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287B1 -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287B1
KR102568287B1 KR1020217025443A KR20217025443A KR102568287B1 KR 102568287 B1 KR102568287 B1 KR 102568287B1 KR 1020217025443 A KR1020217025443 A KR 1020217025443A KR 20217025443 A KR20217025443 A KR 20217025443A KR 102568287 B1 KR102568287 B1 KR 10256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simulation test
sled
electromagnet
car cr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715A (ko
Inventor
하야토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0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슬레드(10)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공시체가 배치된 테이블(16)을 탑재 가능하며, 수평면을 따른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위를 이동 가능한 슬레드 본체(11)와, 슬레드 본체(11)에 마련되고, 자력에 의해 테이블(16)을 고정시키는 전자석부(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는, 공시체를 탑재 가능하며, 수평인 전후 방향을 따른 레일 위를 이동하는 슬레드와, 해당 슬레드를 향해서 피스톤을 쳐 내기 가능한 발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00269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 슬레드에 공시체를 탑재할 때에는 다수의 볼트를 설치하여 공시체 또는 테이블을 슬레드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었다. 공시체를 분리할 때도 마찬가지로, 다수의 볼트를 분리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테이블의 착탈에 수고 및 시간이 걸렸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테이블의 착탈에 요하는 수고 및 시간을 삭감함으로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공시체가 배치된 테이블을 탑재 가능하며, 수평면을 따른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위를 이동 가능한 대차 본체와, 상기 대차 본체에 마련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테이블을 고정시키는 전자석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전자석부를 작동하는 경우에는 자력에 의해 테이블을 대차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어, 전자석부의 작동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테이블의 고정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수의 볼트를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고 및 소비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 본체는, 상기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를, 상기 소정 방향에 직교하고 수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복수 갖고, 상기 전자석부는, 복수의 상기 직선부의 각각에, 상기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복수 배치되어도 된다.
따라서, 복수의 직선부의 각각에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전자석부를 복수 배치함으로써, 테이블을 대차 본체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 본체는, 상기 테이블에 착탈 가능하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을 보유 지지하는 클램프부를 가져도 된다.
따라서, 클램프부에 의해 테이블을 대차 본체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의 착탈을 전환하는 유압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따라서, 클램프부의 착탈 상태를 유압 기구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압 기구에 의한 큰 힘으로 테이블을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대차 본체는, 상기 테이블을 배치하는 영역과는 다른 소정 영역을 덮는 자기 실드부를 가져도 된다.
따라서, 자기 실드부로 덮인 개소에, 계측 기기 등, 자력의 영향을 받기 쉬운 기기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는, 수평면을 따른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 위를 이동 가능한, 상기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와, 상기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쳐 내는 발사 장치와, 소정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쳐 내도록 상기 발사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발사 장치에 의한 쳐 내기 개시의 타이밍보다도 소정 기간 전에 상기 전자석부를 작동시켜, 상기 대차 본체의 쳐 내기가 완료된 후에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전자석부에 의해 테이블의 고정 상태를 전환 가능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가 사용되기 때문에, 테이블의 설치 또는 철거에 요하는 수고 및 소비 시간을 삭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고정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석부를 작동시키고 나서 상기 쳐 내기 개시의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발사 장치에 의한 쳐 내기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해도 된다.
따라서,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 발사 장치에 의한 쳐 내기를 행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예를 들어 테이블의 고정 상태가 불충분한 경우에 쳐 내기를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은, 수평면을 따른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위를 이동 가능하며, 자성체를 포함하고 공시체가 배치된 테이블을 탑재하고, 자력에 의해 상기 테이블을 고정시키는 전자석부를 갖는 대차를, 상기 레일 위에 배치하는 것과, 상기 레일 위에 배치된 상기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를, 발사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 방향으로 쳐 내는 것과, 상기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를 쳐 낼 때, 쳐 내기 개시의 타이밍보다도 소정 기간 전에 상기 전자석부를 작동시켜, 상기 대차 본체의 쳐 내기가 완료된 후에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석부에 의해 테이블의 고정 상태를 전환 가능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가 사용되기 때문에, 테이블의 설치 또는 철거에 요하는 수고 및 소비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테이블의 착탈에 요하는 수고 및 시간을 삭감함으로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슬레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슬레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슬레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슬레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슬레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고 또한 용이한 것,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사 장치(20)에 의한 슬레드(10)의 쳐 내기 방향을 전후 방향(소정 방향)의 후방이라 하고, 후방의 반대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또한, 후방에서 전방을 본 경우의 좌우를 좌우 방향이라 하고, 왼손 방향을 좌방, 오른손 방향을 우방이라 한다. 또한, 수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상측을 상방, 하측을 하방이라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100)는, 슬레드(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10)와, 발사 장치(20)와, 레일부(30)와, 제어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슬레드(10)는, 슬레드 본체(대차 본체)(11)와, 슬라이더(12)와, 전자석부(13)와, 자기 실드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슬레드(10)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슬레드(10)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레드 본체(11)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재를 갖는 골조재이다.
슬레드 본체(11)는, 상면에 테이블(16)을 통해 공시체(15)를 탑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테이블(16)은, 자성체를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테이블(16)은, 예를 들어 평판형이다. 공시체(15)는, 테이블(16) 위에 배치된다. 공시체(15)는, 예를 들어 골격만을 갖는 자동차, 소위, 화이트 바디이며, 시트, 스티어링, 에어백, 시트 벨트 등의 장비품이 장착됨과 함께, 더미가 장착된다.
슬레드 본체(11)는, 기부(11a)와, 직선부(11b)와, 연결부(11c)를 갖는다. 기부(11a)는, 슬레드 본체(11)의 전방부에 마련된다. 기부(11a)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기부(11a)의 상면에는, 계측 기기 배치 영역(11d)이 설정된다. 계측 기기 배치 영역(11d)에는, 예를 들어 모의 시험에 있어서의 공시체(15)의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변형식 센서, 증폭기 등의 계측 기기가 배치된다.
직선부(11b)는, 기부(11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마련된다. 직선부(11b)는, 좌우 방향으로 2개 배열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연결부(11c)는, 2개의 직선부(11b)의 사이를 연결한다. 연결부(11c)는, 예를 들어 2개의 직선부(11b) 중,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부분과, 전후 방향의 중앙부끼리를 연결하는 부분을 갖는다.
슬라이더(12)는, 슬레드 본체(11)의 저면에 배치된다. 슬라이더(12)는, 레일부(30)의 2개의 레일(31) 위를 미끄러지면서 이동한다. 슬라이더(12)는, 예를 들어 슬레드 본체(11)의 저면에 있어서 4개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씩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석부(13)는, 자력에 의해 테이블(16)을 고정시킨다. 전자석부(13)는, 슬레드 본체(11)의 직선부(11b)에 배치된다. 전자석부(13)는, 2개의 직선부(11b)의 각각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태에서 복수 배치된다. 각직선부(11b)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석부(13)는, 예를 들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되고,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전자석부(13)는, 예를 들어 직선부(11b)의 상면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직선부(11b)의 상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고, 전자석부(13)가 당해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각 전자석부(13)에는, 각각 코일이 배치된다.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각 전자석부(13)에 있어서 자기가 발생한다. 이 자기에 의해, 자성체를 포함하는 테이블(16)이 슬레드 본체(11)에 흡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자기 실드부(14)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상자형이며, 퍼멀로이재 등의 자성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계측 기기 배치 영역(11d)에 배치되는 계측 기기는, 자기 실드부(14)에 의해 덮인다. 자기 실드부(14)는, 예를 들어 전자석부(13)에서 발생하는 자기의 영향이 계측 기기에 미치는 것을 억제한다.
발사 장치(20)는, 장치 본체(21)와, 피스톤 로드(22)를 갖는다. 장치 본체(21)는, 예를 들어 유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22)를 구동하는 유압 기구를 갖는다. 피스톤 로드(22)는, 장치 본체(21)의 구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레드 본체(11)에 대하여 후방으로 가속도를 부여한다.
레일부(30)는, 상술한 2개의 레일(31)을 갖는다. 레일(31)은, 슬레드 본체(11)를 안내한다. 레일(31)은, 에어 팰릿(33)에 접속된다. 에어 팰릿(33)은, 레일(31)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 레일(34)을 갖는다. 에어 팰릿(33)은, 접속 레일(34) 위에 슬레드 본체(11)를 적재한 상태에서 외부와의 사이에서 반송 가능하다. 또한, 에어 팰릿(33)의 후방에는, 스토퍼(36)가 배치된다. 스토퍼(36)는, 슬레드 본체(11)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2개의 레일(31)의 사이에는, 슬레드 이동 장치(32)가 배치된다. 슬레드 이동 장치(32)는, 체인(32a)과, 체인 구동부(32b)를 갖는다. 체인(32a)은, 레일(31)의 전측 단부와 후측 단부의 사이에 걸쳐 감겨 있다. 체인(32a)은, 예를 들어 연결부(17)를 통해 슬레드(10)와 연결 가능하다. 체인(32a)은, 슬레드(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체인 구동부(32b)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슬레드(10)를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 장치(40)는, 상기 슬레드(10) 및 발사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40)는, 발사 장치 제어부(41)와, 슬레드 제어부(42)와, 이동 제어부(43)를 갖는다. 발사 장치 제어부(41)는, 발사 장치(20)의 장치 본체(21)의 동작을 제어한다. 슬레드 제어부(42)는, 전자석부(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동 제어부(43)는, 슬레드 이동 장치(3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40)에는,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100)를 조작하거나, 정보의 입력을 행하거나 하기 위한 입력 장치(44)가 접속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100)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공시체(15)가 배치된 테이블(16)을 슬레드(10)에 탑재하고, 이 상태에서 슬레드(10)를 에어 팰릿(33)으로부터 레일(31) 위로 배치한다(스텝 S10). 그리고, 이동 장치(32)에 의해 슬레드(10)를 레일(31)을 따라 시험 개시 위치 P1로 이동시킨다(스텝 S20). 시험 개시 위치 P1에서는, 테이블(16)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계측 기기 배치 영역(11d)에 배치되는 각종 계측 기기의 준비를 행한다.
그 후, 제어 장치(40)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 장치(44)에 시험 개시의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30, S30의 "아니오"). 입력 장치(44)에 시험 개시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스텝 S30의 "예"), 발사 장치 제어부(41)는, 발사 장치(20)에 슬레드(10)의 쳐 내기를 행하는지 여부의 쳐 내기 판정 처리를 행하게 한다. 쳐 내기 판정 처리는, 예를 들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100)의 각 부에 있어서 정상적인 쳐 내기를 방해하는 사상 등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쳐 내기 판정 처리는, 예를 들어 수초 정도 행해진다. 이 쳐 내기 판정 처리의 기간에, 슬레드 제어부(42)는, 전자석부(13)를 작동시킨다(스텝 S40). 스텝 S40에 의해, 슬레드(10)의 쳐 내기 개시까지의 동안에, 전자석부(13)에 의해 자기가 발생하고, 테이블(16)이 자력에 의해 슬레드 본체(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예를 들어 볼트 등의 설치를 행하지 않고, 슬레드(10)에 테이블(16)을 고정시킬 수 있다.
쳐 내기 판정 기간이 완료되고, 쳐 내기 개시의 타이밍이 도달한 경우, 발사 장치 제어부(41)는, 발사 장치(20)의 장치 본체(21)를 제어하고, 시험 개시 위치 P1에 배치되는 슬레드(10)에 대하여 후방에 가속도를 부여함으로써, 슬레드(10)를 쳐 낸다(스텝 S50). 슬레드(10)는,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피스톤에 의해 슬라이더(12)가 레일(31)로부터 부상하고,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레일(31)이 상하로부터 클램프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슬레드 본체(11)는, 브레이크 패드와 레일(31) 사이의 마찰에 의해, 서서히 속도가 저하되어 정지한다.
슬레드 제어부(42)는, 슬레드(10)가 쳐 내어진 후, 슬레드(10)가 정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0, 스텝 S60의 "아니오"). 이 판정은, 예를 들어 슬레드(10)에 도시하지 않은 가속도 센서 또는 속도 센서 등을 배치해 두고, 당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슬레드 제어부(42)는, 슬레드(10)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60의 "예"), 전자석부(1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스텝 S70). 이 동작에 의해, 전자석부(13)에 의한 자기가 저하되고, 테이블(16)의 고정이 해제된다. 테이블(16)의 고정이 해제된 후, 작업자는, 예를 들어 볼트 등의 분리를 행하지 않고, 슬레드(10)로부터 테이블(16)을 철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레드(10)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공시체가 배치된 테이블(16)을 탑재 가능하며, 수평면을 따른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31) 위를 이동 가능한 슬레드 본체(11)와, 슬레드 본체(11)에 마련되고, 자력에 의해 테이블(16)을 고정시키는 전자석부(13)를 구비한다.
따라서, 전자석부(13)를 작동하는 경우에는 자력에 의해 테이블(16)을 슬레드 본체(11)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전자석부(13)의 작동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테이블(16)의 고정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수의 볼트를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고 및 소비 시간을 삭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슬레드(10)에 있어서, 슬레드 본체(11)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11b)를, 소정 방향에 직교하고 수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복수 갖고, 전자석부(13)는, 복수의 직선부(11b)의 각각에,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복수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직선부(11b)의 각각에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전자석부(13)를 복수 배치함으로써, 테이블(16)을 슬레드 본체(11)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슬레드(10)에 있어서, 슬레드 본체(11)는, 테이블(16)을 배치하는 영역과는 다른 계측 기기 배치 영역(11d)을 덮는 자기 실드부를 갖는다. 따라서, 자기 실드부로 덮인 개소에, 계측 기기 등, 자력의 영향을 받기 쉬운 기기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100)는, 수평면을 따른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31)과, 레일(31) 위를 이동 가능한, 상기 슬레드(10)와, 슬레드(10)를 소정 방향으로 쳐 내는 발사 장치(20)와, 소정의 입력에 기초하여 슬레드(10)를 소정 방향으로 쳐 내도록 발사 장치(20)를 제어하고, 발사 장치(20)에 의한 쳐 내기 개시의 타이밍보다도 소정 기간 전에 전자석부(13)를 작동시켜, 슬레드 본체(11)의 쳐 내기가 완료된 후에 전자석부(1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은, 수평면을 따른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31) 위를 이동 가능하며, 자성체를 포함하고 공시체가 배치된 테이블(16)을 탑재하고, 자력에 의해 테이블(16)을 고정시키는 전자석부(13)를 갖는 대차를, 레일(31) 위에 배치하는 것과, 레일(31) 위 배치된 슬레드(10)를, 발사 장치(20)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쳐 내는 것과, 슬레드(10)를 쳐 낼 때, 쳐 내기 개시의 타이밍보다도 소정 기간 전에 전자석부(13)를 작동시켜, 슬레드 본체(11)의 쳐 내기가 완료된 후에 전자석부(1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석부(13)에 의해 테이블(16)의 고정 상태를 전환 가능한 슬레드(10)가 사용되기 때문에, 테이블(16)의 설치 또는 철거에 요하는 수고 및 소비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슬레드(10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평면도, 도 6은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레드(10A)는, 클램프부(17)를 가져도 된다.
클램프부(17)는, 슬레드 본체(11)의 상면에 배치된다. 클램프부(17)는, 테이블(16)에 착탈 가능하며, 테이블(16)에 장착된 상태에서 당해 테이블(16)을 보유 지지한다. 클램프부(17)는, 예를 들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장착 상태와 장착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해도 된다. 또한, 클램프부(17)는, 제어 장치(40)의 제어에 의해 장착 상태와 장착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해도 된다. 클램프부(17)를 테이블(16)에 장착함으로써, 테이블(16)은, 전자석부(13)의 자력과 함께, 클램프부(17)의 파지력에 의해 슬레드 본체(11)에 고정된다. 또한, 클램프부(17)에 의해, 테이블(16)의 수평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테이블(16)을 슬레드 본체(11)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부(17)에 의해, 예를 들어 전자석부(13)로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테이블(16)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슬레드(10B)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부(17)는, 예를 들어 유압 기구(18)에 의해 착탈을 전환 가능해도 된다. 유압 기구(18)는, 유압 구동원(18a)과, 유압 전달부(18b)를 갖는다. 유압 구동원(18a)은, 예를 들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클램프부(17)의 착탈 상태를 유압 기구(18)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압 기구(18)에 의한 큰 힘으로 테이블(16)을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자석부(13)에 의한 테이블(16)의 고정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검출부로서는, 예를 들어 자기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자기 센서를 슬레드 본체(11)에 배치함으로써, 전자석부(13)로부터의 자기를 검출 가능하다. 또한, 슬레드 제어부(42)가, 전자석부(13)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전자석부(13)에서 발생하는 시기를 추측해도 된다. 테이블(16)의 고정 상태는, 예를 들어 전자석부(13)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의 강도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자석부(13)로부터 발생하는 자기가 강할수록, 테이블(16)이 강하게 고정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전자석부(13)로부터 발생하는 자기가 약할수록, 테이블(16)의 고정이 약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 장치(40)는, 쳐 내기 판정이 행해지는 기간에,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40)는, 전자석부(13)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자기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제어 장치(40)는, 자기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미만인 경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40)는,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발사 장치(20)에 의한 쳐 내기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 동작에 의해, 예를 들어 테이블(16)의 고정 상태가 불충분한 경우에 쳐 내기를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석부(13)를 사용하여 테이블(16)을 슬레드 본체(11)에 고정시키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의 전자석부(13) 대신에, 또는 전자석부(13)에 추가하여, 볼트에 의해 테이블(16)을 슬레드 본체(11)에 고정시켜도 된다. 이 경우, 테이블(16)을 모두 볼트에 의해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볼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테이블의 착탈에 요하는 수고 및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레드(10)가 쳐 내어진 후, 슬레드 제어부(42)에 의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자석부(13)의 작동이 정지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슬레드(10)가 정지한 경우,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자석부(13)의 작동을 정지시켜도 된다.
10, 10A, 10B: 슬레드
11: 슬레드 본체
11a: 기부
11b: 직선부
11c: 연결부
11d: 계측 기기 배치 영역
12: 슬라이더
13: 전자석부
14: 자기 실드부
15: 공시체
16: 테이블
17: 클램프부
18: 유압 기구
18a: 유압 구동원
18b: 유압 전달부
20: 발사 장치
21: 장치 본체
22: 피스톤 로드
30: 레일부
31: 레일
32: 슬레드 이동 장치, 이동 장치
33: 에어 팰릿
34: 접속 레일
36: 스토퍼
40: 제어 장치
41: 발사 장치 제어부
42: 슬레드 제어부
43: 이동 제어부
44: 입력 장치
100: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P1: 시험 개시 위치

Claims (8)

  1. 직사각형의 평판형이며, 자성체를 포함하고 공시체를 배치 가능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을 탑재 가능하며, 수평면을 따른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위를 이동 가능한 대차 본체와,
    상기 대차 본체에 마련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테이블을 고정시키는 전자석부
    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 본체는, 상기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를, 상기 소정 방향에 직교하고 수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2개 갖고,
    상기 전자석부는, 2개의 상기 직선부의 각각에, 상기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복수 배치되고,
    상기 대차 본체는, 상기 테이블에 착탈 가능하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을 보유 지지하는 클램프부를 갖고,
    상기 테이블은, 대향하는 2변이 2개의 상기 직선부를 따른 상태에서 상기 대차 본체에 적재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테이블의 4변 중 상기 직선부를 따른 2변과는 다른 2변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기 테이블의 외측으로부터 파지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의 착탈을 전환하는 유압 기구를 구비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본체는, 상기 테이블을 배치하는 영역과는 다른 소정 영역을 덮는 자기 실드부를 갖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4. 수평면을 따른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 위를 이동 가능한, 제1항에 기재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와,
    상기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쳐 내는 발사 장치와,
    소정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쳐 내도록 상기 발사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발사 장치에 의한 쳐 내기 개시의 타이밍보다도 소정 기간 전에 상기 전자석부를 작동시켜, 상기 대차 본체의 쳐 내기가 완료된 후에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고정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석부를 작동시키고 나서 상기 쳐 내기 개시의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발사 장치에 의한 쳐 내기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6. 제1항에 기재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를, 상기 레일 위에 배치하는 것과,
    상기 레일 위 배치된 상기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를, 발사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 방향으로 쳐 내는 것과,
    상기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를 쳐 낼 때, 상기 쳐 내기 개시의 전에 행하는 쳐 내기 판정 기간에 상기 전자석부를 작동시켜, 상기 대차 본체의 쳐 내기가 완료된 후에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217025443A 2019-02-20 2020-01-16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 KR102568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8892 2019-02-20
JP2019028892A JP7249806B2 (ja) 2019-02-20 2019-02-20 自動車衝突模擬試験用台車、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及び自動車衝突模擬試験方法
PCT/JP2020/001363 WO2020170665A1 (ja) 2019-02-20 2020-01-16 自動車衝突模擬試験用台車、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及び自動車衝突模擬試験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715A KR20210110715A (ko) 2021-09-08
KR102568287B1 true KR102568287B1 (ko) 2023-08-21

Family

ID=7214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443A KR102568287B1 (ko) 2019-02-20 2020-01-16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49806B2 (ko)
KR (1) KR102568287B1 (ko)
CN (1) CN113424037A (ko)
WO (1) WO202017066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0864A (ja) * 2013-06-27 2015-01-19 コイト電工株式会社 動荷重試験装置
WO2018007455A1 (de) * 2016-07-06 2018-01-11 4Activesystems Gmbh Verfahrbare plattform mit einem verformbaren grundkörper zum testen von kollisionen oder kollisionsnahen situation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881B2 (ja) * 1989-11-06 1996-01-24 鴻池運輸株式会社 鋳片連結用治具の鋳型内自動挿入装置
JPH06331534A (ja) * 1993-05-26 1994-12-02 Nec Corp 薄膜の機械的特性測定装置
JP3276913B2 (ja) * 1997-12-25 2002-04-22 日本鋼管株式会社 ロッドミル内のロッド搬出入装置
JP2003215007A (ja) * 2002-01-28 2003-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落下試験装置
JP2005352775A (ja) * 2004-06-10 2005-12-22 Hitachi Metals Ltd 被試験体の保持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試験装置
CN101430251B (zh) * 2008-12-25 2014-03-12 中南大学 车辆部件实物碰撞试验方法及试验装置
JP2012002699A (ja) * 2010-06-17 2012-01-05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及びその方法と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用制御装置
JP5582980B2 (ja) * 2010-11-16 2014-09-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
CN202008434U (zh) * 2011-01-04 2011-10-12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正面台车碰撞试验装置
CN103940571B (zh) * 2014-05-09 2016-08-24 中南大学 气动发射式低噪轨道车辆实车撞击试验系统
CN104236841A (zh) * 2014-10-15 2014-12-24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 汽车碰撞模拟台车装置
JP6518145B2 (ja) * 2015-06-24 2019-05-22 株式会社エヌエステイー 衝突防止装置評価システムのための歩行者ダミー駆動装置
CA3012879A1 (en) * 2016-01-29 2017-08-03 Positec Power Tools (Suzhou) Co., Ltd. Chuck
CN107860585B (zh) * 2017-09-15 2019-05-03 长沙立中汽车设计开发股份有限公司 一种对撞型台车动力装置
CN109296233B (zh) * 2018-11-07 2024-02-13 合肥工业大学 一种斜方位临时停车系统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0864A (ja) * 2013-06-27 2015-01-19 コイト電工株式会社 動荷重試験装置
WO2018007455A1 (de) * 2016-07-06 2018-01-11 4Activesystems Gmbh Verfahrbare plattform mit einem verformbaren grundkörper zum testen von kollisionen oder kollisionsnahen situatio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4343A (ja) 2020-08-31
KR20210110715A (ko) 2021-09-08
CN113424037A (zh) 2021-09-21
JP7249806B2 (ja) 2023-03-31
WO2020170665A1 (ja)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634B2 (en) Workpiece mounting device
KR102513737B1 (ko) 자동차 충돌 시험용 대차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US2012020463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rash simulation device, auxiliary device for a crash simulation device, and crash simulation device having such an auxiliary device
KR101976599B1 (ko) 주조용 코어 장입장치
KR102568287B1 (ko)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용 대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방법
WO2017206329A1 (zh) 一种组合式摆锤试验台
KR100494328B1 (ko) 콘트롤페달의 후퇴변위억제기구
CN109443799A (zh) 用于测试车辆aeb-vru功能的装置及系统
JP7202926B2 (ja)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及び自動車衝突模擬試験方法
CN106239565B (zh) 自动装箱桁架机械手
JP2010237026A (ja) 落下試験装置
JP6615355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US8875590B2 (en) Crash simulation and crash simulation method
JP2007276006A (ja) 工作機械
JP4262493B2 (ja) 射出成形機の金型固定装置
JP2000272431A5 (ko)
KR20080025947A (ko) 차량용 슬래드 시험장치
KR100287680B1 (ko) 크래쉬 패드 자동 투입 장치
CN208855611U (zh) 铁路车辆的制动器工作装置
CN220660658U (zh) 一种翼子板支架定位组件及翼子板支架安装工装
JP3860936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組付装置
JP5694395B2 (ja) 車両組立装置
JP6523347B2 (ja) 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KR0161586B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틱 테스트 지그
KR20140139222A (ko) 볼스터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