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748Y1 - 면도기 - Google Patents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748Y1
KR200163748Y1 KR2019990013470U KR19990013470U KR200163748Y1 KR 200163748 Y1 KR200163748 Y1 KR 200163748Y1 KR 2019990013470 U KR2019990013470 U KR 2019990013470U KR 19990013470 U KR19990013470 U KR 19990013470U KR 200163748 Y1 KR200163748 Y1 KR 200163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zor
piece
spring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보식
Original Assignee
민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보식 filed Critical 민보식
Priority to KR2019990013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7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1)의 일측 단부에 제1지지대(2)가 형성되고 이 제1지지대(2) 상에서 유동되는 유동편(7)으로 이루어지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유동편에 조립되는 헤드받이(15)와, 그리고 상기 유동편(7)에 대하여 헤드받이(15)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탄성핀(11)으로 이루어지는 제2완충수단을 가지는 구성에 의해, 면도기 자체의 이동방향에 대한 마찰력과 면도날헤드(16)의 회동에 대한 마찰력을 모두 흡수, 완충시킴으로써 부드럽고 깨끗한 면도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구성부품을 대폭 줄여서 제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면도날헤드의 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한 제3완충수단이 더 구비됨으로써 안면에의 접촉이 더욱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RAZOR}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출원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17874호 및 제99-7042호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수동면도기의 면도날헤드에 다(多) 방향으로 더욱 효과적인 탄성을 부여하여 면도시 안면의 굴곡에 따라 적절히 유동되면서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된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도기는 수동면도기와 전기면도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전기면도기는 수염이 짧은 경우에만 적용되고, 말끔하게 깍여지지 못하는데다가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어서 수동면도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동면도기는 일반적으로 자루로 되는 손잡이와 헤드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헤드에 면도날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다시 일회용 면도기와 고급면도기로 구분될 수 있고, 일회용 면도기는 손잡이와 헤드가 일체로 고정되어 면도날에 탄력이 없어서 면도시에 피부가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고, 면도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급면도기는 손잡이와 헤드가 분리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면도시 헤드가 적절히 유동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러한 고급면도기는 일회용 면도기에 비하여 면도상태가 매끄럽고 비교적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바, 이는 면도기의 헤드와 손잡이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면도에 따른 안면과의 접촉시에 스프링에 의한 마찰력의 흡수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면도시에 면도날헤드가 피부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손으로 이동시킴에 따른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과, 자체적으로 회동되는 헤드의 회전방향에 따른 응력이 작용하게 되는 바, 종래의 일반적인 면도기는 이동방향에 대한 응력만을 완충시키는데 불과한 것이었고, 그에 따라 복잡한 구성과 가격에 비하여 기대만큼의 면도효과를 얻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상기의 선 출원들을 하였던 바, 이 선 출원은 면도시의 효과가 종래에 비하여 부드러운 면도가 가능한 효과를 달성한 바 있다.
본 고안은 면도날 헤드의 안면 접촉시 상호 면접촉이 탄력적으로 유지되고, 안면의 굴곡에 따라 다 방향으로 적절히 접촉될 수 있으며, 충분한 탄력에 의해 면도효과가 뛰어나면서 조립성을 향상시켜서 제작원가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된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면도날헤드로 대별되는 면도기에 있어서, 면도날헤드의 수평적인 이동방향에 대하여 마찰력을 완충 흡수하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면도날헤드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마찰력을 완충 흡수하는 제2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면도날헤드의 움직이는 각 방향에 대하여 모든 마찰력을 완충시킴으로써 부드러운 면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면도날헤드로 대별되는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으로는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스프링홈이 전방으로 개구되어 그 내측으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상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고 양측으로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홈에 끼워지며 윗면에 탄성핀이 스프링에 탄지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동편과; 공지의 면도날헤드가 탈착될 수 있도록 되고, 중앙 하단이 상기 유동편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조립되어 있으며, 뒷면 중간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핀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되어 있는 헤드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상에서 스프링에 의해 유동편이 탄력있게 유동되는 것이 본 고안의 제1완충수단이 되고, 상기 유동편의 스프링받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연결편이 헤드받이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흡수토록 된 것이 본 고안의 제2완충수단이 된다.
따라서, 면도시에는 상기 헤드받이에 면도날헤드를 끼우고 상기 손잡이를 잡고 면도를 하게 되며, 안면과의 접촉시 접촉 마찰에 따라 면도날헤드는 안면굴곡에 따라 밀리게 되는데, 면도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은 유동편의 탄력적인 유동에 의해 탄력적으로 흡수되고, 면도날헤드에 대략 수직이나 그와 유사한 각도로서의 회전방향으로 발생되는 응력은 상기 헤드받이가 유동편에 연결되는 연결중심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연결편의 탄력적인 지지에 의해 흡수되어 다방면에서의 마찰력을 흡수함으로써, 면도기의 이동시 안면과의 마찰에 따른 걸림현상을 없애고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품의 수와 부피를 줄이고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면도날헤드의 측 방향으로 유동성을 가지는 제3완충수단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제3완충수단은, 상기 제1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유동편의 윗면 선단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원주형으로 이루어진 회동편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회동편의 상단에서 상기 헤드받이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안면에 접촉되는 면도날헤드가 면도기의 진행방향으로의 완충과, 면도날헤드의 자체 회전방향으로의 완충과, 면도날헤드의 측 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른 완충이 가능하여 어떠한 방향에서도 부드러운 접촉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면도기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분리 사시도
도 3 - 상기 도 2에서의 제1지지대의 스프링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 상기 도 2에서의 제2지지대의 스프링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리 사시도
도 6 - 상기 도 5에서의 제1지지대의 스프링을 나타낸 단면도
도 7 - 상기 도 5에서의 제2지지대의 스프링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손잡이 2 ; 제1지지대
3 ; 안내홈 4 ; 스프링홈
5 ; 걸림턱 6 ; 스프링
7 ; 유동편 8 ; 날개부
9 ; 경사홈 10 ; 제2지지대
11 ; 탄성핀 12 ; 스프링
13 ; 안내편 14 ; 안내홈
15 ; 헤드받이 16 ; 면도날헤드
17,18 ; 힌지 19 ; 핀
20 ; 걸림홈 21 ; 커버
22 ; 홈 23 ; 회동편
26 ; 원주홈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면도날헤드의 수평적인 이동방향에 대하여 마찰력을 완충 흡수하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면도날헤드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마찰력을 완충 흡수하는 제2완충수단으로 대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면도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의 제1지지대의 스프링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2의 제2지지대의 스프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길게 형성된 자루 형태의 손잡이(1)가 구비되고, 이 손잡이(1)의 일측 단부에 제1지지대(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1지지대(2)는 면도시 면도날이 상기 손잡이(1)에 대하여 안면에 적합하게 접촉될 수 있는 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대(2)의 상면 중앙에는 안내홈(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으로는 상기 안내홈(3)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방향으로 스프링홈(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홈(4)의 내부 일단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걸림턱(5)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스프링(6)이 수납되어 걸림턱(5)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대(2)에는 유동편(7)이 조립되는데, 이 유동편(7)은 상기 제1지지대(2)의 안내홈(3)에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양측으로 날개부(8)가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대(2)의 스프링홈(4)에 삽입되어 스프링(6)에 탄지된다. 이상에서의 구성은 본 고안에서의 제1완충수단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유동편(7)의 상면에는 경사홈(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홈(9)에 제2지지대(10)가 끼워져서 고정되며, 제2지지대(10)에는 탄성핀(11)이 스프링(12)에 의해 탄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대(10)는 상기 유동편(7)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핀(11)과 스프링(12)이 유동편(7)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핀(11)은 제2지지대(10)와 마찬가지로 유동편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헤드받이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핀(11)의 측면에는 안내편(1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지지대(10)의 내측면에도 안내홈(14)이 형성되어 직선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동편(7)의 선단에는 헤드받이(15)가 조립되는데, 헤드받이(15)는 대략 판 형으로 되어서 공지의 면도날헤드(16)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으며, 헤드받이(15)의 저면 중앙의 선단에는 힌지(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힌지(17)와 결합되는 힌지(18)가 상기 유동편(7)의 선단에 형성되어 핀(1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힌지에 의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받이(13)의 뒷면이 상기 탄성핀(11)의 단부에 접촉 지지되며, 탄성핀(11)의 선단이 헤드받이(13)의 뒷면에서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헤드받이(13)의 뒷면 중앙에 걸림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편(7)에 대하여 경사지게 탄성핀이 설치되어 헤드받이(15)를 회동 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성이 본 고안의 제2완충수단이 된다.
상기 유동편(7)은 제1지지대(2)상에서 이동되는데, 이 유동편(7)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2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유동편(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그 형태를 달리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면도기에 의하여 면도를 할 때에는, 상기 헤드받이(15)에 면도날헤드(16)를 끼워서 일반적인 면도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면도를 하게 되는데, 이 때, 면도날헤드(16)는 손의 이동에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안면의 굴곡에 따라 회동되며, 손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은 유동편(7)이 스프링(10)에 저항하여 탄력있게 이동되는 것 즉, 제1완충수단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면도날헤드(14)의 회동에 따른 응력은 탄성핀(11)이 스프링(12)에 저항하여 유동되면서 헤드받이(15)를 지지하는 것 즉, 제2완충수단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핀(11)은 스프링(12)에 대하여 직선방향으로 유동되지만 헤드받이(15)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헤드받이(15)가 회동되는 것에 대하여 충분히 탄성을 제공하게 되며, 면도날헤드(16)의 각(角) 운동이 탄성핀(11)에서는 직선방향으로 전달되어 면도날헤드에 미치는 회전 마찰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제1완충수단과 제2완충수단의 2중 작용에 의해 면도날헤드는 충분한 탄력으로 유동되면서 진행됨으로써 안면에 상처를 내지 않고 부드럽고 깨끗한 면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제1지지대의 스프링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은 상기 도 5의 제2지지대의 스프링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구성을 대부분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 제3완충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여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의 제3완충수단은, 면도날헤드(16)가 측방(側方)으로의 유동이 가능토록 된 것으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유동편(7)의 상면 선단에 수직으로 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22)에는 하단이 원주형으로 되어 있는 회동편(23)이 삽입되어 핀(24)에 의해 측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핀(24)은 회동편(23)의 측면에 형성된 원주홈(26)에서 유동적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원주홈(26)에 의해 회동편(23)의 회동시 상기 핀(24)과의 저촉이 해소되고 원활한 회동편의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회동편(23)의 상단에는 힌지(25)가 형성되어 헤드받이(15)의 힌지(17)와 조립된다.
따라서, 헤드받이(15)는 상기 회동편(23)에 의해 측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헤드받이(15)는 탄성핀(11)에 의해 중심이 지지되므로 회동되어도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복귀된다.
이와 같이, 회동편(23)에 의해 측방으로의 회동이 가능토록 되는 구성이 본 고안에 따른 제3완충수단이 되며, 이 수단에 의해 면도날헤드가 안면과의 접촉시 측방으로의 유동이 가능하여 안면 굴곡에 더욱 밀착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손잡이(1)의 일측 단부에 제1지지대(2)가 형성되고 이 제1지지대(2) 상에서 유동되는 유동편(7)으로 이루어지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유동편에 조립되는 헤드받이(15)와, 그리고 상기 유동편(7)에 대하여 헤드받이(15)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탄성핀(11)으로 이루어지는 제2완충수단을 가지는 구성에 의해, 면도기 자체의 이동방향에 대한 마찰력과 면도날헤드(16)의 회동에 대한 마찰력을 모두 흡수, 완충시킴으로써 부드럽고 깨끗한 면도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구성부품을 대폭 줄여서 제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면도날헤드의 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한 제3완충수단이 더 구비됨으로써 안면에의 접촉이 더욱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면도날헤드(16)로 대별되는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 안내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으로는 내부에 걸림턱(5)이 형성된 스프링홈(4)이 전방으로 개구되어 그 내측으로 스프링(6)이 설치되어 있는 제1지지대(2)와;
    상기 제1지지대(3)상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고 양측으로 날개부(8)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홈(4)에 끼워지며 윗면에 탄성핀(11)이 스프링(12)에 탄지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동편(7)과;
    공지의 면도날헤드(16)가 탈착될 수 있도록 되고, 중앙 하단이 상기 유동편(7)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조립되어 있으며, 뒷면 중간에 걸림홈(20)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핀(11)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되어 있는 헤드받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편(7)의 윗면 선단에 홈(22)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원주형으로 이루어진 회동편(23)이 상기 홈(22)에 삽입되어 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회동편(23)의 상단에서 상기 헤드받이(15)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KR2019990013470U 1999-07-09 1999-07-09 면도기 KR200163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470U KR200163748Y1 (ko) 1999-07-09 1999-07-09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470U KR200163748Y1 (ko) 1999-07-09 1999-07-09 면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748Y1 true KR200163748Y1 (ko) 2000-02-15

Family

ID=1958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470U KR200163748Y1 (ko) 1999-07-09 1999-07-09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7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1025B1 (en) A connector adapted for wet shaving cartridges pivotable about two axes
JP5711753B2 (ja) ピボット機構を有する毛髪切り器具
KR102154856B1 (ko) 면도기 조립체
EP1600263B1 (en) Personal trimming system
EP1600264B1 (en) Personal trimming system
KR0158690B1 (ko) 피보트 안전면도기 조립체
US5526568A (en) Razor with switch for perpendicular and limited oblique angle shaving
KR101082303B1 (ko) 면도기
JP2007535379A (ja) 剃刀用傾斜型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使用した剃刀
CZ287681B6 (cs) Vyměnitelná břitová jednotka pro holicí strojek
JPH11502737A (ja) 二軸旋回シェービング装置
CA2293332C (en) Folding razor
AU649665B2 (en) Safety razors and blade units therefor
US6425184B1 (en) Wet shaving razor having a blade assembly moveabl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US20050262694A1 (en) Personal trimming system
US6430814B1 (en) Flexy razor using finger-assisted bending
EP1174228B1 (en) An electric shaver
KR200163748Y1 (ko) 면도기
KR200232975Y1 (ko) 면도기
KR200232976Y1 (ko) 면도기
JP2011005041A (ja) T型安全かみそり
US4693003A (en) Pivotable razor cartridge with circular cam
JPS6331692A (ja) 電気かみそり
CN218518707U (zh) 一种新型刮背刀
CN212312090U (zh) 剃须刀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