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685A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685A
KR20210128685A KR1020200046626A KR20200046626A KR20210128685A KR 20210128685 A KR20210128685 A KR 20210128685A KR 1020200046626 A KR1020200046626 A KR 1020200046626A KR 20200046626 A KR20200046626 A KR 20200046626A KR 20210128685 A KR20210128685 A KR 2021012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oor
frame
pcb
pan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찬욱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685A/ko
Priority to EP21168885.8A priority patent/EP3896372B1/en
Priority to US17/234,034 priority patent/US11885556B2/en
Priority to AU2021202353A priority patent/AU2021202353B2/en
Publication of KR2021012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투시와 화면 출력이 가능한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도어 내부에 패널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과 이격된 상방에서 상기 단열재가 채워지는 하부 공간과 상기 단열재 유입을 차단하여 피시비가 배치되는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베리어부; 상기 베리어부 하방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블 입구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이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단열재와 접하지 않고 상기 케이블 입구를 지나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커버가 장착되는 냉장고 도어.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 Refrigerator and door for ref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냉장고는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식품의 저장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시간이 늘어나게 되거나 횟수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냉장고의 도어 일부를 투명하게 하거나 고내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067391호에는 냉장고의 도어에 내부의 투시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한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종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가 상기 도어의 상단에 구비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디스플레이와 피시비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배치를 위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 상방의 공간에 단열재가 채워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내의 투시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한 패널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냉장고 도어의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에 구비되는 패널 어셈블리의 전선의 배치가 용이하고, 조립 및 서비스 작업성이 형상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에 구비되는 패널 어셈블리와 피시비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단열을 만족하면서,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와 피시비의 연결하는 케이블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며,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에 배치되며, 다수의 투명한 패널과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 내부의 투시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한 패널 어셈블리; 상기 서브 도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프레임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의해 차폐되는 라이너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과 이격된 상방에서 상기 서브 도어의 내부를 상기 단열재가 채워지는 하부 공간과 상기 단열재 유입을 차단하여 피시비가 배치되는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베리어부; 상기 베리어부 하방에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블 입구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이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단열재와 접하지 않고 상기 케이블 입구를 지나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발포액을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를 차폐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과 이격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라이너 개구를 차폐하는 리어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아웃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상기 프론트 패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터치 스크린과 연결된 터치 케이블일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배면에 구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웃 프레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둘레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연결된 라이트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리어 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둘레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시화되는 투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부의 둘레에는 상기 케이블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베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과 접하는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 입구까지 연장되며,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입구까지 향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입구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상기 패널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패널 지지부의 후방에서 상기 케이블 입구를 수용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는, 함몰된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의 개구된 전면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과 밀착되는 커버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커버 바디의 개구된 상면과 대응하는 부분에 베리어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과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며, 상하 이격된 한쌍의 리브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에는 상기 베리어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베리어부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한쌍의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베리어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라이너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의 상단에는 상하 이격된 한쌍의 커버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리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커버 리브 홈에 상기 베리어 및 라이너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후방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절곡부가 수용되는 플레이트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입구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피시비 수용부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을 가로지르도록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의 후방을 지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단에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을 후방에서 수용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 및 도어 라이너의 상단과 결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 및 상기 어퍼 캡데코의 상면에 형성되는 데코 개구을 개폐하는 데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코 커버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가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데커 커버가 상기 데코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되면, 상기 피시비는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에는 상기 필름 또는 시트 형상의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피시비에 연결되도록 하는 피시비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데코 개구의 외측까지 연장 가능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에 배치되며, 다수의 투명한 패널과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 내부의 투시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한 패널 어셈블리;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을 지지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프레임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배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의해 차폐되는 라이너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과 이격된 상방에서 상기 단열재가 채워지는 하부 공간과 상기 단열재 유입을 차단하여 피시비가 배치되는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베리어부; 상기 베리어부 하방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블 입구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이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단열재와 접하지 않고 상기 케이블 입구를 지나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도어에 구비되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둘레에 단열재가 고르게 채워질 수 있으며, 특히 패널 어셈블리와 피시비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지나는 영역에도 단열재가 채워지게 되어 도어의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단열재는 발포액의 주입을 통해 성형될 수 있으며, 고온의 발포액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프레임 및 프레임 커버에 의해 케이블이 안내되는 공간을 상기 단열재가 형성되는 공간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에 의한 단열 성능은 보장하면서 동시에 상기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프레임 커버에 의해 제공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통해 도어 상단의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피시비와 용이한 연결 작업이 가능하게되어 조립 작업성과 생산성 및 서비스 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시비에는 피시비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FFC 타입으로 형성되는 케이블이 상기 피시비 커넥터에 삽입 가능한 구조가 되어 상기 피시비와 케이블의 연결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는 도어 상면의 어퍼 캡데코에 구비되는 데코 커버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되고 상기 케이블과의 연결이 용이하여 조립 및 서비스 작업이 한층더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커버의 장착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을 통해서 상기 케이블은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수용홈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패널 어셈블리 전면의 외관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케이블의 이동 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일 구성인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일측단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서브 도어의 일 구성인 서포트 프레임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서브 도어의 일 구성인 서포트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어퍼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서브 도어의 일 구성인 프레임 커버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상기 이너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이너 커버와 케이블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서브 도어 내부의 케이블과 피시비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케이블 및 커버 시트의 배치를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 내부의 케이블과 피시비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 내부의 케이블과 피시비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도 4에서 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14)는 상기 냉장고(10)의 냉각 운전은 물론, 투시부(611)의 선택적인 투시와 화면 출력을 위한 전장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13)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적어도 일측의 도어는 고내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도어 배면의 저장공간 및/또는 고내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영역인 투시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61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61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611)를 통해서 고내에 수납된 식품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장실 도어(20)에 상기 투시부(611)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투시부(611)는 냉장고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냉장고 도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3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1)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도 1에서 볼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4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1)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41)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3)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3)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게 될 경우 상기 개구부(41)를 통해 접근 가능한 구조를 가질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케이스(43)에는 케이스 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서 상기 수납 케이스 내부로 접근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 둘레에는 메인 가스켓(45)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폐시 상기 캐비닛(10) 내부 공간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1)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상기 개구부(41)를 노출 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는 결합된 상태가 되어 좌측에 형성된 냉장실 도어(20)와 그 크기와 형상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는 서브 가스켓(58)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선택적으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패널 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서브 도어(50)상에서 고내측이 보여지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반드시 상기 패널 어셈블리(60) 전체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만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가시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60)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지만,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12)의 우측의 도어(20)와 같이 하나의 도어로 구성된 경우에도 상기 도어(20)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냉장고의 형태 및 도어의 형태에 관계없이 도어를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모든 타입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서브 어퍼 힌지(501)와 서브 로어 힌지(502)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구속장치(59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장치(591)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록킹 유닛(4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구속장치(591)와 상기 록킹 유닛(42)의 결합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의 하단에 구비된 개방장치(529)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속장치(59)와 록킹 유닛(42)의 구속이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52),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2)의 개구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6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외관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비롯한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냉동실 도어(30)의 전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 표면에는 내지문 코팅, 헤어라인, 색상이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코팅 또는 필름 부착 등 다양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전면에는 플레이트 개구(511)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에 의해 차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하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내측 영역을 상기 투시부(611)라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프레임(70)의 플레이트 수용홈(70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양측면은 절곡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측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양측단은 상기 도어 라이너(52)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2), 어퍼 캡데코(54) 및 로어 캡데코(55)의 내측에는 단열재(53)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2)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60)가 배치되는 영역에 라이너 개구(5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2)의 배면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서브 가스켓(58)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개구(521)의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후방을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6)가 점등되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가 밝아지게 되며, 따라서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더 밝아지게 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의 가시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화면 출력시 상기 도어 라이트(56)가 점등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하여 화면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 형성된 라이트 장착부(52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장착부(523)는 상기 도어 라이너(52)에 형성되며, 상기 라이너 개구(521)의 좌우 양측단을 따라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트 장착부(523)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보다 더 후방에 위치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41)를 통과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장착부(523)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된 내측에 상기 도어 라이트(56)가 장착되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에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2)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상면은 개구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 상방의 공간과 연통되는 된 데코 개구(541)가 형성되며, 데코 커버(57)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데코 커버(57)는 상기 데코 개구(541)를 차폐하는 차폐부(571)와, 상기 차폐부(57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피시비 장착부(5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장착부(572)에는 패널 어셈블리(60) 및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위한 피시비들(573,57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들(573,57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의 피시비 수용 공간(7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코 개구(541)와 연통되는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 공간은 단열재(53)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로어 캡데코(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2) 하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55)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 조작을 위한 조작 장치(59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55)에는 상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위한 회전 조작시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손잡이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도어 라이너 개구(52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 반투명, 불투명, 화면 출력의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출력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 둘레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70)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70)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이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0)은 중앙에 프레임 개구(70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701)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6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프레임(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하고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후면은 상기 라이너 개구(521)를 차폐하고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단부가 서로 밀착상태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단부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는 서로 밀착되어 사이의 틈새가 거의 보이지 않거나 라인의 형태로 보이도록 할 수 있으며, 전면 외관이 연속적이고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21)를 형성하여 고내 공간이 선택적으로 가시화되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아웃 플레이트(51)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은 내부의 투시 또는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시부(611)와, 상기 투시부(611)의 둘레를 따라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베젤(613) 그리고, 상기 투시부(611)의 하방에서 빛이 투과되는 보조 출력부(6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베젤(6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613)은 검정색과 같은 불투명한 색상으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젤(613)이 형성되지 않은 중앙의 영역은 상기 투시부(611)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611)는 상기 디스플레이(63)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611)는 고내측이 가시화되는 영역을 형성하게 되며, 디스플레이(63)의 동작시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611)는 출력부, 가시화부, 가시화 영역이라 부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시부(611)의 하방에는 세로 방향으로 좁고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상기 보조 출력부(6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출력부(612) 또한 상기 베젤(613)이 형성되지 않아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과되는 빛에 의해 정보의 표시 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 표시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투시부(611)는, 음성 인식 상태, 터치 또는 노트 동작 입력 상태, 고내 온도, 시간 설정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막대 그래프와 같이 부분적으로 발광되는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발광되는 부분이 이동되면서 동적으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보조 출력부(612)는 라인 형태로 표시되므로 라인 디스플레이부라 부를 수도 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일 구성인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일측단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패널들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패널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전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1)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1)의 사이를 연결하는 아우터 프레임(6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투명한 소재(일 예로 청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개구(701)의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은 상기 프레임(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단부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는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는 상기 리어 패널(651)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는 상기 프레임 개구(701)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7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67)를 비롯한 상기 리어 패널(651) 등은 상기 프레임 개구(701)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0)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67)과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의 체결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는 상기 프레임(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프레임(70)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에 결합됨으로써 무게가 무거운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조작에도 안정적인 고정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터치 스크린(TSB: Touch screen bonding, 6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62)는 투명한 필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611)의 영역이 가시화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63)의 출력시에도 화면 출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62)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터치 감지 장치, 터치 센서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62)은 적어도 상기 투시부(611) 또는 디스플레이(63)의 크기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611)의 영역 즉, 상기 디스플레이(63)의 화면 출력 영역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터치시 상기 터치 스크린(62)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감지 위치에 따른 정보의 입력 및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외측단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62)와 연결되는 터치 케이블(6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21)은 상기 터치 스크린(62)과 서브 도어(50) 상부의 상기 피시비(573)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케이블(621)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62)으로부터 떨어진 피시비(573)와 상기 터치 스크린(62)이 연결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21)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 Cable 또는 Flexible Print Circuit board)와 같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케이블(621) 상에 인쇄회로가 인쇄되어 상기 피시비(573)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21)은 상기 터치 스크린(62)와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21)은 필름과 같은 수지재의 베이스에 배선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21)은 시트와 같이 두께가 얇고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플렉시블하게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케이블(621)은 필름 또는 시트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573)와 연결시 그 단부가 상기 피시비(573)의 커넥터(573a)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21)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 공간의 벽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공간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21)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63)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케이블(632)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641)와 연결되는 라이트 케이블(642)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한 케이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블들(6621,632,642)은 모두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고 폭이 넓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에 형성된 피시비 수용 공간(71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에 배치되는 피시비(573)와의 간편한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3)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3)는 상기 투시부(611)를 통해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력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시부(611)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3)는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하게 구성되어 화면 출력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3)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부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63)의 좌우 양측 중 일측단에는 소스 보드(6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31)는 상기 디스플레이(63)의 화면 출력을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63)와 연결되어 어셈블리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31) 또한 일부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31)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31)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67) 중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파트(67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스 보드는 상기 투시부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31)는 디스플레이 케이블(632)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32)은 상기 터치 케이블(621)과 마찬가지로 플렉시블하고 플랫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자유롭게 벤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32)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60) 상방으로 단부가 연장될 수 있도록 벤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상단의 피시비 수용 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피시비(573)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3)의 좌우 양측에는 제 1 스페이서(6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643)는 상디 디스플레이(63)와 도광판(64)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페이서(643)는 상기 디스플레이(63)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스페이서(643)에 안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41)에서 조사되는 빛이 확산 또는 산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63)를 후방에서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3)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소 큰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1)은 상기 도광판(6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1)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광판(64)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1)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1)과 상기 도광판(64)의 사이에는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1, 6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661,662)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 패널(652) 및 리어 패널(65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1,662)의 사이에는 단열 패널(6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1,662)에 의해서 상기 단열 패널(652)은 전후 방향으로 각각 상기 단열 패널(652) 및 리어 패널(651)과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1,662)와 상기 단열 패널(652) 및 리어 패널(651)에 의해 복층의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전방에 배치된 제 2 스페이서(662)는 상기 도광판(64)의 배면과 상기 단열 패널(652)의 배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스페이서(662)와 도광판(64)은 단순 지지되는 구조로 팽창 및 수축되는 상기 도광판(64)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후방에 배치된 제 2 스페이서(661)는 상기 단열 패널(652)의 배면과 리어 패널(651)의 전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스페이서(661)와 상기 단열 패널(652) 및 리어 패널(651)은 완전히 접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1)과 단열 패널(652) 사이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단열 공간은 진공으로 형성되거나 단열 가스가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1)은 상기 제 2 스페이서(66)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651)의 외측단이 상기 제 2 스페이서(66) 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1)의 외측단에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67)가 장착되어 상기 리어 패널(651)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67)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67)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상기 리어 패널(651)의 전면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프레임(67)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 외측 부분의 둘레를 형성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은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파트(671)와,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파트(671)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연결하며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파트(672) 및 로어 파트(6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리어 패널(651)의 사이 공간 즉, 상기 아우터 프레임(37)의 내측 공간은 완전히 기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의 둘레에 도포되는 실런트(도 17에서 68)에 의해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의 내부는 한층 더 기밀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전체적인 외관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1) 그리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에 의해 형성되며, 나머지 구성들은 모두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1)의 사이만 실링하는 것으로 복층의 패널 구조를 완전히 기밀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를 배치하여 고내의 투시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최소의 실링 지점으로 복층의 패널 구조에서 단열 구조의 완성이 가능하게 되어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672)와 로어 파트(673)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4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672)과 로어 파트(673)에는 각각 디스플레이 라이트(64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4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41)의 엘이디(641a)를 통해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64)의 단부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도광판(64)이 전체면에서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41)는 라이트 케이블(64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케이블(642)은 상기 터치 케이블(621) 및 디스플레이 케이블(632)과 같이 플렉서블하고 플랫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케이블(642)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41)와 연결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케이블(642)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3)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케이블(642)은 상기 리어 패널(651)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리어 패널(651) 배면에 접착된 상태로 벤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의 피시비(57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런트(68)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 내부의 터치 스크린(62), 디스플레이 패널(62), 디스플레이 라이트(641)와 연결되는 케이블들(621,632,642)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실런트(68)는 상기 케이블들(621,632,642)이 패널 어셈블리(6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때 상기 케이블들(621,632,642)의 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을 실링하여 상기 케이블들(621,632,642)이 출입되는 공간으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의 외측면을 따라서 히터(67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673)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의 외측면을 따라 함몰된 히터 장착부(672c)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673)에서 발열되는 열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67)을 따라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가열하게 되며, 따라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프레임(67)의 외측면에는 패널 어셈블리 고정부(67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 고정부(672b)에는 상기 프레임(70)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체결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프레임(7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레임(7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서브 도어의 일 구성인 서포트 프레임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서브 도어의 일 구성인 서포트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70)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프레임 개구(7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0)은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60)가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0)은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프레임(71)과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 프레임(73)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3)의 양단의 사이를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70)은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3) 그리고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72)의 결합에 의해서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7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어퍼 프레임(71)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부 및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71)은 상기 프레임(70)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되,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프레임(71)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까지 연장되는 상단 연장부(7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 연장부(711)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의 공간이 전후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71)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방은 전후로 구획될 수 있으며, 후방의 공간에 상기 피시비(573)가 수용될 수 있는 피시비 수용 공간(7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은 상기 데코 개구(54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73)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72)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하부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2)은 상기 프레임(70)의 좌우 양측을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3)의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사이드 프레임(72)은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3)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3) 및 사이드 프레임(72)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70)의 전체적인 구조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70)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프레임 개구(701)의 둘레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패널 어셈블리 지지부(7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 지지부(702)는 후방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 즉, 상기 아웃 프레임(67)과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 지지부(702)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가 상기 아웃 프레임(67)에 체결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프레임(7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0)의 전면에는 둘레를 따라서 함몰된 플레이트 수용홈(7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절곡부(512)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2)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함몰되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2)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2)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을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면은 동일한 높이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70)의 전면 둘레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면에 대응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3) 및 한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7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각각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70)은 4개의 부분으로 분리 성형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프레임(70)은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다수개의 구성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로어 프레임(73)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하부의 지지 및 고정하는 구조 외에도 상기 보조 출력부(612)를 통해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90)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7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90)는 일 예로 다수의 엘이디가 상기 보조 출력부(612)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기판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90)는 라인 디스플레이 엘이디 바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71)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부의 지지 및 고정하는 구조 외에도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에서 연장되는 케이블(621)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어퍼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프레임(71)은 상부의 상단 연장부(711)와 하부의 패널 지지부(712) 그리고 상기 상단 연장부(711)와 패널 지지부(712) 사이에 형성되는 베리어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리어부(173)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70)은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71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및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단과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연장부(71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엔 상기 피시비(573)가 배치될 수 있는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부(173)는 상기 패널 지지부(712)와 상기 상단 연장부(711) 사이를 구분하며,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바닥면을 형성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재(53)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하단에는 상기 프레임 개구(701)의 상단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 지지부(702)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하면 양측단에는 상기 상기 사이드 프레임(72)의 상단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지지부(712)에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은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712)에는 상기 케이블(621)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단에서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열재(53)가 침투되지 않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월(7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715)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리어부(173)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715)은 아래에서 설명할 프레임 커버(8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8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715)의 하단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 지지부(702)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커버(80)가 상기 패널 지지부(712)에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715)은 상기 베리어부(173)에 형성된 베리어 개구(717)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연장된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715)의 가로 폭은 적어도 상기 케이블(621)의 가로 폭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월(715)의 내측을 상기 케이블(621)이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월(715)은 상기 베리어부(17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이때,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의 배면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이 형성된 부분에서도 상기 프레임 커버(8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월(715)의 내측에는 케이블 입구(7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입구(714)는 상기 가이드 월(715)의 내측의 상기 패널 지지부(712)를 관통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입구(714)의 가로 방향 길이는 상기 케이블(621)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입구(714)는 상기 가이드 월(715)의 내측 즉,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 중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입구(7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입구(714)의 하단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케이블 안내부(7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는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전면에서 함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케이블(621)의 두께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70)에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장착되더라도,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프레임(70)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621)이 배치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조립되는 상태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60) 상단에서 연장되는 케이블(621)은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를 지나게 되며, 상기 케이블 입구(714)를 통해 상기 가이드 월(715) 내측의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는 상기 케이블 입구(714)와 상기 프레임 개구(701)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 상단 중 상기 케이블(621)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의 폭은 상기 케이블(621)의 가로 폭과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의 폭은 상기 가이드 월(715)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가로 폭과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상부 중앙에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미도시)가 배치되는 마이크 장착부(71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상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의 일부가 개구되어 접지를 위한 전선이 연결되는 접지 홀(719)이 형성될 수 있다. 접지를 위한 전선은 상기 접지 홀(719)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2)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와 접지를 위한 전선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내측으로 전선이 출입되어야 하며, 상기 베리어부(173)에 형성된 전선 홈(713)을 통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선 홈(713)은 상기 마이크 장착부(718)와 상기 접지 홀(719)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베리어부(173)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월(715)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은 상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베리어 개구(717)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개구(717)는 상기 가이드 월(71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로 들어온 상기 케이블(621)이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베리어부(17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개구(717)는 상기 케이블(621)이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의 밖으로 안내되도록 하므로 케이블 출구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베리어부(173)는 상기 어퍼 프레임(71)을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부(173)는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배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서브 힌지의 회전 축이 결합되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부(17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될수록 돌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부(173)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부(173)에 의해 베리어 결합홈(7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결합홈(713a)은 상기 도어 라이너(52)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라이너 결합부(524)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너(52)가 조립되면 상기 베리어 결합홈(713a)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리브 형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라이너 결합부(524)가 사이 베리어 결합홈(713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2)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는 상기 베리어부(173)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에 채워지는 발포액은 상기 베리어부(173) 상방 즉,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한쌍의 베리어부(173) 중 하방의 베리어부(173)에는 베리어 보강 리브(713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보강 리브(713c)는 상기 프레임(70)의 배면에서 상기 베리어부(173)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리어 보강 리브(713c)는 상기 베리어부(173)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부(173)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보강 리브(713c)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53)를 형성하기 위해 발포액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발포액의 주입 압력에 의해 상기 베리어부(173)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베리어부(173)에는 상기 베리어 개구(7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개구(717)는 상기 베리어부(173)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의 상면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베리어 개구(717)는 상기 베리어부(173)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개구(717)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단에서 상기 베리어부(173)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연장부(711)는 상기 베리어부(173)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 즉,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연장부(711)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연장부(711)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부(711b,711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양측의 사이드부(711b,711c) 중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축과 인접한 위치의 사이드부(711c)에는 사이드 홀(71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홀(711d)은 상기 피시비(573)와 연결된 와이어 케이블이 상기 서브 힝ㄴ지의 회전 축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단 연장부(711)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상단 연장부(711)의 사이 공간에 성형 단열재(531)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열재(531)는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성형 단열재(531)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진공 단열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단열재(53)와 동일 소재로 성형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 단열재(531)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상단 연장부(711) 사이의 공간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상단 연장부(711)의 전면 사이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열재(531)의 장착으로 상기 서브 도어(50) 상단에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이 형성되고,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에 상기 단열재(53)가 채워지지 않더라도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 커버(8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상기 서브 도어의 일 구성인 프레임 커버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상기 이너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 커버(80)는 상기 프레임(70)의 상부 즉 상기 어퍼 프레임(71)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커버(80)는 상기 프레임(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공간을 상기 케이블(621)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단열재(53)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80)는 상기 가이드 월(715)과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커버(80)는 상기 가이드 월(715)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80)는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요철 형상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621)이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커버(8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잡하고 정교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80)는 상기 가이드 월(715)을 차폐하며,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일부를 형성하는 커버 바디(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81)는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과 상면이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71)에 결합되면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상기 프레임 커버(80)가 형성하는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과 연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 바디(81)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가이드 월(715)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가이드 홈(8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813)은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813)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813)은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의 양측면과 하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커버(80)가 상기 어퍼 프레임(71)에 고정 장착되면, 상기 가이드 홈(813)의 내측으로 상기 가이드 월(715)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81)의 배면은 상기 단열재(53)가 형성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단열재(53)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81)는 외측면은 상기 단열재(53)가 상기 커버 바디(81)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81)의 배면에는 커버 보강 리브(8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보강 리브(812)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바디(81)의 배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53)의 형성을 위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발포액이 주입될 때 상기 발포액의 주입 압력에 의해 상기 커버 바디(81)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바디(81)는 중앙부가 후방으로 다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발포액의 주입 압력에 보다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바디(81)의 둘레에는 커버 테두리(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테두리(82)는 상기 커버 바디(81)의 개구된 전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테두리(82)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커버(80)가 상기 어퍼 프레임(71)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테두리(82)는 상기 커버 바디(81)의 개구된 상면을 제외한 좌우 양측면과 하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 바디(81) 양측면의 상기 커버 테두리(82)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지지부(712)와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 테두리(82)에 함몰부(821)와 돌출부(8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821)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의 후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커버(80)의 장착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은 상기 함몰부(821)의 내측에 함몰되어 상기 프레임 커버(80)가 상기 패널 지지부(712)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822)는 상기 함몰부(82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의 배면 상단에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822)와 함몰부(821)의 형상에 의해 상기 커버 테두리(82)는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바디(81)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을 지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바디(81) 내측의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 또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03)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81) 하방의 상기 커버 테두리(82)에는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가 수용되는 안내부 수용홈(8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 수용홈(823)은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깊이만큼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커버(80)의 장착시 상기 커버 테두리(82)는 상기 패널 지지부(712) 배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안내부(716)는 상기 안내부 수용홈(823)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81)의 상단에는 한쌍의 커버 리브(8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리브(831)는 커버 리브(831)의 상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커버 리브(831)의 사이에는 커버 리브 홈(8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리브(831)는 상기 베리어부(17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리브(831)의 양측단에 상기 베리어부(17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리브 홈(832)의 간격은 상기 한쌍의 베리어부(173)의 상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커버(80)의 장착시 상기 베리어부(173)는 상기 커버 리브 홈(832)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8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부(173)와 상기 커버 리브(831)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2)의 조립시 상기 도어 라이너(52)에서 돌출되는 라이너 결합부(524)는 상기 베리어 결합홈(713a)과 상기 커버 리브 홈(83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부(173) 하방의 공간은 상기 단열재(5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내측으로 상기 단열재(53) 성형을 위한 발포액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8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커버(8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베리어 개구(717)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커버(80)의 내측을 따라서 안내되는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프레임 커버(80)를 지나서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까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피시비(573)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 커버(57)에 장착된 상태의 상기 피시비(573)는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621)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1)에서 상기 케이블(621)의 배치 상태와 상기 피시비(573)와의 연결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상기 이너 커버와 케이블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서브 도어 내부의 케이블과 피시비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와 아웃 플레이트(51)가 상기 프레임(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52) 및 어퍼 캡데코(54)가 조립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는 상기 단열재(53)의 성형을 위한 발포액이 주입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53)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를 따라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상기 프레임 커버(8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을 제외한 외측의 공간에 상기 단열재(53)가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과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을 제외한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 상기 단열재(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연장부(711) 전방과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사이의 공간에도 성형 단열재(53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573)는 상기 피시비 장착부(572)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데코 개구(541)를 통해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 커버(57)가 상기 데코 개구(541)를 차폐하도록 장착되면, 상기 피시비(573)는 상기 피시비 장착부(572)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시비 장착부(572)에는 추가의 피시비 예컨데 보조 피시비(574)도 함께 장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스크린(62)과 연결된 상기 케이블(621)은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사이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어퍼 프레임(71)에 형성된 케이블 안내부(716)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입구(714)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 커버(80)에 의해 형성된 케이블(621) 안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케이블(621) 안내 공간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베리어 개구(717)를 통해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621)은 플렉서블한 구조이며, 따라서 상기 케이블 입구(714)에서 상기 베리어 개구(717)를 경유하여 상기 피시비(573)가 배치된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피시비(573)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573)에 장착된 피시비 커넥터(573a)에 상기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피시비 장착부(572)와 상기 피시비(573)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573)에 실장된 소자들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피시비(573)의 상방에서 절곡되어 상기 피시비(573) 상단에 배치된 상기 피시비 커넥터(573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621)의 길이는 상기 피시비 커넥터(573a)의 상단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 커버(57)를 분리하여 상기 피시비(57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데코 개구(741) 외측으로 인출하더라도,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피시비 커넥터(573a)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57)가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573)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621)의 여유 부분은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573)의 유지 보수와 조립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62)와 결합된 케이블(621)이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을 통해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으로 안내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41)와 연결된 라이트 케이블(642)과, 상기 디스플레이(63)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케이블(632) 또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60) 상면으로 안내된 후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810)을 통해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단열재(53)로부터 상기 케이블(621)을 보호하는 커버 시트(89)가 부착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일부와 커버 시트(89)의 구조만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를 뿐 다른 구성들은 완전히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케이블 및 커버 시트의 배치를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 내부의 케이블과 피시비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5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패널 어셈블리(60), 프레임(70), 어퍼 캡데코(54), 도어 라이너(5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에는 상기 프레임(70)과 상기 도어 라이너(52)의 결합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하방의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에는 발포액이 주입되어 상기 단열재(53)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상단 연장부(711) 전방에는 성형 단열재(531)가 구비되어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전방을 단열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54)에는 데코 개구(5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데코 커버(57)가 장착되어 상기 데코 개구(541)를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57)에는 피시비 장착부(572)가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573)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프레임(71)에는 케이블 입구(7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입구(714')는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블 입구(714')는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하단 즉, 상기 패널 어셈블리 지지부(702)와 접하는 위치에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입구(714')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 지지부(7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케이블(621)은 상방으로 연장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블 입구(714')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배면과 접하는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부(173)에 형성되는 베리어 개구(717)를 통과하여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입구(714')와 상기 베리어 개구(717)의 가로 방향 크기는 상기 케이블(621)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621)이 통과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가능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621)이 배치된 상기 패널 지지부(712)에는 커버 시트(89)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89)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후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시트(89)는 상기 케이블(621)을 포함한 상기 케이블 입구(714')와 상기 베리어 개구(717)의 적어도 일부까지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621)이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까지 연장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시트(89)는 상기 케이블(621)을 차폐하도록 상기 패널 지지부(712)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커버 시트(89)에 의해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입구(714')와 상기 베리어 개구(717)까지 차폐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에 발포액이 주입될 때 상기 케이블(621)과 접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89)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712) 배면의 굴곡진 부분을 따라서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시트(89)에 제공되는 접착제는 상기 케이블(621)이 배치되는 영역에는 제공되지 않고 상기 커버 시트(89)의 둘레에만 제공되어 상기 케이블(621)과 상기 커버 시트(89)는 실질적으로 접착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단열재(5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으로 주입되는 발포액은 상기 상기 서브 도어(50)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블(621)의 배치 및 상기 커버 시트(89)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포액이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으로 주입되어 상기 케이블(621)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53)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피시비(573)가 장착된 상기 데코 커버(57)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케이블(621)의 단부가 상기 피시비 커넥터(573a)에 연결되도록 한 후 상기 피시비(573)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성형된 상태의 단열재(53)가 조립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621)의 배치가 용이하고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일부와 단열재(532,533)의 구조만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를 뿐 다른 구성들은 완전히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 내부의 케이블과 피시비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5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패널 어셈블리(60), 프레임(70), 어퍼 캡데코(54), 도어 라이너(5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에는 상기 프레임(70)과 상기 도어 라이너(52)의 결합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어퍼 캡데코(54)에는 데코 개구(5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 개구(541)는 상기 데코 커버(57)의 장착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57)에는 피시비 장착부(572)가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573)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프레임(71)에는 케이블 입구(7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입구(714')는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블 입구(714')는 상기 패널 지지부(712)의 하단 즉, 상기 패널 어셈블리 지지부(702)와 접하는 위치에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케이블(621)은 상방으로 연장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블 입구(714')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배면과 접하는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부(173)에 형성되는 베리어 개구(717)를 통과하여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710)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단열재(531,532,5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531,532,53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 형상에 맞추어 이미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에 조립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열재(53)는 상기 케이블(621)이 배치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플랫한 형상의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532,533)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방과 상기 베리어부(173) 하방의 사이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621)은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상기 단열재(532,533)의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531,532,533)가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52)가 조립될 수있다. 물론, 적어도 일부의 상기 단열재(532)가 상기 도어 라이너(52)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프레임(71)측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기 서브 도어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피시비가 구비되는 구조에 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도어로 구성되는 냉장실 도어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며,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에 배치되며, 다수의 투명한 패널과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 내부의 투시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한 패널 어셈블리;
    상기 서브 도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프레임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의해 차폐되는 라이너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과 이격된 상방에서 상기 서브 도어의 내부를 상기 단열재가 채워지는 하부 공간과 상기 단열재 유입을 차단하여 피시비가 배치되는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베리어부;
    상기 베리어부 하방에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블 입구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이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단열재와 접하지 않고 상기 케이블 입구를 지나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커버가 장착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로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발포액을 주입하여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를 차폐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과 이격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라이너 개구를 차폐하는 리어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아웃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상기 프론트 패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터치 스크린과 연결된 터치 케이블인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배면에 구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웃 프레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둘레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연결된 라이트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되는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리어 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둘레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시화되는 투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부의 둘레에는 상기 케이블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베젤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과 접하는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 입구까지 연장되며,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입구까지 향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입구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상기 패널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패널 지지부의 후방에서 상기 케이블 입구를 수용하도록 장착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는,
    함몰된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의 개구된 전면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과 밀착되는 커버 테두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커버 바디의 개구된 상면과 대응하는 부분에 베리어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과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이 연통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며, 상하 이격된 한쌍의 리브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에는 상기 베리어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베리어부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한쌍의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베리어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라이너 결합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의 상단에는 상하 이격된 한쌍의 커버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리브의 사이에 형성되는 커버 리브 홈에 상기 베리어 및 라이너 결합부가 삽입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둘레를 따라서 후방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절곡부가 수용되는 플레이트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입구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피시비 수용부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을 가로지르도록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의 후방을 지나는 공간을 형성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단에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을 후방에서 수용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 및 도어 라이너의 상단과 결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 및
    상기 어퍼 캡데코의 상면에 형성되는 데코 개구을 개폐하는 데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코 커버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가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데커 커버가 상기 데코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되면, 상기 피시비는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의 내측에 위치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에는 상기 필름 또는 시트 형상의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피시비에 연결되도록 하는 피시비 커넥터가 형성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데코 개구의 외측까지 연장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는 냉장고.
  20.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에 배치되며, 다수의 투명한 패널과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내부의 투시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한 패널 어셈블리;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을 지지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프레임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배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의해 차폐되는 라이너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단과 이격된 상방에서 상기 단열재가 채워지는 하부 공간과 상기 단열재 유입을 차단하여 피시비가 배치되는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베리어부;
    상기 베리어부 하방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피시비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블 입구와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이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단열재와 접하지 않고 상기 케이블 입구를 지나 상기 피시비 수용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커버가 장착되는 냉장고 도어.
KR1020200046626A 2020-04-17 2020-04-17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KR20210128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26A KR20210128685A (ko) 2020-04-17 2020-04-17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EP21168885.8A EP3896372B1 (en) 2020-04-17 2021-04-16 Refrigerator
US17/234,034 US11885556B2 (en) 2020-04-17 2021-04-19 Refrigerator
AU2021202353A AU2021202353B2 (en) 2020-04-17 2021-04-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26A KR20210128685A (ko) 2020-04-17 2020-04-17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685A true KR20210128685A (ko) 2021-10-27

Family

ID=7556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626A KR20210128685A (ko) 2020-04-17 2020-04-17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85556B2 (ko)
EP (1) EP3896372B1 (ko)
KR (1) KR20210128685A (ko)
AU (1) AU2021202353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781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936801A1 (en) * 2020-07-06 2022-01-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819B1 (ko) * 2000-03-30 2002-09-11 엘지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영상표시기기 장착구조
US7686127B2 (en) * 2007-01-04 2010-03-30 Whirlpool Corporation Acoustic chamber as part of adapter or appliance
US7980088B2 (en) * 2007-01-04 2011-07-19 Whirlpool Corporation Removable adapter providing a wireless service to remov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7810343B2 (en) * 2007-01-04 2010-10-12 Whirlpool Corporation Dispenser with a service interface for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8683745B2 (en) * 2011-05-10 2014-04-01 Anthony, Inc. Refrigerated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KR101954749B1 (ko) * 2014-04-01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9535293B2 (en) * 2014-06-16 2017-01-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ealed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ssembly
EP2975345B1 (en) * 2014-07-16 2019-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0280673B2 (en) * 2015-06-11 2019-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KR20170026991A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810760B1 (ko) * 2016-01-05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0378815B2 (en) * 2016-11-29 2019-08-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273092B1 (ko) 2016-12-12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59753B1 (ko) * 2017-03-24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27848B1 (ko) * 2017-05-18 2021-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음식 관리방법
KR102499468B1 (ko) * 2018-02-12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67549B1 (ko) * 2020-01-09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85556B2 (en) 2024-01-30
EP3896372B1 (en) 2023-08-02
AU2021202353B2 (en) 2023-04-06
US20210325104A1 (en) 2021-10-21
EP3896372A1 (en) 2021-10-20
AU2021202353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092B1 (ko) 냉장고
US20240068735A1 (en) Refrigerator
EP3378359B1 (en) Refrigerator
US11112171B2 (en) Refrigerator having a transparent door
CN108224889B (zh) 冰箱
KR20180067367A (ko) 냉장고
EP3896372B1 (en) Refrigerator
KR20240032782A (ko) 냉장고
AU2021202356B2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