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556B1 -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 Google Patents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556B1
KR101352556B1 KR1020110107299A KR20110107299A KR101352556B1 KR 101352556 B1 KR101352556 B1 KR 101352556B1 KR 1020110107299 A KR1020110107299 A KR 1020110107299A KR 20110107299 A KR20110107299 A KR 20110107299A KR 101352556 B1 KR101352556 B1 KR 10135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olarizer
door
power switch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286A (ko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최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식 filed Critical 최경식
Priority to KR102011010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5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는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홈바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원형 구멍이 형성된 불투명의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원형 구멍에 설치되는 원형의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 중 상기 도어 프레임의 구멍의 둘레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다수 개 구비되고, 원주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다수 개의 원통형 가이드 베어링 각각이 상기 회전축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시창은 앞쪽의 원형의 고정 편광판과 뒤쪽의 원형의 회전 편광판이 서로 겹쳐져서 이중창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편광판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편광판은 앞쪽 부분의 대직경부와 상기 대직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측면부에 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편광판의 대직경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편광판이 상기 가이드베어링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 편광판의 소직경부의 가장자리의 측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 중 상기 투시창과 인접되는 부위에는 모터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지지부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일정 시간동안 동작하는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축에는 상기 회전 편광판의 톱니와 맞물리는 작동 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동안 켜져있는 조명기구가 설치되며, 평소에는 상기 고정 편광판과 상기 회전 편광판이 수직으로 겹쳐져서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 편광판이 회전되어 상기 고정 편광판과 상기 회전 편광판이 수평하게 겹쳐져서 상기 투시창이 투명한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불투명한 상태로 돌아갈 때까지 일정 시간동안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REFRIGERATOR HOME BAR WITH A WINDOW}
본 발명은 냉장고 홈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시창을 구비하여 평소에는 투시창이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가 보이지 않으나 필요한 경우 스위치를 누르면 냉장고 홈바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는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가정의 필수품이지만 냉장고 문을 한번 열때마다 0.35%의 전력소비가 늘어난다. 따라서 냉장고의 전력 사용량을 줄이려면 문 여닫는 횟수부터 줄이는 것이 좋다. 바깥 기온이 30℃를 넘을 때 냉장고의 문을 열어놓으면 냉장고 안의 온도가 10초마다 1℃ 가량씩 올라간다. 그러므로 물건을 한 번 꺼내고 넣고 하는 데 1분이 걸렸다고 하면 냉장고 속의 온도는 그 사이에 6℃ 가량 올라간 셈이 된다.
그런데 통상적인 냉장고 홈바의 경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고 홈바 내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안에 뭐가 있는가를 보려고 해도 홈바의 도어를 열어야 하고 이로 인하여 냉장고 홈바의 도어를 자주 열게 되어 전력 손실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종래에도 냉장고 안이 보이도록 구성한 투명문을 가진 냉장고가 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2534호의 등록공보에서는 냉장고 문을 항상 투명하게 만들어 언제든지 속을 볼 수 있으며 냉장고 문을 이중으로 만들고 이중문 사이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냉기가 빠져나가는 막은 투명문을 가진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고안에 의하면 냉기 유지는 좋지만 항상 투명하게만 보이기 때문에 냉장소 속이 지저분할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투시창이 구비되어 있어서 냉장고 홈바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고 홈바의 내부를 볼 수 있어서 원하는 물건이 없으면 도어를 열지 않아도 되고 미리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물건을 빨리 꺼낼 수 있으므로 냉장고 홈바의 도어를 여닫는 횟수 및 열어두는 시간이 줄어들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만 내부가 보이고 평소에는 내부가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고, 투시창이 이중창으로 되어 있어서 단열효과가 우수한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는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홈바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원형 구멍이 형성된 불투명의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원형 구멍에 설치되는 원형의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 중 상기 도어 프레임의 구멍의 둘레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다수 개 구비되고, 원주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다수 개의 원통형 가이드 베어링 각각이 상기 회전축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시창은 앞쪽의 원형의 고정 편광판과 뒤쪽의 원형의 회전 편광판이 서로 겹쳐져서 이중창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편광판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편광판은 앞쪽 부분의 대직경부와 뒤쪽 부분의 상기 대직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측면부에 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편광판의 대직경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편광판이 상기 가이드베어링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 편광판의 소직경부의 가장자리의 측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 중 상기 투시창과 인접되는 부위에는 모터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지지부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일정 시간동안 동작하는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축에는 상기 회전 편광판의 톱니와 맞물리는 작동 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동안 켜져있는 조명기구가 설치되며, 평소에는 상기 고정 편광판과 상기 회전 편광판이 수직으로 겹쳐져서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 편광판이 회전되어 상기 고정 편광판과 상기 회전 편광판이 수평하게 겹쳐져서 상기 투시창이 투명한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불투명한 상태로 돌아갈 때까지 일정 시간동안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후면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 상기 조명기구 및 상기 모터와 연결된 빛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빛 감지센서는 상기 회전 편광판의 대직경 가장자리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한쪽에서는 빛을 쏘고 다른 한쪽에서는 그 빛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 편광판의 대직경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빛차단막이 붙어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 빛 감지센서가 빛을 감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조명기구 및 상기 모터가 작동되게 하고 상기 빛차단막이 상기 빛 감지센서를 지나는 순간 상기 빛 감지센서가 전기적 신호를 보내 상기 조명기구 및 상기 모터의 동작을 멈추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에 의하면 전원스위치를 한번 누르기만 하면 냉장고 홈바의 내부가 보였다가 저절로 안보이게 되어 냉장고 홈바의 도어를 여닫는 횟수와 열어놓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전기를 절약할 수 있고, 원치 않게 냉장고의 속이 들여다보이지 않으며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투시창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냉장고의 냉기가 잘 빠져나가지 않고, 투시창의 안쪽 영역에는 힌지 구조체나 회전축 등 별도의 구조체가 없어서 투시창이 깨끗하게 보이므로 미관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가 닫힌 상태의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가 열린 상태의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의 도어의 후면을 나타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의 도어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는 하우징부, 도어(2000), 투시창(3000), 회전축, 가이드베어링(4000), 전원스위치(5000), 모터지지부, 모터(6000), 작동기어(6200), 램프(7000), 빛 감지센서(8000) 및 회로부(9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가 비고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하우징부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2000)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구성은 통상적인 냉장고 홈바의 구성과 공통적인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2000)의 전면 상부에는 손잡이(2200)가 부착되어 손잡이(2200)를 잡아당기면 도어(20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축으로 하여 도어(2000)가 수평하게 될 때까지 앞쪽으로 기울어진다.
도어(2000)는 크게 도어 프레임(2100)과 투시창(300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어 프레임(2100)의 중심에는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고 이 원형 구멍에 투시창(3000)이 설치된다. 투시창(3000)은 도어(2000)의 원형 구멍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의 고정 편광판과, 고정 편광판의 뒤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의 회전 편광판(3200)이 서로 겹쳐진 이중창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 편광판과 회전 편광판(3200)은 투명한 플라스틱 등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평판에 편광 필름이 부착된 것이다. 편광필름은 사방으로 퍼지는 빛을 가로 혹은 세로로 구별을 해서 한쪽 방향의 빛만 통과시키는 필름이다. 세로빛을 통과시키는 필름과 가로빛을 통과시키는 필름이 수평으로 겹치게 되면 빛이 통과하게 되어 투명하게 보이며 수직으로 겹치게 되면 빛이 통과하지 못해 어둡게 보인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회전 편광판(3200)이 회전하여 회전 편광판(3200)과 고정 편광판이 수평하게 겹쳐지면 투시창이 투명하게 되어 내부가 보이게 되고 회전 편광판(3200)과 고정 편광판이 수직하게 겹쳐지면 어둡게 되어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된다.
회전 편광판(3200)은 가이드 베어링(40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이드 베어링(400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시창(3000)과 인접하는 도어(2000) 후면의 각 모서리 부근에 하나씩 모두 네 군데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두 네 개가 설치된다. 가이드 베어링(400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의 중심을 따라 빙 두르도록 안내홈(4200)이 형성된다.
회전 편광판(3200)은 앞쪽의 대직경부(3210)와 뒤쪽의 소직경부(3220)로 이루어지도록 가장자리면의 뒤쪽이 안쪽으로 들어가게 턱이 형성된다. 대직경부(3210)는 소직경부(3220)보다 직경이 크며 소직경부(3220)의 원주면에는 톱니(3221)가 형성되고, 대직경부(3210)는 가이드 베어링(4000)의 안내홈에 끼워져서 회전이 잘 이루어지도록 지지된다.
도어(2000)에는 도어 프레임(2100)의 상부를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전원 스위치(5000)가 설치된다. 전원 스위치(5000)는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 앞쪽의 버튼 부분을 도어(2000) 외부에서 누를 수 있도록 도어(2000)의 앞쪽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회전 편광판(3200)의 대직경부(3210)의 가장자리 일부가 삽입되도록 도어(2000)의 후면에 빛 감지 센서(8000)가 설치된다. 빛 감지센서(8000)는 대직경부(3210)의 가장자리가 내부로 지나갈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빛 감지센서(8000)의 한쪽에서는 빛을 쏘고 다른 한쪽에서는 빛을 감지하게 된다. 회전 편광판(3200)의 대직경부(3210)의 가장자리는 투명한 재질로 된 것인데 그 중 두 군데에는 불투명한 재질로 된 빛 차단막(3211)이 붙어 있다. 빛 차단막(3211)은 180° 간격을 이루면서 두 개가 부착된다. 그래서 빛 감지센서(3211)는 회전 편광판(3200)이 회전되다가 빛 차단막(3211)이 삽입홈 내부로 들어와서 빛을 차단하면 특별한 신호를 보내게 된다.
도어 프레임(2100)의 후면 중 투시창(3000)에 인접한 부분에는 모터(6000)를 설치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인 모터 지지부가 결합되고 모터 지지부에는 모터(6000)가 설치된다. 모터(6000)의 축에는 작동기어(6200)가 결합되고 이 작동기어(6200)가 회전 편광판(3200)의 소직경부(3220)의 톱니(3221)와 맞물린다.
전원스위치(5000)는 빛 감지센서(8000)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빛 감지센서(8000) 및 모터(6000)는 도어 프레임(2100) 후면 또는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회로부(9000)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회로부(9000)는 도어 프레임(2100) 후면에 부착되는 엘이디(LED) 램프(7000)와 전선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2000)가 닫힌 상태에서 전원스위치(5000)를 누르기 전에는 고정 편광판과 회전 편광판(3200)이 수직하게 겹쳐져서 투시창(3000)이 어둡게 되어 냉장고 홈바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다.
도어(2000)가 닫힌 상태에서 전원스위치(5000)를 누르면 회로부(90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모터(6000)가 작동하고 램프(7000)가 켜지게 된다. 모터(6000)가 회전하면 작동기어(6200)와 맞물린 톱니(3221)를 가지는 회전 편광판(3200)이 회전되는데 이때 회전 편광판(3200)은 네 개의 가이드 베어링(4000)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 편광판(3200)이 자동으로 돌아감에 따라 점점 투시창(3000)은 투명하게 되며, 90°만큼 돌아가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 편광판과 회전 편광판(3200)이 완전히 수평하게 겹쳐짐으로써 투시창(3000)이 가장 밝게 보이게 된다. 이로써 냉장고 홈바의 내부가 외부에서도 밝게 보이게 된다.
회전 편광판(3200)이 90° 회전된 이후부터 180° 회전할 때까지는 투시창(3000)이 점점 어두워져서 불투명하게 되며, 회전 편광판(3200)이 180° 돌아갔을 때 빛 차단막(3211)이 빛 감지센서(8000)를 지나게 되어 빛 감지센서(8000)가 회로부(90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모터(6000)가 자동으로 멈추고 램프(7000)도 이와 동시에 꺼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투시창(3000)을 투명하게 할 때와 불투명하게 할 때 전원 스위치(5000)를 두 번 누르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2000: 도어 2100: 도어프레임
2200: 손잡이 3000: 투시창
3200: 회전 편광판 3210: 대직경부
3211: 빛 차단막 3220: 소직경부
3221: 톱니 4000: 가이드 베어링
5000: 전원 스위치 6000: 모터
6200: 작동기어 7000: 램프
8000: 빛 감지센서 9000: 회로부

Claims (2)

  1.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홈바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원형 구멍이 형성된 불투명의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원형 구멍에 설치되는 원형의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 중 상기 도어 프레임의 구멍의 둘레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다수 개 구비되고,
    원주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다수 개의 원통형 가이드 베어링 각각이 상기 회전축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시창은 앞쪽의 원형의 고정 편광판과 뒤쪽의 원형의 회전 편광판이 서로 겹쳐져서 이중창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편광판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편광판은 앞쪽 부분의 대직경부와 뒤쪽 부분의 상기 대직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측면부에 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편광판의 대직경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 베어링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편광판이 상기 가이드 베어링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 편광판의 소직경부의 가장자리의 측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 중 상기 투시창과 인접되는 부위에는 모터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지지부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일정 시간동안 동작하는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축에는 상기 회전 편광판의 톱니와 맞물리는 작동 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동안 켜져있는 조명기구가 설치되며,
    평소에는 상기 고정 편광판과 상기 회전 편광판이 수직으로 겹쳐져서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 편광판이 회전되어 상기 고정 편광판과 상기 회전 편광판이 수평하게 겹쳐져서 상기 투시창이 투명한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불투명한 상태로 돌아갈 때까지 일정 시간동안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후면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 상기 조명기구 및 상기 모터와 연결된 빛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빛 감지센서는 상기 회전 편광판의 대직경 가장자리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한쪽에서는 빛을 쏘고 다른 한쪽에서는 그 빛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 편광판의 대직경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빛차단막이 붙어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를 작동하면 상기 빛 감지센서가 빛을 감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조명기구 및 상기 모터가 작동되게 하고 상기 빛차단막이 상기 빛 감지센서를 지나는 순간 상기 빛 감지센서가 전기적 신호를 보내 상기 조명기구 및 상기 모터의 동작을 멈추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KR1020110107299A 2011-10-20 2011-10-20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KR10135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299A KR101352556B1 (ko) 2011-10-20 2011-10-20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299A KR101352556B1 (ko) 2011-10-20 2011-10-20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286A KR20130043286A (ko) 2013-04-30
KR101352556B1 true KR101352556B1 (ko) 2014-01-20

Family

ID=4844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299A KR101352556B1 (ko) 2011-10-20 2011-10-20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14508B1 (ko) 2016-01-15 2023-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스마트 워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251058B (zh) * 2020-03-17 2022-07-05 铜陵帆捷智能测控科技有限责任公司 高效能外叶轮气动旋转视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534Y1 (ko) 2000-06-08 2000-11-15 세일전자주식회사 투명문을 가진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534Y1 (ko) 2000-06-08 2000-11-15 세일전자주식회사 투명문을 가진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286A (ko) 201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550B1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597671B1 (ko) 냉장고
EP2989399B1 (en) Refrigerator
ES2398071T3 (es) Aparato electrodoméstico, en particular aparato electrodoméstico integrado con una pantalla de funcionamiento controlable
KR101352556B1 (ko) 투시창을 구비한 냉장고 홈바
WO2016078191A1 (zh) 滚筒洗衣机前盖门及滚筒洗衣机
KR101708096B1 (ko) 냉장고
CN204434990U (zh) 家用电器用控制面板及洗衣机
RU2011147478A (ru) Холодильник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RU2004123968A (ru) Встраиваемый холодильник со светопроницаемой дверью
JP6227500B2 (ja) 冷蔵庫
KR101568255B1 (ko)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CN103498621B (zh) 智能控制的折叠式淋浴房
KR20200009107A (ko) 냉장고
CN213370861U (zh) 一种具有隐藏式推拉门的餐边柜
CN108204710B (zh) 具有隐藏式照明灯的冰箱
KR20190137473A (ko) 냉장고
KR20080004754A (ko)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발코니 도어
KR20140069880A (ko) 회전 디스플레이 냉장고
WO2011040026A1 (ja) 冷蔵庫
US20080202701A1 (en) See-out, no-see-in, blind for a window, door, or room partition, or in short a noseein.
EP3237669B1 (en) Household appliance
CN203613966U (zh) 智能控制的折叠式淋浴房
CN208475785U (zh) 一种玻璃门及具有该玻璃门的制冷设备
CN110920358A (zh) 一种便于安装的车用节能遮阳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