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474B1 -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474B1
KR102475474B1 KR1020200066857A KR20200066857A KR102475474B1 KR 102475474 B1 KR102475474 B1 KR 102475474B1 KR 1020200066857 A KR1020200066857 A KR 1020200066857A KR 20200066857 A KR20200066857 A KR 20200066857A KR 102475474 B1 KR102475474 B1 KR 10247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razor cartridge
razor
pivot section
restor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008A (ko
Inventor
김동일
장세준
조은혜
유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20006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474B1/ko
Priority to US17/324,839 priority patent/US20210379782A1/en
Priority to EP21176861.9A priority patent/EP3928935B1/en
Publication of KR2021015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0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longitudinally to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0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blades with more than two cutting edges; involving disc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8Mounting devices; Manufacture of razors or cartridges
    • B26B21/4075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4Mean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razor for storing shaving-cream, styptic,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8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5Handles, e.g. tiltable, flexible for longitudinally arranged cutting edges

Abstract

면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 내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 핸들; 및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로부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에 면도기 카트리지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되, 회동 범위는 중립 위치로부터 제1각도까지의 제1피봇 구간 및 제1각도로부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까지의 제2피봇 구간을 포함하고,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본 개시는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습식 면도기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와 면도기 핸들(razor handle)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 하우징, 가드 바(guard bar), 캡(cap), 및 가드 바와 캡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를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중립 위치(rest position)와 회동 위치(pivot position) 사이에서 면도기 핸들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운동은, 기본적으로,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운동은, 면도 블레이드가 절삭 표면,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와 원활하게 접촉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회동 기능을 가진 면도기 조립체(이하, '피봇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와 사용자 피부 사이의 양호한 접촉성을 유지하기 위해, 복원력 제공부(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는 회동된 면도기 카트리지를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면도기 카트리지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회동 기능을 가진 면도기 조립체(이하, '피봇 면도기 조립체')는, 원활한 면도를 제공하기 위해, 적정한 크기의 회동 범위와 적정한 크기의 복원력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복원력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이 너무 클 경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이 뻑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복원력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이 너무 작을 경우, 회동된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로 빠르게 복원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면도기 카트리지와 사용자 피부 사이의 접촉성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범위가 너무 클 경우, 면도기 카트리지가 과도하게 회동할 수 있어 면도가 불편해질 수 있다. 반대로,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범위가 너무 작을 경우, 굴곡이 많은 피부 영역을 면도할 때 면도기 카트리지가 충분히 회동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가 베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적정한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함과 아울러, 면도기 카트리지에 적정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 내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 핸들; 및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로부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에 면도기 카트리지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되, 회동 범위는 중립 위치로부터 제1각도까지의 제1피봇 구간 및 제1각도로부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까지의 제2피봇 구간을 포함하고,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범위가 서로 다른 회동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피봇 구간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원활한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핸들에 대하여 회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및 복원력 제공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1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플런저의 이동거리에 따른 복원력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및 복원력 제공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1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및 복원력 제공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1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 및 복원력 제공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1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플런저의 이동거리에 따른 복원력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 및 복원력 제공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10)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면도기 조립체(1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면도기 조립체(10)의 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10)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12),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130), 및 복원력 제공부(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 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110) 및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12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면도기 카트리지(12)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를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놓이도록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종방향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기준으로 종방향은 Y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는 체모를 절삭하기 위한 커팅 에지(cutting edge, 112)를 가질 수 있다.
면도기 핸들(130)은 면도기 카트리지(12)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도기 핸들(130)은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first rotational axis, ax1)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rotation range) 내에서 면도기 카트리지(1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가 면도기 핸들(13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면도기 카트리지(12)는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미도시)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측 또는 하면(bottom side)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면도기 카트리지(12) 또는 면도기 핸들(1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미도시)는 면도기 카트리지(12)에 고정된 상태에서 면도기 핸들(1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커넥터(미도시)는 면도기 핸들(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도기 핸들(130)은 커넥터(미도시)없이 면도기 카트리지(12)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면도기 카트리지(12)는, 쉘 베어링(shell bearing) 방식을 통해, 면도기 핸들(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쉘 베어링 방식은, 면도기 핸들(13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guided protrusion, 미도시)가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트랙(guide track, 미도시)에 삽입되어 가이드(guide)되도록 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핸들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하는 연결 방식을 지칭한다.
면도기 핸들(130)은 면도기 카트리지(12)와 연결되는 본체부(body portion, 132) 및 본체부(132)로부터 연장되는 그립부(grip portion, 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32)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측 또는 하면에 배치된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12)와 연결되거나 커넥터(미도시)없이 직접 면도기 카트리지(1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립부(134)는 본체부(13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립부(134)는 사용자에게 면도기 핸들(130)을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132)는 내부에 복원력 제공부(1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140)는 중립 위치로부터 회동된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복원력(recover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력은 면도기 카트리지(12)를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힘을 지칭한다.
본체부(132)는 제1회전축(ax1)과 수직한 제2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그립부(134)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체부(132)의 위치는 그립부(134)에 대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립부(134)는 본체부(132)와 별개의 부재일 수 있으나, 본체부(132)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원력 제공부(140)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중립 위치로부터 제1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원력 제공부(140)의 일측에 형성된 후측 캠면(rear cam surface, 141)과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후면 또는 면도기 핸들(130)의 연결 부재(connecting member, 미도시)에 형성된 전측 캠면(front cam surface, 14) 사이의 캠 작용(cam action)을 통해, 복원력 제공부(140)는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복원력 제공부(14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elastic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원력 제공부(140)는 스프링(spring) 또는 러버밴드(rubber ba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원력 제공부(140)는 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내부에 자성체(magnetic material)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 제공부(140)는, 다양한 구성들의 특징적인 배치를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동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회동 특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2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2)가 면도기 핸들(130)에 대하여 회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중립 위치(rest position)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제1피봇 구간(first pivot section)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c)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제2피봇 구간(second pivot section)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도 도 2(c)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12)는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ax1)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 내에서 면도기 핸들(13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동 범위는 중립 위치로부터 제1각도(first angle)까지의 제1피봇 구간 및 제1각도로부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second angle)까지의 제2피봇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각도, 제2각도 등의 면도기 카트리지(12)의 각도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측정된 값이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카트리지(12)의 각도는 0도이다.
제1각도는 40도 내지 60도일 수 있으며, 제2각도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각도 및 제2각도는 구현하려는 회동 성질에 따라 상술한 범위 이외의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동 범위는, 제1피봇 구간에 더하여 제2피봇 구간을 추가적으로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회동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2)는, 굴곡이 많은 피부 영역을 면도하는 등의 넓은 회동 범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원활한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구성의 특징적인 구조 내지 배치를 통해,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른 회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보다 제2피봇 구간에서 더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원활한 면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면도기 조립체(10)는, 제1피봇 구간으로부터 제2피봇 구간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복원력의 증가율이 커지기 때문에, 제1각도 부근의 영역에서, 면도기 카트리지(12)에 충분한 지지력(support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면도기 조립체(20)는, 과도한 회동 각도가 필요하지 않은 통상의 면도 중에도, 사용자에게 원활한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선택적으로 기능 제공부(function provid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제공부(미도시)는 제2피봇 구간에서만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면도기능(shaving function)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능 제공부(미도시)가 제공하는 면도기능은 히팅 기능(heating function) 및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shaving aid jett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 제공부는 상술한 기능 이외의 면도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면도 중 기능 제공부(미도시)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큰 각도인 제2피봇 구간 내의 각도만큼 면도기 카트리지(12)를 회동시킬 수 있다.
즉, 기능 제공부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동 이외의 동작,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동작 내지 버튼의 슬라이딩 동작 등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사용자가 면도 중에도 손쉽게 기능 제공부(미도시)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3 내지 도 20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서는 복원력 제공부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하여 기술된다. 구체적으로, 각 실시예에서, 면도기 핸들에 수용된 복수의 탄성부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 제공부는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른 회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230) 및 복원력 제공부(2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232)는 본체 하우징(body housing, 2321) 및 연결 부재(connecting member, 23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원력 제공부(240)는 플런저(plunger, 241), 제1탄성부재(first elastic member, 242), 제2탄성부재(second elastic member, 243), 및 플런저 가이드(plunger guide, 2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321)은 상부 절편(upper segment, 미도시) 및 하부 절편(lower segment, 2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편(미도시) 및 하부 절편(2323) 사이의 영역은 본체 하우징(2321)의 수용공간(receiving space)을 정의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40)는 본체 하우징(2321)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부 절편(미도시) 및 하부 절편(2323)은 서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부 절편(미도시) 및 하부 절편(2323)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 부재(2324)는 커넥터(미도시)와 본체 하우징(2321)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연결 부재(2324)의 일측은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연결 부재(2324)의 타측은 본체 하우징(2321)과 제1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하면 또는 연결 부재(2324)의 타측 상에는 제1캠면(first cam surface, 23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캠면(2325)은 플런저(241)의 일측에 형성된 제2캠면(second cam surface, 2411)과 캠 작용(cam action)할 수 있다.
제1캠면(2325) 및 제2캠면(2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운동은 플런저(241)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플런저(241)의 직선 운동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캠면(2325) 및 제2캠면(2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복원력 제공부(240)로부터 발생된 복원력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연결 부재(2324)가 커넥터(미도시)에 결합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면도기 핸들(230)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2324)없이, 본체 하우징(2321)이 커넥터(미도시)에 결합되거나, 또는, 본체 하우징(2321)이 커넥터(미도시)없이 직접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캠면(2325)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241)는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로부터 발생된 복원력을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플런저(241)는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플런저(241)의 일측 상에는 제2캠면(2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캠면(2411)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하면 또는 연결 부재(2324)의 타측에 형성된 제1캠면(2325)과 캠 작용할 수 있다.
플런저(241)는 제1캠면(2325) 및 제2캠면(2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플런저(241)는 직선 운동을 통해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를 압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과 관련된 설명에서, 전방은 제1회전축(ax1)에 접근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고, 후방은 제1회전축(ax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제1탄성부재(242)는 플런저(241)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제1탄성부재(242)의 일측은 플런저(24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제1탄성부재(242)의 타측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플런저 가이드(244)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는 플런저(241)가 후방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탄성부재(242)의 내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의 탄성력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를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는 스프링(2422)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242)는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 예컨대, 러버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탄성부재(242)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24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부재(242)는 플런저(241)의 타측과 연결되는 세 개의 스프링(24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탄성부재(242)는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플런저 가이드(244)는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를 연결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플런저 가이드(244)의 일측은 제1탄성부재(242)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플런저 가이드(244)의 타측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제2탄성부재(243)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가 플런저(241)의 직선 운동에 의해 압축될 때, 제1탄성부재(242)는 플런저 가이드(244)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에 의해 가압된 플런저 가이드(244)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 가이드(244)는 직선 운동을 통해 제2탄성부재(243)를 압축시킬 수 있다.
제2탄성부재(243)는 플런저 가이드(244)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에 인접한 제2탄성부재(243)의 일측은 플런저 가이드(244)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로부터 이격된 제2탄성부재(243)의 타측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본체 하우징(2321)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321)의 일측의 위치는 제1회전축(ax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탄성부재(243)의 타측의 위치 또한 제1회전축(ax1)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43)의 타측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탄성부재(243)는 플런저 가이드(244)가 후방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탄성부재(243)의 내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43)의 탄성력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를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43)는 스프링(2432)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2탄성부재(243)는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 예컨대, 러버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탄성부재(243)는 하나의 스프링(24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부재(242)는 플런저 가이드(244)의 타측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하나의 스프링(24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탄성부재(243)는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직렬로 배치된다는 것은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가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렬 배치에 있어서, 제1탄성부재(242)는 제2탄성부재(24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탄성부재(242)는 제2탄성부재(243)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20)는,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회동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피봇 구간을 구현하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는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ax1)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 내에서 면도기 핸들(23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회동 범위는 중립 위치로부터 제1각도까지의 제1피봇 구간 및 제1각도로부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까지의 제2피봇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각도, 제2각도 등의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측정된 값이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는 0도이다.
제1각도는 40도 내지 60도일 수 있으며, 제2각도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각도 및 제2각도는 구현하려는 회동 성질에 따라 상술한 범위 이외의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프리 로드(pre-load)가 작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회동하기 이전에, 이미, 소정의 크기만큼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40)는,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의 이러한 초기 압축 상태를 통해, 중립 위치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에 초기 복원력(initial recover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는, 초기 복원력 이상의 힘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에 작용하기 이전까지, 회동이 저지됨으로써 중립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 등으로 비교적 작은 힘으로 면도를 하고 있을 때, 의도치 않게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회동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 중 하나만 프리 로드된 상태이거나, 또는,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 모두 프리 로드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로부터 제1피봇 구간 내의 각도까지 회동할 경우, 플런저(241)는 제1캠면(2325) 및 제2캠면(2411)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는 플런저(241)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가 플런저(241)의 이동에 의해 압축될 때, 제1탄성부재(242)는 플런저 가이드(244)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에 의해 가압된 플런저 가이드(244)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 가이드(244)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탄성부재(243)를 압축시킬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각각 프리 로드된 상태보다 더 많이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원력 제공부(240)는 초기 복원력보다 더 큰 복원력을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압축 한계점(compression limit)에 다다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더 크게 회동함에 따라, 더 많이 압축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한계점은, 탄성부재의 구조, 물성 등에 의한 물리적 한계에 의해, 탄성부재가 더 이상 압축되지 않는 지점을 지칭한다.
탄성체에 변형, 예컨대, 압축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탄성체로부터 발생하는 탄성력의 크기는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복원력은, 제1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증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으로부터 제2피봇 구간 내의 각도까지 회동할 경우, 플런저(241)는 제1캠면(2325) 및 제2캠면(2411)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241)는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후방으로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피봇 구간 내에서, 제1탄성부재(242)는 압축 한계점에 다다른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피봇 구간 내에서, 제1탄성부재(242)는 실질적으로 압축이 이루이지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는, 제1피봇 구간과 제2피봇 구간의 경계 각도인 제1각도에서, 압축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24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제1탄성부재(242)는 압축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가 후방으로 이동할 가압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2)에 의해 가압된 플런저 가이드(244)는 때, 제1탄성부재(242)는 플런저 가이드(244)를 후방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 가이드(244)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탄성부재(243)를 압축시킬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압축 한계점에 다다른 제1탄성부재(242)에서는 압축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반면, 제2탄성부재(243)는 계속해서 압축될 수 있다.
탄성체에 변형, 예컨대, 압축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탄성체로부터 발생하는 탄성력의 크기는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2탄성부재(243)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은, 제2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제2피봇 구간에서, 제1탄성부재(242)에서는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2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는 실질적으로 제2탄성부재(243)의 압축 정도의 증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보다 제2피봇 구간에서 더 클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20)의 플런저(241)의 이동거리에 따른 복원력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서, 플런저(241)의 이동거리는,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의 플런저(241)의 위치를 기준으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회동함에 따라 플런저(241)가 이동한 거리를 지칭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241)의 이동거리는 0이다. 다만,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프리 로드(pre-load)된 상태이므로, 복원력 제공부(240)는 초기 복원력을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할 때,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플런저(241)의 이동거리는 더 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241)는 제1피봇 구간과 제2피봇 구간의 경계 각도인 제1각도에서 제1거리(a)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1피봇 구간에서,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모두 압축 한계점에 다다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더 많이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제1탄성부재(242)가 세 개의 제1스프링(2422)을 포함하고 제2탄성부재(243)가 한 개의 제2스프링(2432)을 포함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직렬로 배치되므로, 제1피봇 구간에서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로 구성된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는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K1 = 3KA,
K2 = KB,
KT1 = (K1*K2)/(K1+K2) = (3KA*KB)/(3KA+KB)
(K1: 제1탄성부재의 스프링 상수, KA: 제1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K2: 제2탄성부재의 스프링 상수, KB: 제2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KT1: 제1피봇 구간에서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
수학식 1을 참조하면, K1 및 K2는 모두 양수이므로, K1/(K1+K2) 및 K2/(K1+K2)는 1보다 작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KT1은 K1 및 K2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개의 스프링이 직렬로 배치되었을 때,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가, 두 개의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중 더 작은 스프링 상수보다 더 작아지는 성질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복원력의 크기는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로부터 발생된 탄성력의 크기와 대응되므로, 제1피봇 구간에서, 플런저(241)의 이동거리에 따른 복원력의 기울기는 KT1에 비례하게 된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할 때,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플런저(241)의 이동거리는 더 커질 수 있다.
제2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압축 한계점에 다다른 제1탄성부재(242)에서는 압축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반면, 제2탄성부재(243)는 계속해서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피봇 구간에서는, 제1피봇 구간에서와는 달리,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는 더 이상 두 개의 스프링이 직렬로 배치된 것처럼 거동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제2피봇 구간에서, 전체 스프링 시스템은 제2탄성부재(243) 단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피봇 구간에서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는 다음의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KT2 = K2
(KT2: 제2피봇 구간에서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
상술한 바와 같이, K1/(K1+K2)는 1보다 작은 값을 가지므로, KT2는 KT1보다 큰 값을 가질 수밖에 없다.
복원력의 크기는 제1탄성부재(242) 및 제2탄성부재(243)로부터 발생된 탄성력의 크기와 대응되므로, 제2피봇 구간에서, 플런저(241)의 이동거리에 따른 복원력의 기울기는 KT2에 비례하게 된다.
KT2는 KT1보다 큰 값을 가지므로, 제2피봇 구간에서의 복원력의 기울기는 제1피봇 구간에서의 복원력의 기울기보다 더 가파를 수 있다. 다시 말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보다 제2피봇 구간에서 더 클 수 있다.
한편,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제2피봇 구간에서의 복원력의 증가율은 전적으로 제2탄성부재(243)의 제2스프링(2432)의 스프링 상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피봇 구간에서의 복원력 증가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스프링(2432)의 스프링 상수는 제1스프링(2422)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스프링(2432)의 스프링 상수는 제1스프링(2422)의 스프링 상수보다 작거나 제1스프링(2422)의 스프링 상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330) 및 복원력 제공부(3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원력 제공부(340)는 플런저(341), 제1탄성부재(342), 제2탄성부재(343), 및 플런저 가이드(3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탄성부재(343)는 탄성체, 예컨대, 러버밴드(rubber band, 34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탄성부재(3434)는 러버 블록(rubber block, 미도시), 스펀지(sponge, 미도시) 등 러버밴드(3434) 이외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체 하우징(3321)의 하부 절편(3323)은 하부 절편(3323)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돌기(fixing protrusion, 33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 돌기(3326)는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러버밴드(3434)의 양측은 한 쌍의 걸림 돌기(3326)에 각각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해, 러버밴드(3434)는 본체 하우징(3321)에 고정될 수 있다.
플런저(341)는 제1캠면(3325) 및 제2캠면(3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플런저(341)는 직선 운동을 통해 제1탄성부재(342) 및 제2탄성부재(343)의 러버밴드(3434)를 각각 압축 및 인장시킬 수 있다.
제1탄성부재(342)는 플런저(341)가 후방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탄성부재(342)의 내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42)의 탄성력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를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42)는 스프링(3424)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342)는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elastic material), 예컨대, 러버 부재(rubber member, 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플런저 가이드(344)는 제1탄성부재(342) 및 제2탄성부재(3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탄성부재(342) 및 제2탄성부재(343)를 연결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42)가 플런저(341)의 직선 운동에 의해 압축될 때, 제1탄성부재(342)는 플런저 가이드(344)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42)에 의해 가압된 플런저 가이드(344)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 가이드(344)는 직선 운동을 통해 제2탄성부재(343)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 가이드(344)는 러버밴드(3434)를 가압함으로써, 러버밴드(3434)를 인장시킬 수 있다.
러버밴드(3434)는 플런저 가이드(344)에 의해 인장됨으로써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는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ax1)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 내에서 면도기 핸들(33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회동 범위는 중립 위치로부터 제1각도까지의 제1피봇 구간 및 제1각도로부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까지의 제2피봇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각도, 제2각도 등의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측정된 값이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는 0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로부터 제1피봇 구간 내의 각도까지 회동할 경우, 플런저(341)는 제1캠면(3325) 및 제2캠면(3411)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42)는 플런저(341)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 가이드(344)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탄성부재(343)의 러버밴드(3434)를 인장시킬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제1탄성부재(342) 및 제2탄성부재(343)는 압축 한계점 및 인장 한계점(tensile limit)에 다다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더 크게 회동함에 따라, 더 많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342) 및 제2탄성부재(343)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복원력은, 제1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인장 한계점은, 탄성부재의 구조, 물성 등에 의한 물리적 한계에 의해, 탄성부재가 더 이상 인장하지 않는 지점을 지칭한다.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으로부터 제2피봇 구간 내의 각도까지 회동할 경우, 플런저(341)는 제1캠면(3325) 및 제2캠면(3411)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피봇 구간 내에서, 제1탄성부재(342)는 압축 한계점에 다다른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피봇 구간 내에서, 제1탄성부재(342)는 실질적으로 압축이 이루이지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제1탄성부재(342)는, 제1피봇 구간과 제2피봇 구간의 경계 각도인 제1각도에서, 압축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34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제1탄성부재(342)는 압축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4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플런저 가이드(344)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2탄성부재(343)의 러버밴드(3434)를 인장시킬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압축 한계점에 다다른 제1탄성부재(342)에서는 압축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반면, 제2탄성부재(343)의 러버밴드(3434)는 계속해서 인장될 수 있다.
제2피봇 구간에서, 제1탄성부재(342)에서는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2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는 실질적으로 제2탄성부재(343)의 러버밴드(3434)의 인장 정도의 증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보다 제2피봇 구간에서 더 클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430) 및 복원력 제공부(4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체부(432)는 본체 하우징(4321) 및 연결 부재(43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원력 제공부(440)는 플런저(441) 및 제3탄성부재(4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탄성부재(445)는 서로 다른 탄성 성질을 가지는 제1탄성영역(first elastic area, 4452) 및 제2탄성영역(second elastic area, 44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3탄성부재(445)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스프링(4451)을 포함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하나의 스프링(4451) 내에서 권선 밀도(winding density)를 달리함으로써, 그 스프링(4451)은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영역(4452)의 권선 밀도는 제2탄성영역(4454)의 권선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
두 탄성영역(4452, 4454)이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고 가정할 경우, 권선 밀도가 낮은 영역이 권선 밀도가 높은 영역보다 더 큰 스프링 상수를 가지므로, 제1탄성영역(4452)의 스프링 상수는 제2탄성영역(4454)의 스프링 상수보다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직렬 배치에 있어서, 제1탄성영역(4452)은 제2탄성영역(445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탄성영역(4452)은 제2탄성영역(4454)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40)는, 하나의 탄성부재(445) 내에 서로 다른 탄성 성질을 가지는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을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회동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피봇 구간을 구현하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13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제3탄성부재(445)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445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탄성부재(445)는 플런저(441)의 타측과 연결되는 두 개의 스프링(445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탄성부재(445)는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제3탄성부재(445)의 일측은 플런저(441)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제3탄성부재(445)의 타측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플런저 가이드(444)의 일측 또는 본체 하우징(4321)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440)가 플런저 가이드(444)를 포함하는 경우,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플런저 가이드(444)의 타측은 본체 하우징(4321)의 일측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플런저 가이드(444)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하면 또는 연결 부재(4324)의 타측 상에는 제1캠면(43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캠면(4325)은 플런저(441)의 일측에 형성된 제2캠면(4411)과 캠 작용할 수 있다.
제1캠면(4325) 및 제2캠면(4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운동은 플런저(441)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플런저(441)의 직선 운동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캠면(4325) 및 제2캠면(4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복원력 제공부(440)로부터 발생된 복원력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플런저(441)는 제3탄성부재(445)의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로부터 발생된 복원력을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플런저(441)는 제1캠면(4325) 및 제2캠면(4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플런저(441)는 직선 운동을 통해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을 압축시킬 수 있다.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은 플런저(441)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는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ax1)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 내에서 면도기 핸들(43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회동 범위는 중립 위치로부터 제1각도까지의 제1피봇 구간 및 제1각도로부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까지의 제2피봇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각도, 제2각도 등의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측정된 값이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는 0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로부터 제1피봇 구간 내의 각도까지 회동할 경우, 플런저(441)는 제1캠면(4325) 및 제2캠면(4411)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탄성부재(445)는 플런저(441)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제3탄성부재(445)가 플런저(441)의 이동에 의해 압축될 때,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은 동시에 압축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은 압축 한계점에 다다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더 크게 회동함에 따라, 더 많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탄성영역(4452) 및 제2탄성영역(4454)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복원력은, 제1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증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으로부터 제2피봇 구간 내의 각도까지 회동할 경우, 플런저(441)는 제1캠면(4325) 및 제2캠면(4411)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피봇 구간 내에서, 제2탄성영역(4454)은 압축 한계점에 다다른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피봇 구간 내에서, 제2탄성영역(4454)은 실질적으로 압축이 이루이지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제2탄성영역(4454)은, 제1피봇 구간과 제2피봇 구간의 경계 각도인 제1각도에서, 압축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44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제2탄성영역(4454)에 압축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제1탄성영역(4452)은 계속해서 압축될 수 있다.
제2피봇 구간에서, 제2탄성영역(4454)에서는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2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는 실질적으로 제1탄성영역(4452)의 압축 정도의 증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보다 제2피봇 구간에서 더 클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수학식 2에서 상술한 내용과 유사하게, 제2피봇 구간에서의 복원력의 증가율은 전적으로 제1탄성영역(4452)의 스프링 상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530) 및 복원력 제공부(5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복원력 제공부(540)는 플런저(541), 제4탄성부재(fourth elastic member, 546), 및 제5탄성부재(fifth elastic member, 547)를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하면 또는 연결 부재(5324)의 타측 상에는 제1캠면(53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캠면(5325)은 플런저(541)의 일측에 형성된 제2캠면(5411)과 캠 작용할 수 있다.
제1캠면(5325) 및 제2캠면(5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운동은 플런저(541)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플런저(541)의 직선 운동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캠면(5325) 및 제2캠면(5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복원력 제공부(540)로부터 발생된 복원력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플런저(541)는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로부터 발생된 복원력을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플런저(541)는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플런저(541)의 일측 상에는 제2캠면(5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캠면(5411)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하면 또는 연결 부재(5324)의 타측에 형성된 제1캠면(5325)과 캠 작용할 수 있다.
플런저(541)는 제1캠면(5325) 및 제2캠면(5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플런저(541)는 직선 운동을 통해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를 압축시킬 수 있다.
제4탄성부재(546)는 플런저(541)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제4탄성부재(546)의 일측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플런저(54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제4탄성부재(546)의 타측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플런저 가이드(544)의 일측 또는 본체 하우징(5321)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540)가 플런저 가이드(544)를 포함하는 경우,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플런저 가이드(544)의 타측은 본체 하우징(5321)의 일측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플런저 가이드(544)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제4탄성부재(546)는 플런저(541)가 후방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탄성부재(546)의 내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4탄성부재(546)의 탄성력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를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4탄성부재(546)는 스프링(5462)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4탄성부재(546)는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 예컨대, 러버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5탄성부재(547)는 플런저(541)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제5탄성부재(547)의 일측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플런저(54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은 다른 부재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인접한 플런저 가이드(544)의 일측 또는 본체 하우징(5321)의 일측과 대면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540)가 플런저 가이드(544)를 포함하는 경우,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와 이격된 플런저 가이드(544)의 타측은 본체 하우징(5321)의 일측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플런저 가이드(544)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제1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은 플런저 가이드(544)의 일측 또는 본체 하우징(5321)의 일측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은 다른 부재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제5탄성부재(547)는 압축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2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은 플런저 가이드(544)의 일측 또는 본체 하우징(5321)의 일측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제2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은 다른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므로, 제5탄성부재(547)는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는 플런저(541)가 후방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탄성부재(547)의 내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5탄성부재(547)의 탄성력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를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5탄성부재(547)는 스프링(5472)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5탄성부재(547)는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 예컨대, 러버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5탄성부재(547)는 하나의 스프링(547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탄성부재(547)는 플런저(541)의 타측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하나의 스프링(547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5탄성부재(547)는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6에서는, 제5탄성부재(547)의 일측이 플런저(541)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이 다른 부재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5탄성부재(547)의 일측이 다른 부재와 연결되지 않고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이 플런저 가이드(544)의 일측 또는 본체 하우징(5321)의 일측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일측은 플런저(541)의 타측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일측은 플런저(541)의 타측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제5탄성부재(547)는 압축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2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일측은 플런저(541)의 타측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제2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일측은 플런저(541)의 타측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므로, 제5탄성부재(547)는 압축될 수 있다.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가 각각 스프링을 포함한다고 가정할 경우, 제5탄성부재(547)가 제2피봇 구간에서만 압축되도록 하기 위해, 제5탄성부재(547)의 스프링(5472)의 길이를 제4탄성부재(546)의 스프링(5462)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병렬로 배치된다는 것은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가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는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ax1)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 내에서 면도기 핸들(53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회동 범위는 중립 위치로부터 제1각도까지의 제1피봇 구간 및 제1각도로부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까지의 제2피봇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각도, 제2각도 등의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측정된 값이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는 0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로부터 제1피봇 구간 내의 각도까지 회동할 경우, 플런저(541)는 제1캠면(5325) 및 제2캠면(5411)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4탄성부재(546)는 플런저(541)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제4탄성부재(546)가 플런저(541)의 이동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은 다른 부재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5탄성부재(547)는 압축되지 않는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제4탄성부재(546)는 압축 한계점에 다다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더 크게 회동함에 따라, 더 많이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4탄성부재(546)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은, 제1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1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에서는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1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는 실질적으로 제4탄성부재(546)의 압축 정도의 증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 및 도 19 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으로부터 제2피봇 구간 내의 각도까지 회동할 경우, 플런저(541)는 제1캠면(5325) 및 제2캠면(5411)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피봇 구간 내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은 플런저 가이드(544)의 타측 또는 본체 하우징(5321)의 일측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피봇 구간 내에서, 제5탄성부재(547)는 압축될 수 있다. 제5탄성부재(547)는, 제1피봇 구간과 제2피봇 구간의 경계 각도인 제1각도에서, 압축이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54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는 동시에 압축될 수 있다.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에 의해 발생되는 각각의 복원력은, 제2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보다 제2피봇 구간에서 더 클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20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50)의 플런저(541)의 이동거리에 따른 복원력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에서, 플런저(541)의 이동거리는,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의 플런저(541)의 위치를 기준으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회동함에 따라 플런저(541)가 이동한 거리를 지칭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541)의 이동거리는 0이다. 다만, 제4탄성부재(546)는 프리 로드(pre-load)된 상태이므로, 복원력 제공부(540)는 초기 복원력을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1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할 때,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플런저(541)의 이동거리는 더 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541)는 제1피봇 구간과 제2피봇 구간의 경계 각도인 제1각도에서 제1거리(a)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1피봇 구간에서, 제4탄성부재(546)는 압축 한계점에 다다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4탄성부재(546)는 더 많이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제4탄성부재(546)가 두 개의 제5스프링(5462)을 포함하고 제5탄성부재(547)가 한 개의 제6스프링(5472)을 포함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5탄성부재(547)에서는 압축이 이루이지지 않으므로, 제1피봇 구간에서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로 구성된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는 다음의 수학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3]
K4 = 2KD,
KT1 = K4 = 2KD
(K4: 제4탄성부재의 스프링 상수, KD: 제5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KT1: 제1피봇 구간에서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제1피봇 구간에서의 복원력의 증가율은 전적으로 제4탄성부재(546)의 제5스프링(5462)의 스프링 상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피봇 구간에서의 복원력 증가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5스프링(5462)의 스프링 상수는 제6스프링(5462)의 스프링 상수보다 크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5스프링(5462)의 스프링 상수는 제6스프링(5472)의 스프링 상수보다 작거나 제6스프링(5472)의 스프링 상수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복원력의 크기는 제4탄성부재(546)로부터 발생된 탄성력의 크기와 대응되므로, 제1피봇 구간에서, 플런저(541)의 이동거리에 따른 복원력의 기울기는 KT1에 비례하게 된다.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할 때,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플런저(541)의 이동거리는 더 커질 수 있다.
제2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547)의 타측은 플런저 가이드(544)의 일측 또는 본체 하우징(5321)의 일측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5탄성부재(547)는 압축될 수 있다.
제2피봇 구간에서,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는 모두 압축 한계점에 다다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는 더 많이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제4탄성부재(546)가 세 개의 제5스프링(5462)을 포함하고 제5탄성부재(547)가 한 개의 제6스프링(5472)을 포함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는 병렬로 배치되므로, 제2피봇 구간에서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로 구성된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는 다음의 수학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4]
K5 = KE,
KT2 = K4 + K5 = 2KD + KE
(K5: 제5탄성부재의 스프링 상수, KE: 제6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KT2: 제2피봇 구간에서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
수학식 4를 참조하면, K4 및 K5는 모두 양수이므로, KT2는 KT1보다 클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개의 스프링이 병렬로 배치되었을 때,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가, 두 개의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중 더 큰 스프링 상수보다 더 커지는 성질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복원력의 크기는 제4탄성부재(546) 및 제5탄성부재(547)로부터 발생된 탄성력의 크기와 대응되므로, 제2피봇 구간에서, 플런저(541)의 이동거리에 따른 복원력의 기울기는 KT2에 비례하게 된다.
KT2는 KT1보다 큰 값을 가지므로, 제2피봇 구간에서의 복원력의 기울기는 제1피봇 구간에서의 복원력의 기울기보다 더 가파를 수 있다. 다시 말해,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보다 제2피봇 구간에서 더 클 수 있다.
후술될 도 2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6실시예는, 복원력 제공부가 면도기 카트리지 측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 내지 도 20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앞선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62) 및 복원력 제공부(64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복원력 제공부(640)는 플런저(641), 제4탄성부재(646), 및 제5탄성부재(64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5탄성부재(647)는 면도기 카트리지(62)의 일측 또는 하면(bottom side)에 배치되는 커넥터(65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5탄성부재(647)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도기 카트리지(62)의 제1피봇 구간을 종결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커넥터(650)의 일측 이외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650)가 면도기 카트리지(62)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의 경우, 제5탄성부재(647)는 면도기 카트리지(6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650) 없이 면도기 핸들(630)이 면도기 카트리지(62)에 직접 연결되는 쉘 베어링 방식의 실시예의 경우, 제5탄성부재(647)는 가이드 트랙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5탄성부재(647)는 러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60)는 스토퍼 영역(stopper area, 6327)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영역(6327)은 본체 하우징(6321)의 일부, 예컨대, 상부 절편(6322) 또는 플런저(64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 영역(6327)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도기 카트리지(62)의 제1피봇 구간을 종결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상부 절편(6322) 및 플런저(641) 이외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650)가 면도기 카트리지(62)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의 경우, 스토퍼 영역(6327)은 커넥터(65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650) 없이 면도기 핸들(630)이 면도기 카트리지(62)에 직접 연결되는 쉘 베어링 방식의 실시예의 경우, 스토퍼 영역(6327)은 가이드 돌기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탄성부재(647)의 위치와 스토퍼 영역(6327)의 위치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서로 반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서는, 제5탄성부재(647)가 커넥터(650)의 일측에 배치되고 스토퍼 영역(6327)이 상부 절편(6322) 상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몇몇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영역(6327)이 커넥터(65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5탄성부재(647)가 상부 절편(6322)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면도기 카트리지(62)의 후면 또는 연결 부재(6324)의 타측 상에는 제1캠면(63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캠면(6325)은 플런저(641)의 일측에 형성된 제2캠면(6411)과 캠 작용할 수 있다.
제1캠면(6325) 및 제2캠면(6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62)의 회동 운동은 플런저(641)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플런저(641)의 직선 운동은 면도기 카트리지(62)의 회동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캠면(6325) 및 제2캠면(6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복원력 제공부(640)로부터 발생된 복원력은 면도기 카트리지(62)로 전달될 수 있다.
플런저(641)는 제4탄성부재(646)로부터 발생된 복원력을 면도기 카트리지(62)로 전달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62)와 인접한 플런저(641)의 일측 상에는 제2캠면(6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캠면(6411)은 면도기 카트리지(62)의 후면 또는 연결 부재(6324)의 타측에 형성된 제1캠면(6325)과 캠 작용할 수 있다.
플런저(641)는 제1캠면(6325) 및 제2캠면(6411)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플런저(641)는 직선 운동을 통해 제4탄성부재(646)를 압축시킬 수 있다.
제4탄성부재(646)는 플런저(641)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4탄성부재(646)는 플런저(641)가 후방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탄성부재(646)의 내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4탄성부재(646)의 탄성력은 면도기 카트리지(62)를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4탄성부재(646)는 스프링(6462)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4탄성부재(646)는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 예컨대, 러버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5탄성부재(647)는 면도기 핸들(630)의 스토퍼 영역(6327)과 접촉함으로써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피봇 구간에서, 커넥터(650) 상에 배치된 제5탄성부재(647)는 스토퍼 영역(6327)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647)의 타측은 스토퍼 영역(6327)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제5탄성부재(647)는 압축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2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647)는 스토퍼 영역(6327)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제2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647)는 스토퍼 영역(6327)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므로, 제5탄성부재(647)는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피봇 구간에서, 제5탄성부재(647)는 면도기 카트리지(62)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할 때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탄성부재(647)의 내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5탄성부재(647)의 탄성력은 면도기 카트리지(62)를 중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제4탄성부재(646) 및 제5탄성부재(647)는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4탄성부재(646) 및 제5탄성부재(647)는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가 병렬로 배치된 본 개시의 제5실시예와 같이, 면도기 카트리지(62)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은 제1피봇 구간보다 제2피봇 구간에서 더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60)는 커넥터(650) 상에 탄성체, 예컨대, 러버 재질을 도포함으로써, 본 개시의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른 회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2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7실시예는, 면도기 조립체가 기능 제공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 내지 도 2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앞선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72)가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a)는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72)가 제1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b) 및 도 22(c)는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72)가 제2피봇 구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2(b)는 기능 제공부(760A)가 제2피봇 구간에서 히팅 기능을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2(c)는 기능 제공부(760B)가 제2피봇 구간에서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을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a) 내지 도 22(c)를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70)는 기능 제공부(function providing unit, 7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제공부(760)는 제2피봇 구간에서 면도기 카트리지(72)에 면도기능(shaving function)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 제공부(760)가 제공하는 면도기능은 히팅 기능(heating function) 및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shaving aid jetting func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팅 기능은 면도기 카트리지(72)의 적어도 일부를 데우는 기능을 지칭하고,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은 면도기 카트리지(72) 상에 면도 보조제(shaving aid)를 분출하는 기능을 지칭한다.
기능 제공부(760)로부터 제공되는 면도기능은 면도기 카트리지(72)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만 제공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72)가 제1각도를 넘어 회동하기만 하면, 면도기능은 어떠한 수치(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의 온도)가 특정한 값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면도 중 기능 제공부(760)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큰 각도인 제2피봇 구간 내의 각도만큼 면도기 카트리지(72)를 회동시킬 수 있다.
즉, 기능 제공부(76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면도기 카트리지(72)의 회동 이외의 동작,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동작 내지 버튼의 슬라이딩 동작 등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70)는 사용자가 면도 중에도 손쉽게 기능 제공부(미도시)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기능 제공부(760A)는, 면도기 카트리지(72)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히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히팅 기능은 면도기 카트리지(72) 상에 형성된 저항 패턴(resistance pattern, 미도시)에 전류를 인가하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72)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한 상태에서만, 저항 패턴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도기 카트리지(72) 중 사용자 피부와 접촉하는 일부 영역은 히팅 기능을 통해 데워질 수 있다. 사용자는 데워진 면도기 카트리지(72)를 사용자 피부에 접촉시킴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72)로부터 온열감(feeling of warmth)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부드러운 면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2(c)를 참조하면, 기능 제공부(760B)는, 면도기 카트리지(72)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하고 있을 때,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은 면도 보조제 저장부(shaving aid containing unit, 미도시)와 면도기 카트리지(72) 상에 형성된 분출부(jetting portion, 미도시) 사이에 배치된 밸브(valve, 미도시)의 개폐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의 개폐는 면도기 카트리지(72)가 제2피봇 구간 내에서 회동된 상태에서만 조정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 제공부(760B)를 통해 분출된 면도 보조제(F)는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피부에 도포된 면도 보조제(F)는, 면도시 사용자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보다 부드러운 면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2(b) 및 도 22(c)에서는, 기능 제공부(760)가 히팅 기능 또는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능 제공부(760)는 상술한 기능 이외의 면도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70)는, 제1피봇 구간과 제2피봇 구간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면도기 카트리지(72)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복원력의 증가율이 제1피봇 구간 및 제2피봇 구간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구성이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면도기 조립체 12: 면도기 카트리지
110: 면도 블레이드 120: 블레이드 하우징
130: 면도기 핸들 140: 복원력 제공부
242: 제1탄성부재 243: 제2탄성부재
445: 제3탄성부재 546: 제4탄성부재
647: 제5탄성부재 760: 기능제공부

Claims (17)

  1.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상기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first 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rotation range) 내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가 중립 위치(rest position)로부터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를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recovering force)을 제공하는 복원력 제공부(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범위는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제1각도(first angle)까지의 제1피봇 구간(first pivot section) 및 상기 제1각도로부터 상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second angle)까지의 제2피봇 구간(second pivot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른 상기 복원력의 증가율은 상기 제1피봇 구간보다 상기 제2피봇 구간에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40도 내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는 40도 이상 및 9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1탄성부재(first elastic member)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second elastic member)를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은, 상기 제1피봇 구간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은, 상기 제1피봇 구간 및 상기 제2피봇 구간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제1스프링(first spring)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제2스프링(second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의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는 상기 제1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제3스프링(third spring)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탄성체(elastic materia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직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3탄성부재(third elastic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제3탄성부재는 제1탄성영역(first elastic area) 및 제2탄성영역(second elastic area)을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영역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은, 상기 제1피봇 구간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상기 제2탄성영역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은 상기 제1피봇 구간 및 상기 제2피봇 구간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제3탄성부재는 상기 제1탄성영역 및 상기 제2탄성영역을 포함하는 제5스프링(fifth spring)을 포함하되,
    상기 제2탄성영역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1탄성영역의 스프링 상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4탄성부재(fourth elastic member) 및 제5탄성부재(fifth elastic member)를 포함하되,
    상기 제4탄성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은, 상기 제1피봇 구간 및 상기 제2피봇 구간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상기 제5탄성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은, 상기 제2피봇 구간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4탄성부재 및 상기 제5탄성부재로부터 발생한 복원력을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플런저;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일측 또는 하면(bottom side)에 배치되는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면도기 핸들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탄성부재는 상기 플런저와 연결되고,
    상기 제5탄성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5탄성부재는 러버 재질(rubber materia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탄성부재 및 상기 제5탄성부재는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면도기 조립체.
  16.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상기 종방향과 평행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 내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 핸들;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면도기능(shaving function)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기능 제공부(function providing unit)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범위는 중립 위치로부터 제1각도까지의 제1피봇 구간 및 상기 제1각도로부터 상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까지의 제2피봇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제공부는 상기 제2피봇 구간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면도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공부가 제공하는 면도기능은,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데우는 히팅 기능(heating function)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 상에 면도 보조제(shaving aid)를 분출하는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shaving aid jetting func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KR1020200066857A 2020-06-03 2020-06-03 면도기 조립체 KR10247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57A KR102475474B1 (ko) 2020-06-03 2020-06-03 면도기 조립체
US17/324,839 US20210379782A1 (en) 2020-06-03 2021-05-19 Razor assembly
EP21176861.9A EP3928935B1 (en) 2020-06-03 2021-05-31 Raz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57A KR102475474B1 (ko) 2020-06-03 2020-06-03 면도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008A KR20210150008A (ko) 2021-12-10
KR102475474B1 true KR102475474B1 (ko) 2022-12-08

Family

ID=7619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857A KR102475474B1 (ko) 2020-06-03 2020-06-03 면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79782A1 (ko)
EP (1) EP3928935B1 (ko)
KR (1) KR102475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43782A (ja) * 2020-09-04 2022-03-16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ハンドル屈曲剃刀
CN216658034U (zh) * 2021-11-03 2022-06-03 深圳诺泰科电子有限公司 一种剃毛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766B1 (ko) 2012-09-26 2014-12-09 주식회사 도루코 핸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이용한 면도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8247A (en) * 1974-03-05 1976-02-17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with pivotal head
US5157834A (en) * 1990-04-10 1992-10-27 Warner-Lambert Company Razor mechanism with slidable cartridge support
DE69233729T2 (de) * 1991-11-27 2009-03-12 The Gillette Co., Boston Rasierapparate
KR200232975Y1 (ko) * 1999-04-28 2001-09-25 민보식 면도기
US6615498B1 (en) * 2000-03-13 2003-09-09 Warner-Lambert Company Flexible member for a shaving razor
KR100352838B1 (ko) * 2000-06-24 2002-09-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US7200942B2 (en) * 2001-03-28 2007-04-1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Safety razor with pivot point shift from center to guard-bar under applied load
EP1789238B1 (en) * 2004-09-07 2008-03-19 BIC Violex S.A. Razor handle and shaver including such a handle
KR100903191B1 (ko) * 2007-05-31 2009-06-17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US20100313426A1 (en) * 2009-06-12 2010-12-16 Terence Gordon Royle Safety razor with pivot and rotation
KR101415707B1 (ko) * 2012-10-18 2014-07-08 (주) 에스문 회전형 면도기
KR101578263B1 (ko) * 2012-11-30 2015-12-28 주식회사 도루코 이중 회동 면도기
EP3546156B1 (en) * 2018-03-30 2021-03-10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766B1 (ko) 2012-09-26 2014-12-09 주식회사 도루코 핸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이용한 면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8935B1 (en) 2024-03-13
KR20210150008A (ko) 2021-12-10
EP3928935A3 (en) 2022-03-02
EP3928935A2 (en) 2021-12-29
US20210379782A1 (en)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856B1 (ko) 면도기 조립체
KR102475474B1 (ko) 면도기 조립체
US3950849A (en) Razor with rotatably mounted shaving unit
US4083104A (en) Razor handle
US8191265B2 (en) Razor cartridge with comb
US5669139A (en) Razor with blade protection means
US5416974A (en) Safety razors and blade units therefor
US4720917A (en) Flexible blade contour razor
EP1963059B1 (en) Pivot axis for a shaving cartridge
WO2008023211A1 (en) Shaving blade unit comprising a movable trimming blade protector and shaver having such a blade unit
GB2116470A (en) Safety razors
US20020138992A1 (en) Safety razor with pivot point shift from center to guard-bar under applied load
EP0903205A1 (en) Razors providing pivoting and swivelling razor head support
WO2008053814A1 (en) Razor
CN102666037A (zh) 具有枢转机构的毛发切割设备
HU222060B1 (hu) Borotvapenge-egység
EP3389958B1 (en) Shaving head
WO2003097310A1 (en) Razor cartridge mounting structure
US11420351B2 (en) Adjustable shaving blade assembly
WO1991014546A1 (en) Safety razors and blade units therefor
US11518055B2 (en) 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EP0614408B1 (en) Razor with blade protection means
US11279053B2 (en) Safety razor and blade unit for safety razor
EP4338903A1 (en) Razor cartridge and razor assembly
KR102555477B1 (ko) 면도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