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052B1 - 화상 신장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신장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052B1
KR102568052B1 KR1020190113880A KR20190113880A KR102568052B1 KR 102568052 B1 KR102568052 B1 KR 102568052B1 KR 1020190113880 A KR1020190113880 A KR 1020190113880A KR 20190113880 A KR20190113880 A KR 20190113880A KR 102568052 B1 KR102568052 B1 KR 10256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ded data
decompression
cod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648A (ko
Inventor
다이사쿠 모리와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48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 G06K15/1856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characterized by its workf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67Post-processing of the composed and rasterized print image
    • G06K15/1886Storage of the print image data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mpressed domain processing techniques other than decoding, e.g. modific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variable length coding [VLC] data or run-length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3Run-length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6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r the storage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Details therefor, e.g. coding or deco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신장장치는, 제1 신장부와, 제1 신장부가 대응하지 않는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할 수 있는 제2 신장부와, 각 부호화된 블록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부호화된 주목 블록이 제1 신장부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종류일 경우에는, 부호화 데이터를 메모리에 격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신장부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소정의 부호화 데이터를 메모리에 격납하는 작성부와, 제1 신장부를 제어해서 메모리 내부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함으로써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제2 신장부를 제어해서 제1 신장부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 결과로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 신장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IMAGE DECOMPR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화상 신장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의 해상도가 증가하였다. 화상이 고해상도가 될수록, 화상의 데이터량은 방대해진다. 그 때문에, 보다 적은 메모리 자원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보다 단시간에 네트워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부호화를 사용한 화상 압축기술이 중요하게 되고 있다. 한편, 화상 압축기술은 화상 품위를 손상하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화상 품위를 손상하지 않는 부호화 방식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미 판매된 제품이 대응하는 부호화 방식은 판매시의 기술 레벨에 의존하므로, 판매후에 개발된 새로운 포맷의 부호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국 특개 2004-236226호 공보(이하, 문헌 1로 부른다)는 기존의 디코드 프로그램에 의해 신장 불가한 신규의 화상 규격으로 화상 규격이 판별되었을 경우에,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된 디코드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고, 신규의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부호 데이터를 신장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10-322216호 공보(이하, 문헌 2로 부른다)는, 부호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부호 데이터가 신규의 부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통지하는 동시에, 신규의 부호 방식의 포맷 정보를 포함하는 부호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부호 신장장치가 새로운 포맷 정보를 사용해서 동적으로 그것의 동작을 변화시킴으로써, 신규의 부호 방식에 대해 신장을 행한다.
또 다른 기술로서, 신규의 부호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 데이터로서 검출된 부분을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하고, 종래의 부호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 데이터를 부호 신장장치에 의해 고속으로 처리하는 수법이 알려져 있다.
문헌 1에서는, 새로운 부호화 데이터에 새로운 방식의 신장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신장측이 새로운 부호화 데이터의 신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문헌 1은, 새로운 부호화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장치가 그 이전의 방식에 적용한 하드웨어로서의 신장회로를 포함하더라도, 이 회로가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재구성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고정화된 하드웨어로 구성된 장치에는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새로운 부호화 데이터를 새로운 소프트웨어 만을 사용하여 신장하는 것 대신에, 기존의 고정화된 신장에 관한 구성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만의 대응과 비교하여, 속도 저하를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면에 따르면,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신장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가능한 제1 신장 수단과, 상기 제1 신장 수단이 대응하지 않는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행하는 제2 신장 수단과,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각 블록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하고, 이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소정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격납함으로써,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작성 수단과, 상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신장 수단을 제어해서 신장함으로써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상기 제2 신장 수단을 제어해서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 결과로 상기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출력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면에 따르면,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신장장치로서, 블록 단위로 미리 설정된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가능한 제1 신장 수단과, 복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가 혼재한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가능한 제2 신장 수단과,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각 블록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단독의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하고,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복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할 수 있는 단독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로서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함으로써,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작성 수단과, 상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신장 수단을 제어해서 신장하고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상기 제2 신장 수단을 제어해서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나머지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 결과로 상기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출력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면에 따르면,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신장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는 제1 신장 단계와, 상기 제1 신장 단계가 대응하지 않는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행하는 제2 신장 단계와,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각 블록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 가능한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하고, 이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불가능한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 가능한 소정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함으로써,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가능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와, 상기 작성 단계에서 작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신장 단계를 제어해서 신장함으로써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상기 제2 신장 단계를 제어해서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불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 결과로 상기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출력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장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면에 따르면,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신장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블록 단위로 미리 설정된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는 제1 신장 단계와, 복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가 혼재한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는 제2 신장 단계와,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각 블록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 가능한 단독의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하고,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불가능한 복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할 수 있는 단독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로서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함으로써,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가능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와, 상기 작성 단계에서 작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신장 단계를 제어해서 신장함으로써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상기 제2 신장 단계를 제어해서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불가능한 나머지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 결과로 상기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출력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장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면에 따르면, 컴퓨터가 판독하여 실행할 때, 상기 컴퓨터에, 상기한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부호화 데이터를 새로운 소프트웨어 만을 사용하여 신장하는 것 대신에, 기존의 고정화된 신장에 관한 구성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만의 대응과 비교하여, 속도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a 및 도2b는, 화상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복수 종류의 부호화 방식의 1개를 사용해서 부호화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a 및 도3b는, 부호 방식을 판별하면서 신장 처리를 전환하는 수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새로운 부호화 신장부의 구성과 RAM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새로운 부호화 신장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새로운 부호화 신장부의 처리와 RAM 내부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새로운 부호화 신장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새로운 부호화 신장부의 처리와 RAM 내부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수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서 본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신장장치(화상 복호)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장치(100)의 블록 구성도다. 이 화상 형성장치(100)는, CPU(101), R0M(102), RAM(103), 입력부(104), 부호 신장부(105), 화상처리부(106) 및 인쇄 처리부(107)로 구성되고, 이것들은 내부 버스(108)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R0M(102)은, 고쳐쓰기가 가능한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며, 격납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CPU(101)은, ROM(102)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연산 처리나 부호 신장장치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ROM(102)은 고쳐쓰기 가능하면 어떤 종류가 될 수 있으며, 플래시 메모리, EEPROM 등이어도 된다. RAM(103)은, 판독/기록 가능한 메모리이며,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억매체다. 입력부(104)는, 호스트 PC나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RAM(103)에 격납한다. 부호 신장부(105)는, 입력부(104)에 의해 수신되어 RAM(103)에 격납된, 소정의 종류의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복호)해서, 압축전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처리부(106)는, 부호 신장부(105)의 신장 처리에서 얻은 화상 데이터를 인쇄 처리부(107)의 특성에 적합한 화상 데이터로 변환(RGB→YMCK 변환 및 하프톤 처리)하고, 화상 데이터를 인쇄 처리부(107)의 입력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해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쇄 처리부(107)는, 전자정보인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매체(기록지) 위에 화상을 형성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은 잉크 액을 기록매체 위에 토출하는 타입을 갖지만, 전자사진 방식과 같이 토너를 이용하는 타입이어도 된다. 화상 형성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CPU(101)은, ROM(102)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새로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러한 새로운 프로그램으로의 업데이트는 이하의 절차에 따라 행해진다. 화상 형성장치(100)는, 입력부(104)를 통해 호스트 PC나 서버(미도시)로부터, 통상의 인쇄 데이터와 식별가능한 형식으로, 새로운 제어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이 제어 프로그램을 RAM(103)에 보존한다. 그리고, CPU(101)은, R0M(102) 내의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 위치(고쳐 쓰지 않을 어드레스 위치)에 격납된 고쳐쓰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신한 새로운 제어 프로그램을 R0M(102) 위에 덮어쓴다. 덮어쓰기가 완료하면, CPU(101)은 일단 리셋을 행하고, 덮어써진 새로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0)에 있어서의 업데이트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 신장이나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할 경우, 그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사각형 블록(또는 타일)의 화상 데이터로 분할하고, 각 사각형 블록의 화상 데이터의 특징 에 따라 적합한 부호 방식을 선택해서,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수법이 자주 사용된다. 여기에서, 사각형 블록의 화상 데이터의 특징에 대해, 예를 들면, 그 블록 내에 출현하는 컬러 수, 자연 화상에서와 같이 유사한 색들의 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 등의 특징이 부호 방식의 선택에 사용된다. 사각형 블록마다 이들 특징을 해석하여, 보다 부호화 효율이 높은 부호 방식이 선택된다.
도2a는,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부호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a를 참조하여, 복수의 부호 방식을 화상의 특징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설명한다.
참조부호 201은, 부호화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1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는 수평방향 448화소, 수직방향 128화소(이하, 이 수평/수직의 관계를 간단히 448x128화소로 기재한다)의 사이즈를 갖는다. 이 화상(201)은, 64x64화소로 각각 구성되는 사각형 블록들로 분할된다. 그러면,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상(201)은 7x2개의 사각형 블록으로 분할되게 된다. 이때, 화상의 사이즈와 1 블록의 사이즈에 대해, 상세한 예는 이해를 위해 각각 나타낸 것으로, 사이즈가 이들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참조부호 202로 나타낸 백색 배경 부분은 배경 영역이고, 참조부호 203으로 나타낸 해칭된 부분은 자연 화상 영역이고, 참조부호 204는 단일 색으로 묘화된 텍스트 영역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205는 단일 색의 그래픽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206 내지 209는, 화상의 종류별의 사각형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사각형 블록 206의 화상은, 단일 색의 그래픽 영역 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일 색 영역의 부호화에 적합한 로스리스(lossless) 부호화 방식(가역 부호화)인 방식 A에 의해 부호화된다.
사각형 블록 207의 화상은, 복수 색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있지만, 출현하는 색의 종류는 적다. 그러므로, 이 사각형 블록 207은 로스리스 부호 방식인 방식 B에 의해 부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식 B에서는, 동일 색이 연속하는 화소 수를 부호화해서 압축을 행하는 방식인 런 렝스(run length) 부호 방식을 사용해서 부호화가 행해진다. 또는, 미리 결정된 수의 색을 등록한 팔렛 테이블을 사용하여, 테이블의 인덱스를 부호화하는 팔렛 부호 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사각형 블록 208의 화상은,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배경 영역과 자연 화상 영역으로 구성되므로, 자연 화상의 화질 열화를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로시(lossy) 부호화(비가역 부호화) 방식인 JPEG 방식을 사용한 방식 C를 이용하여 부호화된다. 방식 C에서 사용되는 부호 방식은, 예를 들면, JPEG 2000 등의 JPEG 이외의 방식이어도 된다.
사각형 블록 209의 화상은, 자연 화상 영역과 텍스트 영역이 혼재하고 있는 화상이다. 이러한 특징의 화상에 대해 방식 C를 사용하면, 이 방식 C가 JPEG 방식을 사용한 로시 부호 방식이기 때문에, 자연 화상 영역에서 화질 열화가 눈에 띄기 어렵다. 그러나, 텍스트 영역에서는, 엣지가 블러되는 것 등의 화질 열화가 눈에 띌 수 있다. 이 때문에, 텍스트 영역은 로스리스 부호 방식인 방식 B를 사용하여 부호화하고, 자연 화상 영역은 로시 부호 방식인 방식 C를 사용해서 부호화하는, 2개의 방식 B 및 C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부호 방식인 방식 D에 의해 화상이 부호화된다.
이상과 같이, 각 사각형 화상의 특징에 따라 최적의 부호 방식이 선택되고, 화상이 각 방식으로 부호화된다. 도2b는 7x2개의 사각형 블록과 이것에 대한 부호화 방식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9는, 도2b에 나타내는 부호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부에서 수신하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90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화 데이터 900은, 파일 헤더(901) 및 파일 헤더(901)에 후속하는 블록들 910, 911, 912, 913…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파일 헤더(901)는, 1 화소의 비트 수, 화상 데이터의 색 공간의 종류와, 화상이 7x2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의 신장에 필요한 정보를 격납하고 있다. 블록 910, 911…의 순서는, 도2b에 나타내는 블록들의 래스터 스캔 순서이다. 따라서, 블록 910의 부호화 데이터는 도 2b 좌측 상측 코너의 사각형 블록에 대응한다. 블록 910의 부호화 데이터는, 블록 헤더 910a와, 페이로드인 부호화 데이터 910b로 구성된다. 블록 헤더 910a는, 해당하는 블록이 "방식 A"로 부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정하는 식별 비트, 및, 이 블록이 64x64 화소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의 각종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나머지 블록들 911, 912, 913…에도 적용된다. 이때, 파일 헤더에 1 블록이 64x64 화소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격납되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 신장부(105)는, 방식 A, B 및 C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할 수는 있지만, 방식 D의 부호화 데이터는 신장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부호 신장부(105)가 방식 A, B 및 C에 대응하지만, 방식 D에 미대응인 것으로 가정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R0M(102) 내부의 제어 프로그램을 갱신함으로써, 도 2b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부호화 데이터 900을 정확하게 신장한다.
우선, 이때의 신장 처리를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각형 영역 301 내지 306은, CPU(101), 혹은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신장 처리가 되는 처리 단위다. 도3a는, 화상(201)과 사각형 영역 301 내지 306을 중첩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3b는, 화상(201)이 사각형 영역 301 내지 306으로 나누어서 처리되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해칭된 사각형 영역은 부호 신장부(105)에서 직접적으로는 신장할 수 없는 부호 방식 D의 영역이다.
우선,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신장 처리를 전환하여 행할 경우에 발생하는 오버헤드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신장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신장할 경우의 처리 성능은 하드웨어 디코더로 구성된 부호 신장부(105)의 처리 성능보다도 크게 뒤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각각의 사각형 블록 단위에 대해 부호화된 화상(201)의 부호 데이터를, 사각형 블록 단위로 해석해서 부호 방식을 판별함으로써, 부호 데이터를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에 따라,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할 수 없는 부분 만을 CPU(101)에 의해 신장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장한다. 이에 따라, 긴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는 신장 프로그램에 의해 신장 처리를 겪는 부호 데이터의 처리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도3b의 사각형 영역 301은 3개의 사각형 블록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이들 3개의 사각형 블록은, 도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부호 방식 A 또는 B로 압축된다. 이들은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시킬 수 있는 영역이며, 고속으로 신장할 수 있다.
사각형 영역 302는, 3개의 사각형 블록을 포함하는 영역이며, 새로운 방식 D에 의해 부호화된다. 그러므로, 사각형 영역 302는 CPU(101)에 의해 신장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신장할 필요가 있는 영역이다.
사각형 영역 303은, 1개의 사각형 블록을 포함하는 영역이며, 부호 방식 C로 부호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사각형 영역 303은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신장할 수 있다.
사각형 영역 304는, 3개의 사각형 블록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이들 사각형 블록이 방식 A 또는 B로 부호화되어 있으므로,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할 수 있다.
사각형 영역 305는, 2개의 사각형 블록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이들 사각형 블록은 방식 D로 부호화되어 있으므로, CPU(101)에서 신장할 필요가 있다.
사각형 영역 306은, 2개의 사각형 블록을 포함하는 영역이며, 부호 방식 C로 부호화되어 있다. 따라서, 사각형 영역 306은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시킬 수 있다.
이렇게, 사각형 영역마다 부호 방식을 해석하여, 사각형 영역 301 내지 306의 6개의 부분 영역마다 부호 신장부(105)에 의한 신장 처리와, 신장 프로그램에 의한 신장 처리를 전환하면서 신장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부호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위해서는, 신장할 부호 데이터에 관한 제어 정보 및 출력 데이터에 관한 제어 정보가 필요하다. 부호 데이터에 관한 제어 정보는, 부호 데이터가 RAM(103) 위의 어느 곳에 보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시 어드레스, 및 부호 데이터 사이즈 또는 종료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출력 데이터에 관한 제어 정보는, 신장 데이터를 RAM(103) 위의 어느 것에 출력할지를 나타내는 출력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부호 신장부(105)와 신장 프로그램에 의해 신장을 행한 경우의 처리의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1) 영역 301을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신장한다.
(2) 영역 302를 신장 프로그램에 의해 신장한다.
(3) 영역 303을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신장한다.
(4) 영역 304를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신장한다.
(5) 영역 305를 신장 프로그램에 의해 신장한다.
(6) 영역 306을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신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201)을 6개의 부분 영역으로 나누어, CPU(101)가 6회의 판단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어 정보를 블록마다 산출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처리 시간이 걸리는 신장 프로그램에 의한 신장 처리를 필요 최소한의 영역에 한정해도, 부호 신장부(105)와 신장 프로그램 사이의 전환시에 발생한 오버헤드가 크고, 성능 열화가 커진다. 또한,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신장해야 할 부호화 데이터가 RAM(103)의 불연속인 어드레스에 존재하기 때문에, CPU(101)은 복수회로 나누어서 부호 신장부(105)에 대한 설정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도, 처리 성능의 저하는 피할 수 없다.
본실시형태에서는, 도4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해, 부호화 단위마다 신장 프로그램과 부호 신장부(105) 사이의 전환에 기인하는 오버헤드를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한다.
도4는, R0M(102)에 있는 갱생된 제어 프로그램이 CPU(101)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의 기능부, 기존의 부호 신장부(105)로 구성되는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와, RAM(103)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다.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 내부의 부호 방식 해석부(401), 변환 부호 작성부(402), 및 방식 D 신장부(403)는, 갱신후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0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부다. 부호 신장부(105)는, 화상 형성장치(100) 내부에 원래 설치되는 하드웨어이며, 방식 A, B 및 C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한다. RAM(103)에는, 수신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 영역(405),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 및, 신장 처리의 출력용으로서의 신장 데이터 영역(407)이 미리 할당되어 있다.
이하,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의 동작을 도5의 흐름도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은, RAM(103)에 있어서의 영역 405 내지 407의 데이터의 격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외부에서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RAM(103)의 부호화 화상 데이터 영역(405)에의 격납 처리를 끝내면, 신장 처리를 개시한다.
우선, 스텝 S501에서,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부호 방식 해석부(401)를 제어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터 영역(405)으로부터 1개의 블록(이하, 주목 블록이라고 한다)의 헤더를 해석시켜, 이 블록의 부호 방식을 판정시킨다. 다음에, 스텝 S502에서,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판정한 부호 방식이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가능한 부호 방식(방식 A 내지 C)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바꿔 말하면,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 신장부(105)가 주목 블록의 신장에 대응하고 있는지 않는지를 판정한다. 이 방식이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할 수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처리를 스텝 S503으로 진행하여,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블록 헤더를 포함한다)를 그대로 카피하여,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 보존한다.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가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할 수 없는 방식(방식 D)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정했을 경우,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처리를 스텝 S504로 진행한다. 스텝 S504에서,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변환 부호 작성부(402)를 제어하여, 부호 신장부(105)가 신장가능한, 미리 설정된 더미의 고정 부호화 데이터를,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 보존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더미의 고정 부호화 데이터는, 가장 단순하고 가장 짧은 부호 길이를 갖는 방식 A의 부호화 데이터이다.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스텝 S505에서, 전체 블록에 관한 판정 처리를 마쳤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NO인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501로 되돌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전체 블록의 부호 판정 처리를 마치면,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는, 방식 A 내지 C 만의 부호화 데이터가 블록순으로 연속해서 격납되게 된다. 즉, 외관상으로는,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는,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신장할 수 있는 형식의 부호화 데이터가 블록순으로 연속해서 격납되게 된다.
따라서, 스텝 S506에서,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 격납된 각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의 신장처리를 부호 신장부(105)에게 행하게 하여, 신장 데이터 영역(407)에 신장된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서 격납한다.
그리고, 이후,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처리를 스텝 S507로 진행한다. 이 스텝 S507에서,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방식 D 신장부(403)를 제어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터 영역(405)에 격납된 방식 D의 부호화 데이터가 존재하는 한, 부호화 데이터의 신장을 행하게 하여, 얻어진 블록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 데이터 영역(407) 내의 해당하는 블록에 덮어쓰는 것을 반복하게 한다.
그후, 신장 데이터 영역(407)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화상처리부(106)에 의해 화상처리 및 인쇄 처리가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새로운 부호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식 D의 부호화 데이터)가 존재하더라도, 제1단계에서, 지금까지 사용된 부호 신장부(105)가 신장가능한 연속된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구축하여, 한번에 신장시킨다. 그리고, 제2단계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새로운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을 행한다. 이렇게,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블록 단위로 부호 신장부(105)에 의한 신장 처리와 소프트웨어에 의한 신장 처리 사이의 전환에 기인하는 오버헤드를 제거할 수 있으며, 고속으로 신장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신장 처리의 지연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인쇄에 관한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부호 신장부(105)가 단독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가능한 부호화 데이터의 카피가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 격납된다.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이 불가능한 방식 D의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것과는 무관계의 방식 A의 더미의 고정 부호 데이터가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 격납됨으로써, 전체 블록에 대해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신장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더미의 고정 데이터를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 격납하는 것 대신에, 원래의 방식 D의 부호화 데이터에 근거하여, 부호 신장부(105)가 신장할 수 있는 부호 데이터를 변환하여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을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방식 D가 2가지 다른 종류의 부호 방식을 조합한 하이브리드형 부호화 데이터인 것을 감안하여, 변환 부호 작성부(402)가 방식 D의 부호 데이터를, 부호 신장부(105)가 신장할 수 있도록 하는 부호 방식 C의 데이터 구조로 변환한다.
도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RAM(103) 내의 영역 405 내지 407의 데이터의 격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외부에서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가 RAM(103)의 부호화 화상 데이터 영역(405)에 격납되면, 처리가 개시한다.
우선, 스텝 S701에서,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부호 방식 해석부(401)를 제어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터 영역(405)으로부터 1개의 블록(이하, 주목 블록이라고 한다)의 헤더를 해석시켜, 이 블록의 부호 방식을 판정시킨다. 다음에, 스텝 S702에서,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판정한 부호 방식이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가능한 부호 방식(방식 A 내지 C)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바꿔 말하면,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부호 신장부(105)가 주목 블록의 신장에 대응하고 있는지 않는지를 판정한다.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판정한 경우,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처리를 스텝 S703으로 진행하여,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블록 헤더를 포함한다)를 그대로 카피하고,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 보존한다.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가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할 수 없는 방식(방식 D)이라고 판정한 경우,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처리를 스텝 S704로 진행한다. 스텝 S704에서,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변환 부호 작성부(402)을 제어하여,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할 수 있는 부호 데이터로 변환한다. 도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텝 S704에 있어서의 부호 데이터의 변환 방법을 설명한다.
도8의 참조부호 801은, 부호 방식 해석부(401)에 의해 검출되고 부호 신장부(105)에서 신장할 수 없는 하이브리드 형식의 부호 방식 D에 의해 부호화된 블록의 부호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부호 802는, 하이브리드 형식의 부호 방식 D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구조 802는, 헤더, 로스리스 부호화 데이터 및 로시 부호화 데이터로 구성된다. 헤더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의 부호 데이터에 할당된 데이터이며, 부호 데이터가 부호화될 때의 부호 방식을 알 수 있다. 부호 방식 D는 로스리스 부호를 사용하는 방식 B와 로시 부호를 사용하는 방식 C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의 부호 방식이므로, 로스리스 부호 및 로시 부호의 데이터 구조는 각각 방식 B 및 C와 동일하다.
참조부호 803은, 변환 부호 작성부에 의해 변환된 로시 부호를 사용하는 방식 C의 부호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부호 804는, 헤더와 로시 부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식 C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변환 부호 작성부(402)는, 방식 D의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로스리스 부호 데이터를 삭제해서, 로시 부호 데이터 만을 남기고, 또한, 헤더를 방식 C로 고쳐씀으로써, 방식 D의 로시 부분을 방식 C로 변경한다. 그후, 변환 부호 작성부(402)는 변경 결과, 즉, 방식 C의 부호화 데이터로서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 보존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로스리스 부호 데이터를 삭제해서 로시 부호 만을 남긴다. 그 대신에, 로시 부호화 데이터를 삭제해서 로스리스 부호화 데이터 만을 남겨도 된다. 또한, 헤더를 고쳐씀으로써, 신장이 불가능하게 되는 로스리스 혹은 로시의 부호화 데이터를 부호 신장부(105)가 무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삭제를 행하지 않고 헤더 만을 고쳐써도 된다.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스텝 S705에서, 전체 블록에 관한 판정 처리를 마쳤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NO인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701로 되돌린다.
스텝 S705에서 전체 블록의 판정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RAM(103)의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는, 부호 신장부(105)가 신장할 수 있는 전체 블록에 대한 유의한 부호화 데이터가 격납된다.
따라서,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스텝 S706에서, 부호 신장부(105)를 제어하여, RAM(103)의 변환 부호 데이터 영역(406)에 격납된 부호화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실행시켜, 신장 데이터 영역(407)에 신장 결과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시킨다.
도8의 참조부호 805는, 스텝 S706의 처리의 완료시, 신장 데이터 영역(407)에 격납된 신장 데이터의 출력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점에서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 영역(405) 내부의 방식 D의 로시 부호화 데이터가 나타내는 배경 부분의 자연 화상 만 신장된다.
이 신장 처리를 마치면, 새로운 부호 신장부(400)는 스텝 S707로 처리를 진행하여, 방식 D 신장부(403)를 제어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터 영역(405) 내의 방식 D의 부호 데이터의 정보를 받고, 부호 데이터의 소프트웨어 디코드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부호 신장부(105)에 의해 로시 부호화 데이터의 부분이 신장되어 있다. 따라서, 방식 D 신장부(403)은 부호 방식 D의 로스리스 부호화 데이터의 부분을 디코드해서 얻은 화상 데이터를, 신장 데이터 영역(407)의 해당하는 위치에 합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존의 부호 신장장치에서 신장할 수 없는 새로운 부호 방식의 부호 데이터를 변환하여 종래의 부호 방식으로서 처리함으로써, 새로운 부호 방식의 신장 처리의 일부를 기존의 부호 신장장치가 행하게 할 있다. 이에 따라, 새롭게 개발된 부호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를 고속으로 신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방식 D는 2종류의 부호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의 혼재를 나타낸다. 그러나, 종류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종류가 혼재하면 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22)

  1. 복수의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신장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가능한 제1 신장 수단과,
    상기 제1 신장 수단이 대응하지 않는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행하는 제2 신장 수단과,
    상기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블록의 각 블록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하고,
    이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소정의 더미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함으로써, 상기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전체 블록에 대해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작성하는 작성 수단과,
    상기 작성 수단이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작성한 후에,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신장 수단을 제어해서 신장함으로써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상기 제2 신장 수단을 제어해서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고, 상기 제2 신장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출력용의 화상 데이터로서 상기 갱신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 신장장치.
  2. 복수의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신장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의 부호화 방식들 중 하나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가능한 제1 신장 수단과,
    상기 제1 신장 수단이 대응하지 않는 제2 종류의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가능한 제2 신장 수단 - 상기 제2 종류의 부호화 방식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의 제1 부호화 방식과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의 제2 부호화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부호화 방식임 - 과,
    상기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블록의 각 블록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 중 하나일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하고,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제2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를 제거하여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 중 하나가 되도록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로서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함으로써, 상기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전체 블록에 대해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작성하는 작성 수단과,
    상기 작성 수단이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작성한 후에,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신장 수단을 제어해서 신장함으로써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상기 제2 신장 수단을 제어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하이브리드 블록들에 있어서의 제2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고, 상기 제2 신장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출력용의 화상 데이터로서 상기 갱신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 신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 수단은 하드웨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장 수단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화상 신장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장 수단은, 로스리스 부호화 데이터와 로시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2종류의 부호화 데이터가 혼재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신장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따라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더 구비한 화상 신장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리스 부호화 데이터는 런 렝스(run length) 부호화된 데이터인 화상 신장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시 부호화 데이터는 JPEG 부호화 데이터인 화상 신장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의 헤더의 정보에 근거하여,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화상 신장장치.
  9. 삭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복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에, 상기 작성 수단은,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 수단에 의해 신장할 수 있는 단독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로서 상기 메모리에 격납하고,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의 헤더의 정보를 변경하는 화상 신장장치.
  11. 삭제
  12. 복수의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신장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는 제1 신장 단계와,
    상기 제1 신장 단계가 대응하지 않는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행하는 제2 신장 단계와,
    상기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블록의 각 블록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 가능한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하고,
    이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불가능한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가능한 소정의 더미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함으로써, 상기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전체 블록에 대해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작성하는 작성 단계와,
    상기 작성 단계가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작성한 후에,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신장 단계를 제어해서 신장함으로써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상기 제2 신장 단계를 제어해서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불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고, 상기 제2 신장 단계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출력용의 화상 데이터로서 상기 갱신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신장장치의 제어방법.
  13. 복수의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신장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의 부호화 방식들 중 하나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는 제1 신장 단계와,
    상기 제1 신장 단계가 대응하지 않는 제2 종류의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는 제2 신장 단계 - 상기 제2 종류의 부호화 방식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의 제1 부호화 방식과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의 제2 부호화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부호화 방식임 - 와,
    상기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블록의 각 블록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가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가능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 중 하나일 경우에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하고,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제2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를 제거하여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종류들 중 하나가 되도록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로서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함으로써, 상기 입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전체 블록에 대해 상기 제1 신장 단계에서 신장이 가능한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작성하는 작성 단계와,
    상기 작성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작성된 후에, 상기 소정의 메모리에 격납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신장 단계를 제어해서 신장함으로써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상기 제2 신장 단계를 제어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하이브리드 블록들에 있어서의 제2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고, 상기 제2 신장 단계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임시의 화상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출력용의 화상 데이터로서 상기 갱신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신장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장 단계는, 로스리스 부호화 데이터와 로시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2종류의 부호화 데이터가 혼재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는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리스 부호화 데이터는 런 렝스 부호화된 데이터인 제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시 부호화 데이터는 JPEG 부호화 데이터인 제어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의 헤더의 정보에 근거하여, 부호화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 제어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 단계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복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에, 상기 작성 단계는, 상기 복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 중 적어도 한개를 삭제함으로써,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 단계에 의해 신장할 수 있는 단독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로서 상기 메모리에 격납하는 제어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 단계에 의해 신장이 불가능한 복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에, 상기 작성 단계는,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 단계에 의해 신장할 수 있는 단독의 종류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주목 블록의 부호화 데이터로서 상기 메모리에 격납하고,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의 헤더의 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체 블록이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21. 컴퓨터가 판독하여 실행할 때, 상기 컴퓨터에, 청구항 12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22. 컴퓨터가 판독하여 실행할 때, 상기 컴퓨터에, 청구항 13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13880A 2018-09-18 2019-09-17 화상 신장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68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74190A JP6775558B2 (ja) 2018-09-18 2018-09-18 画像伸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8-174190 2018-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648A KR20200032648A (ko) 2020-03-26
KR102568052B1 true KR102568052B1 (ko) 2023-08-18

Family

ID=6787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880A KR102568052B1 (ko) 2018-09-18 2019-09-17 화상 신장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03368B2 (ko)
EP (1) EP3627834A1 (ko)
JP (1) JP6775558B2 (ko)
KR (1) KR102568052B1 (ko)
CN (1) CN110913223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5943A1 (en) * 2009-09-30 2011-03-31 Takahiro Minami image proces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216A (ja) 1997-05-15 1998-12-04 Sony Corp デコーダ
JP2000050084A (ja) * 1998-07-28 2000-02-1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1027986A (ja) * 1999-05-10 2001-01-30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及び処理部選択方法
KR100533028B1 (ko) * 2003-06-03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션벡터 및 매크로블록 타입 결정방법
JP2004236226A (ja) 2003-01-31 2004-08-19 Ricoh Co Ltd 画像伸長方法、画像伸長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5006001A (ja) * 2003-06-11 2005-01-06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4693603B2 (ja) * 2004-11-15 2011-06-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01095284B (zh) * 2004-12-28 2012-04-18 卡西欧电子工业株式会社 用于有选择地压缩和解压缩数据的设备与方法
KR100723505B1 (ko) * 2005-10-06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방식의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영상데이터 처리 방법
JP4795161B2 (ja) * 2006-08-08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20090002507A (ko) * 2007-06-29 2009-01-09 주식회사 휴맥스 동영상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JP2009117967A (ja) * 2007-11-02 2009-05-28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CN102177715A (zh) * 2008-11-10 2011-09-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解码装置、图像解码方法、集成电路以及程序
US8392596B2 (en) * 2009-05-26 2013-03-05 Red Hat Israel, Ltd.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video and video-like content in remote display system
JP5052569B2 (ja) * 2009-06-25 2012-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圧縮装置、画像圧縮方法、画像伸張装置、画像伸張方法、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10011361A (ko) * 2009-07-28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샘플링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장치 및 인코딩/디코딩 방법
JP5538792B2 (ja) * 2009-09-24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783952A (zh) * 2010-03-01 2010-07-21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优化编码方法及优化编码装置
US8768078B2 (en) * 2010-04-07 2014-07-01 Apple Inc. Intelligent media decoding
CN102098507B (zh) * 2010-06-08 2013-12-25 同济大学 图像统合压缩方法及装置
JP2013219607A (ja) * 2012-04-10 2013-10-24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42692B2 (ja) * 2015-01-30 2020-08-19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伸長プログラム
US9928452B2 (en) * 2015-06-05 2018-03-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5943A1 (en) * 2009-09-30 2011-03-31 Takahiro Minami image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13223B (zh) 2022-12-27
JP6775558B2 (ja) 2020-10-28
JP2020048041A (ja) 2020-03-26
EP3627834A1 (en) 2020-03-25
US20200090014A1 (en) 2020-03-19
CN110913223A (zh) 2020-03-24
KR20200032648A (ko) 2020-03-26
US10803368B2 (en)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1206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EP046985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070076966A1 (en)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JP2008311792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401508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ructuring a raster image file for parallel streaming rendering by multiple processors
JPH06320802A (ja) 画像処理装置
JP5684466B2 (ja) 複数のオブジェクト種別のオブジェクトに対応する、ラスタ画像バッファ中の少なくとも一つの画素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媒体
KR102568052B1 (ko) 화상 신장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3297445B2 (ja) 出力方法及び装置
US665815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805829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4167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6675253B2 (ja) 画像復号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
JP200904454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116912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3117987B2 (ja) 画像処理装置
JP6903904B2 (ja) 画像処理装置
JP3119387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0339128A (ja) プリンタ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5073123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H1133145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5244748A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819355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H05205015A (ja) 画像処理装置
JP2000078415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圧縮装置、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