틸술포닐메탄의 여러가지 생물학적 효과는 전술한 현재출원중인 발명 및 특허에 기술되어있다. 비정상적인 상태 혹은 질병상태의 진행을 좋게 변화시키는 높은 수준의 메틸술포닐메탄 섭취효과는 첫째로 흠없는 분자(intact molecules)의 활동에 달려있다. 음식물로서의 메틸술포닐메탄의 이용과 생물학적기능의 조절제로서의 메틸술포닐메탄의 이용의 주요차이는 농도 및 사용량, 제형(劑形) 및 전신 주입경로이다. 음식물로서, 메틸술포닐메탄은 정상생명과정에 관련된 여러개의 슬프하이드릴(sulfhydryl)(-SH) 및 디슬파이드 (disulfide)(-S-S)분해, 파괴 및 치유이다. 반응성에 결정적인 슬프하이드릴 (sulfhydryl)기를 가지는, 손상된 이황화공유결합 및 합성을 손상당한 조직을 치유하고 회복시키기 위하여 황공급을 위한 메틸술포닐메탄의 전신계 이용성은 이와 같이 기초적인 영양의 필요성이다. 자연식품의 많은 성분과 같이, 잉여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은 대변, 요도 및 피부를 통하여 몸밖으로 변화되지않은채 배출된다. 구강복용한 메틸술포닐메탄은 어느정도까지는 여러가지 기관에 신체가 장매황을 필요할때를 위하여 저장된다. 피부로의 배출경로는 이례적이다. 특히 구강섭취량의 약 1/3은 땀에서 발견된다.
NaCl과 마찬가지로, 배출은 어느정도 발한율에 달려있다. 메틸술포닐메탄의 피부예의 축적 및 피부로부터의 배출은 미용적효과를 위해 가치가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예를들어 보다 젊게보이고, 탄력있고 유연하며, 흠이 감소된 피부등이다. 화학적 분석 및 방사선표시 황(35-S)분석에 의하면, 헤파린(heparin), 인슈린, 코엔자임(co-enzyme)A 및 다른 -SH 지지효소, 바이오틴(biotin), 메티오닌, 엔카파린(enkaphali n), 인체성장요소, 헤모드로빈, 칼시토닌(calcitonin), 피브리노겐 (fibrinogen), 근육단백질 및 다른 화합물과 같은 주요생체분자들이 이러한 합성과 함께 공여체(donor)로서 황(S)함유 아미노산에 메틸술포닐메탄 및 가능한 메틸술포닐메탄의 선택으로부터 티올(-S-) 및 디슬파이드(-S-S-)기를 탈취하는 정도를 결정할 수가 있다. "음식 (food)"란 말은 광범위하게 생존과정의 성장, 일, 보호치유, 회복 및 유지를 위해 생체(生體)내로 섭취되는 영양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동물은 계속적인 식품의 공급을 필요로 하며 이것이 없이는 오래 생존할 수가 없다. 그러나 음식은 또한 건강을 해치고 질병을 일으키게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건강을 위하여 필수적인 영양요소를 위해서는 "균형잡힌 음식의 섭취 내지 균형잡힌 영양"이 "음식"보다 나은 개념이다. "균형잡힌 음식"이란 모든 좋은 영양소가 있다는 것뿐만아니라 인체가 요구하는 충분한량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메틸술포닐메탄에 대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균형 잡힌 음식섭취는 대사성 황공급원으로서 충분한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메티오닌, 시스테인(cysteine), 시스틴(cystine) 및 이들의 감성(減性)물질을 포함하는 어떠한 성분이나 이들의 결합도 메틸술포닐메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때문이다.
본 발명은 음식의 자연발생성분이나 쉽게 손실되는 성분인 메틸술포닐메탄을 대체 혹은 보충하기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틸술포닐메탄은 안정되어 있기는 하나 휘발성이기 때문에 잘알려진 처리방법에 의해 자연식품으로부터 손실된다.
물론, 음식을 희석시키거나 개선시키는데 사용되는 가공식물첨가제, 식물광물합성, 대용식품 및 대부분의 충진제에는 없는 것이다. 이는 역시 담배, 여러 종류의 알콜성음료 및 구강의 점막에 직접 접촉되고 담배연기의 경우에서와 같이 전 호흡기에 접촉되는 치약, 구강청결제, 호흡순화제 및 다른 유사한 것 같은 기호물에도 결여되어 있다. 통상의 분석기술을 이용하면, 조리된, 처리된 또한/혹은 저장된 식품의 자연발생 메틸술포닐메탄(및/혹은 그전구체)함량을 쉽게 알 수가 있고, 또한 변화시키지않은 자연식품의 함량과 비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사료를 먹고 초원에 방목하여 사육된 소의 미처리 우유는 전형적으로 약 2-5ppm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한다. 이와 구별되어, 건조된 동물사료를 먹은 소의 미처리 우유 및 가공되고 살균된 우유 및 우유제품의 메틸술포닐메탄은 무시할 만큼 적었다.
밀크, 버터밀크, 크림, 요구르트등을 원래수준까지 회복시키는데 필요한 메틸술포닐메탄량을 쉽게 계산할수 있을 것이다. 밀크나 일용식품을 포장하거나 용기에 주입하기직전에 전체수준에서 가장 편리하게 함유시킬수 있다. 비타민 D와 같은 영양소가 관례적으로 밀크에 첨가되는 바 이러한 첨가기술 및 장치가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인간에 의해 습관적으로 소비되는 많은 과일 및 야채는 신선하게 수확되었을 때 중량으로 약 1-4ppm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통속에 넣는 것 같은 처리공정동안 대부분의 메틸술포닐메탄은 손실된다.
일용식품의 경우에서와 같이, 포장이나 사용 바로 직전 가공된 식품에 자연수준까지 회복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하는 것이 편리하다. 더 이상의 처리공정을 요하지 않는, 특히 연장된 기간의 가열이나 건조를 하는 공장을 요하지않는 음식에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하므로서 보다 우수한 영양적 잇점이 얻어진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명확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일용식품, 과일, 통조림, 디저어트(dessert) 및 다른 과자등과같이 소비하기전에 가열하지않고 단지 최소한으로 데우는 정도의 것에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료품(foodstuffs)]
1983년이래, 메틸술포닐메탄은 인간이먹는 식품 및 식품보충으로 팔렸으며, 이러한 목적에 대한 사용은 확대되어 왔다. 인간이나 다른 동물이 소비하는 식품내에 영양첨가제로서의 그 사용은 여러 종(種)에서 확인되었다. 전형적으로 자연생성 메틸술포닐메탄수준이 약 0.25ppm이하인, 인간이 소비하게 처리된 음식의 예로서는 살균된 우유 및 우유제품, 조반용 곡류(오트밀등), 빵 및 기타제과, 과일통조림, 야채, 육류 및 생선과 건조육류 및 건조생선이다.
전술한 모든 식품은 가열 및/또는 건조단계를 거치는바, 이러한 단계에서 이들 식품이 자연적으로 생성하는 메틸술포닐메탄 함량을 약 0.25ppm이하까지 감소시킨다. 메틸술포닐메탄은 상기 가열 및/혹은 건조단계후, 예를들어 100℃나 그이상의 온도의 개방용기내에서 조리후, 인간, 개 혹은 고양이의 음식의 경우에는 메틸술포닐메탄함량이 약 0.01-20ppm 바람직하게는 1-15ppm을 혼합시킬수 있으며, 사육동물(farm animal)의 경우에는 약 0.01-20ppm 바람직하게는 1-10ppm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혼합시킬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은 최종건조혼합단계의 일부로써 혹은 분사혼합등과같은 방법에 의해 수성(水性), 알콜성 혹은 다른 섭취가능한 용매용액으로서 결정성 형태로 혼합되어 질수 있다. 휘발성으로 인하여, 음식은 메틸술포닐메탄이 혼합된후에는 개방용기에서 요리하거나 건조단계에 제공되어서는 안된다.
건조식품의 경우에는, 메틸술포닐메탄의 휘발은 필요하다면, 메틸술포닐메탄을 음식에 첨가하기전에 소화기내에서 분해될 수 있고 제거가 가능한 천연밀랍이나, 합성고분자필름으로써 메틸술포닐메탄의 각 입자를 캡슐로 싸거나 피막을 형성하면 막을 수 있다. 대기수분 및/혹은 산소의 역효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섭취를 위한 수분에 불안정한 물질을 피막 형성시키는 기술은 제약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섭취되기전에 증발에 의해 음식으로부터 메틸술포닐메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습 공정처리된 음식물로부터의 메틸술포닐메탄의 손실은 밀폐된 용기내에서 모든 가열단계를 이행하고 처리된 음식을 저장함으로서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동물에 의해 섭취되는 음식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복용하는 것에 덧붙여서 또는 선택적으로, 메틸술포닐메탄은 또한 결정성 메틸술포닐메탄이나 용액으로 다른 음식과 분리하여 인간 및 보다 저급동물의 식품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정제, 캡슐, 당의정이나 환제등과 같은 당위정량형태 그대로 또는 통상의 약품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부형제, 희석제, 정제보호제등과 혼합하여 섭취될 수 있으며, 정제 및 캡슐이 바람직하며 특히 100mg-500mg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 좋다. 비록 인간이 바람직한 복용자이지만, 말이나, 소, 양, 돼지 가축이나 고양이 개같은 애완동물 같은 포유류와 생선은 물론 동물원의 맹수 및 병아리 닭 같은 조류등을 포함하여 기타 척추동물도 본 발명에 적용대상이 된다. 노인을 포함하여 어린이와 어른 모두가, 메틸술포닐메탄수준이 자연적이고 가공되지 않은 식품과 일치될때 보다 이익적인 균형잡힌 음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선적으로 메틸술포닐메탄을 함유하는 음식에 관한 것이나, 메틸술포닐메탄은 구강청결제나 치약등과 같은 구강으로 섭취하는 데도 유용하다.
왜냐하면, 메틸술포닐메탄은 화학 및 빛에 안정되어 있으며 독성이 극히 낮으며, 용해력이 좋으며, 물에 잘녹고 분산력이 좋기 때문이다. 메틸술포닐메탄은, 단독으로 혹은 적절한 약제활성제와 함께, 질(膣)이나 항문같은 인체동공을 통하여 투여되었을 때에도 유익함을 보인다. 메틸술포닐메탄은 흡입가능한 용액의 연무질(煙霧質)로써 또는 가열내에 의해 발생된 승화물로써 폐나 기관지에 투입될 수 있다. 메틸술포닐메탄은 초코렛, 간장소오스, 소금, 감미로운 베르뭇(약초 가미한 백포도주) 및 기타 알콜성 음료, 콜라음료, 호밀빵 및 기타 구운식품등에 대한 풍미를 가미하거나 증진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는 조미료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소금이나 기타 양념 및 조미료와 함께 혹은 공결정화(co-crystallized) 시킬수가 있다. 메틸술포닐메탄은 또한 정맥이나 근육주사에 의해 안정하게 섭취될 수도 있다. 메틸술포닐메탄이 수용성비타민과 함께 공급되면 부가적인 잇점이 보여진다.
[동물사료]
본 발명의 동물사료의 측면은 여러 방법으로 실용화될 수 있다.
예를들어, 메틸술포닐메탄은 15×10-4-3.0%, 통상적으로는 0.01%-1.0%의 범위내의 수준에서 수분률이 낮은 옥수수(약 14% 수분률을 가진)에 첨가될 수 있다. 메틸술포닐메탄이 고체인한, 이첨가는 사료혼합기내에서 행하여질 수 있다. 옥수수가 처리된 후, 동물사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혹은 저장되어 후에 사용되거나 자주개자리 (alfalfa)가루, 콩가루, 광물질 및 비타민과 같은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혼합물은 그 자체를 사료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혹은 펠릿트화 하여 동물사료로 할 수도 있다. 펠릿트를 만드는 하나의 방법은 옥수수, 자주개자리 가루, 콩가루, 광물질 및 비타민을 갈아서 16% 수분이 함유될때까지 증기를 씌우고 최종수분이 약 14% 되도록 방치하고 냉각시키는 것이다. 메틸술포닐메탄을 이 혼합물에 첨가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요구되는 농도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하는 혼합사료를 만드는데 충분한 비율 펠렛팅(pelleting)전에 첨가하는 것이 좋다. 메틸술포닐메탄과 혼합된 옥수수는 알갱이(kernel)상태로 사용되거나 균열을 내거나 갈아서 사용되거나 또는 그대로 혹은 혼합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장기간의 저장이 없이 사용되는 경우에, 메틸술포닐메탄함량은 15×10-4%-3% 정도 될 수 있다. 메틸술포닐메탄의 휘발성 때문에 만일 옥수수나 사료가 사용전 저장되는 경우에는, 메틸술포닐메탄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5%이다. 메틸술포닐메탄은 또한 중량으로 0.01-3% 바람직하게는 0.1%-2%로 식수에 용액의 형태로 혼합하여 동물에 복용시킬 수가 있다. 또한 메틸술포닐메탄은 사료공급시간의 직전에, 요구되는 섭취량을 공급할정도로 사료에 용액상태로 분무하거나 결정성 메틸술포닐메탄을 넣고 저어서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동물사료측면은, 특히 염소, 소, 돼지, 말, 양 및 달걀은 초식동물의 건강을 유지하고 전체적인 외관을 개선시킨다.
이는 스트레스에 관련된 죽음의 부담을 감소시키는데 특히 유용하다. 메틸술포닐메탄은 통상적으로 2-21일간 또는 보다 길게 날을 정하여 혹은 계속하여 정기적으로 동물의 정상사료공급률에 따라 공급된다. 먹이를 먹는 동물에 적합한 매일 매일의 먹이 배급량은 먹이를 먹은 동물의 전체 체중당 미리산정된 량과 일치되게 계산된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으로 보충된다. 매일 섭취되는 메틸술포닐메탄의 정확한량은 항상 중요한 것은 아니다. 특히 메틸술포닐메탄 복용이 길어진때에는 그렇다. 왜냐하면 섭취된 메틸술포닐메탄은 적정량을 넘는 부분은 신체조직 및 순환계에 축적되기 때문이다. 최소한 동물 체중 1kgr당 0.5-1mgr 수준을 공급하는 메틸술포닐메탄이 보충된 배급량이 종종 효과적이며 치중 1kgr당 최대한 300mgr 수준은 수용될 수 있다. 개개 동물당 통상의 목표수준은 체중 1kgr당 약 0.2-2.0mgr이며 바람직하게는 0.5-1.0mgr이다. 체중 1kgr당 약 1gm까지 혹은 그 이상의 전체 1일 공급이 바람직하나 이는 결핍정도에 달려있다.
건강한 동물은 종종 최소 1ppm의 메틸술포닐메탄 혈액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ppm 이상으로 혈액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이 제공된다. 혈액수준을 높이는데 요구되는 충분한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구강복용하더라도 메틸술포닐메탄이 거의 독성이 없기 때문에 나쁜 영향을 주지않는다.
메틸술포닐메탄은 동물의 체액 및 천연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활동의 모우드(mode)는 비타민과 같은 영양제와 비슷하다.
비록 메틸술포닐메탄은 아직 비타민으로 확립되지도 않았고, 최소한 비타민 결핍질병은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준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지닌 동물에게 나타난다고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이는 비정상적인 생리학적 징후와 낮은 메틸술포닐메탄 혈액수준사이의 활동 상호관계를 정상화하거나 적절하게 비타민과 비슷한 성질을 가진다.
이는 이들 동물의 음식내에 메틸술포닐메탄의 부족한 량까지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충분히 저장할 이들 동물의 무능력에 기인한 것인지 혹은 비정상적 조건의 결과로서 체내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메틸술포닐메탄의 고갈에 기인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 이유가 어떠하던지간에, 충분한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경구복용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메틸술포닐메탄 수준을 건강한 동물내에 존재하는 수준까지 또는 그 이상으로 가져오며, 스트레스에 관련된 여러가지 징후를 개선시킨다.
최소 2년 이상동안 높은 메틸술포닐메탄 혈액수준(체중 1kgr당 1gm이상의)을 가진 영장류에서 메틸술포닐메탄 독성의 증거는 보이지 않는다.
비록 메틸술포닐메탄이 비타민 D와 같이 음식물의 천연구성 성분으로서 발견되더라도, 동물내에서의 근본적인 공급은 디메틸술파이드(demethyl sulfide)나 육류, 생선, 야채 및 과일내에서 주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자연생성전구체의 하나를 이용하여 신체에 의해 합성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메틸술포닐메탄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좋지않은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 및 장기나 기관의 기능부전을 낳는다.
늙은 동물과 비교하여 좋은 동물로부터의 배출물에 근거하면, 메틸술포닐메탄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낮은 농도로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성장한 동물에 있어서, 액소성(液素性) 체액내에 0.5ppm 이하의 메틸술포닐메탄이 존재한다.
이는 자연발생하는 메틸술포닐메탄 수준이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로부터 유기체의 최적보호를 제공하는 최적수준보다, 낮은 성숙한 동물에게 왜 메틸술포닐메탄이 보충식품으로서 보다 유익한 것인가를 설명할 수 있다.
통상의 음식은 최적건강을 최소요구량을 공급하지 않는다. 예를들어 메틸술포닐메탄의 천연공급원중의 하나인 미처리 우유는 공급원에 따라 단지 약 2-5ppm만을 포함하고 있다. 약 1ppm의 최소 메틸술포닐메탄 혈액수준을 얻고 유지하기 위하여는 동물은 실천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량의 미처리 식품을 섭취해야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틸술포닐메탄이 결핍된 동물음식은 충분한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보충하여 건강의 위협받는 수준인 1ppm 이상의 혈액수준을 제공하여 10-20ppm 혹은 그 이상의 수준을 제공한다.
메틸술포닐메탄이 수용성 비타민과 함께 제공될때에는 부가적인 이익이 보여진다.
육류를 제공하는 동물에 대한 통상의 사료는 보충된 완전한 혹은 기초적인 동물사료 혹은, 선택적으로, 이들 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미리혼합된 것을 포함한다. 기본적인 사료는 통상적으로 건초나 옥수수를 주원료로 하나, 건조된 발효찌꺼기, 자주개자리 (alfalfa) 목화씨, 보리가루, 콩가루, 옥수수가루, 쌀겨, 당밀, 광물염, 비타민, 시라즈 (silages), 근대펄프, 감굴류 펄프, 생선, 귀리, 쌀껍질, 마일로(milo), 참깨가루, 우유나 다른 표준 동물사료 성분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혼합(前混含)조성에 있어서는, 다른 성분이 콩가루, 옥수수 기름, 분쇄옥수수, 보리 베어미클라이트(vermiculite)나 규조토, 콘 글루텐(con gluten)분말, 용해가능한 옥수수증류자(con distillers), 혹은 콩밀같은 완전식품내에 통상적으로 바람직한 중량성분과 함께 높은 농도를 혼합된다. 고기를 제공하는 동물이 하루에 정상적으로 섭취하는 사료량의 예는 약 3-4파운드, 숫소 20-25파운드, 돼지 1-8파운드, 가금류 0.03-1파운드이다.
이들 동물사료의 메틸술포닐메탄함량은 체중 1kg당 매일 요구되는 메틸술포닐메탄의 mgr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정된다.
전형적으로 젖소는 2가지 다른 형태의 식물성 사료가 먹여진다.
첫째는 건초(乾草) 및 옥수수를 포함한 조질물(粗質物)이며 둘째, 상기 나열된 형태의 성분을 포함하는 보충식량이다. 평균적인 젖소의 경우, 이 보충사료는 하루 10-20파운드의 범위내에 있다. 병아리용 사료는 조질물(粗質物)을 포함하지 않는다.
단백질에 대한 전분의 비율은 과연 그것이 고기를 위하여 길러지느냐 아니면 계란을 낳기 위해 길러지느냐에 달려있다. 또한 널리 알려지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는 개, 고양이, 햄스터(hamsters)등을 위한 음식 및 생선먹이 등이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메틸술포닐메탄이 동물사료내에 포함되었을 때 이는 건강유지제로서, 향미증진제로써 또한 동물에 있어서의 스트레스 사망을 방지하는데 유익한 것이다.
스트레스 죽음은 몇몇 종(種)의 동물에 대하여는 잘 알려진 현상으로서, 특히 닭은 이들이 자라고 운반되는 또는 일반적으로 어느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운송되는 동안 이들에게 가해진 거친처리 때문에, 칠면조는 그들의 괄괄한 성미때문에, 그리고 생선은(특히 수족관으로 팔리는 열대어)물의 온도나 조성에 대한 극도의 민감함으로 인하여 발생된다.
메틸술포닐메탄은 이들 동물들이 죽음을 유발하는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전이나 스트레스중에 7-90일간 바람직하게는 14-28일간 예를들어 적정형태에서 하루에 체중 1kgr당 약 0.01-10mgr 바람직하게는 0.01-5mgr 복용시키면 죽음에 관련된 스트레스의 부담을 감소시키는데 특히 유익하다.
다음은 상술한 음식으로서의 사용에 부가하여 메틸술포닐메탄의 약리학적인 용도이다.
1. 흡입 알레르기(inhalant allergens)에 대한 좋지 않은 반응을 감소한다.
이 활동은 전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물질 차단작용(physical blocking action)에 기인한다. 표시된(labeled) 35-S 디메틸술폰은 점막의 표면에 단단히 결착되어 방사선자기법에 의하여 점막은 페인트처럼 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복통을 덜어주는 것과 같이, 위산과다와 관련된 문제를 조절한다.
3. 만성 변비를 면하게 한다.
4. 비스테로이드계 항관절염제와 같은 구강투약에 관련된 과민증의 감소 내지 제거.
이 효과는 메틸술포닐메탄과 프라스마 프로스토그란딘(plasma prostoglandin F2)의 상호작용의 결과일 수 있다.
5. 기체교환으로 초래된 폐의 점막에 막을 형성시킴으로서 허파 기능장애 증상으로부터 면하게 한다.
6. 람블편모층(giardia)나 트리코모나스등에 의해 야기되는 장이나 뇨성기로(尿性器路)에 관련된 기생충감염을 조절한다.
메틸술포닐메탄은 또한 기타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조건의 치료에 있어서 이익적인 효과를 가진다.
7. 말기병(terminally ill)등에 대한 기분을 상승시킨다.
8. 관절염 환자의 화학프로필을 개선시킨다.
예를 들어 통증 및 경직으로부터 완화시키고, 팽화(膨化)와 염증을 감소시키고, 혈액화학의 복기를 정상상태로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RH역가(力價)를 600+에서 300 혹은 그 이하로 떨어뜨린다.
9. 특히 노인성환자 및 완전 스트레스(completion stress)후 첫운동에 있어서, 다리 및 허리경련, 근육경직 및 통증으로부터 이완시킨다.
10. 고혈압을 낮춘다.
11. 마이오사이티스 오시피크스 제네갈리스(myositis ossificous generalis) (희귀한 유전의/자가면역기능부조의 차도를 촉진한다)
12. 물이나 식물보다 현저하게 가공된 음식을 섭취하는 육우 및 젖소, 말, 돼지, 양, 염소, 닭 및 칠면조등과같은 가축이나 방목동물의 전체 건강을 개선시킨다.
13. 집단적으로 사육되고 또한/또는 운반되는 동물에 있어서 혹은 다른 스트레스 조건을 갖는 동물에 있어서 스트레스 죽음의 우려를 감소시킨다.
[다리 경련]
메틸술포닐메탄은 전체근육경련, 다리 및 허리경련, 특히 밤 동안 및 앉아있을 때 같은 장시간의 비활동후 그리고 달리기, 축구, 농구 미식축구등에 참가한 후에 이러한 경련 경험이 있는 관절염 환자에 있어서는 이러한 경련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놀라울정도의 능력을 가진다. 메틸술포닐메탄을 제약 조성형태나 하나 또는 그이상의 음식과 혼합하여 1-90일 동안 복용하면 이러한 경련빈도는 감소될 것이다.
[기생충 감염]
메틸술포닐메탄은 여러가지 기생충감염에 대하여 치료 내지 조정효과를 가진다.
효능은 시험관내에서 만족할 만큼 성장을 유지시키는 유기체의 배양지내에서 여러가지 농도로 특정유기체를 메틸술포닐메탄에 노출시킴으로써 특정 유기체의 성장방해나 죽이는 것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관내에서, 시험함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만일 약 100ppm 이하의 메틸술포닐메탄 농도에 노출시켰을때 유기체의 성장방해나 사멸이 일어난다면, 메틸술포닐메탄은 그 유기체에 대하여 생체내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일것이다.
메틸술포닐메탄으로서 치료하는데 민감한 기생충감염의 예로서는 네마토데스 (Nematodes), 질(膣)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지아르디아(Giardia), 요충 및 다른 기생충, 히스토프라스마(Histoplasma) 캡슐제에 의한 전신감염, 코시디오이데스 (Cocidioides), 톡소프라슘(Toxoplasm) 및 기타 생체내에 감염되기 쉬운 유기체이다.
[정맥투여]
미국 특허 제4,296,130에는, 메틸술포닐메탄은 비활성이며 무독성이기 때문에 그 수용성은 혈액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충분히 높은 메틸술포닐메탄 혈액수준을 가진 건강한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은 실제로 불활성이다. 그러나 격렬하게 아픈 환자에 있어서는, 많은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정맥투여함으로서 극적인 효과가 종종 얻어진다.
예를들어, 관절에의 격렬한 통증이나 관절을 약화시키는 팽윤을 가져오는 질병으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는 류우마티스성 관절염의 경우, 메틸술포닐메탄을 경구복용하면 단지 최소한 혹은 연장시키는 효과밖에 없는 환자라도 정맥복용을 하면 즉시 효과가 있다.
확실히, 격렬한 고통이 따르는 류우마티스성 관절염, 골조송증(骨粗送症 osteo porosis), 퇴행성 디스크증후군, 자가면역질병이나 전위된 암과 같은 격렬한 통증이 따르는 질병에 걸린 환자에 있어서는, 메틸술포닐메탄을 경구복용하는 것은 그 효과를 볼때까지 너무 기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그효과가 너무 미세할때가 종종있다.
이와 비교하여, 메틸술포닐메탄을 정맥주사하면 고통으로부터 즉시, 즉 1시간이내 또는 종종 수분이내에, 이완되며 종종 극적인 효과, 예를들면 류우마티스성 관절염의 관절손상효과를 현저히 좋아지는 것등을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점중 하나는 통증을 개선시키는데 충분한 량으로 메틸술포닐메탄을 정맥투여함으로서 격렬한 고통을 수반하는 질병과 관련된 고통을 최소한 달리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맥투여되는 메틸술포닐메탄의 량은 그 독성 및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각각의 투여량은 체중에 따라 0.1-2gm/kg 바람직하게는 0.1-1gm/kg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통상의 투여범위는 약 0.25-0.75gm/kg, 바람직하게는 0.5gm/kg이다.
예를들어 체중 1kg당 1gr 혹은 그 이상과 같이 다량이 복용될때에는, 증류수, 식염수나 5% 포도당내에 5%-10%용액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혼합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투여속도는 몇몇 환자에 의해 경험되는, 몇몇 공혈자(供血者)가 받는 것 같은 가벼운 현기증을 제외하고는 환자에게 2gr/kgr/hr가 허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1gr/kg /hr/ 이하의 투여속도가 바람직하다.
메틸술포닐메탄은 아주 신속히 배출되기 때문에 정맥투여는 매 12-24시간마다 자주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1회의 정맥투여는 종종 경구투여된 메틸술포닐메탄과 함께 통증 및 기타 징후를 개선시키며 이러한 회복은 수주일 또는 수개월간 유지될 수 있다.
더 이상의 노력없이도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해 이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은 본 발명을 그대로 실시할 수가 있다고 믿어진다. 그러므로 다음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제한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음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온도는 특별히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모두 섭씨(℃)이며 모든 %는 중량%를 가르킨다.
[실시예 1]
[인간의 음식]
통상의 연속 우유 살균공정의 냉각단계동안, 무균의 25%메틸술포닐메탄 수용액을 우유내의 최종 메틸술포닐메탄 농도가 약 15ppm되는 투여량을 살균된 우유내부에 주사하였다.
[실시예 2]
[인간의 음식]
소금, 설탕, 기타 옥수수, 콩, 토마토, 강남콩, 복숭아, 배, 파인애플, 사과소스 등 밀봉된 통내에서 압력하에 요리된 과일이나 야채에 첨가되는 어떠한 조미료와 함께, 조리된 식품내의 메틸술포닐메탄 농도가 약 5ppm되게, 조리전 혼합시킨다.
[실시예 3]
[말 사료]
칼슘/인 균형은 말에 있어서 절대적이며, 이들 원소가 말 체중의 광물양의 70%를 포함한다. 칼슘 결핍이나 그 역 즉 인(P)과잉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사료내의 인(P)과잉은 장의 흡수를 저하시켜 혈장(血漿)칼슘을 낮춘다.
그 하나의 결과는 영양적 2차 상피소제기능 향진증(nutritional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이라고 불리우는 음식결핍 조건으로 인한 자극반응이다.
뼈발육을 위한 칼슘 거부는 구조적으로 결함이 있는 섬유조직의 확대를 가져온다. 말의 발뼈에서, 이는 스트레스 염증이 생겼을때 골단염(骨端炎)이라고 불리운다. 모두 명백한 골단염과 함께 영양적2차 상피소제 기능 항진증을 가진 것으로 진단된다.
두 마리의 숫망아지와 4마리의 암망아지가 연구대상이 되었다.
각각의 망아지에 대하여는 사료배급전 그들의 표준 건조사료와 함께 밀겨울/당밀을 섞어 12gr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하루 2번씩 제공하였다.
이 보충사료는 잘 받아들여졌다.
영양결핍으로 인한 질병의 모든 조짐 및 징후가 일주일에서 10일 사이에 고쳐졌다.
음식물의 칼슘 결핍을 고치기 위한 통상의 치료는 염증이 없어질때까지는 최소한 60-90일이 요구된다.
첨가된 메틸술포닐메탄을 제외하고는, 이들 7마리의 망아지의 사료에는 아무런 변동이 없었던 것이다.
이 첨가된 음식 즉 메틸술포닐메탄이 모든 말에서 쉽게 인식될 수 있는 영양결핍증을 고쳤던 것이다.
[실시예 4]
[말의 사료]
값비싼 사육 암말이 호흡감염으로 좌우 섬유소 늑막염에 걸려 가슴의 청진을 쉽게 들었다. 통상의 항생물질과 항영증제 함께 6주동안 복용시켰으나 별다른 개선이 없었다.
통상의 치료가 끝났다.
메틸술포닐메탄이 이 난치성 경우의 음식에 첨가되었다. (하루 2번 24gr 씩, 5일간)
이것만이 주어진 특수치료엿다.
5일째 되는날, 이 말은 더 이상 열이 보이지 않았으며 거칠고 빠른 호흡도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가슴의 청진도 네가티브였다. 이 말을 그후 2년간 추적관찰했으나 정상적이고 건강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5]
[담배내의 메틸술포닐메탄]
궐련을 만들기 직전 연초에 메틸술포닐메탄의 10% 에탄올 용액을 kgr당 1ml의 율로 분사에 의하여 중량당 100ppm의 률로 궐련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연초내에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시킨다.
이러한 궐련으로부터 빨아드린 연기는 승화된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허파점막에 나쁜 영향을 주는 연기에 대하여 길항 작용을 한다.
또한 많은 흡연가들은 메틸술포닐메탄이 결여된 통상의 궐련보다 바람직한 담배의 맛과 향기를 발견하였다.
[실시예 6]
[동물에 있어서의 발톱성장]
발톱의 성장률은 동물의 전체 건강의 표지가 된다.
발톱 성장에 있어서의 메틸술포닐메탄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2마리의 동일 모체에서 태어난 라브라도((labradors)개, 8.5개월된)가 짚이 깔린 우리내에 매어졌다.
실험하기전에, 각 개의 전체 체중은 움직이도록 허용하면서 각 개의 앞발을 부분적으로 석고로써 고착시켜 발바닥 및 발톱 깊이를 선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각 개는 45일간 퓨리나제품 개 음식 및 물을 먹였다.
이들 개중의 한 마리(A)는 배급량의 변화를 주지않았으며, 다른 개(B)는 5% 메틸술포닐메탄이 용해된 물만을 공급하였다. 45일후, 각 개의 앞발의 석고흔적이 다시 취해졌다. 그 석고가 완전히 굳은뒤 각 개의 실험 전후의 석고본과 비교되었다. 바닥에 깔린 깊이 정상적인 발톱 마모로부터 이들 동물을 보호하였다.
육안검사로써, 식수내에 메틸술포닐메탄이 포함된 음식을 먹는 동물 B의 발톱은 현저하게 길었다. 석고본을 비교해보니 동물 A는 동물 B의 발톱보다 1/8인치 더 길었다.
동물의 털, 뿔 및 발톱은 원소분석에 의하면 5% 혹은 그 이상의 황을 포함하고 있다.
이 실험은 메틸술포닐메탄의 황은 적어도 분자무게의 약 1/3정도가 발톱성장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된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실시예 7]
[동물의 외피]
실시예 6의 동물 A 및 B의 외피는 3명에 의해 검사되었다. 각각은 동물 B의 외피가 일반적으로 건강과 관련된 두께 및 광택에 있어서 우수하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8]
[동물의 외피]
10마리의 생후 4주된 기니아 돼지가 12시간 명암 주기를 가지고 표준온도를 가진 각각의 금속우리내에 가두어졌으며 5일간 퓨리나 제품 기니아 돼지사료를 물과 함께 주어 적응시켰다.
6일째에, 5마리의 배에 묽은 수용성 잉크로서 표시하였으며 나머지 5마리는 푸른 수용성 잉크로 표시하였다. 이 표시는 돼지를 위하여 보면 관찰되지 않은 것이다.
표시후 각 돼지는 각각의 우리로 돌아갔으며 돼지의 물통에는 상응하는 붉은 혹은 푸른 테이프를 고정시켰다.
붉게 표시된 동물은 식수를 유지했으며, 푸르게 표시된 물통은 2중량%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식수를 채웠다. 28일 동안 이들은 사육되었으며 충분한 량의 물 혹은 물+2% 메틸술포닐메탄이 임의로 각각 공급되었다. 28일째, 이들은 조명이 잘된 테이블위에 놓여졌다.
이 실험 및 그 목적에 대하여 전혀 모르는 4명이 각 돼지의 외피를 평가했다.
평가자들은 각각을 평가한후, 평가받은 돼지를 돼지배의 색깔을 보지 않고, 그 돼지의 외피의 우수함과 열등함 두가지로 구분하였다. 4명중 3명의 평가자는 우수한 외피를 가진 5마리를 신속하게 구분하였으며, 이들 모두는 그후 파란색의 표지가 배에 표시되어 있는 것 즉, 메틸술포닐메탄이 처리된 그룹으로 밝혀졌다. 4번째 평가자는 우수한 외피를 가진 3마리의 푸른색 표시가 있는 돼지를 선별했으며 나머지 7마리는 우수한것과 열등한 것을 구분하지 못했다.
이 한사람의 평가인이 전체 돼지중 메틸술포닐메탄을 섭취한 모든 돼지를 확실하게 구별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실험은 사료속에 첨가음식으로써 메틸술포닐메탄을 먹은 기니아 돼지의 외피가 전체적으로 식별할 만큼의 개선이 되었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이다.
[실시예 9]
[병아리에 있어서의 스트레스 죽음]
생후 며칠되지 않은 식용영계들이 30일간 표준식품 혹은 표준식품군에다가 0.2중량%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시킨 2가지 식품군으로 사료가 주어졌다.
이 기간동안 이 2가지 군(群)에서의 스트레스 죽음율은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원래대로 사료를 먹은 병아리들은 약 10%의 사망률을 보였으며, 메틸술포닐메탄이 함유된 사료를 먹은 병아리들은 1%미만의 상망률을 보였다.
[실시예 10]
[생선에 있어서의 스트레스 죽음]
생선들은 밀집된 조건에서 스트레스 죽음을 보인다.
연어와 같이 값비싼 생선은 부화장이나 수족관내에 갇혀있는 동안 스트레스 죽음의 경향이 강하다.
약 2인치 길이의 금붕어가 31마리씩 두 그룹으로 분리되어 50℉의 온도가 유지되는 2개의 순화된 수족관에 넣었다. 이들 어류를 넣을 때, 2개의 조그만 1갤런 용량의 수족관을 물로 채워졌으며 통상의 수족관 공기 펌프에 연결된 통풍기/필터 결합으로 5일간 통풍시켜 안정시켰다.
이 실험기간동안 공기 공급은 1분당 100ml의 공기로 정하였다.
1온스포장의 워드리(Wardleys)사 제품 금붕어 먹이를 10gr씩 2개 분리하였다.
하나의 사료는 처리되지 않았으며, 다른 사료는 0.2gr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약1ml의 순수 에탄올로써 습윤화시켰다. 모든 메틸술포닐메탄을 흡수한 먹이(48시간동안 공기건조시킨 후의 중량은 10.2gr이었다)는 이 조그만 고기들이 먹기 적합하게 분쇄되었다.
2개의 수족관 각각에 있는 31마리의 어균은 A그룹 및 B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환경순화 및 시험기간동안 A그룹은 매일 한차례씩 0.5gr의 미처리된 워드리(Wardleys)사 제품의 먹이를 공급받았다.
B그룹 어류는 환경순화 및 실험기간동안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한 0.5gr의 먹이를 공급받았다.
약간의 량이 유리섬유 필터내에 모임에 따라, A, B그룹 모두 모든 먹이를 전부 소비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각 먹이의 대부분은 공급후 최초 5-10분내에 소진되었다.
5일째 동안, A그룹의 25마리는 하나의 조그만 수족관으로 옮겨지고(A라 한다), B그룹의 25마리는 다른 조그만 수족관으로 옮겨졌다(B라 한다)
옮기기전에, 각 수족관은 얼음으로서 41℉까지 낮추어졌다. 어군을 그 수족관에 넣은후 물은 50℉까지 다시 상승시켰다. A, B 양 그룹의 어군은 결국 9℉의 온도 차이를 느끼게 되며, 이는 어군에 스트레스를 주게되는 것이다.
이 조그만 탱크내에서 이들 어군을 하루동안 굶긴후 다시 먹이가 주어졌다. 10일 동안, (이중 5마리는 조그만 수족관내에서), A군에는 총 11마리가 죽었으며 B군에는 한 마리가 죽었다.
온도변경, 탱크이동, 탱크 가장자리의 산화, 1갤런 수족관에 25마리가 감금된 것등이 결합하여 A군의 거의 반을 죽일 정도의 스트레스가 가해진 것이다.
그러나 먹이를 단지 2% 중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함으로써 현저하게 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
[실시예 11]
[구강위생]
최소 4-6개월동안 전문적인 치아청소를 받지않고, 아마 프라그 자극에 기인된 것 같은 조그만 식별가능한 탄성 종기를 보이는 피검체에 상업적 치약재료와 메틸술포닐메탄을 중량비로 50 : 50으로 합하여 제조된 치약(콜케이트치약)이 주어졌다.
피검체는 하루 2번씩 그들의 치아를 닦았다.
일주일후, 모든 피검체의 구강점막에는 종기의 징조가 없었다. 순환하는 궤양으로 고생한 이 피검체 1명(남자 22세)는 1개월의 실험이 끝나는 동안 및 그후에 이 문제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수성배지(media)내에서 용매 및 분산제인, 메틸술포닐메탄은 치아 및 구강의 청결을 위하여 뛰어난 약품인 것으로 보여졌다. 점착성의 점액 비슷한 비인두(鼻咽頭) 배설물을 가진 본 실험의 피검체는 담해(痰咳) 및 일반적으로 증식적(增殖的)인 기침의 점도에 감소를 경험한다.
흥미롭게도 후각이 감소된 2명의 피검체는 메틸술포닐메탄이 이들에 의해 양치질로 평가되었을 때 감소된 후각이 예민해지는 것을 발견했다.
절대적인 관찰자들은 이들의 후각이 개선된 것을 주목하였다.
양파나 마늘갈은 음식이나 흡연과 관련된 호흡곤란은 물, 식염수나 통상의 구강청결제내에 메틸술포닐메탄을 넣어 치아 및 입을 세척하므로서 감소내지 제거된다.
[실시예 12]
[건강의 유지]
33-59세의 모두 건강하게 보이는 14명의 남여 피검체에 이들의 혈액수준을 1ppm이상 유지하게 하는 하루 250-500mg의 경구복용 메틸술포닐메탄이 주어졌다.
이들은 약 7개월에서 1년 이상까지 오렌지쥬스에 녹인 용액으로서 메틸술포닐메탄 복용을 계속하였다.
14명중 실험기간동안 아픈 사람은 한사람도 없었으며 각각은 기분이 상쾌하며 메틸술포닐메탄이 이들 음식의 일부분이 된 이래로 지구력이 증가되었다고 보고했다.
[실시예 13]
[결합조직과 피부질병]
1차 및 2차 소양증, 좌창(座瘡)(4등급을 포함한), 좌창주사(座瘡酒査) 및 종종 알레르기와 관련된 기타 좋지 못한 피부병은 메틸술포닐메탄이 보충된 음식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여러가지 원인에 기한 소양증 및 좌창은 하루 약 100-1000mg의 수준에 즉시 반응한다.
10대 청소년들은 콜라내에 메틸술포닐메탄을 넣어마시면 여드름을 치료하는데 특히 만족할만 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주사(酒査 rosacea)에는 육안으로의 개선은 보다 늦었다.
1명의 피검체(여자, 51세)에 있어서, 매일 500mg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최소 수주일간 복용후 모세관확장증이 감소되었다.
[실시예 14]
[눈의 종기]
등장식염수(等張食鹽水)내에 15% 용액의 메틸술포닐메탄은 먼지나 꽃가루 등과 같은 이물질이 눈에 들어갔을때 눈을 위한 유연한 처치가 된다. 수성 소디움 라우릴 슬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로서 충혈된 토끼눈은 10%메틸술포닐메탄 수용액으로써 매시간 처치했더니 금방 깨끗이 되었다.
[실시예 15]
[전신염증 질병에 관련된 통증]
여러가지 근골격계통 질병에 관련된 통증 및 종기의 징후가 있는 사람은 그들의 매일 식사에 약 100-500mg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시켰을 때 상당히 호전되었다.
처음에는 메틸술포닐메탄만을 섭취하고 나중에는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과 결합하여 섭취한 대부분은 이 결합에 큰 이익이 있다고 보고했다.
메틸술포닐메탄을 아스코르빈산과 결합하면 특히 밤에 다리가 경련을 일으키는데 유효한 것으로 보였다.
편두통(migrane)으로 고통받는자는 하루하루 50-500mg수준의 경구투여로서 큰 차도를 얻었다.
1명의 피검자(여자 81세)는 하체의 통증이 큰 만성관절염 병발을 보였다.
수년간 그녀는 가장 최신의 항관절염, 진통제를 복용했으나 그 결과는 실망적이었다. 그녀는 그녀의 식사에 하루 1/2티스푼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시켜 복용했으며, 2주후 거의 완치되는 것을 발견했다. 약 16개월간 하루 1/4-1/2티스푼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섭취한후 그녀는 실질적으로 완치되었다.
[실시예 16]
[정신적 건강]
사람에 있어서, 정신건강을 환경변화에 따라 예민하게 흔들리지 않는 내부 안정과 함께 주의로서 나타난다.
메틸술포닐메탄을 복용한 사람은 주의력이 증가했으며, 환경변화에 대하여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특히 우울증이 극히 드물게 나타났다.
우울증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약물치료를 받은 몇몇 피검자는 항우울제 치료와 비교해볼 때 메틸술포닐메탄을 복용하면 몇일보다도 불과 몇시간내에 우울증이 가신 것이 관찰되었다. 학생들에게서는, 메틸술포닐메탄을 복용하는 동안 이들의 집중력이 향상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메틸술포닐메탄은 중추신경계통(CNS)치료에 유용한 것이다. 정신적 우울증을 앓는 만성혹은 급성환자에 대하여 메틸술포닐메탄을 체중 1kgr당 1000mg을 매일, 타브렛이나 캡슐형태로, 물이나 찬음료에 녹여서 또는 찬음식과 혼합하여 복용시켰다. 12시간 내지 2일 내에, 환자의 정신상태에는 괄목할만한 진전이 있었다.
[실시예 17]
[상처치료]
5햄스터쥐 4쌍이 표준방법을 사용하여 오른쪽 볼주머니에 상처를 입었다.
볼주머니 상처를 입기 일주일전에, 1쌍은 표준 햄스터 쥐먹이속에 0.1gr/kg의 메틸술포닐메탄을 매일 섭취시켰으며, 두번째그룹은 동일표준 먹이내에 0.1gr/kg의 메틸술포닐메탄 +100mg의 아스코르브산(ascorbicacid)을 섞었으며, 셋째그룹은 동일표준먹이내에 단지 100mg의 아스코르브산을 주었으며 마지막그룹은 단지 표준먹이만을 주었다. 이 시험은 상처치유속도를 보기위한 것이다. 36시간후, 메틸술포닐메탄 +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을 경구복용하는 쥐들은 상처의 종기가 신속히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3일째에는 메틸술포닐메탄만을 섭취한 피검체와 비타민 C만을 섭취한 피검체와 일치하였다. 4 및 5일째, 메틸술포닐메탄/비타민 C를 합하여 공급된 피검체에서 36시간후에 보여진 치유상태가 표준(투약되지 않은)피검체에도 보여졌다.
[실시예 18]
[동물에 있어서의 음식보충물]
강아지를 포함한, 미성숙 실험동물은 메틸술포닐메탄이 그들의 식수나 음식에 포함되면 표준(controls)보다 크게 체중이 는다. 높고 낮은 투여수준, 즉 체중 1kg당 하루 60 및 500mg에서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가능한 설명은, 음식에 어떠한 최소의 알레르기반응은 메틸술포닐메탄에 의해 중화된다는 것이다. 덧붙여서, 털의 질도 개선되며 발톱의 성장도 빨라진것이 주목된다. 성숙한 동물에서 체중증가는 보여지지 않았다.
[실시예 19]
[기생충감염(요충)]
대변 검사에 의해 요충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실험용 쥐에게 2중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이 함유된 상업적 먹이와 식수가 주어졌다.
실험시작후 17일후, 대변에는 요충과 알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마리에서 검출된 메틸술포닐메탄의 혈액수준은 30ppm을 넘었다. 기생충에 감염되기쉬운 조직을 숙주피해가 최소혹은 0인 정상으로 회복시키는데 있어서의 메틸술포닐메탄의 능력은 음식물내의 메틸술포닐메탄이 미생물에 직접 공격을 가하는 것보다는 신체저항력을 강하게하여 변이된 미생물의 감염을 극복하게하는 것이다. 메틸술포닐메탄은 생체내에서 항콜린에스테라제(anticholinesterases)에 대하여 길항작용을 하며, 시험관내에서 에세히리아대장군(escherichiacoli), 튜코노스토크 시트로보륨(leuconostoc citrovo rum) 살모넬로 티피뮤리움(salmonello typhimurium) 스타프로코크스오레우스 (staphiococcus aureus) 및 스트렙토코크스터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 us)등에 대한 항균성 작용은 약하다.
이는 아스페르길루스나이제(Aspergillus niger), 피토르토라신나모미(phytop hthora cinnamomi) 및 스크로로티움롤프시(sclerotium relfsii)에 대하여 500ppm에서 좋은 항구충효과를 보이는 뛰어난 항진균제이다.
극단적으로 낮은 숙주전신독성 때문에, 특정약제만큼 미생물군에 강력하거나 독성이 없는 반면에, 메틸술포닐메탄은 현존하는 항감염제 치료제 및 방법과 큰 차이를 보인다. 화학적 저항이 높은, 그러나 안전한, 전신수준의 메틸술포닐메탄에 의해 제어되는 전염성 요인에 대하여 전개(develop)되는가에 대하여는 의문이다.
누구나 안전하게 체중 1kg당 1-2gr메틸술포닐메탄(1000-2000ppm W/W)을 섭취할 수가 없다. 따라서 누구나 약 4000ppm 정도의 안전 혈액농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 수준은 숙주에는 해가 없지만 많은 감염유기체에는 아주 독성이 큰 것이다.
메틸술포닐메탄은 단독으로 혹은 현재 사용되는 통상의 치료법과 병행하여 사용되는 아주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통상의 항 말라리아 약제와 함께 병행치료법으로서의 메틸술포닐메탄의 평가가 나타나 있다.
일년에 약 100만명정도의 사람이 이 기생충 감염으로 인하여 죽고 있다. 현재까지의 실험에 의하면, 메틸술포닐메탄은, 방사선치료나 과온(過溫)(hyperthermia)에 의함에 같이 병에 대하여 약, 왁찐 및 물리적인 공격과 결합되어 개선효과를 얻기 위하여 피검체의 기초저항력을 증가시키므로서 이질병을 물리치는 보조약제로서 유용하다고 나타났다.
[실시예 20]
[당뇨에 관련한 혈관 합병증]
22년전에 진성 당뇨병을 가졌다고 진단된 한 피검체(F.B. 남자 58세)는 심각한 혈관 합병증을 보였다.
동맥경화증은 하지(下脂)로의 동맥피공급을 감소시켰으며 그 결과 망상적으로 발이차고 간혈적 파행(跛行)을 보였다. 게다가, 이 피검체는 치료되지않는 발은 타박상으로 고생하였다. 이 피검체는 21일간 하루 두번씩 500mg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공급받았다. 가장 먼저 관찰된 개선은 타박상의 치료율이었다.
3주가 경과될 즈음하여, 발이찬 문제는 부분적으로 나아졌으며 피검체는 별로 지치지않고 그의 도보거리를 2배로 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은 피검체가 필요로하는 인슐린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실시예 21]
[급성통증]
구강 복용된 메틸술포닐메탄은 결석(結石)이 수뇨관(輸尿管)을 막음으로써 생기는 성인의 가운대등(背)의 급작스런 통증을 해소하는데 유용하며(더운물에 1.5gr을 용해시켜 1회복용함으로써), 또한 복부에 우발적인 타격을 받으므로써 생기는 성인여자의 하복부 경련등을 해소하는데도 유용한 것으로(이때 4시간 간격으로 더운물에 용해시킨 1gm을 2회 복용했다) 밝혀졌다.
[실시예 22]
[혈소판 감소]
낭창성 홍반(lupus erythematosus)을 앓는 성인여성에게 메틸술포닐메탄을 2년간 구강 복용시켰더니(하루 1.5gm 3회로 나누어) 혈소판 수가 84000에서 200000으로 증가되었다.
[실시예 23]
[태양 및 바람에 탄 것]
하루 0.5-2gm의 메틸술포닐메탄을 복용한 사람은 약 4시간 햇빛과 바람을 쬔 결과 단지 경미하게 고생했으나, 메틸렌술포닐을 섭취하지않은 이들의 동료는 심각할 정도로 햇빛과 바람에 화상을 입업다
[실시예 24]
[녹막염]
호흡감염으로 사육말 암컷에 발전된 양측성 섬유소 녹막염은 통상의 항생물질 및 안티인 플람멘토리(anti-inflammatory)의 6주간 치료에도 아무런 차도를 보이지 않았으나, 메틸술포닐메탄 복용(하루 2×12gm음식물에 넣어서) 5일후에는 아주 좋게되었다.(정상적인 호흡, 가슴의 청지음성)
[실시예 25]
[운동후 피로]
운동가에 있어서 운동후 8-10일간 지속되는 격렬한 운동후의 육체적 피로증후는 메틸술포닐메탄을 6개월간 하루 1.2gr을 여러번에 걸쳐 복용한 사람에 있어서는 2-3일 내에 없어졌다.
[실시예 26]
[다리 경련]
만성적으로 야간에 다리 경련으로 고생하는 노인성환자(65세이상)에게 미국특허출원 418110, 584354, 601771에 기술되어 있는 타브렛이나 캡슐형태로 또는 환자가 매일먹는 밀크, 커피, 차, 찬디저어트등 음식과 혼합하여 하루 체중 1kgr당 10mg을 복용시켰다. 약 2일이내에, 다리경련은 많이 감소 내지 소멸되었다.
[실시예 27]
[다리 경련]
마라톤 경기전에, 선수에 대하여 최소 7일간 하루 체중 1kgr당 15mg의 율로 메틸술포닐메탄을 복용시켰다. 시합도중 또는 시합후 심각한 다리경련을 경험한 선수는 다리경련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실시예 28]
[기생충 감염]
메틸술포닐메탄은 여러가지 선충류에 대하여 아주 강력한 독성을 가진다. 이 발견에 근거하여, 축추동물의 건강에 해가되는 여러가지 기생충에 시험이 행해졌다.
(a) 질(膣)트리코모나스 균주(菌株) ATCC NO.30001이 다이어먼즈 팀(diam ondstym) 매질(媒質)을 이용하여 시험관내에서 배양되었다.
여기에 5.5-109.3mg/ml 수준의 메틸술포닐메탄이 첨가되었다. 5.5-10.9mg /ml의 농도에서 메틸렌술포닐메탄은 이 원생동물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못했다. 그러나 21.9mg/ml에서는 억제적이었으며, 이보다 높은 운동에서는 이 기생충에 대하여 치명적이었다. 이 시험을 근거로하면, 메틸술포닐메탄은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HC1의 약 절반정도 활성인 것이다.
메틸술포닐메탄은 메티로니다졸 HC1과 함께 생체내에서 평가되었다. 즉 2명의 여성 피검체에 10일간 매 8시간마다 250mg 수준으로 투여했다. 2명 모두 이전에 이 질병에 대하여 치료를 받았으나 별효과가 없었다. 메틸술포닐메탄은 이 치료기간동안 프라질(Flagy1) 투여량과 함께 500mg 캡슐로서 복용되었다.
이치료도중, 메트로니다졸 HC1치료도중에 1명의 피검체에 나타난 부작용인 위 전도(前倒) 및 구기(嘔氣)는 2명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메틸술포닐메탄과 프라질의 공동치료는 습윤필름시험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2명의 피검체 모두에게 성공적이었다. 1명의 피검체는 그후 그녀의 성(性) 상대자로부터 다시 감염되었으나 5%수용액 메틸술포닐메탄을 1주일간 매일 세척함으로서 깨끗이 되었다. 이 피검체의 성 상대자는 2주일간 하루 2번씩 주어진 500mg의 메틸술포닐메탄으로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b) 람블편모층(Giardia lamblia)
이 미생물은 특히 살균약제치료에도 지속되고 반응을 보이지않는 "여행자설시"에 관련된 것이다.
많은 장 기생층과 같이, 사람에 의해 유기체에 대하여 변화가능한 저항이 있으며 이는 아마도 수용체부위 유용성 및 면역학적 문제에 관련된 것이다. 이 기생층에 있어서, 실험실에서 1mg/ml 및 그 이하의 메틸술포닐메탄 농도는 람블펀모층에 대하여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0mg/ml에서, 강한 억제력을 보였으며 40mg/ml에서는 그 유기체를 즉시 사멸 시켰다.
오염된 물에 접촉하여 람블 편모층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한피검체에게 하루 3번 14일간 500mg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구강복용시켰다.
8일째 그는 무증후성(無症侯性)이었다. 그 일주일후 2번의 대변검사에서 이 유기체가 얻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c) 요충속(Entrobius)
대변 검사결과 요충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실험쥐에게 그들의 상업적인 먹이 및 식수속에 2중량%에 메틸술포닐메탄을 함유시켜 주어졌다.
실험시작 17일후 대변검사결과 요충 및 알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9]
[폐기능장애의 치료]
호흡이 곤란한 7명의 피검체에게 한꺼번에 또한 분리하여 하루 200-1500mgr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구강을 통하여 복용시켰다. 5명은 끽연으로 인한 것으로 믿어지는 기종(氣腫)으로 나타났으며, 2명은 흉막액 축적에 기인한 부가적인 기능손상을 입은 폐의 종양병발로 나타났다.
기종을 가진 5명중 2명의 피검체는 앞서 심장성 호흡기능 테스트(cardiores piratory function. test)를 받았으며 또한 하루 500mg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구강을 통하여 섭취한 후 6주 및 8주내에 평가가 되었다.
비록 이들 2명은 실험기간중에 심각한 비정상치를 보였으나, 특히 저하된 동맥산소압에서, 2명 모두 메틸술포닐메탄을 복용하는 동안 정상 범위내에 수치를 보였다.
보다 큰 개선은 모든 피검체에서 확인된 신체성적값에서 보여졌다. 실험기간전 및 실험기간동안 약 2주간격에서, 모든 존재하는 기종은 그들의 신체원과 일치되게 측정된거리를 걷는데 요구되었다.
메틸술포닐메탄 섭취를 시작한 2∼4주내에, 이것 단독 혹은 하루 1000mg의 아스코르빅산과 함께, 모든 기종은 이들의 안락하게 걷는 거리의 최소 2배를 걷게했다.
폐종양을 가진 2명의 피검체 모두 보다 주의하고 편안하게 의사 및 간호원뿐만 아니라 가족들을 참석시킴으로서 평가되었으며 실험 전보다도 외관 및 자태가 좋았다.
실험기간의 첫달동안 각 피검체의 허파동공액문제는 사라졌다. 이들 모두는 음식내에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시키기전에 방사선/화학요법을 받았으나 큰 차도가 없었다.
[실시예 30]
[개(犬)의 관절염 및 다른 통증원]
메틸술포닐메탄이, 여러번 새끼를 낳고 여러 종류의 관절염을 앓고 몇몇에는 다른 질병까지 보이고 있는 늙은 개의 먹이에 대한 첨가제로서 평가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은 급식전 이들 식사와 혼합되었다.
(a) 개, A, 난소가 제거되고 36Kgr 체중의 15세된 독일산 세퍼드로써 실조중 (ataxia), 통증있는 가상 만성수두증(virtual immobility) 및 관절경직을 보였다. 이 동물은 코티손(cortisone)이나 페닐부라존(phenyl - butazone)에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들에게 하루에 2회 7일간 하루 0.5g의 메틸술포닐메탄이 주어졌으나 뚜렸한 효과가 없었다. 투여량은 하루에 2회 하루 1.5g으로 증가시켰더니 10일 이내에 이 개는 별 다른 불편함이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되었고 실조증도 보이지 않았다.
(b) 개 B, 숫놈이며 27Kgr체중의 검은 라브라도로서, 이 동물은, 비록 수의사가 소유하고 있었지만, 이전 12개월간에 걸쳐서 여러가지 치료법에도 효과가 없었다. 이 개에 대하여 하루 2번씩 1개월에 걸쳐서 하루 1.5g의 수준에서 그 음식내에 메틸술포닐메탄을 섭취시켰다. 이 개는 메틸술포닐메탄으로부터 명백한 이득은 없었다. 이는 확실히 그 병의 말기에 기인한 것이다.
(c) 개 C, 난소가 제거된, 14세 독일산 세퍼드는 그동안 다리에 심각한 관절염을 보였다. 움직일수는 있었으나 걷는데는 확실히 어려움과 불편함이 뒤따랐다. 이 동물은 코리손 및 페닐부타존 모두에 대하여 별효능을 보이지 않았다. 하루 2번씩 0.5gr 수준의 메틸술포닐메탄이 제공되었다. 한달후 그 움직임에 점차적인 차도가 있었다. 음식물에 혼합된 메틸술포닐메탄을 섭취한지 3개월후 이 개는 근골격의 제한이나 불편함이 보이지 않았다.
(d) 개 D, 암컷, 20Kgr 체중을 가진 테이러(Terrier)잡종은 그 움직임에 심각한 어려움 및 불편함을 보였다.
이 동물은 코디손이나 페닐부타존에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 상태는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었다. 메틸술포닐메탄이 하루 2번씩 하구 1gr수준에서 그 음식에 포함되었다.
1주일후, 이 개는 통증이 가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개는 6개월간 메틸술포닐메탄을 섭취했으며, 그 결과 더 이상의 치료가 필요없이 아주 건강하고 기운차게 뛰어놀았다.
[실시예 31]
[인간에 있어서의 통증]
견디기 어려운 통증을 앓고있는 다음 환자들에게 하기표에 열거된 기간동안 투여량으로 메틸술포닐메탄을 구강복용시켰다.
Figure kpo00002
[실시예 32]
[인간에서의 급성통증]
메틸술포닐메탄은 한 피검체(남자, 47세)의 통증을 제어하기 위하여 코데인(codeine)과 비교되었는데, 그는 이른새벽 등(背) 중앙부의 심한 통증으로 인하여 잠을깨곤 했는데 이통증이 너무 심하여 특정부위를 지적하기가 어려웠다.
이 피검체는 요결석(尿結石)의 병력이 있었다. 아스피린은 효과가 없었으나 코데인은 X-선 동안 및 후에 긍정적일 정도의 이완을 가져오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진통제 요구량은 매 2시간마다 아스피린과 함께 1/2그레인(grain)의 코데인이었다. 2일째동안, 피검체는 머리가 어지럽다고 호소하여 코데인은 포기되었다.
진통은 다시 사작되었다. 이 피검체에게 1/2컵의 더운물에 용해시킨 1.5g의 메틸술포닐메탄이 주어졌다. 메틸술포닐메탄을 섭취한 30분후, 통증은 완전히 사라졌다. 하루 1.5g의 메틸술포닐메탄은 3일째 오후까지 계속되었으며, X-선 검사결과 결석은 아직 수뇨관을 막고있는 것을 확인했다. 피검체는 다시 아스피린과 함께 코데인으로 바꿔 복용했다. (1/2그레인×2시간)
그는 메틸술포닐메탄을 복용했을 때보다 통증이 덜 가셨다고 보고했다. 메틸술포닐메탄은 다시 복용되었다(4시간마다 1.5g) 5일째, 결석은 빠져나왔다. 회복은 별이상이 없었으며, 코데인이나 메틸술포닐메탄은 물론 수뇨관 살균제도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았다.
[실시예 33]
[인간에 있어서의 급성통증]
코데인 및 메틸술포닐메탄이 피검체(여자, 26세)의 통증해소를 위하여 비교되었는데, 이 피검체는 하복부에 심한 통증을 수반한 통증이 있었다. 피검체의 맹장은 과거에 제거되어있다. 통증은 배구시합동안 복부에 갑작스런 타격을 받은후 시작되었다. 신우(腎盂) 검사결과 패쇄는 없는 것으로 알려진다. 통증의 형상은 수뇨관(輸尿管) 경련과 같았다. 매시간 코데인(2)과 함께 1/4그레인의 아스피린을 복용한 결과 통증은 약간 해소되었다.
이 코데인/아스피린은 중단되었으며, 더운물에 용해시킨 1gr의 메틸술포닐메탄이 주어졌다. 30분후 모든 불편은 사라졌다. 4시간후 물에 용해시킨 1/2gr의 메틸술포닐메탄이 주어졌으며, 그후 계속하여 통증은 없었다.
[실시예 34]
[정맥주사]
급성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다른 급성염증등 심각한 만성적질병을 앓는 환자나 극심한 통증을 가진 환자에 대하여 무균의 5%텍스트로즈(dextrose) 용액내에 14 중량%의 메틸술포닐메탄 1gm/kg을 넣어 시간당 1gm/kg의 속도롤 정백투여 했다.
2-4시간이내에, 이 환자는 이들 질병이나 상태에서 현저하게 이완되었으며, 이효과는 7-21일간 지속되었다. 이러한 정맥투여는 매 24시간마다 반복될수 있다. 2mg/kg/hr정도의 높은 디메틸술폰 투여량은 가능하나 환자에 대하여 순간적인 가벼운 현기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실시예 35]
[골화성근염(骨化性筋炎)(Myositis Ossificans Generalis)
8세난 소녀는 심각한 불치의 골화성근염을 나타내었다. 그녀의 가족은 가족구성원이 이 질병을 앓는 가계(家係)에 속해있었다. 그녀는 거의 2년동안 매일 나누어서 티스픈 1개양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경구복용했다.
이 질병의 진행은 중지되었으며, 그녀는 휠체어를 필요로하지 않게 되었으며 개선되고 있다. 이 집단에 있는 어떠한 다른 어린이도 메틸술포닐메탄을 복용한 후 육체적으로 악화되지 않았다.
이 병의 원인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아마 유전적/자가면역질병의 형태인 것 같다.
[실시예 36]
[DMBA 유발 유방암에 대한 저항]
45마리의 암컷쥐가 실험실에 안정시킨후, 이를 15마리씩 3그룹으로 분리했다.
그룹 1은 "표준"이라고 명명되었으며, 그룹 2 및 그룹 3은 카르시노겐 디메틸-벤잔트라센(carcinogen dimethyl-benzanthracene DMBA) 용액으로서 털이없는 복부에 극소처리했다.
1, 2, 3그룹 모두는 식수와 함께 표준 실험실 식사를 공급받았다. 그룹 3은 또한 그들의 표준식사외에 2중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공급받았다.
DMBA 처리후 5개월에서, "표준"그룹과 그룹 3동물은 유방암에서 벗어났다. 그룹 2동물들은 화학적으로 유발된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실시예 37]
[자발성 쥐 임파종(Spontaneous Mouse Lymphomas)의 발전에 대한 억제]
발생학적으로 임파종 발전의 소지를 가진 실험쥐가 이 실험을 위하여 선택되었다.
동물의 생명뼘(life span)에 미치는 메틸술포닐메탄의 효과와 같이, 액소성 면역성첨가(humoral immunity participation)가 측정되었다.
12마리 쥐로된 1세트가 "표준"으로 유지되었다.
처치된(T)그룹은 3중량%의 메틸술포닐메탄 용액을 포함한 식수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처치를 받았다.
이 실험의 4개월경, 모든 "표준"은 임파종 발전에 의해 죽었다. 5개월까지 죽은 T 그룹의 쥐는 한 마리도 없었다.
이들 T 그룹의 정상적인 balb/C 응력쥐들은 종속 t-임파구(t-lymphocyte dependent)(t-d) 및 독립 t-임파구(t-lymphocyte independent)(t-i) 면역반응에 대한 실험을 받았다.
메틸술포닐메탄이 주어진 쥐들은 티엔피 피콜(tnp ficoll)반응의 현저한 억제와 함께, 양의 적혈구(SRBC)에 반응하여 1차 IgM 및 2차 IgG의 현저한 증강을 보였다.
이러한 예비결과에 근거하면, 충분히 높은 하루 섭취량에서, 메틸술포닐메탄은 액소성면역(humoral immunity)을 자극하여 치명적인 자발성생쥐임파종으로부터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스트레스와 알레르기의 징후를 개선시키는 것을 다루고 있는 미국출원 584, 354의 개시로부터 또한 전술한 것으로부터, 메틸술포닐메탄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여러동물에 대한 건강유지 및 개선에 유효하다는 것을 알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 사용된 본 발명의 일반적이고도 특정적으로 기술된 반응체(reactants) 및/또는 적용조건을 치환시킴으로써 유사하게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로부터, 이 분야에 있어서 숙련자는 누구라도 본 발명의 본질적인 성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가지 처방 및 조건에 맞도록 본 발명의 변화 및 변경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0)

  1. 대사에 의해 전환될 수 있는 황(sulfur)이 결핍될 정도로 가공된 음식을 섭취하는 동물에 대하여 동물에 의해 매일 섭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음식물내에 하루에 체중 1kgr당 최소 0.1mg의 메틸술포닐메탄(methylsulfonylmethane)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가능한 황의 공급원(source)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동물은 척추동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동물은 인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동물은 초식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동물에서 몸체를 유지하는데 최소한도의 수준인 1ppm보다 모자라는 량의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메틸술포닐메탄을 공급하는 음식물로 유지하는 동물에 대하여, 이들 동물의 음식에 몸체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수준인 최소 1ppm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 및 건강상태를 개선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동물은 인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은 동물에 의해 섭취되는 최소 하나의 음식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공급된 메틸술포닐메탄의 량은 동물내의 메틸술포닐메탄의 몸체수준을 끌어올리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동물의 초식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동물은 인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음식물내에 존재하는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메틸술포닐메탄을 약 0.1ppm 이하의 수준까지 감소시킬 정도로 가열 혹은 건조등을 함으로써 수분율을 감소시키는 음식처리방법에 있어서, 음식물내에 있는 메틸술포닐메탄의 농도를 최소한 약 1ppm 정도로 높이는데 효과적인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상기 가열 혹은 건조단계등 후에 음식물에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음식물은 살균된 우유 혹은 우유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음식물은 건조조반곡류 (dry breakfast cere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음식물은 100℃ 이상에서 개구된 용기내에서 요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음식물은 초식성동물이 섭취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음식물은 가금류(家禽類)가 섭취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음식물은 인간이 섭취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약 15×10-4%-3% 메틸술포닐메탄과 혼합한 약 15ppm 이하의 자연적으로 생성하는 메틸술포닐메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된 사료.
  19. 제18항에 있어서, 건조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된 사료.
  20. 제18항에 있어서 가축사료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된 사료.
  21. 제19항에 있어서, 다른 식량성분에 자연발생적으로 존재하는 어떠한 메틸술포닐메탄에 덧붙여서, 정상적인 하루량의 양식을 섭취하는 동물의 체중 1kg당 최소 0.1mg/day을 공급하기에 효과적인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별도의 형태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처리된 사료.
  22. 제21항에 있어서, 초식동물에 적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처리된 사료.
  23. 제18항에 있어서, 소, 돼지, 말, 양, 염소, 어류 및 가금(家禽)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동물사료로 적합하고, 필수적으로 옥수수, 건초, 자주개자리(alfalfa), 저장옥수수(cornsilage), 콩가루, 육류가루, 생선가루, 탄수된 자주개자리가루, 광물질 및 그같은 동물들이 정상적으로 섭취하는 비타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24. 명백한 질병의 징후를 나타내는 동물에 통증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투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에 있어서의 관절염과 관련된 통증 및 불편함을 개선시키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동물은 인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관절염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은 연이은날에 경구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동물을 가축 혹은 농장동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을 동물의 사료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통증을 수반한 질병을 앓는 환자에 대하여 그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인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정맥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심한 고통을 경감시키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은 최소 1/2시간의 기간을 걸쳐 수용액으로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체중 1kgr당 최소 약 1mg의 메틸술포닐메탄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질병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시험관내에서 메틸술포닐메탄의 독성을 나타내는 기생충에 계통적으로 감염된 환자에 대하여, 환자내의 기생충(parasite)의 성장을 억제하기에 효과적인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계통적으로(systemically)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충 치료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은 경구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메틸술포닐메탄은 매일 반복하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기생충은 숙주(host)에 병의 원인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근육경련을 막는데 효과적인 량의 메틸술포닐메탄을 경구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한 근육경련의 소질이 있는 사람에 있어서 야간 및 운동이 유발하는 근육경련을 방지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사람은 재발하는 야간근육경련을 경험하는 노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최소 약 10mg의 메틸술포닐메탄이 매일 계속하여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60007852A 1985-04-29 1986-09-17 메틸슬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음식조성 및 그 이용방법 KR900002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7,989 1985-04-29
US06/727,989 US4616039A (en) 1979-08-30 1985-04-29 Methylsulfonylmethane in dietary produ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618A KR880003618A (ko) 1988-05-28
KR900002027B1 true KR900002027B1 (ko) 1990-03-31

Family

ID=2492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852A KR900002027B1 (ko) 1985-04-29 1986-09-17 메틸슬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음식조성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16039A (ko)
EP (1) EP0200526B1 (ko)
JP (1) JPH082268B2 (ko)
KR (1) KR900002027B1 (ko)
AT (1) ATE86826T1 (ko)
AU (1) AU592333B2 (ko)
CA (1) CA1268123C (ko)
DE (1) DE3687996T2 (ko)
DK (1) DK195586A (ko)
NO (1) NO861673L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848B1 (ko) * 2005-04-26 2007-04-13 권석은 천연식이유황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유황 축적 증대용 양계용 영양액, 그 영양액의 제조방법, 그 영양액 의한 닭의 사육방법, 그 사육 방법으로 사육된 닭, 및 그 닭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식이유황이 함유된 계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878A (en) * 1979-08-30 1991-12-10 Herschler R J Use of methylsulfonylmethane to enhance diet of an animal
US4863748A (en) * 1979-08-30 1989-09-05 Herschler R J Dietary products and uses comprising methylsulfonylmethane
US4504122A (en) * 1983-04-21 1985-03-12 General Dynamics Corporation/Convair Div. System and method for time sharing laser system which also generates a local oscillator signal
JPH0749124B2 (ja) * 1986-03-20 1995-05-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ールシフト式圧延機
US4877773A (en) * 1987-04-29 1989-10-31 Turner Leola E B Pharmaceutical preparation
GB2213057A (en) * 1987-12-08 1989-08-09 I Pascuchi Josep Maria Vich Anti-viral agent
JPH0975010A (ja) * 1995-09-18 1997-03-25 Araya:Kk 魚類の生理活性剤、養魚用飼料添加物
US6203820B1 (en) * 1998-05-28 2001-03-20 Brice E. Vicker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protein anabolism and detoxification
US6663874B2 (en) 1998-11-02 2003-12-16 Victor Stevens Composition to alleviate pain and topical method of applying same
ES2283318T3 (es) * 1999-10-04 2007-11-01 John Carter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contienen cobre, acido salicilico y vitamina c.
US20030235629A1 (en) * 1999-11-06 2003-12-25 Janmarie Hornack Dietary supplement containing alkaline electrolyte buffers
US6841544B2 (en) * 2000-02-23 2005-01-11 Bioselect Innovation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US6787164B2 (en) 2000-02-23 2004-09-07 Bioselect Innovation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US6793942B2 (en) 2000-02-23 2004-09-21 Bioselect Innovation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US6759062B2 (en) 2000-02-23 2004-07-06 Bioselect Innovation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US6403116B1 (en) 2000-11-03 2002-06-11 Triarco Inductries, Inc. Coenzyme Q10 formulation
US6902739B2 (en) * 2001-07-23 2005-06-07 Nutracea Methods for treating joint inflammation, pain, and loss of mobility
US20040038864A1 (en) * 2002-06-27 2004-02-26 Per Balschmidt Use of dimethyl sulfone as isotonicity agent
US20040029774A1 (en) * 2002-08-06 2004-02-12 Aly Gamay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collagen and elastin deficiencies
US20040253296A1 (en) * 2002-09-11 2004-12-16 Martin Kenneth A. Food bar for trea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US20040253227A1 (en) * 2002-09-11 2004-12-16 Martin Kenneth A. Perioperative multivitamin protein beverage and additive for use in preparing an individual for fast surgical recovery
US6660308B1 (en) * 2002-09-11 2003-12-09 Kenneth A. Martin Beverage and additive for the ill
US20040254095A1 (en) * 2002-09-11 2004-12-16 Martin Kenneth A. Supplement for trea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US6900173B2 (en) * 2002-09-11 2005-05-31 Kenneth A. Martin Perioperative multivitamin protein bar for use in preparing an individual for fast surgical recovery
JP2005298412A (ja) * 2004-04-13 2005-10-27 Minato Pharmaceutical Co Ltd 被覆粒子
WO2005112667A1 (ja) * 2004-05-20 2005-12-01 Takashi Omori 健康食品
US20060093592A1 (en) * 2004-10-04 2006-05-04 Nutracea Synbiotics
US20060147423A1 (en) * 2004-12-07 2006-07-06 Jean-Yves Legendre Transungual device
AU2006270094A1 (en) * 2005-07-15 2007-01-25 Chakshu Research Inc.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phthalmic complications of diabetes
US8480797B2 (en) 2005-09-12 2013-07-09 Abela Pharmaceuticals, Inc. Activated carbon systems for facilitating use of dimethyl sulfoxide (DMSO) by removal of same, related compounds, or associated odors
CA2622204C (en) 2005-09-12 2016-10-11 Abela Pharmaceuticals, Inc. Systems for removing dimethyl sulfoxide (dmso) or related compounds, or odors associated with same
WO2007033180A1 (en) 2005-09-12 2007-03-22 Abela Pharmaceuticals, Inc. Materials f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of dimethyl sulfoxide (dmso) and related compounds
WO2007033082A2 (en) 2005-09-12 2007-03-22 Abela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dimethyl sulfoxide (dmso)
BRPI0921494A2 (pt) 2008-11-03 2018-10-30 Prad Reasearch And Development Ltd método de planejamento de uma operação de amostragem para uma formação subterrãnea, método de contolar uma operação de amostragem de formação subterrânea, método de controlar uma operação de perfuração para uma formação subterrãnea, e método de realizar uma amostragem durante a operação de perfuração.
WO2010141889A1 (en) * 2009-06-05 2010-12-09 Biogenic Innovations, Llc Use of methylsulfonylmethane as a taste masking agent
ES2616630T3 (es) 2009-10-30 2017-06-13 Biogenic Innovations, Llc Uso de metilsulfonilmetano (MSM) para modular la actividad microbiana
JP5947721B2 (ja) 2009-10-30 2016-07-06 アベラ ファーマス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変形性関節症を治療するためのジメチルスルホキシド(dmso)およびメチルスルホニルメタン(msm)製剤
AU2011313814B2 (en) * 2010-10-07 2015-12-24 Eaglepharma Pty Ltd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other non-infectious diseases
FI126459B (fi) * 2011-02-03 2016-12-15 Stora Enso Oyj Menetelmä dimetyylisulfonin valmistamiseksi
WO2014201387A2 (en) 2013-06-13 2014-12-18 Altera International, Ltd. Methods of improving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health
KR101868312B1 (ko) * 2018-01-12 2018-06-15 이병관 산란계에 유기황을 급여하는 방법
KR102278911B1 (ko) * 2020-08-10 2021-07-19 주식회사 잇다 사육 단계별 양돈 사료 급여 방법
CN113598277A (zh) * 2021-07-09 2021-11-05 广州清科生物技术有限公司 酶解宠物犬猫粮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922A (en) 1974-09-12 1982-06-08 Herschler R J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living animals with health modifying agents
US4296104A (en) 1979-08-30 1981-10-20 Herschler R J Therapeutic dimethyl sulfoxid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US4514421A (en) * 1979-08-30 1985-04-30 Herschler R J Dietary and pharmaceutical uses of methylsulfonylmethane and compositions comprising it
US4477469A (en) * 1979-08-30 1984-10-16 Herschler R J Preparations containing methylsulfonylmethane and methods of use and purification
US4296130A (en) * 1979-08-30 1981-10-20 Herschler R J Methylsulfonylmethane and methods of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848B1 (ko) * 2005-04-26 2007-04-13 권석은 천연식이유황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유황 축적 증대용 양계용 영양액, 그 영양액의 제조방법, 그 영양액 의한 닭의 사육방법, 그 사육 방법으로 사육된 닭, 및 그 닭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식이유황이 함유된 계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68123A (en) 1990-04-24
NO861673L (no) 1986-10-30
AU592333B2 (en) 1990-01-11
DK195586D0 (da) 1986-04-29
JPS6212A (ja) 1987-01-06
JPH082268B2 (ja) 1996-01-17
US4616039A (en) 1986-10-07
EP0200526B1 (en) 1993-03-17
DE3687996D1 (de) 1993-04-22
ATE86826T1 (de) 1993-04-15
CA1268123C (en) 1990-04-24
DK195586A (da) 1986-10-30
DE3687996T2 (de) 1993-06-24
AU5609186A (en) 1986-11-06
KR880003618A (ko) 1988-05-28
EP0200526A3 (en) 1989-02-15
EP0200526A2 (en) 1986-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027B1 (ko) 메틸슬포닐메탄을 포함하는 음식조성 및 그 이용방법
US5071878A (en) Use of methylsulfonylmethane to enhance diet of an animal
US4863748A (en) Dietary products and uses comprising methylsulfonylmethane
US4973605A (en) Use of methylsulfonylmethane to relieve pain and relieve pain and nocturnal cramps and to reduce stress-induced deaths in animals
US4914135A (en) Use of Methylsulfonylmethane to treat parasitic infections
EP1913943B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composition for hemoglobinuria or myoglobinuria
ES2851923T3 (es) Triglicéridos de cadena intermedia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 degenerativa de la válvula mitral en animales de compañía
US7820196B2 (en) Physiologically active agents containing vicinal dithioglycols and use thereof in various branches of economy
JP2005522230A (ja) 食品の栄養含量を高めるための組成物
US6428817B1 (en) Companion animal therapeutic treat
McCollum et al. The" vitamine" hypothesis and deficiency diseases: a study of experimental scurvy
KR100346394B1 (ko) 마늘 및/또는 한약재를 섭취시켜 사육된 오리고기 및 그사육방법
CA2336602C (en) Companion animal therapeutic treat
JP6127545B2 (ja) ガレート型カテキンとタンパク質との複合体およびカフェインを含む抗肥満組成物の製造方法
Page et al. Your Body is Your Best Doctor!: Formerly, Health Versus Disease
US11925191B2 (en) Or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nimals
KR100585970B1 (ko) 솔잎과 마늘에 의한 오리 사육방법 및 그 오리고기
Abd-Allah et al. Influence of using flavomycin and propolis as feed additives on buffalo milk production, and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metabolites of suckling calves
SULLIVAN et al. Nutritional dermatoses in the rat: V. signs and symptoms resulting from a diet containing unheated dried egg white as the source of protein
KR102582313B1 (ko)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JP2011063552A (ja) 身体活動促進剤
JP2010502757A (ja) 関節における軟骨分解または軟骨損傷の治療、併用治療または予防のための新規栄養補助食品組成物および医薬品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
Southwood 22 Long-term Recovery and Prevention
JP2018123085A (ja) 脂質燃焼促進剤
Dierenfeld et al. A simple and effective egg-based hand-rearing diet for flaming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