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550B1 -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550B1
KR102565550B1 KR1020160041280A KR20160041280A KR102565550B1 KR 102565550 B1 KR102565550 B1 KR 102565550B1 KR 1020160041280 A KR1020160041280 A KR 1020160041280A KR 20160041280 A KR20160041280 A KR 20160041280A KR 102565550 B1 KR102565550 B1 KR 102565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ont panel
home appliance
sensor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575A (ko
Inventor
홍윤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5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75A/ko
Priority to US16/091,35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90374B2/en
Priority to PCT/KR2017/001197 priority patent/WO2017175960A1/ko
Priority to EP17779261.1A priority patent/EP34417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03Doors or covers;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0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3/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by using a detector in a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루 영역을 포함하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대상물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투시 윈도우를 갖는 도어; 상기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노크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투시 윈도우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door and a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루 영역을 포함하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은 전기 에너지나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라 할 수 있다. 가전제품은 일례로, 냉장고, 의류처리장치 그리고 조리기기와 같이 도어를 갖고 캐비닛 내부에 대상물이 수용되는 대상물 수용부를 갖는 가전제품이 있다.
냉장고는 캐비닛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해 도어가 마련되는 가전제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식품을 냉장 보관 또는 냉동 보관하기 위한 대상물 수용부라 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에서의 대상물은 일반적으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내부에 의류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의류 수용부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가 마련되는 가전제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수용부는 의류가 수용되어 의류처리가 수행되는 대상물 수용부라 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처리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는 세탁 겸 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셔 등이 모두 의류처리장치라 할 수 있다. 일례로 드럼 타입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드럼이 의류 수용부라 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캐비닛 내부에 캐비티가 마련되고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가 마련되는 가전제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는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대상물 수용부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의 도어는 불투명하게 제작되어 외부에서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볼 수 없다. 따라서, 대상물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대상물의 위치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다.
냉장고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전에는 저장실 내부에 있는 저장물의 종류와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원하는 식품을 찾고 꺼내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냉기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드럼 타입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이나 오븐과 같은 조리기기의 도어에는 투명 윈도우가 구비되어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어느 정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위 환경이 어둡거나 야간에는 투명 윈도우 내부를 통해 대상물 수용부를 제대로 볼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의류가 제대로 처리되고 있는지 또는 조리가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외부에서 파악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한편, 냉장고, 의류처리장치 그리고 조리기기 등의 가전제품은 대상물 수용부를 비추는 조명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도어가 개방될 때 켜지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저장실 내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장치가 꺼져있으므로 투명 윈도우가 구비되더라도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용이하게 볼 수 없게 된다.
최근에는 저장실의 일부만 개방되도록 한 형태의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도어에 제공되는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서브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서브 저장실은 메인 저장실의 일부 영역으로 메인 저장실과는 적어도 일부분 구획벽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를 DID(door in door) 냉장고라 할 수 있다. 서브 도어를 개방하면 메인 저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주 이용하는 음료수와 같은 저장물은 서브 저장실에 저장하여 메인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서브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서브 저장실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홈 바(home-bar) 도어가 제공되는 홈 바 냉장고도 있다. 홈 바는 매우 작은 형태의 서브 저장실이라 할 수 있다. 즉, 메인 도어의 적은 일부분에 장착되는 홈 바 도어를 통해 메인 도어 후방에 구비되는 홈 바에 소수의 음료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바 냉장고에서 홈 바를 더욱 확장한 것이 상기 DID 냉장고라 할 수 있다.
그러나, DID 냉장고뿐만 아니라 홈 바 냉장고에서도 이러한 서브 저장실의 체적이 커지고 상기 서브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이 많아질수록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서브 도어나 홈 바 도어를 열고 꺼내려고 하는 저장물을 찾는데 일정 시간 이상이 소요되어 사용자의 불편이 야기되고 에너지 소모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대상물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도어를 열지 않고도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볼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도어를 통해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볼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시스루 도어의 전환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스스루 도어 전환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기 위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두드리는 것, 즉 노크(knock) 입력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위치와 이를 감지하는 위치를 이격시킴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노크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위치를 실질적으로 도어 전면 전체로 확장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매질의 동일성 및 연속성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노크 입력 감지가 가능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터치 패널과 같은 고가의 장치를 배제하여 효과적으로 노크 입력을 감지함과 동시에 구조가 단순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도어의 시스루 영역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시켜, 상기 센서에 의해서 시스루 영역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평상시에는 블랙 디스플레이처럼 보여 도어 전면의 미련한 외관을 확보하고 상기 블랙 디스플레이를 시스루 영역으로 전환시켜 사용자에게 유희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대상물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투시 윈도우를 갖는 도어; 상기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노크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투시 윈도우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 또는 도어는 상기 노크 입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조명장치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선을 투과시키는 패널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센서 소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은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 소자와 상기 센서 소자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센서 소자 수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패널은 노크 입력 발생 위치와 노크 입력 감지 위치 사이에서 매질의 동일성과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단일 매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센서 소자를 통해 수신되는 음파를 감지하여 노크 입력임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을 상기 전면 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전면패널 후방에서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투시 윈도우의 베젤을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시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한 내측 프레임 중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젤에는,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이 상기 내측 프레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전면패널과 밀착하도록 관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라이너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시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한 도어라이너 중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라이너 중공부에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삽입되는 도어 글라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도어라이너의 상부에 구비되는 PCB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 어셈블리의 후방에서 상기 PCB 어셈블리를 수용하면서 상기 내측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라이너와 함께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컨트롤패널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에는 검정색 인쇄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소자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그리고 상기 필터와 증폭기가 실장되는 PCB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PCB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을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마이크 모듈을 수용하는 홀더;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내측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를 통한 결합으로 인해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상기 가전제품이 상기 대상물 처리를 위한 구동 도중에만 상기 노크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수용부를 갖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 수용부는, 상기 전면패널과의 사이에서 외부 소음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면패널과 밀폐 공간을 갖도록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마이크 수용부 내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 수용부를 수용하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냉장고, 의류처리장치, 조리기기 그리고 식기세척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스루 영역을 갖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 그리고 상기 시스루 영역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에 대한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 소자와 상기 센서 소자를 수용하고 상기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가 전달되는 매질인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센서 소자 수용부를 갖는 센서 소자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 소자는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의 내부에 떠있는 상태가 되도록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에는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 소자의 일면인 음파 수신부는 상기 상부 개구부 또는 하부 개구부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이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어, 상기 음파 수신부가 향하는 상부 개구부 또는 하부 개구부와 상기 전면패널 사이에는 밀폐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센서 소자와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 사이의 밀착으로 인해, 상기 음파 수신부가 향하지 않는 하부 개구부 또는 상부 개구부와 단절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 공간이 편심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패널과 밀착되는 하부 개구부 또는 상부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소자의 타측은 신호선과 연결되며, 상기 신호선은 상기 음파 수신부가 향하지 않는 하부 개구부 또는 상부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소자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센서소자모듈을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센서소자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센서소자모듈을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홀더를 상기 전면패널을 향해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소자모듈은, 상기 센서소자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신호선이 삽입되어 상기 신호선이 상기 홀더 외부로 연장되도록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그리고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부의 후방에는 상기 홀더가 장착되며, 상기 제2연장부에는 상기 제2연장부를 전방으로 미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용수철 스프링이며, 상기 제2연장부의 후면측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홀더와 상기 홀더 수용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위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노크 입력이 가해지는 전면패널;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 소자와 상기 센서 소자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센서 소자 수용부를 갖는 센서 소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가 전달되는 매질로서 연속성 및 동일성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는, 상기 전면패널과의 사이에서 외부 소음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면패널과 밀폐 공간을 갖도록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소 소자 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을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대상물 수용부를 개폐하고 캐비닛에 대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고, 의류처리장치, 식기세척기 그리고 조리기기 중 어느 하나의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내부에 대상물 수용부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개폐하고 개구부 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패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전면패널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소자를 포함하는 센서; 그리고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 또는 중공부(투시 윈도우)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센서소자를 통해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대상물 수용부는 가전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명명될 수 있다. 냉장고, 의류처리장치, 조리기기 그리고 식기 세척기에서는 각각 저장실, 터브 또는 드럼, 챔버 그리고 터브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센서소자를 통해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내의 간격을 갖고 2회 이상 노크 입력을 한 것으로 감지되면, 정상적인 노크 온 입력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대상물 수용부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개폐하고, 시스루 영역이 형성되며,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갖는 패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전면패널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소자를 포함하는 센서; 그리고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시스루 영역을 통하여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센서소자를 통해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대상물 수용부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대상물 수요우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개폐하고,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시스루 영역을 갖는 도어;
상기 전면패널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전면패널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소자를 포함하는 센서; 그리고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시스루 영역을 통해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소자는 상기 시스루 영역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소자를 통해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대상물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도어를 열지 않고도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볼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도어를 통해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볼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시스루 도어의 전환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스스루 도어 전환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기 위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두드리는 것, 즉 노크(knock) 입력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위치와 이를 감지하는 위치를 이격시킴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노크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위치를 실질적으로 도어 전면 전체로 확장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매질의 동일성 및 연속성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노크 입력 감지가 가능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터치 패널과 같은 고가의 장치를 배제하여 효과적으로 노크 입력을 감지함과 동시에 구조가 단순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도어의 시스루 영역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시켜, 상기 센서에 의해서 시스루 영역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평상시에는 블랙 디스플레이처럼 보여 도어 전면의 미련한 외관을 확보하고 상기 블랙 디스플레이를 시스루 영역으로 전환시켜 사용자에게 유희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냉장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냉장실 우측 도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Ⅳ-Ⅳ 선에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어(서브도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냉장실 우측 도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Ⅷ-Ⅷ선에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도어(서브도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구성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마이크 모듈(센서 소자 모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실시예의 도어(서브도어)에서 센서 소자 모듈(마이크 모듈)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실시예의 도어(서브도어)에서 센서 소자 모듈(마이크 모듈)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실시예의 도어(서브도어)에서 센서 소자 모듈(마이크 모듈)의 장착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서 관통부가 형성된 캡데코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관통부에 마이크 모듈이 장착된 모습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캡데코에 결합되는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어(서브도어)에서 센서 소자 모듈(마이크 모듈)의 설치 위치와 사용자가 두드리는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류처리장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도어의 후방에서 컨트롤패널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3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센서가 도어에 장착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조리기기 또는 식기세척기)을 나타나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 및 가전제품의 일례로, 냉장고의 도어 및 냉장고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실시예들은 전술한 냉장고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가 시스루 도어일 수 있으며,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나 홈 바 도어가 시스루 도어일 수 있다. 이러한 홈 바 도어도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이므로 서브 도어라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냉장고는 캐비닛(10)의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실 또는 메인저장실(11)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좌측 냉장실도어(20)와 우측 냉장실도어(25)가 상기 캐비닛(10)의 좌우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이와 달리 냉장실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는 불투명한 도어로서 그 하단부에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선택적으로 투시가능하게 되어 우측 냉장실도어(25)를 통해 냉장실 내부를 볼 수 있다. 즉,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를 시스루 도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아래에 마련되는 냉동실 도어도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냉동실 도어(30)와 우측 냉동실 도어(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동실 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30)의 상면에는 손잡이홈(32)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우측 냉동실 도어(40)의 상면에도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부 도어를 시스루 도어로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냉장실이나 냉동실 개폐와는 무관하게 그리고 메인 저장실이나 서브 저장실 개폐와는 무관하게 냉장고에 구비되는 도어라면 이러한 시스루 도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메인도어힌지(1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도어(100)와 상기 메인도어(100) 또는 캐비닛(10)에 서브도어힌지(1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면 냉장실 접근이 하게 된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1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를 열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1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복수의 바스켓이 상하로 장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바스켓(미도시)을 감싸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서브저장실과 메인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저장실은 상기 메인저장실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115) 후방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돌기(120)가 마련될 수 있다. 미도시된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하방향으로 2~3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도어(200)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서브저장실(111)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개방하면, 상기 서브저장실(111)은 메인도어(100)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브저장실(111)의 후방에 구비되는 메인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와 관계 그리고 메인저장실과 서브저장실의 관계는 DID 냉장고에서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그 내측에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는 패널어셈블리(270)가 마련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단일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패널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선택적으로 시스루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를 통해서 사용자는 도어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을 볼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 도어인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를 통해 메인저장실을 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도어(100)는 캐비닛 자체일 수 있으며, 상기 서브도어(200)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메인도어(100)에 구비되는 개구부(115)는 캐비닛(10) 자체에 형성되는 개구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어셈블리의 좌측에 홈 형태의 핸들(24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24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브도어(200)는 캐비닛(10)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 서브도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핸들(240)의 위치는 반대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브도어(200)의 회전 방향은 상기 메인도어(10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는 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브도어(200)는 홈 바 도어처럼 수평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캐비닛 전면에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되고, 저장실 내부에는 도어가 열렸을 때 저장실 내부를 환하게 비추는 조명장치(미도시)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함으로써 시스루 도어로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저장실 및/또는 서브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조명장치가 작동함에 따라 도어가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어 외부에서 도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조명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 내부를 볼 수 없고, 조명장치가 작동됨으로써 도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밝은 실외에서 유리창을 통해 어두운 실내가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실내에 밝은 조명이 켜지게 되면 유리창을 통해 실내를 잘 볼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냉장고에 적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시스루 도어의 가변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시스루 도어의 가변을 위해서 사용자가 특정 입력을 냉장고에 가하는 경우에, 도어가 시스루 도어로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시스루 도어의 가변과 관련된 제어방법 및 제어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서브도어(2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200)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 자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 또는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도어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에 겹쳐지는 서브도어(200)일 수 있다. 즉, 서브도어(200)의 전면이 메인도어(100) 전면과 겹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도어(200)의 전면은 메인도어(100)의 전면 덮게 된다. 따라서 메인도어(100)는 서브도어(200)에 가려지게 되어 상기 서브도어(200)가 냉장고의 전면 외관을 이루게 된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내측 중앙부에 개구부(211)가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205)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서브도어(200)의 테두리부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서브도어(200)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205)은 도어의 전면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아웃도어(210)와, 마찬가지로 내측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의 후면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도어라이너(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라이너(280)에도 상기 개구부(211)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 프레임(205)은, 상기 아웃도어(210) 및 도어라이너(28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캡데코(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도어(210), 도어라이너(280) 그리고 캡데코(260)를 통해서 전후 두께를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상기 아웃도어(210), 도어라이너(280) 및 캡데코(26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단열을 위한 발포제가 주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따른 도어, 특히 서브도어(200)은 상기 도어 프레임(205)과 함께 패널어셈블리(27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즉, 선택적으로 시스루 도어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어셈블리(27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단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상기 서브도어(200)의 중앙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205)은 상기 아웃도어(210)와 도어라이너(280)의 사이 구비되는 내측 프레임(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230)의 중앙부에도 상기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211)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05)은 도어데코(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데코(220)는 상기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211)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뿐만 아니라 회전 가능한 장착을 위한 상부힌지브라켓(254)와 하부힌지브라켓(25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도어(200)는 사용자가 잡고 상기 서브도어(200)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핸들(240)을 포함할 수 있고, 밀폐를 위한 가스켓(29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도어(200)는 서포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서브도어(200)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아웃도어(210)에 도어데코(220)를 조립한 후 핸들(240)을 조립한다. 상기 핸들(240)과 아웃도어(210) 또는 도어데코 사이에는 핸들 서포터(245)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서포터는 금속 재질의 봉 형상으로 핸들(24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데코(220)는 상기 아웃도어(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240)은 도 4의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아웃도어(210)의 좌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아웃도어(210)의 후면에 상기 내측 프레임(230)이 조립된후, 상기 서포터(250)와 힌지브라켓(254, 256)이 조립된다.
상기 서포터(250)는 상하 각각 구비되며, 이러한 서포터(250)들은 상기 개구부(211)의 상하좌우 4개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50)들은 패널어셈블리(270)의 4개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보호하게 된다. 즉, 패널어셈블리의 무게가 도어 프레임(205)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지지하게된다.
아울러, 상기 서포터(250)에는 힌지브라켓(254, 256)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250)는 힌지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 또한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아웃도어(210)의 후방에서 캡데코(260)가 결합된다. 상기 켑데코(260)는 상기 아웃도어(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아웃도어(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패널어셈블리(270)가 아웃도어(210) 후방에서 상기 아웃도어(210)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라이너(280)가 상기 아웃도어(210) 후방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280)는 스크류를 통해 상기 아웃도어(2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어라이너(280)의 후면에 가스켓(290)이 장착됨으로써 사기 서브도어(2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브라켓(254) 및 하부 힌지브라켓(256)에는 각각 서브도어힌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90)은 상기 서브도어(200)가 상기 메인도어(100)에 닫혔을 때 그 접촉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도어(200)의 전면에 노출되는 전면패널(2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271)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면에 금속이 증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증착층은 빛이 투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패널(271)을 불투명하게 하며, 반대로 빛이 투과될 때는 전면패널(271)을 투명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패널(271)은 컬러 코팅막을 갖거나 자체가 컬러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미세한 빛 상태에서는 불투명하지만 상대적으로 강한 빛이 발생되면 투명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전면패널(271) 후방에 조명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전면패널 자체는 불투명함을 의미하고, 반대로 조명장치가 작동되면 시스루 도어로 전환되어 투명한 패널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그래서, 저장실 내부가 어두울 때에는 저장실 내부가 보이지 않고, 저장실 내부가 밝을 때에는 상기 전면패널(271)을 통해 저장실 내부가 투시되어 보이게 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는 상기 전면패널(271)의 후방에 구비되는 단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는 두 개의 단열패널이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단열패널(273, 276) 및 상기 전면패널(271)과 단열패널(273) 사이에 배치되는 간봉(27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271)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도어(20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서브도어(200)의 전면을 구성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가 제외된 서브도어의 도어 프레임(205) 내부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라이너(280)의 사이의 공간, 즉 서브도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공간(285)에는 단열재가 주입되어 상기 가스켓(290)과 상기 패널어셈블리(270)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00)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단열재,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에 의해 단열이 수행되고, 서브도어(200)의 중앙 부분은 상기 단열패널(274, 276)에 의해서 단열이 수행되게 된다.
상기 단열재 주입 공간(285)에는 상기 서브도어(200)를 모두 조립한 후에 발포제가 주입되어 발포됨으로써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라이너(28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270)의 구조와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냉장고에서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 중앙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메인도어(300)와 상기 메인도어(300)의 개구부 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40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의 냉장고의 경우,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를 정면에서 볼 때 그 크기가 서로 동일하고, 서브도어가 닫힐 때 메인도어에 겹쳐질 수 있다.
반면에, 제2실시예의 냉장고에서는 서브도어(400)가 메인도어(300)보다 작게 형성되고 서브도어(400)가 닫힐 때 메인도어의 개구부(31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브도어(200)가 메인도어(100)에 닫힌 상태에서 메인도어(100)의 전방 외측에 노출되는 형태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도어(200)가 메인도어(100)에 닫힌 상태에서 메인도어(100)에 삽입된 형태이다. 전자를 아웃사이드 타입 서브도어라 할 수 있고 후자를 인사이드 타입 서브도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메인도어(300)는 캐비닛 자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도어(300)는 저장실(11)을 개폐하는 도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3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315)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3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31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300)에는 서브도어(200)가 삽입되는 개구부(310)와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3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개구부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즉, 상기 서브도어(200)가 삽입되는 개구부(3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400)를 열면 상기 메인도어(300)의 개구부(315)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3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4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복수의 바스켓이 상하로 장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바스켓(미도시)을 감싸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서브저장실과 메인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저장실은 상기 메인저장실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300)의 개구부(315) 후방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돌기(320)가 마련될 수 있다. 미도시된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하방향으로 2~3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도어(400)을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서브저장실(311)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인도어와 서브도어와 관계 그리고 메인저장실과 서브저장실의 관계는 DID 냉장고에서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브도어(400)는 그 내측에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보이는 패널어셈블리(470)가 마련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단일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패널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어셈블리(470)는 선택적으로 시스루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어셈블리(470)를 통해서 사용자는 도어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을 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서브도어(400)의 개구부(411)에 구비되는 패널어셈블리(470)와 상기 메인도어(300)에 형성되는 개구부(315)를 통해서 서브저장실(311)을 볼 수 있게 된다. 서브도어(4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브저장실(311) 내부를 볼 수 있으며, 어떠한 저장물이 서브저장실(311)에서 어느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서브도어(400)를 열어 원하는 저장물을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서브저장실(311)에 유사한 저장물이 12개가 상하 4*4 메트릭스 형태로 저장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12개의 저장물 중 서브도어를 개방하여 원하는 특정 저장물을 찾아서 선택하고 꺼내기에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12개의 저장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특정 저장물을 찾아서 선택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필요없게 된다. 즉, 사용자는 미리 특정 저장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서브도어를 개방한 후 특정 저장물을 꺼내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서브도어(4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도어(400)는 중앙부에 개구부(411)가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405)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405)은 서브도어(400)의 후방에서 상기 서브도어(40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410)과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결합하여 서브 도어의 후면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도어라이너(4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달리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캡데코가 더 결합되지 않고, 각각 캡데코에 해당하는 부분까지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의 사이에는 그 상부 및 하부에 서포터(45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서포터(450)의 일측에는 각각 상부 힌지브라켓(454)과 하부 힌지브라켓(456)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힌지브라켓(454) 및 하부 힌지브라켓(456)에는 각각 서브도어힌지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 상하부에 각각 캡데코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캡데코에 상부 힌지(미도시)와 하부 힌지(미도시)가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480)의 후면에는 가스켓(49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490)은 상기 서브도어(400)가 상기 메인도어(300)에 닫혔을 때 그 접촉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켓(490)의 위치는 전술한 두 개의 개구부들(310, 315) 사이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서브도어(400)에서 패널어셈블리(47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400)의 전면측에서 결합된다. 즉, 상기 패널어셈블리(470)은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47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패널어셈블리(27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470)의 전면패널(471)은 제1실시예와 달리 그 가장자리가 상기 아웃도어(210)에 의해 덮이지 않고,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전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 서브도어의 전면 중 테두리 부분은 아웃도어(210) 그리고 중앙 부분은 전면 패널(271)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도어의 전면은 모두 상기 전면 패널(471)에 의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서브도어(400)의 전면 테두리 부분과 중앙 부분은 상기 전면 패널(271)에 의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면패널(471)은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473, 476)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단열패널을 모두 덮고도 외각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473, 476)은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개구부, 즉 서브도어의 개구부(411)의 내측면에 삽입되고, 상기 제2단열패널(476)의 배면은 상기 도어라이너(48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471)과 상기 제1단열패널(473) 사이에는 그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진 간봉(472)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서로 결합되는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의 좌측에는 핸들(4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핸들(4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좌측면에는 상기 핸들(440)의 우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결합리브(442)와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리브(4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리브(412)는 상기 내측 프레임(410)의 좌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었다가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결합리브(442)는 상기 핸들(440)의 우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었다가 각각 후방 및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도어라이너(480)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서브도어(400)의 테두리 부분에는 소정 공간(485)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정 공간(485)은 캡데코가 상기 내측 프레임(41)과 도어라이너(480)에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서브도어(400) 상하좌우 테두리 부분에는 이러한 소정 공간(480)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 공간에는 발포에 의해 단열재가 충진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도어(400)의 테두리 부분에는 단열재에 의한 단열 기능이 수행되며, 서브도어(400)의 중앙 부분에는 패널어셈블리(470)에 의해 단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의 반경 방향 외측의 전면패널(471)은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밀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측 프레임(410)뿐만 아니라 캡데코와도 밀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내측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는 별도의 캡데코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먼저, 내측 프레임에 핸들(440)이 결합된 후 필요한 경우 캡데코가 내측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내측 프레임(410) 전방으로부터 상기 패널어셈블리가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패널어셈블리 사이에는 투명 테이프나 투명 접착제 등을 통해서 가조립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내측 프레임(410)과 전면 패널(471)의 테두리 부분(즉, 단열패널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 후면에 투명 테이프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410)에 패널어셈블리가 가조립된 후, 내측 프레임(410) 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410)과 상기 도어라이너(48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소정 공간(485)에 발포제를 충진함에 따라,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도어 프레임(405)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의 메인도어 또는 서브도어는 선택적으로 시스루 도어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특정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메인도어 또는 서브도어가 시스루 도어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루 도어로의 전환은 도어 또는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장치(600)가 작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저장실 내부의 상기 조명장치(600)가 작동되면 어둡던 저장실 내부가 밝아진다. 따라서, 저장실 내부의 빛이 도어를 관통하여 외부로 투과되며, 이를 통해 외부에서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시스루 도어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종류도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루 도어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500)가 구비된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500)는 매질에 의해 전파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임이 바람직하다. 감지되는 음파가 특정 패턴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500)는 매질이 연속되는 한 음파 발생 지점과 음파 센싱 지점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인 냉장고 도어의 전체 면적을 고려하면, 냉장고의 도어에서 매질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한 음파 발생 지점과 음파 센싱 지점의 거리를 최대로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음파 발생 지점은 사용자가 시스루 도어의 전환을 위한 입력을 가하는 지점이라 할 수 있으며, 음파 센싱 지점은 센서가 이러한 입력을 감지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자세인지 여부 그리고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입력 지점과 입력 방법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 전면 어느 위치에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센서의 위치는 도어의 어느 위치든 탄력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음파의 특성상 입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센싱이 이루어지는 지점 사이는 연속되는 동일 매질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임의의 위치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는, 동일 매질의 내부를 통해서 특정 위치로 전달되어 감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센서(500)는 실질적으로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측정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파는 전면패널이라는 매질이 공기와는 다른 고체의 매질이지만 음파의 특성상 매우 먼 거리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차 선로에 귀를 기울이면 아주 먼 위치에서 기차가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차 선로라는 매질을 통해 음파가 매우 멀리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물론,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가 아닌 매질 자체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매질의 진동은 매질의 표면을 통해서 전달된다. 즉, 이러한 진동은 매질의 표면을 통해 전달되는 횡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매질 내에서 입력 지점으로부터 센싱 지점이 멀어질수록 감쇄폭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에 반해서, 음파의 감쇄폭은 매우 작다. 따라서, 냉장고의 사이즈를 고려하면, 매질 표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아닌 매질 내부를 통해 전달되는 음파을 감지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는 전면패널 자체를 통해 음파가 전달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터치 패널과 같은 부가적인 장치가 전면패널에 장착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이는 터치 패널 등으로 인한 고비용, 복잡성,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실질적으로 전면패널 전체를 노크 입력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음파가 전달되는 매질임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 전면에 노출되는 전면패널에 사용자가 입력을 가하고, 상기 전면패널에 의한 전달되는 음파를 센서에서 감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센서는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 소자(sensor device), 특히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소자로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전면패널에 의해 전달되는 음파는 새로운 매질인 공기를 통해 마이크로 전달된다. 따라서, 매질과 마이크 사이의 음파 전달 공간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차폐 또는 밀폐 공간이 마련되지 않으면, 외부 소음이 마이크로 입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를 포함하는 마이크 모듈고과 전면패널의 밀착 및 이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마이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또한 지속적으로 밀착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즉, 상기 지지부재 또한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별도의 터치 패널과 같은 장치가 생략되더라도 전면패널 자체를 이용하여 입력 위치와 센싱 위치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음파의 감쇄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이격 거리를 더욱 키울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들에서, 시스루로 전환되는 도어의 중앙부분을 통해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도록 하고, 시스루로 전환되지 않는 도어의 테두리 부분에 구비되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노크 입력이 가해지는 부분과 감지되는 부분은 단일 전면패널을 통해 연속되는 매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매질이 변한다는 것은 노크 입력 발생 지점이 달라짐에 따라 동일 입력에 대한 편차가 매우 큼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센싱의 정확도가 매우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는 반대로, 전면패널과는 다른 매질에 가해지는 입력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되는 것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즉, 전면패널이 아닌 냉장고의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는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캐비닛은 일반적으로 상기 전면패널과 동일 매질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단일 전면패널을 통해 노크 입력이 가해지고 상기 노크 입력을 감지하도록 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고의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은 냉장고 자체의 진동일 수 있다. 냉동 사이클 구동에 의한 냉장고의 진동이나 냉장고 자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진동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냉장고 전체가 진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의 진동이 전면패널을 통해 전달되어 센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매질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큰 진동이 발생되면, 전면패널 자체도 진동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술한 매질 자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이러한 냉장고의 자체 진동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감지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매질의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이종 매질들을 따라 전달되는 음파의 감쇄폭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패널이 아닌 냉장고의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는, 여러 매질을 통해 전달되면서 충분히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음파를 감지하여 노크 입력을 인식하는 경우, 전면패널이 아닌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한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냉장고의 자체 진동에 상대적으로 둔감하기 때문에, 냉장고의 자체 진동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시스루 도어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500)와 메인제어부(700) 그리고 조명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500)는 도어의 전면, 예를 들어 서브도어(200, 400)의 전면패널(271, 471)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면패널에 사용자가 가하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사용자가 시스루 도어 전환을 위한 입력을 한 경우, 메인제어부(700)는 조명장치(6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실 내부가 밝아짐에 따라 시스루 도어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50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시스루 전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소자(sensor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500)는 센서 소자로서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매질 자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이 아닌 매질 내부를 통해 전달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51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510)는 사용자의 노크 신호 입력에 의한 음파 감지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에 의한 음파를 감지할 수도 있다. 후자의 음파나 진동은 노이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이러한 노이즈가 마이크(510)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마이크(510)는 매질에 밀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면패널(271, 471)에 밀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마이크(510)를 밀착시키기 위한 장착부재 내지는 지지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후술한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이며 메인마이컴이라 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나 각종 팬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라 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에는 도어스위치(800)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즉, 도어스위치(800)를 통해 냉장고의 도어가 열렸는지 닫혀있는지 알 수 있다. 도어가 열리면 도어스위치는 온 상태가 되어 저장실 내부의 조명장치(600)가 작동되며, 도어가 닫히면 도어스위치는 오프 상태가 되어 저장실 내부의 조명장치(600)가 작동을 멈추게 된다. 물론, 도어스위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는 반대일 수도 있다. 이러한 도어스위치(800)와 조명장치(600)의 작동 관계는 제어부(700)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제어부(700)에서 도어스위치(800)를 통해 도어의 닫힘과 열림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조명장치(60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관점에서 도어스위치(800), 메인제어부(700) 그리고 조명장치(600)의 제어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600)는 메인조명장치(610)와 서브조명장치(6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메인도어 자체가 시스루 도어로 전환되는 예를 설명한다.
메인제어부(700)에서 시스루 도어 전환을 위해 조명장치(600) 특히 메인조명장치(6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시스루 도어 전환은 메인도어가 닫혀있음을 전제로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상적인 시스루 도어 전환 입력이라는 판단에 의해 메인제어부(700)는 도어스위치(800)의 온 상태(도어 닫힘 상태)에도 불구하고, 메인조명장치(610)를 작동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가 열리지 않는 한, 시스루 도어 전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메인조명장치(6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조명장치의 밝기가 점차 밝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조명장치가 일정시간 작동 후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일정시간 후 조명장치가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루 도어의 전환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 일반적인 메인조명장치(610) 제어 알고리즘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메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메인조명장치(610)가 항상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열린 상태가 지나치게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알람이 발생될 수 있고 메인조명장치(610)가 꺼지도록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도어가 아닌 서브도어가 시스루 도어로 전환되는 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저장실 내부를 밝게 하는 메인조명장치(610)와는 별도로 서브저장실을 내부를 밝게 하는 서브조명장치(6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조명장치(6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서브저장실을 조명하기 위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115, 215)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장착되는 LED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모듈은 상하로 긴 회로기판에 복수의 LED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LED모듈은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 양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장착되고 투명한 커버를 씌워서 내부를 보호하고 습기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적인 시스루 도어 전환 입력이라는 판단에 의해 메인제어부(700)는 서브조명장치(620)를 작동시켜 서브도어를 시스루 도어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조명장치(6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서브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인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서브조명장치(620)가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인 경우, 사용자가 서브도어가 아닌 메인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서브도어의 시스루 도어 전환을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메인제어부(700)는 서브도어의 시스루 도어 전환 도중 도어스위치를 통해 메인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서브조명장치(620)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제어부(700), 조명장치(600) 그리고 도어스위치(800) 사이의 제어 관계를 통하여 불필요한 조명장치(600)의 작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센서(500)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정상적인 시스루 도어 전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신호인지 아니면 노이즈인지를 메인제어부(700)에서 직접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메인제어부(700)의 과부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500)와 메인제어부(700) 사이의 거리로 인해 신호선 자체로 인한 노이즈 영향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500)는 전면패널(271, 47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많은 경우, 메인제어부(700)는 도어가 아닌 캐비닛(10)의 일측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500)와 메인제어부(700)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며 이는 신호선의 길이가 길어짐을 의미하게 된다. 이는 정상적인 시스루 도어 전환 신호가 신호선을 통해 노이즈로 인해 오염되어 메인제어부(700)로 입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시스루 도어 전환 신호의 인식률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센서가 센서 소자로서 마이크를 포함하는 경우, 마이크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mV 단위임에 비해 메인제어부(700)는 기본적으로 V 단위의 신호를 입력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인 신호의 스케일 차이로 인해 메인제어부(700)에서 정상적인 시스루 도어 전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냉장고는 대전압/대전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이다. 따라서, 전기적인 노이즈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는 마이크에 의해 출력되는 mV 단위의 신호가 전기적인 노이즈에 더욱 취약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루 전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500)를 모듈화함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를 모듈화하여 이를 센서모듈이라 할 수 있다. 즉, 시스루 전환 입력인 노크 입력인 경우 이를 노크센서모듈이라 할 수 있다.
센서모듈 또는 노크센서모듈을 지시번호 500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모듈은 센서 소자로서의 마이크(510)와 모듈마이컴(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크 온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소자이며, 상기 모듈마이컴(540)은 상기 마이크(510)에서 감지된 신호들을 통해 노크 온 신호임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듈 마이컴(540)에서 노크 온 신호임을 판단하면 상기 메인제어부(700)로 정상적인 노크 온 입력이 가해졌다는 신호를 보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신호를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마이컴(540)에서 노크 온 신호임을 판단하면 메인제어부(700)로 5 V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반대의 경우에는 0 v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후자는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제어부(700)는 노크 온 신호 입력 여부만 수신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판단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메인제어부(700)와 모듈 마이컴(540) 사이의 신호선에 의한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듈 마이컴(540)은 모듈화된 마이크를 통해 노이즈가 최소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노크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률을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노크센서모듈 또는 센서모듈(500)은 필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51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520)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520)는 DC 노이즈 필터일 수 있다. 필터링된 신호는 증폭기(530)를 통해서 증폭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센서모듈(500)은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시켜 모듈마이컴(540)으로 전달하는 증폭기(53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기(530)는 OP 엠프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500)은 하나의 PCB에 상기 필터(520), 증폭기(530) 그리고 모듈마이컴(540)을 실장하고, 상기 마이크(510)는 신호선에 의해 상기 PCB에서 연장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510)의 장착 구조 내지는 고정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센서 소자로서의 마이크 또는 마이크 모듈(센서 소자 모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511)는 마이크 모듈(510)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음파를 직접 센싱하는 마이크(511)는 마이크 수용부(512)에 수용된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마이크(511)와 마이크 수용부(512)를 포함하여 마이크(510)라고 단순히 부르거나 마이크 모듈(510)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511)는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511)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 내부의 형상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 내에 떠 있는 상태가 되도록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마이크(511)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의 상하에는 각각 개구부(514, 5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511)의 일면은 음파를 수용하는 음파 수신부(511a)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음파 수신부는 어느 특정 개구부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도 10에는 하부 개구부(514)를 향하여 음파 수신부(511a)가 위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511)의 타측에는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선(516)은 상부 개구부(515)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의 PC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부(514)와 상기 음파 수신부(511a)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정 공간은 밀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개구부(514)가 매질, 예를 들어 전면 패널(271, 471)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소정 공간(515)이 밀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공간(517)은 상기 마이크(511)와 상기 마이크 수용부(512) 사이의 밀착으로 인해 상기 상부 개구부(515)와도 단절된 밀폐 공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밀착 공간이 편심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개구부(514) 둘레를 따라 돌기(5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마이크 수용부(512)가 밀착되도록 누르는 힘의 편차가 사후적으로 발생되더라도 상기 돌기(513)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상기 밀폐 공간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 공간의 일측은 매질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매질 내부를 통해 전달되는 음파가 상기 소정 공간 내의 공기를 진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한 음파가 상기 마이크(511)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로 인해 외부 소음이나 진동이 상기 소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외부 노이즈로 인해 노크 온 판단 오류,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노크 온 인식률을 매우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노크 온 입력이 가해졌을 때 이를 노크 온으로 판단하는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시스루 전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마이크 모듈(510)을 전제로 하여 센서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편의상 신호선(516)은 도시하지 않았다.
먼저, 도 11을 통해 마이크 모듈(510)의 장착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271)이 도어 또는 서브도어의 중앙부분을 형성하고, 테두리 부분은 도어 프레임(205)에 의해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는 서브도어에서 마이크 모듈(510)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확대도에서는 편의상 상기 도어라이너(280)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전면패널(271)에 밀착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271)의 테두리 부분은 도어 프레임(205) 특히 아웃도어(210)에 의해 덮이게 된다. 상기한 마이크 모듈(510)은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전면패널(271)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상기 전면패널(271)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상기 전면패널(271)에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지지부재(5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550)는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전면패널(27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50)는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데코(2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510)이나 지지부재(550)는 모두 시스루 도어를 위한 개구부(2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루 도어의 전환과 무관하게 상기 마이크 모듈(510)과 지지부재(550)는 도어 전면에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시스루 도어의 일부에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미려한 도어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550)는 탄성부재(55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555)는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510) 자체에 항상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550)는 회동축(551)과 상기 회동축(551)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552)와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551)은 상기 아웃도어(210)와 상기 도어데코(22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552)에는 홀더(5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553)는 상기 제1연장부(552)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553)에는 상기 마이크 모듈(5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55)는 상기 제2연장부(554)와 상기 도어데코(220) 사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연장부(554)를 전방으로 미는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은 마치 시소와 같이 제1연장부(552)를 후방으로 미는 탄성력으로 전환하게 되며, 이는 상기 홀더(553)를 통해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전면패널(271)에 밀착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탄성부재(555)를 통해,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전면패널(271)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만약, 상기 서브도어(200)가 상기한 도어데코(220)와 내측 프레임(230)이 없는 구조라면, 상기 지지부재(550)는 상기 아웃도어(210)와 도어라이너(280) 사이에 장착될 것이다. 따라서, 어느 경우나 도어 프레임(205)의 개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550)는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제2연장부(554)의 후면측에는 상기 탄성부재(555)를 지지하는 돌기(556)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555)는 조립시에 소정 길이 압축되어 상기 제2연장부(554)를 미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50)가 상기 제2연장부(554)를 밀어주기 때문에 상기 회동축(551)의 반대 방향에 있는 제1연장부(552)는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상기 전면패널(271)에 밀착되도록 밀어주게 된다. 즉, 마이크 모듈(510)이 전면패널(271)의 전면에서 밀착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510)는 사용자가 상기 전면패널(271)을 두드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마이크 모듈(510)의 장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이크 모듈(510)은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어 프레임에 마이크 모듈(510)이 장착되어 마이크 모듈(510)이 시스루 도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모듈 장착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전면패널(471)이 도어 전면 전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부에 단열패널이 삽입되고 전면패널의 후방 테두리 부분은 도어 프레임에 밀착되는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405)은 내측 프레임(4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 프레임(410)은 캡데코(46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캡데코(460)가 내측 프레임(4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에서는 도어의 상부에 위치되는 캡데코(460)를 통해서 마이크 모듈(510)이 장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캡데코(460)의 전방에는 마이크 모듈(510)이 관통되는 관통부(4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상기 관통부(461)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패널(471)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 모듈(510)의 밀착을 위해 지지부재(560)가 구비되며, 상기 캡데코(460)에는 상기 지지부재(560)가 안착되는 안착부(46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홀더(561)에 적어도 일부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561)를 전면패널(471)을 향해 밀어냄으로써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전면패널에 밀착시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홀더(561)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홀더(561)를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6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561)에는 도 13 10에 도시된 신호선(516)이 인출되기 위한 슬릿 내지는 슬롯(56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이크 모듈이 상기 홀더(561)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에서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516)이 상기 슬릿 내지 슬롯(561a)을 통해서 상기 홀더(561)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홀더(561) 자체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신호선(516)이 상기 슬릿 내지 슬롯(561a)에 삽입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60)는 상기 홀더(561)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5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62)는 상기 홀더(561)와 홀더 수용부(56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 수용부(563)에 대해서 상기 홀더(561)는 전방으로 미는 힘을 항상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 수용부(563)는 상기 안착부(462) 내에서 지속적으로 전방으로 미는 힘을 받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 수용부(563)를 포함하는 지지부재(560)가 상기 안착부(462)에 안착되어 정위치에 장착되며 자동적으로 전방으로 미는 힘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안착부(462)를 덮는 커버(46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는 캡데코(460)에 장착되는 서브도어힌지(130)를 덮는 힌지 커버(465)일 수 있다. 즉, 상기 힌지 커버(465)가 상기 캡데코(460)에 결합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전방으로 밀려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465)는 후크 구조(465)에 의해 캡데코(46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커버(465)에 형성되는 돌기 또는 리브(467)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560)가 전방으로 밀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 또는 리브(467)은 지지부재(560) 전체를 전방으로 밀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62)는 상기 홀더(561)를 지속적으로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마이크 모듈(510)이 항상 전면패널(471)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사기 마이크 모듈(510)은 관통부(461)를 관통하여 전면패널(471)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461)의 형상은 상기 홀더(561)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461) 내에서 홀더(56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마이크 모듈(510)의 밀착력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465)의 저면에는 노크센서모듈(500)의 PCB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캡데커(460)에 서브도어힌지의 장착 및 PCB 장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또는 센서모듈(500)의 신호선은 서브도어힌지(130)의 관통부(131)를 통해 캐비닛(10) 내부 또는 메인도어 내부로 연장되어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모듈(500)의 장착위치는 도어 또는 서브 도어의 테두리 어느 부분에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신호선의 처리를 위해서는 상부 캡데코 부분에 노크센서모듈(500)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마이크 모듈(510)의 장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 프레임 특히 캡데코(460)를 이용하여 마이크 모듈(510)을 장착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상기 캡데코(460)에는 관통부(4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461)를 관통하여 마이크 모듈(510)이 전면패널(471)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51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홀더(561)에 수용된 상태에서 홀더(561)가 전면패널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마이크 모듈(510)이 지속적으로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홀더(561) 또한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더(561)가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전면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통부(461) 후방에는 홀더 장착부(46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561)는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수용한 채 상기 홀더 장착부(463)에 밀어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461)는 상기 홀더 장착되는 방향으로 홀더(56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8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61)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어서 장착되는 경우, 상기 관통부(461)의 좌우 폭은 상기 홀더(561)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관통부(461)의 상하 폭은 상기 홀더(561)의 상하 폭과 대응되도록 하여, 홀더의 상하 부분이 상기 관통부(461)에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 장착부(463)는 상기 관통부(461)과의 사이에 소정 공간(464)을 형성하는데, 상기 소정 공간에 상기 홀더(561)가 끼워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 공간의 전후 폭은 홀더(561)가 더욱 삽입될수록 좁아진다. 즉, 상기 홀더(561)가 최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561)의 전후는 압축상태가 된다. 따라서, 홀더(561)는 탄성 복원되는 경향을 갖고 이는 홀더(561)가 항상 상기 마이크 모듈(510)을 전방으로 밀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한편, 최대로 끼워진 홀더(561)는 커버(465)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46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켑데코(460)를 덮는 커버이며 서브도어힌지(130)을 덮는 힌지 커버일 수도 있다. 상기 커버(465)는 마찬가지로 후크(466)를 통해 캡데코(4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465)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또는 리브(467)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 또는 리브(467)는 상기 커버(465)가 캡데코(460)와 결합될 때 상기 홀더(561)의 일측을 밀게 된다. 즉, 홀더(561)가 상기 관통부(46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561)의 일측을 상기 돌기 또는 리브(467)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561)는 상기 홀도 장착부(463) 내부에서 항상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진동이나 도어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마이크 모듈(510)이 전면패널(471)에 견고히 밀착되고 이러한 밀착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7은 시스루 도어에서 마이크 모듈의 장착 위치와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메인 도어 또는 서브 도어가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도록 형성될 때, 시스루 도어를 위하여 도어는 개구부(211, 411)를 갖는다. 즉, 개구부의 반경 방향 내측 영역을 통해서 내부의 저장실 또는 서브저장실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개구부 내측 영역 및 외측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웃사이드 타입 도어에서는 도어의 전면 중 개구부 내측 영역과 외측 일부 영역이 전면패널에 의해 정의되며, 도어의 테두리 부분은 도어 프레임에 의해서 정의된다. 그리고, 인사이드 타입 도어에서는 도어의 전면 전체가 전면패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은 전면패널의 전면이 정의하는 영역 모두일 수 있다. 그러나, 관념적으로 사용자는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는 부분을 통해 노크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시스루 도어로 가변되는 부분은 개구부(211, 411)의 반경 방향 내측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구부(211, 411)로 정의되는 사각형의 내부 면적 전체가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노크 입력 영역은 시스루 영역이므로, 이 영역을 벗어나서 마이크 모듈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마이크 모듈 장착 영역은 상기 전면패널이 연장된 위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 모듈의 장착위치는 상기 개구부(211, 411)의 반경 방향 외측임이 바람직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일정 영역(S)에 상기 마이크 모듈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 영역(S)는 시스루 영역이 아니므로 전면패널과 마이크 모듈이 밀착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쉽게 도어 전면에서 마이크 모듈을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노크 입력을 가할 수 있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으며, 반면에 노크 입력 영역과 마이크 모듈 장착 영역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 모듈이 도어 전면에서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정 영역(S)의 배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정 영역(S)에 해당하는 전면패널의 배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아웃사이더 타입의 도어는 상기 일정 영역(S)이 도어 프레임이나 아웃 도어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이러한 인쇄층은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루 도어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도어의 전면을 두드리는 것일 수 있으며, 센서 소자 특히 마이크에서 이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어의 전면에 진동을 가하는 환경 요소는 매우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도어의 열고 닫음에 따른 충격, 외부의 강한 소음 등에 의해 도어 전면이 진동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환경에 의한 입력을 노크 신호로 판단될 여지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모듈은 사용자가 도어 전면을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도어 전면을 2 회 두드리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면 첫번째 노크와 두번째 노크 사이의 간격은 약 600 ms 미만임을 알 수 있다. 즉, 1 초(s)가 1000 ms 임을 감안하며, 1초 미만의 간격을 두고 첫번째 노크와 두번째 노크가 발생됨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입력을 노크 신호로 오인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노크의 강도는 사용자마다 편차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매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강도의 편차는 클 수 있으나, 진동 패턴의 편차는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크의 강도 편차는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쇄시킬 수 있으며, 노크 입력의 패턴과 노크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인자로 하여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반대로, 비정상적인 입력을 노크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크 입력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0)는 조명장치(600)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700)는 소정 시간이 경과 후 조명장치(600)를 끄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전이라도 사용자가 재차 노크 입력을 하는 경우 조명장치를 끄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의 노크 입력은 노크 온 입력과 동일할 수 있으며, 노크 온 입력과 차별화되도록 노크 오프 입력으로서 한 번의 노크 입력을 통해 노크 오프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한 번의 노크 입력은 노크 온 판단 후 소정 시간 내의 입력에 한하여 인식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와 같은 센서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어 전면 전체를 노크 온 입력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별도의 터치 센서나 정전 센서 등과 같은 감지센서를 노크 온 입력 영역에 형성하지 않고도 넓은 영역을 노크 온 입력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반대로, 이러한 터치 센서나 정전 센서나 이를 포함하는 별도의 패널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아울러, 도어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자세나 양손의 자유도와 무관하게 넓은 영역을 통해 쉽게 노크 온 입력을 가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아울러, 노크 온 입력 영역을 시스루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스루 영역에 빛의 투과를 방해하는 요소, 예를 들어 터치 패널과 같은 구성 요소를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선명한 시스루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및 가전제품에서 냉장고의 도어 및 냉장고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가전제품의 일례로, 의류처리장치 및 이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실시예에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8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0A)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10A) 내부에는 대상물 수용부(11A)가 구비된다. 냉장고에서 대상물 수용부가 저장실이라면 의류처리장치에서의 대상물 수용부는 의류 저장실 내지는 드럼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도어(100A)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100A)를 열어서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 수용부(11A) 내부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00A)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 수용부(11A) 내부의 의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시 같은 의류 처리가 상기 대상물 수용부(11A)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0A)에도 마찬가지로 시스루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루 영역을 투시 윈도우(120A)라 할 수 있다. 상기 투시 윈도우(120A)는 가시 광선이 도어를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시 윈도우(120A)를 통해서 도어 외부에서 대상물 수용부(11A) 내부를 볼 수 있다.
상기 도어(100A)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12A)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패널(12A)을 통해서 의류처리와 관련된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인 경우, 세탁 코스를 입력할 수 있고 현재 진행 중인 세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패널(12A)에는 코스 선택부(13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코스 선택부(13A)를 통해서 원하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코스 선택부는 로터리 놉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12A)에는 디스플레이부(14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A)를 통해서 코스 소요 시간, 코스 잔여 시간 그리고 현재 수행 중인 서브 코스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2A)은 도어(100A)와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기 도어(100A)와 일체로 컨트롤패널(12A)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도 13에는 컨트롤패널(12A)이 도어(100A)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00A)의 중앙 부분에 시스루 영역 즉 투시 윈도우(120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시 윈도우(120A)의 주변에는 베젤(13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도어(100A)의 전면에서 중앙 부분에는 투시 윈도우(120A)가 형성되고, 투시 윈도우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베젤(13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젤(130A)은 상기 도어(100A)의 전면에서 도어의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100A)의 전면에는 전면패널(110A)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110A)은 빛을 투과하는 투명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글라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투명한 수지로 제작되거나 유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A)은 조명장치가 꺼져있는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블랙 디스플레이처럼 보이도록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10A)의 일부는 상기 투시 윈도우를 형성하고 일부는 베젤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디스플레이 효과를 더욱 두드러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베젤에 대응되는 부분은 검정색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A)은 상기 컨트롤패널(12A)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8에는 전면패널(110A)이 컨트롤패널(12A)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110A)이 실질적으로 도어(110A)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 중 일부는 상기 컨트롤패널(12A)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패널(12A)은 투시 윈도우(120A)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컨트롤패널(12A)은 베젤의 일부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LED와 같은 조명장치들이 꺼져있을 때, 상기 컨트롤패널도 하나의 블랙 디스플레이의 일부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젤(130A)에는 센서(5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투시 윈도우(120A)의 반경 방향 외측에 센서(50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500)에 의해서 투시 윈도우(120A)의 적어도 일부분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서(5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센서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센서(500)는 도어(100A)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도어(100A)의 하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전장품이 컨트롤패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500)도 최대한 컨트롤패널(12A)에 근접하거나 상기 컨트롤패널(12A)의 일부분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신호선들의 연결 및 센서 설치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사각 형상의 도어(100A)와 원 형상의 투시 윈도우(120A)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원 형상의 도어와 투시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젤 형상은 상기 투시 윈도우를 감싸는 환형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에서 도어의 형상, 투시 윈도우 그리고 베젤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도 18에 도시된 가전제품의 도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100A)는 도어 프레임(20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05)은 내측 프레임(210A)과 도어라이너(220A)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도어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내측 프레임의 전방에는 전면패널(110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후방에는 도어라이너(220A)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도어 구조는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냉장고에서의 도어 구조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냉장고에서의 서브 도어 구조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이 도어(100A)의 전면을 형성하거나 상기 전면패널과 함께 내측 프레임(210A)이 도어(100A)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라이너(220A)가 도어(100A)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220A)는 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도어라이너 중공부(222A), 상기 중공부(222A)에 구비되며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상기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도어 글라스(221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라이너 중공부(222A)와 도어 글라스(221A)를 통해서 투시 윈도우(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글라스(221A)는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의 도어 글라스(221A)는 상기 중공부(222A)를 덮고 후방의 도어 글라스(221A)는 상기 중공부(222A)에서 후방으로 더욱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후방의 도어 글라스는 도어(100A)가 닫힌 상태에서 대상물 수용부(11A) 내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210A)은 상기 놉(Knob, 13A)이 관통되게 구비되도록 하는 놉 관통홀(211A), 상기 디스플레이부(14A)가 관통되게 구비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관통홀(212A),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내측프레임 중공부(214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공부(214A)를 통해서 투시 윈도우(12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프레임 중공부(214A)의 반경 방향 외측은 전술한 베젤(130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패널(110A)는 상기 내측 프레임(210A)의 전면에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는 빛이 투과되고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빛이 차단되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패널(110A)과 상기 도어 글라스(221A)를 관통하여 상기 대상물 수용부 내부의 의류 처리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주위 환경이 어두운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패널(110A)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대상물 수용부 내부가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즉 시스루 전환이 필요한 경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10A)을 불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시스루 전환이 필요한 경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패널(110A) 전체를 불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투시 윈도우 즉 시스루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패널 전체 영역이 블랙 디스플레이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가 꺼져있는 경우 마치 블랙 디스플레이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 장착된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매우 미련한 외관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패널(110A)의 테두리 부분에는 복수 개의 결합부(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1A)를 통해서 상기 전면패널(110A)이 상기 내측 프레임(21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1A)는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0A)는 상기 내측 프레임(210A)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PCB 어셈블리(1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 어셈블리는 상기 내측 프레임(210A)의 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21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PCB 어셈블리(150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CB 어셈블리(150A)는 사용자가 특정 입력을 가할 수 있는 입력부들과 가전제품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의 일례가 놉(13A)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표시부들의 일례가 디스플레이부(14A)라 할 수 있다.
상기 PCB 어셈블리(150A)는 컨트롤패널의 일부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PCB 어셈블리(150A)의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210A)을 관통하여 도어의 전면에서 가시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PCB 어셈블리(150A)의 일부는 상기 전면패널(110A)에 의해 덮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PCB 어셈블리(150A)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눈높이에 최대한 맞춘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내측 프레임(210A)의 상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측 프레임(210A)의 후방에서 상기 PCB 어셈블리는 내측 프레임(210A)의 상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210A)의 후방에서 상기 도어라이너(220A)은 내측 프레임(210A)의 하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PCB 어셈블리(150A)는 PCB(151A), 상기 PCB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PCB서포터(155A),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놉(Knob, 13A), 가전제품의 작동 상태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 어셈블리(150A)는 내측 프레임(210A)의 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210A)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PCB서포터(155A)의 배면에는 컨트롤패널커버(16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커버(160A)는 상기 PCB 어셈블리(150A)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210A)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커버(160A)는 상기 PCB 어셈블리(150A)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라이너(220A)와 함께 도어(100A)의 후면을 형성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놉(Knob, 13A)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입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A)를 통하여 입력한 작동에 맞게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0A)는 전면 캐비닛(15A)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A)는 상기 전면 캐비닛(15A)에 연결되는 힌지(17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170A)는 상기 도어(100A)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 캐비닛(15A)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100A)가 상기 전면 캐비닛(15A)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170A)는 힌지바디(171A), 상기 힌지바디(171A)로부터 전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73A), 상기 돌출부(173A)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힌지샤프트(175A), 상기 힌지샤프트(175A)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130)가 자중에 의해 열림 또는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반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77)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177)은 토셔널스프링(Torsiona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캐비닛(15A)에도 중공부(16A)가 형성되어 투시 윈도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빛이 전면패널(110A), 내측 프레임(210A), 도어라이너(220A) 그리고 전면 캐비닛(15A)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사용자는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센서(500), 특히 센서소자모듈이 전면패널(110A)와 밀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센서소자모듈(51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센서소자모듈(510)과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210A)에는 관통부(21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측 프레임(210A)의 후방에서 센서소자모듈(510)이 상기 관통부(213A)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패널(110A)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213A)는 투시 윈도우(120A)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센서(500)에 의하여 상기 투시 윈도우(120A)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도어의 후면을 분해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프레임(210A)과 상기 도어라이너(220A)은 서로 결합되며, 상기 도어라이너(220A)로부터 상기 대상물 수용부(11A)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도어 글라스(22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210A)에 PCB 어셈블리(150A)가 결합되고, 상기 PCB 어셈블리의 (150)의 배면에서 상기 컨트롤패널커버(160A)가 내측 프레임(210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패널커버(16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161A)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통홀(161A)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컨트롤패널커버(160A)와 상기 내측 프레임(21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컨트롤패널, 구체적으로는 PCB 어셈블리를 매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추후 PCB 어셈블리의 유지 보수도 매우 용이함을 의미하게 된다. 왜냐하면, PCB 어셈블리의 장착이 캐비닛(10A)와 무관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도 시스루 전환을 위해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조명장치(600A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캐비닛(15A)에 구비될 수 있으며, 대상물 수용부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드럼 세탁기의 경우에는 조명장치가 터브에 구비되어 터브에 수용되는 대상물 수용부로서의 드럼 내부를 비출 수 있다. 드럼 건조기의 경우에는 조명장치가 전면 캐비닛(15A)에 구비되거나 드럼의 회전을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나 리어 서포터에 장착될 수 있다. 리프레셔의 경우에는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도어에 구비되거나 대상물 수용부 내부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냉장고에서와 마찬가지로 의류처리장치에서도 마찬가지로 도어 스위치(230A)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어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스위치(230A)와 조명장치(600A)의 작동이 서로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의 일시정지 중에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면 도어 스위치(230A)가 도어 개방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장치(600A)가 켜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특성상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조명장치(600A)가 켜지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전원이 인가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나 작동 중 일시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장치(600A)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을 하는 도중에는 기본적으로 조명장치(600A)가 꺼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되는 도중 시스루 전환을 위한 노크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조명장치(600A)가 켜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의 노크 입력 방법과 조명장치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크 입력을 통하여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의류가 제대로 처리되고 있는지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 만족도를 크게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센서(500) 및 센서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센서(500)의 구성 요소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세탁기 등과 같이 물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에서는 이러한 센서(500)가 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500)는 하우징(570)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70)은 필터, 증폭기 그리고 PCB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센서소자모듈과 PCB 사이를 연결하는 신호선도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이러한 구성들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특히, 수분 침투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홀더(56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560A)는 센서소자모듈(510)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홀더(560A)는 상기 센서소자모듈(510) 일부가 돌출되도록 수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70)이 내측 프레임(210A) 후방에서 밀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홀더(560A)의 일부는 내측 프레임(210)의 관통부(213A)를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560A)보다 더욱 전방으로 돌출되는 센서소자모듈(510)은 전면패널(110A)에 더욱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에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프레임(210A)에 상기 하우징(570)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5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71)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내측 프레임에 매우 견고히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복수 개의 후크나 스크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커넥터부(5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572)를 통해서 센서(500)와 PCB 어셈블리의 제어부가 신호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70)은 PCB 어셈블리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PCB 어셈블리(150A)가 내측 프레임(210A)에 장착됨에 따라 센서(500)가 내측 프레임(210A)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70)에는 코팅액 침투홀(57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 내부의 전장품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코팅액이 침투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500)의 PCB, 필터, 증폭기 그리고 센서 마이컴이 코팅액에 의해서 더욱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침투홀(572)은 이러한 전장품들 전체에 골고루 코팅액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코팅액은 추후 응고된다.
이상에서 가전제품에서 냉장고와 의류처리장치에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가전제품의 일례로 조리기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가전제품 중 종래의 조리기기 또는 식기세척기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100B)의 전면 상부에 핸들(150B)이 구비되고, 도어 하부의 회전 중심에 따라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조리기기 또는 식기세척기를 도시하고 있다.
조리기기 또는 식기세척기도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B)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10B) 내부에는 조리가 수행되는 챔버 또는 세척이 수행되는 터브가 위치된다. 이러한 챔버 또는 터브를 대상물 수용부(11B)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캐비닛(10B)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00B)가 구비되며, 이러한 도어(100B)를 통해서 대상물 수용부(11B)를 볼 필요성이 있다.
조리기기 또는 식기세척기에도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패널(12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12B)에는 조작부(13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 중 일례가 놉일 수 있다.
조리기기인 경우에는 캐비닛(10B)의 상부에 별도의 조리 영역을 형성하는 쿡탑(17B)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부(18B)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4를 참조하여 도 23에 도시된 가전제품의 도어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100B)는 캐비닛(10B)과 연결되어 대상물이 수용되는 대상물 수용부(11B)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100B)에는 핸들(150B)이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핸들(150B)을 잡고 상기 도어(100B)를 열고 닫게 된다.
상기 도어(100B)는 복수 개의 프레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패널들이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205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05B)는 도어의 전면을 이루는 아웃 도어(210B)와 도어의 후면을 이루는 도어 라이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 도어(210B)와 도어어라이너(280B)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도어(210B)와 도어라이너(280B) 사이에는 내측 프레임(230B)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들(210B, 230B, 280B)의 중앙에는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중공부(214B, 231B, 28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부들이 투시 윈도우(120B)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윈도우들에 대응되는 단열 패널(240B)과 전면패널(110B)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도어 구조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도어의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3에 도시된 도어도 동일하게 아웃 도어, 내측 프레임 그리고 도어라이너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상기 아웃 도어(210B)에는 전면패널(110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B)은 상기 아웃 도어(210B)의 전방에서 상기 아웃 도어(210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아웃 도어(210B)의 후방에서 전면패널(110B)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패널(110B)은 상기 아웃 도어(210B)의 중공부(214B)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공부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패널(110B)은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B)은 상기 아웃 도어(210)와 함께 도어(100B)의 전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패널(110B)은 투시 윈도우를 형성하는 한편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가해지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110B)에 센서(500)가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500) 특히 센서소자모듈(510)은 상기 전면패널(110B)의 후방에서 밀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서소자모듈(510)은 상기 전면패널(110B)의 전방에서 밀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상기 전면패널(110B)은 노크 입력이 가해지는 구성이며 노크 입력이 의한 음파가 전달되는 매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10B)은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매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B)과 함께 윈도우 패널(240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패널(240B)는 단열을 위해 구비되므로 단열패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 패널도 복수 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100B)의 내부에는 도어(100B)가 열리고 닫히는 힌지(29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풀 다운(PULL-DOWN) 형태의 도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295B)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0B)의 하부에는 차폐 패널(29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캡 데코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500)가 전면패널의 하부에 위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편이를 위해서 센서(500)의 위치는 전면패널의 측부, 상부 또는 하부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메인 제어부와의 위치 관계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가전제품의 일례로 냉장고, 의류처리장치, 조리기기 그리고 식기세척기 및 이에 적용되는 도어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즉, 대상물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대상물 수용부를 볼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도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가해지는 전면패널이 도어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노크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도어 및 이를 갖는 가전제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센서가 투시 윈도우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장착되어 투시 윈도우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도어 및 이를 갖는 가전제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서, 각각 가전제품의 특성상 도어 자체의 세부 특성은 달라질 수 있으나, 공통적인 특징은 가전제품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를 통해 설명된 제어 구성과 도 10을 통해 설명된 센서소자모듈은 가전제품의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10, 10A, 10B : 캐비닛 100, 100A, 100B : 도어
271, 110A, 110B : 전면패널 500 : 센서
510 : 센서소자모듈(마이크모듈)

Claims (25)

  1. 캐비닛;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대상물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투시 윈도우를 갖는 도어;
    상기 대상물 수용부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노크 입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패널; 그리고
    상기 노크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투시 윈도우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노크 입력에 의하여 발생되어 상기 전면패널 자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마이크 수용부를 갖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수용부를 수용하고,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상기 전면패널을 향한 힘이 가해져서 상기 마이크 모듈을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조명장치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선을 투과시키는 패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센서 소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은 음파를 감지하는 센서 소자와 상기 센서 소자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센서 소자 수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노크 입력 발생 위치와 노크 입력 감지 위치 사이에서 매질의 동일성과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단일 매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모듈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마이컴은 상기 센서 소자를 통해 수신되는 음파를 감지하여 노크 입력임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을 상기 전면 패널에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전면패널 후방에서 상기 전면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투시 윈도우의 베젤을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시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한 내측 프레임 중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에는, 상기 센서 소자 모듈이 상기 내측 프레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전면패널과 밀착하도록 관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시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한 도어라이너 중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 중공부에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삽입되는 도어 글라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도어라이너의 상부에 구비되는 PCB 어셈블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PCB 어셈블리의 후방에서 상기 PCB 어셈블리를 수용하면서 상기 내측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라이너와 함께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컨트롤패널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에는 검정색 인쇄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소자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그리고
    상기 필터와 증폭기가 실장되는 PCB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PCB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 모듈을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마이크 모듈을 수용하는 홀더;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내측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를 통한 결합으로 인해 상기 센서 소자 수용부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전면패널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가전제품이 상기 대상물 처리를 위한 구동 도중에만 상기 노크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1. 삭제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수용부는, 상기 전면패널과의 사이에서 외부 소음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면패널과 밀폐 공간을 갖도록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은 상기 마이크 수용부 내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4. 삭제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냉장고, 의류처리장치, 조리기기 그리고 식기세척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KR1020160041280A 2014-10-17 2016-04-04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565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91,354 US10890374B2 (en) 2014-10-17 2017-02-03 Door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PCT/KR2017/001197 WO2017175960A1 (ko) 2014-10-17 2017-02-03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EP17779261.1A EP3441705B1 (en) 2016-04-04 2017-02-03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0936 2014-10-17
KR20140181403 2014-12-16
KR1020150088477A KR20160045545A (ko) 2014-10-17 2015-06-22 냉장고
KR1020150088477 201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75A KR20160150575A (ko) 2016-12-30
KR102565550B1 true KR102565550B1 (ko) 2023-08-11

Family

ID=5591478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77A KR20160045545A (ko) 2014-10-17 2015-06-22 냉장고
KR1020197023795A KR102139502B1 (ko) 2014-10-17 2015-10-19 냉장고
KR1020167016031A KR102012401B1 (ko) 2014-10-17 2015-10-19 냉장고
KR1020160041280A KR102565550B1 (ko) 2014-10-17 2016-04-04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77A KR20160045545A (ko) 2014-10-17 2015-06-22 냉장고
KR1020197023795A KR102139502B1 (ko) 2014-10-17 2015-10-19 냉장고
KR1020167016031A KR102012401B1 (ko) 2014-10-17 2015-10-19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7) US10274250B2 (ko)
EP (2) EP3637027A1 (ko)
KR (4) KR20160045545A (ko)
CN (2) CN106068431A (ko)
ES (1) ES2778300T3 (ko)
WO (1) WO2017175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196B1 (ko) 2013-04-26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92629B1 (en) * 2015-06-15 2019-12-03 Danby Products Limited Refrigerator
KR20170019341A (ko) * 2015-07-15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도어, 가전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2794B1 (ko) * 2015-08-25 201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50258B1 (ko) 2016-01-05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10760B1 (ko) 2016-01-05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862564B1 (ko) *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13593B1 (ko) * 2016-03-15 201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KR102567513B1 (ko) * 2016-06-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1622B1 (ko) * 2016-06-09 2023-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21283B1 (ko) * 2016-07-28 202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Led 패널을 갖는 가전제품 및 조명장치
KR20180024352A (ko)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22150B1 (ko) * 2016-11-17 2017-03-31 이조헌 탈,장착성과 미관이 개선된 체결구조의 의료용 배전반 케이스
KR102656496B1 (ko) * 2016-11-21 2024-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45097B1 (ko) * 2016-11-29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8613463A (zh) * 2016-12-12 2018-10-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KR102273092B1 (ko) * 2016-12-12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8253706A (zh) * 2016-12-29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CN108253708A (zh) * 2016-12-29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
CN108252600B (zh) * 2016-12-29 2021-03-30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KR102601892B1 (ko) * 2017-01-02 202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78092B1 (ko) * 2017-01-19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
KR20180086644A (ko) * 2017-01-23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투명 패널 어셈블리
KR102259753B1 (ko) * 2017-03-24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23822B1 (ko) * 2017-04-25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60680B1 (ko) * 2017-05-18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59721B1 (ko) * 2017-06-28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크 온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6959808B2 (ja) * 2017-09-11 2021-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CN109753191B (zh) * 2017-11-03 2022-07-26 迪尔阿扣基金两合公司 一种声学触控系统
CN109763293A (zh) * 2017-11-09 2019-05-17 上海小吉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感应振动自动运行的控制方法以及洗衣机
CN113218120B (zh) * 2017-12-27 2022-10-2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KR20200112844A (ko) 2018-01-22 2020-10-05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센서 디바이스의 이벤트 저장
KR102499468B1 (ko) * 2018-02-12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652954B (zh) * 2018-03-22 2020-08-2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及衣物处理装置
CN108937808B (zh) * 2018-05-23 2021-07-2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门控方法、洗碗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28892B1 (ko) * 2018-05-28 2019-10-07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피에조 효과를 이용한 진동 패턴 감지 스위치 모듈
KR102096957B1 (ko) * 2018-06-01 2020-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89357B1 (ko) * 2018-06-01 2020-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RU2757766C1 (ru) 2018-07-30 2021-10-21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20210310173A1 (en) * 2018-08-26 2021-10-07 Lg Electronics Inc. Clothes-processing device
AU2019333794B2 (en) * 2018-08-27 2023-03-02 Lg Electronics Inc.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N110873497A (zh) * 2018-08-30 2020-03-10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09341187B (zh) * 2018-08-31 2021-06-22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冰箱的照明控制方法
CN110873507B (zh) * 2018-09-03 2021-04-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具有双层门结构的冰箱
EP3940135A3 (en) 2018-09-06 2022-04-2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0096258A1 (ko) 2018-11-08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널 어셈블리, 냉장고 및 가전제품
CN109259702A (zh) * 2018-11-15 2019-01-2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门体的改良结构
KR102554593B1 (ko) * 2018-12-03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BR102019005148A2 (pt) * 2019-03-15 2020-10-06 Electrolux Do Brasil S/A Refrigerador compreendendo um dispositivo de vedação e dispositivo de vedação
US11182123B2 (en) * 2019-04-30 2021-11-23 Whirlpool Corporation User-interface system for a laundry appliance
CN110671882A (zh) * 2019-09-16 2020-0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敲击控制方法
US11723741B1 (en) * 2019-10-18 2023-08-15 Mark Benedict Container for holding and dispensing medical gloves or other consumables
CN112797711A (zh) * 2019-11-13 2021-05-1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WO2021107345A1 (ko)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4071426A4 (en) 2019-12-05 2024-04-17 Lg Electronics Inc FRIDGE
KR102656247B1 (ko) * 2019-12-19 2024-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US20230111114A1 (en) 2019-12-19 2023-04-13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U2020409316B2 (en) 2019-12-19 2024-02-08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viewing window
WO2021125429A1 (ko) 2019-12-19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09278B1 (ko) * 2020-01-23 202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2601398B1 (ko) * 2020-01-23 2023-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KR20210106270A (ko) * 2020-02-20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3785B1 (ko) 2020-05-08 202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KR20210156172A (ko) 2020-06-17 2021-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1261748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01781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936799A1 (en) * 2020-07-06 2022-01-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20005218A (ko) * 2020-07-06 2022-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42972B1 (ko) * 2020-08-20 2021-12-24 주식회사 인투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관리 시스템
KR102357743B1 (ko) * 2020-08-28 2022-02-07 주식회사 비전과학 의료용 의약품 및 의료용품 보관용 냉온장장치
US11668513B2 (en) 2020-12-01 2023-06-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11215391B1 (en) * 2020-12-01 2022-01-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KR20220101524A (ko) * 2021-01-11 202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598574B2 (en) * 2021-03-19 2023-03-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door including a wireless module
KR20230020740A (ko) * 2021-08-04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24153A (ko) * 2021-08-11 2023-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CN117058863B (zh) * 2023-10-13 2023-12-19 无锡弗斯门控科技有限公司 一种门中门的信号传输调节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6851A (zh) 2006-04-12 2009-01-28 伊莱克斯家用产品公司 家用器具
US20110134627A1 (en) 2009-12-08 2011-06-09 Magna International Inc. Appliance doors having integrated lighting and controls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7234A (ja) 1991-05-24 1992-12-02 Taisei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960008835U (ko) * 1994-08-29 1996-03-16 이재현 냉장고
KR200151325Y1 (ko) * 1997-03-20 1999-07-15 윤종용 내부투시기능을 갖는 냉장고
KR19990041832A (ko) * 1997-11-24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냉동 및 냉장실도어의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059420A (en) * 1999-02-17 2000-05-09 Rogers; Thomas See through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KR100687918B1 (ko) * 2000-06-20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기능을 갖는 냉장고
JP2002031471A (ja) 2000-07-19 2002-01-31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扉
DE10237132A1 (de) 2002-08-13 2004-02-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biometrischer Personenidentifikationseinrichtung
KR20060030289A (ko) * 2004-10-05 2006-04-10 김민식 냉장고용 저장실 투시장치
KR200372144Y1 (ko) 2004-10-05 2005-01-10 김민식 냉장고용 저장실 투시장치
KR100692211B1 (ko) 2005-07-01 2007-03-09 엔에이치엔(주) 게임 엔진에서 파이버를 이용한 오브젝트 처리 방법
KR100735948B1 (ko) 2005-09-20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외장재의 음향유통부재
US7980644B2 (en) * 2005-09-23 2011-07-19 Lg Electronics Inc. Damper and home-bar door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ing the same
US20080025219A1 (en) * 2006-07-27 2008-01-31 Via Technologies, Inc. Method for handling the bandwidth allocation of a networking device
US20080186696A1 (en) * 2007-02-03 2008-08-07 Awai George K Light emitting diode waveguide assemblies for illuminating refrigerated areas
KR101508373B1 (ko) * 2008-01-2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446350B1 (ko) * 2008-01-21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홈바 도어 개폐 시스템
KR101012381B1 (ko) * 2008-11-14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장치용 도어
KR101584805B1 (ko) 2009-04-23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267386A3 (en) * 2009-06-22 2014-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635570B1 (ko) * 2009-07-21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WO2011037838A1 (en) * 2009-09-25 2011-03-31 Neuroenterprises, Llc Regulated gravity-based cerebral spinal fluid drainage device
CN102116554A (zh)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EP2531789B1 (en) * 2010-02-01 2020-05-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78549B1 (ko) * 2010-02-02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면 음향 신호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바이스
KR20100082759A (ko) 2010-06-29 2010-07-19 박청현 투명 냉장고
DE102010037397A1 (de) 2010-09-08 2012-03-08 Miele & Cie. Kg Haushaltgerät, insbesondere grifflose Geschirrspülmaschine
KR20120116207A (ko) *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27101A (ko) * 2011-09-07 2013-03-15 김동우 투과도 가변창을 구비한 냉장고
KR101923471B1 (ko) * 2011-10-0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52556B1 (ko) * 2011-10-20 2014-01-20 최경식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CN102519204B (zh) * 2011-12-08 2014-08-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吧台门及具有其的冰箱
US20140111333A1 (en) * 2012-01-24 2014-04-24 Alfred M. Haas dB
CN202734419U (zh) * 2012-04-28 2013-02-13 青岛海尔集团 冰箱
CN103426405B (zh) 2012-05-23 2017-09-12 海尔集团公司 冰箱显示屏的显示方法及系统
US9851636B2 (en) * 2012-07-05 2017-12-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roved photoresist performance
KR20140008597A (ko) * 2012-07-09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래치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9255729B2 (en) * 2013-03-15 2016-02-09 Phillip Rindlisbach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refrigerated items
JP6419781B2 (ja) * 2013-04-22 2018-11-07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Oledを備えたセンサデバイス
CN105352261B (zh) * 2013-04-23 2018-03-02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其控制方法
KR101728196B1 (ko) 2013-04-26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N203771885U (zh) 2014-04-24 2014-08-13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触摸显示保温门体及其电冰箱
EP2975345B1 (en) * 2014-07-16 2019-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68921B1 (ko) *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2471457B1 (ko) * 2015-02-17 2022-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204612292U (zh) 2015-02-28 2015-09-02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
US10501972B2 (en) * 2015-03-31 2019-12-10 Follett Corporation Refrigera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therefor
KR101892794B1 (ko) 2015-08-25 201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702617B2 (en) * 2015-11-05 2017-07-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KR20170069658A (ko) * 2015-12-11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869502B2 (en) * 2016-01-05 2018-01-16 Haier US Applicance Solutions, Inc. Method for operating a fan of a nugget ice maker
KR101954874B1 (ko) 2016-01-05 2019-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260790B2 (en) * 2017-06-16 2019-04-16 Haier US Applic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storage b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6851A (zh) 2006-04-12 2009-01-28 伊莱克斯家用产品公司 家用器具
US20110134627A1 (en) 2009-12-08 2011-06-09 Magna International Inc. Appliance doors having integrated lighting and contr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7027A1 (en) 2020-04-15
US20200132363A1 (en) 2020-04-30
US20180372400A1 (en) 2018-12-27
US10900710B2 (en) 2021-01-26
US20170211874A1 (en) 2017-07-27
CN106068431A (zh) 2016-11-02
US20190285337A1 (en) 2019-09-19
WO2017175960A1 (ko) 2017-10-12
US10274250B2 (en) 2019-04-30
US20180209721A1 (en) 2018-07-26
EP3086061A4 (en) 2017-08-09
ES2778300T3 (es) 2020-08-10
EP3086061B1 (en) 2020-01-01
CN113237276A (zh) 2021-08-10
KR102139502B1 (ko) 2020-07-30
US10890374B2 (en) 2021-01-12
KR20160045545A (ko) 2016-04-27
KR102012401B1 (ko) 2019-11-04
US10088225B2 (en) 2018-10-02
US20170321959A1 (en) 2017-11-09
US20190120546A1 (en) 2019-04-25
KR20160150575A (ko) 2016-12-30
US10641546B2 (en) 2020-05-05
EP3086061A1 (en) 2016-10-26
KR20190097325A (ko) 2019-08-20
KR20170058328A (ko) 2017-05-26
US10345035B2 (en) 2019-07-09
US10222118B2 (en)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550B1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AU2020200048B2 (en) Refrigerator
KR101862564B1 (ko) 냉장고
EP1781856A1 (en) A household appliance
EP3441705B1 (en) Home appliance
KR20180054538A (ko) 냉장고
KR20230106544A (ko) 가전기기 및 냉장고
KR102167549B1 (ko) 냉장고
KR102206063B1 (ko) 냉장고
KR102096957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50075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26086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