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533A -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533A
KR20230107533A KR1020230089235A KR20230089235A KR20230107533A KR 20230107533 A KR20230107533 A KR 20230107533A KR 1020230089235 A KR1020230089235 A KR 1020230089235A KR 20230089235 A KR20230089235 A KR 20230089235A KR 20230107533 A KR20230107533 A KR 2023010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er
coupling
razor assembly
raz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경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23008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533A/ko
Publication of KR2023010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8Mounting devices; Manufacture of razors or cartridges
    • B26B21/4075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Abstract

면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블레이드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된 커넥터로서, 제1면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와 종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로서, 제1면과 대면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되, 커넥터 및 홀더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되고, 커넥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홀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1면은 제2면을 따라 제2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본 개시는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습식 면도기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와 면도기 핸들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중립위치(rest position)와 그 중립위치에서 벗어난 회전위치(pivoting position) 사이에서 면도기 핸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pivoting motion)은, 기본적으로,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은, 면도 블레이드가 사용자의 피부와 원활하게 접촉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한편,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회전 커넥터 방식을 사용하였다. 회전 커넥터 방식에서, 커넥터는 면도기 핸들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면도기 카트리지에 대해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미국특허공보 9193077호(이하, '특허문헌 1')는 이러한 카트리지에 회전 커넥팅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의 면도기 조립체는, 카트리지, 카트리지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 부재(connecting member), 및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하며, 연결 부재는 핸들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회전 커넥팅 방식은, 회전축의 위치가 최전방 면도 블레이드의 위치에 인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보다 개선된 회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회전 커넥팅 방식은, 면도기 카트리지와 면도기 카트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커넥터가 하나의 유닛(이하, '카트리지 유닛')을 이루고 있으므로, 카트리지 유닛(cartridge unit)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카트리지 유닛은, 디스펜서(dispenser) 등의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면도기 핸들과 별개로 판매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유닛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카트리지 유닛의 파손 위험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고정 커넥터 방식을 사용하였다. 고정 커넥터 방식에서, 커넥터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면도기 핸들에 대해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특허공보 10-0903191호(이하, '특허문헌 2')는 이러한 고정 커넥터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고정 커넥터 방식의 경우, 커넥터가 면도기 카트리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 커넥터 방식과 비교하여, 카트리지 유닛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 커넥터 방식의 경우, 면도기 핸들 내부에 회전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면도기 핸들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면도기 핸들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커넥터 방식에서, 면도기 조립체는 커넥터와 연결되는 홀더(holder)를 포함한다. 홀더는 면도기 핸들 측에 배치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면도기 핸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홀더의 회전 구조는 면도기 조립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미국특허공보 9193077호 (2015.11.24 공개) 특허공보 10-0903191호 (2009.06.09 공개)
이에, 본 개시는 회전축의 위치를 최전방 면도 블레이드에 인접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카트리지 유닛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회전 구조(pivot structure)를 가지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회전 구조를 가지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블레이드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된 커넥터로서, 제1면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와 종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로서, 제1면과 대면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되, 커넥터 및 홀더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되고, 커넥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홀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1면은 제2면을 따라 제2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조립체는 개선된 회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카트리지 유닛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도기 조립체는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회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면도기 카트리지가 홀더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홀더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회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회동할 때의 복원력 제공부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홀더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10)는 면도가 카트리지(razor cartridge, 12), 커넥터(connector, 130), 및 홀더(holder, 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면도기 카트리지(12)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110) 및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는 체모의 절삭을 위한 커팅 에지(cutting edge, 112)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종방향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너비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종방향은 X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복수의 클립(clip, 125)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상면(top side, 121), 하면(bottom side, 123), 가드(guard, 122) 및 캡(cap, 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121)은 커팅 에지(112)가 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면일 수 있으며, 하면(123)은 상면(121)과 대면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면일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121)에서, 가드(122)는 면도 블레이드(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캡(124)은 면도 블레이드(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면도 블레이드(110)의 전방 및 후방은 면도기 카트리지(12)의 면도 방향(shaving direction)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가드(122)는, 면도시, 면도 블레이드(110)에 의한 체모의 절삭 이전에, 피부를 면도 방향으로 당겨줄(stretch)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모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 블레이드(110)는 체모를 보다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는, 커넥터(130)와 면도기 핸들(미도시) 사이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별도의 부재로서 제조된 이후에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123), 또는, 상면(121)과 하면(123) 사이의 일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일체로서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123), 또는, 일 측면 상에 사출(inject)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130)와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40)는 커넥터(130)와 종방향과 평행한 회전축(rotational axis, R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홀더(140)의 위치는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미도시)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커넥터(130)의 위치가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대하여 고정되고 홀더(140)의 위치가 면도기 핸들(미도시)에 대하여 고정됨에도 불구하고, 커넥터(130)가 홀더(140)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전(pivot) 기능을 구현하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면도기 카트리지(12) 및 커넥터(130)로 구성된 카트리지 유닛(cartridge unit)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면도기 조립체(10)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홀더(140)는 면도기 핸들(미도시)과 별개의 구성일 수 있으나,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면도기 조립체(10)는 추가적으로 복원력 제공부(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 150) 및 이탈부(ejecting unit, 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150)는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회전(pivot)된 커넥터(130)를 중립위치(rest position)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recover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탈부(160)는 커넥터(130)를 홀더(14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홀더(14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130)는 커넥터 바디(connector body, 132) 및 제1결합부(first connecting portion, 1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홀더(140)는 홀더 바디(holder body, 142) 및 제2결합부(second connecting portion, 14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바디(132)는 커넥터(13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홀더(1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S)을 정의할 수 있다.
제1결합부(134)는 커넥터 바디(13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134)는 수용공간(S)에 수용된 홀더(14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제2결합부(144)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134)는 외팔보(cantilever, 1342) 및 제1면(first surface, 1344)을 포함할 수 있다.
외팔보(1342)는 커넥터(130)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팔보(1342)는, 종방향과 수직하고 커넥터(13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CA, central axis)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팔보(1342)는, 커넥터(130)의 일측, 예컨대, 커넥터 바디(132)의 일측으로부터 장착 방향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면(1344)은 제1결합부(134)의 일측, 예컨대, 외팔보(1342)의 자유단(free end)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방향(mounting direction)의 전방은 홀더(140)가 커넥터(130)의 수용공간(S)에 장착될 때의 홀더(140)의 이동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후술될 장착 방향의 후방은 홀더(140)가 커넥터(130)의 수용공간(S)으로부터 이탈될 때의 홀더(140)의 이동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장착 방향 전방은 양의 Z축 방향이며, 장착 방향 후방은 음의 Z축의 방향이다.
제2결합부(144)는 홀더 바디(14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부(144)는 홀더 바디(142)의 일측으로부터 장착 방향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결합부(144)는 커넥터(130)의 수용공간(S)에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S)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134)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할 수 있다.
제2결합부(144)는 외팔보(1342)의 일단과 후크 결합(hook coupling)하도록 구성된 돌기(protrusion, 144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442)는 홀더 바디(142)로부터 이격된 제2결합부(144)의 일단으로부터 종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
커넥터(130) 및 홀더(140)는 제1결합부(134) 및 제2결합부(144)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결합부(144)는 제1결합부(134)에 후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결합부(144)의 돌기(1442)는 제1결합부(134)의 외팔보(1342)의 일단과 후크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결합부(144)는 제1결합부(134)와 스냅 결합(snap-fit) 등의 방식을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커넥터(130) 상에는 하나 이상의 제1결합부(13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1결합부(1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제1결합부(13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결합부(144)는 제1결합부(13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에 한 쌍의 제1결합부(134)가 구비될 경우, 홀더(140)에도 한 쌍의 제2결합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제2결합부(144)는 각 제1결합부(13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1442)는 제2면(second surface, 1444) 및 제3면(third surface, 14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면(1444)은 홀더 바디(142)와 인접한 돌기(144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면(1444)은, 홀더(140)가 커넥터(1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134)의 제1면(1344)과 대면할 수 있다.
커넥터(130)가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홀더(140)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1면(1344)은 제2면(1444)을 따라 제2면(1444)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면(1344)은 오목한 곡면(concave surface)을 가질 수 있으며, 제2면(1444)은 제1면(1344)의 오목한 곡면에 대응되는 볼록한 곡면(convex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면(1444)은 제1면(1344)에 견고히 안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커넥터(130)는 홀더(140)에 대하여 보다 부드럽게 회전(pivot)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3면(1446)은 홀더 바디(142)와 이격된 돌기(1442)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면(1446)은 홀더(140)가 커넥터(130)와 연결되는 동안 외팔보(1342)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팔보(1342)가 제3면(1446)에 의해 가압될 때, 외팔보(1342)는 커넥터(1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6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원력 제공부(150)는 플런저(plunger, 152) 및 탄성부재(elastic member, 1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런저(152)는 플런저 바디(plunger body, 1522) 및 캠면(cam surface, 1524)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바디(1522)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 바디(142)에 형성된 관통 홀(through hole, 146)을 관통할 수 있다. 플런저 바디(1522)는 관통 홀(146)을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관통 홀(146)은 한 쌍의 제2결합부(14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원력 제공부(150), 예컨대, 플런저 바디(1522)의 적어도 일부는 한 쌍의 제2결합부(1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원력 제공부(150)는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단순한 구조를 통해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캠면(1524)은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인접한 플런저 바디(152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캠면(1524)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부 영역 또는 커넥터(130)의 일부 영역과 캠 작용(cam action)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54)는 플런저(152)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54)로부터 발생된 탄성력은 면도기 카트리지(12)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인접한 탄성부재(154)의 일측은 플런저(152), 예컨대, 플런저 바디(152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이격된 탄성부재(154)의 타측은 이탈부(160), 예컨대, 이탈부 바디(16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154)의 타측은 이탈부(160) 이외의 부재, 예컨대, 면도기 핸들(미도시)의 일부 영역에 연결될 수도 있다.
플런저(152)는 추가적으로 스토퍼(stopper, 152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26)는 플런저 바디(1522)의 일측으로부터 플런저 바디(1522)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526)는 홀더 바디(142)의 장착 방향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이격된 홀더 바디(142)의 일면과 대면할 수 있다.
플런저 바디(1522)가 장착 방향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스토퍼(1526)는 홀더 바디(142)의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런저 바디(1522)의 장착 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이탈부(160)는 이탈부 바디(ejecting unit body, 162) 및 아암(arm, 1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부 바디(162)는 홀더(140)의 장착 방향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아암(164)은 이탈부 바디(162)의 일측으로부터 장착 방향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홀더(140)의 적어도 일부는 한 쌍의 아암(1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결합부(144)의 일부 영역과 홀더 바디(142)는 한 쌍의 아암(1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탈부(160)는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암(164)은 돌기(1442)의 장착 방향 후방에 배치되며 장착 방향을 따라 돌기(144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아암(164)이 돌기(1442)를 향해 장착 방향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아암(164)은 제1결합부(134)의 외팔보(1342)를 커넥터(1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결합부(134) 및 제2결합부(144) 사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커넥터(130)는 홀더(1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9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130)는 제3결합부(third coupling portion, 136)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추가적으로 제4결합부(fourth coupling portion, 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부(136) 및 제4결합부(126) 중 하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결합부(136) 및 제4결합부(126) 중 다른 하나는 결합 돌기에 대응되는 결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돌기는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커넥터(130) 및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결합부(136) 및 제4결합부(126)는 후크 결합(hook coupling) 또는 스냅 결합(snap-fit)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의 후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제1결합부(134) 및 제2결합부(144)를 이용하여, 커넥터(130)와 홀더(140) 사이의 연결과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전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에서, 커넥터(130)와 홀더(140) 사이의 연결과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전축(RA)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면도기 카트리지(12)의 회전축(RA)은 면도 블레이드(110) 중 최전방 블레이드(110A)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커넥터(130)와 홀더(140) 사이의 연결 또한 최전방 블레이드(110A)의 전방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넥터(130)는 상대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전방 영역에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하면(123)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커넥터(13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세척 공간(rising space, R)이 넓어지므로, 세척수에 의한 면도 블레이드(110)의 세척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는, 커넥터(130)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10)와 중첩되도록 블레이드 하우징(12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130)와 블레이드 하우징(120) 사이의 결합은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넥터(130)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더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제2결합부(144)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 바디(132)의 상부 영역 중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홀더(140)의 제2결합부(144)가 커넥터(130)의 수용공간(S)에 삽입되는 동안, 돌기(1442)의 제3면(1446)과 제1결합부(134)의 외팔보(1342) 사이에는 캠 작용(cam act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면(1446)은, 이러한 캠 작용을 통해, 외팔보(1342)를 커넥터(1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제3면(1446)에 의해 가압된 외팔보(1342)는 커넥터(1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원활한 캠 작용을 위해, 홀더(140)가 커넥터(130)에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한 쌍의 제2결합부(144)의 가장 큰 종방향 간격은 제1결합부(134)의 가장 작은 종방향 간격보다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40)가 커넥터(130)에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한 쌍의 돌기(1442)의 자유단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한 쌍의 외팔보(1342)의 자유단 사이의 종방향 간격보다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제2결합부(144)가 수용공간(S)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제3면(1446)과 외팔보(1342) 사이의 캠 작용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캠 작용 상태의 해제를 통해, 제3면(1446)은 더 이상 외팔보(1342)를 가압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외팔보(1342)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커넥터(130)의 중심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외팔보(1342)가 다시 커넥터(130)의 중심을 향해 편향될 경우, 제1결합부(134)의 제1면(1344)과 제2결합부(144)의 제2면(1444)은 서로 대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결합부(134)와 제2결합부(144)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면(1444)은 제1면(1344)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제1결합부(134) 및 제2결합부(144)는 더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홀더(140)의 제2결합부(144)를 커넥터(130)의 수용공간(S) 내에 삽입하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제1결합부(134)와 제2결합부(144)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면도기 카트리지(12)를 면도기 핸들(미도시)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회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6의 Ⅶ-Ⅶ' 방향으로 자른 면도기 조립체(10)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a)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중립위치로부터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면(1344)은 오목한 곡면(concave surface)을 가질 수 있으며, 제2면(1444)은 제1면(1344)의 오목한 곡면에 대응되는 볼록한 곡면(convex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의 원활한 회전(pivot)을 위해, 제1면(1344)의 곡면 및 제2면(1444)의 곡면은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arc)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면(1444)은 제1면(1344)보다 회전축(RA)에 더 근접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RA)은 제2결합부(144)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제2결합부(144) 중 전방 영역을 관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축(RA)은 면도 블레이드(110) 중 최전방 블레이드(110A)에 더 근접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기 조립체(10)는 보다 개선된 회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축(RA)은 제2결합부(144)의 중심 또는 제2결합부(144) 중 후방 영역을 관통하거나, 또는, 제2결합부(144)를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회전축(RA)이 제2결합부(144)를 관통하지 않는 경우, 회전축(RA)은 제2결합부(144)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제2결합부(144)와 인접한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영역을 관통할 수 있다.
커넥터(130)가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홀더(140)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 제1면(1344)은 제2면(1444)을 따라 제2면(1444)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커넥터(130)가 회전하는 동안 제1면(1344)과 제2면(1444) 사이의 접촉 면적을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1면(1344)은 제2면(1444)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넥터(130)의 회전 정도와 상관없이, 제1결합부(134)와 제2결합부(144)는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 및 커넥터(130) 중 적어도 하나는 커넥터(13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1정지면(P1) 및 제2정지면(P2)을 정의할 수 있다. 제2결합부(144), 예컨대, 돌기(1442)는 제1정지면(P1) 및 제2정지면(P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커넥터(130)의 회전 범위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를 참조하면, 돌기(1442)는 제1정지면(P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커넥터(130)는 도 7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돌기(1442)는 제2정지면(P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커넥터(130)는 도 7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30)는 면도기 카트리지(12)에 고정되어 있고 홀더(140)는 면도기 핸들(미도시)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넥터(130)가 홀더(14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 면도기 카트리지(12)는 면도기 핸들(미도시)에 대하여 회전(pivot)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2)가 회전할 때의 복원력 제공부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도 6의 Ⅷ-Ⅷ' 방향으로 자른 면도기 조립체(10)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a)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중립위치로부터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중립위치로부터 회전할 때, 캠면(1524)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부 영역 또는 커넥터(130)의 일부 영역과 캠 작용(cam action)할 수 있다.
이러한 캠 작용을 통해, 플런저(152)는 장착 방향 후방으로 가압되거나, 또는,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150)가 면도기 카트리지(1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인접한 탄성부재(154)의 일측은 플런저 바디(152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하우징(120)과 이격된 탄성부재(154)의 타측은 이탈부 바디(162) 또는 면도기 핸들(미도시)의 일부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54)의 타측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캠 작용에 의해 플런저(152)가 장착 방향 후방을 향해 이동할 때, 탄성부재(154)는 압축될 수 있다.
탄성부재(154)가 압축될 경우, 탄성부재(154)의 내부에는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54)의 탄성력은 플런저(152)의 캠면(1524)을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12)로 전달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2)로 전달된 탄성력은 회전된 면도기 카트리지(12)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54)로부터 발생된 탄성력은 면도기 카트리지(12)를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제2결합부(144)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커넥터(130)가 홀더(14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암(164)을 돌기(1442)를 향해 장착 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탈부(160)와 연결된 버튼(미도시)을 장착 방향 전방으로 미는(push) 동작을 통해 아암(164)을 장착 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플런저(152)의 위치는 고정되므로 플런저(152)와 연결된 탄성부재(154)의 일측의 위치도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54)의 타측이 이탈부 바디(162)와 함께 장착 방향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플런저(152)와 이탈부 바디(162)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154)는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아암(164)은 돌기(1442)의 장착 방향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아암(164)은, 장착 방향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외팔보(1342)를 커넥터(1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외팔보(1342)가 커넥터(1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1결합부(134)와 제2결합부(144) 사이의 결합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도 9(b) 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134)와 제2결합부(14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 직후 상태에서, 외팔보(1342)는 아암(164)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외팔보(1342)는 커넥터(1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충분히 벌어질 수 있다.
벌어진 한 쌍의 외팔보(1342) 사이의 공간은 한 쌍의 제2결합부(144)가 커넥터(130)로부터 이탈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팔보(1342)가 아암(164)에 의해 충분히 벌어진 상태에서, 면도기 카트리지(12)를 제2결합부(14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제2결합부(144)로부터 분리될 경우, 탄성 변형되었던 외팔보(1342)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커넥터(130)의 중심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한편, 이탈부 바디(162)는 탄성부재(154)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면도기 카트리지(12)가 제2결합부(144)로부터 분리될 경우, 이탈부(160)는, 탄성부재(154)에 의해, 다시 장착 방향 후방으로 원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는 복원력 제공부(150)의 복원력 발생과 이탈부(160)의 초기위치 복원이 탄성부재(154)라는 단일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복원력 제공부(150) 및 이탈부(160)는 탄성부재(154)를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복원력 제공부(150) 및 이탈부(160)의 구성은 보다 단순화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면도기 조립체 12: 면도기 카트리지
110: 면도 블레이드 112: 커팅 에지
120: 블레이드 하우징 130: 커넥터
132: 커넥터 바디 134: 제1결합부
140: 홀더 142: 홀더 바디
144: 제2결합부 150: 복원력 제공부
152: 플런저 154: 탄성부재
160: 이탈부 162: 이탈부 바디
164: 아암 1342: 외팔보
1344: 제1면 1442: 돌기
1444: 제2면 1446: 제3면
RA: 회전축

Claims (13)

  1.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connector)로서, 제1면(first surface)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first connecting portion)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상기 종방향과 평행한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holder)로서, 상기 제1면과 대면하는 제2면(second surface)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second connecting portion)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홀더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홀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제1면은 상기 제2면을 따라 상기 제2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중 최전방 블레이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보다 상기 회전축에 더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오목한 곡면을 가지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의 오목한 곡면(concave surface)에 대응되는 볼록한 곡면(convex surface)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곡면 및 상기 제2면의 곡면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arc)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의 중심을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일측으로부터 장착 방향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외팔보(cantilev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외팔보의 일단과 후크 결합하도록 구성된 돌기(protrusion)를 포함하되,
    상기 외팔보는 상기 외팔보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제1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홀더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동안 상기 외팔보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3면(third surface)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외팔보는 상기 제3면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이탈부(ejecting unit)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부는, 상기 돌기의 장착 방향 후방에 배치되며 장착 방향을 따라 상기 돌기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아암(arm)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가 상기 홀더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아암은 상기 돌기를 향해 장착 방향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외팔보를 상기 커넥터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기 커넥터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원력 제공부(recovering force providing unit)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한 쌍의 제2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원력 제공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한 쌍의 제2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이탈부(ejecting unit)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제2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와 캠 작용(cam action)하여 상기 복원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부재(elastic member)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인접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플런저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이격된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이탈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후크 결합(hook coupl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상기 커팅 에지가 향하는 상면(top surface) 및 상기 상면과 대면하는 하면(bottom surface)을 포함하되,
    상기 하면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3. 커팅 에지를 가지는 복수 개의 면도 블레이드;
    상기 복수 개의 면도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로서, 제1면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상기 종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로서, 상기 제1면과 대면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홀더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홀더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제1면은 상기 제2면을 따라 상기 제2면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상기 커팅 에지가 향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면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측에서 상기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홀더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KR1020230089235A 2020-08-31 2023-07-10 면도기 조립체 KR20230107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235A KR20230107533A (ko) 2020-08-31 2023-07-10 면도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886A KR102555477B1 (ko) 2020-08-31 2020-08-31 면도기 조립체
KR1020230089235A KR20230107533A (ko) 2020-08-31 2023-07-10 면도기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886A Division KR102555477B1 (ko) 2020-08-31 2020-08-31 면도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533A true KR20230107533A (ko) 2023-07-17

Family

ID=803536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886A KR102555477B1 (ko) 2020-08-31 2020-08-31 면도기 조립체
KR1020230089235A KR20230107533A (ko) 2020-08-31 2023-07-10 면도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886A KR102555477B1 (ko) 2020-08-31 2020-08-31 면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25063A1 (ko)
EP (1) EP4205922A1 (ko)
KR (2) KR102555477B1 (ko)
CN (1) CN115884856A (ko)
WO (1) WO202204573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91B1 (ko) 2007-05-31 2009-06-17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4151B2 (ja) * 1998-10-21 2009-05-13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剃刀における替刃カートリッジの支持構造
JP3859936B2 (ja) * 2000-06-01 2006-12-20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首振り式剃刀
US7200942B2 (en) * 2001-03-28 2007-04-1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Safety razor with pivot point shift from center to guard-bar under applied load
US7690122B2 (en) 2004-03-11 2010-04-06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 with button
US8033023B2 (en) * 2004-10-20 2011-10-11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s and cartridges
KR200472977Y1 (ko) * 2012-09-28 2014-06-09 (주) 에스문 면도기
KR200473990Y1 (ko) 2012-09-28 2014-08-13 (주) 에스문 면도기
US10543611B2 (en) * 2017-04-14 2020-01-28 Bic-Violex Sa Head converter
KR101876233B1 (ko) 2017-09-29 2018-07-10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91B1 (ko) 2007-05-31 2009-06-17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5922A1 (en) 2023-07-05
KR20220028639A (ko) 2022-03-08
WO2022045733A1 (ko) 2022-03-03
KR102555477B1 (ko) 2023-07-13
CN115884856A (zh) 2023-03-31
US20240025063A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6156B2 (en) Razor cartridge assembly
US8033023B2 (en) Shaving razors and cartridges
EP2459353B1 (en) Wet shaver
WO1993010947A1 (en) Razors
KR20100041856A (ko) 면도날 유닛 편향 부재를 구비한 면도기
RU2006130661A (ru) Бритвенная система
CN110520263B (zh) 剃刀手柄
US20230211516A1 (en) Cartridge connector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US11518055B2 (en) 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KR102555477B1 (ko) 면도기 조립체
EP4338903A1 (en) Razor cartridge and razor assembly
KR102655433B1 (ko) 면도기 조립체
US20240083055A1 (en) Razor assembly
KR102655435B1 (ko) 면도기 핸들
CN117295591A (zh) 剃须刀手柄
KR102230379B1 (ko) 면도기 조립체
KR102655436B1 (ko)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
KR20240064591A (ko) 면도기 핸들
KR20220155119A (ko)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
KR20240064590A (ko)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