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433B1 -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433B1
KR102655433B1 KR1020210060532A KR20210060532A KR102655433B1 KR 102655433 B1 KR102655433 B1 KR 102655433B1 KR 1020210060532 A KR1020210060532 A KR 1020210060532A KR 20210060532 A KR20210060532 A KR 20210060532A KR 102655433 B1 KR102655433 B1 KR 10265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in
connector
blade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230A (ko
Inventor
고우경
김동일
김용건
이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21006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433B1/ko
Priority to PCT/KR2022/005947 priority patent/WO2022240015A1/ko
Publication of KR2022015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230A/ko
Priority to US18/504,884 priority patent/US2024008305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Abstract

면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블레이드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는 커넥터(connector); 커넥터에 결합되는 스핀하우징(spin housing); 스핀하우징이 종방향에 수직한 제1 회전축(first 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스핀하우징과 결합하는 고정하우징(fixing housing); 및 스핀하우징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하우징에 대해서 회전할 시 스핀하우징을 제1 휴지위치(first rest position)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복원력 제공부(first 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본 개시는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습식 면도기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cartridge)와 면도기 핸들(handle)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중립위치(rest position)와 그 중립위치에서 벗어난 회전위치(pivoting position) 사이에서 면도기 핸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pivoting motion)은, 기본적으로,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은, 면도 블레이드가 사용자의 피부와 원활하게 접촉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위와 같은 회전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회전 커넥팅(connecting) 방식 또는 고정 커넥팅 방식을 사용하였다. 회전 커넥팅 방식에서 커넥터는 면도기 핸들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면도기 카트리지에 대해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커넥팅 방식에서 커넥터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면도기 핸들에 대해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종래의 회전 커넥팅 방식 및 고정 커넥팅 방식 모두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예컨대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한 회전은 가능하지 않다.
다양한 피부굴곡에도 면도 블레이드가 피부에 밀착하여 면도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면도기 조립체가 필요하다.
이에, 본 개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시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굴곡에 따라 밀착될 수 있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는 커넥터(connector);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스핀하우징(spin housing);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종방향에 수직한 제1 회전축(first 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스핀하우징과 결합하는 고정하우징(fixing housing); 및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서 회전할 시 상기 스핀하우징을 제1 휴지위치(first rest position)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복원력 제공부(first 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시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굴곡에 따라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도 3의 Ⅴ-Ⅴ' 방향과 Ⅵ-Ⅵ' 방향으로 자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에서 제1 복원력 제공부가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배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도 3의 Ⅶ-Ⅶ' 방향으로 자른 배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도 3의 Ⅷ-Ⅷ' 방향으로 자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나타내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10)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100), 커넥터(connector, 110), 스핀하우징(spin housing, 120), 고정하우징(fixing housing, 160), 제1 복원력 제공부(first 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 140), 이탈부(ejecting unit, 150),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180) 및 버튼부(button unit, 19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하우징(100)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200)를 종방향으로 수용한다. 여기서, 종방향은 면도 블레이드(200)가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예컨대, 도 1에서 종방향은 X 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면도 블레이드(200)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커팅에지(cutting edge)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 즉 1개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00)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의 일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복수의 클립(clip, 21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하우징(100)은 가드(guard, 220) 및 캡(cap, 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정면은 면도 블레이드(200)의 커팅 에지가 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의 면일 수 있으며, 배면은 정면과 대면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의 면일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00)의 정면에서, 가드(220)는 면도 블레이드(2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캡(230)은 면도 블레이드(2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면도 블레이드(200)의 전방 및 후방은 면도 방향(shaving direction)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다만, 이하에서 면도 블레이드(200)가 아닌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전방 및 후방은 각각 도 1에서 양의 Y 축 방향 및 음의 Y 축 방향을 의미한다.
가드(220)는 면도 시 면도 블레이드(200)에 의한 체모의 절삭 이전에, 피부를 면도 방향으로 당겨줄(stretch) 수 있다. 가드(220)에 의해서 사용자의 체모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 블레이드(200)가 체모를 보다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캡(230)은 윤활물질(lubrication material)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 시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넥터(110)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커넥터(110)는 블레이드 하우징(100)과 별도의 부재로서 제조된 이후에 블레이드 하우징(100)의 배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110) 및 블레이드 하우징(100)이 일체로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핀하우징(120)은 커넥터(110)에 결합된다. 스핀하우징(120)이 커넥터(11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을 탈착방향이라고 정의하면, 탈착방향은 종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으로서, 면도기 핸들(180)의 연장방향의 일부와 평행할 수 있다. 예컨대, 탈착방향은 도 1에서 양의 Y 축 또는 음의 Y 축 방향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양의 Y 축 방향은 결합방향, 음의 Y 축 방향은 분리방향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스핀하우징(120) 및 커넥터(110)의 결합을 위해서, 커넥터(110)는 제1 결합부(first connecting portion, 240)를 포함하고, 스핀하우징(120)은 제2 결합부(second connecting portion, 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결합부(240)는 커넥터(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팔보(cantilever, 245)를 포함할 수 있다. 외팔보(245)는 적어도 하나, 즉 1개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외팔보(245)는 커넥터(110)로부터 블레이드 하우징(100)이 위치한 방향 내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결합부(250)는 외팔보(245)의 일단과 후크 결합(hook coupling)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hooked protrusion, 255)를 포함한다. 걸림돌기(255)는 적어도 하나, 즉 1개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외팔보(245)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하우징(160)은, 스핀하우징(120)이 종방향에 수직한 제1 회전축(first 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스핀하우징(120)과 결합한다. 즉, 스핀하우징(120)은 고정하우징(1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하우징(16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축은 도 1에서 Y 축과 평행한 방향, 예컨대 탈착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에서 Ⅰ-Ⅰ'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가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별도의 고정하우징(160)을 포함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고정하우징(160)은 면도기 핸들(18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면도기 핸들(180)에 포함된 일부 구성일 수 있다.
스핀하우징(120)이 고정하우징(160)에 대하여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스핀하우징(120)과 결합된 커넥터(110)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100)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한편, 고정하우징(1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하우징(upper fixing housing, 160_1) 및 하부 고정하우징(lower fixing housing, 160_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핀하우징(120)이 상부 고정하우징(160_1) 및 하부 고정하우징(160_2) 사이에서 결합되되, 스핀하우징(120)은 상부 고정하우징(160_1)에 결합되고, 상부 고정하우징(160_1)의 하부에 하부 고정하우징(160_2)이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복원력 제공부(140)는, 스핀하우징(120)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하우징(160)에 대해서 회전할 시 스핀하우징(120)을 제1 휴지위치(first rest position)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휴지위치는 스핀하우징(120)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은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제1 복원력 제공부(140)는 스핀하우징(120)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커넥터(11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함으로써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복원력 제공부(140)는 고정하우징(16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복원력 제공부(140)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하우징(16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스핀하우징(120)이 고정하우징(160)에 대하여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회전 이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토크가 스핀하우징(120)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1 복원력 제공부(140)가 스핀하우징(120)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핀하우징(120)을 제1 휴지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탈부(150)는 스핀하우징(120)을 커넥터(1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이탈부(150)를 결합방향으로 이동시킬 시, 이탈부(150)는 외팔보(245)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고, 이로써 외팔보(245)가 걸림돌기(25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탈부(150)는 외팔보(245)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바(push bar, 155)를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 핸들(180)은 고정하우징(160)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면도를 위해 파지하는 부분이 된다.
버튼부(190)는 면도기 핸들(180)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이탈부(150)를 이동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버튼부(190)는 이탈부(150)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버튼부(190)를 결합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핀하우징(120)과 커넥터(11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도 3의 Ⅴ-Ⅴ'방향과 Ⅵ-Ⅵ'방향으로 자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에서 제1 복원력 제공부가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복원력 제공부(140)는 외팔보(245)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arm, 4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아암(400)은 제1 복원력 제공부(14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암(400)은 스핀하우징(120)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외팔보(245)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토크가 스핀하우징(120)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 경우, 아암(400)은 스핀하우징(1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복원력 제공부(140)는 이탈부(15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탈부(150)가 푸시바(155)를 포함하는 경우, 아암(400)은 푸시바(15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탈부(150)는 스핀하우징(120)을 커넥터(1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일뿐만 아니라, 스핀하우징(120)을 제1 휴지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복원력 제공부(140)는 푸시바(155)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복원력 제공부(140), 푸시바(155) 및 이탈부(150)가 전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1 복원력 제공부(140)가 반드시 이탈부(15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스핀하우징(1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이탈부(150)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스핀하우징(120)은 스핀하우징(120)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리브(recovering rib, 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하우징(160)은 복원리브(125)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정지면(stop surface, 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리브(125)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1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핀하우징(120)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 외팔보(245)가 과도하게 탄성 변형되어 걸림돌기(25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핀하우징(120)은 복원리브(125)의 적어도 일부가 정지면(450)과 접함으로써,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핀하우징(120)이 고정하우징(160)에 대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최대 회전각도에서 복원리브(125)의 적어도 일부는 정지면(450)과 접하게 된다. 스핀하우징(120)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각도는 편측 10°이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배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도 3의 Ⅶ-Ⅶ'방향으로 자른 배면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60)는 이하에서 특별히 설명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60)의 제1 복원력 제공부(140)는 판스프링(plate spring, 600)을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600)은 스핀하우징(120)과 고정하우징(160) 사이에 배치된다. 스핀하우징(120)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판스프링(600)은 스핀하우징(120)의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핀하우징(120)에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판스프링(600)은 스핀하우징(120)의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600)의 양측 단부가 스핀하우징(120)의 측부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핀하우징(120)이 복수의 복원리브(125)를 포함하는 경우, 판스프링(600)은 복수의 복원리브(125)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복원리브(125)의 적어도 일부가 판스프링(6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스핀하우징(120)에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스핀하우징(120)의 회전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하우징(160)은 멈춤돌기(stop protrusion, 700)를 포함할 수 있다. 멈춤돌기(700)는 고정하우징(16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판스프링(600)이 탄성변형되는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스핀하우징(120)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하우징(160)이 멈춤돌기(700)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정지면(450)과 같은 구성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60)는,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스핀하우징(120)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회전 이후에는 제1 복원력 제공부(140)가 스핀하우징(120)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핀하우징(120)을 제1 휴지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핀하우징(120)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각도는 편측 6°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도 3의 Ⅷ-Ⅷ'방향으로 자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나타내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 60)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이 종방향에 평행한 제2 회전축(second 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커넥터(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100) 및 커넥터(110)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커넥터(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제2 회전축은 블레이드 하우징(100)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3에서 Ⅱ-Ⅱ'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블레이드 하우징(100)은 블레이드 하우징(10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홀(coupling hole, 105)을 포함할 수 있고, 커넥터(110)는 결합홀(105)에 연결되는 결합돌기(coupling protrusion, 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 60)는 제2 복원력 제공부(second 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원력 제공부(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블레이드 하우징(100)을 제2 휴지위치(second rest position)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휴지위치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은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블레이드 하우징(100)이 커넥터(110)에 대하여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이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토크가 블레이드 하우징(100)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 복원력 제공부(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100)을 제2 휴지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2 복원력 제공부(130)는 스핀하우징(120)을 관통하거나, 스핀하우징(120) 및 고정하우징(160) 모두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핀하우징(120) 및 고정하우징(160) 각각은 제1 관통홀(first through hole, 260) 및 제2 관통홀(second through hole, 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관통홀(260)은 고정하우징(160) 또는 제2 관통홀(270)과의 연결을 위해 돌출부(extruding unit, 26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65)는 스핀하우징(120)으로부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65)의 연장방향은 복원리브(125)의 연장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다만, 돌출부(265)가 반드시 제1 관통홀(260)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하우징(160) 또는 제2 관통홀(27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돌출부(265)는 고정하우징(160)으로부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돌출부(265)의 연장방향은 복원리브(125)의 연장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60) 및 제2 관통홀(270)이 위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스핀하우징(120)은 고정하우징(160)에 대하여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은 스핀하우징(120)의 제1 관통홀(260) 또는 후술할 플런저(132)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제2 복원력 제공부(130)는 플런저(plunger, 132) 및 탄성부재(elastic member, 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132)는 블레이드 하우징(100)과 캠 작용(cam action)하여 복원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탄성부재(134)는 플런저(132)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블레이드 하우징(100)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플런저(132)는 블레이드 하우징(100)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도 1 및 도 6의 Y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34)는 플런저(132)가 음의 Y 축 방향으로 이동할 시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탄성부재(134)는 양의 Y 축 방향의 복원력을 플런저(132)에 제공해줄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 60)의 제2 복원력 제공부(130)가 반드시 플런저(132) 및 탄성부재(134)를 이용하여 복원력을 제공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 60)는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을 제공함으로써, 굴곡진 피부에 대해서도 면도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34)의 일단이 플런저(132)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탈부(150)와 연결됨으로써, 이탈부(150)가 결합방향으로 이동할 시 탄성부재(134)는 이탈부(150)에 복원력을 제공해줄 수도 있다. 따라서, 이탈부(150)는 스핀하우징(120) 및 커넥터(110)를 분리하기 위해 결합방향으로 이동한 이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 60)는, 고정하우징(160)이 종방향 및 탈착방향과 수직한 제3 회전축(third 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면도기 핸들(18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회전축은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수직할 수 있으며, 면도기 핸들(180)의 연장방향의 적어도 일부와 수직할 수도 있고, 종방향에 수직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3 회전축은 도 3에서 Ⅲ-Ⅲ'방향일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고정하우징(160)은 제3 관통홀(third through hole, 165)을 포함하고, 면도기 핸들(180)은 제4 관통홀(fourth through hole, 185)을 포함하며, 제3 관통홀(165) 및 제4 관통홀(185)을 관통하는 샤프트(shaft, 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관통홀(165) 및 제4 관통홀(185)의 중심축은 제3 회전축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하우징(160) 및 면도기 핸들(180)이 각각 제3 관통홀(165) 및 제4 관통홀(185)을 포함하고, 샤프트(170)를 이용하여 연결됨으로써, 고정하우징(160)은 면도기 핸들(180)에 대해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 60)는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및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을 제공함으로써, 굴곡진 피부에 대해서도 면도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고정하우징(160)이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고정하우징(160)을 제3 휴지위치(third rest position)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 복원력 제공부(third 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휴지위치는 고정하우징(160)이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은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고정하우징(160)이 면도기 핸들(180)에 대하여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이후,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토크가 고정하우징(160)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3 복원력 제공부는 고정하우징(160)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고정하우징(160)을 제3 휴지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 60)는 다양한 회전축을 가질 수 있으며, 회전 시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굴곡에 따라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 60: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
100: 블레이드 하우징 105: 결합홀
110: 커넥터 115: 결합돌기
120: 스핀하우징 125: 복원리브
130: 제2 복원력 제공부 132: 플런저
134: 탄성부재 140: 제1 복원력 제공부
150: 이탈부 155: 푸시바
160: 고정하우징 160_1: 상부 고정하우징
160_2: 하부 고정하우징 165: 제3 관통홀
170: 샤프트 180: 면도기 핸들
185: 제4 관통홀 190: 버튼부
200: 면도 블레이드 210: 클립
220: 가드 230: 캡
240: 제1 결합부 245: 외팔보
250: 제2 결합부 255: 걸림돌기
260: 제1 관통홀 265: 돌출부
270: 제2 관통홀 400: 아암
450: 정지면 600: 판스프링
700: 멈춤돌기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는 커넥터(connector);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스핀하우징(spin housing);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종방향에 수직한 제1 회전축(first 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스핀하우징과 결합하는 고정하우징(fixing housing);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서 회전할 시 상기 스핀하우징을 제1 휴지위치(first rest position)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복원력 제공부(first 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 및
    상기 스핀하우징을 상기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이탈부(ejecting unit)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이탈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팔보(cantilever)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first connect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하우징은,
    상기 외팔보의 일단과 후크 결합(hook coupling)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hooked protrusion)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second connecting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팔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외팔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arm)을 포함하되,
    상기 아암은,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상기 외팔보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스핀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판스프링(plate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하우징은,
    상기 스핀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리브(recovering ri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판스프링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스핀하우징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하우징은,
    상기 스핀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리브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정지면(stop surface)을 포함하되,
    상기 스핀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지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이 상기 종방향에 평행한 제2 회전축(second 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이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을 제2 휴지위치(second rest position)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복원력 제공부(second 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캠 작용(cam action)하여 복원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부재(elastic memb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2.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스핀하우징;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종방향에 수직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스핀하우징과 결합하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서 회전할 시 상기 스핀하우징을 제1 휴지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복원력 제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팔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외팔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포함하되,
    상기 아암은,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상기 외팔보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3.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스핀하우징;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종방향에 수직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스핀하우징과 결합하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서 회전할 시 상기 스핀하우징을 제1 휴지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복원력 제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스핀하우징은,
    상기 스핀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리브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정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스핀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지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4.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배면에 배치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스핀하우징;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종방향에 수직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스핀하우징과 결합하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스핀하우징이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서 회전할 시 상기 스핀하우징을 제1 휴지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복원력 제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이 상기 종방향에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이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을 제2 휴지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복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핀하우징은 상기 제2 복원력 제공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KR1020210060532A 2021-05-11 2021-05-11 면도기 조립체 KR10265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532A KR102655433B1 (ko) 2021-05-11 면도기 조립체
PCT/KR2022/005947 WO2022240015A1 (ko) 2021-05-11 2022-04-26 면도기 조립체
US18/504,884 US20240083055A1 (en) 2021-05-11 2023-11-08 Raz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532A KR102655433B1 (ko) 2021-05-11 면도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30A KR20220153230A (ko) 2022-11-18
KR102655433B1 true KR102655433B1 (ko) 2024-05-03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128B1 (ko) 2015-11-20 2017-06-02 주식회사 도루코 핸들 어셈블리, 카트리지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KR101887119B1 (ko) 2017-11-21 2018-08-09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128B1 (ko) 2015-11-20 2017-06-02 주식회사 도루코 핸들 어셈블리, 카트리지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KR101887119B1 (ko) 2017-11-21 2018-08-09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0978B (zh) 用于固持可围绕两个轴线枢转的刀头的剃刮手柄系统
CN109807949B (zh) 剃须刀组装体
KR102154856B1 (ko) 면도기 조립체
RU2118252C1 (ru) Безопасная бритва (варианты)
JP4975042B2 (ja) シェービングカートリッジの回動軸
US6615498B1 (en) Flexible member for a shaving razor
AU2007258720B2 (en) Razor handle
EP2559527B1 (en) Safety razor having a pivotable blade unit
EP3481606B1 (en) Shaving component, shaving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0520263B (zh) 剃刀手柄
WO2005007355A1 (en) Pivotable shaving cartridge and razor including same
WO2005107393A2 (en) Biasing assembly for a razor and razor using same
JP2008540053A (ja) 分離されるガードバーを有する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WO1989000487A1 (en) Safety razors
CA2383107A1 (en) Razor cartridge loading system
KR102655433B1 (ko) 면도기 조립체
WO2018039168A1 (en) Razor and razor handle with rotational portion
US11518055B2 (en) 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KR20220153230A (ko) 면도기 조립체
KR102555477B1 (ko) 면도기 조립체
KR20220153236A (ko) 면도기 카트리지 및 면도기 조립체
CN117295591A (zh) 剃须刀手柄
GB2081165A (en) Razors
KR102655435B1 (ko) 면도기 핸들
CN117320858A (zh) 剃须刀刀片架及包括其的剃须刀组合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