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516B1 - 면도기 - Google Patents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516B1
KR100658516B1 KR1020047017958A KR20047017958A KR100658516B1 KR 100658516 B1 KR100658516 B1 KR 100658516B1 KR 1020047017958 A KR1020047017958 A KR 1020047017958A KR 20047017958 A KR20047017958 A KR 20047017958A KR 100658516 B1 KR100658516 B1 KR 10065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zor
essentially
shaver
main body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6497A (ko
Inventor
야마구치타카시
우에다야스노리
야나기코타로
미하라이즈미
타카타니마사히로
오가와테츠시
아다치타쿠미
무라마츠에츠시
니시자와츠요시
유카와타카시
야마모토마츠키
타니구치후미오
야마사키마사노부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6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10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a pair of toothed shearing elements combined with a pair of perforated cutting elements or a combined toothed and perforated cutting assembly
    • B26B19/102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a pair of toothed shearing elements combined with a pair of perforated cutting elements or a combined toothed and perforated cutting assembly with a secondary cutting unit being translated or slid into an opera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8Complete cutting head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53Housing or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Abstract

외부날(outer blade, 4) 및 내부날(inner blade, 5)을 가지는 면도칼(rasor, 6)을 포함하는 헤드부가 본체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면도기(1)로서, 상기 본체(2)와 손바닥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맞는 느낌을 향상시키고,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며, 그리고 손목을 움직이지 않고도 피부에 대한 면도칼의 각을 미세하게 맞추기 위하여, 상기 면도기(1)의 정단면은 그 상하 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면도기(1)의 측단면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을 가진다.
면도기, 형상, 날, 면도칼

Description

면도기{SHAVER}
본 발명은 사용하기 쉽고 사용시 잡기 쉬운 형상을 갖는 면도기(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의 기본 구성은, 면도칼이 있는 헤드부(head portion)와, 장착된 구동 장치(driving unit) 및 장착된 전력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를 가지면서 그립부(grip portion)의 역할을 하는 본체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의 수직선상에 배치된다. 많은 경우에, 상기 본체의 형상은 본질적으로 타원 원통형이고, 그 정면, 측면 그리고 평면도들의 단면 형상들은 축에 대해 대칭이다.
상기된 본체의 그러한 형상에 따라 본체를 손으로 쥘 때, 상기 본체와 손바닥의 불규칙한 면 사이에서 틈이 발생됨으로써, 손에 충분하게 맞는 느낌(fit feeling) 및 쥐는 동작이 얻어질 수 없다. 또한, 미끄러지기 쉽고 쥐기 특성(holdability)이 좋지 않아서, 피부에 대해 상기 헤드부의 면도칼을 누를 때, 누르는 힘이 과도하게 가해지고 상기 본체에서 미끄러지는 손 때문에 최적의 압력으로 면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팔, 팔꿈치 등의 많은 동작이, 피부에 대해 최적의 각도로 상기 헤드부의 면도칼(razor)을 누르는 데 필요하여, 상기 면도 작 업이 힘들어진다.
한편으로, 상기된 것과 다른 형상을 가진 면도기가 알려져 있는 바, 그 면도기는 상기 헤드부와 그립부 사이의 결합부에서 목(neck)을 형성하도록 헤드부의 축이 결합부의 축과 교차된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평 5-23447 참조). 더욱이, 측면에서 보면 본질적으로 S자-모양을 가지는 것도 또한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특개평 7-185142 참조).
그러나, 상기 특허 공보에서 보인 그러한 형상으로 형성된 면도기라 하더라도 상기 본체와 손바닥 사이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증가될 수 없다. 또한, 좋게 맞는 느낌을 얻기 어렵고 미끄러지기 쉽다. 게다가, 그러한 종래의 기술들에 의하면, 피부에 대해 면도칼 각을 맞추기 위해 손목 이동이 필요하고 이것은 과다한 움직임을 필요로 한다. 상기 각도 조정이 손목을 움직임으로써 수행되므로, 상기 피부에 대한 면도칼의 각을 정밀하게 맞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본체와 손바닥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고 맞는 느낌이 좋아짐으로써, 사용하기 쉽고 잘 미끄러지지 않으며, 피부에 대한 면도칼의 각의 미세 조정이 손목을 움직이지 않고도 쉽게 수행될 수 있는 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 본체의 상단부상에 외부날 및 내부날을 가지는 면도칼을 포함하는 헤드부가 제공되는 면도기로서, 전체적으로 상기 면도기의 정단면은 본질적으로 중앙 부분에서 면도기의 상하 방향으로 가늘어진 목부(neck portion)를 가지는 토르소(torso) 모양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상기 면도기의 측단면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전체 면도기의 형상을 형성함에 의하여, 면도기를 엄지 및 검지로 잡을 때, 엄지 및 검지 사이 부분에서 상기 면도기 본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질적으로 S자-모양인 하배면부상의 배면 오목만곡부 때문에,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손의 소지구(小指球)와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면도기를 안정적으로 잡는 데 중요한, 상기 모지구(母指球)와 검지 및 엄지 사이 부분에서 접촉 면적이 확보될 수 있어서, 상기 모지구의 볼록한 곡면이 면도기를 잡고 견딜 때 토르소-모양의 목부와 맞춰지고, 따라서 무리없이 면도기를 잡고 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면도기의 형상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5B는, 각각 제1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를 잡고 쥐는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들이다.
도 6은, 손의 구역들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C-C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손의 각 구역들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본체를 가진 면도기가 쥐어지는 곳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면도기 각 부들의 정면 형상과 단면 형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 수정 예의 각 부들의 정면 형상과 단면 형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 도 13B, 도 13C, 그리고 도 13D는, 각각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를 잡고 쥐는 상태들을 도시하는 투시도들이다.
도 14A, 도 14B, 도 14C, 그리고 도 14D는, 각각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를 집고 쥐는 것을 설명하는 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 본체의 배면부상에, 반 미끄러짐부(anti slip portion)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면도기 본체의 측면부상에, 반 미끄러짐부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 본체의 정면부에, 반 미끄러짐부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면도기의 형상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20A, 도 20B,그리고 도 20C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의 정면도, 측면도, 그리고 배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각각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의 정면도들이고, 면도기를 잡고 쥐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2A 및 도 22B는, 각각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를 집고 쥐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투시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각각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를 잡고 쥐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투시도이다.
도 24는, 정면 하우징(housing)에서 볼 때의,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된 투시도이다.
도 25는,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의 외부날 블록(block)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된 투시도이다.
도 26은,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의 헤드 케이스(case) 블록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된 투시도이다.
도 27은, 배면 하우징에서 볼 때의,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된 투시도이다.
(제1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의한 면도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도기(1)는 본체(2), 상기 본체(2)의 상단상에 제공되는 헤드부(3), 상기 본체(2)의 정면에 제공되는 스위치 유닛(switch unit, 15) 등을 포함한다. 전기 모터(11), 상기 전기 모터(11)를 구동하는 파워 써플라이 유닛(power supply unit, 12), 상기 전기 모터(11)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 부품(13) 등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제공된다.
외부날(4) 및 내부날(5)을 가지는 면도칼(6)은 상기 헤드부(3)의 상단(안내단)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면도칼(6)에서 상기 내부날(5)은 왕복 운동을 하도록 왕복날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3)는 평평하고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은 상기 내부날(5)의 왕복 방향(도 1 및 도 4에서 X-방향(좌우 방향))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도칼(6)의 외부날(4) 및 내부날(5)의 각각은 Y-방향(전후 방향)으로 본질적으로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내부날(5)은 스프링(14)에 의해 상기 외부날(4)과 접촉하고, 외부날(4)에 대해 눌린다. 상기 외부날(4)은 망상이고, 상기 외부날(4)이 사람의 피부에 눌리고, 수염이 상기 외부날(4)의 망상의 날 구멍들을 통해서 그 내부로 도입되어, 상기 외부날(4) 내의 수염이 상기 내부날(5) 및 외부날(4)에 의해 물리고 잘리는 방식으로 수염을 자른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도기(1)의 정면은 Z-방향(상하 방향)으 로, 본질적으로 중앙부에서 그 X-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토르소 모양을 가진다. 또한,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면도기(1) 측면의 전체 형상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이다. 여기에 있어서, 상기 토르소 모양을 가진 목부(상기 좁은 폭 부분, 2a)의 위치는, 본질적으로 S자-모양으로 구부러진 상기 면도기(1)의 측면에서, 상만곡부의 정점(2b)과 하만곡부의 정점(2c)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배면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을 가지도록, 상부배면 볼록만곡부(9) 및 하부배면 오목만곡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의 상부 정면부상의 정면 오목만곡부(17)는 상기 배면 볼록만곡부(9)에 대응하여 정면에 배치된다. 상기 헤드부(3)는 상기 본체(2)의 상단부로부터 앞으로 대각선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면도기(1)를 잡고 쥐는 과정이 도 5A 및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상부에서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상만곡부(2b) 부근은 처음에, 검지 및 엄지에 의해 확실히 집어진다. 동시에, 소지구(19)는 상기 본체(2)의 하부배면부상의 배면 오목만곡부(10)와 접촉된다. 더욱이, 모지구(26)의 볼록 곡면은 토르소-모양의 목부(2a)와 접촉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손은 자연스럽게 상기 면도기(1)에 맞춰진다. 상기 면도기(1)가 그러한 방식으로 잡힌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지 및 약지는 상기 토르소-모양의 목부(2a)를 따라 접촉되고, 새끼 손가락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상기 하만곡부(2c)의 부근을 따라 접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그것을 잡고 쥘 때, 주로 상기 검지 및 엄지가 상기 면도기(1)를 잡는 상태가 되는 반면에, 상기 다른 손가락들은 자연스럽 게 상기 면도기(1)의 형상을 따라 접촉하며, 면도기의 정면은 토르소-모양이고, 그 측면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는 그 상단 부근에서 X-방향으로 폭이 더 넓어지는 부분을 제외하고 그립(grip)으로 작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면도기(1) 측면의 전체 형상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이다. 그러나, 상기 그립부로 기능하는 상기 본체의 일부는 본질적으로 헤링본(herringbone)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헤드부(3)는 본질적으로 헤링본 형상의 정점의 측면에서(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하만곡부(2c)의 정점과 같음), 상기 그립부로 기능하는 상기 본체(2) 일부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면도기(1)는, 본질적으로 Z-방향의 중앙부에서 X-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토르소-모양의 정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2)의 상후부상의 배면 볼록만곡부(9)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검지 및 엄지 사이의 손부분(18)에 접촉하여서, 상기 접촉 면적은 일반 형상의 면도기들에 비해 증가된다. 게다가, 상기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본체(2)의 하부배면부상의 배면 오목만곡부(10)는 도 6에 도시된 소지구(19)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상기 면도기(1)를 안정적으로 쥐는 데 중요한, 상기된 각 부분들(18 및 19)과의 접촉 면적이 확보되어, 상기 면도기(1)를 안정적으로 쥐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그것을 잡고 쥘 때 상기 토르소-모양의 목부(2a)가 도 6에 도시된 상기 모지구(26)의 볼록 곡면에 맞춰져서, 상기 모지구(26)의 볼록 곡면이 강하게 눌리지 않 고, 무리없이 상기 면도기(1)를 잡고 쥐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면도기(1)를 그러한 방식으로 잡고 쥐는 경우에, 다음의 방법으로 피부에 대하여, 상기 면도기(1)의 헤드부(3)의 면도칼(6)의 각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것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도기(1)를 주로 상기 검지 및 엄지로 잡음으로써 쥐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엄지 및 검지로 잡는 부분을 지레받침(fulcrum)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토르소-모양의 목부(2a) 및 본질적으로 S자-모양인 하만곡부(2c) 부근을 따라 접촉하는 상기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 등이, 상기 목부(2a) 및 정면으로 볼록하고 본질적으로 S자-모양인 하만곡부(2c) 부근을 누르는 방식으로, 상기 면도기(1)를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약간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상기 헤드부(3)의 상단에 제공되는 상기 면도칼(6)의, 피부에 대한 각의 미세 조정이 쉽게 성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지구(26)의 볼록 곡면은 토르소-모양의 목부(2a)에 맞춰지므로, 상기 모지구(26)의 볼록 곡면은 상기 면도기(1)의 측면에 대해 강하게 눌려서, 그 피봇은 상기 엄지 및 검지로 잡는 부분을 지레받침으로 사용하여, 상기 모지구(26)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피부에 대한 상기 면도칼(6) 각의 미세 조정은 손목을 움직이지 않고도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C-C 선을 따라 자른 상기 본체(2)의 정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정단면 형상은 배면상의 볼록 곡선이 정면상의 볼록 곡선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는, 본질적으로 난형의 형상(ovoid shape)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도 8은 손의 각 구역들의 명칭들을 도시한다. 상기 본체(2)의 배면상의, 본질적으로 난형의 단면 형상인 상기 볼록 곡선(21)의 곡률은, 상기 배면상의 볼록 곡선(21)이 상기 면도기(1)를 쥘 때 형성되는 손바닥(23) 표면상의 오목 곡면에 맞춰지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2)와 손바닥(23) 사이에 틈이 조금도 생기지 않게 되어서, 상기 본체(2)와 손바닥(23) 사이의 접촉 면적 확보가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보통의 형상을 가진 면도기들에 비해 쥐는 힘이 증가되어서, 상기 면도기(1)를 잡을 때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다. 상기 손의 지간구(指間球,interdigital pad,24), 기절(基節,base podite, 25), 그리고 모지구(26)와 상기 본체(2)의 접촉 면적 확보를 고려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2)의 평단면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2)의 이러한 구역들과의 접촉 면적 확보가 가능하고, 이에 의해, 배면상의 볼록 곡선(21)의 양단뿐만 아니라 정면상의 부드러운 볼록 곡선(22)도 상기 손의 지간구(24), 기절(25), 그리고 모지구(26)와 맞춰진다.
상기 본체(2)의 평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이라고 가정한다. 상기 손이 본체(2')를 잡고 쥘 때, 상기 본체(2')의 각 표면(27)은 평평하기 때문에, 좋은 맞음새를 갖기 어려워서, 상기 면도기와 손 사이에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어렵다. 반대로, 상기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난형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본체(2)의 평단면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그것은 상기 손의 손바닥(23), 지간구(24), 기절(25), 그리고 모지구(26)에 맞춰져서, 상기 면도기와 이러한 각 구역들 사이에 충분한 접촉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된 바와 같은 본질적으로 난형(卵形)의 평단면 형상에서, 단축길이 대 장축길이의 비는 상기 본체(2)를 쥘 때 중지의 위치 부근에서 단축: 장축
Figure 112004051507242-pct00001
1 : 1.5 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7에서, M1은 상기 장축의 크기를 나타내는 반면, M2는 단축의 크기를 나타낸다. 그러한 구성은 상기 본체(2)와 손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치수비의 최적화와, 증가된 쥐는(holding) 힘으로 잡기(grip) 안정성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상기 본체(2)의 폭은 상기 헤드부(3)에서부터 본질적으로 중앙부의 상기 목부(2a)에 이르기까지 점점 좁아지고, 상기 목부(2a)에서 한번 최소값을 가진다. X-방향으로 상기 본체(2)의 폭은 본질적으로 중앙부의 상기 목부(2a)에서부터 아래로 가면서 점점 넓어지고, 본질적으로 중앙부의 상기 목부(2a)와 상기 하단부 사이의 중간부에서 최대값을 가지고, 그런 후에 다시 감소하여 상기 하단부에서 최소 폭을 가진다. 즉, 상기 본체(2)의 정면 형상은 토르소-모양 또는 본질적으로 호리병-모양이다. 상기 면도기(1)를 쥘 때, Z-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중앙부의 상기 목부(2a) 양단에서의 오목 곡선(28)은, 상기 검지 및 중지의 중절(中節,middle podite, 29), 말절(末節)(end podite, 30)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한 검지 및 엄지 사이 부분(18)에 맞춰져서, 상기 본체(2)를 안정적으로 쥘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1)는 토르소-모양의 정면 형상,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측면 형상, 그리고 상기 본체(2)를 쥐는 부분인 그립부에서 본질적으로 난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2)를 손으 로 잡고 쥘 때, 상기 손바닥(23)과 본체(2) 사이에 틈이 조금도 생기지 않아서, 상기 검지 및 중지의 중절(29) 및 말절(30) 뿐만 아니라, 상기 검지 및 엄지 사이 부분(18), 소지구(19), 지간구(24), 기절(25) 그리고 모지구(26)와 그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거기에 상기 쥐는 힘이 증가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면도기(1)의 Z-방향으로의 각 위치들과, 그들의 단면 형상들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좌측은 상기 면도기(1)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반면, 우측은 D-D 단면, E-E 단면, F-F 단면, G-G 단면 그리고 H-H 단면의 형상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상기 면도기(1)의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의 상단부 부근 및 헤드부(3)에 있는 상기 D-D 단면은, 상기 정면부 및 배면부상에 평평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2)의 상단부 부근와 목부(2a) 사이의 중간부에 있는 상기 E-E 단면은, 상기 정면부 및 배면부상에 본질적으로 평평한(큰 곡률을 가진 만곡된 평면으로 이루어진), 본질적으로 알약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2)의 본질적으로 중앙부에 있는 목부(2a)의 F-F 단면은, 상기 정면부 및 배면부상에 거의 같은 곡률을 가지는, 본질적으로 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2)의 본질적으로 중앙부에 있는 목부(2a)와 하단부 사이의 중앙부에 있는 상기 G-G 단면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2)의 하단부에 있는 상기 H-H 단면도, 각각 정면보다 배면상에 더 큰 곡률을 가지는, 본질적으로 난형의 형상들을 가지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1)는, 상기 본체(2)의 상단부 부근에서부터 헤드부(3)까지 상기 본체(2)의 상부배면부(31A) 및 상부정면부(31B)가 더 평평하게 되고, 상기 단면의 형상이, Z-방향으로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부드럽게 변하여 점점 본질적으로 난형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1)의 수정된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서, 좌측은 상기 면도기(1)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우측은 D-D 단면, E-E 단면, F-F 단면, G-G 단면 그리고 H-H 단면의 형상들을 도시한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의 상단부 부근 및 헤드부(3)에있는 상기 D-D 단면은, 상기 정면부가 본질적으로 평평하고(매우 큰 곡률을 가진 만곡된 평면), 상기 배면부가 계단모양이며 본질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2)의 상단부 부근와 목부(2a) 사이의 중간부에 있는 상기 E-E 단면은, 중앙부에서 본질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한 계단모양이고 X-방향으로 양단 부근에서 본질적으로 타원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거기서 상기 정면부 및 배면부는 중앙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서로 대칭이다. 상기 본체(2)의 본질적으로 중앙부에 있는 목부(2a)에 있는 상기 F-F 단면은, 정면부상에, 계단모양이고 X-방향으로 양단 부근에서 본질적으로 포물선의 곡면을 가질 뿐만 아니라 중앙부에 본질적으로 호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배면부상에 본질적으로 타원의 곡선을 가지고 있다. 본질적으로 중앙부의 상기 목부(2a)와 상기 본체(2)의 하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있는 상기 G-G 단면은, 상기 배면부보다 정면부상에 더 큰 곡률을 가진, 본질적으로 난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2)의 하단부에 있는 상기 H-H 단면은 상기 정면부 및 배면부상에 본질적으로 평평한(큰 곡률을 가진 만곡된 평면으로 이루어진), 본질적으로 알약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정된 예에서, 상기 본체(2)의 상단부 부근에서부터 헤드부(3)까지 상기 본체(2)의 상부배면부(31A) 및 상부정면부(31B)가 더 평평하게 되고, 상기 단면의 형상이, Z-방향으로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부드럽게 변하여 점점 본질적으로 난형의 형상이 되도록 또한 형성된다.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1)에 대해서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잡고 쥠(gripping and holding)에 의해 잡는 경우와,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고 쥠(pinching and holding)에 의해 잡는 경우가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잡고 쥠에 의해 잡는 경우에,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한 효과들은, 상기 단면이 본질적으로 난형의 형상인 곳에서, 그립으로서 상기 본체(2)의 하부 부분을 잡고 쥠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고 쥠에 의해 잡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2)의 상부배면부(31A) 및 배면 오목만곡부(10)는 엄지 이외의 네 손가락으로 잡는 반면, 상기 상부정면부(31B)는 엄지로 잡는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배면부(31A) 및 상부정면부(31B)의 각각은 본질적으로 평평하게 만들어지므로, 평평한 상부배면부(31A)와 접촉하는 손가락은 상기 손가락 압력을 맞추기가 더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면도기(1)의 각은 상기 손가락 관절들의 각들을 미세하게 맞춤으로써 미세하게 변화될 수 있어서, 얼굴의 불규칙한 면에 대해 상기 면도칼(6) 의 접촉각을 미세하게 맞추기가 더 쉬워진다.
(제3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3실시예에 의하여, 면도기(1) 본체(2)를 손으로 쥘 때,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고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반(反) 미끄러짐부(8)가 상기 본체상에 제공된다.
도 15는 제3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1)의 배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본체(2)의 배면상에 평행선을 그음으로써 도시한 부분이 상기 반 미끄러짐부(8)이다. 예를 들면,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도기(1)를 잡는 경우에, 상기 검지 및 엄지 손가락 사이에 있는 부분(18)에 대한,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상기 소지구(18)에 대한 상기 본체(2)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서, 상기 본체(2)를 안정적으로 잡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안정적으로 쥐는 것이 가능하므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2)를 강하게 쥘 필요가 없고, 피로해지지 않고 면도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본체(2)가 미끄러지기 어려워지므로, 피부에 대해 상기 외부날(4)을 누르는 힘을 가하기가 더 쉬워지고, 깊은 면도를 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손바닥에 맞는 느낌을 얻을 수 있어, 사용시 편하고 느낌을 향상시킨다.
도 16은 마찬가지로 반 미끄러짐부(8)가 본체(2)의 측면상에 평행선을 그음으로써 나타낸 부분에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상기 본체(2)의 측면상에 반 미끄러짐부(8)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모지구(26), 지간구(24), 그리고 말 절(30)에서부터 상기 중절(29)까지 쥐기 특성(holdability)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상기 면도기(1)를 집어 들 때, 미끄러지기 어렵고 들어올리기 쉽다. 또한, 상기 면도기(1)를 떨어뜨릴 위험도 줄어든다. 게다가, 상기 반 미끄러짐부(8)가 있기 때문에, 상기 면도기(1)는 작동하기 쉽고, 또한 상기 면도기(1) 사용시 상기 헤드부(3)의 각을 미세 조정할 때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 상기 면도를 더욱 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반 미끄러짐부(8)가 또한 상기 본체의 정면상에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에서 평행선을 그음으로써 도시한 부분은 상기 반 미끄러짐부(8)이다. 상기 본체(2)의 정면상에 반 미끄러짐부(8)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엄지 및 말절에 대한 상기 본체(2)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면도기(1)를 쥐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상기 면도기(1)를 쥐는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머지 네개의 손가락들과 함께 정면상에 놓인 엄지로 잡고 쥘 때, 상기 엄지 및 검지는 상기 본체(2)의 상부를 쥐고, 나머지 세 손가락들은 나란히 접촉하여 검지 옆에서 상기 본체(2)를 쥐게 된다. 이것은 그 사이에서 상기 엄지 및 나머지 네 손가락들이 상기 본체(2)를 집고 쥐는 것을 의미한다. 그럴 때, 정면상의 반 미끄러짐부(8) 때문에, 쥐기 어려운 엄지 부분은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서, 상기 면도기(1)는 쥐기 쉬워지고, 그럼으로써 작동성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얼굴의 곡면에 대해 또 그에 적응하여 상기 면도기(1)의 면도칼(6)의 접촉 각을 맞추기 쉬워져서, 피부에 대해 면도칼(6) 을 안정적으로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면도되지 않은 구역을 남기지 않고, 깊은 면도를 할 수 있으며, 단시간내에 면도가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반 미끄러짐부(8) 때문에 미끄러짐 방지 효과는 상기 본체(2)의 배면, 측면, 정면상에 반 미끄러짐부들(8)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은 디보트들(divots)이나 리브들(ribs)과 같은 불규칙면을 가지도록 각각의 반 미끄러짐부(8)의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어서, 상기 반 미끄러짐 특성부(8) 때문에 미끄러짐 방지 효과 증대를 가능하게 만든다.
상기 반 미끄러짐부(8)를 구성하는 부재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므로, 손과의 접촉 면적은 상기 탄성 재료의 변형 때문에 증가함으로써, 상기 반 미끄러짐부(8) 때문에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더욱 증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 재료 때문에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신축성 있고, 손가락 압력에 의해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손가락들의 형상에 맞춰지고, 더욱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적당한 그립을 제공한다. 이것은 깊은 면도, 수염 겨누기의 용이함, 그리고 상기 면도기(1) 취급의 용이함과 같은 면도시 기능들의 효과 증대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것을 쥐기 편함 및 쥐기 용이함과 같은 사용자들을 감각적으로 만족시키는 효과들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탄성 재료는, 내부에 밀봉된 기체, 액체 등을 가지기도 하는 속이 빈 탄성 재료뿐만 아니라, 고무 재료, 스펀지 등으로도 될 수 있다.
(제4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가 도 18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동등한 부품은 같은 참조 부호들로 표시되고, 다른 부품은 다른 참조 부호들로 표시된다. 도 18은 외부날 블록(75)이 제거된 채로 면도기(1)의 외관과 구성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면도기(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A, 도 20B, 그리고 도20C는 각각 상기 면도기(1)의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제4실시예에 의한 면도기(1)에는, 그 상단부에 외부날(4) 및 내부날(5)을 가진 면도칼(6)을 포함하는 헤드부(3)가 본체(2)의 상단상에 제공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3)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 블록(72)은 상기 본체(2)의 내부 상단 부근에 제공된다.
도 18, 도 20A, 그리고 도 2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도기(1)의 전체 정단면의 형상은 Z-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중앙부에서, X-방향으로 좁아진 폭을 가지는 목부(2a)가 제공되는 토르소 형상이다. 또한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도기(1)의 전체 측단면의 형상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이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실시예들에 의한 면도기(1)에서 뿐만 아니라 제4실시예에 의한 면도기(1)에서도, 상기 토르소-모양의 목부(2a)는 상만곡부(2b)의 정점과 상기 면도기(1)의 본질적으로 S자-모양인 측면상에 있는 하만곡부(2c)의 정점 사이에 배치된다.
그래서, 마찬가지로 제4실시예에서, 상기 면도기(1)의 전체 형상은 정면에서 보면 토르소 모양, 측면에서 보면 본질적으로 S자-모양이어서, 각각의 상기 실시예들에 의한 면도기(1)에서와 유사한 기능들 및 효과들을 가지고 있다. 상세한 설명 은 이러한 관점에서 생략되며, 그것은 각 실시예들에서 이미 했던 설명들의 반복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들의 각각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면도기(1)를 잡고 쥘 때, 피부에 대한 상기 면도칼(6)의 각을 미세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A 및 도 21B는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1)를 잡고 쥐는 것을 도시한다. 도 21A는 제1실시예에서의 도 5A에 대응하는 반면, 도 21B는 도 5B에 대응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은 이유로, 정면에서 보아 상기 토르소-모양의 목부(2a) 및 측면에서 보아 본질적으로 S자-모양인 하만곡부(2c) 부근을 따라 접촉하는 상기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 등이, 상기 목부(2a) 및 정면으로 볼록한 본질적으로 S자-모양인 하만곡부(2c) 부근을 누르는 방식으로, 엄지 및 검지로 쥐는 부분을 지레받침으로 사용하여서, 좌우 방향(X-방향) 또는 전후 방향(Y-방향)으로 상기 면도기(1)를 회동시킴으로써 피부에 대한 상기 면도칼(6)의 미세 조정을 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4실시예에서도, 상기 면도기(1)의 정단면 형상은 X-방향으로 상기 목부(2a)의 폭이, Z-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좁아지고, 상기 헤드부(3)의 폭보다 더 좁으며, 상기 본체(2)의 하단부에서의 폭이 최소가 되는 토르소 모양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기능들 및 효과들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이어서, 제4실시예에 의한 그립 부분으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2)의 반 미끄러짐 메커니즘(mechanism)이 설명될 것이다.
도 18, 도 20A, 도20B 그리고 도20C에서 점찍은 구역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 미끄러짐부(8,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같은 큰 마찰 계수를 가진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반 미끄러짐부)는 측면(2B)에서부터 배면(2C)의 하반부(2CL)까지 상기 본체(2)상에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게다가, 이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본체(2)의 정면(2A)의 상반부(2AU)상에 또한 제공된다. 상기 측면(2B)상의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측면(2B)의 하반부(2BL)에서부터 상반부(2BU)까지 연장된다. 더욱이,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본체(2)의 배면(2C)의 상반부(2CU)상에 또한 제공된다. 상기 배면(2C)의 상반부(2CU)상에 제공되는 이 반 미끄러짐부(8)는 트리머(trimmer) 작동부로서 동시에 작용한다.
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정면(2A)의 상반부(2AU)상의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배면(2C)의 상반부(2CU)상의 반 미끄러짐부(8)와 본질적으로 같은 높이에서 제공되어서, 상기 정면(2A)으로부터 엄지의 쥐는 힘은, 상기 배면(2C)로부터 검지 및 중지의 쥐는 힘과 균형을 이루게 된다. 더욱이, 상기 본체(2)의 측면(2B)상의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정면(2A)의 하반부(2AL)에까지 연장되어,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본체(2)를 감싸도록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측면(2B)에서부터 배면(2C)의 하반부(2CL)까지 상기 본체(2)상에 엘라스토머(큰 마찰 계수를 가진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반 미끄러짐 부(8)를 연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소지구(19) 및 모지구(26) 뿐만 아니라, 상기 검지, 약지, 그리고 새끼손가락 중 최소 하나의 지간구(24), 기절(25), 중절(29),그리고 말절(30)이,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집기 및 쥐기의 경우 또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잡기 및 쥐기의 경우에, 반 미끄러짐부(8)에 확실히 접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그것을 잡을 때 손의 크기나 미묘한 위치 편차와 상관없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측방 및 후방으로부터 접촉 압력에 대한 잡기 특성(잡고-쥐는 수행)이 좋아진다. 더욱이, 상기 본체(2)의 정면(2A)의 상반부(2AU)상에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반 미끄러짐부(8)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정면(2A)으로부터 접촉 압력에 대한 잡기 특성이 좋아지고, 이는 상기 엄지의 말절이 상기 반 미끄러짐부(8)에 접촉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기 본체(2)의 측면(2B)상의 반 미끄러짐부(8)가 상기 측면(2B)의 상반부(2BU)까지 연장되므로, 상기 검지, 중지, 약지, 그리고 새끼손가락의 모든 말절(30)은 이 반 미끄러짐부(8)에 접촉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반 미끄러짐부(8)가 상기 배면(2C)의 상반부(2CU)상에 또한 제공되므로, 상기 검지 또는 중지의 기절(25) 및 중절(29)은 이 반 미끄러짐부(8)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 크기 및 쥐기 방법에 차이가 있더라도, 상기 접촉 압력이 상기 반 미끄러짐부(8)가 제공되는 구역에 가해져서, 상기 정면의 쥐는 부분에서 충분한 잡기 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면도기(1)를 상기 "집기 및 쥐기" 또는 "잡기 및 쥐기"로 잡는 경우에도, 상기 잡기 특성은 좋아질 수 있어 서, 사용 중에 미끄러지기 어렵고 사용하기 쉬운 본체(2)를 가진 면도기(1)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결과, 피부에 대해 상기 면도칼(6)을 누를 때, 상기 누르는 힘에 의해 지나친 힘이 가해지지 않고, 최적의 누르는 힘으로 면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면도칼(6)(헤드부(3))은 최적의 각으로 피부에 접촉하여, 면도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그 밖에, 도 20A 및 도 20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배면(2C)의 상반부(2CU)상에 제공되는 반 미끄러짐부(8)는 동시에 트리머 작동부(70a)로 작용한다. 특히, 아래에 설명될 트리머 블록(70)은 상기 주 블록부(2)의 배면(2C) 상단부상에 제공된다. 상기 트리머 블록(70)의 하부는 이 트리머 블록(70)을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 상기 트리머 작동부(70a)로 만들어진다. 반 미끄러짐부(8)는 이 트리머 작동부(70a)상에 제공된다. 상기 반 미끄러짐부(8)가 제공되는 상기 트리머 작동부(70a)는, 상기 면도기(1)의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측면상에,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상만곡부(2b) 부근에 배치된다. 상기 트리머 작동부(70a)는 그러한 방법으로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상만곡부(2b) 부근에 배치되므로, 트리머 작동부(70a)는 트리머로 매우 가는 면도시, 손가락 접촉부로서 기능 한다. 트리밍(trimming)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잡기 및 쥐기" 또는 "집기 및 쥐기"의 경우에도, 상기 면도기(1)의 본질적으로 S자-모양인 상만곡부(2b)의 배면상에 우측으로 엄지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쥠으로써, 상기 헤드부(3)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면도기(1)를 안정적으로 쥐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상기 면도기(1)에 의하여, 상기 반 미끄러짐부 (8)가 제공되는 트리머 작동부(70a)는, 손가락 접촉부로서 기능하고, 엄지와 접촉하여, 트리머 작동부(70a)의 상하 작동이 미끄러짐 없이 엄지에 의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잡기 특성뿐만 아니라 시동장치(tripper) 작동성도 좋아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면도기(1)를 잡을 때 엄지가 놓여지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2) 정면(2A)의 상부(2AU)상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트리머 블록(70)에서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본체(2)의 정면(2A)의 상부(2AU)의 반 미끄러짐부(8)와 본질적으로 같은 높이로 상기 트리머 작동부(70a)(상기 배면(2C)의 상부(2CU))상에 제공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본체(2)의 정면(2A)으로부터 엄지로 쥐는 힘은 상기 배면(2C)으로부터 검지 및 중지로 쥐는 힘과 균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다섯 개의 손가락 모두로 쥘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잡기 특성은 면도기(1)를 단지 엄지, 검지, 그리고 중지로만 잡더라도 안정적으로 된다. 더욱이, 상기 엄지의 말절은 상기 본체(2)의 정면(2A)의 상부(2AU)의 반 미끄러짐부(8)와 접촉하는 반면에, 상기 검지 손가락의 기절(25) 및 중절(29)은 각각, 상기 트리머 블록(70)의 트리머 작동부(70a)의 반 미끄러짐부(8)와 접촉한다. 더욱이, 상기 본체(2)의 측면(2B)상의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정면(2A)의 하반부(2AL)에 연장되어서, 상기 반 미끄러짐부(8)가 상기 본체(2) 주위를 둘러싸도록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2)의 정면(2A) 및 후부(2C)로 그것을 쥐고 사용 하는 것이 반대로 되더라도, 상기 새끼손가락 및 약지는 상기 반 미끄러짐부(8)와 접촉하여서, 충분한 잡기 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성은 상기 면도기(1)를 쥐는 잡기 특성이 좋아지고, 사용 중에 미끄러지기 더 어렵고 사용하기 쉽게 된다.
제4실시예에서,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본체(2) 주위를 둘러싸도록 연속적으로 제공되지만, 이것에 필수적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정면(2A)의 상반부(2AU)상에서뿐만 아니라, 최소한 상기 측면(2B)에서부터 상기 후부(2C)의 하반부(2CL)까지 상기 본체(2)상에 제공될 정도로 충분히 길다.
이어서,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면도기(1)의 구성이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상기 헤드부(3)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헤드부(3)는 넓게 나누어서, 선형 모터(73)가 들어 있는 헤드 케이스 블록(74), 내부날(5), 그리고 외부날 블록(75)을 포함한다. X-방향으로 상기 선형 모터(73)의 진동은 그 말단에서 구동 부품(13)에 의해 상기 내부날(5)에 전달된다. 상기 내부날(5)과 외부날(4)의 서로에 대한 미끄러짐 때문에, 상기 외부날(4)의 망상의 날 구멍들 속으로 도입된 수염이 잘려 나간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모터(73)는 모터 베이스(base,76)에, 그 하부에서 전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위에서 헤드 케이스(77) 속으로 삽입되고, 헤드 하부 나사(78)와 아래로부터 고정된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케이스 커버(head case cover,79), 구동 부 품 방수 고무(80), 그리고 고무 압력 판(plate,81)은, 아래에서 위 순서로, 헤드 상부 나사들(82)을 써서, 상기 헤드 케이스(77)에 고정된다. 상기 각 부품을 나사들을 써서 상기 헤드 케이스(77)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헤드 케이스 블록(74)은 그 속에 설치된 상기 선형 모터(73)를 가진 단일 하우징(housing)이 되도록 형성된다. 방수용 패킹(packing) 또는 O-링(도시하지 않음)은 상기 헤드 케이스 커버(79)의 하부 표면 아래에 제공되어서, 상기 헤드 케이스 블록(74)은 방수된 케이스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형 모터(73) 아래로부터 연장하는 리드 와이어(lead wire)는, 상기 선형 모터(73)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 내의 구동 회로에 그 말단에서 연결되어야 한다. 그래서, 그들은 상기 헤드 케이스(77)의 하부 내에 제공되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통과하고,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고무 튜브(tube,85)속으로 삽입되고 그를 통하여 지나간다. 그들은 나중에 설명되는 정면 하우징(86)의 상부 표면 내에 제공되는 구멍(87)(도 27 참조)을 통하여 더 지나가서, 정면 하우징(86) 및 배면 하우징(89)을 구성하는 상기 본체(2)의 박스같은 공간(110) 내의 회로에 결합된다.
상기 고무 튜브(85)의 상단은 눌려서 상기 헤드 케이스(77)의 바닥 표면상에 제공되는 튜브 구멍(도시하지 않음) 속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나서 나중에 설명될 헤드 걸쇠 부재(88)의 걸쇠(latch)구멍(88a)(도 24 참조)에 의해 밖으로부터 걸쇠가 걸린다. 상기 고무 튜브(85)의 하단은 눌려서 상기 배면 하우징(89)의 상부 표면 내의 리드 와이어용 튜브 구멍 속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나서 나중에 설명될 클 릭(click) 부재(91)의 걸쇠부(91b)(도 24 참조) 속으로 삽입되고 그에 의해 걸쇠가 걸린다. 즉, 방수 구조가 상기 헤드부(3)와 상기 본체(2)의 박스같은 공간(110) 사이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헤드부(3)가 상기 고무 튜브(85)에 의해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반면에, 상기 리드 와이어(83)는 방수 조건에서 상기 본체(2)에서부터 상기 헤드부(3)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고무 튜브(85) 내에서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3)는 상기 본체(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움직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헤드부(3) 및 본체(2)는 방수되므로, 상기 내부날(5)은 물로 씻을 수 있어 청결성이 좋아진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케이스(77)의 바닥 중앙 부근에서, 돌출부(77a)는 아래로 돌출하고 X-방향으로 그 폭이 줄어드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나중에 설명될 구성 때문에, 상기 돌출부(77a)는 상기 본체(2)의 정면 벽(86a) 및 배면 벽(89a)(도 24 참조)에 대하여 흔들릴 수 있도록 지지되어, 상기 헤드부(3)는 상기 본체(2)에 대하여 X-Z평면상에서 흔들릴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3)가 피부를 따라가는 특성(followability)을 좋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예를 들어 도 20A 등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그 양단에서 상기 헤드부(3)의 하부와 상기 본체(2)의 상단 사이에 틈이 생겨서, 면도시 상기 헤드부(3)의 움직임을 체크하기 더 쉬워진다. 더욱이, 도 2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상기 본체(2)의 상부의 폭 치수(L2)는 상기 정면 벽(86a) 및 배면 벽(89a)의 폭 치수(L1)보다 더 크게 만들어져서, 보통의 잡는 상태에서 손가락이 상기 헤드부(3) 의 하면의 이동가능 구역에 들어갈 확률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그럼으로써, 손가락들이 상기 헤드부(3)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잡기 특성을 확보하고 상기 헤드부(3)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Y-방향으로 상기 헤드부(3)를 쥐는 메커니즘과 Y-방향으로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이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정면 벽(86a) 상에, Y-방향으로 상기 헤드부(3)를 쥐는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도 26에 도시한 예에서, 상기 헤드 걸쇠 부재(88)상에 제공되는 한 쌍의 정면 및 배면 걸쇠 돌기(93)는, 상기 헤드 케이스(77)의 정면 및 배면의 양 표면에 제공되는 돌기부(92)에 의해 걸쇠가 걸려서, 상기 헤드 걸쇠 부재(88)가 상기 헤드 케이스 블록(74)상에 장착된다. 더욱이, 상기 헤드 걸쇠 부재(88)의 정면상의 상단부에, 좌우로 돌출하는 돌출 단편(segment)(94)이 제공된다. 상기 돌출 단편(94)은 상기 정면 하우징(86)의 정면 벽(86a)내에 제공되는 개구부(95)(도 27 참조) 속으로 맞춰지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헤드 걸쇠 부재(88)의 돌출 단편(94)은 상기 정면 벽(86a)에 걸쇠로 걸린다. 그러므로, 상기 헤드 케이스 블록(74)은 상기 정면 하우징(86)에 대하여 Y-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정면 하우징(86)의 정면 벽(86a)과 배면 하우징(89)의 배면 벽(89a) 사이의 피치(pitch)에 변화가 있더라도, 상기 헤드 케이스 블록(74)은 상기 정면 벽(86a)에 걸쇠로 걸리고, 그럼으로써 Y-방향으로 덜걱거림을 방지한다.
더욱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90)가 상기 헤드 걸쇠 부재(88)의 하부배면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이 돌출부(90)는 상기 배면 벽 (89a)의 내부 표면과 미끄럼 접촉을 하여서, 상기 헤드 케이스 블록(74)이 Y-방향으로 기우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상기 헤드 케이스 블록(74)이 Y-방향으로 기울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90)가 배면 하우징(89)의 배면 벽(89a)의 내부 표면과 미끄럼 접촉하기 때문에, Z-방향으로만 안내된다. 따라서, Y-방향으로의 힘이 면도시 상기 헤드부(3)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헤드부(3)는 Y-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아서, 일반 면도기들에서처럼 헤드부의 기울어짐 때문에 면도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 부착/탈착 버튼(96)은 상기 헤드 케이스(77)의 X-방향으로 양단 표면에 제공된다. 각 날 부착/탈착 버튼(96)은 날 부착/탈착 버튼 스프링(97)에 의해 밖으로 편향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어서, 상기 내부날(5)이 설명될 것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모터(73)의 구동 부품(13)은 상기 헤드 케이스(77)의 상부 표면 내의 중앙부에 있는 구멍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있다. 슬릿(slit) 구동 로드(rod,32)와 트리머 구동 로드(33)는 상기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상기 구동 부품(13)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 부품(13)에서 내부날 밀어올리기 스프링(34)은 위로부터 상기 내부날(5)이 연결된 스프링 마개(35)에 의해 유지되어서, 상기 내부날(5)이 위로 비스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외부날 블록(75)이 설명될 것이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날(4)(망상의 날)의 세 날, 슬릿날(36), 그리고 외부날(4)(망상의 날)이 Y-방향으로 이 순서대로 배열된다. 그들은 슬릿 부양(float) 스프링(37)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부양할 수 있도록 잡기(holding) 틀(38)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외부날(4)은 외부날 틀(39)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외부날 틀(39)은 날 커버부재(40)에 의해 상기 잡기 틀(38)에 쌍으로 결합된다. 맞물리기(engaging) 구멍(41)은 상기 잡기 틀(38)의 X-방향으로 양단상에 제공된다. 상기 날 부착/탈착 버튼(96)의 상부들에서 맞물리기 돌기(42)(도 26 참조)는 상기 맞물리기 구멍(41)과 맞물려서, 상기 외부날 블록(75)이 상기 헤드 케이스(77)에 의해 유지되고 또 그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어서, 상기 헤드 지지 블록(72)의 구조가 도 19, 도 24, 도 26, 그리고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지지부재(43)는 두개의 아암(arm)이 Z-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본질적으로 U자 모양으로 각각 형성된다. 구멍부(44)는 각각 상기 아암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한편으로는, Y-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돌기(45)가 상기 헤드 케이스(77)의 정면 및 배면 벽상의 두 위치에 제공되어서, 합계 네 위치가 된다. 상기 정면 및 배면상의 지지 돌기(45)는 정면에서 보아 동축상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각 아암의 상부 내에 있는 구멍부(44)가 상기 헤드 케이스(77)의 지지 돌기과 맞물리면서, 두개의 상기 헤드 지지부재(43)는 좌우에 제공되어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상기 헤드 케이스(77)를 아래로부터, 사이에 끼우는(sandwiching) 상태에 있도록 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헤드 지지부재(43)는, 각각 상기 정면 하우징(86)의 정면 벽(86a) 및 상기 배면 하우징(89)의 배면 벽(89a) 내에 형성된 수직 홈 패턴(pattern) 내의 좌우 안내 홈들 (46 및 47)의 쌍들 속으로 삽입되어 맞춰지고, 그럼으로써 상기 각 헤드 지지부재들(43)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정면 벽(86a)과 배면 벽(89a) 사이에서 사이에 끼우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시점에서, 좌우에 제공되는 상기 헤드 지지부재(43)에 기초하는 기능들이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가 피부에 대해 다른 각도로 눌리는 경우에, 상기 헤드부(3)의 양단이 피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헤드부(3)를 아래로 내리는 힘이 발생한다. 이 때에, 상기 헤드부(3)의 회전의 지레받침은,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반대편 헤드 지지부재(43)가 축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힘점으로부터 그 거리를 증가시키고, 그럼으로써 상기 헤드부(3)를 회전시키는 힘이 증대된다. 그 결과, 상기 헤드부(3)는 피부를 따라 접촉하게 되는 상태까지 작은 힘으로도 회전하게 되어서, 상기 면도기가 피부에 밀착하게 된다.
더욱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로 된 탄성부재(100)는 상기 정면 벽(86a)의 안내 홈(46)의 위쪽에 배열된다. 상기 탄성부재(100)는 상기 안내 홈(46)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헤드 지지부재(43)가 상기 안내 홈(46)을 따라 움직일 때, 상기 탄성 부재(100)는 상기 헤드 지지부재(43)가 부양하고 반송되는 시점의 충격을 완화하여, 손에의 충격 및 소음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
이어서, 상기 헤드 지지부재(43)를 비스듬하게 하는 스프링 블록(50)이 설명될 것이다. 도 24 및 도 2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기 스프링 블록(50)은 상기 각 헤드 지지부재(43)와 일치하도록 좌우에 제공된다. 각 스프링 블록(50)에서 코일(coil) 스프링(51) 및 판(plate) 스프링은 상하 스프링 브래킷 (bracket)(53 및 54)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51)은 상기 각 상하 스프링 브래킷(53 및 54)상에 제공되는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판 스프링은 본질적으로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 스프링 브래킷(53)의 돌기에 그 일부를 용접함으로써 고정된다. 두 돌기(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코일 스프링(51)을 지나가는 위치들에서 상기 하 스프링 브래킷(54)상에 제공되고, 상기 스프링 블록(51)은 상기 상 스프링 브래킷(53) 내에 제공되는 구멍(도시하지 않음)과 그 말단에서 맞물리는 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블록(51)의 상기 상 스프링 브래킷(53)은 상기 헤드 지지부재(43)의 하부 표면에 접하는 반면, 상기 하 스프링 브래킷(54)은 상기 정면 하우징(86) 및 배면 하우징(89)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2)의 박스같은 공간의 바닥 표면에 접하여서, 상기 헤드 지지부재(43)는 상기 스프링 블록(51)에 의해 아래로부터 지지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방수 헤드 케이스 블록(74)은 상대적으로 크게 흔들릴 수 있다. 더욱이, 편향(biasing) 부품을 구성하는 상기 헤드 지지부재(43) 및 스프링 블록(51)이 상기 헤드부(3)와 상기 본체(2)의 박스같은 공간의 상부 표면 사이에 제공되므로, 매우 잡기 쉬운 가는 본체(2)는 상기 편향 부품 때문에 상기 본체(2b)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실현되어서, 상기 헤드부(3)는 헤드부(3)의 동작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Y-방향으로 헤드부(3)의 하부 표면 전체 위에서 지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헤드부(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헤드 지지부재(43)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정면 벽(86a) 및 배면 벽(89a) 안에 형성된 안내 홈(46 및 47)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헤드 지지부재(43)는 상기 스프링 블록(50)에 의해 비스듬해져서, 상기 헤드부(3)는 동시에, 흔들리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이다.
이어서, 상기 스프링 블록(50)의 스프링 힘을 맞추는 메커니즘이 설명될 것이다. 도 24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채 모양의 평면부(63) 및 구멍(62)은 상기 배면 하우징(89)의 일면상의 상측부에 형성된다. 레버 축(lever shaft,64)은 상기 구멍(62)에 삽입된다. 돌기(65)는 상기 레버 축(64)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레버 작동부재(66)는 상기 구멍(62)으로부터 평면부(63)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돌기(65)에 결합된다. 상기 레버 작동부재(66)는 상기 배면 하우징(89)의 평면부(63)에서 회전된다. 상기 레버 축(64)은 상기 스프링 블록(5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레버 작동 부재(66)가 사용자에 의해 움직일 때, 상기 레버 축(64)은 회전한다. 상기 레버 축(64)상에 제공되는 돌기(67)는 상기 레버 축(64)의 회전각에 따라서 그 말단들의 높이가 변화하므로, 상기 전체 스프링 블록(50)은 상기 스프링 블록(50)의 하부 표면에 대한 높이 및 상기 판 스프링(52)을 지지하기 위한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하로(Z-방향) 팽창 및 압축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부양량 및 부양력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구형의 말단을 가지는 돌기(68)는 상기 레버 축(64)의 중앙부 부근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68)는 상기 레버(64)상에 장착되는 클릭부재(91)의 홈(91a)과 맞물려서, 상기 클릭 감각을 얻는 동안 상기 레버 축(64)의 회전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본체(2)가 도 18, 도 19, 도 20A 내지 도 20C, 도 24 그리고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본체(2)는 둘로 나눠지는 상기 정면 하우징 (86) 및 배면 하우징(89)에 의해 주로 구성된다. 상기 정면 하우징(86) 및 배면 하우징(89)은 그 사이에 끼우는 고무 O-링(55, 도 24 및 도 27 참조)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방수가능한 박스같은 공간(110)이 그들 내부에 형성된다. 더욱이, 정면 벽(86a) 및 배면 벽(89a)은 각각 상기 박스같은 공간(110)의 상부 정면 및 배면 말단으로부터 Z-방향으로 위로 연장하여서, 이러한 정면 벽(86a) 및 배면 벽(89a)의 각 내부 표면들이 헤드 유지부로 작용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56), 회로(84), 이들을 유지하는 기부(base) 등이 상기 정면 하우징(86) 및 배면 하우징(89) 안으로 형성된 박스같은 공간(110) 내에 제공된다. 상기 정면 하우징(86) 및 배면 하우징(89)은 상기 배면 하우징(89)의 후부로부터 하우징 고정 나사들로 고정된다. 게다가, 상기 하우징 고정 나사들을 삽입하는 구멍들은 나사 커버(58)로 덮힌다.
정면 패널(panel, 60)은 스위치(59)가 그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정면 표면상에 제공되는 고리들에 의해 상기 정면 하우징(86)의 정면 표면상에 결합된다. 배면 패널(61)은 상기 배면 하우징(89)의 배면 표면상에 결합된다.
도 18, 도 20A 내지 도 20C에서 점을 찍은 구역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양 측면에서부터 상기 정면(2A)의 하반부(2AL)까지 상기 정면 하우징(86)상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양측면(2B)에서부터 상기 배면(2C)의 하반부(2CL)까지 상기 배면 하우징(89)상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면 하우징(86)을 배면 하우징(89)에 결 합함으로써, 상기 반 미끄러짐부(8)는 상기 본체(2) 주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양측면(2B)에서부터 상기 배면(2C)의 하반부(2CL)까지 및 상기 양측면(2B)에서부터 상기 정면(2A)의 하반부(2AL)까지 상기 본체(2)상에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도 20A 내지 도 20C, 도 24 그리고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리머 블록(70)은 상하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배면 패널(61)상에 장착된다. 그것의 상 미끄러짐부에서, 도 24에 도시한 트리머 구동부재(71)는 구동되도록, 도 26에 도시한 상기 헤드부(3)내에 제공되는 상기 트리머 구동 로드(rod, 33)에 결합된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2002-158079, 2002-176450, 그리고 2002-319827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상기 특허 출원들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 발명으로 논리적으로 구체화될 것이다.
본 출원 발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사용하면서 충분히 설명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경과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과 수정들이 본 출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면도기에서, 상기 면도기의 정단면의 형상은 본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토르소 모양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면도기 전체의 측단면 형상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면도기를 쥘 때, 상기 면도기 본체의 검지 및 엄지 사이 부분과의 접촉 면적은, 상기 토르소 모양 및 본질적으로 S자-모양을 가지는 상기 면도기 배면상의 배면 볼록만곡부 때문에 증가한다. 더욱이, 본질적으로 S자-모양으로 상기 하배면상의 배면 오목만곡부 때문에,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손의 소지구와의 그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상기 소지구와 상기 검지 및 엄지 사이 부분과의 접촉 면적이, 상기 면도기를 안정적으로 쥐는 데 중요한 것으로서 확보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면도기를 잡고 쥘 때, 상기 모지구는 상기 토르소-모양의 목부와 맞춰져서, 무리 없이 그것을 잡고 쥘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검지 및 엄지 사이의 접촉 면적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면도기의 배면상의 배면 볼록만곡부 때문에 증가되므로, 반대편 토르소-모양의 목부 및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하만곡부를 따라 접촉하는 상기 중지, 약지 그리고 새끼손가락으로,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그것을 쥐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엄지 및 검지는 상기 면도기를 쥔다; 상기 모지구의 볼록 곡면은 상기 토르소-모양의 목부에 맞춰진다; 그리고 소지구는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상기 본체의 하배면상의 배면 오목만곡부를 따라 접촉한다. 그러한 경우에, 피부에 대한 상기 면도기 헤드부의 면도칼의 각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상기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 등이 토르소-모양의 목부 및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하만곡부 부근을 따라, 상기 목부 및 정면으로 볼록한 상기 하만곡부 부근을 누르는 방식으로, 상기 엄지 및 검지로 잡는 부분을 지레받침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면도기를 앞뒤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약간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피부에 대한 상기 면도칼 각의 미세 조정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지구의 볼록 곡면이 이 때에 상기 토르소-모양의 목부에 맞춰지므로, 상기 면도기 측면에 대해 상기 모지구를 강하게 누를 필요가 없고, 상기 모지구는 지레받침으로 사용되는 엄지 및 검지 손가락에 의해 잡히는 부분과 함께 회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아서, 상기 미세 조정이 손목을 움직이지 않고도 쉽게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손바닥과 각 손가락들의 접촉 면적이 확보되어서, 맞는 느낌을 향상시키고,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며, 사용하기 쉽게 하고, 그리고 특히, 피부에 대한 면도기의 각을 미세하게 맞추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외부날(outer blade) 및 내부날(inner blade)을 가지는 면도칼(razor)을 포함하는 헤드부가 본체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면도기로서,
    전체적으로 상기 면도기의 정단면은 본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상기 면도기의 상하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목부(neck portion)를 가지는 토르소 모양(torso shape)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상기 면도기의 측단면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일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면도기를 잡을 때 그립부(grip portion)로 기능하고, 상기 그립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 일부의 측단면은 본질적으로 헤링본(herringbone) 형상을 가지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그립부로 기능하는 상기 본체 일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본질적으로 헤링본 형상의 정점의 측면에서, 위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상기 면도기의 정단면의 토르소 모양 내의 상기 목부는, 전체적으로 상기 면도기의 측단면의 본질적으로 S자-모양 내에, 상만곡부의 정점과 하만곡부의 정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상기 면도기의 정단면의 토르소 모양 내의 상기 목부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더 좁고, 그 하단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제공되는 상기 내부날은 왕복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6. 외부날(outer blade) 및 내부날(inner blade)을 가지는 면도칼(razor)을 포함하는 헤드부가 본체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면도기로서,
    전체적으로 상기 면도기의 정단면은 본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상기 면도기의 상하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목부(neck portion)를 가지는 토르소 모양(torso shape)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상기 면도기의 측단면은 본질적으로 S자-모양을 가지며,
    반 미끄러짐부(anti slip portion)가 최소한 상기 본체의 배면 및 측면상에 제공되고,
    트리머(trimmer)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하로 미끄러질 수 있는 트리머 작동부(trimmer operation portion)가 상기 면도기의 배면에 제공되고;
    상기 반 미끄러짐부는 상기 트리머 작동부상에 제공되며; 그리고
    그 위에 제공되는 상기 반 미끄러짐부를 가지는 상기 트리머 작동부는,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상만곡부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7. 제 6항에 있어서,
    반 미끄러짐부가 상기 본체의 정면상에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 미끄러짐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로 기능하는 상기 본체 일부의 정단면은, 그 정측면상의 곡률보다 배측면상에 더 큰 곡률을 가지는, 본질적으로 난형(卵形)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난형의 형상에서 단축 대 장축의 비는, 상기 본체를 쥘 때 중지의 위치 부근에서 단축: 장축
    Figure 112004051507242-pct00002
    1: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내에 제공되는 상기 내부날은, 왕복날이고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서 정면부 및 배면부가 본질적으로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3. 제 1항에 있어서,
    반 미끄러짐부가 최소한 상기 본체의 배면 및 측면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반 미끄러짐부가 상기 본체의 정면에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반 미끄러짐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16. 제 13항에 있어서,
    트리머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하로 미끄러질 수 있는 트리머 작동부가 상기 면도기의 배면에 제공되고;
    상기 반 미끄러짐부는 상기 트리머 작동부상에 제공되며; 그리고
    그 위에 제공되는 상기 반 미끄러짐부를 가지는 상기 트리머 작동부는, 본질적으로 S자-모양의 상만곡부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KR1020047017958A 2002-05-30 2003-03-28 면도기 KR100658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8079 2002-05-30
JP2002158079 2002-05-30
JPJP-P-2002-00176450 2002-06-17
JP2002176450 2002-06-17
JPJP-P-2002-00318927 2002-10-31
JP2002318927A JP4396094B2 (ja) 2002-05-30 2002-10-31 電気かみそり
PCT/JP2003/004046 WO2003101682A1 (fr) 2002-05-30 2003-03-28 Raso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497A KR20040106497A (ko) 2004-12-17
KR100658516B1 true KR100658516B1 (ko) 2006-12-15

Family

ID=2971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958A KR100658516B1 (ko) 2002-05-30 2003-03-28 면도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50300B2 (ko)
EP (1) EP1508410B1 (ko)
JP (1) JP4396094B2 (ko)
KR (1) KR100658516B1 (ko)
CN (1) CN1655910B (ko)
AT (1) ATE499185T1 (ko)
AU (1) AU2003220983A1 (ko)
DE (1) DE60336129D1 (ko)
TW (1) TWI257343B (ko)
WO (1) WO2003101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6787B2 (en) * 2004-03-30 2009-05-26 Ridgewood Industries Llc Wet razor and electric trimmer assembly
JP2006042898A (ja) * 2004-07-30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かみそり
JP4552646B2 (ja) * 2004-12-16 2010-09-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除毛装置
JP4229091B2 (ja) * 2005-05-31 2009-02-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体毛処理器具
JP4747904B2 (ja) * 2005-07-29 2011-08-1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ェーバー
DE102006028470A1 (de) * 2006-06-21 2007-12-27 Braun Gmbh Elektrisch betriebener Rasierapparat
JP2008023025A (ja) * 2006-07-20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ェーバ洗浄装置およびシェーバシステム
US20080034591A1 (en) * 2006-08-08 2008-02-14 Kam Fai Fung Shaver with swivel head
US9027251B2 (en) * 2009-04-29 2015-05-12 Spectrum Brands, Inc. Rotary electric shaver
USD676602S1 (en) * 2011-01-12 2013-02-19 Braun Gmbh Cleaning center for a shaver
JP5838335B2 (ja) * 2011-10-21 2016-0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991616B2 (ja) 2012-08-29 2016-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バリカン
US10391650B2 (en) * 2015-11-03 2019-08-27 Spectrum Brands, Inc. Hair grooming appliance
EP3546146B1 (en) * 2018-03-27 2021-08-18 Braun GmbH Hair removal device
EP3546149B1 (en) * 2018-03-27 2021-05-12 Braun GmbH Hair removal device
EP3546151A1 (en) 2018-03-27 2019-10-02 Braun GmbH Personal ca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9A (en) * 1854-05-16 Shower-bath
US50463A (en) * 1865-10-17 Improvement in saw-sets
US2086716A (en) * 1935-09-30 1937-07-13 Koehler James Frederic Shaving implement
US2207269A (en) * 1938-11-16 1940-07-09 Henry T Schiff Nonslip shaving implement
US2284038A (en) * 1940-02-02 1942-05-26 Bruecker John Shaving implement
US3639984A (en) * 1969-06-06 1972-02-08 Sunbeam Corp Electric dry shaver with inclined shaving head
US4274199A (en) * 1979-01-02 1981-06-23 Sunbeam Corporation Electric shaver
JPS6365279A (ja) 1986-09-05 1988-03-23 吉本 良平 高湿度型冷蔵庫
JPH0547489Y2 (ko) * 1986-10-20 1993-12-14
DE8911280U1 (ko) * 1989-09-22 1991-01-24 Wilkinson Sword Gmbh, 5650 Solingen, De
JPH0523447A (ja) * 1991-07-25 1993-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転式電気かみそり
AT398721B (de) * 1992-05-19 1995-01-2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sierapparat mit einer verstellbaren zahnschneideinrichtung
DE4336231C1 (de) * 1993-10-23 1994-05-26 Braun Ag Trockenrasierapparat mit einem Kurzhaarschneidsystem und einem verschiebbaren Langhaarschneidsystem
AT400418B (de) 1993-11-05 1995-12-27 Philips Electronics Nv Rasiergerät mit einem verstellbaren folienartigen obermesser
JP3201689B2 (ja) * 1994-01-10 2001-08-27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USD386822S (en) * 1996-04-08 1997-11-25 Remington Corporation, L. L. C. Ladies shaver
US5903978A (en) * 1996-08-16 1999-05-18 American Safety Razor Company Razor handle and caddy
USD463883S1 (en) * 1997-11-07 2002-10-01 Payer Electroprodukte Lady's shaver
EP1045754B1 (en) * 1998-10-23 2003-03-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with a housing provided with a synthetic resin wall portion with a synthetic resin panel provided thereon
CN1294544A (zh) * 1999-03-01 2001-05-09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具有带弯曲齿端部的捕毛齿的齿形刀片
USD429377S (en) * 1999-04-23 2000-08-08 U.S. Philips Corporation Electric shaver with integrated emulsion dispenser device
US6317982B1 (en) * 1999-10-22 2001-11-20 Remington Corporation L.L.C. Shaving system and adjustable trimmers therefor
JP4569983B2 (ja) * 2000-01-14 2010-10-27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US6301792B1 (en) * 2000-01-25 2001-10-16 Roger D. Speer Rechargeable shaving apparatus for vehicle
USD441912S1 (en) * 2000-04-06 2001-05-08 Remington Corporation, L.L.C. Wet/dry shaver
JP2001355734A (ja) * 2000-06-13 2001-12-26 Izumi Products Co シール構造
JP2002095878A (ja) * 2000-09-26 2002-04-02 Sanyo Electric Co Ltd 電気かみそり
US6957490B2 (en) * 2001-07-24 2005-10-25 Rovcal, Inc. Drive system for beard and mustache trimmer
KR100562388B1 (ko) * 2001-11-15 2006-03-17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크레이들 면도헤드를 구비한 전기면도기
KR100563481B1 (ko) 2002-06-17 2006-03-27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면도기의 가동헤드 유지구조
JP2006042898A (ja) * 2004-07-30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かみそ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8410B1 (en) 2011-02-23
TW200400104A (en) 2004-01-01
EP1508410A4 (en) 2007-06-27
AU2003220983A1 (en) 2003-12-19
US20050229400A1 (en) 2005-10-20
ATE499185T1 (de) 2011-03-15
EP1508410A1 (en) 2005-02-23
US7350300B2 (en) 2008-04-01
JP4396094B2 (ja) 2010-01-13
WO2003101682A1 (fr) 2003-12-11
KR20040106497A (ko) 2004-12-17
CN1655910B (zh) 2010-04-28
CN1655910A (zh) 2005-08-17
TWI257343B (en) 2006-07-01
JP2004073816A (ja) 2004-03-11
DE60336129D1 (de)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516B1 (ko) 면도기
US7020966B2 (en) Dry shaver with a cradle shaving head
RU2681234C2 (ru) Ручка бритвы с механизмом фиксации и отсоединения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и отсоединения кассеты бритвы
KR101174609B1 (ko) 바리캉
US7757404B2 (en) Personal trimming system
KR100624291B1 (ko) 헤어 커터의 깎기 높이 조정 기구
EP1661672B1 (en) Reciprocating-type electric shaver
EP1600265B1 (en) Personal trimming system
JP4789188B2 (ja) 電気かみそり
JP6900140B1 (ja) ハンドル屈曲剃刀
JP4295502B2 (ja) セニング用レザー
JP2004016813A (ja) 電気かみそり
WO2003106119A1 (ja) シェーバ
JP2004173889A (ja) 剃刀
JPS58143790A (ja) ヘアカツタ−のスライドスイツチ
JPS59135089A (ja) 電気かみそり
JPS59149171A (ja) ヘア−カツ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