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45902A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45902A1
WO2020045902A1 PCT/KR2019/010754 KR2019010754W WO2020045902A1 WO 2020045902 A1 WO2020045902 A1 WO 2020045902A1 KR 2019010754 W KR2019010754 W KR 2019010754W WO 2020045902 A1 WO2020045902 A1 WO 20200459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ape
chamber
unit
do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07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준영
남완식
박성후
박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0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512B1/ko
Priority to CN201980056692.2A priority patent/CN112639206A/zh
Priority to EP19854645.9A priority patent/EP3845702A4/en
Priority to JP2021510329A priority patent/JP7167313B2/ja
Priority to AU2019333794A priority patent/AU2019333794B2/en
Priority to US17/270,783 priority patent/US20210340704A1/en
Publication of WO20200459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459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s a concept including a device for washing clothes, a device for drying clothes, a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washing and drying clothes, and a device for refreshing clothes.
  •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removes dirt from clothes by rotating a drum in which clothes are stored inside a tub where water is stored (by rubbing clothes and water), and a drying device provides moisture in clothes by supplying heated air to the drum in which clothes are stored. It is a device to remove.
  • the apparatus for refreshing clothes is a device for removing odor and removing wrinkles by supplying at least one of moisture (steam, mist, etc.) and hot air to the clothes.
  •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and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 the control panels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generally have a button or knob type input unit or a touch screen type input unit.
  • the input unit of the above-described type can operate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only when the user moves to a distance that can be touched by the input uni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cannot be controll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as a control comman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operate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lothing is accommodated and the first chamb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 supply unit supplying at least one of air and moisture to the first chamber;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unit;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provided in the door to recognize a voice generated by a user and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to the control unit.
  • the voice recognition unit is fixed to the door mounting body to form any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he left surface of the door, the right surface of the doo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 a chamber forming unit forming a receiving chamber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body;
  • a microphone fixed to the mounting body and positioned inside the receiving chambe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inet provided with an opening; A first chamber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 second chamber provided in the cabinet and forming a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A supply unit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to supply at least one of air and moisture to the first chamber; A door having a first body rotatably fix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a second body fixed to the first body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unit;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provided in the door to recognize a voice generated by a user and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to the control unit.
  • the voice recognition unit is fixed to the door mounting body to form any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he left surface of the door, the right surface of the doo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 a chamber forming unit forming a receiving chamber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body;
  • a microphone fixed to the mounting body and positioned inside the receiving chamber;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mounting groove for concave be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to provide a space into which the mounting body is inserted, wherein the receiving chamber and the communication hole are external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It can be located at
  • the communication hole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holes passing through the chamber forming part.
  • the voice recogni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nalyzer fixed to the first body to convert a voice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into a text or a code and transmit the converted text or code to the controller.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pe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body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first body, to fix the second body to the first body; A tape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tape to communicate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ith the outside of the door; And a sound generator provid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generate a sound signal.
  • the sound generator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sound signal informin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microphone starts recording.
  • the sound generator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sound signal indicating that voice recognition has failed.
  • the sound generator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sound signal indicating that voice recognition is completed.
  • the tape may include a first tape provided along a left edge of a surfac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tape provided along a right edge of a surfac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body, wherein the tape through hole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tape. hall; And a tape second through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second tape,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uni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ape first through hole and the tape second through hole.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body is provided as a recess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body,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is fix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panel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trol command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 third mounting groove provided with a groove bent conca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body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ontrol panel is accommodated; And a transparent area provided at the second body and allowing the control panel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r when an error occurs during execution of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wherein the alarm unit comprises the tape first through-hole and the The tap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as a control command.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and the user's voice.
  •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oo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 speech recognition uni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forming an appearance and a first chamber 111 provided in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 a second chamber 112 is formed inside the cabinet to form a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and located below the first chamber.
  • the second chamber 112 is provided with supply parts 4 and 5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moisture and air to the first chamber 111.
  • 2 and 3 are provided with the air supply unit 4 for supplying air to the first chamber 111 and the water supply unit 5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chamber. It is shown as an example.
  • the cabinet 1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abinet body 11 having an inlet 13 at a front surface thereof.
  • the first chamber 111 is fixed to the cabinet body 11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13, and the first chamber 111 and the second chamber 112 are the cabinet body 11.
  • the internal spaces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5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 the cabinet body 11 may be provided with a tank mounting part 114 positioned below the first chamber 111 and in front of the second chamber 112.
  • the tank mounting part 114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11 through the first partition wall 15 and forms a space separated from the second chamber 112 through the second partition wall 17. It may be provided.
  • the first partition wall 15 is provided with a first communication hole 151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152 for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111 and the second chamber 112.
  • the air supply unit 4 includes a circulation duct 41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112, a heat exchanger 43 for sequentially performing dehumidification and heating of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and the heat exchanger 43.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ollecting portion 47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outsi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hamber (112).
  • the circulation duct includes an intake duct 411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1, an exhaust duct 412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2, and a connection duct 414 connecting the intake duct and the exhaust duct.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 the circulation duct is provided with a fan 45 to allow air in the first chamber 111 to sequentially move the intake duct, the connection duct, and the exhaust duct, and FIG. 2 shows that the fan 45
  • FIG. 2 shows that the fan 45
  • the case provided in the connection duct 414 is shown as an example.
  • the heat exchange part 43 may be provided with any device as long as it can dehumidif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duct 411 and heat the dehumidified air, and FIG. 2 shows that the heat exchange part 43 is heated.
  • the case provided with a pump is shown as an example.
  • the heat exchange part 43 of FIG. 2 includes a refrigerant pipe 438 that forms a circulation passage of the refrigerant, a first heat exchanger 431 fixed to the refrigerant pipe, and positioned inside the connection duct 414, and the refrigerant.
  • a second heat exchanger 432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er 431 and the fan 45 and allowing the refrigerant to circulate between the two heat exchangers 431 and 432 along the coolant tube.
  • Compressor 434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pressure regulator 436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 the compressor 434 and the pressure regulator 436 may be located outside the circulation duct 41.
  • the first heat exchanger 431 may be provided as an evaporator to transfer the hea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duct 411 to the refrigerant to cool the air and to evaporate the refrigerant. In this cas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will move along the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431 and collec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duct 414.
  • the second heat exchanger 432 may be provided as a condenser that transfers the heat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434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thereby heating the air and condensing the refrigerant.
  • the water collecting part 47 is provided in the tank mounting part 114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 water collecting tank through hole, a water collecting tank through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water collecting tank 471, an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tank.
  • the first discharge pipe 478a inserted into the hole, the second discharge pipe 478b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431 to the outside of the circulation duct, an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478b.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discharge pump 478 for moving to the first discharge pipe (478a).
  • the collecting tank 471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tank mounting part 114.
  • a check valve 476 may be provided in the collecting tank through hole.
  • the check valve 476 allows the first discharge pipe 478a to be inserted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through hole, but prevents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tank through hole. Therefore, when the collecting tank 471 is fixed to the tank mounting unit 114, the control unit 115 may move the condensed water in the circulation duct to the collecting tank 471 through the discharge pump 478. will be.
  •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rain hole 47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tank.
  • the drainage hole 472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lid 474 detachably provided at the collecting tank.
  • the water supply unit 5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supply heated steam to the first chamber, or may be provided to supply unheated steam (mist, etc.) to the first chamber.
  •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5 is provided to supply steam (steam) generated by heating water to the first chamber.
  • the water supply unit 5 is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112, the steam generator 51 for generating steam, the injection unit for discharging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generator to the first chamber 111 ( 53, and a water supply unit 55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 the steam generator 51 is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112 to provide a storage unit 511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 heater 512 provided to heat water in the storage unit 511. It may include.
  • the storage unit 511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 511a into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a steam outlet 511b for discharging steam inside the storage unit 511.
  • the injection unit 53 may be provided as an injection body fixed to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154 (see FIG. 1)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partition wall 15.
  • the injection body is connected to the steam outlet 511b through a connecting pipe 532, the steam inside the injection body through the injection hole 531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body first chamber 111 Can be moved to
  • the water supply unit 55 includes a supply tank 551 provided in the tank mounting unit 114 and a supply pump 558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supply tank 551 to the storage unit 511. It may be provided.
  • the supply tank 551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tank mounting part 114.
  • the supply tank 551 is provided with a supply tank through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supply tank and a check valve 55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tank through hole
  • the water supply part 55 is the second partition wall.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rst supply pipe 558a penetrating through the 17 and inserted into the supply tank through-hole, and a second supply pipe 558b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511a. In this cas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supply pipe 558a will be moved to the second supply pipe 558b by the supply pump 558.
  • the check valve 556 is provided to open the supply tank through hole only when the first supply pipe 558a is inserted into the supply tank through hole. Therefore, when the supply tank 551 is fixed to the tank mounting unit 114, the control unit 115 may supply water to the storage unit 511 through the supply pump 558.
  • FIG. 551 One surface of the supply tank 551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hole 552, Figure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ater supply hole 55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ly tank.
  • the water supply hole 552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lid 554 detachably provided in the supply tank.
  • control unit 115 provided to control the air supply unit 4 and the moisture supply unit 5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112.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part 6 which can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111 while the clothes are unfolded.
  • the support part 6 is a support bar 65 on which the hook H1 of the hanger H is detachably supported, and a first connection part 61 fixing both ends of the support ratio 65 to the cabinet body 11. And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econd connecting portion (63).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61 is provided to connect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11 and one end of the support bar 65,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63 is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hamber 111. It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surface and the support bar (65).
  • the support bar 65 may be provided with a hanger groove 651 in which a hanger ring H1 is accommodated.
  • the support part 6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part 67 for moving the support bar 65 along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chamber 111.
  • the inlet 13 and the tank mounting portion 114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2). That is, the door 2 is provided in a shape capable of closing both the inlet 13 and the tank mounting portion 114, the first hinge 213 and the second hinge 214 to the cabinet body (11) It can be fixed rotatably.
  • the door 2 has a first body 21 and a first body fixed to the cabinet body 11 through a first hinge 213 and a second hinge 214. It may include a second body 23 is fixed to the 21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
  • First and second grooves 211 and 212 are provid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y 21.
  • the first groove 211 is formed by concave bending the left side of the first body 21
  • the second groove 212 is formed by concave bending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ody 21. Can be.
  • first hinge 213 and the second hinge 214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door 21 (in case of FIG. 4), the user may utilize the first groove 211 as a handle. . On the contrary, if the first hinge 213 and the second hinge 214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door 21, the user may use the second groove 212 as a handle.
  • the first body 21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mounting groove (third mounting groove) to which the control panel 3 is fixed.
  • the third mounting groove 215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irst body 21 is bent concave.
  • the control panel 3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31 for displaying a control command and input units 32, 34, and 36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 the input unit receives a first input unit 32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115 and the supply units 4 and 5, and receives a selection command of a course (process administration) provided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econd input unit 34, and a third input unit 36 for receiving a start or stop command of the selected course.
  • the second body 23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area 231 that exposes the display unit 31 and the input units 32, 34, and 36 to the outside of the door 2.
  • the door 2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unit 7 that recognizes a voice generated by a user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to the controller 115.
  • the voice recognition unit 7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door 2 to form one of an upper surface of the door, a left surface of the door, a right surface of the door, and a lower surface of the door.
  • have.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voice recognition unit 7 is provided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door.
  • the voice recognition unit 7 forms a mounting body 71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door 2 and a receiving chamber 721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body 71. It is fixed to the chamber forming unit 72, the mounting body 71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chamber 721, the microphone 725 for converting the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enetrates the chamber forming unit 72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hole 722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chamber 721. The communication hole 722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holes passing through the chamber forming part 72.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1 may be provided with a recognition unit mounting groove 216 (first mounting groove) to which the mounting body 71 is fixed.
  • the first mounting groove 216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1 is bent concave.
  • the receiving chamber 721 and the communication hole 722 should be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ounting groove 216. This is to allow the voice of the user to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725.
  • fastening ribs 711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unting body 71 to fix the mounting body 71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216.
  • the fastening rib 711 may be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mounting body 71, and the fastening rib 711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passes.
  •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71 is provided with a PCB receiving groove 712 which provides a space for mounting a printed circuit board (PCB) (723,).
  • the PCB receiving groove 712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support 71 is concavely curved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hamber 721.
  • the PCB accommodating groove 712 is provid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ccommodating chamber 721 and positioned below the accommodating chamber 721. Therefore, when the PCB 723 is fixed to the PCB receiving groove 712, the microphone 725 fixed to the PCB 723 may be located in the receiving chamber 721.
  • the voice recognition unit 7 is fixed to the first body 21 and converts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725 into text or code, and converts the converted text or code into the control unit 115. It further includes an analyzer 73 for transmitting.
  • the first body 2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ounting groove 217.
  •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7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irst body 21 is bent concave, and may be positioned above the third mounting groove 215.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und generator 81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3 to generate a sound signal.
  • the sound generator 81 is a means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for notifying the time when the microphone 725 starts recording.
  • FIG. 4 shows that the sound generator 81 is provid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7. The case is shown as an example.
  • the sound generator 81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sound signal indicating that voice recognition has failed when the analyzer 73 fails to convert the user's voice into text or code. Furthermore, the sound generator 81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sound signal indicating that the voice recognition is successful when the analyzer 73 completes converting the voice of the user into a text or a code.
  • the second body 23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21 through tapes 251 and 253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ody 21.
  • the tapes 251 and 253 include tape through holes 252 and 254 for communicating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3 to the outside of the door 2.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to further include. This is to allow the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or 81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2.
  • the tape may include a first tape 251 and a second tape 253 provided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urface of the first body 21 facing the second body 23.
  • the tape through hole is a tape first through hole 252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tape 251, and a tape second through hole 254 provided to penetrate the second tape 253.
  • the sound generating unit 81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tape first through hole 252 and the tape second through hole 254.
  • An alarm unit 83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7.
  • the alarm unit 83 is a means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s 32, 34, 36, or when an error occurs during execution of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 the alarm unit 83 is also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tape first through hole 252 and the tape second through hole 254.
  • the control panel 3, the voice recognition unit 7, the sound generator 81, and the alarm unit 83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5 through wires 91 and 93.
  • the wire is provided with a door wire 91 provided in the door 2 and a control wire 93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5.
  • a first fastening part 917 is provided at a free end of the door wire 91, and a second fasten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917 at a free end of the control wire 93. 931).
  • the door wire 91 includes a panel wire 911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3, a recognition unit wire 912 provided in the PCB 723, and a generator wire 914 provided in the sound generator 81. , And an alarm unit wire 915 provided in the alarm unit 83.
  • the second body 23 may be formed.
  • An area except for the transparent area 231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opaqu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공기와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2바디가 구비된 도어;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성 인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한 장치, 및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탁장치는 의류가 저장된 드럼을 물이 저장된 터브 내부에서 회전시킴으로써(의류와 물을 마찰시킴으로써) 의류에서 오물을 제거하는 장치이고, 건조장치는 의류가 저장된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장치는 수분(스팀, 미스트 등)과 열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류에 공급함으로써, 냄새제거 및 주름제거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에 구비된 컨트롤패널들은 버튼이나 노브(knob) 형태의 입력부,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입력부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술한 형태의 입력부는 사용자가 입력부에 접촉 가능한 거리까지 이동해야만 의류처리장치를 조작 가능했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제어명령으로 인식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에 따라 작동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투입구가 구비된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에 공기와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성 인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면, 상기 도어의 좌측면, 상기 도어의 우측면, 및 상기 도어의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형성하는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에서 돌출된 수용챔버를 형성하는 챔버형성부; 상기 장착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챔버형성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챔버에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공기와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2바디가 구비된 도어;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성 인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면, 상기 도어의 좌측면, 상기 도어의 우측면, 및 상기 도어의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형성하는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에서 돌출된 수용챔버를 형성하는 챔버형성부; 상기 장착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챔버형성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챔버에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장착바디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장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챔버 및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1장착홈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챔버형성부를 관통하는 두 개 이상의 구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전송되는 음성을 텍스트 또는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나 코드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분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바디를 향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고정하는 테이프; 상기 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상기 도어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테이프 관통홀;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어,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발생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이 녹음을 시작하는 시점을 알리는 소리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석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 또는 코드로 변환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운드 발생부는 음성인식에 실패했음을 알리는 소리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석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 또는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완료하면, 상기 사운드 발생부는 음성인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소리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는 상기 제1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바디를 향하는 면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테이프; 및 상기 제1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바디를 향하는 면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제2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관통홀은 상기 제1테이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테이프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테이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테이프 제2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발생부는 상기 테이프 제1관통홀과 상기 테이프 제2관통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사운드 발생부가 고정되는 제2장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가 구비된 컨트롤패널;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장착홈; 및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이 상기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게 하는 투명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 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테이프 제1관통홀과 상기 테이프 제2관통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제어명령으로 인식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에 따라 작동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음성 인식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111)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챔버(112)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111)로 수분과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4, 5)가 구비된다. 도 2와 도 3은 상기 공급부(4, 5)가 상기 제1챔버(111)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 및 상기 제1챔버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5)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전방면에 투입구(13)가 구비된 캐비닛 바디(1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챔버(111)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13)에 연통하며, 상기 제1챔버(111)와 제2챔버(1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격벽(15)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바디(11)에는 상기 제1챔버(111)의 하부 및 상기 제2챔버(112)의 전방에 위치하는 탱크 장착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장착부(114)는 상기 제1격벽(15)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1)와 구분되고, 상기 제2격벽(17)을 통해 상기 제2챔버(112)와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5)에는 상기 제1챔버(111)와 제2챔버(112)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151) 및 제2연통홀(152)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공급부(4)는 상기 제2챔버(112)에 구비된 순환덕트(41),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43), 상기 열교환부(43)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2챔버(112)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수부(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제1연통홀(151)에 연결된 흡기덕트(411), 상기 제2연통홀(152)에 연결된 배기덕트(412), 상기 흡기덕트와 배기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41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에는 상기 제1챔버(111)의 공기가 상기 흡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팬(45)이 구비되는데, 도 2는 상기 팬(45)이 상기 연결덕트(414)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43)는 상기 흡기덕트(411)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43)가 히트펌프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의 열교환부(43)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38),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414) 내부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431),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431)와 상기 팬(45) 사이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432), 상기 냉매관을 따라 냉매가 두 열교환기(431, 432) 사이를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434), 상기 냉매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3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34)와 압력조절기(436)는 상기 순환덕트(4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431)는 상기 흡기덕트(41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하여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제1열교환기(43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결덕트(414)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열교환기(432)는 상기 압축기(434)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47)는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집수탱크(471), 상기 집수탱크(4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집수탱크 관통홀, 상기 집수탱크 관통홀에 삽입된 제1배출관(478a), 상기 제1열교환기(431)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순환덕트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관(478b), 상기 제2배출관(478b)으로 배출된 응축수를 상기 제1배출관(478a)로 이동시키는 배출펌프(47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탱크(471)는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수탱크 관통홀에는 체크밸브(4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476)는 상기 제1배출관(478a)이 상기 집수탱크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은 허용하되, 상기 집수탱크 내부의 물이 상기 집수탱크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탱크(471)가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고정되면, 제어부(115)는 상기 배출펌프(478)를 통해 상기 순환덕트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집수탱크(471)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집수탱크(471)의 일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홀(472)이 구비되는데, 도 2는 상기 배수홀(472)이 집수탱크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수홀(472)은 집수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뚜껑(47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수분공급부(5)는 가열된 수증기를 제1챔버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mist 등)를 제1챔버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수분공급부(5)가 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하는 증기(스팀)를 상기 제1챔버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수분공급부(5)는 상기 제2챔버(112)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51),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챔버(111)로 배출하는 분사부(53), 및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51)는 상기 제2챔버(112)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511), 상기 저장부(511)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된 히터(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11)에는 물이 유입되는 물 공급구(511a) 및 상기 저장부(511) 내부의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배출구(511b)가 구비된다.
상기 분사부(53)는 상기 제1격벽(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3연통홀(154, 도 1 참고)에 고정된 분사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바디는 연결관(532)를 통해 상기 스팀 배출구(511b)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바디 내부의 스팀은 분사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분사구(531)를 통해 제1챔버(11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55)는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구비된 공급탱크(551), 상기 공급탱크(551)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부(511)로 공급하는 공급펌프(55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탱크(551)는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탱크(551)에는 공급탱크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공급탱크 관통홀 및 상기 공급탱크 관통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556)가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부(55)는 상기 제2격벽(17)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탱크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공급관(558a), 및 상기 물 공급구(511a)에 연결된 제2공급관(558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급관(558a)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공급펌프(558)에 의해 상기 제2공급관(558b)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556)는 상기 제1공급관(558a)이 상기 공급탱크 관통홀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공급탱크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탱크(551)가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고정되면, 제어부(115)는 상기 공급펌프(558)를 통해 상기 저장부(5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급탱크(551)의 일면에는 급수홀(552)이 구비되는데, 도 3은 상기 급수홀(552)이 공급탱크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급수홀(552)은 공급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뚜껑(55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4) 및 수분공급부(5)를 제어하도록 구비된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제2챔버(112)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가 펼쳐진 채 상기 제1챔버(111)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부(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6)는 옷걸이(H)의 고리(H1)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바(65), 상기 지지비(65)의 양단을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하는 제1연결부(61) 및 제2연결부(6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61)는 상기 제1챔버(111)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바(65)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63)는 상기 제1챔버(111)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바(65)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65)에는 옷걸이 고리(H1)가 수용되는 옷걸이 홈(6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에는 상기 지지바(65)가 상기 제1챔버(111)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하는 구동부(6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3) 및 탱크 장착부(114)는 도어(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는 상기 투입구(13) 및 탱크 장착부(114)를 모두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1힌지(213) 및 제2힌지(214)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는 제1힌지(213)와 제2힌지(214)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는 제1바디(21), 상기 제1바디(2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2바디(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의 양측면에는 제1홈(211)과 제2홈(212)이 구비된다. 상기 제1홈(211)은 상기 제1바디(21)의 좌측면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2홈(212)은 상기 제1바디(21)의 우측면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213) 및 제2힌지(214)가 상기 제1도어(21)의 우측에 구비될 경우(도 4의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홈(211)을 핸들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힌지(213) 및 제2힌지(214)가 상기 제1도어(21)의 좌측에 구비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2홈(212)을 핸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바디(21)에는 컨트롤패널(3)이 고정되는 컨트롤패널 장착홈(제3장착홈)이 구비된다. 상기 제3장착홈(215)은 상기 제1바디(2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3)은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31) 및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2, 34, 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어부(115) 및 공급부(4, 5)에 전력을 공급하라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1입력부(32),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코스(처리행정)의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34), 및 선택된 코스의 개시명령 또는 중단명령을 입력받는 제3입력부(3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3)에는 상기 표시부(31), 및 상기 입력부(32, 34, 36)를 상기 도어(2)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투명영역(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에는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15)에 전송하는 음성 인식부(7)가 구비된다. 상기 음성 인식부(7)는 상기 도어(2)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면, 상기 도어의 좌측면, 상기 도어의 우측면, 및 상기 도어의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음성 인식부(7)가 상기 도어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인식부(7)는 상기 도어(2)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장착바디(71), 상기 장착바디(71)에서 돌출된 수용챔버(721)를 형성하는 챔버형성부(72), 상기 장착바디(71)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챔버(721)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725), 및 상기 챔버형성부(72)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챔버(721)에 연통하는 연통홀(7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홀(722)은 상기 챔버형성부(72)를 관통하는 두 개 이상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장착바디(71)가 고정되는 인식부 장착홈(216, 제1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홈(216)은 상기 제1바디(21)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챔버(721) 및 상기 연통홀(722)은 는 상기 제1장착홈(216)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마이크로폰(725)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바디(71)의 양단에는 상기 장착바디(71)를 상기 제1장착홈(216)에 고정하는 체결리브(711)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리브(711)는 상기 장착바디(71)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리브(711)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바디(71)의 하부면에는 PCB(723, printed circuit board)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PCB 수용홈(712)이 구비된다. 상기 PCB 수용홈(712)은 상기 장착받(71)의 하부면이 상기 수용챔버(721)가 위치된 상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PCB 수용홈(712)은 상기 수용챔버(721)에 연통하되 상기 수용챔버(7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PCB(723)가 PCB 수용홈(712)에 고정되면, 상기 PCB(723)에 고정된 마이크로폰(725)은 상기 수용챔버(721)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7)는 상기 제1바디(21)에 고정되어 상기 마이크로폰(725)에서 전송되는 음성을 텍스트 또는 코드(code)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나 코드를 상기 제어부(115)에 전송하는 분석기(7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석기(73)의 고정을 위해, 상기 제1바디(21)에는 제2장착홈(2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홈(217)은 상기 제1바디(2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장착홈(21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21)와 상기 제2바디(23) 사이에 구비되어,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발생부(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발생부(81)는 상기 마이크로폰(725)이 녹음을 시작하는 시점을 알리는 소리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도 4는 상기 사운드 발생부(81)가 상기 제2장착홈(217)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사운드 발생부(81)는 상기 분석기(73)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 또는 코드로 변환하지 못한 경우 음성인식에 실패했음을 알리는 소리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운드 발생부(81)는 상기 분석기(73)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 또는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완료하면 음성인식에 성공했음을 알리는 소리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3)는 상기 제1바디(2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테이프(251, 253)를 통해 상기 제1바디(21)의 전방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테이프(251, 253)에는 상기 제1바디(21)와 상기 제2바디(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상기 도어(2)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테이프 관통홀(252, 254)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운드 발생부(81)에서 발생된 소리신호가 상기 도어(2)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테이프 상기 제1바디(2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바디(23)를 향하는 면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 각각에 구비된 제1테이프(251) 및 제2테이프(25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테이프 관통홀은 상기 제1테이프(2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테이프 제1관통홀(252), 및 상기 제2테이프(25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테이프 제2관통홀(254)로 구비되고, 상기 사운드 발생부(81)는 상기 테이프 제1관통홀(252)과 상기 테이프 제2관통홀(254)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장착홈(217)에는 알람부(8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83)는 상기 입력부(32, 34, 36)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 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알람부(83) 역시 상기 테이프 제1관통홀(252)과 상기 테이프 제2관통홀(254)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패널(3), 음성 인식부(7), 사운드 발생부(81) 및 알람부(83)는 와이어(91, 93)를 통해 상기 제어부(115)에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도어(2)에 구비된 도어 와이어(91), 상기 제어부(115)에 연결된 제어부 와이어(93)로 구비된다. 상기 도어 와이어(91)의 자유단에는 제1체결부(917)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 와이어(93)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체결부(91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체결부(931)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와이어(91)는 컨트롤패널(3)에 구비된 패널 와이어(911), PCB(723)에 구비된 인식부 와이어(912), 사운드 발생부(81)에 구비된 발생부 와이어(914), 및 알람부(83)에 구비된 알람부 와이어(915)로 구성된다.
상기 제2장착홈(217)을 비롯한 상기 와이어(91, 93)가 상기 제2바디(23)를 통해 상기 도어(2)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바디(23)는 상기 투명영역(231)을 제외한 영역이 불투명영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공기와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2바디가 구비된 도어;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성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면, 상기 도어의 좌측면, 상기 도어의 우측면, 및 상기 도어의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형성하는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에서 돌출된 수용챔버를 형성하는 챔버형성부;
    상기 장착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챔버형성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챔버에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장착바디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장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챔버 및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1장착홈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두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전송되는 음성을 텍스트 또는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나 코드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분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바디를 향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고정하는 테이프;
    상기 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상기 도어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테이프 관통홀;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어,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발생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이 녹음을 시작하는 시점을 알리는 소리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 또는 코드로 변환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운드 발생부는 음성인식에 실패했음을 알리는 소리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상기 제1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바디를 향하는 면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테이프; 및 상기 제1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바디를 향하는 면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제2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관통홀은 상기 제1테이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테이프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테이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테이프 제2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발생부는 상기 테이프 제1관통홀과 상기 테이프 제2관통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사운드 발생부가 고정되는 제2장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가 구비된 컨트롤패널;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장착홈; 및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이 상기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게 하는 투명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 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테이프 제1관통홀과 상기 테이프 제2관통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19/010754 2018-08-27 2019-08-23 의류처리장치 WO2020045902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4511A KR102583512B1 (ko) 2018-08-27 2019-08-23 의류처리장치
CN201980056692.2A CN112639206A (zh) 2018-08-27 2019-08-23 衣物处理装置
EP19854645.9A EP3845702A4 (en) 2018-08-27 2019-08-23 GARMENT TREATMENT APPARATUS
JP2021510329A JP7167313B2 (ja) 2018-08-27 2019-08-23 衣類処理装置
AU2019333794A AU2019333794B2 (en) 2018-08-27 2019-08-23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US17/270,783 US20210340704A1 (en) 2018-08-27 2019-08-23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22990P 2018-08-27 2018-08-27
US62/722,990 2018-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902A1 true WO2020045902A1 (ko) 2020-03-05

Family

ID=6964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0754 WO2020045902A1 (ko) 2018-08-27 2019-08-2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40704A1 (ko)
EP (1) EP3845702A4 (ko)
JP (1) JP7167313B2 (ko)
KR (1) KR102583512B1 (ko)
CN (1) CN112639206A (ko)
AU (1) AU2019333794B2 (ko)
WO (1) WO202004590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585A (ko) * 2012-12-05 201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20160068938A (ko) * 2013-10-16 2016-06-15 사로니코스 트레이딩 앤드 서비스즈, 유니페쏘알 엘디에이 음성 인식 및 응답 능력이 있는 세탁물 세탁 기계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84454A (ko) * 2016-01-12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137505A (ko) * 2016-06-03 201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01024A (ko) * 2016-06-24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N20010017A1 (it) * 2001-02-23 2002-08-23 Electrolux Professional Spa Apparecchio da cucina e/o domestico
GB0512123D0 (en) * 2005-06-15 2005-07-20 Cassidy Adria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articles
JP4483913B2 (ja) * 2007-09-03 2010-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KR101558505B1 (ko) * 2009-01-16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US9453299B2 (en) * 2010-05-17 2016-09-2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WO2012027072A1 (en) * 2010-08-27 2012-03-01 American Dryer Corporation Laundering systems incorporating visual displays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97108B1 (ko) 2014-12-19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84074B1 (ko) * 2015-09-03 201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센싱 장치
JP6730068B2 (ja) * 2016-01-26 2020-07-2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102606117B1 (ko) * 2016-06-03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01892B1 (ko) * 2017-01-02 202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9135661A1 (en) * 2018-01-08 2019-07-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498007B1 (ko) * 2018-01-08 2023-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 및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585A (ko) * 2012-12-05 201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20160068938A (ko) * 2013-10-16 2016-06-15 사로니코스 트레이딩 앤드 서비스즈, 유니페쏘알 엘디에이 음성 인식 및 응답 능력이 있는 세탁물 세탁 기계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84454A (ko) * 2016-01-12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137505A (ko) * 2016-06-03 201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01024A (ko) * 2016-06-24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512B1 (ko) 2023-09-27
JP2021535781A (ja) 2021-12-23
AU2019333794B2 (en) 2023-03-02
EP3845702A4 (en) 2022-06-08
US20210340704A1 (en) 2021-11-04
CN112639206A (zh) 2021-04-09
JP7167313B2 (ja) 2022-11-08
EP3845702A1 (en) 2021-07-07
AU2019333794A1 (en) 2021-04-15
KR20210025119A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01403A2 (en) Heat pump module and laundry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WO2017030364A1 (ko) 건조기
WO2013085349A1 (en) Filter guide having latch device of filter cover and clothes-drying machine using the same
WO202005061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9135464A1 (ko) 의류 관리기
WO2010085117A2 (ko) 의류처리장치
WO2011149320A2 (ko) 복합세탁장치
WO201608891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6003217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6140484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1125689A1 (ko) 의류 건조기
WO202011686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9393601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7119696A2 (ko) 의류처리장치
WO202004590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0080004A2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1074859A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933473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3054861A1 (ko) 전면 개폐 도어 어셈블리를 구비한 가전제품
WO2011105729A2 (ko) 세탁물 처리장치
WO201614047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4019454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4039096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3163358A1 (ko) 건조 겸용 세탁기
WO2022080649A1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546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004511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1032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546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329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333794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90823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