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994B1 -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994B1
KR102192994B1 KR1020190050374A KR20190050374A KR102192994B1 KR 102192994 B1 KR102192994 B1 KR 102192994B1 KR 1020190050374 A KR1020190050374 A KR 1020190050374A KR 20190050374 A KR20190050374 A KR 20190050374A KR 102192994 B1 KR102192994 B1 KR 10219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cam
housing
drive
blade
guid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573A (ko
Inventor
박영호
이재준
손성희
박신환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9005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994B1/ko
Priority to US16/848,726 priority patent/US11273564B2/en
Priority to EP20171960.6A priority patent/EP3733363B1/en
Publication of KR2020012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38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with provision for reciprocating the blade by means other tha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5Electric features; Charging; Comp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2Actuating members, e.g. switches or control knobs; Adjus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6Electric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18Guar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31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characterised by special geometric shaving parameters, e.g. blade span or exp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4Mean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razor for storing shaving-cream, styptic, or the like
    • B26B21/443Lubricating strips attached to the razor head

Abstract

면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하우징; 가이드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수신부로서, 가이드 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수신부; 가이드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하우징으로서,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가이드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면도기 핸들; 및 적어도 일부가 면도기 핸들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전달부로서, 구동 수신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되, 블레이드 하우징은, 구동 수신부가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하우징에 대하여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구동 수신부는, 구동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가이드 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본 개시는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면도 블레이드의 체모 절삭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면도기 카트리지를, 면도 방향으로, 선형 운동(linear motion)시키는 면도기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068271호(이하, 특허문헌 1)는, 편심캠(eccentric cam)을 이용하여 블레이드 하우징을, 면도 방향으로, 왕복 선형 운동시키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면도기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위치가 면도기 핸들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 피봇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774370호(이하, 특허문헌 2)는, 편심캠을 이용하여 블레이드 하우징을 왕복 선형 운동시킴과 동시에, 면도기 핸들에 대해, 피봇할 수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이하, LM 면도기)를 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LM 면도기(10)의 구동 수신부(12)는 면도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측벽(121) 및 하측벽(123)을 포함하고, 구동 전달부(13)는, 회전축(M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편심캠 본체(131), 및 회전축(MA)으로부터 이격되며 상측벽(121) 및 하측벽(123) 사이에 수용되는 편심캠 헤드(133)를 포함한다.
편심캠 본체(131)가 회전축(M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편심캠 헤드(133)는 구동 수신부(12)의 상측벽(121) 및 하측벽(123)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동 수신부(12)는 면도 방향으로 왕복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은 구동 수신부(12)와 상호간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결된 상태이므로, 블레이드 하우징(11) 또한, 면도 방향으로 왕복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하우징(11)의 왕복 선형 운동은, 블레이드 하우징(11)에 배치된 면도 블레이드(미도시)의 체모 절삭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LM 면도기(10)는, 면도기 카트리지(1)의 피봇된 정도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11)의 선형 운동의 정도가 상이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1)가 면도 평면(shaving plane, S)과 편심캠 본체(131)의 회전축(MA)이 수직하도록 피봇된 상태에서, 종래의 LM 면도기(10)의 블레이드 하우징(11)은 D1만큼의 이동범위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도 2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1)가 면도 평면(S)과 편심캠 본체(131)의 회전축(MA)이 예각(Φ)을 이루도록 피봇된 상태에서, 종래의 LM 면도기(10)의 블레이드 하우징(11)은 D1보다 작은 D2만큼의 이동범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LM 면도기(10)는, 면도기 카트리지(1)가 피봇된 정도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11)의 선형 운동의 정도가 상이해지고, 이에 따라, 면도 중, 면도 성능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LM 면도기(10)는, 면도기 카트리지(1)가 피봇할 때, 구동 수신부(12)의 측벽(121, 123)이 편심캠 헤드(133)의 이동에 간섭하여, 구동 수신부(12)의 측벽(121, 123)과 편심캠 헤드(133) 사이의 조립공차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LM 면도기(10)는, 편심캠 헤드(133)의 회전 운동이 블레이드 하우징(11)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될 때 운동량이 손실되거나, 블레이드 하우징(11)의 선형 운동 중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8271호 (2011.09.21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774370호 (2017.08.29 공개)
이에, 본 개시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피봇된 정도에 상관없이, 블레이드 하우징의 선형 운동의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개선된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구동 수신부와 편심캠 사이의 조립공차를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운동량 손실 및 소음 발생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하우징; 가이드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수신부로서, 가이드 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수신부; 가이드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하우징으로서,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가이드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면도기 핸들; 및 적어도 일부가 면도기 핸들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전달부로서, 구동 수신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되, 블레이드 하우징은, 구동 수신부가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하우징에 대하여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구동 수신부는, 구동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가이드 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 중, 블레이드 하우징의 선형 운동의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개선된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LM 면도기가 면도 평면과 편심캠 본체의 회전축이 수직하도록 피봇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LM 면도기가 면도 평면과 편심캠 본체의 회전축이 예각을 이루도록 피봇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가 동작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가 수직하게 피봇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가 제1각도로 피봇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신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신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가 동작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 및 구동 수신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30)는 가이드 하우징(guide housing, 310),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320), 구동 수신부(drive receiving member, 330), 구동 전달부(drive transmission member, 340), 및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35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310), 블레이드 하우징(320), 및 구동 수신부(330)는 전체로서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31)를 구성할 수 있다.
그 중 가이드 하우징(310)은 면도기 카트리지(31)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면도기 카트리지 상에서, 면도기 핸들(350)과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310)은 블레이드 하우징(320) 및 구동 수신부(33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하우징(310)의 일측에는 구동 수신부(330)가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하우징(310)의 타측에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310)은 가드 부재(guard member, 3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부재(314)는, 면도 블레이드(328)의 전방에 배치되어, 체모의 절삭 이전에, 사용자의 피부를 당겨줄(stretch) 수 있다.
가드 부재(314)는, 사용자의 피부를 당김으로써, 체모를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면도 블레이드(328)는 체모를 보다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가드 부재(314)는,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면도 평면(shaving plane, 도 11의 S)을 정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가드 부재(314)가 가이드 하우징(310)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드 부재(314)는 블레이드 하우징(32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면도기 카트리지(31) 상에서, 체모의 절삭이 이루어지는 영역일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커팅 에지(3282)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28)를 횡방향(a1)으로 수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328)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립(clip, 32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320) 상에는 클립(327)을 수용할 수 있는 클립 수용홈(clip receiving groove, 325)이 형성될 수 있다.
클립 수용홈(325)은 클립(327)에 의해 감싸지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둘레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콤 부(comb portion, 324) 및 윤활 스트립(lubricating strip, 329)을 포함할 수 있다.
콤 부(324)는 면도 블레이드(328)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횡방향(a1)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콤 부(324)는, 체모의 절삭 이전에, 체모를 복수의 돌기 사이의 공간으로 모아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면도 블레이드(328)에 의한 체모의 절삭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윤활 스트립(329)은, 체모의 절삭 이후에, 사용자 피부에 윤활 성분을 도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절삭에 의해 거칠어진 피부는 매끄럽게 정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콤 부(324)는 면도 블레이드(328)의 전방에 배치되고, 윤활 스트립(329)은 면도 블레이드(328)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콤 부(324) 및 윤활 스트립(329)은, 면도 블레이드(328)를 기준으로 반대 쪽에 배치되거나, 또는, 면도 블레이드(328)의 전방 및 후방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콤 부(324) 및 윤활 스트립(329)은 블레이드 하우징(32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콤 부(324) 및 윤활 스트립(329)은 가이드 하우징(310)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가이드 하우징(310) 및 블레이드 하우징(320)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 수신부(330)는 구동 전달부(34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블레이드 하우징(320)에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330)는 제1방향전환 레일(first direction switching rail, 3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제1가이드 부재(first guided member, 도 6의 3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부재(326)는 제1방향전환 레일(33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방향전환 레일(33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적어도 일부는 제1방향(first direction)과 평행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전환 레일(332)은,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사선(diagonal line)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가이드 부재(326)의 이동 경로는, 그에 대응되는, 사선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은,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한 구동 수신부(330)의 이동 방향을 지칭한다.
제1방향은, 블레이드 하우징(320)이 면도 블레이드(328)를 수용하는 횡방향(a1)과 평행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구동 전달부(340)는, 구동 수신부(330)가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 수신부(330)에 구동력(driving force)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구동 전달부(340)는 편심축 회전(eccentric shaft rot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면도기 핸들(350)은 가이드 하우징(31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헤드부(head portion, 352) 및 그립부(grip portion, 354)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352)는, 면도기 핸들(350) 상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헤드부(352)는 보스(boss, 35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스(3522)는 가이드 하우징(310)에 형성된 보스 홀(boss hole, 도 6의 319)에, 피봇 가능하도록, 끼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스(3522) 및 보스 홀(319)을 관통하며 제1방향과 평행한 피봇축(PA)이 형성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31)는, 면도기 핸들(350)에 대해, 피봇축(pivot axis, PA)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부(354)는 헤드부(352)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에게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면도기 핸들(350)의 내부에는, 구동 전달부(340)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motor, 미도시) 및 그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수신부(330)의 상측 돌기(upper protrusion, 331) 및 하측 돌기(lower protrusion, 333)는 가이드 하우징(310)의 일측에 형성된 상측 걸림부(upper jaw, 316) 및 하측 걸림부(lower jaw, 317)에 각각 걸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동 수신부(330)는 가이드 하우징(3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측 걸림부(316) 및 하측 걸림부(317)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측 돌기(331) 및 하측 돌기(333)는, 각 걸림부(316, 317)에 걸린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수신부(330)는, 가이드 하우징(310)과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330)의 멈춤 돌기(stopping protrusion, 334)는 가이드 하우징(3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18)에 수용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318)은 제1방향 양단에 형성된 스토퍼(stopper)를 가질 수 있다.
멈춤 돌기(334)는, 구동 수신부(330)가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레일(318)의 스토퍼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동 수신부(330)의 제1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측면 돌기(side protrusion, 322)는 가이드 하우징(310)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guide groove, 315)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가이드 하우징(31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홈(315)은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측면 돌기(322)는, 가이드 홈(315)에 수용된 상태에서, 가이드 홈(315)을 따라,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가이드 하우징(310)과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하여, 제2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방향은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횡방향(a1)과 수직한 방향, 즉, 면도 블레이드(328)의 면도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면도 블레이드(328)의 커팅 에지(3282)는,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면도 방향과 평행한 선형 운동(linear motion)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선형 운동은, 면도시, 커팅 에지(3282)의 절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선형 운동은, 체모 절삭시, 면도 블레이드(328)가 체모를 끌어당기는 터깅을 감소시킴으로써 체모의 절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깔끔한 면도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구동 수신부(330)는 제1측벽(first side wall, 335) 및 제2측벽(second side wall, 3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벽(335) 및 제2측벽(336)은 제1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달부(340)는 편심캠 본체(eccentric cam body, 342) 및 편심캠 헤드(eccentric cam head, 344)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캠 본체(342)는 회전축(rotation axis, M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344)는 중심축(central axis, CA)을 따라 편심캠 본체(342)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1측벽(335) 및 제2측벽(336)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중심축(CA)은 회전축(MA)과 이격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할 수도 있다.
편심캠 헤드(344)는, 편심캠 본체(342)가 회전축(M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측벽(335) 또는 제2측벽(336)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동 수신부(330)를 제1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344)에 의해 가압된 구동 수신부(330)는,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가 동작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10은,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을 기준으로, 편심캠 헤드(344)가 6시, 9시, 12시, 및 3시 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편심캠 본체(342)는, 면도기 카트리지(31)를 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회전축(M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면도기 카트리지(31)는, 면도 평면(S)과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이 수직하도록, 피봇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a) 내지 도 10(a)는, 블레이드 하우징(320) 및 구동 수신부(330)를 면도기 카트리지(31)의 후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b) 내지 도 10(b)는, 가이드 하우징(310) 및 블레이드 하우징(320)을 면도기 카트리지(31)의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편심캠 헤드(344)는,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을 기준으로, 6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344)는, 3시 방향으로부터 6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수신부(330)의 제1측벽(335)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측벽(335)을 가압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330)의 상측 돌기(331) 및 하측 돌기(333)는 가이드 하우징(310)의 상측 걸림부(316) 및 하측 걸림부(317)에 각각 걸림 고정되며, 구동 수신부(330)의 멈춤 돌기(334)는 가이드 레일(318)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한 구동 수신부(330)의 이동은 제1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편심캠 헤드(344)가 제1측벽(335)을 가압할 경우, 구동 수신부(330)는,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신부(330)는, 구동 수신부(33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최우측 지점(rightmost point)에서 중간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33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상측면(upper surface, 3322)은 제1가이드 부재(326)를 가압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측면 돌기(322)는 가이드 하우징(310)의 가이드 홈(315)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한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이동은 제2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상측면(3322)이 제1가이드 부재(326)를 가압할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제2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최상측 지점(uppermost point)에서 중간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편심캠 헤드(344)는,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을 기준으로, 9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344)는, 6시 방향으로부터 9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수신부(330)의 제1측벽(335)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측벽(335)을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한 구동 수신부(330)의 이동은 제1방향으로 제한되므로, 편심캠 헤드(344)가 제1측벽(335)을 가압할 경우, 구동 수신부(330)는,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신부(330)는, 구동 수신부(33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중간 지점(middle point)에서 최좌측 지점(leftmost point)까지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33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상측면(3322)은 제1가이드 부재(326)를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한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이동은 제2방향으로 제한되므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상측면(3322)이 제1가이드 부재(326)를 가압할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제2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중간 지점(middle point)에서 최하측 지점(lowermost point)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편심캠 헤드(344)는,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을 기준으로, 12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344)는, 9시 방향으로부터 12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수신부(330)의 제2측벽(336)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측벽(336)을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한 구동 수신부(330)의 이동은 제1방향으로 제한되므로, 편심캠 헤드(344)가 제2측벽(336)을 가압할 경우, 구동 수신부(330)는,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신부(330)는, 구동 수신부(33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최좌측 지점에서 중간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33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하측면(lower surface, 3324)은 제1가이드 부재(326)를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한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이동은 제2방향으로 제한되므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하측면(3324)이 제1가이드 부재(326)를 가압할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제2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최하측 지점에서 중간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편심캠 헤드(344)는,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을 기준으로, 3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344)는, 12시 방향으로부터 3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수신부(330)의 제2측벽(336)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측벽(336)을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한 구동 수신부(330)의 이동은 제1방향으로 제한되므로, 편심캠 헤드(344)가 제2측벽(336)을 가압할 경우, 구동 수신부(330)는,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신부(330)는, 구동 수신부(33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중간 지점에서 최우측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33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하측면(3324)은 제1가이드 부재(326)를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한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이동은 제2방향으로 제한되므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하측면(3324)이 제1가이드 부재(326)를 가압할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해, 제2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중간 지점에서 최상측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는, 사용자가 손으로 면도를 수행하는 속도에,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선형 운동에 의한 속도가 더해짐으로써, 체모의 절삭이 매우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체모 절삭시 면도 블레이드(328)가 체모를 끌어당기는 터깅을 감소시킴으로써 체모의 절단면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면도 블레이드(328)에 의한 체모 절삭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적어도 일부는 직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은, 제1방향에 대해 사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가이드 부재(326)의 이동 경로는, 그에 대응되는, 사선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직선 영역의 기울기는,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30도일 수 있다.
여기서, 직선 영역의 기울기는, 제1방향전환 레일(332)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서, 그 직선 영역의 연장선과 제1방향과 평행한 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제1방향전환 레일의 기울기를 변경함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의 선형 운동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구동 수신부(330)가 방향전환 레일을 포함하고, 블레이드 하우징(320)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하우징(320)가 방향전환 레일을 포함하고, 구동 수신부(330)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8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가 수직하게 피봇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수직하게 피봇된 상태의 면도기 카트리지(31)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movement profile)을, 면도 평면(S)에 수직한 방향으로, 면도 평면(S) 상에 투영(project)하였을 때의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31)는, 면도 평면(S)과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이 수직이 되도록, 피봇될 수 있다.
면도 평면(S)과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이 수직하므로,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에 따른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은, 면도 평면(S)과 평행한 평면(VP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면도 평면(S)에 투영된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은 투영되기 전의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과 동일할 수 있다.
면도 평면(S)에 투영된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은, 제1방향으로는 L1만큼의 직경을 가지고, 제2방향으로는 L2만큼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가 제1각도(first angle, θ1)로 피봇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a)는 제1각도(θ1)만큼 피봇된 상태의 면도기 카트리지(31)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b)는, 도 12(a)에서,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을, 면도 평면(S)에 수직한 방향으로, 면도 평면(S) 상에 투영(project)하였을 때의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면도 평면(S)과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은 제1각도(θ1)를 이룰 수 있다.
면도 평면(S)과 편심캠 본체(342)는 제1각도(θ1)를 이루므로,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에 따른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은, 면도 평면(S)과 제2각도(second angle, θ2)를 이루는 평면(VP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각도(θ2)는 90도에서 제1각도(θ1)를 뺀 값을 가진다.
이 경우, 면도 평면(S)에 투영된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은 타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영된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의 제2방향 직경(second direction diameter, M2)은, 투영되기 전의 것과 비교하여 감소할 수 있으며, 그 값은 투영되기 전의 제2방향 직경에 COS(θ2)를 곱한 값일 수 있다.
반대로, 투영된 제1방향 직경(first direction diameter, M1)은, 피봇축(PA)이 제1방향과 평행하므로, 투영되기 전의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서의 투영된 제1방향 직경(M1)은, 도 11에서의 투영된 제1방향 직경(L1)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 직경은, 편심캠 헤드(344)의 전체 이동 프로파일 중,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경을 지칭하며, 제2방향 직경은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경을 지칭한다.
구동 수신부(330)의 제1방향 이동은,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1측벽(335) 및 제2측벽(336)이 편심캠 헤드(34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수신부(330)의 제1방향 이동 범위는, 면도 평면(S)에 투영된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 프로파일의 제1방향 직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동 수신부(330) 및 구동 전달부(340)가 동일할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제2방향 이동 범위는, 구동 수신부(330)의 제1방향 이동 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투영된 제1방향 직경은 면도기 카트리지(31)의 피봇된 정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가지므로, 구동 수신부(330)의 제1방향 이동 범위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31)의 피봇된 정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제2방향 이동 범위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31)의 피봇된 정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면도기 카트리지(31)의 전체 피봇 구간 내에서, 동일한 정도로 왕복 선형 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개선된 면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는, 면도기 카트리지(31)가 피봇할 때, 구동 수신부(330)의 측벽(335, 336)이 편심캠 헤드(344)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구동 수신부(330)의 측벽(335, 336)과 편심캠 헤드(344) 사이의 조립공차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30)는,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선형 운동에 따른, 운동량 손실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13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의 구동 수신부는, 도 1 내지 도1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구동 수신부와 비교하여, 제1방향전환 레일의 기울기가 완만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신부(430)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신부(430)의 정면도 및 후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방향전환 레일(332)의 적어도 일부는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전환 레일(332)은, 제1방향에 대해 사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가이드 부재(326)의 이동 경로는, 그에 대응되는, 사선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제1방향전환 레일(332)이 사선의 형상을 가질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제2방향 이동 범위는, 제1방향전환 레일(332)이 이루는 사선의 기울기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전환 레일(332)이 이루는 사선의 기울기가 급해질수록,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제2방향 이동 범위는 커질 수 있다.
반대로, 제1방향전환 레일(332)이 이루는 사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질수록,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제2방향 이동 범위는 작아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신부(430)의 제1방향전환 레일(43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다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미도시)의 제2방향 이동 범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 작을 수 있다.
도 13에서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신부(430)의 제1방향전환 레일(432)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 작은 기울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신부(430)의 제1방향전환 레일(43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 큰 기울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미도시)의 제2방향 이동 범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 커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제1방향전환 레일의 기울기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의 제2방향 이동 범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블레이드 하우징의 선형 운동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3실시예의 구동 수신부는, 도 1 내지 도1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구동 수신부와 달리, 제1방향전환 레일이 기울기가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신부(530)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4(a) 및 도 14(b)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신부(530)의 정면도 및 후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방향전환 레일(532)은 두 개의 직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방향전환 레일(532)은 제1기울기(first slope)를 가지는 제1영역(first region, 5326) 및 제1기울기보다 큰 제2기울기(second slope)를 가지는 제2영역(second region, 53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5328)은, 제1방향전환 레일(532) 상에서, 제1영역(5326)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부재(526)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제1영역(5326)과 제2영역(5328) 사이의 경계 영역은, 라운드(round)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미도시)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5 내지 도 17은, 편심캠 본체(542)의 회전축(MA)을 기준으로, 편심캠 헤드(544)가 3시, 6시, 및 9시 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서, 편심캠 본체(542)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회전축(M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5 내지 도 17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는, 면도 평면(S)과 편심캠 본체(342)의 회전축(MA)이 수직하도록, 피봇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5(a) 내지 도 17(a)는, 블레이드 하우징(520) 및 구동 수신부(330)를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b) 내지 도 17(b)는, 가이드 하우징(510) 및 블레이드 하우징(520)을 면도기 카트리지의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편심캠 헤드(544)는, 편심캠 본체(542)의 회전축(MA)을 기준으로, 3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544)는, 12시 방향으로부터 3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수신부(530)의 제2측벽(536)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측벽(536)을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한 구동 수신부(530)의 이동은 제1방향으로 제한되므로, 편심캠 헤드(544)가 제2측벽(536)을 가압할 경우, 구동 수신부(530)는,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신부(530)는, 구동 수신부(53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중간 지점에서 최우측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53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방향전환 레일(532)의 하측면(5324)은 제1가이드 부재(526)를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한 블레이드 하우징(520)의 이동은 제2방향으로 제한되므로, 제1방향전환 레일(532)의 하측면(5324)이 제1가이드 부재(526)를 가압할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520)은,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해, 제2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520)은, 블레이드 하우징(52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중간 지점에서 최상측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편심캠 헤드(544)는, 편심캠 본체(542)의 회전축(MA)을 기준으로, 6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544)는, 3시 방향으로부터 6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수신부(530)의 제1측벽(535)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측벽(535)을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한 구동 수신부(530)의 이동은 제1방향으로 제한되므로, 편심캠 헤드(544)가 제1측벽(535)을 가압할 경우, 구동 수신부(530)는,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신부(530)는, 구동 수신부(53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최우측 지점에서 중간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부재(526)는, 3시 방향으로부터 6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1방향전환 레일(532) 상에서, 제1영역(5326)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53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영역(5326)의 상측면(5322)은 제1가이드 부재(526)를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한 블레이드 하우징(520)의 이동은 제2방향으로 제한되므로, 제1방향전환 레일(532)의 상측면(5322)이 제1가이드 부재(526)를 가압할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520)은,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해, 제2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520)은, 블레이드 하우징(52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최상측 지점에서 중간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520)은, 제1평균속도(first mean velocity, V1)로, 제1거리(first distance, G1)만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평균속도(V1)는, 제1거리(G1)를, 블레이드 하우징(520)이 최상측 지점에서 중간 지점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된 시간으로 나누어 준 값을 지칭한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편심캠 헤드(544)는, 편심캠 본체(542)의 회전축(MA)을 기준으로, 9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544)는, 6시 방향으로부터 9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수신부(530)의 제1측벽(535)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측벽(535)을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한 구동 수신부(530)의 이동은 제1방향으로 제한되므로, 편심캠 헤드(544)가 제1측벽(535)을 가압할 경우, 구동 수신부(530)는,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신부(530)는, 구동 수신부(53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중간 지점에서 최좌측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부재(526)는, 6시 방향으로부터 9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1방향전환 레일(532) 상에서, 제2영역(5328)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53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영역(5326)의 상측면(5322)은 제1가이드 부재(526)를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한 블레이드 하우징(520)의 이동은 제2방향으로 제한되므로, 제1방향전환 레일(532)의 상측면(5322)이 제1가이드 부재(526)를 가압할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520)은, 가이드 하우징(510)에 대해, 제2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520)은, 블레이드 하우징(52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중간 지점에서 최하측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520)은, 제2평균속도(second mean velocity, V2)로, 제2거리(second distance, G2)만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평균속도(V2)는, 제2거리(G2)를, 블레이드 하우징(520)이 중간 지점에서 최하측 지점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된 시간으로 나누어 준 값을 지칭한다.
블레이드 하우징(520)이, 제2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선형 운동을 할 때, 실질적으로, 면도 블레이드(미도시)의 체모 절삭에 도움을 주는 구간은, 블레이드 하우징(320)의 전체 이동 구간 내에서, 중간 지점에서 최하측 지점까지의 후반 구간일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520)의 이러한 구간의 이동은, 제1가이드 부재(526)가 제1방향전환 레일(532)의 제2영역(5328)을 지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영역(5326)의 제1방향 거리가 제2영역(5328)의 제1방향 거리와 동일할 경우, 제2영역(5328)의 제2기울기는 제1영역(5326)의 제1기울기보다 큰 값을 가지므로, 제2평균속도(V2) 및 제2거리(G2)는, 각각, 제1평균속도(V1) 및 제1거리(G1)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하우징(520)의 하측 이동의 후반 구간에서, 면도 블레이드(미도시)는, 전반 구간과 비교하여, 더 빠르고 더 길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체모의 절삭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될 도 18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4실시예는, 도 1 내지 도12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달리, 블레이드 하우징이 방향전환 레일을 포함하고 구동 수신부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620) 및 구동 수신부(630)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8(a)는 구동 수신부(630)가 블레이드 하우징(620)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8(b)는 구동 수신부(630)의 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620)은 제2방향전환 레일(second direction switching rail, 626)을 포함하고, 구동 수신부(630)는 제2가이드 부재(second guided member, 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 부재(632)는 제2방향전환 레일(626)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방향전환 레일(626)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방향전환 레일(626)의 적어도 일부는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미도시)는, 구동 수신부(630)의 제1측벽(635) 또는 제2측벽(636)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측벽(635) 또는 제2측벽(636)을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미도시)에 대한 구동 수신부(630)의 이동은 제1방향으로 제한되므로, 편심캠 헤드가 제1측벽(635) 또는 제2측벽(636)을 가압할 경우, 구동 수신부(630)는, 가이드 하우징(610)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630)가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가이드 부재(632)는 제2방향전환 레일(626)의 상측면(6262) 또는 하측면(6264)을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610)에 대한 블레이드 하우징(620)의 이동은 제2방향으로 제한되므로, 제2가이드 부재(632)가 제2방향전환 레일(626)의 상측면(6262) 또는 하측면(6264)을 가압할 경우, 블레이드 하우징(620)은, 가이드 하우징(610)에 대해,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는, 사용자가 손으로 면도를 수행하는 속도에, 블레이드 하우징(620)의 선형 운동에 의한 속도가 더해짐으로써, 체모의 절삭이 매우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체모 절삭시 면도 블레이드가 체모를 끌어당기는 터깅을 감소시킴으로써 체모의 절단면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면도 블레이드에 의한 체모 절삭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10: 가이드 하우징 320: 블레이드 하우징
326: 제1가이드 부재 330: 구동 수신부
332: 제1방향전환 레일 340: 구동 전달부
342: 편심캠 본체 344: 편심캠 헤드
350: 면도기 핸들

Claims (10)

  1. 가이드 하우징(guide housing);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수신부(drive receiving member)로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first direction)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수신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으로서,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가이드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면도기 핸들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전달부(drive transmission member)로서, 상기 구동 수신부로 구동력(driving force)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상기 구동 수신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제2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수신부는, 상기 구동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수신부 및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방향전환 레일(direction switching rail)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신부 및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방향전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 부재(guided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면도 블레이드의 면도 방향(shaving direction)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신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측벽(first side wall) 및 제2측벽(second side wall)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편심캠 본체(eccentric cam body); 및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중심축을 따라 상기 편심캠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편심캠 헤드(eccentric cam head)로서,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측벽 사이에 수용되는 편심캠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수신부는, 상기 편심캠 헤드가 상기 제1측벽 또는 상기 제2측벽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레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면도기 핸들에 대해,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피봇축(pivot axis)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편심캠 본체(eccentric cam body); 및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중심축을 따라 상기 편심캠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편심캠 헤드(eccentric cam head)를 포함하되,
    상기 피봇축은 상기 편심캠 헤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레일의 적어도 일부는 직선 영역(straight reg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영역의 기울기는 15도 내지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레일은 제1기울기(first slope)를 가지는 제1영역(first region) 및 상기 제1기울기보다 큰 제2기울기(second slope)를 가지는 제2영역(second reg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방향전환 레일 상에서, 상기 제1영역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KR1020190050374A 2019-04-30 2019-04-30 면도기 조립체 KR10219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74A KR102192994B1 (ko) 2019-04-30 2019-04-30 면도기 조립체
US16/848,726 US11273564B2 (en) 2019-04-30 2020-04-14 Razor assembly
EP20171960.6A EP3733363B1 (en) 2019-04-30 2020-04-29 Raz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74A KR102192994B1 (ko) 2019-04-30 2019-04-30 면도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73A KR20200126573A (ko) 2020-11-09
KR102192994B1 true KR102192994B1 (ko) 2020-12-18

Family

ID=7047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374A KR102192994B1 (ko) 2019-04-30 2019-04-30 면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73564B2 (ko)
EP (1) EP3733363B1 (ko)
KR (1) KR102192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925B1 (ko) * 2006-06-29 2007-08-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KR102231870B1 (ko) * 2019-07-08 2021-03-25 주식회사 도루코 카트리지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US20220088810A1 (en) 2020-09-21 2022-03-24 Beauty Perspectives, LLC Razor handle
USD986505S1 (en) 2021-03-29 2023-05-16 Beauty Perspectives, LLC Razor hand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5501A (ja) * 2004-10-18 2008-05-15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電動式安全かみそりシステム
KR101068271B1 (ko) 2010-09-17 2011-09-28 주식회사 도루코 왕복 리니어 면도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892A (en) * 1983-12-19 1987-02-17 Feather Safety Razor Co., Ltd. T-shaped razor
ES2360262T3 (es) 1991-11-27 2011-06-02 The Gillette Company Máquinas de afeitar.
US6212777B1 (en) 1993-09-29 2001-04-10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s
MX9702402A (es) 1994-10-03 1997-06-28 Gillette Co Construccion de navaja de afeitar.
US6516518B1 (en) 1996-01-12 2003-02-11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unit
US5956851A (en) 1996-04-10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including handle and replaceable cartridges
US6041926A (en) 1996-04-10 2000-03-28 The Gillette Company Dispensing razor blade cartridges used with a handle
US5687485A (en) 1996-05-15 1997-11-18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US5956848A (en) 1997-02-27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US6684513B1 (en) 2000-02-29 2004-02-03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technology
JP4768629B2 (ja) * 2003-12-02 2011-09-0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活性駆動される切断部材を支持する旋回可能なシェービングヘッドを備えるシェービング装置
GB2419103A (en) * 2004-10-18 2006-04-19 Gillette Co Electric razor with pivoting head
US10434670B2 (en) 2015-06-17 2019-10-08 Special Chemicals Ltd. Shaving apparatus
WO2018092958A1 (ko) 2016-11-21 2018-05-24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5501A (ja) * 2004-10-18 2008-05-15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電動式安全かみそりシステム
KR101068271B1 (ko) 2010-09-17 2011-09-28 주식회사 도루코 왕복 리니어 면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46358A1 (en) 2020-11-05
KR20200126573A (ko) 2020-11-09
EP3733363A1 (en) 2020-11-04
US11273564B2 (en) 2022-03-15
EP3733363B1 (en)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994B1 (ko) 면도기 조립체
US20230150156A1 (en) Shaver
KR102154856B1 (ko) 면도기 조립체
KR100963728B1 (ko) 전기면도기
RU2365489C2 (ru) Машинка для стрижки волос
EP3907046A1 (en) Electric beard trimmer
KR100803865B1 (ko) 이발기
EP1600264B1 (en) Personal trimming system
RU2394675C1 (ru) Машинка для стрижки волос
US7490409B2 (en) Head moving type electric razor
US9174350B2 (en) Multi-blade electric rotary razor
RU2572267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бритвенный прибор с вращающейся бритвенной головкой
US20120084983A1 (en) Drive system for rotary driven hair clippers
US10737402B2 (en) Electric hair cutter
EP1600265B1 (en) Personal trimming system
JP7316568B2 (ja) 電気式毛切断装置
WO2012124459A1 (ja) 電気かみそり
EP2509755B1 (en) Hair clipper device
JP2012192094A (ja) 電気かみそり
KR100634486B1 (ko) 전기 면도기
JPH06285272A (ja) 剪毛器
KR200413832Y1 (ko) 고속 운동하는 왕복식 전기면도기
KR200381510Y1 (ko) 전기바리캉의 칼날 조절장치
KR20120004798U (ko) 절삭 효율증대를 가지는 절삭각 스페이서가 결합된 이발기
KR20200133967A (ko) 반자동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