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856B1 -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4856B1 KR102154856B1 KR1020180158794A KR20180158794A KR102154856B1 KR 102154856 B1 KR102154856 B1 KR 102154856B1 KR 1020180158794 A KR1020180158794 A KR 1020180158794A KR 20180158794 A KR20180158794 A KR 20180158794A KR 102154856 B1 KR102154856 B1 KR 102154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rest position
- blade housing
- shaving
- resto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31—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characterised by special geometric shaving parameters, e.g. blade span or exp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2—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unchangeable bla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18—Guard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4—Mean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razor for storing shaving-cream, styptic, or the like
- B26B21/443—Lubricating strips attached to the razor h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면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횡방향과 평행하며 제1휴지위치와 제1휴지위치로부터 제1면도방향으로 이격된 제1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블레이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회전축이 제1휴지위치 및 제1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회전축을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복원부재를 포함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횡방향과 평행하며 제1휴지위치와 제1휴지위치로부터 제1면도방향으로 이격된 제1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블레이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회전축이 제1휴지위치 및 제1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회전축을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복원부재를 포함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면도기 카트리지는 중립 위치와 피봇 위치 사이에서 면도기 핸들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피봇 운동은, 기본적으로,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이하, '피봇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 운동은, 면도 블레이드가 절삭 표면,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와 원활하게 접촉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이러한 피봇축은 블레이드 하우징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피봇축이 고정되는 종래의 습식 면도기는, 면도시 피부접촉면에 심한 굴곡이 있거나 절삭하는 체모가 상대적으로 굵은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에 큰 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부하는, 사용자가 면도기 핸들을 통해 전달하는 힘과 블레이드 하우징과 피부접촉면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과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에 과도한 힘이 작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블레이드 하우징에 과도한 부하가 걸린 것을 인지하기도 전에, 사용자의 피부 표면이 손상되거나 피부를 베이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단방향 습식 면도기의 경우, 피봇축은 가드(guard)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피봇축을 블레이드 하우징 상에서 가드 부분에 치우쳐 위치시킴으로써, 가드 부분에 높은 하중을 줄 수 있고, 이를 통해, 가드의 피부 스트레칭(stretching)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피봇축의 배치는, 곡면 면도시, 블레이드 하우징 상에 자연스러운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과 피부접촉면 사이에 양호한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양방향 습식 면도기의 경우, 면도방향에 따라 캡과 가드의 위치가 전환되는 특성 때문에, 블레이드 하우징 및 면도 블레이드가 대칭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양방향 습식 면도기는 피봇축을 블레이드 하우징의 특정 영역으로 치우쳐 배치시키기가 어려우며, 피봇축을 블레이드 하우징 및 면도 블레이드의 대칭축 상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단방향 습식 면도기에 있어서 고정된 피봇축은 피부의 굴곡이나 마찰력으로 인해 부하를 발생시켜 피부에 스크래치나 상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양방향 습식 면도기의 피봇축의 배치는 블레이드 하우징의 가드 기능을 저감시키고 양호한 피부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원활한 면도 수행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습식 면도기인 미국특허공보 7331107호(이하, '특허문헌 1') 및 미국특허공보 9193077 호(이하, '특허문헌 2')는, 면도기 핸들이 피벗 운동함으로써,사용자에게 편리한 핸들링을 제공하는 내용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면도기는, 고정된 피벗축을 중심으로 핸들이 피봇운동을 한다. 면도시 면도기 핸들은 항상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피봇축이 형성되는 부분의 면도기 카트리지에 힘을 집중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른 굴곡이나 돌출 부분이 있다면, 고정된 피벗축에 집중된 힘에 의해 피부는 더 큰 부하를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면도기 핸들과 면도기 카트리지가 연결되는 영역의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각 위치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와 면도기 핸들이 이루는 각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면도기는, 면도기 핸들과 면도기 카트리지가 연결되는 영역의 각 위치에서 피봇 운동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원활한 핸들링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개시는 면도시 피봇축을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핸들링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블레이드 하우징에 걸리는 부하의 정도에 따라 피봇축을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전한 면도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횡방향과 평행하며 제1휴지위치와 제1휴지위치로부터 제1면도방향으로 이격된 제1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블레이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회전축이 제1휴지위치 및 제1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회전축을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복원부재를 포함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방향또는 블레이드 하우징에 걸리는 부하의 정도에 따라 피봇축을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전한 면도와 적절한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제1휴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제2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블레이드 하우징에 대하여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시 블레이드 하우징에 부하가 가해질 때의 블레이드 하우징 및 면도기 핸들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축의 이동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에 가해지는 힘의 분포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곡면을 따라 면도할 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의 회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축이 제1휴지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가 피봇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복원력 제공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제1회전축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제1휴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제2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블레이드 하우징에 대하여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시 블레이드 하우징에 부하가 가해질 때의 블레이드 하우징 및 면도기 핸들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축의 이동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에 가해지는 힘의 분포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곡면을 따라 면도할 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의 회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축이 제1휴지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가 피봇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복원력 제공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제1회전축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면도방향(first shaving direction)은 통상적인 단방향 습식 면도기를 이용하여 면도가 이루어지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고, 제2면도방향(second shaving direction)은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도 1을 예로 들면, 음의 x축 방향이 제1면도방향이 되고, 양의 x축 방향이 제2면도방향이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10, razor assembly)는 면도기 카트리지(110), 커넥터(120), 복원력 제공부(130), 및 면도기 핸들(140)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110, razor cartridge)는 블레이드 하우징(112),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4), 및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116)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2, blade housing)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4)를 블레이드 하우징(112) 내에 형성된 안착부에 횡방향(d1)으로 수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4, shaving blade)는 면도시 체모를 절삭할 수 있는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진다.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116)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6, guide rail)은 커넥터(120)의 가이드 축부재(128)와 끼움 결합되거나 가이드 축부재(128)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116)은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종방향(d2)과 평행한 세장형 홈(elongated groove) 또는 세장형 중공(elongated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6)과 끼움 결합되거나 가이드 레일(116)을 관통하는 가이드 축부재(도 3(a)의 128)는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16)이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횡방향(d1) 양단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이드 레일(116)이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중앙에 배치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이드 축부재(128)는 가이드 레일(116)의 양측벽에 끼움 결합되거나 가이드 레일(116)에 형성된 세장형 중공을 관통함으로써,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20, connector)는 면도기 카트리지(110)와 면도기 핸들(140) 사이에 배치되어 면도기 카트리지(110)와 면도기 핸들(140)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120)는 커넥터 암(122), 커넥터 허브(124), 허브측 결합부(126), 및 가이드 축부재(도 3(a)의 12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암(122, connector arm)은, 커넥터(120) 상에서, 횡방향(d1)과 평행한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블레이드 하우징(112)과 결합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커넥터 암(122)은 커넥터 암(122)의 측벽으로부터 횡방향(d1)으로 연장된 가이드 축부재(128)가 가이드 레일(116)에 형성된 세장형 홈에 끼움 결합되거나 세장형 중공을 관통함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허브(124, connector hub)의 일측은 커넥터 암(12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 허브(124)의 타측은 허브측 결합부(126)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암(122)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도 3(a)의 E)에 수직인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커넥터 허브(124)와 결합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암(122)과 커넥터 허브(124)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상호 위치가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허브측 결합부(126, hub-side connecting portion)는 면도기 핸들(140)의 핸들측 결합부(142)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넥터(120)와 면도기 핸들(140)은 연결될 수 있다.
허브측 결합부(126)는 핸들측 결합부(14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넥터(120)에 결합된 면도기 카트리지(110)를 새 것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허브측 결합부(126)와 핸들측 결합부(142)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해제 불가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가이드 축부재(도 3(a)의 128, guided shaft member)는 가이드 레일(116)와 결합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회전축(A)은 가이드 축부재(128) 상에서 고정되어 가이드 축부재(128)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회전축(A)은 가이드 축부재(128)와 함께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축부재(128) 및 제1회전축(A)은,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제1위치와 제1휴지위치로부터 제2면도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휴지위치(first rest position)는, 면도기 조립체(10)에 어떠한 외력도 가해지지 않았을 때, 가이드 레일(116) 상에서 가이드 축부재(128)의 위치를 지칭하고, 제1위치(first position)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제1면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 지점을 지칭하며, 제2위치(second position)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2면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 지점을 지칭한다.
복원력 제공부(130, recovering force provider)는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복원부재(132, first recovering member)는 제1회전축(A)이 제1휴지위치 및 제1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제1회전축(A)을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커넥터(1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2복원부재(134, second recovering member)는 제1회전축(A)이 제1휴지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제1회전축(A)을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커넥터(1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제1회전축(A)이 제1휴지위치 및 제1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제1복원부재(132)는 신장(extension)되면서, 커넥터(120)를 제1휴지위치로 당기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제2복원부재(134)는 압축(compression)되면서, 커넥터(120)를 제1휴지위치로 밀려는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130)가 커넥터(120)에 제공하는 복원력(recovering force)은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의 소재에 따라 상이한 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가 탄성 소재(elastic material)로 이루어진 경우, 복원력에는 탄성력(elastic force)이 포함될 수 있고,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가 자성을 가지는 자기요소(magnetic element)로 이루어진 경우, 복원력에는 자기력(magnetic force)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복원력 제공부(130)가 고무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원력 제공부(130)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의 다른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성을 가지는 복수의 자기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면도기 핸들(140, razor handle)은 커넥터(120)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면도기 조립체(10)를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
면도기 핸들(140)은 핸들측 결합부(142), 그립부(144), 및 버튼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측 결합부(142, handle-side connecting portion)는, 면도기 핸들(140) 상에서, 허브측 결합부(126)와 결합되는 부분이며, 그립부(144)는, 면도기 핸들(140) 상에서, 사용자가 면도기 핸들(140)을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버튼부(146, button portion)는 핸들측 결합부(142)와 허브측 결합부(126)사이의 결합을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버튼부(146)의 조작을 통해, 면도기 핸들(140)로부터 커넥터(120) 및 커넥터(120)와 연결된 면도기 카트리지(11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노후된 면도기 카트리지(110)를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면도 블레이드(114)는 하나 이상의 제1블레이드(1142) 및 하나 이상의 제2블레이드(1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1142)는,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서, 제2블레이드(1144)와 제1면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1142, first shaving area)는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체모를 절삭하도록 구성된 제1 커팅 에지(first cutting edge)를 가질 수 있다.
제2블레이드(1144, second shaving area)는 제2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체모를 절삭하도록 구성된 제2 커팅 에지(second cutting edge)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제1피부접촉 부재(117) 및 제2피부접촉 부재(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부접촉 부재(117, first skin contacting member)는 제1 블레이드(1142)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피부접촉 부재(118, second skin contacting member)는 제2블레이드(1144)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피부접촉 부재(117) 및 제2피부접촉 부재(118)는, 면도시,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면도 평면(shaving plane)을 정의할 수 있다.
제1피부접촉 부재(117) 및 제2피부접촉 부재(118) 각각은 가드 바 및 윤활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드 바 또는 윤활밴드 중 어느 하나가 제1피부접촉 부재(117) 및 제2피부접촉 부재(118) 모두에 구비되거나, 가드 바가 제1피부접촉 부재(117) 및 제2피부접촉 부재(118) 중 어느 하나의 피부접촉 부재에 구비되고 윤활밴드는 가드 바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피부접촉 부재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드 바 및 윤활밴드 모두가 제1피부접촉 부재(117) 및 제2피부접촉 부재(118) 모두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가드 바(guard bar)는, 면도 블레이드(114)에 의한 모발의 절삭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용자의 피부를 면도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당겨(stretch)줄 수 있다.
사용자의 피부가 가드 바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사용자의 모발이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면도 블레이드(114)에 의한 모발의 절삭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가드 바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드 바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에 고무로 된 부분이 일부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윤활밴드(lubricating band)는, 절삭 이후에 윤활 물질을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절삭에 의해 거칠어진 피부를 매끄럽게 정리해 주고, 면도기 조립체(10)의 활주(glide)를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윤활밴드는 유연성 재질, 수분 흡수력이 있는 다공성 재질, 또는 면도 보조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윤활밴드는 물에 닿으면 팽창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에 윤활 성분, 피부 진정 성분 등이 포함된 수용성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제1휴지위치에서, 가이드 축부재(128) 및 제1회전축(A)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도 3(a)의 E)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1커팅 에지 및 제2커팅 에지 사이의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overlap)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휴지위치에서 가이드 축부재(128)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중앙에 위치됨으로써 면도방향에 따른 제1회전축(A)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휴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휴지위치에 위치할 때의 면도기 카트리지(110) 및 커넥터(12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커넥터(120)가 제1휴지위치에 위치할 때의 면도기 카트리지(110) 및 커넥터(120)의 상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 허브(124) 및 허브측 결합부(126)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128)는 가이드 레일(116)에 형성된 세장형 홈에 끼움 결합되거나 가이드 레일(116)에 형성된 세장형 중공을 관통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축부재(128)는 커넥터 암(122)의 양측벽으로부터 횡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두 개의 가이드 축부재(128)가 횡방향(d1)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축부재(128)는 커넥터 암(122)으로부터 횡방향(d1) 내측으로 연장되는 두 개 또는 하나의 부재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복원부재(132)의 일측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연결되고 제1복원부재(132)의 타측은 커넥터(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복원부재(134)의 일측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연결되고 제2복원부재(134)의 타측은 커넥터(12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휴지위치에 있을 때,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에 발생된 변위(displacement)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가 동일한 탄성계수를 가진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 상에서, 변위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20)에 가해지는 합성 복원력(resultant recovering force)은'0'일 수 있다.
또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휴지위치에 있을 때,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에는 변위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에는 탄성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복원력 제공부(130)의 합성 복원력은 '0'이 될 수 있다.
커넥터(120)에 가해지는 복원력이 '0'이 될 경우, 가이드 축부재(128)는 위치의 변동 없이 제1휴지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20)가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의 면도기 카트리지(110) 및 커넥터(12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의 면도기 카트리지(110) 및 커넥터(120)의 상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 허브(124) 및 허브측 결합부(126)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제1복원부재(132)는 신장(extension)될 수 있으며, 양의 변위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2복원부재(134)는 압축(compression)될 수 있으며, 음의 변위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소재는 변위를 줄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므로, 제1복원부재(132)에는 커넥터(120)를 제2면도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이 발생하고, 제2복원부재(134)에는 커넥터(120)를 제2면도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성 복원력의 방향은 제2면도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면도기 조립체(10)에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가이드 축부재(128)는, 제2면도방향으로 작용하는 합성 복원력에 의해, 제2면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축부재(128)의 이동은 복원력 제공부(130)의 합성 복원력이 '0'이 되는 제1휴지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제1회전축(A)이 제1휴지위치 및 제1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제1회전축(A)이 제1위치에 근접할수록 제1복원부재(132)의 양의 변위 값은 더 커지고, 제2복원부재(134)의 음의 변위 값은 더 커지게 된다.
변위의 증가에 따라,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에 발생되는 탄성력의 크기도 커지므로 합성 복원력의 크기 또한 더 커질 수 있다. 이러한 복원력의 증가는 사용자에게 더 나은 핸들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복원부재(132, 134)의 변위 값이 작을 경우에는, 복원부재(132, 134)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복원력이 발생되므로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복원부재(132, 134)의 변위 값이 큰 경우에는 복원부재(132, 134)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복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휴지위치로부터 크게 멀어진 커넥터(120)를 빠르게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로써, 면도기 조립체(10)는, 한 번의 스트로크(stroke) 후 다음 스트로크(stroke)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제2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의 면도기 카트리지(110) 및 커넥터(12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의 면도기 카트리지(110) 및 커넥터(120)의 상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 허브(124) 및 허브측 결합부(126)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제1복원부재(132)는 압축(compression)될 수 있으며, 음의 변위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2복원부재(134)는 신장(extension)될 수 있으며, 양의 변위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소재는 변위를 줄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므로, 제1복원부재(132)에는 커넥터(120)를 제1면도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이 발생하고, 제2복원부재(134)에는 커넥터(120)를 제1면도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성 복원력의 방향은 제1면도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면도기 조립체(10)에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제1면도방향으로 작용하는 합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축부재(128)는 제1면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축부재(128)의 이동은 합성 복원력이 '0'이되는 제1휴지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제1회전축(A)이 제1휴지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제1회전축(A)이 제2위치에 근접할수록 제1복원부재(132)의 음의 변위 값은 더 커지고, 제2복원부재(134)의 양의 변위 값은 더 커지게 된다.
변위의 증가에 따라,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에 발생되는 탄성력의 크기도 커지므로 합성 복원력의 크기 또한 더 커질 수 있다. 이러한 복원력의 증가는 사용자에게 더 나은 핸들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복원부재(132, 134)의 변위 값이 작을 경우에는, 복원부재(132, 134)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복원력이 발생되므로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복원부재(132, 134)의 변위 값이 큰 경우에는 복원부재(132, 134)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복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휴지위치로부터 크게 멀어진 커넥터(120)를 빠르게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로써, 면도기 조립체(10)는, 한 번의 스트로크(stroke) 후 다음 스트로크(stroke)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20)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하여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커넥터(120)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하여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커넥터(120)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하여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 허브(124) 및 허브측 결합부(126)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128) 및 가이드 축부재(128)와 제1회전축(A) 방향으로 대면하는 가이드 레일(116)의 내측벽 사이에는 공차에 의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가이드 축부재(128) 및 가이드 축부재(128)와 대면하는 가이드 레일(116)의 내측벽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축부재(128)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 축부재(128) 및 가이드 축부재(128)와 대면하는 가이드 레일(116)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은 커넥터(120)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하여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128) 및 가이드 축부재(128)와 대면하는 가이드 레일(116)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커넥터 암(122)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하여 제2회전축(B)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의 가이드 축부재(128A)는 제2위치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좌측의 가이드 축부재(128B)는 제1위치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복원부재(132)의 우측 영역(132A)은 압축되어 우측의 가이드 축부재(128A)를 제1휴지위치로 미는 복원력을 제공하고, 제1복원부재(132)의 좌측 영역(132B)은 신장되어 좌측의 가이드 축부재(128B)를 제1휴지위치로 당기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2복원부재(134)의 우측 영역(134A)은 신장되어 우측의 가이드 축부재(128A)를 제1휴지위치로 당기는 복원력을 제공하고, 제2복원부재(134)의 좌측 영역(134B)은 압축되어 좌측의 가이드 축부재(128B)를 제1휴지위치로 미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암(122)이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하여 제2회전축(B)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는 우측의 가이드 축부재(128A) 및 좌측의 가이드 축부재(128B)를 각각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 즉, 커넥터(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128) 및 가이드 축부재(128)와 대면하는 가이드 레일(116)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커넥터 암(122)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하여 제2회전축(B)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의 가이드 축부재(128A)는 제1위치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좌측의 가이드 축부재(128B)는 제2위치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복원부재(132)의 우측 영역(132A)은 신장되어 우측의 가이드 축부재(128A)를 제1휴지위치로 당기는 복원력을 제공하고, 제1복원부재(132)의 좌측 영역(132B)은 압축되어 좌측의 가이드 축부재(128B)를 제1휴지위치로 미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2복원부재(134)의 우측 영역(134A)은 압축되어 우측의 가이드 축부재(128A)를 제1휴지위치로 미는 복원력을 제공하고, 제2복원부재(134)의 좌측 영역(134B)은 신장되어 좌측의 가이드 축부재(128B)를 제1휴지위치로 당기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암(122)이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하여 제2회전축(B)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는 우측의 가이드 축부재(128A) 및 좌측의 가이드 축부재(128B)를 각각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 즉, 커넥터(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가이드 축부재(128) 및 가이드 축부재(128)와 대면하는 가이드 레일(116)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커넥터(120)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해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커넥터(120) 내지 커넥터(120)와 연결된 면도기 핸들(140)에 대해,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피봇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시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부하가 가해질 때의 블레이드 하우징(112) 및 면도기 핸들(140)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제1면도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부하가 가해지기 시작한 상황을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부하가 가해진 직후의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시, 피부접촉면(S, skin contacting surface)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면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E, cutting surface)과 피부접촉면(S)이 접촉함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는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력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면도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제1면도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한편, 커넥터(120)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면도기 핸들(140)과 함께 제1면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축부재(128)는 제1휴지위치에서 벗어나 제1위치를 향해 살짝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복원부재(132)는 신장되고, 제2복원부재(134)는 압축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112)이 피부접촉면(S)에 형성된 턱(T)에 걸리면서,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12)이 피부접촉면(S)에 형성된 턱(T)에 걸리는 경우뿐만 아니라, 피부접촉면(S)의 굴곡이 심하거나, 굵은 체모를 절삭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하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걸리는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E)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더하여 제2면도방향으로 추가적인 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력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제1면도방향으로의 이동을 더 많이 방해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피부접촉면(S) 상에 순간적으로 정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축부재(128)는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제1위치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복원부재(132)는 더 많이 신장되고, 제2복원부재(134)는 더 많이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에 발생되는 복원력의 크기는 더 커질 수 있다.
이때, 복원력 제공부(130)에 발생되는 합성 복원력은 제1면도방향을 향하므로,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제2면도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 및 부하에 의한 저항력의 일부를 완화할 수 있다.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위치를 향해 충분히 이동하여, 복원력 제공부(130)에 발생되는 합성 복원력이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작용하는 마찰력 및 저항력을 이겨낼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정지 상태에서 벗어나 다시 제1면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130)에 발생되는 합성 복원력이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작용하는 마찰력 및 저항력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충분한 정도의 이동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한 정도의 가이드 축부재(128)의 이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소요는, 사용자에게 블레이드 하우징(112) 에 큰 부하가 발생된 상황임을 인지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면도 중 블레이드 하우징(112)가 정지하는 상황을 인지한 후, 면도기 조립체(10)에 가하는 힘을 줄이거나 면도기 핸들(140)의 피봇 각도를 달리함으로써 안전한 면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하는 경우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7과 관련한 설명은 제2면도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축(A)의 이동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가해지는 힘의 분포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제1회전축(A)이 제1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제1회전축(A)이 제2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면도시,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는 수직 가압력(vertical pressing force, F1), 수직항력(normal force, F2), 수평 마찰력(horizontal frictional force, F3), 제1수평 복원력(first horizontal recovering force, F4), 및 제2수평 복원력(second horizontal recovering force, F5)이 작용할 수 있다.
수직 가압력(F1)은 커넥터(120)에 의해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서 아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칭하며, 수직항력(F2)은 피부접촉면(S)에 의해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서 위쪽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칭한다.
수직항력(F2)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이 피부접촉면(S)과 접촉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E) 상에 고르게 분포할 수 있다.
수평 마찰력(F3)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E)이 피부접촉면(S)을 지나면서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E)과 피부접촉면(S)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지칭한다.
제1수평 복원력(F4)은 제1복원부재(132)에 발생된 복원력에 의해 수평한 방향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가해지는 힘을 지칭하며, 제2수평 복원력(F4)은 제2복원부재(134)에 발생된 복원력에 의해 수평한 방향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가해지는 힘을 지칭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회전축(A)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좌측 영역이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우측 영역보다 더 많은 면적에서 수직항력(F2)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좌측 영역에 가해지는 합성 수직항력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우측 영역에서 가해지는 합성 수직항력보다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수평 마찰력(F3)은,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면도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제1복원부재(132)는 신장되고 제2복원부재(134)는 압축되므로, 제1수평 복원력(F4) 및 제2수평 복원력(F5)은 모두 제1면도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수직 가압력(F1), 제1수평 복원력(F4), 및 제2수평 복원력(F5)은 힘의 작용선의 방향과 모멘트 팔의 방향이 거의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가압력(F1), 제1수평 복원력(F4), 및 제2수평 복원력(F5)에 의해서는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는다.
반대로,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힘의 작용선의 방향과 모멘트 팔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수직항력(F2) 및 수평 마찰력(F3)에 의해서는,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 모멘트가 발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항력(F2)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좌측 영역이 우측 영역보다 더 크게 작용하고, 수평 마찰력(F3)은 제2면도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는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는 제1회전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제1회전방향(first rotational direction)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면도기 핸들(140)이 눕혀지는 회전방향을 의미한다. 도 8을 예로 들면, 제1회전방향은 시계 방향이 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회전축(A)이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우측 영역이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좌측 영역보다 더 많은 면적에서 수직항력(F2)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우측 영역에 가해지는 합성 수직항력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좌측 영역에서 가해지는 합성 수직항력보다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수평 마찰력(F3)은, 제2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인 제1면도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제2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제1복원부재(132)는 압축되고 제2복원부재(134)는 신장되므로, 제1수평 복원력(F4) 및 제2수평 복원력(F5)은 모두 제2면도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8(a)과 관련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수직항력(F2) 및 수평 마찰력(F3)에 의해 주로 발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항력(F2)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우측 영역이 좌측 영역보다 더 크게 작용하고, 수평 마찰력(F3)은 제1면도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는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는 제2회전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제2회전방향(second rotational direction)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을 기준으로 면도기 핸들(140)이 세워지는 회전방향을 의미한다. 도 8을 예로 들면, 제2회전방향은 반시계 방향이 된다.
이러한 제1회전축(A)의 이동에 따른 제1회전방향 또는 제2회전방향의 모멘트 발생은 면도기 조립체, 구체적으로는, 양방향 습식 면도기 조립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좀 더 나은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또한, 이러한 제1회전방향 또는 제2회전방향의 모멘트는, 면도시,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 배치된 각 피부접촉 부재(117, 118)를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부접촉 부재(117, 118)의 가드 기능 또는 윤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하고 있을 때,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제1회전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면서 제1피부접촉 부재(117)는 피부접촉면(S)을 더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피부접촉 부재(117)에 포함된 가드 바 또는 윤활밴드의 기능은 다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피부접촉 부재(117)가 가드 바를 포함한다면, 가드 바는 피부접촉면(S)을 더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가드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반대로, 제1피부접촉 부재(117)가 윤활밴드를 포함한다면, 윤활밴드는 피부접촉면(S)을 더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윤활 성분 도포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가 제2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제2피부접촉 부재(118)에 포함된 가드 바 또는 윤활밴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곡면을 따라 면도할 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회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곡면을 따라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곡면을 따라 제2면도방향으로 면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시,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E)과 피부접촉면(S)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2면도방향으로 저항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이동이 늦어지게 되고, 가이드 축부재(128)는 제1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여전히 피부접촉면(S)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도 8(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하우징(112) 상에는 제1회전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곡면을 따라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하는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회전축(A)이 제1위치로 이동하면서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발생된 제1회전방향의 모멘트는, 블레이드 하우징(112)과 피부접촉면(S) 사이의 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좀 더 나은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2면도방향으로 면도시,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E)과 피부접촉면(S)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1면도방향으로 저항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이동이 늦어지게 되고, 가이드 축부재(128)는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여전히 피부접촉면(S)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도 8(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하우징(112)에는 제2회전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곡면을 따라 제2면도방향으로 면도하는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112)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회전축(A)이 제2위치로 이동하면서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발생된 제2회전방향의 모멘트는, 블레이드 하우징(112)과 피부접촉면(S) 사이의 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좀 더 나은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면도방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1회전축(A)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적절한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두 개의 면도방향을 가지는 양방향 습식 면도기에서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축(A)이 제1휴지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120)가 피봇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커넥터(120)가 제2휴지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b)는 커넥터(120)가 제1회전방향으로 피봇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c)는 커넥터(120)가 제2회전방향으로 피봇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제2휴지위치(second rest position)는, 커넥터(120)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대하여 제1회전축(A)를 중심으로 피봇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120)의 위치를 지칭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커넥터(120)가 제2휴지위치에 있을 때,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에 발생된 변위(displacement)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 상에서 변위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이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20)에 가해지는 합성 복원력은 '0'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넥터(120)가 제2휴지위치에 있을 때,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에는 변위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에는 탄성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복원력 제공부(130)의 합성 복원력은 '0'이 될 수 있다.
커넥터(120)에 가해지는 복원력이 '0'이 될 경우, 커넥터(120)는 회전 없이 제2휴지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휴지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120)가 제1회전방향으로 피봇된 경우, 제1복원부재(132)는 양의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제1복원부재(132)에는 커넥터(120)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복원부재(132)는, 커넥터(120)가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2휴지위치를 지나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커넥터(120)를 제2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커넥터(120)에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2복원부재(134)에는 음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서, 제2복원부재(134)에도 커넥터(120)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 내지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휴지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120)가 제2회전방향으로 피봇된 경우, 제2복원부재(134)는 양의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제2복원부재(134)에는 커넥터(120)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2복원부재(134)는, 커넥터(120)가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2휴지위치를 지나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커넥터(120)를 제2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커넥터(120)에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1복원부재(132)에는 음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서, 제1복원부재(132)에도 커넥터(120)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 내지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재(132, 134)는,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이동하는 제1회전축(A)의 병진 운동(translation motion)에 복원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제1회전축(A)의 회전 운동(rotational motion)에 대해서도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에서는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휴지위치에 있을 때의 피봇팅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도 10에서 설명된 내용은 가이드 축부재(128)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있을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제1복원부재(132)의 일측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연결되고 제1복원부재(132)의 타측은 커넥터(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휴지위치에서, 제1복원부재(132)의 일측 및 타측은 제1회전축(A)과 제1면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커넥터(120)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커넥터(120)에는 제1복원부재(132)에 의해 제2회전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모멘트에 있어서, 모멘트 팔은 제1회전축(A)과 제1복원부재(132)의 타측을 잇는 직선이 되고, 힘의 작용선은 제1복원부재(132)의 일측과 제2복원부재(132)의 타측을 잇는 직선이 된다.
모멘트의 크기는 모멘트 팔과 힘의 작용선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에 가까워질수록 더 커진다.
따라서, 제1회전축(A)과 제1복원부재(132)의 타측을 잇는 직선과 제1복원부재(132)의 일측과 제1복원부재(132)의 타측을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직각에 가까울수록 제1회전방향 피봇에 대한 복원력의 크기는 더 커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1휴지위치에서, 제1복원부재(132)의 타측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E)을 기준으로 제1복원부재(132)의 일측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복원부재(134)의 일측은 블레이드 하우징(112)에 연결되고 제2복원부재의 타측은 커넥터(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휴지위치에서, 제2복원부재(134)의 일측 및 타측은 제1회전축(A)과 제2면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복원부재(134)의 타측 또한, 제2복원부재(134)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을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블레이드 하우징(112)의 절삭면(E)을 기준으로 제2복원부재(134)의 일측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커넥터(120)는 스토퍼(1222, 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20)는 제1회전방향에 대한 제1스토퍼(1222A, first stopper) 및 제2회전방향에 대한 제2스토퍼(1222B, second 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222)는, 커넥터(120)이 제1회전방향 또는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블레이드 하우징(112)과 접촉함으로써 커넥터(120)의 회전 각도를 일정한 각도 범위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커넥터(120)가 제2휴지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1222)는 블레이드 하우징(112)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커넥터(120)는 제1회전방향 또는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커넥터(120)가 제1회전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였을 때, 제1스토퍼(1222A)는 블레이드 하우징(112)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120)는 제1회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커넥터(120)가 제2회전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였을 때, 제2스토퍼(1222B)는 블레이드 하우징(112)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120)는 제2회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스토퍼(1222)는 블레이드 하우징(112)과 접촉함으로써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는 커넥터(120)의 회전 각도를, 제2휴지위치를 기준으로, 제1회전방향 및 제2회전방향으로 각각10도에서 30도 사이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단방향 습식 면도기에서는 자연스러운 핸들링을 위해 30도 내지 50도의 각도 범위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양방향 습식 면도기가 이러한 피봇 범위를 가질 경우, 면도방향을 전환할 때 사용자의 손목이 과도하게 꺾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스토퍼(1222)를 통해 커넥터(120)의 피봇 범위를 10도 내지 30도 사이의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면도방향을 전환할 때 사용자의 손목이 과도하게 꺾이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22)가 블레이드 하우징(122)과 접촉하였을 때, 스토퍼(1222)와 가이드 축부재(128) 사이의 커넥터(120)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블레이드 하우징(112)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넥터(120)가 피봇된 상태에서 면도가 이루어질 때, 커넥터(120)와 블레이드 하우징(112)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커텍터(120)와 블레이드 하우징(112)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복원력 제공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서는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가 고무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서는, 제1복원부재(132) 및 제2복원부재(134)가 고무 이외의 소재로 이루어진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복원력 제공부(2130)에 포함된 제1복원부재(2132) 및 제2복원부재(2134)는 판 스프링(leaf sp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판 스프링의 일단은 블레이드 하우징(2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커넥터(2120)에 연결될 수 있다.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1복원부재(2132) 및 제2복원부재(2134)는 각 부재를 이루는 판 스프링이 굽혀지거나 펴짐으로써 탄성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커넥터(2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복원력 제공부(3130)에 포함된 제1복원부재(3132) 및 제2복원부재(3134)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블레이드 하우징(3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커넥터(3120)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1복원부재(2132) 및 제2복원부재(2134)는, 고무로 이루어진 경우와 같이, 코일 스프링이 신장되거나 압축됨으로써 탄성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커넥터(2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제1복원부재(4132)는 복수의 제1자기요소(4135, 4136, first magnetic element)를 포함하고, 제 2복원부재(4134)는 복수의 제2자기요소(4137, 4138, second magnetic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복원부재(4132)가 커넥터(4120)에 제공하는 복원력은 복수의 제1자기요소(4135, 4136)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을 포함하고, 제2복원부재(4134)가 커넥터(4120)에 제공하는 복원력은 복수의 제2자기요소(4137, 4138)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자기요소들(4135와 4136 및 4137과 4138)은 서로 같은 극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자기요소들(4135와 4136 및 4137과 4138)간에는 척력(repulsive magnetic force)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커넥터(4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원부재가 고무,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실시예와는 달리, 제1복원부재(4132)는 제1위치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2복원부재(4134)는 제2위치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복원력 제공부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커넥터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복원력 제공부는 그러한 실시예를 가질 수도 있다.
후술될 도 12에 도시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10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축부재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 부분을 포함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2는 본 개시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50)의 제1회전축(A)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a)는 제1회전축(A)이 제1휴지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b)는 제1회전축(A)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c)는 제1회전축(A)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5116)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축부재(5128)의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5116)을 따라 제1휴지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하는 가이드 축부재(5128)의 경로는 블레이드 하우징(5112)의 절삭면(E)을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곡선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위치에서의 가이드 축부재(5128)의 위치는 제1휴지위치에서의 가이드 축부재(5128)의 위치보다 블레이드 하우징(5112)의 절삭면(E)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5128)가 가이드 레일(5116)을 따라 제1위치에 이동할 때, 제1휴지위치와 제1위치 사이의 곡선 경로에 의해, 커넥터(5120)는 자연스럽게 제2회전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부재(5128)가 가이드 레일(5116)을 따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제1휴지위치와 제1위치 사이의 곡선 경로를 지남으로써, 커넥터(5120)는 자연스럽게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휴지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면도방향에서 제2면도방향으로 면도방향을 전환할 때, 면도기 핸들(5140)이 눕혀진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블레이드 하우징(5112)을 제2면도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양방향 습식 면도기에 있어, 면도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에서는 가이드 레일(5116)을 따라 제1휴지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하는 가이드 축부재(5128)의 경로만 곡선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5116)을 따라 제1휴지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가이드 축부재(5128)의 경로 또한 곡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5116)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축부재(5128)의 경로는 전체로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면도기 카트리지 112: 블레이드 하우징 116: 가이드 레일
120: 커넥터 128: 가이드 축부재 1222: 스토퍼
130: 복원력 제공부 132: 제1복원부재 134: 제2복원부재
140: 면도기 핸들
120: 커넥터 128: 가이드 축부재 1222: 스토퍼
130: 복원력 제공부 132: 제1복원부재 134: 제2복원부재
140: 면도기 핸들
Claims (12)
-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며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상기 횡방향과 평행하며 제1휴지위치(first rest position)와 제1휴지위치로부터 제1면도방향(first shaving direction)으로 이격된 제1위치(first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커넥터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stopper) 및 상기 제1휴지위치와 상기 제1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축부재(guided shaft member)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1휴지위치 및 상기 제1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recovering force)을 상기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복원부재(first recovering member)를 포함하는 복원력 제공부(recovering force provider)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복원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휴지위치(second rest position)를 지나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제2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상기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접촉하였을 때,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 축부재 사이의 상기 커넥터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이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 블레이드는,
상기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체모를 절삭하도록 구성된 제1 커팅 에지(first cutting edge)를 가지는 제1블레이드(first blade) 및 상기 제1면도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면도방향(second shaving direction)으로 면도할 때 체모를 절삭하도록 구성된 제2 커팅 에지(second cutting edge)를 가지는 제2블레이드(second blade)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1휴지위치로부터 상기 제2면도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secon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1휴지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상기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복원부재(second recovering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원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휴지위치를 지나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제2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상기 커넥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원부재 및 상기 제2복원부재는 탄성 소재(elastic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원부재는 복수의 제1자기요소(fist magnetic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복원부재는 복수의 제2자기요소(second magnetic element)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복원부재가 상기 커넥터에 제공하는 복원력은 상기 복수의 제1자기요소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복원부재가 상기 커넥터에 제공하는 복원력은 상기 복수의 제2자기요소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1휴지위치 및 상기 제1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복원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의 크기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1위치에 근접할수록 커지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1휴지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제2복원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휴지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의 크기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2위치에 근접할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제1휴지위치와 상기 제1휴지위치로부터 제1면도방향으로 이격된 제1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축부재(guided shaft member)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축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 축부재의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제1휴지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 축부재의 경로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절삭면을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곡선이고,
상기 제1위치에서의 상기 가이드 축부재의 위치는 상기 제1휴지위치에서의 상기 가이드 축부재의 위치보다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절삭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면도기 핸들(razor handle)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상기 제1휴지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를 향해 이동가능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면도방향으로 면도할 때 상기 제1휴지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를 향해 이동가능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8794A KR102154856B1 (ko) | 2018-12-11 | 2018-12-11 | 면도기 조립체 |
US16/710,467 US11383397B2 (en) | 2018-12-11 | 2019-12-11 | Razor assembly |
EP19215204.9A EP3666480B1 (en) | 2018-12-11 | 2019-12-11 | Razo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8794A KR102154856B1 (ko) | 2018-12-11 | 2018-12-11 | 면도기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1259A KR20200071259A (ko) | 2020-06-19 |
KR102154856B1 true KR102154856B1 (ko) | 2020-09-10 |
Family
ID=6888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8794A KR102154856B1 (ko) | 2018-12-11 | 2018-12-11 | 면도기 조립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383397B2 (ko) |
EP (1) | EP3666480B1 (ko) |
KR (1) | KR1021548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88210B1 (en) * | 2017-04-13 | 2022-06-29 | BIC Violex Single Member S.A. | Razor handle |
JP7090727B2 (ja) | 2018-03-30 | 2022-06-24 |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枢動部分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
USD874061S1 (en) | 2018-03-30 | 2020-01-28 | The Gillette Company Llc | Shaving razor cartridge |
US11453138B2 (en) | 2018-03-30 | 2022-09-27 | The Gillette Company Llc |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
US10864646B2 (en) | 2018-03-30 | 2020-12-15 | The Gillette Company Llc | Shaving razor cartridge |
US11607820B2 (en) | 2018-03-30 | 2023-03-21 | The Gillette Company Llc |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
EP3546156B1 (en) | 2018-03-30 | 2021-03-10 | The Gillette Company LLC |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
JP2021516136A (ja) | 2018-03-30 | 2021-07-01 |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The Gillette Company Llc | 可動部材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
JP2021516102A (ja) | 2018-03-30 | 2021-07-01 |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The Gillette Company Llc | 枢動部分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
WO2019191231A1 (en) | 2018-03-30 | 2019-10-03 | The Gillette Company Llc |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
CN111819044B (zh) | 2018-03-30 | 2022-09-16 | 吉列有限责任公司 | 具有枢转部分的剃刀柄部 |
JP2021517045A (ja) | 2018-03-30 | 2021-07-15 |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The Gillette Company Llc | 可動部材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
USD866858S1 (en) * | 2018-05-10 | 2019-11-12 | The Gillette Company Llc | Shaving razor cartridge |
KR102154856B1 (ko) * | 2018-12-11 | 2020-09-10 | 주식회사 도루코 | 면도기 조립체 |
KR102231870B1 (ko) * | 2019-07-08 | 2021-03-25 | 주식회사 도루코 | 카트리지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
US20220088810A1 (en) | 2020-09-21 | 2022-03-24 | Beauty Perspectives, LLC | Razor handle |
USD950153S1 (en) * | 2020-12-03 | 2022-04-26 | The Gillette Company Llc | Razor handle |
USD986505S1 (en) | 2021-03-29 | 2023-05-16 | Beauty Perspectives, LLC | Razor hand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23679A (ja) | 2003-07-07 | 2007-08-23 | エバレディ バッテリー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旋回自在なシェービ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含むレザー |
WO2010136943A1 (en) | 2009-05-28 | 2010-12-02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Pivoting arrangement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3077A (en) | 1909-11-27 | 1911-05-23 | George Murray Klepfer | Cutting-machine. |
DE69233729T2 (de) | 1991-11-27 | 2009-03-12 | The Gillette Co., Boston | Rasierapparate |
US6161288A (en) * | 1993-02-22 | 2000-12-19 | Andrews; Edward A. | Four blade bi-directional razor structure with flexible guard system |
US6212777B1 (en) | 1993-09-29 | 2001-04-10 | The Gillette Company | Safety razors |
ATE186489T1 (de) | 1994-10-03 | 1999-11-15 | Gillette Co | Nassrasierkonstruktion |
US6516518B1 (en) | 1996-01-12 | 2003-02-11 | The Gillette Company | Razor blade unit |
US6041926A (en) | 1996-04-10 | 2000-03-28 | The Gillette Company | Dispensing razor blade cartridges used with a handle |
US5956851A (en) | 1996-04-10 | 1999-09-28 | The Gillette Company | Shaving system including handle and replaceable cartridges |
US5687485A (en) | 1996-05-15 | 1997-11-18 | The Gillette Company | Razor handle |
US5956848A (en) | 1997-02-27 | 1999-09-28 | The Gillette Company | Shaving system |
US6684513B1 (en) | 2000-02-29 | 2004-02-03 | The Gillette Company | Razor blade technology |
US7137205B2 (en) | 2002-10-01 | 2006-11-21 | The Gillette Company | Linkage mechanism providing a virtual pivot axis for razor apparatus with pivotal head |
US7086160B2 (en) * | 2002-10-21 | 2006-08-08 |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 Bidirectional shaving implement |
EP1601505A1 (en) | 2003-02-28 | 2005-12-07 |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 Shaving implement having improved pivot axis location |
JP4768629B2 (ja) * | 2003-12-02 | 2011-09-07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活性駆動される切断部材を支持する旋回可能なシェービングヘッドを備えるシェービング装置 |
US7690122B2 (en) | 2004-03-11 | 2010-04-06 | The Gillette Company | Shaving razor with button |
US7331107B2 (en) | 2005-12-20 | 2008-02-19 |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 Pivot axis for a shaving cartridge |
US7913393B2 (en) * | 2008-10-07 | 2011-03-29 | The Gillette Company | Safety razor with multi-pivot blade unit |
US9469038B2 (en) * | 2009-07-31 | 2016-10-18 | Bic-Violex Sa | Wet shaver |
CN102666037B (zh) * | 2009-11-12 | 2015-04-08 |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 具有枢转机构的毛发切割设备 |
ES2469390T3 (es) * | 2011-04-15 | 2014-06-18 | The Gillette Company | Dispositivo manual que presenta un eje de rotación |
US8938885B2 (en) * | 2012-05-01 | 2015-01-27 | The Gillette Company |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
US9283685B2 (en) * | 2012-07-26 | 2016-03-15 | Shavelogic, Inc. | Pivoting razors |
WO2014051842A1 (en) * | 2012-09-27 | 2014-04-03 | Shavelogic, Inc. | Shaving systems |
US9486930B2 (en) * | 2012-09-27 | 2016-11-08 | Shavelogic, Inc. | Shaving systems |
WO2014051843A1 (en) * | 2012-09-28 | 2014-04-03 | Shavelogic, Inc. | Shaving systems |
US9623575B2 (en) * | 2012-12-18 | 2017-04-18 | Shavelogic, Inc. | Shaving systems |
US20150158192A1 (en) * | 2013-12-09 | 2015-06-11 | Shavelogic, Inc. | Multi-material pivot return for shaving systems |
US10112313B2 (en) * | 2014-10-07 | 2018-10-30 | Ruairidh Robertson | Shaving device |
DE102016101672A1 (de) | 2016-01-29 | 2017-08-03 |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 Nassrasiergriff |
KR102154856B1 (ko) * | 2018-12-11 | 2020-09-10 | 주식회사 도루코 | 면도기 조립체 |
-
2018
- 2018-12-11 KR KR1020180158794A patent/KR10215485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12-11 US US16/710,467 patent/US11383397B2/en active Active
- 2019-12-11 EP EP19215204.9A patent/EP36664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23679A (ja) | 2003-07-07 | 2007-08-23 | エバレディ バッテリー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旋回自在なシェービ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含むレザー |
WO2010136943A1 (en) | 2009-05-28 | 2010-12-02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Pivoting arrang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666480B1 (en) | 2022-04-06 |
EP3666480A1 (en) | 2020-06-17 |
US11383397B2 (en) | 2022-07-12 |
US20200180178A1 (en) | 2020-06-11 |
KR20200071259A (ko) | 2020-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4856B1 (ko) | 면도기 조립체 | |
US20230150156A1 (en) | Shaver | |
EP2498958B1 (en) | Hair cutting device with pivoting mechanism | |
US9731426B2 (en) | Rotating type razor | |
KR102192994B1 (ko) | 면도기 조립체 | |
US8813366B2 (en) | Folding knife handle with assisted opening function | |
US4083104A (en) | Razor handle | |
US3950849A (en) | Razor with rotatably mounted shaving unit | |
JP2009006157A (ja) | シェービングレザー | |
RU2572267C1 (ru) | Электрический бритвенный прибор с вращающейся бритвенной головкой | |
EP3928935A2 (en) | Razor assembly | |
EP1600265B1 (en) | Personal trimming system | |
US11518055B2 (en) | 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 |
KR102655433B1 (ko) | 면도기 조립체 | |
KR101905043B1 (ko) | 날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가위 | |
KR100893362B1 (ko) | 속눈썹 뷰러 | |
KR200163748Y1 (ko) | 면도기 | |
KR200232976Y1 (ko) | 면도기 | |
KR102254590B1 (ko) | 반자동 가위 | |
KR200465062Y1 (ko) | 이미용가위 | |
KR200232975Y1 (ko) | 면도기 | |
KR20220153236A (ko) | 면도기 카트리지 및 면도기 조립체 | |
KR200184866Y1 (ko) | 절첩가능한 면도기 | |
KR20150001146U (ko) | 회전형 듀얼모드 면도기 | |
BR8101734U (pt) | Disposição construtiva em aparelho de barbe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