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895B1 - 물품 판매기 - Google Patents
물품 판매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6895B1 KR102566895B1 KR1020217014210A KR20217014210A KR102566895B1 KR 102566895 B1 KR102566895 B1 KR 102566895B1 KR 1020217014210 A KR1020217014210 A KR 1020217014210A KR 20217014210 A KR20217014210 A KR 20217014210A KR 102566895 B1 KR102566895 B1 KR 1025668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ympanic chamber
- duct
- chamber
- temperature
- tympanic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구성으로 1개의 열교환기에 의해 2개의 고실(庫室)을 다른 원하는 온도로 설정 가능하게 하는 물품 판매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면(前面)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6)를 갖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캐비닛(4)과, 캐비닛(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어와, 캐비닛(4)에 구비되고, 물품 수납부(6)에 온도조절풍(溫調風)을 순환시켜 해당 물품 수납부(6)의 온도를 조절하는 증발기(23d)를 구비한 물품 판매기로서, 물품 수납부(6)는, 격벽에 의해 상하로 상부 고실과 하부 고실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고실과 상기 하부 고실은 서로 다른 온도대로 설정되고, 상기 상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을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1 흡기구와, 상기 하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을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2 흡기구가 상기 고실의 전후 또는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다.
[해결 수단] 전면(前面)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6)를 갖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캐비닛(4)과, 캐비닛(4)의 전면을 폐색하는 도어와, 캐비닛(4)에 구비되고, 물품 수납부(6)에 온도조절풍(溫調風)을 순환시켜 해당 물품 수납부(6)의 온도를 조절하는 증발기(23d)를 구비한 물품 판매기로서, 물품 수납부(6)는, 격벽에 의해 상하로 상부 고실과 하부 고실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고실과 상기 하부 고실은 서로 다른 온도대로 설정되고, 상기 상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을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1 흡기구와, 상기 하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을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2 흡기구가 상기 고실의 전후 또는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0001] 본 발명은, 물품을 자동적으로 판매하는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 고내(庫內)의 온도조절풍(溫調風)의 순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0002] 상자형상의 캐비닛 내에 설치된 선반에 복수의 종류의 물품을 수납하고, 구입자가 선택한 물품을 자동적으로 반출(搬出)하는 구성의 물품 판매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물품 판매기(자동 판매기)에서는, 캐비닛 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된 선반의 전방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버킷(캐처 버킷)을 구비하고, 구입자가 선택한 물품을 반출 기구(機構)에 의해 선반으로부터 전방으로 밀어 내고, 해당 선반의 전방으로 이동한 버킷에 물품을 반출한다. 그리고, 물품을 실은 버킷을 물품 판매기의 하부에 설치된 물품 배출구(取出口)와 마주 보는 하방 위치까지 이동시켜, 해당 물품 배출구에서 구입자가 물품을 꺼내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0003]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물품 판매기(자동 판매기)의 고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풍의 순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물품 판매기에서는, 고실(庫室)(상품 수납고)의 하방에 증발기(evaporator) 등의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동시에, 고실의 후방에 덕트를 구비하고, 증발기에 의해 열교환된 온도조절풍이 고내의 전부(前部)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고내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통과하여, 후방의 덕트를 통해 증발기로 되돌아와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히터로 가온(加溫)되는 상부실(上室)과, 냉각 장치로 냉각되는 하부실(下室)로 단열 칸막이판에 의해 구분된 물품 판매기(자동 판매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품 판매기에서는, 예컨대 상부실은 뜨거운 음료용으로서 55℃ 정도로 가온되고, 하부실은 차가운 음료용으로서 5℃ 정도로 냉각되어 있다.
[0005] 그런데, 최근에는, 복수의 종류의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 뜨거운 음료와 차가운 음료와 같은 조합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시락처럼 가온 음료의 온도보다 낮지만 냉각 음료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보관을 요하는 것과 통상의 냉각 음료처럼, 물품의 종류에 따라 다른 온도에서 수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0006] 이와 같이 고내의 온도를 다른 온도로 조절하는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2와 같이 고실의 하방에 설치한 1개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온도조절풍을 순환시키는 구조에서는, 고내를 하나의 설정 온도로 하기는 하지만 외부로부터의 침입열 등에 의한 결과로, 고내의 상부가 높은 온도가 되고 고내의 하부가 낮은 온도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 고내의 상부와 하부를 개별적으로 원하는 설정 온도로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0007] 고내를 분할하여 개별적으로 열교환기를 설치하면, 다른 원하는 설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기는 하지만, 열교환기가 적어도 2개 필요해져서 부품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동시에, 열교환기의 설치 공간이 증가하여 물품 판매기 전체의 대형화 혹은 고실의 소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0008] 또한, 예컨대 특허문헌 3과 같이, 히터와 냉각 장치로, 상하부실(上下室)을 가온, 냉각하는 경우, 각각을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기는 하지만, 가온 설정 온도보다 낮고, 냉각 설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하고, 또한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0009]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1개의 열교환기에 의해 2개의 고실을 다른 원하는 온도로 설정 가능하게 하는 물품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0]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물품 판매기는, 전면(前面)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고실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폐색하는 문부(扉部)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상기 고실을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고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물품 판매기로서, 상기 고실은, 격벽에 의해 상하로, 서로 다른 온도대로 설정되는 상부 고실과 하부 고실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을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1 흡기구와, 상기 하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을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2 흡기구가 상기 고실의 전후 또는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흡기구는, 상기 하부 고실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흡기구는, 상기 상부 고실의 좌우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의 면에 설치되면 된다.
[0012]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고실에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온도조절풍을 배출하는 제1 취출구(吹出口)는, 상기 상부 고실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고실에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온도조절풍을 배출하는 제2 취출구는, 상기 하부 고실의 후면에 배치되면 된다.
[0013]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부 고실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고실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상부 고실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덕트와 제2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덕트는, 상부에 상기 제1 취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덕트는, 상부에 상기 상부 고실을 향한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하부 고실에 면하여 상기 제2 취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덕트에, 상기 제2 취출구보다 상방으로의 온도조절풍의 이동을 억제하는 플랩을 구비하면 된다.
[0014]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실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물품을 지지(保持)하는 복수의 선반과, 판매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선반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선반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출하는 반출 기구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의 상기 선반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반출 기구에 의해 상기 선반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출된 물품을 받아들여, 상기 캐비닛의 상기 선반의 하방에 설치된 배출구로 반송(搬送)하는 버킷과, 상기 선반의 전방의 상기 버킷이 이동하는 공간을 상기 격벽의 상하 위치에서 상하로 구획하는 보조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격벽에 상기 상부 고실과 상기 하부 고실 사이에서 공기를 유통시키는 팬을 구비하면 된다.
[0015] 본 발명에 따르면, 캐비닛에 구비된 열교환기로부터 상부 고실 및 하부 고실의 각각에 온도조절풍을 공급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상부 고실과 하부 고실을 서로 다른 온도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6] 상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을 흡입하여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1 흡기구와, 하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을 흡입하여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2 흡기구가, 고실의 전후 또는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므로, 제1 흡기구를 통해 상부 고실과 열교환기를 잇는 온도조절풍의 유로(流路)와, 제2 흡기구를 통해 하부 고실과 열교환기를 잇는 온도조절풍의 유로를, 따로따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상부 고실을 순환하는 온도조절풍의 풍량과, 하부 고실을 순환하는 온도조절풍의 풍량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7] 또한, 제1 흡기구와 제2 흡기구가 고실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므로, 각각의 흡기구를 통과하는 온도조절풍의 유로에 있어서, 서로 방해가 되지 않고 유로 면적을 크게 설정할 수 있어, 상부 고실 및 하부 고실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0018] 이에 의해, 컴팩트한 구성으로 1개의 열교환기에 의해 상부 고실 및 하부 고실을 서로 다른 원하는 온도로 설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19]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개략 외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냉각풍 순환용 덕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후부(後部) 덕트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덕트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 내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하부 덕트 내의 팬 및 증발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냉각풍의 순환 경로를 나타내는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선반의 하부에 고내 격벽을 설치한 경우에서의, 상부 고실에 있어서의 온도조절풍의 순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의 상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선반의 하부에 고내 격벽을 설치한 경우에서의, 상부 고실에 있어서의 온도조절풍의 순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의 상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순환 경로를 나타내는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냉각풍 순환용 덕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후부(後部) 덕트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덕트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 내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하부 덕트 내의 팬 및 증발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냉각풍의 순환 경로를 나타내는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선반의 하부에 고내 격벽을 설치한 경우에서의, 상부 고실에 있어서의 온도조절풍의 순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의 상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선반의 하부에 고내 격벽을 설치한 경우에서의, 상부 고실에 있어서의 온도조절풍의 순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의 상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순환 경로를 나타내는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
[0020]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21]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개략 외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물품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0022]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판매기(1)는, 물품을 수납하는 본체 유닛(2)과, 조작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0023] 본체 유닛(2)은, 전면을 개구한 상자형(箱型)으로 형성되고, 전면 개구를 덮는 도어(5)(문부)를 구비한 상자형상의 캐비닛(4)을 갖고 있다. 또한, 캐비닛(4)의 내부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6)(고실)가 설치되어 있다.
[0024] 조작 유닛(3)은, 본체 유닛(2)의 측방(側方)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물품의 선택 스위치와, 지폐, 동전 등의 수용이나 거스름돈의 지급, 혹은 전자 화폐 등에 의한 요금의 결제를 행하는 과금부(課金部)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유닛(3)은, 과금부에 있어서 요금의 결제가 행해지고, 선택 스위치에 의해 물품의 선택 조작이 됨으로써, 판매 명령을 본체 유닛(2)에 송신한다.
[0025]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2)의 도어(5)의 전면 상부에는, 투명한 유리나 수지에 의해 형성된 투명판(10)에 의해 내부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어(5)의 하부에는, 직사각형상의 물품 배출구(11)(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물품 배출구(11)에는, 직사각형 판형상(板狀)의 배출구 셔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 셔터(12)는, 물품 배출구(11)의 상부 가장자리부(緣部)에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출구 셔터(1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색 위치에서 물품 배출구(11)를 폐색하고, 이 폐색 위치로부터 하부를 후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물품 배출구(11)가 개구된다.
[0026] 캐비닛(4)의 내부의 물품 수납부(6)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부(前部)를 개구한 복수 개(예컨대 6개)의 선반(13a~13f)이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물품 수납부(6)에 있어서의 최하단(最下段)의 선반(13f)은 상하 방향으로 수납 공간이 커서, 예컨대 500ml의 패트병 음료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큰 물품을 수납하는 한편, 최상단(最上段)의 제1 선반(13a)은 상하 방향으로 수납 공간이 작아서, 비교적 작은 물품을 수납한다. 선반(13a~13f)은, 도어(5)를 연 상태에서 각각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캐비닛(4) 내에 배치된다.
[0027] 또한, 본 실시형태의 물품 수납부(6)는, 단열재에 의해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고내 격벽(40)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고내 격벽(40)이 캐비닛(4)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물품 수납부(6)는 고내 격벽(40)에 의해 상부 고실(6a)과 하부 고실(6b)로 된 상하 2개의 고실로 구획된다. 이들 2개의 고실(6a, 6b)은 서로 온도대가 다르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6단의 선반(13a~13f) 중, 상방으로부터 2단까지의 제1 선반(13a) 및 제2 선반(13b)을 내부에 구비하는 상부 고실(6a)은, 고내 온도를 20℃ 정도로 설정하여, 도시락 등을 수납하는 한편, 하방의 4단의 선반(13c~13f)을 구비하는 하부 고실(6b)은, 고내 온도를 4℃로 설정하여, 음료 등이 수납된다. 한편, 고내 격벽(40)이 캐비닛(4)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물품 수납부(6)는 1개의 고실이 되어, 거의 동일한 온도대로 설정된다.
[0028] 고내 격벽(40)은, 캐비닛(4)의 좌우의 내벽면에 구비된 미도시된 레일에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캐비닛(4) 내에 배치된다. 캐비닛(4)에는, 고내 격벽(40)이 상방으로부터 3단까지의 선반(13a, 13b, 13c)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각각 레일이 구비되어 있다.
[0029] 또한, 각각의 선반(13a~13f)에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개의 반출 기구(14)가 구비되어 있다. 반출 기구(14)는, 예컨대 스파이럴형상의 금속봉을 회전시키는 기구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반(13a~13f)에는, 반출 기구(14)마다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물품이 수납되어 있고, 임의의 반출 기구(14)의 작동에 의해, 1개씩 선반(13a~13f)의 전방으로 밀려나오도록 하여 반출된다.
[0030] 선반(13a~13f)의 전단부(前端部)와 도어(5)의 전면인 투명판(10) 사이에는, 버킷(30)이 이동하는 공간(space)(이후, 버킷 이동 공간(21)이라고 함)이 형성되어 있다.
[0031] 버킷(30)은, 선반(13a~13f)의 좌우 방향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고, 버킷 이동 공간(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버킷(30)은, 캐비닛(4)의 내부에 설치된 미도시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버킷(30)의 바닥판(底板)(31)의 후단부(後端部)가 각 선반(13a~13f)의 바닥판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최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후술하는 버킷(30)의 천장판(天板)(32)이 최하단의 선반(13f)의 저면(底面)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최하방으로 이동한 버킷(30)의 위치가 대기·배출 위치이며, 이 대기·배출 위치에 있어서, 버킷(30)의 전면에 물품 배출구(11)가 위치하고, 배출구 셔터(12)를 엶으로써, 버킷(30) 내에 손을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0032] 또한, 캐비닛(4)의 내부의 버킷 이동 공간(21)에는, 버킷 이동 공간(21)을 상하로 구획하는 보조 격벽(41)이 구비되어 있다. 보조 격벽(41)은 투명한 수지 등에 의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 격벽(41)은, 예컨대 캐비닛(4)의 전부(前部)의 좌우의 내벽면에 구비된 미도시된 가이드를 따라, 버킷 이동 공간(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버킷(30)이 보조 격벽(41)의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보조 격벽(41)은 고내 격벽(40)과 동일한 상하 위치에 위치하며, 버킷 이동 공간(21)을 상하로 구획한다. 따라서, 보조 격벽(41)은, 상부 고실(6a)과 하부 고실(6b)이 버킷 이동 공간(21)에서 연결되어 통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버킷(30)이 보조 격벽(41)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보조 격벽(41)은, 버킷(30)의 천장판(32)에 놓여, 버킷(30)과 함께 고내 격벽(40)보다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버킷(30)이 상부 고실(6a)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0033] 본체 유닛(2)의 내부에는, 물품 수납부(6)의 하방에 기계실(22)이 구비되어 있다. 기계실(22)에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기기에 있어서의 응축기(23a), 응축기용 팬(23b), 압축기(23c)가 구비되어 있다. 기계실(22)의 전부 및 후부는, 외부와 연결되어 통해 있다. 또한, 기계실(22)과 최하단의 선반(13f) 사이에는, 하부 덕트(24)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 덕트(24)에는, 냉각 기기에 있어서의 증발기(23d)(열교환기) 및 증발기(23d)용 팬(23e)이 구비되어 있다. 팬(23e)은, 증발기(23d)의 후방에 배치되고, 하부 덕트(24)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또한, 기계실(22)을 제외한 캐비닛(4)의 내부에는, 외부와의 열교환을 억제하기 위해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5)의 투명판(10)에 관해서는, 단열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0034] 하부 덕트(24)의 후부는, 물품 수납부(6)의 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부 덕트(25)와 연결되어 통해 있다. 또한 물품 수납부(6)의 상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덕트(26)가 구비되어 있다.
[0035] 상부 덕트(26)의 전방의 개구부는, 버킷 이동 공간(21)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덕트(26)의 전방의 개구부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예컨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도풍판(導風板)(27)이 설치되어 있다.
[0036] 한편, 하부 덕트(24)의 전단부에는, 백 패널(28)이 설치되어 있다. 백 패널(2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덕트(24)와 그 전방의 버킷 이동 공간(21)을 구획한다. 또한, 백 패널(28)의 상부는, 상방을 향해 후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8a)를 갖고 있다. 경사부(28a)에는, 복수의 통기구멍(28c)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구멍(28c)은, 경사부(28a)의 거의 전역에 걸쳐, 예컨대 거의 1cm 간격으로 전후좌우로 복수 개 나란히 형성된 직경 수 mm 정도의 구멍이다.
[0037] 또한, 하부 고실(6b) 내의 공기를 하부 덕트(24)로 유도하는 버킷 이동 공간(21)부터 백 패널(28)의 통기구멍(28c)까지가, 본 발명의 제2 흡기구에 해당한다.
[0038] 또한, 상부 덕트(26) 내에는, 전기 히터(45)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부 덕트(26) 내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히터 팬(46)을 구비하고 있다.
[0039] 도 3은, 냉각풍 순환용 덕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4)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후부 덕트(25)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캐비닛(4)의 내부를 후방으로 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덕트의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4) 내부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5에 있어서는, 선반(13a~13f), 물품 수납부(6)와 하부 덕트(24)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 백 패널(28), 버킷(30)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0040]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비닛(4)의 내부에는, 상기의 하부 덕트(24), 후부 덕트(25) 및 상부 덕트(26) 외에, 추가로 물품 수납부(6)의 좌우에 각각 측부(側部) 덕트(50a, 50b)를 구비하고 있다.
[0041] 측부 덕트(50a, 50b)는, 캐비닛(4)의 좌우의 측벽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좌측부 덕트(50a) 및 우측부 덕트(50b)를 갖고 있다. 좌우의 측부 덕트(50a, 50b)의 하부에는, 각각, 하부 덕트(24)에 면하여 개구되는 직사각형상의 하부 개구부(51a, 51b)를 갖고 있다. 좌우의 측부 덕트(50a, 50b)의 상부에는, 상부 고실(6a) 혹은 하부 고실(6b)에 면하여 개구되는 4개의 측부 개구부(52a, 52b, 52c, 52d)를 갖고 있다. 측부 개구부(52a, 52b, 52c, 52d)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제1 측부 개구부(52a)는, 상부 덕트(26)와 최상단의 제1 선반(13a) 사이의 상하 위치에 배치된다. 상방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하는 제2 측부 개구부(52b)는, 제1 선반(13a)과 상방으로부터 2번째의 제2 선반(13b) 사이의 상하 위치에 배치된다. 상방으로부터 3번째에 위치하는 제3 측부 개구부(52c)는, 제2 선반(13b)과 상방으로부터 3번째의 제3 선반(13c) 사이의 상하 위치에 배치된다. 측부 개구부(52a, 52b, 52c, 52d) 중 최하방에 위치하는 제4 측부 개구부(52d)는, 제3 선반(13c)과 상방으로부터 4번째의 제4 선반(13d) 사이의 상하 위치에 배치된다.
[0042] 후부 덕트(25)는, 좌우로 3 분할되어 있고, 좌측 후부 덕트(25a)(제1 덕트), 중앙 후부 덕트(25b)(제2 덕트) 및 우측 후부 덕트(25c)(제1 덕트)를 갖고 있다. 후부 덕트(25a, 25b, 25c) 모두 상단(上端)이 상부 덕트(26)로 개구되고, 하단(下端)이 하부 덕트(24)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좌측 후부 덕트(25a) 및 우측 후부 덕트(25c)의 상단의 개구부(56)는, 본 발명의 제1 취출구(吹出口)에 해당한다. 3개의 후부 덕트(25a, 25b, 25c) 중 좌우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 후부 덕트(25b)에는, 물품 수납부(6)에 면하여, 즉, 전방을 향해 개구된 직사각형상의 3개의 후부 개구부(53a, 53b, 53c)를 구비하고 있다. 후부 개구부(53a, 53b, 53c)는, 중앙 후부 덕트(25b)와 거의 동일한 좌우 길이이며,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3개의 후부 개구부(53a, 53b, 53c) 중,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제1 후부 개구부(53a)는, 제1 선반(13a)과 제2 선반(13b) 사이에 배치된다. 상방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하는 제2 후부 개구부(53b)는, 제2 선반(13b)과 제3 선반(13c) 사이에 배치된다. 후부 개구부(53a, 53b, 53c) 중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제3 후부 개구부(53c)는, 제3 선반(13c)과 제4 선반(13d)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중앙 후부 덕트(25b)에는, 제1 선반(13a)보다 상방에 물품 수납부(6)에 면하여 후부 개구부(57)가 구비되어 있다.
[0043] 한편, 3개의 후부 덕트(25a, 25b, 25c) 중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후부 덕트(25a)와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후부 덕트(25c)는, 하부 덕트(24)와 상부 덕트(26) 사이에서, 물품 수납부(6)를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고 있지 않다.
[0044] 후부 개구부(53a, 53b, 53c)의 후방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후부 개구부(53a, 53b, 53c)를 개폐하는 후부 플랩(54a, 54b, 54c)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후부 플랩(54a, 54b, 54c)은, 중앙 후부 덕트(25b)의 좌우폭과 거의 동일한 좌우폭이며, 상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중앙 후부 덕트(25b) 내에서 하부가 전후로 회동(回動)한다.
[0045] 후부 플랩(54a, 54b, 54c)은, 미도시된 스프링 등에 의해 하단이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후부 플랩(54a, 54b, 54c)은, 후부 개구부(53a, 53b, 53c)에 대해, 상하 사이즈가 짧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부 플랩(54a, 54b, 54c)이 후부 개구부(53a, 53b, 53c)를 닫힘 상태로 하더라도, 완전하게는 후부 개구부(53a, 53b, 53c)가 폐쇄되지 않아, 후부 플랩(54a, 54b, 54c)의 하방에 개구부가 존재한다. 따라서, 후부 개구부(53a, 53b, 53c)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상시 열림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부 플랩(54a, 54b, 54c)은, 하단이 캐비닛(4)의 후벽(後壁)에 접촉할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다. 후부 플랩(54a, 54b, 54c)의 하단이 후벽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후부 플랩(54a, 54b, 54c)이 해당 접촉 위치에 있어서 중앙 후부 덕트(25b)를 상하로 차폐한다.
[0046] 측부 개구부(52a, 52b, 52c, 52d)의 상측 가장자리부에는, 측부 개구부(52a, 52b, 52c, 52d)를 개폐하는 측부 플랩(55a, 55b, 55c, 55d)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측부 플랩(55a, 55b, 55c, 55d)은, 미도시된 스프링 등에 의해 측부 개구부(52a, 52b, 52c, 52d)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47] 고내 격벽(40)이, 상방으로부터 3번째까지의 선반(13a, 13b, 13c)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었을 때, 고내 격벽(40)에 가장 가까운 상방의 측부 개구부(52a, 52b, 52c, 52d)가 개구되도록 측부 플랩(55a, 55b, 55c, 55d)이 측방으로 회동되는 동시에, 고내 격벽(40)에 가장 가까운 하방의 후부 플랩(54a, 54b, 54c)이 후벽에 접촉하도록 후방으로 회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내 격벽(40)이 위로부터 2번째의 선반(13b)과 3번째의 선반(13c) 사이에 설치된 경우에는, 위로부터 2번째의 좌우의 측부 플랩(55b)이 좌우 방향 외방(外方)으로 회동하여 제2 측부 개구부(52b)를 개구하는 한편, 위로부터 2번째의 후부 플랩(54b)이 후방으로 회동하여 제2 후부 개구부(53b)를 크게 개구하는 동시에 중앙 후부 덕트(25b)에 있어서의 후부 플랩(54b)으로부터 상방으로의 냉각풍의 이동을 방해한다.
[0048] 캐비닛(4) 내에는, 제1 선반(13a), 제2 선반(13b), 제3 선반(13c)의 상측에 근접하여 각각 온도 센서(58a, 58b, 58c)가 설치되어 있다.
[0049] 도 6은, 하부 덕트(24) 내의 팬(23e) 및 증발기(23d)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하부 덕트(24) 내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0050]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덕트(24)에 있어서 증발기(23d)의 후방에 설치된 팬(23e)은, 4개의 팬(23f~23i)을 좌우로 나란히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덕트(24)에는, 냉각풍을 유도하는 격벽(60a, 60b, 60c)이 구비되어 있다. 증발기(23d)의 전후를 구획하는 격벽(60a)은, 하부 덕트(24)의 전방의 백 패널(28)의 통기구멍(28c)을 통과한 냉각풍과, 하부 덕트(24)의 측방에 연결되어 통하는 측부 덕트(50a, 50b)의 하부 개구부(51a, 51b)를 통과한 냉각풍이 증발기(23d)의 전방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60b)은, 증발기(23d)와 팬(23e) 사이에 설치되고, 증발기(23d)를 통과한 냉각풍이, 우측 2개의 팬(23h, 23i)과 좌측 2개의 팬(23f, 23g)으로 나누어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격벽(60c)은, 팬(23e)과 후부 덕트(25) 사이에 설치되고, 4개의 팬(23f, 23g, 23h, 23i) 중, 중앙부의 2개의 팬(23g, 23h)에 의해 하부 덕트(24)의 후방으로 유도된 냉각풍이, 중앙 후부 덕트(25b)로 유도된다. 좌측의 팬(23f)에 의해 후방으로 유도된 냉각풍은, 일부가 중앙 후부 덕트(25b)로 유도되는 한편, 잔부(殘部)가 좌측 후부 덕트(25a)로 유도된다. 우측의 팬(23i)에 의해 후방으로 유도된 냉각풍은, 일부가 중앙 후부 덕트(25b)로 유도되는 한편, 잔부가 우측 후부 덕트(25c)로 유도된다.
[0051] 4개의 팬(23f~23i)은, 캐비닛(4)의 내부에 구비된 미도시된 컨트롤 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
[0052] 컨트롤 유닛은, 온도 센서(58a, 58b, 58c)의 검출치와 미도시된 온도 설정 장치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근거하여, 4개의 팬(23f, 23g, 23h, 23i)을 포함하는 냉각 기기와, 전기 히터(45) 및 히터 팬(46)을 작동 제어함으로써, 상부 고실(6a) 및 하부 고실(6b)의 각각의 온도 제어를 행한다. 예컨대, 상부 고실(6a)에 도시락을 수납하고, 하부 고실(6b)에 음료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상부 고실(6a)을 20℃, 하부 고실(6b)을 4℃로 설정한다.
[0053] 도 7은, 냉각풍의 순환 경로를 나타내는 캐비닛(4)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냉각풍의 순환 경로를 화살표로 추가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상부 고실(6a)에 있어서의 온풍의 순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캐비닛(4)의 상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선반(13b)의 하부에 고내 격벽(40)을 설치한 경우, 도 9는, 제1 선반(13a)의 하부에 고내 격벽(40)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0054]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기기의 압축기(23c) 및 팬(23b)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하부 덕트(24) 내의 팬(23e)(23f~23i)을 작동시킴으로써, 증발기(23d)를 통과하여 냉각된 냉각풍이, 하부 덕트(24)로부터 후부 덕트(25)(25a, 25b, 25c)의 하부로 유입된다. 후부 덕트(25) 중, 좌측 후부 덕트(25a) 및 우측 후부 덕트(25c)에 유입된 냉각풍은, 좌측 후부 덕트(25a) 및 우측 후부 덕트(25c)의 각각의 상부의 개구부(56)를 통해 상부 덕트(26)로 이동하고, 상부 덕트(26)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여, 버킷 이동 공간(21)의 상부에 유입된다. 또한, 버킷 이동 공간(21)은, 보조 격벽(41)에 의해 상하로 칸막이되어 있으므로, 버킷 이동 공간(21)의 상부에 유입된 냉각풍은, 고내 격벽(40)의 상방에서 후방을 향해 이동하고, 고내 격벽(40)의 상방에서 개구되어 있는 측부 개구부(52b)로 유입된다. 도 7에 있어서는, 보조 격벽(41)이 위로부터 2번째의 제2 선반(13b)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측부 개구부(52a~52d) 중, 위로부터 2번째의 제2 측부 개구부(52b)가 개구된다. 그리고, 냉각풍은 좌우의 측부 덕트(50a, 50b) 내를 하방으로 이동하고 하부 덕트(24)의 증발기(23d)의 전면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고내 격벽(40)의 상방의 상부 고실(6a)은, 좌측 후부 덕트(25a) 및 우측 후부 덕트(25c)와, 좌우의 측부 덕트(50a, 50b)를 이용하여 냉각풍이 순환되어, 상부 고실(6a) 내의 제1 선반(13a) 및 제2 선반(13b)에 수납한 물품을 냉각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보조 격벽(41)이 위로부터 2번째의 선반(13b)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내 격벽(40)의 상방에서 개구되어 있는 측부 개구부(52b)가 본 발명의 제1 흡기구에 해당하고, 고내 격벽(40)의 하방에서 개구되어 있는 후부 개구부(53b, 53c)가 본 발명의 제2 취출구에 해당한다.
[0055] 한편, 후부 덕트(25) 중, 중앙 후부 덕트(25b)에 유입된 냉각풍은, 고내 격벽(40)에 의해 후방으로 열림 작동(開作動)된 후부 플랩(54b)에 의해, 중앙 후부 덕트(25b)가 상하로 칸막이됨으로써, 해당 열림 작동된 후부 플랩(54b)보다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중앙 후부 덕트(25b)에 유입된 냉각풍 전체가 하부 고실(6b)에, 특히 그 대부분이 고내 격벽(40)에 가장 가까운 하방의 후부 개구부(53b)를 통해 하부 고실(6b)에 유입된다. 하부 고실(6b)에 유입된 냉각풍은, 하부 고실(6b) 내를 전방으로 이동하고, 버킷 이동 공간(21)을 하방으로 이동하여, 백 패널(28)의 통기구멍(28c)을 통해 하부 덕트(24)의 전부(前部)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고내 격벽(40)의 하방의 하부 고실(6b)은, 중앙 후부 덕트(25b) 및 버킷 이동 공간(21)에 있어서의 보조 격벽(41)보다 하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냉각풍이 순환되어, 하부 고실(6b) 내의 선반(13c~13f)에 수납한 물품을 냉각한다.
[0056] 또한, 컨트롤 유닛은, 현재 상태(現狀)의 온도와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상부 고실(6a)을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좌우의 팬(23f, 23i)을 정지시키고, 전기 히터(45) 및 히터 팬(46)을 작동시킨다.
[005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선반(13b)의 하부에 고내 격벽(40)을 설치한 경우에는, 전기 히터(45)에 의해 가열된 상부 덕트(26) 내의 공기는, 상부 덕트(26)의 전방의 개구부를 통해 보조 격벽(41)보다 상부의 버킷 이동 공간(21)으로 이동하고, 상부 고실(6a)을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고내 격벽(40)보다 상방의 후부 개구부인 제1 후부 개구부(53a) 또는 후부 개구부(57), 고내 격벽(40)보다 상부의 중앙 후부 덕트(25b)를 통과하여, 상부 덕트(26)의 후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좌우의 팬(23f, 23i)을 정지시키고, 전기 히터(45) 및 히터 팬(46)을 작동시킴으로써, 고내 격벽(40)의 상방의 상부 고실(6a)은, 고내 격벽(40)보다 상부의 중앙 후부 덕트(25b)를 이용하여 온풍이 순환되어, 상부 고실(6a) 내의 제1 선반(13a) 및 제2 선반(13b)에 수납한 물품을 가열한다.
[005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선반(13a)의 하부에 고내 격벽(40)을 설치한 경우에는, 전기 히터(45)에 의해 가열된 상부 덕트(26) 내의 공기는, 상부 덕트(26)의 전방의 개구부를 통해 보조 격벽(41)보다 상부의 버킷 이동 공간(21)으로 이동하고, 상부 고실(6a)을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고내 격벽(40)보다 상방의 후부 개구부인 후부 개구부(57), 고내 격벽(40)보다 상부의 중앙 후부 덕트(25b)를 통과하여, 상부 덕트(26)의 후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선반(13a)의 하부에 고내 격벽(40)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좌우의 팬(23f, 23i)을 정지시키고, 전기 히터(45) 및 히터 팬(46)을 작동시킴으로써, 고내 격벽(40)의 상방의 상부 고실(6a)은, 고내 격벽(40)보다 상부의 중앙 후부 덕트(25b)를 이용하여 온풍이 순환되어, 상부 고실(6a) 내의 제1 선반(13a)에 수납한 물품을 가열한다.
[0059]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좌우의 제2 측부 개구부(52b)를 개폐하는 좌우의 측부 플랩(55b)이, 도 9에 있어서는 좌우의 제1 측부 개구부(52a)를 개폐하는 좌우의 측부 플랩(55a)이, 측부 덕트(50a, 50b) 내로 밀어 젖혀져 개구되어 있다. 그러나, 하부 덕트(24) 내의 좌우의 팬(23f, 23i)이 정지해 있으므로, 좌우의 후부 덕트(25a, 25c)로부터 상부 덕트(26)를 통해 상부 고실(6a)로 냉각풍이 공급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좌우의 후부 덕트(25a, 25c), 상부 덕트(26), 제1 또는 제2 측부 개구부(52a, 52b), 좌우의 측부 덕트(50a, 50b), 하부 덕트(24)의 순서로 공기가 유통되지 않고, 상부 고실(6a) 내를 순환하는 공기는, 제1 또는 제2 측부 개구부(52a, 52b)를 통해 유출되지 못한다. 따라서, 제1 측부 개구부(52a) 혹은 제2 측부 개구부(52b)가 개구되어 있더라도 상부 고실(6a)을 전기 히터(45)로 가온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후부 덕트(25b)는, 제1 또는 제2 후부 개구부(53a, 53b)를 개폐하는 후부 플랩(54a, 54b)이 중앙 후부 덕트(25b) 내로 밀어 젖혀져 있으므로, 해당 위치에서 폐쇄(폐색)되어 있어, 하부 덕트(24)로부터 상부 고실(6a) 내로 냉각 온도조절풍을 공급할 수는 없다.
[0060]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비닛(4)의 후부에 상부 고실(6a) 및 하부 고실(6b)에 냉각풍을 공급하는 후부 덕트(25)를 구비하고, 캐비닛(4)의 측부에 상부 고실(6a)로부터 냉각풍을 배출하는 측부 덕트(50a, 50b)를 구비했으므로, 하부 고실(6b)의 냉각풍의 순환 경로와는 독립적으로, 상부 고실(6a)로부터 증발기(23d)를 구비한 하부 덕트(24)와의 사이에서 냉각풍을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팬(23f, 23g, 23h, 23i)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상부 고실(6a)을 순환하는 냉각풍의 풍량과 하부 고실(6b)을 순환하는 냉각풍의 풍량이 각각 제어되어, 상부 고실(6a) 및 하부 고실(6b)을 효율적으로 온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후부 덕트(25)와 측부 덕트(50a, 50b)는, 다른 면(캐비닛(4)의 후측과 좌우측)에 배치했으므로, 통로 단면적을 각각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0061] 그리고, 다른 온도로 설정하는 상부 고실(6a) 및 하부 고실(6b)의 각각을, 하부 덕트(24)에 구비한 1개의 증발기(23d)를 사용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고실(6a)용 증발기를 캐비닛(4) 내의 상부에 새롭게 설치하는 것보다, 부품수를 저감하여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캐비닛(4)의 소형화 혹은 물품 수납부(6)의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0062]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0063]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고실(6a) 및 하부 고실(6b)의 좌우에 측부 덕트(50a, 50b)를 구비하고 있지만, 좌우 중 어느 한쪽에만 측부 덕트를 구비해도 된다.
[0064]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부 플랩(54a~54c)을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동시키는 구조로 하고, 해당 액추에이터의 회동 각도를 제어 가능한 구조로 해도 된다. 후부 플랩(54a~54c)의 후방으로의 회동 각도를 크게 제어함으로써, 중앙 후부 덕트(25b)를 상방으로 이동하는 냉각풍 중, 후방으로 회동한 후부 플랩(54a~54c)이 배치된 후부 개구부(53a~53c)를 통해, 후부 개구부(53a~53c)가 위치하는 (13a~13f)과 선반(13a~13f) 사이에 유입되는 냉각풍의 풍량이 많아진다.
[0065] 따라서, 컨트롤 유닛에 의해, 각 온도 센서(58a, 58b, 58c)로 검출한 온도에 근거하여, 각 온도 센서(58a, 58b, 58c)가 위치하는 후부 플랩(54a~54c)의 회동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선반(13a~13c)마다 냉각풍의 유입량을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에 따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0066] 또한, 바이메탈과 같이 온도에 따라 변형되는 부재에 의해 후부 플랩(54a~54c)을 회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에 따라 후부 플랩(54a~54c)을 회동시킬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후부 개구부(53a~53c)를 통해 상부 고실(6a) 또는 하부 고실(6b)에 유입되는 냉각풍의 풍량을 제어하여, 선반(13a~13c)마다 온도 제어할 수 있다.
[0067]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격벽(41)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보조 격벽 팬(65)을 구비해도 된다. 이 보조 격벽 팬을 작동시킴으로써, 하부 고실(6b)로부터 상부 고실(6a)로 냉각풍을 공급하여, 상부 고실(6a) 내를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격벽 팬(65)을 구비한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는, 하부 덕트(24)로부터 상부 고실(6a)로 냉각풍을 유도하는 좌측 후부 덕트(25a) 및 우측 후부 덕트(25c)를 삭제, 혹은 유로 면적을 감소시켜도 된다.
[0068] 또한, 보조 격벽 팬(65)을 구비하는 동시에, 하부 덕트(24) 내에서 공기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팬(23e)의 회전 방향을 설정하여, 상부 고실(6a) 및 하부 고실(6b) 내에서 냉각풍을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측부 덕트(50a, 50b)로부터 배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0069] 이와 같이, 냉각풍이 상부 고실(6a) 및 하부 고실(6b)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구성의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도, 측부 덕트(50a, 50b)에 의해 상부 고실(6a)의 냉각풍을 하부 덕트(24)로 유도할 수 있어, 상부 고실(6a)과 하부 고실(6b)의 냉각풍의 순환로를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팬(23e) 및 보조 격벽 팬(6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상부 고실(6a)과 하부 고실(6b)의 온도 제어를 각각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70]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기기에 의해 하부 고실(6b)을 냉각하고 있지만, 냉각 기기 대신에 히터 등의 가열 기기에 의해 온풍을 순환시켜, 하부 고실(6b)을 상부 고실(6a)과는 다른 온도로 가열하는 타입의 물품 판매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0071] 또한, 음료, 과자, 도시락 등, 각종 물품을 수납하여 판매하는 물품 판매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 내의 고실에 상하 방향으로 선반을 복수 나란히 하고, 격벽에 의해 상하의 고실로 구획 가능한 구성의 물품 판매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물품 판매기
4 캐비닛
5 도어(문부)
6 물품 수납부(고실)
6a 상부 고실
6b 하부 고실
13a~13f 선반
14 반출 기구
21 버킷 이동 공간(제2 흡기구)
23d 증발기(열교환기)
25a 좌측 후부 덕트(제1 덕트)
25b 중앙 후부 덕트(제2 덕트)
25c 우측 후부 덕트(제1 덕트)
30 버킷
40 고내 격벽
41 보조 격벽
52a, 52b, 52c, 52d 측부 개구부(제1 흡기구)
53a, 53b, 53c 후부 개구부(제2 취출구)
54a, 54b, 54c 후부 플랩(플랩)
56 개구부(제1 취출구)
65 보조 격벽 팬(팬)
4 캐비닛
5 도어(문부)
6 물품 수납부(고실)
6a 상부 고실
6b 하부 고실
13a~13f 선반
14 반출 기구
21 버킷 이동 공간(제2 흡기구)
23d 증발기(열교환기)
25a 좌측 후부 덕트(제1 덕트)
25b 중앙 후부 덕트(제2 덕트)
25c 우측 후부 덕트(제1 덕트)
30 버킷
40 고내 격벽
41 보조 격벽
52a, 52b, 52c, 52d 측부 개구부(제1 흡기구)
53a, 53b, 53c 후부 개구부(제2 취출구)
54a, 54b, 54c 후부 플랩(플랩)
56 개구부(제1 취출구)
65 보조 격벽 팬(팬)
Claims (5)
- 전면(前面)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고실(庫室)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폐색하는 문부(扉部)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상기 고실을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고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물품 판매기로서,
상기 고실은, 격벽에 의해 상하로, 서로 다른 온도대로 설정되는 상부 고실과 하부 고실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溫調風)을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1 흡기구가 상기 고실의 전후면 또는 좌우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고실로부터 온도조절풍을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유도하는 제2 흡기구가 상기 고실의 상기 전후면 또는 상기 좌우면 중 다른 쪽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기구는, 상기 하부 고실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흡기구는, 상기 상부 고실의 좌우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의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실에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온도조절풍을 배출하는 제1 취출구(吹出口)는, 상기 상부 고실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고실에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온도조절풍을 배출하는 제2 취출구는, 상기 하부 고실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부 고실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고실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상부 고실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덕트와 제2 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덕트는, 상부에 상기 제1 취출구를 갖고,
상기 제2 덕트는, 상부에 상기 상부 고실을 향한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하부 고실에 면하여 상기 제2 취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덕트에, 상기 제2 취출구보다 상방으로의 온도조절풍의 이동을 억제하는 플랩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실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물품을 지지(保持)하는 복수의 선반과,
판매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선반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선반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출(搬出)하는 반출 기구(機構)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의 상기 선반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반출 기구에 의해 상기 선반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출된 물품을 받아들여, 상기 캐비닛의 상기 선반의 하방에 설치된 배출구(取出口)로 반송(搬送)하는 버킷과,
상기 선반의 전방의 상기 버킷이 이동하는 공간을 상기 격벽의 상하 위치에서 상하로 구획하는 보조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격벽에 상기 상부 고실과 상기 하부 고실 사이에서 공기를 유통시키는 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213261 | 2018-11-13 | ||
JP2018213261A JP7257131B2 (ja) | 2018-11-13 | 2018-11-13 | 物品販売機 |
PCT/JP2019/044212 WO2020100841A1 (ja) | 2018-11-13 | 2019-11-12 | 物品販売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8130A KR20210068130A (ko) | 2021-06-08 |
KR102566895B1 true KR102566895B1 (ko) | 2023-08-11 |
Family
ID=7073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4210A KR102566895B1 (ko) | 2018-11-13 | 2019-11-12 | 물품 판매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257131B2 (ko) |
KR (1) | KR102566895B1 (ko) |
WO (1) | WO202010084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64196A (ja) * | 1986-09-04 | 1988-03-22 | 富士電機株式会社 | 自動販売機 |
KR960025253A (ko) * | 1994-12-28 | 1996-07-20 | 배순훈 | 컵 투출 유무를 선택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
JP3720889B2 (ja) * | 1995-11-28 | 2005-11-30 |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自動販売機 |
JP2000331232A (ja) | 1999-05-19 | 2000-11-30 | Fuji Electric Co Ltd | 自動販売機 |
KR100343741B1 (ko) * | 2000-08-16 | 2002-07-20 | 엘지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JP4534407B2 (ja) * | 2001-09-28 | 2010-09-01 |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自動販売機 |
JP4419803B2 (ja) | 2004-11-04 | 2010-02-24 |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自動販売機 |
JP2007034970A (ja) * | 2005-07-29 | 2007-02-08 | Sanden Corp | 自動販売機 |
JP4599255B2 (ja) * | 2005-09-09 | 2010-12-15 | サンデン株式会社 | 自動販売機 |
EP1873468A2 (en) | 2006-06-26 | 2008-01-02 | Dometic Sweden AB | Refrigerator cabinet |
JP4830864B2 (ja) | 2007-01-17 | 2011-12-07 |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自動販売機 |
-
2018
- 2018-11-13 JP JP2018213261A patent/JP7257131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11-12 WO PCT/JP2019/044212 patent/WO202010084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1-12 KR KR1020217014210A patent/KR10256689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8130A (ko) | 2021-06-08 |
JP7257131B2 (ja) | 2023-04-13 |
JP2020080073A (ja) | 2020-05-28 |
WO2020100841A1 (ja) | 2020-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22172B1 (ko) | 자동판매기 | |
JP2022117745A (ja) | 物品販売機 | |
CN107705426B (zh) | 自动售货机 | |
JP2012137949A (ja) | 自動販売機 | |
JP4960006B2 (ja) | 自動販売機 | |
KR102566895B1 (ko) | 물품 판매기 | |
JP4923793B2 (ja) | 自動販売機 | |
JP6866649B2 (ja) | 自動販売機 | |
JP2011108080A (ja) | 自動販売機 | |
JP4534407B2 (ja) | 自動販売機 | |
JP5011725B2 (ja) | 自動販売機 | |
JP2017120460A (ja) | 自動販売機 | |
JP5375332B2 (ja) | 自動販売機 | |
JP5106068B2 (ja) | 自動販売機 | |
JP5381604B2 (ja) | 自動販売機 | |
JP4151542B2 (ja) | 自動販売機 | |
JP2005165645A (ja) | 自動販売機 | |
JP5287035B2 (ja) | 自動販売機 | |
JP4374272B2 (ja) | 自動販売機 | |
JP4737034B2 (ja) | 自動販売機 | |
JP4085947B2 (ja) | 自動販売機 | |
JP2018206156A (ja) | 自動販売機 | |
JP4151567B2 (ja) | 自動販売機 | |
JP4404033B2 (ja) | 自動販売機 | |
JP2014134927A (ja) | 自動販売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