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174B1 - 핸들 굴곡 면도기 - Google Patents

핸들 굴곡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174B1
KR102567174B1 KR1020237010585A KR20237010585A KR102567174B1 KR 102567174 B1 KR102567174 B1 KR 102567174B1 KR 1020237010585 A KR1020237010585 A KR 1020237010585A KR 20237010585 A KR20237010585 A KR 20237010585A KR 102567174 B1 KR102567174 B1 KR 10256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zor
state
user
handl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8165A (ko
Inventor
마사시 우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카이지루시 하모노 카이하츠 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카이지루시 하모노 카이하츠 센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카이지루시 하모노 카이하츠 센타
Publication of KR2023004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2Ergonomic details, e.g. shape, ribs or rubb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3Extendible or foldable handles; Ext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핸들 굴곡 면도기는, 파지부(10)와, 면도기 헤드(70)와, 헤드 연결부(30)를 구비한다. 면도기 헤드는, 칼날 몸체(80)와, 칼날 조립체(74)와, 접속부(76)와, 탄성 지지체(75)를 갖는다. 핸들 굴곡 면도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 가능하며, 칼날 조립체가 외력이 주어지지 않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이루는 중립 각도가 제1 각도(αf)로 되어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는 제1 상태와, 중립 각도가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αs)로 되는 제2 상태에서 전환되는 전환 기구(50)를 구비한다. 제2 상태에서는, 외력이 주어짐으로써,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적어도 대략 수직이 되는 위치까지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핸들 굴곡 면도기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조립식의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핸들에 대한 헤드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T형 면도기가 있다. 이러한 T형 면도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 손잡이에 대해서 칼날 몸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나이프가 있다. 이러한 나이프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공소58-3819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공평6-3964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공소61-427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T형 면도기는 핸들에 대한 헤드의 기울기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나이프는, 나이프로서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도록, 손잡이에 대해서 칼날 몸체의 경사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면도기로 수염을 깎을 때, 수염이 나는 방향을 따라 면도기를 이동시켜 깎는 것을 「순방향 면도」라고 하고, 순방향 면도와는 반대 방향으로 깎는 것, 즉 수염이 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면도기를 이동시켜 깎는 것을 「역방향 면도」라고 한다. 순방향 면도는 피부에의 부담이 적기는 하지만, 면도 후에도 수염 뿌리부분이 남기 쉽다. 따라서, 수염 뿌리부분이 남아 신경이 쓰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역방향 면도를 행함으로써 수염 뿌리부분을 깎아내는 경우가 많다. T형 면도기로 얼굴을 순방향 면도로 깎는 경우, 핸들이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T형 면도기를 조작하면, 사용자는 얼굴을 면도하기 쉽다. 한편, T형 면도기로 얼굴을 역방향 면도로 깎는 경우, 핸들이 위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T형 면도기를 조작하면, 사용자는 얼굴을 면도하기 쉽다. 즉, 순방향 면도와 역방향 면도와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핸들을 바꿔 잡음으로써 면도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들을 상하로 바꿔 잡지 않고,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수염은 피부면으로부터 경사 아래쪽 방향을 향해 나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면도기를 이동시켜 깎는 경우가 「순방향 면도」로 되고,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면도기를 이동시켜 깎는 경우가 「역방향 면도」로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뺨을 깎는 경우는,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면도기를 이동시켜 깎는 것을 「순방향 면도」라고 하고,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면도기를 이동시켜 깎는 것을 「역방향 면도」라고 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턱 아래를 깎는 경우는, 목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면도기를 이동시켜 깎는 것을 「순방향 면도」라고 하고, 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면도기를 이동시켜 깎는 것을 「역방향 면도」라고 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의 면도기를 제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 내의 부호 등을 괄호 안에 병기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이러한 구체적인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가 기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까지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수단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파지부(10)와, 면도기 헤드(70)와, 상기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파지부의 상단(10g)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면도기 헤드에 연결되는 헤드 연결부(30)를 구비하는 면도기로서,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칼날 몸체(80)와,
상기 칼날 몸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맞닿음면(74a)을 갖고, 상기 칼날 몸체가 조립된 칼날 조립체(74)와,
상기 헤드 연결부에 접속되는 접속부(76)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칼날 조립체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칼날 조립체를 경사운동(傾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75)
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칼날 조립체가 외력이 주어지지 않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이루는 중립 각도가 제1 각도(αf)가 되고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중립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αs)가 되는 제2 상태에서 전환되는 전환 기구(50)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외력이 주어짐으로써,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적어도 대략 수직이 되는 위치까지 상기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 가능한,
핸들 굴곡 면도기이다.
상기 구성의 핸들 굴곡 면도기에 의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순방향 면도로 뺨을 깎는 경우에는,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대략 평행이 되는 제1 상태로 함으로써,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순방향 면도로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는, 중립 각도가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가 되는 제2 상태, 즉 칼날 조립체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맞닿음면이 경사 위쪽을 향하는 제2 상태로 함으로써, 파지부의 하단이 사용자의 신체에 간섭되는 일 없이, 또한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맞닿음면을 피부에 밀어 붙이도록 사용자가 파지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대략 수직이 되는 위치까지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하여, 파지부의 하단을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지게 하면서, 또한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확실히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면도기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 위에 밀착시킨 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역방향 면도로 뺨을 깎는 경우에는, 제2 상태로 함으로써,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의 일부, 예를 들어 상단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에 댈 수 있다. 그리고, 맞닿음면을 피부에 밀어 붙이도록 사용자가 파지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대략 수직이 되는 위치까지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하여,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면도기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역방향 면도로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는, 제2 상태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팔꿈치를 그다지 들어올리지 않고도,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면도기를 앞쪽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도,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 위에 밀착시킨 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역방향 면도로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는, 제1 상태에서도,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제2 상태로 턱 아래를 역방향 면도하면, 사용자는 팔꿈치를 그다지 들어올리지 않고도 깎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쾌적하게 턱 아래를 깎을 수 있다.
즉,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의 어느 경우에도,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피부 및 턱 아래의 피부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부가 위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파지부를 바꿔 잡는 일 없이,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핸들 굴곡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각도(αf)는 5° 이상 25° 이하이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외력이 주어짐으로써,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80° 이상이 되도록 상기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핸들 굴곡 면도기에 의하면, 제1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순방향 면도로 뺨을 깎는 경우에 있어서,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뺨에 맞닿게 하기에 적합한 중립 각도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는,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80° 이상이 되도록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 함으로써, 사용자가 순방향 면도로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 있어서, 파지부의 하단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멀어지게 하면서, 또한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확실히 밀착시킨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역방향 면도로 뺨 및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는,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에 밀착시킨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핸들 굴곡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환 기구(50)는,
상기 파지부의 외측에 노출한 조작부(52c)를 갖고,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동체(52)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가동체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의 규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를 내리누름으로써 해제된다.
상기 구성의 핸들 굴곡 면도기에 의하면, 사용시에 면도기를 앞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칼날 조립체를 제1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로부터 제2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는 외력이 해당 칼날 조립체에 가해져도, 가동체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제1 상태에 있는 면도기가 갑자기 제2 상태로 변화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조작부를 내리누르는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면도기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 굴곡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각도와 상기 제1 각도와의 차이는 20° 이상 40° 이하이다.
상기 구성의 핸들 굴곡 면도기에 의하면, 제1 상태에 있어서 뺨의 순방향 면도에 적절한 맞닿음면의 각도를 실현함과 함께, 제2 상태에 있어서 턱 아래의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 그리고 뺨의 역방향 면도에 적절한 맞닿음면의 각도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핸들 굴곡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가동체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10f)이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폭은, 상기 홈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폭보다 크다.
상기 구성의 핸들 굴곡 면도기에 의하면, 파지부의 외측에 노출된 조작부가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는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 굴곡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탄성 지지체를 향하는 제1 방향(V1)은 상기 파지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탄성 지지체를 향하는 제2 방향(V2)은, 상기 제1 방향과 비교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칼날 몸체의 칼끝이 노출 가능한 앞쪽(Z축 -측)의 반대쪽인 뒤쪽(Z축+옆)을 향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핸들 굴곡 면도기에 의하면, 제1 상태에서는, 파지부와 헤드 연결부가 일체가 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핸들 굴곡 면도기를 일반적인 면도기와 같은 심플한 형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면도기와 동등한 사용감으로 핸들 굴곡 면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제2 상태에서는, 턱 아래의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 그리고 뺨의 역방향 면도에 적절하도록, 파지부의 위쪽의 연장선보다 뒤쪽에 칼날 조립체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 굴곡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부터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상기 상단과 상기 파지부의 하단(10h)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칼날 몸체의 칼끝이 노출 가능한 앞쪽의 일부(10a)가 오목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핸들 굴곡 면도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의 손바닥 부분을 파지부에 대기 쉽게, 다시 말해서 밀착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일부의 손가락을 굽힌 상태(오므린 상태)로 파지부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염 면도를 실시할 수 있다. 즉, 면도기의 파지 용이함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 굴곡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에서는, 상기 상단과 상기 파지부의 하단과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는, 상기 하단의 외주보다 작다.
상기 구성의 핸들 굴곡 면도기에 의하면,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굵어져, 핸들 굴곡 면도기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사용자가 힘을 가했을 때에 미끄러지기 어려운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잡기 쉽고 또한 미끄러지기 어려운 파지부 형상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오른쪽 뒤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왼쪽 앞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우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우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오른쪽 뒤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오른쪽 앞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가동체를 오른쪽 앞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파지부와 헤드 연결부와의 연결부분 근방을 앞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파지부와 헤드 연결부와의 연결부분 근방을 앞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오른쪽 뒤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 위치에 있을 때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우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로 턱 아래를 순방향 면도하는 제1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로 턱 아래를 역방향 면도하는 제2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로 뺨을 역방향 면도하는 제3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로 뺨을 순방향 면도하는 제4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우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핸들 굴곡 면도기는, 사용자가, 면도기의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얼굴의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 굴곡 면도기는, 핸들을 굴곡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굴곡 전 상태에서는, 칼날 몸체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고, 굴곡 상태에서는, 외력이 주어짐으로써, 맞닿음면과 상하 방향이 적어도 대략 수직이 되는 위치까지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핸들 굴곡 면도기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적으로 해석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 1. 실시형태 >
< 핸들 굴곡 면도기(1)의 구성 >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오른쪽 뒤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왼쪽 앞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우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우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오른쪽 뒤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오른쪽 앞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가동체를 오른쪽 앞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파지부와 헤드 연결부와의 연결부분 근방을 앞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파지부와 헤드 연결부와의 연결부분 근방을 앞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오른쪽 뒤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 위치에 있을 때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우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각 도면에는 X축, Y축 및 Z축을 나타내고 있다. 핸들 굴곡 면도기의 파지부가 연장되고 있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축을 「Y축」이라고 정의한다. Y축에 수직인 축을 「X축」이라고 정의한다. 또, X축 및 Y축의 양쪽 모두에 수직인 축을 「Z축」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에서는, X축, Y축 및 Z축은, 오른손좌표계의 3차원 직교좌표를 형성한다. 이하, Z축의 화살표 방향을 Z축 +측, 화살표와는 역방향을 Z축 -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그 밖의 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X축 +측 및 X축 -측을 각각 「왼쪽」 및 「오른쪽」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Y축 +측 및 Y축 -측을 각각 「위쪽」 및 「아래쪽」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Z축 +측 및 Z축 -측을 각각 「뒤쪽」 및 「앞쪽」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Y축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Z축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 구성의 개요 >
도 1 ~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핸들 굴곡 면도기(1)는, 파지부(10), 헤드 연결부(30), 전환 기구(50), 굴곡용 연결 핀(61) 및 면도기 헤드(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면도기 헤드(70)는, 칼날 조립체(74), 탄성 지지체(75), 접속부(76) 및 칼날 몸체(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환 기구(5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1), 가동체(52), 전환용 연결 핀(62) 및 규제 핀(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굴곡용 연결 핀(61), 전환용 연결 핀(62) 및 규제 핀(63) 각각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축 형상의 부재이며, 수지 또는 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는, 굴곡용 연결 핀(61) 및 전환용 연결 핀(62)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파지부(10)는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봉 형상의 부재이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다. 파지부(10)는 「핸들」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헤드 연결부(30)는 X축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굴곡용 연결 핀(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파지부(10)의 상단에 연결된다. 전환 기구(5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파지부(10)와 헤드 연결부(30)와의 연결 각도를 변화시켜, 굴곡 전 상태(도 3 참조)와 굴곡 상태(도 5 참조)에서 전환된다. 굴곡 전 상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상태」의 일 구체예이다. 굴곡 상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상태」의 일 구체예이다. 굴곡용 연결 핀(61)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동축」의 일 구체예이다.
면도기 헤드(70)는 헤드 연결부(30)의 위쪽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면도기 헤드(70)의 접속부(76)는 헤드 연결부(30)의 위쪽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탄성 지지체(75)는 접속부(76)와 칼날 조립체(74)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 지지체(75)는 칼날 조립체(74)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경사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칼날 조립체(74)는, 외력이 가해지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운동한다. 이하, 외력이 주어지지 않을 때의 칼날 조립체(74)의 위치(도 3 및 도 5 참조)를, 「중립 위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칼날 조립체(74)에 외력이 주어져 경사운동했을 때의 칼날 조립체(74)의 위치를 「경사운동 위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탄성 지지체(75)는 칼날 조립체(74)를 전후 방향으로만 경사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칼날 조립체(74)는, 칼날 몸체(80)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고, 앞쪽을 향하고 있는 맞닿음면(74a)을 갖는다. 칼날 조립체(74)에는, 칼날 몸체(80)가 조립된다. 칼날 몸체(80)는,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면도기 헤드(70)의 앞쪽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칼날 몸체(80)의 칼끝(80a)은 앞쪽의 경사 아래를 향하고 있다.
여기서, 파지부(10)가 연장되는 방향, 즉 Y축에 평행한 벡터로서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벡터를, 「기준 벡터(Vy)」라고 정의한다. 칼날 조립체(74)의 맞닿음면(74a)이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한 벡터로서 칼끝(80a)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벡터를, 「대상 벡터」라고 정의한다. 대상 벡터는, 파지부(10)를 기준으로 하여 칼날 조립체(74)가 경사운동하면, 칼날 조립체(74)의 경사운동에 수반하여 방향을 바꾼다. 구체적으로는,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 칼날 조립체(74)가 중립 위치에 위치할 때의 대상 벡터를, 대상 벡터(Vfn)로서 도 3에 나타낸다. 굴곡 상태에 있어서, 칼날 조립체(74)가 중립 위치에 위치할 때의 대상 벡터를, 대상 벡터(Vsn)로서 도 5에 나타낸다. 굴곡 상태에 있어서, 칼날 조립체(74)가 가장 뒤쪽으로 경사운동했을 때의 대상 벡터를, 대상 벡터(Vsi)로서 도 14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 상태에 있어서, 가장 뒤쪽으로 경사운동했을 때의 칼날 조립체(74)의 위치를 「최대 경사운동 위치」라고 정의한다.
전환 기구(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칼날 조립체(74)의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칼날 조립체(74)의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기준 벡터(Vy)와 대상 벡터가 이루는 각도」(이하, 「대상 각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라고 정의한다. 대상 각도 가운데, 기준 벡터(Vy)와 칼날 조립체(74)가 중립 위치에 위치할 때의 대상 벡터가 이루는 각도를, 「중립 각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즉, 중립 각도는 칼날 조립체(74)에 외력이 주어지지 않을 때의 대상 각도이다. 또, 대상 각도 가운데, 기준 벡터(Vy)와 칼날 조립체(74)가 경사운동 위치에 위치할 때의 대상 벡터가 이루는 각도를, 「경사운동 각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즉, 경사운동 각도는, 칼날 조립체(74)에 외력이 주어져 칼날 조립체(74)가 뒤쪽으로 경사운동했을 때의 대상 각도이다. 경사운동 각도 가운데, 특히, 칼날 조립체(74)가 최대 경사운동 위치에 위치할 때의 대상 각도를, 「최대 경사운동 각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중립 각도(αf)는 대략 10°가 된다(도 3 참조).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중립 각도(αs)는, 중립 각도(αf)보다 큰 대략 40°가 된다(도 5 참조). 즉, 핸들 굴곡 면도기(1)가 굴곡 전 상태와 굴곡 상태와의 사이를 천이할 때에, 파지부(10)와 헤드 연결부(30)와의 연결 각도는 대략 30° 변화한다. 또한,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중립 각도(αf)는 10°가 바람직하지만, 5° 이상 25° 이하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할 수도 있다. 또,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중립 각도(αs)는 40°가 바람직하지만 25° 이상 60° 이하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중립 각도(αs)와 중립 각도(αf)와의 차이(αs-αf)를 20° 이상 40° 이하로 함으로써,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에 적절한 맞닿음면의 각도를 얻기 쉽게 할 수 있다. 중립 각도(αf)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각도」의 일 구체예이다. 중립 각도(αs)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각도」의 일 구체예이다.
칼날 조립체(74)가 최대 경사운동 위치에 있을 때의 대상 각도 즉 최대 경사운동 각도(βs)는 대략 90°가 된다(도 14 참조). 또한, 최대 경사운동 각도(βs)는 8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최대 경사운동 각도(βs)는 80° 이상 12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경사운동 각도(βs)를 80° 이상 100° 이하의 범위로 한다.
< 구성의 상세 >
< 파지부(10) >
파지부(10)는, 전방 부재(11), 후방 부재(12), 미끄럼방지 부재(13), 돌출 부재(14), 두갈래 부재(bifurcated member)(15), 내부 부재(16), 및 커버 부재(17 및 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7 참조). 전방 부재(11)와 후방 부재(12)가 연결됨으로써, 내부 공간을 가지는 외부 쉘이 형성된다. 돌출 부재(14), 두갈래 부재(15), 내부 부재(16), 및 커버 부재(17 및 18)는, 서로 조립된 상태로, 외부 쉘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다. 미끄럼방지 부재(13)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 부재(11)의 앞쪽에 부착된다.
< 돌출부(10d) >
돌출 부재(14)는 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재이다. 돌출 부재(14)의 위쪽은, 외부 쉘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10d)가 되어 있다. 돌출부(10d)에는, X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관통구멍(10e)이 형성된다.
< 홈(10f) >
두갈래 부재(15)는 돌출 부재(14)의 뒤쪽에 연결된다. 두갈래 부재(15)의 위쪽은,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우측 돌출부(15aR)와 좌측 돌출부(15aL)가 형성됨으로써, 두갈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우측 돌출부(15aR)와 좌측 돌출부(15aL)와의 사이에는, 돌출 부재(14)의 뒤쪽의 면이 바닥(14a)으로 되는 홈(10f)이 형성된다. 홈(10f)은 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고, 가동체(52)의 일부가 수용된다(도 4 및 도 6 참조).
우측 돌출부(15aR)의 좌측 면의 앞쪽은, 파내려감으로써, 상측 핀 받이부(15cR) 및 하측 핀 받이부(15dR), 볼록부(15eR) 그리고 상측 맞닿음면(15fR) 및 하측 맞닿음면(15gR)이 형성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상측 핀 받이부(15cR)는, 앞쪽이 개구되고, 뒤쪽을 향해 오목한 오목형상을 갖는다. 굴곡 전 상태에서는, 상측 핀 받이부(15cR)에는, 규제 핀(63)(도 9 참조)이 끼워진다. 하측 핀 받이부(15dR)는 상측 핀 받이부(15cR)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하측 핀 받이부(15dR)는, 앞쪽이 개구되고, 뒤쪽을 향해 오목한 오목형상을 갖는다. 굴곡 상태에서는, 하측 핀 받이부(15dR)에는, 규제 핀(63)(도 10 참조)이 끼워진다.
상측 핀 받이부(15cR)와 하측 핀 받이부(15dR)와의 사이에는, 앞쪽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15eR)가 형성된다. 상측 핀 받이부(15cR)의 위쪽에는, 아래쪽을 향한 상측 맞닿음면(15fR)이 형성된다. 하측 핀 받이부(15dR)의 아래쪽에는, 위쪽을 향한 하측 맞닿음면(15gR)이 형성된다.
좌측 돌출부(15aL)는, 우측 돌출부(15aR)와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측 핀 받이부(15cL) 및 하측 핀 받이부(15dL), 볼록부(15eL) 및 상측 맞닿음면(15fL) 및 하측 맞닿음면(15gL)이 형성된다. 상측 핀 받이부(15cL) 및 하측 핀 받이부(15dL) 그리고 볼록부(15eL)는, 각각 상측 핀 받이부(15cR) 및 하측 핀 받이부(15dR) 그리고 볼록부(15eR)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굴곡 전 상태에서는, 상측 핀 받이부(15cL)에는, 규제 핀(63)(도 9 참조)이 끼워진다. 굴곡 상태에서는, 상측 핀 받이부(15cR)에는, 규제 핀(63)(도 10 참조)이 끼워진다.
상측 맞닿음면(15fL) 및 하측 맞닿음면(15gL)은, 각각 상측 맞닿음면(15fR) 및 하측 맞닿음면(15gR)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 오목부(10a) >
파지부(10)에는, 좌우 방향으로부터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상단(10g)과 하단(10h)과의 사이에 있어서 오목부(10a)가 형성된다(도 3 참조). 오목부(10a)는, 파지부(10)의 앞쪽에 형성되고, 파지부(10)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하단(10h)에 걸쳐서 뒤쪽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 폭협소부(10b) 및 폭확대부(10c) >
파지부(10)에서는, 상단(10g)과 하단(10h)과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는, 하단(10h)의 외주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10)의 상단(10g) 근방에서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좌우 방향의 폭이 좁은 폭협소부(10b)로 되어 있다. 파지부(10)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상단(10g)으로부터 하단(10h)을 향해 폭이 서서히 넓어지고, 파지부(10)의 하단(10h) 근방에서는 폭협소부(10b)보다 큰 폭을 가지는 폭확대부(10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10)를 상단(10g)으로부터 하단(10h)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는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상단(10g)과 하단(10h)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를 잡았을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아래로 향하는 힘을 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파지부(10) 상에서 미끄러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 헤드 연결부(30) >
헤드 연결부(30)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굴곡 전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헤드 연결부(30)의 위쪽에는, Z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다. 관통구멍(32)에는, 면도기 헤드(70)의 접속부(76)가 삽입된다.
헤드 연결부(30)의 아래쪽은,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우측판부(31R)와 좌측판부(31L)가 형성됨으로써, 두갈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우측판부(31R)와 좌측판부(31L)와의 사이는 파지부(10)의 돌출부(10d) 및 가동체(52)가 끼워지는 홈(33)으로 되어 있다.
우측판부(31R)의 하단의 근방에는, X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앞쪽 라운드 구멍(31a)과 뒤쪽 라운드 구멍(31b)이 형성된다. 뒤쪽 라운드 구멍(31b)은, 앞쪽 라운드 구멍(31a)을 기준으로 하여, 굴곡 전 상태에서는 뒤쪽 위에 위치한다(도 3 참조).
좌측판부(31L)는 우측판부(31R)와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좌측판부(31L)에는, 우측판부(31R)에 있어서의 앞쪽 라운드 구멍(31a) 및 뒤쪽 라운드 구멍(31b)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앞쪽 라운드 구멍(31a) 및 뒤쪽 라운드 구멍(31b)이 형성된다.
굴곡용 연결 핀(61)은, 우측판부(31R)의 앞쪽 라운드 구멍(31a), 돌출부(10d)의 관통구멍(10e) 및 좌측판부(31L)의 앞쪽 라운드 구멍(31a)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헤드 연결부(30)는 굴곡용 연결 핀(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파지부(10)의 돌출부(10d)에 연결된다.
< 전환 기구(50) >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환 기구(5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1), 가동체(52), 전환용 연결 핀(62), 및 규제 핀(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 가동체(52) >
< 폭확대부(52a) >
가동체(52)는, 폭확대부(52a), 폭협소부(52b), 및 조작부(52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돌출부(10d)의 뒤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확대부(52a), 폭협소부(52b), 및 조작부(52c)는, 일체로 형성된다. 폭확대부(52a)는, 헤드 연결부(30)의 홈(33)에 끼워지고, 헤드 연결부(3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폭확대부(52a)에는, X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전환용 연결 핀(62)이 삽입되는 관통 라운드 구멍(52d)이 형성된다. 전환용 연결 핀(62)은, 우측판부(31R)의 뒤쪽 라운드 구멍(31b), 가동체(52)의 관통 라운드 구멍(52d) 및 좌측판부(31L)의 뒤쪽 라운드 구멍(31b)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체(52)는 전환용 연결 핀(6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헤드 연결부(30)에 연결된다.
< 폭협소부(52b) >
폭협소부(52b)는 폭확대부(52a)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파지부(10)의 홈(10f)에 끼워진다. 상세하게는, 폭협소부(52b)는 우측판부(52bR) 및 좌측판부(52bL) 그리고 저판부(52b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측판부(52bR) 및 좌측판부(52bL)는, 각각 서로 대향하면서, 폭확대부(52a)의 뒤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된다. 좌측판부(52bL)는 우측판부(52bR)와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우측판부(52bR)의 뒤쪽과 좌측판부(52bL)의 뒤쪽과의 사이에 걸쳐서 저판부(52bB)가 형성됨으로써, 저판부(52bB)가 바닥으로 되는 홈(52f)이 형성된다. 우측판부(52bR)의 우측에는, 파지부(10)의 우측 돌출부(15aR)가 위치한다. 좌측판부(52bL)의 좌측에는, 파지부(10)의 좌측 돌출부(15aL)가 위치한다.
우측판부(52bR)의 아래쪽에는, X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규제 핀(63)이 삽입되는 관통 라운드 구멍(52e)이 형성된다. 좌측판부(52bL)에는, 우측판부(52bR)의 관통 라운드 구멍(52e)과 대향하는 위치에, 규제 핀(63)이 삽입되는 관통 라운드 구멍(52e)이 형성된다.
< 조작부(52c) >
조작부(52c)는, 파지부(10)의 홈(10f)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폭협소부(52b)의 뒤쪽에 배치된다. 조작부(52c)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게, 파지부(10)의 외측에 노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52c)는 파지부(10)의 홈(10f)의 외측, 즉 파지부(10)의 뒤쪽에 돌출한다. 사용자는, 조작부(52c)를 조작함으로써, 가동체(52)를 앞쪽으로 밀어넣거나, 가동체(5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할 수 있다.
< 비틀림 코일 스프링(51) 및 규제 핀(63) >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은, 앞쪽 맞닿음부(51a) 및 뒤쪽 맞닿음부(51b) 그리고 코일부(5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뒤쪽 맞닿음부(51b)는, 가동체(52)의 저판부(52bB) 즉 홈(52f)의 바닥과 맞닿는다. 앞쪽 맞닿음부(51a)는, 파지부(10)의 홈(10f)의 바닥(14a)과 맞닿는다. 코일부(51c)는, 가동체(52)의 홈(52f)의 내부, 우측판부(52bR)의 관통 라운드 구멍(52e)과 좌측판부(52bL)의 관통 라운드 구멍(52e)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규제 핀(63)은, 우측판부(52bR)의 관통 라운드 구멍(52e), 비틀림 스프링(51)의 코일부(51c) 및 좌측판부(52bL)의 관통 라운드 구멍(52e)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코일부(51c)는 규제 핀(63)을 회전축으로 하여 YZ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은, 압축된 상태로, 가동체(52)의 홈(52f)의 바닥과 파지부(10)의 홈(10f)의 바닥(14a)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은, 가동체(52)를 뒤쪽으로 가압함과 함께, 파지부(10)를 앞쪽으로 가압한다.
< 굴곡 전 상태 및 굴곡 상태 간의 전환 >
사용자는, 가동체(52)의 조작부(52c)를 조작함으로써, 핸들 굴곡 면도기(1)의 굴곡 전 상태(도 3 참조)와 굴곡 상태(도 5 참조)를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체(52)는, 핸들 굴곡 면도기(1)의 굴곡 전 상태를 유지하는 굴곡 전 위치(도 3 및 도 9 참조)와 핸들 굴곡 면도기(1)의 굴곡 상태를 유지하는 굴곡 위치(도 5 및 도 10 참조)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가동체(52)는, 굴곡 전 위치에 위치할 때, 굴곡 전 위치로부터 굴곡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굴곡 위치에 위치할 때, 굴곡 위치로부터 굴곡 전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굴곡 전 위치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위치」의 일 구체예이다. 굴곡 위치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위치」의 일 구체예이다.
가동체(52)의 굴곡 전 위치로부터 굴곡 위치로의 이동의 규제, 및 가동체(52)의 굴곡 위치로부터 굴곡 전 위치로의 이동의 규제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52c)가 앞쪽으로 눌려 내려짐으로써 해제된다.
굴곡 전 상태에서는, X축 방향으로 평행한 회동축으로부터 탄성 지지체(75)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향한 연결 벡터(V1)(도 3 및 도 5 참조)는, 파지부(10)가 연장되는 방향, 즉 Y축과 대략 평행하다. 굴곡 상태에서는, 해당 회동축으로부터 탄성 지지체(75)를 향하는 제2 방향으로 향한 연결 벡터(V2)(도 5 참조)는, 제1 방향과 비교해서, 제1 상태에 있어서의 칼날 몸체(80)의 칼끝(80a)이 노출 가능한 앞쪽의 반대쪽인 뒤쪽을 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굴곡 전 상태에서는, 파지부(10)와 헤드 연결부(30)가 일체가 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핸들 굴곡 면도기(1)를 일반적인 면도기와 같은 심플한 형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면도기와 동등한 사용감으로 핸들 굴곡 면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굴곡 상태에서는, 턱 아래의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 그리고 뺨의 역방향 면도에 적절하도록, 파지부(10)의 위쪽의 연장선보다 뒤쪽에 칼날 조립체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벡터(V1)와 연결 벡터(V2)가 이루는 각도(γ)(도 5 참조)는, 중립 각도(αf)와 중립 각도(αs)와의 차이(αs-αf)와 동일해진다.
< 굴곡 전 상태 >
가동체(52)가 굴곡 전 위치에 위치할 때,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각각 상측 핀 받이부(15cR) 및 상측 핀 받이부(15cL)에 끼워져 있다(도 9 참조).
이 때, 가동체(52)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에 의해 뒤쪽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규제 핀(63)은, 가동체(52)와의 맞닿음부, 즉 가동체(52)의 관통 라운드 구멍(52e)을 통하여 뒤쪽으로 가압되고 있다. 즉,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상측 핀 받이부(15cR 및 15cL)에 각각 밀어붙여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체(52)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외력이 가동체(52)에 주어져도, 상측 핀 받이부(15cR 및 15cL)에 의해 규제 핀(6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가동체(52)의 파지부(10)에 대한 상하 방향의 이동도 규제된다. 즉, 가동체(52)는 굴곡 전 위치에 고정된다.
헤드 연결부(30)는, 굴곡용 연결 핀(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파지부(10)에 연결되지만, 전환용 연결 핀(6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가동체(52)와도 연결된다. 가동체(52)가 굴곡 전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 연결부(30)의 굴곡용 연결 핀(6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도 규제된다. 즉, 헤드 연결부(30)를 앞쪽 또는 뒤쪽으로 넘어뜨리려고 하는 외력이 헤드 연결부(30)에 주어져도, 파지부(10)와 헤드 연결부(30)와의 연결 각도가 유지된다. 즉, 핸들 굴곡 면도기(1)의 굴곡 전 상태가 유지된다.
< 굴곡 전 위치로부터 굴곡 위치로의 이동 >
사용자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의 가압에 대항하여 앞쪽으로 밀어넣는 외력을 조작부(52c)에 부여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이 압축됨과 함께, 가동체(52) 및 규제 핀(63)은 앞쪽으로 이동한다.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2c)의 가압량이 소정치를 넘으면,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각각 상측 핀 받이부(15cR 및 15cL)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된다. 조작부(52c)가 밀어넣어진 상태로, 사용자가, 조작부(52c)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을 조작부(52c)에 부여하면, 가동체(5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1) 및 규제 핀(63)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헤드 연결부(30)는 전환용 연결 핀(62)을 통하여 가동체(5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용 연결 핀(61)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넘어지는 방향의 회전력을 가동체(52)로부터 받는다. 이것에 의해, 헤드 연결부(30)는 가동체(52)의 아래쪽으로의 이동량에 따라 뒤쪽으로 넘어진다.
< 굴곡 상태 >
사용자가, 예를 들어,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와 하측 맞닿음면(15gR 및 15gL)이 각각 맞닿을 때까지 가동체(5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후, 조작부(52c)를 앞쪽으로 밀어넣는 힘을 약하게 하면, 가동체(52) 및 규제 핀(6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의 가압에 의해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하측 핀 받이부(15dR)의 아래쪽 경사면 및 하측 핀 받이부(15dL)의 아래쪽 경사면에 각각 맞닿는다. 그리고,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이들 아래쪽 경사면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여, 하측 핀 받이부(15dR 및 15dL)에 각각 끼워진 상태가 된다(도 10 참조).
이 때, 가동체(5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에 의해 뒤쪽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규제 핀(63)은 가동체(52)와의 맞닿음부 즉 가동체(52)의 관통 라운드 구멍(52e)을 통하여 뒤쪽으로 가압되고 있다. 즉,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하측 핀 받이부(15dR 및 15dL)에 각각 밀어붙여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체(52)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외력이 가동체(52)에 주어져도, 하측 핀 받이부(15dR 및 15dL)에 의해 규제 핀(6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가동체(52)의 파지부(10)에 대한 상하 방향의 이동도 규제된다. 즉, 가동체(52)는 굴곡 위치에 고정된다.
가동체(52)가 굴곡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 연결부(30)의 굴곡용 연결 핀(6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도 규제된다. 즉, 헤드 연결부(30)를 앞쪽 또는 뒤쪽으로 넘어뜨리려고 하는 외력이 헤드 연결부(30)에 주어져도, 파지부(10)와 헤드 연결부(30)와의 연결 각도가 유지된다. 즉, 핸들 굴곡 면도기(1)의 굴곡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사용자는,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와 하측 맞닿음면(15gR 및 15gL)이 각각 맞닿을 때까지 가동체(5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굴곡 전 상태로부터 굴곡 상태로의 전환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볼록부(15eR 및 15eL)를 아래쪽으로 넘어갈 때까지 규제 핀(63)을 이동시킨 후, 조작부(52c)를 앞쪽으로 밀어넣는 힘을 약하게 하면, 규제 핀(63)의 우측단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의 가압에 의해 하측 핀 받이부(15dR)의 위쪽 경사면 및 아래쪽 경사면 중 어느 한 쪽과 맞닿는다. 마찬가지로, 규제 핀(63)의 좌측단부도, 하측 핀 받이부(15dL)의 위쪽 경사면 및 아래쪽 경사면 중 어느 한 쪽과 맞닿는다. 그리고,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이들 경사면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여, 하측 핀 받이부(15dR 및 15dL)에 각각 끼워진 상태가 된다.
< 굴곡 위치로부터 굴곡 전 위치로의 이동 >
가동체(52)가 굴곡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도 10 참조), 사용자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의 가압에 대항하여 앞쪽으로 밀어넣는 외력을 조작부(52c)에 부여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이 압축됨과 함께, 가동체(52) 및 규제 핀(63)은 앞쪽으로 이동한다.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2c)의 가압량이 소정치를 넘으면,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각각 하측 핀 받이부(15dR 및 15dL)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된다. 조작부(52c)가 밀어넣어진 상태로, 사용자가 조작부(52c)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을 조작부(52c)에 부여하면, 가동체(5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1) 및 규제 핀(63)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한다.
헤드 연결부(30)는 전환용 연결 핀(62)을 통하여 가동체(5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용 연결 핀(61)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일으켜 세우는 방향의 회전력을 가동체(52)로부터 받는다. 이것에 의해, 헤드 연결부(30)는 가동체(52)의 앞쪽으로의 이동량에 따라 앞쪽으로 일으켜 세워진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와 상측 맞닿음면(15fR 및 15fL)이 각각 맞닿을 때까지 가동체(52)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 조작부(52c)를 앞쪽으로 밀어넣는 힘을 약하게 하면, 가동체(52) 및 규제 핀(6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의 가압에 의해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상측 핀 받이부(15cR)의 아래쪽 경사면 및 상측 핀 받이부(15cL)의 아래쪽 경사면에 각각 맞닿는다. 그리고,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이들 아래쪽 경사면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여, 상측 핀 받이부(15cR 및 15cL)에 각각 끼워진 상태가 된다(도 9 참조).
또한, 사용자는,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와 상측 맞닿음면(15fR 및 15fL)가 각각 맞닿을 때까지 가동체(52)를 위쪽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굴곡 상태로부터 굴곡 전 상태로의 전환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볼록부(15eR 및 15eL)를 위쪽으로 넘어갈 때까지 규제 핀(63)을 이동시킨 후, 조작부(52c)를 앞쪽으로 밀어넣는 힘을 약하게 하면, 규제 핀(63)의 우측단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1)의 가압에 의해 상측 핀 받이부(15cR)의 위쪽 경사면 및 아래쪽 경사면 중 어느 한 쪽과 맞닿는다. 마찬가지로, 규제 핀(63)의 좌측단부도, 상측 핀 받이부(15cL)의 위쪽 경사면 및 아래쪽 경사면 중 어느 한 쪽과 맞닿는다. 그리고, 규제 핀(6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는, 이들 경사면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여, 상측 핀 받이부(15cR 및 15cL)에 각각 끼워진 상태가 된다.
< 면도기 헤드(70) >
전술한 바와 같이, 면도기 헤드(70)는, 칼날 조립체(74), 탄성 지지체(75), 접속부(76), 및 칼날 몸체(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1 ~ 도 13 참조).
칼날 조립체(74)는 프레임부(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79)는, 중간부(79a)와, 상부(79b)와, 하부(79c)를 갖는다. 프레임부(79)에는, 상부(79b) 및 하부(79c)가 중간부(79a)에 걸려 이탈 불가능하게 부착된다. 중간부(79a)에는, 복수의 칼날 몸체(80)가 조립되어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각 칼날 몸체(80)의 칼끝(80a)은, 중간부(79a)의 앞쪽에 노출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설치된다. 프레임부(79) 내에 있어서, 중간부(79a)의 뒤쪽에는 요철 형상의 받침대부(81)가 형성된다. 받침대부(81)의 아래쪽이며 좌우 방향의 중앙에서는, 뒤쪽을 향해 돌출하는 판 형상의 규제부(82)가 형성된다. 규제부(82)의 기초부와 받침대부(81)와의 사이에는, 지지점 홈부(83)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프레임부(79)의 앞쪽, 즉 표면측의 면은, 칼날 몸체(80)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맞닿음면(74a)이 된다. 프레임부(79)의 상부(79b) 및 하부(79c)의 맞닿음면(74a)에는, 쉐이빙 에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하부(79c)의 맞닿음면(74a)에는, 수염을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연질 수지제의 핀(79d)이 설치되어 있다(도 12 참조).
탄성 지지체(75)는, 지지부(77), 그리고 좌측 가요부(78L) 및 우측 가요부(78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77)는, 로딩부(84), 및 좌측 연속부(85L) 및 우측 연속부(85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좌측 가요부(78L) 및 우측 가요부(78R) 각각을, 단지 가요부(78)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좌측 연속부(85L) 및 우측 연속부(85R) 각각을, 단지 연속부(85)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딩부(84)는, 상부(84a), 좌측부(84b) 및 우측부(84c)에 의해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딩부(84)는 칼날 조립체(74)의 받침대부(81)에 대해 걸어멈춰져서 이탈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접속부(76)는 로딩부(84)의 좌측부(84b)와 우측부(84c)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좌측 가요부(78L)는 접속부(76)와 좌측부(84b)와의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있다. 우측 가요부(78R)는, 좌측 가요부(78L)와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고, 접속부(76)와 우측부(84c)와의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좌측 연속부(85L) 및 우측 연속부(85R)는 각각 좌측 가요부(78L) 및 우측 가요부(78R)와 일체 성형된다. 좌측 연속부(85L) 및 우측 연속부(85R)는 각각 좌측부(84b) 및 우측부(84c)에 배치된다.
가요부(78)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판 형상을 갖고, 접속부(76)에 인접하는 내측단부(78a)와, 지지부(77)의 좌측부(84b) 또는 우측부(84c)에 인접하는 외측단부(78b)와, 경사부(86)를 갖는다. 여기서, 좌측 가요부(78L)의 외측단부(78b)와 우측 가요부(78R)의 외측단부(78b)를 잇는 공간의 영역을, 「가상공역(S)」(도 13 참조)이라고 정의한다. 경사부(86)는, 내측단부(78a)로부터 외측단부(78b)를 향함에 따라, 가상공역(S)에 접근하도록 경사진다.
여기서, 가상공역(S)이란, 양쪽 가요부(78)의 외측단부(78b)를 서로 잇는 가상선(L) 상, 또는 그 가상선(L)의 외주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공역(空域)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직사각형상 등의 소정 단면 형상을 이루는 외측단부(78b)의 외주 둘레의 연장선을 포함하는 통 형상의 공역이다. 좌측 가요부(78L)의 경사부(86)와 우측 가요부(78R)의 경사부(86)와의 간격은, 내측단부(78a)로부터 외측단부(78b)를 향함에 따라 커지고 있다. 경사부(86)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 볼 때, 모두 가상공역(S)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접속부(76)는, 연속부(87), 주 몸체부(88), 혀부(89), 및 연결통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속부(87)는, 좌측 가요부(78L)의 내측단부(78a)와 우측 가요부(78R)의 내측단부(78a)와의 사이에 위치되고, 좌측 가요부(78L) 및 우측 가요부(78R)와 일체 성형된다.
주 몸체부(88)는, 그 위쪽에 연속부(87)가 설치되고, 칼날 조립체(74)의 규제부(82)에 그 위쪽에서 면한다. 혀부(89)는 주 몸체부(88)로부터 앞쪽을 향해 연장설치되는 판 형상을 갖는다. 연결통부(90)는 주 몸체부(88)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장설치되어 있다. 혀부(89)의 상하 방향의 두께는, 좌우 방향의 폭 및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설정된다. 전후 방향의 길이는 좌우 방향의 폭보다 작다.
혀부(89)의 자유단부에는, 지지점 가장자리부(91)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칼날 조립체(74)의 지지점 홈부(83)에 맞닿아 있다. 지지점 가장자리부(91)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과의 사이의 두께는, 상면이 경사져 자유단부 쪽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칼날 조립체(74)의 지지점 홈부(83)와 혀부(89)의 지지점 가장자리부(91)는, 칼날 몸체(80)의 칼끝(80a)보다 아래쪽에 있어서 가상공역(S)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면도기 헤드(2)에 있어서, 칼날 조립체(74) 및 탄성 지지체(75)의 지지부(77)는, 지지점 홈부(83)와 지지점 가장자리부(91)와의 맞닿음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칼날 조립체(74)는, 가요부(78)의 변형에 수반하여,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포함하는 YZ면 상에서 중립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방향 XV에 있어서의 이동 위치를 취할 수 있다(도 3, 도 5, 도 13 및 도 14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칼날 조립체(74)는, 핸들 굴곡 면도기(1)가 굴곡 전 상태에 있는 경우, 대상 각도가 10° 이상 60° 이하인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경사운동 가능하다. 또, 칼날 조립체(74)는, 핸들 굴곡 면도기(1)가 굴곡 상태에 있는 경우, 대상 각도가 40° 이상 90° 이하인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경사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칼날 조립체(74)의 경사운동 가능 범위는 50°로 되어 있지만, 경사운동 가능 범위는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칼날 조립체(74)의 경사운동 가능 범위는 20° 이상 70° 이하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각도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칼날 조립체(74)는, 가요부(78)의 변형에 수반하여,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한 ZX면 상에서 중립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방향 XH에 있어서의 이동 위치를 취할 수 있다(도 6 및 도 13 참조). 칼날 조립체(74)의 지지점 홈부(83) 및 혀부(89)의 지지점 가장자리부(91)는, YZ면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방향 XV를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혀부(89)의 지지점 가장자리부(91)는, ZX면 상에서 전후 방향 X 호 형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방향 XH를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면도기 헤드(70)에 있어서는, 탄성 지지체(75)의 지지부(77)와 접속부(76)는, 이들 연속부(85 및 87)를 제외하고 하나의 틀 내에서 동시에 성형된다. 가요부(78)는 이들 연속부(85 및 87)와 함께 성형된다. 그리고, 지지부(77)와 접속부(76)는, 이들 연속부(85 및 8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면도기 헤드(70)와 헤드 연결부(30)와의 연결에 대해서는, 접속부(76)의 연결통부(90)에는, 탄성 착탈부(96)가 뒤쪽을 향해 연장설치된다. 헤드 연결부(30)의 관통구멍(32)에는, 연결통부(90)가 탄성 착탈부(96)에 의한 걸어맞춤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이 삽입 장착 상태에 있어서, 헤드 연결부(30)와 접속부(76)가 서로 일체로 연속한다. 탄성 착탈부(96)에 의한 걸어맞춤을 해제해 연결통부(90)를 관통구멍(32)으로부터 빼내면, 헤드 연결부(30)와 접속부(76)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 제1 사용 양태: 굴곡 상태로 턱 아래를 순방향 면도 >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핸들 굴곡 면도기(1)의 사용 양태에 있어서, 4개의 전형적인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로 턱 아래를 순방향 면도하는 제1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사용 양태에서는, 사용자는, 순방향 면도로 턱 아래의 수염을 깎는 경우, 예를 들어, 엄지(제1 손가락)(F1), 검지(제2 손가락)(F2) 및 중지(제3 손가락)(F3)의 손가락 끝이 파지부(10)의 상부 앞쪽에 닿도록 파지부(10)를 잡는다. 이 때, 약지(제4 손가락)(F4) 및 소지(제5 손가락)(F5)의 손가락 끝이 파지부(10)의 하부 앞쪽에 닿게 되지만, 파지부(10)의 하부 앞쪽에는 오목부(1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지(제4 손가락)(F4) 및 소지(제5 손가락)(F5)의 손바닥쪽 손가락 끝 부분을 오목부(10a)에 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약지(F4) 또는 소지(F5) 등의 일부의 손가락을 굽힌 상태(오므린 상태)로 파지부(10)를 파지(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파지부(10)를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의한 핸들 굴곡 면도기(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핸들 굴곡 면도기(1)를 흔들리지 않게 하면서 안정적으로 수염 면도를 행할 수 있다.
또, 제1 사용 양태에서는, 사용자는 굴곡 상태로 핸들 굴곡 면도기(1)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직각 혹은 직각에 가까운 대상 각도로 면도기 헤드(70)의 맞닿음면(74a)을 턱 아래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맞닿음면(74a)을 턱 아래에 맞닿게 하면서, 면도기 헤드(70)를 목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파지부(10)의 하단(10h)이 사용자의 몸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턱 아래를 순방향 면도로 수염을 깎을 때, 파지부(10)의 하단(10h)을 사용자의 몸에 대는 일 없이, 턱 아래의 넓은 범위를 순방향 면도로 깎을 수 있다.
< 제2 사용 양태: 굴곡 상태로 턱 아래를 역방향 면도 >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로 턱 아래를 역방향 면도하는 제2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사용 양태에서는, 핸들 굴곡 면도기(1)는 굴곡 상태로 사용된다. 사용자는, 역방향 면도로 턱 아래의 수염을 깎는 경우, 예를 들어, 엄지(F1)의 손가락 끝을 파지부(10)의 상부 뒤쪽에 닿게 하면서, 검지(F2)의 손가락 끝을 파지부(10)의 상부 우측에 대고 파지부(10)를 잡는다. 그리고, 나머지 중지(F3), 약지(F4) 및 소지(F5)로 파지부(10)의 하부를 잡는다. 이 때, 약지(F4) 및 소지(F5)의 제2 관절 부근의 손바닥쪽 부분이 파지부(10)의 하부 앞쪽에 닿게 되지만, 파지부(10)의 하부 앞쪽에는 오목부(1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지(F4) 및 소지(F5)의 제2 관절 부근의 손바닥쪽 부분을 오목부(10a)에 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약지(F4) 또는 소지(F5) 등의 일부의 손가락을 굽힌 상태(오므린 상태)로 파지부(10)를 파지(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파지부(10)를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의한 핸들 굴곡 면도기(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핸들 굴곡 면도기(1)를 흔들리지 않게 하고서 안정적으로 수염 면도를 행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길이 방향을 따른 축의 주위에서 파지부(10)를 손바닥 안에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순방향 면도(제1 사용 양태)에 적절한 핸들 굴곡 면도기(1)의 방향과 역방향 면도(제2 사용 양태)에 적절한 핸들 굴곡 면도기(1)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즉, 대상 각도가 작은 종래의 면도기에서는, 순방향 면도에 적절한 면도기의 방향과 역방향 면도에 적절한 면도기의 방향을 전환할 때, 핸들의 상하가 거꾸로 되도록 바꿔 잡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의 핸들 굴곡 면도기(1)에서는, 대상 각도를 직각 혹은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할 수 있으므로, 길이 방향을 따른 축의 주위에서 파지부(10)를, 예를 들어 180° 회전시키는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순방향 면도에 적절한 핸들 굴곡 면도기(1)의 방향과 역방향 면도에 적절한 핸들 굴곡 면도기(1)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 제3 사용 양태: 굴곡 상태로 뺨을 역방향 면도 >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로 뺨을 역방향 면도하는 제3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사용 양태에서는, 핸들 굴곡 면도기(1)는 굴곡 상태로 사용된다. 사용자는, 역방향 면도로 뺨의 수염을 깎는 경우, 예를 들어, 제2 사용 양태와 마찬가지로, 엄지(F1)의 손가락 끝을 파지부(10)의 상부 뒤쪽에 닿게 하면서, 검지(F2)의 손가락 끝을 파지부(10)의 상부 우측에 대고 파지부(10)를 잡는다. 그리고, 나머지 중지(F3), 약지(F4) 및 소지(F5)로 파지부(10)의 하부를 잡는다.
제3 사용 양태에서는, 사용자는 굴곡 상태로 핸들 굴곡 면도기(1)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직각 혹은 직각에 가까운 대상 각도로 면도기 헤드(70)의 맞닿음면(74a)을 뺨의 피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파지부(10)의 상하를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팔꿈치를 들어올려야 하지만, 해당 제3 사용 양태에서는,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보다, 사용자가 팔꿈치를 들어올리지 않는 상태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제4 사용 양태: 굴곡 전 상태로 뺨을 순방향 면도 >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로 뺨을 순방향 면도하는 제4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 사용 양태에서는, 핸들 굴곡 면도기(1)는 굴곡 전 상태로 사용된다. 사용자는, 순방향 면도로 턱 아래의 수염을 깎는 경우, 예를 들어, 엄지(F1)의 손가락 끝을 파지부(10)의 상부 우측에 닿게 하면서, 검지(F2)의 손가락 끝을 파지부(10)의 파지부(10)의 상부 앞쪽에 대고 파지부(10)를 잡는다. 그리고, 나머지 중지(F3), 약지(F4) 및 소지(F5)로 파지부(10)의 하부를 잡는다. 이 때, 약지(F4) 및 소지(F5)의 제2 관절 부근의 손바닥쪽 부분이 파지부(10)의 하부 앞쪽에 닿게 되지만, 파지부(10)의 하부 앞쪽에는 오목부(1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약지(F4) 및 소지(F5)의 제2 관절 부근의 손바닥쪽 부분을 오목부(10a)에 대기 쉬워진다.
제4 사용 양태에서는, 사용자는 굴곡 전 상태로 핸들 굴곡 면도기(1)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10° 혹은 10°에 가까운 대상 각도 즉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대략 평행한 상태로 면도기 헤드(70)의 맞닿음면(74a)을 뺨의 피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 제4 사용 양태를 이용하여 수염을 깎는 경우, 사용자는, 제4 사용 양태, 제1 사용 양태, 제2 사용 양태, 제3 사용 양태의 순서로 사용 양태를 변화시킬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굴곡 전 상태로 뺨을 순방향 면도하고(제4 사용 양태), 굴곡 상태로 변화시켜 턱 아래를 순방향 면도하고(제1 사용 양태), 파지부(10)를 길이 방향을 따른 축의 주위에서 회전시켜 굴곡 상태인 채로 턱 아래를 역방향 면도하고(제2 사용 양태), 그대로 뺨을 역방향 면도하는(제3 사용 양태) 것으로 된다. 이러한 순서로 수염을 깎는 것에 의해, 뺨으로부터 턱 아래에 걸친 순방향 면도로의 수염 면도를 행할 때에는, 굴곡 전 상태로부터 굴곡 상태로 변화시키는 간단하고 쉬운 조작을 1번 행하는 것만으로 해당 수염 면도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턱 아래로부터 뺨에 걸친 역방향 면도로의 수염 면도를 행할 때에는, 파지부(10)가 위쪽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파지부(10)를 바꿔 잡는 번잡한 조작을 행할 것 없이, 파지부(10)를 길이 방향을 따른 축의 주위에 예를 들어 180° 회전시키는 간단하고 쉬운 조작만으로 해당 수염 면도를 행할 수 있다.
< 2. 변형예 >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파지부의 형상 등이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 핸들 굴곡 면도기(2)의 구성 >
도 19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우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굴곡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핸들 굴곡 면도기(2)는, 도 1에 나타내는 핸들 굴곡 면도기(1)와 비교해서, 파지부(10) 대신에, 파지부(20)를 구비한다. 파지부(20)의 대략 중앙에는, 우측으로부터 앞쪽을 경유하여 좌측에 걸쳐,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미끄럼방지 부재(23)가 부착된다.
< 오목부(20a) >
파지부(20)는, 좌우 방향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상단(10g)과 하단(10h)과의 사이에 있어서 오목부(20a)가 형성된다(도 19 참조). 오목부(20a)는 파지부(20)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 부근에 형성되고, 뒤쪽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20a)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실시형태의 핸들 굴곡 면도기(1)의 오목부(10a)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오목부(20a)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실시형태의 핸들 굴곡 면도기(1)의 오목부(10a)의 상하 방향의 길이와 같거나, 혹은 클 수도 있다.
사용자가 순방향 면도를 실시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중지의 손가락 끝의 손바닥쪽 부분이 파지부(20)의 대략 중앙의 앞쪽에 닿게 되지만, 오목부(2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지의 손가락 끝의 손바닥쪽 부분이 오목부(20a)에 닿아, 핸들 굴곡 면도기(2)를 잡기 쉽게 함과 함께, 핸들 굴곡 면도기(2)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사용자가 핸들 굴곡 면도기(2)의 상하를 반대로 하지 않고 역방향 면도를 행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중지의 제2 관절 부근의 손바닥쪽 부분이 파지부(20)의 대략 중앙의 앞쪽에 닿게 된다. 이 때, 오목부(2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지의 제2 관절 부근의 손바닥쪽 부분이 오목부(20a)에 닿아, 핸들 굴곡 면도기(2)를 잡기 쉽게 함과 함께, 핸들 굴곡 면도기(2)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우측 오목부(20i) 및 좌측 오목부(20j) >
핸들 굴곡 면도기(2)를 전후 방향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상단(10g)과 하단(10h)과의 사이의 일부가 가늘게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파지부(20)의 상단(10g) 근방에는, 전후 방향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좌우 방향의 폭이 넓은 상측 폭확대부(20b)로 되어 있다. 상측 폭확대부(20b)의 아래쪽이며 오목부(20a)의 근방에는, 전후 방향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좌우 방향의 폭이 좁은 폭협소부(20c)로 되어 있다. 그리고, 폭협소부(20c)의 아래쪽에는, 전후 방향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좌우 방향의 폭이 넓은 하측 폭확대부(20d)로 되어 있다.
즉, 핸들 굴곡 면도기(2)를 전후 방향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상측 폭확대부(20b)로부터 하측 폭확대부(20d)에 걸쳐, 우측 및 좌측으로 각각 우측 오목부(20i) 및 좌측 오목부(20j)가 형성된다. 우측 오목부(20i)의 형상 및 좌측 오목부(20j)의 형상은 좌우 대칭이다.
이와 같이, 상측 폭확대부(20b)와 하측 폭확대부(20d)와의 사이를 좁히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측 폭확대부(20b)와 하측 폭확대부(20d)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를 잡았을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아래로 향한 힘을 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파지부(20) 상에서 미끄러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 돌출부(20e) >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0)의 돌출부(10d) 근방에는, 조작부(52c)의 반대쪽에 있어서, 앞쪽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20e)가 형성된다. 돌출부(20e)는, 좌우 방향 양단부에 Z축 -측을 향해 가장 돌출하는 선단 부분을 각각 갖고, 이들 2개의 선단 부분 사이에 함몰부가 마련된 Y자에 유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20e)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맞닿음면(74a)을 아래 방향으로 해서 핸들 굴곡 면도기(2)를 테이블 등의 표면에 올려놓았을 때, 핸들 굴곡 면도기(2)는 돌출부(20e)의 2개의 선단 부분과 파지부(20)의 하단(10h)과의 3점에 의해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 헤드(70)의 하단이 표면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프레임부(79)의 상부(79b) 및 하부(79c)의 맞닿음면(74a)에 장착되어 있는 면도 에이드가 표면에 부착되거나 칼날 몸체(80)의 칼끝(80a)이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표면의 더러움이 면도기 헤드(70)의 맞닿음면(74a)에 부착되어, 그 더러움이 사용자의 피부에 묻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3점에서 지지하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핸들 굴곡 면도기(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 2. 본 실시형태의 특징 >
이상,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의해 구체적인 예를 설명했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핸들 굴곡 면도기(1 및 2)는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핸들 굴곡 면도기(1 및 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맞닿음면(74a)과 파지부(10)가 연장되는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칼날 조립체(74)가, 외력이 주어지지 않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이루는 중립 각도가 αf로 되어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는 굴곡 전 상태(제1 상태)와, 중립 각도가 αf보다 큰 αs로 되는 굴곡 상태(제2 상태)를, 전환 기구(50)에 의해 전환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굴곡 상태에서는, 외력이 주어짐으로써,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적어도 대략 수직(90°)이 되는 위치까지 칼날 조립체를 경사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순방향 면도로 뺨을 깎는 경우에는,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는 굴곡 전 상태로 함으로써,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순방향 면도로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는, 중립 각도가 αf보다 큰 αs로 되는 굴곡 상태로 함으로써, 파지부(10)의 하단(10h)이 사용자의 신체와 간섭하는 일 없이, 또한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맞닿음면(74a)을 피부에 밀어 붙이도록 사용자가 파지부(10)에 힘을 가함으로써,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대략 수직이 되는 위치까지 칼날 조립체(74)가 경사운동하여, 파지부(10)의 하단(10h)을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하면서, 또한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확실히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면도기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 위에 밀착시킨 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역방향 면도로 뺨을 깎는 경우에는, 굴곡 상태로 함으로써,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의 일부, 예를 들어 상단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에 댈 수 있다. 그리고, 맞닿음면(74a)을 피부에 밀어 붙이도록 사용자가 파지부(10)에 힘을 가함으로써,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대략 수직이 되는 위치까지 칼날 조립체(74)가 경사운동하여,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면도기(1)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역방향 면도로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는, 굴곡 상태로 함으로써, 팔꿈치를 그다지 들어올리지 않고도,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면도기(1)를 앞쪽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도,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 위에 밀착시킨 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역방향 면도로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는, 굴곡 전 상태이어도,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굴곡 상태로 턱 아래를 역방향 면도하면, 사용자는 팔꿈치를 그다지 들어올리지 않고도 깎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쾌적하게 턱 아래를 깎을 수 있다. 또, 굴곡 상태인 채로 턱 아래의 순방향 면도, 턱 아래의 역방향 면도, 뺨의 역방향 면도를 연속하여 행할 수도 있다.
즉,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의 어느 경우에도,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피부 및 턱 아래의 피부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부(10)가 위쪽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파지부(10)를 바꿔 잡는 일 없이,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핸들 굴곡 면도기(1 및 2)에서는,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중립 각도(αf)를 5° 이상 25° 이하로 하고, 굴곡 상태로 사용자가 피부에 밀어붙이는 등의 외력이 주어질 때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80° 이상이 되도록 칼날 조립체(74)를 경사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굴곡 전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순방향 면도로 뺨을 깎는 경우에 있어서,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뺨에 맞닿게 하는데 적합한 중립 각도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굴곡 상태에서는, 맞닿음면(74a)과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80° 이상이 되도록 칼날 조립체(74)가 경사운동 함으로써, 사용자가 순방향 면도로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 있어서, 파지부(10)의 하단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멀리하면서, 또한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에 확실히 밀착시킨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역방향 면도로 뺨 및 턱 아래를 깎는 경우에는, 파지부(10)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맞닿음면(74a)을 사용자의 뺨의 피부에 밀착시킨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핸들 굴곡 면도기(1 및 2)에서는, 전환 기구(50)가 조작부(52c)와 가동체(52)를 포함하고, 가동체(52)는 이동 규제되어 있어 사용자가 조작부(52c)를 내리누름으로써 가동체(52)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고 굴곡 전 위치와 굴곡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시에 면도기를 앞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칼날 조립체(74)를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굴곡 전 위치)로부터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굴곡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외력이 해당 칼날 조립체(74)에 가해져도, 가동체(52)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굴곡 전 상태에 있는 면도기가 갑자기 굴곡 상태로 변화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조작부(52c)를 내리누르는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면도기를 굴곡 전 상태로부터 굴곡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 핸들 굴곡 면도기(1 및 2)에서는, 굴곡 전 각도와 굴곡 각도와의 차이를 20° 이상 4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굴곡 전 상태에 있어서 뺨의 순방향 면도에 적절한 맞닿음면의 각도를 실현함과 함께, 굴곡 상태에 있어서 턱 아래의 순방향 면도 및 역방향 면도, 그리고 뺨의 역방향 면도에 적절한 맞닿음면의 각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핸들 굴곡 면도기(1 및 2)에서는, 가동체(52)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10f)이 파지부(10)에 형성되고, 조작부(52c)의 좌우 방향의 폭이 홈(10f)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큰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2c)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3. 보충 사항 >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실시했다. 상기 설명은, 어디까지나 일 구성예 및 일 작동예로서의 설명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머물지 않고, 동일한 기술 사상에 근거해 통상의 기술자가 파악 가능한 범위에까지 넓게 해석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이라고 하는 경우, 한 쪽과 다른 쪽이 이루는 각도가 90°가 되는 경우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한 쪽과 다른 쪽이 이루는 각도가 60°가 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이라고 하는 경우도, 한 쪽과 다른 쪽이 이루는 각도가 0°가 되는 경우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한 쪽과 다른 쪽이 이루는 각도가 30°가 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핸들 굴곡 면도기는, 실시형태에 기재한 얼굴 면도용의 면도기로서 특별히 적합한 것이지만, 얼굴 이외의 부위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핸들 굴곡 면도기는, 예를 들어, 겨드랑이, 비키니 존, 또는 다리의 털 등을 깎을 때에도 유용하다. 이러한 부위에 대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파지부(10)의 굴곡 전 상태와 굴곡 상태를 전환시킴으로써, 면도기를 피부에 밀착하도록 맞닿게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팔꿈치를 올리거나 손목을 비틀거나 하는 무리한 몸의 자세를 취하지 않고 , 면도기를 목적의 부위에 밀접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도기는, 사용자가 핸들을 상하가 거꾸로 되도록 바꿔 잡는 일 없이 사용 가능한 면도기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1, 2: 핸들 굴곡 면도기
10, 20: 파지부
30: 헤드 연결부
32: 관통구멍
33: 홈
50: 전환 기구
51: 비틀림 코일 스프링
52: 가동체
61: 굴곡용 연결 핀
62: 전환용 연결 핀
63: 규제 핀
70: 면도기 헤드
74: 칼날 조립체
74a: 맞닿음면
75: 탄성 지지체
76: 접속부
77: 지지부
80: 날 몸체
80a: 칼끝

Claims (11)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파지부와, 면도기 헤드와, 상기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면도기 헤드에 연결되는 헤드 연결부를 구비하는 면도기로서,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칼날 몸체와,
    상기 칼날 몸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맞닿음면을 갖고, 상기 칼날 몸체가 조립된 칼날 조립체와,
    상기 헤드 연결부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칼날 조립체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칼날 조립체를 경사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칼날 조립체가 외력이 주어지지 않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이루는 중립 각도가 제1 각도로 되고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중립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되는 제2 상태에서 전환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외력이 주어짐으로써,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적어도 수직이 되는 위치까지 상기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 가능하며,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파지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가동체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의 규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가 내리눌러짐으로써 해제되는,
    핸들 굴곡 면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순방향 면도 시에는, 상기 제1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맞닿음면이 상기 사용자의 뺨의 피부 위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파지부의 하단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간섭되는 일 없이 상기 맞닿음면이 상기 사용자의 턱 아래의 피부 위에서 이동 가능하며,
    역방향 면도 시에는, 상기 제2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파지부가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인 채로 상기 맞닿음면이 상기 사용자의 뺨의 피부 위에서 이동 가능한,
    핸들 굴곡 면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5° 이상 25° 이하이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외력이 주어짐으로써,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80° 이상이 되도록 상기 칼날 조립체가 경사운동 가능한,
    핸들 굴곡 면도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와 상기 제1 각도와의 차이는 20° 이상 40° 이하인,
    핸들 굴곡 면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가동체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이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폭은, 상기 홈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폭보다 큰,
    핸들 굴곡 면도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탄성 지지체를 향하는 제1 방향은, 상기 파지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탄성 지지체를 향하는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비교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칼날 몸체의 칼끝이 노출 가능한 앞쪽의 반대쪽인 뒤쪽을 향하고 있는,
    핸들 굴곡 면도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좌우 방향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에, 상기 상단과 상기 파지부의 하단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칼날 몸체의 칼끝이 노출 가능한 앞쪽의 일부가 오목한,
    핸들 굴곡 면도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서는, 상기 상단과 상기 파지부의 하단과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는, 상기 하단의 외주보다 작은,
    핸들 굴곡 면도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37010585A 2020-09-04 2021-03-22 핸들 굴곡 면도기 KR102567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9243A JP2022043782A (ja) 2020-09-04 2020-09-04 ハンドル屈曲剃刀
JPJP-P-2020-149243 2020-09-04
PCT/JP2021/011646 WO2022049813A1 (ja) 2020-09-04 2021-03-22 ハンドル屈曲剃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165A KR20230048165A (ko) 2023-04-10
KR102567174B1 true KR102567174B1 (ko) 2023-08-16

Family

ID=7665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585A KR102567174B1 (ko) 2020-09-04 2021-03-22 핸들 굴곡 면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13761B2 (ko)
EP (1) EP4205924A4 (ko)
JP (2) JP2022043782A (ko)
KR (1) KR102567174B1 (ko)
CN (1) CN116348261B (ko)
WO (1) WO2022049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4490B1 (en) * 2019-05-29 2022-11-09 BIC Violex Single Member S.A. Handle assembly and recycling process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461A1 (en) 2010-10-20 2012-04-26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
JP2014528290A (ja) 2011-09-30 2014-10-27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付勢剃毛かみそり
JP2018526076A (ja) 2015-08-05 2018-09-13 ロバートソン,ルーアリー シェービングデバイス
JP2019524365A (ja) 2016-08-24 2019-09-05 エッジウェル パーソナル ケア ブラ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かみそり及び回転部分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8194B2 (ja) 1980-08-19 1983-08-20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安全かみそり
JPS5838194A (ja) 1981-09-01 1983-03-05 有限会社研究所アイエス しおり
JPS5948369U (ja) 1982-09-21 1984-03-30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柄に対する刃体傾斜角度を調節可能な刃物
JPS614279U (ja) 1984-06-09 1986-01-11 株式会社 エ−ス電研 紙幣選別装置
JPH0639648Y2 (ja) 1990-04-20 1994-10-19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T型剃刀における剃刀ヘッドの取付構造
US5093991A (en) * 1990-11-05 1992-03-10 Hendrickson Terrance M Adjustable razor
JPH0639648A (ja) 1992-07-27 1994-02-15 Suzuki Motor Corp サークリップ供給装置
JPH0639648U (ja) 1992-11-04 1994-05-27 日本エービーエス株式会社 車両用液圧ブレーキ制御装置
US5307564A (en) 1992-12-01 1994-05-03 Schoenberg Frederic D Safety razor
US5526568A (en) * 1993-12-23 1996-06-18 Copelan; Herbert W. Razor with switch for perpendicular and limited oblique angle shaving
WO2002022325A1 (en) * 2000-09-13 2002-03-21 Ronald Arun Singh Bi-directional instrument for shaving or cutting hair
DE602004028613D1 (de) * 2003-06-25 2010-09-23 Eveready Battery Inc Rasierer mit einem rasierkopf mit mehreren positionen
JP2006204669A (ja) * 2005-01-31 2006-08-10 Kai R & D Center Co Ltd 安全カミソリのハンドル
JP5433320B2 (ja) * 2009-06-26 2014-03-05 フェザー安全剃刀株式会社 T型安全かみそり
KR101415707B1 (ko) * 2012-10-18 2014-07-08 (주) 에스문 회전형 면도기
JP6093551B2 (ja) * 2012-11-06 2017-03-08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剃刀
US20170282392A1 (en) * 2014-03-24 2017-10-05 Flexhandle, L.L..C. Razor with handle having articulable joint
KR102627079B1 (ko) * 2015-02-01 2024-01-18 레이몬드 에이. 리베라토어 양면 면도기
KR101703508B1 (ko) * 2015-11-20 2017-02-07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JP6755836B2 (ja) * 2017-07-24 2020-09-16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首振り式剃刀
KR101887119B1 (ko) * 2017-11-21 2018-08-09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KR102475474B1 (ko) * 2020-06-03 2022-12-08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461A1 (en) 2010-10-20 2012-04-26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
JP2014528290A (ja) 2011-09-30 2014-10-27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付勢剃毛かみそり
JP2018526076A (ja) 2015-08-05 2018-09-13 ロバートソン,ルーアリー シェービングデバイス
JP2019524365A (ja) 2016-08-24 2019-09-05 エッジウェル パーソナル ケア ブラ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かみそり及び回転部分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48261A (zh) 2023-06-27
CN116348261B (zh) 2024-04-19
EP4205924A1 (en) 2023-07-05
WO2022049813A1 (ja) 2022-03-10
EP4205924A4 (en) 2024-01-17
JP2022043985A (ja) 2022-03-16
JP6900140B1 (ja) 2021-07-07
KR20230048165A (ko) 2023-04-10
US20230249370A1 (en) 2023-08-10
US11813761B2 (en) 2023-11-14
JP2022043782A (ja)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7370A (en) Ergonomic mouse extension
JP2509721B2 (ja) 鋏特に理髪師用鋏
US6396478B1 (en) Ergonomic mouse extension
RU2178734C2 (ru) Ручка бритвы (варианты)
EP2753461B1 (en) Razors and razor handles
US5831819A (en) Hand-held data collection terminal with a contoured protrusion
KR102567174B1 (ko) 핸들 굴곡 면도기
US20120023762A1 (en) Handle for bladed hand tool and razor
US20070018948A1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an electronic device during data input and device control
EP3439838A1 (en) A shaver&#39;s handle with a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 razor cartridge
KR100658516B1 (ko) 면도기
EP1658606B1 (en) Ergonomic mouse
US9625935B2 (en) Powered wheelchair joystick handles
JPS63113618A (ja) ディジタイザー用スタイラス
US20090085778A1 (en) Text input device for videogame controller
CN109841441A (zh) 便携式操作装置
BR112023004015B1 (pt) Aparelho de barbear de cabo dobrável
JP6943550B2 (ja) マウス
JP2020130824A (ja) ニッパー式爪切り
JP6657319B2 (ja) 操縦用コントローラ
CN116787495A (zh) 一种多角度自由转换式手持部件及剃须刀
JPH04205214A (ja) ジョイスティック付き操作パネル
JP2001293264A (ja) カッターナイフ
JP2022100614A (ja) リールシート
JPH11208182A (ja) 手のひら筆記具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