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119B1 -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119B1
KR101887119B1 KR1020170155830A KR20170155830A KR101887119B1 KR 101887119 B1 KR101887119 B1 KR 101887119B1 KR 1020170155830 A KR1020170155830 A KR 1020170155830A KR 20170155830 A KR20170155830 A KR 20170155830A KR 101887119 B1 KR101887119 B1 KR 101887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head
torsion spring
razor
razor handle
pivo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7015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119B1/ko
Priority to US16/191,187 priority patent/US10960561B2/en
Priority to EP18207490.6A priority patent/EP34860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Abstract

면도기 조립체는,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과,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헤드와,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횡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 헤드를 지지하는 면도기 핸들과, 상기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본 발명은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 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pivot) 가능한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면도기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와 면도기 핸들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가드 바 후측 및 캡의 전측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면도기 조립체 사용 중에, 면도기 카트리지는 중립 위치와 회동 위치 사이에서 면도기 핸들에 대해 회동 운동할 수 있도록, 면도기 핸들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동 운동은 기본적으로 면도 블레이드가 면도기 카트리지 상에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삭 표면의 방향으로 완전하게 회전되었을 때, 면도기 카트리지는 중립 위치에 있다. 면도기 핸들에 대한 중립 위치와 회동 위치 사이의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동작은 이것에 의해 면도기 카트리지 및 관련된 날이 절삭 표면과 접촉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통상의 면도 중에는, 일정한 힘에 의해 면도기 카트리지가 절삭 표면에서 멀어질수록, 회전 위치의 방향으로 면도기 핸들에 대해서 회동 운동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힘은 주로 가드 바를 통과하는 절삭 표면에 의해 초래되는 마찰력과 블레이드가 모발을 절삭할 때 필요한 힘을 포함한다. 절삭 표면에서 멀어지도록 회동 운동하는 카트리지의 특성을 보상하기 위해, 면도기는 스프링식 플런저와 같은 바이어스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바이어스 부재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중립 위치의 방향으로 힘을 가해, 면도기 카트리지를 절삭 표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면도기들에서도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기능은 매우 보편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이러한 회동 기능에 더하여 상기 축에 수직인 다른 축들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기능까지 부가함으로써 면도시에 면도 블레이드가 다양한 사용자 피부의 프로파일에 보다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축 회동 면도기도 개발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다축 회동 면도기의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해 면도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구조적 취약성으로 제대로 회동 움직임이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 방향에 평행인 축과 수직인 다른 축들에 대한 회동 움직임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면도기 조립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특허공개공보 2017-0059091호 (2017. 5. 30.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 방향에 평행인 축에 수직인 회전축에 대한 회동 움직임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회전축에 대한 회동 움직임을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장시간 사용시에도 변형되지 않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회전축에 대한 회동 움직임을 탄성부재 자체의 토션(torsion) 변형 또는 신장(extension) 변형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헤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횡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 헤드를 지지하는 면도기 핸들; 및 상기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횡방향 및 상기 면도기 핸들이 연장되는 종방향 모두에 대해 수직이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중심축이 상기 회전축과 일치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헤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횡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 헤드를 지지하는 면도기 핸들; 및 상기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면도기 핸들이 연장되는 종방향과 나란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중심축이 상기 회전축과 일치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헤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횡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 헤드를 지지하는 면도기 핸들; 및 상기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횡방향 및 상기 면도기 핸들이 연장되는 종방향 모두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향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커넥팅 헤드에 형성된 제1 고정단에 계지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상기 면도기 핸들에 형성된 제2 고정단에 계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에 따르면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 방향에 평행인 축에 수직인 회전축에 대한 회동 움직임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에 대한 회동 움직임을 탄성부재 자체의 신장 변형 또는 토션 변형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변형의 우려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에 따르면, 면도 블레이드가 면도시 사용자 피부의 프로파일에 원활하게 밀착함으로써 면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면도기 핸들의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b는 후면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1c는 후면의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의 면도기 조립체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팅 헤드에 토션 스프링을 장착한 후 면도기 핸들에 장착하기 전의 면도기 조립체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배면에서 커넥팅 헤드 및 제1 및 제2 수용 부재가 조립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정면에서 커넥팅 헤드 및 제1 및 제2 수용 부재가 조립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커넥팅 헤드를 제거한 상태에서 면도기 핸들에 토션 스프링을 장착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블레이드 하우징의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b는 후면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6c는 후면의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의 면도기 조립체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커넥팅 헤드와 면도기 핸들 간의 조립 직전의 형상을 보다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9a는 토션 스프링을 면도기 핸들의 가이드 부재에 설치한 후 커넥팅 헤드를 조립하기 직전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종방향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면도기 조립체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면도기 조립체에서 블레이드 하우징 및 제2 수용 부재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면도기 조립체가 회동 위치에 있을 때 정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중립 위치 및 회동 위치에서 제2축, 제1 고정단 및 제2 고정단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0)를 면도기 핸들(30)의 전면(블레이드 하우징(10)의 전면이 보이는 쪽)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b는 후면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1c는 후면의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0)는 면도 블레이드(5)와 블레이드 하우징(10)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와, 커넥팅 헤드(20)와, 면도기 핸들(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면도 블레이드(5)는 일단부가 커팅 에지를 구비하며, 타단부가 블레이드 하우징(10)에 구비된 안착부에 안착된다. 이 때, 면도 블레이드(5)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수를 가질 수 있으며, 면도 블레이드(5)가 블레이드 하우징(10)에 수용되는 방향은 면도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d1)이다.
면도 블레이드(5)가 블레이드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면도 블레이드(5)의 상기 일단부의 양측부를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0)에 고정하는 한 쌍의 클립(7a, 7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클립(7a, 7b)은 면도 블레이드(50)의 상기 양측부를 감싸면서,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양측단 부근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관통하여 블레이드 하우징(10)의 배면(12)에서 절곡된다.
또한, 면도 블레이드(5)가 블레이드 하우징(10)에 안착된 위치의 전방에는 상기 면도 블레이드(5)와 나란한 방향으로 가드 바(1)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의 후방에는 상기 면도 블레이드(5)와 나란한 방향으로 윤활 밴드(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드 바(1)는 사용자의 모발을 면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기립하여 면도 블레이드(5)의 절삭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상기 윤활 밴드(3)는 상기 절삭 이후 거칠어진 피부를 매끄럽게 정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1a에서, 커넥팅 헤드(20)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0)의 배면(12)에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블레이드 하우징(10)이 커넥팅 헤드의 단부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5)가 수용된 횡방향(d1)에 평행한 제1축(ax1)을 기준으로 회동(pivot)할 수 있다.
한편, 커넥팅 헤드(20)는 상기 횡방향(d1)에 수직인 회전축(ax2)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면도기 핸들(30)과도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 즉, 제2축(ax2)은 상기 횡방향(d1) 및 상기 면도기 핸들(30)의 종방향(d2)에 모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은 상기 제2축(ax2)의 위치에서 커넥팅 헤드(20) 및 면도기 핸들(30)를 모두 관통하는 체결구(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구(50)는 고정 핀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커넥팅 헤드(20) 및 면도기 핸들(30) 간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샤프트 형태의 부재를 포괄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의 면도기 조립체(100)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플런저 가드(21)는 커넥팅 헤드(20)의 선단측에 구비된 돌출부(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플런저 가드(21)는 제1축(ax1)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플런저 가드(21)는 블레이드 하우징(1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 공간(11)에 삽입됨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10)과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결국 블레이드 하우징(10)은 제1축(ax1)을 기준으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런저 가드(21)의 반대측에서, 커넥팅 헤드(20)는 체결구(50a, 50b)에 의해 면도기 핸들(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면도기 핸들(30)은 예를 들어, 종방향으로 나뉘어지는 2개의 수용 부재(30a, 3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 부재(30a, 30b)는 커넥팅 헤드(20)의 피봇 부재(25)와 토션 스프링(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31)을 제공한다. 체결구(50a, 50b)는 제2축(ax2)의 위치에서, 제1 수용 부재(30a)의 관통 홀(33a), 피봇 부재(25)의 관통 홀(23), 토션 스프링(40)의 중공부(43) 및 제2 수용 부재(30b)의 관통 홀(33b)을 모두 관통하여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40)의 중심축의 방향 즉, 중공부(43)가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2축과 일치한다.
도 3은 커넥팅 헤드(20)에 토션 스프링(40)을 장착한 후 면도기 핸들(30a, 30b)에 장착하기 전의 면도기 조립체(100)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면도기 카트리지(10)는 생략됨). 토션 스프링(40)이 커넥팅 헤드(20)의 피봇 부재(25)(특히, 피봇 부재(25)의 관통 홀(23))에 장착될 때에는 토션 스프링(40)의 일단부(41a)와 타단부(41b)가 각각 커넥팅 헤드의 양쪽 측벽(26a, 26b)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커넥팅 헤드(20)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도 토션 스프링(40)의 양단은 상기 측벽(26a, 26b)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예압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 중에서 일단부(41a)는 커넥팅 헤드(20)의 두께 방향(즉, ax2 방향)으로 피봇 부재(25)의 아래쪽에, 타단부(41b)는 피봇 부재(25)의 위쪽에 각각 위치한다. 즉,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는 각각 피봇 부재(25)의 관통 홀(23)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40)이 커넥팅 헤드(20) 내에 장착된 후에는, 상기 커넥팅 헤드(20) 중에서도 피봇 부재(25)의 전면과 후면을 제1 및 제2 수용 부재(30a, 30b)에 의해 조립할 수 있다. 이후에, 제2축(ax2) 위치에서, 체결구(50a, 50b)를 제1 수용부재(30a), 피봇 부재(25)의 관통 홀(23) 및 토션 스프링(40)의 중공부(43), 그리고 제2 수용부재(30b)를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커넥팅 헤드(20) 및 면도기 핸들(30) 간의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가 커넥팅 헤드(20)의 양쪽 측벽(26a, 26b) 및 피봇 부재(25) 내에만 설치된다면 커넥팅 헤드(20)가 회동할 때 복원력이 제공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는 커넥팅 헤드(20)의 양쪽 측벽(26a, 26b)과 함께 면도기 핸들(30) 내의 일측에서도 동시에 지지될 필요가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면도기 조립체(100)의 배면 및 정면에서 커넥팅 헤드(20) 및 제1 및 제2 수용 부재(30a, 30b)가 조립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20)가 중립 위치에서 제2 수용 부재(30b) 상에 장착된다면, 토션 스프링(40)의 타단부(41b)의 원위측(토션 스프링(40)의 중공부(43)로부터 먼쪽)은 커넥팅 헤드(20)의 제2 측벽(26b)에 의해 접촉 및 지지됨과 동시에, 토션 스프링(40)의 타단부(41b)의 근위측(토션 스프링(40)의 중공부(43)로부터 먼쪽)은 면도기 핸들(3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수용 부재(30a)의 지지벽(32a)에 의해 접촉 및 지지된다.
따라서, 도 4a에서 커넥팅 헤드(20)가 면도기 핸들(3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 토션 스프링(40)의 타단부(41b)는 제2 측벽(26b)으로부터 다소 이탈하게 되지만, 여전히 제1 수용 부재(30a)의 지지벽(32a)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다. 반면에, 도 4a에서 커넥팅 헤드(20)가 면도기 핸들(3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토션 스프링(40)의 타단부(41b)는 제2 측벽(26b)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변위된다. 이 때에는 토션 스프링(40)의 타단부(41b)는 제1 수용 부재(30a)의 지지벽(32a)으로부터 다소 이탈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4b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20)가 중립 위치에서 제1 수용 부재(30a) 상에 장착될 때, 토션 스프링(40)의 일단부(41a)의 원위측은 커넥팅 헤드(20)의 제1 측벽(26a)에 의해 접촉 및 지지됨과 동시에, 토션 스프링(40)의 일단부(41b)의 근위측은 면도기 핸들(3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수용 부재(30b)의 지지벽(32b)에 의해 접촉 및 지지된다.
따라서, 전술한 도 4a를 기준으로 커넥팅 헤드(20)가 면도기 핸들(3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 토션 스프링(40)의 일단부(41a)는 제1 측벽(26a)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눌러지면서 변위되면서, 제2 수용 부재(30b)의 지지벽(32b)으로부터 다소 이탈하게 된다. 이 때, 도 4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40)의 타단부(41b)는 변형이 없지만, 일단부(41a)가 타단부(41b)와 가까워지는 쪽으로 변형이 일어나므로 토션 스프링(40)이 압축되고 이는 제2축(ax2)에 대한 커넥팅 헤드(2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복원력으로 작용한다.
반면에, 전술한 도 4a를 기준으로 커넥팅 헤드(20)가 면도기 핸들(3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 토션 스프링(40)의 일단부(41a)는 제1 측벽(26a)으로부터 이탈하지만 제2 수용 부재(30b)의 지지벽(32b)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일단부(41a)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 때, 도 4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40)의 타단부(41b)가 일단부(41a)와 가까워지는 쪽으로 변형이 일어나므로 토션 스프링(40)이 압축되고 이는 제2축(ax2)에 대한 커넥팅 헤드(20)의 시계 방향으로의 복원력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커넥팅 헤드(20)가 면도기 핸들(30)에 대해 제2축(ax2)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복원력이 발생하므로 외력이 제거되면 커넥팅 헤드(20)는 중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커넥팅 헤드(20)의 정확한 회동 운동을 보장하면서도 견고한 조립을 보장하기 위해, 커넥팅 헤드(20), 특히 피봇 부재(25)에는 가이드 블록(2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이러한 가이드 블록(24)은 적어도 일측에, 제2 수용 부재(30b)에 원호 형태로 형성된 가이더(34)에 정합될 수 있는 원호 형상의 프로파일(27)을 갖는다. 물론, 제2축(ax2)를 관통하는 체결구(50)에 의해서도 이러한 회동 운동이 제공될 수 있지만, 가이드 블록(24) 및 가이더(34) 간의 정합을 통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회동 운동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가이드 블록(24)이 제2 수용 부재(30b)에 형성된 가이더(34)와 정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수용 부재(30a)에 가이더를 형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1 가이드 블록(24)에 더하여 제2 가이드 블록(28)을 제1 가이드 블록(24)과 다른 원호 위치에 형성하고, 이것이 제2 수용 부재(30b)의 제2 가이더(35)와 추가적으로 정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원주 상의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블록 및 가이더의 조합을 구비함으로써 외력의 작용 방향에 무관하게 보다 안정적인 회동 운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블록(24)이 가이더(34)와 정합되어 회동 운동을 할 때 그 회동 범위는 특정 각도(도 4b의 A)로 제한된다. 이는 면도시 제2축(ax2)에 대한 회동 범위를 사용자에게 불편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로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블록(24)의 양면이 A 방향으로 회동할 때 양측의 스토퍼 면(36)에 접촉하면서 이루어진다.
도 5는 커넥팅 헤드(20)를 제거한 상태에서 면도기 핸들(30)에 토션 스프링(40)을 장착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수용 부재(30a)의 지지벽(32a)과 제2 수용 부재(30b)의 지지벽(32b)이 각각의 회동 방향에 대해 토션 스프링(40)이 헛돌지 않게 하는 회전 방지 구조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는 면도기 핸들(3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므로, 각각 서로 다른 수용 부재(30a, 30b)에 형성된 지지벽(32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여, 커넥팅 헤드가 블레이드들이 정렬되는 방향(d1) 및 면도기 핸들의 종방향(d2)에 모두 수직인 제2축(ax2)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면도기 조립체(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커넥팅 헤드가 면도기 핸들의 종방향(d2)과 나란한 방향인 제3축(ax3)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면도기 조립체(200)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200)를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b는 후면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6c는 후면의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200)는 면도 블레이드(5)와 블레이드 하우징(10)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와, 커넥팅 헤드(120)와, 면도기 핸들(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면도 블레이드(5)는 일단부가 커팅 에지를 구비하며, 타단부가 블레이드 하우징(10)에 구비된 안착부에 안착된다. 이 때, 면도 블레이드(5)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수를 가질 수 있으며, 면도 블레이드(5)가 블레이드 하우징(10)에 수용되는 방향은 면도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d1)이다.
도 6a에서, 커넥팅 헤드(120)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0)의 배면에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블레이드 하우징(10)이 커넥팅 헤드의 단부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5)가 수용된 횡방향(d1)에 평행한 제1축(ax1)을 기준으로 회동(pivot)할 수 있다.
한편, 커넥팅 헤드(120)는 상기 횡방향(d1)에 수직인 회전축(ax3)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면도기 핸들(130)과도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 즉, 제3축(ax3)은 상기 면도기 핸들(130)의 종방향(d2)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때, 커넥팅 헤드(120)와 면도기 핸들(130)의 연결 부분에는 토션 스프링(40)이 구비되어 있어서, 커넥팅 헤드(120)가 면도기 핸들(130)에 대해 제3축(ax3)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토션 스프링(40)에 의해 복원력이 제공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의 면도기 조립체(200)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플런저 가드(21)는 커넥팅 헤드(120)의 선단측에 구비된 돌출부(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플런저 가드(21)는 제1축(ax1)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플런저 가드(21)는 블레이드 하우징(1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 공간(11)에 삽입됨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10)과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결국 블레이드 하우징(10)은 제1축(ax1)을 기준으로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런저 가드(21)의 반대측에서, 커넥팅 헤드(120)의 단부에 형성된 피봇 부재(125)는, 면도기 핸들(130)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35)에 대해 제3축(ax3)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되는 피봇 부재(125)와 가이드 부재(135)의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40)이 제3축(ax3)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40)의 중심축의 방향 즉, 중공부(43)가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3축과 일치한다.
도 8a 및 도 8b는 커넥팅 헤드(120)와 면도기 핸들(130) 간의 조립 직전의 형상을 보다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커넥팅 헤드(120)의 피봇 부재(125)와 면도기 핸들(130)의 가이드 부재(135)는 각각 토션 스프링(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3축(ax3)에 대해 대략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들(127, 128, 137, 138)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팅 헤드(120)의 피봇 부재(125)는 제1 격벽(127)과 제2 격벽(128)을 포함하고, 면도기 핸들(130)의 가이드 부재(135)는 제3 격벽(137)과 제4 격벽(138)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격벽(127, 128)은 제3축(ax3)을 기준으로 한 제1 원주 상에서 슬롯(126a, 126b)에 의해 제1 간격만큼 이격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격벽(137, 138)은 제3축(ax3)을 기준으로 한 제2 원주 상에서 슬롯(136a, 136b)에 의해 제2 간격만큼 이격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봇 부재(125)의 중심(제1 원주의 중심)에는 면도기 핸들(130)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샤프트(12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원주가 제2 원주보다 커서 피봇 부재(125)의 제1 및 제2 격벽(127, 128)이 가이드 부재(135)의 제3 및 제4 격벽(137, 138)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와 반대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중심 샤프트(121)도 가이드 부재(135)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커넥팅 헤드(120)와 면도기 핸들(130) 간의 조립시에, 토션 스프링(40)의 중공부(43)는 중심 샤프트(121)에 의해 삽입되고, 피봇 부재(125)의 격벽들(127, 128)이 가이드 부재(135)의 격벽들(137, 138)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 때, 피봇 부재(125)의 슬롯들(126a, 126b)이 가이드 부재(135)의 슬롯들(136a, 136b)과 각각 일치하도록 정렬되고,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는 각각 상기 정렬된 슬롯들(126a, 126b, 136a, 136b)을 관통하여 지지된다.
도 9a는 토션 스프링(40)을 면도기 핸들(130)의 가이드 부재(135)에 설치한 후 커넥팅 헤드(120)를 조립하기 직전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토션 스프링(40)이 설치된 가이드 부재(135)를 종방향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는 가이드 부재(135)의 슬롯들(136a, 136b)를 관통하여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는 제4 격벽(138)의 원주 방향 양단부(139a, 139b)에 각각 접촉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토션 스프링(40)의 일단부(41a)는 타단부(41b)에 비해 커넥팅 헤드(120)에 가까운 위치에 놓여진다. 또한,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가 다소 압축된 상태, 즉 예압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피봇 부재(125)의 격벽들(127, 128)이 가이드 부재(135)의 격벽들(137, 138)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피봇 부재(125)의 제2 격벽(128)의 양단부(129a, 129b)와 가이드 부재(135)의 제4 격벽(138)의 양단부(139a, 139b)는 완전히 일치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현실적인 공차를 고려할 때 제2 격벽(128)의 양단부(129a, 129b)가 제4 격벽(138)의 양단부(139a, 139b)보다 약간 크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가 제2 격벽(128)의 양단부(129a, 129b)에서 지지되면서 예압될 수 있다.
결국, 커넥팅 헤드(120)와 면도기 핸들(130)이 축방향으로 조립된 상태에서는, 토션 스프링(40)의 양단부(41a, 41b) 중에서 중공부(43)에 가까운 쪽은 제4 격벽(138)의 양단부(139a, 139b)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양단부(41a, 41b) 중에서 중공부(43)에서 먼 쪽은 제2 격벽(128)의 양단부(129a, 129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중립 상태에서 커넥팅 헤드(120)가 제3축(ax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토션 스프링(40)의 타단부(41b)는 변위되지 않지만 일단부(41a)가 반시계 방향으로 변위되어 토션 스프링(40)이 압축된다. 마찬가지로, 커넥팅 헤드(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토션 스프링(40)의 일단부(41a)는 변위되지 않지만 타단부(41b)가 반시계 방향으로 변위되어 토션 스프링(40)이 압축된다. 양자의 경우 모두에 있어서 이러한 토션 스프링(40)의 압축력은 커넥팅 헤드(120)가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가이드 부재(135)의 제3 격벽(137)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단턱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팅 헤드(120)가 제3축(ax3)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제2 격벽(128)의 양단부(129a, 129b)는 단턱부(131)의 양측면(131a, 132b)에 의해 그 회동이 규제된다. 즉, 단턱부(131)의 양측면(131a, 132b)는 커넥팅 헤드(120)에 대한 스토퍼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턱부(131)의 존재로 인하여, 피봇 부재(125)의 제1 격벽(127)의 높이는 제2 격벽(128)의 높이보다 상기 단턱부(131)의 높이만큼 작도록 설계된다.
이상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토션 스프링(40)을 사용하여 커넥팅 헤드(20, 120)가 제2축(ax2) 또는 제3축(ax3)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복원력을 제공하는 면도기 조립체(100, 200)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의 제3 실시예에서는, 토션 스프링(40) 대신에 코일 스프링(60)을 사용하여 커넥팅 헤드(220)가 제2축(ax2)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복원력을 제공하는 면도기 조립체(300)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0)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0)는 블레이드 하우징(10)과, 커넥팅 헤드(220)와, 면도기 핸들(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넥팅 헤드(220)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0)의 배면에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블레이드 하우징(10)은 커넥팅 헤드의 단부에 대해 블레이드가 수용된 횡방향(d1)에 평행한 제1축(ax1)을 기준으로 회동(pivot)할 수 있다.
한편, 커넥팅 헤드(220)는 상기 횡방향(d1)에 수직인 회전축(ax2)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면도기 핸들(230)과도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 즉, 제2축(ax2)은 상기 횡방향(d1) 및 상기 면도기 핸들(230)의 종방향(d2)에 모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은 상기 제2축(ax2)의 위치에서 커넥팅 헤드(220) 및 면도기 핸들(230)를 모두 관통하는 체결구(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구(50)는 고정 핀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커넥팅 헤드(220) 및 면도기 핸들(230) 간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샤프트 형태의 구조를 포괄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면도기 조립체(300)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커넥팅 헤드(220)와 면도기 핸들(230)은 기본적으로 체결구(50)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면도기 핸들(230)은 커넥팅 헤드(220)의 피봇 부재(225)를 수용하기 위해 제1 수용 부재(230a) 및 제2 수용 부재(23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헤드(220)의 몸체가 제1 및 제2 수용 부재(230a, 230b) 사이의 수용 공간(231)에 안착된 후, 체결구(50a, 50b)는 상기 제2축(ax2)을 따라, 피봇 부재(225)의 관통 홀(223)과 제1 및 제2 수용 부재(230a, 230b)의 관통 홀(233a, 233b)에 삽입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60)의 양단부(61, 62)는 커넥팅 헤드(220) 및 면도기 핸들(230)에 각각 계지(繫止)되어, 커넥팅 헤드(220)가 제2축(ax2)을 기준으로 면도기 핸들(230)에 대해 회동할 때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커넥팅 헤드(220)가 제2축(ax2)을 기준으로 면도기 핸들(230)에 대해 회동할 때 상기 코일 스프링(60)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선형 변형됨으로써 상기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커넥팅 헤드(220)의 피봇 부재(225)의 단부(면도기 핸들(230) 쪽 단부)에는 커넥팅 헤드(20)의 정확한 회동 운동 및 커넥팅 헤드(220)와 면도기 핸들(230) 간의 견고한 조립을 위해, 가이드 블록(2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224)에는 코일 스프링(60)의 일단(61)이 계지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고정단(227)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단(227)은 코일 스프링(60)의 일단(61)이 계지된 후에는 별도의 커버(226)에 의해 덮어질 수 있다.
또한, 면도기 핸들(230)의 수용 공간(231)의 내측에도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38)이 형성되고, 수용홈(238) 내에는 코일 스프링(60)의 타단(62)이 계지되도록 하기 위한 제2 고정단(237)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고정단(227, 237)은 원통형이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단(227, 237)에 계지되는 코일 스프링(60)의 양단부(61, 62)는 원형 고리형일 수 있다. 따라서 커넥팅 헤드(220)가 면도기 핸들(230)에 대해 회동할 때, 코일 스프링(60)의 양단부(61, 62)와 고정단(227, 237)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2는 도 10의 면도기 조립체(300)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0) 및 제2 수용 부재(230a)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커넥팅 헤드(220)와 면도기 핸들(230)이 조립된 중립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60)의 양단은 각각 제1 고정단(227) 및 제2 고정단(237)에 각각 계지되고, 코일 스프링(60)은 면도기 핸들(230)의 종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커넥팅 헤드(220)가 상기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도 코일 스프링(60)는 프리 텐션(pre-tension) 상태, 즉 초기값만큼 신장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도 12의 면도기 조립체(300)가 회동 위치에 있을 때 정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상기 회동 위치에서, 상기 커넥팅 헤드(220)가 상기 회전축(ax2)을 기준으로 한정된 회동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해, 상기 커넥팅 헤드(220)가 특정 각도 이상 회동할 때 상기 커넥팅 헤드(220)의 일측과 접촉하는 스토퍼 면(239a, 239b)가 면도기 핸들(230)의 수용홈(238) 내에 구비되어 있다. 도 13에서 스토퍼 면(239a, 239b)은 회동 위치에서 가이드 블록(224)의 양측면이 접촉하는 수용홈(238) 내의 두 내측면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커넥팅 헤드(22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규제하는 다른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면도기 핸들(230)의 수용홈(238)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접촉 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헤드(220)가 면도기 핸들(230)에 대해 회동할 때, 상기 접촉 돌기(231)는 가이드 블록(224)과 접촉함으로써, 가이드 블록(224)이 수용홈(238)의 내면에서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해 준다.
도 14는 중립 위치 및 회동 위치에서 제2축(ax2), 제1 고정단(227) 및 제2 고정단(237)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중립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ax2)과, 상기 제1 고정단(227)과, 상기 제2 고정단(237)은 면도기 핸들(230)의 종방향(d2)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ax2)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단(237)보다 블레이드 하우징(10)에 가깝게 위치한다. 이 때, 코일 스프링(60)의 변형전 길이는 L1이다.
회동 위치에서, 제1 고정단(227)은 상기 회전축(ax2)으로부터의 거리(R)를 유지하면서 227'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60)는 L1에서 L2로 신장된다. 코일 스프링(60)의 신장된 변위(L2-L1)와 코일 스프링(60)의 탄성계수(k)는 커넥팅 헤드(220)의 복원력을 결정하는 인자이다. 결국 회동 위치에서 회전축(ax2)에 대해 제1 고정단(227)이 회동하는 각도(α)를 가정하면 이에 따라 설계 복원력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기하학적 관계에 의하여 다음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가 만족된다.
Figure 112017116025366-pat00001
Figure 112017116025366-pat00002
여기서, 수학식 2에서 L2를 구하기 위한 식으로 전개하면 다음의 수학식 3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7116025366-pat00003
수학식 3에 수학식 1을 적용하면 결국, L2는 α, R 및 L1의 함수로 계산된다. 이 때, 설계 복원력(F)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다. 여기서 k는 코일 스프링(60)의 탄성 계수이다.
Figure 112017116025366-pat00004
이와 같이 얻어진 수학식 3 및 4를 이용하면, 회동 각도(α), 커넥팅 헤드(220)의 회동 반경(R), 코일 스프링(40)의 중립 상태에서의 길이(L1), 및 코일의 탄성 계수(k)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복원력(F)을 설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6)

  1.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헤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횡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 헤드를 지지하는 면도기 핸들; 및
    상기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횡방향 및 상기 면도기 핸들이 연장되는 종방향 모두에 대해 수직이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중심축이 상기 회전축과 일치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면도기 핸들에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커넥팅 헤드에 형성된 2개의 측벽 및 상기 핸들의 수용 공간에 형성된 2개의 지지벽에 나란하게 접촉하여 지지되는, 면도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에 형성된 피봇 부재는 상기 면도기 핸들에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면도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 상기 토션 스프링, 및 상기 면도기 핸들의 수용 공간 근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상기 회전축의 위치에서 모두 관통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피봇 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면도기 조립체.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면도기 핸들에 대하여 회동할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단부 중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넥팅 헤드에 형성된 상기 측벽에 의해 상기 일단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위됨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이 탄성 변형되는, 면도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커넥팅 헤드의 일측에는
    상기 면도기 핸들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더와 정합되어, 상기 커넥팅 헤드의 회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블록이 형성되는, 면도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움직임이 상기 면도기 핸들에 형성된 스토퍼 면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상기 커넥팅 헤드의 회동 범위가 규제되는, 면도기 조립체.
  10.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헤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횡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 헤드를 지지하는 면도기 핸들; 및
    상기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면도기 핸들이 연장되는 종방향과 나란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중심축이 상기 회전축과 일치하고,
    상기 커넥팅 헤드와 상기 면도기 핸들이 조립되면서 상기 커넥팅 헤드와 상기 면도기 핸들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면도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피봇 부재와, 상기 면도기 핸들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면도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는 모두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 결합시에 상기 피봇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면도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피봇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배치되는, 면도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의 중공부는 상기 피봇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중심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는, 면도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는 각각, 상기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 형성된 2개의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피봇 부재의 2개의 슬롯과 상기 가이드 부재의 2개의 슬롯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렬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단부 각각은 상기 정렬된 슬롯들을 관통하여 지지되는, 면도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면도기 핸들에 대하여 회동할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단부 중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넥팅 헤드의 피봇 부재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상기 일단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위됨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이 탄성 변형되는, 면도기 조립체.
KR1020170155830A 2017-11-21 2017-11-21 면도기 조립체 KR101887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30A KR101887119B1 (ko) 2017-11-21 2017-11-21 면도기 조립체
US16/191,187 US10960561B2 (en) 2017-11-21 2018-11-14 Razor assembly with spring-biased connecting head
EP18207490.6A EP3486048B1 (en) 2017-11-21 2018-11-21 Raz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30A KR101887119B1 (ko) 2017-11-21 2017-11-21 면도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119B1 true KR101887119B1 (ko) 2018-08-09

Family

ID=6325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830A KR101887119B1 (ko) 2017-11-21 2017-11-21 면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60561B2 (ko)
EP (1) EP3486048B1 (ko)
KR (1) KR1018871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5071A1 (en) * 2019-03-29 2020-09-30 Bic Violex S.A. Coupling, fabrication thereof, and handle and razor comprising same
WO2022240015A1 (ko) * 2021-05-11 2022-11-17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KR102655433B1 (ko) 2021-05-11 2024-05-03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0072B2 (en) * 2010-08-11 2014-05-13 Thomas J. Bucco Razor with three-axis multi-position capability
US11148310B2 (en) * 2014-03-24 2021-10-19 Flexhandle, L.L.C. Razor with handle having articulable joint
EP3378613B1 (en) * 2015-11-20 2021-08-11 Dorco Co., Ltd. Razor handle assembly and razor comprising same
EP3378611B1 (en) * 2015-11-20 2021-04-14 Dorco Co., Ltd. Razor
US10652956B2 (en) 2016-06-22 2020-05-12 The Gillette Company Llc Personal consumer product with thermal control circuitry and methods thereof
EP3348364B1 (en) 2017-01-17 2020-04-15 BIC-Violex S.A. A handle for a shaver enabling rotational movement of a cartridge
MX2019008402A (es) * 2017-01-17 2019-09-16 Bic Violex Sa Conector adaptado para cartuchos de afeitado en humedo girable sobre dos ejes.
CN109807949B (zh) 2017-11-21 2021-05-25 株式会社多乐可 剃须刀组装体
EP3546156B1 (en) 2018-03-30 2021-03-10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JP2021517492A (ja) 2018-03-30 2021-07-26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The Gillette Company Llc 枢動部分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EP3774227A1 (en) 2018-03-30 2021-02-17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BR112020020132A2 (pt) * 2018-03-30 2021-01-05 The Gillette Company Llc Empunhadura de aparelho de barbear ou depilar com membros móveis
USD874061S1 (en) 2018-03-30 2020-01-28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cartridge
US20190368565A1 (en) * 2018-03-30 2019-12-05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mechanisms
EP3775633A1 (en) * 2018-03-30 2021-02-17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JP7090727B2 (ja) 2018-03-30 2022-06-24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枢動部分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CN111819044B (zh) 2018-03-30 2022-09-16 吉列有限责任公司 具有枢转部分的剃刀柄部
US11338460B2 (en) 2018-03-30 2022-05-24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mechanisms
WO2019190961A1 (en) 2018-03-30 2019-10-03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EP3774230A1 (en) 2018-03-30 2021-02-17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EP3774223A1 (en) 2018-03-30 2021-02-17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cartridge
US11607820B2 (en) 2018-03-30 2023-03-21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EP3647003B1 (en) * 2018-10-31 2022-03-09 Bic Violex S.A. Razor handle with suspension and pivot device
EP3666479B1 (en) * 2018-12-14 2024-01-24 BIC Violex Single Member S.A. Blade assembly attachment mechanism and modular razor assembly
US11020867B2 (en) * 2019-03-15 2021-06-01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KR102231866B1 (ko) * 2019-07-10 2021-03-25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JP2022043782A (ja) * 2020-09-04 2022-03-16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ハンドル屈曲剃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89A (ja) * 1990-05-18 1992-01-27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安全かみそり
JPH11300065A (ja) * 1998-04-22 1999-11-02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安全かみそり
EP0885697B1 (en) * 1997-06-16 2003-10-15 Warner-Lambert Company Razor providing pivoting and swivelling razor head support
US20130291391A1 (en) * 2012-05-01 2013-11-07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KR20170059091A (ko)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도루코 핸들 어셈블리, 카트리지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03182U1 (ko) 1989-03-15 1989-05-03 Wilkinson Sword Gmbh, 5650 Solingen, De
DE69233729T2 (de) 1991-11-27 2009-03-12 The Gillette Co., Boston Rasierapparate
GB9208098D0 (en) * 1992-04-13 1992-05-27 Gillette Co Razor with movable cartridge
US6212777B1 (en) 1993-09-29 2001-04-10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s
CN1114521C (zh) 1994-10-03 2003-07-16 吉莱特公司 剃刀组件
US6516518B1 (en) 1996-01-12 2003-02-11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unit
US6041926A (en) 1996-04-10 2000-03-28 The Gillette Company Dispensing razor blade cartridges used with a handle
US5956851A (en) 1996-04-10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including handle and replaceable cartridges
US5687485A (en) 1996-05-15 1997-11-18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US5956848A (en) 1997-02-27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US5953824A (en) * 1997-09-23 1999-09-21 Warner-Lambert Company Razors providing pivoting and swivelling razor head support
AT2988U1 (de) * 1998-07-24 1999-08-25 Payer Lux Elektroprod Trockenrasierapparat
JP3730802B2 (ja) 1999-04-21 2006-01-05 フェザー安全剃刀株式会社 かみそり
US6684513B1 (en) 2000-02-29 2004-02-03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technology
DE602004009541T2 (de) 2003-02-25 2008-07-24 Eveready Battery Co., Inc., Westlake Rasiergerät
KR101224353B1 (ko) 2003-12-02 2013-01-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절단 부재를 구비한 피봇가능한 면도 헤드를 갖는 면도 디바이스
BRPI0914275A2 (pt) * 2008-06-19 2015-11-03 Gillette Co aparelho de segurança para barbear ou depilar que tem unidade de lâmina pivotável
CA2763243C (en) * 2009-05-28 2016-10-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voting arrangement
US8745882B2 (en) * 2010-09-29 2014-06-10 The Gillette Company Flexible and separable portion of a razor handle
US9701033B2 (en) * 2013-03-15 2017-07-11 Prime 9 Shave, Inc. Multi-headed safety razor
US20170282392A1 (en) 2014-03-24 2017-10-05 Flexhandle, L.L..C. Razor with handle having articulable joint
US10004535B2 (en) * 2016-01-27 2018-06-26 Telebrands Corp. Abrasive skin treatment device
CN109807949B (zh) * 2017-11-21 2021-05-25 株式会社多乐可 剃须刀组装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89A (ja) * 1990-05-18 1992-01-27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安全かみそり
EP0885697B1 (en) * 1997-06-16 2003-10-15 Warner-Lambert Company Razor providing pivoting and swivelling razor head support
JPH11300065A (ja) * 1998-04-22 1999-11-02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安全かみそり
US20130291391A1 (en) * 2012-05-01 2013-11-07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US8938885B2 (en) * 2012-05-01 2015-01-27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KR20170059091A (ko)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도루코 핸들 어셈블리, 카트리지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5071A1 (en) * 2019-03-29 2020-09-30 Bic Violex S.A. Coupling, fabrication thereof, and handle and razor comprising same
WO2020200933A1 (en) * 2019-03-29 2020-10-08 Bic Violex S.A. Coupling, fabrication thereof, and handle and razor comprising same
CN113453855A (zh) * 2019-03-29 2021-09-28 比克维奥莱克斯公司 联接器、其制造和包含其的手柄和剃刀
CN113453855B (zh) * 2019-03-29 2023-09-29 比克维奥莱克斯公司 联接器、其制造和包含其的手柄和剃刀
WO2022240015A1 (ko) * 2021-05-11 2022-11-17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KR102655433B1 (ko) 2021-05-11 2024-05-03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6048A2 (en) 2019-05-22
EP3486048A3 (en) 2019-06-05
US10960561B2 (en) 2021-03-30
US20190152077A1 (en) 2019-05-23
EP3486048B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119B1 (ko) 면도기 조립체
KR101894213B1 (ko) 면도기 조립체
KR101876233B1 (ko) 면도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CN110430978B (zh) 用于固持可围绕两个轴线枢转的刀头的剃刮手柄系统
CN110248779B (zh) 适用于可围绕两个轴线枢转的湿式剃须刀头的连接器
US9731426B2 (en) Rotating type razor
JP4975042B2 (ja) シェービングカートリッジの回動軸
CN109996656B (zh) 剃须刀
JP5290407B2 (ja) 枢動可能な刃ユニットを有する安全かみそり
US20090288298A1 (en) Personal trimming system
EP1935585A1 (en) Electric shaver
JP5438816B2 (ja) シェービング器具
JP2013537845A (ja) 回転可能な部分を有するカミソリのハンドル
JP2007535379A (ja) 剃刀用傾斜型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使用した剃刀
JP7084915B2 (ja) かみそり及び回転部分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US6425184B1 (en) Wet shaving razor having a blade assembly moveabl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US11090825B2 (en) Shaving cartridge
KR102231866B1 (ko)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KR101892458B1 (ko) 면도기 조립체
RU2790382C1 (ru) Установочный узел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срезания волос
EP4338903A1 (en) Razor cartridge and razor assembly
EP4360830A1 (en) A mounting assembly
WO2024088799A1 (en) A mounting assembly
KR20230107533A (ko) 면도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