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80004A2 -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80004A2
WO2010080004A2 PCT/KR2010/000160 KR2010000160W WO2010080004A2 WO 2010080004 A2 WO2010080004 A2 WO 2010080004A2 KR 2010000160 W KR2010000160 W KR 2010000160W WO 2010080004 A2 WO2010080004 A2 WO 201008000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rinsing
condensate
discharged
rin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01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80004A3 (ko
Inventor
손영복
채애경
진용철
엄윤섭
김상훈
예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0729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92717B1/en
Priority to US13/143,793 priority patent/US9194072B2/en
Priority to CN2010800043492A priority patent/CN102308040B/zh
Publication of WO201008000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80004A2/ko
Publication of WO201008000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8000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6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apparatus for dehumidifying air used for drying laundry while flowing a condensation duct using water discarded after rinsing.
  •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processing clothes, including a washing machine, a dryer, a dry washing machine, and the like.
  • the laundry in the drum is lifted and dropped by a lift, while a washing machine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drum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upright.
  • a dryer is a home appliance which usually drys laundry which has been washed with high temperature air.
  • the dryer includes a drum accommodating clothes,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drum, a heating unit for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drum, and a blower unit for sucking or discharging air in the drum.
  • the dryer may be classified into an electric dryer and a gas dryer according to a method of heating air, that is, a heating means.
  • the electric dryer heats air using electric resistance heat
  • the gas dryer heats air using heat generated by combustion of gas.
  • Dividing the dryer into different ways it can be categorized as an exhaust dryer and a condensation (circulating) dryer, in which the air from the drum is exchanged with the clothes and the humid air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dryer. to be.
  • the condensation type dryer is heat exchanged with the clothes in the drum and the humid state is circulated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er, the heat exchange in a separate condenser to make condensate water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 the condensation-type drying method was a method of heat exchange by supplying water (condensed water) for the dehumidification of the humid air flowing out of the drum to flow the condensation duct.
  • water condensed water
  • the condensate after heat exchange in the drying process is immediately discharged and ha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condensate consumed in the drying process is too larg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that can minimize the consumption of condensate used for drying the laundry.
  •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storing the rins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 Condensation duct for condensing and dehumidifying the air inside the drum and supplying air back into the drum, a drain for discharging the rinsing water stored in the tub, and supplying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to the condensation duct as condensate. It provides a laundry machine including a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 the condensed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discharged water.
  • the drai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rain pipe allowing the rinsing water stored in the tub to flow into the storage tank, and a second drain pipe allowing the discharg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have.
  • the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pip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pip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ion duct.
  • the supply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condensation duct so that the condensate flow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condensation duct.
  • the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or to be supplied to the condensation duct through the supply pipe.
  • the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densat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through the condensate supply unit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the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densate discharge tube for allowing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through the condensate supply unit to be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machine comprising at least two rinsing steps, the rinsing water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he rinsing water used in each rinsing step, and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from each rinsing water discharge step are discharged in the final rinsing step.
  •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insing water Condensed water supply step of providing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in the final rinsing step as condensed water for the drying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in the final rinsing step in the determination step,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ep is not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in the final rinsing step,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 rinsing water draining step of discharging the rins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apparatus.
  • the final rinsing water in the determination step may further include a rinsing water storage step is provided before the condensed water supply step to store the rinsing water.
  • the rinsing water storage step may further include a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amount of rinsing water stored in the rinsing water storage step.
  • the measurement step may further include a prediction step for predicting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required in the drying step before or afte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ondensate recovery step of recovering the rinsing water supplied to the condensate.
  • the laundry machi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by using the rinsing water discarded after rinsing as condensate required for the drying step,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undr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minimize the consumption of condensate water required in the drying step. Will be.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roller.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Drying duct 5 Drain: 6 Primary drain: 61
  • Second drain 65 Condensate Supply part: 7 Storage tank: 71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insing water' described below was used to mean water supplied to a washing apparatus for rinsing, and 'discharge water' is used as a concept meaning washing water or rinsing water discharged from a tub.
  • the laundry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forming an appearance, a tub 2 provided in the cabinet, a drum 3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2, and the tub ( 2) a condensation duct 4 coupled to the condensation duct 4, a drying duct 5 connecting the condensation duct 4 and the tub 2, and drains 61 and 65 connected to the tub 2 to discharge the wash water. ), A condensed water supply unit 7 for supplying the discharged water discarded from the tub to the condensation duct 4, a control valve 8 provided in the drainage portion and a pump 9 connected to the condensed water supply unit.
  • the cabinet 1 includes a spring 11 and a damper 13 to form an appearance of a washing apparatus, and the spring 11 and the damper 13 are dispos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ub 2 to be described later.
  • the tub 2 is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abinet 1.
  • the tub (2) is provided in the cabinet (1) to store the water required for washing and rinsing, the air inlet 21 and the dry air inlet to dry air supplied through a dryer to be described later It includes an air outlet 23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rum.
  • the drum (3)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2) is a space in which the laundry is settled,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motor (M).
  • the motor M When the drum 3 is rotated by the motor M, the laundry rises and falls by a certain height by a lifter (not shown) provided in the drum, and the laundry is stored in the tub 2. Friction can occur to remove contaminants from laundry.
  • the condensation duct 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b 2 to dehumidify the humi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rum 3 in a drying process of the laundry.
  • the condensation duct 4 serves to connect the drying duct 5 to be described later after dehumidifying by discharging the humid air, so that the humid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41 and the outlet 43 through which the dehumidified air is discharged.
  • the inlet 41 is connected to an air outlet 23 located in the lower rear of the tub 2, the outlet 4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ying duct 5 to be described later.
  • the through hole 45 is a hole through which the supply pipe 73 of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7 to be described later may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condensation duct 4.
  •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47 is a flow path for allowing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73 to be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ion duct.
  •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47 is preferably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the other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is completed so that the condensed water after the heat exchan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and the other side is a condensat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 47 ').
  •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s 47 and 47 ' may be branched from a single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ensation duct, bu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C (see FIG. 2) to be described later further includes a valve. This would be desirable.
  • the drying duct 5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tub 2 to heat the dehumidified air through the condensation duct 4, and then supplied to the drum through the air inlet 21 of the tub 2 again. It is a constitution.
  • the drying duct 5 may include a fan 51 for blowing air dehumidified in the condensation duct 4 to the tub 2 and a heater 53 for heating the dehumidified air.
  • the drainage part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ub 2 and may include a first drain pipe 61 and a second drain pipe 65 to discharge water stored in the tub 2.
  • the first drain pipe 6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tub is discharged, the second drain pipe 65 is connected to the pump 9, one side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side is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pump 9 can be thrown out of the cabinet. Therefore, the rinsing water stored in the tub 2 is discard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first drain pipe 61 and the second drain pipe 65 through the pump 9 to be described later.
  •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ensate supply unit 7 and a control valve 8 which can supply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rinsing step to the condensation duct 4 in order to minimize the amount of condensate consumed in the drying step. do.
  •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7 is configured to store the rinsing water discarded by the tub 2 and to supply the condensation duct during drying to dehumidify the humid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7 includes a storage tank 71 for storing the discharged water discarded by the tub 2 and a supply pipe 73 for supplying the discharg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71 to the condensation duct 4. do.
  • the storage tank 7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rain pipe 61 and the second drain pipe 65 to store the discharge water to be used as condensate.
  • the first drain pipe and the second drain pipe are formed as one pipe, and the storage tank 71 may be provided in a manner of bypassing one pipe to which the first drain pipe and the second drain pipe are connected. .
  • the supply pipe 73 i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pipe 65,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through-hole 45 of the condensation duct 4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pump 9 to be described later It is a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drain pipe and the condensation duct (4) to use the discharge water as condensate.
  • the control valve 8 is provided in the second drain pipe 65 to selectively open the supply pipe 73 and the second drain pipe 65 by the control unit C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ly pipe 73 is When opened, the discharg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71 is supplied to the condensation duct 4, and the pump 9 to be described later to discharge the discharg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when the second drain pipe is opened. ) Is a configuration that works with.
  •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control valve 8 may be variously adopted as long as the above-described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one valve may be provided at a branch point of the second drain pipe 65 and the supply pipe 73, and a valve may be provided at each of the second drain pipe and the supply pipe.
  • control valve 8 when the control valve 8 is provided in each of the drain pipe 65 and the supply pipe 73, the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drain pipe 65 is opened, the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73 is closed When the discharg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e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drain pipe is closed, if the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is to be opened to the control unit to move the discharge water to the condensation duct.
  • the pump 9 is provided at a position connecting the storage tank 71 and the second drain pipe 65, and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pipe 61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65. I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supplied to the condensation duct through the supply pipe (73).
  • the washing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 control unit (C)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trol valve (8), the pump (9).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roller, hereinafter, the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gure.
  • the control unit (C)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rol valve (8) and the pump (9) by receiving a signal for whether the drying step proceeds or not. Therefore, when there is an input of a signal that the drying step will not proceed, the control valve 8 controls the second drain pipe 65 to open and the supply pipe 73 to close, and then the pump 9 ) To discharge the wash or rinse water in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the control unit stores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in the storage tank 71, and when the start signal of the drying step is input, the control valve 8 supplies the supply pipe 73. Is opened and the second drain pipe is controlled to close, and then the pump 9 is operated to supply the discharg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71 to the condensation duct 4.
  •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utilizes only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rinsing step as condensate.
  • the control unit C controls the control valve 8 and the pump 9 so that the water used in the washing step and the dehydration ste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only the rinsing water used in the rinsing step is used for the condensation duct.
  • the control valve (8) and the pump (9)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with.
  • whether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in the washing step, the rinsing step, and the dehydration step may be determined using a step-by-step termination signal set in the washing apparatus.
  • the rinsing step is a washing device for rinsing the laundry two or more times
  • only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in the final rinsing step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d supplied as condensed water in the drying step.
  • control unit C controls the washing apparatus to calculate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required in the drying step in advance.
  • control unit (C) is provided with data of the drying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and the amount of rinsing water requi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the amount of condensate required for condens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start of washing and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to be discharged in the final rinsing step can be compared in advance. Therefore, if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nal rinsing step is insufficient for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the discharged water supplied to the condensed water in the drying step is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71 through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47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drying step is completed. Can be controlled to cycle until
  • the controller C stores only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in the final rinsing step and supplies the condensed water to the discharged water after the heat exchange is completed.
  •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47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amount of condensate required in the drying step may be estimated from the drying time data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and the amount of condensate that can be supplied per unit time through the supply unit 73.
  • the controller C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signal that a drying step is to be performed. If there is no input of a signal for the progress of the drying step, the control unit C controls the control valve 8 and the pump 9 to drain the discharged water immediately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 the controller C stores the condensed water necessary for the drying process. Therefore, the laundry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rinsing step in the storage tank 71.
  • the controller C waits for the input of the drying step start signal while storing the discharge water to be used as the condensate.
  • the control unit discharges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before the final rinsing step immediately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fter storing only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in the final rinsing step is to wait for the drying step start signal.
  • a drying step is performed.
  • the drying duct 5 is heated in the drum 3 through the air inlet 21 of the tub 2.
  • the dry air supplied into the drum 3 becomes the air in a humid state while drying the dehydrated laundry inside the drum 3 and then through the air outlet 23 of the tub 2. It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41 of the condensation duct (4).
  • control unit C controls the control valve 8 to close the second drain pipe 65 and open the supply pipe 73 when the drying step start signal is input. Thereafter, the controller C operates the pump 9 to control the discharg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71 to be suppli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4 through the supply pipe 73. Therefore, the humi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1 of the condensation duct 4 is dehumidified as it exchanges heat with the discharged water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drying duct 5.
  • the discharged water after the heat exchange may be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71 and recycled as condensed water.
  •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47 ′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4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71, and the discharge water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71 after heat exchange. Will eventually be discharged out of the cabinet by the valve and pump.
  • the supply pipe 73 should be provided to supply condensed wa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of humid air flowing in the condensation duct, which has been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dehumidified air is supplied by the fan 51 to the drying duct 5 via the outlet 43 of the condensation duct 4 and by the heater 53 provided inside the drying duct 5. After being heated again, the air inlet 21 of the tub 2 is supplied again to the inside of the tub 2 to repeat the process of drying the laundry in the drum (3).
  • Figure 3 is a procedure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rinsing water supply step S10 for rinsing the laundry proceeds, and then the first rinsing step S20 and the rinsing water discharge step S30 of the laundry proceed.
  • a determination step S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is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in the final rinsing step is performed.
  • the final rinsing step means a final rinsing step in a laundry machine including two or more rinsing steps.
  • the second rinsing step becomes a final rinsing step.
  • the rinsing water draining step (S50) for discharging the rins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is performed.
  • the next rinsing step, the second rinse water supply step (S60) and the second rinsing step () for the second rins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 the rinsing water discharge step (S30) and the determination step (S40) are continued.
  • the determination step (S40) will be determined as the discharge of the final rinsing water
  • the rinsing water storage step (S41) for storing the rinsing water discharged to the storage tank 71 is performed.
  • control unit (C) After completion of the rinsing water storage step (S41), the control unit (C) sequentially measures the measuring step (S42)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tored rinsing water and the prediction step (S43) for predicting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required in the drying step. Or simultaneously.
  • the condensate supply step S44 of supplying the rins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71 to the condensation duct is followed.
  • a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S45 for comparing the amount of rinsing water measured in the measuring step S42 and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predicted in the predicting step S43 is perform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47 'to condense water into the storage tank 71. To proceed with the condensate recovery step (S46) to recover. Therefore, even when the stored final rinse water does not meet the condensate required in the drying step,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condensate.
  • the condensate recovery step (S46) proceeds to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ying step (S47) continues to proceed to the condensate recovery step (S46) until the end of the drying step, recovery when the drying step is finished.
  • the condensate drainage step (S48)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is in progress.
  • the condensate discharge step S48 may be immediately performed using the condensate discharge pipe 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헹굼 후 배출되어 버려지는 헹굼수를 응축덕트로 공급하여 건조단계에서 응축덕트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헹굼 후 버려지는 물을 이용하여 응축덕트를 유동하면서 세탁물의 건조에 사용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건조 겸용 세탁기 등등을 포함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에는 드럼 내의 세탁물을 리프트로 리프팅시켜 낙하시키면서 비교적 적은 양의 물로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세탁기와 수직으로 설치된 드럼 내에 다량의 세탁수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회전시켜 수류에 의한 마찰로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펄세이터세탁기 내지 직립형 세탁기 등이 있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순환식) 건조기 로 분류할 수 있는데, 배기식 건조기는 드럼에서 의류와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방식이다. 한편,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에서 의류와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응축식 건조방식은 드럼에서 배출되어 응축덕트를 유동하는 다습한 공기의 제습을 위해 물(응축수)을 공급하여 열교환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건조과정에서 열교환을 마친 응축수는 곧바로 배출되어 건조과정에서 소비되는 응축수의 양이 너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응축수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헹굼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응축시켜 제습한 뒤 다시 드럼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응축덕트,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수부, 상기 배수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상기 응축덕트에 응축수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응축수공급부는 상기 배출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가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배수관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배출수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일측이 상기 제2배수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응축덕트에 연결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응축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덕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배출수가 상기 제2배수관을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응축덕트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응축수공급부를 통해 상기 응축덕트 내부로 공급된 응축수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응축수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응축수공급부를 통해 상기 응축덕트 내부로 공급된 응축수가 상기 저장탱크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응축수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2회 이상의 헹굼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각 헹굼단계에서 사용된 헹굼수를 배출하는 헹굼수배출단계, 상기 각 헹굼수배출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가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를 건조단계에 필요한 응축수로 제공하는 응축수공급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세탁장치의 외부로 헹굼수를 배출하는 헹굼수배수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판단단계에서 최종헹굼수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축수공급단계 이전에 구비되어 헹굼수를 저장하는 헹굼수저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헹굼수저장단계에 이어지고, 헹굼수저장단계에서 저장된 헹굼수량을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에 이전 또는 이후에 구비되어 건조단계에서 필요한 응축수량을 예측하는 예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공급단계에 이어서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헹굼수량과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응축수량을 비교하는 비교판단단계, 상기 비교판단단계의 판단결과 필요 응축수량이 저장 헹굼수량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응축수로 공급된 헹굼수를 회수하는 응축수회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헹굼 후 버려지는 헹굼수를 건조단계에 필요한 응축수로 활용함으로써 건조단계에서 필요한 응축수의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세탁장치: 100 캐비닛: 1 스프링: 11
댐퍼: 13 터브: 2 드럼: 3
모터: M 응축덕트: 4 유입구: 41
배출구: 43 통공: 45 응축수배출관: 47, 47'
건조덕트: 5 배수부: 6 제1배수관: 61
제2배수관: 65 응축수공급부: 7 저장탱크: 71
공급관: 73 제어밸브: 8 펌프: 9
제어부: C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헹굼수'는 헹굼을 위해 세탁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의미로 사용되었고, '배출수'는 터브에서 배출된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 상기 터브(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 상기 터브(2)에 결합하는 응축덕트(4), 상기 응축덕트(4)와 상기 터브(2)를 이어주는 건조덕트(5), 상기 터브(2)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부(61, 65), 상기 터브에서 버려지는 배출수를 응축덕트(4)에 공급하는 응축수공급부(7),상기 배수부에 구비되는 제어밸브(8) 및 상기 응축수공급부에 이어지는 펌프(9)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세탁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스프링(11)과 댐퍼(13)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11)과 댐퍼(13)는 후술할 터브(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터브(2)가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터브(2)는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 및 헹굼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건조기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와 상기 건조공기가 드럼을 거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23)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안착되는 공간으로, 모터(M)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드럼(3)이 모터(M)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된 리프터(미도시)에 의해 일정높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한편, 상기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와 마찰이 일어나 세탁물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덕트(4)는 상기 터브(2)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드럼(3)을 거쳐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응축덕트(4)는 다습한 공기를 배출시켜 제습한 뒤 후술할 건조덕트(5)에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되므로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1), 제습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3), 제습을 위한 응축수가 공급되는 통공(45) 및 열교환을 마친 응축수가 배출되는 응축수배출관(47)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41)는 상기 터브(2)의 배면 하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23)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43)는 후술할 건조덕트(5)의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통공(45)은 후술할 응축수공급부(7)의 공급관(73)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으로 응축덕트(4)의 일측에 관통하여 구비되면 충분하다. 상기 응축수배출관(47)은 상기 공급관(73)을 통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응축덕트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이다.
상기 응축수배출관(47)은 일측이 상기 응축덕트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열교환을 마친 응축수는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열교환을 마친 응축수를 후술할 저장탱크(71)로 회수한 뒤 다시 응축덕트(4)로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측을 응축덕트의 저면에 연결하고, 타측은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응축수배출관(47')을 구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응축수배출관들(47, 47')이 응축턱트의 하부에 연결된 하나의 관으로부터 분지되어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이 경우에는 후술할 제어부(C, 도2참고)에 제어되는 밸브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건조덕트(5)는 상기 터브(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덕트(4)를 통해 제습된 공기를 가열한 뒤 다시 상기 터브(2)의 공기유입구(21)를 통해 드럼내부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건조덕트(5)는 응축덕트(4)에서 제습된 공기를 터브(2)로 송풍하는 팬(51), 제습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터브(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2)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제1배수관(61), 제2배수관(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관(61)은 상기 터브(2)의 하부에 연결되어 터브내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구성이고, 상기 제2배수관(65)은 일측이 후술할 펌프(9)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연통되어 펌프(9)를 통해 배출된 물이 캐비닛의 외부로 버려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터브(2)에 저장된 헹굼수는 후술할 펌프(9)를 통해 상기 제1배수관(61)과 제2배수관(65)을 거쳐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버려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세탁장치는 건조단계에서 소비되는 응축수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를 상기 응축덕트(4)로 공급할 수 있는 응축수공급부(7)와 제어밸브(8)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공급부(7)는 상기 터브(2)에서 버려지는 헹굼수를 저장하였다가 건조시 응축덕트에 공급하여 드럼에서 배출된 다습한 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응축수공급부(7)는 상기 터브(2)에서 버려지는 배출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71), 상기 저장탱크(71)에 저장된 배출수를 상기 응축덕트(4)에 공급하는 공급관(73)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71)는 상기 제1배수관(61)과 제2배수관(65) 사이에 구비되어 응축수로 사용될 배출수를 저장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배수관과 제2배수관이 하나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탱크(71)는 제1배수관과 제2배수관이 연결된 하나의 관을 우회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급관(73)은 일측이 상기 제2배수관(65)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응축덕트(4)의 통공(45)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펌프(9)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배출수를 응축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배수관과 응축덕트(4)를 이어주는 유로이다.
상기 제어밸브(8)는 상기 제2배수관(65)에 구비되어 후술할 제어부(C)에 의해 상기 공급관(73)과 상기 제2배수관(65)을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공급관(73)이 개방된 경우 상기 저장탱크(71)에 저장된 배출수가 응축덕트(4)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2배수관이 개방된 경우 상기 배출수가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후술할 펌프(9)와 연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밸브(8)의 구체적 구조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제2배수관(65)과 공급관(73)의 분지점에 하나의 밸브를 구비시킬 수도 있고, 제2배수관과 공급관 각각에 밸브를 구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관(65)과 공급관(73)에 각각 제어밸브(8)를 구비시킬 경우에는 배수관(65)에 구비된 제어밸브가 개방되고, 공급관(73)에 구비된 제어밸브가 폐쇄된 경우에 배출수가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고, 배수관에 구비된 제어밸브는 폐쇄되고, 공급관에 구비된 제어밸브가 개방되면 응축덕트로 배출수가 이동할 수 있게 제어부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펌프(9)는 저장탱크(71)와 제2배수관(65)을 이어주는 위치에 구비되며, 제1배수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제2배수관(65)을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공급관(73)을 통해 응축덕트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상기 제어밸브(8), 펌프(9)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는 제어부의 개념도로, 이하에서는 이를 참고하여 제어부를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C)는 건조단계의 진행여부 및 개시여부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밸브(8) 및 펌프(9)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건조단계가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밸브(8)가 상기 제2배수관(65)은 개방하고 상기 공급관(73)은 폐쇄할 수 있도록 제어한 뒤 상기 펌프(9)를 가동시켜 터브의 내부에 있는 세탁수나 헹굼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건조단계가 진행될 것이라는 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상기 저장탱크(71)에 저장하였다가 건조단계의 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밸브(8)가 공급관(73)은 개방하고 상기 제2배수관은 폐쇄하도록 제어한 뒤 상기 펌프(9)를 가동시켜 상기 저장탱크(71)에 저장된 배출수를 상기 응축덕트(4)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만을 응축수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세탁단계, 탈수단계에서 사용되는 물은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어밸브(8)와 펌프(9)를 제어하고, 헹굼단계에서 사용되는 헹굼수만을 상기 응축덕트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밸브(8)와 펌프(9)를 제어하게 된다. 다만, 세탁단계, 헹굼단계 및 탈수단계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인지 여부는 세탁장치에 기 설정된 단계별 종료신호등을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헹굼단계가 세탁물을 2회 이상 헹굼하는 세탁장치라면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만을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가 건조단계에서 응축수로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응축수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부(C)가 미리 건조단계에서 필요로하는 응축수의 양을 계산할 수 있도록 세탁장치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가 세탁물의 양에 따른 건조시간의 데이터 및 세탁물의 양에 따라 필요한 헹굼수의 양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제공받는다면, 세탁의 시작과 동시에 응축에 요구되는 응축수의 양과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될 배출수의 양을 미리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의 양이 응축수의 양에 부족하다면 건조단계에서 응축수로 공급되는 배출수를 상술한바 있는 응축수배출관(47')을 통해 저장탱크(71)로 회수한 다음 건조단계가 끝날때 까지 순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만으로 응축에 필요한 응축수의 양을 채울수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C)는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만을 저장하였다가 응축수로 공급한 뒤 열교환을 마친 배출수는 응축수배출관(47)을 통해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면 된다.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최종 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인지 여부는 앞서 헹굼단계와 다른 단계와의 구별에서 이용된 것과 같이 각 헹굼단계별 종료신호를 이용하여 판별하는 것이 그 일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조단계에서 필요한 응축수량의 예측방법은 세탁물의 양에 따른 상기 건조시간 데이터와 상기 공급부(73)를 통해 단위 시간당 공급될 수 있는 응축수량으로부터 예측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세탁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C)는 건조단계가 진행될 것이라는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건조단계의 진행여부에 대한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어밸브(8)와 펌프(9)를 제어어하여 배출수를 곧바로 캐비닛(1)의 외부로 배수한다.
그러나 건조단계가 진행될 것이라는 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C)는 건조과정에 필요한 응축수를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를 상기 저장탱크(71)에 저장시킨다.
응축수로 이용될 배출수가 저장되고 나면 상기 제어부(C)는 응축수로 이용될 배출수를 저장한 채 건조단계 개시신호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만약 2회 이상의 헹굼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만을 이용하여 응축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는 최종헹굼단계이전에 배출되는 헹숨수는 캐비닛의 외부로 곧바로 배출시키고,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된 헹굼수 만을 저장한 뒤 상기 건조단계 개시신호를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응축수로 이용될 배출수가 수집되고 나면 건조단계가 진행되는데, 건조단계가 시작되면 상기 건조덕트(5)는 상기 터브(2)의 공기유입구(21)를 통해 상기 드럼(3)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드럼(3)의 내부로 공급된 건조공기는 상기 드럼(3)의 내부에 있는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시키면서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 후 상기 터브(2)의 공기배출구(23)를 통해 상기 응축덕트(4)의 유입구(41)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건조단계 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밸브(8)가 제2배수관(65)은 폐쇄하고 공급관(73)은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C)는 펌프(9)를 가동시켜 상기 저장탱크(71)에 저장된 배출수가 공급관(73)을 통해 상기 응축덕트(4)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덕트(4)의 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다습한 공기가 건조덕트(5)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배출수와 열교환을 하게 되면서 제습되는 것이다.
다습한 공기와 열교환을 마친 배출수는 응축덕트의 하부에 구비된 응축수배출관(47)을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버려진다.
다만, 저장탱크에 저장된 배출수의 양이 건조단계에서 요구되는 응축수의 양보다 적다면 열교환을 마친 배출수를 다시 저장탱크(71)로 회수한 뒤 응축수로 재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응축수배출관(47')은 일측이 상기 응축덕트(4)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저장탱크(71)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열교환을 마치고 저장탱크(71)로 회된 배출수는 밸브 및 펌프에 의해 최종적으로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급관(73)은 응축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다습한 공기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술한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습을 마친 공기는 팬(51)에 의해 상기 응축덕트(4)의 배출구(43)를 거쳐 상기 건조덕트(5)로 공급되며, 건조덕트(5)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뒤 다시 터브(2)의 공기유입구(21)를 거쳐 터브(2)의 내부로 재 공급되어 드럼(3)에 있는 세탁물을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3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고하여 2회의 헹굼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일례로 설명한다.
세탁물의 헹굼을 위한 1차헹굼수급수단계(S10)가 진행되고, 이어서 세탁물의 1차헹굼단계(S20) 및 헹굼수배출단계(S30)가 진행된다. 상기 헹굼수배출단계(S30)가 종료되면 배출되는 헹굼수가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40)가 진행된다. 상기 최종헹굼단계라 함은 2회 이상의 헹굼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마지막 헹굼단계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2회의 헹굼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2차헹굼단계가 최종헹굼단계가 된다.
한편, 상기 판단단계(S40)에서 최종헹굼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헹굼수를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헹굼수배수단계(S50)가 진행된다. 또한 차순위 헹굼단계, 본 실시예의 경우 2차 헹굼을 위한 2차헹굼수급수단계(S60) 및 2차헹굼단계()가 이어진다.
2차헹굼단계()가 종료되면 다시 헹굼수배출단계(S30) 및 판단단계(S40)로 이어진다. 이때 상기 판단단계(S40)에서는 최종헹굼수의 배출로 판단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 저장탱크(71)에 배출된 헹굼수를 저장하는 헹굼수저장단계(S41)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헹굼수저장단계(S41)의 완료후 상기 제어부(C)는 저장된 헹굼수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단계(S42)와 건조단계에서 요구되는 응축수의 양을 예측하는 예측단계(S43)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
헹굼수의 양이 측정되고, 응축수의 양이 예측되고 나면 상기 저장탱크(71)에 저장된 헹굼수를 응축덕트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단계(S44)가 이어진다.
상기 응축수공급단계(S44)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측정단계(S42)에서 측정된 헹굼수량과 예측단계(S43)에서 예측된 응축수량을 비교하는 비교판단단계(S45)가 진행되게 된다.
상기 비교판단단계(S45)에서 측정된 헹굼수량이 예측된 응축수량보다 적다고 판단되게 되면,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응축수배출관(47')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71)로 응축수를 회수하는 응축수회수단계(S46)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된 최종헹굼수만으로 건조단계에서 요구되는 응축수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수회수단계(S46)에 이어 건조단계의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7)를 진행하여 건조단계의 종료전까지 계속해서 응축수회수단계(S46)를 진행하게 되며, 건조단계가 종료되면 회수된 응축수를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배수단계(S48)가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 비교판단단계(S45)에서 측정된 헹굼수량이 예측된 응축수량보다 많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응축수배출관(47)을 이용하여 곧바로 상기 응축수배출단계(S48)를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3)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헹굼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응축시켜 제습한 뒤 다시 드럼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응축덕트;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수부;
    상기 배수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상기 응축덕트에 응축수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공급부는 상기 배출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헹굼수가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배수관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배출수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2배수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응축덕트에 연결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응축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덕트에 연결되는 세탁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배출수가 상기 제2배수관을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응축덕트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공급부를 통해 상기 응축덕트 내부로 공급된 응축수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응축수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공급부를 통해 상기 응축덕트 내부로 공급된 응축수가 상기 저장탱크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응축수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적어도 2회 이상의 헹굼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각 헹굼단계에서 사용된 헹굼수를 배출하는 헹굼수배출단계;
    상기 각 헹굼수배출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가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를 건조단계에 필요한 응축수로 제공하는 응축수공급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최종헹굼단계에서 배출되는 헹굼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세탁장치의 외부로 헹굼수를 배출하는 헹굼수배수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에서 최종헹굼수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축수공급단계 이전에 구비되어 헹굼수를 저장하는 헹굼수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저장단계에 이어지고, 헹굼수저장단계에서 저장된 헹굼수량을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에 이전 또는 이후에 구비되어 건조단계에서 필요한 응축수량을 예측하는 예측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공급단계에 이어서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헹굼수량과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응축수량을 비교하는 비교판단단계;
    상기 비교판단단계의 판단결과 필요 응축수량이 저장 헹굼수량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응축수로 공급된 헹굼수를 회수하는 응축수회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0/000160 2009-01-09 2010-01-11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0080004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729346.6A EP2392717B1 (en) 2009-01-09 2010-01-11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143,793 US9194072B2 (en) 2009-01-09 2010-01-11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0800043492A CN102308040B (zh) 2009-01-09 2010-01-11 洗涤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10 2009-01-09
KR1020090001810A KR101012386B1 (ko) 2009-01-09 2009-01-09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0004A2 true WO2010080004A2 (ko) 2010-07-15
WO2010080004A3 WO2010080004A3 (ko) 2011-09-15

Family

ID=4231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0160 WO2010080004A2 (ko) 2009-01-09 2010-01-11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94072B2 (ko)
EP (1) EP2392717B1 (ko)
KR (1) KR101012386B1 (ko)
CN (2) CN102031659B (ko)
WO (1) WO20100800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8405B (zh) * 2017-09-18 2022-07-12 佛山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干衣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0088847A1 (en) 2018-11-01 2020-05-07 Arcelik Anonim Sirketi A hybrid laundry dryer
KR20210114092A (ko) * 2020-03-09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455608B (zh) * 2020-04-08 2022-07-05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衣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1339C2 (de) * 1974-10-25 1982-02-18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Kombination eines Waschvollautomaten mit einem Kondensationstrockner
DE2556629A1 (de) * 1975-12-16 1977-06-23 Lepper Gmbh Masch App Kuehlwasserspeicher fuer eine wasch- und trockeneinrichtung
IT1263763B (it) * 1993-01-19 1996-08-29 Candy Spa Macchina lavatrice, per biancheria o stoviglie,a parcheggio di liquido
JP3603814B2 (ja) * 2001-06-14 2004-1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乾燥機
JP2002369990A (ja) 2001-06-15 2002-12-24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切れ検出装置
CN1464092A (zh) * 2002-06-11 2003-12-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烘干功能的家电产品以及其控制方法
CN100360732C (zh) * 2002-06-11 2008-01-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烘干功能的家电产品以及其控制方法
EP1524356A1 (en) * 2003-10-18 2005-04-20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EP1524361B1 (en) * 2003-10-18 2006-10-04 Lg Electronics Inc. Condensing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machine
DE60328210D1 (de) * 2003-12-23 2009-08-13 Candy Spa Haushalt-Waschmaschine und Trockner, die miteinander verbunden werden können, entsprechende gemeinsame Installation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zum Waschen und Trocknen
KR100617110B1 (ko) * 2004-04-09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CN1834333A (zh) * 2005-03-17 2006-09-20 海尔集团公司 具高效烘干功能的洗衣机及其烘干方法
KR100964692B1 (ko) * 2007-06-08 2010-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392717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8040B (zh) 2013-08-14
CN102308040A (zh) 2012-01-04
US20110271461A1 (en) 2011-11-10
KR20100082483A (ko) 2010-07-19
WO2010080004A3 (ko) 2011-09-15
US9194072B2 (en) 2015-11-24
CN102031659A (zh) 2011-04-27
CN102031659B (zh) 2012-10-10
EP2392717B1 (en) 2017-05-31
KR101012386B1 (ko) 2011-02-09
EP2392717A4 (en) 2012-11-07
EP2392717A2 (en)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6592A2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WO2017030364A1 (ko) 건조기
WO2013129779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O2011136593A2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WO2015190820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WO2021080218A1 (ko) 일체형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0090472A2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O2011149320A2 (ko) 복합세탁장치
WO2018093201A2 (ko) 의류처리장치
WO2012091380A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0080004A2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9091169A9 (en) Laundry machine having a steam gen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WO2010080005A2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0008162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09148250A2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0024596A2 (ko) 스팀건조기 제어 방법
WO2018217033A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09128603A2 (e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WO2010095866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7126880A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1105729A2 (ko) 세탁물 처리장치
WO2023132452A1 (ko) 세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040491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ing device
WO2016195398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3103237A1 (ko) 세탁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04349.2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293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4379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7293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729346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