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153A -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153A
KR20230024153A KR1020210106322A KR20210106322A KR20230024153A KR 20230024153 A KR20230024153 A KR 20230024153A KR 1020210106322 A KR1020210106322 A KR 1020210106322A KR 20210106322 A KR20210106322 A KR 20210106322A KR 20230024153 A KR20230024153 A KR 2023002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sposed
cavity
unit
accommod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수
이왕림
김장훈
여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4153A/ko
Priority to EP22189742.4A priority patent/EP4134591A1/en
Priority to US17/884,996 priority patent/US20230053034A1/en
Priority to US17/885,390 priority patent/US20230047660A1/en
Priority to EP22189733.3A priority patent/EP4134590A1/en
Publication of KR2023002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8Illumination for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97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vibratory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1/00Manual input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information entered by a user
    • A47L2301/08Other manual inp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가전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제1감지모듈이 제1수용공간의 외측에 배치되게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열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위치에 센서가 배치됨으로써, 센서가 열 영향으로 인해 오동작되거나 파손될 위험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기기{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내부를 보기 위한 투시창이 도어에 마련된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 냉장고, 의류처리장치 등과 같이, 내부공간에 대상물을 수용하면서 도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들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 그리고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에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도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의 도어는 불투명하게 제작된다. 그러므로 도어가 수용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대상물을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은 도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서,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대상물의 확인을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냉장고, 오븐, 건조기와 같은 가전기기의 경우, 도어 개방시 가전기기 내부의 냉기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와 같은 가전기기의 경우, 도어 개방시 세탁수가 밖으로 쏟아질 수 있기 있다. 따라서 세탁 동작 중인 세탁기의 도어는, 세탁 동작 중에 도어 개방이 함부로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오븐, 세탁기, 건조기 등과 같은 일부 가전기기들의 도어에는, 투시창이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도어에 투시창이 장착됨에 따라, 가전기기 내부의 대상물의 상태가 투시창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전기기의 도어에 투시창이 장착되는 경우에도, 가전기기의 주변이 어두운 경우, 또는 야간에는 대상물의 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투시창이 장착된 도어를 구비함은 물론, 대상물이 수용된 내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을 함께 구비하는 가전기기들이 널리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들은, 통상 조명을 켜거나 끄기 위한 조작스위치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조명을 켬으로써, 투시창 너머로 비춰지는 대상물의 상태를 좀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조명을 온/오프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가전기기에 별도로 마련될 경우, 그만큼 가전기기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나치게 많은 개수의 조작스위치가 가전기기에 배치되어 가전기기의 전체적인 미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에 너무 많은 개수의 조작스위치가 배치될 경우, 조작스위치들의 크기가 작아져야만 하거나 조작스위치들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조작스위치의 오조작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너무 많은 개수의 조작스위치들로 인해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조작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지 일일이 기억하기 어렵게 되고, 이는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제대로 이용하기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가전기기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는 조명을 온/오프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를 찾아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즉 가전기기 주변이 어두울 때 더욱 필요한 조명을 가전기기 주변이 어두움으로 인해 사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최근에는, 도어를 가볍게 두드리는 노크 동작만으로 가전기기의 내부를 밝히는 조명을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 가전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는, 도어 개방이나 조작스위치 조작 없이 노크 동작만으로 가전기기 내부에 대한 조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노크 동작으로 가전기기의 내부를 밝히는 조명을 동작시키는 기능(이하, "노크온 기능"이라 한다)을 갖는 가전기기에서는, 도어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램프가 동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전기기에서는, 센서의 설치 위치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가전기기에서는, 노크에 의한 음파가 센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노크가 이루어지는 지점과 센서가 설치된 지점 사이가 단일 매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노크에 의한 음파가 센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음파를 전달하기 위한 매질의 동일성과 연속성이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처럼 노크가 이루어지는 지점과 센서가 설치된 지점 사이가 단일 매질로 연결된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는, 가전기기 내에서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가전기기는, 센서의 설치 위치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안을 수 밖에 없게 된다.
또한 오븐 등과 같은 가전기기의 경우에는, 도어에 의해 폐쇄된 조리실 내부가 가열되는 오븐의 특성 상, 도어와 그 주변에 고온의 열이 전달될 수밖에 없다. 이처럼 고온의 열이 전달된 도어 및 그 주변에 센서가 설치될 경우, 이 센서가 열 영향으로 인해 오동작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노크온 기능을 갖는 가전기기에서는, 노크가 가해지는 위치와 음파센서의 설치위치 간에 매질의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가전기기에서는, 노크에 의한 진동 외에 가전기기 자체의 진동이나 다른 외력에 의한 진동 등 다양한 진동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진동들과 노크에 의한 진동을 구별하지 못하여 노크를 오감지하는 상황이 충분히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크온 기능을 갖는 종래 가전기기에서는 노크가 가해지는 위치와 음파센서의 설치위치 간에 매질의 동일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을 택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전기기에서는 노크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음파센서가 전면패널에 설치된다.
매질의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이종 매질들을 따라 전달되는 음파의 감쇄폭은 매질의 동일성이 유지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따라서 전면패널이 아닌 가전기기의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는, 음파의 세기가 충분히 감쇄된다.
상기 가전기기에 따르면, 이러한 음파의 감쇄폭을 이용하여, 전면패널에 가해지는 노크에 의한 음파와 가전기기 자체의 진동이나 다른 외력에 의한 진동에 의한 음파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노크 입력을 감지하고, 전면패널에서 발생하지 않는 진동은 노크로 인식하지 않음으로써, 냉장고 자체의 진동이나 다른 외력에 의한 진동으로 인한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가전기기에서는, 전면패널에 음파센서를 부착해야만 하므로 센서의 설치위치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에서는 전면패널에서 발생된 노크 신호를 다른 원인에 의한 진동과 구별하기 위해 음파센서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음파센서의 사용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음파센서는, 음파의 세기와 패턴만을 고려하여 노크 입력 여부를 인식하기 때문에, 노크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한 음파에도 노크로 잘못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
음파의 감지는 음파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방향을 고려하지 않으며 이루어지므로, 음파센서는 어느 위치에서 음파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도어에서의 노크에 의해 발생된 음파와 도어가 아닌 위치에서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세기와 패턴이 유사할 경우, 이 두 음파의 구분이 음파센서에 의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즉 도어가 아닌 위치에서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세기와 패턴이 노크와 유사할 경우, 음파센서가 이를 노크로 오감지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오븐 등과 같이 도어 및 그 주변이 고온 상태를 유지하는 가전기기의 경우, 투시창에 전달된 열기에 의해 센서가 오동작하거나 파손될 위험성이 높으므로, 센서를 투시창에 설치하기 어렵다. 그러나 센서를 투시창이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 그만큼 노크 입력 지점과 센서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노크 감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가전기기에서는, 음파센서가 도어에 압착되며 설치되는데, 음파센서가 도어에 압착되는 정도에 따라 음파센서의 감도가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음파센서가 도어에 강하게 압착될수록 음파센서의 감도가 저하되고, 음파센서가 도어에 약하게 압착될수록 음파센서의 감도가 높아지게 된다.
음파센서의 감도가 저하되면 그만큼 노크 감지 성능이 낮아질 수밖에 없게 되고, 음파센서의 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면 이 음파센서가 모터의 진동음 등과 같이 주변의 작은 음파에도 반응하면서 오감지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노이즈 진동의 필터링의 어려움으로 인해 진동센서 대신 음파센서를 가전기기의 노크 감지를 위해 채용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오븐 등과 같은 가전기기에서 고열로 인해 도어에 센서를 부착하기 어려운 경우, 도어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센서가 설치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처럼 노크 입력 지점과 음파센서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음파 전달의 감쇄가 커져 노크 입력에 대한 정확한 감지가 어렵게 되고, 노이즈 신호에 대한 필터링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최근에 출시되는 가전기기에는 사용 편의를 위한 첨단기능이 계속 추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많은 부가기능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들이 도어에 추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설계와 제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그로 인해 새롭게 추가되는 기능을 위한 장치나 소자는 도어 외 다른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특히 도어에 장착된 투시창과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계속 커지는 추세이므로, 첨단기능을 위한 센서, 소자, 모듈 등의 장치들을 추가로 배치하기 위한 여유공간이 도어에 마련되기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도어가 아닌 다른 위치에 해당 장치들을 부착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노크 입력 감지를 위한 센서와 같은 장치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선행문헌1(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8-094416호)에는, 가속도센서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 개시된 가속도센서는, 도어에 더해지는 진동에 의한 도어의 움직임의 가속도의 방향과 크기를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속도센서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에 더해진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도어에 대한 노크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노크를 감지하는 선행문헌3의 식기세척기는, 노크에 의해 발생된 진동과 도어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정확성 높게 구분할 수 있다. 도어에 설치된 가속도센서가 도어에 더해지는 진동에 의한 도어의 움직임의 크기뿐 아니라 가속도의 방향도 함께 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선행문헌1의 식기세척기는, 노크 동작 오감지 가능성을 낮추면서 노크 동작 감지 정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는, 선행문헌1의 식기세척기의 노크 동작 감지 정확성을 높이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고온의 환경에서는, 진동센서나 음파센서 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속도센서가 오작동하거나 가속도센서의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오븐 등과 같이 도어 및 그 주변이 고온 상태를 유지하는 가전기기에는, 선행문헌1에 개시된 가속도센서 역시 적용되기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가속도센서가 도어나 그 주변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면, 가속도센서가 고온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는 있겠으나, 그만큼 노크 입력 지점과 가속도센서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노크 감지 성능이 저하되고, 노이즈 신호에 대한 필터링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게 된다.
선행문헌2(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21125430호)에는, 선행기술1과 같이 가속도센서를 구비하는 가전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2에는, X,Y,Z 축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가 도어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형태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2에서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가 캐비넷의 측면에 배치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2에 따르면, 센서 어셈블리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3축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이 센서 어셈블리는 캐비넷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 어셈블리는, 캐비넷의 하단 후방부, 상단 전방부 및 후방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조작패널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가 캐비닛에 설치될 경우, 센서 어셈블리가 고온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는 있겠으나, 그만큼 노크 입력 지점과 가속도센서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노크 감지 성능이 저하되고, 노이즈 신호에 대한 필터링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게 된다.
선행문헌2에 따르면, 도어가 설치되는 부분과 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부분은 서로 다른 매질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에 가해진 노크에 의한 진동은 물리적으로 각각 연결된 복수의 매질을 통해 센서 어셈블리로 전달될 수 있다. 가전기기를 구성하면서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부품들이 상기 매질이 될 수 있다.
노크에 의해 입력된 진동이 복수의 매질을 통해 전달되었을 때 센서 어셈블리가 감지하는 진동 신호와 노크에 입력된 진동이 단일의 매질을 통해 전달되었을 때 센서 어셈블리가 감지하는 진동 신호는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선행문헌2에서 센서 어셈블리가 도어에 가해진 노크를 제대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노크에 의해 입력된 진동이 거치게 되는 매질의 종류와 가짓수에 따른 진동의 감쇄폭에 대한 정보가 미리 파악되어야 하고, 파악된 정보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의 감지 동작과 관련된 세팅이 다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매질의 종류와 가짓수는, 가전기기의 종류나 규격, 기능이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가전기기의 종류나 규격 등이 달라질 때마다 센서 어셈블리의 감지 동작과 관련된 세팅이 다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즉 선행문헌2에 개시된 가전기기는, 가전기기의 종류나 규격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의 감지 동작과 관련된 세팅을 변경하여야만 하는 한계점을 갖는다.
한편 거실이나 주방에 내장되는 빌트인 타입의 가전기기, 특히 주방에 내장되는 빌트인 타입의 오븐에서는, 가전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빌트인 타입의 오븐은, 통상적으로 주방가구와 벽면 사이 또는 주방가구와 주방가구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전기기의 측면과 주방가구 또는 벽면 사이에는 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될만한 공간이 확보되기 어렵다.
즉 선행문헌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가 가전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는 구조는, 빌트인 타입의 가전기기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또한 선행문헌2에는 복수개의 오븐이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형태의 가전기기에 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된 형태가 개시된다. 그러나 선행문헌2에서는, 하나의 센서 어셈블리로 복수개의 오븐에 대한 조명 제어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노크온 기능에 의한 조명 제어가 각 오븐 별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즉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 한 번 이루어지는 노크 감지에 의해, 복수개의 오븐에 대한 조명 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만 있을 뿐이고, 각 오븐에 개별적인 조명 제어는 이루어지기 어렵다.
즉 선행문헌2는, 복수개의 오븐을 갖는 가전기기에서 노크온 기능에 의한 조명 제어가 각 오븐 별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한편 선행문헌3(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1-0095506호)에는, 복수개의 수용공간과 이들을 각각 개폐하는 복수개의 도어를 갖는 가전기기에 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3에서는, 복수개의 센서 어셈블리가 도어 또는 수용공간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센서 어셈블리가 가전기기의 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가전기기는, 이와 같이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 어셈블리에서 각각 감지된 진동의 세기를 확인하여 어느 도어에서 노크가 가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판단 결과에 의해, 가전기기는 노크가 가해진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된 램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3에서는, 상하로 배치된 도어들 사이에 흡진 부재가 배치되고, 이처럼 도어들 중간에 배치된 흡진 부재에 의해 진동이 감쇄될 수 있다. 즉 상부에 배치된 도어에 대한 노크로 인한 진동은 하부에 배치된 센서 어셈블리로 전달될 때 흡진 부재에 의해 감쇄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선행문헌3에 개시된 가전기기도, 가전기기의 종류나 규격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의 감지 동작과 관련된 세팅을 변경하여야만 하는 한계점을 똑같이 갖는다.
더욱이 선행문헌3에서는, 복수개의 센서 어셈블리가 서로 다른 지점에 설치되는데다가, 복수개의 센서 어셈블리에서 각각 감지된 진동의 세기를 확인하여 어느 도어에서 노크가 가해졌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는 만큼, 상기 세팅에 높은 정확성이 요구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선행문헌3에 개시된 가전기기는, 선행문헌2와 마찬가지로, 가전기기의 종류나 규격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의 감지 동작과 관련된 세팅을 변경하여야만 하는 한계점을 가질 뿐 아니라, 상기 세팅에 높은 정확성이 요구됨으로 인해 노크온 기능 구현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선행문헌1 :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8-094416호 선행문헌2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1876호 선행문헌3 :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21125430호
본 발명은 오븐 등과 같이 고열로 인해 도어에 센서를 부착하기 어려운 가전기기에서도 노크 입력이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크 입력 감지를 위한 센서가 고온의 환경을 피하기 위해 도어와 먼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도 노크 입력이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에 미치는 열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센서의 감지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전기기 내부에 설치된 전장부품들에 영향을 받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노크 입력 감지를 위한 구조물이 가전기기에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모듈로 노크 입력 감지와 도어 폐쇄 여부를 함께 감지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 및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노크 입력 감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램프가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수용공간이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각각의 도어가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가전기기에서 노크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램프가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수용공간이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각각의 도어가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가전기기에서 복수의 수용공간의 램프가 동시에 온/오프되는 오동작 없이 각각의 수용공간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가전기기는, 본체의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제1감지모듈이 제1수용공간의 외측에 배치되게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모듈이 캐비티의 상부 모서리측에 배치되고, 센서모듈의 센서는 캐비티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노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모듈 및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감지모듈이 제1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게 본체에 설치되고, 제1감지모듈과 제2감지모듈이 제1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열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위치에 센서가 배치됨으로써, 센서가 열 영향으로 인해 오동작되거나 파손될 위험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입력스위치가 본체의 전방에서 노크의 입력을 전달받고, 전달부재가 입력스위치와 연결된 전달부재가 노크에 의한 진동을 본체의 후방에 배치된 센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오븐 등과 같이 고열로 인해 도어에 센서를 부착하기 어려운 가전기기에서도 노크 입력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와 인접하게 배치된 입력스위치와 센서 사이를 전달부재가 연결하고,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도어의 진동이 전달부재를 통해 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 및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노크 입력 감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함께 갖는 가전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입력스위치가 전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고, 전달부재는 입력스위치와 센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도어 개폐 유무에 따라 전기적 방식으로 센서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전선 또는 로드 형태의 전달부재 등을 통해 노크 입력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크 입력 감지와 도어 폐쇄 여부 감지를 함께 수행하는 가전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전기기는: 전방이 개방된 제1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전방에 배치되며, 하단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를 조명하는 램프와; 상기 도어에 입력되는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며,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지모듈; 및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상기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공간은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 내측 및 상하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감지모듈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외측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에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감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감지모듈과 상기 제2감지모듈은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감지모듈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2감지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도어 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감지모듈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감지모듈과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감지모듈은, 상기 도어의 진동을 전달받는 입력스위치와; 상기 입력스위치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1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및 상기 입력스위치에 입력된 진동을 상기 센서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입력스위치와 상기 센서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을 폐쇄한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면을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수용공간을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상기 전면패널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입력스위치는 상기 개구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캐비티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의 전방 경계면을 규정하고, 상기 입력스위치는, 상기 입력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입력스위치와 상기 센서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장부품들이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상기 캐비티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 사이의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장부품들을 지지하는 전장서포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상기 전장서포터의 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모듈은 상기 캐비티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에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히터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히터수용부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히터수용부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상기 캐비티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히터수용부 사이의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팬은,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후방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서, 상기 팬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센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서, 상기 센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분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입력스위치와 상기 센서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전면패널을 통과하여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기구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중심에서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스위치는,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흡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물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물탱크가 상기 전면패널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개방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중심에서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타측 단부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감지모듈은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타측 단부와 상기 개방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제1유닛 및 제2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와 상기 램프와 상기 제1감지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닛에 구비되는 상기 제1감지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유닛에 구비되는 상기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유닛에 구비되는 상기 제1감지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유닛에 구비되는 상기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유닛의 상기 캐비티와 상기 제2유닛의 상기 캐비티 사이에 상기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2유닛의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제1유닛의 캐비티의 하부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유닛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열부, 및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히터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수용부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상기 캐비티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히터수용부 사이의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전기기에 따르면, 열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위치에 센서가 배치됨으로써, 센서가 열 영향으로 인해 오동작되거나 파손될 위험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센서에 미치는 열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센서의 감지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븐 등과 같이 고열로 인해 도어에 센서를 부착하기 어려운 가전기기에서도 노크 입력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센서에 미치는 열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센서의 감지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전기기 내부에 설치된 전장부품들에 영향을 받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노크 입력 감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와 인접하게 배치된 입력스위치와 센서 사이를 전달부재가 연결하고,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도어의 진동이 전달부재를 통해 센서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 및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노크 입력 감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유무에 따라 전기적 방식으로 센서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전선 또는 로드 형태의 전달부재 등을 통해 노크 입력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크 입력 감지와 도어 폐쇄 여부 감지가 함께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상, 하부로 적층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에서 사용자가 노크 동작이 이루어지는 노크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 위치를 구분함에 따라 복수의 수용공간 가운데 사용자가 선택한 수용공간 내부의 램프만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램프가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수용공간이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각각의 도어가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가전기기에서 복수의 수용공간의 램프가 동시에 온/오프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도어 제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전기기에서 전장측면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상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모듈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감지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1감지모듈에 구비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ⅩⅡ"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입력스위치가 눌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서포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서포터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서포터와 서포터 홀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어셈블리의 설치 전 상태인 캐비티 배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캐비티의 배후에 서포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서포터의 자세가 전달부재에 의해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5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서포터 홀더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서포터의 자세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7은 도어 열림 상태에서의 제1감지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어가 닫히면서 전달부재가 서포터에 접촉되기 시작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어 닫힘 상태에서의 제1감지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은 노크 동작시의 제1감지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도어 제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순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의 한 축의 방향과 노크에 의한 진동 방향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각 유닛에 발생한 진동감지신호를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가전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가전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가전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전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가전기기의 도어 앞에서 가전기기를 바라볼 때 가전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가전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도어 제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전기기에서 전장측면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상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상부에 배치된 제1유닛(1)과 하부에 배치된 제2유닛(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전기기가 조리기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과 같이 조리기기가 아닌 다른 가전기기들이 본 발명의 가전기기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전기기가 조리기기인 경우가 예시되되, 제1유닛(1)과 제2유닛(2) 모두가 전기 오븐 등과 같은 밀폐형 조리기기인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부에 배치되는 제1유닛(1)이 전기 오븐이고 하부에 배치되는 제2유닛(2)이 가스 오븐인 형태로 조리기기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반대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1유닛(1)이 가스 오븐이고 하부에 배치되는 제2유닛(2)이 전기 오븐인 형태로 조리기기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레인지와 같이 오븐이 아닌 다른 형태의 밀폐형 조리기기가 제1유닛(1) 또는 제2유닛(2)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쿡탑, 홉, 그리들 등과 같은 개방형 조리기기가 제1유닛(1)으로 적용되어 제2유닛(2)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제1유닛(1)과 제2유닛(2) 모두가 전기 오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되, 제1유닛(1)의 구성을 기준으로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유닛(1)은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티(11), 및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이 형성되며, 전면패널(12)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전기기가 조리기기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제1수용공간은, 음식물을 요리하는데 필요한 조리실(15)일 수 있다. 이하, 제1수용공간이 조리실(15)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가전기기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조리실(15)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5)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기기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15)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의 일례로서, 조리실(15)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18)가 상기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1)의 상측에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15)의 하측에도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0)에는, 램프(70)가 마련될 수 있다. 램프(70)는, 제1수용공간, 즉 조리실(15)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램프(70)는, 캐비티(11)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70)가 캐비티(11)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6)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16)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15)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6)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6)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6)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핸들(17)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16)에는 투시창(16a)이 마련될 수 있다. 투시창(16a)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투시창(16a)이 적용되는 가전기기에 따라, 투시창(16a)이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투시창(16a)에 방수, 방열 등의 기능도 필요할 수도 있다.
가전기기의 전면 상부, 즉 캐비티(11)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2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은, 가전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20)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가전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부(21) 및 가전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입력부(21)와 디스플레이(22)는 하나의 패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21)와 디스플레이(2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가전기기의 구동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에는, 복수의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에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조리실(15)에 설치된 램프(70)의 온/오프가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노크온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는, 램프(70)를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램프 버튼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가전기기가 오븐인 경우, 디스플레이부에는 조리실(15)의 셀프클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셀프클린 버튼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캐비티(11)의 외부, 좀 더 구체적으로 캐비티(11)의 상부에는, 제2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은 제1유닛(1)에 구비된 캐비티(11)의 상부와 제2유닛(2)에 구비된 캐비티(11)의 상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2유닛(2)에 마련된 제2수용공간은, 제2유닛(2)의 캐비티(11)와 제1유닛(1)의 캐비티(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제1유닛(1)에 마련된 제2수용공간은, 제1유닛(1)에 구비된 캐비티(11)의 상부에 마련되는 공간이다. 이처럼 제1유닛(1)에 마련된 제2수용공간은, 가전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장부품들의 설치를 위한 전장실(15)로 사용될 수 있다.
종합하면, 제1유닛(1)과 제2유닛(2) 사이, 그리고 제1유닛(1)의 상부에는 제2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이 중 제1유닛(1)의 상부에 형성된 제2수용공간은 전장실(15)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장실(15)은, 캐비티(11)의 상부 및 컨트롤패널(20)의 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15)의 내부에는, 전장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15)의 전면은, 전면패널(1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전면패널(12)은, 캐비티(11)와 도어(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패널(12)은, 적어도 일부분이 전장실(15)의 전방을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실(15)의 상부에 배치된 전면패널(12)의 상부 영역이 전장실(15)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패널(12)은, 캐비티(11)의 상부로 돌출되어 제2수용공간의 전방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즉 제2유닛(2)에 구비된 전면패널(12)은 제1유닛(1)과 제2유닛(2) 사이에 형성된 제2수용공간을 전방에서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닛(1)에 구비된 전면패널(12)은, 캐비티(11)의 상부에서 전장실(15)의 전방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전면패널(12)에는, 흡기구(13)가 마련될 수 있다. 흡기구(13)는, 전면패널(12)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기구(13)는, 외부 공기가 전면패널(12)을 통과하여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전면패널(12)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제1유닛(1)에 구비된 전면패널(12)에서는, 전장실(15)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15)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가 흡기구(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13)는, 전면패널(12)의 좌우방향 중심에서 전면패널(12)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흡기구(13)는 전면패널(12)의 좌우방향 중심과 전면패널(12)의 우측 사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 내부의 구조]
전장실(15)의 전방 경계면은, 전면패널(1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15)의 상부, 측부, 배후 경계면은, 전장실(15)을 상부에서 덮는 전장실커버(25)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실(15)의 하부 경계면은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캐비티(11)의 상부면은 제1영역(11a)과 제2영역(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영역(11a)은 캐비티(11)의 상부면 중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부분에 해당되며, 제2영역(11b)은 제1영역(11a)을 둘러싸는 주변부에 해당된다. 제1영역(11a)은 제2영역(11b)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의 제1영역(11a)과 하부의 제2영역(11b)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15)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전장실(15) 내부에는 회로기판(31)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31)에는, 컨트롤패널(20)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가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회로기판(31)은, 전장서포터(35)를 통해 캐비티(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장서포터(35)는, 회로기판(31)을 캐비티(11)로부터 이격시키며 회로기판(31)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장서포터(35)는 캐비티(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회로기판(31)은 캐비티(11)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장서포터(35)에 결합됨으로써 캐비티(1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장서포터(35)는, 지지플레이트(36)와 에어가이드(37) 및 후방플레이트(3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36)는, 캐비티(11)의 상부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36)는, 캐비티(11)의 상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장서포터(35)의 상부면은, 지지플레이트(36)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즉 지지플레이트(36)는, 전장서포터(35)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기판(31)은 지지플레이트(36)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회로기판(31)은 기판케이스(33)에 수용될 수 있으며, 기판케이스(33)는 지지플레이트(36)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플레이트(36)와 결합될 수 있다.
기판케이스(33)에는, 복수개의 체결돌기(34)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돌기(34)는, 기판케이스(33)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각각의 체결돌기(34)가 지지플레이트(36)와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돌기(34)와 지지플레이트(36)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기판케이스(33)와 지지플레이트(36)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판케이스(33)는 지지플레이트(36)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회로기판(31)은 이러한 기판케이스(33)에 수용됨으로써, 회로기판(31)이 지지플레이트(36)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7)는, 지지플레이트(36)의 하부, 즉 캐비티(11)의 상부면과 지지플레이트(3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37)는, 회로기판(3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7)는, 캐비티(11)의 측면(11c)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전장서포터(35)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36)는 회로기판(31)보다 전후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7)는, 지지플레이트(36)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7)는, 캐비티(11)의 상부면 및 지지플레이트(36)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가이드(37)의 하단과 상단에는, 하단결합면(37a)과 상단결합면(37b)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하단결합면(37a)은, 에어가이드(37)의 하단에 배치되며, 캐비티(11)의 상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단결합면(37b)은, 에어가이드(37)의 상단에 배치되며, 지지플레이트(36)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단결합면(37a)과 상단결합면(37b)은 에어가이드(37)의 상측 일부분과 하측 일부분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결합면(37a)은, 캐비티(11)의 상부면과 맞대어진 상태에서 캐비티(11)의 상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단결합면(37b)은, 지지플레이트(36)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과 맞대어진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36)와 결합될 수 있다. 하단결합면(37a)과 캐비티(11) 간의 결합, 그리고 상단결합면(37b)과 지지플레이트(36) 간의 결합은,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체결돌기(34)와 지지플레이트(36)와 상단결합면(37b)이 상하방향으로 겹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체결돌기(34)와 지지플레이트(36)와 상단결합면(37b)이 단 번에 체결되는 형태로 캐비티(11)와 에어가이드(37)와 지지플레이트(36)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캐비티(11)와 에어가이드(37)와 지지플레이트(36) 간의 결합에 의해, 지지플레이트(36)는 대략 에어가이드(37)의 높이만큼 캐비티(11)의 상부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36)에 의해 지지되는 회로기판(31)도, 캐비티(11)의 상부면과 대략 에어가이드(37)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플레이트(36)는, 그 전방에 위치한 전면패널(12)과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면패널(12)의 상단 일부분이 절곡되어 지지플레이트(36)와 나란한 결합면을 형성하고, 지지플레이트(36)의 일부분이 전면패널(12) 측으로 돌출되어 전면패널(12)의 결합면과 결합될 수 있다.
후방플레이트(38)는, 에어가이드(37)와 마찬가지로 지지플레이트(36)의 하부, 즉 캐비티(11)의 상부면과 지지플레이트(3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37)는, 회로기판(31)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플레이트(38)는, 캐비티(11)의 배면(11d)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전장서포터(35)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플레이트(38)는, 후술할 팬(40)과 회로기판(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플레이트(38)는, 팬(40)과 회로기판(31)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37)가 캐비티(11) 상부면의 제1영역(11a)에 안착되는 것과 달리, 후방플레이트(38)는 캐비티(11) 상부면의 제2영역(11b)에 안착될 수 있다. 즉 후방플레이트(38)는 에어가이드(37)보다 좀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러한 후방플레이트(38)는 에어가이드(37) 밑 회로기판(31)보다 상부로 더 높게 돌출될 수 있다. 후방플레이트(38)는, 에어가이드(37)와 지지플레이트(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회로기판(31)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캐비티(11)의 상부면과 지지플레이트(36) 사이에는, 냉기유로(50)가 형성될 수 있다. 냉기유로(50)는, 캐비티(11)의 상부면과 지지플레이트(36)와 에어가이드(37)로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냉기유로(50)의 전방은 전면패널(12)에 의해 가로막히며, 냉기유로(50)의 후방은 후방플레이트(38)에 의해 가로막힌다.
즉 냉기유로(50)의 상부면은 지지플레이트(36)에 의해 규정되고, 냉기유로(50)의 측면은 에어가이드(37)에 의해 규정되며, 냉기유로(50)의 전면과 배면은 전면패널(12)과 후방플레이트(38)에 의해 각각 규정될 수 있다.
냉기유로(50)는, 전면패널(12)에 형성된 흡기구(13)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흡기구(13)는, 가전기기 외부의 공기가 냉기유로(5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전면패널(12)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방플레이트(38)에는, 배기구(39)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냉기유로는 상기 배기구(39)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배기구(39)는 냉기유로(50) 내부의 공기가 후방플레이트(38)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후방플레이트(38) 상에 형성할 수 있다.
팬(40)은, 전장실(15)에 배치되되, 캐비티(11)의 후면에 인접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팬(40)은,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터보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팬(40)은, 전장실(15)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조리실(15)의 후방 공간으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방 하부에는, 조리실(15)의 후방 공간과 연통하며 전방으로 개방된 하부 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팬(40)이 구동되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있던 외부 공기가 도어(16)의 하부에 마련된 공기유동구멍을 통해 도어(16)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조리실(15)로부터 도어(16)로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된 도어(16)가 냉각될 수 있다.
도어(16)의 내부에서 상승한 공기는, 도어(16)의 상부에 마련된 공기유동구멍 및 전면패널(12)에 관통되게 형성된 흡기구(13)를 통해 전장실(15)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전장실(15)로 유입된 공기는 팬(40) 측으로 흡입되면서 전장실(15)에 배치된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키고, 조리실(15)의 후방 공간으로 토출된 후, 본체(10)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흡기구(13)를 통해 전장실(15)로 유입된 공기, 즉 냉기 중 대부분은, 냉기유로(5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냉기의 흐름은, 냉기유로(50)의 측면에 배치된 에어가이드(37)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냉기유로(50)로 유입된 냉기는, 전장서포터(35)에 의해 지지된 회로기판(31)과 같은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배기구(39)를 통해 냉기유로(50)를 빠져 나와 팬(40)에 흡입될 수 있다.
냉기유로(50)와 팬(40) 사이는 후방플레이트(38)에 의해 막혀 있고, 배기구(39)가 배치된 부분에만 냉기유로(50)와 팬(40) 사이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기유로(50)로 유입된 냉기는, 냉기유로(50)를 곧바로 빠져나가지 않고 냉기유로(50) 내부에 어느 정도 체류하면서 회로기판(31) 등을 냉각시킨 후, 배기구(39)를 통해 냉기유로(5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의 구조]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전기기는 스팀공급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6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실(15)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공급장치(60)는, 스팀공급부(30) 및 물탱크(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공급부(61)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으며, 물저장조(62) 및 스팀히터(63)를 포함할 수 있다. 물저장조(62)는, 물탱크(30)로부터 연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팀히터(63)는, 물저장조(62)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60)는 스팀노즐(6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노즐(69)은, 스팀공급부(61)에서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15) 내부에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팀노즐(69)은, 조리실(15)의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물탱크(65)는, 스팀공급부(61)에 필요한 물을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물탱크(65)는, 제2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탱크(65)가 제1유닛(1)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물탱크(65)는 전장실(30)에 배치될 수 있다. 물탱크(65)는, 전장실(30)의 내부에서 전면패널(12)을 통과하여 가전기기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패널(12)에는, 물탱크(65)가 전면패널(12)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전면패널(12) 상에 제공하는 개방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부(14)는 전면패널(12)의 좌우방향 중심에서 전면패널(12)의 좌우방향 타측 단부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흡기구(13)는 전면패널(12) 우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개방부(14)는 전면패널(12)의 좌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물탱크(65)는 개방부(14)를 통해 가전기기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물탱크(65)가 인출된 상태에서 물탱크(65)에 대한 물 보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감지모듈과 제2감지모듈 및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
본 실시예의 가전기기는, 제1감지모듈(100)과 제2감지모듈(8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지모듈(100)은, 도어(16)에 입력되는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감지모듈(100)은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제1신호를 출력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제1감지모듈(100)은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감지모듈(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본체(10)로부터 도어(16)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감지모듈(100) 중 일부분이 전면패널(12)에 설치되되, 전면패널(12)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감지모듈(100)은,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110)는, 가전기기에 가해진 노크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10)는 매질에 의해 전파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110)는, 노크에 의해 도어(16)에 발생된 진동이 매질을 통해 센서(110)로 전달되면 이러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노크에 의한 진동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도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센서(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노크에 의한 진동을 특별히 구별하여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센서(11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에 의한 진동과 그 외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10)는 노크에 의한 진동에서 나타나는 특정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사용자의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2감지모듈(80)은, 도어(16)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감지모듈(80)은, 본체(10)와 도어(16) 사이에서 도어(16)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감지모듈(80)은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감지모듈(80)의 적어도 일부분은, 본체(10)로부터 도어(16)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감지모듈(80) 중 일부분이 전면패널(12)에 설치되되, 전면패널(12)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감지모듈(100)은 제1수용공간, 즉 조리실(15)의 상부 및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감지모듈도 제1수용공간의 상부 및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감지모듈(80)은, 제1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1감지모듈(100)과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감지모듈(100)과 제2감지모듈(80)이 조리실(1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감지모듈(100)은 전면패널(12)의 우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제2감지모듈(80)은 좌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감지모듈(80)은 택트스위치(Tact switch)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감지모듈(80)은, 도어(16) 폐쇄시 도어(16)에 의해 눌려 온되고, 도어(16) 개방시 오프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어(16)에 의해 눌려 온된 제2감지모듈(80)은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2신호에 출력되었을 때 실행되기로 정해진 구성들의 동작들이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00)는 컨트롤패널(20)의 디스플레이부, 입력부(21) 등을 통해 입력된 조작신호를 기초로 가열부와 램프(70), 팬(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전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2)의 동작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200)는 회로기판(31)에 실장된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1감지모듈의 개략적인 구조 및 센서의 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모듈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감지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1감지모듈에 구비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감지모듈(100)은 입력스위치(120)와 전달부재(130)와 센서(110) 및 서포트 어셈블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스위치(120)는, 도어(16)의 진동을 전달받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스위치(120)는, 제1감지모듈(100)의 최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스위치(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캐비티(11)와 도어(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스위치(120)가 전면패널(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입력스위치(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면패널(12)에 의해 지지되며 전면패널(12)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입력스위치(120)는, 입력스위치(1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전면패널(12)과 도어(16)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면패널(12)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패널(12)에는 조리실(15)을 전면패널(12)의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입력스위치(120)는 개구부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입력스위치(120)의 좌우방향 위치는, 개구부의 좌우방향 단부와 근접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12)에는 흡기구(13) 및 개방부(14)가 마련될 수 있으며, 흡기구(13)는 전면패널(12)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스위치(120)는, 전면패널(12)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흡기구(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입력스위치(120)는 흡기구(13)보다 좌우방향 일측으로 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이러한 입력스위치(120)를 구비하는 제1감지모듈(100)은 가전기기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재(130)는, 입력스위치에 전달된 진동을 센서(110)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10)는 캐비티(11)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달부재(130)는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30)는,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된 입력스위치(120)와 캐비티(11)의 후방에 배치된 센서(1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예컨대, 전달부재(1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느다란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부재(130)의 전방측 단부는 입력스위치(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달부재(130)의 후방측 단부는 센서(110)가 설치된 서포트 어셈블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30)는,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며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스위치(120)가 제1수용공간의 상부 및 제2수용공간의 전방에 배치되고 센서(110)가 제2수용공간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연결하는 센서(110)는,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1유닛(1)에서는 제2수용공간이 전장실(15)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닛(1)에 구비되는 전달부재(130)는, 제어부(200)와 연결된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전장실(30)을 통과하며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전달부재(130)는, 도어(16) 및 입력스위치(120)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을 센서(11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매질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부재(130)는 로드(Rod)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달부재(130)는 진동 감쇠가 발생되지 않는 강체(Rigid body)로 형성된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티(11) 및 제1수용공간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10)는,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감지신호를 기초로 노크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10)는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진동감지신호가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노크에 의한 진동은, 3축 방향 중 제1축 방향으로만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노크에 의한 진동은 x축, y축, z축 중 어느 한 축의 방향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의 판단을 위해서는 감지된 진동감지신호가 어느 방향의 진동에 의한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센서(110)는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과 실제 감지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을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로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이하, "기설정노크신호"이라 한다)의 패턴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센서(110)는, 실제 감지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과 기설정노크신호의 패턴을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로 노크에 의한 진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110)는, 모든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센서(110)는 복수의 축을 갖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센서(110)는, 복수의 축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센서(110)는, 3축 방향으로 전달된 진동을 감지하고, 이들 3축 방향의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노크에 대응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10)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축센서모듈(111) 및 센서마이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3축센서모듈(111)은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동시에 감지하는 하나의 3축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3축 가속도센서는 1개의 센서로 가속도의 3축 성분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3축 가속도센서는,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에 대하여 진동에 의한 매질의 미세한 움직임 변화(가속도)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때 3축 가속도센서는, 3축 방향 중 어느 한 축의 방향이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축 가속도센서가 이와 같이 설치됨으로써, 노크 진동에 대한 센서(110)의 감지 정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3축센서모듈(111)은 3개의 독립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3축센서모듈(111)은 4개 이상의 독립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가속도센서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센서(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진동 감지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가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센서는, 그 가속도센서의 진동 감지가 이루어지는 축의 방향이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노크에 의한 진동과 3축 중 어느 한 축의 방향 간의 얼라이먼트(alignment)가 맞추어지면, 노크 진동에 대한 센서(110)의 감지 정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1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1축 가속도센서, 2축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는 2축 가속도센서가 센서(11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어에 인가된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가속도센서의 축방향이 일치되도록 센서(110)의 설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아울러 센서(110)는, 필터부(1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110)에서 감지되는 진동감지신호에는, 노크 입력으로 인한 진동감지신호 이외에도 불필요한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필터부(115)는,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증폭부(11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필터부(115)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후 출력되는 신호는, 증폭부(117)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된 신호는, 센서마이컴(113)에 입력될 수 있다.
센서마이컴(113)은, 제어부(20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마이컴(113)은, 증폭부(11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센서(110)에서 감지된 진동이 사용자가 입력된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진동이 사용자가 입력한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되면, 센서마이컴(113)은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마이컴(113)은 3축센서모듈에서 생성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과 기설정노크신호의 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마이컴(113)은,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 중 설정된 제1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노크에 대한 진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노크에 의한 진동은, 어느 제1방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센서마이컴(113)은, 제1방향의 진동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1임계치 이상의 크기로 입력된 후, 설정 시간 범위 내에 입력된 동일 방향의 진동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2임계치 이상의 크기로 입력되면,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노크는 "똑똑" 형태로 가해지는데, "똑똑"에 해당하는 진동은 통상적으로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비해 큰 크기의 신호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똑똑"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가 각각 제1임계치 및 제2임계치 이상이면, 센서마이컴(113)은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마이컴(113)은 상기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 중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어느 한 축 방향(제1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진동감지신호와 다른 두 축 방향(제2,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노크에 대한 진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마이컴(113)은 제2축 방향 또는 제3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이 제1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센서(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센서마이컴(113)으로부터 노크에 의한 진동에 대응하는 신호(이하, "노크온(Knock-on) 신호"라 한다)가 수신되면, 이 신호에 따라 램프(7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3축센서모듈(111)와 센서마이컴(113)은 하나의 PCB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며, PCB 기판과 함께 일체형 모듈 형태의 센서(1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110)가 필터부(115)와 증폭부(117)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3축센서모듈(111), 센서마이컴(113), 필터부(115) 및 증폭부(117)이 하나의 PCB 기판에 실장된 일체형 모듈 형태의 센서(1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센서(110)가 일체형 모듈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센서(11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센서(110)의 설치 위치 설정이 다양화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센서(110)는, 후술할 서포트 어셈블리(150)의 서포터(16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서포트 어셈블리(150)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센서(1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전달부재(13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센서(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어셈블리(150)는, 서포터(160) 및 서포터 홀더(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160)는 센서(110)를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되며, 서포터 홀더(170)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서포터(160)를 자세 변화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하, 서포트 어셈블리(150)를 포함한 제1감지모듈의 각 구성들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스위치의 구조]
도 12는 도 6의 "ⅩⅡ"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입력스위치가 눌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면, 입력스위치(120)는 전면패널(12)에 설치되며, 입력스위치(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면패널(12)과 도어(16)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16)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스위치(120)는, 스위치홀더(121) 및 이동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홀더(121)는, 입력스위치(12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이동부재(12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홀더(121)가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스위치홀더(121)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스위치홀더(121)의 전방 단부는 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홀더(121)는, 전면패널(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홀더(121)의 개구된 전방 단부는 전면패널(12)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를 제외한 스위치홀더(121)의 대부분의 영역은 전면패널(12)의 후방 영역, 즉 제2수용공간 또는 전장실(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재(123)는, 스위치홀더(12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123)는, 도어(16)의 이동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서, 이동부재(123)는 적어도 일부분이 스위치홀더(121) 및 전면패널(1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스위치홀더(1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123)는, 도어(16)가 제1수용공간을 폐쇄했을 때 도어(16)와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전면패널(12)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123)는, 제1수용공간을 폐쇄한 도어(16)에 밀려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이동부재(123)에는, 전달부재(130)가 연결될 수 있다. 전달부재(130)는, 이동부재(123)와 연결되어 이동부재(123)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달부재(130)는 이동부재(123)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이동부재(123)의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입력스위치(120)는, 제1탄성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25)는, 이동부재(123)의 후방에서 이동부재(123)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25)에 의해, 이동부재(123)는 도어(16)를 향해 전면패널(12)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부재(125)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123)는 도어(16)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6)에 의해 밀려 후방으로 이동했던 이동부재(123)는, 제1탄성부재(125)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제1탄성부재(125)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스위치(120)는, 지지커버(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커버(127)는, 스위치홀더(121)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탄성부재(125)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1탄성부재(125)의 전방 단부는 이동부재(123)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제1탄성부재(125)의 후방 단부는 지지커버(12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입력스위치(120)는 결합부재(12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부재(129)는 지지커버(127)를 스위치홀더(121)에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홀더(121)가 전후방향 양측이 개방된 누운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커버(127)가 스위치홀더(121)의 개방된 후방 단부를 덮는 것으로 예시된다. 결합부재(129)는, 지지커버(127)가 스위치홀더(121)와 분리되지 않게 지지커버(127)를 스위치홀더(1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결합부재(129)는 지지커버(127)의 배면과 스위치홀더(121)의 측면을 함께 감싼 상태로 스위치홀더(121)의 측면과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부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스위치(120)는 도어(16)에 대해 이루어지는 노크 입력에 의한 진동을 전달받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입력스위치(120)는, 본체(10)에 설치되되, 노크 입력이 이루어지는 도어(16)에 대해 본체(10) 중에서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스위치(120)가 도어(16)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도어(16)와 입력스위치(120) 사이에 많은 부품들이 끼워진 상태에 비해, 도어(16)에 가해진 노크 입력에 의한 진동이 입력스위치(120)로 전해질 때 노이즈가 함께 혼입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입력스위치(120)가 도어(16)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도어(16)에 가해진 노크 입력에 의한 진동만이 입력스위치(120)로 순도 높게 전해질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센서(110)의 노크 여부 감지도 더욱 정확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서포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서포터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서포터와 서포터 홀더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어셈블리의 설치 전 상태인 캐비티 배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캐비티의 배후에 서포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서포터의 자세가 전달부재에 의해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서포트 어셈블리(150)는,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센서(1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서포터(160) 및 서포터 홀더(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160)는, 센서(110)를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서포터(160)는, 전달부재(13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자세가 변화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서포터(160)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센서(110)의 전후방향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터(160)는, 도 17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지지부(161) 및 회전지지부(16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센서지지부(161)는, 서포터(160) 중 센서(110)를 지지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이러한 센서지지부(161)는, 후방지지면(162)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지지면은, 센서(110)가 실장된 PCB 기판과 전달부재(130) 사이에서 PCB 기판을 지지하는 면이다. 이러한 후방지지면(162)은, PCB 기판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PCB 기판과 후방지지면(162)은, 각각 사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110)가 실장된 PCB 기판은, 후방지지면(162)과 밀착되며 센서지지부(161)와 결합될 수 있다.
센서지지부(161)는, 측벽(163a,163b,16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163a,163b,163c)은, 후방지지면(162)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지지면(16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지지면(162)의 각 테두리마다 측벽(163a,163b,163c)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처럼 마련된 측벽(163a,163b,163c)은, 후방지지면(162)을 외측, 예컨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다. 센서(110)가 실장된 PCB 기판은, 후방지지면(162)과 측벽(163a,163b,163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되며 센서지지부(161)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후방지지면(162)은 사각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지지면(162) 및 측벽(163a,163b,163c)의 결합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지지부(161)는, 체결돌기(164a,16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164a,164b)는,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B 기판은, 후방지지면(162)과 체결돌기(164a,164b) 사이에 끼워지며 센서지지부(16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돌기(164a,164b)는, 제1체결돌기(164a)와 제2체결돌기(16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돌기(164a)는 센서지지부(161)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2체결돌기(164b)는 센서지지부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체결돌기(164a)는, 상기 측벽(163a,163b,163c) 중 센서지지부(161)의 하단에 배치된 하단측벽(163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돌기(164a)는, 후방지지면(162)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하단측벽(163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체결돌기(164a)는, PCB 기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후방지지면(162)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PCB 기판의 하부측 일부분이 후방지지면(162)과 제1체결돌기(164a) 사이에 끼워지면서 PCB 기판과 서포터(16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돌기(164a)는, PCB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PCB 기판의 두께보다 약간 짧은 거리만큼 후방지지면(162)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돌기(164a)는 PCB 기판을 후방지지면(162)에 밀착시키며 PCB 기판의 하부측을 서포터(16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체결돌기(164b)는, 상기 측벽(163a,163b,163c) 중 센서지지부(161)의 상단에 배치된 상단측벽(163b)으로부터 후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돌기(164b)는, 후방지지면(162)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단측벽(163b)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단측벽(163b)에는, 상단측벽(163b) 중 일부분이 상단측벽(163b)의 돌출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 절개부(163d)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절개부(163d)는 상단측벽(163b)의 일부분이 상단측벽(163b)의 전방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측벽(163b)에는, 한 쌍의 절개부(163d)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절개부(163d)는, 제2체결돌기(164b)를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절개부(163d) 사이에 배치된 상단측벽(163b)의 일부분은, 상하방향으로의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절개부(163d) 사이에 배치된 상단측벽(163b)의 일부분(이하, "절개면"이라 한다)은, 상하방향으로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되,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절개면은 후방지지면(162)과 인접한 전방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면은, 제2체결돌기(164b)를 지지하는 몸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절개면은, 후크 돌기 형태의 제2체결돌기(164b)와 함께 후크부재를 형성하는 후크 몸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PCB 기판의 상부측 일부분이 후방지지면(162)과 제2체결돌기(164b) 사이에 끼워지면서 PCB 기판과 서포터(16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PCB 기판은, 제2체결돌기(164b)를 상부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제2체결돌기(164b)가 배치된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후방지지면(162)과 제2체결돌기(164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후방지지면(162)과 제2체결돌기(164b) 사이에 끼워진 PCB 기판은, 제2체결돌기(164b)가 상부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서포터(1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PCB 기판은, 제2체결돌기(164b)와 절개면을 포함한 후크부재에 의해 서포터(1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후크부재의 탄성 변형은, 상단측벽(163b)에 형성된 한 쌍의 절개부(163d)에 의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센서지지부(161)는, 로드접촉면접촉면(16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드접촉면접촉면(160b)은, 후방지지면(162)의 맞은편에서 전달부재(130)와 접촉되는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로드접촉면접촉면(160b)은 로드접촉면접촉면(160b)과 동일 부재에 마련된 후방지지면(162)의 이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서포터(160)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재 상에서, 로드접촉면접촉면(160b)은 그 부재의 전면, 후방지지면(162)은 그 동일 부재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서포터(160)는, 연장부(163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63e)는, 상단측벽(163b)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63e)에 의해, 상단측벽(163b)은 후방지지면(162)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상단측벽(163b)은 다른 측벽들(163a,163c)보다 연장부(163e)의 길이만큼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단측벽(163b)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단측벽(163b)에 형성된 절개면의 전후방향 길이도 증가될 수 있다. 절개면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된다는 것은, 후크부재에서 후크 몸체의 길이가 증가됨을 의미한다.
후크부재에서 후크 몸체의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후크부재의 상하방향 변형 폭,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체결돌기(164b)의 상하방향 이동 폭이 더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후크부재 및 이 후크부재를 형성하는 제2체결돌기(164b)가 상부방향으로 더 젖혀질 수 있게 되므로, PCB 기판의 착탈이 더욱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회전지지부(165)는, 센서지지부(161)를 서포터 홀더(17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지지부(165)는, 지지레그(166a,166b) 및 한 쌍의 회전돌기(16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레그(166a,166b)는, 후방지지면(162)으로부터 후방 및 하부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레그(166a,166b)가 제1레그부(166a) 및 제2레그부(166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레그부(166a)는, 후방지지면(162)의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레그부(166b)는, 제1레그부(166a)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레그부(166a) 및 제2레그부(166b)가 "L"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센서지지부(161)와 서포터 홀더(170)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1레그부(166a)는 센서지지부(161)로부터 서포터 홀더(17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레그부(166b)는, 서포터 홀더(170)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지지면(172)이 형성하는 평면과 대략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돌기(167)는, 지지레그(166a,166b)로부터 좌우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각각의 회전돌기(167)는, 서포터 홀더(170)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각각의 회전돌기(167)는, 서포터 홀더(17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회전돌기지지대(175)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165)는, 측방지지면(1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방지지면(168)은, 후방지지면(162) 또는 로드접촉면접촉면(160b)의 좌우방향 양측에서 후방지지면(162) 또는 로드접촉면접촉면(160b)과 지지레그(166a,166b)를 연결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측방지지면(168)은 후방지지면(162) 또는 로드접촉면접촉면(160b)과 제1레그부(166a) 및 제2레그부(166b)와 연결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방지지면(168)의 상단은, 후방지지면(162) 또는 로드접촉면접촉면(160b)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방지지면(168)의 후단은, 후방지지면(162) 또는 로드접촉면접촉면(160b) 및 제1레그부(166a)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측방지지면(168)의 하단은, 제2레그부(166b)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지지면(162) 또는 로드접촉면접촉면(160b) 및 지지레그(166a,166b)와 연결되는 측방지지면(168)은, 측부에서 봤을 때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방지지면(168)은, 서포터(16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서포터(160)에는, 한 쌍의 측방지지면(168)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측방지지면(168)은, 서포터(160)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측방지지면(168)은, 지지레그(166a,166b), 특히 제2레그부(166b)의 휨변형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레그부(166b)가 서포터 홀더(170)와 맞닿은 상태에서 서포터(16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회전될 때, 제2레그부(166b)를 상부방향으로 휨변형시키는 외력이 제2레그부(166b)에 작용될 수 있다. 측방지지면(168)은, 이처럼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제2레그부(166b)의 휨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2레그부(166b)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방지지면(168)은, 로드접촉면접촉면(160b)과 접촉되는 전달부재(130)가 로드접촉면접촉면(160b)의 좌우방향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전달부재(130)의 좌우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165)는, 측면리브(1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리브(169)는, 로드접촉면접촉면(160b)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165)에는 복수개의 측면리브(169)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측면리브(169)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측면리브(169)는, 서포터(160) 상에 형성된 돌출 구조물로서, 서포터(16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측면리브(169)는, 로드접촉면접촉면(160b)과 전달부재(130) 간의 접촉이 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리브(169)는, 전달부재(130)가 로드접촉면접촉면(160b)과 접촉되며 서포터(160)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전달부재(130)가 로드접촉면접촉면(160b) 상에서 지나치게 하부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전달부재(13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포터 홀더(170)는, 도 15 내지 도 16 및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설치되며, 서포터(160)를 자세 변화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터 홀더(170)는, 서포터(160)가 좌우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서포터(16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포터 홀더(170)가 홀더본체(171)와 회전돌기지지대(17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홀더본체(171)는, 서포터(160)의 골격을 형성하며, 캐비티(11)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본체(171)는, 서포터(1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160)와 마주보는 홀더본체(171)의 상부측에는 지지면(172)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지지면(172)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사각 형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더본체(171)에는, 결합면(173)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면(173)은, 서포터 홀더(170)가 캐비티(11)의 배면에 결합되는데 이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결합면(173)은, 홀더본체(171)의 전면에 배치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더본체(171)에는, 상부리브(174)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리브(174)는, 지지면(172)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리브(174)는 홀더본체(171)의 상부면에 격자무늬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리브(174)는, 홀더본체(171) 상에 형성된 돌출 구조물로서, 서포터 홀더(17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부리브(174)는, 후술할 제2탄성부재(180)를 지지하는 역할, 및 지지레그(166a,166b)와 접촉하여 서포터(16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서포터(160)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포트 어셈블리(150)는, 제2탄성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80)는, 서포터(160)의 하부에서 서포터(16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80)에 의해, 서포터(160)는 도어(16)를 향해 전방으로 치우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160)는, 서포터(160)의 회전 중심과 인접한 서포터(160)의 하단에 비해 서포터(160)의 상단이 전방으로 더 치우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탄성부재(180)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2탄성부재(180)의 상단은 서포터(16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제2탄성부재(180)의 하단은 서포터 홀더(17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2탄성부재(180)는, 서포터(16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탄성부재(180)는, 회전돌기(167)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탄성부재(180)는 서포터(160)의 후방 단부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서포터 홀더(170)는 제1스프링지지부(177)를 더 포함하고, 센서지지부(161)는 제2스프링지지부(1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프링지지부(177)는, 홀더본체(171)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제2탄성부재(18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프링지지부(177)는, 상부리브(174)가 "+" 형상으로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며, 이 지점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2탄성부재(180)의 하단은, 제1스프링지지부(177)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감싸며, 그 주변의 상부리브(174)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80)의 하단은, 실제로는 상부리브(17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프링지지부(177)는 이러한 제2탄성부재(180)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다.
제2스프링지지부(160a)는, 센서지지부(161)의 하단에 배치된 하단측벽(163a)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제2탄성부재(18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지지부(161)는 돌출면부(163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면부(163f)는, 하단측벽(163a)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면부(163f)가 하단측벽(163a)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되, 제2탄성부재(180)의 후반부 형상 또는 제2스프링지지부(160a) 중 후반부 형상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제2스프링지지부(160a)는, 하단측벽(163a)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스프링지지부(160a) 중 적어도 일부분은, 돌출면부(163f)로부터 돌출되어 하단측벽(163a)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스프링지지부(160a)는, 돌출면부(163f)가 돌출된 위치만큼 서포터(16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2탄성부재(180)의 상단은, 제2스프링지지부(160a)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감싸며, 돌출면부(163f) 및 하단측벽(163a)과 밀착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80)의 상단은, 실제로는 돌출면부(163f) 및 하단측벽(16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프링지지부(160a)는 이러한 제2탄성부재(180)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다.
서포터(160)가 후방으로 회전될 때, 제2탄성부재(180)의 상단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탄성부재(180)가 압축될 수 있다. 이처럼 하부방향으로 압축된 제2탄성부재(180)는, 서포터(160)를 후방으로 회전시킨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서포터(160)를 전방으로 다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포터(160)는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탄성부재(180)는 상하방향으로 압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18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의해, 서포터(160)가 전달부재(130)와 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탄성부재(180)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서포터(160)는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탄성부재(180)는 상하방향으로 압축 또는 신장된다. 그런데 서포터(160)와 결합된 제2탄성부재(18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서포터(160)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제2탄성부재(180)의 형상은 압축/신장 방향인 상하방향뿐 아니라, 서포터(160)의 회전방향인 전후방향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탄성부재(180)는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원뿔대 형상의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뿔대 형상의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된 제2탄성부재(180)는, 서포터(160)의 회전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제2탄성부재(180)의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이 서로 접촉되면서 이들 간에 끼임, 걸림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공된 제2탄성부재(180)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에 비해 더욱 확장된 밑면을 갖는 만큼, 더욱 안정적으로 서포터(160) 홀더와 결합되며 서포터(1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레그(166a,166b)는, 서포터(160)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레그부(166b)는, 홀더본체(171)의 상단과 제1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레그부(166b)는 상부리브(174)와 제1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간격은, 제2레그부(166b)가 상부리브(174)와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의 제2레그부(166b)와 상부리브(174)의 간격으로 정의된다. 제2레그부(166b)와 상부리브(174)가 제1간격만큼 이격되었을 때, 제2레그부(166b)와 상부리브(174) 간의 접촉이 발생되지 않지만, 서포터(160)가 제1회전각만큼 후방으로 회전되거나 제2회전각만큼 전방으로 회전되면 제2레그부(166b)가 홀더본체(171), 즉 상부리브(174)와 간섭되며 서포터(160)의 후방 회전 또는 전방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1회전각은 제한하고자 하는 서포터(160)의 후방 회전 범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제2회전각은 제한하고자 하는 서포터(160)의 전방 회전 범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간격은, 제1회전각 및 제2회전각만큼 서포터(160)의 회전 범위가 규제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서포터(160)의 회전 범위가 지지레그(166a,166b)와 상부리브(174)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즉 서포터(160)가 제1회전각만큼 후방으로 회전되면 제2레그부(166b)가 상부리브(174)와 간섭되며 서포터(160)의 후방 회전이 제한되고, 서포터(160)가 제2회전각만큼 전방으로 회전되면 제2레그부(166b)가 상부리브(174)와 간섭되며 서포터(160)의 전방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서포트 어셈블리의 다른 예]
또한 도 24는 도 15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서포터 홀더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서포터의 자세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에는, 서포트 어셈블리(1500)의 다른 예가 예시된다. 먼저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제2탄성부재(1770)는, 서포터(1600)의 회전 중심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홀더본체(171)의 상부로 돌출되게 홀더본체(17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1770)는, 홀더본체(171)와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홀더본체(171)의 지지면(172)의 일부분이 절개되고, 이 절개된 지지면(172)의 일부분이 홀더본체(171)의 상부로 돌출되게 변형된 형태로 제2탄성부재(18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탄성부재(1770)는, 전방 또는 후방 일측만이 지지면(172)과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들이 지지면(172)과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탄성부재(1770)는 전방과 양측면이 지지면(172)과 분리되고 후방 일부분만이 지지면(172)과 연결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177)는, 적어도 일부분이 홀더본체(17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지지면(172)과의 연결 부위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770)는, 홀더본체(171), 즉 지지면(172)과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177)는, 서포터(160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포터(16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2탄성부재(1770)가 마련됨으로써, 서포터(1600)의 지지를 위해 코일스프링이 추가로 설치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 설치를 위한 제1스프링지지부(175; 도 16 참조) 및 제2스프링지지부(160a; 도 16 참조)와 같은 구조물이 서포터(1600) 및 서포터 홀더(1700)에 추가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로써 코일스프링을 별도로 설치하기 위한 추가 공정 및 코일스프링 설치를 위한 구조물 추가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축되고 제조 작업 난이도가 낮아져 제품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제1감지모듈의 작용, 효과]
도 27은 도어 열림 상태에서의 제1감지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8은 도어가 닫히면서 전달부재가 서포터에 접촉되기 시작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29는 도어 닫힘 상태에서의 제1감지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0은 노크 동작시의 제1감지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구비되는 제1감지모듈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감지모듈(100)은 센서(110)와 입력스위치(120)와 전달부재(130) 및 서포트 어셈블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어셈블리(150)는 캐비티(11)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110)는 서포트 어셈블리(150)에 의해 지지되어 캐비티(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스위치(120)는,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스위치(120)는 전면패널(12)에 설치되며, 입력스위치(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면패널(12)과 도어(16)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16)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는 전달부재(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전달부재(130)는, 캐비티(11)의 전방에서 입력스위치(120)와 연결되며, 캐비티(11)의 전방에서 서포터(160)와 연결될 수 있다.
전달부재(130)는, 이동부재(123)와 연결되어 이동부재(12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부재(130)는, 서포터(160)의 전면에 접촉되면서 서포터(160)와 연결될 수 있다. 서포터(160)는, 후방으로 이동한 이동부재(123)에 밀려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탄성부재(18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6)가 조리실(15; 도 2 참조)을 폐쇄하면, 이 도어(16)에 의해 이동부재(123)가 약간 눌리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부재(123)를 따라 전달부재(130)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부재(130)는, 서포터(160)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8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서포터(160)와 전달부재(130)의 접촉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부재(130)는 로드(Rod)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달부재(130)는 진동 감쇠가 발생되지 않는 강체(Rigid body)로 형성된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전달부재(130)가 강체로 형성된 로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서포터(160)와 로드(130)의 접촉 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6)에 노크가 입력되면, 도어(16)에 입력된 진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한 도어(16)에 의해 이동부재(123)가 더 눌리면서 후방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부재(123)를 따라 전달부재(130)도 함께 후방으로 더 이동하며 서포터(160)를 후방으로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서포터(160)는 후방으로 회전하고, 이처럼 후방으로 회전하는 서포터(160)와 함께 센서(110)도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센서(110)는 서포터(16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10)는, 센서(110)에서 감지된 진동이 사용자가 입력된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진동이 사용자가 입력한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되면, 센서(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1신호 형태로 출력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달부재(130)는 로드(Rod)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달부재(130)는 진동 감쇠가 발생되지 않는 강체(Rigid body)로 형성된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전달부재(130)가 강체로 형성된 로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서포터(160)와 로드(130)의 접촉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력스위치(120)는 전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전달부재(130)는 이러한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16) 폐쇄시 입력스위치(120)가 온되어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어(16) 개방시 입력스위치(120)가 오프되어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기게 될 수 있다.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졌을 때, 센서(110)로의 전기 공급이 이루어져 센서(11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겼을 때에는, 센서(110)로의 전기 공급이 끊기며 센서(11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16) 개폐 유무에 따라 전기적 방식으로 센서(110)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입력스위치(120)로 입력된 진동의 전달은, 전선 형태의 전달부재(130)에 의해 센서(110)로 곧바로 전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노크에 의해 입력된 진동의 전달은, 노크가 입력되는 도어(16)와 제2감지모듈(100)이 설치되는 본체(10) 및 이들 사이의 부품을 구성하는 매질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선 형태의 전달부재(130)와 로드 형태의 전달부재(130)가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선 형태의 전달부재(130)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센서(110)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로드 형태의 전달부재(130)에 의해 서포터(160)로의 진동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110)로부터 제1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200)는, 제1신호를 기초로 램프(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노크온 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부(21)에 표시된 노크온 버튼을 한번 터치하면 노크온 기능이 온되고, 한번 더 터치하면 노크온 기능이 오프될 수 있다.
노크온 기능은, 사용자의 노크 동작에 의해 램프(70)가 온/오프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즉 노크온 기능이 온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노크 동작에 의해 램프(70)가 자동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반대로 노크온 기능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노크가 입력되어도 램프(70)가 자동으로 온/오프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크온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크온 기능을 온시키고, 노크온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크온 기능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부(21)에 표시된 램프 버튼은 사용자의 노크 동작과 무관하게 램프(70)를 수동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부(21)에 표시된 램프 버튼을 한번 터치하면 램프(70)가 켜지고, 한번 더 터치하면 램프(70)가 꺼진다.
램프 버튼을 터치하여 램프(70)가 켜진 상태에서는 노크 입력이 이루어지더라도 램프(70)가 꺼지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램프 버튼을 터치하여 램프(70)를 켠 상태에서는 노크온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램프(70)를 켜서 내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노크가 입력된다고 하여 램프(70)를 끄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램프(70)를 켜서 의도한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램프 버튼을 터치하여 램프(70)를 끈 상태에서는, 노크온 기능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노크 동작에 의해 램프(70)온/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부(22)에는 셀프 클린 버튼이 표시될 수도 있다. 셀프 클린은 조리실(15)을 자체적으로 자동으로 소독, 청소 등과 같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셀프 클린 과정에서는 노크온 기능이 작동하지 않게 가전기기의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노크 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램프(70)가 온/오프되지 않는다.
셀프 클린 동작시에는 조리실(15)이 매우 높은 온도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램프(70)가 켜지면, 고열로 인해 램프(70)의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셀프 클린 과정에서는 노크온 기능이 작동하지 않게 가전기기의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감지모듈은, 도어(16)의 개방을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어(16)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서포터(160)와 전달부재(130)가 접촉되지 않고, 이에 따라 센서(110)는 정상적으로 노크를 감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도어(16) 개방시에는, 사용자가 도어(16)를 노크한다고 해도 그에 따른 진동이 전달부재(130)를 통해 서포터(160)로 전달될 수 없게 되므로, 센서(110)는 정상적으로 노크를 감지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센서(110)에서 진동이 감지되었다는 것은, 도어(16)가 폐쇄되었다는 것을 전제한다. 즉 센서(110)에서 감지된 진동에 의해, 도어(16)의 폐쇄가 감지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가전기기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110)를 구비하는 제1감지모듈(100)을 이용하여, 별도의 모듈 추가 없이 기계적인 방식으로 도어(16)의 폐쇄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수용공간은 본체(10)의 좌우방향 내측 및 상하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제1감지모듈(100)은 제1수용공간, 즉 조리실(15)의 외측에 배치되게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감지모듈(100)은 조리실(15)의 상측과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도록, 본체(10)의 우측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감지모듈(100)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입력스위치(120)는, 전면패널(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스위치(120)는, 전면패널(12)의 우측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유닛(1)에서, 전면패널(12)에는 흡기구(13) 및 개방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흡기구(13)는, 외부 공기가 전면패널(12)을 통과하여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전면패널(12)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흡기구(13)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40)의 전방에 배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40)이 본체(10)의 좌우방향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흡기구(13)는 전면패널(12)의 좌우방향 중심과 전면패널(12)의 좌우방향 일측 사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좌우방향 일측을 우측, 좌우방향 타측을 좌측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전장실(30) 내에서, 전장실(30)의 우측 영역은 대부분 회로기판(31) 등과 같은 전장부품들로 채워져 있다. 이에 따라 전장실(30) 내에 배치되어야 하는 물탱크(65)는, 상대적으로 공간 여유가 있는 전장실(30)의 좌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30)의 우측 영역에 전장부품들이 배치됨에 따라, 전장실(30)의 우측 영역에 대한 냉각이 요구된다. 이것이 흡기구(13)가 팬(40)이 본체(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편 물탱크(65)가 전장실(30)의 좌측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개방부(14)는 본체(10)의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전면패널(12)의 대부분의 영역이 흡기구(13)와 개방부(14)에 의해 점유되고, 제1감지모듈(100)의 입력스위치(120)와 제2감지모듈(80)은 각각 전면패널(12)의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감지모듈(80)은 전면패널(12)의 좌측 단부와 개방부(14) 사이에 배치되고, 제1감지모듈(100)의 입력스위치(120)는 전면패널(12)의 우측 단부와 흡기구(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유닛(1)의 하부에 배치된 제2유닛(2)에서는, 전면패널(12)의 대부분의 영역이 흡기구(13)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제2유닛(2)의 제2수용공간에는 전장부품들이 배치되지는 않지만, 제1유닛(1)의 제2수용공간에 비해 제2유닛(2)의 제2수용공간의 상하방향 폭이 훨씬 협소하다.
가전기기 전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정해진 상태에서 제2유닛(2)의 제2수용공간의 상하방향 폭이 증가될수록, 그만큼 전장실(30)의 높이나 제1수용공간의 높이가 감소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제2유닛(2)의 제2수용공간의 높이가 증가될수록, 제1유닛(1)과 제2유닛(2)이 적층된 가전기기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유닛(1)의 제2수용공간에 비해 제2유닛(2)의 제2수용공간의 상하방향 폭이 훨씬 협소하게 설정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제2유닛(2)의 캐비티(11)에서 발생된 열이 제1유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제2유닛(2)의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2유닛(2)에서는, 전면패널(12)의 대부분의 영역이 흡기구(13)에 의해 점유된다.
그리고 제2유닛(2)의 제1감지모듈(100)의 입력스위치(120)와 제2감지모듈(80)은, 제1유닛(1)의 입력스위치(120) 및 제2감지모듈(80)과 마찬가지로, 각각 전면패널(12)의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스위치(120)와 연결된 전달부재(130)는,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여 센서(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유닛(1)에서, 전달부재(130)는 전장실(30)을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부재(130)는,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달부재(130)는 제2수용공간, 즉 전장실(30)에서 캐비티(11)의 우측 단부와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 사이의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에어가이드(37)의 우측 단부와 캐비티(11)의 우측 단부 사이의 공간에 전달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달부재(130)는, 캐비티(11)의 상부면과 전장서포터(35)의 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에어가이드(37)의 우측 단부와 캐비티(11)의 상부면과 캐비티(11)의 우측 단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전달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31)과 같은 전장부품들은, 전장서포터(35)에 의해 지지되면서 캐비티(1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전장실(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재(130)가 상기 영역을 벗어나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을 통과할 경우, 해당 영역이 많은 부품들로 인해 지나치게 복잡해지고, 전달부재(130)와 전장부품들 간의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전달부재(13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재이고, 따라서 전달부재(130)가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을 통과할 경우, 전달부재(130)에 의해 전장부품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130)가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을 피하여 캐비티(11)의 우측 단부와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게 배치된다.
전장서포터(35)는, 전장실(30) 내부에서 캐비티(11)의 좌우방향 단부에 완전히 밀착되게 설치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장서포터(35)는 제1영역(11a)에 설치되는데, 제1영역(11a)이 캐비티(11)의 좌우방향 단부에까지 미치지는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전장서포터(35)가 전장실(30) 내부에서 캐비티(11)의 좌우방향 단부에 완전히 밀착되게 설치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전장서포터(35)의 에어가이드(37)와 캐비티(11)의 우측 단부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간은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통로가 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이 공간에는 다른 전장부품들이 설치되지 않고, 전선도 거의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공간은 전달부재(130)가 배치되기에 매우 적합한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입력스위치(120)가 제2수용공간의 전방에 배치된 전면패널(12)의 우측 단부와 흡기구(13)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 즉 입력스위치(120)가 본체(10)의 우측에 치우치게 배치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입력스위치(120)와 연결된 전달부재(130) 또한 본체(10)의 우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전달부재(130)가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문제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입력스위치(120)로 전달된 진동이 전달부재(130)에 의해 센서(110) 측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전기기는 제1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열부, 즉 상부히터(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히터(19)는 제1수용공간, 즉 조리실(15)의 내부에 배치되되, 조리실(15)의 상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감지모듈(100)은 캐비티(11)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가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감지모듈(100)은 캐비티(11)의 우측 단부와 상부히터(1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비티(11)에는, 캐비티(11)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히터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15) 내부에서 봤을 때, 히터수용부는 캐비티(11)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히터수용부는 가열부, 즉 상부히터(19)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조리실(15)의 외부, 즉 제2수용공간에서 봤을 때, 히터수용부는 캐비티(11)의 상부면에서 제2수용공간 측으로, 즉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달부재(130)는, 제2수용공간에 배치되되, 히터수용부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수용부는, 캐비티(11)의 상부면에서 제1영역(11a)에 해당된다. 제1영역(11a)의 하부에는 상부히터(19)가 배치되고, 제1영역(11a)의 상부에는 전장부품들이 배치된다. 이때 회로기판(31)과 같은 전장부품들은, 전장서포터(35)에 의해 지지되면서 캐비티(1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전장실(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재(130)는, 제2수용공간에서 캐비티(11)의 우측 단부와 히터수용부 사이의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캐비티(11)의 제1영역(11a)은, 제2수용공간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영역이다. 전달부재(130)가 상부로 볼록한 제1영역(11a)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전달부재(130)가 제2영역(11b)에 배치될 때보다 상당한 높이만큼 더 상부에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제1영역(11a)에서 캐비티(11)와 전달부재(130)의 접촉이 발생되면서 전달부재(130)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거나 전달부재(130)를 통한 진동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워질 수 있다.
설령 전달부재(130)가 제1영역(11a)과 접촉되지 않게 제1영역(11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 경우에는 입력스위치(120)의 배치가 어려워지게 된다. 전달부재(130)가 상부로 올라간 만큼 입력스위치(120)의 위치도 상부로 더 올라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입력스위치(120)와 도어(16) 간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입력스위치(120)와 도어(16) 간의 위치 정렬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입력스위치(120)의 설치를 위해 전면패널(12)의 상하방향 길이가 불필요하게 증가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달부재(130)가 제1영역(11a)에 배치되면, 전면패널(12) 상에서 입력스위치(120)의 위치와 흡기구(13)의 위치가 중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구(13)의 전체 면적이 입력스위치(120)로 인해 감소되어 제2수용공간에 대한 냉각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흡기구(13)가 배치된 영역 내에 입력스위치(120)가 배치되어 가전기기의 전면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유닛(1)에서, 상기 제1영역(11a)은 전장부품들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전달부재(130)가 제1영역(11a)에 배치된다면, 해당 영역이 많은 부품들로 인해 지나치게 복잡해지고, 전달부재(130)와 전장부품들 간의 간섭이 발생되며, 전달부재(130)에 의해 전장부품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전달부재(130)는 제1영역(11a)에 배치되지 않고 제1영역(11a)의 외측, 즉 히터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전달부재(130)는 캐비티(11)의 우측 단부와 히터수용부 사이의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며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달부재(130)가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문제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달부재(130)가 상기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부재(13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전달부재(130)가 가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전달부재(130)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부재(130)가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제대로 연결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센서(110)로의 진동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부재(130)가 캐비티(11)의 우측 단부와 히터수용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가열부와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부재(130)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게 되고, 입력스위치(120)로 전달된 진동이 전달부재(130)에 의해 센서(110) 측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팬(40)이 제2수용공간에서 후방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팬(40)은, 제2수용공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캐비티(11)의 후방 및 팬(40)의 하부에는, 덕트커버(27)가 설치될 수 있다. 팬(40)은, 흡기구(13)를 통해 외부공기를 제2수용공간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40)은, 제2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덕트커버(27) 내부의 공간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팬(40)은, 전방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하부로 토출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팬(40)이 제2수용공간에서 전방에 치우친 위치, 즉 전면패널(1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면, 덕트커버(27)를 통한 공기 토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것이다.
또한 팬(40)이 가전기기의 전방측에 배치되면, 팬(40)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워지게 되어 팬(40)의 소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불쾌함을 느끼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팬(40)은 제2수용공간에서 후방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센서(110) 또한 팬(40)과 가까운 위치, 즉 캐비티(11)의 후방에 배치된다.
일례로서, 캐비티(11)의 후방에서, 팬(40)의 적어도 일부분과 센서(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캐비티(11)의 후방에서, 센서(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수용공간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11)의 후방에서, 센서(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분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센서(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팬(40)에 의해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센서(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팬(40)에 의해 유동하는 냉기와 접촉될 수 있다.
도 2와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10)는 캐비티(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센서(110)는 캐비티(11)의 후방에서 캐비티의 우측 상부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가전기기 상에서 도어(16)와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이며, 팬(40)과 인접한 위치이기도 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센서(110)가 배치된 위치는, 고온 상태인 도어 및 그 주변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이기도 하며, 팬(40)에 의해 유동하는 냉기와의 접촉이 가능한 위치이기도 하다.
일례로서, 캐비티(11)의 후방에는 커버브라켓(90)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브라켓(90)은, 캐비티(11)의 후면에 설치되되, 캐비티(11)의 후방 상단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브라켓(90)은, 캐비티(11)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장실측면커버(26)는, 커버브라켓(90)과 결합되며 캐비티(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브라켓(90)은, 센서(110) 및 서포트 어셈블리(150)의 전방에 배치되어 센서(110) 및 서포트 어셈블리(150)와 제2수용공간 사이를 가로막는다. 커버브라켓(90)에 의해 센서(110) 및 서포트 어셈블리(150)와 제2수용공간 사이가 가로막힘으로써, 캐비티(11) 후방을 통한 외부 이물질의 제2수용공간 내부로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크기가 큰 이물질의 센서(110) 및 서포트 어셈블리(150) 측으로의 접근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브라켓(90)은, 가열부, 특히 상부히터(19)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센서(11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센서(110)는, 상기 커버브라켓(90)의 후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어셈블리(150)는 커버브라켓(90)의 후방에 설치되며, 센서(110)는 이러한 서포트 어셈블리(150)에 의해 지지되며 캐비티(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재(130)는 커버브라켓(90)을 관통하며 캐비티(11)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커버브라켓(90)에는 로드통과홀(94)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브라켓(90)에는, 토출구(92)가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92)는, 커버브라켓(9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구(92)는, 제2수용공간의 냉기가 센서(110) 측으로 토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커버브라켓(9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종합하면, 캐비티(11)의 후방에 배치되는 본 실시예의 센서는 고온 상태인 도어 및 그 주변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110)는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며, 이러한 센서(110)와 제2수용공간 사이는 커버브라켓(90)에 의해 가로막힌다.
상기 커버브라켓(90)은, 가열부, 특히 상부히터(19)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센서(110) 측으로의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팬(40)에 의해 유동하는 냉기와의 접촉이 가능한 위치에 센서(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의 냉기가 토출구(92)를 통해 커버브라켓(90)을 통과하여 센서(110)와 열교환하면서 센서(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센서(110)는, 고온 상태인 도어 및 그 주변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의 차단이 가능하면서도 팬(40)에 의해 유동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위치에 센서(110)가 배치됨으로써, 센서(110)가 열 영향으로 인해 오동작되거나 파손될 위험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가전기기는, 센서(110)에 미치는 열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센서(110)의 감지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노크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입력스위치(120) 및 이 입력스위치(120)와 연결된 전달부재(130)를 통해 노크의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가전기기는, 오븐 등과 같이 고열로 인해 도어에 센서를 부착하기 어려운 가전기기에서도 노크 입력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센서에 미치는 열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센서의 감지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입력스위치(120)에 전달된 진동을 센서(110)에 전달하는 전달부재(130)는,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며 입력스위치(120)와 센서(110) 사이를 연결하되, 전장부품들이 설치된 영역, 캐비티(11)의 상부면이 가열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2수용공간의 상부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영역, 전장부품들을 지지하며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설치된 전장서포터가 점유하는 영역 등을 회피할 수 있는 영역, 즉 제2수용공간의 좌우방향 단부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부재(130)는, 가전기기 내부에 설치된 전장부품들에 영향을 받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가전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가전기기는, 가전기기 내부에 설치된 전장부품들에 영향을 받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노크 입력 감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110) 및 서포트 어셈블리(150)의 외측에는, 센서커버(190)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커버(190)는, 센서(110) 및 서포트 어셈블리(150)의 좌우방향 외측 및 후방에 배치되며 캐비티(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커버(190)는, 센서(110) 및 서포트 어셈블리(150)를 외측에서 둘러싸며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센서커버(190)에는 토출구(191)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수용공간에서 센서(110) 측으로 유동한 냉기가 토출구(191)를 통해 가전기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도 31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명세서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도어 제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순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축센서모듈의 한 축의 방향과 노크에 의한 진동 방향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 각 유닛에 발생한 진동감지신호를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투시창(16a)을 통해 내부를 확인하려 하면 제1유닛(1) 또는 제2유닛(2)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도어(16)에 장착된 투시창(16a)에 노크를 하게 된다. 상, 하부로 적층된 제1유닛(1) 및 제2유닛(2)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도어(16)에 장착된 투시창(16a)에 사용자가 노크를 하여 노크가 입력되면(S100), 그 노크된 부분이 진동 발생지가 되어 노크에 대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S110).
이와 같이 발생된 진동은 투시창(16a)에 인가된 진동을 입력 받기 위해 제1유닛(1) 또는 제2유닛(2)에 각각 구비되고, 제1감지모듈(100)의 최전방에 배치된 입력스위치(12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스위치(120)에 전달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 전달부재(130)를 통해 캐비티(11)의 후방에 배치된 센서(110)로 전달될 수 있다(S120).
센서(110)는 3축센서모듈(111)에 구비된 3축 가속도센서를 통해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 즉,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하여 진동에 의한 매질의 미세한 움직임변화인 가속도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때, 3축 가속도센서는, 노크 진동에 대한 센서(110)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 감지가 이루어지는 축의 방향이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의 방향이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110)는 3축 방향으로 전달된 진동을 감지하고, 이들 진동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노크에 대응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10)로 전달된 진동에는 노크 입력으로 인한 진동감지신호 이외에도 불필요한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부(115)를 거쳐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증폭부(117)에 의해 증폭된 진동감지신호가 센서마이컴(113)으로 입력될 수 있다.
진동감지신호가 입력된 센서마이컴(113)에서는 센서(110)에서 감지된 진동이 사용자가 입력한 노크에 의한 진동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센서마이컴(113)에서 판단하는 진동은 증폭부(11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센서마이컴(113)은 3축센서모듈(111)에서 생성된 진동감지신호의 패턴(S1, S2)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진동감지신호(Sc)(이하, "기설정노크신호"라 한다)의 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노크에 의한 진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크는 "똑똑" 형태로 가해지는데, "똑똑"에 해당하는 진동은 통상적으로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비해 큰 크기의 신호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똑똑"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신호의 세기를 기설정노크신호(Sc)로 센서마이컴(113)에 입력해두고 측정된 신호의 세기와 비교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센서마이컴(113)은 도 3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정노크신호(Sc)가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노크 1'과 '노크 2'로 연속으로 감지되는 경우(S1)에 노크가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노크신호(Sc)보다 작은 세기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S2)에는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하여 램프(7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램프(70)의 온/오프는 제어부(200)에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마이컴(113)으로부터 노크에 의한 진동감지신호가 아님을 인지하고, 제어부(200)로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니라는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되면, 이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부(200)는 램프(70)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S140).
다시 말해, 노크에 해당하는 진동인 기설정노크신호(Sc)는 통상적으로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비해 큰 크기의 신호로 나타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임계치 이상이면, 센서마이컴(113)은 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진동을 노크에 의한 진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센서마이컴(113)은 상기 3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 중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어느 한 축 방향(예컨대, 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진동감지신호와 다른 두 축 방향(예컨대, y축, z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노크에 대한 진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마이컴(113)은 제y축 방향 또는 제z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이 제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크 입력은 일반적으로 가전기기의 도어(16)에 부착된 투시창(16a)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발생된 진동은 전면패널(12)에 설치된 입력스위치(120)에 전달되고, 입력스위치(120)와 연결된 전달부재(130)를 통해 센서(110)로 전달됨에 따라, 제x축의 일 방향으로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제y축 방향 또는 제z축 방향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각각 가전기기의 전면부가 아닌 측면부 및 상면부에서 발생된 진동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노크가 아닌 진동, 예컨대, 외부 소음 또는 가전기기의 내부 작동에 의한 진동에 의한 파형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마이컴(113) 상에 제x축 방향의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진동감지신호인 기설정노크신호(Sc)의 값을 노크에 해당하는 진동으로 입력해놓고, 제y축 방향 또는 제z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이 제x축 방향의 진동감지신호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에도,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 노크에 의한 진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센서마이컴(113)에서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되면 계속해서 노크가 입력되는 위치에 대해 판단한다(S150).
상, 하부로 적층된 제1유닛(1) 및 제2유닛(2)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경우, 노크에 의한 진동이 제1유닛(1)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인지 제2유닛(2)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유닛(1) 또는 제2유닛(2)으로부터 각각 발생한 기설정노크신호보다 큰 세기의 진동감지신호를 서로 구분하지 않으면, 램프(70)를 온/오프시키는 동작에서 오작동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투시창(16a)을 통해 확인을 원하는 유닛의 내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유닛(1) 또는 제2유닛(2) 내에 각각 배치된 두 센서(110)가 기설정노크신호를 동시에 인식하여 램프(70)를 온/오프시키는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한 센서(110), 구체적으로 센서마이컴(113)은 제1유닛(1)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에 대응하는 제1노크 온/오프 신호와 제2유닛(2)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에 대응하는 제2노크 온/오프 신호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노크에 의한 진동의 경우 노크를 한 부분의 위치에 따라 진동의 세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3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제1유닛(1)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에 노크를 하는 경우, 노크 진동은 제1유닛(1)의 후방에 배치된 센서마이컴(113)에서 큰 크기의 제1진동감지신호(S3)로 나타나고, 제2유닛(2)의 후방에 배치된 센서마이컴(113)에서는 제1진동감지신호(S3)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제2진동감지신호(S4)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제1유닛(1)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 또는 투시창(16a)에 노크를 하면, 제1유닛(1)의 전면패널(12)에 설치된 입력스위치(120)에 전달된 진동이 전달부재(130)를 통해 직접적으로 센서(110)로 전달됨에 따라 제1유닛(1)의 센서마이컴(113)에서는 제1진동감지신호(S3)가 크게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2유닛(2)에서는, 직접 노크가 입력된 제1유닛(1)의 센서(110)보다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제2유닛(2)의 센서(110)로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제2유닛(2)의 센서마이컴(113)으로 입력되는 제2진동감지신호(S4)는 제1진동감지신호(S3)보다 'I'크기만큼 작은 세기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1유닛(1)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 또는 투시창(16a)에 노크 진동이 발생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2)에 설치된 입력스위치(120)에 전달된 진동이 전달부재(130)를 통해 직접적으로 제1유닛(1)의 센서(110)로 전달됨에 따라 제1유닛(1)의 센서마이컴(113)에서는 제1진동감지신호(S3)가 크게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2유닛(2)에서는, 제1유닛(1)과 제2유닛(2) 사이의 바닥면 전면에 배치된 흡진 부재(3, 도 31 참조)를 통과한 진동이 제2유닛(2)의 센서마이컴(113)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제2진동감지신호(S4)는 제1진동감지신호(S3)보다 'I'크기만큼 작은 세기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진동 전달이 잘 이루어지는 제1유닛(1) 및 제2유닛(2) 사이에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흡진 부재(3)를 배치함으로써 진동이 유닛들 상호 간에 간섭을 주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흡진 부재(3)는 고무 또는 스펀지 등과 같은 진동을 잘 흡수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진동감지신호(S3) 및 제2진동감지신호(S4)는 모두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되어야 함에 따라, 기설정노크신호(Sc) 이상의 신호의 세기를 가진다.
센서마이컴(113)에서 판단하는 진동감지신호는 증폭부(11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센서마이컴(113)은 제2진동감지신호(S4)보다 큰 세기를 가지는 제1진동감지신호(S3)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에 대응하는 제1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하여 제어부(200)에 출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유닛(1)으로 사용자가 노크를 입력하였다는 제1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제1유닛(1)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에 대응하는 제1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하면 제어부(200)에서 제1유닛(1)의 램프(7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고(S160), 램프(7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S170, S180).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램프(70)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하면 제어부(200)로부터 램프(70)로 온(ON) 출력 신호가 출력되어 제1유닛(1)의 램프(70)를 온(ON)시킬 수 있다(S170). 또한, 램프(70)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하면 제어부(200)로부터 램프(70)로 오프(OFF) 출력 신호가 출력되어 제1유닛(1)의 램프(7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S180).
한편, 제1유닛(1)에 대해 제1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하면 이와 동시에 제2유닛(2)의 센서마이컴(113)에서 감지되는 진동감지신호는 무시한다(S190).
제1유닛(1)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 동작이 수행된 제1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된 상태에서 제2유닛(2)에 대해 제한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2유닛(2)의 램프(70)에도 출력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온(ON) 동작이 수행되어, 제1유닛(1) 및 제2유닛(2)의 제1수용공간 내부의 램프(70)가 동시에 켜지는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2유닛(2)의 센서마이컴(113)에서 감지되는 진동감지신호는 무시하여 제2유닛(2)의 램프(70)로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노크와 노크 사이의 시간 간격은 1초 미만이며, 일 예에서, 시간 간격은 500ms 내지 600ms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노크와 노크 사이의 시간 간격만큼 제2유닛(2)에서 감지되는 진동감지신호를 무시하도록 센서마이컴(113)에서 설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센서마이컴(113)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200),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판단이 종료된 제1노크 온/오프 신호를 제외한 다른 신호에 대한 판단을 다시 수행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노크 입력에 대한 대기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설정 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유닛(2)에서 감지되는 진동감지신호를 무시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1유닛(1)에서 램프(70)가 온/오프되는 동안 제2유닛(2)의 램프(70)가 동시에 온/오프되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의도한 제1유닛(1)의 수용공간 내부를 투시창(16a)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3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제2유닛(2)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에 노크를 하는 경우, 노크 진동은 제2유닛(2)의 후방에 배치된 센서마이컴(113)에서 큰 크기의 제3진동감지신호(S5)로 나타나고, 제1유닛(1)의 후방에 배치된 센서마이컴(113)에서는 제3진동감지신호(S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제4진동감지신호(S6)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제1유닛(1)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6)에 장착된 투시창(16a)에 노크를 하면, 제1유닛(1)의 전면패널(12)에 설치된 입력스위치(120)에 전달된 진동이 전달부재(130)를 통해 직접적으로 센서(110)로 전달됨에 따라 제1유닛(1)의 센서마이컴(113)에서는 제3진동감지신호(S5)가 크게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1유닛(1)에서는, 직접 노크가 입력된 제2유닛(2)의 센서(110)보다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제1유닛(1)의 센서(110)로 잔여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제1유닛(1)의 센서마이컴(113)으로 입력되는 제4진동감지신호(S6)는 제3진동감지신호(S3)보다 'II'크기만큼 작은 세기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2유닛(2)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 또는 투시창(16a)에 노크 진동이 발생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2)에 설치된 입력스위치(120)에 전달된 진동이 전달부재(130)를 통해 직접적으로 제2유닛(2)의 센서(110)로 전달됨에 따라 제2유닛(2)의 센서마이컴(113)에서는 제3진동감지신호(S5)가 크게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1유닛(1)에서는, 제1유닛(1)과 제2유닛(2) 사이의 바닥면 전면에 배치된 흡진 부재(3, 도 31 참조)를 통과한 진동이 제1유닛(1)의 센서마이컴(113)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제4진동감지신호(S6)는 제3진동감지신호(S3)보다 'II'크기만큼 작은 세기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제3진동감지신호(S5) 및 제2진동감지신호(S6)는 모두 노크에 의한 진동으로 판단되어야 함에 따라, 기설정노크신호(Sc) 이상의 신호의 세기를 가진다.
그러면 센서마이컴(113)은 제3진동감지신호(S5)보다 큰 세기를 가지는 제4진동감지신호(S6)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에 대응하는 제2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유닛(2)으로 사용자가 노크를 입력하였다는 제2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제2유닛(2)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에 대응하는 제2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하면 제어부(200)에서 제2유닛(2)의 램프(7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고(S210), 램프(7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S220, S230).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램프(70)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노크 온/오프 신호를 판단하면 제어부(200)로부터 램프(70)로 온(ON) 출력 신호가 출력되어 제2유닛(2)의 램프(70)를 온(ON)시킬 수 있다(S220). 또한, 램프(70)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로부터 램프(70)로 오프(OFF) 출력 신호가 출력되어 제2유닛(2)의 램프(7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S230).
한편, 제2유닛(2)에 대해 제2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하면 이와 동시에 제1유닛(1)의 센서마이컴(113)에서 감지되는 진동감지신호는 무시한다(S240).
제1유닛(1)이 사용자가 입력하는 노크 동작이 수행된 제2노크 온/오프 신호로 판단된 상태에서 제1유닛(1)에 대해 제한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1유닛(1)의 램프(70)에도 출력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온/오프 동작이 수행되어, 제1유닛(1) 및 제2유닛(2)의 제1수용공간 내부의 램프(70)가 동시에 켜지거나 꺼지는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1유닛(1)의 센서마이컴(113)에서 감지되는 진동감지신호는 무시하여 제1유닛(1)의 램프(70)로 온/오프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노크와 노크 사이의 시간 간격은 1초 미만이며, 일 예에서, 시간 간격은 500ms 내지 600ms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노크와 노크 사이의 시간 간격만큼 제1유닛(1)에서 감지되는 진동감지신호를 무시하도록 센서마이컴(113)에서 설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센서마이컴(113)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250),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판단이 종료된 제2노크 온/오프 신호를 제외한 다른 신호에 대한 판단을 다시 수행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노크 입력에 대한 대기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설정 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유닛(1)에서 감지되는 진동감지신호를 무시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2유닛(2)에서 램프(70)가 온/오프되는 동안 제1유닛(1)의 램프(70)가 동시에 온/오프되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자는 의도한 제2유닛(2)의 수용공간 내부를 투시창(16a)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램프(70)가 점등된 상태에서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램프(7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투시창(16a)을 통해 제1유닛(1) 또는 제2유닛(2)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투시창(16a)에 노크하여 램프(70)를 온(ON) 시킨 후, 오프(OFF)하는 것을 잊어버리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램프(70)가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가전기기에서 사용자는 간단한 노크 동작으로 도어(16)에 장착된 투시창(16a)을 통해 외부에서 수용공간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 하부로 적층된 제1유닛(1) 및 제2유닛(2) 각각에 노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제1유닛(1) 및 제2유닛(2)이 동시에 온/오프되는 오동작이 없이 각각의 수용공간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제1유닛
2: 제2유닛
10 : 본체
11 : 캐비티
11a : 제1영역
11b : 제2영역
12 : 전면패널
13 : 흡기구
14 : 개방부
15 : 조리실
16 : 도어
16a : 투시창
17 : 핸들
18 : 컨벡션부
19 : 상부히터
20 : 컨트롤패널
21 : 입력부
22 : 디스플레이
25 : 전장실커버
26 : 전장실측면커버
27 : 덕트커버
30 : 전장실
31 : 회로기판
33 : 기판케이스
34 : 체결돌기
35 : 전장서포터
36 : 지지플레이트
37 : 에어가이드
37a : 하단결합면
37b : 상단결합면
38 : 후방플레이트
39 : 배기구
40 : 팬
50 : 냉기유로
60 : 스팀공급장치
61 : 스팀공급부
62 : 물저장조
63 : 스팀히터
65 : 물탱크
69 : 스팀노즐
70 : 램프
80 : 제2감지모듈
90 : 커버브라켓
92 : 토출구
94 : 로드통과홀
100 : 제1센서모듈
110 : 센서
111 : 3축센서모듈
113 : 센서마이컴
115 : 필터부
117 : 증폭부
120 : 입력스위치
121 : 스위치홀더
123 : 이동부재
125 : 제1탄성부재
127 : 지지커버
129 : 결합부재
130 : 전달부재
150 : 서포트 어셈블리
160 : 서포터
160a : 제2스프링지지부
160b : 로드접촉면접촉면
161 : 센서지지부
162 : 후방지지면
163a,163b,163c : 측벽
163d : 절개부
163e : 연장부
163f : 돌출면부
164a : 제1체결돌기
164b : 제2체결돌기
165 : 회전지지부
166a : 제1레그부
166b : 제2레그부
167 : 회전돌기
168 : 측방지지면
169 : 측면리브
170 : 서포터 홀더
171 : 홀더본체
172 : 지지면
173 : 결합면
174 : 상부리브
175 : 회전돌기지지대
177 : 제1스프링지지부
180,1770 : 제2탄성부재
190 : 센서커버
200 : 제어부

Claims (25)

  1. 전방이 개방된 제1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제1수용공간의 전방에 배치되며, 하단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를 조명하는 램프;
    상기 도어에 입력되는 노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며, 상기 노크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지모듈; 및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상기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공간은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 내측 및 상하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감지모듈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외측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에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감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모듈과 상기 제2감지모듈은,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감지모듈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2감지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도어 측으로 노출되는 가전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모듈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감지모듈과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전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모듈은,
    상기 도어의 진동을 전달받는 입력스위치;
    상기 입력스위치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1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및
    상기 입력스위치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상기 센서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입력스위치와 상기 센서 사이를 연결하는 가전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을 폐쇄한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면을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가전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을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상기 전면패널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입력스위치는, 상기 개구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캐비티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의 전방 경계면을 규정하고,
    상기 입력스위치는, 상기 입력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가전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입력스위치와 상기 센서 사이를 연결하는 가전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장부품들이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상기 캐비티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전장부품들이 배치된 영역 사이의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전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장부품들을 지지하는 전장서포터가 마련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상기 전장서포터의 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전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모듈은, 상기 캐비티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에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히터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히터수용부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히터수용부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상기 캐비티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히터수용부 사이의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전기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후방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가전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서, 상기 팬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센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가전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서, 상기 센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분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가전기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입력스위치와 상기 센서 사이를 연결하는 가전기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전면패널을 통과하여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기구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중심에서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스위치는,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흡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물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물탱크가 상기 전면패널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개방부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중심에서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타측 단부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감지모듈은,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방향 타측 단부와 상기 개방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23. 제8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제1유닛, 및 제2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와 상기 램프 및 상기 제1감지모듈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닛에 구비되는 상기 제1감지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유닛에 구비되는 상기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유닛에 구비되는 상기 제1감지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유닛에 구비되는 상기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의 상기 캐비티와 상기 제2유닛의 상기 캐비티 사이에 상기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2유닛의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제1유닛의 캐비티의 하부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가전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열부, 및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히터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수용부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상기 캐비티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히터수용부 사이의 공간을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전기기.
KR1020210106322A 2021-08-11 2021-08-11 가전기기 KR20230024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322A KR20230024153A (ko) 2021-08-11 2021-08-11 가전기기
EP22189742.4A EP4134591A1 (en) 2021-08-11 2022-08-10 Appliance comprising a door and a sensing module to sense knocking on the door
US17/884,996 US20230053034A1 (en) 2021-08-11 2022-08-10 Appliance
US17/885,390 US20230047660A1 (en) 2021-08-11 2022-08-10 Appliance
EP22189733.3A EP4134590A1 (en) 2021-08-11 2022-08-10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322A KR20230024153A (ko) 2021-08-11 2021-08-11 가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153A true KR20230024153A (ko) 2023-02-20

Family

ID=8289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322A KR20230024153A (ko) 2021-08-11 2021-08-11 가전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53034A1 (ko)
EP (1) EP4134590A1 (ko)
KR (1) KR2023002415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16A (ko) 2017-02-15 2018-08-23 김동연 대행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001876A (ko) 2017-06-28 201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크 온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10125430A (ko) 2020-04-08 2021-10-18 쿠어스택 가부시키가이샤 석영 유리 도가니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948524B2 (ja) 2016-12-14 2021-10-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20200042263A (ko) * 2018-10-15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
CN114846274A (zh) 2019-12-19 2022-08-02 Lg电子株式会社 设置有透视窗的家用电器
KR102609278B1 (ko) 2020-01-23 202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CN212109183U (zh) * 2020-03-26 2020-12-08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带敲击模块自动开门装置安装结构、自动开门装置、冰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16A (ko) 2017-02-15 2018-08-23 김동연 대행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001876A (ko) 2017-06-28 201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크 온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10125430A (ko) 2020-04-08 2021-10-18 쿠어스택 가부시키가이샤 석영 유리 도가니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4590A1 (en) 2023-02-15
US20230053034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409316B2 (en)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viewing window
KR102609278B1 (ko)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EP4080119A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080120A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30027987A (ko) 냉장고
KR102656247B1 (ko)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KR20230024153A (ko) 가전기기
KR20230024152A (ko) 가전기기
KR20230024151A (ko)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KR102601398B1 (ko)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US20240044679A1 (en) Appliance
KR20230174402A (ko) 가전기기
US20230047660A1 (en) Appliance
US20230067958A1 (en)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viewing window
US20240044678A1 (en) Appl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