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46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468B1
KR102499468B1 KR1020180017299A KR20180017299A KR102499468B1 KR 102499468 B1 KR102499468 B1 KR 102499468B1 KR 1020180017299 A KR1020180017299 A KR 1020180017299A KR 20180017299 A KR20180017299 A KR 20180017299A KR 102499468 B1 KR102499468 B1 KR 10249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door
light
refrigerator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638A (ko
Inventor
정효철
박민규
전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468B1/ko
Priority to EP18203368.8A priority patent/EP3524908B1/en
Priority to US16/196,568 priority patent/US10883305B2/en
Priority to CN201811397771.3A priority patent/CN110160314B/zh
Publication of KR20190097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638A/ko
Priority to KR1020230016525A priority patent/KR2023002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22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with adjustable passage of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형성하며, 고내측을 투시하는 투시부가 형성되는 투명 어셈블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보다 더 고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투시부에 의해 투시되는 영역을 밝히는 제 1 라이트; 상기 투명 어셈블리는,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투명한 복수의 패널;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화면을 출력하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밝히는 제 2 라이트;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와 제 1 라이트 및 제 2 라이트가 선택적으로 온오프되어, 상기 투시부가 상기 고내측이 보이지 않는 불투명 상태와, 상기 고내측이 보이는 투명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상태에서는 고내측의 공간이 보이면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 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 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냉장고는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식품의 저장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시간이 늘어나게 되거나 횟수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미국등록특허 US6059420에 개시된 것과 같이 냉장고의 도어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냉장고들은 단순히 내부를 보이게 하는 정도에만 그칠 뿐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보이게 하거나, 고내측을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화면 상태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의 냉장고는 고내에 저장된 식품을 보이는 동시에 저장된 식품과 연계된 정보를 표시하고 정보의 가공이 가능하지 못하여 제품의 유무의 확인에 불과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다양한 상태의 고내 투시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한 투시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기호 및 사용 환경에 맞추어 고내 공간을 가시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를 통해 고내의 투시 정보와 함께 이미지 출력 정보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를 통해 고내에 저장된 식품을 가시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시화 된 식품과 연관된 정보의 표시, 생성 및 가공이 가공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내의 가시화가 가능한 대형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고내 저장 식품과 연계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개폐 조작시에도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투시부를 통한 정보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개폐 조작 전후와 연속되는 상기 투시부의 출력 및 사용자의 조작 사용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투시부에 의해 가시화되는 고내의 식품의 이동과 연계하여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열 성능을 확보하고 동시에 화면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상에 투시부를 복수의 투명한 패널들과, 상기 패널들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투시 공간을 밝히는 제 1 라이트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라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제 2 라이트, 디스플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투시부가 불투명, 투명 또는 투명 상태에서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상에 투시부를 복수의 투명한 패널들과, 상기 패널들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투명한 오엘이디(OLED) 패널과, 상기 투시부에 의해 투시되는 공간을 밝히는 제 1 라이트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및 제 1 라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투시부가 불투명, 투명 또는 투명 상태에서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라이트, 디스플레이, 제 2 라이트의 온오프를 조합에 따라서 상기 투시부가 투명하게 보이는 정도 및 상기 출력 화면이 선명하게 보이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라이트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라이트와 고내측에 구비되는 고내 라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투시부의 밝기 조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식품이 투시되는 투시부의 영역에 정보가 출력되는 출력 아이콘이 표시되며, 투명 패널 어셈블리는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출력 아이콘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 가공, 이동,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더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형성하며, 고내측을 투시하는 투시부가 형성되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보다 더 고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투시부에 의해 투시되는 영역을 밝히는 제 1 라이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는,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투명한 복수의 패널;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화면을 출력하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밝히는 제 2 라이트; 및 상기 투시부의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 입력부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라이트와 제 2 라이트 및 디스플레이는 모두 오프되어 상기 투시부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조작 입력부를 통해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투시부는, 상기 제 1 라이트는 온되고 제 2 라이트는 및 디스플레이는 오프되어, 상기 투시부를 통해 상기 고내측이 보이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라이트와 제 2 라이트 및 디스플레이가 모두 온되어, 상기 투시부를 통해 상기 고내측이 보이면서 화면이 출력되는 제 2 상태와, 상기 제 1 라이트는 오프되고 제 2 라이트 및 디스플레이는 온되어, 상기 투시부를 통해 고내측이 보이지 않으면서 화면이 출력되는 제 3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조작 입력부의 조작시 상기 디스플레이가 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이트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라이트와; 상기 도어 라이트보다 더 고내측에 위치되어, 고내측을 밝히는 고내 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라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방과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우 양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도어 라이트는 오프되고, 상기 고내 라이트는 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도어 라이트와 상기 제 2 라이트는 오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투시부를 통해 화면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 후 닫히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온 상태를 유지하여 화면 출력을 유지하고, 상기 제 2 라이트는 다시 온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입력부는,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센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센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감지하는 노크 감지장치;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센서; 및 사용자의 직접적인 누름 조작을 인식하는 조작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투시부의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3 상태에서,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입력시, 상기 투시부는 상기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후 닫게 되면, 상기 제 1 라이트는 오프되고 상기 제 2 라이트와 디스플레이가 온되어 고내측이 투시되지 않고 상기 투시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글랜스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글랜스 상태에서는 상기 투시부는 기 설정된 화면을 일시적으로 출력하며, 추가의 사용자 입력이 없게 되면 다시 불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투시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 라이트가 온되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의 화면 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정보 또는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알림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근접이 감지되면 상기 투시부는 상기 불투명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제 2 라이트가 온되며, 상기 투시부를 통해 알림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가 상기 투명 상태일 때 상기 투시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및 제 2 라이트가 온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아이콘이 출력되며, 상기 출력 아이콘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라이트가 온된 상태에서 투시되는 고내측의 식품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 배치 가능할 수 있다.
고내에는 상기 식품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며, 상기 식품의 수납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식품이 변경된 위치로 상기 출력 아이콘이 이동되거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투시부의 선택적인 투명 불투명 전환에 의해서 고내를 선택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과 소비전력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는 고내측의 투시가 가능한 상태에서 화면의 출력이 가능하며, 따라서 고내측의 투시와 동시에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투시부의 한 화면 내에 식품의 투시와 정보의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투시되는 식품과 연계되는 정보를 출력하여 한 화면에 출력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도어 라이트 및 고내 라이트의 동작을 조합하여 상기 투시부의 투명도와 상기 투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선명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와 냉장고의 사용 환경에 맞추어 적합한 상태로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대형의 상기 투시부에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 및 가공 및 표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화면 구성 및 다양한 상태의 투시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은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를 통해서 보여지는 출력 아이콘들은 상기 고내측에 저장되어 상기 투시부를 통해 보여지는 식품들과 연계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출력 아이콘들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 조절하여 배치함으로서 사용 편의성과 상기 투시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아이콘은 고내측에 저장된 식품과 매칭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식품의 이동 수납시 상기 출력 아이콘은 이동된 위치에서 출력될 수 있게되어 사용 편의서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식품의 이동 수납시 상기 출력 아이콘은 상기 저장 식품의 이동을 알릴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화한 위치에서 식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도어 라이트에 의한 눈부심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나,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도어 라이트가 꺼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를 개방한 후 닫게 되면, 상기 투시부는 상기 이전의 화면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투시부의 연속적인 조작 및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투시부를 형성하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는 단열 공간과 디스플레이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단열 성능의 확보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도광판 수축 팽창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라이트 등의 전선이 출입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단열 공간에서는 완전한 밀폐 및 기밀을 유지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 11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동작을 위한 구성들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5는 상기 냉장고의 주요 구성과 사용자 휴대기기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6은 상기 냉장고가 포함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냉장실 도어의 종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A부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B부 확대도이다.
도 21A 내지 21E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에 따른 투시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상기 투시부의 상태에 따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도 23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되는 상태의 일례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되는 상태의 다른 예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되는 상태의 또 다른 예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되는 상태의 또 다른 예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되는 상태의 또 다른 예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일측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냉장실의 다른 일측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 경과 여부에 따른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에서 일측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서 상기 냉장실 도어 중 메인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서 상기 냉장실 도어 중 서브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되고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 후 상기 냉장실 도어를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 38은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되고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 후 상기 냉장실 도어를 닫을 때 설정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른 상태 변화를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 39는 상기 투시부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상태 변화를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 40은 상기 투시부의 전체적인 조작에 따른 상태 변화를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 41A 내지 41E는 도 40에서 상황 메뉴 조작시 보여질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A 내지 42E는 도 40에서 메인 메뉴 조작시 보여질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는 상기 투시부의 가시화 상태에 출력 및 조작 가능한 화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4는 상기 투시부의 고내 가시화 레벨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상기 투시부에 출력 상태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상기 투시부를 통해 상황 메뉴를 조작하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의 이동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8은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의 삭제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9는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이 겹쳐지는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0은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이 병합되는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1은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이 매칭 및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2는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이 매칭 및 알림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3은 상기 투시부 상에 알림이 팝업되었을 때의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4는 상기 투시부 상에 복수의 알림이 있을 때의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14)는 상기 냉장고(10)의 냉각 운전은 물론, 투시부(80)의 선택적인 투시와 화면 출력을 위한 전장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 하단에는 모션 감지장치(1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션 감지장치(162)는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특정 모션을 취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을 갖다대는 등의 작업을 통해 동작의 입력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모션 감지장치(162)를 통한 조작 입력으로 상기 투시부(80)의 상태를 변화 시키는 조작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측 도어(도 29에서 21)와 우측 도어 한쌍(도 29에서 2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 또한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13)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하단과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상단에는 함몰된 손잡이 홈(201,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홈(201,301)에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냉동실 도어(30)를 개폐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일측의 도어는 고내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도어 배면의 저장 공간 및/또는 고내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영역인 투시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80)는 사용자가 도내측을 볼 수 있으며, 화면 출력이 가능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고내에 수납된 식품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투시부(80)가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가 된다는 의미는, 상기 투시부(80) 자체가 투명 또는 불투명과 같이 성질이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도어 라이트(57)의 동작에 따라 고내측의 밝기가 조절되고,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고내측을 확인하게 될 때 보이는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투시부(80)가 투명한 상태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고내에 저장된 식품을 충분히 식별할 수 있는 정도로 보이는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투시부(80)가 불투명한 상태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식별이 어려운 정도 잘 보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화면 출력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투시부(80)의 영역을 스크린(screen)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투시부(80)는 조작 상태에 따라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도어(20)의 내측 공간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측 저장 공간(도 2에서 41)의 투시와 동시에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80)의 화면 구성 및 상태의 변화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장실 도어(20)에 상기 투시부(80)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투시부(80)는 냉장고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냉장고 도어에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상기 투시부(80)가 형성되지 않은 좌측 도어(21)에는 디스펜서(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3)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외측에서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3)의 일측에는 조작부(1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66)는 상기 디스펜서(23) 및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터치 센서 또는 버튼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또는 누름 조작에 의해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66)의 조작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23)를 통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특정 기능을 위한 조작을 입력하거나 고내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투시부(80)의 활성화를 선택 조작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한 화면의 출력 등을 조작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166)는 상기 디스펜서(23)와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일측에 별도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 도어(도 29에서 22)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1)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 도어(도 29에서 2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1)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도어 바스켓(431)의 내측 공간은 상기 투시부(80)에 의해 외부에서 보여지게 되는 도어측 저장 공간(4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 둘레에는 메인 가스켓(45)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폐시 상기 캐비닛(10) 내부 공간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을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을 노출 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는 결합된 상태가 되어 좌측에 형성된 냉장실 도어(20)와 그 크기와 형상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는 서브 가스켓(503)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선택적으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서브 도어(50)상에서 고내측이 보여지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가시화 영역, 스크린 등으로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는 반드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전체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만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가시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투명 상태는 완전히 투명한 것은 아니며, 내부의 식별이 가능한 정도를 의미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디스플레이(62),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도어 라이트(57), 고내 라이트(121)의 동작 조합에 따라 다양한 투명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불투명 상태는 내부의 식별이 이루어지지 않는 정도로 어두운 상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에 매우 가까이 근접한 상태에서는 내부의 실루엣이 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지만,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12)의 우측의 도어(20)와 같이 하나의 도어로 구성된 경우에도 상기 도어(20)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냉장고의 형태 및 도어의 형태에 관계 없이 도어를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모든 타입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서브 어퍼 힌지(501)와 서브 로어 힌지(502)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개방장치(5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록킹 유닛(4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방장치(59)와 상기 록킹 유닛(42)의 결합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의 구속이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를 기준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는 댐핑장치(도 5에서 5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504)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의해 무게가 무거운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로어 힌지(502)와 인접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과 측단 모서리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3)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43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케이스(43)에는 케이스 도어(4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56),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에 장착되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외관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비롯한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냉동실 도어(30)의 전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 표면에는 내지문 코팅, 헤어라인, 색상이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코팅 또는 필름 부착 등 다양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512)와,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512)의 중앙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의해 차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하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내측을 상기 투시부(80)라 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80)의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 둘레에는 베젤(611)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장착 구조 및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상에 부착되는 구성들을 차폐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베젤(611)의 후방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의 배면 둘레에는 근접 감지센서(161)와, 마이크(163), 노크 감지장치(164), 비전센서(16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젤(611)은 장착된 상태의 근접 감지센서(161)와, 마이크(163), 노크 감지장치(164), 비전센서(166)를 가릴 수 있다.
특히, 상기 마이크(163)는 프론트 패널(61)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마이크(163)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마이크 홀(163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 전방에 위치된 사용자의 음성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전센서(166)는 상기 냉장고(1) 전방의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에는 상기 비전센서(166)와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 홀(165a)이 형성되어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센서 홀(165a)은 유리를 관통하는 홀일 수도 있고, 상기 베젤(611)의 검은 색 부분이 제거되어 투명하게 보이는 영역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 홀(163a) 또는 센서 홀(165a)은 홀 성형이 용이한 프론트 패널(61)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80)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투시부(80)와 수용 공간(600b), 단열 공간(600a)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 홀(163a) 또는 센서 홀(165a)은 상기 베젤(611)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마이크(163)와 비전센서(166)가 상기 베젤(61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 홀(163a)과 센서 홀(165a)의 크기는 음성의 입력 또는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면서도,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잘 보이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마이크 홀(163a)은 대략 0.5 ~ 3mm 이내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는 사용자의 근접 감지가 용이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좌측 하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냉장고(1)의 전방 중 중앙측에 가깝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감지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는 상기 프론트 패널(61) 외곽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근접 감지센서(161)의 노출에 의해 외관이 저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가 상기 프론트 패널(61) 외곽에 설치되는 경우 단열재가 충전되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근접 감지장치(161)의 장착을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단열 성능이 저하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단에 위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캐비닛(10)의 전단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으로 인해 오감지가 발생되거나 감지영역이 줄어들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164)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밀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노크 조작하게 될 때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164) 및 근접 감지센서(16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베젤(611)의 영역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164)의 위치는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 그리고 상기 베젤(61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에서나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기 전면부(512)는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12)는 이웃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과 대응하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서포트 프레임(7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배치되는 영역에 라이너 개구(5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서브 가스켓(503)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개구(561)의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및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후방을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 공간 즉,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의 내부를 밝힐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화면 출력시 화면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시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 내부가 밝아지게 되며, 따라서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더 밝아지게 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의 가시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고내 라이트(121) 또한 함께 점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이 보다 밝아지게 되어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 내부를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양측방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장착위치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좌우 양측 뿐만 아니라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에서 충분한 밝기를 가질 수 있다면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단 또는 상단과 하단 등 다양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명 패널() 상단과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좌우 양측단에 위치됨으로써 도어 라이트(57)를 구성하는 엘이디의 개수를 더 많이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보다 밝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좌우 양측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좌우 양측단에 구비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모두 켜지게 되는 상황에서 좌우 양측단이 국부적으로 밝아지고 상단과 하단은 상대적으로 어두워지게 되어 상기 투시부(80) 전체의 균일한 밝기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80)의 전체적인 밝기가 균일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정면에서 상기 투시부(80)를 바라볼 때 상기 투시부(80)의 좌우측단은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빛이 조사되고, 상기 투시부(80)의 상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해 빛이 조사되어 상기 투시부(80)의 4면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고내의 투시가 가능한 밝기을 확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면 그 배치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고내 라이트(121)를 모두 라이트라 부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고내 라이트(121)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반드시 도어에 위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향하도록 빛을 조사하여 상기 투시부(80)의 후방을 밝힐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고내 라이트(121) 보다 더 전방에 위치하기만 하면 되며, 상기 투시부(80)의 후방 공간 즉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밝힐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전단에 위치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상면을 통과하여 상기 도어 저장 공간을 밝힐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냉장실 도어(20)가 아닌 캐비닛(10)의 내측에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를 제 2 라이트(68)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57,121)를 제 1 라이트(57,121)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라이트(57,121)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고내 라이트(12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가르킬 수 있다.
상기 제 1 라이트(57,121)가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고내 라이트(121)를 모두 지칭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대적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더 가까이 배치되어 냉장실 도어(20)의 후방을 밝히게 되므로 도어측 라이트(57)라 할 수 있고, 상기 고내 라이트(121)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보다 더 상기 냉장실 도어(20)로부터 먼 거리에 배치되어 고내측을 밝히게 되므로 고내측 라이트(121)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에는 상기 개방장치(59)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59)는 서브 도어(50) 하단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재(591)와 상기 조작부재(591)에서 연장되는 로드(592)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 배면에서 돌출되는 로킹부재(5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재(59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드(592)가 상기 로킹부재(593)를 움직여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상면은 개구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상방의 공간과 연통되는 된 데코 개구(542)가 형성되며, 데코 커버(543)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543)에는 피시비 장착부(543a)가 형성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및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위한 피시비들(602,603,604)이 장착될 수있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의 폐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의 공간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상부에 의해 전후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전방의 공간에 단열재(도 15에서 531a)가 배치되고 후방의 공간에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동작 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동작은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의 티콘 보드(602) 또는 도킹 피시비(604)와 같은 피시비들(602,603,604)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상단을 형성하는 베리어(711)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711)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방 공간에는 단열재(531a)가 채워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상부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 캡데코(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도어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 반투명, 불투명, 화면 출력의 상태 그리고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와 화면의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출력되는 화면을 볼 수 있으며,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 내부의 투시와 동시에 화면의 출력 또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 둘레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프레임(70)이 장착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의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이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중앙에 프레임 개구(70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701)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개구(701)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널(65)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리어 패널(65)이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 및 프레임 개구(701)를 차례로 지나 도어 라이너(56)에 안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부가 서로 밀착상태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단부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는 서로 밀착되어 사이의 틈새가 거의 보이지 않거나 라인의 형태로 보이도록 할 수 있으며, 전면 외관이 연속적이고 일체감을 가지는 것과 같이 보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를 가열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히터(53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에는 소정의 빛이 투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둘레의 결합 구조를 차폐하는 베젤(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611)은 내부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는 검은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젤(611)의 내측 영역이 상기 투시부(80)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 중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를 지지하는 부분은 상기 베젤(611)의 영역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보이지 않도록 가려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와 서포트 프레임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를 형성하여 고내 공간이 선택적으로 가시화되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패널들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패널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적어도 전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67)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6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추가의 패널 및 스페이서가 더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67)와 패널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는 진공 또는 단열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부에 단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전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연결하는 아우터 스페이서(6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의 지지를 위한 제 1 스페이서(6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리 소재(예컨대 청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한 다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고내의 라이트 또는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도어 라이트(57)의 온 오프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하여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는 필름 또는 코팅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개구(701)의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의해 둘레가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단부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리어 패널(65)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프론트 돌출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방에서 삽입 장착되는 구조적 특성상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는 상기 리어 패널(65) 및 아우터 스페이서(67)보다 상하좌우측 방향 모두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프레임 개구(701)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를 비롯한 상기 리어 패널(65) 등은 상기 프레임 개구(701)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아우터 스페이서(67)는 별도의 결합구조 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78)에 의해 체결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결합됨으로써 무게가 무거운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조작에도 안정적인 고정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터치 센서(6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61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 센서(612)는 인쇄 방식이 아닌 필름 접착 방식 등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상단에는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터치 케이블(60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 Cable 또는 Flexible Print Circuit board)와 같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케이블(601) 상에 인쇄회로가 인쇄되어 터치 피시비(603)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에 구비되는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필름과 같은 수지재의 베이스에 배선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시트와 같이 두께가 얇고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플렉시블하게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필름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시 그 단부가 상기 터치 피시비(603)의 커넥터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다수회 절곡되며, 상기 터치 케이블(601)의 단부가 상기 터치 피시비(603)상의 커넥터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 공간의 벽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공간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01)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한 케이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은 모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고 폭이 넓은 상기 서브 도어(50)상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에 배치되는 피시비들(602,603,604)과의 간편한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는 화면이 출력되는 LCD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하게 구성되어 화면 출력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좌우 양측 중 일측단에는 소스 보드(6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을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연결되어 어셈블리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 또한 일부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의 폭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벤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스 보드(621)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상기 제 1 스페이서(6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수직한 상태로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는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서 상기 티콘(T-CON) 보드(602)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면으로 배치하게 될 경우, 투명하게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특성상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가 측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게 될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둘레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상기 제 1 스페이서(6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하 2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한쌍의 디스플레이 케이블(605)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터치 케이블(601)과 마찬가지로 플렉시블하고 플랫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자유롭게 벤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실런트(608)를 관통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벤딩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상방으로 단부가 연장될 수 있도록 벤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에서 티콘 보드(602)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양단은 제 1 스페이서(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63)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스페이서(63)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64)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깊이감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서 조사되는 빛의 확산 또는 산란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거나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켜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후방에서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소 큰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LCD가 아닌 기타 화면 출력이 가능하고 투명한 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62)를 대신하여 OLED패널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도광판(64)과 디스플레이 라이트(68)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보다 간결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62)는 LCD, OLED가 아닌 투명하여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면서도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광판(6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광판(64)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 패널(65)의 둘레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리어 패널 돌출부(65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 돌출부(651)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장착시 돌출된 부분이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에 도포되는 실런트(608)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단열을 위해서 로이 글래스(Low-ε Glass)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은 고내의 냉기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외부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와 상기 도광판(64)의 사이에는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66)는 상기 도광판(64)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에 접하여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의 사이에는 단열 글래스(6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글래스(69)에 의해서 상기 도광판(64)과 리어 패널의 사이에는 복층의 공간(600a,600b)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단열 글래스(69)가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상기 제 2 스페이서(66)에 의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이 고정되는 구조 또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들(63,66,67)은 모두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웃하는 패널(61,65) 또는 도광판(6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봉과 같은 형태 또는 내부에 흡습재를 수용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에는 단열 패널(69)과 도광판(64)이 구비되며, 이때, 상기 단열 패널(69)과 도광판(64)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에 구비되는 판상의 부재로 단독 또는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중간 패널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중간 패널은 도광판(64)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이상의 단열 패널(6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와 상기 도광판(64) 사이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을 위해서 고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간격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두께 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스페이서(66)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를 결정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스팩에 맞추어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제 2 스페이서(66)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이 상기 제 2 스페이서(66) 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에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가 장착되어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전면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외측 부분의 둘레를 형성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 공간 즉,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의 내측 공간은 완전히 기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둘레에 도포되는 실런트(608)에 의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는 한층 더 기밀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의해 기밀되는 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의 간격 유지를 위한 제 1 스페이서(63) 및 제 2 스페이서(66) 또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에 추가의 단열 패널(69)이 더 구비되거나 복층의 유리 구조가 더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들 구성은 모두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체적인 외관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의해 형성되며, 나머지 구성들은 모두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의 사이만 실링하는 것으로 복층의 패널 구조를 완전히 기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에 도광판(64)을 비롯한 판상의 구조물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도 최 외곽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만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에 접착시키게 되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기밀 구조가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 구조는 상기 도광판(64)을 포함하는 다수의 패널에 의한 복층의 구조에서도 최소의 실링 지점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 되거나 또는 투습에 의한 내부의 결로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를 진공시키거나 단열을 위한 가스를 주입하게 되는 경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내부의 다층 구조 전체에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단열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배치하여 고내의 투시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최소의 실링 지점으로 복층의 패널 구조에서 단열 구조의 완성이 가능하게 되어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를 통해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64)의 단부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도광판(64)이 전체면에서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터치 케이블(601) 및 디스플레이 케이블(605)과 같이 플렉시블 하고 플랫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2)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리어 패널(65) 배면에 접착된 상태로 벤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의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리어 돌출부(651)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로 연장되므로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에서 볼 때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둘레에는 실런트(608)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둘레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부로 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봉하는 것으로, 폴리 설파이드(polysulfide 일명 치오콜이라 함)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단열재(531)를 성형하기 위해 주입되는 발포액과 직접 접할 수 있는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다른 실런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실런트(608)에 의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는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각 구성의 연결부위를 완전히 밀봉하여 수분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단열재(531)의 성형시 발포액이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내부의 터치 센서(612), 디스플레이 패널(62),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되는 케이블(601,605,606)이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케이블(601,605,606)들이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될 때 상기 케이블(601,605,606)의 외측면을 막아서 케이블(601,605,606)이 출입되는 공간으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런트(608)가 도포되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히터(532)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673)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상기 히터 장착부(673)가 형성하는 사이의 공간에 상기 실런트(608)가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부 공간은 전후 및 외부와 내부로 이중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부 공간은 단열 공간(660a)과 수용 공간(6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660a)은 상기 리어 패널(65)과 단열 패널(69) 그리고 상기 제 2 스페이서(66)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폐공간으로 상기 제 2 스페이서(66)가 상기 리어 패널(65)과 단열 패널(69)에 접착제(661)에 의해 완전히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과 단열 패널(69) 사이의 공간은 진공 또는 단열 가스 주입에 의해 단열 공간(660a) 또는 단열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열 공간(660a)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파손되지 않는 한 단열이 유지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열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600b)은 상기 리어 패널(65)과 도광판(64) 그리고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프론트 패널(61)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측과 상기 단열 공간(660a)의 외측 사이의 공간이라 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상기 수용 공간(600b)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600b)의 내측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가까이 또는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600b)은 상기 실런트(608)의 도포에 의해 최종적으로 기밀될 수는 있으나, 상기 실런트(608)의 사이로 출입되는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에 의해서 완전한 기밀을 보장하기는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600b)은 상대적으로 상기 단열 공간(660a)에 비해 단열이 취약할 수 있다.
하지만, 보다 고내측에 위치된 단열 공간(660a)에 의해 이미 단열된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600b) 또한 기밀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어느 정도의 단열 성능이 보장될 수 있어 2중의 단열 공간(660a)을 가지는 것이라 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용 공간(600b)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도광판(64)은 열 및 온도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기 제 2 스페이서(66)와 상기 도광판(64)의 사이에는 접촉부재(6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662)는 소정의 두께와 탄성을 가지며, 상기 도광판(64)과 접착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도광판(64)이 안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장기간의 동작 또는 고내외의 온도차 등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접촉부재(662)에 의해 상기 도광판(64)이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단열패널(69)의 사이는 상기 접촉부재(662)로 인하여 진공 또는 밀폐구조를 만들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도광판(64)이 배치되는 공간상기 수용 공간(600b)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 공간(660a)와 수용 공간(600b)의 완성을 위해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가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상기 제 2 스페이서(66)가 배치되는 2중의 공간을 가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조립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리어 패널(65)과 단열 패널(69)을 상기 제 2 스페이서(66)를 이용하여 밀착시켜 상기 단열 공간(660a)을 만들게 된다. 이때, 상기 단열 공간(660a)은 진공 또는 단열 가스가 채워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69)의 다른 일면에는 추가의 제 2 스페이서(66)를 접착하고 상기 도광판(64)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페이서(66)와 아우터 스페이서(67) 그리고 디스플레이(62)를 차례로 상기 프론트 패널(61)에 고정 장착한 후 상기 제 1 스페이서(63)에 상기 도광판(64)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전선 등의 배치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미 상기 단열 공간(660a)을 완성한 상기 리어 패널(65)과 단열 패널(69)의 조립체를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조립체와 결합 시키게 된다. 즉,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를 상기 리어 패널(65)의 단부에 접착시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둘레에 실런트(608)를 도포하여 기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단열 공간(660a)을 완성한 상태에서 차례로 조립하여 전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조립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단열 성능이 만족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우터 스페이서(670)에 리어 패널(65)을 부착하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0) 내측에 상기 단열 패널(69)을 고정 장착하게 된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0)에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단열 패널(69)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단열 공간(660a)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0)의 내측면에는 상기 단열 패널(69)이 삽입되는 패널 홈(67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홈(670a)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단열 패널(69) 사이에 삽입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제 1 패널 돌출부(670b)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 홈(670a)을 기준으로 다른 일측에는 상기 단열 패널(69)과 도광판(64)의 사이에 삽입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제 2 패널 돌출부(670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패널 돌출부(670c)와 상기 도광판(64)은 접착 상태가 아닌 접촉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접촉부재(662)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스페이서(63)와 디스플레이 그리고 도광판(64)을 차례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단열 패널(69)이 조립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0)를 접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0)의 둘레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도 9에 도시된 제 2 스페이서(66)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아우터 스페이서(670)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단열 패널(69)이 고정 장착되는 구조를 구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일 구조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내에 복층의 공간(600a,600b)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조립된 상태가 아니라 도어의 프레임에 각 구성이 조립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어(24)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냉장실 도어(20)와 같이 고내를 개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4)는 중앙이 개구된 사각형의 틀 형상의 도어 프레임(241)과, 상기 도어 프레임(241)의 전면에 장착되는 프론트 패널(61)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241)의 후면에 장착되는 리어 패널(65)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41)의 개구된 중앙부는 전술한 투시부(80)와 같이 고내측을 투시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62)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이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도어의 전면과 배면을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41)은 상기 도어(24)의 둘레를 형성하는 것으로, 동시에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41)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으며, 외측면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24)의 측면과 후면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이 상기 도어 프레임(24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4)의 내부에 폐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진공 또는 단열 가스의 주입을 통해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터치 필름(612)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고내측이 투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62)의 후방에는 도광판(6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양측에 배치되는 제 1 스페이서(63)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이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도광판(64)이 전체적으로 빛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백라이트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제 2 스페이서(6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660)는 상기 도광판(64)이 상기 리어 패널(65)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스페이서(660)는 필요에 따라 탄성을 가지는 소재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이 수축 팽창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도광판(6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어(24)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이 상기 도어 프레임(241)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24)를 구성할 수 있게 되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 같이 조립된 상태로 상기 도어(24)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이 상기 도어 프레임(241)에 결합되어 도어(24)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64)과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모두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이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리 수 있다.
도 14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동작을 위한 구성들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 즉, 터치 피시비(603)와 티콘 보드(602) 그리고 도킹 피시비(60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을 연결하는 케이블(601,605,606)은 유연한 필름 타입의 FFC 또는 FP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케이블(601), 디스플레이 케이블(605)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시비들(602,603,604)과의 연결구조 또한 간결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의 단열재(531) 발포 성형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상기 터치 센서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03)는 상기 터치 케이블(601)의 연장된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소스 보드(621)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연장된 후 상기 티콘 보드(60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연결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연결되는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도킹 피시비(604)로 연장될 수 있으며, 와이어 형상의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 또한 다른 케이블들(601,605,606)과 마찬가지로 플랫한 플렉시블 케이블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킹 피시비(604)는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터치 피시비(603)는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에 조립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 1 도킹 케이블(60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킹 케이블(608)은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 구비되는 피시비 커넥터(604d)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티콘 보드(602) 또한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압 상황 또는 신호 전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기 티콘 보드(602)는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부(14)로 와이어 타입의 상기 연결 케이블(607)이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장부품들 특히,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전장부품들과 연결된 다수의 플랫한 케이블들(601,605,606)은 모두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방에서 피시비들(602,603,604)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기 캐비닛(10) 상의 컨트롤부(14)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타입의 연결 케이블(607)이 상기 도킹 피시비(604) 및 티콘 보드(602)와 연결되는 간결한 구조를 통해 상기 연결 케이블(607)이 통과되는 홀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서브 도어(50) 개폐시의 간섭 또한 최소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케이블(607)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컨트롤부(14)의 내부에는 메인 피시비(141)와 디스플레이 피시비(15) 그리고 아답터(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메인 피시비(141)에 의해 냉동사이클을 비롯한 전체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디스플레이 피시비(15)와 연결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14)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로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아답터(1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답터(143)에 의해 직류 전원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구동에 적합한 교류 전원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답터(143)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발열이 높아 상기 서브 도어(50)가 아닌 상기 캐비닛(10) 상의 컨트롤부(14)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피시비(141)와 디스플레이 피시비(15)는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와 디스플레이 피시비(15)를 통칭하여 컨트롤부(14)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부(14)는 메인 피시비(141)와 디스플레이 피시비(141)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5는 상기 냉장고의 주요 구성과 사용자 휴대기기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5)는 원격지의 인터넷 서버(2)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1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입력부(16)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5)는 상기 메인 피시비(14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141)와 연결된 상기 냉장고(1)의 주요 구성들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조작 또는 조작 입력부(16)를 통해 동작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동작을 위해 조작되는 조작 입력부(16)는 근접 감지센서(161), 모션 감지센서(162), 마이크(163), 노크 감지장치(164), 비전(Vision)센서(165), 조작부(166)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캐비닛(10)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를 기준으로 설정 거리 이내에 근접한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근접에 따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활성화 또는 동작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의 상기 투시부(80)의 가시화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는 상기 투시부(80)가 배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션 감지센서(162)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특정 영역 내에서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활성화 또는 동작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이크(163)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말하게 되면 상기 마이크(163)의 입력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에 따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활성화 또는 동작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164)는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배치된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노크 조작하게 되면 상기 노크 감지장치(164)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활성화 또는 동작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노크 횟수 또는 패턴에 따라서 다양한 조작의 입력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비전 센서(165)는 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냉장고의 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를 인식 할 수 있다. 상기 비전 센서(165)는 특정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인식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활성화 또는 동작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인식되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다양한 조작의 입력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66)는 사용자가 직접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여 조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조작부(166)는 상기 디스펜서(23)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166)의 조작을 통해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활성화 또는 동작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141)에 연결된 주요 구성들은 살펴보면,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상기 냉장고(1)의 운전을 조절하기 위해 고외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고외 온도/습도 센서(111)와 연결되어 고외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냉장고 운전을 조절하기 위해 고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고내 온도센서(112)와 연결되어 고내의 온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113)와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1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상기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114)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20)의 개폐 여부와 개폐 횟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고내를 촬영하는 고내 카메라(115)와 연결되어 고내의 수납 상태 및 수납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에너지 파워미터(116)와 연결되어 상기 냉장고의 소비 전력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상기 디스펜서(23)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고내 라이트(121)와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개폐시 상기 고내 라이트(121)가 온오프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동작시에도 상기 고내 라이트(121)가 연계되어 동작되어 상기 투시부(80)의 투명도와 화면 출력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보이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밝기 및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상기 스피커(118)와 연결되어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정보 또는 상기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의 정보, 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전술한 구성들 외에도 상기 냉장고(1) 상에 제공되는 다양한 전기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의 제어 또는 정보의 확인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통신부(154)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인터넷 서버(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서버(2)는 상기 메인 피시비(141)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서 상기 냉장고(1)의 운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 서버(2)상의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상기 냉장고(1)의 운전 상태를 점검하고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서버(2)의 정보들을 상기 통신부(154)를 통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출력하거나, 사용자 휴대기기(8)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서버(2)는 사용자 휴대기기(8)와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휴대기기(8)는 휴대전화, 전용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이 영상 및/또는 음성을 통한 정보의 출력 및 입력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 휴대기기(8)를 통해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정보와 상태의 확인은 물론,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한 지시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서버(2)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기기(8)에 저장된 영상 정보, 음성정보, 이미지, 텍스트 등의 정보들 또한 상기 통신부(154)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5)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및 스피커(118)를 통한 출력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냉장고(1)와 인터넷 서버(2) 및 사용자 휴대기기(8)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의 사용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직접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한 입력 또는 사용자 휴대기기(8)의 조작을 통해 상기 냉장고(1)의 고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내온도 센서(112)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외 온도/습도 센서(111)를 통해 고외 온도/습도 정보를 확인한 후 식품의 저장 상태를 개선할 수 있도록 급속 냉동 또는 제균 탈취가 가능하도록 고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속 냉동 또는 제균 탈취 운전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직접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한 입력 또는 사용자 휴대기기(8)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속냉동 또는 제균 탈취 운전의 종료시 이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기기(8)를 통해서 푸시 알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의 제상 운전의 실시 시간을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직접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한 입력 또는 사용자 휴대기기(8)의 조작을 통해 입력하여 설정된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제상 지연 운전을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직접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한 입력 또는 사용자 휴대기기(8)의 조작을 통해 요리 레시피의 재료, 분량 조리 방법 등을 상기 인터넷 서버(2)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직접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한 입력 또는 사용자 휴대기기(8)의 조작을 통해 상기 냉장고(1)의 도어(20) 개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문열림 횟수와, 시간을 안내함은 물론, 설정시간 이상 개방되어 있는 경우 푸시 알람을 하거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시간대를 생성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기기(8)를 통해 안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직접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한 입력 또는 사용자 휴대기기(8)의 조작을 통해 상기 냉장고(1) 내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고내 카메라(115)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제공하여 음식물의 보관 상태를 확인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저장된 식품의 유통기한을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 상기 사용자 휴대기기(8)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으며 유통기한의 도래시 푸시 알람을 통해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직접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한 입력 또는 사용자 휴대기기(8)의 조작을 통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113)와 디스펜서(23)의 설정 상태 또는 사용 횟수와 주기 등 동작 정보에 대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 상기 사용자 휴대기기(8)를 통해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직접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한 입력 또는 사용자 휴대기기(8)의 조작을 통해 냉장고 운전시의 오류를 진단하거나, 펌웨어를 업데이트, 상기 냉장고(1)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며, 이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 상기 사용자 휴대기기(8)를 통해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는 홈 네트워크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장고(1)를 통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가전 기기들의 동작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6은 상기 냉장고가 포함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상기 통신부(154)에 의해 무선 공유기(7)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공유기(7)에는 에어컨(3), 오븐(4), 텔레비전(5), 세탁기(6) 등과 같은 가전기기와 연결되어 전체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냉장고(1)는 상시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공유기(7)는 인터넷 서버(2)와 연결되고, 상기 인터넷 서버(2)는 휴대전화, 전용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이 영상 및/또는 음성을 통한 정보의 출력 및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휴대기기(8)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장고(1)의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의 입력을 통해서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무선 공유기(7)를 통해서 해당하는 가전기기로 동작 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해당 조작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또는 스피커(182)를 통해서 해당 동작의 실시 상태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의 변경은 상기 인터넷 서버(2)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 서버(2)를 통해서 사용자 휴대기기(8)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사용자 휴대기기(8)를 통해서 사용자가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조작 신호는 상기 인터넷 서버(2)를 거쳐 상기 무선 공유기(7)를 통해 해당 가전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또는 상기 스피커(182)를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냉장고(1)를 통해 상기 무선 공유기(7)와 연결된 가전기기들의 동작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 및 가공된 정보들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또는 상기 스피커(18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공유기(7)는 와이파이(Wifi) 방식에 의해 통신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무선 공유기(7)에는 통신 방식을 전환하는 허브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무선 공유기(7)와 와이파이 방식으로 연결되되, 블루투스, 지그비, 지웨이브, 엔에프시 방식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할 수 없는 기타 가전기기 또는 기타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허브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통신하는 기기들의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무선 공유기(7)와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와 상기 허브를 통한 기기 조작은 물론, 기기들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상기 냉장고(1)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데, 다른 가전기기들의 운전시 알림 상황 발생시 상기 냉장고(1)의 투시부(80)를 통한 알림의 출력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17은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냉장실 도어의 종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도 18의 A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도 18의 B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개방장치(59)의 로킹부재(593)가 래치 홀(42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상태는 별도 제공되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이 어둡게 되어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고내측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꺼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51)을 터치 조작하여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면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전체 영역을 밝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80)는 투명하게 보여 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은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가시화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조작하게 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온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화면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조작은 특정 위치 또는 터치 횟수 또는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물리 버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세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와 함께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점등에 의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빛을 난반사 및 확산시켜 전방의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로 빛을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사용자는 선명하게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모두 켜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측 저장 공간(41)의 투시와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한 화면의 출력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투시부의 상태를 정의하고자 한다.
도 21A 내지 21E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에 따른 투시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투시부의 상태에 따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및 상기 도어 라이트(57), 고내 라이트(121)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제 4 상태(84), 제 5 상태(85)와 같이 모두 5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이들 중 일부의 상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투시부(80)의 상태는 상기 5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5개의 상태에 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21A에 도시된 상기 제 1 상태(81)는 사용자에게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가 가장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상기 투시부(80)의 투명도가 최대의 상태가 되는 상태로, 투명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투시부(80)를 제 1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81)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온되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밝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후방이 밝아지게 되어 고외측에서 상기 투시부(80)를 바라볼 때 투명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태(81)에서는 고내 라이트(121) 또한 온 될 수 있다. 상기 고내 라이트(121)가 온 될 경우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더불어 상기 고내 라이트(121) 또한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밝히게 되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최대 밝기로 밝힐 수 있게 되어 한층 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이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81)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의 식품을 식별하기 위한 경우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태(81)에서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오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방과 후방의 밝기 차이가 한층 더 명확하여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가 보다 선명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8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오프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온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62)는 빛을 발산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만이 밝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를 바라볼 때 상기 투시부(80)가 투명하고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가 선명하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도 21A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이미지(801)를 전체 영역에 표시하였으나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상기 제 1 상태(81)에서 온되지만, 상기 투시부(80)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상기 이미지(801)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도 41에서와 같이 상기 투시부 하단에 상시 출력되는 메인 메뉴 아이콘(802)과 밝기 조절 아이콘(805), 클리어 아이콘(806)만 출력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온 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메인 메뉴 아이콘(802)과 밝기 조절 아이콘(805), 클리어 아이콘(806)을 제외한 다른 영역은 빈 화면을 출력하여 상기 투시부(80)의 투명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미지(801)는 그림, 사진과 같은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지 않고 그림, 사진은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표현 가능한 영상,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의미임을 밝혀 둔다.
물론,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상태(81)에서도 화면의 상기 이미지(801) 출력은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상태(82)에 비해서 출력 화면상의 상기 이미지(801)는 선명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에 수납된 식품의 확인이 주 목적인 상태에서 이미지(801)를 통해 보조적으로 식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동작을 상기 조작 입력부(16)에 의해 조작 가능한 상태라면, 상기 제 1 상태(8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62)까지 오프된 상태가 되어 상기 메인 메뉴 아이콘(802)가 출력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 라이트(57)가 냉장실 도어(20)에 위치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며,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고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고내 라이트(121) 중 어느 하나의 라이트(57,12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 1 상태(8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오프되며, 상기 라이트(57,121)는 온될 수 있다. 제 2 상태(82)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라이트(57,121)는 모두 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상태(83)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온되고 상기 라이트(57,121)는 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4 상태(84)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오프되며, 상기 라이트(57,121)는 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5 상태(85)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라이트(57,121)가 모두 오프될 수 있다.
도 21B에 도시된 상기 제 2 상태(82)는 사용자에게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화면의 이미지(801) 출력이 가능하며, 상기 투시부(80)의 투명도는 상기 제 1 상태(81)보다는 낮고, 상기 이미지(801)의 선명도는 상기 제 2 상태(82)보다는 더 높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 상태(82)는 반투명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투시부(80)를 제 2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82)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온되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밝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후방이 밝아지게 되어 고외측에서 상기 투시부(80)를 바라볼 때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가 보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태(82)에서는 고내 라이트(121)는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82)에서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후방이 과도하게 밝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출력되는 상기 이미지(801)가 잘 식별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출력되는 상기 이미지(801)가 식별 가능한 정도로 보이거나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보다 선명하게 보이게 하기 위한 경우라면 상기 고내 라이트(121)가 온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태(82)에서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온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 또한 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디스플레이(62)가 온되는 경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 즉 이미지(801)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2 상태(82)에서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801)를 확인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상태(82)는 상기 제 1 상태(81)에 비해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이미지(801)가 보다 잘 보이는 상태이므로,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통해서 보이는 내부의 식품 확인보다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다 우선하여 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상태(82)는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화면을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의 식품을 대략적으로 확인하기 경우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80)로 보여지는 상기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의 차이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의 밝기 즉 상기 투시부(80)의 투명도의 차이와,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상기 이미지(801)의 선명도의 차이에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
도 21C에 도시된 상기 제 3 상태(83)는 사용자에게 상기 투시부를 통해 정보를 전달 하기 위해 이미지(801) 출력한다. 상기 제 3 상태에서는 상기 투시부는 불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매우 근접한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도어 저장 공간의 내부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 상태(82)는 불투명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투시부(80)를 제 3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82)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오프되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이 어두워지게 되며, 따라서 고외측에서 상기 투시부(80)를 바라볼 때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고내 라이트(121) 또한 오프되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이 보다 보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상태(83)에서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온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 또한 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디스플레이(62)가 온되는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 즉 이미지(801)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3 상태(83)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 및 고내 라이트(121)는 오프된 상태이므로, 상기 투시부(8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801)만이 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부(80)에서 보여지는 상기 이미지(801)는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와 비교하여 가장 선명한 상태가 되며,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은 가장 어둡게 되어 상기 투시부(80)가 가장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
도 21D에 도시된 상기 제 4 상태(84)는 상기 투시부(80)가 형성된 우측 도어(22)의 개방시에 한정하여 사용되는 화면으로, 사용자가 상기 우측 도어(22)를 개방하였을 때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 상태(82)에서의 상기 투시부(80)는 제 2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4 상태(84)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우측 도어(22)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우측 도어(22)의 도어 라이트(57) 또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해 사용자가 눈부심을 느낄 수 있으므로, 상기 도어 라이트(57)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정보는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이미지(801)가 보여질 수 있도록 필요한 최소한의 광원은 상기 고내 라이트(121)가 온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내 라이트(121)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백라이트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보여지는 상기 이미지(801)는 상기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 및 제 3 상태(83)와 비교할 때 가장 선명하지 못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우측 도어(22)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냉장고(1)에 근접한 상태이므로 상기 투시부(80)를 통한 정보의 획득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면서 식품을 수납하게 되는 상황 예컨데, 레서피를 보면서 요리 재료를 꺼내는 상황에서 가장 유용할 수 있다.
도 21E에 도시된 상기 제 5 상태(85)는 상기 투시부(80)가 이전의 상태와 비교할 때 가장 불투명한 상태로, 상기 고내 라이트(121)와 상기 도어 라이트(57),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상기 디스플레이(62)가 모두 오프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 5 상태(85)에서의 상기 투시부(80)는 제 5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5 상태는 사용자가 냉장고(1)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80)가 가장 어두운 상태가 되어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화면의 출력과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 투시 모두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5 상태(85)에서는 상기 투시부(80)의 영역은 블랙 색상으로 보이게 되며, 고내의 식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80)는 일반적으로 상기 제 5 상태(85)로 대기 운전하게 되며, 사용자가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제 1 상태(81) 내지 제 4 상태(84)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고내의 투시가 가능한 상기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를 포함하여 투명 상태라 부를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상태는 상기 투시부를 통해서 고내측이 어느 정도 볼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완전히 투명한 상태만으로 정의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는 고내측의 투시와 정보의 표시가 동시에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사용성이 극대화되는 상태로서 씨스루 스크린(See through screen) 상태, 또는 "스마트 인스타 뷰" 상태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고내의 투시가 불가능하거나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기 제 5 상태(85)를 불투명 상태라 부를 수 있다. 이때, 상기 불투명 상태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용 거리에서 상기 투시부(80)를 바라보았을 때 고내측이 잘 보이지 않는 정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100% 완전히 불투명한 상태만으로 정의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불투명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바라볼 때, 고내측 즉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잘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불투명 상태에는 상기 제 3 상태(8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80)를 통한 화면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제 4 상태(84)를 포함하여 출력 상태 또는 온 상태라 부를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80)를 통한 화면의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제 5 상태(85)를 미출력 상태 또는 오프 상태라 부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는 고내측의 투시와 정보의 표시가 동시에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사용성이 극대화되는 상태로서 씨스루 스크린(See through screen) 상태, 또는 "스마트 인스타 뷰" 상태라 부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투시부(80)의 상태가 상황에 따라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환되는 과정의 다양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3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되는 상태의 일례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해 상기 냉장고(1)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 입력부(16)의 조작은 전술한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 모션 감지센서(162), 마이크(163), 노크 감지장치(164), 비전센서(165), 조작부(166)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터치하여 조작을 입력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제 3 상태(83)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3 상태(83)에서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다양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할 것이며, 고내측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출력 가능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5 상태(85)에서 상기 제 3 상태(83)로 바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이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되는 상태의 다른 예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해 상기 냉장고(1)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 입력부(16)의 조작은 전술한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 모션 감지센서(162), 마이크(163), 노크 감지장치(164), 비전센서(165), 조작부(166)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터치하여 조작을 입력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제 1 상태(81)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81)에서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이 가장 선명하게 보이는 상태로, 사용자는 상기 투시부(80)의 활성화와 동시에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확인만을 필요로 한다면 이와 같이 조작하여 상기 투시부(80)를 제 5 상태에서 제 1 상태(81)로 바로 전환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이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되는 상태의 또 다른 예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해 상기 냉장고(1)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 입력부(16)의 조작은 전술한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 모션 감지센서(162), 마이크(163), 노크 감지장치(164), 비전센서(165), 조작부(166)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80)의 전면을 터치하여 조작을 입력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제 2 상태(82)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82)에서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이 어느 정도 보이는 상태이고 동시에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확인과 함께 출력 정보를 원하는 경우 이와 같이 조작하여 상기 투시부(80)를 제 5 상태에서 제 2 상태(82)로 바로 전환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이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3 내지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조작 입력부(16)의 조작을 통해서 대기 상태인 제 5 상태(85)에서 상기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 또는 제 3 상태(83)로 선택적으로 상기 투시부(80)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 입력부(16)는 각 상태에 맞는 입력 조건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서 해당하는 조건에 맞는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조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투시부(80)는 설정을 통해 제 5 상태(85)에서 제 1 상태(81) 또는 제 3 상태(83) 또는 제 3 상태(83) 중 어느 하나로 활성화 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조작 입력부(16)의 입력이 확인되면 설정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6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되는 상태의 또 다른 예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한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라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정보 또는 알람이 있다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에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출력 상태 즉,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또는 제 3 상태(83)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설정된 거리 또는 영역에 위치된 것을 감지한 후에 상기 투시부(80)의 상태가 전환될 수도 있다. 이때의 설정된 거리 또는 영역은 상기 냉장고(1)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접근하는 거리와 영역과 다른 의미로 더 멀리 떨이진 상태 즉, 상기 냉장고(1)를 볼 수 있는 정보의 거리, 예컨데 사용자가 실내 공간에 위치되는 거리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에서 출력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사용자 휴대기기(8)를 통해서 소리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를 직접 보지 못한 상태 또는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사용자 휴대기기(8)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듣고 내용을 파악하거나, 상기 냉장고(1)의 앞으로 접근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알림은 상기 투시부(80)를 통한 출력과 동시에 원격지의 사용자 휴대기기(8)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여, 원격지의 사용자와 실내의 사용자가 정보를 공유하거나 서로 통신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7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되는 상태의 또 다른 예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 입력부(16)를 통해 상기 냉장고(1)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 입력부(16)의 조작은 전술한 상기 근접 감지센서(161), 모션 감지센서(162), 마이크(163), 노크 감지장치(164), 비전센서(165), 조작부(166)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터치하여 조작을 입력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제 6 상태(86)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6 상태(86)는 상기 제 3 상태(83)와 동일한 상태 일 수 있으며, 다만 설정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화면이란 날씨 정보, 뉴스, 또는 냉장고의 온도 등과 같은 동작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 3 상태(83)와 같이 고내측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상기 제 6 상태(86)에서 설정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특히,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에서 켜지게 될 때 지저분한 상태의 상기 도어 저장 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꺼리는 경우라면, 먼저 제 6 상태(86)를 경유하여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가시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5 상태(85)에 상기 제 6 상태(86)로 전환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 1 상태(81) 또는 제 3 상태(83)로 전환 조작하게 된다. 이때의 조작은 상기 조작 입력부(16)로도 가능할 수도 있으나,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터치 조작을 통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데, 상기 제 6 상태(86)에서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선명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터치 또는 드래그 하거나, 노크 횟수 조작을 통해 상기 제 1 상태(81)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6 상태(86)에서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확인하기 보다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한 정보 확인 또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확인과 동시에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방식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터치 또는 드래그 하거나, 노크 횟수 조작을 통해 상기 제 2 상태(82)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상기 제 6 상태(86)는 다른 화면 상태로 넘어가거나, 상기 투시부(80)가 켜지는 순간에 나타나 간단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상태로 글랜스(glance) 상태(68)라 부를 수 있다.
상기 글랜스 상태(86)는 기본적인 바탕 화면 또는 시작 대기화면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글랜스 상태(86)의 투시부(80)를 통해서 기본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본적인 정보는 날씨, 뉴스, 기타 알림, 냉장고의 동작 정보 등 추가의 조작 없이 한눈에 알 수 있는 정보들 또는 냉장고의 사용 전 사용자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냉장고(1)가 도 15 또는 도 16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또는 다수의 다른 가전기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글랜스 상태(86)에서는 서버(2)의 정보와 다른 가전기기로부터의 알림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글랜스 상태(86)는 상기 투시부(80)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62)가 출력되는 상태로,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고내측을 투시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24)를 열거나 닫았을 때, 또는 상기 투시부(80)를 최초 활성화 시켰을 때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정보 및 순간적으로 파악 가능한 정보들을 출력하게 된다
특히, 상기 투시부(80)가 켜지게 되면 상기 글랜스 상태(86)로 변하게 되며, 이때, 고내의 투시에 앞서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비롯한 사용자에게 우선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먼저 전달된 후 상기 글랜스 상태(86)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고내측을 투시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80)가 활성화 되는 순간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개폐되는 순간은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에 접근한 상태이고 상기 투시부(80)를 볼 수 있는 상태임이 확실하므로, 이때 글랜스 상태가 되도록 하여 기본적인 냉장고(1)의 운전 정보 또는 설정된 특정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8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일측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9는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냉장실의 다른 일측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냉장고(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의 냉장실 도어(20)를 개방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식품의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닫게 된다.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제 5 상태(85)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닫히게 되는 순간 상기 투시부(80)는 제 5 상태(85)에서 제 6 상태(86)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 6 상태(86)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글랜스 상태로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열린 후 닫히게 되는 순간 상기 투시부(80)는 제 5 상태(85)에서 제 3 상태(83)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투시부(80)는 제 3 상태(83)에서 사용자에게 냉장고 운전시 발생된 특정 알림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 도어(22)가 열린 후 닫히는 경우에는 이미 우측 도어(22)를 열어서 내부를 확인한 상태이므로, 상기 투시부(80)가 재차 내부를 투시하는 상태로 전환될 필요가 없으므로 불투명하면서 정보가 전달되는 제 6 상태(86) 또는 제 3 상태(83)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6 상태(86) 및 제 3 상태(83)로 전환된 후에는 사용자의 추가 조작이 없다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된 후에 상기 투시부(80)는 제 5 상태(85)로 전환되고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0은 상기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1은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냉장고(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5 상태(85)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게 되며,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를 조작하게 된다면,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또는 제 6 상태(86) 중 어느 하나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13)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냉동실(13)의 개폐시에는 상기 투시부(80)는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더라도 상기 투시부(80)의 상태 변화는 없으며,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5 상태(85)인 경우 상기 제 5 상태(85)를 유지하고, 상기 투시부가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또는 제 6 상태(86) 중 어느 하나인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0에서와 같이,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이고,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개방한 후 닫게 되면, 제 6 상태(86)와 제 3 상태(83)가 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장고(1)에 접근한 상태에서는 정보의 전달이 용이하며, 따라서 비록 냉동실 도어(30)가 개폐되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접근 상태이므로 이때 사용자에게 냉장고(1)의 기본 동작 정보 또는 각종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제 6 상태(86) 또는 제 3 상태(83)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2는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 경과 여부에 따른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투시부가 활성화되어 상기 투시부가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또는 제 6 상태(86) 중 어느 하나인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상태의 전환 또는 화면 조작을 통해 상기 투시부(80)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조작이 설정된 시간 이내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한 상기 투시부(80)의 화면 상태는 활성화되어 이전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예컨데 15초 가량) 동안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절전을 위해 상기 투시부(80)는 제 5 상태(85)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정된 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와 같이 꺼진 상태가 되면, 다시 조작 입력부(16)의 조작 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투시부(80)를 활성화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투시부(80)가 꺼진 후 다시 설정시간(예를 들어 5초) 이내에 상기 투시부(80)를 활성화 시킬 경우 상기 투시부(80)가 꺼지기 전의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3은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에서 일측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4는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냉장고(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5 상태(85)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게 되며,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를 조작하게 된다면,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또는 제 6 상태(86) 중 어느 하나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상태의 전환 또는 화면 조작을 통해 상기 투시부(80)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또는 제 6 상태(86) 중 어느 하나로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투시부(80)는 여전히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한 정보의 확인 및 내부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투시부(80) 상에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하면서 고내에 식품을 꺼내거나 넣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투시부(80)가 활성화되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개방된 경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 설정시간(예컨데 15초)이 경과하게 되더라도 상기 투시부(80)는 지속적으로 활성화된 상태로 이전의 화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좌측 도어(21) 또는 우측 도어(22) 중 어떤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투시부(80)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좌측 도어(21)와 우측 도어(22)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투시부(80)는 직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투시부(80)가 활성화되어 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개방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상기 투시부(80)를 보면서 식품을 수납하거나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면서 식품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식품의 수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닫게 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닫히게 되더라도 상기 투시부(80)는 여전히 활성화된 상태로 직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어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할 수 있으며, 화면 상태의 전환 또는 출력되는 화면의 변경 등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닫히고 상기 투시부(80)는 여전히 활성화된 상태로 직전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투시부(80)는 제 5 상태(85)로 전환되어 상기 투시부(80)가 꺼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5는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서 상기 냉장실 도어 중 메인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투시부가 활성화되어 상기 투시부가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중 어느 하나인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상태의 전환 또는 화면 조작을 통해 상기 투시부(80)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투시부(80)가 배치되는 측의 상기 메인 도어(50)와 서브 도어(50) 중 상기 메인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50)의 개방을 통해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80)는 제 4 상태(84) 또는 제 3 상태(83)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4 상태(84) 또는 제 3 상태(83)는 모두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오프된 상태로, 사용자가 메인 도어(50)를 개방하였을 때 노출되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한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메인 도어(50)의 배면 또는 상기 메인 도어(50) 내측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오프되는 제 4 상태(84) 또는 제 3 상태(83)가 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메인 도어(50)를 개방하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도어(50)가 열렸을 때, 상기 투시부(80)는 제 4 상태(84) 또는 제 3 상태(83)가 되어 여전히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투시부(80)를 통해 이를 확인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냉장실(12) 내부로의 식품 수납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원하는 레시피를 보기 위해서 상기 투시부(80)를 제 3 상태(83)가 되도록 하여 레시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재료가 상기 냉장실(12)에 저장된 경우 상기 메인 도어(50)를 개방하여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식품을 꺼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투시부(80)는 제 4 상태(84) 또는 제 3 상태(83)가 되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상기 투시부(80)를 확인하면서 필요한 식품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도어(5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꺼지고 상기 고내 라이트(57)는 켜진 상태로 사용자는 도어 라이트(57)에 의한 눈부심을 느끼지 않고 수납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12) 내부로부터 원하는 식품을 모두 꺼내게 되면 상기 메인 도어(50)를 닫게 되며, 상기 메인 도어(5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다시 온되고 직전의 화면이 더욱 밝고 선명하게 보이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하면서 요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5 상태(85)로 전환되지 않고 상기 제 3 상태(83)로 유지되도록 추가의 설정을 더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메인 도어(50)가 닫히게 되면 필요한 물품을 모두 꺼내었으므로 더 이상 레시피의 확인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상기 투시부(80)의 상태는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으로 전환될 수도 있을 것으며, 이전과 동일한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도 36은 상기 투시부가 온된 상태서 상기 냉장실 도어 중 서브 도어를 개방한 후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투시부가 활성화되어 상기 투시부가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중 어느 하나인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상태의 전환 또는 화면 조작을 통해 상기 투시부(80)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투시부(80)가 배치되는 측의 상기 메인 도어(50)와 서브 도어(50) 중 상기 서브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80)는 제 4 상태(84)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4 상태(84) 상기 도어 라이트(57)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오프된 상태로, 사용자가 서브 도어(50)를 개방하였을 때 노출되는 상기 도어 라이트(57)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한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이 노출될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오프되는 제 4 상태(84)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어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오프될 수 있다.
반면에, 고내 라이트(121)는 온되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간접적으로 밝히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에 식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고내 라이트(121)는 상기 제 4 상태(84)에서 온되는 디스플레이(62)의 화면이 어느 정도 보이도록 하는 광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열렸을 때, 상기 투시부(80)는 제 4 상태(84)가 되어 여전히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며, 사용자는 투시부(80)를 통해 이를 확인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로의 식품 수납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원하는 레시피를 보기 위해서 상기 투시부(80)를 제 3 상태(83)가 되도록 하여 레시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재료가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에 저장된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를 개방하여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의 식품을 꺼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투시부(80)는 제 4 상태(84)가 되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상기 투시부(80)를 확인하면서 필요한 식품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서브 도어(5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오프된 상태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한 눈부심을 느끼지 않고 수납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12) 내부로부터 원하는 식품을 모두 꺼내게 되면 상기 서브 도어(50)를 닫게 되며,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다시 온되고 직전의 화면이 더욱 밝고 선명하게 보이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하면서 요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7은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되고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 후 상기 냉장실 도어를 닫을 때의 상태 변화를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좌측 도어(21)와 우측 도어(22)로 이루어진 상기 냉장실 도어(20) 중 상기 투시부(80)가 형성된 우측 도어(22)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가 제 5 상태(85)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우측 도어(22)를 개방하여 식품을 수납하던 도중 상기 투시부(80)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두드리거나 터치하게 되면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5 상태(85)와 같이 오프된 상태에서 켜지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우측 도어(22)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5 상태(85)로부터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또는 제 4 상태(84)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12) 또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거나 편집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상기 투시부(8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과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수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우측 도어(22)를 닫을 수 있으며, 상기 우측 도어(22)가 닫히게 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또는 제 3 상태(83)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측 도어(22)가 개방되었을 때 출력되는 화면 정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38은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되고 투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 후 상기 냉장실 도어를 닫을 때 설정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른 상태 변화를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좌측 도어(21) 및/또는 우측 도어(22)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80)가 제 5 상태(85)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좌측 도어(21) 및/또는 우측 도어(22)를 개방하여 식품을 수납하던 도중 상기 투시부(80)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두드리거나 터치하게 되면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5 상태(85)와 같이 오프된 상태에서 켜지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우측 도어(22)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5 상태(85)로부터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또는 제 4 상태(84)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12) 또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거나 편집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상기 투시부(8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상기 투시부(80)를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추가의 조작이 없이 설정된 시간(예컨데 1분)이 경과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도어(21) 및 우측 도어(22)가 모두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제 6 상태(86)가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80)를 통한 모든 작업을 완료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투시부(80)의 조작을 하지 않게 되면 상기 투시부(80)를 통한 정보의 확인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제 6 상태(86)로 전환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조작하여 상기 투시부(80)를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마지막 조작한 때로부터 상기 설정된 시간(예컨데 1분)이 경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좌측 도어(21) 및 우측 도어(22)가 모두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도어(21) 또는 우측 도어(22)가 열려 있을 때와 동일한 화면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80)를 통한 조작을 한 후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지 않아 모든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직전의 화면을 연속하여 표시하게 된다.
예컨데,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80)를 온 상태로 전환시켜 레시피를 확인하던 도중,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닫게 되면, 상기 투시부(80)에서는 여전히 상기 레시피가 출력될 수 있는 화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9는 상기 투시부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상태 변화를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투시부(80)는 제 5 상태(85)를 제외한 온 상태 즉,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제 4 상태(84) 또는 제 6 상태(86) 중 어느 한 상태에 에서는 설정된 시간(예컨데 15초)이 경과 될 때 까지 사용자의 어떠한 조작도 없는 경우 상기 투시부(80)가 오프되는 상기 제 5 상태(85)가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5 상태(85)가 된 후 설정된 시간(예컨데 5분) 이내에 다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다면, 상기 투시부(80)는 이전에 마지막으로 켜져있던 화면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즉, 이전의 상태에서 실시하던 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하거나 이전의 정보를 이어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5 상태(85)가 된 후 설정된 시간(예컨데 5분)이 경과 된 후에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다면, 상기 투시부(80)는 다시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80)가 다시 온 상태가 될 때, 상기 투시부(80)는 제 6 상태(86)가 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가 네트워크와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6 상태(86)에서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날씨와 같은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 6 상태(86)에서는 상기 글랜스 상태에서 설정된 네트워크로 전달받은 다른 정보를 보일 수도 있다.
상기 투시부(80)가 제 6 상태(86)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추가의 조작을 실시하게 되는 경우 상기 투시부(80)는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가 다시 온 상태가 될 때, 상기 냉장고(1)가 네트워크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투시부(80)는 스마트 인스타뷰 상태 즉, 상기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로 전환되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투시와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한 화면 출력이 모두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대기할 수도 있다.
도 40은 상기 투시부의 전체적인 조작에 따른 상태 변화를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기 조작 입력부(16)의 조작 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조작을 통한 조작 입력에 의해 상기 투시부(80)는 제 6 상태(86)로 전환되어 기 설정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이 추가로 입력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가 되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이 가시화되고, 상기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62)에 의해 상기 투시부(80)의 하단에는 메인 메뉴 아이콘(802)과 밝기 조절 아이콘(805) 그리고 클리어 아이콘(806)을 상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에서는 상기 메인 메뉴 아이콘(802)과 밝기 조절 아이콘(805) 그리고 클리어 아이콘(806)이 항상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자의 조작이 언제든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 메뉴 아이콘(802)을 조작하게 되는 경우 메인 메뉴 팝업창(804)이 뜨게 되며, 상기 메인 메뉴 팝업창(804)을 통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뉴 팝업창(804)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투시부(80)의 화면은 선택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뉴 팝업창(804)에서 선택 가능한 화면은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또는 제 3 상태(83) 중의 어느 한 화면으로 구체적인 예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투시부(80)가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다른 출력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를 누르는 조작을 하는 경우 상황 메뉴 팝업창(803)이 뜨게 되며, 상기 상황 메뉴 팝업창(803)을 통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상황 메뉴 팝업창(803)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투시부(80)의 화면은 선택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상황 메뉴 팝업창(803)에서 선택 가능한 화면은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또는 제 3 상태(83) 중의 어느 한 화면으로 구체적인 예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투시부(80)가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다른 출력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를 연속하여 누르는 조작을 하는 경우 상기 투시부(80)는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에서 오프 상태 즉, 제 5 상태(85)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 상에서 전환된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및 제 3 상태(83)에서 추가의 조작이 없이 설정된 시간(예컨데 15초)가 경과되면 상기 투시부(80)의 화면은 오프 상태 즉, 제 5 상태(85)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1A 내지 41E는 도 40에서 상황 메뉴 조작시 보여질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황 메뉴 팝업창(803)의 조작시 상기 투시부(80)의 화면은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 또는 제 3 상태(83)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황 메뉴 팝업창(803)에서 출력되는 화면들은 모두 상기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의 화면에서 출력되는 출력 아이콘(90)에 관한 것들이며, 모두 라벨, 스티커 등의 형태로 출력되어 사용자의 위치 조작 이동이 가능하고 정보의 기록 및 수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1A는 스티커 생성화면(803a)으로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라벨 또는 스티커의 종류 및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1B는 보관기한 생성화면(803b)으로 저장 식품의 보관기한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1C는 타이머 생성화면(803c)으로 설정 시간에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1D는 메모 생성화면(803d)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텍스트 기반의 메모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1E는 그림 메모 생성화면(803e)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그림 기반의 메모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2A 내지 42E는 도 40에서 메인 메뉴 조작시 보여질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메뉴 팝업창(804)의 조작시 상기 투시부(80)의 화면은 제 3 상태(83)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메뉴 팝업창(804)에서 출력되는 화면들은 상기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의 화면에서 출력되는 출력 아이콘(90)의 생성 및 이동에 관계된 것이 아니며, 주로 제 3 상태(83)에서 처리 및 작업 가능한 화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2A는 파노라마 뷰 화면(804a)으로 고내 카메라(115)에 의해 촬영된 고내 식품의 사진을 표시 및 편집하기 위한 화면이다. 그리고, 도 42B는 스마트 라벨 화면(804b)으로 상기 출력 아이콘(90) 전체를 리스트로 나타낸 것으로 편집 삭제 가능한 화면이다. 그리고, 도 42C는 레시피 선택 화면(804c)으로 상기 투시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레시피의 리스트를 표시 및 편집 가능한 화면이다. 그리고, 도 42D는 쇼핑목록 화면(804d)으로 쇼핑을 원하는 목록을 생성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이다. 그리고, 도 42E는 인터넷 화면(804e)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터넷 주소로 접속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43은 상기 투시부의 가시화 상태에 출력 및 조작 가능한 화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시부(80)가 상기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인 때에 표시 가능한 대상은, 상기 메인 메뉴 아이콘(802), 밝기 조절 아이콘(805), 클리어 아이콘(806)과 출력 아이콘(90)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뉴 아이콘(802)은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는 물론 제 3 상태(83)와 제 4 상태(84)에도 상시 생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메인 메뉴 팝업창(804)을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밝기 조절 아이콘(805)은 상기 투시부(80)에서 보여지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리어 아이콘(806)은 상기 투시부(80)상에 보여지는 출력 아이콘(90)들을 일괄적으로 숨기거나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밝기 조절 아이콘(805)과 클리어 아이콘(806)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출력 아이콘(90)은, 식품의 종류와, 보관기한 타이머 등이 원형으로 출력되는 라벨(91)과, 사진 이미지 등을 사각형 형태로 출력되는 이미지 스티커(93), 그리고 그림 메모(922) 또는 텍스트 메모(921)로 이루어진 메모 스티커(9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출력 아이콘(90)은 드래그를 통해서 자유롭게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 삭제가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라벨(91)의 경우 미조작 상태에서는 아이콘의 형태로 개략적으로 표시되지만, 상기 라벨(91)을 누르게 될 경우 식품의 구체적인 종류, 영양, 레시피등에 관한 정보, 구입일, 유통기한, 적정 보관기한 등의 날짜 정보, 설정된 타이머의 시각 및 잔여시간 등 보다 구체적인 정보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4는 상기 투시부의 고내 가시화 레벨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5는 상기 투시부에 출력 상태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시부(80)가 제 1 상태(81) 및 제 2 상태(82)인 경우에는 상기 투시부(80)의 하단 또는 임의의 영역에 상기 밝기 조절 아이콘(805)과 상기 클리어 아이콘(806)이 항상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밝기 조절 아이콘(805)은 현재의 밝기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밝기 조절 아이콘(805)의 조작시 상기 투시부(80)의 밝기 즉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데, 도 44에서와 같이 상기 밝기 조절 아이콘(805)이 꺼진 상태라면 상기 투시부(80)는 제 2 상태(82)와 같이 다소 불투명하여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에 수납된 식품이 실루엣만 보이는 정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밝기 조절 아이콘(805)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꺼지면서 상기 투시부(80)는 제 1 상태(81)와 같이 투명도가 높아지게 되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에 수납된 식품이 명확하게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가 제 1 상태(81)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밝기 조절 아이콘(805)은 켜진 상태로 바뀌어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시부(80)의 밝기 조절은 상기 2 단계가 아닌 다단계의 조절도 가능할 것이며, 이 경우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고내 라이트(121)의 선택적인 조합 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 자체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클리어 아이콘(806)은 현재 투시부(80)를 통해 보여지는 출력 아이콘(90)들을 일괄적으로 숨기거나 표시할 수 있다. 예컨데, 도 41에서와 같이 상기 클리어 아이콘(806)이 꺼진 상태라면 상기 투시부(80)에는 상기 출력 아이콘(90)들이 모두 숨겨지게 되고, 상기 투시부(80)를 통해 메인 메뉴 아이콘(802), 밝기 조절 아이콘(805), 클리어 아이콘(806)만이 출력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의 내부를 확인하고자 할 때 상기 출력 아이콘(90)들에 의해 저장된 식품이 가려지게 되어 잘 보이지 않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방해되는 출력 아이콘(90)을 드래그하여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상기 출력 아이콘(90)들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일괄적으로 숨긴 후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을 확인한 후 다시 일괄적으로 원래의 위치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사용에 편리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가 깔끔한 상태로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상기 출력 아이콘(90)을 다시 보기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리어 아이콘은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아이콘(806)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투시부(80) 상에 상기 출력 아이콘(90)들이 숨기기 이전의 위치에서 다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리어 아이콘(806)은 켜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6은 상기 투시부를 통해 상황 메뉴를 조작하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7은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의 이동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8은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의 삭제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 4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시부(80)가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인 경우 상기 투시부(80)의 비어있는 임의의 영역을 설정된 시간(예컨데 1초) 동안 누르게 되면 상기 상황 메뉴 팝업창(803)이 나타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상황 메뉴 팝업창(803)을 통해서 원하는 메뉴를 고를 수 있다.
그리고 보관 기한을 클릭하여 보관기한을 설정한 후 상기 투시부(80) 상에 보과기한 라벨(91)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된 상기 라벨(91)을 다시 설정된 시간(예컨데 1초)동안 누르게 되면, 상기 라벨(91)은 편집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라벨(91)이 아닌 다른 비어있는 영역을 설정된 시간(예컨데 1초)동안 누르게 되면 상기 라벨(91)은 편집 가능한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도 4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시부(80)에 표시된 상기 라벨(91)을 설정된 시간(예컨데 1초) 동안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 하게 되면 상기 라벨(91)은 드래그 된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라벨(91) 생성 후 원하는 위치로 상기 라벨(91)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시부(80)에 표시된 상기 라벨(91)을 설정된 시간(예컨데 1초)동안 누르게 되면 상기 라벨(91)은 편집 상태가 되고 상기 라벨(91)의 일측에 보조 라벨(91)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부(80)에 복수의 상기 라벨(91)이 출력된 경우에는 모든 라벨(91)에 보조 라벨(9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보조 라벨(91)을 설정된 시간(예컨데 1초)동안 누르게 되면 상기 라벨(91)은 삭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80) 상의 비어있는 영역을 설정된 시간(예컨데 1초)동안 누르게 되면 상기 라벨(91)은 편집 가능한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도 49는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이 겹쳐지는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0은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이 병합되는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시부(80) 상에 표시되는 라벨(91)은 사용자가 상기 라벨(91)을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동일 위치에 복수의 라벨(91)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라벨(91)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서로 겹쳐진 상기 라벨(91)들은 나중에 드래그 된 라벨(91)이 상측에 위치되어 보이게 되고 이전의 라벨(91)은 하측에 겹쳐진 상태로 가려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라벨(91)이 출력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라벨(91)을 드래그하여 다른 라벨(91)에 완전히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경우 서로 겹쳐진 상기 복수의 라벨(91)은 병합되어 하나의 라벨(912)이 될 수도 있다. 이때, 병합된 라벨(912)은 다른 라벨(91)과 다른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어 사용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라벨(912)은 병합된 상태이지만 상기 라벨(912)을 선택하여 내부 정보를 보이게 하는 경우 병합전 상기 라벨(91)들의 내역을 모두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도 51은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이 매칭 및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2는 상기 투시부 상에 표시된 라벨이 매칭 및 알림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투시부(80)상에 출력되는 상기 라벨(91)을 드래그 조작하여 그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시부(80)는 제 1 상태(81)와 제 2 상태(82)와 같이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이 보이게 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의 식품(F)을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80)를 통해서 보이는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의 식품(F)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라벨(91)을 이동시키고 필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저장 공간(41) 내부의 식품(F)은 고내측의 카메라(115)에 의해서 위치가 상시 또는 주기적으로 촬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라벨(91)의 위치를 상기 식품과 매칭시키게 될 경우 상기 식품(F)의 저장 위치가 바뀌게 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변경된 식품(F)의 위치로 자동이동 되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표시하여 상기 라벨(91)의 위치를 재설정 할 수 있다.
상세히, 도 5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라벨(91)을 드래그하여 상기 식품(F)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라벨(91)을 연속으로 누르게 되는 경우 상기 식품(F)의 위치와 상기 라벨(91)의 위치가 매칭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식품(F)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115)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라벨(91)의 위치를 이동된 상기 식품(F)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품(F)을 꺼내어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라벨(91)은 자동으로 숨겨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라벨(91)을 드래그하여 상기 식품(F)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라벨(91)을 연속으로 누르게 되는 경우 상기 식품(F)의 위치와 상기 라벨(91)의 위치가 매칭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식품(F)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115)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라벨(91)의 위치가 식품(F)의 위치와 다름을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라벨(91)은 점멸되거나 색상이 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라벨(91)의 위치가 다른 것을 인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다시 상기 라벨(91)을 드래그하여 식품(F)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매칭시킬 수 있다.
도 53은 상기 투시부 상에 알림이 팝업되었을 때의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4는 상기 투시부 상에 복수의 알림이 있을 때의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투시부(80)가 온 상태인 경우, 알림 정보가 발생될 경우 팝업창(807)이 뜨게 된다. 상기 팝업창(807)은 상기 투시부(80)가 켜져 있는 상기 제 1 상태(81), 제 2 상태(82), 제 3 상태(83), 제 4 상태(84), 제 6 상태(86) 등 어떤 상태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알림 팝업창(807)이 뜨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807)을 눌러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팝업창(807)의 선택시 연계된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컨데, 상기 팝업창(807)이 파노라마 뷰 화면(804a)에서 확인 가능한 타이머 라벨(91) 이라면, 상기 팝업창(807)을 누르게 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파노라마 뷰 화면(804a)으로 전환되고 상기 타이머 라벨(91)이 강조되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팝업창(807)이 특정 화면과 연계된 것이 아니거나 복수의 화면과 연계된 경우라면 상기 팝업창(807)을 누르게 되면 상기 투시부(80)는 상기 제 1 상태(81) 또는 제 2 상태(82)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5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시부(80)가 온 상태에서 복수의 알림이 존재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투시부(80)의 상단 모서리에 알림탭(80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탭(808)에는 현재의 알림 개수를 숫자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알림탭(808)을 누르게 되면, 상기 투시부(80) 상에는 복수의 알람이 표시된 리스트 형태의 알림 팝업창(809)이 뜨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스트된 복수의 알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경우 도 49에서와 같이 연계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연계된 화면에서 작업을 종료하고 메인 메뉴 아이콘(802)와 상기 메인 메뉴 팝업창(804)을 차례로 선택하여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게 되면, 상기 알림탭(808)에서는 완료된 알림을 제외한 숫자가 표시되고, 상기 알림탭(808)을 선택하여 상기 알림 팝업창(809)의 리스트를 확인하게 되면 해당 알림은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0)

  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형성하며, 고내측을 투시하는 투시부가 형성되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보다 더 고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투시부에 의해 투시되는 영역을 밝히는 제 1 라이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는,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투명한 복수의 패널;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화면을 출력하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밝히는 제 2 라이트; 및
    상기 투시부의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 입력부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라이트와 제 2 라이트 및 디스플레이는 모두 오프되어 상기 투시부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조작 입력부를 통해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투시부는,
    상기 제 1 라이트는 온되고 제 2 라이트는 및 디스플레이는 오프되어, 상기 투시부를 통해 상기 고내측이 보이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라이트와 제 2 라이트 및 디스플레이가 모두 온되어, 상기 투시부를 통해 상기 고내측이 보이면서 화면이 출력되는 제 2 상태와,
    상기 제 1 라이트는 오프되고 제 2 라이트 및 디스플레이는 온되어, 상기 투시부를 통해 고내측이 보이지 않으면서 화면이 출력되는 제 3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조작 입력부의 조작시 상기 디스플레이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이트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라이트와;
    상기 도어 라이트보다 더 고내측에 위치되어, 고내측을 밝히는 고내 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방과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우 양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도어 라이트는 오프되고, 상기 고내 라이트는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도어 라이트와 상기 제 2 라이트는 오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투시부를 통해 화면 출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 후 닫히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온 상태를 유지하여 화면 출력을 유지하고, 상기 제 2 라이트는 다시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부는,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센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센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감지하는 노크 감지장치;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센서; 및
    사용자의 직접적인 누름 조작을 인식하는 조작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투시부의 상태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상태에서,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입력시,
    상기 투시부는 상기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후 닫게 되면, 상기 제 1 라이트는 오프되고 상기 제 2 라이트와 디스플레이가 온되어 고내측이 투시되지 않고 상기 투시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글랜스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랜스 상태에서는 상기 투시부는 기 설정된 화면을 일시적으로 출력하며, 추가의 사용자 입력이 없게 되면 다시 불투명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투시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 라이트가 온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의 화면 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정보 또는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근접이 감지되면 상기 투시부는 상기 불투명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제 2 라이트가 온되며, 상기 투시부를 통해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가 투명 상태일 때 상기 투시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및 제 2 라이트가 온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아이콘이 출력되며,
    상기 출력 아이콘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라이트가 온된 상태에서 투시되는 고내측의 식품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고내에는 상기 식품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며,
    상기 식품의 수납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식품이 변경된 위치로 상기 출력 아이콘이 이동되거나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0017299A 2018-02-12 2018-02-12 냉장고 KR10249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99A KR102499468B1 (ko) 2018-02-12 2018-02-12 냉장고
EP18203368.8A EP3524908B1 (en) 2018-02-12 2018-10-30 Refrigerator
US16/196,568 US10883305B2 (en) 2018-02-12 2018-11-20 Refrigerator
CN201811397771.3A CN110160314B (zh) 2018-02-12 2018-11-22 冰箱
KR1020230016525A KR20230025822A (ko) 2018-02-12 2023-02-0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99A KR102499468B1 (ko) 2018-02-12 2018-02-12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525A Division KR20230025822A (ko) 2018-02-12 2023-02-0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38A KR20190097638A (ko) 2019-08-21
KR102499468B1 true KR102499468B1 (ko) 2023-02-15

Family

ID=640487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299A KR102499468B1 (ko) 2018-02-12 2018-02-12 냉장고
KR1020230016525A KR20230025822A (ko) 2018-02-12 2023-02-08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525A KR20230025822A (ko) 2018-02-12 2023-02-0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83305B2 (ko)
EP (1) EP3524908B1 (ko)
KR (2) KR102499468B1 (ko)
CN (1) CN1101603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644A (ko) * 2017-01-23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투명 패널 어셈블리
US11561125B1 (en) 2018-09-20 2023-01-24 Idealab Refrigerator with inventor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US11386621B2 (en) * 2018-12-31 2022-07-12 Whirlpool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feedback of inventory for an appliance
US11732526B2 (en) * 2019-03-27 2023-08-22 Halio, Inc. Shear stress reduction in electrochromic device assemblies
CN112304009B (zh) * 2019-08-02 2022-01-21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的门体及其装配方法
JP2021067412A (ja) * 2019-10-24 2021-04-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21072018A (ja) * 2019-11-01 2021-05-06 富士電機株式会社 カップ式自動販売機
CN110873447B (zh) * 2019-11-29 2021-11-12 深圳麦克维尔空调有限公司 一种制冷空调的除霜控制方法、装置及设备
KR20220103704A (ko) * 2019-12-05 2022-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765796B2 (en) 2020-03-31 2023-09-19 Midea Group Co., Ltd. Microwave cooking appliance with leak detection
US11849526B2 (en) 2020-03-31 2023-12-19 Midea Group Co., Ltd. Microwave cooking appliance with increased visibility into the cavity
US11770882B2 (en) 2020-03-31 2023-09-26 Midea Group Co., Ltd. Microwave cooking appliance with user interface display
KR20210125376A (ko)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28685A (ko) 2020-04-17 202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CN113865182B (zh) * 2020-06-30 2023-02-0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可更换门面的冰箱门
CN214537055U (zh) * 2020-10-21 2021-10-29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制冷器具的照明模块和制冷器具
CN112813643B (zh) * 2021-01-14 2022-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洗衣机、存储介质及处理器
CN112683003A (zh) * 2021-01-15 2021-04-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显示组件及其控制方法、门体结构和储物装置
EP4050289A1 (de) * 2021-02-25 2022-08-31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Bedieneinheit für ein kühl- und / oder gefriergerät
DE102021208380A1 (de) * 2021-08-03 2023-02-09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etür mit einem Modulaufsatz für eine Ambientebeleuchtung und Gargerät
KR102640325B1 (ko) * 2021-12-21 2024-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WO2023243737A1 (ko) * 2022-06-13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590B1 (ko) * 2014-04-28 2014-11-04 (주)유니하이테크 영상출력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9420A (en) 1999-02-17 2000-05-09 Rogers; Thomas See through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KR100556774B1 (ko) * 2003-11-07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을 구비한 냉장고
US20080186696A1 (en) * 2007-02-03 2008-08-07 Awai George K Light emitting diode waveguide assemblies for illuminating refrigerated areas
KR101517230B1 (ko) * 2008-02-21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KR101843337B1 (ko) * 2010-10-28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081617B1 (ko) * 2011-03-14 2011-11-09 (주)티원시스템즈 입체감을 갖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쇼 케이스 냉장고.
KR20120116207A (ko) *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9052536B2 (en) * 2011-05-10 2015-06-09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CN202734406U (zh) * 2012-08-03 2013-02-13 海信容声(广东)冷柜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冷柜的中空玻璃门
KR20140062920A (ko) * 2012-11-15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냉장고
EP2813884A1 (en) * 2013-02-21 2014-12-17 Onyx Display Media (Pty) Ltd.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transparent base structure
US9392219B2 (en) * 2013-07-31 2016-07-12 Ho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camera system
KR102196218B1 (ko) * 2013-12-18 202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4749B1 (ko) * 2014-04-01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0037B1 (ko) * 2015-09-01 202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ITUB20160768A1 (it) * 2016-02-15 2017-08-15 Goppion Spa Vetrina museale, con sensori di rilevamento, attuatori di regolazione, allarmi ed unità di elaborazione collegati fra loro
US10295248B2 (en) * 2017-01-09 2019-05-2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glass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590B1 (ko) * 2014-04-28 2014-11-04 (주)유니하이테크 영상출력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83305B2 (en) 2021-01-05
CN110160314A (zh) 2019-08-23
CN110160314B (zh) 2021-06-01
US20190249485A1 (en) 2019-08-15
KR20230025822A (ko) 2023-02-23
KR20190097638A (ko) 2019-08-21
EP3524908A1 (en) 2019-08-14
EP3524908B1 (en)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468B1 (ko) 냉장고
KR102650071B1 (ko) 냉장고
US20230258387A1 (en) Refrigerator
US20240008661A1 (en) Refrigerator
KR102525036B1 (ko) 냉장고
KR102273092B1 (ko) 냉장고
US11022322B2 (en) Cooking appliance with an imaging device
US11686477B2 (en) Cooking appliance with an imaging device
JP2016142424A (ja) 冷蔵庫
US11940208B2 (en) Refrigerator,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of the home appliance
KR20230171831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