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866B1 -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866B1
KR102231866B1 KR1020190083193A KR20190083193A KR102231866B1 KR 102231866 B1 KR102231866 B1 KR 102231866B1 KR 1020190083193 A KR1020190083193 A KR 1020190083193A KR 20190083193 A KR20190083193 A KR 20190083193A KR 102231866 B1 KR102231866 B1 KR 10223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urface
head
plunger
connecting head
neutr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199A (ko
Inventor
장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9008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866B1/ko
Priority to US16/921,786 priority patent/US11518055B2/en
Priority to EP23188140.0A priority patent/EP4252982A3/en
Priority to EP20184695.3A priority patent/EP3763496B1/en
Priority to ES20184695T priority patent/ES2959456T3/es
Publication of KR2021000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18Guar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25Cap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31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characterised by special geometric shaving parameters, e.g. blade span or exposure

Abstract

면도기 핸들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헤드 어댑터, 및 헤드 어댑터로부터 연장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핸들 본체; 면도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커넥팅 헤드로서, 일측에 헤드측 캠면을 포함하며 헤드 어댑터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헤드; 및 핸들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헤드측 캠면과 캠 작용하도록 구성된 플런저측 캠면을 포함하는 플런저로서, 캠 작용을 통해 커넥팅 헤드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플런저를 포함하되, 헤드측 캠면 및 플런저측 캠면의 접촉 면적은, 커넥팅 헤드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보다 커넥팅 헤드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습식 면도기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와 면도기 핸들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중립위치(rest position)와 그 중립위치에서 벗어난 회전위치(pivoting position) 사이에서 면도기 핸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pivoting motion)은, 기본적으로,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이하, '평행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평행축을 중심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은, 면도 블레이드가 사용자의 피부와 원활하게 접촉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한편, 최근에는, 평행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기능에 더하여, 평행축에 수직한 회전축(이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기능까지 제공하는 다축 회전 면도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다축 회전 면도기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두 개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면도 블레이드가, 사용자 피부의 프로파일을 따라, 사용자의 피부에 보다 원활하게 접촉하도록 해준다.
종래의 다축 회전 면도기인 일본특허공보 2-52694호(이하, 특허문헌 1)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기능(이하, '수직 회전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내부에 스프링을 가지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은, 플런저의 일단에 형성된 캠면과 면도기 카트리지에 형성된 캠면 사이의 캠 작용(cam action)을 이용하여, 수직 회전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중립위치에서, 플런저의 캠면과 면도기 카트리지의 캠면이 실질적으로 하나의 지점에서 점 접촉(point contact)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의 위치가 고정되지 못하고 덜렁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면도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다른 다축 회전 면도기인 일본특허공보 3,730,802호(이하, 특허문헌 2)는, 플런저가 오목한 형상의 캠면을 가지고, 면도기 카트리지가 플런저의 오목한 캠면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는 볼록한 형상의 캠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2는, 중립위치에서, 플런저의 캠면과 면도기 카트리지의 캠면이 대칭된 두 지점 상에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회전에 대해 회전 저항(rotational resistance)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도, 플런저의 캠면과 면도기 카트리지의 캠면이 두 개의 지점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2는,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각 접촉 지점에서, 서로 반대되는 회전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플런저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중 일부는 복원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2의 플런저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효과적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다축 회전 면도기에 적정한 수직 회전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공보 2-52694호(1990.2.22. 공개) 일본특허공보 3,730,802호(2005.10.14. 공개)
이에, 본 개시는, 중립위치에 있을 때에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회전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면도를 제공하고,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에는, 일 회전방향으로, 집중하여 모멘트를 작용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에 효과적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면도기 핸들 및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헤드 어댑터, 및 헤드 어댑터로부터 연장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핸들 본체; 면도기 카트리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커넥팅 헤드로서, 일측에 헤드측 캠면을 포함하며 헤드 어댑터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헤드; 및 핸들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헤드측 캠면과 캠 작용하도록 구성된 플런저측 캠면을 포함하는 플런저로서, 캠 작용을 통해 커넥팅 헤드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플런저를 포함하되, 헤드측 캠면 및 플런저측 캠면의 접촉 면적은, 커넥팅 헤드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보다 커넥팅 헤드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핸들 및 면도기 조립체는, 중립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캠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적정한 수직 회전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 및 헤드측 연결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에서 핸들 본체의 일부를 종방향으로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a)의 Ⅸ-Ⅸ'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a)의 Ⅹ-Ⅹ'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조립체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면도기 조립체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가 헤드 어댑터에 대해 회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가 헤드 어댑터에 대해 회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의 후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1)는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10) 및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20)를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210),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220), 및 클립(clip, 23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220)은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210)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일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복수의 클립(230)에 의해 지지(retain)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220)은 캡(cap, 222) 및 가드(guard, 224)를 포함할 수 있다.
캡(222)은 면도 블레이드(2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커팅 에지가 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상면(top surface)에 배치될 수 있다.
가드(224)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상면에서, 면도 블레이드(2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드(224)는, 면도시, 면도 블레이드(210)에 의한 체모의 절삭 이전에, 피부를 면도 방향으로 당겨줄(stretch)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모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 블레이드(210)는 체모를 보다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클립(230)은 면도 블레이드(210)를 블레이드 하우징(220)에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면도 블레이드(210)가 블레이드 하우징(2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면도기 핸들(10)은 커넥팅 헤드(connecting head, 110) 및 핸들 본체(handle body,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헤드(110)는 면도기 카트리지(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커넥팅 헤드(110)에, 횡방향(d1)과 평행한 피봇축(pivot axis, ax1)을 중심으로 회전(pivot)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110)는 일측에 헤드측 캠면(head side cam surface, 1142)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측 캠면(1142)은 플런저(plunger, 140)의 플런저측 캠면(plunger side cam surface, 1461)과 캠 작용(cam action)함으로써 복원력(recovery force)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핸들 본체(120)는 헤드 어댑터(head adapter, 122) 및 그립부(grip portion,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헤드(110)는, 헤드 어댑터(122)에, 회전축(rotational axis, ax2)을 중심으로 회전(pivot)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립부(124)는 헤드 어댑터(122)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110)는,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헤드 어댑터(122)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팅 헤드(110)는 헤드 어댑터(122)에 형성된 수용공간(receiving space, 도 5의 E) 내에서, 헤드 어댑터(122)에 대해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ax2)은 횡방향(d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방향(d2)은 그립부(124)가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으며, 횡방향(d1)과 회전축(ax2) 모두에 수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그립부(124)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헤드 어댑터(122)로부터, 일정 각도 꺾인 상태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방향(d2)은 횡방향(d1)과는 수직하지만 회전축(ax2)과는 수직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 및 헤드측 연결부(head side connecting member, 112)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카트리지측 연결부(cartridge side connecting member, 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넥팅 헤드(110)는 헤드측 연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측 연결부(240)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하면(bottom surface)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헤드측 연결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트리지측 연결부(240)는, 헤드측 연결부(112)의 고정 돌기(locking protrusion, 1122)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공간(connecting space, F)을 가질 수 있다.
헤드측 연결부(112)는 고정 돌기(1122) 및 보스(boss, 112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돌기(1122)는, 카트리지측 연결부(240)에 형성된 결합공간(F)에 수용되어, 면도기 카트리지(20)와 상호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돌기(1222)는, 카트리지측 연결부(240)에, 후크 결합(hook coupling)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헤드(110)는 면도기 카트리지(20)와 결합될 수 있다.
보스(1124)는 커넥팅 헤드(110)의 헤드 본체(head body, 도5의 114)에 형성된 보스홀(boss hole, 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써, 피봇축(ax1)을 정의할 수 있다.
헤드측 연결부(112)에 연결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헤드측 연결부(112)와 함께, 피봇축(ax1)을 중심으로, 헤드 본체(114)에 대해 회전(pivot)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카트리지측 연결부(240)는 헤드측 연결부(112)에 상호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헤드측 연결부(112)는 헤드 본체(114)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측 연결부(240)가 헤드측 연결부(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헤드측 연결부(112)는 헤드 본체(114)에 상호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에서 핸들 본체(120)의 일부를 종방향(d2)으로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1)는 체결구(fastening member, 130) 및 플런저(plunger,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130)는, 커넥팅 헤드(110)가 헤드 어댑터(122)의 수용공간(E)에 수용된 상태에서, 헤드 어댑터(122)에 형성된 상측 관통홀(top through hole, 1222), 하측 관통홀(bottom through hole, 1224), 및 헤드 본체(114)에 형성된 회전 관통홀(rotation through hole, 1144)을 관통할 수 있다. 이로써, 체결구(130)는 회전축(ax2)을 정의할 수 있다.
커넥팅 헤드(110)는, 체결구(130)에 의해 정의된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헤드 어댑터(122)에 대해 회전(pivot)할 수 있다.
플런저(140)는, 핸들 본체(120)의 일측에서, 커넥팅 헤드(110)의 헤드측 캠면(1142)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플런저(140)는, 커넥팅 헤드(110)의 헤드측 캠면(1142)과 캠 작용(cam action)하도록 구성된 플런저측 캠면(plunger side cam surface, 146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측 캠면(1142)은, 헤드 본체(114) 상에서, 플런저(140)의 플런저측 캠면(1461)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140)는, 플런저측 캠면(1461) 및 헤드측 캠면(1142) 사이의 캠 작용을 통해, 커넥팅 헤드(110)를 중립위치(rest position)로 복원시키는 복원력(recover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팅 헤드(110)는,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pivot)했을 때, 플런저(140)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을 통해, 중립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140)의 정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플런저(140)의 각 구성요소가 모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플런저(140)의 각 구성요소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플런저(140)는 플런저 하우징(plunger housing, 142), 탄성부재(elastic member, 144), 및 캠 작용부재(cam action member, 14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하우징(142)은 하우징 본체(housing body, 1422), 작용부재 수용부(action member receiving portion, 1424), 걸림 돌기(fitting protrusion, 1426), 및 제1가이드 레일(first guiding rail, 148)을 포함할 수 있다.
작용부재 수용부(1424)는 하우징 본체(1422)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opening)일 수 있다.
탄성 부재(144) 및 캠 작용부재(146)는 작용부재 수용부(1424)를 통해, 하우징 본체(142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캠 작용부재(146)의 적어도 일부는, 작용부재 수용부(1424)를 통해, 하우징 본체(1422)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캠 작용부재(146)는 그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플런저측 캠면(1461)을 통해 커넥팅 헤드(110)의 헤드측 캠면(1142)과 캠 작용할 수 있다.
걸림 돌기(1426)는 핸들 본체(1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턱(fitting jaw, 도 11의 1226)과 스냅 결합(snap-fit) 내지 후크 결합(hook coupling)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 돌기(1426)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 돌기(1426)가 걸림 턱(1226)에 결합됨으로써, 플런저(140)는 핸들 본체(1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플런저(140) 및 핸들 본체(120)가 별개의 부재로서, 플런저(140)가 핸들 본체(120)의 일측에 조립 내지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런저 하우징(142)은 핸들 본체(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 레일(148)은 하우징 본체(1422)의 일면에 형성되며, 캠 작용부재(146)에 형성된 제1가이드 돌기(first guided protrusion, 149)를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탄성부재(144)는 탄성 물질(elastic material)로 이루어지며, 하우징 본체(14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44)는, 하우징 본체(1422)의 내부에서 작용부재 수용부(1424)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 돌기(extended protrusion, 도 9의 1429)에, 관통됨으로써, 하우징 본체(142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재(144)의 일단은 하우징 본체(1422)에 고정될 수 있고, 탄성부재(144)의 타단은 캠 작용부재(146)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44)는 탄성 변형됨으로써 캠 작용부재(146)를 제1방향(first direction)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캠 작용부재(146)에 형성된 플런저측 캠면(1461)은 헤드측 캠면(1142)과 캠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방향은, 탄성부재(144)가 탄성 변형을 통해 캠 작용부재(146)를 가압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1방향은 X축 방향이다.
탄성부재(144)가 탄성 변형되는 정도는 0.1mm 내지 3.0mm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캠 작용부재(146)는 플런저측 캠면(1461), 작용부재 본체(action member body, 1462), 제1돌기(first protrusion, 1463), 제2돌기(second protrusion, 1464), 및 제1가이드 돌기(149)를 포함할 수 있다.
작용부재 본체(1462)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본체(14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작용부재 본체(1462)의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본체(1422)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작용부재 본체(1462)는, 하우징 본체(1422) 내부에서, 제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용부재 본체(146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44)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44)의 타단은, 그 내부공간 내에서, 작용부재 본체(1462)에 고정될 수 있다.
캠 작용부재(146)는, 탄성부재(144)에 의해 제1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헤드측 캠면(1142)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캠 작용부재(146)는 커넥팅 헤드(11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돌기(1463) 및 제2돌기(1464)는 작용부재 본체(146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돌기(1463)의 일단에는 제1캠면(first cam surface, 146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돌기(1464)의 일단에는 제2캠면(second cam surface. 1461B)이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측 캠면(1461)은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헤드측 캠면(1142)은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 모두와 접촉할 수 있다.
반대로,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헤드측 캠면(1142)은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고, 다른 하나에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서는, 캠 작용부재(146)가 제1돌기(1463) 및 제2돌기(1464)를 포함하고, 각 돌기(1463, 1464)에 플런저측 캠면(1461A, 1461B)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캠 작용부재(146)는 제1돌기(1463) 및 제2돌기(146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측 캠면(1142)과 대면하는 캠 작용부재(146)의 양 모서리에, 각각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140)의 배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플런저(140)의 각 구성요소가 모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플런저(140)의 각 구성요소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플런저 하우징(142)은 제2가이드 레일(second guiding rail, 1428)을 포함할 수 있고, 캠 작용부재(146)는 제2가이드 돌기(second guided protrusion, 14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428)은 하우징 본체(1422)의 타면에 형성되며, 제2가이드 돌기(1466)를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1428)은, 하우징 본체(1422) 상에서, 제1가이드 레일(148)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도 7(a)의 Ⅸ-Ⅸ'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140)의 종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플런저(14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의 플런저(14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 레일(148) 및 제2가이드 레일(1428)은, 하우징 본체(1422) 상에서,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이드 돌기(148) 및 제2가이드 돌기(1466)는, 제1가이드 레일(148) 및 제2가이드 레일(1428)을 따라, 제1방향으로 가이드(guide)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돌기(149)는 플런저(140)의 전방을 향하는 일단에 가이드 스토퍼(guide stopper, 149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가이드 돌기(1466)는 플런저(140)의 전방을 향하는 일단에 상향 캠면(upward cam surface, 146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런저(140)의 전방은, 플런저(140)를 기준으로, 커넥팅 헤드(110)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9에서는, 플런저(140)의 전방은 양의 X축 방향이다.
상향 캠면(1468)은, 하우징 본체(1422) 상에서, 가이드 스토퍼(149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148) 및 제2가이드 레일(1428)은, 플런저(140)의 전방을 향하는 일단에, 제1턱(first jaw, 1421) 및 제2턱(second jaw, 142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스토퍼(1492)는, 제1턱(1421)과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탄성 부재(144)의 탄성 변형에 의한, 캠 작용부재(146)의 제1방향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상향 캠면(1468)은 플런저(140)의 하측에서 플런저(140)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향 캠면(1468)은 가이트 스토퍼(1492)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가이드 스토퍼(1492)가 제1턱(1421)에 접촉하기 이전에, 상향 캠면(1468)은 제2턱(1423)과 접촉할 수 있다.
상향 캠면(1468) 및 제2턱(1423)은 서로 접촉함으로써, 두 부재 사이에 캠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캠 작용부재(146)는, 상향 캠면(1468)의 경사에 의해, 플런저(140)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캠 작용부재(146)가 플런저(140)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플런저(140)의 하측으로 다소 치우쳐 이동하게 되더라도, 캠 작용부재(146)는, 중립위치에서, 상향 캠면(1468)에 의해 다시 일정한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탄성부재(144)는 이미 탄성 변형되어, 캠 작용부재(146)를 제1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일 수 있다.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은 헤드측 캠면(1142)에 모두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은, 탄성 변형된 탄성부재(144)에 의해, 헤드측 캠면(1142)을 각각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런저(140)는, 중립위치에서, 커넥팅 헤드(110)의 회전에 대해, 회전 저항(rotational resistance)을 발생시킬 수 있다.
회전 저항은, 커넥팅 헤드(110)에 회전 저항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만, 커넥팅 헤드(110)의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중립위치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탄성부재(144)는,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더 많이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140)는,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커넥팅 헤드(110)에 더 강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a)의 Ⅹ-Ⅹ'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140)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149, 1466)는,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second direction)으로 대면하는 가이드 레일(148, 1428)의 일면과 접촉함으로써,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캠 작용부재(146)가, 캠 작용에 의해, 제2방향을 따라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방향은, 제1방향 및 회전축(ax2)과 수직한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는, 제2방향은 Y축 방향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캠 작용부재(146)에 가이드 돌기(149, 1466)가 형성되고, 플런저 하우징(142)에 가이드 레일(148, 1428)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런저 하우징(14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캠 작용부재(146)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제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조립체(1)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은 헤드측 캠면(1142)에 모두 접촉할 수 있다.
중립위치에서, 탄성부재(144)는 이미 탄성 변형된 상태이므로,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은 헤드측 캠면(1142)을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헤드(110)에는 회전 저항(rotational resistance)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캠면(1461A)은, 커넥팅 헤드(110)에 대해,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의 모멘트(moment)를 발생시킬 수 있고, 반대로, 제2캠면(1461B)은, 커넥팅 헤드(110)에 대해,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의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캠면(1461A)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의 크기는 제2캠면(1461B)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팅 헤드(110)는, 중립위치에서, 회전이 저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회전 저항의 크기는, 커넥팅 헤드(110)와 플런저(14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거나 탄성부재(144)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실제 사용에 적합한 값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립위치에서, 탄성부재는 0.01mm 내지 1.0mm만큼 압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3mm 내지 0.7mm만큼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저항은0.01kgf 내지 0.12kgf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kgf 내지 0.08kgf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면도기 조립체(1)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 중 어느 하나는 헤드측 캠면(1142)에 접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헤드측 캠면(1142)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팅 헤드(110)가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캠면(1461B)은 헤드측 캠면(1142)과 접촉하고 제1캠면(1461A)은 헤드측 캠면(1142)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커넥팅 헤드(110)가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캠면(1461A)은 헤드측 캠면(1142)과 접촉하고 제2캠면(1461B)은 헤드측 캠면(1142)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 중 어느 하나는 헤드측 캠면(1142)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플런저(140)는 탄성부재(144)에 의한 복원력을 커넥팅 헤드(1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 중 어느 하나만 헤드측 캠면(1142)과 접촉함으로써, 플런저(140)는, 커넥팅 헤드(110)에 대해, 하나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모멘트(moment)를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캠면(1461B)은, 커넥팅 헤드(110)에, 시계방향의 모멘트를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캠면(1461A)은, 헤드측 캠면(1142)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커넥팅 헤드(110)에 아무런 모멘트를 작용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140)는, 커넥팅 헤드(110)에, 오직 일 회전방향으로만 집중적으로 모멘트를 작용함으로써, 커넥팅 헤드(110)에, 보다 효과적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탄성부재(144)는, 중립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더 많은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더 많이 벗어날수록, 탄성부재(144)는 더 많이 압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144)는 더 강하게 캠 작용부재(146)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더 많이 벗어날수록, 복원력의 크기는 더 커질 수 있다.
헤드측 캠면(1142) 및 플런저측 캠면(1461)의 접촉 면적은,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보다,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헤드측 캠면(1142) 및 플런저측 캠면(1461)은 두 개 이상의 지점에서 접촉할 수 있으며, 반대로,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헤드측 캠면(1142) 및 플런저측 캠면(1461)은 하나의 지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는,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헤드측 캠면(1142)과 플런저측 캠면(1461) 사이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지점의 수를 늘림으로써, 회전 저항을 적정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써, 면도시, 사용자에게 안정감 있는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저항은, 중립위치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20)가 면도기 핸들(10)에 대해 덜렁거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는,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헤드측 캠면(1142)과 플런저측 캠면(1461) 사이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지점의 수를 줄임으로써, 플런저(140)에 의한 복원력을 커넥팅 헤드(110)의 특정 지점에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면도시, 사용자에게 적정한 피봇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팅 헤드(1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플런저(140)에 의해 커넥팅 헤드(110)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방향을 일 회전방향으로 집중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헤드측 캠면(1142)은 커넥팅 헤드(110) 상에서 침강된(depress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측 캠면(1142)의 침강된 형상은, 볼록한 형상 또는 평평한 형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커넥팅 헤드(110)의 동일한 회전 정도에 대해, 플런저(140)의 탄성부재(144)를 더 많이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작은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를 가지는 탄성부재(144)를 이용하더라도, 커넥팅 헤드(110)에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헤드측 캠면(1142)은 볼록한 형상 내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헤드측 캠면(1142)은 적어도 두 개의 평면(pl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측 캠면(1142)이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 두 개의 평면은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측 캠면(1142)을 구성하는 두 개의 평면은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과 각각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은, 각 평면에 대응되는 곡면(curved surface)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커넥팅 헤드(110)의 회전 정도에 상관없이, 헤드측 캠면(1142)과, 실질적으로, 선 접촉(line contact) 내지 면접촉(surface contact)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140)는, 플런저측 캠면(1461)과 헤드측 캠면(1142) 사이에 점 접촉(point contact)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부드럽게 캠 작용할 수 있으며, 캠 작용시, 플런저측 캠면에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헤드측 캠면(1142)이 평면이고 플런저측 캠면(1461)이 곡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헤드측 캠면(1142)이 곡면이고 플런저측 캠면(1461)이 평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침강된 형상의 헤드측 캠면(1142) 상에서,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과 접촉하는 영역은 살짝 융기(raised)된 호(arc)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캠면(1461A) 및 제2캠면(1461B)은, 커넥팅 헤드(110)의 회전 정도에 상관없이, 헤드측 캠면(1142)과, 실질적으로, 선 접촉 내지 면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될 도 13에 도시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1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헤드측 캠면이 하나의 평면으로 구성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310)가 헤드 어댑터(322)에 대해 회전(pivot)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b)는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310)의 헤드측 캠면(3142)는 하나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1캠면(3461A) 및 제2캠면(3461B)은 헤드측 캠면(3142)에 모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측 캠면(3142) 상에서 제1캠면(3461A) 및 제2캠면(3461B)과 접촉하는 영역은,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중립위치에서, 탄성부재(344)는 이미 탄성 변형된 상태이므로, 제1캠면(3461A) 및 제2캠면(3461B)은 헤드측 캠면(3142)을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헤드(310)에는 회전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헤드측 캠면(3142)의 형상은, 오목한 형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커넥팅 헤드(310)의 동일한 회전 정도에 대해, 플런저(340)의 탄성부재(344)를 더 적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더 작은 탄성 변형에 대해 적정한 크기의 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더 큰 스프링 상수를 가지는 탄성부재(344)가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340)는, 중립위치에서, 더 강한 회전 저항을 커넥팅 헤드(3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제1캠면(3461A) 및 제2캠면(3461B) 중 어느 하나는 헤드측 캠면(3142)에 접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헤드측 캠면(3142)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제1캠면(3461A) 및 제2캠면(3461B) 중 어느 하나는 헤드측 캠면(3142)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플런저(340)는 탄성부재(344)에 의한 복원력을 커넥팅 헤드(310)에 제공할 수 있다.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탄성부재(344)는, 중립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더 많은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로부터 더 많이 벗어날수록, 탄성부재(344)는 더 많이 압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344)는 더 강하게 캠 작용부재(346)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로부터 더 많이 벗어날수록, 복원력의 크기는 더 커질 수 있다.
헤드측 캠면(3142) 및 플런저측 캠면(3461)의 접촉 면적은,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보다,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헤드측 캠면(3142) 및 플런저측 캠면(3461)은 두 개 이상의 지점에서 접촉할 수 있으며, 반대로, 커넥팅 헤드(3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헤드측 캠면(3142) 및 플런저측 캠면(3461)은 하나의 지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제1캠면(3461A) 및 제2캠면(3461B)은, 곡면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커넥팅 헤드(310)의 회전 정도에 상관없이, 헤드측 캠면(3142)과, 실질적으로, 선 접촉(line contact) 내지 면 접촉(surface contact)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될 도 14에 도시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1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캠 작용부재가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410)가 헤드 어댑터(422)에 대해 회전(pivot)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4(a)는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b)는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캠 작용부재(44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캠 작용부재(446)의 플런저측 캠면(4661)은 고른 면(even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측 캠면(4142)과 대면하는 캠 작용부재(446)의 양 모서리에, 각각 제1캠면(4461A) 및 제2캠면(4461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플런저측 캠면(4461)이 고른 면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캠 작용부재(446)의 형상이 단순해질 수 있다.
이로써, 보다 단순한 제조 공정을 통해서도, 플런저측 캠면(4461)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헤드측 캠면(4142)과 플런저측 캠면(4461)의 캠 작용시, 제1캠면(4461A) 및 제2캠면(4461B)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넓은 영역에,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캠 작용부재(44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1캠면(4461A) 및 제2캠면(4461B)은 헤드측 캠면(4142)에 모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측 캠면(4142) 상에서 제1캠면(4461A) 및 제2캠면(4461B)과 접촉하는 영역은,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중립위치에서, 탄성부재(444)는 이미 탄성 변형된 상태이므로, 제1캠면(4461A) 및 제2캠면(4461B)은 헤드측 캠면(4142)을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헤드(410)에는 회전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제1캠면(4461A) 및 제2캠면(4461B) 중 어느 하나는 헤드측 캠면(4142)에 접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헤드측 캠면(4142)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제1캠면(4461A) 및 제2캠면(4461B) 중 어느 하나는 헤드측 캠면(4142)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플런저(440)는 탄성부재(444)에 의한 복원력을 커넥팅 헤드(410)에 제공할 수 있다.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탄성부재(444)는, 중립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더 많은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로부터 더 많이 벗어날수록, 탄성부재(344)는 더 많이 압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444)는 더 강하게 캠 작용부재(346)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로부터 더 많이 벗어날수록, 복원력의 크기는 더 커질 수 있다.
헤드측 캠면(4142) 및 플런저측 캠면(4461)의 접촉 면적은,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보다,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헤드측 캠면(4142) 및 플런저측 캠면(4461)은 두 개 이상의 지점에서 접촉할 수 있으며, 반대로, 커넥팅 헤드(41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헤드측 캠면(4142) 및 플런저측 캠면(4461)은 하나의 지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헤드측 캠면(4142)은 적어도 두 개의 평면(pl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측 캠면(4142)이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 두 개의 평면은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측 캠면(4142)을 구성하는 두 개의 평면은 제1캠면(4461A) 및 제2캠면(4461B)과 각각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캠면(4461A) 및 제2캠면(4461B)은, 각 평면에 대응되는 곡면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커넥팅 헤드(410)의 회전 정도에 상관없이, 헤드측 캠면(4142)과, 실질적으로, 선 접촉(line contact) 내지 면 접촉(surface contact)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플런저가 면도기 핸들에 배치되고, 그 플런저가 커넥팅 헤드에 형성된 헤드측 캠면에 대해 캠 작용함으로써, 커넥팅 헤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런저는, 커넥팅 헤드에, 커넥팅 헤드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그 플런저와 캠 작용하는 캠 면은 면도기 핸들 상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면도기 핸들 20: 면도기 카트리지
110: 커넥팅 헤드 120: 핸들 본체
122: 헤드 어댑터 130: 체결구
140: 플런저 142: 플런저 하우징
144: 탄성부재 146: 캠 작용부
148: 제1가이드 레일 149: 제1가이드 돌기
1142: 헤드측 캠면 1428: 제2가이드 레일
1466: 제2가이드 돌기 1461: 플런저측 캠면
ax1: 피봇축 ax2: 회전축

Claims (14)

  1. 헤드 어댑터(head adapter), 및 상기 헤드 어댑터로부터 연장되는 그립부(grip portion)를 포함하는 핸들 본체(handle body);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커넥팅 헤드(connecting head)로서, 일측에 헤드측 캠면(head side cam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어댑터에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헤드; 및
    상기 핸들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헤드측 캠면과 캠 작용(cam action)하도록 구성된 플런저측 캠면(plunger side cam surface)을 포함하는 플런저(plunger)로서, 상기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커넥팅 헤드를 중립위치(rest position)로 복원시키는 복원력(recovering force)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탄성부재(elastic member) 및 일측에 상기 플런저측 캠면이 형성된 캠 작용부재(cam action member)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측 캠면 및 상기 플런저측 캠면의 접촉 면적은,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에 있을 때보다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더 작고,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캠 작용부재를 제1방향(first direction)으로 가압하고,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캠 작용부재를 상기 제1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측 캠면 및 상기 플런저측 캠면은 두 개 이상의 지점에서 접촉하고,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상기 헤드측 캠면 및 상기 플런저측 캠면은 하나의 지점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더 많이 벗어날수록, 상기 복원력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플런저 하우징(plunger housing)을 더 포함하되,
    상기 캠 작용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런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캠 작용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커넥팅 헤드에 상기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 작용부재는 상기 캠 작용부재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돌기(first protrusion) 및 제2돌기(second protrusion)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측 캠면은 상기 제1돌기의 일단에 형성된 제1캠면(first cam surface) 및 상기 제2돌기의 일단에 형성된 제2캠면(second cam surface)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측 캠면는 상기 제1캠면 및 상기 제2캠면과 접촉하고,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 상기 헤드측 캠면은 상기 제1캠면 및 상기 제2캠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캠면에 의해 상기 커넥팅 헤드에 발생되는 모멘트(moment)의 크기는, 상기 제2캠면에 의해 상기 커넥팅 헤드에 발생되는 모멘트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플런저 하우징 및 상기 캠 작용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guiding rail); 및
    상기 플런저 하우징 및 상기 캠 작용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guided protrusion)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second direction)으로 대면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된 길이는 0.0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측 캠면은 상기 커넥팅 헤드 상에서 침강된(depressed)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측 캠면은 적어도 두 개의 평면(plan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하우징은 상기 핸들 본체 내에서 후크 결합(hook coupl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하우징은 상기 핸들 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핸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면도기 핸들; 및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로서, 상기 커넥팅 헤드에 연결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는 상기 커넥팅 헤드에 상기 횡방향과 평행한 피봇축(pivot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KR1020190083193A 2019-07-10 2019-07-10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KR102231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193A KR102231866B1 (ko) 2019-07-10 2019-07-10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US16/921,786 US11518055B2 (en) 2019-07-10 2020-07-06 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EP23188140.0A EP4252982A3 (en) 2019-07-10 2020-07-08 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EP20184695.3A EP3763496B1 (en) 2019-07-10 2020-07-08 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using the same
ES20184695T ES2959456T3 (es) 2019-07-10 2020-07-08 Mango de maquinilla de afeitar y conjunto de maquinilla de afeitar que usa el mi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193A KR102231866B1 (ko) 2019-07-10 2019-07-10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99A KR20210007199A (ko) 2021-01-20
KR102231866B1 true KR102231866B1 (ko) 2021-03-25

Family

ID=7152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193A KR102231866B1 (ko) 2019-07-10 2019-07-10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18055B2 (ko)
EP (2) EP3763496B1 (ko)
KR (1) KR102231866B1 (ko)
ES (1) ES295945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8310B2 (en) * 2014-03-24 2021-10-19 Flexhandle, L.L.C. Razor with handle having articulable joint
KR102231866B1 (ko) * 2019-07-10 2021-03-25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73806A1 (en) 2015-12-16 2017-06-22 Tsung-Shih Lee Biaxial raz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259A (en) * 1906-02-05 1906-09-18 Charles F Bingler Safety-razor.
US4253236A (en) * 1979-06-19 1981-03-03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assembly
JPH0252694A (ja) 1988-08-12 1990-02-22 Feather Safety Razor Co Ltd 安全かみそり
JPH0422388A (ja) * 1990-05-18 1992-01-27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安全かみそり
ES2360262T3 (es) 1991-11-27 2011-06-02 The Gillette Company Máquinas de afeitar.
US6212777B1 (en) 1993-09-29 2001-04-10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s
MX9702402A (es) 1994-10-03 1997-06-28 Gillette Co Construccion de navaja de afeitar.
US6516518B1 (en) 1996-01-12 2003-02-11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unit
US5956851A (en) 1996-04-10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including handle and replaceable cartridges
US6041926A (en) 1996-04-10 2000-03-28 The Gillette Company Dispensing razor blade cartridges used with a handle
US5687485A (en) 1996-05-15 1997-11-18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US5956848A (en) 1997-02-27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JP3730802B2 (ja) 1999-04-21 2006-01-05 フェザー安全剃刀株式会社 かみそり
US6684513B1 (en) 2000-02-29 2004-02-03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technology
KR100352838B1 (ko) 2000-06-24 2002-09-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CA2728017A1 (en) * 2008-06-19 2009-12-23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 having pivotable blade unit
US8205344B2 (en) * 2008-08-20 2012-06-26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 having pivotable blade unit
US9073226B2 (en) 2011-02-09 2015-07-07 The Gillette Company Pivoting razor
WO2017086513A1 (ko) * 2015-11-20 2017-05-2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KR101894213B1 (ko) * 2017-11-21 2018-09-04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CN109807949B (zh) * 2017-11-21 2021-05-25 株式会社多乐可 剃须刀组装体
KR101887119B1 (ko) * 2017-11-21 2018-08-09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KR102231866B1 (ko) * 2019-07-10 2021-03-25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73806A1 (en) 2015-12-16 2017-06-22 Tsung-Shih Lee Biaxial raz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52982A2 (en) 2023-10-04
US20210008744A1 (en) 2021-01-14
ES2959456T3 (es) 2024-02-26
KR20210007199A (ko) 2021-01-20
EP3763496B1 (en) 2023-09-06
EP4252982A3 (en) 2023-11-22
US11518055B2 (en) 2022-12-06
EP3763496A1 (en)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0978B (zh) 用于固持可围绕两个轴线枢转的刀头的剃刮手柄系统
CN110248779B (zh) 适用于可围绕两个轴线枢转的湿式剃须刀头的连接器
EP3486048B1 (en) Razor assembly
EP1963059B1 (en) Pivot axis for a shaving cartridge
EP2026935B1 (en) Razor handle
US7200938B2 (en) Multiple blade razor cartridge
EP3481606B1 (en) Shaving component, shaving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200071259A (ko) 면도기 조립체
KR102231866B1 (ko)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EP3389958B1 (en) Shaving head
AU2017316584B2 (en) Razor and razor handle with rotational portion
US11090825B2 (en) Shaving cartridge
KR102555477B1 (ko) 면도기 조립체
KR20220153236A (ko) 면도기 카트리지 및 면도기 조립체
KR20220153230A (ko) 면도기 조립체
KR200232976Y1 (ko)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